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3989A -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89A
KR20210123989A KR1020200136941A KR20200136941A KR20210123989A KR 20210123989 A KR20210123989 A KR 20210123989A KR 1020200136941 A KR1020200136941 A KR 1020200136941A KR 20200136941 A KR20200136941 A KR 20200136941A KR 20210123989 A KR20210123989 A KR 2021012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capsule
coating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coating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912B1 (ko
Inventor
김한철
Original Assignee
김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철 filed Critical 김한철
Priority to KR102020013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9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1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a majority of oils, fats, mono/diglycerides, fatty acids, mineral oils, waxes or paraff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연질캡슐로서 소장에서 함유성분을 노출시키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은,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20℃ 내지 24℃의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0분간 배합하는 단계, 배합한 원료가 충진된 연질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연질캡슐 상에 액상의 코팅 물질을 분무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원료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SOFT CAPSULE TYPE FUNCTIONAL HEALTH FOOD}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연질캡슐로서 소장에서 함유성분을 노출시키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tablet), 캡슐(capsule), 환(pill), 과립(granule), 분말(powder), 액상(lipid), 편상(flake), 페이스트상(paste), 시럽(syrup), 겔(gel), 젤리(jelly), 바(bar), 필름(film) 등의 형태로 제조(가공을 포함한다)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원료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로 최종 제품 내에 들어 있는 것을 말하고, 성분은 분리된 단일 물질 또는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단일 물질로 최종 제품내에 들어 있는 것을 말한다.
건강기능식품은 영양소 기능, 생리활성 기능, 및 질병발생위험감소 기능의 기능성 등급을 가진다. 영양소 기능은 비타민 C 등을 사용하여 인체의 성장 증진 및 정상적인 기능에 대한 영양소의 생리적인 작용과 관련된 것을 지칭하고, 생리활성 기능은 루테인이나 코엔자임Q10 등을 사용하여 인체의 정상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특별한 효과가 있어 건강상의 기여나 기능향상 또는 건강유지, 개선을 나타내는 기능을 말하며, 질병발생위험감소 기능은 칼슘이나 비타민 D 등을 사용하여 질병의 발생 또는 건강상태의 위험감소와 관련된 기능을 말한다.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 중 하나인 프로바이오틱스는 장관(腸管)에서 서식하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유익균들을 총칭하며 대표적으로 요거트 발효에 사용되는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을 말한다. 이들은 구강 충치균 저해, 체내 면역체계 조절(항염증반응 촉진, 알러지성 증상 경감 등), 과민성대장증후군 완화, 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스를 분말화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하려고 하는 연구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분말은 빵, 과자, 초콜릿, 크림, 소스, 껌, 음료 등 다양한 식품에 적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강기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재로 유용하며, 액상에 비하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그 자체로 상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분말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분말의 특성을 조절하고, 제조 및 저장 중이나 섭취 시에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율과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973333호(2019.04.2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산균을 함유하고 위(stomach)에서는 제형이 그대로 유지되고 소장에서 함유성분을 노출시키는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은,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20℃ 내지 24℃의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0분간 배합하는 단계, 배합한 원료가 충진된 연질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연질캡슐 상에 액상의 코팅 물질을 온도 55℃ 내지 65℃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분무하여 연질캡슐 용량 500㎎ 당 2㎎ 용량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 HPMC 농도 6~10%, 코팅액 분사량 7.5~15.0g/min 및 흡기 온도 28℃ 내지 40℃의 코팅 조건에서 코팅 물질을 함유한 코팅액을 분무하여 연질캡슐의 표면에 부착시키면서 분사되는 즉시 연질캡슐 표면에 부착되어 가루형태로 건조되도록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코팅액이 분사될 때까지 그리고 연질캡슐 표면에 부착될 때까지 연질캡슐 표면에 균일한 코팅액이 균일하게 붙어 건조되도록 코팅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료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포함한다.
전술한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정제 또는 과립으로서 위(stomach)에는 그대로 남아있고 소장에서 함유성분을 노출시키는 건강기능식품 연질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프로멜로스(hypromellos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를 사용하여 코팅한 장용형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신뢰성과 효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은,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20℃ 내지 24℃의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0분간 배합하고(S11), 배합한 원료가 충진된 연질캡슐을 생성하고(S12), 그리고 연질캡슐 상에 액상의 코팅 물질을 분무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S13) 일련의 공정들을 포함한다.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원료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이루어진 미생물 또는 이를 혼합한 균과 균 또는 배양체를 배양시키기 위한 배지 및 보호제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가령 프로바이오틱스는 적정량을 섭취했을 때 숙주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되며, 독성이 없이 비교적 안전하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만성 위염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를 사멸하거나 억제하는 효과도 뛰어나다. 또한 락토라실러스 플랜타럼 HY7714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과 피부 보습과 관련해 인정을 받았다.
