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819A - Bundle Shielded Connector - Google Patents
Bundle Shielded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0819A KR20210060819A KR1020190148289A KR20190148289A KR20210060819A KR 20210060819 A KR20210060819 A KR 20210060819A KR 1020190148289 A KR1020190148289 A KR 1020190148289A KR 20190148289 A KR20190148289 A KR 20190148289A KR 20210060819 A KR20210060819 A KR 202100608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unit
- shielding plate
- connector
- shie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괄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 와이어의 전자파를 차폐하되 커넥터에 연결되는 와이어 전체를 일괄적으로 차폐하는 일괄차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ively shielded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lectively shielded connector that shields electromagnetic waves of a high voltage wire, but collectively shields the entire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커넥터는 전기 부품들을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토록 하는 매개체로서,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구동을 하는 유닛과, 유닛에 연결되는 와이어 사이에서 사용되며, 내부에 연결을 위한 단자 삽입부, 버스바 등을 내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의 고도화로 인해 전장부품이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와이어를 한번에 회로연결 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Connectors are us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such as automobiles as a medium to securely connect electrical parts and maintain electrical performance. The connector is us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unit, and has a built-in terminal insert for connection, a bus bar,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due to the advancement of various technical fields such as automobile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creasing, and therefore, high voltage connectors are widely used so that a plurality of wires can be connected to a circuit at once.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을 처리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당히 많은 전자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차폐가 되지 않는 경우 누설되는 전자파에 의해 인근의 다른 전장품 오작동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파를 차폐하는 방식으로는 개별 와이어에 쉴드가 내설된 개별차폐 방식과, 여러 와이어를 동시에 감싸는 편조선을 사용하여 일괄하여 차폐하는 방식이 있다.The high voltage connector generates a considerabl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in response to processing the high voltage, and thus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is required. This is because if the shielding is not performed, the malfunction of other electrical equipment in the vicinity may be caused by the leaked electromagnetic waves. As a method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there are an individual shielding method in which a shield is built into individual wires, and a method of collectively shielding by using a braided wire that wraps several wires at the same time.
개별차폐의 경우, 커넥터 메인단(방수 영역) 내측에 차폐판이 위치하고, 와이어 외주와 커넥터 사이에 씰링이 구비되므로, 차폐판이 방수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일괄차폐의 경우, 커넥터 내측의 메인단(방수 영역) 외측에 차폐판이 배치되고, 차폐판에 편조선이 연결되는 관계상, 차폐판이 비방수 영역에 위치하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individual shielding, since the shielding plate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main end (waterproof area) and sealing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re and the connector, the shielding plate is located in the waterproof area. However, in the case of collective shielding, the shielding plate is disposed outside the main end (waterproof area)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shielding plate is located in the non-waterproof area due to the connection of the braided wire to the shielding plate.
도 1은 종래 일괄차폐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괄차폐 커넥터의 차폐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및 수분 유입 경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일괄차폐 커넥터는, 버스바(1)를 내장하는 유닛측 커넥터(2)와, 와이어(3)가 관통되며 유닛측 커넥터(2)에 결합되는 와이어측 커넥터(4)를 포함하며, 차폐판(5)은 와이어측 커넥터(4)의 내부에 삽입되되 편조선(6)과 결합되기 위해 와이어측 커넥터(4)의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된다. 나아가 유닛측 커넥터(2)는 다이캐스팅되어, 차폐판(5), 편조선(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elding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a water flow path. Referring to Figs. 1 to 3, in more detail, the conventional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has a unit-
도 3을 보면, 유닛측 커넥터는 아우터하우징(2a)과 이너하우징(2b)으로 구성되고, 와이어측 커넥터 또한 아우터하우징(4a)과 이너하우징(4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차폐판은 와이어측 커넥터의 아우터하우징(4a)과 이너하우징(4b) 사이에 배치되며, 단부가 유닛측 아우터하우징(2a, 다이캐스팅)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메인단 방수를 위해 유닛(7)에 형성된 홀을 향하도록 유닛측 이너하우징(2b) 외주에 아우터씰링(8)이 설치되며, 유닛측 이너하우징(2b), 와이어측 이너하우징(4b) 사이에 이너씰링(9)이 설치되고, 와이어(3) 외주 및 와이어측 이너하우징(4b) 사이에 와이어씰링(10)이 설치된다.3, the unit-side connector is composed of an outer housing (2a) and an inner housing (2b), and the wire-side connector is also composed of an outer housing (4a) and an inner housing (4b). Here, the shielding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한편 차폐판(5)은 얇은 도전성 재질의 판재로서, 프레스공정에 의해 제조되므로, 필연적으로 절단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차폐판(5)의 절단선을 따라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일괄차폐 커넥터 구조는 메인단 방수를 위한 것으로, 편조선(6)과의 결합을 위해 커넥터 외부로 노출되며, 절단선에 의해 차폐판(5)에는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도 3 (b)에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차폐판에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차폐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차폐판 부식으로 인해 차폐 성능이 저하되고, 자동차 등 구동 시 발생되는 노이즈로 인해 다른 장치에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개별차폐의 경우 와이어에 직접 쉴드를 내설하는 것이므로, 필수적으로 방수되어야 하는 메인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데, 따라서 개별차폐 및 일괄차폐를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메인단 방수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므로, 개별 및 일괄차폐의 동시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When moisture enters the shielding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corrosion of the shielding plate may occur, the shield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corrosion of the shielding plate, and malfunctions in other devices may be caused due to noise generated when driving a vehicle or the like. Furthermore, in the case of individual shielding, since the shield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wir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end that must be waterproofed. Therefore, if individual shielding and collective shielding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waterproofing of the main end cannot be maintain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impossible to apply collective shielding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괄차폐에 있어서, 차폐판을 방수 영역 내에 위치시켜 차폐판의 부식을 방지하는 일괄차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specifically, in batch shield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that prevents corrosion of the shielding plate by placing the shielding plate in a waterproof area.
