KR20200112488A -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2488A KR20200112488A KR1020190033050A KR20190033050A KR20200112488A KR 20200112488 A KR20200112488 A KR 20200112488A KR 1020190033050 A KR1020190033050 A KR 1020190033050A KR 20190033050 A KR20190033050 A KR 20190033050A KR 20200112488 A KR20200112488 A KR 202001124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shaft
- electric vehicle
- torque converter
- planetary gear
- eddy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WZREIFADZCYQD-NSHGMRRFSA-N deltamethrin Chemical compound CC1(C)[C@@H](C=C(Br)Br)[C@H]1C(=O)O[C@H](C#N)C1=CC=CC(OC=2C=CC=CC=2)=C1 OWZREIFADZCYQD-NSHGMRRF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65 direct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0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 F16D43/1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 F16D43/18—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with friction clutch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54—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by controlling transmissions or clu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0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 F16D43/06—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axially a movable pressure ring or the like
- F16D43/08—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axially a movable pressure ring or the like the pressure ring actuating friction plates, cones or similar axially-movable friction surf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0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 F16D43/1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30—Systems of a plurality of automatic clu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3/00—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3/10—Means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embers
- F16H13/14—Means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embers for automatically varying the pressure mechan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2—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 F16H3/54—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one of the central gears being internally toothed and the other externally tooth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9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purely mechanical
- F16H61/0295—Automatic gear shift control, e.g. initiating shift by centrifugal fo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02—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asynchronous induction type
- H02K49/04—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asynchronous induction type of the eddy-current hysteresis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02—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asynchronous induction type
- H02K49/04—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asynchronous induction type of the eddy-current hysteresis type
- H02K49/043—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asynchronous induction type of the eddy-current hysteresis type with a radial airgap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0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 F16D43/1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 F16D2043/145—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the centrifugal masses being pivo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7/00—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21—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34—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two forward spe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64—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using at least one positive clutch, e.g. dog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66—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using one freewheel mechanis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94—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using positive clutches, e.g. dog clutch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tarder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성기어 잠금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제1 요소로 입력축에 연결되고, 제2 요소로 출력축에 연결되며, 제3 요소로 고정부에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유성기어;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속도에 의해 제어되도록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전류 토크 발생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1 요소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성기어를 내장하는 프론트 커버; 상기 출력축 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되는 백 커버; 상기 출력축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을 단속하도록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제3 요소의 사이에 구비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 및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요소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직접 연결하는 록업 기구;를 포함한다.Disclosed are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etary gear connected to an input shaft as a first element, to an output shaft as a second element, and variably connected to a fixed part as a third element; At least on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nd generating an eddy current to be controlled by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A front cov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nd the first element to house the planetary gear; A back cover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side and coupled to the front cover; Planetary gear comprising a lock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to intercept the connection of the third element and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lock; And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lement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the input shaft and the It includes; a lock-up mechanism for directly connecting the output shaf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성기어 잠금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진 및 후진에 관계없이 토크를 증배시킬 수 있고, 전자기력(electromagnetic force)과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속기로 전달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rque can b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vehicle's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of a driving motor to a speed reducer using electromagnetic force and planetary gear,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일반적으로 토크 컨버터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용하여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토크 컨버터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러, 이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오일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 그리고 임펠러로 환류하는 오일의 흐름을 임펠러의 회전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토크 변화율을 증대시키는 리엑터('스테이터' 라고도 함)를 포함한다.In general, a torque converter is installed between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of a vehicle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to a transmission using a fluid. Such a torque converter includes an impeller that rotates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an engine, a turbine that is rotated by oil discharged from the impeller, and a reactor that increases the rate of change of torque by directing the flow of oil returned to the impeller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impeller ( Also referred to as'stator').
토크 컨버터는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지면 동력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엔진과 변속기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수단인 록업 클러치(Lock-up clutch, 또는 '댐퍼 클러치'라고도 함)를 갖추고 있다. 록업 클러치는 엔진과 직결된 프론트 커버와 터빈 사이에 배치되어 엔진의 회전 동력이 직접 터빈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torque converter is equipped with a lock-up clutch (also referred to as a'damper clutch'), which is a means of directly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s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may decrease when the load acting on the engine increases. The lock-up clutch is disposed between the turbine and the front cover directly connected to the engine so tha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ngine can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turbine.
한편, 최근 에너지 효율과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면서 내연기관 자동차를 실질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는 보통 연료전지나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나, 엔진과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구분된다.Meanwhile, as interest in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vehicles that can substantially repla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These eco-friendly vehicles are usually electric vehicles driven by fuel cells or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B. It is divided into a hybrid vehicle driven by using an engine and a battery.
이러한 친환경 차량 중, 전기자동차는 엔진 및 변속기를 대신하여 구동모터를 사용해 발생된 구동력을 이용하는 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해 작동하는 종래의 토크 컨버터 적용이 어렵다. Among these eco-friendly vehicles, an electric vehicle uses a driving force generated using a drive motor instead of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a conventional torque converter that operates using a fluid flow.
이로 인해, 전기자동차에는 구동모터의 초기 고토크 및 제어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1단 감속기를 주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모터 사이즈 축소 및 연비 상승을 위하여, 다단 감속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unlik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 first-stage speed reducer is mainly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due to the initial high torque of the driving motor and convenience of control. Recently,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motor and increase the fuel efficiency, development of a multi-stage reducer is in progress.
그러나 다단 감속기는 클러치 액추에이터, 기어 액추에이터 및 변속기 제어유닛(TCU) 등의 부가적인 전장품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multi-stage speed reducer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ncreases because additional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a clutch actuator, a gear actuator,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are additionally required.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에서 감속기를 대신하여 유체 유동방식이 아닌 건식 토크 컨버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dry torque converter instead of a fluid flow method in an electric vehicle instead of a reducer.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e prepared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ose of the prior art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장품을 추가하지 않으므로 원가적으로 유리하고,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와 인버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초기 구동 시에는 구동모터의 소모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cost because no electrical equipment is added, and the size of the driving motor and inverter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reduced. , To provide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of a driving motor during initial driving,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진 및 후진에 관계없이 유성기어를 이용한 토크 증배, 와전류를 이용한 속도비 상승, 및 록업 기구를 이용한 구동력의 직접 전달을 모두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유체식 토크 컨버터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유성기어 잠금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ll of the torque multiplication using a planetary gear, increasing the speed ratio using an eddy current, and direct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using a lock-up mechanism, regardless of the forward and backward, functions of a conventional fluid torque convert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ll,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는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 요소와, 출력축에 연결되는 제2 요소와, 상기 입력축의 회전 및 상기 출력축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된 고정부에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이 설정치 이하의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요소를 상기 고정부와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이 설정치 이하의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으로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고정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록킹유닛; 을 포함한다.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first element connected to an input shaft, a second element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and fixed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A planetary gear including a third element vari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nd when the input shaft or the output shaft rotates at a low rotational speed less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third element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so as to be non-rotatable, and the input shaft or the output shaft rotates at a high rotational speed less than a set value. A locking unit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third element and the fixing part by a moving member that is moved radial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input shaft or the output shaft; Includes.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제3 요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요소에 장착되는 리엑터 하우징;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인너 레이스;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상기 인너 레이스의 일단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제1 마찰패드; 및 상기 제1 마찰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마찰패드와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되는 제2 마찰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의 마찰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인너 레이스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일 수 있다.The lock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the reactor housing mounted on the third element; An inner race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actor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xing unit; A sliding member mount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inner r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in the reactor housing; A first friction pad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And a second friction pa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friction pad and selectively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first friction pad. Including, the movable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slid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while being moved radial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by a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It may be at least one ball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ment and the inner race by moving the slid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lement so that the frictional contact of the friction pad is released.
