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865A - System for protecting pet in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tecting pet in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2865A KR20210072865A KR1020190162877A KR20190162877A KR20210072865A KR 20210072865 A KR20210072865 A KR 20210072865A KR 1020190162877 A KR1020190162877 A KR 1020190162877A KR 20190162877 A KR20190162877 A KR 20190162877A KR 20210072865 A KR20210072865 A KR 202100728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ength
- controller
- lead line
- l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72—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in or on automobi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60R2021/01265—Seat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Zoology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한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반려동물의 상해를 경감하기 위한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내에서 반려동물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안전벨트 장치; 차량에서 상기 안전벨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미리 정해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벨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 장치는, 반려동물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몸줄; 차량 내에서 상기 몸줄에 연결되는 리드줄; 및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줄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되는 길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mpanion animals in a vehicle, and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mpanion animals in a vehicle for safely protecting companion animals in a vehicle and reducing injuries to companion animals. will b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at belt device capable of restraining the pos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vehicle;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device in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seat belt device includes: a leash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a lead line connected to the body line in the vehicle; and a length adjusting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lead, and controll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한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반려동물의 상해를 경감하기 위한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for safely protecting a companion animal riding in a vehicle and reducing injuries to the companion animal.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에 여유가 생기면서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고 있고, 이들 가정에서 반려동물은 가족과 같은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Today, as people's lives become more comfortable, more and more families have companion animals such as dogs and cats, and in these households, companion animals are considered to be like family.
최근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반려동물을 위한 호텔이나 분양, 미용, 교배, 카페, 놀이터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펫팸(Pet+Family)족'이 늘면서 다양한 반려동물 용품들이 시중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Recently, in response to this trend, various services such as hotels, sales, beauty, breeding, cafes, and playgrounds for companion animals are appearing. Pet supplies are pouring into the market.
차량과 관련해서도 반려동물의 안전이 주요 이슈로 등장함에 따라 운행 중인 차량 내에서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고시 반려동물의 상해를 경감할 수 있는 보호 장치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As the safety of companion animals emerges as a major issue in relation to vehicles, interest in protection devices that can safely protect companion animals in a running vehicle and reduce injuries to companion animals in an accident is increasing.
이에 자동차 제조사에서도 반려동물을 위한 보호 장치나 안전 장치, 편의 장치를 차량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그 예로 반려동물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아용 시트 고정장치에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 전용 카 시트나, 반려동물의 몸을 안전하게 감싸주는 반려동물 하네스(펫 몸줄 또는 가슴줄) 등이 알려져 있다.Accordingly,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also showing a movement to apply protective devices, safety devices, and convenience devices for companion animals to vehicles. For example, a car seat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fixed to a child seat fixing device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move safely. , and companion animal harnesses (pet leash or chest leash) that safely envelop the pet's body are known.
나아가, 하네스와 연결하여 반려동물이 시트 아래로 뛰어내리거나 앞으로 쏠리는 예기치 못한 움직임을 방지해주는 안전벨트 장치나, 반려동물의 승, 하차시 오염을 방지해 주는 시트 및 트렁크 커버, 반려동물 탑승을 알려주는 외장 데칼 등이 있다.Furthermore, a seat belt device that connects to a harness to prevent unexpected movements of pets jumping under the seat or leaning forward, seat and trunk covers that prevent contamination when pets get on and off, and alerts for pets boarding is an exterior decal, etc.
이 중에서 안전벨트 장치는 주로 반려견(강아지)을 위한 것으로, 반려견이 착용한 펫 몸줄(또는 가슴줄)에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기존 시트벨트를 연결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고, 이는 시트벨트의 급격한 당김시 잠기는 기능을 활용하여 충돌 사고시 반려견의 상해를 경감시켜 준다.Among them, the seat belt device is mainly for dogs (dogs), and it is known that the existing seat belt of the vehicle is connected using an auxiliary device to the pet leash (or chest leash) worn by the dog, and this is due to the sudden change of the seat belt. By using the locking function when pulled, it reduces the injury of the dog in the event of a collision.
그러나, 차량의 시트벨트를 이용하는 종래의 반려동물용 안전벨트 장치는, 반려동물이 움직여 시트벨트가 길게 늘어나 있는 상황(즉, 시트벨트 웨빙이 길게 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반려동물을 제대로 구속하지 못하여 상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in a conventional seat belt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using a vehicle seat belt, when an accident occur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seat belt is elonga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ie, the seat belt webbing is pulled out long), the companion animal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injuries because the restraints are not properly restrained.
더욱이 시트벨트와 반려동물이 착용한 몸줄을 연결하는 보조장치의 길이까지 고려하면 실제 사고시 안전벨트 장치의 효과는 크게 반감될 수밖에 없다.Moreover,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auxiliary device connecting the seat belt and the leash worn by the companion animal, the effectiveness of the seat belt device in an actual accident is inevitably halved.