또한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함에 있어, 차폐판과 기타 차폐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hielding plate and other shielding part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유닛과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되어 연장형성되는 일괄차폐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유닛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유닛측 차폐판이 삽입되는 유닛측 커넥터; 일단이 상기 유닛측 커넥터에 결합 가능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내측에 와이어측 차폐판이 삽입되는 와이어측 커넥터;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의 타단 및 와이어를 일괄적으로 차폐하는 편조선; 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측 차폐판, 와이어측 차폐판 및 편조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의 외측에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씰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 batch shield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a unit and a wire, and extending through the in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wir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unit side. A unit-side connector that is fixed and into which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is inserted therein; A wire-side connector in which one end can be coupled to the unit-side connecto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a wire-side shielding plate is inserted inside; A braided wire for collectively shielding the other end of the wire-side connector and the wire; Including,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and the braided wi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wire on the outside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bas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als are installed to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side shielding plate.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편조선에 접하며,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 내측면에 접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side connector has electrical conductivity,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raided wire, and is inser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wire-side connector, so that moisture flows into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ielding seal member to prevent the.
상기 차폐씰부재는, 외측 둘레를 따라 차폐씰링홈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차폐씰링홈에 끼워지는 차폐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ielding and seal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sealing groove is conca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 shielding sealing that is fitted into the shielding sealing groove.
상기 차폐씰부재는 다이캐스팅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ielding seal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e-casting process.
상기 차폐씰부재는,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와이어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 및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유닛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씰부재와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은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ielding seal member includes a tubular body portion in which a wire hole is formed through a lengthwise direction so as to pass the wire,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unit, and the shielding seal member and the wire side shielding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at a plurality of points.
상기 유닛측 커넥터는, 일단에 상기 유닛의 외벽에 접하는 플랜지가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일면은 상기 유닛의 외벽에 접하며,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아우터씰링홈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씰링홈에 끼워져 상기 유닛 및 유닛측 커넥터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우터씰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씰링은 상기 유닛측 차폐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it-side connector, a flang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unit is formed at one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urface of the flang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unit, and outer sealing along the edge circumference on one surface of the flange The groove is formed in the concave shape, further comprising an outer sealing to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between the unit and the unit-side connector by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sealing groove, wherein the outer sealing is disposed outside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It is done.
상기 유닛측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유닛에 삽입되는 내부몸체 및 상기 내부몸체의 외측에 관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는, 상기 내부몸체의 타단과 결합되며 내부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 외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일부 중첩되며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결합되며, 상기 유닛측 차폐판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는, 대면된 상기 외부몸체 및 아우터하우징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치되는 이너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it-side connector includes an inner body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unit and an outer body integrally formed in a tubular shape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ody, and the wire-sid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dy and is Including an inner housing through which a wire is passed and a tubular outer housing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body and the outer housing partially overl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combined, and the unit side shielding The plate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housing, and the wire-sid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n inner sealing disposed to seal between the facing outer body and the outer housing.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이중관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관 구조는 상기 유닛 측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외부몸체의 타단 및 상기 이너씰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 double pipe structure is form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double pipe structure is opened to the unit side to form a groove, and the other end of the outer body and the inner sealing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do.