또한, 락토라실러스는 과채유래 유산규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CJLP133(L.plantarum CJLP133)을 포함하며, 이는 락토바실러스 속, 플랜타럼 종의 CJLP133이라는 이름의 균을 뜻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균주에 따라 콜레스트롤 수치 개선, 면역 질환 개선, 장 질환 및 변비나 설사 개선, 아토피 질환 개선, 유당 불내증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진다.
실시예 1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충진된 연질캡슐의 피막은 젤라틴 40%, 글리세린 40%, 정제수 20%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코팅제로는 장용성 기제인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PMC)를 사용하고, 필름 코팅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가소제로는 AMG(acethylated monoglycerid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코팅용매로는 발효주정(95%)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코팅액은 총 중량 500g으로 제조하고, 그 중 고형분이 HPMC의 사용량을 전체 용액의 중량대비 6%, 8%, 10%로 각각 변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용매로는 발효주정과 정제수를 85:15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코팅액의 제조는 발효주정과 정제수 혼합 용매를 균질기(homogenizer)로 교반하면서 HPMC와 AMG를 투입하여 2500rpm에서 한 시간 정도 더 교반하여 균질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준비된 코팅액을 연질캡슐에 분무하여 연질캡슐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코팅층을 위한 코팅액은 500㎎ 용량의 연질캡슐 당 2㎎이 사용되었다.
코팅층의 HPMC 농도, 흡기 온도, 코팅분사 액량이 연질캡슐의 코팅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필름 코팅기(Hi-coater, Freund Corporate)를 사용하였다. HPMC 농도 6, 8, 10%로 각각에 대하여 흡기 온도는 32, 35, 38℃로 각각 조절하고, 코팅분사 액량은 펌프로 7.5, 11.25, 15.0g/min으로 각각 조절하여 코팅층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코팅층의 균일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이온 스퍼터 코팅기(ion suptter coater)로 금이온(gold-ion)을 코팅한 다음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100배율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코팅액의 분사 액량이 코팅 품질을 저하시키는 백색현상을 일으키는데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붕해시험은 건강기능식품공전에 기술되어 있는 붕해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제조된 연질캡슐을 인공위액과 인공장액에 6개씩 넣은 다음, 인공위액은 120분, 인공장액은 60분간 상하운동을 한 다음 관찰하여 연질캡슐의 용해를 관찰하였다. 사용한 인공위액은 염화나트륨 2.0g에 염산 7.0㎖과 물을 넣어 녹여 1L로 제조하였고(pH 1.2), 인공장액은 0.2mol/L 인산이수소칼륨시액 250㎖에 0.2mol/L과 물을 넣어 1L로 제조하였다(pH 6.8).
실험 결과, 백색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연질캡슐의 표면 코팅 시 표면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발효주정과 정제수 혼합 용매를 균질기(homogenizer)로 교반하면서 HPMC와 AMG를 투입하여 2500rpm에서 한 시간 정도 더 교반하여 균질한 코팅액을 제조한 후, 코팅액 분사량 7.5~15.0g/min, 흡기 온도 실온(28℃) 내지 40℃(바람직하게는 32~38℃), HPMC 농도 6~10%(바람직하게는 6~8%)의 코팅 조건에서 코팅액을 분무하여 연질캡슐의 표면에 부착시키면서 분사되는 즉시 가루형태로 건조되어 연질캡슐 표면에 부착되도록 에어 스프레이(air spray)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코팅액이 분사될 때까지 혹은 연질캡슐 표면에 부착될 때까지 연질캡슐 표면에 균일한 코팅액이 균일하게 붙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측량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상대습도 65% 이하, 온도 20℃ 내지 24℃의 분위기에서 30분 내지 50분간 배합하는 단계;
    배합한 원료가 충진된 연질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질캡슐 상에 액상의 코팅 물질을 분무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 물질은 지방, 지방산, 왁스, 쉘락,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연질캡슐의 피막은 젤라틴 40%, 글리세린 40%, 정제수 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팅 물질은 HPMC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 HPMC 농도 6~8%, 코팅액 분사량 7.5~15.0g/min 및 흡기 온도 32℃ 내지 38℃의 코팅 조건에서 상기 코팅 물질을 함유한 코팅액을 분무하여 상기 연질캡슐의 표면에 부착시키면서 분사되는 즉시 연질캡슐 표면에 부착되어 가루형태로 건조되도록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상기 코팅액이 분사될 때까지 그리고 상기 연질캡슐 표면에 부착될 때까지 상기 연질캡슐 표면에 균일한 코팅액이 균일하게 붙어 건조되도록 코팅 환경을 유지하며,
    상기 코팅액은, 발효주정과 정제수를 85:1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균질기(homogenizer)로 교반한 후, HPMC와 AMG(acethylated monoglyceride)를 투입하고 2500rpm에서 한 시간을 더 교반하여 제조하고,
    상기 코팅액은 500mg 용량의 상기 연질캡슐 당 2mg을 사용하며,
    상기 원료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0200136941A 2020-04-06 2020-10-21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Active KR10248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941A KR102483912B1 (ko) 2020-04-06 2020-10-21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403 2020-04-06
KR1020200136941A KR102483912B1 (ko) 2020-04-06 2020-10-21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403 Division 2020-04-06 2020-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89A true KR20210123989A (ko) 2021-10-14
KR102483912B1 KR102483912B1 (ko) 2023-01-04

Family

