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8193A -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193A
KR20210128193A KR1020200046089A KR20200046089A KR20210128193A KR 20210128193 A KR20210128193 A KR 20210128193A KR 1020200046089 A KR1020200046089 A KR 1020200046089A KR 20200046089 A KR20200046089 A KR 20200046089A KR 20210128193 A KR20210128193 A KR 20210128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iris
image
us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텍
Priority to KR102020004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193A/en
Publication of KR2021012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19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06K9/00221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2Edge-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41Eye; Retina; Ophthalmic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The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es: a face scanning device for checking an iris of a registered user; switchgear for sounding an alarm in case of an abnormal use; a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a remote door device for receiving the fact whether a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operating the door; and a database for storing visitor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a user or administrator. Therefore, an identification system for all employees can be unified and efficient access management for visitors and permanent staff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얼굴인식 및 홍채인식을 통해 별도의 카드 및 키 분실, 손망실 가능성이 없고, 얼굴의 특징점 검증을 통해 높은 보안성 제공하며, 비접촉식 방식으로 매우 위생적이며 편의성 제공되며, 비등록 사용자가 사용시 얼굴 이미지 저장으로 사후 추적이 가능한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ss or loss of a separate card and key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and provides high security through facial feature point verification, , It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system that is very hygienic and convenient in a non-contact way, and enables face recognition that can be traced after a face image is stored when used by non-registered users.

현대사회의 전자화와 오픈 네트워크화에 따라 본인 인증을 필요로 하는 기회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첨부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기술변화는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를 활용하던 1세대에서 지식기반 즉 RFID카드, 비밀번호, 디지털도어각의 2세대로 변화하지만, 패스워드나 카드 방식으로 인증절차를 할 경우 카드분실이나 위조의 위험성이 있으며 도어락의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되는 반면 보안 통제 레벨이 강화되고 있어 3세대 바이오 매트릭 기술을 이용한 접촉식 도어락 기술이 비접촉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인체의 고유 생체 특징을 이용한 도어락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With the digitalization and open networks of modern society, the opportunities that require personal authentication are increasing. As shown in attached 1, the change in door lock technology changes from the first generation that used a door with a key to the second generation of knowledge-based, that is, RFID card, password, and digital door angle. There is a risk of card loss or counterfeiting, and in the case of door locks,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while the security control level is being strengthened. That is, door lock technology using the unique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is emerging.

바이오매트릭을 이용한 3세대 도어락 기술은 현재까지 지문이나 정맥, 장문, 홍채, 망막, 체취, 이도 등 다양한 특징을 사용하여 인증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높은 비용 대비 도용의 위험이 있으며, 접촉식의 경우 질병의 전염 또는 느린속도나 높은 실패율로 불편함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As for the third-generation door lock technology using biometrics, authentication methods using various features such as fingerprints, veins, palm prints, iris, retina, body odor, and ear canal have been proposed so far, but there is a high risk of theft compared to the high cost.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inconveniences due to the transmission of diseases or the slow rate or high failure rate.

보다 세부적으로 생체인식의 바이오매트릭 기술을 이용한 지문기술을 이용한 도어락의 경우 개인의 지문정보를 인체인식의 기준으로 삼는 기술로서 지문은 손가락 끝에 땀샘이 융기되어 형성된 손가락무늬를 말하며 그 모양이 사람마다 다르고 평생동안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본인 인증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디지털 도어록(Door Lock)의 경우 동사무소, 은행, 사무소 등에서 본인 인증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문인식기술은 필요로 하는 데이터 양이 다른 인식기술에 비해 적어,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체인식기술이지만 지문이 닳거나 노화, 질병에 따라 손가락 무늬가 약해지거나 없어지는 경우로 인한 오인식의 가능성 있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a door lock using fingerprint technology using biometric technology of biometric recognition, it is a technology that uses personal fingerprint information as a standard for human recognition. As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change throughout life, it is used for identity authentication. Currently, digital door locks are widely used for identity authentication in city offices, banks, and offices. However, the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requires less data than other recognition technologies, so it is the most popular human body recognition technology, but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recognition due to the wear of the fingerprint or the weakening or disappearing of the finger pattern due to aging or disease. have.

보다 진보된 방법으로 정맥인식기술을 이용한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이는 손등(바닥)이나 손가락의 정맥을 인식하는 기술로서, LED조명에서 투사된 적외선이 근육이나 뼈 조직은 통과하는 반면 혈관에서는 적혈구가 적외선을 흡수하여 통과하지 못해 CCD카메라에 혈관 부분이 어둡게 촬영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위조가 불가능한 장점은 있지만, 그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구성이 어렵고 시스템 구축 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As a more advanced method, we provide a door lock using vein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veins on the back of the hand (floor) or fingers.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not be forg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blood vessels are photographed darkly in the CCD camera because it cannot absorb and pass through, but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the hardware to provide the technology and it takes a lot of money to build the system.

따라서, 인체의 바이오매트릭 기술중 홍채인식 또는 얼굴인식을 통한 도어락의 기능 및 이를 이용하여 근태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esent a function of a door lock through iris recognition or face recognition among biometric technologies of the human body and a technology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얼굴인식 및 홍채인식을 통해 별도의 카드 및 키 분실, 손망실 가능성이 없고, 얼굴의 특징점 검증을 통해 높은 보안성 제공하며, 비접촉식 방식으로 매우 위생적이며 편의성 제공되며, 비등록 사용자가 사용시 얼굴 이미지 저장으로 사후 추적이 가능한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ss or loss of separate cards and keys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high security through facial feature point verification, and very hygienic in a contactless manner It is provided for convenience and is intended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system that enables facial recognition that can be tracked after a face image is stored when used by non-registered users.

