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248A - An insertion device of yarn-like article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 Google Patents
An insertion device of yarn-like article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1248A KR20210131248A KR1020210052206A KR20210052206A KR20210131248A KR 20210131248 A KR20210131248 A KR 20210131248A KR 1020210052206 A KR1020210052206 A KR 1020210052206A KR 20210052206 A KR20210052206 A KR 20210052206A KR 20210131248 A KR20210131248 A KR 202101312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amentous body
- flat knitting
- knitting machine
- motor
- insertion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3—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 D10B2403/0243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sensors 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구성) 본 발명의 사상체의 삽입장치에서는, 횡편기의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가, 전원과, 모터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사상체의 송출을 하는 1쌍의 롤러와, 1쌍의 롤러보다 하류에 있고 사상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를 정확하게 편성포 내에 삽입할 수 있다.(Configuration) In the filament inse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er that can move along the rail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includes a power source, a motor, a pair of rollers driven by the motor and feeding the filamentous body, and a pair of rollers It is further downstream and has a cutting device for cutting filaments.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sert a filamentous body of a desired length into a knitted fabric.
Description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또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를 부착한 실, 금속실, 컬라 마커(color marker)를 구비하는 실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상체(絲狀體)를 편성포(編成布) 내에 삽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amentary body made of a thread attached to a flat knitting machine and used and attached with a radio frequency identifier (RFID), a metal thread, a thread having a color marker, and the like. It relates to a device for inserting into a knitted fabric (編成布).
횡편기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통상의 편사(編絲) 이외의 것을 편성포 내에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RFID를 부착한 사상체를 삽입하면, 편성포의 생산관리 및 유통관리에 유효하다. RFID 이외에도, 실을 부분적으로 착색(着色)하여 마커로 한 실, 장식용의 금속실 등을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삽입하는 것은 실 모양 혹은 테이프 모양으로서, 편사보다 길이를 짧게 하여 삽입하기 때문에, 이 명세서에서는 사상체라고 한다.When knitting a knitted fabric with a flat knitting machine, things other than normal knitting yarn may be inserted into the knitted fabric. For example, if a filamentous body with RFID is inserted, it is effective for produc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management of knitted fabrics. In addition to RFI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esired to insert a thread made as a marker by partially coloring the thread, a metal thread for decoration, or the like. The insertion is in the form of a thread or tape, and since it is inserted with a shorter length than that of a knitting yarn, it is referred to as a filamentous body in this specification.
관련되는 선행기술을 나타낸다. 특허문헌1(US 7,246,508 B1)은, 칼라 스테이(collar stay)(칼라용의 스테이)의 삽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삽입장치는, 케이스 내의 칼라 스테이를 1개씩 꺼내, 칼라 스테이를 압출함으로써 편성포 내에 삽입한다. 특허문헌2(US 2018/0282914 A1)는, 커터(cutter) 및 그리퍼(gripper)와, 편사를 송출하기 위한 가압공기의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급사장치(給絲裝置)를 개시하고 있다. 이 급사장치는, 원하는 위치에서 편사를 절단함과 아울러, 절단 후에 기류(氣流)에 의하여 편사를 인출한다.The related prior art is indicated. Patent Document 1 (US 7,246,508 B1) discloses a collar stay (collar stay) insertion device. The insertion device takes out the color stays in the case one by one and inserts them into the knitted fabric by extruding the color stays. Patent Document 2 (US 2018/0282914 A1) discloses a yarn feeding device provided with a cutter, a gripper, and a pressurized air pipe for sending out knitting yarn. This yarn feeding device cuts the knitting yarn at a desired position, and takes out the knitting yarn by an airflow after cutting.
특허문헌1의 장치는, 사상체를 삽입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허문헌2의 장치는, 기류에 의하여 실을 송출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를 삽입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The apparatus of
본 발명의 과제는,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를 정확하게 편성포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er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inserting a filamentous body of a desired length into a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횡편기용의 사상체의 삽입장치에서는, 횡편기의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에, 수전부와, 모터와, 적어도 일방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러이며 사상체의 송출을 하는 1쌍의 롤러와, 1쌍의 롤러보다 하류에 있고 1쌍의 롤러로부터 송출된 사상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apparatus for inserting filamentous bodies for flat knit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receiving unit, a motor, and at least one of a driving roller driven by a motor, to a carrier movable along the rail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a pair of feeding the filamentous body A roller and a cutting device that is downstream of the pair of rollers and cuts the filamentous body sent from the pair of rollers are provided.
