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49A - Drainage catheter - Google Patents
Drainage cathe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149A KR20210001149A KR1020190076787A KR20190076787A KR20210001149A KR 20210001149 A KR20210001149 A KR 20210001149A KR 1020190076787 A KR1020190076787 A KR 1020190076787A KR 20190076787 A KR20190076787 A KR 20190076787A KR 20210001149 A KR20210001149 A KR 202100011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balloon
- drain
- catheter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0013 bile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232 gall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198 duodenu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45 bili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75—Gall blad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즙의 하방 이동 및 배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배액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배액홀이 천공된 배액관, 상기 배액관에 일체로 마련되되, 내부의 유로가 상기 배액관의 내부와 독립되고 내부의 유로를 외부와 소통하게 외측부에 배출홀이 천공된 풍선 연결관 및 상기 배액관의 외측부를 감싸게 마련되되, 상기 배출홀을 밀봉하는 풍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선 연결관의 내부 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풍선부로 제공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풍선부가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for drainage that can facilitate the downward movement and drainage of bi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rain pipe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perforated and the drain pipe, the inner flow path is independent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and a balloon connection with a discharge hole perforated on the outside to communicate the inside flow path with the outside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ortion of the pipe and the drain pipe, and includes a balloon part sealing the discharge hole, and the balloon part is inflated by the fluid provided to the balloon part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moving to the inner flow path of the balloon connector It featur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액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담즙의 하방 이동 및 배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배액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for drain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heter for drainage capable of smoothly moving and draining bile downward.
일반적으로, 배액용 카테터(drainage catheter)는 인체 복강 내의 병변 부위로부터 농액과 같은 액체를 체외(體外)로 배출, 제거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의료 시술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간단히 드레이지(drainade)라 칭하거나 피그테일(pig-tail) 도관 등으로도 칭한다.In general, a drainage catheter is used as a medical procedure to relieve symptoms by discharging and removing liquids such as concentrated fluid from the lesion site in the abdominal cavity of the human body, and is simply called a drainage. Also referred to as a pigtail (pig-tail) conduit or the like.
이러한 배액용 카테터는 주로 경피적 배농술(Percutaneous Catherter Drainage, PCD), 경피 경간 담배액술 등에 사용되며, 대부분 담관 내의 병변 부위에 정체된 담즙이나 농액을 체외로 배출하는데 이용된다.These drainage catheters are mainly used for Percutaneous Catherter Drainage (PCD), percutaneous interstitial tobacco liquid surgery, and most of them are used to discharge stagnant bile or concentrated fluid from the lesion site in the bile duct.
참고로, 담관은 간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담즙(소화액)이나 간에서 생성, 분비된 후 담낭(즉, 쓸개)에 일시적으로 저장, 농축되었다가 배출되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이 들어오는 시점에서 십이지장 쪽으로 보내는 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간관, 담낭관, 총담관 따위로 이루어지고, 담도, 수담관, 쓸개관이라고도 칭한다.For reference, the bile ducts are bile (digestive fluid) produced and discharged from the liver or temporarily stored and concentrated in the gallbladder (i.e., gallbladder) after being produced and secreted by the liver,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time when food enters the duodenum toward the duodenum. It refers to the sending ducts as a whole, consisting of the liver duct, the gallbladder duct, and the general bile duct, and is also called the biliary tract, the hydrobiliary duct, and the gallbladder duct.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86108호에는 종래의 카테터 어셈블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6108 discloses a conventional catheter assembly.
