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764A - Air foil bearing - Google Patents
Air foil bea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8764A KR20210038764A KR1020190120788A KR20190120788A KR20210038764A KR 20210038764 A KR20210038764 A KR 20210038764A KR 1020190120788 A KR1020190120788 A KR 1020190120788A KR 20190120788 A KR20190120788 A KR 20190120788A KR 20210038764 A KR20210038764 A KR 202100387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mple
- aerial vehicle
- unmanned aerial
- contaminated
- contamin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43957 Vanessa atala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8 lethal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65 leth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HDHVHZZCFYRSB-UHFFFAOYSA-N pyriproxyfen Chemical compound C=1C=CC=NC=1OC(C)COC(C=C1)=CC=C1OC1=CC=CC=C1 NHDHVHZZCFYRS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1 radio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 B64C2201/1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manufacturing or servicing
- B64U2101/26—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manufacturing or servicing for manufacturing, inspections or repai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01N2001/2279—Atmospheric sampling high altitude, e.g. rockets, ballo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드론과 같은 무인기를 통해 설정 지역의 공기를 흡입하고, 설정 지역의 공기의 오염 유무를 감지하는 오염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ution detection system, for example, to a pollution detection system that sucks air in a set area through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drone,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in the set area.
일반적으로, 방사성 물질과 같은 유독물질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 등의 오염원에 노출된 오염 지역 경우, 오염원을 파악하여 방제기나 소독기를 사용하여 오염원을 제거하게 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contaminated area exposed to pollutants such as toxic substances such as radioactive substances or pathogens such as viruses, the pollutant source is identified and the pollutant is removed using a control device or a sterilizer.
더불어 전쟁에서도 '화생방전'이라고 하여, 화학적, 생물학적, 방사능 병기를이용하여 인체나 장비 등에 치명적인 가스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독소가 함유된 오염원을 살포하게 되는데, 이때, 오염원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오염 제거용 약제를 오염지역이나 공간 및 건물등에 살포하여 신속하게 제독 처리하게 된다.In addition, in war, it is called'chemical discharge', and the use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active weapons is used to spray pollutants containing toxins such as gases or viruses that are lethal to the human body or equipment. At this time, pollution is removed to quickly remove the pollutant. The chemicals are sprayed on contaminated areas, spaces, and buildings to quickly detoxify them.
이때, 오염된 지역의 오염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At this time, it is essential to collect and analyze contamination samples from the contaminated area.
이러한 오염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은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methods for collecting such contaminated samples.
오염 시료의 직접적인 채취 방법은, 소수 정예 요원이 화생방 방어복을 착용하고 직접 오염된 지역에 투입되어 오염 지역의 오염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The direct collection method of contaminated samples is a method in which a small number of elite personnel wear protective clothing for chemicals and put them into the contaminated area to collect contaminated samples.
이는 사람이 직접 오염된 지역에 투입되어야 함에 따라 오염물질에 노출될수 있는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화생방 방어복의 경우 움직임이나 활동 등에 제약이 많아 오염 지역으로의 투입 시 제약이 따르며, 한정된 공간에서의 오염시료만 채취할 수 있어 오염 시료의 분석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다.This is not only a high risk of exposure to pollutants as humans must be directly put into the contaminated area, but also in the case of chemical defense clothing, there are restrictions on movement or activities, so there are restrictions when entering the contaminated area. Since only contaminated samples can be collected, the accuracy of analysis of contaminated samples may be degraded.
오염 시료의 간접적인 채취 방법은, 시료 채취용 로봇이나 기구 등을 오염 물질이 노출된 지역으로 투입시켜 오염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료용 로봇이나 기구를 오염 지역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어하는 사람이 오염 지역에 근접하게 위치되어야 하며, 오염 지역에서 채취된 오염 시료를 전달받아 별도의 분석 장치로 보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The indirect sampling method of a contaminated sample is a method of collecting a contaminated sample by introducing a sample collection robot or instrument into an area exposed to a contaminant. However, in order to insert such a sample robot or instrument into a contaminated area, a person controlling it must be located close to the contaminated area, and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in that a contaminated sample collected from the contaminated area must be received and sent to a separate analysis device. .