본 발명의 삽입장치는, 횡편기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구동롤러를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여, 사상체를 편성포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를 삽입하면, 절단장치에 의하여 사상체를 절단한다. 이 결과, 편성포의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를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전원으로서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지로부터 수전하는 단자가 수전부에 상당한다.The inser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long the rail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drives the driving roller by a motor, and inserts the filamentous body into the knitted fabric. And when the filamentous body of the desired length is inserted, the filamentous body is cut by the cutting devi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sert the filamentous body of a desired length at a desired position in the knitted fabric. In the case of using a battery as a power source, a terminal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corresponds to the power receiving unit.
바람직하게는, 모터와 1쌍의 롤러와 절단장치를 캐리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캐리어에 더 설치되어 있다. 모터와 절단장치 등을 상승시키면, 다른 급사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삽입장치를 횡편기의 레일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간섭을 방지할 필요가 없다.Preferably, a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motor, a pair of rollers, and the cutting device relative to the carri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carrier. If the motor and the cutting device are raised, interference with other yarn feeders can be prevented.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prevent interference by moving the insertion device along the rail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바람직하게는, 1쌍의 롤러 중 적어도 1개의 롤러를, 사상체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상체가 롤러로부터 미끄러짐으로써 삽입된 사상체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pressing means for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llers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filamentous body is further provid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ngth of the inserted filaments from deviating from the desired length as the filaments slide off the rollers.
바람직하게는, 모터와 절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다. 모터와 절단장치를 횡편기의 컨트롤러 등에 의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면, 통신 등의 부담이 늘어난다. 삽입장치 내의 제어수단이, 횡편기의 컨트롤러 등으로부터 지령을 받아서 모터와 절단장치를 제어하면, 제어가 간단하게 된다.Preferabl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cutting device are further installed. When the motor and the cutting device are remote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the burden of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creases. When the control means in the insertion device receives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or the like and controls the motor and the cutting device, the control becomes simple.
바람직하게는, 사상체의 요소를 검출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어 있다. 사상체에서의 요소의 위치를 제어수단이 알 수 있기 때문에, 편성포 내의 원하는 위치에 사상체의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Preferably,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ment of the filamentous body is further installed. Since the control means can know the position of the element in the filamentous body,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element of the filamentous body at a desired position in the knitted fabric.
바람직하게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벨트가 더 설치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동벨트는 1쌍 설치되고, 1쌍의 구동롤러를 구동한다. 벨트구동에 의하여 구동롤러와 모터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이 사이의 동력전달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구동벨트를 1쌍 설치하면, 1쌍의 구동롤러를 함께 구동할 수 있다.Preferably, a drive belt driven by a motor and driving the drive roller is further provided,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pair of drive belts is provided and drives the pair of drive rollers. The drive roller and the motor can be arranged at a distance by the belt drive,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m can be made compact. In addition, if a pair of drive belts is provided, a pair of drive rollers can be driven together.
도1은, 실시예의 삽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의 삽입장치의 배면도이다.
도3은, 실시예의 삽입장치에서의 절단장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4는, 실시예의 삽입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실시예의 삽입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n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rear view of the insertion device of the embodiment.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part of the cutting device in the insertion device of the embodiment.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ing executed by the insertion device of the embodiment.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Below, the most suitable Exampl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is shown.
