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072A - 홀로그래픽 투사 방식을 이용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투사 방식을 이용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0072A KR20210030072A KR1020190111556A KR20190111556A KR20210030072A KR 20210030072 A KR20210030072 A KR 20210030072A KR 1020190111556 A KR1020190111556 A KR 1020190111556A KR 20190111556 A KR20190111556 A KR 20190111556A KR 20210030072 A KR20210030072 A KR 202100300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guide plate
- light guide
- light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7—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74—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holographic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2001/0088—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video-holography, i.e. integrating hologram acquisition, transmission and displa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23—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light source, hologram and observer
- G03H2001/2231—Reflection re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2개의 2차원(2D)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3은 2개의 홀로그래픽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면에서 푸리에 렌즈와 광차폐 부재를 보다 확대하여 보인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2개의 2D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도 13에 도시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의 깊이를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15는 2개의 홀로그래픽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도 13에 도시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의 깊이 범위를 예시적으로 보인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채용한 다양한 전자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110.....광원
111.....콜리메이팅 렌즈
112.....빔스플리터
113.....푸리에 렌즈
120.....디스플레이 패널
130.....광학계
131.....광차폐 부재
132a, 132b.....거울
133.....렌즈
141a, 141b, 161a, 161b, 161La, 161Lb, 161Ra, 161Rb, 171a, 171b.....도광판
142a, 142b, 162a, 162b, 172a, 172b.....입력 커플러
143a, 143b, 163a, 163b, 172a, 172b.....출력 커플러
151, 151a, 151b.....광학 부재
190.....영상 처리기
Claims (38)
- 조명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조명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처리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되는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분리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기는 제 1 위상 프로파일이 적용된 제 1 영상 데이터와 제 1 위상 프로파일과 상이한 제 2 위상 프로파일이 적용된 제 2 영상 데이터를 합한 합성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영상을 제 1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 1 거울 및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 2 거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조명광을 반사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반사형 공간 광변조기이며,
상기 광학계는: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거울에 포커싱하고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거울에 포커싱하는 푸리에 렌즈;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조명광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푸리에 렌즈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빔스플리터;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빔스플리터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 렌즈;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0차 회절에 의해 발생한 빛을 차단하는 광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 부재는 상기 푸리에 렌즈의 광축 상에서 상기 푸리에 렌즈의 초점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거울과 제 2 거울은 상기 푸리에 렌즈의 초점 평면에서 상기 광차폐 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조명광을 투과시켜 영상을 생성하는 투형 공간 광변조기이며,
상기 광학계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사하는 조명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 렌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광면에 마주하여 배치되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거울에 포커싱하고 및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거울에 포커싱하는 푸리에 렌즈;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영상을 제 1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 1 도광판 및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공간과 상이한 제 2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 2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판은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1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1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광판은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2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2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포커싱하는 푸리에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입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영상이 상기 푸리에 렌즈에 의해 포커싱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입력 커플러는 상기 제 2 영상이 상기 푸리에 렌즈에 의해 포커싱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1 입력 커플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 2 출력 커플러는 상기 제 2 입력 커플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0차 회절에 의해 발생한 빛을 차단하는 광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광판과 제 2 도광판은 상기 광차폐 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은 관찰자의 좌안용 영상이고 상기 제 2 영상은 관찰자의 우안용 영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영상을 제 1 공간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제 1 광학 부재 및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공간과 상이한 제 2 공간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제 2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부재 및 제 2 광학 부재는 반투과 거울 또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s; HOE)인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포커싱하는 푸리에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광학 부재 및 제 2 광학 부재는 상기 푸리에 렌즈로부터 상기 푸리에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0차 회절에 의해 발생한 빛을 차단하는 광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차폐 부재는 상기 푸리에 렌즈의 광축 상에서 상기 푸리에 렌즈의 초점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학 부재 및 제 2 광학 부재는 상기 광차폐 부재의 양측 반대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 2 영상이 제 1 영상에 대해 시프트 되도록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포커싱하는 푸리에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푸리에 렌즈로부터 상기 푸리에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은 서로 상이한 시점(viewpoint) 