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534A - Shelter for safeguard user able to formation a confined space - Google Patents
Shelter for safeguard user able to formation a confined sp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7534A KR20210107534A KR1020210012712A KR20210012712A KR20210107534A KR 20210107534 A KR20210107534 A KR 20210107534A KR 1020210012712 A KR1020210012712 A KR 1020210012712A KR 20210012712 A KR20210012712 A KR 20210012712A KR 20210107534 A KR20210107534 A KR 202101075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ter
- front blocking
- main body
- user protection
- canop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로서, 일측이 지면에 장착 고정되고, 타측이 캐노피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메인본체와, 일측이 상기 메인본체의 양측 지지대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본체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용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이동체와, 상기 캐노피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캐노피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 차단창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의 수직 방향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전면 차단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출입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용 구동 유닛과 승강용 구동 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를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상기 메인본체의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까지 회전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전면 차단부의 전면 차단창을 하강시켜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키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apable of forming an enclosed space, one side of which is mounted and fixed on the grou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nopy to support the canopy, and one side rotates with the support fram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connected to enable,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support frame, and connected to a rotational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other side of the canopy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the front blocking unit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which is formed in the hood and has a front blocking window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anop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vertical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ront blocking window; It includes a door for entry and exit formed on at least one or more, and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ar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lift drive unit to the side frame for the canopy of the main body supporting the canop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that lowers the front blocking window of the front blocking unit to form an enclosed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의거하여 밀폐 공간의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protection shelter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일반적으로 버스쉘터는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승객이 머무는 장소를 말하는데, 오늘날 대중교통 체계의 발달로 인하여 도심뿐만 아니라 지방도로변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빠짐없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bus shelter refers to a place where passengers waiting for a bus stay.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they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not only in the city center but also along local roads.
또한, 사회가 발전하고 선진국형화 되어가면서 도로 정비 및 조경 등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심리는 더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으며, 이에 맞추어, 정부기관 및 자치단체에서는 이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as society develops and becomes an advanced country, people's expectations for road maintenance and landscaping are inevitably higher, and accordingly,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a lot of investment in this.
도로정비는 물론 도로상에 설치되는 시설물 또한 그 예외가 아니다. 근래에는 버스정류소에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한 기다림의 장소인 쉘터(shelter)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Road maintenance as well as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are no exception. Recently, a shelter, a waiting place for people waiting for a bus, has been installed and operated at a bus stop.
더욱이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면서 버스정류장 쉘터의 설치 수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Moreover, with the operation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the number of bus stop shelters is increasing.
버스정류장 쉘터는 사람들이 버스를 기다리면서 쉴 수 있는 쉼터이면서 버스정류장의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기업들의 광고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A bus stop shelter is a shelter where people can rest while waiting for a bus, and it works as a means to provide route information of stopped buses at bus stops.
상술한 한 바와 같은 버스정류장 쉘터는 수많은 차량이 왕래하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기 때문에 쉘터가 설치된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오염도, 예컨대 미세 먼지, 차량의 배기가스 등과 같은 물질에 의한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다.Since the bus stop shelter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round a road where many vehicles come and go, the area where the shelter is installed has a relatively high degree of pollution, for example, fine dust and pollution by substances such as vehicle exhaust gas, compared to other areas.