또한, 본 발명은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여 출입여부를 제공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전 사원에 대한 신분증 체계를 일원화할 수 있고, 외부 출입시 이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 방문객과 상주근무 인원의 효율적인 출입관리를 제공하며 각 층 및 각 사무실의 정확한 인원 파악이 가능하며, 더욱이 타인도용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신뢰성 및 관리자의 관리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y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all employees industrially by providing access by recognizing faces and irises,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when entering and leaving, and providing efficient access management of visitors and resident employees. This is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ial recognition that can accurately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on each floor and each office, and can provide reliability and management convenience by fundamentally solving the theft of others.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비접촉식으로 촬상된 영상을 일정비율로 축소하고 흑백평면부조와 같은 영상으로 변환하여 얼굴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본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얼굴을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를 확인하거나, 검출된 홍채 영상을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를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홍채여부를 확인하는 얼굴스캔장치; 상기 얼굴스캔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등록된 사용자 여부에 따라 도어 닫힘시 자동/수동 잠김 또는 열림을 제공하거나, 비정상적인 사용시 경보를 가동하는 개폐장치; 상기 얼굴스캔장치 및 개폐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얼굴스캔장치의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 확인을 통해 상기 개폐장치 구동에 의해 출입된 사용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기록을 근간으로 근태를 관리하는 근태관리 장치; 상기 얼굴스캔장치를 통해 촬상된 미등록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방문자의 여부 확인 및 문의 잠김 상태를 조회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전송받아 구동하는 원격도어장치; 및 상기 근태관리 장치 및 원격도어장치와 통신망으로 연동되어 근태관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거나, 방문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a non-contact image captured by a certain ratio and converts it into an image such as a black and white flat relief, based on the face component. Reconstructing the image to detect the face and check whether the registered user's face is present a face scanning device that detects and checks whether the registered user has an iris; an opening/closing device connected to the face scann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utomatic/manual locking or opening when the door is closed according to a registered user, or to activate an alarm in case of abnormal use; Time and attendance is connected to the face scanning device and the opening/clos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ime and attendance is managed based on the access record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who entered and exited by driving the opening/closing device by checking the face of the registered user of the face scanning device management device; a remote door device that transmits an image of an unregistered user captured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to a user terminal or a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whether a visitor is a visitor and inquires a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receives and operat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a database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necessary for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or visitor status inform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and the remote door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user or an administrator. .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상기 얼굴스캔장치는, 상기 개폐장치 또는 원격도어장치의 구동을 위해 비접촉식으로 촬상된 영상 또는 검출된 홍채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의 진위여부 확인하기 위한 얼굴스캔장치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인체를 감지하여 얼굴를 찾아내어 얼굴 검출하거나 홍채를 검출하는 검출부, 촬영된 얼굴 영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고 조명 간섭을 최소화하여 흑백 평면부조로 영상을 변환시켜 얼굴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얼굴을 찾아 얼굴 위치를 확인 후 본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검출된 홍채영상을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 외부를 둘러싼 공막과의 경계를 검출하여 홍채 영역을 분리하여 홍채를 검출하는 홍채인식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이 없거나 어두워 지역에서 얼굴인식 또는 홍채인식을 위한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광원을 조사하는 적외선송출부, 상기 개폐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얼굴인식부 또는 홍채인식부에서 검출된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에 대한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얼굴인식부에서 검출된 얼굴영상 또는 홍채인식부에서 검출된 홍채영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비교된 사용자 진위여부를 개폐장치로 전송하는 비교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ace scanning device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e authenticity of the user's face through a non-contact image captured or detected iris image for driving the opening/closing device or the remote door devi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face scanning device to The face recognition unit detects the face by converting the image into black and white flat relief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finding the face based on the components of the face,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ace, and restoring the original image to detect the face, and the detected iris image is the darkest color in the eye The iris recognition unit detects the iris by separating the iris region by detect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upil and the iris, which has a large change in color and contrast, and detecting the boundary with the scler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ris. In an area where there is no light source or is dark, an infrared ray transmitter irradiating a light source to obtain an image of a subject for face recognition or iris recognition, a face image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or iris recognition unit to driv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r A storage unit for registering a user for the iris image 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face image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or the iris image detected by the iris recognition unit and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registration and transmits the compared user authenticity or not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respons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상기 원격도어장치는 상기 얼굴스캔장치를 통해 촬상된 미등록 사용자의 영상에 대해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방문자의 여부 확인 및 문의 잠김 상태를 조회하여 도어의 개폐여부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마이컴,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얼굴스캔장치에 인식된 방문자의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전송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선전송부를 통해 수신된 방문자의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표시하여 방문자가 누구인지 확인되도록 하는 영상인식부,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영상인식부를 통해 확인된 방문자의 진위여부에 대해 원격에서 도어를 구동하여 출입문의 개폐하는 원격도어구동부, 상기 개폐장치가 구동여부를 요일, 시간에 따라 설정하여 지정된 스케쥴에 대해 상기 원격도어구동부에 의해 개폐장치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도록 설정하여 특정층, 특정건물, 지정장소 일괄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일정관리부, 및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원격 도어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방문자의 출입 여부에 의해 출입문의 잠김 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mote door device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image of an unregistered user captured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to a user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to check whether a visitor is present and check the locked state of the inquiry A first microcomputer that inquires and controls the general operation of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first microcomputer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and the face image or iris image information of the visitor recognized by the face scann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transmitter that transmits to a terminal or a manager terminal, and a wireless transmit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the visitor's face image or iris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 the image information as a user terminal or manager terminal to confirm who the visitor is an image recognition unit that respond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and remotely drives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driving the door for the authenticity of the visitor checked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driven It is set according to the day and time and is set to respo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for a specified schedule. a schedule management unit, and a status check unit that reac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to check whether the door is locked according to whether a visitor enters or no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and displays it on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근태관리장치는 상기 얼굴 스캔장치의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 확인을 통해 상기 개폐장치 구동에 의해 출입된 사용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기록을 근간으로 근태관리, 강제잠금, 경보음 송출 또는 통계처리를 통해 근태관리 장치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마이컴, 연장근무, 휴일근무, 교대근무의 특근관리 정보, 근태기록, 근태정보 또는 근태결과의 다양한 데이터 기록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단말로 송출하는 전송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근태 관련 다양한 데이터 기록 및 원격지 사업장의 실시간 통합 근태관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접속신호를 인지하는 원격접속부, 상기 얼굴스캔장치 및 개폐장치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출근기록으로 저장하고 퇴근시 퇴근자의 얼굴과 출근기록을 비교하여 근무기록관리을 위해 저장하거나, 비인가자의 출입 필요시 관리자 승인 요청 및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기록관리/ 관리자 승인여부를 저장하는 근무 기록부, 얼굴인식 및 홍채인식을 통해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별 출입 기록을 관리, 지각, 조퇴, 야근, 외근, 결근, 휴일 근무의 근태현황, 특근관리 정보, 근태기록, 근태정보, 근태결과에 따른 내역을 산출하는 통계부,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외출시 침입자가 내외부 양측에서 해제할 수 없도록 하고, 해제시는 장비에 지문이 등록된 사람이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제되도록 하는 강제잠금부,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문을 열 경우 비상경보를 송출하여 지문이나 비밀번호를 구동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경보음이 송출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ccess record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who entered and exited by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checking the face of the registered user of the face scanning device. A second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through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forced lock, alarm sound transmission, or statistical processing, overtime work, holiday work, and shift work overtime management information, time and attendance record,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or attendance result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various data records of . Recognizes the registered user's face through the remote access unit, the face scanning device, and the opening/closing device to store it as an attendance record, and compares the face and attendance record of the person leaving the office and stores it for work record management, or an administrator when unauthorized access is required Management of access records for approval requests and unauthorized persons / Work record to store manager approval status, manage access records for each user who is permitted access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tardy, early departure, overtime, overtime, absenteeism Statistical unit that calculates details according to the time and attendance status, overtime management information, attendance record, attendance information, and attendance result of the The city sends out an emergency alarm when the door is abnormally open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microcomputer and a person whose fingerprint is registered in the device or by entering a password to unlock 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unit for transmitting an alarm s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얼굴인식 및 홍채인식을 통해 별도의 카드 및 키 분실, 손망실 가능성이 없고, 얼굴의 특징점 검증을 통해 높은 보안성 제공하며, 비접촉식 방식으로 매우 위생적이며 편의성 제공되며, 비등록 사용자가 사용시 얼굴 이미지 저장으로 사후 추적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possibility of loss or loss of separate cards and keys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provides high security through facial feature point verification, and provides a non-contact method It is very hygienic and convenient, and when a non-registered user uses it,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traced after a face image is sav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여 출입여부를 관리함으로 경비 인력 및 관리비 절감, 관리인원 최소화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확한 초과근무 관리에 따른 예산을 절감할 수 있고, 근태관리의 전산화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expenses by reducing personnel and management costs and minimizing the number of management personnel by recognizing faces and iris to manage access or not, and accurate overtime wor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dget for managemen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reducing management costs by computerizing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여 출입여부를 제공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전 사원에 대한 신분증 체계를 일원화할 수 있고, 외부 출입시 이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 방문객과 상주근무 인원의 효율적인 출입관리를 제공하며 각 층 및 각 사무실의 정확한 인원 파악이 가능하며, 더욱이 타인도용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신뢰성 및 관리자의 관리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y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all employees industrially by providing access by recognizing the face and the iris, and provides convenience in use when entering or exiting. It provides efficient access management for visitors and resident workers,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on each floor and each office, and furthermore, it can provide reliability and management convenience for managers by fundamentally solving the theft of othe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여 출입여부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학교 등에 출입통제 시스템으로 출입 허가된 교직원 및 방문자를 선별 출입시킴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되며, 보안체계 일원화 및 대외 비밀 및 자산 보호/보안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효율적인 출입통제로 출입인원의 보안의식을 고취할 수 있으며, 각 층 및 각 사무실의 정확한 인원 파악이 가능하여 정확한 재실 여부 판단에 따라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 시 현장의 정확한 인원 파악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ecurity by recognizing faces and iris to provide access to socially select teachers and visitors who have been granted access to the school or the like through the access control system. security system unification, external secrets and asset protection/securi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security awareness of the occupants can be raised through efficient access control, and accurate occupancy can be obtained by identifying the exact number of people on each floor and each office. It is possible to save unnecessary energ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safety accident, and it provides the effect of enabling a quick response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number of people on site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기술 변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 중 얼굴 스캔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 중 원격도어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 중 근태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 중 근태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hange in technology of a conventional door lock
Figure 2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face scanning device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door device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in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and attendance management procedure of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얼굴스캔장치(10), 통신망(20), 사용자단말(30), 관리자단말(40), 원격도어장치(50), 근태관리장치(60) 및 데이터베이스(70)로 구성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e scanning device 10 , a communication network 20 , and a user terminal 30 . , a manager terminal 40 , a remote door device 50 , a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 and a database 70 .