상기 제2 요소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구름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element, at least one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from the inner side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ball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ll is inserted on one surface facing the sliding member.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되어 구름 접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캠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cam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liding member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ll is inserted on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상기 캠홈에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리엑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요소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진 캠면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m groove, a cam surfac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outward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and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reactor housing toward the second element.
상기 볼은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질 경우, 상기 안착홈과 상기 캠홈에 구름 접촉된 상태로, 상기 캠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increases, the ball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ating groove and the cam groove, mov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cam surface, and moving the sliding member to the second element. You can slide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상기 인너 레이스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플랜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rac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sliding member is slidably coupl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reactor housing; And a flange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or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and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and the slid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is prevented from rotating.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접시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A plate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flange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member.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ads may be mounted inclined at a set angle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respectivel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제1 요소로 입력축에 연결되고, 제2 요소로 출력축에 연결되며, 제3 요소로 고정부에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유성기어;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속도에 의해 제어되도록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전류 토크 발생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1 요소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성기어를 내장하는 프론트 커버; 상기 출력축 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되는 백 커버; 상기 출력축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을 단속하도록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제3 요소의 사이에 구비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 상기 출력축 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되는 백 커버; 및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요소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직접 연결하는 록업 기구; 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etary gear connected to an input shaft as a first element, to an output shaft as a second element, and variably connected to a fixed part as a third element; At least on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nd generating an eddy current to be controlled by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A front cov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nd the first element to house the planetary gear; A back cover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side and coupled to the front cover; Planetary gear comprising a lock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to intercept the connection of the third element and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lock; A back cover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side and coupled to the front cover; And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lement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the input shaft and the A lock-up mechanism directly connecting the output shaft; Includes.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1 요소에 연결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제2 요소의 외주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 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의 속도에 의해 제어되는 원심체;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is a permanent magnet connected to the first element; And a centrifugal body disposed facing the permanent magnet to have conductivity, connected through a hinge arm hing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ment, and controlled by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It may include.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원심체는 상기 제2 요소에 탄성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s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entrifugal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ment through an elastic member.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N 극과 S 극이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 may have an N-pole and an S-pole repeatedly dispos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cover.
상기 록업 기구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의 양측에 각각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업 플레이트;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힌지 암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 상기 록업 플레이트를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 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각각의 상기 록업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 암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 암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롤러; 및 각각의 상기 록업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마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up mechanism includes a lock-up plate dispos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lement in correspondence with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based on an axial direction; When the hinge arm is moved radially outward due to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each of the lock-up plate and the hinge arm moves the lock-up plate toward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respectively. A pair of rollers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arm, respectively; And a friction member mounted on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ockup plates. It may include.
상기 록업 플레이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에 대응하는 일면에는 상기 롤러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lock-up plat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that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er may protrude on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oller.
상기 접촉부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contact portion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ck-up plate facing the second element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an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롤러에 구름 접촉되는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er.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요소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하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상부로 갈수록 폭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may increase in width from a lower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element toward an upper portion toward an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록업 플레이트에는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 측을 향하여 배치된 상기 록업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 홀에는 상기 제2 요소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백 커버 측을 향하여 배치된 상기 록업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 홀에는 상기 힌지 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축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A guide hole is formed in the lock-up plate,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second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lock-up plate disposed toward the front cover side, and the lock-up disposed toward the back cover side. An end of a hinge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hinge arm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plate.
상기 록업 플레이트는 상기 롤러에 의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힌지 축에 의해 축 방향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When the lockup plate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roller, the axial movement may be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hinge shaft inserted into each of the guide holes.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The friction member may be mounted through mounting plate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장착홈에 장착될 수 있다. The mounting plate may be mounted in mount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riction members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facing the lock-up plate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를 상기 출력축의 속도에 따라 분리, 또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may separate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or may transmit power through eddy current torque.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3 요소에 장착되는 리엑터 하우징;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인너 레이스;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상기 인너 레이스의 일단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제1 마찰패드; 상기 제1 마찰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마찰패드와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되는 제2 마찰패드; 및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의 마찰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인너 레이스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 을 포함한다. 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reactor housing mounted on the third element; An inner race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actor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xing unit; A sliding member mount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inner r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in the reactor housing; A first friction pad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A second friction pa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friction pad and selectively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first friction pad; And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sliding member, the frictional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ads is released by moving from the radially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by a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At least one ball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ment and the inner race by moving the slid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lement; Includes. It may include.
상기 제2 요소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구름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econd element, at least one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from the inner side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ball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ll is inserted on one surface facing the sliding member.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되어 구름 접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캠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cam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liding member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ll is inserted on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상기 캠홈에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리엑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요소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진 캠면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m groove, a cam surfac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outward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and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reactor housing toward the second element.
상기 볼은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질 경우, 상기 안착홈과 상기 캠홈에 구름 접촉된 상태로, 상기 캠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increases, the ball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ating groove and the cam groove, mov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cam surface, and moving the sliding member to the second element. You can slide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상기 인너 레이스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플랜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rac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sliding member is slidably coupl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reactor housing; And a flange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or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and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and the slid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is prevented from rotating.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접시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A plate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flange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member.
상기 제1 요소는 선기어이고, 상기 제2 요소는 캐리어이며, 상기 제3 요소는 링기어 일 수 있다. The first element may be a sun gear, the second element may be a carrier, and the third element may be a ring gear.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2 요소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ing units may b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은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 요소, 출력축에 연결되는 제2 요소, 고정부에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제3 요소, 및 설정된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를 가지는 유성기어에서, 상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에서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작동 제어로 상기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축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3 요소를 선택적으로 고정 제어하여 상기 제2 요소로 출력되는 토크를 증배하는 제1단계; 상기 출력축의 속도 증가에 따라 상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에서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 사이에 구비되는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 제어로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를 와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요소로 출력되는 토크를 전달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의 속도 증가에 따라 상기 제2 요소에 구비되어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와 연동되는 록업 기구의 작동 제어로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의 축 방향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직결시키는 제3 단계; 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first element connected to an input shaft, a second element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a third element variably connected to a fixed part, and a set gear ratio. In a planetary gear having a speed ratio, operation control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third element and the fixing part at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depends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output shaft regardless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A first step of selectively fixing and controlling the third element to increase the torque output to the second element; As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increases,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generated by eddy curren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t a speed ratio higher than or equal to the gear ratio.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power through eddy current torque to transmit torque output to the second element; And an operation control of a lock-up mechanism provided in the second element and interlocked with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in a stat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respectively. A third step of directly connecting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by direct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while being in contact; Includes.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와 상기 록업 기구를 비작동 제어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nd the lock-up mechanism may be deactivat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으로 인해 상기 출력축 토크의 일부를 상기 제2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a part of the output shaft torque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element due to the non-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와 상기 록업 기구를 비작동 제어할 수 있다. In the second step,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d the lock-up mechanism may be deactivated.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출력축의 토크를 상기 제2요소 및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로 전달할 수 있다. In the second step,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the torque of the output shaf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ment and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록업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를 비작동 제어하고,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를 비작동 제어할 수 있다. In the third step,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may be deactivat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and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ing unit may be deactivated.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록업 기구의 작동,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비작동, 및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으로 인해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1:1이 되도록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직결할 수 있다. The third step includes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is 1:1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the non-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d the non-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Can be connected direc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유성기어의 제1 요소(선기어)와 제2 요소(캐리어) 사이에 와전류 토크 발생부를 구비하여, 출력축의 회전 속도에 의한 와전류의 비발생 또는 와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와전류 토크로 제1, 및 제2 요소의 비연결 또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을 전달하고, 제3 요소(링기어)와 고정부를 유성기어 잠금장치로 고정 또는 회전 제어하므로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에서 토크를 증배하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에서 와전류 토크를 출력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between the first element (sun gear) and the second element (carrier) of the planetary gear. An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is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to transmit power by non-connecting or eddy current torque of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with no eddy current generat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or eddy current torque generated by the eddy current, and a third element ( Ring gear) and the fixed part are fixed or rotated with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so the torque is multiplied at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and the eddy current torque is output above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또한, 본 발명은 토크 증배율이 크기 때문에 입력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인버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초기 구동 시 구동모터의 고속 회전을 통해 빠른 고효율 영역으로 진입하여 구동모터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drive motor and inverter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because the torque multiplication factor is large, and during initial drive, the drive motor enters a high-efficiency region through high-speed rotation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drive motor. There is also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액추에이터 없이 출력 속도의 원심력으로 입출력 속도비의 0.8까지 상승 회전시켜 출력 토크를 제어하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output torque is controlled by rotating up to 0.8 of the input/output speed ratio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output speed without a separate actuator.