(실시예)(Example)
도1∼도5에, 실시예의 횡편기용(橫編機用)의 사상체(絲狀體)의 삽입장치(2)를 나타낸다. 삽입장치(2)는 횡편기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삽입장치(2)의 구조를 도1 및 도2에 나타낸다. 4는 횡편기의 캐리어(carrier)를 주행시키기 위한 레일이며, 비접촉급전선(非接觸給電線) 등의 급전선(5), 횡편기의 컨트롤러와의 통신용의 피더라인(feeder line)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삽입장치(2)와 횡편기의 컨트롤러와의 통신방법은 임의이다.1-5, the
삽입장치(2)의 주요 구조부재는, 캐리어부(6)와, 캐리어부(6)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9)와, 고정 플레이트(9)에 대하여 승강하는 승강 플레이트(10)이다. 캐리어부(6)는 복수의 롤러(roller)(7)를 구비하고, 레일(4) 위를 자주(自走)하거나, 혹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횡편기의 캐리지에 연동되어 레일(4) 위를 이동한다. 실시예에서는, 캐리어부(6)는 캐리지에 연동되는 것으로 하고, 캐리어부(6)는 캐리지의 연동핀(連動pin)(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8)을 구비하고 있다.The main structural members of the
고정 플레이트(9)는 캐리어부(6)에 고정되고, 연직방향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물론, 고정 플레이트(9)와 캐리어부(6)는, 다른 부재를 조합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일체(一體)의 동일 부재이어도 좋다. 고정 플레이트(9)에 형성된 가이드홈(19)에 의하여, 승강 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부(18)를 가이드한다. 또한 예를 들면 고정 플레이트(9)에 설치된 승강모터(13)와, 승강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암나사부(14)를 이송나사(15)에 의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모터(13)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부(18)를 가이드하면서 승강 플레이트(10)를 승강시킨다. 고정 플레이트(9)에는, 이상의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제어부(12)와 비접촉급전용의 수전부(受電部)(16)를 부착한다. 또 수전부(16) 대신에 전지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 급전선(5)으로부터 브러시 등에 의하여 수전하여도 좋다.The
20은 삽입대상인 사상체로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얀 패키지(yarn package)로부터, 예를 들면 사이드 텐션(side tension) 등의 버퍼를 통하여 급사(給絲)된다. 사이드 텐션의 상류부에,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를 정역(正逆)의 쌍방향으로 급사할 수 있는 적극적 실 이송장치(positive yarn feeding device)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에서는, 사상체(20)는 소정의 피치로 RFID(21)(사상체의 요소)를 부착한 실로 하고, RFID(21)의 부착피치는, 편성포 내에 삽입할 때의 원하는 길이와 동일하게 한다.
승강 플레이트(10)는, 사상체(20)용의 아일릿(eyelet)(22)을 구비하고, 또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사모터(25)와 변속기(26), 및 각각 1쌍의 풀리(27), 기어(28), 벨트(29), 풀리(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급사모터(25)의 회전을 변속기(26)로 감속하고, 서로 맞물려 있는 기어(28, 28)를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벨트(29, 29)를 통하여 풀리(30, 30)를 동일한 회전수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풀리(30, 30)와 동축(同軸)으로 1쌍의 구동롤러(34, 34)가 설치되고(도1), 사상체(20)를 구동롤러(34, 34)에 의하여 송출한다.The
급사모터(25)는 제어부(12)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인코더(encoder)에 의하여 급사모터(25)의 회전수를 감시하거나, 혹은 급사모터(25)를 펄스모터로 함으로써, 사상체(20)를 원하는 길이만큼 송출시키도록 한다.The
승강 플레이트(10)의 하부의 일방(一方)에 하단부(下端部)(32)가 있고, 하단부(32)의 하단에 풀리(30)와 구동롤러(3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승강 플레이트(10)의 하부의 타방(他方)에 가압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재(35)는, 중앙부를 핀(36)에 의하여 축지(軸支)한 암(37)을 구비하고, 암(37)의 상부는 인장 스프링(38)에 의하여 가압되고, 인장 스프링(38)의 타단(他端)은 핀(39)으로 고정되어 있다. 암(37)의 하단에 풀리(30)와 구동롤러(34)가 설치되고, 사상체(20)는 1쌍의 구동롤러(34, 34)의 사이로부터 송출된다. 풀리(30)와 구동롤러(34)는 축이 공통이어서, 풀리(30)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롤러(34)가 회전한다. 또 암(37)의 가압에 의하여, 1쌍의 구동롤러(34, 34)가 적절한 닙압(nip pressure)으로 접촉된다. 또 가압부재(35)의 구조는 임의이다.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승강 플레이트(10)의 하단에, 실시예에서는 하단부(32)의 하단에 있어서, 구동롤러(34)보다 급사방향의 하류측의 위치에 절단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41은, 절단장치(40)로 사상체(20)를 가이드하기 위한 아일릿(eyelet)이다. 절단장치(40)의 구조를 도3에 나타낸다. 고정칼날(42)과 가동칼날(43)의 사이에 사상체(20)를 통과시키고, 소형모터 혹은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45)에 의하여 가동칼날(43)의 축(44)을 회전시켜서 사상체(20)를 절단한다. 46은 절단장치(40)를 하단부(32)에 부착시키기 위한 지지부이다.The cutting