또한, 버스정류장 쉘터는 사용자들이 버스를 기다리기 위해 오랜 시간을 머무르는 공간이기 때문에 혹한기,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경우 추위, 더위에 장시간 노출될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s stop shelter is a space where users stay for a long time to wait for the bus, there is a problem of being exposed to cold and heat for a long time when a severe cold or heat wave warning is issued.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한 밀폐형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apable of forming an enclosed space allowing the user to enter and exit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일측이 지면에 장착 고정되고, 타측이 캐노피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메인본체와, 일측이 상기 메인본체의 양측 지지대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본체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용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이동체와, 상기 캐노피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캐노피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 차단창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의 수직 방향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전면 차단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출입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용 구동 유닛과 승강용 구동 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를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상기 메인본체의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까지 회전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전면 차단부의 전면 차단창을 하강시켜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side of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nopy to support the canopy; A first connected to a rotational driving uni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upport frames of the main body,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support frame, and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A front blocking comprising a second movable body and a driving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nopy and has a front blocking window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canop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vertically moving the front blocking window and a door for entry and exi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and the main supporting the canopy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through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lift drive unit It is possible to form an enclosed space by rotating and moving the side frame for the canopy of the main body and lowering the front blocking window of the front block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메인본체의 지지대 프레임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의 회전 이동을 제한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otection shelter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of the main body to limit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는 타측과 인접한 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의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전면 차단창을 승강시키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include guide grooves formed on surfaces adjacent to the other side, and the front blocking window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to form the front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guide rail for elevating the blocking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지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지면의 형상에 따라 수직 방향의 높이를 갖되, 상기 밀폐형 공간이 형성됨에 따른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과 상기 전면 차단창의 지면 상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지면의 부분에 형성되는 밀폐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otection shelter is fixed on the ground and has a vertical heigh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und, and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and the front blocking window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enclosed space. It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formed in a portion of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n the gr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외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승강용 구동 유닛과 상기 회전용 구동 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otection shelter may form the sealed space by operating the lifting driving unit and the rotating driving unit based o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일측이 지면에 장착 고정되고, 타측이 캐노피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메인본체와, 일측이 상기 메인본체의 양측 지지대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밀폐용 이동본체와, 일측이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출입용 이동본체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와, 상기 지지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를 상기 메인본체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가 상기 메인본체의 측면 프레임까지 회전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를 상기 캐노피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과, 상기 캐노피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캐노피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 차단창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의 수직 방향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전면 차단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출입용 이동본체에 형성된 출입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용 구동 유닛과 승강용 구동 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밀폐용 이동본체 및 출입용 이동본체를 회전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전면 차단부의 전면 차단창을 하강시켜 밀페형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user protection she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nopy to support the canopy;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ies composed of a moving body for sealing,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 support frames of the main body, and a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ody for sealing. And, the moving body for sealing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support frame, and as the moving body for sealing is rotationally moved to the side frame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ody for sealing, the A plurality of rotational driving units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for rotationally moving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nopy,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nopy, A front blocking portion comprising a front blocking window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anopy corresponding between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the front blocking unit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front blocking window; It includes a door for entry and exit formed on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of the first or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y, and a moving body for sealing the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ies through the rotation driving unit and the lifting driving unit and for entry and exit In addition to rotating the movable body, the front blocking window of the front blocking unit is lowered to form a sealed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메인본체의 지지대 프레임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회전 이동을 제한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otection shelter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of the main body to limit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출입용 