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657A - Sound producing actuator - Google Patents
Sound producing actu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8657A KR20210018657A KR1020190096469A KR20190096469A KR20210018657A KR 20210018657 A KR20210018657 A KR 20210018657A KR 1020190096469 A KR1020190096469 A KR 1020190096469A KR 20190096469 A KR20190096469 A KR 20190096469A KR 20210018657 A KR20210018657 A KR 202100186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ound generating
- generating actuator
- voice coil
-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generating actuator.
평면 패널 스피커는 예컨대 휴대 전화기나 휴대 정보 단말기(PDA),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기기에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의 표시면을 덮어 기기의 표면에 배치되는 투명한 패널(평면)을 진동판으로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Flat panel speakers are used i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PDAs), and personal computers (PCs), and are generally transparent panels disposed on the surface of devices by covering the display surface of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he flat surface) is used as a vibration plate.
도 1은 평면 패널 스피커의 종래 구성의 일 예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2004-10432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액츄에이터(10)가 장착된 패널(21)에는,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22)에 그 가장자리 부분이 고정 지지되어 휴대 전화기의 표면에 배치된다. 이때, 패널(21)의 가장자리 부분과 케이스(22) 사이에는 가스켓(23)이 전체 둘레에 걸쳐 끼워지고, 이 가스켓(23)을 통하여 패널(21)이 케이스(22)에 지지된다. 도 1에서, 24는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내고, 25는 액츄에이터(10)를 인쇄 회로 기판(24)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 선을 나타낸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쇄 회로 기판(24) 상에는 표시 소자로서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가 실장된다. 1 shows a configuration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04327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a flat panel speaker. A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평면 패널 스피커에서는 액츄에이터(10)에 음성 신호를 입력하면 압전 진동판(11, 12)이 진동하고, 그 진동이 홀더(13)를 통과하여 파 형태로 패널(21)에 전달되어 패널(21) 전체에서 소리를 방사하도록 되어 있다. 패널(21)과 케이스(22) 사이에 끼워진 가스켓(23)에 의해 케이스(22)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되고 패널(21)의 진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flat panel speak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그러나 압전 진동판은 중고역 대역의 음압은 충분한 반면 저역대의 음압 발생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압전소자는 음향을 발생시킬만한 진동력은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으나, 진동 기능으로 사용할만큼의 강한 진동력은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piezoelectric diaphragm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sound pressure in the mid and mid-range is sufficient while the sound pressure in the low-range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sufficiently generate a vibration force capable of generating sound,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provide a vibration force strong enough to be used as a vibration func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압전 소자가 아닌 전자기 회로를 이용한 다이나믹 액츄에이터를 통해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진동 액츄에이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베젤리스 실현하기 위해 진동을 통해 음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가 필요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coustic vibration actuator for vibrating a panel through a dynamic actuator using an electromagnetic circuit rather than a piezoelectric element has been developed. In addition, an actuator that generates sound through vibration is required to realize bezel-less mobile devices.
그러나, 패널 또는 프레임을 진동판 대신 이용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려면 액츄에이터의 진동부가 진동판 역할을 하는 부재에 직접 밀착되어 강한 힘으로 진동시키는 직접가진 형태의 액츄에이터가 유리하다.However, in order to generate sound by using a panel or frame instead of a diaphragm, an actuator having a direct vibration part in which the vibration part of the actuator is directly in close contact with a member serving as a diaphragm and vibrates with a strong force is advantageous.
본 발명은 고출력 직접 가진 형태의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power direct-excited type of sound generating actuator.
