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832A -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6832A KR20210126832A KR1020200044246A KR20200044246A KR20210126832A KR 20210126832 A KR20210126832 A KR 20210126832A KR 1020200044246 A KR1020200044246 A KR 1020200044246A KR 20200044246 A KR20200044246 A KR 20200044246A KR 20210126832 A KR20210126832 A KR 202101268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ation
- function
- patient
- information
- medic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복용할 의약품을 보관하고 환자의 복약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의약품 냉장고, 의약품 냉장고와 상호 연동하고 의약품 냉장고로부터 복약정보를 수신하거나 복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관제서버부, 의약품 냉장고 및 관제서버부와 상호 연동하고 복약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관제서버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상호 연동하고 환자의 응급상황 시 복약정보를 수신하는 병원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refrigerator that stores medicines to be taken by a patient and generates and stores medicine information for a patient, a control server unit that interworks with a medicine refrigerator and receives medicine information from the medicine refrigerator or checks medicine information in real time, a medicine refrigerator and a user terminal and control server that interoperate with the control server and receive medication information, and a hospital control unit that interoperates with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medication inform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of a patient.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약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원이나 자가 치료를 받는 환자의 복약을 지도 및 관리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g management system for instructing and managing the medication of a patient receiving outpatient or self-treatment.
병원 및 요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의사와 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정상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지만, 통원 및 자가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복약지도 및 관리를 받을 수 없어서 환자 스스로 또는 가족의 도움을 받아 복약을 해야 한다.If you are admitted to hospitals and nursing homes and receive treatment, you can receive normal management with the help of doctors and nurses. should do
이때, 복약 시간을 놓치거나 거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환자의 치료가 늦어지거나 심하면 악화되는 상황이 발생한다.At this time, as the case of missing or skipping the medication time frequently occurs, the patient's treatment is delayed or worsened in severe cases.
특히, 유아, 어린이, 노약자가 있는 가정의 경우에는 병원, 의원 및 약국이 문을 닫는 시간을 대비하여 응급용으로 상비약을 준비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amilies with infants, children, and the elderly, emergency medicines are prepared in case hospitals, clinics and pharmacies are closed.
가정용 상비약은 보관하기 위한 일정 온도 이하 유지, 햇볕 차광 및 노약자 및 통원, 자가 치료자 복용 약품의 보관 및 상태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It is very important to keep under a certain temperature for storage, block sunlight and the elderly and the infirm, and to store and maintain the state of self-medicating medications.
예시적으로 유아, 어린이용 시럽 및 항생제, 유산균제는 특정한 온도에서 유지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Illustratively, most of the syrups, antibiotics, and lactic acid bacteria for infants and children can be effective only by maintaining them at a specific temperature.
그러나, 상기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연구개발이나 실제품들은 양산되지 않아 의약품들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research and development or actual products that meet the above social needs are not mass-produced, so a system for separately storing medicines is required.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7566호(2019.05.08.)(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7566 (2019.05.08.)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0749688호(2007.08.09.)(Patent Document 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49688 (2007.08.09.)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복약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환자의 보호자와 해당병원의 병원관제부로 연락을 취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rug management system that checks the patient's medication status in real time and promptly contacts the patient's guardian and the hospital control department of the hospital in case of an emergenc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환자가 복용할 의약품을 보관하고 상기 환자의 복약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의약품 냉장고; 상기 의약품 냉장고와 상호 연동하고 상기 의약품 냉장고로부터 상기 복약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복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관제서버부; 상기 의약품 냉장고 및 상기 관제서버부와 상호 연동하고 상기 복약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제서버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호 연동하고 상기 환자의 응급상황 시 상기 복약정보를 수신하는 병원관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통원치료 및 자가치료를 위한 온라인(ON-Line) 기능 및 오프라인(OFF-Line)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환자의 복약을 관리 및 지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dicine refrigerator for storing medicines to be taken by the patient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medicine information of the patient; a control server unit interworking with the medicine refrigerator and receiv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dicine refrigerator or check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medicin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server unit and receiv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a hospital control unit that interworks with the control server unit and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of the patient; including, an ON-Line function for outpatient treatment and self-treatment of the patient And it provides a dru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offline (OFF-Line) function to manage and guide the medication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터치스크린 