따라서, 오염지역의 오염 시료를 채취하기 용이하면서, 오염된 채취 시료를 바로 분석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easily collect a contaminated sample from a contaminated area and directly analyze a contaminated sample.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염지역의 오염 시료를 빠르고 정확한 시료를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으면서, 채취된 오염 시료를 전달받아 검사할 수 있고, 감지된 오염에 따라 채취된 오염시료를 제독할 수 있는 오염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quickly collect contaminated samples from contaminated areas, receive and inspect the collected contaminated samples, and decontaminate the collected contaminated samples according to the detected contamin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은, Pollu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시료 포집부를 구비한 무인기;A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 sample collection unit;
상기 무인기를 수용하는 스테이션이 형성되는 이동체; 및A moving body in which a station accommod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formed; And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시료 포집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료 포집부에 포집된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moving body, connected to the sample collection unit to detect the sample collected by the sample collection unit.
상기 시료 포집부는,The sample collection unit,
시료를 수용하는 하우징;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sample;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료를 수용하거나 배출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를 구현하는 밸브부; 및A valve unit provided under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o receive or discharge the sample; And
상기 스테이션에 고정되는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docking portion fixed to the station.
상기 스테이션에는 상기 도킹부를 안착하여 상기 무인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sta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seating the docking part.
상기 검출부는,The detection unit,
상기 하우징 내부의 시료를 흡입하는 흡입부재;A suction member for sucking a sample inside the housing;
상기 흡입부재를 통해 수용된 상기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부재; 및A detection member for detecting the sample received through the suction member; And
상기 시료 포집부와 상기 흡입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sample collection unit and the suction member.
상기 검출부에는 상기 시료를 검출한 후 시료 오염 여부에 따라 오염된 시료의 오염을 제독하는 제독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contamination member configured to decontaminate the contaminated sample according to whether the sample is contaminated after detecting the sample.
상기 도킹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흡입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docking part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the housing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은 드론과 같은 무인기를 수용한 이동체가 오염지역 및 오염 의심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람이 직접 현장에 투입되지 않아도 되므로 위험성을 차단하면서, 무인기를 통해 원거리의 오염 의심 지역의 오염 시료를 채취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오염 지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pollu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object contain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drone can move to a contaminated area and a suspicious area of contamination, so that a person does not have to directly enter the site.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rmine whether a contaminated area is contaminated by collecting a contamination sample from a suspected contamination are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은 무인기를 통해 오염 지역이나 오염 의심 지역의 오염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안정적이며 빠르게 오염 시료를 채취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채취된 시료의 오염 여부나 오염원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 완료된 오염 시료는 오염 여부에 따라 제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a contamination sample from a contaminated area or a suspected contamination area through an unmanned aerial vehicle, so that a contamination sample can be collected stably and quickly, as well as in a state accommodated in a moving objec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 contaminated sample is contaminated or a contaminant source, and decontaminating the detected contaminated sample depending on whether it is contaminat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에서 무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에서, 시료 포집부와 검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에서, 시료 포집부와 검출부의 다른 결합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을 통한 오염 지역 또는/및 오염 의심 지역의 오염 시료 