이동본체는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은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의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전면 차단창을 승강시키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ies has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side thereof, and the front blocking window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ovable body for entry and exit in a vertic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guide rail for elevating the front blocking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지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지면의 형상에 따라 수직 방향의 높이를 갖되, 상기 밀폐형 공간이 형성됨에 따른 상기 밀폐형 이동본체, 출입용 이동본체 및 상기 전면 차단창의 지면 상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지면의 부분에 형성되는 밀폐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otection shelter is fixed on the ground and has a vertical heigh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und, and the sealed movable body,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and the It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formed in a portion of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n the ground of the front blocking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용 도어는 미닫이 문 형태이며,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는 상기 밀폐형 공간 형성 시 상기 출입용 도어의 열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차단창의 인접한 영역까지만 회전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y and exit door is in the form of a sliding door, and the movable body for entry and exit can be rotated only to an area adjacent to the front blocking window so as to enabl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entry and exit door when the closed space is formed. hav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환경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한 밀폐형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를 제공함으로써, 미세 먼지 주의보, 혹한 주의보, 폭염 주의보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될 때 사용자가 안전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에 쉘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user protection shelter capable of forming an enclosed space allowing the user to enter and exit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a situation such as a fine dust warning, a severe cold warning, or a heat wave warning occurs, the user Since it can create a safe resting space, the effectiveness of the shelter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에서 전면 차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부의 세부 구성 및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 기능을 갖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정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가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user protection shelter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ront blocking unit in the user protection shelter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peripheral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having a function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 closed space by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user protection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shelter)는 사람들이 대기하는 장소, 예컨대 도로에 형성되어 대중 교통 수단, 예컨대 버스, 택시 등, 을 승차하기 위한 곳, 어린이 놀이터의 대기 장소, 영업자의 고객 대기 장소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ce where people wait, for example, a place for riding public transport means, such as a bus, a taxi, etc. formed on a road, a waiting place for a children's playground , can be installed in customer waiting areas of business owners, etc. to protect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에서 전면 차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is view It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ront blocking unit in the user protection shelter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캐노피(5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캐노피(50)를 지지하는 메인본체(100), 캐노피(5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전면 차단부(110), 메인본체(10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대 프레임(102, 104) 각각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대 프레임(102, 104)을 축으로 하여 메인본체(100)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메인본체(100)는 일측 끝단, 즉 지면 반대 방향의 끝단인 캐노피(5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될 수 있으며, 캐노피(5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은 메인본체(100)에 연결되어 캐노피(5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의 하부에는 회전 이동된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가 삽입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메인본체(100)에 연결된 캐노피(50)의 타측 끝단에는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전면 차단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전면 차단부(110)는 전면 차단창(111)과 전면 차단창(111)의 상측 측면에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2, 132)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가이드레일(112, 1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가이드레일(112, 114)은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회전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122, 132)에 결합되어 전면 차단창(111)의 수직방향으로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이러한 전면 차단창(111)의 수직 방향의 승강 이동에 따라 캐노피(50)의 전면부를 개폐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또한, 전면 차단창(111)에는 수직 방향의 승강 이동을 위해 상측 양단에 승강 용 구동 유닛(118), 예컨대 회전롤러가 구비되고, 저면에 지면과의 충돌 시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116)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면 차단창(111)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예로서 투명 안전 유리, PVC 투명창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전면 차단부(110)는 전면 차단창(111)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12, 114)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용 구동유닛(118)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는 일측이 지지대 프레임(102, 104)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캐노피(50)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는 지지대 프레임(102, 104)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여 캐노피(50)를 지지하는 프레임까지 회전 이동하여 캐노피(50)의 측면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소정 부분에는 사용자가 왕래할 수 있는 출입용 도어(124, 134)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타측에는 가이드홈(122, 132)이 형성된 가이드홈용 프레임(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용 프레임의 정면에 가이드홈(122, 132)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된 가이드홈(122, 132)은 전면 차단창(11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2, 114)에 결합되어 전면 차단창(111)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Meanwhile, a guide groove frame (not shown) in which guide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회전 이동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지지대 프레임(102, 104)과 인접한 영역에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는 회전 이동을 위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대 프레임(102, 104)과 결합되고,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에 의해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까지만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는 90도 정도만큼 회전 이동하여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까지 회전되어 캐노피(50)의 측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가 설치된 지면 상에는 기 설정된 높이를 갖는 밀폐용 부재(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차단창(111)이 하강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면 부분,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가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에 위치될 때의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저면에 해당되는 지면 부분에 밀폐용 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이러한 