상기 얼굴스캔장치(10)는 비접촉식으로 촬상된 영상을 일정비율로 축소하고 흑백평면부조와 같은 영상으로 변환하여 얼굴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본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얼굴을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를 확인하거나, 검출된 홍채 영상을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를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홍채여부를 확인하고, 개폐장치를 통해 상기 얼굴스캔장치(10)로 인식된 등록된 사용자 여부에 따라 도어 닫힘시 자동/수동 잠김 또는 열림을 제공하고, 비정상적인 사용시 경보가 가동된다.The face scanning device 10 reduces the non-contact image captured by a certain ratio, converts it into an image such as black and white flat relief, restores the original image based on the face components, detects the fa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gistered user's face is Check the detected iris image, find the boundary between the pupil and the iris, which has a large change in color and contrast, centering on the pupil with the darkest color in the eye, and detect the iris to check whether the registered user is iris or not, and open the opening/closing device. Automatic/manual locking or opening of the door is provided when the door is closed according to the registered user recognized by the face scanning device 10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10, and an alarm is activated in case of abnormal us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은 상기 통신망(20)과 연동되어 원격도어장치(50)을 구동하기 위해 얼굴스캔장치(10)에 인식된 비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인식 또는 홍채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지에서 원격도어장치(50)를 통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40)은 상기 사용자 단말(30)이 제시하는 원격지에서 비 등록된 사용자를 인식하여 원격도어장치(50)를 개폐하거나, 근태관리장치(60)에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접속하여 근태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전송받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 is interlocked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o receive the face recognition or iris information of a non-registered user recognized by the face scanning device 10 in order to drive the remote door device 50 and receive the remote location information. I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rough the remote door device (50). The manager terminal 40 recognizes a non-registered user at a remote location suggested by the user terminal 30 to open and close the remote door device 50 or access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It is configured to check or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한편, 상기 통신망(20)은 상기 얼굴스캔장치(10), 사용자단말(30), 관리자 단말(40), 원격도어장치(50), 근태관리장치(60) 및 데이터베이스(70)와 각각 연동하여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를 위한 장치 상호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nterworks with the face scan device 10 , the user terminal 30 , the manager terminal 40 , the remote door device 50 , the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 and the database 70 , respectively. It serves to transmit signals and data between devices for access control an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using face recognition.