검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llu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a pollu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ample collection unit and a detection unit in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coupling structure of a sample collection unit and a detection unit in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detection of a contamination sample in a contaminated area or/and a contamination suspicious area through a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ollu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10)에서 무인기(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10)은 이동체(100)와 무인기(200) 및 검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100)는 후술하는 무인기(200)를 수용할 수 있는 스테이션(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100)는 이동 가능한 차량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스테이션(110)에는 상기 무인기(200)의 수용에 따라 상기 스테이션(110)을 개폐시킬 수 있는 해치(1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스테이션(110)의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션(110)에 수용된 상기 무인기(2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1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2)는 후술하는 상기 무인기(200)의 도킹부(223)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도킹부(223)가 상기 고정부재(102)에 안착되면 상기 하우징(221)의 내측과 상기 검출부(12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
상기 고정부재(102)는 상기 스테이션(1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상기 무인기(200)가 안착되는 안착부(102a)와, 상기 안착부(102a) 상부로 상기 도킹부(223)와 결합되는 결합부(102b)로 다단 구성될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재(102)의 구성이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인기(200)를 스테이션(110)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110)에 상기 무인기(200)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부(102b)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상기 이동체(100)는 무인 또는 유인으로 구동될 수 있고, 상기 무인기(200)와 위치 등을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기(200)의 비행을 설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이동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션(110)과 연결되어 후술하는 오염 지역 또는/및 오염 의심 지역(A, B, C)의 시료의 오염 유무를 검출하고, 제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검출부(120)가 수용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moving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200)는 후술하는 이동체(100)에 수용될 수 있고, 별도의 제어를 통해 오염 지역 또는/및 오염 의심 지역(A, B, C)으로 비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nmanned
상기 무인기(200)의 본체(210)에는 오염 지역 또는/및 오염 의심 지역(A, B, C)의 시료를 포집할 수 있는 시료 포집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료 포집부(220)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검출부(120)의 설명 시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The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이동체(100)와 연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무인기(200)의 구동을 관리할 수 있는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동체(100)를 통해 또는 별도의 관제 시스템에서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nmanned
상기 무인기(200)의 관리 시스템은 저장 방법 및 시스템에 통합된 3-D 지상레이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전류 연방 항공국 (FAA)과 군용 레이더 시스템은 500 피트 AGL 미만에서는 제대로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200)는 식별, 인코딩 고도계 및 트랜스폰더를 장착할 수 있으며, 무인기(200)의 비행의 모든 측면에서 트래픽 분리, 충돌 회피, 자동 종속 감시 방송 FAA 요건, 충돌 및 항법 등을 충족할 수 있는 무인기(200)의 관리 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인기(200)의 관리 시스템은 현재의 FAA 레이더 시스템에서 독립 실행형 시스템이 될 수 있다.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unmanned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10)에서, 시료 포집부(220)와 검출부(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에서, 시료 포집부와 검출부의 다른 결합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10)은 시료를 채취한 무인기(200)가 이동체(100)에 수용되면, 무인기(200)를 수용한 이동체(100)에서 채취된 시료를 바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120)는 이동체(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이션(110)에 상기 무인기(200)가 수용되면, 시료가 수용된 시료 포집부(220)는 이동체(100) 내측에 구비된 상기 검출부(120)와 연결되어 시료를 전달받아 시료를 검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시료의 오염 여부에 따라 제독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3A and 3B, the
먼저 상기 검출부(120)로 시료를 전달하기 위한 시료 포집부(2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First, the
