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937A - Brassiere - Google Patents
Brassie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2937A KR20210122937A KR1020200039679A KR20200039679A KR20210122937A KR 20210122937 A KR20210122937 A KR 20210122937A KR 1020200039679 A KR1020200039679 A KR 1020200039679A KR 20200039679 A KR20200039679 A KR 20200039679A KR 20210122937 A KR20210122937 A KR 202101229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cap
- bra
- user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5—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C3/0064—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dical use or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71—Brassieres with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cup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78—Brassieres with backless strap featur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4—Stay means with an articulated or bridg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방암 수술 후 회복을 위한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 for recovery after breast cancer surgery.
유방암 환자가 수술을 하는 경우 유방암 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보형물을 넣어 유방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유방보형물 삽입수술이 동시에 시행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유방암 절제 후 유방을 가압하여 빠르게 회복되도록 하여야 하며 보형물이 삽입된 유방을 들어주면서 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Breast cancer resection is sometimes performed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go surgery. In this case, breast implant insertion surgery, in which an implant is insert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reast, is sometimes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after breast cancer resection, pressurize the breast so that it can recover quickly, and the breast with the implant must be lifted and adhered closely.
그러나 유방을 가압하는 기능과 유방을 들어주면서 밀착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하지는 못했다. 특히, 유방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보형물이 안정되게 고정되지는 못했다.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have the function of pressing the breast and making it close while lifting the breast. In particular, the implant could not be stably fixed in a state where the breast was lif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방을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안정되고 예쁜 형상의 유방을 만들어 주는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 that rapidly restores the breast and creates a stable and beautiful breast sha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는, 사용자의 유방을 탄성적으로 압박하며 감싸는 한 쌍의 캡부; 상기 한 쌍의 캡부를 둘러싸며 지지하며, 일부 구간에서 소정의 힘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캡부와 분리 가능하며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한 쌍의 캡부와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도록 하는 한 쌍의 어깨끈과,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나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밴드를 갖는 베이스지지부를 포함한다. 유방을 압박하는 캡부와 유방을 들어올리면서 밀착시키는 베이스부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유방을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안정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미려한 형상의 유방을 만들어 줄 수 있다.A b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air of caps that elastically compress and wrap a user's breast; a base part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pair of cap parts, is separable from the pair of cap parts by a predetermined force in some sections, and maintains a support state with the pair of cap parts in the remaining sections; and a base support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and having a pair of shoulder straps to be hung on the user's shoulder, and a pair of support band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ser's armpit. By detachably providing the cap for pressing the breast and the base for lifting the breas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tore the breast and create a stable and beautiful breast shape desired by the user.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캡부의 분리 가능한 연결부분은 상기 한 쌍의 캡부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간격을 갖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 사이의 연결부분은 상기 한 쌍의 캡부보다 절개지지력이 적어도 약하도록 상기 한 쌍의 캡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면 절개부분이 있고 연결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캡부가 베이스부가 일부 구간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the separable connection part of the base part and the pair of cap parts is formed by being cut at a spacing along the edge of the pair of cap parts, an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cut parts is greater than the pair of cap parts. When the pair of caps are formed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ir of caps so as to have at least weak incision support, the incisions are made and the connection parts are thin, so that the cap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in some sections, which is preferable.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캡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캡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유방을 압박하며 결합되는 압박결합부; 상기 한 쌍의 어깨끈 각각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끈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밴드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되는 결합밴드부를 포함하면 캡부와 베이스부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캡부가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유방을 압박할 수 있고, 어깨끈을 연결할 수 있으며 지지밴드를 결합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And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art for separably connecting the base part and the pair of cap parts, wherein the connection part connect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ap parts to the base part to compress the user's breast and to be combined. coupling part; a pair of string coupling units coupled to each other by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houlder straps; and a coupling band portion coupled by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bands to make it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ca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band can be combined.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캡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에 지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캡부 각각은,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상호 결합되며, 길이가 조절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길이조절결합부를 가지면 분리된 캡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유방을 위로 올릴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each of the pair of cap parts is formed to be detachably formed in at least two or more in a state supported by the base part and the part maintaining the support state, and each of the pair of cap parts detachably formed is, the user's should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reast can be raised upward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body, and having a length-adjustable coupling part that is adjusted in length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separated cap part to be hung on the user's shoulder.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캡부 각각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캡연결부를 더 가지면 분리된 캡부들을 결합 분리 가능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pair of cap parts that are formed to be separable can be separated by coupling the separated cap parts if they further have a cap connection part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유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면 유방을 넓은 구간에서 위로 올릴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east can be raised in a wide section if it is supported by the base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hape maintaining frame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base.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상유지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캡부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면 사용자에 맞도록 적절한 구간에서 유방을 올릴 수 있어 바람직하다.And when the at least one shape maintaining frame is movably supported along the edge of the pair of caps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breast can be raised in an appropriate section to fit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유방을 압박하는 캡부와 유방을 들어올리면서 밀착시키는 베이스부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유방을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안정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미려한 형상의 유방을 만들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table and beautiful breast shape desired by a user while rapidly restoring the breast by providing a cap for pressing the breast and a base for lifting and close contact with the breast to be detachab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의 사시도.
