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4014A - Disposable container - Google Patents

Disposabl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014A
KR20210004014A KR1020190079742A KR20190079742A KR20210004014A KR 20210004014 A KR20210004014 A KR 20210004014A KR 1020190079742 A KR1020190079742 A KR 1020190079742A KR 20190079742 A KR20190079742 A KR 20190079742A KR 20210004014 A KR20210004014 A KR 20210004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folding
sub
fold lin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102019007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014A/en
Publication of KR20210004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014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접이 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가 개시된다. 상기 일회용 용기는 4개의 측벽을 가지되, 4개의 측벽이 순차적으로 '-'자, 'X'자, '-'자 및 'X'자 접이선을 갖는다.A disposable container having a folding structure is disclosed. The disposable container has four sidewalls, and the four sidewalls sequentially have'-','X','-' and'X' folding lines.

Description

일회용 용기{DISPOSABLE CONTAINER}Disposable container {DISPOSABLE CONTAINER}

본 발명은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기가 제공하는 수용 공간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시에 접이 구조를 펼쳐서 사용함으로써 보관시에 감소된 부피를 유지할 수 있는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fo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volume of the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by the container, and the folding structure is unfolded and used during use, thereby maintaining a reduced volume during storage. It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folding structure.

일회용품이란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는 개념의 물품을 의미한다.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로 인해 생활의 편리성이 중요시되면서 일회용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그릇, 용기 등도 일회용품의 한 예가 될 수 있다.Disposable products mean items that are discarded after being used onc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national income, convenience of life is important, and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is increasing. Bowls and containers used in everyday life can also be examples of disposable items.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용기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컵라면, 컵밥 등의 간편 조리식이 수용된 용기를 들 수 있다. 일회용 용기 내에 음식물이 수용된 형태의 물품, 즉 인스턴트 식품은 그 내부에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냉동 또는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로 포장되고, 사용자가 온수를 부어 섭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스턴트 식품은 단시간에 손쉽게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보존도 간단하며 수송과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여행, 등산, 트레킹 등의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 조리가 용이하게 수송과 휴대가 편리한 인스턴트 식품을 지참하기도 한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disposable container used in daily life, a container in which simple cooking meals such as cup noodles and cup rice are accommodated may be mentioned. An article in a form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in a disposable container, that is, an instant food, is packaged in a state in which food in a frozen or dried state is accommodated so that food can be conveniently cooked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pour hot water and consume. Instant food can be easily cooked in a short time, storage or preservation is simple, and transportation and portability are convenient. Accordingly, in the case of outdoor activities such as travel, mountain climbing, and trekking, convenience foods that are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portability for cooking are sometimes brought with them.

그러나 종래의 인스턴트 식품은 온수 등을 부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가 내부 음식물의 부피에 비해 과다하게 큰 부피를 갖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인스턴트 식품이 상대적으로 휴대가 편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더라도 일회용기가 갖는 큰 부피는 여전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개량의 여지가 충분히 존재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stant food, since it is common to cook food by pouring hot water, the disposable container has an excessively large volume compared to the volume of the internal food. That is, even if the conventional instant food is known to be relatively portable, the large volume of the disposable device still remains a problem, and there is ample room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일회용 용기가 갖는 문제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간편 조리식품의 완전한 조리 및 섭취를 위해서는 용기가 충분한 내부 수용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내부의 간편 조리식품이 냉동 또는 건조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는 내부 음식물의 부피에 비해 지나치게 큰 수용 공간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회용 용기의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다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me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disposable container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for the complete cooking and consumption of simple cooked food, the container needs to provide a sufficient internal storage space, but because the simple cooked food inside is frozen or dried and stored, the disposable container accommodates too large a volume of the internal food They have space. Therefore, if the volume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disposable container can be varied,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한편, 일회용 용기는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제품 가격이 상업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용기를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음식물 자체의 가격이 높지 않기 때문에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disposable containers are discarded after being used once, manufacturing cost and product price can act as very important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In particular, when a disposable container is used for a purpose of accommodating food,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disposable container that can be provided at a lower cost because the price of the food itself is not high.

이에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이 구조를 가지고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가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효율적인 접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이 절감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 folding structure and having a variable volume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n addition, a container having a folding structure is integrally formed to provide an efficient folding container and reduced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전개지(展開紙)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ployment paper (展開紙) capable of manufacturing a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최초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서브 측벽을 형성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상기 접이부는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과 인접하여 맞닿은 제2 서브 측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각각 사각형이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각각 접이선을 갖는다.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container body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forming a main side wall; And a folding pa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maintaining an unfolded state in an initial state, and forming a sub sidewall, wherein the folding part is a first sub sidewall and a second sub adjacent to the first sub sidewall. A plurality of sub-sidewalls including sidewalls are included, the first sub-sidewalls and the second sub-sidewalls are each square, and the first sub-sidewalls and the second sub-sidewalls each have fold lines.

또, 상기 제1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1-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1-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b-sidewall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the first-first fold line crossing the first sub-sidewall in a diagonal direction, the first sub-sidewall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first A 1-2 fold line crossing the sub sidewall in a diagonal direction and intersecting the 1-1 fold line, and a convex fold based on an outer surface, and the 1-1 fold line and the 1-2 fold line The first sub-sidewall is provided with a 1-3 fold line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point and crossing the first sub-side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b-sidewall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sub-sidewall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old line cros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1-3 fold line.

상기 복수의 서브 측벽은, 상기 제2 서브 측벽과 인접하여 맞닿고, 사각형인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과 인접하여 맞닿고, 사각형인 제4 서브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b-sidewalls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b-sidewalls, and a rectangular third sub-sidewall, and the third sub-sidewalls and the first sub-sidewal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may contain more.

또,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과 맞닿고,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사각형인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b-sidewall, the second sub-sidewall,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forming a bottom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과 대면할 수 있다.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respectively face the first sub-sidewall and the second sub-sidewall.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3-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3-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1 접이선과 상기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2 접이선과 맞닿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third sub-sidewall is concavely folded based on an outer surface, a 3-1 fold line crossing the third sub-sidewall in a diagonal direction, and is concavely folded based on an outer surface, and the third A 3-2 fold line that crosses the sub sidewall in a diagonal direction and intersects the 3-1 fold line, and is convexly folded based on an outer surface, and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A third fold line may be provided that passes through the intersection point, crosses the first sub side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buts the second fold line.

또,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4 서브 측벽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3-3 접이선 및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sub-sidewall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crosses the fourth sub-side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urth fold in contact with the 3-3 folding line and the 1-3 folding line Can have a lin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면은,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bottom surface may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may include a fifth folding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b-sidewall and the third sub-sidewall.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1)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제5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2)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The shortest distance (D 1 )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b sidewall to a point where the 1-1 fold line and the 1-2 fold line intersect is perpendicular to the fifth fold line of the bottom surface. It may be greater than half of the length in the direction D 2 .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면은,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6-1 접이선, 하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바닥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6-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 6-2 접이선, 및 하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6-1 접이선과 상기 제6-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서브 측벽 및 상기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bottom surface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 6-1 fold line crossing the bottom surface in a diagonal direction, the bottom surface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in a diagonal direction The 6-2 fold line crosses with the 6-1 fold line and is convexly folded based on the lower surface, and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6-1 fold line and the 6-2 fold line intersect. And a 6-3 fold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b sidewall and the third sub sidewall.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3)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제6-3 접이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4)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The shortest distance (D 3 )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b-sidewall to a point where the 1-1 fold line and the 1-2 fold line intersect is the 6-3 fold line of the bottom surface. It may be greater than half of the length D 4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ub-sidewall, the second sub-sidewall,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be made of paper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Here, the first sub-sidewall, the second sub-sidewall,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be processed to have non-flexible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하측변의 길이가 상측변의 길이 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은 모두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sub-sidewall, the second sub-sidewall,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each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a length of a lower side is smaller than a length of an upper side, and the first sub-sidewall, the second sub-sidewall, Both the third sub sidewall and the fourth sub sidewall may have the same shape.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have an inclination whose width decreases toward a lower side.

또,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원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은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has a circular shape in plan,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may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b sidewall, the second sub sidewall, the third sub sidewall, and the fourth sub sidewall. .

상기 용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4 메인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ain sidewall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ub-sidewall, a second main sidewall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sub-sidewall, a third main sidewall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hird sub-sidewall, And a fourth main sidewall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ourth sub sidewall.

또,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내측면은 각각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in sidewall, the second main sidewall, the third main sidewall,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ourth main sidewall respectively form a flat plan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is inclined to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lower side. Can have

또한,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사각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be a square in plan view.

상기 제1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상기 제2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2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상기 제3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3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하측변은 상기 제4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first main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b side wall,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main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b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of the third main side wall is the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b sidewall may be in contact, and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main sidewall may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fourth sub sidewall.

또,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은 각각 하측변의 길이가 상측변의 길이 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은 모두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in sidewall, the second main sidewall, the third main sidewall, and the fourth main sidewall each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a length of a lower side is smaller than a length of an upper side, and the first main sidewall and the second main sidewall The sidewall, the third main sidewall, and the fourth main sidewall may all have the same shape.

또한, 상기 제1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1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2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3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3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4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ub sidewall are the same as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main sidewall, respectively, and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ub sidewall are respectively the second main sidewalls.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wall are the same, and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sub sidewall are the same as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main sidewall, respectively, and the left side of the fourth sub sidewall And the slope of the right side may be the same as the slop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ourth main sidewall, respectively.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physical boundary.