밀폐용 부재(140)는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 메인본체(100) 및 전면 차단창(111)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The seal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회전 이동을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까지 제한하기 위해서 스토퍼(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토퍼(150)는 지지대 프레임(102, 104)과 인접한 영역의 메인본체(100) 상에 형성되어 소정의 접근 감지 센서 유닛(미도시됨)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즉, 스토퍼(150)는 접근 감지 센서 유닛을 통해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접근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신호를 수신한 중앙 제어부(200)는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에 소정의 구동 정지 신호를 송출하여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용 구동 유닛(118) 및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은 중앙 제어부(200)에 의해 구동되어 전면 차단창(111)을 승강시키거나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부(200)는 메인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환경 감지 센서(210)와 연동하여 승강용 구동 유닛(118) 및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인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예를 들어, 환경 감지 센서(210)에서 기 설정된 값 이상의 미세 먼지, 유해 물질이 감지되거나 기 설정된 온도 이하 또는 이상으로 기온이 감지될 때 중앙 제어부(200)는 승강용 구동 유닛(118) 및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전면 차단창(111)을 하강시켜 캐노피(50)의 전면부를 밀폐시킴과 더불어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를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까지 회전 이동시켜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fine dust or harmful substanc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re detected by the
한편, 환경 감지 센서(210)에서 주변 환경을 센싱한 결과, 정상 상태로 돌아오는 경우, 예컨대 주변 환경 센싱 결과 미세 먼지, 유해 물질 감지 정도가 기 설정된 정상 수치이거나 정상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200)는 승강용 구동 유닛(118) 및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전면 차단창(111)을 승강시켜 캐노피(50)의 전면부를 오픈시킴과 더불어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를 회전 이동시켜 처음 위치로 복귀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앙 제어부(200)는 환경 감지 센서(210)에 의해 센싱된 주변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승강용 구동 유닛(118) 및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승강용 구동 유닛(118) 및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중앙 제어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환경 관제 서버(300)와 중앙 제어부(2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통신 회로(201), 통신 회로(201)를 통해 수신된 환경 관련 정보, 예컨대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등과 같은 대기 오염 정보, 한파주의보, 폭염주의보 등과 같은 기상 관련 정보 등을 기반으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 신호 발생부(202) 및 구동 신호 발생에 따라 전면 차단창(111),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 등의 이동 시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203) 및 밀폐형 공간 내부에 설치된, 예컨대 메인본체(100)에 실장되어 설치된 외부기기(2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외부기기 구동부(2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기기(250)는 공기 청정기, 에어컨, 히터 등을 들 수 있으며, 외부기기 구동부(204)는 외부 환경에 따라 외부기기(250) 중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외부기기 구동부(204)는 밀폐 공간을 형성한 후 환경 감지 센서(2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기기(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경우, 중앙 제어부(200)의 통신 회로(201)는 버스 도착 예정 정보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버스 전광판(미도시됨)과 연결되어 환경 관제 서버(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버스 전광판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환경 관제 서버(3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중앙 제어부(200)의 통신 회로(201)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bus stop,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가 작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user protection she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일반적인 상황에서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는 메인본체(100)의 지지대 프레임(102, 104)에 고정되어 메인본체(100)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irst, in a general situation, the first and second
이후, 초미세 먼지 주의보, 황사 주의보, 한파주의보, 폭염주의보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는 회전용 구동 유닛(126, 136)에 의해 회전 이동하여 캐노피(50)의 측면 프레임 하면부에 위치되어 캐노피(50)의 측면부를 밀폐시킴과 더불어 승강용 구동 유닛(118)에 의해 구동된 전면 차단창(111)이 하강되어 캐노피(50)의 정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a situation such as an ultrafine dust warning, a yellow dust warning, a cold wave warning, a heat wave warning, etc. occurs, the first and second
이때, 제 1 및 제 2 이동체(120, 130)와 전면 차단창(111)은 회전용 구동 유닛 구동 유닛(126, 136) 및 승강용 구동 유닛(118)에 의해 밀폐용 부재(140)가 위치한 부분까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 기능을 갖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정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가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having a function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of a shelter for protecting a user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A to 7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 closed space by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일측이 메인본체(100)의 양측 지지대 프레임(102, 104)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와, 일측이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와, 지지대 프레임(102, 104)을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를 메인본체(100)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가 메인본체(100)의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까지 회전 이동됨에 따라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의 타측을 기준으로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를 캐노피(50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360)과, 캐노피(5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 사이에 대응되는 캐노피(50)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 차단창(372)을 구비하며, 전면 차단창(372)의 수직 방향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 유닛(374)을 포함하는 전면 차단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user protection she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of the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의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의 측면 부분에는 가이드홈(324, 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324, 334)은 전면 차단창(372)의 상측 측면에 장착된 가이드레일(376, 378)과 결합되어 전면 차단창(372)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형 쉘터에서 전면 차단부(370)는 캐노피(50)의 타측 끝면 일부 영역, 예컨대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의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가 회전 이동을 통해 위치될 때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 사이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지면과의 충돌 시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375)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ser protection type she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의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출입용 도어(322, 332)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용 도어(322, 332)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moving
출입용 도어(322, 332)가 미닫이 형태일 경우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는 전면 차단부(370)에 인접한 부분까지만 회전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346, 378) 및 가이드홈(324, 334)이 생략될 수 있다.When the
한편, 출입용 도어(322, 332)는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에도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용 도어(도 7a의 302, 312)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360)과 승강용 구동 유닛(374)을 통해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의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 및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를 회전 이동시킴과 더불어 전면 차단부(370)의 전면 차단창(372)을 하강시켜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부(200)는 회전용 구동 유닛(360)을 구동시켜 지지대 프레임(102, 104)에 연결된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를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까지 회전 이동시킨 후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에 연결된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를 캐노피(5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캐노피(50)의 측면과 전면부 일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ving body ( 300, 310) and the moving