본 발명에서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통신망(2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3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300)은 데이터베이스(100), 해상 가두리 시스템(200), 사용자 모바일단말(400), 관리자 단말(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3G LTE network or a 4G network, or other IP-based IP network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serves to mutually transmit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database 100 , the marine guard system 200 , the user mobile terminal 400 , the manager terminal 500 , and other systems.

또한, 상기 원격도어장치(50)는 상기 얼굴스캔장치(10)를 통해 촬상된 미등록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로 전송하여 방문자의 여부 확인 및 문의 잠김 상태를 조회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전송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근태관리장치(60)는 상기 얼굴스캔장치(10) 및 개폐장치와 통신망(20)으로 연결되어 상기 얼굴스캔장치(10)의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 확인을 통해 개폐장치 구동에 의해 출입된 사용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기록을 근간으로 근태를 관리한다.In addition, the remote door device 50 transmits the image of the unregistered user captured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10 to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o determine whether the visitor is a visitor. It is configured to check and inquir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to receive and driv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not. In (10), attendance is managed based on the access record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who entered and exited by driving the opening/closing device by checking the face of the registered user.

상기 데이터베이스(70)는 원격도어장치(50) 및 근태관리장치(60)와 연동되어 근태관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거나, 방문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제공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database 70 is interlocked with the remote door device 50 and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to store user information necessary for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or to store visitor status information to provid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user or manager or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data is stor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70)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database 70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for sto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atabase. The database 7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t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for searching,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inked-list, a tree, and a relational database, and includes all data storage media and data structures that can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abase.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얼굴스캔장치(1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크게, 제어부(11), 검출부(12), 얼굴인식부(13), 홍채인식부(14), 적외선송출부(15), 저장부(16) 및 비교부(17)로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ace scanning device 10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 iris recognition unit 14 , an infrared transmitting unit 15 , a storage unit 16 , and a comparison unit 17 .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얼굴스캔장치(1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개폐장치 또는 원격도어장치(50)의 구동을 위해 비접촉식으로 촬상된 영상 또는 검출된 홍채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의 진위여부 확인하기 위한 얼굴스캔장치(1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12)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인체를 감지하여 얼굴를 찾아내어 얼굴 검출하거나 홍채를 검출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ace scann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ace scanning device 10 for checking the authenticity of the user's face through the detected image or the detected iris image, and the detection unit 12 controls the user's It detects a human body and finds a face to detect a face or detect an iris.

또한, 얼굴인식부(13)는 촬영된 얼굴 영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고 조명 간섭을 최소화하여 흑백 평면부조로 영상을 변환시켜 얼굴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얼굴을 찾아 얼굴 위치를 확인 후 본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얼굴을 검출한다. 즉 상기 얼굴인식부(13)는 촬영한 영상에서 얼굴을 찾아내는 얼굴 검출기술과 검출된 얼굴이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우선, 얼굴크기에 상관없이 얼굴을 검출하기 위해 촬영된 영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고 조명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흑백 평면부조와 같은 영상으로 변환을 시켜준 후 얼굴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얼굴을 찾게 되고, 얼굴 위치를 확인 후 본래 영상으로 복원을 하는 과정으로 얼굴 검출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ace recognition unit 13 reduces the photographed face image at a certain rate and minimizes light interference to convert the image into black and white flat relief, finds a face based on the components of the face, checks the position of the face, and returns the original image. Reconstruct and detect a face. That is, the face recognition unit 13 is divided into a face detection technology that finds a face in a photographed image and an authentication part that checks whether the detected face is the face of a registered user. First, in order to detect a fac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ace, After reducing the captured image to a certain ratio and converting it into an image such as black and white flat relief to minimize interference from lighting, the face is found based on the components of the face, and the face position is confirmed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image. This process ends the face detection process.