승객 감지 후 충돌 사고시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지만, 반려동물이 차량 실내에서 이동하여 에어백 전개 위치에서 벗어나 있다면 에어백에 의한 상해 감소 효과를 제대로 얻기 어렵다. The airbag can be deploy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fter detecting a passenger, bu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duce the injury caused by the airbag if the companion animal moves out of the airbag deployment position by moving inside the vehicle.
나아가 최근 반려견과 함께 운전하는 운전자가 늘어나면서 차량 내에서 몸줄을 하지 않은 반려견이 갑자기 운전자에게 돌발 행동을 하여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Furthermore, as the number of drivers driving with their dogs has recently increased,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in the number of cases where a dog that is not leashed in a vehicle suddenly behaves abruptly to the driver, resulting in a car accident.
특히, 다른 승객 없이 운전자 혼자 운전하고 있을 때 반려견이 돌발 행동을 한다면, 운전자와 반려견, 그리 다른 차량 운전자 및 승객 모두의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if a dog behaves unexpectedly when the driver is driving alone without other passengers, it can lead to a major accident with fatal consequences for both the driver and the dog, as well as other drivers and passenge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안전벨트 장치를 개선하여 차량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사고시 반려동물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seat belt device, it is possible to more safely protect companion animals in the vehicle interior, and to effectively reduce injuries to companion animals in an accident. it ha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승객 위치, 그리고 차량의 주행 상황 및 충돌 위험 상황에 맞게 반려동물의 이동 공간 및 행동 반경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고, 반려동물이 갑자기 운전자나 승객에게 돌발 행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운전자 및 승객, 반려동물 모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운전자 및 승객이 보다 편안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려동물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limit the movement space and action radius of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ollision risk situation, and prevent the companion animal from suddenly acting to the driver or passenger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that not only can promote the safety of the driver, passengers, and companion animals, but also allows drivers and passengers to use the vehicle more comfortab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르면, 차량 내에서 반려동물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안전벨트 장치; 차량에서 상기 안전벨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미리 정해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벨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 장치는, 반려동물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몸줄; 차량 내에서 상기 몸줄에 연결되는 리드줄; 및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줄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되는 길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 belt device capable of restraining the pos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vehicle;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device in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seat belt device includes: a leash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a lead line connected to the body line in the vehicle; and a length adjusting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lead, and controll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ler.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 구동시 모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리드줄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ncludes: a motor whose driving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ler; and a bobbin that is rotated by a motor rotational force when the motor is driven to wind or unwind the lead string.
또한, 상기 리드줄은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 웨빙이고,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시트벨트 장치에서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시트벨트 웨빙을 감아주거나 풀어주어 시트벨트 웨빙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웨빙권취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string is a seat belt webbing of a seat belt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nd the length adjusting device winds or unwinds the seat belt webb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ler in the seat belt devic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at belt webbing. It may be a winding device.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차량 내 승객 위치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승객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량 내 승객 위치에 해당하는 리드줄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결정된 길이가 되도록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passenge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lead lin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detected by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and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string so as to have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또한, 상기 승객감지센서는 차량 내 각 시트의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시트쿠션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이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승객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 내 승객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리드줄의 길이를 상기 검출된 차량 내 승객 위치에 해당하는 길이로 변경하고,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조절속도가 조절되도록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is a weight sensor that is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of each seat in the vehicle and senses the weight acting on the seat cushion, and the controller, when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detected by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is changed Each time,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s controlled to change the length of the lead cor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and the length of the lead cor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through the weight sensor. You can control the regulator.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로부터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충돌 위험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길이로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acquir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from the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and determines the collision risk of the vehicle from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collision.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string to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로부터 차량과 대상체의 충돌 예상 시간(Time To Collision, TTC)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충돌 예상 시간에 따른 값으로 리드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time to collision (TTC)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jec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determine the length of the lead line by a valu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xpected collision time. .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충돌 예상 시간이 큰 값일수록 리드줄의 길이가 더 큰 값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lead line to be a larger value as the expected collision time is greater.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레이더(Radar) 및 라이더(LiDA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Here, the detection sensor is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f a radar (Radar) and a lidar (LiDAR).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차량 내 각 시트의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시트쿠션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로부터 판단되는 차량의 충돌 위험도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리드줄의 길이를 상기 판단된 차량의 충돌 위험도에 해당하는 길이로 변경하고,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조절속도가 조절되도록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that is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of each seat in the vehicle to detect a weight acting on the seat cushion, and the controller, the vehicle collision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object Whenever the degree of risk is changed, the length of the lead string is changed by controlling the length adjusting devic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length of the lead li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through the weight sensor The length adjuster can be controlled to adjust the speed.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차속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현재 차속으로부터 충돌시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상기 예측 상해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길이로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predicted injury degree at the time of a collision from the current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lead line to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dicted injury degree.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또한, 상기 제어기는 차속이 높을수록 리드줄의 길이가 더 작은 값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be set so that the length of the lead string is determined to be a smaller value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차량 내 각 시트의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시트쿠션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으로부터 판단되는 예측 상해도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리드줄의 길이를 상기 판단된 예측 상해도에 해당하는 길이로 변경하고,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조절속도가 조절되도록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that is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of each seat in the vehicle to detect a weight acting on the seat cushion, and the controller, whenever the predicted injury degree determined from the vehicle speed is changed, Control the length adjusting device to change the length of the lead string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redicted injury degree, and adjust the length adjusting device so that the length adjusting speed of the lead strin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detected through the weight sensor.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기는 턴 시그널 램프의 미사용 상태임에도 차선 이탈을 반복하거나, 차량의 동일 차선 내 지그재그 주행이 반복되거나, 차량의 급 가감속이 반복되는 경우, 리드줄의 길이를 줄여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length of the lead line when the turn signal lamp is not in use, when lane departure is repeated, zigzag driving in the same lane of the vehicle is repeated, or rapid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vehicle is repeated. can be set.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에 의하면, 차량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사고시 반려동물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ompanion animal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safely protect the companion animal in the vehicle interior, and to effectively reduce the injury of the companion animal in an accident.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 승객 위치, 또는 차량의 충돌 위험도나 충돌시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해줌으로써, 차량 내에서 반려동물의 이동 공간 및 행동 반경을 차량 상황에 맞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the risk of collision of the vehicle, or the predicted injury level at the time of a collision, and appropriat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movement space and the action radius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vehicle It can be limited according to the vehicle situation.
