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23927A -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 Google Patents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927A
KR20210023927A KR1020210022134A KR20210022134A KR20210023927A KR 20210023927 A KR20210023927 A KR 20210023927A KR 1020210022134 A KR1020210022134 A KR 1020210022134A KR 20210022134 A KR20210022134 A KR 20210022134A KR 20210023927 A KR20210023927 A KR 2021002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lastic
laser
laser beam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1103B1 (en
Inventor
나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306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1435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리
Priority to KR102021002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103B1/en
Publication of KR2021002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10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03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65/1612Infrared [IR] radiation, e.g. by infrared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5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specific variables not covered by groups B29C66/91 - B29C66/94
    • B29C66/95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specific variables not covered by groups B29C66/91 - B29C66/94 characterised by specific values or ranges of said specific vari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annealing)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제 1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제 2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플라스틱 용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용착 장치는, 상기 제 1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제 2 플라스틱을 밀착시키고, 상기 밀착된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며, 상기 레이저 빔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플라스틱을 투과하면서 제 1 흡수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의 제 1 밀착영역에 나머지 빔이 제 2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흡수 및 제 2 흡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밀착 영역이 용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 plastic welding device for welding an impermeable first plastic and a transparent second plastic without annealing using a laser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 welding device comprises: the first plastic and A second transparent plastic is adhered to each other, and a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adhered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aser beam is first ab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lastic, and the first plastic and The remaining beam may be secondly absorbed into the first contact area of the second plastic, and the first contact area may be welded by using the first absorption and the second absorption.

Description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장치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annealing)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welding an impermeable plastic and a transmissive plastic using a laser beam without an annealing proces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opaque plastics and transmissive plastics without annealing by using a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of 1400 to 3000 nm.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된 두 개의 부재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접합하고자 하는 상, 하부 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접착제를 바르거나 초음파용착 또는 진동 용착 방식을 통해 접합하는 방식이 있다.In general, as a method of joining two members made of thermoplastic resin, there is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to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to be joined, or joining through ultrasonic welding or vibration welding.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접착제의 사용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되고, 접합부분이 매끄럽지 않으며, 또한 접합강도가 일정하지 않아 기계적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제품 내부의 손상이 발생되었으며 무엇보다 수밀성의 문제가 야기되었다.However, in this method,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adhesive, the joint part is not smooth, and the joint strength is not constant, so when an external mechanical force is applied, damage to the inside of the product occurred, and above all, watertightness problems were caused.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국부적으로 열을 전도함과 동시에 비접촉식으로 구현하는 레이저 용착방법이 제안되었다.Based on this problem, a laser welding method that conducts heat locally and implements a non-contact type at the same time has been proposed.

레이저 용착방법이란, 용착 대상물인 커버와 하우징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투과성 커버와 하우징의 테두리 부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용착결합하는 것으로서, 커버를 투과한 레이저가 하우징의 표면에서 흡수되고, 흡수된 레이저가 커버와 하우징의 경계면에서 하우징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하우징을 커버에 용착결합하는 방법이다. The laser welding method is to weld and bond the transmissive cover and the edge of the housing with a laser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and the housing to be welded are in close contact. The las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ver is absorbed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absorbed laser is It is a method of welding and bonding the housing to the cover by heating and melting the hous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그런데 레이저 용착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는 동종 재질로 되어야 한다. 만약 이종 재질의 부재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용착하고자 할 경우, 재질에 따른 온도특성이 달라 용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However, in order to enable laser welding,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must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If a member of a different material is to be welded using a laser, since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terial are different, the welding is not completely performed.

즉, 일반적인 레이저 용착방식으로는, 이종 재질로 된 자동차램프, 즉 PC 및 PMMA 재질로 된 투과성 커버와, 자동차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PP, PET 또는 ABS 재질로 비투과성 하우징을 상호 용착하기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았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s a general laser welding method,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weld a non-transparent housing made of PP, PET, or ABS material to each other as a vehicle lamp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at is, a transparent cover made of PC and PMMA materials, and a transparent cover made of PC and PMMA materials, which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re was a problem that I didn't.

또한, 상기한 레이저 용착방법에 있어서, 레이저가 커버를 투과한 후 하우징의 표면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표면은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여 용융되지만, 커버는 레이저가 투과되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laser welding method, since the laser is absorbed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cover, the surface of the housing sufficiently increases and melts, but the temperature does not rise because the cov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laser.

따라서 커버의 온도는 하우징에 비하여 상당히 낮아 큰 온도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온도차는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용착을 견고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용착품질을 균일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중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하여 커버가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었다.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is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the housing, and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and this temperature difference makes the weld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ver not firm and at the same time non-uniform welding quality. Therefore, a phenomenon in which the cover is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by the vibration applie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has often occurred.

이 경우 비나 눈 또는 외부 습기가 커버와 하우징의 분리된 틈새로 침투되어 자동차 램프 내에서 이슬이 맺히게 되고, 이러한 이슬은 램프의 전극에 부식을 일으켜 램프 수명이 짧아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In this case, rain, snow, or external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gap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causing dew to form in the vehicle lamp, and this dew causes corrosion on the electrodes of the lamp, which shortens the lamp life.

이러한 큰 온도차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면서, 용착품질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어닐링(annealing) 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such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o make the welding quality uniform, an annealing process may be applied.

어닐링 과정은 열처리를 하여 경화시킨 합금을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실온까지 서서히 식혀 연하게 하는 처리법으로,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안정된 평형상태로 하는 과정을 말한다.The annealing process is a treatment method in which an alloy hardened by heat treatment is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o gradually cool down to room temperature to soften it.In the case of a material in which a phase change occurs as the temperature rises or falls, it is gradually cooled ove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to obtain a stable equilibrium state. Say.

그러나 이러한 어닐링 과정을 적용하게 되면, 용착 전체 과정에 있어 단락공정 부분이 발생하고,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높아진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uch an annealing process is applied, there is a big problem that a short-circuit process part occurs in the entire weld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markably increased.

따라서 레이저빔을 기초로, 상부의 투명 재질을 용융시키면서 하부의 자재를 함께 용융하여 용착함으로써, annealing 공정 없이 고품질의 용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technology that enables high-quality welding without annealing process by melting and welding the lower material together while melting the upper transparent material based on the laser beam.

(1)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2/382633호(1) U.S. Patent Application No. 12/382633 (2)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2/551837 호(2) U.S. Patent Application No. 12/551837 (3)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16-052587호(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05258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welding device using a la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o a us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annealing)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impermeable plastics and transmissive plastics without annealing process using a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of 1400 to 3000 nm.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annealing)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제 1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제 2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플라스틱 용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용착 장치는, 상기 제 1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제 2 플라스틱을 밀착시키고, 상기 밀착된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며, 상기 레이저 빔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플라스틱을 투과하면서 제 1 흡수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의 제 1 밀착영역에 나머지 빔이 제 2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흡수 및 제 2 흡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밀착 영역이 용착되도록 하고, 상기 레이저 빔은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고, 상기 제 2 플라스틱을 투과한 레이저 빔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반사면에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레이저 빔이 상기 제 1 밀착영역과 다른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의 제 2 밀착영역으로 흡수되며, 상기 제 1 밀착 영역 및 제 2 밀착영역이 함께 용착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 중 적어도 일부가 굴곡진 파트(part)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플라스틱 용착 장치는, 상기 제 1 플라스틱과 상기 제 2 플라스틱을 밀착시키기 이전에, 상기 굴곡진 파트에 대한 제 1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레이저 빔은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 출력값, 속도 및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과의 이격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굴곡진 파트에 대한 길이, 높이변화 및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레이저 빔이 유입되는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를 갖는 단차로 형성된 중간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밀착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으로는 상기 레이저 빔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플라스틱 용착 장치는, 상기 밀착된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이전에, 상기 밀착된 제 1 플라스틱과 제 2 플라스틱을 지그(jig)를 이용하여 추가 밀착시키고, 상기 지그는 투명이며, 상기 제 1 밀착 영역 중 상기 레이저 빔의 입사각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하이거나 입사되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는 영역에서는 상기 레이저 빔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In a plastic welding device for welding an impermeable first plastic and a transparent second plastic without an annealing process using a laser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lastic welding device Is, the first plastic and the transmissive second plastic are in close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plastics are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aser beam is first ab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lastic The remaining beam is secondly absorbed into the first contact area of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and the first contact area is welded by using the first absorption and the second absorption, and the laser beam is The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1400 to 3000 nm, at least part of the laser beam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lastic is reflected on a reflective surface provi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lastic, and the reflected laser beam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act area. The first and second plastics are absorbed into a second contact area, the first contact area and the second contact area are welded togeth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is bent. If present, the plastic welding device collects first information on the curved part, and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accor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before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djust at least one of a focal length, an output value, a speed of the laser beam,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and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length, height change, and shape information for the curved part. And, by forming an intermediate surface formed with a step having an angle exceeding a critical angle into which the laser beam is introduc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the laser The beam is prevented from entering, and the plastic welding field Chi, before irradiating the laser beam to the first and second plastics, the first and second plastics are further closely contacted using a jig, and the jig is transparent, and the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may be increased in a region in which the incident angle of the laser beam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or the incident energy density is increased among the first contact regi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 welding device using a la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n be provided to a us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annealing)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opaque plastics and transmissive plastics without annealing process using a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of 1400 to 3000 nm.

본 발명에 따르면, 어닐링 과정의 적용을 생략함으로써, 용착 전체 과정에 있어 단락공정 부분을 없애고,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ort circuit process part in the entire welding process can be elimin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용착은 저비용 고효율로 플라스틱 접합이 가능하고, 비접촉식 용착 방법으로써 진동, 충격, 열에 의한 제품의 외관 변형이 없으며, 버(Burr) 또는 보푸라기(Fluff)가 발생하지 않아 접합 품질이 뛰어나고, 2D, 3D 형상의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여 크기나 형상에 구애 받지 않으며, 자동화가 용이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lase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lastic bonding with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and as a non-contact welding method, there is no external deformation of the product due to vibration, shock, and heat, and the bonding quality is excellent because no burr or fluff occurs. As it can be applied to products of 2D, 3D shape, regardless of size or shape, automation is easy, and system stability can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플라스틱의 용착에 이용될 수 있는 접착제 이용 용착 방식, 진동 이용 용착 방식 및 초음파 이용 용착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레이저 용착 공정 모식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의 블록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투과성 커버를 예열시키기 위한 파장대의 레이저빔과 투과성 커버와 비투과성 하우징 사이의 용착경계면을 융용시키는 다른 파장대의 레이저빔을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외선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빔을 투과성 커버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밀착된 하우징의 밀착영역 측으로 조사함으로써, 투과성 커버의 투과영역을 예열시키고, 밀착영역을 용융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자동차 램프에 대한 레이저 용착에 있어 바람직한 조건 값들을 정리한 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반사면을 내부에 두어 원하는 영역의 용착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나의 레이저 소스를 기초로, 굴곡진 객체의 기준점으로부터의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초점거리, 출력값 등을 조절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불투명 플라스틱에 접촉하는 투명 플라스틱 하면을 지그에 수직하는 각도를 갖도록 용착면을 형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착면과 투과부 사이에 중간면을 형성하고, 레이저에 대해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가 되도록 형성하여, 내부로의 레이저 유입을 방지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누르는 지그를 투명으로 적용하고, 레이저가 지그를 통과하여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밀착 정도를 높이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우징에서 돌출된 용착기부가 용착되는 수지커버에 형성된 안착부에 삽입 결함됨으로써, 별도의 지그없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과 관련된 레이저 용착 시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limited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shows an example of a welding method using an adhesive, a welding method using vibration, and a welding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that can be used for welding of plastics.
2 shows an example of a schematic diagram of a laser welding proces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lding method using a laser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 welding device using a las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xample of using a laser beam in a wavelength band for preheating a transparent cover and a laser beam in another wavelength band for melting a welding boundary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and the non-transmissive housing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ample of preheating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transparent cover and melting the contact area by irradiating a laser beam having an infrared wavelength band through the edge of the transmissive cover toward the contact area of an adherin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 did it.
7 is a table showing the preferred condition values for laser welding to an automobile lamp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ample of performing welding of a desired area by placing a reflective surface therei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djusting a focal length, an output value, and the like using height information from a reference point of a curved object based on one laser sour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illustrate an example of forming a welding surface such that a lower surface of a transparent plastic contacting an opaque plastic has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jig.
11 shows an example of preventing laser inflow into the interior by forming an intermediate surface between the welding surface and the transmitting part and forming an angle exceeding a cri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n exampl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adhesion by applying a pressing jig transparently and allowing the laser to reach through the jig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lder protruding from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resin cover to be welded, thereby maintaining a close contact without a separate jig.
14A to 14D are graphs for explaining the laser welding marke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플라스틱의 용착에 이용되는 종래의 기술Conventional technology used for plastic welding

도 1은 플라스틱의 용착에 이용될 수 있는 접착제 이용 용착 방식, 진동 이용 용착 방식 및 초음파 이용 용착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welding method using an adhesive, a welding method using vibration, and a welding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that can be used for welding of plastics.