정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 1 영상을 제 1 각도 범위로 공간 내에 안내하는 제 1 도광판 및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각도 범위와 상이한 제 2 각도 범위로 공간 내에 안내하는 제 2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판은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1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1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광판은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2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2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력 커플러를 통해 출력된 제 1 영상이 상기 제 2 도광판의 상기 제 2 출력 커플러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출력 커플러와 상기 제 2 출력 커플러가 중첩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이 상기 제 1 입력 커플러에만 입사하고 상기 제 2 영상이 상기 제 2 입력 커플러에만 입사하도록 상기 제 1 입력 커플러와 상기 제 2 입력 커플러가 서로 마주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입력 커플러와 제 2 입력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0차 회절에 의해 발생한 빛을 차단하는 광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기는 제 1 및 제 2 위상 프로파일과 상이한 제 3 위상 프로파일이 적용된 제 3 영상 데이터와 제 1 내지 제 3 위상 프로파일과 상이한 제 4 위상 프로파일이 적용된 제 4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 데이터에 합한 합성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제 1 영상 내지 제 4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과 제 3 영상은 서로 상이한 시점 정보를 갖는 관찰자의 우안용 영상이고, 상기 제 2 영상과 제 4 영상은 서로 상이한 시점 정보를 갖는 관찰자의 좌안용 영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 3 영상이 제 1 영상에 대해 시프트 되도록 상기 제 1 영상 및 제 3 영상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제 1 광학 부재 및 제 4 영상이 제 2 영상에 대해 시프트 되도록 상기 제 2 영상 및 제 4 영상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제 2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 1 영상을 제 1 각도 범위로 제 1 공간 내에 안내하는 제 1 도광판;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각도 범위로 제 1 공간과 상이한 제 2 공간 내에 안내하는 제 2 도광판;
상기 제 3 영상을 제 1 각도 범위와 상이한 제 2 각도 범위로 제 1 공간 내에 안내하는 제 3 도광판; 및
상기 제 4 영상을 제 2 각도 범위로 제 2 공간 내에 안내하는 제 4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판은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1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1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광판은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2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2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도광판은 상기 제 3 영상을 상기 제 3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3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3 영상을 상기 제 3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3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도광판은 상기 제 4 영상을 상기 제 4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4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4 영상을 상기 제 4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4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력 커플러를 통해 출력된 제 1 영상이 상기 제 3 도광판의 상기 제 3 출력 커플러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출력 커플러와 상기 제 3 출력 커플러가 중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출력 커플러를 통해 출력된 제 2 영상이 상기 제 4 도광판의 상기 제 4 출력 커플러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 2 출력 커플러와 상기 제 4 출력 커플러가 중첩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0차 회절에 의해 발생한 빛을 차단하는 광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광판과 제 3 도광판은 상기 광차폐 부재의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광판과 제 4 도광판은 상기 광차폐 부재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 1 영상을 공간 내의 제 1 깊이에 투영하는 제 1 도광판 및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깊이와 상이한 공간 내의 제 2 깊이에 투영하는 제 2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판은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1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1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광판은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 2 입력 커플러, 및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도광판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2 출력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력 커플러를 통해 출력된 제 1 영상이 상기 제 2 도광판의 상기 제 2 출력 커플러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출력 커플러와 상기 제 2 출력 커플러가 중첩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 2 영상이 제 1 영상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제 1 영상이 제 2 영상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이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을 형성하며, 제 2 영상은 제 1 영상보다 좁은 화각과 제 1 영상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기는 제 1 영상이 제 1 초점거리에 포커싱되도록 제 1 위상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제 2 영상이 제 1 초점거리보다 먼 제 2 초점거리에 포커싱되도록 제 2 위상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기는, 제 1 초점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제 2 초점거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길도록 제 1 위상 프로파일과 제 2 위상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포커싱하는 제 1 렌즈;
상기 제 1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영상의 초점 부근에 배치되어 제 2 영상의 발산 각도를 감소시키는 제 2 렌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0차 회절에 의해 발생한 빛을 차단하는 광차폐 부재; 및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동일한 한 점에 모으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 마운트형, 안경형 또는 고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상 현실(VR) 디스플레이 장치, 증강 현실(AR)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혼합 현실(MR)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11556A KR102830276B1 (ko) | 2019-09-09 | 2019-09-09 | 홀로그래픽 투사 방식을 이용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 US16/813,905 US11392089B2 (en) | 2019-09-09 | 2020-03-10 | Multi-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holographic projection |
| CN202010284175.5A CN112462517B (zh) | 2019-09-09 | 2020-04-13 | 使用全息投影的多图像显示装置 |
| EP20194816.3A EP3792681B1 (en) | 2019-09-09 | 2020-09-07 | Multi-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holographic proj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11556A KR102830276B1 (ko) | 2019-09-09 | 2019-09-09 | 홀로그래픽 투사 방식을 이용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30072A true KR20210030072A (ko) | 2021-03-17 |
| KR102830276B1 KR102830276B1 (ko) | 2025-07-04 |
Family