상기 홍채인식부(14)는 검출된 홍채 영상을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 외부를 둘러싼 공막과의 경계를 검출하여 홍채 영역을 분리하여 홍채를 검출한다.The iris recognition unit 14 uses the detected iris image to find the boundary between the pupil and the iris with severe color and contrast changes around the pupil with the darkest color in the eye, and detects the boundary with the scler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ris. The iris is detected by isolating the reg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홍채인식부(14)는 홍채 영상 검출부분과 검출된 홍채영상을 사용자의 홍채인지를 검증하는 인증부분으로 구분되며, 홍채 영상 검출부분에서는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를 검출하고, 홍채 외부를 둘러싼 공막과의 경계도 마찬가지로 검출하여 홍채 영역을 분리하여 동공의 경계부터 공막과의 경계까지를 좌표화 한 후 홍채무늬를 0과 1로 표현되는 숫자로 이진화하고, 이 이진화된 코드열을 가지고 기존에 입력된 사용자 홍채 코드열과 비교하여 영상촬영된 홍채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iris recognition unit 14 is divided into an iris image detection part and an authentication part that verifies whether the detected iris image is the user's iris. The iris is detected by find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upil and the iris, which varies greatly in color and contrast, and the boundary with the scler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ris is also detected. The iris pattern is binarized into numbers represented by 0 and 1, and the authenticity of the image-captured iris is checked by comparing the binary code sequence with the previously input user iris code sequence.

또한, 상기 적외선송출부(15)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이 없거나 어두워 지역에서 얼굴인식 또는 홍채인식을 위한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얼굴인식부(13) 또는 홍채인식부(14)가 광원이 없거나 어두운 환경일 때 용이하게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frared transmitter 15 irradiates a light source to obtain an image of a subject for face recognition or iris recognition in an area where there is no light source or is dark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1, and the face recognition unit 13 ) or the iris recognition unit 14 can easily recognize the face and the iris when there is no light source or in a dark environment.

상기 저장부(16)는 개폐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얼굴인식부(13) 또는 홍채인식부(14)에서 검출된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에 대한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교부(17)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얼굴인식부(13)에서 검출된 얼굴영상 또는 홍채인식부(14)에서 검출된 홍채영상과 상기 저장부(16)에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여부를 비교하여 비교된 사용자 진위여부를 개폐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storage unit 16 registers a user for the face image or iris image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13 or the iris recognition unit 14 in order to drive the opening/closing device, or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 and the comparator 17 compares the face image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13 or the iris image detected by the iris recognition unit 14 and the storage unit ( 16) is configured to compare whether the user is registered and transmit the compared user authenticity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원격도어장치(5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크게, 제 1 마이컴(51), 무선전송부(52), 영상인식부(53), 원격도어구동부(54), 일정관리부(55) 및 상태확인부(56)로 구성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mote door device 50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a recognition unit 53 , a remote door driving unit 54 , a schedule management unit 55 , and a status check unit 56 .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격도어장치(5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마이컴(51)은 상기 얼굴스캔장치(10)를 통해 촬상된 미등록 사용자의 영상에 대해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로 전송하여 방문자의 여부 확인 및 문의 잠김 상태를 조회하여 도어의 개폐여부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전송부(52)는 상기 제 1 마이컴(51)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얼굴스캔장치(10)에 인식된 방문자의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mote door devic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2 to 4 , the first microcomputer 51 is an image of an unregistered user captured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10 .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to check the presence of a visitor and inquire about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52 is the 1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51 , information on the face image or iris image of the visitor recognized by the face scanning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send.

또한, 상기 영상인식부(53)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무선전송부(52)를 통해 수신된 방문자의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로 표시하여 방문자가 누구인지 확인되도록 하고, 상기 원격도어구동부(54)는 상기 제 1 마이컴(51)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영상인식부(53)를 통해 확인된 방문자의 진위여부에 대해 원격에서 도어를 구동하여 출입문의 개폐한다.In addition, the image recognition unit 53 checks the visitor's face image or iris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5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to confirm who the visitor is, and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54 respond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51, and the authenticity of the visitor confirmed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unit 53 Open and close the door by remotely operating the do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vailable.

상기 일정관리부(55)는 개폐장치의 구동여부를 요일, 시간에 따라 설정하여 지정된 스케쥴에 대해 상기 원격도어구동부(54)에 의해 개폐장치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도록 설정하여 특정층, 특정건물, 지정장소 일괄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태확인부(56)는 상기 제 1 마이컴(51)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원격도어구동부(54)의 구동에 따라 방문자의 출입 여부에 의해 출입문의 잠김 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에 표시되도록 한다.The schedule management unit 55 set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evice is driven according to the day of the week and time, and reac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so that the opening/closing device is opened/closed by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54 for a specified schedule.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specific floor, a specific building, and a designated place, and the status check unit 56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51 to drive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54 Accordingly, it is checked whether the door is locked according to whether the visitor enters or not,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근태관리장치(6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크게, 제 2 마이컴(61), 전송부(62), 원격접속부(63), 근무기록부(64), 통계부(65), 강제잠금부(66) 및 경보부(67)로 구성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3), the work record section (64), the statistics section (65), is composed of a forced lock section (66) and an alarm section (67).