도 1의 (a)에 도시된 접착제 방식은, 접합된 이음새의 부품들을 연결할 제 3의 소재인 접착제가 필요하다.The adhesive method shown in (a) of FIG. 1 requires an adhesive, which is a third material to connect the parts of the joined joint.

접착제 방식은, 소재에 영구적으로 결합시키는 매우 효율적인 결합 방법으로, 가시광선/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많이 쓰이고 있다.The adhesive method is a very efficient bonding method that permanently   bonds to a material  , and a visible/ultraviolet curing adhesive is widely used.

도 1의 (b)에 도시된 진동 용착 방식은, 주파수와 진폭에 의해 좌우 진동마찰, 가압하면서 플라스틱 용융을 확산하는 방식이다.The vibration welding method shown in FIG. 1(b) is a method of diffusing plastic melt while lateral vibration friction and pressure are appli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amplitude.

진동 용착 방식은. 내압 및 고강도를 요하는 플라스틱 제품에 주로 사용되고, 결정성 수지의 용착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The vibration welding method. It is mainly used for plastic products that require internal pressure and high strength, and is mainly used for welding of crystalline resins and engineering plastics.

또한, 도 1의 (c)에 도시된 초음파 용착 방식은, 마찰 및 진동 에너지의 열 변환을 기반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welding method shown in (c) of FIG. 1 is based on thermal conversion of friction and vibration energy.

초음파 용착 방식은, 고주파수 진동이 압력과 함께 접합될 부품으로 전달한다.In the ultrasonic welding method, high-frequency vibrations are transmitted together with pressure to the parts to be joined.

초음파 용착 방식은 마찰열로 인한 미세 용융은 진동 경계면에서 발생하게 된다.In the ultrasonic welding method, fine melting due to frictional heat occurs at the vibration interface.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 이용 용착 방식, 진동 이용 용착 방식 및 초음파 이용 용착 방식은,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접합부분이 매끄럽지 않으며, 강도가 일정하지 않고, 수밀성과 관련된 문제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However, such a welding method using an adhesive, a welding method using vibration, and a welding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joint portion is not smooth, the strength is not constant, and problems related to watertightness occur frequently.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국부적으로 열을 전도함과 동시에 비접촉식으로 구현하는 레이저 용착방식을 제안 및 적용한다.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a laser welding method that conducts heat locally and implements a non-contact method is proposed and applied.

레이저 용착 기술Laser welding technology

용착(Welding)은 서로 분리된 재료를 열, 압력 또는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해서 접합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각종 전자부품에서 대형 항공기, 유조선, 발전시설 등에 이르기까지 1차 가공 상태의 재료로부터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제품의 제조, 수리, 보수에까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Welding refers to the technology of bonding separated materials by applying heat, pressure, or heat and pressure at the same time. From various electronic parts to large aircraft, oil tanker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etc., high added value is obtained from materials in the state of primary processing. It is indispensable to the manufacturing, repair, and repair of the product to be created.

특히, 레이저에서 발생하는 빛을 이용한 레이저 용착은 렌즈를 통해 집중시킨 열 에너지를 이용한 용착 방법으로, 레이저 발생장치의 고출력화, 고품질화, 고효율화, 고휘도화 등에 힘입어 고장력강,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강, 플라스틱 등 여러 종류의 재료를 용착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In particular, laser welding us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aser is a welding method using the heat energy concentrated through the lens. High-strength steel,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plastic due to the high power, high quality, high efficiency, and high luminance of the laser generator. It is applied to welding various kinds of materials such as.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레이저 용착 공정 모식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n example of a schematic diagram of a laser welding proces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투과용 소재와 흡수용 소재(투과체/흡수체)를 공압(Clamping force)하에 고정시킨 뒤, ① 레이저가 조사되고 레이저 빔이 레이저 투과체를 통과하고, ② 흡수체에 도달하고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전환되며, ③ 전환된 열에너지는 흡수체를 용융시키고 열을 전달에 의해 투과체와의 용융풀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접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after fixing the material for laser transmission and the material for absorption (transmitter/absorber) under a clamping force, ① laser is irradiated and the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laser transmissive body, and ② reaches the absorber. Then, it is absorbed and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③ The converted thermal energy melts the absorber and transfers heat to form a molten pool with the permeable body, and finally joins it.

또한,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In addi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lding method using a laser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의 출력 방향 및 초점의 조정은, 가공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중요한 요소가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adjustment of the laser output direction and focu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the processing accuracy.

즉, 레이저 출력되면,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로 확장되고, 확장된 레이저가 반사 거울 통해 방향이 조절되며, 초점 렌즈를 통해서 집중되어 피가공물에 조사된다.That is, when the laser is output, it is expanded by a beam expander, the direction of the expanded laser is adjusted through a reflecting mirror, and is focused through a focus lens and irradiated onto the workpiece.

이러한,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은 상호 용접되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밀착한 후, 밀착된 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용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부재는 레이저광이 투과되는 재질이고, 하부부재는 레이저광이 흡수되어 발열되는 재질일 수 있다.In such a welding using a laser,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be welded to each other are closely contacted, and then the edge portion of the adhered member is welded using a laser. In this case, the upper member is a material through which laser light is transmitted, and the lower member May be a material that generates heat by absorbing laser light.

이때, 레이저광은 상부부재를 통과한 후 하부부재에 흡수되면서 가열되고, 발생된 열이 상부부재로 전달되면서 상호 열용착 되어 용접된다.At this time, the laser light passes through the upper member and is heated while being absorbed by the lower member, and the generated heat is transferred to the upper member and is thermally welded to each other to be welded.

레이저 용착 영향 인자로서, 레이저 용착을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소재적 측면인 투과도, 재료의 상용성, 두께 등을 고려하고, 용착 공정 측면에서 레이저 출력, 조사 속도(Feedrate), 클램핑 압력 및 전용 지그유무, 레이저 파장, 빔 직경, 제품의 디자인 형상 등이 고려될 수 있다.As a factor influencing laser welding, in order to control laser welding, consider the transmittance, material compatibility, and thickness in terms of material, and in terms of the welding process, laser output, irradiation rate, clamping pressur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dicated jig, laser Wavelength, beam diameter, product design shape, etc. can be considered.

용착 공정 측면과 관련하여, 레이저 빔의 직경 및 파장, 출력, 조사 속도 및 횟수는 제품의 용착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되는 레이저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용착부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위의 변수는 결정된다.Regarding the aspect of the welding process, the diameter and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the power, the irradiation speed, and the number of tim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welding quality of the product,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laser used, and the above variables according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welding part. Is determined.

또한, 흡수체의 발열에 의해 외관에 변형 및 Burning이 없게 최적화하는 작업(DOE: Design Of Energy) 작업은 필수적이고, 또한 사용되는 Clamp, 즉 Jig의 압력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In addition, the work of optimizing the exterior without deformation and burning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absorber (DOE: Design Of Energy) is essential, and the clamp used, that is, the pressure of the jig is equally important.

플라스틱 소재를 레이저로 용착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플라스틱 접합은 실제 제품으로 양산하기 위해 다양한 요건을 필요로 한다.Regarding the technology of laser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plastic bonding requires various requirements in order to mass-produce into actual products.

대량 공업 생산에서 효율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야 하며 비용 측면에서도 기존의 Bolting 공정에서보다 단순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접합 기술의 종류로는 레이저 용착을 비롯하여 회전 용착, 진동 용착, 초음파/고음파 용착 등이 있고, 레이저 용착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착 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It must be able to be manufactured efficiently in mass industrial production, and in terms of cost, simplification is required than in the existing bolting process, and the types of these bonding technologies include laser welding, rotational welding, vibration welding, and ultrasonic/harmonic welding. In general, laser welding has been suggested as an optimal method to solve the difficulties that occur during plastic welding.

플라스틱 수지를 레이저로 용착하는 기술은 레이저 빔의 에너지가 한 부품의 플라스틱 수지를 투과하고 다른 부품이 수지에 흡수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며, 흡수된 레이저 에너지는 열 에너지로 변환되며 두 부품에 적당한 힘을 가해주면 서로 용착되는 원리로 적용된다.The technology of laser welding of plastic resin uses the property that the energy of the laser beam penetrates the plastic resin of one part and the other part is absorbed by the resin, and the absorbed laser energy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applies an appropriate force to both parts When applied, they are applied as a principle that they are welded to each other.

주 적용 분야로는, 자동차 램프 하우징, 체외(유리관 내) 진단 기구의 플라스틱 수지 용착, 미세유체 기기 등 초소형 튜브 접합을 들 수 있다.The main application fields include the welding of plastic resins in automobile lamp housings, external (intra-glass) diagnostic tools, and micro-tube bonding such as microfluidic devices.

레이저 용착은 저비용 고효율을 효과로 플라스틱 접합에 있어 이슈가 되고 있는데, 비접촉식 용착 방법으로써 진동, 충격, 열에 의한 제품의 외관 변형이 없고, 버(Burr) 또는 보푸라기(Fluff)가 발생하지 않아 접합 품질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Laser welding is an issue in plastic bonding due to its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As a non-contact welding method, there is no external deformation of the product due to vibration, shock, or heat, and there is no burr or fluff, so the quality of bonding is po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xcellent.

또한,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레이저 용착은 2D, 3D 형상의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여 크기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화가 용이하며, 시스템의 안정성이 뛰어날 수 있다.In addition, laser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can be applied to 2D and 3D-shaped products, so it is easy to automate, and system stability can be excellent, regardless of size or shape.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Welding device using la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welding device using a las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의 블록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 welding device using a las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는 레이저 방출부(10), 확장부(20), 미러부(30), 렌즈부(40), 모터부(50), 제어부(60), 압착부(80), 전원공급부(91), 통신부(92), 사용자 입력부(93), 메모리(94), 인터페이스부(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emission unit 10, an extension unit 20, a mirror unit 30, a lens unit 40, and a motor unit 50. , A control unit 60, a compression unit 80, a power supply unit 91, a communication unit 92, a user input unit 93, a memory 94, an interface unit 95, and the like.