또,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접이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olding portion.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를 보관 또는 폐기할 경우, 상기 제1 서브 측벽, 상기 제2 서브 측벽, 상기 제3 서브 측벽 및 상기 제4 서브 측벽이 구비한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져 상기 용기의 내부 수용 공간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storing or discarding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s folded along folding lines provided by the first sub-sidewall, the second sub-sidewall,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to accommodat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t can be configured to reduce space.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를 사용할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닥면의 하면 또는 변이 수평면에 맞닿아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is used, the contain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partially a lower surface or a side of the bottom surface contacts a horizontal surface to maintain a standing stat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 및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cover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body part and the folding part.

이 경우 상기 용기는 일회용 용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ainer may be a disposable contain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 및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와 마주보는 제3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 및 상기 제3 접이부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하는 제2 접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이부 및 상기 제3 접이부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이부와 마주보는 제4 접이부를 포함한다.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container body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forming a main side wall; A folding pa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maintaining a folded state in an initial state, and forming a bottom of the container; A container cover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contents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body part and the folding part, wherein the folding part is bent from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at least partially form a bottom of the container. Part, a third folding part that is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at least partially for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faces the first folding 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 second folding portion that is bent to at least partially for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is positioned to overlap below the first folding portion and the third folding portion, and is ben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t least partially It form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a fourth folding part overlapping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third folding part, and facing the second folding part.

상기 제1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1-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1-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1-1 접이선과 상기 제1-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1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fold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the first fold line crosses the first fold in a diagonal direction, the first fold is concavely folded bas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first fold is diagonally A point at which the 1-1 fold line crosses with the 1-1 fold line and is convexly folded based on the outer surface and crosses the 1-1 fold line and the 1-2 fold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fol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1-3 fold line crossing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olded state can be maintained in the initial state.

또, 상기 제2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2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3 접이선과 맞닿는 제2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olding portion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crossing the second folding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folding line in contact with the 1-3 folding line, which is folded in an initial state. You can keep the state.

상기 제3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 접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3-1 접이선과 교차하는 제3-2 접이선, 및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3-1 접이선과 상기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며, 상기 제3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third fold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a 3-1 fold line crossing the third fold in a diagonal direction, the third fold is concavely folded bas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third fold is in a diagonal direction The 3-2 fold line crosses the 3-1 fold line and is convexly folded bas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point at which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intersect It passes, and the third fold line is provided with a third fold line crossing the third fo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olded state can be maintained in the initial state.

또한, 상기 제4 접이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고, 상기 제4 접이부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3-3 접이선과 맞닿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하여,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folding portion is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crosses the fourth folding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fourth folding line in contact with the 3-3 folding line, and is folded in an initial state. You can keep the state.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고, 평면상 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ld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folding portion, the second folding portion, the third folding portion, and the fourth folding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이 경우 상기 접이부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는 겹쳐져 평면상 사각 형상을 형성하고,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가 형성하는 사각형의 크기는, 상기 바닥부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part is folded, the first folding part, the second folding part, the third folding part, and the fourth folding part overlap to form a square shape in plan view, and in a plan view, the first folding part The size of the square formed by the part, the second folding part, the third folding part, and the fourth folding part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bottom part.

상기 제2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2 접이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제4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4 접이부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old portion folded along the second fold line may be fixed in a folded state through an adhesive member, and the fourth fold portion folded along the fourth fold line may be fixed in a folded state through the adhesive member. hav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1 접이선, 상기 제1-2 접이선 및 상기 제1-3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1 접이부는 접착 부재 없이, 상기 제2 접이부와 상기 제4 접이부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folding portion folded along the 1-1 fold line, the 1-2 fold line, and the 1-3 fold line, without an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fold portion and the fourth fold portion. It can be fixed by the fixed state of the folding part.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1 접이선, 상기 제3-2 접이선 및 상기 제3-3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상기 제3 접이부는 접착 부재 없이, 상기 제2 접이부와 상기 제4 접이부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folding portion folded along the 3-1 fold line, the 3-2 fold line, and the 3-3 fold line, without an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fold portion and the fourth fold portion. It can be fixed by the fixed state of the folding part.

상기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접이부는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 본체부 및 상기 접이부는 각각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may be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respectively, and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may be processed to have non-flexible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have an inclination whose width decreases toward a lower side.

또,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원 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은 평면상 사각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plan,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may have a square shape in plan view.

상기 용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접이부와 맞닿은 하측변을 갖는 제4 메인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ortion, a first main side wall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first folding portion, a second main side wall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olding portion, a third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third folding portion It may include a main sidewall and a fourth main sidewall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fourth folding portion.

또, 상기 제1 메인 측벽, 상기 제2 메인 측벽, 상기 제3 메인 측벽 및 상기 제4 메인 측벽의 내측면은 각각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in sidewall, the second main sidewall, the third main sidewall,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ourth main sidewall respectively form a flat plan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is inclined to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lower side. Can have

또한,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은 평면상 사각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be a square in plan view.

상기 용기 본체부와 상기 접이부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접이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physical boundary, and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olding portion.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의 접이선들을 따라 펼치거나 접어 그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may be configured to be expanded or folded along fold lines of the first folding part, the second folding part, the third folding part, and the fourth folding part so that the volume of the receiving space therein is variable.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는, 접이 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로서,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1 접이부;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1 접이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갖는 제2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수평 접이선과 맞닿은 제2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2 접이부;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2 접이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갖는 제3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수평 접이선과 맞닿은 제3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3 접이부; 및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3 접이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갖는 제4 접이부로서, 상기 상측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3 수평 접이선과 맞닿은 제4 수평 접이선을 갖는, 제4 접이부를 포함한다.The deployment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other problems is a deployment paper for manufacturing a disposable container having a folding structure, as a first folding part having a trapezoidal shape having an upper side longer than a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A first folding portion having a first horizontal folding lin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A second folding portion having an upper side of a trapezoidal shape longer than a lower side and having a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olding portion,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upper side and a second horizontal folding line in contact with the first horizontal folding line. Having, a second folding portion; A third folding portion having an upper side of a trapezoid shape longer than that of a lower side and having a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upper side and a third horizontal folding line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rizontal folding line Having, a third fold; And a fourth folding portion having an upper side of a trapezoidal shape longer than that of the lower side and having a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third folding portion, the fourth horizontal folding line extending parallel to the upper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line. It includes a fourth folding portion having.

또, 상기 제1 수평 접이선과 상기 제3 수평 접이선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수평 접이선과 상기 제4 수평 접이선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and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are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based on one surface, and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and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are processed to be concavely folded based on the one surface. I can.

상기 제1 접이부는, 상기 제1 수평 접이선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며, 'X'자 형상인 X자 접이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olding part is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passing through the midpoint of the first horizontal folding line, and may further include an X-shaped folding line having an'X' shape.

또, 상기 제3 접이부는, 상기 제3 수평 접이선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며, 'X'자 형상인 X자 접이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folding portion is processed to pas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line, and is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and may further include an X-shaped folding line having an'X' shape.

여기서, 상기 제2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는 상기 수평 접이부 외 추가 접이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second folding part and the fourth folding part may not have an additional folding structure other than the horizontal folding part.

상기 제3 접이부의 하측변과 접하는 어느 변을 가지고, 정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3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fold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quare bottom portion having a sid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processed to be convexly or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an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ide of the third folding portion. It may have a fold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상기 제4 접이부의 하측변과 접하는 어느 변을 가지고, 정사각형인 바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4 접이부의 하측변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The fourth fold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quare bottom portion having a sid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thereof,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processed to be convexly or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and is horizontal with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folding portion. It may have a fold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상기 제1 접이부의 상측변, 상기 제2 접이부의 상측변, 상기 제3 접이부의 상측변 및 상기 제4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idewall portion in contact with an upper side of the first folding part, an upper side of the second folding part, an upper side of the third folding part, and an upper side of the fourth folding part.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측 가장자리는 활꼴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는 접이선을 갖지 않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n upper edge of the sidewall portion may form a bow shape, and the sidewall portion may not have a fold lin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는,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1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1 측벽부,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1 측벽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2 측벽부,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2 측벽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가지며, 상기 제3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3 측벽부, 및 상측변과 하측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이고, 상기 제3 측벽부의 우측변과 접하는 좌측변을 가지며, 상기 제4 접이부의 상측변과 접하는 하측변을 갖는 제4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ide wall portion has a quadrangular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parallel, the first side wall portion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olding porti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A second side wall portion having a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and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A third side wall portion having a left side in contact and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third folding portion, and a quadrangular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parallel, and a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third side wall portion, It may include a fourth sidewall portion having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ourth folding portion.

상기 제1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1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2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3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3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4 측벽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는 각각 상기 제4 접이부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다.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idewall part are the same as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idewall part are respectively left and right of the second folding part. Same as the slope of the side,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sidewall part are the same as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olding part, respectively, and the slop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urth sidewall part are respectively the fourth It may be the same as the slop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ld.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3 측벽부와 상기 제3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4 측벽부와 상기 제4 접이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The side where the first side wall part and the first fold part are in contact is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based on the one surface, and the side where the second side wall part and the second fold part are in contact is processed so that it is convexly folded based on the one surface. The third side wall part and the third folding part are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based on the one surface, and the fourth side wall part and the fourth folding part are convexly folded based on the one surface. It can be processed as much as possible.

또,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3 측벽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3 측벽부와 상기 제4 측벽부가 접하는 변은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de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is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and a sid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the third side wall portion is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The third side wall portion and the fourth side wall portion may be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상기 전개지는,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합판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ployment paper may be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lywood proces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physical boundaries.