도 2는 브래지어의 착용상태도.
도 3은 주요구성의 상세도.
도 4는 캡부의 연결 예시도.
도 5는 형상유지프레임의 예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브래지어의 착용 동작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the bra.
3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nnection of the cap.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hape maintaining frame.
6 to 10 are diagrams of a wearing operation of a bra.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브래지어(1)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ra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브래지어(1)의 착용상태도이며, 도 3은 주요구성의 상세도이고, 도 4는 캡부(10)의 연결 예시도이며, 도 5는 형상유지프레임(50)의 예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브래지어(1)의 착용 동작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the bra 1,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and FIG. 4 is a connection example of the
브래지어(1)는 캡부(10), 베이스부(20), 베이스지지부(30), 연결부(40) 및 형상유지프레임(50)을 포함한다. The bra 1 includes a
캡부(10)는 사용자의 유방을 탄성적으로 압박하며 감싼다. 캡부(10)는 사용자의 유방의 전방으로부터 사용자 측을 향해 압박하며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차폐한다. 캡부(10)는 좌캡부(11)과 우캡부(12)를 갖는다. The
좌캡부(11)는 베이스부(20)와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에 지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좌캡부(11)는 제1좌캡부(111)와 제2좌캡부(112)로 이루어진다. 제1좌캡부(111-1)는 제1좌길이조절부(111-1)와 제1좌캡연결부(111-2)를 갖는다. The
제1좌길이조절부(111-1)는 후술할 제2좌길이조절부(112-1)와 연결되어 어깨에 지지되는 좌캡부(1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다. 제1좌길이조절부(111-1)는 고리와 후크 중 하나로 마련되어 나머지 하나로 마련되는 제2좌길이조절부(11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좌길이조절부(111-1)는 단추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좌길이조절부(111-1)는 벨크로로 마련되어 제2좌길이조절부(112-1)와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The first seat length adjustment unit 111-1 is connected to a second seat length adjustment unit 112-1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o that the length of the
제1좌캡연결부(111-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제1좌캡부(111)와 제2좌캡부(112)를 분리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좌캡연결부(111-2)는 자크결합될 수 있고, 벨크로결합될 수 있으며, 후크 고리 결합 등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좌캡연결부(111-2)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제1좌캡부(111)와 제2좌캡부(112)를 분리하는 경우 뜯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first left cap connection part 111 - 2 is formed to be able to separate and connect the first
제2좌캡부(112)는 제2좌길이조절부(112-1)와 제2좌캡연결부(112-2)를 갖는다. The second
제2좌길이조절부(112-1)는 제1좌길이조절부(111-1)와 연결되어 어깨에 지지되는 좌캡부(1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다. 제2좌길이조절부(112-1)는 고리와 후크 중 하나로 마련되어 나머지 하나로 마련되는 제1좌길이조절부(11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좌길이조절부(112-1)는 단추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좌길이조절부(112-1)는 벨크로로 마련되어 제1좌길이조절부(111-1)와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The second seat length adjustment unit 112-1 is connected to the first seat length adjustment unit 111-1 an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o that the length of the
제2좌캡연결부(112-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제1좌캡부(111)와 제2좌캡부(112)를 분리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좌캡연결부(112-2)는 자크결합될 수 있고, 벨크로결합될 수 있으며, 후크 고리 결합 등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좌캡연결부(112-2)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제1좌캡부(111)와 제2좌캡부(112)를 분리하는 경우 뜯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second left cap connection part 112-2 is formed to be able to separate and connect the first
우캡부(121)는 베이스부(20)와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에 지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우캡부(12)는 제1우캡부(121)와 제2우캡부(122)로 이루어진다. 제1우캡부(121-1)는 제1우길이조절부(121-1)와 제1우캡연결부(121-2)를 갖는다. The
제1우길이조절부(121-1)는 후술할 제2우길이조절부(112-1)와 연결되어 어깨에 지지되는 우캡부(1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다. 제1우길이조절부(121-1)는 고리와 후크 중 하나로 마련되어 나머지 하나로 마련되는 제2우길이조절부(1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우길이조절부(121-1)는 단추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우길이조절부(121-1)는 벨크로로 마련되어 제2우길이조절부(122-1)와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The first right-side length adjustment unit 121-1 is connected to a second right-side length adjustment unit 112-1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o that the length of the right-