본 발명은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을 가진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며, 요크, 마그넷 및 탑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고정부;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고정부의 자계와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어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댐핑하며, 프레임에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및 스프링에 고정되며,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전달하는 컨택 패드;를 포함하며, 전체 전고 대비 보이스 코일의 전고의 비율이 0.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for generating sound by having a frame or panel of an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A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ving a yoke, a magnet and a top plate to form a magnetic circuit; A voice coil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vibrate by a magnetic field and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fixing unit; A spring made of a metal material to which a voice coil is attached to damp vibration of the voice coil and fixed to the frame; And a contact pad fixed to the spring and transmitting vibrations of the voice coil, wherein a ratio of the total height of the voice coil to the total height is 0.4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진동대상이 되는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과 컨택 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dissipation plate installed between a frame or panel of a device to be vibrated and a contact pad;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방열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 또는 본딩으로 패널 또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dissipation plate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panel or frame by an adhesive member or bond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방열 플레이트는, 고무, 세라믹, 흑연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radiation plate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rubber, ceramic, graphite, or met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프링 상부에 부착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further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보이스 코일과 탑 플레이트 사이의 갭이 0.1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voice coil and the top plate is 0.12mm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요크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oke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wo or more fastening portions for fastening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to a frame or panel of a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프레임에 인서트 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의 시선과 종선이 단자부에 직접 연결되어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frame, and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of sight and the vertical line of the voice coil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to conduct electric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요크 또는 프레임은,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oke or the frame provide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wo or more fastening portions for fastening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을 가진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며, 요크, 마그넷 및 탑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고정부;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고정부의 자계와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어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댐핑하며, 프레임에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및 스프링의 중앙면이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에 부착되어 진동을 전달하며, 전체 전고 대비 보이스 코일의 전고의 비율이 0.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generating actuator for generating sound by having a frame or panel of an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A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ving a yoke, a magnet and a top plate to form a magnetic circuit; A voice coil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vibrate by a magnetic field and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fixing unit; A spring made of a metal material to which a voice coil is attached to damp vibration of the voice coil and fixed to the frame; And a central surface of the spring is attached to the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to transmit vibration, and a ratio of the total height of the voice coil to the total height is 0.4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프링은 프레임 상에 안착되는 외주부, 외주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에 부착되는 중앙부, 외주부와 중앙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구비하며, 브릿지의 양단이 굴곡되어 중앙부와 외주부는 높이 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has an outer periphery seated on the frame, a central portion attached to the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and a bridge elastically connecting the outer periphery and the central portion,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y, and Both ends are bent to provide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has a height differe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중앙부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in a flat surface.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패널 또는 프레임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므로 보이스 코일 등을 비롯한 진동부의 진폭이 매우 작아 진동 공간이 적게 확보되어도 무방하다는 점을 활용해, 보이스 코일의 전고를 키워 진동력을 증대시켰다는 장점이 있다.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sound by vibrating a panel or frame, so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unit including the voice coil is very small,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mall vibration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voice coil.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vibration for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면 패널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요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요크와 프레임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멀티미디어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멀티미디어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스프링이 패널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lat panel 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yoke provided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yoke and a frame provided in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ultimedia device;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media device is installed in the multimedia device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media device is installed in the multimedia device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pring provided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ring provided in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pane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00)을 구비한다. 프레임의 하면에는 요크(210)가 결합되며, 요크(210) 상에 부착되는 센터 마그넷(220), 센터 마그넷(220)과 에어갭을 두고 요크(210) 상에 결합되는 사이드 마그넷(230), 센터 마그넷(220)과 사이드 마그넷(230) 상에는 자계 형성을 돕는 센터 탑 플레이트(240)와 사이드 탑 플레이트(250)가 각각 부착된다. 요크(210), 센터 마그넷(220), 사이드 마그넷(230), 센터 탑 플레이트(240) 및 사이드 탑 플레이트(250)는 자계를 형성하는 자기 회로이며, 액츄에이터의 고정부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센터 마그넷(220)과 네 개의 사이드 마그넷(230)으로 구성된 5 마그넷 타입 자기 회로를 적용하였으나, 1 마그넷 타입, 2 마그넷 타입, 3 마그넷 타입 등 상호 전자기력을 통해 보이스 코일(300)을 진동시킬 수 있는 자기 회로라면 마그넷의 갯수는 몇 개여도 무방하다.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센터 마그넷(220)과 사이드 마그넷(230) 사이의 에어 갭에 보이스 코일(300)이 상하로 진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보이스 코일(300)의 상단은 스프링(400)에 부착된다. 스프링(400)의 외주부는 프레임(100) 상에 부착되고, 스프링(400)의 중앙에는 컨택 패드(500)가 설치된다. 컨택 패드(500)는 장치의 패널이나, 장치의 프레임 혹은 장치의 브라켓 등에 접촉하여 장치를 직접 가진하며 음향을 발생한다. 이때, 스프링(400)의 강성은 1N/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때,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전체의 전고(A) 대비, 보이스 코일(300)의 전고(B)의 비율이 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경우, 별도의 진동판을 구비하지 않으며, 컨택 패드(500)가 접촉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이 진동하며 진동판의 역할을 대신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은 대략 0.1mm 이하의 매우 작은 진폭을 가진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300)의 진동 공간 역시 진폭인 0.1mm 내외의 매우 작은 공간만 확보되어도 충분하다. 그에 따라, 요크(210)와 보이스 코일(30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보이스 코일(300)의 전고를 키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300)의 턴 수 증가로 인해, 진동력이 증가하여 음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total height (B) of the
