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031A - Truss fixing structure for safety plate - Google Patents
Truss fixing structure for safety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0031A KR20210010031A KR1020190087350A KR20190087350A KR20210010031A KR 20210010031 A KR20210010031 A KR 20210010031A KR 1020190087350 A KR1020190087350 A KR 1020190087350A KR 20190087350 A KR20190087350 A KR 20190087350A KR 20210010031 A KR20210010031 A KR 202100100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 support
- frame
- coupling
- horizontal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트러스의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의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트러스를 지지하도록 브라켓을 구성하고, 처짐보강대를 통해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트러스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발판의 처짐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and supports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of the truss, respectively, and the trus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By configuring the bracket to support and supporting the bracket through the sag reinforcement, the truss is firmly fixed, thereby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safety footboard,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트러스의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의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트러스를 지지하도록 브라켓을 구성하고, 처짐보강대를 통해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트러스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발판의 처짐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and more specif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of the truss,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By configuring the bracket to support the truss in the state, and by configuring the bracket to support the truss through the sag reinforcement, the truss is firmly fixed, thereby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safety footing,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t relates to a truss fix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공사시에는 필수적으로 골조공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골조공사는 먼저, 작업현장에 골조로 사용될 강관, 철근, 에이치빔 등을 준비한 상태에서, 바닥이나 벽면 부분을 보강한 후 바닥, 벽면, 지붕 순으로 작업이 진행된다.In general, when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works, frame work is essentially performed. In this frame work, first, steel pipes, reinforcing bars, H-beams, etc. to be used as a frame at the work site are prepared, reinforcing the floor or wall, and then The work proceeds in the order of the wall and the roof.
상기 방식으로 진행되는 공사는 바닥골조를 만든 후, 벽면골조를 세우고, 지붕골조나 2층, 3층 등 층간 골조를 세우게 되는데, 골조의 높이가 올라갈수록 별도의 안전발판을 만든 후, 지붕골조나 층간 골조를 세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하에서는 아케이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after creating a floor frame, a wall frame is erected, and a roof frame or interlayer frames such as the 2nd and 3rd floors are erected.As the height of the frame increases, a separate safety scaffolding is made, In most cases, an interlayer frame is constructed, and an arcade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아케이드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이동통로 또는 특정 장소의 상부를 가려서 눈이나 비를 피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아치형 지붕 형태의 구조물로서, 도로, 재래시장, 상업지역, 또는 각종 행사장 등에 널리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아케이드가 등록특허 제10-115742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Arcades are structures in the form of an arched roof that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avoid snow or rain by covering the moving passage between buildings and the upper part of a specific place, and are widely installed in roads, traditional markets, commercial areas, or various event venues. There is a trend, and such arcades are published in Registration Patent No. 10-1157421 (hereinafter referred to as'Patent Document 1').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아케이드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 공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기둥을 설치한 후, 기둥을 연결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연결프레임 상부에 합성수지재로 된 반투명 지붕을 덮어 씌워서 설치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광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눈과 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Referring to
상기와 같은 아케이드에 지붕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케이드 기둥에 트러스(truss)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를 설치하고, 트러스의 상부에 안전발판을 설치한 후, 지붕 설치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안전발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트러스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전발판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트러스 고정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install the roof in the arcade as described above, a truss fixing structure to support the truss is installed on the arcade pillars, a safety scaffolding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russ, and then the roof installation work is performed. There is a demand for a truss fix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sagging of the safety scaffold by firmly fixing the truss for the safety of working worker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러스의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의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트러스를 지지하도록 브라켓을 구성하고, 처짐보강대를 통해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트러스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발판의 처짐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of the truss, respectively,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A truss for installing a safety footing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safety footing by configuring the bracket to support the truss and by configuring the bracket to support the truss through the sag reinforcement. It is to provide a fixed struct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는,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트러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frame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In the truss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truss made,
기둥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외측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판을 감싸며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기둥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se plat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an upper support portion and a lower support portion each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late and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respectively, and the upper horizontal A bracket formed of a fixing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by a coupling means on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to closely support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And a fixing clamp that surrounds the base plate and is coupled to the pillar to fix the bracket to the pillar.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지지부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하단지지부와, 상기 고정판의 상부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상부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지지부와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하단지지부와, 상기 고정판의 하부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하부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a first sid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the coupling means to be coupled to 1 consists of an upper coupling part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and the lower support part includes a second sid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 second lower support part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coupling portion in which a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by the coupling means.