상기 유닛측 차폐판은, 일단은 상기 유닛측 커넥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유닛측 커넥터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닛측 차폐판의 노출된 부분에, 상기 유닛측 커넥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탄성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측 커넥터가 상기 유닛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구조가 상기 유닛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is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unit-sid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side the unit-side connector, and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the unit-side connector is directed outward. And a first elastic structure protruding into the unit, and when the unit-sid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unit, the first elastic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the unit.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은 길이방향으로 일부 중첩되며 면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면접된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 또는 유닛측 차폐판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2탄성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are partially overlap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for an interview, and on at least one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or the unit-side shielding that has been interview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elastic structure protruding toward the plate.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은, 상기 차폐씰부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상기 차폐씰부재의 삽입부에 접하는 제3탄성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side shield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elastic structure protruding toward the shielding seal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hielding seal member.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은, 일부분이 상기 차폐씰부재의 몸체부 일단면과 마주보도록 접혀져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 중 상기 몸체부의 일단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하나 이상의 접점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side shielding plate is formed by being partially folded to face one end of the body part of the shielding sealing member, and one or more contact points toward the body part are on a surface of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that faces one end of the body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또한 상기 차폐씰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와이어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홀에 상기 와이어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차폐씰부재 사이를 밀페하는 와이어씰링; 을 더 포함하여, 개별차폐가 동시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ielding sealing member has a wire hole through which the wire can pass, and is inserted into the wire hole together with the wire to seal the wire between the wire and the shielding sealing member; Including fur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vidual shielding can be applied at the same tim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판 외측에 씰링(140, 248, 270, 230)이 설치되므로, 차폐판은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어 부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차폐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일괄차폐의 경우에도 차폐씰부재에 의해 커텍터 내부에 수분유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괄차폐 커넥터도 차폐부 방수가 가능하여 개별차폐 전선 추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일부 전선은 일괄차폐, 일부 전선은 개별차폐로 한개의 커넥터에 동시 적용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ling (140, 248, 270, 230) is installed outside the shielding plate, the shielding plate is located in the waterproof area,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corrode. Therefore, the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without deteriorating. Furthermore, even in the case of collective shielding, since moisture cannot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or by the shielding seal member, the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can also be waterproofed to the shielding portion, so that individual shielding wires can be added. Therefore, as a hybrid type, some wires are collectively shielded, and some wires are individually shielded, which ha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it can be applied to one connector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차폐씰부재를 통해 차폐판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 편조선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차폐판의 절단선으로 인한 수분 유입의 염려가 없다. 나아가, 커텍터를 조립할 때 종래와 비교하여 별도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라인 및 비용 증가의 문제가 없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ielding plate can be connected to the braided wire without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hielding seal member, there is no concern of moisture inflow due to the cutting line of the shielding plate. Further, when assembling the connector, there is no problem of an increase in assembly line and cost because a separate additional operation is not requir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또한 차폐씰부재는 몸체부와 삽입부로 형성되어, 차폐판과의 접촉면을 늘릴 수 있으며, 삽입부가 와이어와 커넥터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므로 커넥터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커넥터가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elding seal member is formed of a body part and an insertion part, so that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hielding plate can be increased, and since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wire and the connector, the connector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by efficiently using the space inside the connector. .
또한 아우터씰링은 종래와 같이 유닛에 형성된 홀에 설치되지 않고 유닛의 외벽 및 유닛측 커넥터 사이에 접하도록 설치되므로, 유닛측 커넥터의 차폐판 측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sealing is not installed in a hole formed in the unit as in the related art, but is installed so as to contact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unit and the unit-sid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shielding plate side of the unit-side connector.
또한 이너씰링이 종래와 같이 차폐판 내측에 설치되지 않고, 차폐판 외측에서 유닛측 커넥터의 외부몸체와 와이어측 커넥터의 아우터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므로, 유닛측 커넥터의 아우터하우징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ner sealing is not installed inside the shielding plate as in the prior art, but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body of the unit-side connector and the outer housing of the wire-side connector from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plate, moisture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rough the outer housing of the unit-side connector. Can be prevented.
또한 유닛측 커넥터의 이중관 구조를 통하여 이너씰링, 아우터하우징, 외부몸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upling of the inner sealing, the outer housing, and the outer body can be made more robust through the double tub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n the unit side.
또한 제1 내지 제3탄성구조 및 접점을 통하여, 차폐에 관련된 구성들이 신뢰성있게 연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omponents related to shielding can be reliab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elastic structures and contact points.