및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에 의해 복약 지시사항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응급 호출 기능, 복약 알림 기능 및 기본 기능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refrigerator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configured with a touch screen and buttons to receive medication instructions by the patient or a guardian of the patient, wherein the touch screen unit includes an emergency call fun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et a medication reminder function and a basic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알림 기능은 복약 알림, 알림 화면 및 횟수, 알림 기능 차단 방법 및 의약품별 유통기간 경과 알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may include a medication notification, a notification screen and number of times, a method of blocking a notification function, and a notification of the elapse of a distribution period for each med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상기 복약 알림 기능 및 상기 기본 기능이 설정에 따라 동작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operates according to settings of the med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the basic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상기 관제서버부와 상호 연동시키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및 모뎀(Mod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server unit, and the interface unit connects at least one of Ethernet, Wi-Fi, and Modem.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상기 응급 호출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정보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복약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병원관제부로 전송하는 응급대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response unit that transmits the med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hospital control unit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is set.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약 지시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복약 알림 기능 및 상기 기본 기능을 설정하며, 상기 환자의 상기 복약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환자의 상기 복약 상태를 관리 및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line function inputs the medication instructions using the touch screen unit, sets the medication reminder function and the basic function, checks whether the patient is taking the medication, and the patient It may be characterized by managing and checking the medication status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능은 상기 오프라인 기능을 포함하는 제1 온라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라인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복약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환자에 의해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연락을 취하는 상기 응급 호출 기능이 지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복약정보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function includes a first online function including the offline function, and the first online function inputs a number of the user terminal, checks the medication status, and the patient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pressed, the emergency call function of making a contact with the user terminal is supported,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o check the medication information using an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기능은 상기 제1 온라인 기능을 포함하는 제2 온라인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라인 기능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 냉장고와 연동하여 상기 복약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응급 호출 기능이 동작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병원관제부로 연락을 취하며, 상기 환자의 복약 및 검진 일자를 알려주며, 상기 복약정보를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가공된 복약정보를 상기 환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개인정보활용 동의 후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며, 일괄 광고 및 맞춤형 멀티 광고 중 어느 하나로 광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func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online function including the first online function, and the second online function uses the interface unit to interwork with the medicine refrigerator to receive the medication information. Whe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operates, the user terminal and the hospital control unit are contacted, and the patient's medication and examination date are notified, and the med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using the big data collected from the medication information is recalled. It may be provided to patients and the user terminal, used as marketing materials after consent to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may be advertised as either a batch advertisement or a customized multi advertisement.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환자의 복약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의 보호자와 해당병원의 병원관제부로 연락을 취하여 병원 관계자와 보호자가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the patient's medication status is checked in real time and, in case of an emergency, the patient's guardian and the hospital control department of the hospital are contacted so that the hospital personnel and the guardian can respond quickly to the emergency situation. ca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관리 시스템의 의약품 냉장고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ru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dicine refrigerator of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ru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관리 시스템의 의약품 냉장고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dicine refrigerator of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관리시스템(500)은 의약품 냉장고(100), 관제서버부(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병원관제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통원치료 및 자가치료를 위한 온라인(ON-Line) 기능 및 오프라인(OFF-Line)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환자의 복약을 관리 및 지도한다.The