먼저, 레이저 방출부(10)는 레이저를 방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laser emitter 10 provides a function of emitting a laser.

레이저 방출부(10)는 예시적으로 수평축으로 설치되어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수직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laser emitter 10 is exemplarily installed on a horizontal axis to emit a laser, and alternatively, may be installed on a vertical axis.

다음으로, 확장부(20)는 레이저 방출부(10)에서 출력된 레이저의 직경을 확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미러부(30)는 확장부(20)에서 확장된 레이저의 방향을 조절하여 정렬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expansion unit 20 provides a function of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emission unit 10, and the mirror unit 30 is aligned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laser expanded from the expansion unit 20 Provides the ability to adjust the degree.

레이저 방출부(10)에서 수평 방향으로 방출된 레이저는 미러부(3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확장부(20)를 통과하게 된다. The laser emit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aser emission unit 10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irror unit 30 to pass through the expansion unit 20.

이때, 확장부(20)에 의해 레이저의 직경이 확장되는 비율에 따라 피가공물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면적이 변화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ser irradiated to the workpie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atio at which the diameter of the laser is expanded by the expansion unit 20.

확장부(20)는 렌즈와 프리즘 및 확대된 레이저를 평행 광선속으로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20 may include a lens, a prism, and a collimator that makes the enlarged laser into a parallel beam.

한편,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는 레이저 방출부(1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위치에 다수의 미러부(30)를 배치할 수 있는데, 미러부(30)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는 레이저는 결국 처음 레이저 방출부(1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축과 평행한 상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can arrange a plurality of mirror units 30 at positions where the direction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emission unit 10 needs to be changed,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mirror unit 30 The resulting laser may eventually become parallel to the laser axis emitted from the first laser emission unit 10.

미러부(30)는 레이저가 피가공물에 수직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레이저를 방향 전환 시키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The mirror unit 30 may be install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aser so that the laser can be irradia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workpiece.

또한, 렌즈부(40)는 레이저 방출부(10)를 통해 유입된 레이저를 집광하여 초점을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ens unit 40 provides a function of condensing the laser introduced through the laser emission unit 10 to form a focus.

렌즈부(40)는 확장된 레이저를 다시 집광하여 초점을 형성하는데, 미러부(30)의 하방에 설치될 수 있다. The lens unit 40 forms a focus by condensing the expanded laser again, and may be installed under the mirror unit 30.

렌즈부(00)는 렌즈의 위치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조정하여 초점을 조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모터부(50)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lens unit 00 adjusts the focus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pward or downward, and for this purpose, a motor unit 50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모터부(50)는 미러부(30)와 렌즈부(40)의 위치를 변경하는데 이용된다.Further, the motor unit 50 is used to change the positions of the mirror unit 30 and the lens unit 40.

또한, 제어부(60)는 레이저 방출부(10), 확장부(20), 미러부(30), 렌즈부(40), 모터부(50), 압착부(80), 전원공급부(91), 통신부(92), 사용자 입력부(93), 메모리(94), 인터페이스부(95)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includes a laser emission unit 10, an extension unit 20, a mirror unit 30, a lens unit 40, a motor unit 50, a crimping unit 80, a power supply unit 91,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92, the user input unit 93, the memory 94, and the interface unit 95.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60)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6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 unit 6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The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with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n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또한, 압착부(80)는 지그(jig)라고도 호칭하고, 각종 부품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보조구로서, 복수의 객체를 용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객체들을 강제적으로 고정하는 기구를 말한다.In addition, the crimping unit 80 is also called a jig, and is a kind of auxiliary tool used when processing various parts, and refers to a mechanism that forcibly fixes the plurality of objects when welding a plurality of objects. .

지그(80)는 공작물을 부착 또는 공작물에 부착되어 가공부분의 위치를 정하고 동시에 가공을 안내하는 특수공구를 말하며, 최근에는 가공방법의 진보와 생산방법의 합리화에 의해 많은 지그 및 부착구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지그 안에 부착구를 포함하고 있다.The jig 80 refers to a special tool that attaches or attaches a work piece to the work piec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achining part and guides the machining at the same time.In recent years, due to the advancement of the machining method and the rationaliz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 many jigs and attachments have been made to be used. It has been made, and an attachment is included in the jig.

또한, 전원공급부(91)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91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또한, 통신부(92)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기기와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92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a device and a network in which the device is located.

통신부(92)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92 may communicat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use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y.

또한,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i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At least one of them may be used.

또한, 사용자 입력부(93)는 사용자가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93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composed of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electro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또한, 메모리(94)는 제어부(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9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and for temporary storage of input/output data (eg, messages, audio, still images, moving pictures, etc.). It can also perform a function.

상기 메모리부(94)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94 may also store a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메모리(9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94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nd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disk and an optical disk.

또한, 인터페이스부(95)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95 serves as a passage for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인터페이스부(9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interface unit 95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to an external device. To be transmitted.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to connect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right to use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and a general-purpose user. It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modu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과 연결될 수 있다.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상기 인터페이스부(95)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기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welding device 1 using a laser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95 becomes a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welding device 1 using the laser, or by a use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mobile device is transmitted.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device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전술한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1)를 기초로 한 레이저 용착방법은, 용착 대상물인 커버와 하우징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투과성 커버와 하우징의 테두리 부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용착결합하는 것으로서, 커버를 투과한 레이저가 하우징의 표면에서 흡수되고, 흡수된 레이저가 커버와 하우징의 경계면에서 하우징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하우징을 커버에 용착결합하는 방법이다. The laser welding metho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laser welding device (1) is to weld and bond the permeable cover and the edge of the housing using a laser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and the housing to be welded are in close contact. A laser is absorbed at th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absorbed laser heats and melts the hous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thereby welding and bonding the housing to the cover.

한편, 레이저 용착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는 동종 재질로 되어야 한다. 만약 이종 재질의 부재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용착하고자 할 경우, 재질에 따른 온도특성이 달라 용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able laser welding,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must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If a member of a dissimilar material is to be welded using a la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lding is not completely performed due to different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terial.

즉, 일반적인 레이저 용착방식으로는, 이종 재질로 된 자동차램프, 즉 PC 및 PMMA 재질로 된 투과성 커버와, 자동차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PP, PET 또는 ABS 재질로 비투과성 하우징을 상호 용착하기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았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s a general laser welding method,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weld a non-transparent housing made of PP, PET, or ABS material to each other as a vehicle lamp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at is, a transparent cover made of PC and PMMA materials, and a transparent cover made of PC and PMMA materials, which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re was a problem that I didn't.

또한, 상기한 레이저 용착방법에 있어서, 레이저가 커버를 투과한 후 하우징의 표면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표면은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여 용융되지만, 커버는 레이저가 투과되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laser welding method, since the laser is absorbed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cover, the surface of the housing sufficiently increases and melts, but the temperature does not rise because the cov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laser.

따라서 커버의 온도는 하우징에 비하여 상당히 낮아 큰 온도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온도차는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용착을 견고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용착품질을 균일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중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하여 커버가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었다.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is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the housing, and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and this temperature difference makes the weld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ver not firm and at the same time non-uniform welding quality. Therefore, a phenomenon in which the cover is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by the vibration applie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has often occurred.

이 경우 비나 눈 또는 외부 습기가 커버와 하우징의 분리된 틈새로 침투되어 자동차 램프 내에서 이슬이 맺히게 되고, 이러한 이슬은 램프의 전극에 부식을 일으켜 램프 수명이 짧아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In this case, rain, snow, or external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gap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causing dew to form in the vehicle lamp, and this dew causes corrosion on the electrodes of the lamp, which shortens the lamp life.

이러한 큰 온도차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면서, 용착품질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어닐링(annealing) 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such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o make the welding quality uniform, an annealing process may be applied.

어닐링 과정은 열처리를 하여 경화시킨 합금을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실온까지 서서히 식혀 연하게 하는 처리법으로,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안정된 평형상태로 하는 과정을 말한다.The annealing process is a treatment method in which an alloy hardened by heat treatment is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o gradually cool down to room temperature to soften it.In the case of a material in which a phase change occurs as the temperature rises or falls, it is gradually cooled ove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to obtain a stable equilibrium state. Say.

그러나 이러한 어닐링 과정을 적용하게 되면, 용착 전체 과정에 있어 단락공정 부분이 발생하고,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높아진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uch an annealing process is applied, there is a big problem that a short-circuit process part occurs in the entire weld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markably increased.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레이저빔을 기초로, 상부의 투명 재질을 용융시키면서 하부의 자재를 함께 용융하여 용착함으로써, annealing 공정 없이 고품질의 용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melting the upper transparent material while melting the lower material together and welding, based on the laser beam, it is intended to propose a technology that enables high-quality welding without an annealing process.

이중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방법How to use a double laser beam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첫 번째 실시예로서, 투과성 커버를 예열시키기 위한 파장대의 레이저빔과 투과성 커버와 비투과성 하우징 사이의 용착경계면을 융용시키는 다른 파장대의 레이저빔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 first embodiment, a method of using a laser beam of a wavelength band for preheating the transmissive cover and a laser beam of another wavelength band to melt the welding boundary between the transmissive cover and the non-transmissive housing. Suggest.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투과성 커버를 예열시키기 위한 파장대의 레이저빔과 투과성 커버와 비투과성 하우징 사이의 용착경계면을 융용시키는 다른 파장대의 레이저빔을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 laser beam in a wavelength band for preheating a transparent cover and a laser beam in another wavelength band for melting a welding boundary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and the non-transmissive housing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착방법은, 이종 재질인 자동차램프의 투과성 커버(200)와 그 투과성 커버(200)에 결합되는 비투과성 하우징(100)을 밀착하는 단계로 시작된다.Referring to FIG. 5, the laser wel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egins with a step of intimate contact between a transmissive cover 200 of a vehicle lamp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and a non-transmissive housing 100 coupled to the transmissive cover 200. .

이후, 투과성 커버(200)의 투과예열영역(210)을 예열시키기 위한 제2파장의 제2레이저빔(12)과, 투과예열영역(210)과 중첩되는 것으로서 투과성 커버(200)와 비투과성 하우징 사이의 용착경계면(70)을 용착하기 위하여 제2파장보다 짧은 제1파장의 제1레이저빔(11)을 용착경계면(70)으로 조사하게 된다.Thereafter, the second laser beam 12 of a second wavelength for preheating the transmission preheating region 210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and the transmission preheating region 210 are overlapped with the transmissive cover 200 and the non-transmissive housing. In order to weld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therebetween, the first laser beam 11 having a first wavelength shorter than the second wavelength is irradiated to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이때, 용착경계면(70)으로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11)의 온도를 검지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고, 온도신호는 실시간으로 제어부(60)로 전송되어 제1레이저빔(11)의 출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laser beam 11 irradiated to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is detected and a corresponding temperatur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emperatur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 in real time. It is used to control the output.

여기서 투과성 커버(200)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며 주로PC(PolyCarbonate) 또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재질로 되어 있다.Here, the transmissive cover 200 transmits light irradiated from a light source and is mainly made of PC (Poly Carbonate) or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material.

또한 비투과성 하우징(100)은 일반적으로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로 된다.In addition, the non-permeable housing 100 is generally made of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또한, 제2레이저빔(12)은 투과되는 투과예열영역(210)을 예열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제2레이저빔(12)의 제1파장은 1600~2000nm 범위, 바람직하게는 1670~1960nm 범위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aser beam 12 is for preheating the transmitted transmission preheating area 210,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wavelength of the second laser beam 12 is in the range of 1600 to 2000 nm, preferably in the range of 1670 to 1960 nm. Can be.