또한 보이스 코일(300)과 탑 플레이트(240, 250) 사이의 간격은 0.12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이스 코일(300)의 진폭이 작기 때문에, 탑 플레이트(240, 250)와 보이스 코일(300) 사이의 갭을 줄일 수 있다. 열원인 보이스 코일(300)과 열을 전도하는 탑 플레이트(240, 250) 사이의 간격이 적어지면, 방열에 유리하며, 센터 탑 플레이트(240)와 사이드 탑 플레이트(250) 사이의 간격도 작아지기 때문에 자기 회로의 효율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력이 증대되어 음향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요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요크(210)는, 프레임(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결합면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부(212)가 형성된다. 돌출부(212)는 프레임(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굴곡된 다음 프레임(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212)에는 체결 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체결홀(214)을 구비되어, 돌출부(212)를 통해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가진을 원하는 장치에 체결할 수 있다. 4 is a view showing a yoke provided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프레임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frame provided in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임(100)은 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부(110)가 형성된다. 연장부(110)에는 체결 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체결홀(112)이 구비되어, 연장부(110)를 통해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가진을 원하는 장치에 체결할 수 있다. The
연장부(110)는 필요에 따라, 프레임(100)의 측면에서 하단, 중단 혹은 상단에 필요한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0)는 2개인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3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If necessary,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크(210)의 돌출부(212)에 형성된 체결홀(212; 도 4 참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설치될 장치의 프레임(2)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 부재(3)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패널(1)과 터치 패드(500)도 서로 접착 부재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ultimedia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멀티미디어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컨택 패드(500)와 멀티미디어 장치의 패널(1) 사이에 방열 플레이트(600)가 추가로 구비된다.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의 경우, 액정과 강화유리 사이의 접착이 고온, 진동에 의해 손상되어 액정과 강화유리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컨택 패드(500)와 패널(1) 사이에 방열 플레이트(600)를 설치하였다. 방열 플레이트(600)는 금속, 고무, 세라믹, 흑연 등 방열성이 좋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600)는 방열 효과를 높이고, 진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과 강화유리 사이의 접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방열 플레이트(600)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본딩에 의해 패널(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media device is installed in a multimedia device in which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멀티미디어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스프링(400) 상부에 부착되는 스크린(700)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400)은 프레임(100) 상에 안착되는 외주부(미도시)와, 컨택 패드(500)가 결합되는 중앙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외주부와 중앙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구비한다. 이때, 브릿지 주위로는 천공부가 형성되어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상부에 스크린(700)이 부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브릿지를 덮는 스크린(700)이 부착된다.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media device is installed in the multimedia device in which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하는 스프링이 패널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spring provided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spring provided by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panel It is a drawing shown.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별도의 컨택 패드를 구비하는 대신 스프링(400a)의 중앙부(410a)를 평탄면으로 하고, 중앙부(410a)가 패널(1)에 부착되어 패널(1)을 진동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스프링(400a)은 프레임(100; 도 3 참조)에 안착되는 외주부(410a), 외주부(410a)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중앙부(420a), 외주부(410a)와 중앙부(420a)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430a)를 구비한다. 브릿지(430a)는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브릿지(430a)의 양단이 벤딩되어, 외주부(410a)보다 중앙부(420a) 사이에 높이차가 생기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부(420a)가 외주부(410a)다 높이 형성됨으로써, 패널(1)을 진동시키는 데 유리하다.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having a separate contact pad,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프레임(100b)에 통전을 위한 단자(110b)가 인서트 되며, 보이스 코일(300b)의 시선(310b)과 종선(320b)이 단자에 직접 연결된다.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110b for electric current is inserted into the
따라서,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생산 공정 자동화에 유리하다. 또한, 별도의 F-PCB를 구비하지 않아, F-PCB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도 필요로 하지 않아 마그넷(220, 230)의 크기를 키울 수 있어, 진동력 증대에 도움이 된다.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automat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F-PCB is not provided, a space for installing the F-PCB is not required, so the size of the
Claims (12)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며, 요크, 마그넷 및 탑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고정부;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고정부의 자계와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어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댐핑하며, 프레임에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및
스프링에 고정되며,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전달하는 컨택 패드;를 포함하며,
전체 전고 대비 보이스 코일의 전고의 비율이 0.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for generating sound by having a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frame;
A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ving a yoke, a magnet and a top plate to form a magnetic circuit;
A voice coil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vibrate by a magnetic field and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fixing unit;
A spring made of a metal material to which a voice coil is attached to damp vibration of the voice coil and fixed to the frame; And
Includes; a contact pad fixed to the spring and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total height of the voice coil to the total height is 0.4 or more.
진동대상이 되는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과 컨택 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A sound generating actuator further comprising a heat dissipation plate installed between the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to be vibrated and the contact pad.
방열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 또는 본딩으로 패널 또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 dissipation plate is an acoustic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member or bonding to the panel or frame.
방열 플레이트는, 고무, 세라믹, 흑연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 radiation plate i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rubber, ceramic, graphite or metal material.
스프링 상부에 부착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omprising a; screen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보이스 코일과 탑 플레이트 사이의 갭이 0.1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voice coil and the top plate is 0.12mm or less.