또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제1하단지지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홀 및 상기 제2하단지지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결합홀 및 제4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has an uppe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lower support is inserted, and a lowe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lower support is inserted, and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by the coupling means. The third coupling hole and the fourth coupling hol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so as to be possible.
또한, 상기 기둥을 다수개 연결시키는 연결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pillars,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to prevent sagging of the trus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처짐보강대는, 상기 연결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높이조절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홀에 대응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높이조절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의 위치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gging reinforcement includes a pair of support frame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and having height adjustment hole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height adjustment frame configured to be slidable vertically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hole, and configur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support part. It feature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러스의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의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트러스를 지지하도록 브라켓을 구성하고, 처짐보강대를 통해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트러스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발판의 처짐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acke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of the truss, respectively, and to support the trus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preventing sagging of the safety footboard by configuring the truss to support the bracket through the sag reinforc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를 이용한 트러스 설치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를 이용한 안전발판 설치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에 의해 안전발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truss installation process using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hol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safety footrest installation process using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footrest is installed by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를 이용한 트러스 설치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5 are using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truss installation process.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를 이용한 안전발판 설치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에 의해 안전발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6 and 7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safety scaffold installation process using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truss for installing a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where the safety footrest is installed by the fixed structure.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는, 상부수평프레임(11)과 하부수평프레임(12)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과 하부수평프레임(12)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13)으로 이루어지는 트러스(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100), 고정클램프(200), 처짐보강대(300)를 포함한다.1 to 8,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상기 브라켓(100)은 기둥(1)에 설치되어 트러스(1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기둥(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클램프(200)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트러스(10)의 상부수평프레임(11) 및 하부수평프레임(12)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20) 및 하부지지부(130)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 및 하부수평프레임(12)의 외측에서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부지지부(120) 및 하부지지부(130)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 및 하부수평프레임(12)의 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고정판(140)으로 이루어진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120)는 트러스(10)의 상부수평프레임(11)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지지부(121)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하단지지부(122)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고정판(140)이 트러스(10)의 상부수평프레임(1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부결합부(123)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측면지지부(121)가 트러스(10)의 상부수평프레임(1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측면지지부(121)와 고정판(140)을 통해 트러스(10)의 양측에서 트러스(10)를 견고하게 밀착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20)에는 상기 고정판(140)의 상부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1결합홀(123a)이 형성되는 상부결합부(123)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결합부(123)는 상부수평프레임(11)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20)에는 고정클램프(200)의 관통 설치가 가능하도록 관통홀(12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130)는 트러스(10)의 하부수평프레임(12)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지지부(131)와,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하단지지부(132)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고정판(140)이 트러스(10)의 하부수평프레임(12)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부결합부(133)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측면지지부(131)가 트러스(10)의 하부수평프레임(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측면지지부(131)와 고정판(140)을 통해 트러스(10)의 양측에서 트러스(10)를 견고하게 밀착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하부지지부(130)에는 상기 고정판(140)의 하부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133a)이 형성되는 하부결합부(133)가 구비되는데, 상기 하부결합부(133)는 하부수평프레임(1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하부지지부(130)에는 고정클램프(200)의 관통 설치가 가능하도록 관통홀(13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40)에는 상기 제1하단지지부(122)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홀(141) 및 상기 제2하단지지부(132)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홀(14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삽입홀(141) 및 하부삽입홀(142)에 상기 제1하단지지부(122) 및 제2하단지지부(132)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하단지지부(122) 및 제2하단지지부(132)의 상단에 안착되는 트러스(10)의 하중이 고정판(140)에 