이러한 제2파장의 제2레이저빔(12)은 열가소성 수지로 된 투명한 PC 또는 PMMA 재질인 투과성 커버(200)를 투과하는 도중에 약 50~70% 가 흡수되어 투과예열영역(210)을 예열시키는 특성을 가진다.The second laser beam 12 of the second wavelength is absorbed by about 50 to 70% while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PC made of thermoplastic resin or the transparent cover 200 made of PMMA material to preheat the transmission preheating area 210 Have.

또한, 제1레이저빔(11)은 투과성 커버(200)를 투과한 후 용착경계면(70)을 융용시키기 위한 것이며, 용착경계면(70)은 예열된 투과예열영역(210)에 중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laser beam 11 is for melting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after passing through the transmissive cover 200, and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overlaps the preheated transmission preheating area 210.

이를 위하여 제1레이저빔(11)의 제2파장은 750~1000nm 범위, 바람직하게는 808~980nm 범위이다. To this end, the second wavelength of the first laser beam 11 is in the range of 750 to 1000 nm,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8 to 980 nm.

이러한 제1파장의 제1레이저빔(11)은 PC 또는 PMMA 재질의 투과성 커버(200)에 흡수되지 않고 거의 대부분 투과하며, 비투과성 하우징(100)의 용착경계면(70)에서 대부분 흡수되는 특성을 가지고, 이에 따라 용착경계면(70)은 융용되는 것이다.The first laser beam 11 of this first wavelength is not absorbed by the transmissive cover 200 made of PC or PMMA, but is almost transmitted, and is mostly absorbed by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of the non-transmissive housing 100. And, accordingly,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is melted.

즉, 제2레이저빔(12)은 용착경계면(70)과 중첩되는 투과예열영역(210)을 예열시킴으로서, 제1레이저빔(11)이 용착경계면(13)을 융용시킬 때 이종 재질인 제1투과성 커버(200)와 비투과성 하우징(100) 사이의 온도특성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laser beam 12 preheats the transmission preheating area 210 overlapping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70, so that when the first laser beam 11 melts the welding boundary surface 13, the first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ermeable cover 200 and the non-permeable housing 100 is minimized.

또한 제1레이저빔(11)의 출력은 20~40W 이고 바람직하게는 30W 이고, 제2레이저빔(12)은 출력은 20~50 W이며, 바람직하게는 40W 이 될 수 있다.Further, the output of the first laser beam 11 is 20 to 40 W, preferably 30 W, and the second laser beam 12 has an output of 20 to 50 W, preferably 40 W.

여기서, 제2레이저빔(12)의 출력은 제1레이저빔(11)의 출력보다 클 수 있는데, 이것은 제2레이저빔(12)이 제1레이저빔(11) 보다 큰 영역을 예열시켜야 하기 때문이다.Here, the output of the second laser beam 12 may be greater than the output of the first laser beam 11, because the second laser beam 12 has to preheat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laser beam 11 to be.

또한, 제1레이저빔(11)과 제2레이저빔(12)은 상호 중첩되게 조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aser beam 11 and the second laser beam 12 may be irradiated to overlap each other.

적외선 파장대의 단일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방법How to use a single laser beam in the infrared wavelength band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두 번째 실시예로서, 적외선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빔을 투과성 커버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밀착된 하우징의 밀착영역 측으로 조사함으로써, 투과성 커버의 투과영역을 예열시키고, 밀착영역을 용융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 second embodiment, by irradiating a laser beam having an infrared wavelength band through the edge of the transmissive cover toward the contact area of the contact housing, preheating the transmissive area of the transmissive cover. And propose a method of melting the contact area.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외선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빔을 투과성 커버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밀착된 하우징의 밀착영역 측으로 조사함으로써, 투과성 커버의 투과영역을 예열시키고, 밀착영역을 용융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n example of preheating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transparent cover and melting the contact area by irradiating a laser beam having an infrared wavelength band through the edge of the transmissive cover toward the contact area side of the attached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 did it.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방법은, 하우징(100)에 투과성 커버(200)를 밀착하고, 투과성 커버(200)를 투과하는 투과영역(220)에서 일부 흡수되고, 투과성 커버(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밀착영역(70)에 나머지가 흡수될 수 있도록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밀착영역(70)에서 용착을 진행하게 된다.6, in the welding method us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00, partially absorbed in the transmission region 220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200, and Welding is performed in the contact area 70 by irradiating a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range of 1400 to 3000 nm so that the rest of the contact area 70 between the cover 200 and the housing 100 can be absorbed.

여기서, 하우징(100)은 자동차본체 등에 고정될 수 있고, 내부에 램프가 내장될 수 있으며, 광의 반사를 위한 미러코팅이 이루어 질 수 있다.Here, the housing 100 may be fixed to a vehicle body, etc., a lamp may be embedded therein, and a mirror coating for reflecting light may be formed.

이러한 하우징(100)은 불투명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70thalate), A13S(Acrylonitrile 13utadiene Styrene copolymer), PMMA(Poly Methyl Methacrylate),The housing 100 is a thermoplastic resin made of an opaque material, such as PP (PolyPropylene), PET (Polyethylene Tere70thalate), A13S (Acrylonitrile 13utadiene Styrene copolymer),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로 구성된 군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이 될 수 있다.It may b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C (Cyclic Olefin Copolymer).

한편, 투과성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입구에 용착되어 외부의 물이나 습기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rmeable cover 200 may be welded to the inlet of the housing 100 to block external water or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이러한 투과성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이 손실없이 투과되도록 투명재질의 열 가소성 수지로서, PC(PolyCar13onate), PMMA, COC로 구성된 군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이 될 수 있다.This transparent cover 200 is a thermoplastic resin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of the housing 100 is transmitted without loss, and may b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 (PolyCar13onate), PMMA, and COC. have.

하우징(100)에 투과성 커버(200)를 밀착시키는 단계와 관련하여, 투과성 커버(200)의 가장자리가 하우징(100)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투과성 커버(200)는 지그(80)에 의하여 하우징(100)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Regarding the step of bringing the permeable cover 2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00, the permeable cover 200 is formed by a jig 80 so that the edge of the permeable cover 200 can b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00. It can be pressed toward the (100) side.

레이저빔(13)을 투과성 커버(200)를 통하여 하우징(100)과 투과성 커버(200)가 밀착되는 밀착영역(70)으로 조사하여 용착을 진행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투과성 커버(200)로 조사되는 레이저빔(13)이 그 투과성 커버(200)의 투과영역(220)에서 일부 흡수되게 하고, 투과성 커버(200)가 밀착되는 하우징(100)의 표면, 즉 투과성 커버(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밀착영역(70)에서 나머지가 흡수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00)과 투과성 커버(200) 사이의 밀착영역을 용착 결합시키는 것이다. In connection with the step of performing welding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13 through the transmissive cover 200 to the contact area 70 where the housing 100 and the transmissive cover 2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rradiation with the transmissive cover 200 The laser beam 13 is partially absorbed in the transmissive region 220 of the transmissive cover 200, and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which the transmissive cover 200 is in close contact, that is, the transmissive cover 200 and the housing 100 By allowing the remainder to be absorbed in the contact area 70 between the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permeable cover 200 is welded together.

이를 위하여 레이저빔(13)은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70 nm 또는 1940 nm 의 파장을 가진다.To this end, the laser beam 13 has a wavelength range of 1400 to 3000 nm, more preferably 1670 nm or 1940 nm.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레이저빔(13)의 투과도(T)와 파장(λ)의 관계는 파장이 길어질 때, 투과도가 작아진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mittance (T) and the wavelength (λ) of the laser beam 13 to the thermoplastic resin decreases as the wavelength increases.

이때 투과도가 작다라는 의미는 레이저빔(13)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도가 커진다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빔이 투과되는 투과영역(220)의 온도가 올라감을 의미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low transmittance means that the absorbance for absorbing the laser beam 13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transmission region 220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transmitted increases.

여기서 레이저빔(13)의 파장이 1670 nm 또는 1940 nm 의 파장일 경우, 투과영역(220)의 흡수도는 투과성 커버(12)의 표면측에서 밀착영역(70)에 근접할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커진다. Here, when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13 is 1670 nm or 1940 nm, the absorbance of the transmissive region 220 increases exponentially as the surface side of the transmissive cover 12 approaches the contact region 70. .

이에 따라 밀착영역(70)에 근접된 투광영역에서 발생되는 온도와 밀착영역(70)에서 발생되는 온도는 상대적으로 연속적 관계를 이루게 되고, 따라서 하우징(100)과 투과성 커버(200)의 재질이 이종 재질이라 하더라도 밀착영역(70)에서의 용융에 의한 투과성 커버(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용착 결합 품질이 극대화된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light-transmitting area close to the contact area 70 and the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contact area 70 have a relatively continuous relationship, so that the materials of the housing 100 and the transmissive cover 200 are different. Even if it is a material, the quality of the welding bond between the permeable cover 200 and the housing 100 by melting in the contact region 70 is maximized.

또한, 투과성 커버(200) 표면측의 투과영역에서부터 레이저빔을 흡수하여 온도가 서서히 올라가므로, 투과성 커버(200) 표면 측의 온도와, 투과성 커버(200) 외측의 외기환경 온도 역시 상대적으로 연속적 관계를 이룬다.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s by absorbing the laser beam from the transmissive area on the surface side of the transmissive cover 200, the temperature on the surface side of the transmissive cover 200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environment outside the transmissive cover 200 are also relatively continuous. To achieve.

따라서 용착 과정에서 투과성 커버(200)의 표면과 외기환경 온도차에 의하여 투과성 커버(200) 표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투과성 커버(200)가 온도에 민감한 소재라 하더라도 고품질의 용착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permeable cover 200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ermeable cover 200 and the outside air environment during the welding process. Accordingly, even if the permeable cover 200 is a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 high-quality welding is possible. It is possible.

이와 같이, 레이저빔(13)은 투과성 커버(200)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흡수되면서 투과영역(70)을 예열시키고, 이후 밀착영역(70)에서 나머지가 흡수되면서 밀착영역(70)을 융융시킨다. In this way, the laser beam 13 is partially absorb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ransmissive cover 200 to preheat the transmissive region 70, and then the rest is absorbed in the contact region 70 to melt the contact region 70. Let it.

이때, 투과영역(70)은 레이저빔을 흡수하여 예열되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투과영역(220)과 밀착영역(70) 사이의 온도차는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용융되는 하우징(100)의 표면은 투과성 커버(200)에 견고하게 용착 결합되어 용착 품질이 향상된다.At this time, since the transmissive region 70 is preheated by absorbing the laser beam, the temperature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ve region 220 and the contact region 70 decreases, and thus the melting of the housing 100 The surface is firmly bonded to the permeable cover 200 to improve the quality of welding.

본 발명에서는 대표적으로 튤륨(thulium)을 이용한 레이저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ypically, a laser using thulium can be applied.

전술한 것과 같이, 1400~3000 nm의 적외선 파장대, 더욱 바람직하게는 1670 nm 또는 1940 nm 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를 이용한다.As described above, a laser having an infrared wavelength band of 1400 to 3000 nm, more preferably 1670 nm or 1940 nm is used.