이와 더불어, 중앙 제어부(200)는 승강용 구동 유닛(376)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전면 차단창(374)을 하강시킴으로써, 캐노피(50)의 나머지 부분을 차단하여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정면 및 측면으로 사용자가 왕래 가능한 밀폐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에서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360)과 승강용 구동 유닛(37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 제어부(2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부(200)는 주변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360)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를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106)까지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중앙 제어부(200)는 스토퍼(150) 내 접근 감지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의 회전 이동을 제한시키고, 구동 신호를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360)에 인가하여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340, 350)의 밀폐용 이동본체(300, 310)의 타측을 기준으로 출입용 이동본체(320, 330)를 캐노피(50)의 전면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360) 및 승강용 구동 유닛(37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중앙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 형성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오픈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밀폐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천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각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와 경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의 도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에서 도어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side view of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apable of forming a closed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n state of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sealed state of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ceiling of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fer unit and a path unit for moving each door of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and 14 are the door shapes of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to 1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door in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지면에 고정되고 양측면이 제 1 및 제 2 지지프레임(402, 404)을 구비하는 메인본체(400), 메인본체(400)를 기준으로 양측면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 각각에 연결되어 메인본체(100)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된 지면 상의 정면 부분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8 to 15,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ground and both sides of the
또한,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메인본체(400)의 상측 일정 부분에 천정 공간에 대응되는 천정부(406)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may form 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천정부(406)에는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과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450, 460),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450, 460)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이동경로에 따라 이동되는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450, 460)는 메인본체(400)의 일부분, 예컨대 메인본체(4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프레임(402, 404)과 인접한 메인본체(400) 상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가 정면을 차단할 때 위치하는 부분과 인접한 천정부(406)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제 1 및 2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450, 460)는 톱니 형태의 래크 기어로 호 형상의 제 1 및 제 2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부(406)에는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450, 460) 일측 및 타측이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고정형 브라켓(406a)을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는 래크 기어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스퍼 기어(또는 피니어 기어)(472, 482)를 갖는 모터(474, 484)로서, 모터(474, 484)의 구동에 따라 스퍼 기어(472, 482)가 래크 기어와 맞 물려서 이동되며, 스퍼 기어(472, 482)와 연결된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를 제 1 및 제 2 이동경로(A, B)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본체(400)의 제 1 및 제 2 지지프레임(402, 404)에는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의 일측면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402 and 404 of the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의 타측면에는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의 일측면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의 타측면의 일부분이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의 스퍼 기어(472, 482)는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의 타측면 일부분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스퍼 기어(472, 482)의 이동에 따라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의 타측면이 제 1 및 제 2 이동경로(A, B)를 따라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에 따라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의 일측면은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를 밀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는 제 1 및 제 2 지지프레임(402, 40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Also,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즉, 이러한 연결을 통해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가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450, 460)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이동경로(A, B)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가 제 1 및 제 2 이동경로(A B)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는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의 타측면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를 메인본체(400)를 기준으로 양측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는 메인본체(400)의 제 1 및 제 2 지지프레임(402, 404)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메인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That is, through this connection, the first a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와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용 도어(445)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밀폐형 공간을 형성할 때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가 정면의 일부분만을 차단시키고, 정면 다른 부분(예컨대,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에 의해 차단된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고정된 고정형 정면 도어(49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an enclosed space, the first and second
이 경우, 사용자 밀폐형 공간을 형성할 때,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는 고정형 정면 도어(490)를 기준으로 양측면 부분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정면 도어(490)에는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용 도어(49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forming a user-sealed space,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입용 도어(445)는 미닫이 형태 또는 여닫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는 사용자 밀폐형 공간에서 정면 일부분만을 차단하고, 슬라이딩 도어(495)를 이용하여 차단되지 않는 영역을 차단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의 전면부에는 슬라이딩 도어(495)가 수납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수납부(432, 442)를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first and second