또한, 상기 측벽부의 전개지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이부, 상기 제2 접이부, 상기 제3 접이부 및 상기 제4 접이부의 전개지 두께 보다 크도록 가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deployment paper of the sidewall portion may be process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eployment paper of the first folding part, the second folding part, the third folding part, and the fourth folding par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체형 접이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충분한 부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공간에 종래에 비해 많은 수량의 용기 내지는 인스턴트 식품을 적재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folding structure. The container has a minimum volume when the folding structure is folded, but can provide a sufficient volume when the folding structure is unfol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oad a large number of containers or instant foods in the same space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뿐만 아니라 용기가 기립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도,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 섭취용 일회용 용기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ithout a separate member for the container to stand up,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nding state by itself in a state where the folding structure is unfolded, so there is an advantage of very high utilization as a disposable container for food intak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illustrat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1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제2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도 4a의 제3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도 4a의 제4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7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제1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는 도 11a의 제2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d는 도 11a의 제3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e는 도 11a의 제4 접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f는 도 11a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of FIG. 1.
Figure 2b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of Figure 1;
4A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area for manufacturing the container of FIG. 1.
4B is a view showing the first folding part of FIG. 4A.
4C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folding part of FIG. 4A.
4D is a view showing the third folding part of FIG. 4A.
4E is a view showing the fourth folding part of FIG. 4A.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of FIG. 1 is partially unfold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of FIG. 1 is fully expand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of FIG. 7 is partially unfold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of FIG. 7 is fully expanded.
11A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area for manufacturing the container of FIG. 7.
11B is a view showing the first folding part of FIG. 11A.
11C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folding portion of FIG. 11A.
11D is a view showing the third folding part of FIG. 11A.
11E is a view showing a fourth folding part of FIG. 11A.
11F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FIG. 11A.
12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area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area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above','upper','on','below','beneath', and'lower' are As shown, it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one device or components and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the device when used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below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above' another element. Therefore, the exemplary term'below' may include both the lower and upper directions.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thickness, width, length, etc.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In addi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comprises' and/or'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로서, 접이 구조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저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folding structure. 2A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of FIG. 1. Figure 2b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of Figure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110) 및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접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몇몇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pen upper portion, and is folded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and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forming a main sidewall. It may include a folding portion 200 to maintain the state.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cover 300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내용물(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음식물, 생활용품, 폐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음식물은 라면, 건조 스프, 액상 스프, 만두, 건조밥, 시리얼 등의 냉동 또는 건조 가공된 간편 조리 식품, 조리되어 포장된 레토르트 식품 또는 미조리 상태의 간편 조리 식품 등일 수 있고,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10)는 일회용 용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contents (not shown)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and the folding portion 200. The contents may include food, household goods, waste, and the like. For a specific example, the food may be frozen or dried simple cooked food such as instant noodles, dried soup, liquid soup, dumplings, dried rice, cereal, etc., cooked and packaged retort food, or simple cooked food in an uncooked state, The container 10 containing food may be a disposable container. However,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는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는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판 공정 등을 통해 충분한 두께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용기(10)는 접이 구조가 펼쳐지며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이 구조를 제외하고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 자체가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하여 용기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and the folding portion 200 may be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and the folding portion 200 may be processed to have a non-flexible characteristic. For example, it may be processed to have sufficient thickness, strength, and rigidity through a plywood process or the lik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ainer 10 has a folding structure and may be deforme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n this case, except for the folding structure,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and the folding portion 200 itself may have a non-flexible characteristic so that the container can stand on its own in the unfolded state.

용기 본체부(110)는 최초 상태에서 용기(10)가 내부의 내용물(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부(110)의 내측면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110)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용기 본체부(110)의 내측면은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art 110 may form a side wall in which the container 10 can accommodate the contents (not shown) inside the container 10 in an initial stat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may form a curved surface.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may have an inclination so that the width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may have a downward slope.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은 평면상 원 형상일 수 있다.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에는 확장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용기 본체부(110)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용기(10)의 상단을 이루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장함으로써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 본체부(110)의 수평 방향으로의 형상을 고정하고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구강이 용기(10), 즉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에 접촉하는 경우에 음식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0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plan view. An extension 115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0. Even if the container body 110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the thickness can be increased by partially expanding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10, and through this,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ixed and the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intake of food when the user's oral cavity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 that is,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또,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은 평면상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은 각을 갖지 않는 형상인 반면 하단으로 갈수록 각을 갖도록 변형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은 평면상 대략 사각 형상이되, 4개의 각 변이 미약한 활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4개의 각 변이 미약한 활꼴을 갖는 형상은 사각 형상인 경우의 균등한 변형에 속함을 통상의 기술자는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0 may have a shape that does not have an angle, but may have a shape that is deformed to have an angle toward the lower end. More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but each of the four sides may have a weak bow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shape in which each of the four sides has a weak arc belongs to an equal deformation in the case of a square shape.

용기 본체부(110)의 하측에 배치된 접이부(200)는 평면상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즉, 접이부(200)는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4개의 각 변이 미약한 활꼴을 갖는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접이부(200)는 접이 구조를 가지고 그 형상이 펼쳐지거나 접어질 수 있다. 도 1 등의 실시예에서는 접이부(200)가 완전히 접어진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folding part 200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body part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That is, the folding part 2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110,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which each of the four sides has a weak bow. The folding part 200 has a folding structure and can be unfolded or folded in shape. In the embodiment of FIG. 1 and the like,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part 200 is completely fol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용기(10)가 접어진 상태, 즉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접이부(200)는 용기(1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이부(200)는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10 is fold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volume of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s minimized, the folding part 200 may for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olding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folding part 210, a second folding part 220, a third folding part 230, and a fourth folding part 240.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용기 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용기(1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10)의 바닥을 형성하여 바닥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are each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Can be bent. Through this,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each at least partially for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Can contribute to forming part.

평면 시점에서,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대략 삼각형으로 시인되도록 접어진 상태일 수 있다. 제1 접이부(210)와 제3 접이부(230)는 서로 마주보고, 제2 접이부(220)와 제4 접이부(24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접이부(220) 및 제4 접이부(240)는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 보다 하측에 겹쳐져 위치할 수 있다.In a plan view,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may be folded to be visually recogniz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respectively. The first folding part 210 and the third folding part 230 may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2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may face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folding part 22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may be positioned to be overlapped below the first folding part 210 and the third folding part 230.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각각 접이 구조, 구체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한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의 접이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등과 함께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may each have a folding structure, specifically, a convex or concave folding line.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may be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from the initial state.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like.

또, 접이부(200)는 바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5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용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의 실질적인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닥부(250)는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와 맞닿아 변을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art 250. The bottom portion 250 may be a portion that forms a substantially bottom of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fully unfold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ttom part 250 may contact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to share a side.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에서의 용기(10)를 하측에서 바라볼 경우,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는 대략 사각 형상이고, 바닥부(250) 또한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시점에서, 제1 접이부(210), 제2 접이부(220), 제3 접이부(230) 및 제4 접이부(240)가 형성하는 사각형의 크기는 바닥부(250)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용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용기의 폭과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의 내측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중력 방향으로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용기(10)가 접이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경사진 측벽을 구비하여 중력 방향으로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고 별도의 지지 부재 없이도 스스로 기립 가능할 수 있다.When viewing the container 10 in the folded state from the bottom,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Is an approximately square shape, and the bottom portion 250 may also have an approximately square shape. In this case, in a plan view, the size of the square formed by the first folding part 210, the second folding part 220, the third folding part 2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is the bottom part 250 Can be larger than the size of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ontainer is fully unfolde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y have a downwardly inclined shape so that the width and size of the container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By configur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 be inclined downward, the strength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increased. That is, although the container 10 has a folding structure, it may have an inclined sidewall to increase its strength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may be able to stand by itself without a separate support member.

몇몇 실시예에서,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제2 접이부(220)는 접착 부재(400)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제4 접이부(240)는 접착 부재(400)를 통해 접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접이선을 따라 접어진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는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제2 접이부(220)와 제4 접이부(240)의 고정 상태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접이부(200)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2 접이부(220) 및 제4 접이부(240)가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에 비해 하측에 겹쳐서 위치하기 때문에, 제2 접이부(220) 및 제4 접이부(240)를 고정하는 것 만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접이부(210) 및 제3 접이부(23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가 용기(10)의 접이 구조를 펼칠 때까지 접착 부재(400)는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olded state of the second folding part 220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may be fixed through the adhesive member 400. In addition, the fourth folding part 240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may be fixed in a folded state through the adhesive member 400.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olding part 210 and the third folding part 230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are fixed by the second folding part 22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mber. You can keep it fixed. That is, when the folding part 200 is folded, the second folding part 22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overlap the first folding part 210 and the third folding part 230 so as to be positioned. Therefore, only by fixing the second folding part 22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 the first folding part 210 and the third folding part 23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In the future, until the user unfolds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10, the adhesive member 400 may maintain the folded structure.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 부재(400)가 접착 테이프 등의 형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부재(400)는 접착제 등일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 400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n adhesive t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dhesive member 400 may be an adhesive or the like.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의 접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1 접이부(2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제2 접이부(22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도 4a의 제3 접이부(23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도 4a의 제4 접이부(240a)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전개지 도면에 있어서 1점쇄선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선을, 2점쇄선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선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4A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area for manufacturing the container of FIG. 1. 4B is a view showing the first folding part 210a of FIG. 4A. 4C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folding portion 220a of FIG. 4A. 4D is a view showing the third folding part 230a of FIG. 4A. 4E is a view showing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of FIG. 4A. Hereinafter, in the drawing of the development sheet, a dashed-dotted line indicates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ide, and a dashed-dotted line indicates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based on one side.