제1우캡연결부(121-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제1우캡부(121)와 제2우캡부(122)를 분리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우캡연결부(121-2)는 자크결합될 수 있고, 벨크로결합될 수 있으며, 후크 고리 결합 등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우캡연결부(121-2)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제1우캡부(121)와 제2우캡부(122)를 분리하는 경우 뜯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first right cap connection part 121 - 2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separate and connec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제2우캡부(122)는 제2우길이조절부(122-1)와 제2우캡연결부(122-2)를 갖는다. The second
제2우길이조절부(122-1)는 제1우길이조절부(121-1)와 연결되어 어깨에 지지되는 우캡부(1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다. 제2우길이조절부(122-1)는 고리와 후크 중 하나로 마련되어 나머지 하나로 마련되는 제1우길이조절부(12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우길이조절부(122-1)는 단추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우길이조절부(122-1)는 벨크로로 마련되어 제1우길이조절부(121-1)와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The second right length adjustment unit 122-1 is connected to the first right length adjustment unit 121-1 an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o that the length of the
제2우캡연결부(122-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제1우캡부(121)와 제2우캡부(122)를 분리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우캡연결부(122-2)는 자크결합될 수 있고, 벨크로결합될 수 있으며, 후크 고리 결합 등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우캡연결부(122-2)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제1우캡부(121)와 제2우캡부(122)를 분리하는 경우 뜯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second right cap connection part 122 - 2 is formed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베이스부(20)는 한 쌍의 캡부(11, 12)를 둘러싸며 지지하며, 일부 구간에서 소정의 힘에 의해 한 쌍의 캡부(11, 12)와 분리 가능하며 나머지 구간에서는 한 쌍의 캡부(11, 12)와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20)와 한 쌍의 캡부(11, 12)의 분리 가능한 연결부분은 한 쌍의 캡부(11, 12)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간격을 갖고 절개(A)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된 부분(A) 사이의 연결부분(B)은 한 쌍의 캡부(11, 12)보다 절개지지력이 적어도 약하도록 한 쌍의 캡부(11,1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0)는 제1프레임수용부(21)와 제2프레임수용부(22)를 갖는다.The
제1프레임수용부(21)는 후술할 형상유지프레임(50)이 한 쌍의 캡부(11, 12)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제1프레임수용부(21)는 주머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형상유지프레임(5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제2프레임수용부(22)는 후술할 형상유지프레임(50)이 한 쌍의 캡부(11, 12)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제2프레임수용부(22)는 주머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형상유지프레임(5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베이스지지부(30)는 베이스부(20)에 결합되며 베이스부(20)를 사용자의 신체에 지지되도록 한다. 베이스지지부(30)는 어깨끈(31)과 지지밴드(32)로 이루어진다. 어깨끈(31)은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도록 하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지지밴드(32)는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나 상호 결합되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지지밴드(32)는 좌지지밴드(321)와 우지지밴드(322)로 이루어진다.The
연결부(40)는 베이스부(20)와 한 쌍의 캡부(11, 1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부(40)는 압박결합부(41), 끈결합부(42) 및 밴드결합부(43)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40)는 자크결합일 수 있고, 벨크로결합일 수 있으며, 후크 고리 결합 등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40 detachably connects the
압박결합부(41)는 한 쌍의 캡부(11, 12)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부(20)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유방을 압박하며 결합되도록 한다.The compression coupling part 41 connect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끈결합부(42)는 한 쌍의 어깨끈(31) 각각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The string coupling part 42 may be coupled by inter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shoulder straps 31 .