도4에, 삽입장치(2)의 제어계를 나타낸다. 삽입장치(2)는 수전부(16) 등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횡편기의 컨트롤러(5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동작한다. 제어부(12)는 횡편기의 컨트롤러(50)와 통신하여, 승강모터(13)에 의하여 승강 플레이트(10)를 승강시킨다. 또 제어부(12)는 급사모터(25)에 의하여 구동롤러(34)를 회전시켜서,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20)를 아일릿(22)으로부터 송출한다. 절단장치(40)는 제어부(12)에 의하여 동작하고, 사상체(20)의 시단(始端)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RFID(21)가 있고, 또한 편성포에 삽입되는 사상체(20)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사상체(20)를 절단한다. RFID 리더(RFID reader)(24)는 사상체(20) 중의 RFID(21)를 검출하면, RFID(21)의 ID, 혹은 ID 이외에 RFID(21)를 검출하였음을 나타내는 태그를 제어부(12)에 통지한다. ID만이 통지된 경우에도, 제어부(12)는 RFID(21)를 검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삽입장치(2)를 레일(4)을 따라 자주시키는 경우에 주행모터를 추가한다.4 shows the control system of the
실시예의 삽입장치(2)의 동작을 도5에 나타낸다. 또 삽입장치(2)는,The operation of the
·편성포의 코스방향을 따라 삽입장치(2)를 이동시키면서, 스티치(stitch)를 구성하지 않도록 사상체(20)를 송출하여 편성포 내에 삽입하는(이 처리를 인레이(inlay)라고 한다) 것,· While moving the
·삽입장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편성포의 웨일방향을 따라 사상체(20)를 세로방향으로 송출하여 경사(經絲)로서 삽입하는 것,· Without moving the insertion device, sending out the
·다른 편사와 함께 사상체를 횡편기의 바늘에 공급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 등의 처리를 한다.· The filaments are fed to the needle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together with other knitting yarns, and processes such as forming stitches are performed.
RFID(21)를 구비하는 사상체(20)를 삽입하는 목적은, 편성포의 생산관리, 유통관리 등이다. 편성포의 소정의 위치에 RFID(21)를 삽입하고, 또한 RFID(21)의 ID를 RFID 리더(24)에 의하여 판독하여,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RFID 서버에 기억시킨다. RFID 서버에서는, 개개의 ID에 편성포의 생산관리상의 데이터, 유통 및 판매상의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그리고 출하 시, 판매 시 등에 RFID(21)의 ID를 판독하여 RFID 서버에 문의하면, 생산관리, 유통 및 판매에 관한 데이터가 얻어진다. RFID 리더(24) 대신에 RFID 리더 라이터(RFID reader/writer)를 배치하고, RFID(21)에 생산관리상의 데이터 등을 기억시켜도 좋다.The purpose of inserting the
실시예에서는, 사상체(20)에서의 RFID의 피치는 사상체(20)의 삽입길이(원하는 길이)와 같다. 또 RFID의 피치가 원하는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이전의 RFID를 삽입한 후에, 다음의 RFID를 RFID 리더가 검출할 때까지 사상체(20)를 풀어서 절단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예를 들면 흡인하여 제거한다. 삽입장치(2)는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단부(端部) 등 편성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대기하고, 사상체(20)를 얀 패키지로부터 푼다. RFID 리더(24)는 RFID(21)를 검출하면 제어부(12)에 보고한다. 이상의 처리를 대기처리(P1)라고 한다.In an embodiment, the pitch of the RFID in the
실시예에서는, 횡편기의 컨트롤러(50)는 횡편기의 캐리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제어하고, 캐리지의 연동핀 등을 결합홈(8)에 결합시켜서 삽입장치(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삽입장치(2)의 이동과 동기(同期)하여 구동롤러(34)에 의하여 사상체(20)를 원하는 길이만큼 풀어 절단장치(40)에 의하여 절단하면, 편성포 내의 원하는 위치에 RFID(21)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상체(20)를 1쌍의 구동롤러(34, 34)에 의하여 송출하고, 가압부재(35)에 의하여 구동롤러(34, 34) 사이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원하는 길이의 사상체(20)를 삽입할 수 있다. 또 이때에 사상체(20)를 니트하여 스티치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들의 처리를 삽입처리(P2)라고 한다.In the embodiment, the
편성포의 편성을 위하여, 다른 급사장치도 레일(4)을 주행하여 편사를 급사한다. 다른 급사장치의 하단과, 삽입장치(2)의 하단부, 특히 절단장치(40), 급사모터(25), 구동롤러(34) 등이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승강모터(13)에 의하여 승강 플레이트(10)를 상승시키면, 다른 급사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처리를 대피처리(P3)라고 한다. 또 승강에 사용하는 기구는, 솔레노이드와 배속기구(倍速機構)의 조합 등 임의이다.For knitting the knitted fabric, another yarn feeding device also runs the