도 1은 종래 일괄차폐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괄차폐 커넥터의 차폐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및 수분 유입 경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x 평면 단면도,
도 7은 도 4의 y 평면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유닛측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유닛측 하우징의 정면도,
도 10은 도 5의 와이어측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아우터하우징의 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와이어측 차폐판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커넥터의 차폐 구성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tch shield connecto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elding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a moisture inflow path;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n x plan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y plane of FIG. 4;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t-side connector of FIG. 5;
9 is a front view of the unit-side housing of FIG.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side connector of FIG. 5;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housing of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of FIG. 10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elding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x 평면 단면도, 도 7은 도 4의 y 평면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유닛측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유닛측 하우징의 정면도, 도 10은 도 5의 와이어측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아우터하우징의 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와이어측 차폐판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커넥터의 차폐 구성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6 is an x plan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FIG. 7 is a y plan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t-side connector of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unit-side housing of FIG. 8,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side connector of FIG. 5,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housing of FIG. 10, and FIG. 12 is a different wire-side shielding plate of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elding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본 발명은 유닛과 와이어(330)를 연결하는 고전압 일괄차폐 커넥터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에 연결되는 유닛측 커넥터(100), 와이어 어셈블리(300) 및 와이어 어셈블리(300)에 연결되는 와이어측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길이방향은 일괄차폐 커넥터 내에 수납되는 와이어(33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하며, 일단이라 함은 유닛측 단, 타단이라 함은 와이어(330)측 단을 뜻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voltage collective shield connector connecting the unit and the
유닛측 커넥터(100)는, 유닛측 하우징(110)과, 유닛측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 유닛측 차폐판(120), 버스바, 아우터씰링(140), 및 무빙플레이트(150) 등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커넥터 체결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인터록 버스바,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너트, 유닛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유닛측 하우징(110)은 유닛측 차폐판(12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외부몸체(111) 및 내부몸체(112)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몸체(112)는 유닛측 하우징(110)에 중앙부에 위치하여 와이어(330)와 연결되는 버스바(busbar, 130), 인터록 메일 터미널(interlock male terminal, 119) 등을 설치하도록 형성되며, 외부몸체(111)는 내부몸체(112)를 감싸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닛 및 와이어측 커넥터(200)에 결합을 주로 담당한다.The
외부몸체(111) 및 내부몸체(112)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일체로 사출될 수 도 있다. 도면에서는 일체로 사출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몸체(111) 및 내부몸체(112)가 복수의 브릿지(113)에 의해 연결되어, 각 브릿지(113) 사이에 틈(114)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내부몸체(112)는 유닛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면 상에 유닛측 차폐판(120)이 노출되어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무빙플레이트(150)와 결합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무빙플레이트(150)는 와이어측 커넥터(200)와의 연결을 위한 부재로서, 내부몸체(112) 및 와이어측 커넥터(200)의 이너하우징(220)과 란스 걸림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외부몸체(111)는 유닛의 외벽에 접하도록 플랜지(115)가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115)에 형성된 복수의 부쉬홀(116)을 통해 부쉬를 결합함으로써 유닛측 커넥터(100)가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15)의 유닛과 접하는 면 상에는 내부몸체(112)와 이격된 위치에서 내부몸체(112)의 둘레를 따라 아우터씰링(140)홈(117)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씰링(140)홈(117)에는 아우터씰링(140)이 끼워지게 되며,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아우터씰링(140)의 단면보다 아우터씰링(140)홈(117)의 단면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우터씰링(140)은 일반적인 씰링과 같이 형성된 링 형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유닛을 향하는 면은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 주름진 면은 플랜지(115) 면보다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달리 아우터씰링(140)홈(117)이 유닛 외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홈이 없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부몸체(111)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볼트(118)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볼트(118)는 후술하는 레버(25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마주보는 두 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유닛측 차폐판(120)은 외부몸체(111) 및 내부몸체(112) 사이에 삽입되어 후술하는 와이어측 차폐판(230)과 연결된다. 유닛측 차폐판(120)의 일단은 내부몸체(112)에 의해 지지되며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을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은 외부몸체(111) 내측으로 삽입된다.The unit-
유닛측 차폐판(120)의 노출된 부분에는 제1탄성구조(121)가 형성된다. 제1탄성구조(121)는 유닛측 차폐판(120)의 노출된 면에서 중앙부분으로 가압되는 경우, 가압되는 힘에 저항하면서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122)이 병렬로 형성되며, 슬릿 사이에 판재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굽어진 곡면(123)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탄성구조(121)를 이룰 수 있다. 제1탄성구조(121)는 유닛에 형성된 홀에 유닛측 차폐판(120)이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first
유닛측 차폐판(120)은 타단부터 상술한 브릿지(113) 사이의 틈(114)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절개부(124)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며, 타단은 끝까지 절개되어 타단 측은 오픈될 수 있다. 절개부(124)가 형성됨에 따라 브릿지(113) 사이의 틈(114)에 삽입되는 삽입편(125)이 형성될 수 있다.The unit-