밴드결합부(43)는 한 쌍의 지지밴드(321, 322)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되도록 한다.The band coupling part 43 connects a pair of support bands 321 and 322 to each other to be coupled.
형상유지프레임(50)은 베이스부(20)에 지지되며, 베이스부(20)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형상유지프레임(50)은 와이어로 마련될 수 있다. 형상유지프레임(50)은 제1형상유지프레임(51)과 제2형상유지프레임(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형상유지프레임(51)과 제2형상유지프레임(52)은 상하 또는 좌우로 분리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maintaining frame 50 is supported on the
도 4는 캡부(10)의 연결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nnection of the
도 4 (a) 제1좌캡부(111)과 제2좌캡부(112)는 후크결합(431)에 의해 베이스부(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제1좌캡부(111)과 제2좌캡부(112)는 상호 자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4 (a) The first
도 4 (b) 제1좌캡부(111)과 제2좌캡부(112)는 자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제1좌캡부(111)과 제2좌캡부(112)는 벨크로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4 (b) The first
도 5는 형상유지프레임(50)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hape maintaining frame (50).
도 5 (a) 제1프레임수용부(21)가 캡부(1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2프레임수용부(22)가 캡부(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1형상유지프레임(51)은 제1프레임수용부(21)에, 제2형상유지프레임(52)은 제2프레임수용부(22)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5 (a) The first
도 5 (b) 제1프레임수용부(21)가 캡부(10)의 상부영역에만 형성되어 제1형상유지프레임(51)만이 수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FIG. 5 (b)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first
도 6 내지 도 10은 브래지어(1)의 착용 동작도이다.6 to 10 are diagrams of a wearing operation of the bra 1 .
도 6 사용자가 한 쌍의 캡부(11, 12)가 베이스부(2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용하여 유방이 압박되어 있는 상태이다.6 is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a pair of
도 7 한 쌍의 캡부(11, 12)를 베이스부(20)에서 분리하고 한 쌍의 캡부(11, 12)도 분리한다.7, the pair of
도 8 사용자의 착용감에 따라 형상유지프레임(50)의 위치를 조정한다.8 The position of the shape maintaining frame 5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wearing comfort.
도 9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캡부(11, 12)와 베이스부(20)의 좌우의 일영역을 연결하여 한 쌍의 캡부(11, 12)와 베이스부(20)가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격간격유지부재(60) 즉, 상이격간격뷰지부재(61)와 하이격간격유지부재(62)를 한 쌍의 캡부(11, 12)와 베이스부(20)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유방이 중앙영역으로 모이게 도움을 준다.9, a pair of
도 10 분리된 한 쌍의 좌캡부(11)와 분리된 한 쌍의 우캡부(12)를 어깨와 겨드랑이를 지나 상호 걸리게 제1, 2좌길이조절부(111-1, 111-2)와 제 1, 2우길이조절부(121-1, 121-2)를 연결한다. 이에 의해 어깨끈 만으로 유방으로 상부로 올리는 힘이 상승하므로 유방을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안정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미려한 형상의 유방을 만들어 줄 수 있10, the first and second left length adjustment parts 111-1 and 111-2 and the second
상기 실시 예 이 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Modifiable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어깨끈이 길이조절결합부가 마련되어 한 쌍의 캡부(11, 12)의 길이조절부(111-1, 111-2, 121-1, 121-2)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길이조절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편안하게 유방을 받칠 수 있다.The shoulder strap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s 111-1, 111-2, 121-1, 121-2 of the pair of
베이스부(20)로부터 사용자의 유방을 받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받침지지부가 지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받침지지부는 한 쌍의 캡부(11, 12)의 하부 영역의 베이스부(20)로부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받침지지부는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어 유방을 부드럽게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ir of support support portions formed to support the user's breast from the
한 쌍의 캡부(11, 12)의 하단 영역은 분리되지 않고 배치되어 나머지 부분이 베이스부(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유방의 하부를 떠받치도록 할 수도 있다.The lower regions of the pair of
상기의 브래지어(1)로 인하여, 유방을 압박하는 캡부(11, 12)와 유방을 들어올리면서 밀착시키는 베이스부(20)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유방을 빠르게 회복시키면서 안정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미려한 형상의 유방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베이스부(20)와 한 쌍의 캡부(11, 12)의 분리 가능한 연결부분은 한 쌍의 캡부(11, 12)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간격을 갖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절개된 부분 사이의 연결부분은 한 쌍의 캡부(11, 12)보다 절개지지력이 적어도 약하도록 한 쌍의 캡부(11, 1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면 절개부분이 있고 연결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캡부(10)가 베이스부(20)가 일부 구간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Due to the bra (1), the