인레이에 의하여 사상체(20)를 삽입하는 경우에, 사상체(20)가 편성포 내에서 부상(浮上)하기 때문에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승강 플레이트(10)를 하강시켜서, 예를 들면 절단장치(40)의 바닥면에 의하여 편성포 내에 삽입된 사상체(20)를 하방으로 눌러서, 편성포로부터 사상체(2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입처리(P4)를 한다. 절단장치(40)의 바닥면에 의하여 압입하는 대신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송기 파이프(送氣 pipe) 등을 설치하여, 기류(氣流)에 의하여 압입하여도 좋다.When the
실시예의 변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 플레이트(10)를 상승시킴으로써 대피시키는 대신에, 삽입장치(2)를 다른 급사장치와 간섭하지 않는 편성폭방향의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대피시켜도 좋다. 가압부재(35)는, 구동롤러(34, 34) 사이에 압력을 가하는 임의의 부재로 변경할 수 있다. 가압부재(35)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가압부재(35) 등을 설치하면, 구동롤러(34)에 대하여 사상체(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장치(2)를 사이드 텐션, 적극적 실 이송장치 등의 급사원(給絲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상체(20)가 느슨해지기 때문에, 이들에 의하여 느슨해진 실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stead of evacuating by raising the lifting
제어부(12)를 설치하는 대신에, 횡편기의 컨트롤러(50)에 의하여 레일(4)을 통한 통신 등으로 삽입장치(2)의 각 요소를 제어하여도 좋다. 하지만 제어부(12)에 의하여 삽입장치(2)의 각 요소를 제어하면, 횡편기의 컨트롤러(50)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보다 제어가 간단하게 된다.Instead of providing the
실시예에서는 RFID(21)를 구비하는 사상체(20)를 삽입하였지만, 사상체의 종류는 임의이다. RFID 리더(24)는, 사상체(20)의 종류에 따라 다른 센서로 변경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상체의 착색부(着色部)를 검출하는 컬러센서, 사상체의 특정장소에 형성된 굵은 부분을 검출하는 굵기센서 등이어도 좋다.In the embodiment, although the
구동롤러(34, 34)를, 약간 떨어진 위치에 있는 급사모터(25)에 의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1쌍의 벨트(29, 29)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급사모터(25)와 구동롤러(34) 사이의 전달수단의 종류는 임의이다. 또한 1쌍의 구동롤러(34, 34)를 함께 구동시킴으로써 사상체(20)의 미끄러짐을 적게 할 수 있지만, 일방의 롤러만을 구동하여도 좋다. 실시예에서는 일방의 구동롤러(34)만을 가압하였지만, 쌍방의 구동롤러(34, 34)를 가압하여도 좋다.A pair of
2 : 삽입장치
4 : 레일
5 : 급전선
6 : 캐리어부
7 : 롤러
8 : 결합홈
9 : 고정 플레이트
10 : 승강 플레이트
12 : 제어부
13 : 승강모터
14 : 암나사부
15 : 이송나사
16 : 수전부
18 : 슬라이딩부
19 : 가이드홈
20 : 사상체
21 : RFID
22 : 아일릿
24 : RFID 리더
25 : 급사모터
26 : 변속기
27 : 풀리
28 : 기어
29 : 벨트
30 : 풀리
32 : 하단부
34 : 구동롤러
35 : 가압부재
36 : 핀
37 : 암
38 : 스프링
39 : 핀
40 : 절단장치
41 : 아일릿
42 : 고정칼날
43 : 가동칼날
44 : 축
45 : 구동부
46 : 지지부
50 : 횡편기의 컨트롤러2: Insertion device
4: rail
5: feed line
6: carrier part
7: Roller
8: coupling groove
9: fixed plate
10: lifting plate
12: control unit
13: elevating motor
14: female thread part
15: feed screw
16: power receiver
18: sliding part
19: guide home
20: Filament
21: RFID
22 : Eyelet
24: RFID reader
25: feed motor
26: gearbox
27 : pulley
28 : gear
29: belt
30: pulley
32: lower part
34: drive roller
35: pressing member
36 : pin
37: cancer
38: spring
39: pin
40: cutting device
41 : Eyelet
42: fixed blade
43: movable blade
44 : axis
45: drive unit
46: support
50: controller of flat knitting machine
Claims (5)
수전부(受電部)와,
모터와,
적어도 일방(一方)이 상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러이며, 사상체(絲狀體)의 송출을 하는 1쌍의 롤러(roller)와,
상기 1쌍의 롤러보다 하류에 있고 상기 1쌍의 롤러로부터 송출된 사상체를 절단하는 절단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횡편기용의 사상체의 삽입장치.
On a carrier that can move along the rail of a flat knitting machine,
power receiving unit,
motor and
A pair of rollers, at least one of which is a driving roller driven by the motor, and sends out filaments;
A cutting device that is downstream of the pair of rollers and cuts the filamentous body sent out from the pair of rollers;
A filament insertion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s installed.