ID=7815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941A Active KR102483912B1 (ko) 2020-04-06 2020-10-21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9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168B1 (ko) 2021-12-02 2022-07-13 체르엠(주) 다이어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4572B1 (ko) 2022-03-22 2022-11-10 대한켐텍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 캡슐제
CN118697050A (zh) * 2024-07-02 2024-09-27 广东润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降血脂鱼油软胶囊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78A (ko) * 2001-01-31 2002-08-07 전홍렬 장용성 유산균 미세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93985A (ko) * 2004-03-17 2005-09-26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판토프라졸 함유 경질 캡슐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0111A (ko) * 2011-12-19 2013-06-27 한미약품 주식회사 고농축 락토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74252A (ko) * 2013-12-23 2015-07-02 고려은단주식회사 직타법을 이용한 비타민c 정제 제조시의 비타민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혼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1973333B1 (ko) 2016-08-12 2019-04-29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78A (ko) * 2001-01-31 2002-08-07 전홍렬 장용성 유산균 미세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93985A (ko) * 2004-03-17 2005-09-26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판토프라졸 함유 경질 캡슐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0111A (ko) * 2011-12-19 2013-06-27 한미약품 주식회사 고농축 락토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74252A (ko) * 2013-12-23 2015-07-02 고려은단주식회사 직타법을 이용한 비타민c 정제 제조시의 비타민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혼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1973333B1 (ko) 2016-08-12 2019-04-29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168B1 (ko) 2021-12-02 2022-07-13 체르엠(주) 다이어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4572B1 (ko) 2022-03-22 2022-11-10 대한켐텍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 캡슐제
CN118697050A (zh) * 2024-07-02 2024-09-27 广东润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降血脂鱼油软胶囊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912B1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245B1 (ko) 유산균의안정화를위한미세장용성코팅과립
JP6677723B2 (ja) 腸溶性被覆機能性食品成分及び腸溶性被覆機能性食品成分の製造方法
KR102483912B1 (ko) 연질캡슐형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US8697126B2 (en) Compositions for enternal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US20040175389A1 (en) Formulations to increase in vivo survival of probiotic bacteria and extend their shelf-life
JP5070043B2 (ja) プロバイオティックバクテリアを含む経口投与剤
CN109451727A (zh) 益生菌和消化酶的组合物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378974B1 (ko) 고농축 락토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장용성 캡슐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TWI584824B (zh) A capsule for delivery to a large intestin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as et al. Microencapsulation of probiotic bacteria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food technology
US20210186887A1 (en) Moisture resistant probiotic granul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ES2300546T3 (es) Polvo de bacterias del acido lactico doblemente recubiertas usando proteina y polisacarido y metodo de preparacion del mismo y forma farmaceutica del mismo.
TW200938214A (en) Agent for reducing intestinal toxic bacterium and food 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the same
CA2324364A1 (en) Starch capsules containing microorganisms and/or polypeptides or protein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m
KR20020063978A (ko) 장용성 유산균 미세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499704B2 (ja) 保存安定性と、耐胃液分解安定性を付与したプロバイオティクス組成物
CN117256859A (zh) 包含活益生菌的饮料和使用的多层滴丸
JP2024144218A (ja) ビフィズス菌含有組成物
JP6457963B2 (ja) 大腸デリバリーカプセル製剤
WO2021152869A1 (ja) 腸溶性組成物、該腸溶性組成物を含む飲食品、該腸溶性組成物の崩壊時間を制御する方法、及び該腸溶性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3231017A (ja) 大腸デリバリーシームレスカプセル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115494A1 (en) Encapsulated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 affecting satiety
KR102163637B1 (ko)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167931B1 (ko)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JP7740652B2 (ja) 腸溶性固形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9-X000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