상기 시료 포집부(220)는 상기 무인기(200)의 본체(210)에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무인기(200)의 위치 이동 및 구동에 따라 오염지역 및/또는 오염 의심 지역의 시료를 포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포집부(220)는 하우징(221), 밸브부(222) 및 도킹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하우징(221)은 상기 무인기(200)의 본체(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그 내부로 시료가 포집될 수 있도록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하우징(221)의 상부면은 기 무인기(200)의 본체(2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221)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밸브부(222)와 도킹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밸브부(222)는 상기 하우징(221)의 하부면에서 돌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로 시료를 유입하거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성이다.The
상기 밸브부(222)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인기(200)가 오염 지역 또는/및 오염 의심 지역(A, B, C)에 위치되면 상기 밸브부(222)는 오픈되고, 상기 오염 지역 또는/및 상기 오염 위험 지역의 시료는 상기 하우징(221)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시료를 흡입한 후 상기 밸브부(222)는 닫히고, 상기 하우징(221)을 밀폐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무인기(200)가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스테이션(110)으로 복귀되면 상기 밸브부(222)는 오픈되어 상기 후술하는 검출부(12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221)에서 시료가 모두 배출된 후 진공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부(222)는 닫혀 상기 하우징(221)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nmanned
상기 밸브부(222)는 일시에 개방되어 상기 시료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간헐적으로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하우징(221) 내부로 흡입되건 배출되는 상기 시료의 양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상기 밸브부(222)는 원격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도킹부(223)는 상기 밸브부(222)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02),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02b)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상기 도킹부(223)는 하부로 갈수록 입구가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결합부(102b)에는 상기 상부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는 안착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검출부(120)는 상기 무인기(2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시료 포집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시료의 오염을 분석하거나 제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검출부(120)는 흡입부재(121), 검출부재(122) 및 연결유로(124)를 포함할 수 있고, 제독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흡입부재(121)는 상기 시료 포집부(220)가 상기 스테이션(110)에 고정되면,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에 포집된 시료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재(121)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재(121)는 상기 하우징(221) 내부의 포집된 시료를 흡입하고, 흡입되는 시료를 검출부재(122)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검출부재(122)는 상기 흡입부재(121)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부재(121)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시료의 오염 유무, 오염원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부재(121)와 상기 검출부재(122)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예컨데 도 3a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잇고 도 3b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 포집부(220)가 상기 스테이션(110)에 고정되면, 상기 흡입부재(121)가 구동되어 상기 시료 포집부(220) 내의 시료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재(121)의 흡입 구동에 따라 시료는 후술하는 상기 연결유로(124)와 연결된 상기 검출부재(12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재(122)는 유입된 시료의 오염 유무, 오염원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상기 연결유로(124)는 상기 시료 포집부(220)와 상기 흡입부재(121) 또는상기 검출부재(122)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유로(124)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102)와 연통되고, 상기 연결유로(124)의 타단은 상기 흡입부재(121),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상기 시료 포집부(220)가 상기 고정부재(102)에 안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시료 포집부(220)의 상기 도킹부(223)와 상기 연결유로(124)의 일단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연결유로(124)는 소정 위치에서 분리되어 하나의 연결유로(124)(이하 '제1 연결유로(124)'라 함.)는 흡입부재(122) 또는 검출부재(122)와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유로(124)(이하 '제2 연결유로(124)'라 함.)는 후술하는 제독부재(123)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독부재(123)는 상기 이동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124)와 연결되어 상기 검출부재(122)의 시료 검출의 결과 유무에 따라, 예컨대 시료가 오염된 시료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오염된 시료를 제독할 수 있게 상기 제독제를 상기 하우징(221) 측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10)을 통한 오염 지역 또는/및 오염 의심 지역(A, B, C)의 오염 시료 검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detection of a contamination sample in a contamination area or/and a contamination suspicious area (A, B, C) through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감지 시스템(10)은 상기 이동체(100)에 수용된 상태로 구비되어 이동되거나 작전 지역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이때, 상기 스테이션(110) 내부에는 상기 무인기(200)가 위치된 상태이며, 상기 스테이션(110)은 상기 해치(101)에 의해 커버된 상태이다.In this case, the unmanned