베이스부(20)와 한 쌍의 캡부(11, 1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40)를 더 포함하며, 연결부(40)는 한 쌍의 캡부(11,12)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부(20)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유방을 압박하며 결합되는 압박결합부(41), 한 쌍의 어깨끈(31) 각각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끈결합부(42) 및 한 쌍의 지지밴드(321, 322)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되는 결합밴드부(43)를 포함하여 캡부(10)와 베이스부(20)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캡부(10)가 베이스부(2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유방을 압박할 수 있고, 어깨끈(31)을 연결할 수 있으며 지지밴드(32)를 결합하게 할 수 있다.The
길이조절결합부(111-1, 112-1, 121-1, 122-1)로 인하여 분리된 캡부(11, 1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유방을 위로 올릴 수 있다. 한 쌍의 캡부(11, 12) 각각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캡연결부(111-2, 112-2, 121-2, 122-2)로 인하여 분리된 캡부(11,12) 들을 결합 분리 가능할 수 있다. By using the
형상유지프레임(50)을 더 포함하면 유방을 넓은 구간에서 위로 올릴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유지프레임(50)은 베이스부(20)에 대하여 한 쌍의 캡부(11,12)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사용자에 맞도록 적절한 구간에서 유방을 리프팅시킬 수 있다.If the shape maintaining frame 50 is further included, it is possible to raise the breast upward in a wide section. At least one shape maintaining frame 50 is movably supported along the edges of the pair of
1 : 브래지어
10 : 캡부
11 : 좌캡부
12 : 우캡부
20 : 베이스부
21 : 제1프레임수용부
22 : 제2프레임수용부
30 : 베이스지지부
31 : 어깨끈
32 지지밴드
40 : 연결부
41 : 압박결합부
42 : 끈결합부
43 : 결합밴드부
50 : 형상유지프레임
51 : 제1형상유지프레임
52 : 제2형상유지프레임
111 : 제1좌캡부
112 : 제2좌캡부
121 : 제1우캡부
122 : 제2우캡부
321 : 좌지지밴드
322 : 우지지밴드1: bra 10: cap part
11: left cap part 12: right cap part
20: base part 21: first frame receiving part
22: second frame receiving part 30: base support part
31:
40: connection part 41: pressure coupling part
42: string coupling part 43: coupling band part
50: shape maintaining frame 51: first shape maintaining frame
52: second shape maintaining frame 111: first left cap part
112: second left cap portion 121: first right cap portion
122: second right cap part 321: left support band
322: Wooji band
Claims (10)
사용자의 유방을 탄성적으로 압박하며 감싸는 한 쌍의 캡부;
상기 한 쌍의 캡부를 둘러싸며 지지하며, 일부 구간에서 소정의 힘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캡부와 분리 가능하며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한 쌍의 캡부와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도록 하는 한 쌍의 어깨끈과,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나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밴드를 갖는 베이스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In a bra,
A pair of caps that elastically compress and wrap the user's breast;
a base part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pair of cap parts, is separable from the pair of cap parts by a predetermined force in some sections, and is formed to maintain a support state with the pair of cap parts in the remaining sections; and
Brass having a pair of shoulder strap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to be hung on the user's shoulder, and a base support portion having a pair of support band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ser's armpit.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캡부의 분리 가능한 연결부분은 상기 한 쌍의 캡부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간격을 갖고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pair of cap portions is cut and formed with a spacing along the edge of the pair of cap portions.
상기 절개된 부분 사이의 연결부분은 상기 한 쌍의 캡부보다 절개지지력이 적어도 약하도록 상기 한 쌍의 캡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3. The method of claim 2,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t-out portions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ir of cap portions so that the cut-off support force is at least weaker than that of the pair of cap portions.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캡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The method of claim 1,
Bra,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art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base part and the pair of cap parts.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캡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유방을 압박하며 결합되는 압박결합부;
상기 한 쌍의 어깨끈 각각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끈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밴드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되는 결합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on part,
a compression coupling par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ap parts to the base part to compress the user's breast;
a pair of string coupling units coupled to each other by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houlder straps; and
Br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band portion coupled by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bands.