의약품 냉장고(100)는 환자가 복용할 의약품을 보관하고 상기 환자의 복약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를 위한 의약품 냉장고(100)는 중앙처리장치(CPU), 플래시 메모리, SDRAM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의약품 냉장고(100)는 터치스크린부(110), 정보처리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및 응급대응부(140)를 포함한다.The
터치스크린부(110)는 터치스크린 및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에 의해 복약 지시사항이 입력된다. 복약 지시사항은 터치스크린 및 버튼을 이용하여 메뉴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터치스크린부(110)는 TFT LCD와 터치스크린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The
터치스크린부(110)는 응급 호출 기능, 복약 알림 기능 및 기본 기능의 설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복약 알림 기능은 복약 알림(음성 멘트), 알림 화면 및 횟수(복약시간, 횟수), 알림 기능 차단 방법(문 열림 자동감지, 버튼 조작 등) 및 의약품별 유통기간 경과 알림(화면, 음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만약, 응급 상황이 발생되어 환자가 “긴급 호출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연락되고, 해당병원의 병원관제부(400) 등 연락처가 2개 이상이 경우에도 순차적으로 연락된다.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the patient presses the “emergency call button”, the entered guardian's
또한, 기본 기능은 관리용 비밀번호 지정, 알림 기능 온오프(on/off), 유통기간 입력 및 문 열림 점검을 포함한다.In addition, basic functions include password designation for management, notification function on/off, expiration date input, and door opening check.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부(110)는 복약 지침, 알림(화면 및 음성), 사용자 단말기(300), 해당병원의 연락처 및 관제서버부(200)의 IP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치는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환자가 응급함을 사용자 단말기(300)와 병원관제부(400)로 알림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부(110)에는 터치 기능이 고장나거나 조작이 미숙할 경우를 대비하여 메뉴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기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아울러, 터치스크린부(110)는 입력된 음성으로 복약 지도 및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사운드, 보호자 핸드폰 및 해당병원의 병원관제부(400) 및 관제서버부(200)로 연락을 취하는 긴급 호출 버튼 및 자동으로 터치 위치 보정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보정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정보처리부(120)는 복약 알림 기능 및 기본 기능이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동작한다.The
우선, 정보처리부(120)는 복약이 확인되면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화를 걸어 “복약 완료”메시지를 전달한다. “복약 완료”메시지는 프로그램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하며, 터치나 버튼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복약기록의 정보도 함께 발송된다.First, the
인터페이스부(130)는 관제서버부(200)와 상호 연동시킨다.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및 모뎀(Mod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더넷은 온라인으로 사용자 단말기(300), 관제서버부(200)와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고, 와이파이는 무선으로 온라인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한다.Ethernet i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또한, 모뎀은 이더넷이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온라인 기능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오프라인일 때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SB와 확장용 시리얼 2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modem can be used for online functions in case Ethernet is not available. Additionally, the
응급대응부(140)는 응급 호출 기능이 설정되면 정보처리부(120)를 통하여 복약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 및 병원관제부(400)로 전송한다.Whe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is set, the
관제서버부(200)는 의약품 냉장고(100)와 상호 연동하고 의약품 냉장고(100)로부터 복약정보를 수신하거나 복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관제서버부(200)는 이더넷, 와이파이, 모뎀 통신망으로 의약품 냉장고와 연동되어 복약 상태, 정보, 환자 관리 기능(복약 정보를 받을 수도 있지만 실시간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및 응급 호출 기능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관제서버부(200)는 호출을 받으면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해당 병원의 병원관제부(400)에 알려서 주변의 관계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또한, 관제서버부(200)는 복약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복약정보, 의료정보 및 복약기록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류하여 전송하기 위한 관제서버부(200)는 복약 기간, 시간, 인원, 습관 등의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제공하고 마케팅 자료로 활용한다(신약, 의료기, 전문병원 소개 등 - 개인정보활용 동의 후 진행).The
추가적으로 관제서버부(200)는 수집된 회원정보를 이용한 일괄 광고 및 맞춤형 멀티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일괄광고는 신제품 소개 등 서버에서 의약품 냉장고로 전송되는 광고이고, 맞춤형 멀티 광고는 각 회원들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고혈압-혈압약, 염증-항생제, 눈-안약 등 회원의 상태에 맞는 광고를 서버에서 분배하여 전송한다.Additionally, the
사용자 단말기(300)는 의약품 냉장고(100) 및 관제서버부(200)와 상호 연동하고 복약정보를 수신한다.The
기간, 인원, 약품별 복약 내용을 전송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You can receive the medication information for each period, number of people, and medication and check it through the application.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약과 관련된 의료 데이터(예를 들어 복약정보 및 복약기록 등)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는 보호자가 일정 용량의 데이터를 복약 기간, 인원, 약품의 종류 및 습관 등을 분류한 가공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병원관제부(400)는 관제서버부(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호 연동하고 환자의 응급상황 시 복약정보를 수신한다.The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복약을 위하여 의약품 냉장고 문을 열고 닫으면(1~2회) 감지하여 복약을 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감지 방법은 별도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복약 완료로 인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of the medicine refrigerator is opened and closed (1 or 2 times) for taking the medicine, it is detected and determined that the medicine has been taken. At this time, the detection method recognizes that the medication is completed when a separate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퇴근(복귀)하거나, 관리자가 일정 기간 단위로 방문하였을 때 환자가 정상적으로 복약을 하였는지를 LCD 화면을 통하여 확인하는데 이때, 복약기록의 일시/횟수 등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rough the LCD screen whether the patient has taken medication normally when the guardian goes home (returns) or when the manager visi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관리 데이터의 확인은 보호자가 별도로 지정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데이터는 USB로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management data can be checked using a password designated separately by the guardian, and the data can also be saved and managed via USB.