첨부된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근태관리장치(6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 2 마이컴(61)는 상기 얼굴스캔장치(10)의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 확인을 통해 개폐장치 구동에 의해 출입된 사용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기록을 근간으로 근태관리, 강제잠금, 경보음 송출 또는 통계처리를 통해 근태관리장치(6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송부(62)는 연장근무, 휴일근무, 교대근무의 특근관리 정보, 근태기록, 근태정보 또는 근태결과의 다양한 데이터 기록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단말로 송출한다.Referr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2 to 6 , the second microcomputer 61 checks whether the face of the registered user of the face scanning device 10 is presen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through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forced locking, alarm sound transmission or statistical processing based on the access record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who entered and exited by driving the opening/closing device, and the transmission unit Reference numeral 62 transmits overtime work, holiday work, and shift work overtime management information, attendance record,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or various data records of time and attendance results to a database and a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원격접속부(63)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근태 관련 다양한 데이터 기록 및 원격지 사업장의 실시간 통합 근태관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접속신호를 인지하며 상기 근무기록부(64)는 상기 얼굴스캔장치(10) 및 개폐장치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출근기록으로 저장하고 퇴근시 퇴근자의 얼굴과 출근기록을 비교하여 근무기록관리을 위해 저장하거나, 비인가자의 출입 필요시 관리자 승인 요청 및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기록관리/ 관리자 승인여부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remote access unit 63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ignal in order to check various data records related to time and attendance stored in the database 7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real-time integrate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remote workplace, and the work record book ( 64) recognizes the face of the registered user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10 and the opening/closing device and stores it as an attendance record, compares the face of the leaver when leaving the office and the attendance record, and stores it for work record management, or requires access by unauthorized persons It stores the request for approval by the city manager and the access record management/administrator approval for unauthorized persons.

상기 통계부(65)는 얼굴인식 및 홍채인식을 통해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별 출입 기록을 관리, 지각, 조퇴, 야근, 외근, 결근, 휴일 근무의 근태현황, 특근관리 정보, 근태기록, 근태정보, 근태결과에 따른 내역을 산출하고, 상기 강제잠금부(66)는 상기 제 2 마이컴(61)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외출시 침입자가 내외부 양측에서 해제할 수 없도록 하고, 해제시는 장비에 지문이 등록된 사람이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제되도록 하고, 경보부(67)는 상기 제 2 마이컴(61)의 제어신호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문을 열 경우 비상경보를 송출하여 지문이나 비밀번호를 구동하여 설정된 시간동안(2분정도) 경보음이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tatistics unit 65 manages access records for each user who is permitted access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tardiness, early departure, overtime, overtime, absenteeism, holiday work attendance status, overtime management information, attendance record, and attendance information , calculates detai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ttendance and attendance, and the forced locking unit 66 reac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microcomputer 61 so that an intruder cannot release it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when going out, If the fingerprint is a registered person or by entering a password, the alarm unit 67 sends an emergency alarm when the door is abnormally open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microcomputer 61 to drive the fingerprint or password for a set time It is configured to send out an alarm sound for a period of time (about 2 minute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첨부된 2 내지 7을 참조하여 그 절차를 살펴보면, 우선, 얼굴스캔장치(10)의 저장부(16) 혹은 데이터베이스(70)에 출입이 허락된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에 대한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의 정보를 저장한다.(S10 단계참조)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an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procedure of a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2 to 7, the procedure is described. First, the storage unit of the face scanning device 10 (16) Alternatively, a user for a face image or an iris image allowed access to the database 70 is registered, o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is stored. (See step S10)

이후 얼굴스캔장치(10)의 얼굴인식부(13)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촬상된 영상을 일정비율로 축소하고 흑백평면부조와 같은 영상으로 변환하여 얼굴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본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얼굴을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를 확인하거나, 홍채인식부(14)를 통해 검출된 홍채 영상을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를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홍채여부를 확인한다.(S20 단계참조)Thereafter, the non-contact image captur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13 of the face scanning device 10 is reduced at a certain rate and converted into an image such as black and white flat relief to restore the original image based on the face components to detect the face. to check the registered user's face or not, or use the iris image detected through the iris recognition unit 14 to find the boundary between the pupil and the iris, the pupil with the darkest color in the eye as the center, and the pupil and the iris. to check whether the registered user's iris exists. (See step S20)

상기 얼굴스캔장치(10)에서 촬상된 얼굴영상 및 홍채영상을 확인하여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고(S30 단계 참조), 등록된 사용자로 확인되면 개폐장치를 구동하여(S40 단계참조) 도어를 개방하여 문을 개폐하게 된다.(S70 단계참조)The face image and iris image captured by the face scanning device 10 are checked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refer to step S30), and when it is confirmed as a registered user,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driven (refer to step S40) to open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Refer to step S70)

만약 상기 얼굴스캔장치(10)에 촬상된 얼굴영상 및 홍채영상이 미등록된 사용자, 방문자로 확인되면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로 무선전송부(52)를 통해 해당 인식된 얼굴정보를 전송하고(S50 단계참조), 원격도어장치(50)의 원격도어구동부(54)를 구동하여(S60 단계참조) 도어를 개방하여 문을 개폐하게 된다.(S70 단계참조)If the face image and iris image captured by the face scanning device 10 are identified as an unregistered user or visitor,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52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or the manager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ransmits the recognized face information through (refer to step S50), and drives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54 of the remote door device 50 (refer to step S60) to open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step S70) Reference)

이후, 출입된 정보, 퇴근시간 등을 확인하여 근태관리장치(60)에서 근태 현황을 파악하여 근태관리 절차를 진행한다.(S80 단계참조)After that,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0 checks the time and attendance status by checking the entered information and leaving time, and proceeds with the attendance management procedure (refer to step S80).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얼굴스캔장치
11 : 제어부 12 : 검출부
13 : 얼굴인식부 14 : 홍채인식부
15 : 적외선송출부 16 : 저장부
17 : 비교부
20 : 통신망 30 : 사용자 단말
40 : 관리자 단말 50 : 원격도어장치
51 : 제 1 마이컴 52 : 무선전송부
53 : 영상인식부 54 : 원격도어구동부
55 : 일정관리부 56 : 상태확인부
60 : 근태관리장치
61 : 제 2 마이컴 62 : 전송부
63 : 원격접속부 64 : 근무기록부
65 : 통계부 66 : 강제잠금부
67 : 경보부 70 : 데이터베이스
10: face scanning device
11: control unit 12: detection unit
13: face recognition unit 14: iris recognition unit
15: infrared transmitter 16: storage
17: comparison unit
20: communication network 30: user terminal
40: administrator terminal 50: remote door device
51: first microcomputer 52: wireless transmission unit
53: image recognition unit 54: remote door driving unit
55: schedule management unit 56: status check unit
60: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61: second microcomputer 62: transmission unit
63: remote access unit 64: work record book
65: statistics department 66: forced lock department
67: alarm unit 70: database

