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691A -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6691A KR20210036691A KR1020190119035A KR20190119035A KR20210036691A KR 20210036691 A KR20210036691 A KR 20210036691A KR 1020190119035 A KR1020190119035 A KR 1020190119035A KR 20190119035 A KR20190119035 A KR 20190119035A KR 20210036691 A KR20210036691 A KR 202100366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ation
- information
- user terminal
- user
- storage bo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어 복용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별 또는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약 보관이 가능하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약 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복용약 보관함, 그리고 복약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로 복약 시간을 알려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약 복용상태를 수신하여 미복용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많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메시지를 전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용약 보관함은 약을 일별,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보관 가능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가 접근할 경우에만 보관함이 오픈되므로 복용자 외에 타인이 약을 오용하거나 약이 섞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일별 및 회수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되므로 복용일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별 또는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약 보관이 가능하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약 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복용약 보관함, 그리고 복약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로 복약 시간을 알려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약 복용상태를 수신하여 미복용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많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메시지를 전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용약 보관함은 약을 일별,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보관 가능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가 접근할 경우에만 보관함이 오픈되므로 복용자 외에 타인이 약을 오용하거나 약이 섞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일별 및 회수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되므로 복용일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별/복약 횟수별로 약을 분리 보관하고, 복약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식습관의 서구화 및 각종 공해로 인해 증가한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약 복용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제의 복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만성질환자나 영양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약 및 영양제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 감퇴로 인해 해당 복용 시각에 약의 복용을 빠뜨리게 되어 치료 효과가 저하되거나 혹은 중복 복용에 의한 약물 과다 복용으로 인해 환자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치매 환자 및 기억 관련 장애 등의 환자 및 독거노인 등은 스스로 약 복용 여부를 확인하거나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를 위해 규칙적인 약 복용을 도울 수 있는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4541(2016.01.22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별/복약 횟수별로 약을 분리 보관하고, 복약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어 복용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에 있어서, 일별 또는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약 보관이 가능하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약 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복용약 보관함, 그리고 복약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로 복약 시간을 알려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약 복용상태를 수신하여 미복용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많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메시지를 전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용약 보관함은, 칸막이로 분리된 복수의 약실홈으로 구성되는 보관부, 상기 약실홈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약실홈의 개수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보관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약 복용시기에 도래한 상태에서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가 근접할 경우, 상기 덮개부를 자동 개폐시키며, 복약시기가 지나도 상기 덮개부가 개폐되지 않을 경우, 알림신호를 출력하거나 LED를 통해 발광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용약 보관함은, 덮개부의 전면에 날짜를 표시하여 평시에는 달력으로 사용하되, 상기 덮개부는, 복약 스케쥴에 따라 해당 날짜 또는 시간에 발광되도록 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처방전의 QR 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복용약 보관함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처방전에 대응하는 복약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획득된 복용약 정보에 따라 복용 시기에 맞춰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신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복용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복용약에 대한 정상복용, 지연복용 및 미복용 여부를 입력받고,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회원정보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관리하고, 미 복용 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약에 대한 형상, 효능효과, 복용용량, 저장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할 경우 수집된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그리고 외부의 병원 서버와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병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복수의 병원에 대한 정보 및 연결링크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용약 보관함은 약을 일별,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보관 가능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가 접근할 경우에만 보관함이 오픈되므로 복용자 외에 타인이 약을 오용하거나 약이 섞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일별 및 회수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되므로 복용일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은 처방전에 포함된 QR코드를 인식하여 처방된 약의 기본정보와 복약횟수, 및 복약 기간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처방약의 정보를 보관함 및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함으로써 복용약의 성분, 효능 및 주의사항에 대해 무지하여 혼동이 유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복용시간을 준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용약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용약 보관함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따라 약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따라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예약정보를 알림으로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용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S81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전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되 S85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약상태를 체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용약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용약 보관함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따라 약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따라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예약정보를 알림으로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용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S81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전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되 S85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약상태를 체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은 복용약 보관함(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복용약 보관함(100)은 약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해 넣어두는 곳을 통칭한다. 복용약 보관함(100)에는 일별 또는 복약 횟수에 따라 구분되어 보관되도록 칸막이로 분리된 복수의 약실홈이 구비된다. 또한, 복용약 보관함(100)은 후술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되어 복약 스케쥴에 따라 약실홈을 개폐시키며 필요에 따라 알림음을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복용약 보관함(1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용약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용약 보관함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용약 보관함(100)은 보관부(110), 덮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보관부(100)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약실홈(111)을 포함한다. 약실홈(111)은 약을 수납하는 공간으로서, 칸막이(112)에 의해 일별 또는 복약 횟수에 따라 분리된다. 이때, 칸막이(112)는 필요에 의해 추가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약실홈(111)을 하루에 복용하는 횟수에 따라 칸막이(112)를 약실홈(111)의 내부에 추가 설치한다.