아울러, 본 발명은 통원치료 및 자가치료 환자의 복약을 관리/지도하여 치료를 돕는 복약 지도 관리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비상시 응급 호출 기능(보호자와 해당 병원으로 연락)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dication guidance management function that helps the treatment by managing/instructing the medication of outpatient treatment and self-treatment patients, and performs an emergency call function (contact the guardian and the corresponding hospital) in case of an emergency.
이하, 전술한 바를 토대로 온라인(ON-Line) 기능 및 오프라인(OFF-Line)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N-Line function and an OFF-Line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오프라인 기능은 터치스크린부(110)를 이용하여 복약 지시사항을 입력하고, 복약 알림 기능 및 기본 기능을 설정하며, 환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의 복약 상태를 관리 및 점검한다.The offline function uses the
더욱 상세하게, 복약 지시사항의 경우, 복약지시 사항을 터치스크린 및 버튼을 이용하여 메뉴방식으로 입력하고, 2명 이상일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입력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edication instructions, the medication instructions are input in a menu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nd buttons, and sequentially input in the same way even if there are two or more people.
다음, 복약 알림 기능의 경우, 복약 알림 사운드 설정(음성 멘트), 알림 화면 및 횟수 설정(복약시간, 횟수), 알림 기능 OFF 방법 설정(문 열림 자동감지, 버튼 조작 등), 의약품별 유통기간 경과 알림 설정(화면, 음성)을 수행할 수 있다.Next, in the case of med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medication notification sound setting (voice message), notification screen and frequency setting (medication time, number of times), notification function OFF method setting (automatic door open detection, button operation, etc.), expiration date elapsed by drug You can configure notification settings (screen, voice).
다음, 기본 기능의 경우, 관리용 비밀번호를 지정, 알림 기능 온오프(ON/OFF), 유통기간 입력 및 문 열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Next, in the case of basic functions,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password for management, to turn on/off the notification function, to input the expiration date, and to check the door opening.
마지막으로, 환자의 복약 여부의 경우, 복약을 위하여 의약품 냉장고(100) 문을 열고 닫으면(1~2회) 이를 감지하여 복약을 했다고 판단한다. 이때, 복약 감지는 별도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복약 완료인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한다.Finally, in the case of whether the patient is taking medication, when the door of the
한편, 온라인 기능은 오프라인 기능을 포함하는 제1 온라인 기능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online function includes a first online function including an offline function.