Claims (1)

비접촉식으로 촬상된 영상을 일정비율로 축소하고 흑백평면부조와 같은 영상으로 변환하여 얼굴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본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얼굴을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를 확인하거나, 검출된 홍채 영상을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를 검출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홍채여부를 확인하는 얼굴스캔장치; 상기 얼굴스캔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등록된 사용자 여부에 따라 도어 닫힘시 자동/수동 잠김 또는 열림을 제공하거나, 비정상적인 사용시 경보를 가동하는 개폐장치; 상기 얼굴스캔장치 및 개폐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얼굴스캔장치의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여부 확인을 통해 상기 개폐장치 구동에 의해 출입된 사용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기록을 근간으로 근태관리, 강제잠금, 경보음 송출 또는 통계처리를 통해 근태관리 장치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마이컴, 연장근무, 휴일근무, 교대근무의 특근관리 정보, 근태기록, 근태정보 또는 근태결과의 다양한 데이터 기록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단말로 송출하는 전송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근태 관련 다양한 데이터 기록 및 원격지 사업장의 실시간 통합 근태관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접속신호를 인지하는 원격접속부, 상기 얼굴스캔장치 및 개폐장치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출근기록으로 저장하고 퇴근시 퇴근자의 얼굴과 출근기록을 비교하여 근무기록관리을 위해 저장하거나, 비인가자의 출입 필요시 관리자 승인 요청 및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기록관리/ 관리자 승인여부를 저장하는 근무기록부, 얼굴인식 및 홍채인식을 통해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별 출입 기록을 관리, 지각, 조퇴, 야근, 외근, 결근, 휴일 근무의 근태현황, 특근관리 정보, 근태기록, 근태정보, 근태결과에 따른 내역을 산출하는 통계부,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외출시 침입자가 내외부 양측에서 해제할 수 없도록 하고, 해제시는 장비에 지문이 등록된 사람이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제되도록 하는 강제잠금부, 상기 제 2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문을 열 경우 비상경보를 송출하여 지문이나 비밀번호를 구동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경보음이 송출되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근태를 관리하는 근태관리 장치; 상기 얼굴스캔장치를 통해 촬상된 미등록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방문자의 여부 확인 및 문의 잠김 상태를 조회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전송받아 구동하는 원격도어장치; 및 상기 근태관리 장치 및 원격도어장치와 통신망으로 연동되어 근태관리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거나, 방문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얼굴스캔장치는 상기 개폐장치 또는 원격도어장치의 구동을 위해 비접촉식으로 촬상된 영상 또는 검출된 홍채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의 진위여부 확인하기 위한 얼굴스캔장치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인체를 감지하여 얼굴를 찾아내어 얼굴 검출하거나 홍채를 검출하는 검출부, 촬영된 얼굴 영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고 조명 간섭을 최소화하여 흑백 평면부조로 영상을 변환시켜 얼굴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얼굴을 찾아 얼굴 위치를 확인 후 본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검출된 홍채영상을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 외부를 둘러싼 공막과의 경계를 검출하여 홍채 영역을 분리하여 홍채를 검출하는 홍채인식부, 상기 개폐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얼굴인식부 또는 홍채인식부에서 검출된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에 대한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얼굴인식부에서 검출된 얼굴영상 또는 홍채인식부에서 검출된 홍채영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비교된 사용자 진위여부를 개폐장치로 전송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도어장치는, 상기 얼굴스캔장치를 통해 촬상된 미등록 사용자의 영상에 대해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방문자의 여부 확인 및 문의 잠김상태를 조회하여 도어의 개폐여부에 대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마이컴,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얼굴스캔장치에 인식된 방문자의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전송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선전송부를 통해 수신된 방문자의 얼굴영상 또는 홍채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표시하여 방문자가 누구인지 확인되도록 하는 영상인식부,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영상인식부를 통해 확인된 방문자의 진위여부에 대해 원격에서 도어를 구동하여 출입문의 개폐하는 원격도어구동부, 및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원격도어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방문자의 출입 여부에 의해 출입문의 잠김 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얼굴스캔장치의 상기 홍채인식부는 홍채 영상 검출부분과 검출된 홍채영상을 사용자의 홍채인지를 검증하는 인증부분으로 구분되어 홍채 영상 검출부분에서는 눈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를 검출하고, 홍채 외부를 둘러싼 공막과의 경계도 검출하여 홍채 영역을 분리하여 동공의 경계부터 공막과의 경계까지를 좌표화 한 후 홍채무늬를 0과 1로 표현되는 숫자로 이진화하고, 이 이진화된 코드열을 가지고 사용자 홍채 코드열과 비교하여 영상촬영된 홍채의 진위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얼굴인식부 또는 홍채인식부가 광원이 없거나 어두워 지역에서 얼굴인식 또는 홍채인식을 위한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광원을 조사하는 적외선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도어장치는, 상기 개폐장치가 구동여부를 요일, 시간에 따라 설정하여 지정된 스케쥴에 대해 상기 원격도어구동부에 의해 개폐장치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도록 설정하여 특정층, 특정건물, 지정장소 일괄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일정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이 가능한 출입통제 시스템.The non-contact imaged image is reduced at a certain rate and converted into an image such as black and white flat relief to restore the original image based on the face components to detect the face and confirm the registered user's face, or to scan the detected iris image. a face scanning device that detects the iris of a registered user by find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upil and iris, which has a large change in color and contrast, centering on the pupil with the darkest color in the eye; an opening/closing device connected to the face scann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utomatic/manual locking or opening when the door is closed according to a registered user, or to activate an alarm in case of abnormal use; It is connected to the face scanning device and the opening/clos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whether the face of the registered user of the face scanning device is on the basis of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and forced locking based on the access record through the face recognition of the user who entered and exited by driving the opening/closing device , a second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through sending an alarm sound or statistical processing, overtime work, holiday work, and shift work overtime management information, time and attendance record,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or various data records of time and attendance results are recalled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o a database and a manag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remote connec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ignal to check various data records related to time and attendance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al-time integrate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information of a remote business site, the face Recognizes the registered user's face through the scanning device and opening/closing device and saves it as an attendance record. When leaving the office, the face and the attendance record are compared and saved for work record management. Management of access records for access records/management of manager approval status, management of access records for each user who is permitted access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Information, T&A record, T&A information, and a statistics unit that calculates details according to T&A results, reac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microcomputer so that an intruder cannot release it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when going out. A forced lock unit that allows a registered person or a password to be unlocked, and an alarm unit that sends out an emergency alarm when the door is opened abnormall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microcomputer and drives a fingerprint or password to emit an alarm sound for a set time A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including; a remote door device that transmits an image of an unregistered user captured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to a user terminal or a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whether a visitor is a visitor and inquires a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receives and operat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a database interworking with th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device and the remote door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store user information necessary for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or to store visitor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user or an administrator, wherein the face scann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face scanning device for confirming the authenticity of the user's face through a non-contact captured image or a detected iris image for driving the opening/closing device or the remote door device;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user's body and finds the face and detects the face or iris, reduces the photographed face image at a certain ratio and minimizes light interference to convert the image into black and white flat relief to create a face based on the components of the face The face recognition unit detects the face by restoring the original image afte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ace, and the detected iris image finds the boundary between the pupil and the iris with severe color and contrast changes centered on the pupil with the darkest color in the eye. An iris recognition unit that detects the boundary with the scler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ris and separates the iris region to detect the iris, and a user for the face image or iris image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or the iris recognition unit to driv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r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and comparing the face image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or the iris image detected by the iris recognition unit with the registr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parator for transmitting the compared user authenticity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respons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remote door device is a user terminal or administrator for the image of the unregistered user captured through the face scanning device The first microcomputer that transmits to the terminal to check whether the visitor is there and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to control the general operation of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visitor recognized by the face scann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wireless warfare for transmitting face image or iris image information of An image recognition unit that confirms the visitor's face image or iris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as a user terminal or a manager terminal to confirm who the visitor is, the first microcomputer A remote door driving unit that respond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remote control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remotely driving the door for the authenticity of the visitor checked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unit, and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tatus check unit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door is locked according to whether a visitor enters or no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iris recognition unit is divided into an iris image detection part and an authentication part that verifies whether the detected iris image is the user's iris. The iris is detected by finding the boundary between the iris and the iris, and the boundary with the scler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ris is also detected. It is binarized into numbers, and is configured to check the authenticity of the image photographed iris by comparing it with the user's iris code string with the binarized code string, and the face recognition unit or the iris recognition unit has no light source or dark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n infrared ray transmitter irradiating a light source to obtain an image of a subject for face recognition or iris recognition in a region, wherein the remote door device sets whether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driven according to the day and time according to the day and time of the week and according to a designated schedule The remote door dri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chedule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respo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microcomput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to enable collective door opening and closing of a specific floor, a specific building, and a designated place. An access control system that enables facial recognition.
KR1020200046089A 2020-04-16 2020-04-16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Withdrawn KR202101281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89A KR20210128193A (en) 2020-04-16 2020-04-16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89A KR20210128193A (en) 2020-04-16 2020-04-16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93A true KR20210128193A (en) 2021-10-26