도 4를 더 참조하면,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展開紙)(10a)는 측벽부(110a),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를 포함하고, 바닥부(2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4, the deployment paper 10a for manufacturing a disposable container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110a, a first folding part 210a, a second folding part 220a, and a third folding part (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ortion 240a, and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ortion 250a.

측벽부(110a)는 도 1 등의 용기 본체부(110)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측벽부(110a)는 제1 접이부(210a)의 상측변, 제2 접이부(220a)의 상측변, 제3 접이부(230a)의 상측변 및 제4 접이부(240a)의 상측변과 접하며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벽부(110a)의 상측 가장자리는 활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장자리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선 형태의 가장자리는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롤링되어 용기 본체부(110)의 확장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측벽부(110a)는 접이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을 수 있다.The sidewall portion 110a may be a portion forming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of FIG. 1. The sidewall portion 110a includes an upper side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an upper side of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an upper side of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an upper side of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You can touch and share any sid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pper edge of the sidewall portion 110a may form a bow shape. That is, the edge may have a curved shape. The curved edge may be partially rolled outward to form an extended portion 115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sidewall portion 110a may not substantially have a folding structure.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접이 구조를 가지고, 이들은 함께 도 1 등의 접이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실질적으로 사각형, 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상측변이 미약한 활꼴 형상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용기(10)의 용기 본체부(110)의 상단이 각을 갖지 않는 형상인 반면 하단으로 갈수록 각을 갖도록 변형되는 형상이기 때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의 상측변이 미약한 활꼴을 갖는 형상은 이들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의 균등한 변형에 속함을 통상의 기술자는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의 형상을 사다리꼴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each have a folding structure, and they together form the folding part 200 of FIG. Can be formed. Each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 trapezoidal shape.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weak upper side. This may be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10 does not have an angle, while the shape is deformed to have an angle toward the lower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have a weak bow shape when they are trapezoida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it belongs to the equivalent variation of.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hape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상측변(활꼴 변)과 하측변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좌측변과 우측변이 경사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좌측변과 우측변의 경사가 동일한 정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have an upper side (sect side) and a lower side, respectively, and are substantially parallel. ,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having an inclination. For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have a square trapezoidal shape with the same inclina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 can.

제1 접이부(210a)의 우측변은 제2 접이부(220a)의 좌측변과 인접하여 맞닿을 수 있다. 즉, 제1 접이부(210a)와 제2 접이부(220a)는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 또, 제2 접이부(220a)의 우측변은 제3 접이부(230a)의 좌측변과 인접하여 맞닿을 수 있다. 즉, 제2 접이부(220a)와 제3 접이부(230a)는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3 접이부(230a)의 우측변은 제4 접이부(240a)의 좌측변과 인접하여 맞닿을 수 있다. 즉, 제3 접이부(230a)와 제4 접이부(240a)는 어느 변을 공유할 수 있다.The right side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may be adjacent to and abutted with the left side of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at is, the first folding part 210a and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may share any side. Further,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220a may be adjacent to and abutted with the left side of the third folding portion 230a. That is,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and the third folding part 230a may share any side. In additi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folding part 230a may be adjacent to and abutted with the left side of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That is,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may share any side.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각각 수평 방향의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이부(21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접이선(511)을 가지고, 제2 접이부(22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접이선(521)을 가지며, 제3 접이부(23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수평 접이선(531)을 가지고, 제4 접이부(24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수평 접이선(541)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may have a folding l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folding portion 210a has a first horizontal folding line 51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upper side (or lower side) thereof,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220a has an upper side (or A second horizontal fold line 52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ide), and the third fold portion 230a is a third horizontal fold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thereof ( With 531),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may have a fourth horizontal folding line 54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thereof.

제1 수평 접이선(511)과 제2 수평 접이선(521)은 서로 맞닿고, 제2 수평 접이선(521)과 제3 수평 접이선(531)은 서로 맞닿으며, 제3 수평 접이선(531)과 제4 수평 접이선(541)은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수평 접이선(511)과 제3 수평 접이선(531)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제2 수평 접이선(521)과 제4 수평 접이선(54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가공은 종이 합판 등의 찍힘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이선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면 무방하다.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511 and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521 abut each other,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521 and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531 abut each other, and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 The 531 and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541 may contact each other.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511 and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531 are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on one surface, and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521 and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 The 541 may be processed to be concavely folded on one side. The processing may include a stamping process such as paper plywood, et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olding line may be configured to be convex or concave folded.

또, 제1 접이부(210a)는 제1 수평 접이선(51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512, 5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제3 접이부(230a)는 제1 접이부(210a)와 마찬가지로, 제3 수평 접이선(53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532, 5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이부(210a) 및 제3 접이부(230a)는 볼록하게 접어지도록 구성된 접이선과 오목하게 접어지도록 구성된 접이선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제2 접이부(220a) 및 제4 접이부(240a)는 수평 접이부 외 추가적인 접이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olding portion 210a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first horizontal folding line 511, and is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of the'X'-shaped'X'-shaped folding lines 512 and 513. )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he third folding part 230a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line 531, similar to the first folding part 210a, and has a'X' shape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X'-shaped folding lines 532 and 533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ly, the first folding part 210a and the third folding part 230a may have both a folding line configured to be convexly folded and a folding line configured to be concave folded.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may not have an additional folding structure other than the horizontal folding part.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이부(210a)의 상측변으로부터 제1 수평 접이선(511)까지의 최소 거리는 제1 접이부(210a)의 하측변으로부터 제1 수평 접이선(511)까지의 최소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는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의 약 1.3배, 또는 약 1.4배, 또는 약 1.5배, 또는 약 1.6배, 또는 약 1.7배, 또는 약 1.8배, 또는 약 1.9배 또는 약 2.0배일 수 있다. 만일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가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의 1.3배 미만일 경우, 안정적인 접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접이부(210a)의 세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의 수용 공간의 부피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가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 초과일 경우 용기(1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강건한 구조를 갖지 못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old portion 210a to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511 is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old portion 210a to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511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For example, the minimum distance to the upper side is about 1.3 times, or about 1.4 times, or about 1.5 times, or about 1.6 times, or about 1.7 times, or about 1.8 times, or about 1.9 times the minimum distance to the lower side. Or it may be about 2.0 times. If the minimum distance to the upper side is less than 1.3 times the minimum distance to the lower side,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cannot be sufficiently secured in order to form a stable folding structure. Therefore, the difference in volum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may not be lar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nimum distance to the upper side is more than twice the minimum distance to the lower side, the container 10 may not have a structure that is robust enough to maintain a standing state by itself in the unfolded state.

마찬가지로, 제2 접이부(220a)의 제2 수평 접이선(521), 제3 접이부(230a)의 제3 수평 접이선(531) 및 제4 접이부(240a)의 제4 수평 접이선(541)은 그 상측변까지의 최소 거리가 하측변까지의 최소 거리 보다 크도록 위치할 수 있다. Similarly,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521 of the second fold portion 220a,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531 of the third fold portion 230a, and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of the fourth fold portion 240a ( 541)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minimum distance to the upper side thereof is greater than the minimum distance to the lower side.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10a)를 조립하여 용기(10)를 제조할 경우, 용기는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제1 수평 접이선(511), 제2 수평 접이선(521), 제3 수평 접이선(531) 및 제4 수평 접이선(541)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4 수평 접이선(541)과 제1 수평 접이선(511)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manufacturing the container 10 by assembling the deployment paper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in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olume of the receiving space therein is variable. 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511,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521,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531, and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541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In addition,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541 and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511 may be configured to abut.

바닥부(250a)는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 중 어느 하나와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바닥부(250a)가 제3 접이부(23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부(250a)는 제1 접이부(21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되거나, 제2 접이부(22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제4 접이부(24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ttom portion 250a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first folding portion 210a, the second folding portion 220a, the third folding portion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ortion 240a.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250a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olding portion 230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250a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olding portion 210a,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220a, or the fourth folding portion 240a It may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벽부(110a)와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일체로 형성되되, 측벽부(110a)의 두께(즉, 전개지(10a)의 두께)는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의 두께(즉, 전개지(10a)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10a)와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모두 각각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합판 공정으로 제조되고, 측벽부(110a),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는 적어도 일부의 층을 공유하되, 측벽부(110a)는 제1 접이부(210a), 제2 접이부(220a), 제3 접이부(230a) 및 제4 접이부(240a)에 비해 더 많은 층을 갖도록 합판 공정으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ide wall portion 110a, the first folding portion 210a, the second folding portion 220a, the third folding portion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ortion 240a are formed integrally, but the sidewall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110a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deployment paper 10a) is that of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It may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deployment paper 10a). For example, the sidewall portion 110a, the first folding portion 210a, the second folding portion 220a, the third folding portion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ortion 240a are all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It is manufactured by a plywood process, and the sidewall part 110a,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share at least some layers. However, the sidewall part 110a is processed by a plywood process to have more layers than the first folding part 210a, the second folding part 220a, the third folding part 2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40a. May be in the state.

용기(10)의 용기 본체부(110)를 형성하는 측벽부(110a)와 접이부(200)를 형성하는 제1 접이부(210a) 내지 제4 접이부(240a)의 두께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용기(10)의 구조적 안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접이 구조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By forming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side wall portion 110a forming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10 and the first folding portion 210a to the fourth folding portion 240a forming the folding portion 200 While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strength of the container 1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a folding structure.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10a)를 접이 구조를 따라 조립할 경우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 및 전개지(10a)는 효율적인 접이 구조를 가지고 크기의 가변 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When assembling the deployment paper 10a for manufacturing the dispos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olding structure,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uch as FIG. 1 may be manufactured. The container 10 and the deployment paper 10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ve an efficient folding structure and can maximize the degree of variability in size.