또한, 본 발명은 유성기어를 이용한 토크 증배, 및 와전류를 이용한 속도비 상승 기능과 함께, 록업 기구의 적용을 통해 구동모터의 토크를 직접 변속기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입력 및 출력 속도를 1:1로 전달 할 수 있으며, 종래 유체식 토크 컨버터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transmit the torque of the driving motor to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lock-up mechanism, along with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torque using a planetary gear and increasing the speed ratio using an eddy current, so that the input and output speeds are 1:1. It can be transmitted,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lementing all the functions of a conventional fluid type torque converter.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진 시에도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유성기어를 이용한 토크 증배가 가능하여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overall marketability by enabling torque multiplication using a planetary gear regardless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even when the vehicle is revers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X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제2 요소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작동, 유성기어 잠금장치 작동,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 및 록업 기구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비작동, 유성기어 잠금장치 비작동,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 및 록업 기구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작동, 유성기어 잠금장치 비작동,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 및 록업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으로 제어되는 와전류 토크 발생부, 유성기어 잠금장치, 및 록업 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으로 제어되는 유성기어 요소들의 작동을 나타낸 표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X of FIG. 2,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lement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member applied to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diagrams showing a planetary gear operation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 non-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nd a non-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
13 to 15 are diagrams showing a non-operation of a planetary gear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 operation of an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nd a non-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admit.
16 to 18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of a planetary gear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operation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 non-operation of an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nd an operating state of a lock-up mechanism. .
19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d a lock-up mechanism controlled by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planetary gear elements controlled by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means", "...part" and "...member"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stitu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t means.
일반적으로 유성기어는 세 가지 요소 중 한 요소를 고정 요소로 하는 경우, 나머지 두 가지 요소를 입력 요소와 출력 요소로 작동하며, 입력 요소와 출력 요소 사이에서 설정된 기어비를 가진다.In general, when one of the three elements is a fixed element, the planetary gear operates as an input element and an output element with the other two elements, and has a gear ratio set between the input element and the output element.
이러한 조건에서, 유성기어는 입력 요소와 출력 요소 및 고정 요소의 토크 합이 영이 되는 특성을 가지며, 설정된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에서만 정상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ondition, the planetary gear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sum of torques of the input element, the output element, and the fixed element becomes zero, and can transmit a normal torque only at the speed ratio by the set gear rati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에서 구동모터(M)와 감속기(GB; gear box)사이에 장착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etween a drive motor M and a gear box (GB) in a powertrain of an electric vehicle.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상기 구동모터(M)와 상기 감속기(GB) 사이에서 양자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M)의 출력 토크를 상기 감속기(GB)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is configured to connect both the drive motor M and the reducer GB to each other to transmit the output torque of the drive motor M to the reducer GB.
본 실시예에서, 건식 토크 컨버터는 입력축(1)으로 상기 구동모터(M)에 연결되고, 출력축(2)으로 상기 감속기(GB)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1)으로 입력되는 상기 구동모터(M)의 토크를 증배 및 전달하여 상기 감속기(GB)로 출력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ry torque converter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M through an input shaft 1, is connected to the reducer GB through an output shaft 2, and is input to the input shaft 1 ( It multiplies and transmits the torque of M) and outputs it to the reducer (GB).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식 토크 컨버터는 제1 요소(11)와 제2 요소(12) 및 제3 요소(13)를 구비하여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에 연결되는 유성기어(10)를 포함한다.The dry torque conver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상기 유성기어(10)에서, 상기 제1 요소(11)는 상기 입력축(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요소(12)로 상기 출력축(2)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요소(13)로 고정부(14)에 가변적으로 연결된다. In the planetary gear (10), the first element (11) is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1),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2) by the second element (12), and to the third element (13). It is variably connected to the fixin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성기어(10)에서 상기 제1 요소(11)는 선기어(S)이고, 상기 제2 요소(12)는 피니언 기어(P)를 연결하는 캐리어(C)이며, 상기 제3 요소(13)는 링기어(R)이다.1 to 5, in the
즉, 유성기어(10)에서, 상기 제1 요소(선기어(S) : 11)는 상기 입력축(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요소(캐리어(C) : 12)는 상기 출력축(2)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요소(링기어(R) : 13)는 상기 고정부(14)에 가변적으로 연결된다. That is, in the
상기 고정부(14)는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또는 전기 자동차의 바디일 수 있다.The fixing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토크 컨버터는 와전류 토크 발생부(21), 프론트 커버(22), 백 커버(24), 유성기어 잠금장치(30), 및 록업 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y torque co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ddy
먼저,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와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기력(electromagnetic force)으로 비작동, 또는 작동되는 비접촉식 전자기 커플링으로 구성된다. First, the eddy
이러한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상기 출력축(2)의 저속 회전 시 설정된 원심력 부족으로 비작동 되어 와전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출력축(2)의 고속 회전 시 설정된 원심력 확보로 작동되어 와전류에 의한 와전류 토크를 발생시킨다.This eddy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상기 입력축(1)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요소(11)와 상기 출력축(2)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요소(12) 사이에 배치된다.2 to 5, the eddy current
이러한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상기 제2 요소(12)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ddy current
여기서,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양측(반경방향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영구자석(211)과 도전성을 가지는 원심체(21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ddy current
상기 영구자석(211)은 제1 요소(11)에 연결된다. 상기 원심체(212)는 상기 제2 요소(12)의 외주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 암(311)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출력축(2)의 속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힌지 암(311)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요소(12)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힌지핀(312)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힌지 암(311)들은 일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 요소(12)의 다른 위치에서 탄성부재(313)를 통해 연결된다. Her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작동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edd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22)는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제1 요소(11)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유성기어(10)를 내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프론트 커버(22)는 상기 출력축(2) 측에 구비되는 상기 백 커버(24)와 결합되어 상기 유성기어(10),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 및 상기 록업 기구(40)를 내장할 수 있다.Thi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211)은 상기 제1 요소(11)에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 커버(22)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211)은 상기 프론트 커버(22)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N 극과 S 극이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In this embodiment, the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초기 구동 시, 상기 출력축(2)의 출력속도에서 원심력이 부족하면, 상기 힌지 암(311)은 상기 탄성부재(313)로부터 제공된 인장력에 의해 상기 힌지핀(312)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선회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원심체(212)를 상기 영구자석(211)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initially driven, if the centrifugal force is insufficient at the output speed of the output shaft 2, the
즉, 전기 자동차에서 초기 구동 시에는 상기 유성기어(10)의 기어비로 인해 입력 토크가 정상으로 토크 증배되어 상기 감속기(GB)로 전달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initially driven, the input torque is normally torque multiplied due to the gear ratio of the
이와는 반대로, 전기 자동차의 속도 증가로 상기 출력축(2)의 출력속도가 증가되어 원심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원심체(212)의 원심력이 상기 탄성부재(313)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output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speed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그러면, 상기 힌지 암(311)은 상기 힌지핀(312)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원심체(212)를 상기 영구자석(211)에 접근시킬 수 있다.Then, the
이 때, 상기 원심체(212)와 상기 영구자석(211) 사이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에 의해 와전류 토크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로 전달된다.At this time, an eddy current is generated between the
여기서, 와전류는 상기 영구자석(211)이 구비된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원심체(211)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영구자석(211)과 상기 원심체(212)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류이다.Here, the eddy current is the rotation speed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와전류 토크가 발생되면,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의 속도비를 기어에 의한 속도비 이상으로 상승시킨다.Accordingly, the first and
상기 원심체(212)와 상기 영구자석(211)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전류 토크는 상대 속도 차이가 클수록 크게 발생할 수 있다.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ed between the
이러한 와전류 토크는 상기 원심체(212)와 상기 영구자석(211)의 속도비를 설정치(예, 0.8 이상)로 상승시키므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종래의 유체식 토크 컨버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is eddy current torque raises the speed ratio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와전류 토크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211)과 상기 원심체(212) 사이에 형성된 자기력으로 상기 영구자석(211)과 상기 원심체(212)를 서로 분리하거나, 또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 전달할 수 있다.The eddy current
이러한 작동을 통해,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상기 제1 요소(11)와 상기 제2 요소(12)를 서로 분리, 또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 전달한다.Through this operation, the eddy curr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입력축(1), 및 상기 출력축(2)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된 상기 고정부(14)에 상기 제3 요소(13)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netary
이러한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입력축(1) 또는 상기 출력축(2)이 설정치 이하의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요소(13)를 상기 고정부(14)와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When the input shaft 1 or the output shaft 2 rotates at a low rotational speed below a set value, the planetary