제 1 및 제 2 수납부(432, 442)는 슬라이딩 도어(495)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밀폐형 공간을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수납부(432, 442)가 위치한 부분을 기준으로 일직선 상의 지면에는 슬라이딩 도어(495)가 미닫이 형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제 1 및 제 2 수납부(432, 442)에도 슬라이딩 도어(495)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레일(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guide rails (not shown) for movement of the slid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스토퍼(412, 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스토퍼(412, 422)는 제 1 및 제 2 지지프레임(402, 404)과 인접한 영역의 메인본체(400) 상에 형성되어 소정의 접근 감지 센서 유닛(미도시됨)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즉, 제 1 및 제 2 스토퍼(412, 422)는 접근 감지 센서 유닛을 통해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의 접근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신호를 수신한 중앙 제어부(200)는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에 소정의 구동 정지 신호를 송출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와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는 중앙 제어부(200)에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 보호를 위한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거나 오픈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부(200)는 메인본체(4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환경 감지 센서(210)와 연동하여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의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인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and
예를 들어, 환경 감지 센서(210)에서 기 설정된 값 이상의 미세 먼지, 유해 물질이 감지되거나 기 설정된 온도 이하 또는 이상으로 기온이 감지될 때 중앙 제어부(200)는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와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를 이동시켜 천정부(406)를 기준으로 양측면과 전면부를 밀폐시킨 사용자 보호를 위한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한편, 환경 감지 센서(210)에서 주변 환경을 센싱한 결과, 정상 상태로 돌아오는 경우, 예컨대 주변 환경 센싱 결과 미세 먼지, 유해 물질 감지 정도가 기 설정된 정상 수치이거나 정상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200)는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410, 420)와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430, 440)가 메인본체(400)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오픈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제어부(200)는 환경 감지 센서(210)에 의해 센싱된 주변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중앙 제어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환경 관제 서버(300)와 중앙 제어부(2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통신 회로(201), 통신 회로(201)를 통해 수신된 환경 관련 정보, 예컨대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등과 같은 대기 오염 정보, 한파주의보, 폭염주의보 등과 같은 기상 관련 정보 등을 기반으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 신호 발생부(202) 및 구동 신호 발생에 따라 제 1 및 제 2 이송부(470, 480)의 구동에 따라 각 도어(410, 420, 430, 440)의 이동 시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203) 및 밀폐형 공간 내부에 설치된, 예컨대 메인본체(400)에 실장되어 설치된 외부기기(2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외부기기 구동부(2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기기(250)는 공기 청정기, 에어컨, 히터 등을 들 수 있으며, 외부기기 구동부(204)는 외부 환경에 따라 외부기기(250) 중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외부기기 구동부(204)는 밀폐 공간을 형성한 후 환경 감지 센서(2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기기(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호용 쉘터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경우, 중앙 제어부(200)의 통신 회로(201)는 버스 도착 예정 정보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버스 전광판(미도시됨)과 연결되어 환경 관제 서버(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버스 전광판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환경 관제 서버(3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중앙 제어부(200)의 통신 회로(201)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bus stop, th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50 : 캐노피
100 : 메인본체
110, 370 : 전면 차단부
120, 130 : 제 1, 2 이동체
140 : 밀폐형 부재
150 : 스토퍼50 : canopy
100: main body
110, 370: front blocking part
120, 130: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140: sealed member
150: stopper
Claims (17)
일측이 상기 메인본체의 양측 지지대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본체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용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이동체와,
상기 캐노피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캐노피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 차단창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의 수직 방향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전면 차단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출입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용 구동 유닛과 승강용 구동 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를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상기 메인본체의 캐노피용 측면 프레임까지 회전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전면 차단부의 전면 차단창을 하강시켜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키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a main body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nopy to support the canopy;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upport frames of the main body,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support frame, and is connected to a rotational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and a second movable body;
a front blocking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nopy and having a front blocking window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anopy, the front blocking unit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front blocking window;
and a door for entry and exi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are rotated to the side frame for the canopy of the main body supporting the canopy through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lift drive unit, and the front blocking window of the front blocking unit is lowered to a closed type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that forms a space.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메인본체의 지지대 프레임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의 회전 이동을 제한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protection shelter,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further comprises a stopper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of the main body to limi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는,
타측과 인접한 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의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전면 차단창을 승강시키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It has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side,
The front blocking window,
and a guide rail coupled to the guide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to vertically elevate the front blocking window.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지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지면의 형상에 따라 수직 방향의 높이를 갖되, 상기 밀폐형 공간이 형성됨에 따른 상기 제 1 및 제 2 이동체과 상기 전면 차단창의 지면 상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지면의 부분에 형성되는 밀폐용 부재를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protection shelter,
It is fixed on the ground and has a vertical heigh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und, and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n the ground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and the front blocking window as the enclosed space is formed. User protection shelter with sealing member.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외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승강용 구동 유닛과 상기 회전용 구동 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키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protection shelter,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that operates the driving unit for lifting and the driving unit for rotation based o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form the sealed space.