이하,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의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Hereinafter, a container in an unfolded state of the fol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of FIG. 1 is partially unfold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of FIG. 1 is fully expanded.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용기(1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짐에 따라 그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용기(10)는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를 포함하되, 용기 본체부(110)는 용기의 메인 측벽을 형성하고, 접이부(200)는 용기의 서브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110)는 용기(10)의 상부 측벽을 형성하고, 접이부(200)는 용기(10)의 하부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부(110)는 도 1의 용기 본체부(110) 및 도 4의 측벽부(110a)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5 and 6, as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10 is unfolded, the volume of the receiving space therein may increase. The container 10 includes a container body part 110 and a folding part 200, but the container body part 110 forms a main sidewall of the container, and the folding part 200 may form a sub-sidewall of the container. have. Specifically, when the container 10 is fully unfolded,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may form an upper sidewall of the container 10, and the folding part 200 may form a lower sidewall of the container 10.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of FIG. 1 and the side wall portion 110a of FIG. 4, and thus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접이부(200)는 제1 서브 측벽(210b, 210c), 제2 서브 측벽(220b, 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210b, 210c), 제2 서브 측벽(220b, 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240b)는 각각 앞서 설명한 제1 접이부(210, 210a), 제2 접이부(220, 220a), 제3 접이부(230, 230a) 및 제4 접이부(240, 240a)와 상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folding part 200 may include first sub-sidewalls 210b and 210c, second sub-sidewalls 220b and 220c, third sub-sidewalls, and fourth sub-sidewalls 240b. The first sub-sidewalls 210b and 210c, the second sub-sidewalls 220b and 2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240b are respectively the first folding portions 210 and 210a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s described above. (220, 220a), the third folding portion (230, 230a) and may b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olding portion (240, 240a).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용기(1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110)가 형성하는 메인 측벽과 함께 용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3 서브 측벽은 제1 서브 측벽(210c)과 마주보는 면이고, 제4 서브 측벽은 제2 서브 측벽(220c)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서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sub-sidewall 210c,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are together with the main sidewalls formed by the container body 110 when the container 10 is folded. It can serve as a side wall forming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hird sub-sidewall may be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idewall 210c,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be a surface facing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first sub-sidewall 210c,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have the same shape.

몇몇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부(110) 및 접이부(200)의 내측면은 폴리에틸렌 코팅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nner surfaces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and the folding portion 200 may be coated with polyethylene.

이하,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irst sub-sidewall 210c,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 서브 측벽(210c)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210c)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sub sidewall 210c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 sidewall 210c may form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사각형 형상의 제1 서브 측벽(210c)은 제1 서브 측벽(210c)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512) 및 제1-2 접이선(5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512) 및 제1-2 접이선(513)은 함께 앞서 설명한 'X'자 접이선(512, 513)에 상응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512) 및 제1-2 접이선(513)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측벽(210c)이 접이 구조가 마련된 비-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서브 측벽(210c)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접이선의 흔적이 육안으로 시인될 수 있다. The first sub-sidewall 210c having a quadrangular shape may include a 1-1 fold line 512 and a 1-2 fold line 513 crossing the first sub side wall 210c in a diagonal direction. The first-first fold line 512 and the first-second fold line 513 may correspond to the'X'-shaped fold lines 512 and 513 described above. The first-first fold line 512 and the first-second fold line 513 may mean a fold line or a trace of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an outer surface,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first sub-sidewall 210c is made of a non-flexible material with a folding structure, the trace of the fold line may be visually recognized while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first sub-sidewall 210c is fully unfolded.

또, 제1 서브 측벽(210c)은 제1 서브 측벽(21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5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511)은 앞서 설명한 제1 수평 접이선(511)에 상응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51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511)은 제1-1 접이선(512)과 제1-2 접이선(513)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b-sidewall 210c may include a 1-3 fold line 511 that crosses the first sub-sidewall 210c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1-3 fold lines 511 may correspond to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s 511 described above. The 1-3 fold line 511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1-3 th fold line 511 may pass through a point where the 1-1 fold line 512 and the 1-2 fold line 513 intersect.

또, 제2 서브 측벽(220c)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2 서브 측벽(220c)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b sidewall 220c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b sidewall 220c may form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사각형 형상의 제2 서브 측벽(220c)은 제2 서브 측벽(22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접이선(5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접이선(521)은 앞서 설명한 제2 수평 접이선(521)에 상응할 수 있다. 제2 접이선(52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접이선(521)은 제1-3 접이선(5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1-3 접이선(511)과 맞닿을 수 있다.The quadrangular second sub-sidewall 220c may include a second folding line 521 that crosses the second sub-sidewall 220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fold line 521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521 described above. The second fold line 521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second fold line 521 is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the 1-3 fold line 511 and may contact the 1-3 fold line 511.

제3 서브 측벽은 제1 서브 측벽(210c)과 마주하고, 제4 서브 측벽은 제2 서브 측벽(220c)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제1 서브 측벽(210c) 및 제2 서브 측벽(220c)과 동일한 접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hird sub-sidewall may face the first sub-sidewall 210c,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face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have the same folding structure as the first sub-sidewall 210c and the second sub-sidewall 220c,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3 서브 측벽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함께 앞서 설명한 'X'자 접이선(532, 533)에 상응할 수 있다.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ird sub-sidewall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ub sidewall may form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The quadrangular third sub-sidewall may have a 3-1 fold line and a 3-2 fold line crossing the third sub sidewall in a diagonal direction.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may correspond to the'X'-shaped fold lines 532 and 533 described above.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may mean a fold line or traces of fold lines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또,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앞서 설명한 제3 수평 접이선(531)에 상응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 또, 제3-3 접이선은 제2 접이선(521)과 맞닿을 수 있다.Further, the third sub-sidewall may have a 3-3 fold line crossing the third sub-side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3-3 fold line may correspond to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531 described above. The 3-3 fold line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3-3 fold line may pass through a point where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intersect. In addition, the 3-3 fold line may abut the second fold line 521.

또, 제4 서브 측벽은 상측변의 길이가 하측변의 길이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4 서브 측벽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제4 서브 측벽은 제4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앞서 설명한 제4 수평 접이선(541)에 상응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제3-3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5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3-1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511)과 맞닿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sub sidewall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sub sidewall may form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The quadrangular fourth sub-sidewall may have a fourth fold line crossing the fourth sub-side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ourth fold line may correspond to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541 described above. The fourth fold line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fourth fold line is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as the 3-3 fold line and the 1-3 fold line 511 and may contact the 3-1 fold line and the 1-3 fold line 511.

또, 접이부(200)는 바닥면(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250)은 용기(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될 경우, 용기(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닥면(250)은 앞서 설명한 바닥부(250)에 상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surface 250. The bottom surface 250 may be a portion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when used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container 10. The bottom surface 250 may correspond to the bottom portion 250 described above.

바닥면(250)은 평면상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일 수 있다. 바닥면(250)은 제1 서브 측벽(210c)의 하측변, 제2 서브 측벽(220c)의 하측변, 제3 서브 측벽의 하측변 및 제4 서브 측벽의 하측면과 맞닿아 변을 공유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250 may be substantially square in plan view. The bottom surface 25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b-sidewall 210c,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lower side of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sub-sidewall to share a side. I can.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접이 구조를 가지되,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접이선들 중 일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즉, 제1-3 접이선(511) 및 제3-3 접이선)되도록 구성되고, 다른 일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즉, 제2 접이선(521) 및 제4 접이선)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olding structure, but some of the folding lines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ar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ie, the 1-3 folding lines 511 and the 3- 3 fold line), and the other part is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ie, the second fold line 521 and the fourth fold line) based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strength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increased.

만일 동일 레벨에 위치하는 접이선들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접이되도록 구성될 경우, 중력 방향으로의 압력에 매우 취약하며, 내부에 내용물, 특히 뜨거운 온수 또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용기가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all folding lines located at the same level are configured to be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they are very vulnerable to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container can stand up by itself when the contents, especially hot hot water or food are accommodated inside. Failure to maintain it can cause major problems.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의 접이부(200)는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접이선들 중 일부는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 구조를 가지고 다른 일부는 오목하게 접이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e folding part 200 of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me of the folding lines located at the same level have a convex folding structure based on the outer surface, and others have a concave folding structure. Can be solved.

