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19144A -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144A
KR20200119144A KR1020190041607A KR20190041607A KR20200119144A KR 20200119144 A KR20200119144 A KR 20200119144A KR 1020190041607 A KR1020190041607 A KR 1020190041607A KR 20190041607 A KR20190041607 A KR 20190041607A KR 20200119144 A KR20200119144 A KR 2020011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mma
printing
under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144A/ko
Publication of KR2020011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4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PC PMMA층이 적층된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은,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된 층인 PC PMMA층(110); 및 PC층(130) 또는 PMMA층(132);을 포함하며, PC PMMA층(110)의 하측에는 점착층(120);이, 점착층(120)의 하측에는 PC층(130) 또는 PMMA층(132)이,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하측에는 틴트인쇄층(140); UV 패턴인쇄층(150); 금속 박막 형태의 증착층(160); 및 실크인쇄층(1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Cellular phone decora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PC PMMA층이 적층된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및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휴대폰 및 스마트폰(이하 '휴대폰'으로 일괄하여 칭함)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휴대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으로 구성된다. 이중, 휴대폰 케이스는 통상,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경도가 낮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긁힘 자국 등의 흠집이 쉽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폰 제품의 보호뿐만 아니라, 심미성 향상을 위한 휴대폰 필름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폰 필름은 다양한 개성을 가진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도록 필름의 색상, 광택, 그리고 문양(즉, 패턴) 등이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52430호는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은 휴대폰의 통상의 투명필름으로 이용되는 투명 스티커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스티커 원단에 통상의 UV옵셋 인쇄후 통상의 UV 코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투명필름의 일측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에폭시 수지가 도포된 투명필름을 열건조기로 이동하여 30 내지 45℃로 8 내지 12시간 열처리하여 투명필름에 에폭시 수지를 접합하여 에폭시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에폭시 보호필름을 상온에서 4 내지 6시간 식힌 후 건조기에서 꺼내 에폭시 보호필름을 완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폭시 보호필름을 개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UV옵셋 인쇄 후 UV코팅을 수행함에 따라 인쇄판 면에서 잉크 화상을 블랭킷에 전사하여 다시 피착물에 인쇄를 해야 하고, 별도의 UV 조사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별도의 열처리 및 건조 공정을 포함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가 공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은 심미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UV 경화 공정 또는 열처리 공정 중에 형성된 패턴이 손상될 수 있어 전사 공정 시 균일한 패턴 전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52430호 (2013. 05. 22.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필름에 형성되는 패턴의 선명도 및 그러데이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은,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된 층인 PC PMMA층; 및 PC층; 또는 PMMA층;을 포함하며, 상기 PC PMMA층의 하측에는 점착층;이, 상기 점착층의 하측에는 상기 PC층 또는 상기 PMMA층이, 상기 PC층 또는 상기 PMMA층의 하측에는 틴트인쇄층; UV 패턴인쇄층; 금속 박막 형태의 증착층; 및 실크인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광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은, PC층 또는 PMMA층의 하측에 틴트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트인쇄층의 하측에 UV 패턴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UV 패턴인쇄층의 하측에 금속 박막 형태의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의 하측에 실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C층 또는 상기 PMMA층의 상측에 광접착 레진으로 구성되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여 상기 PC PMMA층의 하측에 상기 PC층 또는 상기 PMMA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에 형성되는 패턴의 선명도 및 그러데이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층에 인쇄가 이루어져 PET층에 틴트 인쇄하는 경우에 비해 다양한 레이어 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PMMA 소재가 아닌 PC PMMA 소재의 사용으로 인해 백 커버 3차원 형상 구현시 균열 및 깨짐을 억제하고, 두께에 따른 가공시 패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 PMMA 복합시트층과 PC층 사이의 점착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그러데이션 데코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그러데이션 데코필름은 베이스 필름으로 PC PMMA층(110)과, 백 레이어 필름으로서 PC층(130) 또는 PMMA(132)층을 포함하며, PC PMMA층(110)의 하측에는 점착층(120)이 형성되고, 점착층(120)의 하측에는 PC층(130) 또는 PMMA층(132)이 형성되고,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하측에는 틴트인쇄층(140)이 형성되고, 틴트인쇄층(140)의 하측에는 UV 패턴인쇄층(150), 금속 박막 형태의 증착층(160), 및 실크인쇄층(170)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휴대폰 그러데이션 데코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단면을 기준으로 PC PMMA층(110)의 하측으로 점착층(120), PC 층(130) 또는 PMMA층(132), 틴트인쇄층(140), UV 패턴인쇄층(150), 증착층(160), 및 실크인쇄층(17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베이스 필름인 PC PMMA층(110)은,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한 것이며, 그 두께는 0.5mm가 바람직하다.