상기 한 쌍의 캡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에 지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air of cap parts,
Bra,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are detachably form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nd the portion maintaining the support state.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캡부 각각은,
사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상호 결합되며, 길이가 조절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길이조절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7.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air of caps formed detachably,
A bra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to be supported on a user's shoulder, and has a length-adjustable coupling part that adjusts the length to be coupled to each other.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캡부 각각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캡연결부를 더 갖는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7.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air of cap parts formed to be detachable,
Bra,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ap connecting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유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hape maintaining frame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base por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상유지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캡부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t least one shape maintaining frame,
Br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y supported along the edge of the pair of caps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9679A KR102401784B1 (en) | 2020-04-01 | 2020-04-01 | Brassie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9679A KR102401784B1 (en) | 2020-04-01 | 2020-04-01 | Brassie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22937A true KR20210122937A (en) | 2021-10-13 |
| KR102401784B1 KR102401784B1 (en) | 2022-05-24 |
Family
ID=781150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39679A Active KR102401784B1 (en) | 2020-04-01 | 2020-04-01 | Brassie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01784B1 (en)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39563A (en) * | 2003-11-04 | 2005-06-02 | Wacoal Corp | Brassiere |
| KR20090006381U (en) * | 2007-12-24 | 2009-06-29 | 윤윤외 | Detachable bra with double cup |
| US20130065486A1 (en) * | 2011-09-08 | 2013-03-14 | Doris Hjorth Hansen | Post-operative brassiere |
| US20130122780A1 (en) * | 2010-04-29 | 2013-05-16 | Reenagh McCall | Clothing |
| US20130316616A1 (en) * | 2012-05-22 | 2013-11-28 | Elizabeth Chabner Thompson | Mammography brassiere |
| KR102173342B1 (en) * | 2019-10-14 | 2020-11-0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Brassiere for radiation treatment |
-
2020
- 2020-04-01 KR KR1020200039679A patent/KR1024017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39563A (en) * | 2003-11-04 | 2005-06-02 | Wacoal Corp | Brassiere |
| KR20090006381U (en) * | 2007-12-24 | 2009-06-29 | 윤윤외 | Detachable bra with double cup |
| US20130122780A1 (en) * | 2010-04-29 | 2013-05-16 | Reenagh McCall | Clothing |
| US20130065486A1 (en) * | 2011-09-08 | 2013-03-14 | Doris Hjorth Hansen | Post-operative brassiere |
| US20130316616A1 (en) * | 2012-05-22 | 2013-11-28 | Elizabeth Chabner Thompson | Mammography brassiere |
| KR102173342B1 (en) * | 2019-10-14 | 2020-11-0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Brassiere for radiation treatm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01784B1 (en) | 2022-05-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47157B1 (en) | Clothes combine under wear | |
| EP2931071B1 (en) | Functional brassiere | |
| US8790154B2 (en) | Post-operative compression bra | |
| US12029259B2 (en) | Fused brassiere | |
| KR200492681Y1 (en) | Nude brassiere and women's clothing including the same | |
| KR101957931B1 (en) | Brassiere having elastic force and breathability | |
| KR102401784B1 (en) | Brassiere | |
| US20020102913A1 (en) | Mastectomy brassiere | |
| KR101412249B1 (en) | Brassiere and correction underwear havnig the same | |
| KR101626246B1 (en) | Seamless body correcting underwear for feminine | |
| US20150289571A1 (en) | Brassiere | |
| KR200485000Y1 (en) | Brassiere | |
| EP1859762B1 (en) | Thoracic compression device | |
| CN219332135U (en) | Size-adjustable orthodontic headgear | |
| US2472606A (en) | Brassiere | |
| JP6227941B2 (en) | Clothing with cup | |
| KR200346501Y1 (en) | Brassiere | |
| KR20220018257A (en) | Brassiere for radiation treatment of total mastectomy patient | |
| KR20190001614U (en) | Mask pack | |
| KR101951561B1 (en) | Underwear Having Function of Bust Correction | |
| JP2905463B2 (en) | West Nipper | |
| KR102816208B1 (en) | Functional Underwear for Post-breast Augmentation Surgery | |
| CN214128950U (en) | Waist rehabilitation auxiliary supporting device easy to wear | |
| CN208114042U (en) | Multi-directional compression breast shaper | |
| TWI884005B (en) | Fat plastic positioning cloth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