이에 반려동물이 갑자기 운전자나 승객에게 돌발 행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돌 사고에 대비하여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구속할 수도 있으며, 에어백 전개 위치에 반려동물이 안전하게 위치해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anion animal from suddenly acting on the driver or passengers, to restrain the companion animal safely in case of a collision, and to ensure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safely positioned in the airbag deployment position.
결국, 차량에서 운전자 및 승객, 반려동물 모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과 승객의 접촉을 막을 수도 있으므로 승객이 편안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not only can the safety of the driver, passengers, and companion animals be promoted in the vehicle, but also the contact between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passenger can be prevented if necessary, so that the passenger can comfortably use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가 가변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에서 다양한 충돌 가능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tecting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ength of the lead lin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possible collision situations in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반려동물용 안전벨트 장치 및 보호 방법을 개선한 것이며, 반려동물 중 주로 반려견에 이용할 수 있는 안전벨트 장치의 구성 및 그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ompanion animal for a vehicle, and is an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seat belt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for companion animals, and a configuration of a seat belt apparatus that can be mainly used for companion animals among companion animals and a method of protecting the same is abou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는 차량의 기존 시트벨트를 이용하는 반려동물용 안전벨트 장치를 개선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mproved companion animal seat belt device using an existing seat belt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는 차량 내에서 반려동물(이하 반려견이라 칭함)(2)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안전벨트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 장치(30)는, 반려견(2)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몸줄(31)과, 상기 몸줄(31)에 연결되는 리드줄(32)과,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장치(33)를 포함한다.First,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몸줄(31)은 종래의 반려견용 안전벨트 장치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이 될 수 있으며, 반려견(2)이 몸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공지의 몸줄(31)이 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리드줄(32)은 일단부가 몸줄(3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길이조절장치(33)에 권취되어 있는 긴 줄 또는 웨빙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장치(33)는 제어기(20)의 제어하에 리드줄(32)을 선택적으로 감아주거나 풀어줌으로써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이때, 길이조절장치(33)는 제어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33a), 및 이 모터(33a)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보빈(3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ing
제어기(20)가 리드줄(32)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이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33a)가 구동하여 보빈(33b)을 회전시키고, 이때 회전되는 보빈(33b)으로부터 리드줄(32)이 풀리면서 리드줄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제어기(20)가 리드줄(32)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이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33a)가 증가시와 반대방향으로 구동하여 보빈(33b)을 역시 증가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회전되는 보빈(33b)에 리드줄(32)이 감기면서 리드줄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위에서 리드줄(32)과 길이조절장치(33)를 차량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리드줄(32)과 길이조절장치(33)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승객용 시트벨트 장치(미도시)가 될 수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즉, 기존 시트벨트 장치에서 시트벨트 웨빙이 리드줄이 되고, 기존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 웨빙이 상기 리드줄로서 반려견(2)이 착용한 몸줄(31)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in the existing seat belt device, the seat belt webbing becomes a lead line, and the seat belt webbing of the existing seat belt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이때, 시트벨트 웨빙이 몸줄(31)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반려견(2)이 착용한 몸줄(31)과 시트벨트 웨빙 사이를 보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at belt webbing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기존 반려동물용 안전벨트 장치에서도 반려견(2)이 착용한 몸줄(31)을 시트벨트 웨빙에 연결하는데 보조장치를 이용하고 있고, 이 보조장치는 시트벨트 웨빙과 몸줄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도 몸줄과 시트벨트 사이에 공지의 보조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In the existing seat belt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n auxiliary device is used to connect the
이와 같이 리드줄(32)과 길이조절장치(33)로서 차량의 기존 시트벨트 장치가 이용될 경우, 상기 길이조절장치(33)는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 중 시트벨트 웨빙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웨빙권취장치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existing seat belt device of a vehicle is used as the