요크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yoke is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wo or more fastening portions for fastening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to the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프레임에 인서트 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의 시선과 종선이 단자부에 직접 연결되어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the frame,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of sight and the vertical line of the voice coil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conduct electricity.
요크 또는 프레임은,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
The yoke or the frame,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wo or more fastening portions for fastening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며, 요크, 마그넷 및 탑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고정부;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고정부의 자계와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어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댐핑하며, 프레임에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및
스프링의 중앙면이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에 부착되어 진동을 전달하며,
전체 전고 대비 보이스 코일의 전고의 비율이 0.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for generating sound by having a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frame;
A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ving a yoke, a magnet and a top plate to form a magnetic circuit;
A voice coil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vibrate by a magnetic field and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fixing unit;
A spring made of a metal material to which a voice coil is attached to damp vibration of the voice coil and fixed to the frame; And
The central side of the spring is attached to the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to transmit vibration,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total height of the voice coil to the total height is 0.4 or more.
스프링은 프레임 상에 안착되는 외주부, 외주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장치의 프레임 또는 패널에 부착되는 중앙부, 외주부와 중앙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를 구비하며, 브릿지의 양단이 굴곡되어 중앙부와 외주부는 높이 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0,
The spring is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y seated on the frame, and has a central portion attached to the frame or panel of the device, and a bridge elastically connecting the outer periphery and the central portion.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eight difference.
중앙부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The method of claim 11,
A sound generating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in a flat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96469A KR102285870B1 (en) | 2019-08-08 | 2019-08-08 | Sound producing actu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96469A KR102285870B1 (en) | 2019-08-08 | 2019-08-08 | Sound producing actua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18657A true KR20210018657A (en) | 2021-02-18 |
| KR102285870B1 KR102285870B1 (en) | 2021-08-06 |
Family
ID=7468861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96469A Expired - Fee Related KR102285870B1 (en) | 2019-08-08 | 2019-08-08 | Sound producing actua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85870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51440A (en) * | 2023-04-11 | 2024-10-18 | 주식회사 알머스 | Speaker unit for earphon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322292A (en) * | 1996-05-31 | 1997-12-12 | Kenwood Corp | Speaker and its manufacture |
| JP2004104327A (en) | 2002-09-06 | 2004-04-02 | Hosiden Corp | Actuator for piezoelectric speaker |
| JP2015046933A (en) * | 2014-11-04 | 2015-03-1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Speaker device |
| KR20170135465A (en) * | 2016-05-31 | 2017-12-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 KR20180098752A (en) * | 2017-02-27 | 2018-09-05 | 에스텍 주식회사 | Panel excitation type speaker with enhanced radiation performance |
-
2019
- 2019-08-08 KR KR1020190096469A patent/KR1022858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322292A (en) * | 1996-05-31 | 1997-12-12 | Kenwood Corp | Speaker and its manufacture |
| JP2004104327A (en) | 2002-09-06 | 2004-04-02 | Hosiden Corp | Actuator for piezoelectric speaker |
| JP2015046933A (en) * | 2014-11-04 | 2015-03-1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Speaker device |
| KR20170135465A (en) * | 2016-05-31 | 2017-12-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 KR20180098752A (en) * | 2017-02-27 | 2018-09-05 | 에스텍 주식회사 | Panel excitation type speaker with enhanced radiation performanc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51440A (en) * | 2023-04-11 | 2024-10-18 | 주식회사 알머스 | Speaker unit for earpho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85870B1 (en) | 2021-08-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779526B2 (en) | Panel speaker | |
| KR102167474B1 (en) | Hybrid actuator | |
| US11937060B2 (en) | Surface sound-emi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 US9161134B2 (en) |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 CN110572749A (en) | Mobile terminal | |
| KR102252025B1 (en) | Sound producing actuator | |
| KR102214664B1 (en) | Sound producing actuator | |
| KR102285870B1 (en) | Sound producing actuator | |
| CN111405439B (en) | speaker | |
| CN211909160U (en) | Speaker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2167493B1 (en) | Actuator | |
| US11462199B2 (en) | Hybrid actuator and multimedia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KR102183882B1 (en) | Hybrid actuator | |
| US10631092B2 (en) | Speaker | |
| CN208940210U (en) | Key sound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2167410B1 (en) | Hybrid actuator and multimedia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KR102167417B1 (en) | Actuator | |
| CN111405440B (en) | receiver | |
| KR102227140B1 (en) | Sound producing actuator | |
| CN118678270B (en) | Sound 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2195130B1 (en) | Sound producing actuator | |
| KR102699321B1 (en) | Actuator for generating sound and vibration | |
| CN220711600U (en) | Sound driver module,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device | |
| CN222814595U (en) | Sound generating devices and electronic equipment | |
| CN118678269A (en) | Sound 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2-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not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2-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7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