유닛측 차폐판(120)은 도전성 재질의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얻어질 수 있다. 프레스가공으로 상술한 제1탄성구조(121)의 슬릿, 곡면, 절개부를 형성한 후 내부몸체(112)의 둘레 곡률에 따라 굽어 휨으로써 도면과 같이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면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유닛에서 커넥터 측으로는 수분이 유입되지 않으며, 커넥터와 유닛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아우터씰링(140)으로 차단함으로써 유닛측 차폐판(120)이 방수 구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The unit-
유닛측 커넥터(100)는, 유닛측 하우징(110)의 일단에서 유닛측 커넥터(100)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아우터씰링(140)을 아우터씰링(140)홈(117)에 끼우고, 인터록 메일 터미널(119)을 삽입하며, 유닛측 하우징(110)의 타단에서 버스바 및 무빙플레이트(150)를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The unit-
와이어측 커넥터(200)는, 와이어(330)의 단자가 삽입고정되는 이너하우징(220), 이너하우징(2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우터하우징(210), 이너하우징(220)과 아우터하우징(210)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측 차폐판(230), 와이어측 차폐판(230)의 타단에 접하며 아우터하우징(210)의 타단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차폐씰부재(240), 와이어측 커넥터(200)와 유닛측 커넥터(100)를 결합하기 위한 레버(250)와 결합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260) 및 아우터 하우징 내측으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이너씰링(270)을 포함한다.The wire-
이너하우징(220)은 일단 중앙에 인터록 피메일 터미널(interlock female terminal, 223)이 구비되어 인터록 메일 터미널(119)와 결합될 수 있고, 버스바(130)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버스바(130)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버스바삽입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삽입홀(222)을 통해 삽입된 버스바(130)를 와이어(330)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측에 후크 형상의 하우징체결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체결돌기(221)는 아우터하우징(210)이 이너하우징(220)외측에서 끼워질 때,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며, 끼워진 후 아우터하우징(210)의 내측면에 마련된 공간으로 복원되도록 형성된다.The
아우터하우징(210)은, 이너하우징(220)의 외측에서 끼워지는 관 형상이며, 외측면에 제2체결볼트(2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체결볼트(211)는 제1체결볼트(118)와 동일한 방향의 면에 구비되며, 이는 제1체결볼트(118)와 함께 레버(250)를 결합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닛측 커넥터(100)와 와이어측 커넥터(200)를 결합시킬 때 제1체결볼트(118)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단측에 슬릿(2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슬릿(212)은 도면과 같이 유닛측 단부가 폐쇄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개방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레버(250)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에 레버체결구조(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구성은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아우터하우징(210)은 도 11에 도시된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이중관구조(2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중관구조(214)의 일단은 개방되며, 타단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관구조(214)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므로, 이중관구조(214)는 홈(215)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1, the
이중관구조(214)의 내측관 둘레에는 이너씰링(270)(270)이 탄성력에 의해 끼워져 있다. 이너씰링(270)(270) 유닛측 하우징(110)과 아우터하우징(210)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우터씰링(140)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씰링과 같은 고무재질의 링 형상이며, 유닛측 하우징(110)과 면접하는 외측면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와이어측 차폐판(230)은 이너하우징(220)과 아우터하우징(2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유닛측 차폐판(120)과 마찬가지로 도전성 재질이며,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측 차폐판(230)은 판상 형상을 굽어 휘어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330)를 감싸는 면은 차폐 및 유닛측 차폐판(120)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며, 타단에 배치되는 면은 차폐 및 차폐씰부재(240)와의 전기적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와이어측 차폐판(230)은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하우징(220)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wire-
먼저 와이어측 차폐판(230)의 와이어(330)를 감싸는 면에는, 제2탄성구조(231) 및 제3탄성구조(232)가 형성된다. 이들은 차폐를 위한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2탄성구조(231)는 유닛측 차폐판(120)과 접하며, 제3탄성구조(232)는 차폐씰부재(240)와 접한다. 제2탄성구조(231) 및 제3탄성구조(232)는 제1탄성구조(12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슬릿(233)과 슬릿(233) 사이의 곡면(234)으로 형성되며, 다만 곡면은 접하는 구성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또한 제3탄성구조(232)의 슬릿(232) 길이는 다른 탄승구조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바와 같이 차폐씰부재(240)의 삽입부(243)가 와이어측 차폐판(230)에 접하지 않으므로 더욱 돌출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First, a second
또한 와이어측 차폐판(230)의 측면에는 하우징체결홀(2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이너하우징(220)의 하우징체결돌기(221)가 와이어측 차폐판(230)의 하우징체결홀(235)를 관통하여 아우터하우징(21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측면에는 프레스가공에 의한 절단선(236)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폐씰부재(240)에 의해 종래와 달리 와이어(330)링측 차폐판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절단선(236)에 의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다.In addition, a
나아가 도 12를 참조하면, 와이어측 차폐판(230)의 타단에 배치된은 면은 차폐씰부재(240)의 일단면과 마주하고 있으며, 와이어(330)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홀(239)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후술하는 차폐씰부재(240)의 삽입부(243)가 삽입되는 차폐씰부재(240)삽입홀(238)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나아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점(23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차폐씰부재(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함이다. Further, referring to FIG. 12, the silver surfac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차폐씰부재(240)는 와이어측 차폐판(230)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편조선을 연결하고, 아우터하우징(210)의 타단을 폐쇄하기 위함이다. 차폐씰부재(240)는 내측에 와이어(330)가 통과되도록 와이어홀(241)이 관통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42) 및, 몸체부(242)의 일단면에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다리 모양의 삽입부(243)를 포함한다.The shielding