분산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트러스(10)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고정판(140)에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부결합부(123) 및 하부결합부(133)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결합홀(123a) 및 제2결합홀(133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결합홀(143) 및 제4결합홀(14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고정클램프(200)는 상기 베이스판(110)을 감싸며 상기 기둥(1)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100)을 기둥(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브라켓(10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부지지부(120)의 제1관통홀(124) 및 하부지지부(130)의 제2관통홀(134)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처짐보강대(300)는 상기 기둥(1)을 다수개 연결시키는 연결지지대(2)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부(13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10)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처짐보강대(300)는 상기 하부지지부(130)의 위치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지지대(2)의 상단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높이조절홀(미도시)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310)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홀에 대응되는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되는 높이조절프레임(32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즉, 상기 처짐보강대(300)는 높이조절프레임(320)을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높이조절홀과 연통홀을 관통하도록 볼트 등을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the
한편, 브라켓(100)을 통해 트러스(10)의 고정설치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트러스(10)의 상부에 발판프레임(21)을 위치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프레임(21)에 안전발판(20)을 설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아케이드의 지붕 설치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installation of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러스(10)의 상부수평프레임(11)과 하부수평프레임(12)의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 및 하부수평프레임(12)의 내측과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트러스(10)를 지지하도록 브라켓(100)을 구성하고, 처짐보강대(300)를 통해 브라켓(100)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트러스(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발판(20)의 처짐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lower ends of the upper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se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기둥 2: 연결지지대
10: 트러스 11: 상부수평프레임
12: 하부수평프레임 13: 연결프레임
20: 안전발판 21: 발판프레임
100: 브라켓 110: 베이스판
120: 상부지지부 121: 제1측면지지부
122: 제1하단지지부 123: 상부결합부
123a: 제1결합홀 124: 제1관통홀
130: 하부지지부 131: 제2측면지지부
132: 제2하단지지부 133: 하부결합부
133a: 제2결합홀 134: 제2관통홀
140: 고정판 141: 상부삽입홀
142: 하부삽입홀 143: 제3결합홀
144: 제4결합홀 200: 고정클램프
300: 처짐보강대 310: 지지프레임
320: 높이조절프레임 1: pillar 2: connecting support
10: truss 11: upper horizontal frame
12: lower horizontal frame 13: connecting frame
20: safety footrest 21: footrest frame
100: bracket 110: base plate
120: upper support portion 121: first side support portion
122: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23: upper coupling portion
123a: first coupling hole 124: first through hole
130: lower support portion 131: second side support portion
132: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133: lower coupling portion
133a: second coupling hole 134: second through hole
140: fixing plate 141: upper insertion hole
142: lower insertion hole 143: third coupling hole
144: fourth coupling hole 200: fixed clamp
300: deflection reinforcement 310: support frame
320: height adjustment frame
Claims (5)
기둥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외측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하부수평프레임의 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판을 감싸며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기둥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In the truss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 truss comprising an upper horizontal frame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A base plat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an upper support portion and a lower support portion each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late and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respectively, and the upper horizontal A bracket formed of a fixing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by a coupling means on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to closely support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And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 plate comprising a; a fixing clamp that surrounds the base plate and is coupled to the column to fix the bracket to the column.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지지부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하단지지부와, 상기 고정판의 상부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상부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지지부와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하단지지부와, 상기 고정판의 하부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하부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pport part,
A first sid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an upper portion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by a coupling means It consists of a coupling part,
The lower support part,
A lower coupling in which a second sid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 second lower end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a second coupling hole ar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by a coupling means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rt.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제1하단지지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홀 및 상기 제2하단지지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결합홀 및 제4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plate has an uppe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lower support is inserted and a lowe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lower support is inserted, and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by the coupling means.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coupling hole and a fourth coupling hol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so as to be possible.
상기 기둥을 다수개 연결시키는 연결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러스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The method of claim 3,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pillars,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to prevent sagging of the truss sagging stiffeners; rescue.