이와는 반대로,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입력축(1), 또는 상기 출력축(2)이 설정치 이하의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입력축(1), 또는 상기 출력축(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으로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Conversely, the planetary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는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원심력에 의해 설정된 공간 내에서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이동이 가능한 볼(34)일 수 있다.Here, the moving member may be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제2 요소(12)와 상기 제3 요소(13)의 사이에 구비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planetary
즉,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출력축(2)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출력축(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록킹유닛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의 연결을 단속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lanetary
이러한 유성기어 잠금장치(30)를 첨부한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is planetary
도 6은 도 2의 X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제2 요소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X of FIG. 2,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etary gear lo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Figure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lement applied to 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pplied to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member.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30)에서 상기 록킹유닛은 리엑터 하우징(31), 인너 레이스(32), 슬라이딩 부재(33), 제1 마찰패드(31a), 제2 마찰패드(33a), 및 상기 볼(34)을 포함할 수 있다.6 to 7, in the planetary
먼저,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은 링 기어인 상기 제3 요소(13)에 장착된다.First, the
이러한 리엑터 하우징(31)은 양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양면 중, 상기 출력축(2) 측에 배치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볼트 체결되는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인너 레이스(32)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의 회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14)에 연결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2)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요소(12)를 향하는 상기 인너 레이스(32)의 일단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liding
그리고 상기 제1 마찰패드(31a)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2 마찰패드(33a)는 상기 제1 마찰패드(31a)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마찰패드(31a)와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31a, 33a)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의 외주면에 각각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즉,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31a, 33a)들이 마찰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상기 제3 요소(13)의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planetar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34)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요소(12)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의 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볼(34)들은 원주방향으로 설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이러한 볼(34)들은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31a, 33a)의 마찰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를 상기 제2 요소(1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인너 레이스(32)를 통해 연결된 상기 고정부(14)와 상기 제3 요소(13)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These
여기서, 상기 제2 요소(12)에는, 도 6과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34)들이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구름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안착홈(12b)이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Here, in the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에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2b)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12)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34)이 일정부분 삽입되어 구름 접촉되도록 복수개의 캠홈(33b)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상기 캠홈(33b)에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으로부터 상기 제2 요소(12)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진 캠면(33c)이 형성될 수 있다.A
이에 따라, 상기 볼(34)들은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질 경우, 상기 안착홈(12b)과 상기 캠홈(33b)에 구름 접촉된 상태로, 상기 캠면(33c)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를 상기 제2 요소(12)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ncreases,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너 레이스(32)는 결합부(32a)와 플랜지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결합부(32a)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의 내부로 삽입된 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32b)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32a)로부터 상기 리엑터 하우징(31)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The sliding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33d)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2b)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33d)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32c)가 돌출 형성된다. Here, at least one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32a)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는 상기 걸림홈(33d)에 상기 걸림돌기(32c)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인너 레이스(32)에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liding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와 상기 플랜지부(32a)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접시 스프링(35)이 개재될 수 있다.Here,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록킹유닛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of the planetary
먼저, 전기 자동차의 전진 또는 후진 주행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 미만일 경우, 상기 볼(34)들은 상기 안착홈(12b)과 상기 캠홈(33b)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된다. First,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s less than the set speed, regardless of the forward or backward driving of the electric vehicle, the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는 상기 접시 스프링(35)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2 마찰패드(33a)는 상기 제1 마찰패드(31a)에 마찰 접촉된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liding
이에 따라, 상기 리엑터 하우징(31)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는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제3 요소(13)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에 연결된 상기 인너 레이스(32)를 통해 상기 고정부(14)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된다. Accordingly, the
이와는 반대로, 전기 자동차의 전진 또는 후진 주행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볼(34)들은 상기 안착홈(12b)과 상기 캠홈(33b)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도 6을 기준으로 상부)으로 이동된다.Conversely,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peed, regardless of the forward or reverse driving of the electric vehicle, the
이 때, 상기 볼(34)들은 상기 캠홈(33b)으로부터 상기 캠면(33c)을 따라 이동하면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를 상기 제2 요소(12)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At this time, the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31a, 33a)의 마찰 접촉이 해제되고, 동시에, 상기 접시 스프링(35)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In this case, the frictional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이에 따라, 상기 리엑터 하우징(31)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제3 요소(13)는 상기 고정부(14)와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유성기어(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리엑터 하우징(3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한편,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가 다시 설정속도 미만으로 회전되면, 상기 볼(34)들은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캠면(33c)으로부터 상기 캠홈(33b)으로 이동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s again rotated below the set speed, the
이 때, 압축된 상기 접시 스프링(35)으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이 원심력을 극복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는 상기 제2 요소(12)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31a, 33a)는 서로 마찰 접촉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elastic force provided from the compressed
즉,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전기 자동차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른 상기 출력축(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축(2)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lanetary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 시에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비작동 될 경우,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제3 요소(13)가 정지되도록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를 연결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ddy
이와는 반대로,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작동될 경우,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와 상기 제3 요소(13)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eddy current
즉,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구동 시에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작동 제어로 상기 제3 요소(13)가 고정되며, 상기 제2 요소(12)의 출력은 정상으로 토크 증배된다. 이 때,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비작동 됨으로써, 상기 유성기어(10)의 정상 제어를 가능케 한다.That is, when the speed ratio is driven by the gear ratio, the
반대로,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 구동 시에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작동 제어로 상기 제3 요소(13)의 고정이 해제되며,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작동으로 와전류에 의한 와전류 토크가 발생된다. Conversely, when driving over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the fixing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제1 요소(11)와 상기 제2 요소(12)가 와전류 토크를 전달하여, 상기 제2 요소(12)의 출력은 토크를 전달시킨다.Accordingly, the
여기서, 상기 와전류 토크는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보다 속도비를 더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유성기어(10)의 제3 요소(13)가 회전되도록 비작동 될 수 있다.Here, the eddy current torque may increase the speed ratio more than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and the planetar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록킹유닛이 상기 제2 요소(12)와 상기 제3 요소(13)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고정부(14)에 대해 상대회전 불가능 또는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unit of the planetary
예를 들어,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입력축(1)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하도록 상기 입력축(1)과 연결된 상기 백 커버(24) 등을 통하여 상기 제1 요소(11)와 상기 제3 요소(13)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lanetar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업 기구(4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요소(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록업 기구(40)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와 연동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ock-up
즉, 상기 록업 기구(40)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작동 또는 비작동에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That is, the lock-up
여기서, 상기 록업 기구(40)는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에 전달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내측면(축 방향 기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접 연결한다.Here, the lock-up
여기서, 상기 록업 기구(40)는 록업 플레이트(41), 롤러(42), 및 마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k-up
먼저,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12)의 양측에 각각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First, the
상기 롤러(42)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힌지 암(311)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를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3) 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각각의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와 상기 힌지 암(311)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 암(311)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이러한 롤러(42)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 암(3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상기 롤러(42)는 복수개로 구성된 상기 힌지 암(311)에 대응하여 한 쌍을 1 조로 하여 복수개의 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se
여기서,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42)에 대응하는 일면에는 상기 롤러(42)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4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ock-up
상기 접촉부(41a)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요소(12)를 향하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이러한 접촉부(41a)에는 상기 롤러(42)에 구름 접촉되는 경사면(41b)이 일체로 형성된다(도 8 참조).An