상기한 제1 온라인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번호를 입력하고, 복약 상태를 확인하며, 환자에 의해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면 사용자 단말기(300)로 연락을 취하는 응급 호출 기능이 지원되고, 사용자 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복약정보를 확인하도록 지원한다.In the first online function, an emergency call function of inputting the number of the
더욱 상세하게,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의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터치스크린 및 버튼을 이용하여 메뉴방식으로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 번호가 2개 이상일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입력한다.More specifically, when inputting the number of the
다음, 복약 상태의 경우, 복약이 확인되면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화를 걸어 “복약 완료”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메시지는 프로그램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하며, 터치나 버튼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복약기록의 정보도 함께 발송되며 더불어 기간, 인원 및 약품별 복약 내용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Next, in the case of the medication state, when the medication is confirmed, a call is made to the
다음, 응급 호출의 경우, 응급 상황이 발생되어 환자가 “긴급 호출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보호자 핸드폰으로 연락된다. 또한, 해당병원의 연락처가 2개 이상일 경우에도 순차적으로 연락된다.Next, in the case of an emergency cal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the patient presses the “emergency call button”, the entered guardian's cell phone is contacted. Also, if there are more than two contact numbers for the hospital, they will be contacted sequentially.
마지막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복약과 관련된 의료 데이터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일정 용량의 데이터를 복약 기간, 인원, 약품의 종류 및 습관 등을 분류한 가공된 정보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의 확인은 양방향 통신 기능으로 다양한 정보를 통해 송수신함에 따라 구현된다.Finally, when using the application, medical data related to medication can be checked in detail. In addition, the guardian may check the data of a certain amount in the
다른 한편, 온라인 기능은 제1 온라인 기능을 포함하는 제2 온라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line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nline function including the first online function.
제2 온라인 기능은 인터페이스부(130)를 이용하여 의약품 냉장고와 연동하여 복약정보를 확인하고, 응급 호출 기능이 동작하면 사용자 단말기(300)와 병원관제부(400)로 연락을 취하며, 환자의 복약 및 검진 일자를 알려주며, 복약정보를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가공된 복약정보를 환자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개인정보활용 동의 후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며, 일괄 광고 및 맞춤형 멀티 광고 중 어느 하나로 광고한다.The second online function uses the
더욱 상세하게, 관제서버부의 경우,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및 모뎀(Mod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상호 연동함에 따라 복약 상태, 정보, 환자 관리 기능(복약정보를 받을 수도 있지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을 수행하고, 호출을 받으면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해당병원의 병원관제부(400)에 알림에 따라 주변의 관계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및 관련 정보의 온라인 업데이트는 물론 환자의 복약 및 정기, 예약 검진 일자를 알려주고 관리한다(병원검진 확인). 아울러, 복약, 관련 의료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control server unit, the medication status, information, patient management function ( Med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but can also be checked in real time), and when a call is received, the person concerned can quickly respond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to the
다음, 빅데이터 활용의 경우, 복약 기간, 시간, 인원, 습관 등의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제공하고, 마케팅 자료로 활용한다. 이때, 마케팅 자료는 개인정보활용 동의 후 신약, 의료기, 전문병원에 소개될 수 있다.Next, in the case of using big data, information such as medication period, time, number of people, and habits is collected and processed, provided to patients and guardians, and used as marketing materials. In this case, marketing materials may be introduced to new drugs, medical devices, and specialized hospitals after consent to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마지막으로 수집된 회원정보를 이용한 광고의 경우, 신약, 신제품 소개 등 서버에서 의약품 냉장고로 광고 전송하는 일괄 광고 및 각 회원들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고혈압-혈압약/염증-항생제, 눈-안약 등 회원의 상태에 맞는 광고를 서버에서 분배하여 전송하는 맞춤형 멀티 광고를 할 수 있다. Lastly, in the case of advertisements using the collected member information, a batch advertisement is sent from the server to the medicine refrigerator, such as introducing new drugs and new products, and each member is divided into groups to provide high blood pressure-high blood pressure medicines/inflammation-antibiotics, eye drops, etc. Customized multi-advertisements can be made by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dvertisements suitable for the status from the server.
이하, 전술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의 판매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ale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우선 판매방법으로 첫째, 의료용 냉장고의 온오프 기능으로 우선 판매하고, 온라인으로 확장한다.First of all, it is first sold through the on-off function of medical refrigerators, and then expanded online.