뿐만 아니라, 제1 서브 측벽(210c) 및 제3 서브 측벽은 각각 'X'자 형상의 제1-1 접이선(512), 제1-2 접이선(513),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을 더 구비하여 용기(10)의 수직 방향으로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1-1 접이선(512), 제1-2 접이선(513),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접이선에 비해 중력 방향으로의 버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제1 서브 측벽(210c)이 오목하게 접이되는 제1-1 접이선(512)과 제1-2 접이선(513)과 함께 볼록하게 접이되는 제1-3 접이선(511)을 구비하되, 세개의 접이선이 하나의 점에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제1 서브 측벽(210c) 자체의 지지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서브 측벽이 오목하게 접이되는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과 함께 볼록하게 접이되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하되, 세개의 접이선이 하나의 점에서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제3 서브 측벽 자체의 지지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b-sidewall 210c and the third sub-sidewall are each of the 1-1 fold lines 512, 1-2 fold lines 513, 3-1 fold lines an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ntainer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further providing a 3-2 fold line. The 1-1 fold line 512, the 1-2 fold line 513,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extend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compared to the fold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t can improve the suppor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for example, the first sub-sidewall 210c is convexly folded along with the 1-1 fold line 512 and the 1-2 fold line 513 concavely folded. 511), bu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pport strength of the first sub sidewall 210c itself by configuring the three fold lines to intersect at one point. Similarly, the third sub-side wall has a 3-1 fold line that is concavely folded and a 3-3 fold line that is convexly folded together with the 3-2 fold line, but the three fold lines are configured to intersect at one point. Thus, the support strength of the third sub sidewall itself can be increased.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110)와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을 포함하는 접이부(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전개지로부터 조립되도록 구성되되, 용기 본체부(110)(전개도 상 측벽부(110a))의 두께는 접이부(20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부(110)와 접이부(200)는 각각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합판 공정으로 제조되고, 용기 본체부(110)와 접이부(200)는 적어도 일부의 층을 공유하되, 용기 본체부(110)는 접이부(200)에 비해 더 많은 층을 갖도록 합판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folding portion 200 including a container body portion 110 forming a main sidewall, a first sub-sidewall 210c, a second sub-sidewall 220c, a third sub-sidewall, and a fourth sub-sidewall. ) Is formed integrally and configured to be assembled from a single deployment paper, and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the sidewall portion 110a on the expanded view)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olding portion 200. For example, the container body part 110 and the folding part 200 are each manufactured by a plywood process so as to consist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container body part 110 and the folding part 200 share at least some of the layers. , The container body part 110 may be manufactured by a plywood process to have more layers than the folding part 200.

접이부(200)는 복수회 접어질 수 있도록 접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 완전히 접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반면 용기 본체부(110)는 접이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여 내부에 온수 등의 뜨거운 내용물이 수용되는 경우에도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강건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Since the folding part 200 has a folding structure so that it can be folded multiple times, it may be difficult to completely fold it when the thickness is too thick.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tainer body part 110 does not have a folding structure, it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minimize heat transfer even when hot contents such as hot water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a more robust structure can be 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효율적인 접이 구조를 가지고 완전히 접어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의 수용 공간의 부피 차이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용기(10)를 보관, 유통하거나, 또는 폐기하는 경우에는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이 구비한 접이선들을 따라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창고, 가방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보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 구조가 펼쳐진 후의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는, 접이 구조가 접어진 상태에서의 내부 수용 공간 부피의 약 1.5배 이상, 또는 약 1.6배 이상, 또는 약 1.7배 이상, 또는 약 1.8배 이상, 또는 약 1.9배 이상, 또는 약 2.0배 이상일 수 있다.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fficient folding structure and can maximize the difference in volum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a fully folded state and an unfolded state. Through th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storing, distributing, or discarding the container 10, the first sub-sidewall 210c,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are folded. By minimizing the volume along the lines, storage, etc. can be facilitated, and furthermore, the storage volume can be minimized even when stored in a warehouse or bag. For example, the volume of the interior accommodation space after the folding structure is unfolded is about 1.5 times or more, or about 1.6 times or more, or about 1.7 times or more, or about 1.8 times the volume of the interior accommodation space in the folded state. Or more, or about 1.9 times or more, or about 2.0 times or more.

또, 용기(10)를 사용할 경우 제1 서브 측벽(210c), 제2 서브 측벽(2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이 구비한 접이선들을 펼쳐서 사용하여 충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충분한 양의 온수 등을 인입할 수 있어 조리를 가능케할 수 있다. 또, 접이선들이 용기(10)의 중력 방향으로의 지지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바닥면(250)의 하면 또는 4개의 변이 수평면에 맞닿아 별도의 보강 부재 없이도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container 10, a sufficient internal space can be provided by unfolding and using folding lines provided by the first sub-sidewall 210c, the second sub-sidewall 2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In addition, a sufficient amount of hot water, etc., can be introduced to enable cooking. In addition, the folding lines can reinforce the support strength of the container 10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250 or four sides abut against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standing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뿐만 아니라, 용기(10)의 메인 측벽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110)와 펼쳐진 상태에서 서브 측벽을 형성하는 접이부(200)가 모두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형성되고, 이종의 재료로 이루어지지 않아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은박 재질 등을 불포함하여 종이 등으로 형성할 경우, 전자레인지 등의 사용이 가능해져 보다 다양한 활용도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portion 110 forming the main sidewall of the container 10 and the folding portion 200 forming the sub sidewall in the unfolded state are all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but are integrally formed, Since it is not made of the material of,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Moreover, when formed of paper or the like without including a silver foil material, it is possible to use a microwave oven, etc.,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more various uses.

한편, 종래의 컵라면 등의 경우 온수를 부어 충분히 가열 조리하기 위해서 내부의 건조된 내용에 비해 컵라면 용기가 지나치게 큰 부피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우유 등을 부어 섭취하는 시리얼 제품의 경우에도 충분한 양의 우유를 인입하기 위해서 포장된 시리얼은 내용물의 양에 비해 용기의 부피가 지나치게 큰 실정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에 따를 경우 최초 라면 또는 시리얼 등이 수용되어 보관 내지는 판매되는 상태에서는 도 1 등과 같이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온수 또는 우유 등을 붓는 경우에 비로소 도 6 등과 같이 부피를 증가시켜 사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up noodles,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cup noodles container must have an excessively large volume compared to the dried contents in order to sufficiently heat cooking by pouring hot water. In the case of cereal products, the packaged cereal in order to bring in a sufficient amount of milk had too much volume in the container compared to the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ramen or cereal is accommodated and stored or sold, the volume is kept to a minimum as shown in FIG. 1, and only when hot water or milk is poured into FIG. It can be used by increasing the volume together.

또, 컵라면 외 다른 종류의 즉석 조리 식품, 예컨대 한그릇으로 포장된 반조리 레토르트 식품, 부대찌개 등의 찌개류 식품, 캠핑형 식품 등의 경우에도 부피의 최소화를 위해 별도의 용기없이 포장된 상태로 제공하고, 중탕 등을 이용하여 조리를 완성하고 있는 실정이나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러한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tant-cooked foods other than cup noodles, such as semi-cooked retort foods packaged in one bowl, stew foods such as bagged stew, and camping foods, they are provided in a packaged state without a separate container to minimize the volume. And, when cooking is completed using a bath or the like 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can also be solve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및 전개지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tainer and deployment pap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is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용기(20)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20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20 of FIG. 7 is partially unfold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20 of FIG. 7 is fully expanded.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는 용기 본체부(600)의 상단이 각을 갖지 않는 원 형상이 아니라 사각 형상인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와 상이한 점이다.7 to 10, the contain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uch as FIG. 1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600 has a rectangular shap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without an angle. It is different from 10).

용기(20)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고, 메인 측벽(610, 620, 630, 640)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용기(20)는 용기 본체부(6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용기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내용물(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The container 20 has an open top, and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part 600 and a folding part 700 forming main side walls 610, 620, 630, and 64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tainer 20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cover (not shown)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600. In addition, contents (not shown)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body part 600 and the folding part 700.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는 각각 종이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는 비-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가공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판 공정 등을 통해 충분한 두께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처리된 상태일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600 and the folding part 700 may be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part 600 and the folding part 700 may be processed to have non-flexibl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t may be processed to have sufficient thickness, strength, and rigidity through a plywood process or the like.

용기 본체부(600)는 최초 상태에서 용기(20)가 내부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부(600)는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의 상부 측벽, 즉 메인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측벽은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의 내측면은 각각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은 각각 실질적으로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변과 하측변이 대략 평행하고, 좌측변과 우측변이 경사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은 좌측변과 우측변의 경사가 동일한 정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part 600 may form a side wall in which the container 20 can accommodat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20 in an initial state. The container body part 600 may form an upper side wall, that is, a main side wall,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20 is folded. The main sidewall may include a first main sidewall 610, a second main sidewall 620, a third main sidewall 630, and a fourth main sidewall 640. Inner surfaces of the first main sidewall 610, the second main sidewall 620, the third main sidewall 630, and the fourth main sidewall 640 may each form a substantially flat plane. Each of the first main sidewall 610, the second main sidewall 620, the third main sidewall 630, and the fourth main sidewall 640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lower side. Specifically,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and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having an inclination. For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main side wall 610, the second main side wall 620, the third main side wall 630, and the fourth main side wall 640 may have a square trapezoid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have the same inclination. have. The first main sidewall 610, the second main sidewall 620, the third main sidewall 630, and the fourth main sidewall 64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또, 제1 메인 측벽(610), 제2 메인 측벽(620), 제3 메인 측벽(630) 및 제4 메인 측벽(640)의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용기 본체부(600)의 내측면은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부(600)의 상단 및 하단은 모두 평면상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inner surfaces of the first main sidewall 610, the second main sidewall 620, the third main sidewall 630, and the fourth main sidewall 640 may have an inclined so as to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lower side.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600 may have a downward slope. Specifically,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tainer body 60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용기 본체부(600)의 하측에 배치된 접이부(700) 또한 평면상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즉, 접이부(700)는 용기 본체부(600)의 하단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상 정사각형상일 수 있다. 용기(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접이부(700)는 용기(2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이부(700)는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lding part 700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body part 600 may als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That is, the folding part 7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600. For example, it may have a square shape on a plane. When the container 20 is folded, the folding part 700 may for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olding part 700 may include a first folding part 710, a second folding part 720, a third folding part 730, and a fourth folding part 740.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각각 용기 본체부(600)의 하단으로부터 용기(2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20)의 바닥을 형성하여 바닥면 중 일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1 접이부(710)와 제3 접이부(730)는 서로 마주보고, 제2 접이부(720)와 제4 접이부(74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접이부(720)는 제4 접이부(740)를 하측에서 덮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각각 접이 구조, 구체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한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이부(710), 제2 접이부(720), 제3 접이부(730) 및 제4 접이부(740)는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어져 최초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이선에 대해서는 전개지와 함께 후술한다.The first folding part 710, the second folding part 720, the third folding part 7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740 are each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600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 Can be bent. Through this, the first folding part 710, the second folding part 720, the third folding part 7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740 each at least partially for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0, Can contribute to forming part. The first folding part 710 and the third folding part 730 may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folding part 72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740 may face each other.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folding part 720 may be in a state that covers the fourth folding part 740 from the lower side. The first folding part 710, the second folding part 720, the third folding part 7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740 may each have a folding structure, specifically, a convex or concave folding line. The first folding part 710, the second folding part 720, the third folding part 73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740 may be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from the initial state. The fold line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paper.