몸체부(242)의 외주는 아우터하우징(210)의 내주와 대응되도록 치수 및 형상이 정하여져 아우터하우징(210)과의 사이에 틈(114)이 없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24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차폐씰링홈(244)이 요입형성되어, 차폐씰링(245)이 끼워져 구비될 수 있다. 차폐씰링(245)은 차폐씰링홈(244)이 없더라도 차폐씰링(245)이 구비될 수 있으나, 차폐씰링홈(244)에 의해 차폐씰링(245)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는 이점이 있다. 차폐씰링(245)은 일반적인 씰링과 같이 고무재질의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아우터하우징(210)을 향하는 면은 주름지게 형성되고, 주름진 면은 차폐씰부재(240)의 몸체부(242) 외측면보다 더욱 돌출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삽입부(243)는 몸체부(242)에서 유닛측으로 돌출되는데, 와이어(330)와의 간섭을 피하고, 커넥터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커넥터 소형화를 위해 와이어(330)와 커넥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돌출 위치를 정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원활한 삽입을 위해 도면과 같이 몸체부(242)로부터 멀어질수록 삽입부(243)의 두께가 줄어들게 형성되거나, 삽입부(243)가 중앙 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폐씰부재(240)는 몸체부(242)의 일단이 와이어측 차폐판(230) 내주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삽입부(243)에 상술한 제3탄성구조(232)의 곡면(234)이 접함으로써 와이어측 차폐판(230)과 접하는 지점을 늘려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와이어측 커넥터(200)는, 도 10을 참조하면, 아우터하우징(210)의 일측에서 와이어측 차폐판(230) 및 터미널 등이 설치된 이너하우징(220)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타측에서 차폐씰부재(240)를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10, the wire-
와이어 어셈블리(300)는 와이어(330) 단부에 단자(320)를 압착하여 결합시키고, 와이어(330) 외주에 와이어씰링(340)을 끼워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씰링(340)은 차폐씰부재(240)의 와이어홀(241)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이며, 외주에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어셈블리(300)는 단자가 터미널에 안착되도록 이너하우징(220)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후 TPA(terminal position assurance, 310)으로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와이어 어셈블리(300)를 와이어측 커넥터(200)에 조립한 후 리어홀더(400)를 이용하여 와이어(3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홀더(400)는 후크 형상의 걸림부(401)가 차폐씰부재(240) 내측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반원의 곡면을 형상의 와이어홈(402)이 형성되어 두 반체가 결합되어 하나의 와이어(330) 홀을 이루도록 조립되며, 두 반체의 조립면에는 조립을 위한 결합돌기(403)와 결합홈(40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리어홀더(400)를 차폐씰부재(240)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와이어(330)링씰(340)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After assembling the
레버(250)는 유닛측 커넥터(100)의 제1체결볼트(118) 및 와이어측 커넥터(200)의 제2체결볼트(211)에 의해 결합되며, 두 커넥터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레버(250)에는 제1체결보트와 결합하는 곡선의 장방형 제1체결홀(251), 제2체결볼트(211)제2체결볼트(211) 원형의 제2체결홀(2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253)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체결홀에 체결볼트를 결합하고, 손잡이부(253)를 도면상 수직 위치에서 수평 위치로 회전시키면 두 커넥터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결합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레버(250) 방식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나아가 레버(250)의 손잡이부(253)와 아우터하우징(210)의 레버체결구조(213)의 결합 부분에 CPA(260)를 구비하여 두 커넥터를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Further, the
따라서 유닛측 커넥터(100)를 유닛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와이어측 커넥터(200)를 유닛측 커넥터(100)에 끼운 후, 레버(250)의 손잡이부(253)를 아우터하우징(210)에 접하도록 당기면 와이어측 커넥터(200)가 유닛측 커넥터(100)에 결합된다. 나아가 이 때, 무빙플레이트(150)에 의해 두 커넥터가 내측에서 체결되며, 아우터하우징(210)의 이중관구조(214)에 유닛측 하우징(110) 타단이 억지끼움되면서 조립된다.Therefore, while the uni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버스바
2 : 유닛측 커넥터
2a : 유닛측 아우터하우징
2b : 유닛측 이너하우징
3 : 와이어
4 : 와이어측 커넥터
4a : 와이어측 아우터하우징
4b : 와이어측 이너하우징
5 : 차폐판
6 : 편조선
7 : 유닛
8 : 아우터씰링
9 : 이너씰링
10 : 와이어씰링
100 : 유닛측 커넥터
110 : 유닛측 하우징
111 : 외부몸체
112 : 내부몸체
113 : 브릿지
114 : 틈
115 : 플랜지
116 : 부쉬홀
117 : 아우터씰링홈
118 : 제1체결볼트
119 : 인터록 메일 터미널
120 : 유닛측 차폐판
121 : 제1탄성구조
122 : 슬릿
123 : 곡면
124 : 절개부
125 : 삽입편
130 : 버스바
140 : 아우터씰링
150 : 무빙플레이트
200 : 와이어측 커넥터
210 : 아우터하우징
211 : 제2체결볼트
212 : 슬릿
213 : 레버체결구조
214 : 이중관구조
215 : 홈
220 : 이너하우징
221 : 하우징체결돌기
222 : 버스바삽입홀
223 : 인터록 피메일 터미널
230 : 와이어측 차폐판
231 : 제2탄성구조
232 : 제3탄성구조
233 : 슬릿
234 : 곡면
235 : 하우징체결홀
236 : 절단선
237 : 접점
238 : 차폐씰부재삽입홀
239 : 와이어삽입홀
240 : 차폐씰부재
241 : 와이어홀
242 : 몸체부
243 : 삽입부
244 : 차폐씰링홈
245 : 차폐씰링
250 : 레버
251 : 제1체결홀
252 : 제2체결홀
253 : 손잡이부
260 : CPA
270 : 이너씰링
300 : 와이어 어셈블리
310 : TPA
320 : 단자
330 : 와이어
340 : 와이어씰링
400 : 리어홀더
401 : 걸림부
402 : 와이어홈
403 : 결합돌기
404 : 결합홈1: bus bar 2: unit side connector
2a: outer housing on the
3: wire 4: wire side connector
4a: outer housing on the
5: shielding plate 6: braided wire
7: unit 8: outer sealing
9: inner sealing 10: wire sealing
100: unit side connector 110: unit side housing
111: outer body 112: inner body
113: bridge 114: gap
115: flange 116: bush hole
117: outer sealing groove 118: first fastening bolt
119: interlock mail terminal 120: unit side shielding plate
121: first elastic structure 122: slit
123: curved surface 124: incision
125: insertion piece 130: bus bar
140: outer sealing 150: moving plate
200: wire-side connector 210: outer housing
211: second fastening bolt 212: slit
213: lever fastening structure 214: double pipe structure
215: Home 220: Inner housing
221: housing fastening protrusion 222: bus bar insertion hole
223: interlock female terminal 230: wire side shielding plate
231: second elastic structure 232: third elastic structure
233: slit 234: curved surface
235: housing fastening hole 236: cutting line
237: contact 238: shielding seal member insertion hole
239: wire insertion hole 240: shielding seal member
241: wire hole 242: body
243: insertion part 244: shielding sealing groove
245: shield sealing 250: lever
251: first fastening hole 252: second fastening hole
253: handle 260: CPA
270: inner sealing 300: wire assembly
310: TPA 320: terminal
330: wire 340: wire sealing
400: rear holder 401: locking portion
402: wire groove 403: coupling protrusion
404: coupling groove
Claims (13)
일단이 상기 유닛 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유닛측 차폐판이 삽입되는 유닛측 커넥터;
일단이 상기 유닛측 커넥터에 결합 가능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내측에 와이어측 차폐판이 삽입되는 와이어측 커넥터;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의 타단 및 와이어를 일괄적으로 차폐하는 편조선;
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측 차폐판, 와이어측 차폐판 및 편조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의 외측에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씰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In the collective shield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and the wire, and extending through the insid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wire,