종래의 배액용 카테터는, 원형으로 말려지는 피그테일(pig tail) 형상이면서 복수 개의 배액홀이 천공된 피그테일 형상 구간부를 갖는, 길면서 가늘고 유연한 관인 삽입용 튜브와, 이 삽입용 튜브의 후단에 결합되며 잠금 수단을 갖는 허브체와, 삽입용 튜브의 피그테일 형상 구간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삽입용 튜브의 내부 구멍을 통해 연장된 다음 허브체의 잠금 수단에 결합되는 세사(細絲)로 구성된다.Conventional drainage catheter has a pigtail shape that is rolled in a circular shape and has a pigtail-shaped section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perforated, a long, thin and flexible tube for insertion, an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tube. It is composed of a hub body that is coupled and has a locking means, and one end is fixed to the pigtail-shaped section of the insertion tube, extends through the inner hole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n is coupled to the locking means of the hub body. do.
그리고, 그 작용은, 피그테일 형상의 피그테일 형상 구간부가 일자로 펴진 상태로 인체 내의 담관으로 삽입되어 피그테일 형상 구간부가 담관 내의 병변 부위에 일치되도록 위치된 다음 시술자가 외부에 위치된 허브체 상의 잠금 수단을 조작하여 세사를 당기면 피그테일 형상 구간부가 피그테일 형상으로 되어 병변 부위로부터 이후 절대 빠지지 않게 됨과 아울러 병변 부위에 대해 복수 개의 배액홀이 집중 배치되어 담즙이나 농액을 원활히 유입받을 수 있게 되고, 해당 상태에서 유지됨에 따라 병변 부위의 담즙이나 농액이 피그테일 형상 구간부 상의 배액홀들을 통해 유입되어 삽입용 튜브 내부와 허브체 내부를 흐른 후 외부 배출되어 제거되며, 시술 종료 후 시술자는 잠금 수단을 풀어 피그테일 형상 구간부의 형상 변경이 자유롭도록 한 후 인체로부터 꺼내 제거한다.And, the action is that the pigtail-shaped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bile duct in the human body with the pigtail-shaped section unfolded, so that the pigtail-shaped section is positioned to match the lesion site in the bile duct, and then the operator is on the hub body located outside. When the fine thread is pulled by operating the locking means, the pigtail-shaped section becomes a pigtail shape, so that it will not be removed from the lesion site afterwards, and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re intensively arranged for the lesion site, so that bile or concentrate can be smoothly introduced, As it is maintained in the relevant state, bile or concentrated fluid in the lesion area is introduced through the drainage holes on the pigtail-shaped section, flows inside the insertion tube and inside the hub body,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removed. Loosen it to make it free to change the shape of the pigtail-shaped section, then remove it from the human body.
덧붙여, 허브체의 후단에 대해서는 배출되는 액체를 저장받기 위한 배액 저장 백(또는, 용기)이나 액체를 강제흡입하기 위한 실린지가 결합되어 사용되며, 또한 초기에 유연한 삽입용 튜브를 견고한 일자 형태로 만들어 인체 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삽입용 튜브 내에 삽입하는 유도 철심(guide wire)이 그 허브체를 통해 외부로부터 삽입된다.In ad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hub body, a drainage storage bag (or container) for storing the discharged liquid or a syringe for forced suction of the liquid is used in combination, and the flexible insertion tube is initially made into a solid straight shape. A guide wi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for insertion into the human body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ub body.
한편, 인체 내의 담관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빈번하게 폐색되거나 협착되어 막힘으로써 담즙 유통이 차단되어 담즙이 십이지장 쪽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이 다발된다.Meanwhile, some or all of the bile ducts in the human body are frequently obstructed or constricted to block the circulation of bile, and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bile cannot be discharged toward the duodenum.
따라서, 이러한 담관 폐쇄증이나 협착증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해당 협착된 부분의 담관을 확장하여 내부 통로를 소통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풍선 확장술이나 스텐트(stents) 삽입술을 실시한다.Therefore, when such a bile duct atresia or stenosis occurs, balloon dilatation or stent insertion is performed as a way to communicate the internal passage by expanding the bile duct of the constricted portion.