이러한 범위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레이저빔(13)은 투과성 커버(200)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흡수되면서 투과영역(70)을 예열시키고, 이후 밀착영역(70)에서 나머지가 흡수되면서 밀착영역(70)을 융융시킬 수 있게 된다.Only in the case of using a laser in this range, the laser beam 13 is partially absorb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ransmissive cover 200 to preheat the transmissive region 70, and then the rest is absorbed in the contact region 70 and the contact region (70) can be melted.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르면, 투과영역(70)은 레이저빔을 흡수하여 예열되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투과영역(220)과 밀착영역(70) 사이의 온도차는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용융되는 하우징(100)의 표면은 투과성 커버(200)에 견고하게 용착 결합되어 용착 품질이 향상되므로, 결국 종래의 어닐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transmission region 70 is preheated by absorbing the laser beam, the temperature rises,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region 220 and the adhesion region 70 becomes small, and thus Since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be melted is firmly welded to the permeable cover 200 to improve the quality of welding, in the end, the conventional annealing process can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어닐링 과정의 적용을 생략함으로써, 용착 전체 과정에 있어 단락공정 부분을 없애고,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process, the short-circuiting process part in the entire welding process is elimin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레이저 용착 조건Laser welding conditions

또한, 두 번째 실시예로서 제안한 적외선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빔을 투과성 커버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밀착된 하우징의 밀착영역 측으로 조사함으로써, 투과성 커버의 투과영역을 예열시키고, 밀착영역을 용융시키는 방법을 자동차 램프에 적용시켰을 때의 바람직한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In addition, by irradiating a laser beam having an infrared wavelength band proposed as a second embodiment through the edge of the transmissive cover toward the contact area of the adhering housing, the method of preheating the transmissive area of the transmissive cover and melting the contact area is described in an automobile lamp. Preferred conditions when applied to will be described.

레이저빔의 출력은 20~50 W 이고 바람직하게는 40W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preferably 20 to 50 W, preferably 40 W.

만약 레이저빔의 출력이 20W 이내일 경우, 레이저빔이 투과성 커버(200)의 투과영역(220)을 통과하는 동안에 출력이 현저히 약해져 밀착영역(70)을 용융시킬 수 없게 되어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If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less than 20W, the output is significantly weakened while the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transmission region 220 of the transmissive cover 200, so that the adhesion region 70 cannot be melted, and thus fusion is difficult. .

그리고 레이저빔(13)의 출력이 50W 이상일 경우, 투과성 커버(200)의 투과영역(220)이 용융되면서 불투명 상태가 되고, 이 경우 레이저빔을 더욱 많이 흡수하면서 투과영역(220) 에서 연소가 일어나거나 융착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And when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13 is 50W or more, the transmissive region 220 of the transmissive cover 200 melts and becomes opaque. In this case, combustion occurs in the transmissive region 220 while absorbing more laser beams. Or the fusion reliability is deteriorated.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자동차 램프에 대한 레이저 용착에 있어 바람직한 조건 값들을 정리한 표를 도시한 것이다.7 is a table showing the preferred condition values for laser welding to a vehicle lamp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가장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레이저 초점크기는 Φ 2.2㎜이고, 레이저 세기는 25W이며, 용접속도는 29.5 ㎜/sec일 때 최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7 as the most preferable condition, the laser focal size is Φ 2.2㎜, laser intensity 25W, welding speed At 29.5 mm/sec, the best effect could be achieved.

나아가 지그(80)를 통한 가압무게는 25 ± 5 ㎏f이고, 레이저의 빔 통과두께는 7 ㎜이며, 투과되는 레이저의 원 둘레는 619.8 ㎜이고, 반지름은 32.9 ㎜일 때, 최상의 용착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Furthermore, the pressure weight through the jig 80 is 25 ± 5 ㎏f, and the thickness of the laser beam is 7 mm, and the perimeter of the transmitted laser is 619.8 mm, and the radius is When it was 32.9 mm, the best welding effect could be obtained.

반사면 구조를 이용하는 용착Welding using reflective surface structure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 번째 실시예로서, 반사면을 내부에 두어 원하는 영역의 용착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s a third embodiment,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method of performing welding of a desired area by placing a reflective surface therein.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반사면을 내부에 두어 원하는 영역의 용착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example of performing welding of a desired area by placing a reflective surface therei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부재(200)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투명 수지부재(이하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품)이며, 제 2 부재(100)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불투명 수지 부재(이하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부품)이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member 200 is a transparent resin member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ereinafter, optically transparent part), and the second member 100 is an opaque resin member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ereinafter, optically opaque). One part).

도면부호 340a 는 리브 벽면(측면)에서의 접합부를 의미하고, 340b는 리브 저면에서의 접합부를 의미하며, 13은 빛 에너지 발생장치(10)에 의해 유입되는빛 에너지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340a denotes a joint at the rib wall (side), 340b denotes a joint at the bottom of the rib, and 13 denotes light energy introduced by the light energy generating device 10.

광축 반사면의 배치와 관련하여,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품(200)의 리브 선단에 빛 에너지 의 반사면(350)을 마련한다. Regarding the arrangement of the optical axis reflection surface, a reflection surface 350 of light energy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rib of the optically transparent component 200.

이 반사면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품(200)의 리브 선단에 경사면으로서 빛 에너지를 반사하도록 설계된다.This reflective surface is designed to reflect light energy as an inclined surface to the rib tip of the optically transparent component 200.

반사면(350)은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부품(100)의 흡수 파장역에 적합한 빛 에너지를 선택하고, 그 빛 에너지를 반사할 수 있고, The reflective surface 350 may select light energy suitable for the absorption wavelength range of the optically opaque component 100 and reflect the light energy,

또한, 교정 리브(3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브 벽면에서의 접합부(330a)의 껴, 용착이 확실하게 수행되는 것을 목적으로 감합 위치 교정 리브(330)를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부품(100) 측에 배치한다.Further, the calibration rib 330 will be described. The fitting position correction rib 33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ptically opaque component 100 for the purpose of reliably bonding and welding the joint portion 330a on the rib wall surface.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 저면에서의 접합부(340b)에 대해서는 리브저면에도 약간의 빛 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한 바닥면의 접합부(340b)를 마련한다.As shown in FIG. 8, for the junction portion 340b on the bottom of the rib, a junction portion 340b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some light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of the rib is provided.

광축 반사면의 설정에서는 전술에 적도록, 용접(용착)의 리브 벽면의 접합부(340a)를 리브 벽면으로 한 쪽이 용접(용착)성은 유리하다. 따라서, 접합면은 벽면으로 하는 접합부(340a)가 된다.In the setting of the optical axis reflective surface, the welding (welding) property is advantageous if the joint portion 340a of the rib wall surface of welding (welding) is the rib wall surface so as to be les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bonding surface becomes the bonding portion 340a serving as a wall surface.

또한, 빛 에너지(13)를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품(200)의 상측에서 조사한다. In addition, light energy 13 is irradi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ptically transparent component 200.

그러나 통상의 형상에서의 빛 에너지(13)는 벽면 반사 등에 의해 리브를 통과하고 하측에 빠져 버리기 때문에, 리브 선단에 빛 에너지(13)의 반사면(350)를 설치하고, 광축을 굽힘으로써 하우징 벽면의 접합부(340a)에 빛 에너지(13)를 조사하며 리브 벽면에서의 용접(용착, 320)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light energy 13 in the normal shape passes through the rib and falls to the lower side due to wall reflection or the like, a reflective surface 350 of the light energy 13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ib, and the optical axis is bent to prevent the housing wall surface. By irradiating the light energy 13 to the junction (340a) of the rib wall can be welded (welding, 320).

반사면(350)을 통해,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품(200)에서 조사되는 빛 에너지(13)의 대부분은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부품(100)의 리브의 벽면에 마련된 접합부(340a)3에 도달한다. Through the reflective surface 350, most of the light energy 13 irradiated from the optically transparent component 200 reaches the junction 340a 3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rib of the optically opaque component 100.

또한, 리브의 바닥면에서의 접합부(340b_를 마련하여, 접합부의 단면은 L자 구조형이 되기 때문에 종래의 접합 사양(단면이-글자 또는 I자 등의 직선)보다 용접(용착) 부위의 강도가 커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 340b_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b is provided, the cross-section of the joint is of an L-shaped structure, so the strength of the welding (welding) site is mor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joint specification (a straight line such as a letter or I). Can be expected to increase.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르면, 디자인 상의 제약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용접(용착) 상태를 유지해, 또한 종래품에 비해보다 용접(용착) 강도가 높아진 부품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shape with higher welding (welding) strength than conventional products while stably maintaining a high-quality welding (welding) state while reducing design restrictions.

또한, 여기서는 반사면을 투명 수지부재의 리브 선단으로서 단면도에 나타나는 경사면에 마련해 바닥면은 반사면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다. Here, the reflective surface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as the rib tip of the transparent resin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does not have a reflective surface.

또한, 반사면을 제작할 때, 일정 파장역의 빛 에너지를 반사할 수 있으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fabricating a reflective surface, any means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reflect light energy in a certain wavelength range.

예를 들면 반사면 제작 방법으로서 광학적 반사물을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것이 광학적 반사막이면 도포, 증착, 도금 등의 다른 수단으로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at an optically reflective material as a method for fabricating a reflective surface, and if it is an optically reflective film, it is also possible to coat by other means such as coating, vapor deposition, or plating.

굴곡진 객체를 용착하는 방법How to weld a curved object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네 번째 실시예로서, 하나의 레이저 소스를 기초로, 굴곡진 객체의 기준점으로부터의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초점거리, 출력값 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s a fourth embodiment,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method of adjusting the focal length, output value, etc. using height information from a reference point of a curved object based on one laser source. do.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나의 레이저 소스를 기초로, 굴곡진 객체의 기준점으로부터의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초점거리, 출력값 등을 조절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n example of adjusting a focal length, an output value, and the like using height information from a reference point of a curved object based on one laser sour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굴곡이 있는 객체를 용접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소스를 복수로 이용하거나 하나의 레이저 소스 또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객체를 회전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in the case of welding an object having a curva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laser sources or rotating a single laser source or an object receiving a laser is not used.

대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레이저 소스를 이용하고, 미리 굴곡진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굴곡진 객체의 기준점으로부터의 높이 정보 변화를 이용하여 레이저 소스의 초점거리, 출력값, 속도 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stead, in this embodiment, one laser source is used, information on a curved object is obtained in advance, and the focal length, output value, speed, etc. of the laser source are adjusted using the change in height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point of the curved object. Suggest a way to do it.

도 9를 참조하면, 선결적으로 투명 부재(100) 및 불투명 부재(200)로 이루어진 굴곡진 객체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길이, 높이변화, 형상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formation on a curved object made of the transparent member 100 and the opaque member 200, for example, information on length, height change, shape, etc. may be obtained in advance.

이후,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레이저 방출부(10)의 초점거리, 출력값, 속도, 객체와의 이격 거리 등을 변경하면서, 레이저 소스를 복수로 이용하거나 하나의 레이저 소스 또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객체를 회전하지 않고, 굴곡진 객체에 대한 용착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while changing the focal length, output value, speed,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object, etc. of the laser emitt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a plurality of laser sources are used, or a single laser source or a laser is received. Welding can be performed on a curved object without rotating the object.

객체 간의 밀착 정도 향상과 레이저에 의한 내부 손상을 방지하는 방법How to improve adhesion between objects and prevent internal damage by laser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다섯 번째 실시예로서, 불투명 플라스틱에 접촉하는 투명 플라스틱 하면을 지그에 수직하는 각도를 갖도록 용착면을 형성하고, 용착면과 투과부 사이에 중간면을 형성하고, 레이저에 대해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가 되도록 형성하여, 내부로의 레이저 유입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 fifth embodiment, a welding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in contact with the opaque plastic has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jig, and an intermediate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welding surface and the transmitting part. And forming an angle exceeding a cri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laser, and thus a method of preventing laser inflow into the interior is proposed.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불투명 플라스틱에 접촉하는 투명 플라스틱 하면을 지그에 수직하는 각도를 갖도록 용착면을 형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0A and 10B illustrate an example of forming a welding surface such that a lower surface of a transparent plastic contacting an opaque plastic has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jig.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서는 차량용 등기구를 만들기 위해 용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In FIGS. 10A, 10B, and 11, it is assumed that welding is performed to make a vehicle luminaire.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차량용 등기구(1)는 전면이 개구된 용기 형상의 하우징(100)의 전면 개구가 투명 커버(200)에 의해 덮이고, 하우징(100)과 투명 커버(200)에 의해 구획된 등실 내에 광원(10)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in the vehicle luminaire 1, the front opening of the container-shaped housing 100 with the front opening is covered by a transparent cover 200, and the housing 100 and the transparent cover 200 are covered. The light source 10 is arranged in the lamp room partitioned by this.