PC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의 대용재이자 일반 판유리의 보완재로 많이 쓰인다.
PMMA는 특수 수지(樹脂)의 일종으로, 메칠메타크릴레이트의 폴리머(중합체) 성분이며, 뛰어난 광학 특성, 내후성, 표면강도, 경도, 성형성 등이 특징이다.
PC PMMA층(110)에 합지되는 백 레이어(back layer) 필름으로는 PC층(130) 또는 PMMA층(132)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0.07 ~ 0.125mm가 바람직하다.
베이스 필름과 백 레이어 필름을 점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층(120)의 소재로는 투명한 액체 타입의 광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OCR) 혹은 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LOCA))이 사용된다.
광접착 레진은 투명한 양면 테이프 타입의 광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이 가진 기재 적용시의 기포 생성 가능성 이라든가 커버 윈도우의 인쇄로 인한 단차 메꿈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된다.
틴트인쇄층(140)은 PC층(130) 또는 PMMA층(132)에 형성되되, 표면이 평활한 그라비아인쇄 롤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틴트인쇄층(140) 형성 조성물은 염료 및 바인더를 포함한다. 그라비아인쇄 공정에 의해 틴트인쇄층(140)을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열처리 및 건조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염료는 Magenta VP, MS Red G, Macrolex Red Violet R, 및 MS Magenta HM-1450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계통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고, Waxoline Yellow GFW, Kayaset Yellow GN, 및 Foron Brillinat Yellow 6G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황색계통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Kayaset Blue 714, Waxoline Blue AP-FW, 및 MS Cyan HM-12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계열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염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염료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폰 필름에서 소정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염료는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소정의 접착성을 갖는 수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성 갖는 물질을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접착층 없이 상기 필름 및 후술되는 패턴층 또는 금속 데코레이션층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V 패턴인쇄층(150)은 틴트인쇄층(140)의 하측에 자외선 인쇄(Ultra-Violet Printing) 방식에 의해 패턴(pattern)이 인쇄된 층이다.