상기 모터와 상기 1쌍의 롤러와 상기 절단장치를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昇降)시키는 승강수단이,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용의 사상체의 삽입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lif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motor, the pair of rollers, and the cutting device relative to the carrier are provided in the carrier.
상기 1쌍의 롤러 중 적어도 1개의 롤러를, 사상체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용의 사상체의 삽입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filament insertion device for a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ing means is provided for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ollers in a direction for pressing the filaments.
상기 모터와 상기 절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용의 사상체의 삽입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ilament insertion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cutting device are installed.
사상체의 요소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용의 사상체의 삽입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filament insertion device for a flat kni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sensor for detecting elements of the filamentous body is provi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2020076742A JP7438007B2 (en) | 2020-04-23 | 2020-04-23 | Thread insertion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s |
| JPJP-P-2020-076742 | 2020-04-23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31248A true KR20210131248A (en) | 2021-11-02 |
| KR102554097B1 KR102554097B1 (en) | 2023-07-10 |
Family
ID=7558807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52206A Active KR102554097B1 (en) | 2020-04-23 | 2021-04-22 | An insertion device of yarn-like article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EP (1) | EP3901343B1 (en) |
| JP (1) | JP7438007B2 (en) |
| KR (1) | KR102554097B1 (en) |
| CN (1) | CN11355005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3144972A (en) | 2022-03-28 | 2023-10-1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
| JP2024034119A (en) | 2022-08-31 | 2024-03-13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How to knit knitted fabric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23840A (en) * | 1992-07-08 | 1997-04-29 | Tecnit-Technische Textilien Und Systeme Gmbh | Process for production of weave-knit material |
| US7246508B1 (en) | 2006-11-21 | 2007-07-24 | Yi-Xin Lo | Automatic collar stay insertion device |
| KR20080031794A (en) * | 2006-10-06 | 2008-04-1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Single yarn insertion device |
| US20180282914A1 (en) | 2017-03-31 | 2018-10-04 | Nike, Inc. | Knitting feeder with a cutting device |
| WO2019170952A1 (en) * | 2018-03-08 | 2019-09-12 | Happy Punt, S.L.U | Multifunctional device for supplying thread with a chip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0933457B1 (en) * | 1998-01-23 | 2003-11-19 | Santoni S.p.A. | Device for feeding an elastically extendable yarn to hosiery knitting machines |
| WO2007058273A1 (en) * | 2005-11-17 | 2007-05-24 |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holding warp of weft knitting machine |
| JP2008095217A (en) * | 2006-10-06 | 2008-04-24 | Shima Seiki Mfg Ltd | End yarn inserting apparatus |
| JP5286250B2 (en) * | 2009-12-29 | 2013-09-1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yarn gripp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9101244A (en) * | 2017-12-04 | 2019-06-24 | 富士通株式会社 | Optical module |