둘째, 의료용 냉장고의 오프라인 기능과 제1 온라인 기능을 구현하되, 이후 분배서버와 연동하여 제2 온라인 기능으로 확장한다.Second, the offline function and the first online function of the medical refrigerator are implemented, and then expanded to the second online func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distribution server.
셋째, 판매는 대여 및 할부 판매도 가능하도록 한다.Third, the sale makes rental and installment sales possible.
상기한 바를 토대로 제2 온라인 기능을 구현하여 양방향 정보 교환 및 다양한 서비스의 확장이 가능하다.Based on the above, by implementing the second online function, it is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in a two-way manner and to expand various services.
예시적으로 유무상으로 가입된 회원들의 빅데이터(개인, 의료정보)를 가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venue by processing big data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of members who have signed up for free or free.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최초 가입비(월 5,000원)을 받고 회원들에게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월 2,000~3,000원의 정액 사용료를 받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회원들에게 무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제품의 광고 및 가공한 의료정보의 제공(판매) 방법, 정보를 제공 받는 관련 업체와의 월정액 및 사용량에 따른 계약 방법 및 분배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들이 이용할 때, 부분 유료화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Specific methods include a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to members after receiving an initial subscription fee (KRW 5,000 per month),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with a flat fee of KRW 2,000 to KRW 3,000 per month,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members free of charge and providing related products of advertisements and the method of providing (selling) processed medical information, the method of contracting according to the monthly amount and usage with related companies receiving the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t a partial fee when accessing the distribution server and using it by members can be appli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약품 냉장고
110: 터치스크린부
120: 정보처리부
130: 인터페이스부
140: 응급대응부
200: 관제서버부
300: 사용자 단말기
400: 병원관제부
500: 의약품 관리시스템100: medicine refrigerator
110: touch screen unit
12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interface unit
140: emergency response department
200: control server unit
300: user terminal
400: hospital control department
500: drug management system
Claims (9)
상기 의약품 냉장고와 상호 연동하고 상기 의약품 냉장고로부터 상기 복약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복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관제서버부;
상기 의약품 냉장고 및 상기 관제서버부와 상호 연동하고 상기 복약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관제서버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호 연동하고 상기 환자의 응급상황 시 상기 복약정보를 수신하는 병원관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통원치료 및 자가치료를 위한 온라인(ON-Line) 기능 및 오프라인(OFF-Line)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환자의 복약을 관리 및 지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a medicine refrigerator for storing medicines to be taken by the patient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patient's medication information;
a control server unit interworking with the medicine refrigerator and receiv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dicine refrigerator or check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medicin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server unit and receiv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A hospital control unit that interworks with the control server unit and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of the patient;
A dru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lecting at least one of an ON-Line function and an OFF-Line function for outpatient treatment and self-treatment of the patient to manage and guide the medication of the patient.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터치스크린 및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에 의해 복약 지시사항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응급 호출 기능, 복약 알림 기능 및 기본 기능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ine refrigerator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composed of a touch screen and buttons to receive medication instructions by the patient or a guardian of the patient;
The touch screen unit is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et the emergency call function, med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basic functions.
상기 복약 알림 기능은 복약 알림, 알림 화면 및 횟수, 알림 기능 차단 방법 및 의약품별 유통기간 경과 알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ed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is a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edication medication notification, a notification screen and number of times, a method of blocking the notification function, and a notification of the elapsed shelf life of each drug.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상기 복약 알림 기능 및 상기 기본 기능이 설정에 따라 동작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in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med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the basic function.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상기 관제서버부와 상호 연동시키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및 모뎀(Mod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edicin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server unit;
The interface unit is Ethernet (Ethernet), Wi-Fi (WiFi) and a modem (Modem) medicin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상기 의약품 냉장고는 상기 응급 호출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정보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복약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병원관제부로 전송하는 응급대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edicin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response unit that transmits the med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hospital control unit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is set.