이러한 웨빙권취장치 역시 기존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 중 하나로서 기 공지되어 있는 것이며, 제어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시트벨트 웨빙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보빈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Such a webbing take-up device is also known as one of the components of an existing seat belt device, and includes a motor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반려견의 몸줄에 연결되는 리드줄, 및 이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로서 기존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 웨빙과 웨빙권취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webbing and webbing winding device of the existing seat belt device may be used as a lead line connected to the body line of a dog, and a length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lin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에서는 차량 내에 탑승한 승객의 위치에 따라 반려견(2)의 몸줄(31)에 연결된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하고, 이와 더불어 차량의 충돌 위험도 및 충돌시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이로써, 반려견(2)의 이동 공간 및 행동 반경을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제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반려견(2)이 운전자 및 승객과 접촉하는 것을 막는 것은 물론, 특히 반려견(2)의 돌발 행동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조작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space and action radius of the
또한,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와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현재의 차량 속도로부터 충돌시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충돌 위험도 또는 예측 상해도가 높은 상황이면 리드줄(32)을 짧게 조절한다.In addition, if the risk of collision with the object is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or the predicted injury degree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a collision from the current vehicle speed, if the collision risk or predicted injury degree is high Adjust the lead string (32) to be short.
이를 통해 실제 충돌 사고 발생시 반려견(2)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고, 더불어 에어백 전개 위치에 반려견(2)이 위치해 있을 수 있도록 하여 에어백에 의한 반려견 보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injury of the dog (2) in the event of an actual crash, and also to maximiz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dog by the airbag by allowing the dog (2) to be located in the airbag deployment position.
반대로, 충돌 위험도가 낮거나 예측 상해도가 낮은 상황이면 리드줄(32)을 상대적으로 길게 조절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risk of collision is low or the predicted injury degree is low,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 승객 위치, 또는 충돌 위험도나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는, 차량 내 승객 위치, 또는 충돌 위험도나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감지센서(10)를 더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or the degree of collision risk or predicted injury is determined and the length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는, 상기 감지센서(10)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 승객 위치, 또는 충돌 위험도나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결정한 뒤 상기 결정된 길이로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2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osition of a passenger in the vehicle, or the risk of collision or predicted injury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에서 상기 감지센서(10)는 차량 내 승객을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11)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in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승객감지센서(11)는 각 시트(1)에 설치되는 센서가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각 시트(1)의 시트쿠션에 설치되는 중량센서가 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중량센서는 시트(1)에 착석한 승객에 의해 시트쿠션에 가해지는 하중인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이때 제어기(20)는 중량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각 시트(1)의 승객 착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차량 내 승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e weight sensor is a sensor that senses a weight, which is a load applied to the seat cushion by a passenger seated on the
또한, 상기 감지센서(10)는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로서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센서는 레이더(Radar)(14)와 라이더(LiDAR)(18)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컨대, 상기 센서가 레이더(14)인 경우 전방 레이더(15), 전측방 레이더(16), 후측방 레이더(17)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밖에 차량 주변의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는 카메라(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is the
여기서, 상기 차량은 카메라(13)는 차량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일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13)는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정차 중일 때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비된다.Here, in the vehicle, the
제어기(20)는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주변의 대상를 감지할 수 있고, 나아가 대상체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The
그리고, 제어기(20)는 감지센서(10)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감지센서(10)를 통해 취득한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과 대상체 간의 상대 거리 및 차량과 대상체 간의 상대 속도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차량과 대상체의 충돌 예상 시간(Time To Collision, TTC)을 산출할 수 있다. And, when the
여기서,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취득함에 있어, 상기 대상체는 동일 차선의 자기 차량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일 수 있고, 또는 교차로에서 자기 차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교차 차량일 수 있으며, 또는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측방 차량일 수 있다.Here, when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around a vehicle, the object may be a preceding vehicl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in the same lane, or a crossed vehicle travel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vehicle at an intersection may be, or it may be a side vehicle driving in the next lane.