풍선 확장술은 풍선을 협착 부위로 삽입한 후 삽입된 풍선 내부로 외부로부터 공기와 같은 가압 유체를 집어넣어 팽창되도록 하고 그 팽창 상태가 일정 기간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협착 부위가 확장되도록 한 후, 풍선 내의 가압 유체를 빼내 풍선을 축소시킨 다음 외부로 꺼내는 시술법이다.Balloon dilatation is performed by inserting a balloon into the constriction area and then inserting a pressurized fluid such as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erted balloon so that the constriction area is expanded and the inflated stat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a procedure to reduce the balloon by draining the pressurized fluid and then take it out.
그리고, 스텐트 삽입술은 탄성력을 갖는 원통 형상의 그물망 구조체인 스텐트를 외력을 가해 압축시킨 상태로 별도의 푸셔 등을 이용하여 인체 내의 협착 부위로 삽입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어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협착 부위를 외측으로 밀어서 확장시키고, 그 상태로 일정 기간 유지시켜 협착 부위가 원활히 확장되도록 한 후, 체외로 꺼내는 시술법이다.In addition, in stent insertion, a stent, which is a cylindrical mesh structure having elastic force, is compress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is inserted into a constricted area in the human body using a separate pusher, and then expanded outward by its own elastic force. It is a procedure in which the constricted area is expanded by pushing it outward while restoring to its original shape, and maintained in that state for a certain period so that the constricted area is smoothly expanded and then taken out of the body.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담관 내에 협착이나 폐색이 발생되면, 막힌 윗 부분에는 담즙이나 농액이 정체되며, 따라서 종래에는 확장술과 배액술을 각기 별도로 실시해야 함에 따라 시술이 복잡하고 난이하며, 비용과 시간 소요를 과다하게 야기하고, 시술의 안전성도 저해하며, 여러 종류의 시술 기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most cases, when a stricture or obstruction occurs in the bile duct, bile or thick fluid is stagnant in the upper part of the blockage, and thus,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and costs and time consuming as the conventional dilation and drainage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There are problems such as excessive causes, impairing the safety of the procedure, and causing the hassle of preparing various types of surgical instru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담관의 협착부위를 부가적인 시술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확장할 수 있는 배액용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theter for drainage that can expand the constricted portion of the bile duct without using additional surgical too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는 복수 개의 배액홀이 천공된 배액관, 상기 배액관에 일체로 마련되되, 내부의 유로가 상기 배액관의 내부와 독립되고 내부의 유로를 외부와 소통하게 외측부에 배출홀이 천공된 풍선 연결관 및 상기 배액관의 외측부를 감싸게 마련되되, 상기 배출홀을 밀봉하는 풍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선 연결관의 내부 유로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풍선부로 제공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풍선부가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ag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a drainage tube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perforated therein, and the drainage tube, wherein the inner channel is independent from the inside of the drainage tube, and the inner channel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at the outer side. The discharge hole is provided to surround the perforated balloon connection pipe and the outer part of the drain pipe, including a balloon part sealing the discharge hole, and the fluid provided to the balloon part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moving to the inner flow path of the balloon connection pip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oon is inflated by.
상기 배액관은 내부에 상기 배액홀과 연통하는 배액 유로를 형성하고, 일측단부에 상기 배액 유로와 연통하는 배액 시린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pipe may form a drain passage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hole, and may include a drain syringe connec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assage at one end thereof.
상기 배액관은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일 수 있다.The drainage pipe may be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풍선 연결관은 상기 배액관의 외측 둘레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풍선관 시린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oon connection pipe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ain pipe, and may include a balloon pipe syringe connec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at an end thereof.
상기 풍선부는 상기 배액관의 둘레 길이중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액홀은 상기 배액관에서 상기 풍선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The ballo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drain pipe, and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may b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rain pipe with respect to the balloon part.
상기 풍선 연결관은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일 수 있다.The balloon connector may be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풍선부는 고무, 실리콘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일 수 있다.The balloon part may be made of any one or more of rubber, silicone, and synthetic resin.