A unit-side connector whose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nit side and into which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is inserted therein;
A wire-side connector in which one end can be coupled to the unit-side connecto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a wire-side shielding plate is inserted inside;
A braided wire for collectively shielding the other end of the wire-side connector and the wire;
Including,
The unit side shielding plate, the wire side shielding plate and the braided wi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Collective shie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als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bas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connector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connector.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는,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편조선에 접하며,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side connector,
Shielding tha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raided wire, and is inserted so a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side connector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member.
상기 차폐씰부재는, 외측 둘레에 끼워지는 차폐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shielding sealing member, a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ielding sealing fitt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상기 차폐씰부재는 다이캐스팅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shielding sealing member is a batch shieldin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e-casting process.
상기 차폐씰부재는,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와이어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 및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유닛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씰부재와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은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shielding seal member includes a tubular body portion in which a wire hole is formed through a lengthwise direction so that the wire passes through,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unit,
The shielding sealing member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are collectively shielde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상기 유닛측 커넥터는,
일단에 상기 유닛의 외벽에 접하는 플랜지가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일면은 상기 유닛의 외벽에 접하며,
상기 유닛측 차폐판의 외측에서 상기 유닛 및 상기 플랜지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side connector,
At one end, a flang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unit is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urface of the flang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unit,
And an outer sealing disposed to seal between the unit and the flange on the outside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상기 유닛측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유닛에 삽입되는 내부몸체 및 상기 내부몸체의 외측에 관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는, 상기 내부몸체의 타단과 결합되며 내부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일부 중첩되며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결합되며,
상기 유닛측 차폐판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는, 대면된 상기 외부몸체 및 아우터하우징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치되는 이너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side connector includes an inner body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unit and an outer body integrally formed in a tubular shape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ody,
The wire-side connector includes an inner housing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dy and passes a wire therein, and a tubular outer housing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
The outer body and the outer housing are partially overlap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combined,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housing,
The wire-sid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n inner sealing disposed to seal between the facing outer body and the outer housing.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이중관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관 구조는 상기 유닛 측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외부몸체의 타단 및 상기 이너씰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outer housing, a double tube structure is form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double tube structure is opened at one side toward the unit to form a groove,
The collective shieldin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body and the inner sealing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유닛측 차폐판은, 일단은 상기 유닛측 커넥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유닛측 커넥터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닛측 차폐판의 노출된 부분에, 상기 유닛측 커넥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탄성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측 커넥터가 상기 유닛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구조가 상기 유닛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is exposed at one en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unit-sid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side the unit-side connector,
In the exposed portion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it includes a first elastic structur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unit-side connector,
When the unit-sid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unit, the first elastic structure contacts the unit.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은 길이방향으로 일부 중첩되며 면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닛측 차폐판 및 와이어측 차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면접된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 또는 유닛측 차폐판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2탄성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are partially overlap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for an interview,