본 발명에서 레이더(14)나 라이더(18), 또는 카메라(13)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로부터 대상체와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 그리고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해 충돌 예상 시간(TTC)를 계산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존 차량 제어에 있어 잘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with an object from information acquired by the
일례로, 레이더(14)나 라이더(18) 등의 감지센서(10)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 시간(TTC)를 산출하는 것이, 공개특허 10-2019-0100614(2019.08.29.)에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by using a
또한, 상기 감지센서(10)는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로서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에서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가 가변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차량 운행 동안 반려견(2)이 탑승한 상태에서 반려견이 몸줄(31)을 하지 않은 경우 또는 리드줄(32)이 너무 긴 경우이면, 반려견이 갑자기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돌발 행동을 할 수 있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ength of the
특히, 운전자에게 돌발 행동을 하게 되면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의 몸줄(31)을 반려견(2)에 착용시키고 몸줄(31)에 리드줄(32)을 연결한다.In particular, since it can lead to a fatal accident when the driver suddenly acts, the
그리고, 차량 운행이 시작될 때, 제어기(20)가 승객감지센서(11)의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승객감지센서(11)의 신호로부터 차량 내 승객 위치를 판단한다.And, when the vehicle operation starts, the
이후 제어기(20)가 판단된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결정하는데, 이때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사전 설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20)가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미리 정해진 R1, R2 및 R3(R1>R2>R3) 중 하나로 결정하고, 이어 리드줄(32)을 상기 결정된 길이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결국, 제어기(20)가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이 제어되고, 이때 길이조절장치(33)가 반려견(2)의 몸줄(31)에 연결된 리드줄(32)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작동하여 리드줄의 길이를 R1, R2 및 R3 중 하나가 되도록 조절하게 된다.As a result, the operation of the
이때,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반려견(2)과 함께, 운전자만 탑승했을 경우 리드줄(32)의 길이를 R1으로 제한할 수 있고, 운전자와 조수석 승객이 탑승했을 경우 리드줄(32)의 길이를 R2로 제한할 수 있으며, 운전자와 후석 승객이 탑승했을 경우 리드줄(32)의 길이를 R3로 제한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 3 , when only the driver rides with the
또한, 운전자와 반려견(2)만 탑승한 상태로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가, 도중에 조수석 승객이 탑승하면, 리드줄(32)의 길이를 R1에서 R2로 변경하고, 이때 제어기(20)는 리드줄(32)의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을 제어한다.In addition, if the vehicle is operated with only the driver and the dog (2) on board, and a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boards on the way, the length of the
그 밖에, 운행 도중 차량 내 승객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제어기(20)는 현재의 승객 위치에 해당하는 리드줄(32)의 길이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 설정 값인 R1, R2 및 R3 중 하나로 결정하고, 이때 제어기(2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실제 리드줄(32)의 길이가 상기 결정된 하나의 값으로 조절된다.In addition, whenever the position of a passenger in the vehicle is changed during driving, the
이와 같이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해줌으로써, 차량 운행 동안 운전자 및 승객과 반려견(2)의 접촉을 막아 반려견의 돌발 행동으로 인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또한, 승객이 차량 운행 동안 반려견과 접촉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안하게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passengers can use the vehicle comfortably since they do not hav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ir dog while driving the vehicle.
도 4 내지 도 6은 다양한 충돌 가능 상황을 예시한 것으로, 도 4는 차량 주변의 대상체로서 선행 차량과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차량 주변의 대상체로서 교차 차량과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내며, 도 6은 차량 주변의 대상체로서 측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4 to 6 illustrate various possible collision situations, FIG. 4 shows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with a preceding vehicle as an object around the vehicle, and FIG. 5 is a collision risk with a crossed vehicle as an object around the vehicle shows an example of determining , and FIG. 6 shows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risk of collision with a vehicle next to the vehicle as an object around the vehicle.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기 장착된 감지센서(10)를 이용하여 대상체와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는데, 통상의 차량 제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기(20)가 차량과 대상체의 충돌 예상 시간(이하 'TTC'라 칭함)을 바탕으로 충돌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isk of collision with the object is determined using the
또한, 제어기(20)가 TTC를 바탕으로 충돌 위험도를 판단한 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결정하고, 이어 상기 결정된 길이로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이때에도 충돌 위험도에 따라 사전 설정 값인 R1, R2 및 R3 중 어느 하나로 리드줄(32)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는데, TTC 값이 클수록, 즉 충돌 위험도가 낮을수록 리드줄(32)의 길이가 더 큰 값으로 결정된다. Even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예를 들어, TTC가 5초 미만이면서 3초 이상이면 리드줄(32)의 길이가 R1로 결정될 수 있고, TTC가 3초 미만이면서 1초 이상이면 리드줄(32)의 길이가 R2로 결정될 수 있으며, TTC가 1초 미만이면 리드줄(32)의 길이가 R3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TC is less than 5 seconds and more than 3 seconds, the length of the
또한, TTC가 5초에서 3초 미만으로 줄어들 경우 리드줄(32)의 길이가 R1에서 R2로 변경되고, 변경된 길이로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기(20)가 출력한다. In addition, when the TTC is reduced from 5 seconds to less than 3 seconds, the length of the
그 밖에, 운행 도중 TTC가 변경될 때마다 제어기(20)는 변경된 TTC에 해당하는 리드줄(32)의 길이를 사전 설정 값인 R1, R2 및 R3 중 하나로 결정하고, 이때 제어기(2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실제 리드줄(32)의 길이가 상기 결정된 하나로 조절된다.In addition, whenever the TTC is changed during operation, the
그리고, 충돌 위험도가 높다하더라도 자기 차량이 매우 저속인 상태에서 충돌하면 상해도가 높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리드줄(32)의 과도한 길이 제한이 오히려 실사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리드줄(32)의 길이 제한에 있어 충돌시 상해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And, even if the risk of collision is high, if the vehicle collides at a very low speed, the degree of injury may not be hig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gree of injur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in limiting the length of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며, 이때 현재의 차속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ed injury degree is determined,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redicted injury degree based on the current vehicle speed information.