상기 오프라인 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약 지시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복약 알림 기능 및 상기 기본 기능을 설정하며, 상기 환자의 상기 복약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환자의 상기 복약 상태를 관리 및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2 to 5,
The offline function inputs the medication instructions using the touch screen unit, sets the med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the basic function, checks whether the patient has taken the medication, and manages and checks the medication status of the patient Dru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온라인 기능은 상기 오프라인 기능을 포함하는 제1 온라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라인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복약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환자에 의해 긴급 호출 버튼이 눌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연락을 취하는 상기 응급 호출 기능이 지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복약정보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nline function includes a first online function including the offline function,
The first online function supports the emergency call function of inputting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checking the medication status, and making a contact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pressed by the patient, the user terminal Medicin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ing to check the med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application.
상기 온라인 기능은 상기 제1 온라인 기능을 포함하는 제2 온라인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라인 기능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의약품 냉장고와 연동하여 상기 복약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응급 호출 기능이 동작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병원관제부로 연락을 취하며, 상기 환자의 복약 및 검진 일자를 알려주며, 상기 복약정보를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가공된 복약정보를 상기 환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개인정보활용 동의 후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며, 일괄 광고 및 맞춤형 멀티 광고 중 어느 하나로 광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관리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8,
The online func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online function including the first online function,
The second online function checks the medication inform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medicine refrigerator using the interface unit, contacts the user terminal and the hospital control unit whe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operates, and takes medication and check-up of the patient It informs the date, and provides the processed medication information to the patient and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big data that collects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uses it as marketing data after consenting to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Medicin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dvert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4246A KR102511794B1 (en) | 2020-04-10 | 2020-04-10 |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4246A KR102511794B1 (en) | 2020-04-10 | 2020-04-10 |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26832A true KR20210126832A (en) | 2021-10-21 |
| KR102511794B1 KR102511794B1 (en) | 2023-03-22 |
Family
ID=7826906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44246A Active KR102511794B1 (en) | 2020-04-10 | 2020-04-10 |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11794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77319B1 (en) * | 2010-05-06 | 2010-08-23 | 주식회사 에스와이메디케어 | First aid kit |
| KR20120007267A (en) * | 2010-07-14 | 2012-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dication Box and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
| KR20190047566A (en) * | 2017-10-27 | 2019-05-08 |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 Smart medicine storage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for medication counseling using same |
-
2020
- 2020-04-10 KR KR1020200044246A patent/KR1025117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77319B1 (en) * | 2010-05-06 | 2010-08-23 | 주식회사 에스와이메디케어 | First aid kit |
| KR20120007267A (en) * | 2010-07-14 | 2012-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dication Box and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
| KR20190047566A (en) * | 2017-10-27 | 2019-05-08 |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 Smart medicine storage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for medication counseling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11794B1 (en) | 2023-03-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vans et al. | Remote health monitoring for older adults and those with heart failure: adherence and system usability | |
| US20090134181A1 (en) | Medication dispenser with automatic refill | |
| JP5689617B2 (en) | Physician instr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
| US20090259493A1 (en) | Mobile health book | |
| WO2007001784A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ly enabling personal independence | |
| US20140219064A1 (en) | Medical apparatus for data storage | |
| WO2006004852A2 (en) | Bi-directional messaging in health care | |
| US20120166210A1 (en) | Living assistance system | |
| JP5998269B1 (en) | Medication support system | |
| US10950333B2 (en) | Medication management | |
| US2008025587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linical notifications | |
| US20200202387A1 (en) | Remote prompting infrastructure | |
| KR20200003078A (en) |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device of prescribed device or service | |
| US10304563B1 (en) | Medication management | |
| JP2023133229A (en) | Commodity recommend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 TW200426656A (en) | Separation of validated information and functions in a healthcare system | |
| WO200100643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scription drug compliance | |
| KR102511794B1 (en) |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 |
| US2012006599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the communication of health related information and products to a registered user of a pharmacy | |
| Orlov | Technology for aging in place | |
| Theng et al. | CuePBox: an integrated physical and virtual pillbox for patient care | |
| WO2006126556A1 (en) |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ing device | |
| Colbert et al. | Bridging health disparities with culturally competent technology | |
| Ismail et al. | Improving adherence to medication in an intelligent environment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
| WO2020195597A1 (en) | Medication administration status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