상기 경사면(41b)은 상기 제1 요소(11)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하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상부로 갈수록 폭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또한,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홀(41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먼저, 상기 프론트 커버(22) 측을 향하여 배치된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의 상기 가이드 홀(41c)에는 상기 제2 요소(12)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2a)가 삽입된다. First, a
그리고 상기 백 커버(24) 측을 향하여 배치된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의 상기 가이드 홀(41c)에는 상기 힌지 암(3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힌지 축(31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nd of the
이에 따라,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는 상기 힌지 암(311)이 상기 힌지핀(312)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선회되면서 함께 이동되는 상기 롤러(42)에 의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홀(41c)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12a)와 상기 힌지 축(312)에 의해 축 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k-up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부재(43)는 각각의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내측면에 장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마찰부재(43)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41)가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내측면에 근접될 경우,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와 마찰 접촉될 수 있다. This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43)는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44)를 통해 장착된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44)는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장착홈(22a, 24a)에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상기 마찰부재(43)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를 향하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44)의 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즉,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원심력이 증가되면,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에서는 상기 영구자석(211)에 상기 원심체(212)가 근접되면서 발생되는 와전류에 의해 와전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entrifugal force increase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2, the eddy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면, 상기 힌지 암(311)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원심체(212)를 상기 영구자석(211)에 근접시키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s further increased, the
이 때, 상기 롤러(42)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에 구비된 상기 접촉부(41a)의 경사면(41b)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암(311)과 함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를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러면,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는 상기 롤러(42)에 의해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마찰부재(43)에 마찰 접촉된다. Then, the lock-up
이에 따라,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비작동되고, 상기 록업 기구(40)가 작동되면서 록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ddy current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록업 기구(40)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작동과 연동되며, 작동 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와, 상기 프론트 커버(22), 및 상기 백 커버(24)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The lock-up
이에 따라, 상기 록업 기구(40)가 작동될 경우,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결시킴으로써, 입력 및 출력 속도를 1:1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M)의 토크를 변속기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ock-up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작동을 첨부한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8.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작동, 유성기어 잠금장치 작동,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 및 록업 기구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비작동, 유성기어 잠금장치 비작동,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 및 록업 기구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유성기어 작동, 유성기어 잠금장치 비작동,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 및 록업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10 to 12 are diagrams showing a planetary gear operation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of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 non-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nd a non-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13 to 15 illustrate non-operation of a planetary gear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 operation of an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nd a non-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16 to 18 illustrate the operation of a planetary gear applied to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 non-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lock-up mechanism. These are the drawings shown.
먼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기 자동차의 초기 구동 시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during initial driving will be described.
전기 자동차가 초기 구동될 경우, 상기 유성기어(10)는 작동되지만,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는 상기 출력축(2)의 저속 회전으로 인해 원심력 부족으로 비작동 되어(A1) 와전류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도 10 참조). 따라서 와전류에 의한 토크가 발생되지 않는다.When the electric vehicle is initially driven, the
즉,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서 원심력이 부족하면, 상기 힌지 암(311)은 상기 탄성부재(313)로부터 제공된 인장력에 의해 상기 힌지핀(312)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선회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심체(212)는 상기 영구자석(211)으로부터 멀어진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entrifugal force is insufficient 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2, the
여기서,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에서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서 원심력이 부족함에 따라, 상기 록킹유닛의 볼(34)들이 상기 안착홈(12b)과 상기 캠홈(33b)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된다. Here, in the planetary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는 상기 접시 스프링(35)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2 마찰패드(33a)는 상기 제1 마찰패드(31a)에 마찰 접촉된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liding
이에 따라, 상기 리엑터 하우징(31)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는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제3 요소(13)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에 연결된 상기 인너 레이스(32)를 통해 상기 고정부(14)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된다. Accordingly, the
즉,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비작동 됨에 따라, 상기 제3 요소(13)를 정지시키도록 작동된다.That is, the planetary
이 때, 상기 록업 기구(40)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작동되지 않은 초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도 12와 같이,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를 축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여 이동시키지 않음으로써, 비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lock-up
그러면, 전기 자동차에서 초기 구동 시에는 상기 유성기어(10)의 기어비로 인해 입력 토크가 정상으로 토크 증배되어 상기 감속기(GB)로 전달될 수 있다.Then,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initially driven, the input torque is normally torque multiplied due to the gear ratio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2)의 출력속도가 증가되어 원심력이 증가하게 되면,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심체(212)의 원심력이 상기 탄성부재(313)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utput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centrifugal force, as shown in Figs. 13 to 15,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그러면, 상기 힌지 암(311)은 상기 힌지핀(312)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원심체(212)를 상기 영구자석(211)에 접근시킬 수 있다.Then, the
이 때,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작동하여(A2) 상기 원심체(212)와 상기 영구자석(211) 사이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와전류 토크가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에 전달된다. At this time, the eddy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와전류 토크가 발생되면,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의 속도비를 기어에 의한 속도비 이상으로 상승시킨다.Accordingly, the first and
상기 원심체(212)와 상기 영구자석(211)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전류 토크는 상대 속도 차이가 클수록 크게 발생할 수 있다.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ed between the
본 실시예에서 와전류 토크는 상기 원심체(212)와 상기 영구자석(211)의 속도비를 설정치(예, 0.8 이상)로 상승시키므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종래의 유체식 토크 컨버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ddy current torque increases the speed ratio of the
또한,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작동(A2)될 경우,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에서는 상기 볼(34)들이 상기 안착홈(12b)과 상기 캠홈(33b)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도 14를 기준으로 상부)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when the eddy
이 때, 상기 볼(34)들은 상기 캠홈(33b)으로부터 상기 캠면(33c)을 따라 이동하면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를 상기 제2 요소(12)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At this time, the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31a, 33a)의 마찰 접촉이 해제되고, 동시에, 상기 접시 스프링(35)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Then, frictional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이에 따라, 상기 리엑터 하우징(31)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33)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제3 요소(13)는 상기 고정부(14)와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유성기어(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리엑터 하우징(3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즉,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와 상기 제3 요소(13)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That is, the planetary
여기서, 상기 록업 기구(40)에서는 상기 힌지 암(311)이 상기 힌지 축(312)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42)에 구름 접촉되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들이 상기 프론트 및 백 커버(22, 24)의 내측면을 향하여 일정거리 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Here, in the lock-up
그러나, 상기 원심체(212)가 상기 영구자석(211)에 완전히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는 상기 마찰부재(43)와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마찰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비작동 될 수 있다.However, as the
그리고 상기 출력축(2)의 출력속도가 계속해서 증가되면, 도 16 내지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심체(212)의 원심력이 상기 탄성부재(313)의 탄성력을 더욱 극복하게 된다. And if the output speed of the output shaft 2 is continuously increased, as shown in FIGS. 16 to 18,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그러면, 상기 힌지 암(311)은 상기 힌지핀(312)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원심체(212)를 상기 영구자석(211)에 더욱 근접시키게 된다.Then, the
여기서,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는 상기 제3 요소(13)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planetary
이 때, 상기 록업 기구(40)의 롤러(42)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41)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41a)의 경사면(41b)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암(311)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At this time, the
그러면, 상기 록업 플레이트(41)는 도 18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롤러(42)에 의해 상기 프론트 및 백 커버(22, 24)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마찰부재(42)에 마찰 접촉된다. Then, the lock-up
이와 같이, 상기 록업 기구(40)가 작동(A3)되면,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를 통해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접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에서는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가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와전류의 발생이 중단된다.In this way, when the lock-up
따라서, 상기 록업 기구(40)가 작동되면(A3)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가 비작동 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와, 상기 프론트 커버(22) 및 상기 백 커버(24)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ock-up
즉, 상기 록업 기구(40)가 작동될 경우,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결시킴으로써, 입력 및 출력 속도를 1:1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M)의 토크를 변속기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ock-up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상기 구동모터(M)에 일체로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감속기(GB)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tegrally mounted on the drive motor M or integrally mounted on the reducer GB.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는 입력 어셈블리, 출력 어셈블리 및 리엑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input assembly, an output assembly, and a reactor assembly.