상기 처짐보강대는,
상기 연결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높이조절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홀에 대응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높이조절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의 위치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The method of claim 4,
The sag reinforcement band,
A pair of support frame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and having height adjustment hole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frame configured to be movable vertically slidable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hole,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installing a safety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support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7350A KR102213584B1 (en) | 2019-07-19 | 2019-07-19 | Truss fixing structure for safety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7350A KR102213584B1 (en) | 2019-07-19 | 2019-07-19 | Truss fixing structure for safety plat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10031A true KR20210010031A (en) | 2021-01-27 |
| KR102213584B1 KR102213584B1 (en) | 2021-02-08 |
Family
ID=7423813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87350A Active KR102213584B1 (en) | 2019-07-19 | 2019-07-19 | Truss fixing structure for safety plat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3584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13211B1 (en) * | 2022-07-04 | 2023-12-13 | (주)한도공영 |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a safety platform for an arcad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44155A (en) * | 2002-07-10 | 2004-02-12 | Samu:Kk | Self climbing movable scaffold |
| KR101157421B1 (en) | 2011-12-09 | 2012-06-22 | 주식회사 명인 | Arcade with roof device capable of both direction open and shut |
| JP2018138717A (en) * | 2017-02-24 | 2018-09-06 | 光洋機械産業株式会社 | Beam frame mounting structure and beam frame receiving member and beam frame passing member used therefor |
-
2019
- 2019-07-19 KR KR1020190087350A patent/KR1022135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44155A (en) * | 2002-07-10 | 2004-02-12 | Samu:Kk | Self climbing movable scaffold |
| KR101157421B1 (en) | 2011-12-09 | 2012-06-22 | 주식회사 명인 | Arcade with roof device capable of both direction open and shut |
| JP2018138717A (en) * | 2017-02-24 | 2018-09-06 | 光洋機械産業株式会社 | Beam frame mounting structure and beam frame receiving member and beam frame passing member used therefo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13211B1 (en) * | 2022-07-04 | 2023-12-13 | (주)한도공영 | A truss fixing structure for a safety platform for an arcad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13584B1 (en) | 2021-02-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34833B1 (en) | Passing road width increased extention foot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 KR102102214B1 (en) | Safety handrail for beam table form | |
| KR20080037348A (en) | Scaffolding scaffolding | |
| KR102213584B1 (en) | Truss fixing structure for safety plate | |
| KR101966440B1 (en) | work safety scaffolding for installation in roof structure | |
| CN114215333B (en) | Quick construction method for outer cornices of high-rise buildings | |
| KR101811001B1 (en) | Steel pipe strut with safty working plate | |
| JP2018168587A (en) | External scaffolding for base isolation structure | |
| CN112942779A (en) | Fine-adjustable cantilever formwork system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 CN106121238A (en) | High-altitude concrete conveying device | |
| JP2018145783A (en) | Pipe support bearing implement, bearing structure and bearing method | |
| KR100901016B1 (en) | Exterior Wall Scaffolding Safety Bracket of Building | |
| KR20120133871A (en) | 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 |
| JP6858511B2 (en) | Bounce bracket | |
| JP2021130952A (en) | Protective working platfor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200409486Y1 (en) |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s | |
| KR200294830Y1 (en) | Supporting structure of scaffold for mold | |
| JP2004270377A (en) | Column-beam preassembled reinforcement body, and preassemble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0680277B1 (en) | Bracket for lifting means installed on steel frame | |
| KR200285281Y1 (en) | Supporting structure for concrete wall | |
| JP2621748B2 (en) | All-weather temporary shed | |
| JP5782347B2 (en) | Building floor structure | |
| KR20100133530A (en) | Upper Reinforcing Bar Structure | |
| KR200367391Y1 (en) | Prefab safety balustrade for a temporary of a balcony | |
| JPH09268756A (en) | Temporary stairs with landing and multi-stage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stairs with land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