상기 무인기(200)가 상기 스테이션(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 포집부(220), 구체적으로 상기 도킹부(223)는 상기 결합부(102b)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222)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하우징(221)은 상기 연결유로(124)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121) 또는/및 상기 제동부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222)를 온시키고 상기 흡입부재(121)를 구동시켜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구현시킨 후 상기 밸브부(222)를 오프시켜 오염 지역 또는 오염 위험 지역의 시료 포집 전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킨다.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이동체(100)에 상기 무인기(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포집 신호 등이 인가되면, 상기 오염지역 또는/및 오염 위험 지역의 시료를 포집하기 위해서, 상기 해치(101)가 오픈되고,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이동체(100)의 상기 스테이션(110)에서 이륙되어 상기 오염 지역 또는/및 상기 오염 위험 지역으로 비행될 수 있다.When a collection signal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moving
상기 무인기(200)가 상기 오염 지역 또는/및 상기 오염 위험 지역에 위치되면, 상기 밸브부(222)는 오픈되고, 상기 하우징(221) 내부로 상기 오염 지역 또는/및 상기 오염 위험 지역의 시료를 내측으로 흡입하여 포집할 수 있다. When the unmanned
이때, 상기 밸브부(222)는 일시에 개방될 수도 있고, 조절되면서 개방되어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로 상기 시료를 포집한 후, 상기 밸브부(222)가 오프되어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를 실링한다. After collecting the sample into the
상기 시료를 포집한 후, 상기 무인기(200)는 상기 이동체(100)로 복귀되어 상기 스테이션(110)에 안착될 수 있다.After collecting the sample, the unmanned
상기 무인기(200)가 상기 스테이션(110)에 수용되어 안착되면, 상기 시료 포집부(220)는 상기 도킹부(223)를 통해 상기 이동체(100) 내부의 검출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킹부(223)가 상기 결합부(102b)에 안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밸브부(222)가 개방되고, 상기 흡입부재(121)는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221) 내부의 포집된 시료를 상기 검출부재(122)로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unmanned
상기 흡입부재(121)를 통해 상기 하우징(221)에 포짐된 시료는 상기 검출부재(122)로 전달되어 오염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검출부재(122)는 상기 시료의 오염 유무를 판단하고, 검출값에 따라 상기 하우징(221) 내부에서 포집된 오염 시료를 제독하거나 상기 하우징(221) 내부를 진공이 되도록 한다.The sample wrapped in the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21)에 포집된 시료가 오염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하우징(221) 내부의 시료를 방출한 후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를 진공이 되게 하여 다음 오염 지역 또는/및 오염 위험 지역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if the sample collected in the
또한, 상기 하우징(221)에 포집된 시료가 오염된 경우라면, 상기 제독부재(123)를 구동시켜 상기 제동부재에서 상기 제독제를 상기 오염 시료가 구비된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오염 시료의 제독을 수행한다.In addition, if the sample collected in the
또한, 상기 오염 시료의 제독을 완료한 후,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를 진공이 되게 하여 다음 오염 지역 또는/및 상기 오염 위험 지역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fter the decontamination of the contaminated sample is completed, the inside of the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오염 감지 시스템
100: 이동체
110: 스테이션
120: 검출부
121: 흡입부재
122: 검출부재
123: 제독부재
124: 연결유로
200: 무인기
210: 본체
220: 시료 포집부
221: 하우징
222: 밸브부
223: 도킹부10: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100: moving object
110: station
120: detection unit
121: suction member
122: detection member
123: Admiral Absence
124: connecting flow
200: drone
210: main body
220: sample collection unit
221: housing
222: valve part
223: docking part
Claims (6)
상기 무인기를 수용하는 스테이션이 형성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시료 포집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료 포집부에 포집된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 시스템.An unmanned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a sample collection unit;
A moving body in which a station accommod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formed; And
A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including a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mov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sample collection unit to detect the sample collected by the sample collection unit.
시료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료를 수용하거나 배출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를 구현하는 밸브부; 및
상기 스테이션에 고정되는 도킹부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ample collection unit,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sample;
A valve unit provided under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o receive or discharge the sample; And
Pollution detection system including a docking portion fixed to the station.
상기 스테이션에는 상기 도킹부를 안착하여 상기 무인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오염 감지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Pollution detection system, wherein the sta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seating the docking part.