| JP7048392B2 (en) | 2018-03-30 | 2022-04-0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
| JP7048407B2 (en) | 2018-05-11 | 2022-04-0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machine tension measuring device and its tension measuring method |
-
2020
- 2020-04-23 JP JP2020076742A patent/JP7438007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4-19 EP EP21169242.1A patent/EP3901343B1/en active Active
- 2021-04-22 KR KR1020210052206A patent/KR102554097B1/en active Active
- 2021-04-22 CN CN202110437838.7A patent/CN113550059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23840A (en) * | 1992-07-08 | 1997-04-29 | Tecnit-Technische Textilien Und Systeme Gmbh | Process for production of weave-knit material |
| KR20080031794A (en) * | 2006-10-06 | 2008-04-1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Single yarn insertion device |
| US7246508B1 (en) | 2006-11-21 | 2007-07-24 | Yi-Xin Lo | Automatic collar stay insertion device |
| US20180282914A1 (en) | 2017-03-31 | 2018-10-04 | Nike, Inc. | Knitting feeder with a cutting device |
| WO2019170952A1 (en) * | 2018-03-08 | 2019-09-12 | Happy Punt, S.L.U | Multifunctional device for supplying thread with a chip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3550059A (en) | 2021-10-26 |
| KR102554097B1 (en) | 2023-07-10 |
| CN113550059B (en) | 2023-04-18 |
| JP2021172910A (en) | 2021-11-01 |
| JP7438007B2 (en) | 2024-02-26 |
| EP3901343B1 (en) | 2024-02-21 |
| EP3901343A1 (en) | 2021-10-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080028A (en) | Apparatus for producing tufted goods using yarns of different color or texture | |
| US5158027A (en) | Presser foot for hollow needle tufting apparatus | |
| KR102554097B1 (en) | An insertion device of yarn-like article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 |
| KR101106601B1 (en) | Fiber Subsidiary Auto Cutting Machine | |
| KR101075133B1 (en) | Spangle suppling apparatus | |
| KR101475703B1 (en) | Machine for tube expander auto cutting | |
| KR101201243B1 (en) |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 |
| AU4284696A (en) | Method for feeding yarns | |
| EP1298239A1 (en) | System for regulating the tension of threads or webs in textile machines | |
| IL144221A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pairing or cabling two or more threads when entering textile machines used for knitted goods, hosiery and the like | |
| CN212533325U (en) | Warp feeding device of warp knitting machine and warp knitting machine | |
| EP2441868B1 (en) | Yarn feeding device and yarn feeding method for knitting machine | |
| JPS63500314A (en) | Yarn feeding device | |
| US5640858A (en) | Textile machine with movable thread readying device | |
| CN111793894A (en) | Warp knitting machine let-off device and warp knitting machine | |
| CN216836377U (en) | Online automatic conveyer of reel material | |
| US4993241A (en) | Method of knitting | |
| EP1268903B1 (en) | Precision delivery system | |
| GB2035389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nitting | |
| CN223118637U (en) | Automatic yarn fixing mechanism | |
| US4584853A (en) | Tricot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galloon crocheting machine | |
| JP2013090829A (en) | Fabric feeder | |
| KR20240106275A (en) | Weft yarn feeding device of narrow loom | |
| KR20250078159A (en) | 4type high-speed cross wrapper with improved carriage structure for web fabric transfer | |
| CN117622982A (en) | Yarn conveying device for textile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