인쇄용지로 많이 쓰이는 일반 상업지와는 달리 금지,은지,PP와 같은 재질은 일반지와는 달리 잉크의 침투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인쇄후 잉크의 건조 속도가 늦고, ?Ⅹ?음이 생기게 되고 잉크가 번지고 인쇄물의 상태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UV 인쇄 방식은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으로, UV 빛에 노출되면서 순간 경화, 즉 바로 건조가 되는 특성이 있는 전용의 액체잉크를 사용하며, 자외선을 이용해 순간 건조 하게 되므로 재질의 제약이 없어 다양한 컬러를 표현할수 있으며 탈색과 습기에 강해 외부 날씨 변화 등에 탁월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UV 방식의 패턴층이 아니더라도, 패턴층은 표면에 기설정된 도안 또는 형상의 음각홈이 형성된 그라비아 롤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층 형성 조성물을 음각홈에 충진시킨 뒤 틴트인쇄층(140) 상에 그라비아 인쇄함에 따라 단면이 요철(凹凸) 형상을 갖는 패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층이 형성될 경우 다양한 디자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패턴층 형성 조성물은 바인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물질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 물질을 포함하는 패턴층 형성 조성물을 표면에 음각홈이 형성된 그라비아 롤에 충진시켜 그라비아 인쇄 공정을 수한다. 이에 따라 추후 별도의 경화 공정 없이 바로 패턴층을 형성할 수 있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패턴층 형성 조성물에 상기 틴트인쇄층(140)에 사용되는 바인더 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경우 상기 틴트인쇄층(140) 및 패턴층 간의 계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증착층(160)은 UV 패턴인쇄층(150)의 하측에 형성되되,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작과정에서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 기상 증착은 IC 등의 제조공정에서 기판 위에 실리콘 등의 박막을 만드는 공업적 수법이다.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소막, 아모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박막 등을 만드는데 쓰인다.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에 열이나 빛으로 에너지를 가하거나, 고주파로 플라스마화시키면 원료 물질이 라디칼화되어 반응성이 크게 높아져서 기판 위에 흡착되어 퇴적한다.
물리적 기상 증착 공정은 산화물 반도체나 GaAs 등을 기판에 증착시킬 때 화합물들을 녹여서 고체 상태의 타겟으로 제조해 열이나 전자빔으로 휘발시켜서 기판에 증착시킨다. 이때 원료물질은 열, 레이저, 전자빔 등을 통해 기체상태로 날려서 보내고 날아간 기체 상태의 원료 물질이 기판에 닿았을 때 고체 상태로 변화된다.
실크인쇄층(170)은 증착층(160)의 하측에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은,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하측에 틴트인쇄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틴트인쇄층(140)의 하측에 UV 패턴인쇄층(150)을 형성하는 단계; UV 패턴인쇄층(150)의 하측에 금속 박막 형태의 증착층(160)을 형성하는 단계; 증착층(160)의 하측에 실크인쇄층(170)을 형성하는 단계;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상측에 광접착 레진으로 구성되는 점착층(120)을 형성하여, PC PMMA층(110)의 하측에 PC층(130) 또는 PMMA층(132)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그러데이션 데코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레이어 필름인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일측에 예를 들면 하측에 틴트 인쇄하여 틴트인쇄층(140)을 형성하고(S10), 틴트인쇄층(140)의 하측에 UV 방식으로 패턴 인쇄하여 UV 패턴인쇄 층(150)을 형성하고(S20), 순차적으로 UV 패턴인쇄층(150)의 하측에 금속 박막층인 증착층(160)을 증착으로 형성하고(S30), 증착층(160)의 하측에 실크인쇄층(170)을 형성한다(S40).
다음으로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상측에 광접착 레진(OCR)을 도포하여 점착층(120)을 형성한 후(S50), 베이스 필름인 PC PMMA층(110)의 하측과 합지하도록 한다(S60).
한편, 점착층(120)은 PC PMMA층(110)의 하측에 형성한 후, PC 층(140) 또는 PMMA층(132)의 상측과 합지할 수도 있다.
한편,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하측에 틴트 인쇄하여 틴트인쇄층(140)을 형성하고, PC PMMA층(110)의 하측에 점착층(120)을 형성하고, PC PMMA층(110)을 PC 층(140) 또는 PMMA층(132)과 합지한 이후에, 틴트인쇄층(140)의 하측에 UV 패턴인쇄층(150), 증착층(160), 실크인쇄층(170)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10 : PC PMMA층
120 : 점착층
130 : PC층
132 : PMMA층
140 : 틴트인쇄층
150 : UV 패턴인쇄층
160 : 증착층
170 : 실크인쇄층

Claims (3)

  1.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에 있어서,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된 층인 PC PMMA층(110); 및
    PC층(130) 또는 PMMA층(132);을 포함하며,
    상기 PC PMMA층(110)의 하측에는 점착층(120);이,
    상기 점착층(120)의 하측에는 상기 PC층(130) 또는 상기 PMMA층(132)이,
    상기 PC층(130) 또는 상기 PMMA층(132)의 하측에는 틴트인쇄층(140); UV 패턴인쇄층(150); 금속 박막 형태의 증착층(160); 및 실크인쇄층(1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120)은 광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100).