ID=7242213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11556A Active KR102830276B1 (ko) | 2019-09-09 | 2019-09-09 | 홀로그래픽 투사 방식을 이용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US (1) | US11392089B2 (ko) |
| EP (1) | EP3792681B1 (ko) |
| KR (1) | KR102830276B1 (ko) |
| CN (1) | CN11246251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929636B (zh) * | 2019-12-05 | 2024-09-10 |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 3d显示设备、3d图像显示方法 |
| CN114153067A (zh) * | 2020-09-07 | 2022-03-0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近眼显示装置 |
| KR20230021219A (ko) * | 2021-08-04 | 2023-02-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US11328634B1 (en) * | 2021-09-07 | 2022-05-10 | Himax Display, Inc. |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with liquid crystal on silicon panel |
| KR20230082435A (ko) | 2021-12-01 | 2023-06-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도파관형 디스플레이 장치 |
| CN115793246B (zh) * | 2022-11-10 | 2024-07-02 | 北京工业大学 | 一种基于单片空间光调制器的双目全息真3d近眼显示系统 |
| WO2025050046A1 (en) * | 2023-09-01 | 2025-03-06 | Swave Bv |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 modulatio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05770A (ko) * | 1998-01-28 | 2001-01-15 | 요트.게.아. 롤페즈 | 헤드-설치된 디스플레이 |
| KR20020046890A (ko) * | 2000-12-15 | 2002-06-21 | 윤종용 | 착용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
| US20070273983A1 (en) * | 2006-05-26 | 2007-11-29 | Hebert Raymond T |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viewing |
| WO2018175653A1 (en) * | 2017-03-21 | 2018-09-27 | Magic Leap, Inc. | Display system with spatial light modulator illumination for divided pupils |
| KR20190007394A (ko) * | 2017-07-12 | 2019-01-22 | 호야 칸데오 옵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 도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191406B1 (en) * | 1998-07-24 | 2001-02-20 | Eastman Kodak Company | Data reader and reader system having visible centerless targeting |
| WO2004106983A2 (en) | 2003-05-22 | 2004-12-09 | Optical Research Associates | Illumination in optical systems |
| WO2008072376A1 (ja) * | 2006-12-14 | 2008-06-19 | Olympus Corporation | 空間位相変調素子および空間位相変調素子を用いた映像表示方法と空間位相変調素子を備えた投影装置 |
| GB201011829D0 (en) * | 2010-07-14 | 2010-09-01 | Two Trees Photonics Ltd | Display system |
| KR101759252B1 (ko) | 2011-01-21 | 2017-07-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티브 셔터를 이용한 3차원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장치 |
| US9188731B2 (en) | 2012-05-18 | 2015-11-17 | Reald Inc. | Directional backlight |
| US10054793B2 (en) | 2014-10-10 | 2018-08-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holographic display method |
| WO2017035053A1 (en) * | 2015-08-24 | 2017-03-02 | Finisar Corporation | Image projection system |
| KR102732515B1 (ko) | 2016-11-10 | 2024-1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확장된 시야창을 제공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965785B1 (ko) | 2017-05-15 | 2019-04-0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증강현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
| CN107356320B (zh) * | 2017-08-03 | 2019-12-06 | 天津大学 | 一种脉冲超声声场检测装置与方法 |
| US10613332B1 (en) * | 2018-02-15 | 2020-04-07 | Facebook Technologies, Llc | Near-eye display assembly with enhanced display resolution |
| KR102566408B1 (ko) | 2018-04-24 | 2023-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확장된 시야창을 제공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09-09 KR KR1020190111556A patent/KR102830276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03-10 US US16/813,905 patent/US11392089B2/en active Active
- 2020-04-13 CN CN202010284175.5A patent/CN112462517B/zh active Active
- 2020-09-07 EP EP20194816.3A patent/EP37926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05770A (ko) * | 1998-01-28 | 2001-01-15 | 요트.게.아. 롤페즈 | 헤드-설치된 디스플레이 |
| KR20020046890A (ko) * | 2000-12-15 | 2002-06-21 | 윤종용 | 착용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
| US20070273983A1 (en) * | 2006-05-26 | 2007-11-29 | Hebert Raymond T |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viewing |
| WO2018175653A1 (en) * | 2017-03-21 | 2018-09-27 | Magic Leap, Inc. | Display system with spatial light modulator illumination for divided pupils |
| KR20190007394A (ko) * | 2017-07-12 | 2019-01-22 | 호야 칸데오 옵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 도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2462517A (zh) | 2021-03-09 |
| US11392089B2 (en) | 2022-07-19 |
| KR102830276B1 (ko) | 2025-07-04 |
| CN112462517B (zh) | 2024-07-23 |
| EP3792681B1 (en) | 2023-08-30 |
| EP3792681A1 (en) | 2021-03-17 |
| US20210072701A1 (en) | 2021-03-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830276B1 (ko) | 홀로그래픽 투사 방식을 이용한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
| JP7222968B2 (ja) | 視野を拡大す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 |
| TWI709765B (zh) | 擴增實境光場頭戴式顯示器 | |
| CN110998413B (zh) | 包括光导的显示装置 | |
| KR102659198B1 (ko) | 저감된 색수차를 갖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 |
| US11022799B2 (en) | Projector-combiner display with beam replication | |
| US11287655B2 (en) |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panded viewing window | |
| KR102843328B1 (ko) | 넓은 시야창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
| US10775540B2 (en) | Method of forming light modulating signal for displaying 3D imag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 image | |
| KR20180012058A (ko) |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용 박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 |
| KR102736296B1 (ko) |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 |
| CN111158078B (zh) | 背光单元和包括该背光单元的全息显示装置 | |
| KR101893590B1 (ko) |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이용한 투과형 초다시점 3차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 |
| KR102736294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 |
| KR102745347B1 (ko) | 홀로그래픽 영상을 제공하는 다중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
| KR102761435B1 (ko) | 확장된 시야창을 제공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 KR20200119716A (ko) | 양안식 홀로그램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1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