일측이 상기 메인본체의 양측 지지대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밀폐용 이동본체와, 일측이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출입용 이동본체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와,
상기 지지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를 상기 메인본체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가 상기 메인본체의 측면 프레임까지 회전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밀폐용 이동본체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를 상기 캐노피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과,
상기 캐노피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캐노피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전면 차단창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의 수직 방향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전면 차단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출입용 이동본체 또는 밀폐형 이동본체에 형성된 출입용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용 구동 유닛과 승강용 구동 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밀폐용 이동본체 및 출입용 이동본체를 회전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전면 차단부의 전면 차단창을 하강시켜 밀페형 공간을 형성시키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a main body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nopy to support the canopy;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ies composed of a moving body for sealing,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 support frames of the main body, and a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ody for sealing. Wow,
The moving body for sealing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support frame, and as the moving body for sealing is rotated and moved to the side frame of the main body, the entrance/exit is ba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ody for sealing. a plurality of rotational driving units providing rotational force for rotationally moving the movable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nopy;
and a front blocking window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nopy and opens and closes a front portion of the canopy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ies; A front blocking unit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in the direction of lifting and lowering;
and a door for entry and exit formed in the moving body for entry or exit of the first or second folding type movable body or the sealed movable body,
A sealed space by rotating and moving the moving body for sealing and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type movable bodies through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lift drive unit and lowering the front blocking window of the front blocking unit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that forms a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메인본체의 지지대 프레임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회전 이동을 제한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user protection shelter,
The shelter for user protection further comprises a stopper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of the main body to limit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type movable bodies.
상기 제 1 및 제 2 폴딩형 이동체의 출입용 이동본체는,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차단창는,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의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전면 차단창을 승강시키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type movable bodies,
It has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side,
The front blocking window,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omprising a guide rail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to elevate the front blocking window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지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지면의 형상에 따라 수직 방향의 높이를 갖되, 상기 밀폐형 공간이 형성됨에 따른 상기 밀폐형 이동본체, 출입용 이동본체 및 상기 전면 차단창의 지면 상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지면의 부분에 형성되는 밀폐용 부재를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user protection shelter,
The part of the ground that is fixed on the ground and has a vertical heigh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und, and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n the ground of the closed movable body, the movable body for entry and exit, and the front blocking window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closed space.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omprising a sealing member formed in.
상기 출입용 도어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문 형태이며,
상기 출입용 이동본체는,
상기 밀폐형 공간 형성 시 상기 출입용 도어의 열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차단창의 인접한 영역까지만 회전 이동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entrance door is in the form of a sliding door or a hinged door,
The moving body for entry and exit,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that is rotated and moved only to an area adjacent to the front blocking window so tha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access door is possible when the enclosed space is formed.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외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회전용 구동 유닛과 승강용 구동 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밀폐형 공간을 형성시키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user protection shelter,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that operates the plurality of rotation driving units and elevating driving units based o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form the sealed space.
일측면이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면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메인본체의 전방부 일부분을 덮는 구조를 갖는 천정부와,
일측면이 상기 메인본체의 지지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및 2 측면 차단용 도어와,
일측면이 상기 제 1, 2 측면 차단용 도어의 타측면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의 타측면 일부분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이송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부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되, 일측이 지지프레임 각각과 인접한 부분의 메인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가 회전되어 상기 메인본체와 기 설정된 만큼 이격된 평행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의 타측면과 인접한 상기 천정부에 결합되며, 호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이송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를 타측면을 이동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를 기준으로 회전이동시키면서 회전 결합된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메인본체를 기준으로 전면 및 측면을 밀폐시킨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A main body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 support frame on both sides thereof;
A ceil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vers a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First and second side blocking door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main body;
first and second front blocking door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blocking doors;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blocking door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one side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a portion adjacent to each of the support frames, and the other side blocks the first and second front surfaces When the door is rotated to reach a parallel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by a preset amount, the first and second front blocking doors are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adjacent to the ceiling, and arc-shaped first and first 2 including a route provider;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mov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blocking doors while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s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path providing units to block the first and second sides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that forms a closed space in whic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are sealed based on the main body by rotationally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blocking doors that are rotationally coupled while rotating based on the door.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제공부 각각은 호 형상을 갖는 래크 기어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부는,
상기 래크 기어에 맞 물려서 동작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스퍼 기어와,
상기 스퍼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스퍼 기어를 동작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th providing parts is a rack gear having an arc shap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and a spur gear that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blocking doors;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comprising a motor connected to the spur gear to operate the spur gear.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외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모터를 동작시켜 밀폐 공간을 형성시키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user protection shelter,
User protection shelter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control unit for forming a closed space by operating the motor based o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에는,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면 차단을 위한 슬라이딩 도어가 수납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수납부를 구비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first and second front blocking doors,
A user protection shelter having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coupled to the front part and capable of accommodating a sliding door for front blocking.