따라서, 제어기(20)가 감지센서(10) 중 차속센서(12)의 신호로부터 취득되는 현재의 차속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 상해도를 판단한 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결정하고, 이어 상기 결정된 길이로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이때에도 예측 상해도에 따라 사전 설정 값인 R1, R2 및 R3 중 어느 하나로 리드줄(32)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는데, 차속이 낮을수록, 즉 예측 상해도가 낮을수록 리드줄(32)의 길이가 더 큰 값으로 결정된다. Even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예를 들어, 현재 차속이 30km/h 이상이면서 60km/h 미만이면 리드줄(32)의 길이가 R1로 결정될 수 있고, 현재 차속이 60km/h 이상이면서 120km/h 미만이면 리드줄(32)의 길이가 R2로 결정될 수 있으며, 현재 차속이 120km/h 이상이면 리드줄(32)의 길이가 R3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vehicle speed is 30 km/h or more and less than 60 km/h,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제어기(20)에서 리드줄(32)의 길이가 결정되면, 제어기(20)가 상기 결정된 길이로 리드줄(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제어기(2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실제 리드줄(3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리드줄의 길이는 충돌 위험도와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돌 위험도와 예측 상해도 중 운전자가 차량 내 조작수단을 통해 선택한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리드줄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ength of the lead cord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ollision risk and the predicted injury degree,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lead cord is determined based on any one selected by the driver through the in-vehicle operation means among the collision risk and the predicted injury. can make a decision
또는 사용자 사전 설정 정보에 따른 방법에 의해 충돌 위험도와 예측 상해도가 복합적으로 고려된 리드줄(32)의 길이가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length of the
또한,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드줄(2)의 길이와, 예측 상해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드줄(2)의 길이가 다를 경우, 예측 상해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드줄(2)의 길이를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추가적으로, 길이조절장치(33)가 급격한 길이 조절을 수행할 경우 반려견(2)이 리드줄(32)에 의해 당겨져 오히려 상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급격한 길이 조절로 인한 상해 발생을 막기 위해, 제어기(20)가 중량 측정이 가능한 승객감지센서(11), 즉 상기 중량센서의 신호로부터 반려견(2)의 무게 정보를 취득하고, 이어 취득된 반려견(2)의 무게 정보에 따라 제어기(20)가 리드줄(32)에 대한 길이조절속도, 즉 리드줄 권취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여기서, 리드줄 권취속도는 길이조절장치(33)에서 모터(33a)에 의해 보빈(33b)이 회전되는 속도로 정해지는바, 제어기(20)가 중량센서의 신호로부터 취득된 반려견(2)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리드줄 권취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드줄 권취속도에 따라 보빈(33b)의 회전속도(모터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Here, the lead wire winding speed is determined by the speed at which the
이때, 제어기(20)에서 반려견(2)의 무게가 클수록 보빈(33b)의 회전속도가 낮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반려견(2)의 무게가 작을수록 보빈(33b)의 회전속도가 높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보호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0)에서 승객감지센서(11)를 통해 차량 내 승객을 감지하여 승객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를 결정한다.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또한, 승객 위치에 따른 리드줄(32)의 길이가 결정되고 나면, 제어기(20)는 현재 위치에서 리드줄(32)을 감아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풀어주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감아주어야 한다면, 승객감지센서(중량센서)(11)에 의해 감지된 반려견(2)의 무게에 따라 리드줄 권취속도를 결정한다.In addition, after the length of the
이어, 제어기(20)가 상기 결정된 리드줄(32)의 길이에 따라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상기 결정된 길이로 리드줄의 길이가 조절된다.Then, the
이때, 리드줄(32)을 감아주어야 하는 경우이면, 제어기(20)는 길이조절장치(33)의 작동 속도, 즉 리드줄 권취속도가 상기 반려견(2)의 무게에 따라 결정된 속도가 되도록 권취속도도 함께 제어한다. At this time, if it is necessary to wind the
한편, 승객 위치에 따른 리드줄(32)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라 하더라도, 제어기(20)에서 충돌 위험도와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32)의 길이가 변경되어야 한다면, 충돌 위험도와 예측 상해도의 판단 결과에 따른 값으로 리드줄(32)의 길이를 변경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length of the
이때, 제어기(20)는 충돌 위험도와 예측 상해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각각 결정된 리드줄(32)의 길이가 다르다면, 예측 상해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리드줄의 길이를 최종 선택 및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충돌 위험도와 예측 상해도를 바탕으로 리드줄(32)의 길이가 결정되고 나면, 이후 승객 위치에 따른 리드줄의 길이 변경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길이조절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제 리드줄의 길이를 상기 결정된 길이가 되도록 조절한다.After the length of the
그 밖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기(20)는 운전자의 부주의한 운전 패턴을 감지한 경우, 예를 들어 턴 시그널 램프가 미사용 상태임에도 차선 이탈을 반복하거나, 동일 차선 내 지그재그 주행이 반복되거나, 급 가감속이 반복되는 경우, 충돌 위험도가 높은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어 리드줄(32)의 길이를 충돌 위험도가 높은 조건의 길이, 예컨대 R3로 변경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에 의하면, 차량 실내에서 반려견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사고시 반려견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and protection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safely protect the dog inside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injury of the do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 승객 위치, 또는 차량의 충돌 위험도나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해줌으로써, 차량 내에서 반려견의 이동 공간 및 행동 반경을 차량 상황에 맞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passenger in the vehicle, or the collision risk or predicted injury degree of the vehicle, and appropriat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movement space and action radius of the dog in the vehicle are adjusted to the vehicle situation can be limited accordingly.