And a second elastic structure protruding toward at least one of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and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and protruding toward the interviewed wire-side shielding plate or the unit-side shielding plate.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은, 상기 차폐씰부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상기 차폐씰부재의 삽입부에 접하는 제3탄성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includes a third elastic structure protruding toward the shielding seal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hielding seal member.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은, 일부분이 상기 차폐씰부재의 몸체부 일단면과 마주보도록 접혀져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측 차폐판 중 상기 몸체부의 일단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하나 이상의 접점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is formed by being partially folded to face one end of the body portion of the shielding seal member,
One or more contact points protruding toward the body portion on a surface of the wire-side shielding plate facing one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차폐씰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와이어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홀에 상기 와이어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차폐씰부재 사이를 밀페하는 와이어씰링;
을 더 포함하여, 개별차폐가 동시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차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shielding seal member has a wire hole through which the wire can pass,
A wire sealing inserted together with the wire into the wire hole to seal between the wire and the shielding sealing member;
Including further, the collective shiel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vidual shielding is applicable at the same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8289A KR102270012B1 (en) | 2019-11-19 | 2019-11-19 | Bundle Shielded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8289A KR102270012B1 (en) | 2019-11-19 | 2019-11-19 | Bundle Shielded Connec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60819A true KR20210060819A (en) | 2021-05-27 |
| KR102270012B1 KR102270012B1 (en) | 2021-06-28 |
Family
ID=761355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48289A Active KR102270012B1 (en) | 2019-11-19 | 2019-11-19 | Bundle Shielded Conn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7001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2601625A (en) * | 2020-10-30 | 2022-06-08 |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 High-voltage connecto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ll for high-voltage connec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2062868B2 (en) * | 2021-04-07 | 2024-08-13 |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ocking position assuranc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115428A (en) * | 2005-10-18 | 2007-05-10 | Yazaki Corp | Wire harness side shield connector |
| KR20160002379U (en) * | 2014-12-30 | 2016-07-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Earthing apparatus for high voltage connector |
| KR20170079581A (en) * | 2015-12-30 | 2017-07-1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connector |
| KR20190056511A (en) * | 2017-11-17 | 2019-05-2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
-
2019
- 2019-11-19 KR KR1020190148289A patent/KR1022700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115428A (en) * | 2005-10-18 | 2007-05-10 | Yazaki Corp | Wire harness side shield connector |
| KR20160002379U (en) * | 2014-12-30 | 2016-07-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Earthing apparatus for high voltage connector |
| KR20170079581A (en) * | 2015-12-30 | 2017-07-1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connector |
| KR20190056511A (en) * | 2017-11-17 | 2019-05-2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2601625A (en) * | 2020-10-30 | 2022-06-08 |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 High-voltage connecto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ll for high-voltage connector |
| GB2601625B (en) * | 2020-10-30 | 2025-07-30 |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 High-voltage connecto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ll for high-voltage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70012B1 (en) | 2021-06-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209582B2 (en) | Connector | |
| US6814617B2 (en) | Electronic unit, shield cable connecting structure, connecting method, wires waterproof-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 |
| US7632148B1 (en) |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nd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 KR102003652B1 (en) | Terminal fitting | |
| WO2011074396A1 (en) | Insulating structure of l-shaped terminal | |
| WO2011007607A1 (en) | Waterproof structure | |
| JP7275853B2 (en) | connector | |
| JP2009038032A (en) | Power distribution module | |
| CN109089389B (en) | Cable bushing and control device in a motor vehicle | |
| CN113904162B (en) | Connector | |
| US20170077634A1 (en) | Flat Terminal and Socket for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 |
| JP2014078411A (en) | Shield connector | |
| CN110021846A (en) | Shielded connector and harness | |
| KR102270012B1 (en) | Bundle Shielded Connector | |
| JP6238874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 WO2022181751A1 (en) | Connector | |
| JP2005026110A (en) | Conductive path | |
| JP4234492B2 (en) | Shield connector | |
| JP2015018743A (en) | Connector and shield connector | |
| JP4377726B2 (en) | Shield connector | |
| KR101723041B1 (en) | Connector having waterproof type tpa | |
| JP3846848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 CN223451225U (en) | Connecting terminal, connector, distribution box and vehicle | |
| US12444877B2 (en) | Connection direction conversion connector and wire harness | |
| JP7672299B2 (en) |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harness side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