투명 커버(200)의 주연부 후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 용착면(70)이 형성되고, 이 용착면(70)이 하우징(100)의 전면 개구부의 주연부에 형성된 용착면(21)과 광선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A welding surface 7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the welding surface 70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100 by welding the welding surface 21 and light rays. Are joined.

즉, 레이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등의 간섭성 또는 비간섭성 전자파인 용착 광선을 투명 커버(200)의 전면 측으로부터 투명 커버(200)를 투과하여 용착면(70)과 밀착 상태인 하우징(100)의 용착면(21)에 조사한다. That is, the hous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welding surface 70 by transmitting the welding rays, which are coherent or non-interfering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laser, visible rays, ultraviolet rays, infrared rays, etc., from the front side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200 The welding surface 21 of (100) is irradiated.

즉, 투명 커버의 전면(32) 중 용착면(70)에 대응한 개소(32i)가 광선 입사면이 된다. That is, the portion 32i of the front surface 32 of the transparent cover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surface 70 becomes the light incident surface.

용착 광선의 조사에 의해, 이 용착면(21)이 그 전자파인 용착 광선의 조사에 의해 여기 상태가 되어 발열하고, 그 열에 의해 상기 용착면(21) 및 이 용착면(21)과 밀착 상태인 투명 커버(200)의 용착면(70)이 함께 용융하여 상용 상태가 되며, 2개의 용착면(21, 31)이 접촉된 계면에서 하우징(100) 및 투명 커버(200)의 재료 수지가 일체화한다. By irradiation of the welding light, the welding surface 21 is excited by irradiation of the welding light, which is the electromagnetic wave, and generates hea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lding surface 21 and the welding surface 21 by the heat. The welding surface 70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melts together to become a commercial state, and the material resin of the housing 100 and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integrated at the interface where the two welding surfaces 21 and 31 are in contact. .

그리고, 상기 전자파인 용착 광선의 조사를 종료한 후, 상기 상용 상태가 된 부분이 냉각 고화하고, 이것에 의해, 하우징(100)에 투명 커버(200)가 일체적으로 접합된다.Then, after the irradiation of the welded light, which is the electromagnetic wave, is terminated, the commercially available portion is cooled and solidified, whereby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integrally bonded to the housing 100.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 커버(200)는 용착 광선, 예컨대, 레이저가 투과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투명 커버(200)의 재료는 조사되는 전자파인 용착 광선의 흡수성이 좋지 않을 것을 요한다. 예컨대,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cover 200 needs to transmit a welding light, for example, a laser, and 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requires that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has poor absorption of the welding light, which is an electromagnetic wave to be irradiated. For example,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such as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e.

또한, 하우징(100)은 그 용착면(21)이 전자파인 용착 광선의 조사에 의해 여기 상태가 되어 발열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재료는 조사되는 전자파인 용착 광선의 파장과 진동 주기가 일치하는 라디칼에 의해 구성되는 분자 구조를 가진 것일 필요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100 is excited by the irradiation of an electromagnetic wave, which is an electromagnetic wave, and generates heat, the material is applied to radicals whose wavelength and vibration period coincide with the irradiated electromagnetic wave. It needs to have a molecular structure composed of.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 커버(200)는 전체가 거의 일정한 두께의 평탄한 형상으로서, 전면(32)은 크게 만곡되어 있고, 하나의 단면에 있어서의 양단부, 예컨대, 도 2의 상하 양단부(32u, 32d)는 기준선(광원(10)의 광축의 선) X-X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θu, θd)으로 경사져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transparent cover 200 has a flat shape with an almost constant thickness, and the front surface 32 is largely curved, and both ends in one cross-section,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FIG. 2 ( 32u and 32d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θu, θ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the line of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10) XX.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원(III)으로 둘러싼 부분, 즉, 상단부의 확대 단면도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1,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enclosed by a circle III of FIG. 10, that is, an upper end portion is shown.

광선 용착을 행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용착면(21, 31)이 밀착 상태가 아니면, 하우징(100)의 용착면(21)에 발생한 열이 투명 커버(200)의 용착면(7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밀착 상태가 손상되어 있는 개소에서 용착 불량을 일으킨다. In the case of performing ray welding, as described above, if the two welding surfaces 21 and 31 are not in close contact, the heat generated on the welding surface 21 of the housing 100 is transferred to the welding surface 70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 Is not transmitted effectively, and a poor adhesion occurs in a place where the adhesion state is damaged.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밀착 상태」란, 2개의 면이 밀착되어 있는 것은 물론, 2개의 면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라도 그 간극이 0.1 ㎜(밀리미터) 이하라면 용착 가능하기 때문에, 2개의 면이 0.1 ㎜ 이하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근접하고 있는 상태 및 2개의 면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총칭하여 「밀착 상태」라고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losed state'' means that the two faces are in close contact, as long as the gap is 0.1 mm (millimeter) or less, even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two faces. The state in which the gap of 0.1 mm or less is interposed between them and the state in which the two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lose state".

그리고, 상기 2개의 용착면(21, 31)을 밀착 상태로 하기 위해서, 투명 커버의 전면측으로부터 압착력을 가하여 투명 커버(200)의 용착면(70)을 하우징(100)의 용착면(21)에 압착시킨다. And, in order to bring the two welding surfaces 21 and 31 into a close contact state, a press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transparent cover, so that the welding surface 70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welding surface 21 of the housing 100. Squeezed into.

이 경우, 용착면(70)의 전 둘레에 걸쳐 균등하게 압착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1의 화살표 10 방향으로 압착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ess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arrow 10 in FIG. 11 in order to uniformly apply the pressing forc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elding surface 70.

이 압착 방향(F)은 하나의 단면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전면(예컨대, 32u, 32d)에 대하여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θf)가 거의 동일해지는 방향이다.The pressing direction F is a direction in which the angle θf formed with a line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s (eg, 32u, 32d) of both ends in one cross-section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만일, 용착면(70)의 경사 각도가 전면(32)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다고 하면, 화살표 10 방향으로 가해진 압착력(F)에 의해 전면(32)과 동일한 경사 각도의 용착면(70)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면압(Fs)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아진다.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lding surface 70 is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ront surface 32, the welding surface 70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front surface 32 by the pressing force F applied in the direction of arrow 10, The surface pressure (Fs)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equal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즉, θf가 클수록 상기 면압(Fs)은 작아진다. 그리고, 면압(Fs)이 작아지면, 2개의 용착면(21, 31) 사이의 밀착도가 떨어진다.That is, as θf increases, the surface pressure Fs decreases. And, as the surface pressure Fs decreases,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two welding surfaces 21 and 31 de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1)에 있어서는, 투명 커버(200)의 후면 중 용착면(70)이 되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전면(32)과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내측, 즉, 등기구(1)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커지도록 전면(32)과는 다른 경사를 형성하여 그 용착면(70)에 수직인 선과 상기 압착 방향(10)이 이루는 각도(θ31)를 상기 각도(θf)보다 작게 한다. Therefore, in the vehicle luminai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32 and the front surface 32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200 that becomes the welding surface 70 is inside, that is, the luminaire (1) The angle (θ31) formed by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welding surface (70) and the pressing direction (10) by forming an inclination different from the front surface (32) so as to increase toward the center of (1) is the angle (θf) Make it smaller.

이 경우에, 화살표(10) 방향으로 가해진 압착력(F)에 의해 경사 각도(θ31)의 용착면(31)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면압(F31)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아지고, 그리고, θf>θ31이기 때문에, F31>Fs가 된다.In this case, the surface pressure F31 act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elding surface 31 of the inclination angle θ31 by the pressing force F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0 is equal to Equation 2 below, and, Since θf>θ31, it becomes F31>Fs.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즉, 용착면(70)의 경사 각도를 전면(32)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한 경우에 비하여 2개의 용착면(21, 31) 사이에는 보다 큰 압착력이 가해지게 되고, 2개의 용착면(21, 31) 사이가 확실하게 밀착 상태가 된다.In other word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lding surface 70 is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ront surface 32, a greater pressing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two welding surfaces 21 and 31, and the two welding surfaces 21 , 31) The space is firmly in close contact.

한편,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착면과 투과부 사이에 중간면을 형성하고, 레이저에 대해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가 되도록 형성하여, 내부로의 레이저 유입을 방지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11 shows an example of preventing laser inflow into the interior by forming an intermediate surface between the welding surface and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forming an angle exceeding a cri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las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광선 입사면(b)과 용착면(c)이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며, 따라서, 후면에는 두께가 두꺼워진 부분을 갖지 않고, 중간면도 없는 투명 커버(a)를 하우징(d)에 광선 용착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In Fig. 11, the light incident surface (b) and the welding surface (c)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and therefore, a transparent cover (a) having no thickened portion and no intermediate surface is placed on the housing (d). An example of the case of welding is shown.

하우징(d)의 개구부 주연에 형성된 용착면(e)에 투명 커버(a)의 용착면(c)을 밀착 형상으로 중첩시켜, 레이저(f)를 광선 입사면(b)으로부터 투명 커버를 투과시켜 용착면(e, c)에 조사한다. The welding surface (c) of the transparent cover (a) is closely overlapped with the welding surface (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d), and the laser (f)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from the light incident surface (b). Irradiate the welding surfaces (e, c).

이 때, 레이저(f)가 정확히 용착면(e, c)에 조사되면 문제없지만, 레이저(f)의 조사 위치가 내측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하면, 레이저(f)의 일부(g)가 하우징(d)의 용착면(e)으로부터 내측으로 벗어나 더욱 등기구 속까지 조사되어 버리고, 그곳에, 등기구 내에 배치된 다른 부재, 예컨대, 익스텐션(h) 등이 있으면, 그 부재(h)에 레이저(f)의 일부(g)가 조사되지만 조사된 부분(i)이 타게 될 우려가 있다.At this time, if the laser f is accurately irradiated to the welding surfaces e and c, there is no problem, but there is a case where the irradiation position of the laser f is shifted inward. Then, a part (g) of the laser (f) is further irradiated to the inside of the luminaire away from the welding surface (e) of the housing (d), and there is another member disposed in the luminaire, such as an extension (h). If there is a light, a part (g) of the laser (f) is irradiated to the member (h), but there is a fear that the irradiated part (i) may be burned.

그래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1)와 같이, 투명 커버(3)의 용착면(31)과 조명광 투과부(33) 사이에 중간면(34)이 형성되어 있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L)가 내측으로 어긋나 레이저(L)의 일부(Lp)가 용착면(21, 31)으로부터 내측으로 어긋난 경우, 이 레이저의 일부(Lp)는 중간면(34)으로 입사된다. So, if the intermediate surface 34 is formed between the welding surface 31 of the transparent cover 3 and the illumination light transmitting portion 33, as shown in FIG. 11, as in the vehicle light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When the laser L is shifted inward and a part Lp of the laser L is shifted inward from the welding surfaces 21 and 31, a part Lp of this laser is incident on the intermediate surface 34.