Family

ID=7826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089A Withdrawn KR20210128193A (en) 2020-04-16 2020-04-16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19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6298A (en) * 2022-08-09 2022-11-15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access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658852B1 (en) 2023-10-31 2024-04-19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facial recognition
KR20240059794A (en) * 2022-10-27 2024-05-08 영진기술 주식회사 Remote Worker Management Server
KR20240120541A (en) * 2023-01-31 2024-08-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Gateway security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6298A (en) * 2022-08-09 2022-11-15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access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40059794A (en) * 2022-10-27 2024-05-08 영진기술 주식회사 Remote Worker Management Server
KR20240120541A (en) * 2023-01-31 2024-08-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Gateway security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KR102658852B1 (en) 2023-10-31 2024-04-19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facial recogn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348B1 (en)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access control unit
KR20210128193A (en)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face recognition
KR102350507B1 (en) Access control method, access control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7110580B2 (en) Distributed biometric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496595B1 (en) Distributed biometric acces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853739B2 (en)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US7907753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symbol recognition
KR100893905B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biometrics
US20030034876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embers and guests
KR102243963B1 (en) System for managing attendance using face recognition
CN105701885A (en) Face identification access control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US10559143B1 (en) Door access control methods with two types of unlocking identifications
KR100965428B1 (en) Th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wo different positioned intelligent cameras for automatic verification of authenticated person's entrance
CN106447861A (en) Efficient and intelligent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CN114373253B (en) Bullet warehouse protection door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realizing remote authorization management
KR20160006126A (en) Security device using portable certification device
CN117152871A (en) Control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for combination of lamplight and access control
KR20160076724A (en) Building within the dangerous area visitor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KR101025830B1 (en) Fingerprint Security System
CN111606162B (en) Intelligent elevat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 buildings
CN106157417B (en) A kind of iris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smart lock and intelligent identifying system
KR20090041619A (en) Access control system
JP4344303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JP4175056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portable terminal, personal authentication program
CN113345137A (en)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door lock, intelligent door lock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2-nap-PC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