상기 입력 어셈블리는 상기 입력축(1), 상기 입력축(1)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요소(11), 상기 프론트 커버(22), 상기 백 커버(24), 상기 프론트 커버(22)에 설치되는 상기 영구자석(2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assembly includes the input shaft (1), the first element (11)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1), the front cover (22), the back cover (24), the front cover (22). It may include a
상기 출력 어셈블리는 상기 출력축(2), 상기 출력축(2)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요소(12), 및 상기 피니언 기어(P), 및 상기 제2 요소(12)에 배치되어 상기 영구자석(211)에 마주하는 상기 원심체(212), 및 상기 록업 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assembly is disposed on the output shaft (2), the second element (12)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2), the pinion gear (P), and the second element (12), and the permanent magnet (211) ) Facing the
그리고 상기 리엑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reactor assembly may include the planetary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으로 제어되는 와전류 토크 발생부, 유성기어 잠금장치, 및 록업 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표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으로 제어되는 유성기어 요소들의 작동을 나타낸 표이다.19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d a lock-up mechanism controlled by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planetary gear elements controlled by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은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초기 구동 시)에서 상기 제2 요소(12)로 출력되는 정상의 토크를 증배하는 제1 단계,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원심력 증가 시)에서 상기 제2 요소(12)로 출력되는 토크를 전달하는 제2 단계, 및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원심력 더욱 증가 시)에서 상기 록업 기구(40)의 작동 제어로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축 방향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결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19 to 20, in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rmal torque output to the
제1 단계는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초기 구동 시)에서, 상기 제3 요소(13)와 상기 고정부(14)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작동 제어로 상기 출력축(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축(2)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3 요소(13)를 선택적으로 고정 제어하여 상기 제2 요소(12)로 출력되는 토크를 증배한다.The first step is the output shaft 2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anetary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작동(도 11 참조)으로 인하여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와 상기 록업 기구(40)를 비작동(도 10, 및 도 12 참조) 제어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3 요소(13)는 상기 고정부(14)에 고정된다. In the first step, the eddy
즉,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작동은 제1, 및 제2 마찰패드(31a, 33a)가 서로 마찰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33)가 상기 제2 요소(12)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이다.That is, the operation of the planetary
여기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비작동으로 인해 와전류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출력축(2)의 토크 일부를 상기 제2 요소(12)로 전달할 수 있다.Here, in the first step, the eddy current is not generated due to the non-operation of the eddy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토크 컨버터는 이를 장착한 전기 자동차의 초기 구동 시, 상기 유성기어(10)의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로 인해 상기 제1 요소(1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입력되는 입력 토크를 상기 제2 요소(12)가 증배하여 상기 감속기(GB)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3 요소(13)는 상기 유성기어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고정부(14)에 고정된다.Therefore, the dry torque conve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while the
즉, 전기 자동차의 초기 구동 시에는 출력속도가 낮아 원심력이 부족하므로 상기 원심체(212)가 작동하지 않게 되다. 그러면, 상기 영구자석(211)은 상기 원심체(212)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10 참조). 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initially driven, the
이에 따라,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에서는 원심체(212)와 영구자석(211) 사이에서 와전류에 의한 전달 토크가 발생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eddy current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출력축(2)의 속도 증가에 따라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원심력 증가 시)에서, 상기 제1 요소(11)와 상기 제2 요소(12) 사이에 구비된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작동 제어로 와전류가 발생된다(도 13 참조). In the second step, the eddy current torque provided between the
이러한 와전류는 와전류 토크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요소(선기어 : 11)와 상기 제2 요소(캐리어 : 12)는 발생된 와전류 토크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요소(12)로 출력되는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This eddy current generates an eddy current torque, and the first element (sun gear: 11) and the second element (carrier: 12) transmit power using the generated eddy current torque to reduce the torque output to the
여기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와 상기 록업 기구(40)를 비작동 제어한다(도 14 내지 15 참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14)와 연결이 해제된 상기 제3 요소(13)는 회전하는 제1, 제2 요소(11, 1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Here, in the second step, the planetary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작동으로 발생된 와전류 토크로 인해, 상기 출력축(2)의 토크를 상기 제2 요소(12) 및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로 전달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step, due to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즉, 전기 자동차의 속도 증가로 인해 건식 토크 컨버터의 출력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출력축(2)의 원심력이 증가되어 상기 원심체(212)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That is, when the output rotational speed of the dry torque converter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speed of the electric vehicle,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output shaft 2 increases, so that the
이러한 작동을 통해 서로 가까워진 상기 영구자석(211)과 상기 원심체(212)는 속도 차이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도 13 참조).Through this opera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211)의 자기력과 와전류의 영향으로 와전류 토크가 발생되고, 발생된 와전류 토크는 속도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요소(13)는 입력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way, eddy current torque is generat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and eddy current of the
그리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2)의 속도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요소(12)에 구비된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와 연동되는 상기 록업 기구(40)의 작동을 제어한다(도 18 참조).In the third step, as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2 further increases in a stat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the eddy
이 때,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에 의해 작동된 상기 록업 기구(40)에서는 상기 프론트 커버(22)와 상기 백 커버(24)의 축 방향 내측면에 구비된 상기 마찰부재(43)에 상기 록업 플레이트(41)가 각각 마찰 접촉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결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lock-up
여기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록업 기구(4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를 비작동 제어하고,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를 비작동 제어할 수 있다(도 16 내지 도 17 참조).Here, in the third step, the planetary
이로 인해, 상기 제3 요소(13)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제2 요소(11, 12)와 같은 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요소(12)는 상기 제1 요소(11)와 동일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록업 기구(40)의 작동,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의 비작동, 및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비작동으로 인해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가 1:1이 되도록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tep is the input shaft 1 and the output shaft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ock-up
즉,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이 직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M)의 토크를 직접 변속기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입력 및 출력 속도를 1:1로 전달 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put shaft 1 and the output shaft 2 are directly connected, the torque of the driving motor M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and the input and output speeds can be transmitted at 1: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식 토크 컨버터는 전기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에서 상기 구동모터(M)와 상기 감속기(GB) 사이에 장착되며, 초기 구동 시에는 상기 구동모터(M)의 토크를 정상으로 증배 전달하고, 출력속도의 증가 시에는 와전류 토크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M)의 토크를 기어비에 의한 속도 이상으로 증배하여 감속기(GB)로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ry torque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between the drive motor M and the reducer GB in the electric vehicle powertrain, and at the time of initial driving, the torque of the drive motor M is normalized. When the output speed is increased, the torque of the driving motor M is multiplied by more than the speed by the gear ratio by the eddy current torque and transmitted to the reducer GB.