이에 반려견이 갑자기 운전자나 승객에게 돌발 행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돌 사고에 대비하여 반려견을 안전하게 구속할 수도 있으며, 에어백 전개 위치에 반려견이 안전하게 위치해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g from acting unexpectedly to the driver or passengers, to restrain the dog safely in case of a crash, and to ensure that the dog is safely positioned in the airbag deployment position.
결국, 차량에서 운전자 및 승객, 반려견 모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반려견과 승객의 접촉을 막을 수도 있으므로 승객이 편안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Ultimatel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both the driver, passengers, and dogs in the vehicle, and if necessary, contact between the dog and the passenger can be prevented, so that passengers can use the vehicle comfortably.
또한, 길이조절장치로서 기존 차량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 풀링 기구부(웨빙권취장치)를 이용하여 반려견의 몸줄에 연결된 시트벨트 웨빙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경우, 몸줄을 포함한 일부 구성만 필요시 교체하여 차량에서 반려견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configuring the length of the seat belt webbing connected to the dog's leash by using the seat belt pulling mechanism (webbing take-up device) of the existing vehicle seat belt device as a length adjusting device, only some components including the leash are replaced if necessary. Thu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evice and method that can safely protect a dog in a vehicl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시트
2 : 반려견(반려동물)
10 : 감지센서
11 : 승객감지센서
12 : 차속센서
13 : 카메라
14 : 레이더
15 : 전방 레이더
16 : 전측방 레이더
17 : 후측방 레이더
18 : 라이더
20 : 제어기
30 : 안전벨트 장치
31 : 몸줄
32 : 리드줄
33 : 길이조절장치
33a : 모터
33b : 보빈1: sheet
2: Dog (companion animal)
10: detection sensor
11: passenger detection sensor
12: vehicle speed sensor
13 : camera
14: Radar
15: forward radar
16: front and side radar
17: rear side radar
18 : Rider
20: controller
30: seat belt device
31: body line
32: lead string
33: length adjustment device
33a: motor
33b: bobbin
Claims (14)
차량에서 상기 안전벨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미리 정해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벨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 장치는,
반려동물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몸줄;
차량 내에서 상기 몸줄에 연결되는 리드줄; 및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줄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되는 길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a seat belt device capable of restraining the pos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vehicle;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device in the vehicle;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he seat belt device is
a leash that can be worn around the pet's body;
a lead line connected to the body line in the vehicle; and
and a length adjusting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lead, and controll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ler.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 구동시 모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리드줄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adjusting device,
a motor whose driving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ler; and
and a bobbin that is rotated by a motor rotational force when the motor is driven to wind or unwind the lead string.
상기 리드줄은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 웨빙이고,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시트벨트 장치에서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시트벨트 웨빙을 감아주거나 풀어주어 시트벨트 웨빙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웨빙권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ad line is a seat belt webbing of a seat belt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nd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s a webbing take-up device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seat belt webbing by winding or unwinding the seat belt webb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ler in the seat belt device.
상기 감지센서는 차량 내 승객 위치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승객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량 내 승객 위치에 해당하는 리드줄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내 승객 위치에 따라 결정된 길이가 되도록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passenge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The controller is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lead lin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detected by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string so as to have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상기 승객감지센서는 차량 내 각 시트의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시트쿠션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이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승객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 내 승객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리드줄의 길이를 상기 검출된 차량 내 승객 위치에 해당하는 길이로 변경하고,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조절속도가 조절되도록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is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of each seat in the vehicle to detect the weight acting on the seat cushion,
The controller is
Whenever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detected by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is changed,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s controlled to change the length of the lead lin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s controlled to adjust the length adjusting speed of the lead lin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sensed through the weight sensor.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로부터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충돌 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충돌 위험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길이로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Obtain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from the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Companion animal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rmining the collision risk of the vehicle from the obtained posi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line to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llision risk protection device.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로부터 차량과 대상체의 충돌 예상 시간(Time To Collision, TTC)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충돌 예상 시간에 따른 값으로 리드줄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ler is
calculating a time to collision (TTC)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jec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lead line is determined by the valu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collision expected time.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충돌 예상 시간이 큰 값일수록 리드줄의 길이가 더 큰 값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lead line to be a larger value as the expected collision time is greater.