  3.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된 층인 PC PMMA층(110)을 포함하며,
    PC층(130) 또는 PMMA층(132)의 하측에 틴트인쇄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틴트인쇄층(140)의 하측에 UV 패턴인쇄층(15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UV 패턴인쇄층(150)의 하측에 금속 박막 형태의 증착층(16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160)의 하측에 실크인쇄층(17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C층(130) 또는 상기 PMMA층(132)의 상측에 광접착 레진으로 구성되는 점착층(120)을 형성하여,
    상기 PC PMMA층(110)의 하측에 상기 PC층(130) 또는 상기 PMMA층(132)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90041607A 2019-04-09 2019-04-09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eased KR20200119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07A KR20200119144A (ko) 2019-04-09 2019-04-09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07A KR20200119144A (ko) 2019-04-09 2019-04-09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44A true KR20200119144A (ko) 2020-10-19

Family

ID=7304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07A Ceased KR20200119144A (ko) 2019-04-09 2019-04-09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9144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110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시온물질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8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9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12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7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방열물질이 포함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92308A (ko) 2020-12-24 2022-07-01 하인크코리아(주) 화이트 색상 구현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39585A (ko) * 2021-04-08 2022-10-17 (주)세경하이테크 음영 히든 효과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7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6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7834A (ko) * 2022-07-08 2024-01-17 (주)세경하이테크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50054524A (ko) 2023-10-16 2025-04-23 주식회사 우리엘소프트 금속감 구현 무증착 컬러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430A (ko) 2011-11-11 2013-05-22 윤원근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430A (ko) 2011-11-11 2013-05-22 윤원근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110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시온물질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8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9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12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83107A (ko) * 2020-12-11 2022-06-20 (주)세경하이테크 방열물질이 포함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220092308A (ko) 2020-12-24 2022-07-01 하인크코리아(주) 화이트 색상 구현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39585A (ko) * 2021-04-08 2022-10-17 (주)세경하이테크 음영 히든 효과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7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1276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경하이테크 칼라 반사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7834A (ko) * 2022-07-08 2024-01-17 (주)세경하이테크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50054524A (ko) 2023-10-16 2025-04-23 주식회사 우리엘소프트 금속감 구현 무증착 컬러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9144A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362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521207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297880B1 (ko) 휴대폰 윈도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214938B1 (ko) 터치 윈도우용 일체형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터치 윈도우용 일체형 데코필름
KR102007711B1 (ko)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7859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1000710A (ja) 加飾シート、加飾シート成形体、及び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521202B1 (ko) Pc층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가 적용된 휴대폰 백커버 필름구조
KR102521211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521208B1 (ko) 시온물질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102163360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3111A (ko) 듀얼 글라스틱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594871B1 (ko)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KR20110069436A (ko) 인몰드 사출성형용 성형필름
KR102521205B1 (ko) 방열물질이 포함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JP2014018411A (ja) 遊技板
KR20120016706A (ko) 인몰드용 홀로그램 전사필름
KR101734923B1 (ko) 백릿 기능이 있는 디지털글라스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3621A (ko) 복합시트와 이중층을 가지는 휴대통신기기 하우징용 백커버의 제조방법
JP5710170B2 (ja) 加飾体、及び加飾体の製造方法
KR102743811B1 (ko) Uv 편광색재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5542B1 (ko) 전사특성이 우수한 레이저광 열전사용 도너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35259B1 (ko) 기능성 박막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박막필름
KR102095541B1 (ko) 전사특성이 우수한 레이저광 열전사용 도너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2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