또한, 출력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증가될 경우에는 상기 록업 기구(4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입력축(1)과 상기 출력축(2)을 직결시킴으로써, 입력 및 출력 속도를 1:1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speed is increased above the set speed, the first an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 잠금장치(30),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유성기어(10)의 제1 요소(11 : 선기어)와 제2 요소(12 : 캐리어) 사이에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를 구비하여 상기 출력축(2)의 회전 속도에 의한 와전류의 비발생 또는 와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와전류 토크로 상기 제1, 및 제2 요소(11, 12)의 비연결 또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3 요소(13 : 링기어)와 상기 고정부(14)를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로 고정 또는 회전 제어하므로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에서 토크를 증배하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에서 와전류 토크를 출력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lanetary
또한, 본 발명은 토크 증배율이 크기 때문에 상기 입력축(1)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모터(M)와 인버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초기 구동 시 상기 구동모터(M)의 고속 회전을 통해 빠른 고효율 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구동모터(M)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drive motor (M) and the inverter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1) because the torque multiplication factor is large, and fast, high efficiency through high-speed rotation of the drive motor (M) during initial driving. By entering the area, current consumption of the driving motor M may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액추에이터 없이 출력 속도의 원심력으로 입출력 속도비의 0.8까지 상승 회전시켜 출력 토크를 제어하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utput torque by rotating up to 0.8 of the input/output speed ratio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output speed without a separate actuator,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성기어(10)를 이용한 토크 증배, 및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21)의 와전류를 이용한 속도비 상승 기능과 함께, 상기 록업 기구(40)의 적용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M)의 토크를 직접 변속기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입력 및 출력 속도를 1:1로 전달 할 수 있으며, 종래 유체식 토크 컨버터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torque using th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진 시에도 상기 출력축(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하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30)를 통하여 상기 유성기어(10)를 이용한 토크 증배가 가능하여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 : 입력축
2 : 출력축
10 : 유성기어
11 : 제1 요소(선기어)
12 : 제2 요소(캐리어)
12a : 안착홈
13 : 제3 요소(링기어)
14 : 고정부
21 : 와전류 토크 발생부
22 : 프론트 커버
24 : 백 커버
30 : 유성기어 잠금장치
31 : 리엑터 하우징;
31a : 제1 마찰패드
32: 인너 레이스
32a : 결합부
32b : 플랜지부
32c : 걸림돌기
33: 슬라이딩 부재
33a : 제2 마찰패드
33b : 캠홈
33c : 캠면
33d : 걸림홈
34 : 볼
35 : 접시 스프링
40 : 록업 기구
41 : 록업 플레이트
42 : 롤러
43 : 마찰부재
44 : 장착 플레이트
211 : 영구자석
212 : 원심체
311 : 힌지 암
312 : 힌지핀
313 : 탄성부재
GB: 감속기(gear box)
M: 구동모터
P : 피니언 기어1: input shaft
2: output shaft
10: planetary gear
11: first element (sun gear)
12: second element (carrier)
12a: mounting groove
13: third element (ring gear)
14: fixed part
21: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22: front cover
24: back cover
30: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31: reactor housing;
31a: first friction pad
32: inner race
32a: coupling part
32b: flange part
32c: stumbling block
33: sliding member
33a: second friction pad
33b: cam groove
33c: cam surface
33d: locking groove
34: ball
35: plate spring
40: lock-up mechanism
41: lockup plate
42: roller
43: friction member
44: mounting plate
211: permanent magnet
212: centrifugal body
311: hinge arm
312: hinge pin
313: elastic member
GB: gear box
M: drive motor
P: pinion gear
Claims (42)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이 설정치 이하의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요소를 상기 고정부와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이 설정치 이하의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원심력으로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고정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록킹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A planetary gear including a first element connected to an input shaft, a second element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and a third element variably connected to a fixed part fixed regardless of rotation of the input shaft and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And
When the input shaft or the output shaft rotates at a low rotational speed less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third element is coupled to the fixed part so as to be non-rotatable, and the input shaft or the output shaft rotates at a high rotational speed less than a set value. A locking unit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third element and the fixing part by a moving member that is moved radial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input shaft or the output shaft;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제3 요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요소에 장착되는 리엑터 하우징;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인너 레이스;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상기 인너 레이스의 일단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제1 마찰패드; 및
상기 제1 마찰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마찰패드와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되는 제2 마찰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의 마찰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인너 레이스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A reactor housing mounted on the third element;
An inner race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actor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xing unit;
A sliding member mount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inner r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in the reactor housing;
A first friction pad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And
A second friction pa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friction pad and selectively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first friction pad; Including,
The mov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sliding member, and is moved radially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by a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while fri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ads And at least one ball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ment and the inner race by moving the slid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lement so that the contact is released.
상기 제2 요소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구름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ond element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ating groove is formed from the radially inner side toward the outer side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ball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is partially inserted on one surface facing the sliding member.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되어 구름 접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liding member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am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ball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상기 캠홈에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리엑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요소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진 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4,
In the cam groove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outward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and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reactor housing toward the second element.
상기 볼은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질 경우, 상기 안착홈과 상기 캠홈에 구름 접촉된 상태로, 상기 캠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ball is
When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increases, the sliding member moves in a radial direction outward along the cam surface in a rolling contact with the seating groove and the cam groove, while moving the slid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lement.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movement.
상기 인너 레이스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플랜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race is
A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sliding member is slidably coupl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reactor housing; And
A flange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or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is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to prevent rotation of the slid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접시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7,
A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ate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flange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member.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ads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mounting at a set angl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respectively.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속도에 의해 제어되도록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전류 토크 발생부;
상기 입력축과 상기 제1 요소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성기어를 내장하는 프론트 커버;
상기 출력축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을 단속하도록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제3 요소의 사이에 구비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
상기 출력축 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되는 백 커버; 및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요소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직접 연결하는 록업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A planetary gear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by a first elemen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by a second element, and vari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by a third element;
At least on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nd generating an eddy current to be controlled by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A front cov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nd the first element to house the planetary gear;
Planetary gear comprising a lock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to intercept the connection of the third element and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lock;
A back cover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side and coupled to the front cover; And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lement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and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 lock-up mechanism that directly connects to;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1 요소에 연결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제2 요소의 외주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 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의 속도에 의해 제어되는 원심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 permanent magnet connected to the first element; And
A centrifugal body disposed facing the permanent magnet to have conductivity, connected through a hinge arm hing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ement, and controlled by a speed of the output shaft;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원심체는 상기 제2 요소에 탄성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2,
The permanent magnets are disposed at a set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entrifugal body is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cond element through an elastic member.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N 극과 S 극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2,
The permanent magnet is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cover.
상기 록업 기구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의 양측에 각각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업 플레이트;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힌지 암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 상기 록업 플레이트를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 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각각의 상기 록업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 암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 암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롤러; 및
각각의 상기 록업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마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2,
The lockup mechanism
A lock-up plate dispos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lement, corresponding to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based on an axial direction;
When the hinge arm is moved radially outward due to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each of the lock-up plate and the hinge arm moves the lock-up plate toward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respectively. A pair of rollers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arm, respectively; And
A friction member mounted on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ockup plates;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상기 록업 플레이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에 대응하는 일면에는 상기 롤러에 구름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5,
The lockup plate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at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oller,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that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er is protruded.