상기 하우징 내부의 시료를 흡입하는 흡입부재;
상기 흡입부재를 통해 수용된 상기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부재; 및
상기 시료 포집부와 상기 흡입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오염 감지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ection unit,
A suction member for sucking a sample inside the housing;
A detection member for detecting the sample received through the suction member; And
Pollution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sample collection unit and the suction member.
상기 검출부에는 상기 시료를 검출한 후 시료 오염 여부에 따라 오염된 시료의 오염을 제독하는 제독부재가 더 포함되는 오염 감지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decontamination member configured to decontaminate the contaminated sample according to whether the sample is contaminated after detecting the sample.
상기 도킹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흡입부재와 연결되는 오염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docking part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suction member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20788A KR20210038764A (en) | 2019-09-30 | 2019-09-30 | Air foil bea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20788A KR20210038764A (en) | 2019-09-30 | 2019-09-30 | Air foil bear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38764A true KR20210038764A (en) | 2021-04-08 |
Family
ID=754805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20788A Pending KR20210038764A (en) | 2019-09-30 | 2019-09-30 | Air foil bear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038764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447324A (en) * | 2021-06-08 | 2021-09-28 |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 A four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nvironment measuring |
| WO2024025322A1 (en) * | 2022-07-26 | 2024-02-01 |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 Autonomous mobile system for detecting hazardous substances in air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50264B1 (en) | 2016-02-19 | 2017-06-28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d filtration of harmful substance |
-
2019
- 2019-09-30 KR KR1020190120788A patent/KR2021003876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50264B1 (en) | 2016-02-19 | 2017-06-28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d filtration of harmful substanc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447324A (en) * | 2021-06-08 | 2021-09-28 |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 A four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nvironment measuring |
| WO2024025322A1 (en) * | 2022-07-26 | 2024-02-01 |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 Autonomous mobile system for detecting hazardous substances in ai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37569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ing people and articles to detect and/or to decontaminate with respect to certain substances | |
| EP1458456B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apid detection and analysis of airborne biological agents | |
| US20200245899A1 (en) | Mechanical Breath Collection Device | |
| US7405073B2 (en) | Point source biological agent detection system | |
| CN211007784U (en) | Multifunctional detection shelter under high-risk environment after accident occurrence | |
| KR20210038764A (en) | Air foil bearing | |
| JP5552001B2 (en) | Virus collection device and virus inspection system | |
| JP2009533038A (en) | Mobile laboratory for pathogen analysis | |
| US6796164B2 (en) | Integrated fluidics system for simplified analysis of aerosolized biological particles and particle detection ticket thereof | |
| US20230236093A1 (en) | Odor sniff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security inspection apparatus for container | |
| AU2002367479A8 (en) | A system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s in the mail stream | |
| AU2004245728A1 (en) | Device for collecting and separating particles and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ambient air | |
| WO202317275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delivering supplies to operators performing procedures within a facility | |
| JP6779524B2 (en) | Containment performance inspection system | |
| US2003019693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contaminants in mail | |
| US20230033551A1 (en) | Aerial sampling platform | |
| KR102601947B1 (en) | Unmanned autonomous driving type NBC decontamination system | |
| KR102460934B1 (en) | Air pollution measurement and polluted air capture dron apparatus | |
| EP4303558A1 (en) | Aeroso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 |
| KR20240007090A (en) | Aerosol detection systems | |
| WO201303236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of unwanted substances in monitored zones and outlet unit for an air collector for such a system | |
| WO2004048932A2 (en) | Self-propelled sensor apparatus for in situ analysi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 |
| WO2024155652A9 (en) | Environmental sensor system for a projectile | |
| TR2021022152A2 (en) | A SAMPLING DEVICE FOR BIOLOGICAL AGENTS | |
| RU112470U1 (en) | SYSTEM OF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LOCATION OF UNWANTED SUBSTANCES IN CONTROLLED ZONES AND EXIT KNOT OF AN AIR COLLECTOR OF SUCH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