본 발명에 따르면, 배액관에 마련된 풍선부를 팽창하여 담관의 협착부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xpanding the constricted portion of the bile duct by inflating the balloon provided in the drainage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배액관에 마련된 풍선부를 기준으로 배액관의 양측에 배액홀이 배치되도록 배액홀을 추가하여 담관에서 협착부위를 기준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담즙이나 농액을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age hole is added so that drainage ho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rainage tube based on the balloon part provided in the drainage tube, so that the bile duct can smoothly inflow bile or concentrated liquid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based on the stricture area.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풍선 연결관은 배액관의 외측 둘레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풍선부에 유체를 제공함에 따라 배액관의 크기 변화를 극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connector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ain tube to provide fluid to the balloon, thereby minimizing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drain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의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를 담관 내에 삽입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ross-sec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ile du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의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의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ross-sectional view,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는 복수 개의 배액홀(110)이 천공된 배액관(100), 상기 배액관(100)에 일체로 마련되되, 내부의 유로(211)가 상기 배액관(100)의 내부와 독립되고 내부의 유로(211)를 외부와 소통하게 외측부에 배출홀(210)이 천공된 풍선 연결관(200) 및 상기 배액관(100)의 외측부를 감싸게 마련되되, 상기 배출홀(210)을 밀봉하는 풍선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풍선 연결관(200)의 내부 유로(211)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홀(210)을 통해 상기 풍선부(300)로 제공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풍선부(300)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the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배액관(100)은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의 튜브(tube) 형상일 수 있고, 내부에 복수 개의 배액홀(110)과 연통하는 배액 유로(120)를 형성할 수 있다.The
배액관(100)의 일측 단부는 배액 유로(120)와 연통하는 배액 시린지 연결부(130)를 형성할 수 있고 배액관(100)의 타측 단부는 인체 내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잇도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배액 시린지 연결부(130)는 배액홀(110)을 통해 유입되는 담즙이나 농액을 배출하는 통로일 수 있고 또한 배액 시린지 연결부(130)에 허브(400)를 설치하여 배액관(100)의 타측 단부의 움직임 및 피크테일(pig tail) 형상으로의 변형을 조작할 수도 있다.The drainage
즉, 허브(400)는 배액 시린지 연결부(130)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배액되는 액체를 내부 이송하여 배출하고 외부에 잠금 수단(4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허브(400)는 시술 초기에 내부를 통해 유도 철심을 배액 시린지 연결부(130) 내로 원활히 삽입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400)의 개구된 단부에는 허브(400)의 개구된 단부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나 액체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실린지(미도시)나 개구된 단부를 막기 위한 마개(미도시)나 외부 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허브(400)의 잠금 수단(410)에는 세사(미도시)가 배액관(100)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사가 설치된 잠금 수단(410)을 일측으로 조작하여 세사를 당기면 배액관(100)의 타측 단부를 피그테일(pig tail) 형상으로 말리게 형성할 수 있고, 타측으로 조작하여 세사를 풀면 배액관(100)의 타측 단부를 자유롭게 형상 변경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풍선 연결관(200)은 배액관(100)과 동일한 소재인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액관(100)의 외측 둘레부 일측에 배액관(100)과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에 내부의 유로(211)와 연통하는 풍선관 시린지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풍선 연결관(200)이 배액관(100)의 외측 둘레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풍선 연결관(200)에 의해 배액관(100)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극소화할 수 있어 배액관(100)을 인체 내의 담관에 삽입하는 등의 시술을 하는데 방해 및 어려움 등을 주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풍선관 시린지 연결부(220)에는 공기 및 물 등과 같은 가압 유체를 제공하는 가압 유체 제공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가압 유체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가압 유체는 풍선 연결관(200)의 내부 유로(211)를 따라 이동하여 배출홀(210)로 배출 될 수 있다.A pressurized fluid providing unit (not shown) that provides pressurized fluid such as air and water may be connected to the balloon tube
풍선부(300)는 고무, 실리콘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홀(210)을 밀봉하게 형성되어 배출홀(210)로부터 배출되는 가압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부풀어 오를 수 있다.The