상기 접촉부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act part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ieces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lock-up plate facing the second element based on an axial direction.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롤러에 구름 접촉되는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6,
On the contact part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er is integrally formed.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요소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하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상부로 갈수록 폭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8,
The slope is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length increases from the lower portion toward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element toward the upper portion toward the radial outer side.
상기 록업 플레이트에는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 측을 향하여 배치된 상기 록업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 홀에는 상기 제2 요소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백 커버 측을 향하여 배치된 상기 록업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 홀에는 상기 힌지 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5,
Guide 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ck-up plate,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lock-up plate disposed toward the front cover side,
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 end of a hinge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hinge arm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lockup plate disposed toward the back cover side.
상기 록업 플레이트는
상기 롤러에 의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힌지 축에 의해 축 방향 이동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0,
The lockup plate
When the roller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the axial movement is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hinge shaft inserted into each of the guide holes.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5,
The friction member is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through mounting plates mounted on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respectively.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장착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2,
The mounting plate is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록업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2,
The friction member is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mounted plates are spaced apar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facing the lockup plate.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를 상기 출력축의 속도에 따라 분리, 또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Th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or power is transmitted by eddy current torque.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3 요소에 장착되는 리엑터 하우징;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인너 레이스;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상기 인너 레이스의 일단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제1 마찰패드;
상기 제1 마찰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마찰패드와 선택적으로 마찰 접촉되는 제2 마찰패드; 및
상기 제2 요소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패드의 마찰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인너 레이스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locking unit
A reactor housing mounted on the third element;
An inner race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actor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xing unit;
A sliding member mount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inner r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in the reactor housing;
A first friction pad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A second friction pa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friction pad and selectively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first friction pad;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and the sliding member, so that the frictional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ads is released while being moved from radially inward to outward by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At least one ball selectively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ment and the inner race by moving the slid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lement;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제2 요소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구름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6,
In the second element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ating groove is formed radially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in a rolling contact with the ball inserted in a certain portion on one surface facing the sliding member.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요소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볼이 일정부분 삽입되어 구름 접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7,
In the sliding member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am groove is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ll is inserted into the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so as to make rolling contact.
상기 캠홈에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리엑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요소를 향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진 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8,
In the cam groove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outward based on a radial direction, and a cam surface inclined at a set angle from the reactor housing toward the second element.
상기 볼은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질 경우, 상기 안착홈과 상기 캠홈에 구름 접촉된 상태로, 상기 캠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2 요소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9,
The ball is
When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increases, the sliding member moves in a radial direction outward along the cam surface in a rolling contact with the seating groove and the cam groove, while moving the slid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lement.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movement.
상기 인너 레이스는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리엑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플랜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26,
The inner race is
A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sliding member is slidably coupl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reactor housing; And
A flange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or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ctor housing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31,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is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to prevent rotation of the slid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접시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31,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ate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flange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member.
상기 제1 요소는 선기어이고,
상기 제2 요소는 캐리어이며,
상기 제3 요소는 링기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11,
The first element is a sun gear,
The second element is a carrier,
The third element is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gear.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2 요소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The method of claim 11,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elements a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ment.
상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에서 상기 제3 요소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는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작동 제어로 상기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축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3 요소를 선택적으로 고정 제어하여 상기 제2 요소로 출력되는 토크를 증배하는 제1단계;
상기 출력축의 속도 증가에 따라 상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에서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 사이에 구비되는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 제어로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를 와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와전류 토크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요소로 출력되는 토크를 전달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기어비에 의한 속도비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의 속도 증가에 따라 상기 제2 요소에 구비되어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와 연동되는 록업 기구의 작동 제어로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의 축 방향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직결시키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In a planetary gear having a first element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 second elemen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 third element vari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nd a speed ratio according to a set gear ratio,
The third element is selectively fix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put shaft regardless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third element and the fixing part at the speed ratio due to the gear ratio. A first step of controlling and multiplying the torque output to the second element;
As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increases,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generated by eddy curren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t a speed ratio higher than or equal to the gear ratio.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power through eddy current torque to transmit torque output to the second element; And
When the speed ratio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gear rati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lock-up mechanism provided in the second element and interlocked with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speed of the output shaft makes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in the axial direction. A third step of directly connecting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by direct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와 상기 록업 기구를 비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6,
The first step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non-operating control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ing unit and the lock-up mechanism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으로 인해 상기 출력축 토크의 일부를 상기 제2 요소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7,
The first step
A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output shaft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ment due to the non-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와 상기 록업 기구를 비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6,
The second step
A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non-operating control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d the lock-up mechanism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ing unit.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출력축의 토크를 상기 제2요소 및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9,
The second step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ing unit, the torque of the output shaf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ment and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록업 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를 비작동 제어하고,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를 비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6,
The third step
The control method of a dry torque co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non-operational control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d non-operational control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록업 기구의 작동, 상기 유성기어 잠금장치의 비작동, 및 상기 와전류 토크 발생부의 비작동으로 인해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1:1이 되도록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직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41,
The third step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re directly connected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is 1:1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ock-up mechanism, the non-operation of the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and the non-operation of the eddy current torque generator. Dry torque converter control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33050A KR20200112488A (en) | 2019-03-22 | 2019-03-22 |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PCT/KR2019/015377 WO2020197028A1 (en) | 2019-03-22 | 2019-11-12 | Planetary gear locking apparatus, dry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33050A KR20200112488A (en) | 2019-03-22 | 2019-03-22 |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12488A true KR20200112488A (en) | 2020-10-05 |
Family
ID=726115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33050A Withdrawn KR20200112488A (en) | 2019-03-22 | 2019-03-22 |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112488A (en) |
| WO (1) | WO2020197028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NZ575464A (en) * | 2009-03-10 | 2010-07-30 | Holmes Solutions Ltd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king mechanisms |
| US8727090B2 (en) * | 2010-07-22 | 2014-05-20 | Tai-Her Yang | Centrifugal force combined with sliding damping type torque actuated clutch |
| KR101242609B1 (en) * | 2011-06-29 | 2013-03-19 |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 Speed reduction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897759B1 (en) * | 2017-12-14 | 2018-09-12 |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858187B1 (en) * | 2017-12-14 | 2018-06-27 |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2019
- 2019-03-22 KR KR1020190033050A patent/KR20200112488A/en not_active Withdrawn
- 2019-11-12 WO PCT/KR2019/015377 patent/WO2020197028A1/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0197028A1 (en) | 2020-10-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786681B2 (en) | Dry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s and its control method | |
| JP4444119B2 (en) | Hybrid drive assembly for vehicles, especially for scooters | |
| JP5880516B2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 |
| US20120244990A1 (en)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 CA2312752C (en) | Hybrid drive system | |
| CN113261182B (en) | Driving device for vehicle | |
| CN111835139A (en) | Multi-mode integrated starter-generator unit with preload clutch | |
| US9212605B2 (en) | Drive device for vehicle auxiliary machine | |
| CN114867624A (en) | Compact P2 hybrid architecture | |
| KR20200114813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CN101334076A (en) | hybrid drive system | |
| US6561943B1 (en) | Clutch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 KR20200112488A (en) | Planetary gear locking device,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210001933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200045799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200046699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200045800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JP4207939B2 (en) | DRIVE DEVICE AND POWER OUTPU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
| KR20210001584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CN113383176A (en) | friction engagement device | |
| KR20200050631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200078130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102206219B1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200076525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210075532A (en) | Dry type torque conver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