용기(20)의 접이 구조가 펼쳐짐에 따라 그 내부의 수용 공간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용기(20)는 용기 본체부(600) 및 접이부(700)를 포함하되, 용기(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600)는 용기의 메인 측벽을 형성하고, 접이부(700)는 용기의 서브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접이부(700)는 제1 서브 측벽(710c), 제2 서브 측벽(7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측벽(710c)과 제3 서브 측벽은 서로 마주보고 제2 서브 측벽(720c)과 제4 서브 측벽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As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20 is unfolded, the volume of the receiving space therein may increase. The container 20 includes a container body part 600 and a folding part 700, but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20 is unfolded, the container body part 600 forms the main side wall of the container, and the folding part 700 May form the sub sidewall of the container. That is, the folding part 700 may include a first sub-sidewall 710c, a second sub-sidewall 720c, a third sub-sidewall, and a fourth sub-sidewall. The first sub-sidewall 710c and the third sub-sidewall may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sub-sidewall 720c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face each other.

또, 제1 서브 측벽(710c)은 제1 메인 측벽(610)과 대략 평행하고, 제2 서브 측벽(720c)은 제2 메인 측벽(620)과 대략 평행하며, 제3 서브 측벽은 제3 메인 측벽(630)과 대략 평행하고, 제4 서브 측벽은 제4 메인 측벽(640)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용기(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600)(즉, 메인 측벽부)와 접이부(700)(즉 서브 측벽부)의 내측면의 기울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의 하측변은 제1 서브 측벽(710c)의 상측변과 접하고, 제2 메인 측벽(620)의 하측변은 제2 서브 측벽(720c)의 상측변과 접하며, 제3 메인 측벽(630)의 하측변은 제3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하고, 제4 메인 측벽(640)의 하측변은 제4 서브 측벽의 상측변과 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b-sidewall 710c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irst main sidewall 610, the second sub-sidewall 720c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second main sidewall 620, and the third sub-sidewall is a third main sidewall. The sidewall 630 may be approximately paralle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b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ourth main sidewall 640. In other words,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container 20,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600 (ie, the main sidewall) and the folding part 700 (ie, the sub sidewall)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ain sidewall 6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b-sidewall 710c,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main sidewall 6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b-sidewall 720c, and a third The lower side of the main sidewall 630 may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b sidewall, and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main sidewall 640 may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fourth sub sidewall.

제1 서브 측벽(710c), 제2 서브 측벽(7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실질적으로 상측변이 하측변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변과 하측변이 대략 평행하고, 좌측변과 우측변이 경사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서브 측벽(710c), 제2 서브 측벽(720c),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좌측변과 우측변의 경사가 동일한 정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또, 서브 측벽의 좌측변 및/또는 우측변의 경사는 각각 메인 측벽의 좌측변 및 우측변의 경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ub-sidewall 710c, the second sub-sidewall 7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lower side. Specifically,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and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having an inclination. For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sub-sidewall 710c, the second sub-sidewall 7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have a square trapezoid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have the same inclination. Further, the inclination of the left side and/or the right side of the sub sidewall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clination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main sidewall, respectively.

사각형 형상의 제1 서브 측벽(710c)은 제1 서브 측벽(710c)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은 함께 'X'자 형상의 접이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측벽(710c)이 접이 구조가 마련된 비-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서브 측벽(710c)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접이선의 흔적이 육안으로 시인될 수 있다.The quadrangular first sub-sidewall 710c may include a 1-1 fold line 812 and a 1-2 fold line 813 crossing the first sub side wall 710c in a diagonal direction. The first-first fold line 812 and the first-second fold line 813 may form an “X”-shaped fold line together. The first-first fold lines 812 and the first-second fold lines 813 may refer to fold lines or traces of fold lines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first sub-sidewall 710c is made of a non-flexible material with a folding structure, the trace of the fold line may be visually recognized while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first sub-sidewall 710c is completely unfolded.

또, 제1 서브 측벽(710c)은 제1 서브 측벽(71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3 접이선(8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81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1-3 접이선(811)은 제1-1 접이선(812)과 제1-2 접이선(813)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b-sidewall 710c may include a 1-3 fold line 811 crossing the first sub-sidewall 710c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1-3 fold line 811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1-3 th fold line 811 may pass through a point where the 1-1 fold line 812 and the 1-2 fold line 813 intersect.

사각형 형상의 제2 서브 측벽(720c)은 제2 서브 측벽(720c)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접이선(8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접이선(821)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접이선(821)은 제1-3 접이선(8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1-3 접이선(811)과 맞닿을 수 있다.The quadrangular second sub-sidewall 720c may include a second fold line 821 crossing the second sub-sidewall 720c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fold line 821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cave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second fold line 821 is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as the 1-3 fold line 811 and may contact the 1-3 fold line 811.

제3 서브 측벽은 제1 서브 측벽(710c)과 마주하고, 제4 서브 측벽은 제2 서브 측벽(720c)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서브 측벽 및 제4 서브 측벽은 각각 제1 서브 측벽(710c) 및 제2 서브 측벽(720c)과 동일한 접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hird sub-sidewall may face the first sub-sidewall 710c,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face the second sub-sidewall 720c. The third sub-sidewall and the fourth sub-sidewall may have the same folding structure as the first sub-sidewall 710c and the second sub-sidewall 720c,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은 각각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제3 서브 측벽은 제3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3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3-3 접이선은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날 수 있다. 또, 제3-3 접이선은 제2 접이선(821)과 맞닿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quadrangular third sub-sidewall may have a 3-1 fold line and a 3-2 fold line crossing the third sub sidewall in a diagonal direction.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may mean a fold line or traces of fold lines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Further, the third sub-sidewall may have a 3-3 fold line crossing the third sub-side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3-3 fold line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3-3 fold line may pass through a point where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intersect. Also, the 3-3 fold line may abut the second fold line 821.

또한, 사각형 형상의 제4 서브 측벽은 제4 서브 측벽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4 접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외측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 또는 접이선의 흔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접이선은 제3-3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81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며, 제3-1 접이선 및 제1-3 접이선(811)과 맞닿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sub-sidewall having a quadrangular shape may include a fourth folding line that crosses the fourth sub-side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ourth fold line may mean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r a trace of the fold line. The fourth fold line is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the 3-3 fold line and the 1-3 fold line 811 and may contact the 3-1 fold line and the 1-3 fold line 811.

이하, 도 11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20)의 접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a는 도 7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0a)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제1 접이부(71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는 도 11a의 제2 접이부(72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d는 도 11a의 제3 접이부(73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e는 도 11a의 제4 접이부(74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f는 도 11a의 바닥부(750a)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FIG. 11A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paper 20a for manufacturing the container of FIG. 7. 11B is a view showing the first folding part 710a of FIG. 11A. 11C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folding portion 720a of FIG. 11A. 11D is a view showing the third folding part 730a of FIG. 11A. 11E is a view showing the fourth folding part 740a of FIG. 11A. 11F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portion 750a of FIG. 11A.

도 11a 내지 도 11f를 더 참조하면,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0a)는 제1 메인 측벽(610a), 제2 메인 측벽(620a), 제3 메인 측벽(630a) 및 제4 메인 측벽(640a)을 포함하고, 제1 접이부(710a), 제2 접이부(720a), 제3 접이부(730a), 제4 접이부(740a) 및 바닥부(7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11A to 11F, the deployment paper 20a for manufacturing a disposable container includes a first main side wall 610a, a second main side wall 620a, a third main side wall 630a, and a fourth main side wall. (640a),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olding part 710a, a second folding part 720a, a third folding part 730a, a fourth folding part 740a, and a bottom part 750a. .

제1 메인 측벽(610a), 제2 메인 측벽(620a), 제3 메인 측벽(630a) 및 제4 메인 측벽(640a)은 함께 도 7 등의 용기 본체부(600)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메인 측벽(610a)은 제2 메인 측벽(620a)과 변을 공유하며, 상기 변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될 수 있다. 또, 제2 메인 측벽(620a)은 제3 메인 측벽(630a)과 변을 공유하며, 상기 변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될 수 있다. 또한, 제3 메인 측벽(630a)은 제4 메인 측벽(640a)과 변을 공유하며, 상기 변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될 수 있다.The first main sidewall 610a, the second main sidewall 620a, the third main sidewall 630a, and the fourth main sidewall 640a may be portions that together form the container body part 600 of FIG. 7. . The first main sidewall 610a shares a side with the second main sidewall 620a, and the side may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ide. In addition, the second main sidewall 620a shares a side with the third main sidewall 630a, and the side may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ide. In addition, the third main sidewall 630a shares a side with the fourth main sidewall 640a, and the side may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ide.