그리고, 약실홈(111)의 상면에는 덮개부(120)가 형성된다.
덮개부(120)는 약실홈(111)의 내부에 수납된 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약실홈(111)을 밀폐시킨다. 또한, 덮개부(120)에는 숫자가 기재된다. 숫자는 달력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복약하는 날짜와 매칭되는 덮개부(120)를 오픈하여 복약한다. 이때, 덮개부(120)는 후술되는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자동 개폐된다. 또한, 덮개부(120)는 내측에 LED를 포함한다. 따라서, LED는 후술되는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발광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보관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복약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복약 정보는 복약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용약 성분, 효능, 주의사항에 대해 무지하거나 혼동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된 복약 정보를 이용하여 처방일, 유통기한 등을 인지한 상태에서 복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덮개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부연하자면, 먼저 제어부(140)는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복약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전달받은 복약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전달받은 복약정보에 따라 복약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 제어부(140)는 덮개부(120)에 포함된 LED를 발광시킨다. 그리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200)가 근접하여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어부(140)는 복약 날짜 또는 시간에 매칭되는 덮개부(120)를 자동 개폐시킨다. 한편, 복약 시간이 도래된 상태에서 덮개부(120)를 개폐하는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140)는 알림신호를 생성한다.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처방전에 포함된 QR코드를 인식시킨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식된 QR코드를 통해 처방전에 포함된 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획득한 약에 대한 정보를 복용약 보관함(100) 및 관리서버(300)에 각각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병원 진료를 하고 약을 처방받은 당사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고, 복약자의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한 복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복약 시간에 따른 알림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한 개인 정보 및 복약 상태 정보 등을 수집하여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7를 통해 관리서버(3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따라 약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에 따라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예약정보를 알림으로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00)는 회원정보관리부(310), 알람발생부(320), 정보제공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먼저, 회원정보관리부(31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로 방문하는 병원, 사용자 및 보호자 연락처 등을 포함한다. 또한, 회원정보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획득한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알람발생부(320)는 수신된 복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관리하고, 미 복용 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부연하자면, 사용자는 단말기(200)에서 발생된 푸시알림으로 복약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해 복약 상태를 체크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약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알람발생부(320)는 전달받은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미 복약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에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정보제공부(33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해 약 정보를 요청할 경우 해당되는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부연하자면, 정보제공부는 약에 대한 형상, 효능효과, 복용용량, 저장방법 및 주의사항을 포함하는 약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약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정보제공부(330)는 해당되는 약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약 정보를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시킨다. 여기서 약 정보는 약의 이름, 모양, 색상, 저장방법, 효능효과, 용량용법 및 사용시 주의사항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40)는 건강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병원에 대한 정보 및 연결링크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부연하자면, 제어부(340)는 복약방법, 복약 시 피해야 할 행동 또는 각 분야의 전문의들이 제공하는 약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건강에 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어부(340)는 수집되어 있던 건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다양한 건강에 대한 정보를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부(340)는 외부의 병원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병원에 대한 진료과목 및 위치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병원에 대항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4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병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된 병원 정보 중에서 특정한 병원을 선택하면, 제어부(3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병원에 대한 연결링크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공받은 병원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에 진료 예약을 진행할 경우, 제어부(340)는 진료예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예약 날짜가 도래하였을 경우, 제어부(34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알림신호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용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용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S81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전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되 S85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약상태를 체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그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처방전에 포함된 QR코드를 인식시킨다(S810).