풍선부(300)는 배액관(100)과 별개로 형성되어, 배액관(1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를 감싸게 배액관(100)에 결합되는데, 배액관(100)의 길이 중에 위치하여 풍선 연결관(200)에서 배출홀(210)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며 감싸게 결합될 수 있다.The
한편, 배액관(100)에 천공된 복수 개의 배액홀(210)은 배액관(100)에서 풍선부(30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를 담관 내에 삽입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ile duc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배액홀(210)은 배액관(100)을 인체 내의 담관(B)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담관(B) 내의 협착 부위(S)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의 담즙이나 농액을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배액관(100)의 길이 중에 위치한 풍선부(300)의 양측인 배액관(100)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에 각각 복수 개의 배액홀(210)을 형성하여 배액홀(210)이 담관(B) 내의 협착 부위(S)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배액관(100)을 담관(B)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풍선부(300)는 협착 부위(S)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풍선부(300)에 가압 유체를 주입하여 풍선부(300)를 부풀어 오르게 하면 풍선부(300)의 팽창력에 의해 담관(B) 내의 협착 부위(S)를 인위적으로 확장시켜 담즙이나 농액의 하방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액관에 마련된 풍선부를 팽창하여 담관의 협착부위를 확장하여 담즙이나 농액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flating the balloon portion provided in the drainage pipe to expand the constricted portion of the bile duct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bile or concentr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액관에 마련된 풍선부를 기준으로 배액관의 양측에 배액홀이 배치되도록 배액홀을 추가하여 담관에서 협착부위를 기준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담즙이나 농액을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age hole is added so that drainage ho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rainage tube based on the balloon part provided in the drainage tube, so that bile or thickener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ile duct can be smoothly introduced.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풍선 연결관은 배액관의 외측 둘레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풍선부에 유체를 제공함에 따라 배액관의 크기 변화를 극소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connector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ain tube to provide fluid to the balloon, thereby minimizing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drain tub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액용 카테터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atheter for drai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배액관
110: 배액홀
120: 배액 유로
130: 배액 시린지 연결부
200: 풍선 연결관
210: 배출홀
211: 유로
220: 연결부
300: 풍선부100: drainage tube
110: drainage hole
120: double euro
130: drain syringe connection
200: balloon connector
210: discharge hole
211: Euro
220: connection
300: balloon part
Claims (7)
상기 배액관(100)에 일체로 마련되되, 내부의 유로(211)가 상기 배액관(100)의 내부와 독립되고 내부의 유로(211)를 외부와 소통하게 외측부에 배출홀(210)이 천공된 풍선 연결관(200); 및
상기 배액관(100)의 외측부를 감싸게 마련되되, 상기 배출홀(210)을 밀봉하는 풍선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풍선 연결관(200)의 내부 유로(211)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홀(210)을 통해 상기 풍선부(300)로 제공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풍선부(300)가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용 카테터.A drain pipe 100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0 perforated;
A balloon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rainage pipe 100, wherein the inner flow path 211 is independent from the inside of the drainage pipe 100, and the discharge hole 210 is perforated on the outside to communicate the internal flow path 211 with the outside A connector 200; And
Doedo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ortion of the drain pipe 100, the balloon portion 300 for sealing the discharge hole 210; Including,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oon part 300 is inflated by the fluid provided to the balloon part 30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0 by moving to the inner flow path 211 of the balloon connector 200 Dragon catheter.
상기 배액관(100)은 내부에 상기 배액홀(110)과 연통하는 배액 유로(120)를 형성하고, 일측단부에 상기 배액 유로(120)와 연통하는 배액 시린지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용 카테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ipe 100 forms a drain passage 120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hole 110 therein, and includes a drain syringe connecting portion 130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assage 120 at one end thereof. Catheter for drainage.