제1 접이부(710a), 제2 접이부(720a), 제3 접이부(730a) 및 제4 접이부(740a)는 각각 수평 방향의 접이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이부(71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접이선(811)을 가지고, 제2 접이부(72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접이선(821)을 가지며, 제3 접이부(73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수평 접이선(831)을 가지고, 제4 접이부(740a)는 그 상측변(또는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수평 접이선(841)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평 접이선(811), 제2 수평 접이선(821), 제3 수평 접이선(831) 및 제4 수평 접이선(841)은 각각 전술한 제1-3 접이선(811), 제2 접이선(821), 제3-3 접이선 및 제4 접이선과 상응할 수 있다. 즉, 제1 수평 접이선(811)과 제3 수평 접이선(831)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되고, 제2 수평 접이선(821)과 제4 수평 접이선(84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olding part 710a, the second folding part 720a, the third folding part 730a, and the fourth folding part 740a may have a folding l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folding part 710a has a first horizontal folding line 81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and the second folding part 720a has an upper side (or It has a second horizontal fold line 82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ide), and the third fold portion 730a is a third horizontal fold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831 ), the fourth folding part 740a may have a fourth horizontal folding line 84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thereof.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811,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821,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831, and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841 are the above-described 1-3 fold lines 811, respectively. It may correspond to the 2 fold line 821, the 3-3 fold line, and the 4th fold line. That is, the first horizontal fold line 811 and the third horizontal fold line 831 are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based on one surface, and the second horizontal fold line 821 and the fourth horizontal fold line 841 are one side. It can be processed to be folded concave on the basis of.

또, 제1 접이부(710a)는 제1 수평 접이선(81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812, 8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X'자 접이선(812, 813)은 전술한 제1-1 접이선(812) 및 제1-2 접이선(813)과 상응할 수 있다. 또, 제3 접이부(730a)는 제3 수평 접이선(831)의 중점을 지나고,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가공된 'X'자 형상의 'X'자 접이선(832, 8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X'자 접이선(832, 833)은 전술한 제3-1 접이선 및 제3-2 접이선과 상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olding part 710a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first horizontal folding line 811, and is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of the'X'-shaped'X'-shaped folding lines 812 and 813. ) May be further provided. The'X'-shaped fold lines 812 and 813 may correspond to the 1-1 fold lines 812 and the 1-2 fold lines 813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third folding part 730a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line 831, and is process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of the'X'-shaped'X'-shaped folding lines 832, 833. ) May be further provided. The'X'-shaped fold lines 832 and 833 may correspond to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described above.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닥부(750a)는 제3 접이부(73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750a)는 제3 접이부(730a)의 하측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5 접이선(85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5 접이선(851)은 용기(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서브 측벽(710c) 및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접이선(85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접이선(851)에 의해 도 8에 표현된 것과 같이 제2 접이부(720)는 제4 접이부(740) 측으로 접어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750a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olding portion 730a. The bottom portion 750a may include a fifth fold line 851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old portion 730a. That is, the fifth folding line 851 may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b sidewall 710c and the third sub sidewall when the container 20 is folded. The fifth folding line 851 may be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As shown in FIG. 8 by the fifth folding line 851, the second folding part 720 may be folded toward the fourth folding part 740.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측벽(710a)(또는 제3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제1-1 접이선(812)과 제1-2 접이선(813)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1)는 바닥부(750a)의 제5 접이선(851)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2)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만일 최단 거리(D1)이 길이(D2)의 절반 보다 작을 경우, 접이 구조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용기(2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접이 구조에 무리가 가하여 구조가 파괴되거나, 또는 용기(20)가 펼쳐진 상태에서 강건한 구조를 갖지 못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b-sidewall 710a (or the third sub-sidewall) to the point at which the 1-1 fold line 812 and the 1-2 fold line 813 intersect (D 1 ) may be greater than half of the length D 2 of the bottom portion 750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fth fold line 851. If the shortest distance (D 1 ) is less than half of the length (D 2 ), the folding structure may not be completely formed, and the structure is destroyed due to excessive force on the folding structure during the time the container 20 remains folded. Or, the container 20 may not have a robust structure in the unfolded state.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2a)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paper (22a)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1a)의 바닥부(751a)는 제2 접이부(72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된 점이 도 11a 등의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0a)와 상이한 점이다.Referring to FIG. 12, the bottom portion 751a of the deployment paper 21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720a. ) And different.

이 경우 바닥부(751a)는 제2 접이부(720a)의 하측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5 접이선(85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5 접이선(851)은 용기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서브 측벽 및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접이선(851)은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ttom portion 751a may include a fifth folding line 85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720a. That is, the fifth folding line 851 may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b sidewall and the third sub sidewall while the container is folded. The fifth folding line 851 may be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1a)를 이용하여 제조된 용기는 도 7 등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ntainer manufactured using the deployment paper 21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751a)는 제2 접이부(72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바닥부(751a)는 제4 접이부(740a)의 하측변에 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751a is illustrated in a case where i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720a, but the bottom portion 751a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folding portion 740a. Of course it may b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지(22a)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3 is a plan view showing a deployment paper 22a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개지(22a)의 바닥부(752a)는 바닥부(752a)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6-1 접이선(853)과 제6-2 접이선(854)을 구비하고, 제6-1 구비선(853)과 제6-2 구비선(854)이 교차하는 점을 지나는 제6-3 접이선(852)을 더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bottom portion 752a of the deployment paper 2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6-1 fold line 853 and a 6-2 fold line crossing the bottom portion 752a in a diagonal direction. A 6-3 fold line 85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854 and passing through a point where the 6-1th line 853 and the 6-2th line 854 intersect.

제6-1 접이선(853) 및 제6-2 접이선(854)은 각각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일 수 있다. 또, 제6-3 접이선(852)은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접이되도록 구성된 접이선일 수 있다. 제6-3 접이선(852)은 용기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서브 측벽 및 제3 서브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6-1 fold line 853 and the 6-2 fold line 854 may be fold lines configured to be concave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6-3 fold line 852 may be a fold line configured to be convexly fold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The 6-3 fold line 852 may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b sidewall and the third sub sidewall when the container is folded.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서브 측벽(730a)(또는 제1 서브 측벽)의 하측변에서 제3-1 접이선과 제3-2 접이선이 교차하는 점까지의 최단 거리(D3)는 바닥부(752a)의 제6-3 접이선(852)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D4)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만일 최단 거리(D3)가 길이(D4)의 절반 보다 작을 경우, 용기의 접이 구조가 완전히 접어진 상태에서, 제6-1 접이선(853)과 제6-2 접이선(854)의 교점이 돌출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어 접이 구조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다. 또는 용기가 펼쳐진 상태에서 강건한 구조를 갖지 못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hortest distance D 3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rd sub-sidewall 730a (or the first sub-sidewall) to the point where the 3-1 fold line and the 3-2 fold line intersect is the bottom part It may be greater than half of the length D 4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6-3 fold line 852 of 752a. If the shortest distance (D 3 ) is less than half of the length (D 4 ), when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is completely folded, the 6-1 folding line 853 and the 6-2 folding line 854 The intersection point may protrude or bend, which may put a strain on the folding structure. Or the container may not have a robust structure in the unfolded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bove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technical idea exemplified abo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용기
110: 용기 본체부
110a: 측벽부
200: 접이부
210: 제1 접이부
220: 제2 접이부
230: 제3 접이부
240: 제4 접이부
250: 바닥부
300: 용기 뚜껑
400: 접착 부재
10: Courage
110: container body portion
110a: side wall portion
200: fold
210: first folding portion
220: second folding part
230: third folding part
240: fourth folding part
250: bottom
300: container lid
400: adhesive member

Claims (1)

4개의 측벽을 가지되, 4개의 측벽이 순차적으로 '-'자, 'X'자, '-'자 및 'X'자 접이선을 갖는, 접이 구조를 갖는 일회용 용기.Disposable container having a folding structure having four sidewalls, with four sidewalls sequentially having'-','X','-' and'X' folding lines.
KR1020190079742A 2019-07-03 2019-07-03 Disposable container Withdrawn KR202100040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42A KR20210004014A (en) 2019-07-03 2019-07-03 Disposabl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42A KR20210004014A (en) 2019-07-03 2019-07-03 Disposabl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014A true KR20210004014A (en) 2021-01-13

Family

ID=7414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742A Withdrawn KR20210004014A (en) 2019-07-03 2019-07-03 Disposabl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01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5772A1 (en) * 2022-09-07 2024-03-13 Saica Pack, S.L. Expandable tr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5772A1 (en) * 2022-09-07 2024-03-13 Saica Pack, S.L. Expandable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9500T3 (en) ARTICULABLE CONTAINER.
KR100408139B1 (en) Articulable food container
US9826852B2 (en) Pop-up tray
US4018905A (en) Taco package
US20070235399A1 (en) Foldup food holder
KR200490800Y1 (en) Paper receptacle
KR20210004014A (en) Disposable container
JP4955513B2 (en) Paper container
US11661231B2 (en) Food holder
KR200491467Y1 (en) Folded container having folding structure
KR200491023Y1 (en) Container having folding structure
JP4429046B2 (en) Kashiosuke lunch box case
KR200253232Y1 (en) An assembly box for delivering food
KR102522604B1 (en) Packing paper for hamburger with separation of top and bottom possible
CA2849236C (en) Container having a foldable support and lid
JP6755549B2 (en) Medium plate structure of the container
KR102244370B1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that can be enlarged in volume when cooking
CN211618683U (en) Package for cookware
JPH08113273A (en) Container for instant food
KR101829232B1 (en) Self-assembly paper container
CN207932157U (en) stand for food box
FI105772B (en) The funnel
KR20100002806U (en) Non-bonded Fast Food Packaging Box
KR20100002802U (en) Non-bonded Fast Food Packaging Box
KR20100002803U (en) Non-bonded Fast Food Packag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