즉, 처방전에는 처방받은 사람의 개인정보와 처방받은 약의 종류 및 복약횟수 그리고 복약시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처방받은 약의 종류, 복약횟수 및 복약시기는 처방전에 포함된 QR코드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식된 QR코드를 통해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 다음, 사용자 단말기(200)는 획득한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복용약 보관함(100) 및 관리서버(300)에 각각 전달한다.
그러면, 복용약 보관함(100)는 전달받은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수신된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S810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처방전에 표시된 복약시기 도래하게 되면,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푸시알림 신호를 송출한다(S820).
이를 다시 설명하면,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의 종류 및 복약횟수 그리고 복약시기를 포함하는 처방약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수신된 처방약 정보 중에서 복약시기에 따라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알림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복용약 보관함(100)는 복약시간에 맞춰 덮개부(120)에 포함된 LED를 발광시킨다(S830). 이때, 복용약 보관함(100)에 포함된 제어부(140)는 해당 날짜 또는 해당 시간에 매칭되는 덮개부(120)를 발광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복용약 보관함(100)에 근접시켜 해당되는 덮개부(120)를 자동으로 개폐시킨다(S840).
사용자의 복약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약의 복약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약상태에 대해 "네" 또는 "나중에 알림"을 선택한다. 여기서 "네"를 선택한 것은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약을 복약한 상태인 반면에 "나중에 알림"을 선택한 것은 사용자가 지연복용 및 미복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S850).
한편,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복약 상태 정보 수집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미복약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지 판한다(S860).
이때, 판단된 결과 미복약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많을 경우,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S8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준 횟수를 3회로 지정하였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미복약 횟수가 3회 미만일 경우, 관리서버(300)는 복약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반면에 미복약 횟수가 3회 이상일 경우, 관리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기 입력된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기(200)에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는 매너리즘에 빠진 복약자가 복용기간과 시간을 준수하여 꾸준하게 복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용약 보관함은 약을 일별,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보관 가능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가 접근할 경우에만 보관함이 오픈되므로 복용자 외에 타인이 약을 오용하거나 약이 섞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일별 및 회수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되므로 복용일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르면,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은 처방전에 포함된 QR코드를 인식하여 처방된 약의 기본정보와 복약횟수, 및 복약 기간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처방약의 정보를 보관함 및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함으로써 복용약의 성분, 효능 및 주의사항에 대해 무지하여 혼동이 유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복용시간을 준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복용약 보관함
110 : 보관부
120 : 덮개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관리서버
310 : 회원정보관리부
320 : 알람 발생부
330 : 정보제공부
340 : 제어부
110 : 보관부
120 : 덮개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관리서버
310 : 회원정보관리부
320 : 알람 발생부
330 : 정보제공부
340 : 제어부
Claims (7)
-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어 복용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에 있어서,
일별 또는 복약 횟수 별로 분리하여 약 보관이 가능하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약 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복용약 보관함, 그리고
복약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로 복약 시간을 알려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약 복용상태를 수신하여 미복용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많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메시지를 전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약 보관함은,
칸막이로 분리된 복수의 약실홈으로 구성되는 보관부,
상기 약실홈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약실홈의 개수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보관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약 복용시기에 도래한 상태에서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가 근접할 경우, 상기 덮개부를 자동 개폐시키며, 복약시기가 지나도 상기 덮개부가 개폐되지 않을 경우, 알림신호를 출력하거나 LED를 통해 발광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약 보관함은,
덮개부의 전면에 날짜를 표시하여 평시에는 달력으로 사용하되,
상기 덮개부는,