상기 제 1 및 제 2 정면 차단용 도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출입용 도어가 구비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blocking doors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blocking doors is provided with an access door for user protection.
상기 사용자 보호용 쉘터는,
상기 메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차단용 도어가 특정 위치까지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사용자 보호용 쉘터.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user protection shelter,
A shelter for user protection including first and second stoppers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side blocking doors only to a specific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1/002254 WO2021172845A1 (en) | 2020-02-24 | 2021-02-23 | User protection shelter capable of forming enclosed sp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022211 | 2020-02-24 | ||
| KR1020200022211 | 2020-02-24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07534A true KR20210107534A (en) | 2021-09-01 |
| KR102428538B1 KR102428538B1 (en) | 2022-08-03 |
Family
ID=777800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12712A Active KR102428538B1 (en) | 2020-02-24 | 2021-01-29 | Shelter for safeguard user able to formation a confined spa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28538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865429A (en) * | 1973-05-18 | 1975-02-11 | Joseph K Barker | Portable collapsible shelter |
| KR20080070527A (en) * | 2008-01-17 | 2008-07-30 | 권병하 | Bus platform with front partition for installation, movement and storage |
| KR20100034253A (en) * | 2008-09-23 | 2010-04-01 | 민홍기 | Open and close bus platform |
| KR20110072306A (en) | 2009-12-22 | 2011-06-29 | 주식회사 광인에스피 | Frame for bus shelter and bus shelter having same |
| KR101932129B1 (en) * | 2018-08-30 | 2018-12-24 |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 Waiting station for bus stop which prepares intense cold and hot weather |
-
2021
- 2021-01-29 KR KR1020210012712A patent/KR1024285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865429A (en) * | 1973-05-18 | 1975-02-11 | Joseph K Barker | Portable collapsible shelter |
| KR20080070527A (en) * | 2008-01-17 | 2008-07-30 | 권병하 | Bus platform with front partition for installation, movement and storage |
| KR20100034253A (en) * | 2008-09-23 | 2010-04-01 | 민홍기 | Open and close bus platform |
| KR20110072306A (en) | 2009-12-22 | 2011-06-29 | 주식회사 광인에스피 | Frame for bus shelter and bus shelter having same |
| KR101932129B1 (en) * | 2018-08-30 | 2018-12-24 |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 Waiting station for bus stop which prepares intense cold and hot weath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28538B1 (en) | 2022-08-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873013B2 (en) | Information display structure, and vehicle station and barrier equipped with the structure | |
| CA2319802C (en) | Flexible platform door system | |
| CN102427983A (en) | Door device | |
| KR101531701B1 (en) | Articulated Platform Screendoor | |
| KR102428538B1 (en) | Shelter for safeguard user able to formation a confined space | |
| WO2012164249A1 (en) | Door system | |
| KR101833878B1 (en) | Railless sliding gate | |
| US6076303A (en) | Filtering gate for the protection of a site, with linear parallel motion of the leaves of the doors | |
| CN102465650B (en) | Door device | |
| JP3009289B2 (en) | Station platform safety management device | |
| JP5843495B2 (en) | Home door device | |
| TW202012228A (en) | Variable Pitch Platform Screens Or Sliding Doors System In Transit Stations | |
| WO2021172845A1 (en) | User protection shelter capable of forming enclosed space | |
| CN102561930B (en) | Door device | |
| JP2012111296A (en) | Movable platform fence | |
| KR102204544B1 (en) | Track vehicle system with ascending and descending type two-stage sliding door | |
| KR101920232B1 (en) | Electric sliding door that slides through lower rail | |
| JP4397846B2 (en) | Bus stop for LRT / bus combined transportation system | |
| KR102724635B1 (en) | Apparatus for blocking passenger at platform | |
| CA2708215A1 (en) | Safety gate system for a subway platform | |
| JP5607507B2 (en) | Gate device | |
| TWM547504U (en) | Platform door device | |
| JP3106527U (en) | Railway vehicle door 5 door vehicle and home door 5 door device | |
| JP4509893B2 (en) | Structure of LRT vehicle's conventional line entrance door | |
| TWI633031B (en) | Platform gate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9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