그리고, 이 중간면(34)은 용착 광선에 대하여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가 되는 경사를 갖기 때문에, 이 레이저의 일부(Lp)는 중간면(34)에 의해 전반사되어 외측으로 향해진다. And, since this intermediate surface 34 has an inclination that exceeds the cri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welded light beam, a part Lp of this laser is totally reflected by the intermediate surface 34 and is directed outward.

그 때문에, 중간면(34)의 후방으로 익스텐션과 같은 부재가 있어도 이 부재가 표적을 벗어난 레이저 등의 용착 광선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다.Therefore, even if there is a member such as an extension behind the intermediate surface 34, there is no fear that this member is damaged by a welding beam such as a laser off the target.

투명 지그를 이용하는 방법How to use a transparent jig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여섯 번째 실시예로서, 누르는 지그를 투명으로 적용하고, 레이저가 지그를 통과하여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밀착 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 sixth embodiment, a method of increasing the degree of adhesion by applying a pressing jig transparently and allowing the laser to reach through the jig is proposed.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누르는 지그를 투명으로 적용하고, 레이저가 지그를 통과하여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밀착 정도를 높이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2 shows an exampl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adhesion by applying a pressing jig transparently and allowing the laser to reach through the jig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선 용착 방법은 조사 광선에 대해서 투과성을 가져 용착부(70)가 마련된 제1 수지 부재(200)와 상기 조사 광선에 대해서 상기 제 1 수지 부재에 대한 투과성보다 작은 투과성을 가져 용착부가 마련된 제2 수지 부재(100)를 상기 조사 광선에 의해 용착하는 광선 용착 방법이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method of welding a light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sin member 200 in which the welding portion 70 is provided has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irradiation light and transmittance to the first resin member with respect to the irradiation light. This is a light-beam welding method in which the second resin member 100 having a smaller transmittance and provided with a welded portion is welded by the irradiation light.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된 누름 지그(80)를 이용하여 제 1 수지 부재(200)의 용착부(70)를 상기 제 2 수지 부재(100)의 상기 용착부(70)에 누르는 압착 공정과 누름 지그(80)에 의해 제 1 수지 부재(200)의 용착부(70)를 제 2 수지 부재(100)의 용착부(70)에 누른 상태에서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제 1 수지 부재에 접하도록, 누름 지그(8)에 마련된 발열체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 1 수지 부재의 상기 용착부 또는 상기 제 2 수지 부재의 상기 용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연화시켜 상기 용착부끼리를 밀착하는 가열 공정과 광원에서 상기 조사 광선을 누름 지그(80) 및 제 1 수지 부재(200)를 투과시켜 상기 제 2 수지 부재(100)의 상기 용착부(70)에 조사해 제 1 수지 부재(200)와 제 2 수지 부재(100)를 용착하는 용착 공정을 구비한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welding portion 70 of the first resin member 200 is pressed against the welding portion 70 of the second resin member 100 using a pressing jig 80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first resin memb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le pressing the welded portion 70 of the first resin member 200 against the welded portion 70 of the second resin member 100 by a pressing process and a pressing jig 80 A heating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first resin member or the welded portion of the second resin member is softened by heating with a heating element provided in the pressing jig 8 so as to contact the welded portion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light source presses the irradiation light through the jig 80 and the first resin member 200 to irradiate the welded portion 70 of the second resin member 100 so that the first resin member 200 and the second A welding process of welding the resin member 100 is provided.

따라서, 누름 지그에 의한 누름 작업 전에 용착부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제2 수지 부재(100)에 대해서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제1 수지 부재(200)에 접하도록 누름 지그(80)에 마련되었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heating element for heating the welded portion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sin member 100 before the pressing operation by the pressing jig, and the pressing jig 8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contact the first resin member 200. ).

투명 지그(80)를 통해, 가열 작업과 누름 작업을 연속해 수행할 수 있고 작업성 향상을 도모한 다음 제1 수지 부재(200)와 제2 수지 부재(100)의 용착에 의한 양호한 접합성을 확보할 수 있다.Through the transparent jig 80, the heating operation and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and workability is improved, and then good bonding properties are secured by welding the first resin member 200 and the second resin member 100. can do.

지그 없이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How to stay in close contact without a jig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일곱 번째 실시예로서, 하우징에서 돌출된 용착기부가 용착되는 수지커버에 형성된 안착부에 삽입 결함됨으로써, 별도의 지그없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 seventh embodiment, a method of maintaining a close contact without a separate jig by inserting defects in the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resin cover to which the welder protruding from the housing is welded is described. Suggest.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우징에서 돌출된 용착기부가 용착되는 수지커버에 형성된 안착부에 삽입 결함됨으로써, 별도의 지그없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lder protruding from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a defect formed in the resin cover to be welded, thereby maintaining a close contact without a separate jig.

도 1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과 아우터 커버(200의 접합 상태를 확대해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 13,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onnection state of the housing 100 and the outer cover 200.

홈 내에 용착 기부(101)가 끼워 맞추어져 용착 기부(101)의 외주 측 측면과 제1 용착다리 내벽이 레이저 용착에서 접합하게 된다.The welding base 101 is fit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ide side of the welding base 101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welding leg are joined by laser welding.

레이저 용착부(70)은 고정 방향 z'와 평행한 방향에 위치한다. The laser welding portion 70 is loc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xing direction z'.

차량용 등기구(1)을 정면 방향에서 레이저 용착부(70)를 바라보아도 레이저 용착면 이 시인 방향과 평행이기 때문에 레이저 용착면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Even when the vehicle luminaire 1 is viewed from the front direction of the laser welding portion 70, the laser welding surface is hardly observed because the laser welding surface is parallel to the viewing direction.

따라서, 레이저 용착면 에 불균일한 용착 부분이 발생해 버린 경우에도, 외관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a non-uniform welding portion has occurred on the laser welding surface, the appearance can be not impaired.

다음으로, 하우징(100)에 아우터 커버(200)를 레이저 용착에서 접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bonding the outer cover 200 to the housing 100 by laser welding will be described.

하우징(100)의 전둘레부에 형성된 용착 기부(101)과 평행한 방향, 즉 z'방향에서 아우터 커버(200)를 오목부를 덮도록 해 조립한다. The outer cover 200 is assembled by covering the concave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elding base 101 formed on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0, that is, in the z'direction.

이 때, 용착 기부(101)이 홈(201) 내에 삽입하도록 끼워 맞춘다. At this time, the welding base 101 is fit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01.

용착 기부(101)의 외주부측면과 제1 용착다리 내벽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고 용착 기부(101)의 내측 측면과 제2 용착다리 내벽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고, 홈(201) 과 동등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welding base 101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welding leg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inner side of the welding base 101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welding leg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e the same size as the groove 201. Can be formed.

또한, 용착 기부(101)는 선단 측의 폭 쪽이 좁은 단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base 101 may have a narrow cross-sectional trapezoidal shape in the width side of the tip side.

따라서, 용착 기부(101)와 용착 다리부를 끼워 맞추었을 때, 용착 기부(101)가홈(201) 내에서 면접촉해 고정한다. Therefore, when the welding base 101 and the welding leg are fitted together, the welding base 101 is in surface contact and fixed in the groove 201.

덧붙여 사방에 걸쳐 항상 면접촉하도록 하우징(100) 및 아우터 커버(200)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사출성형시의 오차 및 금형 제조상의 이유에서 어려운 때에는 홈(201) 의 레이저 용착부(70)이 되는 측이 면접촉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mold the housing 100 and the outer cover 200 to always make surface contact over all sides, but when it is difficult due to errors in injection molding and mold manufacturing reasons, the laser welding portion 70 of the groove 201 becomes It is desirable to have the side contact the surface.

또한, 용착 기부(101)를 고정 방향 z'에 대해서 불과에 경사진 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elding base 101 has a shape having a side surface that is on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direction z'.

경사시킴으로써 자중을 이용해 레이저 용착부에서의 면접촉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by inclining, the surface contact at the laser welding portion can be strengthened by using its own weight.

또한, 용착 기부(101)의 측면 및 홈(201)의 내벽 중 어느 쪽 면도 평활한 표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ith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weld base 101 and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201 be a smooth surface.

평활면으로 함으로써 레이저 용착면이 깨끗한 접합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laser welding surface can be a clean bonding by setting it as a smooth surface.

이어서 하우징(100)과 아우터 커버(200)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레이저 용착을 한다. Subsequently, laser welding is performed while the housing 100 and the outer cover 200 are fitted together.

레이저광 L(10)는 지면왼쪽 측에서 즉 차량용 등기구(1)의 외주 측에서 조사될 수 있다.The laser light L (10) may be irradiated from the left side of the ground, that is,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vehicle luminaire (1).

레이저광 L(10)은 제1 용착다리를 통과해 용착 기부(101)을 향하고, 레이저광 L(10)를 받은 용착 기부(101)는 발열되고 또한 열전도에 의해 제1 용착다리도 발열한다. The laser light L (10) passes through the first welding leg and is directed toward the welding base 101, and the welding base 101 receiving the laser light L (10) generates heat, and also heats the first welding leg by thermal conduction.

이후, 양자가 용융 상태가 되어 융합하고 용착하는데, 레이저광 L(10)이 조사되지 않게 되면 냉각되고 레이저 용착부(70)은 레이저 용착면 에서 접합해서 고정된다.Thereafter, both are in a molten state, fused and welded. When the laser light L 10 is not irradiated, it is cooled and the laser welded portion 70 is bonded and fixed at the laser welded surface.

이 실시예에서는, 레이저광 L(10)를 조사할 때 특별한 지그(8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가압을 더하는 작업은 실시하고 있지 않다. In this embodiment, when irradiating the laser beam L10, a special jig 80 is not used to apply pressure from the outside.

종래의 레이저 용착에 있어서는 접합면을 지그(80)를 이용하여 가압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용착 기부(101)를 용착다리 또는 홈(201)에 끼워넣도록 하고 있으므로, 하우징(100)또는 아우터 커버(200)의 무게에 의해 특별한 지그(80)를 이용하지 않아도 레이저 용착부(70)는 면접촉한 접합면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In the conventional laser welding, it was necessary to pressurize the bonding surface using the jig 80, but in this embodiment, the welding base 101 is inserted into the welding leg or groove 201, so the housing 100 ), or even if a special jig 80 is not used due to the weight of the outer cover 200, the laser welding portion 70 has a surface-contact bonding surface.

따라서, 아우터 커버(200)의 중앙 부분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종래의 문제점 해결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cover 200 is damaged or contaminated.

추가 실시예Additional Exampl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로 레이저가 유입되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착면과 조명광 투과부 사이에 중간면을 형성하고, 광선에 대해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가 되도록 형성하여 내부로의 레이어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laser from entering and burning into the interior, an intermediate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welding surface and the illumination light transmitting part, and formed to be at an angle exceeding the cri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light beam, thereby forming a layer into the interior.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low.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각이 상대적으로 작고, 입사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는 영역에서는 레이저의 주사 속도를 높임으로써, 용착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eld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scanning speed of the laser in a region where the incident angle is relatively small and the incident energy density is increased.

레이저 용착 시장Laser welding market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과 관련된 레이저 용착 시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14A to 14D are graphs for explaining the laser welding marke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는 세계 레이저 용착 시장 규모를 백만 달러 단위로 표현한 것이다.14A shows the global laser welding market size in millions of dollars.