상기 감지센서는 레이더(Radar) 및 라이더(LiDA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etection sensor is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f a radar (Radar) and a lidar (LiDAR).
상기 감지센서는 차량 내 각 시트의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시트쿠션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로부터 판단되는 차량의 충돌 위험도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리드줄의 길이를 상기 판단된 차량의 충돌 위험도에 해당하는 길이로 변경하고,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조절속도가 조절되도록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etec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of each seat in the vehicle to detect the weight acting on the seat cushion,
The controller is
Whenever the collision risk of the vehicle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the length of the lead line is chang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llision risk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length adjusting devic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s controlled to adjust the length adjusting speed of the lead lin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sensed through the weight sensor.
상기 감지센서는 차속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현재 차속으로부터 충돌시 예측 상해도를 판단하여 상기 예측 상해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길이로 리드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vehicle speed sensor,
The controller is
Rejection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rmining a predicted injury degree at the time of a collision from the current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ad line to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dicted injury degree animal shelter.
상기 제어기는 차속이 높을수록 리드줄의 길이가 더 작은 값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is a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er the vehicle speed, the smaller the length of the lead line is set to be determined.
상기 감지센서는 차량 내 각 시트의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시트쿠션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으로부터 판단되는 예측 상해도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리드줄의 길이를 상기 판단된 예측 상해도에 해당하는 길이로 변경하고,
상기 중량센서를 통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라 리드줄의 길이조절속도가 조절되도록 길이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tec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of each seat in the vehicle to detect the weight acting on the seat cushion,
The controller is
Whenever the predicted injury degree determined from the vehicle speed is changed, controlling the length adjusting device to change the length of the lead lin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redicted injury degree,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s controlled to adjust the length adjusting speed of the lead lin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sensed through the weight sensor.
상기 제어기는 턴 시그널 램프의 미사용 상태임에도 차선 이탈을 반복하거나, 차량의 동일 차선 내 지그재그 주행이 반복되거나, 차량의 급 가감속이 반복되는 경우, 리드줄의 길이를 줄여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반려동물 보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set to output a control signal to reduce the length of the lead line when the turn signal lamp is not in use, when lane departure is repeated, zigzag driving in the same lane of the vehicle is repeated, or rapid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vehicle is repeated. Features of the vehicle's companion animal protec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2877A KR20210072865A (en) | 2019-12-09 | 2019-12-09 | System for protecting pet in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2877A KR20210072865A (en) | 2019-12-09 | 2019-12-09 | System for protecting pet in vehic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72865A true KR20210072865A (en) | 2021-06-18 |
Family
ID=7662327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62877A Withdrawn KR20210072865A (en) | 2019-12-09 | 2019-12-09 | System for protecting pet in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072865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391630A (en) * | 2023-04-24 | 2023-07-07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managing pets in a car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2877A patent/KR20210072865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391630A (en) * | 2023-04-24 | 2023-07-07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managing pets in a ca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379948B2 (en) | Safety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restraining an occupant on a vehicle seat | |
| US6213512B1 (en) | Seat belt tightening apparatus | |
| US5788281A (en) |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 |
| JP4591750B2 (en) |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 |
| JP6233363B2 (en) | 4-point seat belt device. | |
| US11904794B2 (en) | Pe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 |
| CN1907769B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seat belt apparatus | |
| EP1777127B1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seat belt apparatus | |
| KR20100063394A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for saving infant and children riding car | |
| US7698037B2 (en) | Seatbelt device for vehicle | |
| CN114103869A (en) | Safety belt monitoring system | |
| US8165758B2 (en) | Vehicular seatbelt apparatus | |
| US6719325B2 (en) |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 |
| KR20210072865A (en) | System for protecting pet in vehicle | |
| US20160082922A1 (en) | Advanced seatbelt apparatus | |
| JP6748390B2 (en) | Seat belt device | |
| JP5086889B2 (en) | Seat belt retractor | |
| JP7292063B2 (en) | Vehicle with occupant protection function | |
| JP4861091B2 (en) | Vehicle seat belt device | |
| US20190100177A1 (en) | Method for changing a forward displacement of an occupant of a vehicle during braking of the vehicle and control unit | |
| KR20160074105A (en) | An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211107B1 (en) | A seat belt for controlling a webbing winding motor by an occupant's volume | |
| JP5531051B2 (en) | Seat belt retractor | |
| KR101835410B1 (en) | Seat belt for vehicle | |
| KR102624904B1 (en) | Active Control Method of Motor Operated Pre-Tensio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2-nap-PC120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