상기 배액관(100)은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용 카테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age pipe 100 is a catheter for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풍선 연결관(200)은 상기 배액관(100)의 외측 둘레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유로(211)와 연통하는 풍선관 시린지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용 카테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oon connector 20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ainage tube 100, and includes a balloon tube syringe connection 220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211 at an end thereof. Catheter.
상기 풍선부(300)는 상기 배액관(100)의 둘레 길이중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액홀(110)은 상기 배액관(100)에서 상기 풍선부(30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배액용 카테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oon part 300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drain pipe 100, and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110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rain pipe 100 with respect to the balloon part 300 A catheter for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풍선 연결관(200)은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용 카테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oon connector 200 is a drainage cath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풍선부(300)는 고무, 실리콘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용 카테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oon part 300 is a catheter for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rubber, silicone and synthetic resi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6787A KR20210001149A (en) | 2019-06-27 | 2019-06-27 | Drainage cathe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6787A KR20210001149A (en) | 2019-06-27 | 2019-06-27 | Drainage cathe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1149A true KR20210001149A (en) | 2021-01-06 |
Family
ID=7412829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76787A Ceased KR20210001149A (en) | 2019-06-27 | 2019-06-27 | Drainage cathe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001149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07639A (en) | 2021-07-06 | 2023-01-13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Double tube catheter |
| CN116350919A (en) * | 2023-03-23 | 2023-06-30 | 南通大学 | A suture-free degradable neck drainage tube |
| KR20240116247A (en) * | 2023-01-20 | 2024-07-2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
-
2019
- 2019-06-27 KR KR1020190076787A patent/KR2021000114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07639A (en) | 2021-07-06 | 2023-01-13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Double tube catheter |
| KR20240116247A (en) * | 2023-01-20 | 2024-07-2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
| CN116350919A (en) * | 2023-03-23 | 2023-06-30 | 南通大学 | A suture-free degradable neck drainage tub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641676B1 (en) | Introducer for uterine tamponade assembly | |
| US6558350B1 (en) | Drainage catheter | |
| EP1601313B1 (en) | Uretral stent and related methods | |
| US5314443A (en) | Prostate balloon dilatation catheter | |
| JP5438025B2 (en) | Two-part extraction balloon | |
| US20070185567A1 (en) | Catheter system with stent device for connecting adjacent blood vessels | |
| US9839543B2 (en) | Multi-stage balloon catheter | |
| US10112035B2 (en) | Catheter with vessel lining and methods for using same | |
| CN105120798A (en) |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device with integral embolic filter | |
| US20190240448A1 (en) | Drainage and anchoring system for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 |
| KR20210001149A (en) | Drainage catheter | |
| US10617851B2 (en) | Medical catheter system | |
| US9326790B2 (en) | Catheter with vessel lining and methods for using same | |
| WO2006071707A1 (en) | Inflatable biliary stent | |
| CA2832825A1 (en) | Balloon catheter having purge hole | |
| JP2024524950A (en) | Medical devices including balloon modules | |
| EP121095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micro-invasive surgical procedures, and guide catheter and valve unit for a device for use in micro-invasive surgical procedures | |
| KR101528418B1 (en) | Intubation tube | |
| KR20230026172A (en) | Balloon urethral catheter | |
| US7682371B2 (en) | Device with actuatable fluid-column occluder for prevention of embolization | |
| KR20190036679A (en) | Indwelling catheter | |
| KR20110001551U (en) | Drainage catherter with extendable balloon | |
| US943376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yeloplasty internal-external stent | |
| JP6199473B1 (en) | Stent kit | |
| KR200411754Y1 (en) | Catheter for Revascularization in Acute Occlusion of Internal Carotid Arter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