도 14a를 참조하면, 세계 시장에 있어, 레이저 용착 시장은 2016년 14억 2,50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5.79%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19억 9,700만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Referring to FIG. 14A, in the global market, the laser welding market is expected to grow from $ 1.425 billion in 2016 to 5.79% on an annual average, and grow to $ 1.97 billion by 2022.

또한, 도 14b는 레이저 용착 지역별 시장규모를 백만 달러 단위로 표현한 것이다.In addition, FIG. 14B shows the market size of each laser welding region in units of million dollars.

도 14b를 참조하면,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2016년 5억 2,800만 달러 규모에서 2022년 7억 6,500만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Referring to FIG. 14B, the Asia-Pacific market is expected to account for the largest share, and is expected to grow from USD 528 million in 2016 to USD 765 million in 2022.

또한, 도 14c는 레이저 용착 적용 산업별 시장규모를 백만 달러 단위로 표현한 것이다.In addition, FIG. 14C shows the market size of each laser welding application industry in units of million dollars.

도 14c를 참조하면, 공작기계 시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2016년 3억 6,500만 달러 규모에서 2022년 4억 8,300만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Referring to Fig. 14c, the machine tool market is expected to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and is expected to grow from $366 million in 2016 to $483 million in 2022.

또한, 도 14d는 세계 레이저 플라스틱 용착 시장규모를 억 달러 단위로 표현한 것이다.In addition, FIG. 14D shows the global laser plastic welding market size in billions of dollars.

도 14d를 참조하면, 2016년 7억 5,89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8.3%로 성장하여 2025년 15억 4,32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3억 4,280만 달러 규모(점유율 42%)의 시장을 차지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14d, it is expected to grow from $758.9 million in 2016 to an annual average of 8.3% to reach $1.543.2 million in 2025, and the Asia-Pacific region is expected to reach $342.8 million (42% share). As it occupies the market, it occupies the largest market share in the world.

세계 레이저 플라스틱 용착 시장은 경쟁이 치열한 제조 기계 시장에 진입하기 위하여 용착 방법, 레이저원, 자동화 등 다양한 방법에서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The global laser plastic welding market is pursuing innovation in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method, laser source, and automation to enter the highly competitive manufacturing machinery market.

레이저 플라스틱 용착 기술의 발전으로 완성도 높은 용착 이음매(Weld joint)의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레이저 플라스틱 용착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미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불가시면(Hidden surface)에서 용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레이저 용착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With the advancement of laser plastic weld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quality weld joints, and the laser plastic welding market is growing rapidly.In particular, as consumers' preference for aesthetic products increases, welding on the hidden surfac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laser welding that can do the job.

레이저 용착 장비의 가격이 급속하게 하락하는 것도 시장 확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The rapid decline in the price of laser welding equipment is also affecting the market expansion.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 및 제어방법의 수요는 높고, 높은 시장성이 보장된다고 판단된다.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demand for the wel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a las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 and high marketability is guarante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Effec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용착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 welding device using a la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n be provided to a us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annealing)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opaque plastics and transmissive plastics without annealing process using a laser beam having a wavelength of 1400 to 3000 nm.

본 발명에 따르면, 어닐링 과정의 적용을 생략함으로써, 용착 전체 과정에 있어 단락공정 부분을 없애고,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ort circuit process part in the entire welding process can be elimin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용착은 저비용 고효율로 플라스틱 접합이 가능하고, 비접촉식 용착 방법으로써 진동, 충격, 열에 의한 제품의 외관 변형이 없으며, 버(Burr) 또는 보푸라기(Fluff)가 발생하지 않아 접합 품질이 뛰어나고, 2D, 3D 형상의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여 크기나 형상에 구애 받지 않으며, 자동화가 용이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lase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lastic bonding with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and as a non-contact welding method, there is no external deformation of the product due to vibration, shock, and heat, and the bonding quality is excellent because no burr or fluff occurs. As it can be applied to products of 2D, 3D shape, regardless of size or shape, automation is easy, and system stability can be provided.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므로, 초점거리를 늘릴 수 있어 용착 작업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레이저빔의 형태 및 초점크기를 변형할 수 있으므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진 객체에 대한 용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laser is u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welding operation by increasing the focal length, and since the shape and the focal size of the laser beam can be changed, welding to an object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과영역과 밀착영역 사이의 온도차가 작아져 하우징과 투과성 커버는 견고하게 용착 결합되고, 더 나아가 일정한 용착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ve region and the close contact region is reduced, so that the housing and the transmissive cover are firmly welded together, and further, a constant weld quality can be expected.

또한, 투과영역의 예열과 밀착영역의 용융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투과성 커버와 비투과성 하우징이 이종재질이라 하더라도 견고하고 빠른 용착결합이 가능하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preheating of the transmissive region and melting of the contact region proce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permeable cover and the non-permeable housing are of heterogeneous materials, there is an action and effect that solid and fast welding and bonding are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can also be configured.

Claims (1)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닐링(annealing) 과정 없이, 불투과성의 제 1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제 2 플라스틱을 용착시키는 플라스틱 용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용착 장치는,
상기 제 1 플라스틱과 투과성의 제 2 플라스틱을 밀착시키고,
상기 밀착된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며,
상기 레이저 빔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플라스틱을 투과하면서 제 1 흡수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의 제 1 밀착영역에 나머지 빔이 제 2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흡수 및 제 2 흡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밀착 영역이 용착되도록 하고,

상기 레이저 빔은 1400~3000 nm 파장대를 가지고,

상기 제 2 플라스틱을 투과한 레이저 빔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반사면에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레이저 빔이 상기 제 1 밀착영역과 다른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의 제 2 밀착영역으로 흡수되며,
상기 제 1 밀착 영역 및 제 2 밀착영역이 함께 용착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 중 적어도 일부가 굴곡진 파트(part)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플라스틱 용착 장치는,
상기 제 1 플라스틱과 상기 제 2 플라스틱을 밀착시키기 이전에, 상기 굴곡진 파트에 대한 제 1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레이저 빔은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 출력값, 속도 및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과의 이격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굴곡진 파트에 대한 길이, 높이변화 및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레이저 빔이 유입되는 임계각을 초과하는 각도를 갖는 단차로 형성된 중간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밀착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으로는 상기 레이저 빔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플라스틱 용착 장치는,
상기 밀착된 제 1 플라스틱 및 제 2 플라스틱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이전에, 상기 밀착된 제 1 플라스틱과 제 2 플라스틱을 지그(jig)를 이용하여 추가 밀착시키고,

상기 지그는 투명이며,

상기 제 1 밀착 영역 중 상기 레이저 빔의 입사각이 미리 설정된 수치 이하이거나 입사되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는 영역에서는 상기 레이저 빔의 출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착 장치.
In the plastic welding device for welding the first impermeable plastic and the second transmissive plastic without annealing using a laser beam,

The plastic welding device,
The first plastic and the permeable second plastic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first and second plastic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laser beam is first ab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lastic, and the remaining beam is second absorbed in the first contact area of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Using the first absorption and the second absorption to allow the first adhesion region to be welded,

The laser beam has a wavelength range of 1400 to 3000 nm,

At least a portion of the laser beam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lastic is reflected on a reflective surface provi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lastic,
The reflected laser beam is absorbed into a second contact area of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act area,
The first contact area and the second contact area are welded together,

When there is a par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is curved,
The plastic welding device,
Before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first information on the curved part is collected,
The laser beam adjusts at least one of a focal length, an output value, a speed of the irradiated laser beam,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accor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length, height change, and shape information for the curved part,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lastic and the second plastic, an intermediate surface formed with a step having an angle exceeding a critical angle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introduced is formed, so that the laser beam is transmitted to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contact area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plastic welding device,
Before irradiating the laser beam to the first and second plastics that are adhered, the first and second plastics are further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a jig,

The jig is transparent,

The plastic wel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increased in a region in which the incident angle of the laser beam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or the incident energy density is increased among the first contact regions.
KR1020210022134A 2019-03-18 2021-02-18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Active KR102261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134A KR102261103B1 (en) 2019-03-18 2021-02-18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67A KR102221435B1 (en) 2019-03-18 2019-03-18 welding equipment using laser for plastic weld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210022134A KR102261103B1 (en) 2019-03-18 2021-02-18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67A Division KR102221435B1 (en) 2019-03-18 2019-03-18 welding equipment using laser for plastic weld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927A true KR20210023927A (en) 2021-03-04
KR102261103B1 KR102261103B1 (en) 2021-06-07

Family

ID=7517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134A Active KR102261103B1 (en) 2019-03-18 2021-02-18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10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7364A (en) * 2000-03-30 2001-10-09 Stanley Electric Co Ltd Method of welding resin parts by light energy and apparatus for welding resin parts by light energy
KR20060086289A (en) * 2005-01-26 2006-07-3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aire for a vehicle
KR20070122383A (en) * 2006-06-26 2007-12-3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le lighting and vehicle lighting
KR100990928B1 (en) * 2010-05-04 2010-11-01 유로비젼 (주) Plastic laser welding apparatus
JP2011102029A (en) * 2009-10-15 2011-05-26 Stanley Electric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object
KR20110140100A (en) * 2010-06-24 2011-12-30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Manufacture of vehicle lamps and vehicle lamps
KR20160052587A (en) 2013-08-30 2016-05-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of stack
KR20160094483A (en) * 2015-01-30 2016-08-10 (주) 유로비젼레이저 Laser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bile lamp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7364A (en) * 2000-03-30 2001-10-09 Stanley Electric Co Ltd Method of welding resin parts by light energy and apparatus for welding resin parts by light energy
KR20060086289A (en) * 2005-01-26 2006-07-3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Method of manufacturing a luminaire for a vehicle
KR20070122383A (en) * 2006-06-26 2007-12-3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le lighting and vehicle lighting
JP2011102029A (en) * 2009-10-15 2011-05-26 Stanley Electric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object
KR100990928B1 (en) * 2010-05-04 2010-11-01 유로비젼 (주) Plastic laser welding apparatus
KR20110140100A (en) * 2010-06-24 2011-12-30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Manufacture of vehicle lamps and vehicle lamps
KR20160052587A (en) 2013-08-30 2016-05-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of stack
KR20160094483A (en) * 2015-01-30 2016-08-10 (주) 유로비젼레이저 Laser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bile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103B1 (en)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6512B2 (en) VEHICLE LIGHT AND METHOD FOR PRODUCING VEHICLE LIGHT
US6464374B2 (en) Vehicular lamp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91343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ular lamp
JP4829637B2 (en) Case, portable device, and laser welding method for resin molded product
JP4311158B2 (en) Resin molded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4171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ular lamp
CN19516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welding thermoplastic resin members
CN201320841Y (en) Optical-fiber laser welding device based on thermoplastics scanned through vibration mirrors
US7287877B2 (en) Vehicular lighting device and beam welding method
CN102107530A (en) A New Method of Welding Plastics Using a Metal Laser Welding Machine
KR100837709B1 (en) Vehicular lamp
JP2007523763A (en) Joint design for laser welding of thermoplastics
CN100471656C (en) Laser Joining Method of Structural Plastic Products
KR102221435B1 (en) welding equipment using laser for plastic weld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261103B1 (en) A device that uses laser beams to weld opaque and permeable plastics without annealing
KR102275489B1 (en) systems that weld impermeable and permeable
JP4439892B2 (en) Laser welding method
JP201319689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ular lamp
KR20160094483A (en) Laser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bile lamp
KR101208217B1 (en) Laser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bile lamp
JP2009248322A (en) Laser welding method
JP433395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ular lamp
JP2015160383A (en) Part fixation method
JP2010076246A (en) Method for welding resin material
CN101692159A (en)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toner powder hopper and waste powder hopper by virtue of la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2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031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03066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