복약 스케쥴에 따라 해당 날짜 또는 시간에 발광되도록 하는 LED를 포함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처방전의 QR 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복용약 보관함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처방전에 대응하는 복약기간, 복약횟수 및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획득된 복용약 정보에 따라 복용 시기에 맞춰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신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복용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복용약에 대한 정상복용, 지연복용 및 미복용 여부를 입력받고,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회원정보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관리하고, 미 복용 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약에 대한 형상, 효능효과, 복용용량, 저장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할 경우 수집된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그리고
외부의 병원 서버와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병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복수의 병원에 대한 정보 및 연결링크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19035A KR20210036691A (ko) | 2019-09-26 | 2019-09-26 |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19035A KR20210036691A (ko) | 2019-09-26 | 2019-09-26 |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36691A true KR20210036691A (ko) | 2021-04-05 |
Family
ID=754619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19035A Abandoned KR20210036691A (ko) | 2019-09-26 | 2019-09-26 |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036691A (ko)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192458A (zh) * | 2022-07-18 | 2022-10-18 | 王东松 | 智能药盒、智能药盒管理系统及健康监测管理方法 |
| KR20230073793A (ko) | 2021-11-19 | 2023-05-26 | 주식회사 소프트넷 |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복약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230135699A (ko) * | 2022-03-16 | 2023-09-26 | 최종선 | 사용자의 복약상태를 알려주는 스마트약통 |
| KR20250086425A (ko) | 2023-12-06 | 2025-06-13 | 박은교 | 종지를 탑재한 넘침 방지 피클 용기 |
| KR20250093956A (ko) | 2023-12-18 | 2025-06-25 | (주) 어더나 | 규칙적인 섭취의 습관화를 위한 영양제 및 이 영양제의 보관함 |
-
2019
- 2019-09-26 KR KR1020190119035A patent/KR20210036691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73793A (ko) | 2021-11-19 | 2023-05-26 | 주식회사 소프트넷 |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복약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230135699A (ko) * | 2022-03-16 | 2023-09-26 | 최종선 | 사용자의 복약상태를 알려주는 스마트약통 |
| CN115192458A (zh) * | 2022-07-18 | 2022-10-18 | 王东松 | 智能药盒、智能药盒管理系统及健康监测管理方法 |
| KR20250086425A (ko) | 2023-12-06 | 2025-06-13 | 박은교 | 종지를 탑재한 넘침 방지 피클 용기 |
| KR20250093956A (ko) | 2023-12-18 | 2025-06-25 | (주) 어더나 | 규칙적인 섭취의 습관화를 위한 영양제 및 이 영양제의 보관함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10036691A (ko) |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
| AU2018207113B2 (en) |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adminstration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 JP5671045B2 (ja) | 薬ディスペンサー | |
| US2019037860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protocol adherence data | |
| US6158613A (en) | Voice based pharmaceutical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 |
| US9357961B2 (en) | Device for enabling patient self testing and treatment self- administration and system using the device for managing the patient's health care | |
| CN109068974A (zh) | 具有改善的安全性和有效性特征的阿片样物质+设备组合产品 | |
| US2015024258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User and Providing a Schedule for a User | |
| US20110112686A1 (en) | Devic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d/or indicating a medicament dosage regime | |
| US20090134181A1 (en) | Medication dispenser with automatic refill | |
| US9345645B1 (en) | Bi-directional adaptive drug dispenser for managing divergence between pre-set regimen and actual performance | |
| US2011011907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 |
| JPH05502529A (ja) | 対話型投薬処理システム | |
| US20210043302A1 (en) | Health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
| US20020080034A1 (en) | Medication reminder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same | |
| KR102295376B1 (ko) | 원격 진료를 위한 자판기형 이동 진료 장치 및 진료 방법 | |
| KR102027359B1 (ko) | 치매 환자용 스마트 약 복용 지원 시스템 | |
| Roumaissa et al. | An IoT-based pill management system for elderly | |
| JP2011030934A (ja) | 服薬管理装置とプログラム及び服薬管理方法 | |
| Lundell et al. | Why elders forget to take their meds: A probe study to inform a smart reminding system | |
| KR20230050527A (ko) | 스마트 병상 헬스케어 시스템 | |
| Chavan et al. | Design and Development of Smart Pill Dispenser | |
| Dobrowolski et al. | Physician–patient partnership—can it help increase adherence to the therapeutic recommendations in cardiovascular disease? | |
| Shapiro-Baruch | The dismissal of female clients' reports of medication side effects: a first hand account | |
| Riley et al. | ‘I feel like I found myself again’–Rethinking ‘recovery’in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Heroin Assisted Treatment (HAT) service users’ experienc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