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59U - Mask Capable of Allowing For Drinking - Google Patents
Mask Capable of Allowing For Drin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2659U KR20220002659U KR2020210001353U KR20210001353U KR20220002659U KR 20220002659 U KR20220002659 U KR 20220002659U KR 2020210001353 U KR2020210001353 U KR 2020210001353U KR 20210001353 U KR20210001353 U KR 20210001353U KR 20220002659 U KR20220002659 U KR 2022000265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w
- mask
- mask body
- cover
- drink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711573 Coronavi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322 Feeling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20 non-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6—Storage or supply of water for drink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가 개시된다. 개시된 마스크는 안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된 마스크 몸체부, 및 상기 마스크 몸체부에 형성되는 스트로(straw)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로 수용부에는 스트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스트로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스트로 수용부로 삽입 시 상기 삽입된 상기 스트로의 부분을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앞면 쪽에서 덮고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후면 쪽에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The disclosed mask may include a mask body portion having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ace, and a straw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mask body portion. An insertion part for inserting a straw may be formed in the straw receiving part. The straw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cover part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inserted straw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sk body part and expose it from the rear side of the mask body part whe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straw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insertion part.
Description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음료의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of beverages.
근래에 황사, 미세먼지 등으로 인하여 지구 공기 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코와 입을 포함하는 호흡기를 가리기 위한 안면 마스크의 사용이 일상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그 감염을 막기 위해 안면 마스크의 사용이 필수적이 되었다. 그러나 안면 마스크의 사용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의 불편함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물 등의 음료를 마실 수 없으므로 오염된 공기의 흡입, 감염의 위험 등을 감수하면서 안면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음료를 마셔야 한다는 것이다.Recently, as global air pollution is intensifying due to yellow dust and fine dust, the use of a face mask to cover the respiratory system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has become commonplace. In particular, recently, due to the coronavirus, the use of face masks has become essential to prevent infection. However, there are several inconveniences that accompany the use of a face mask. One of them is that you cannot drink beverages such as water while wearing a face mask, so you have to drink with the face mask off while taking the risk of inhaling contaminated air and infec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오염된 공기의 흡입, 감염의 위험 등을 감수할 필요 없이 착용한 상태에서도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even in a worn state without the need to take the risk of inhalation of contaminated air or infection.
일 측면에서,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마스크는, 안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된 마스크 몸체부, 및 상기 마스크 몸체부에 형성되는 스트로(straw)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로 수용부에는 스트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스트로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스트로 수용부로 삽입 시 상기 삽입된 상기 스트로의 부분을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앞면 쪽에서 덮고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후면 쪽에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is provided. The mask may include a mask body having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face, and a straw receiving part formed in the mask body. An insertion part for inserting a straw may be formed in the straw receiving part. The straw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cover part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inserted straw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sk body part and expose it from the rear side of the mask body part whe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straw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insertion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 시 입에 근접하게 되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부분에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straw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mask body, which comes close to the mouth when the mask is worn on the 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straw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mask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에 고주파 접합된다.In one embodiment, the straw receiving portion is high-frequency bonding to the mask body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트로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스트로 수용부로 삽입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정의하도록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앞면 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art has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sk body part to define a space for inserting the straw into the straw receiving part through the insertion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트로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스트로 수용부로 수평으로 삽입가능하게 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o enable the straw to b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straw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 주위에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raw receiv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around the cover portion to support the cover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를 막기 위한 뚜껑을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raw receiv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lid for blocking the insertion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straw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3차원적으로 곡면 처리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 portion is at least partially three-dimensionally curved.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염된 공기의 흡입, 감염의 위험 등을 감수할 필요 없이 착용한 상태에서도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ovide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even in a worn state without having to take the risk of inhalation of contaminated air or inf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top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ortion of Figure 1;
FIG. 4 is a view showing a right side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art of FIG. 1 .
FIG. 5 is a view showing a rear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art of FIG. 1 .
본 고안의 이점들과 특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실시예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only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element expressed in a singular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means only the singular.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the terms Use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 'module' or a 'unit' may mean a functional part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트로 수용부의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top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ortion of Figure 1; FIG. 4 is a view showing a right side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art of FIG. 1 . FIG. 5 is a view showing a rear view of the straw receiving part of FIG. 1 .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하여 코와 입을 가린 상태에서 마스크 몸체부(130)에 형성된 스트로(straw) 수용부(140)에서 마개(148)를 열고 스트로 수용부(140)에 스트로(110)를 삽입하여 마스크 몸체부(130)의 후면 쪽으로 노출된 스트로(110)의 부분을 입으로 물어 컵(160)에 담긴 물, 비알콜성 음료, 알코올성 음료 등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마스크 몸체부(130)는 좌측부, 우측부, 좌우로 접히면서 코를 가리게 되어 있는 중앙부 및 마스크를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귀걸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 몸체부(13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우레탄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스트로(110)는 기억자부(112), 호스부(114) 및 일자부(116)를 포함한다. 기억자부(112)는 스트로(110)의 스트로 수용부(140)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과 이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호스부(114)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억자부(112)는 비교적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호스부(114)는 기억자부(112)와 연결되는 기다란 관(tube)으로서,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스부(114)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다. 일자부(116)는 호스부(114)와 연결된 일자 형태의 부분으로서, 컵(160)에 담긴 음료에 용이하게 꽂을 수 있도록 비교적 경질의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자부(116)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Referring to FIG. 1 , there is shown a usage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user wears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ace to cover the nose and mouth, and opens the
일 실시예에서, 스트로 수용부(140)는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 시 입에 근접하게 되는, 마스크 몸체부(130)의 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트로 수용부(140)가 마스크 몸체부(130)의 좌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트로 수용부(140)를 마스크 몸체부(130)의 우측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트로 수용부(140)를 마스크 몸체부(130)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형성하면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 숨 쉬는 것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로 수용부(140)를 마스크가 좌우로 접히는 부분인 마스크 몸체부(130)의 중앙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로 수용부(140)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마스크 몸체부(130)에 접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로 수용부(140)는 마스크 몸체부(130)에 고주파 접합된다.In one embodiment, the
스트로 수용부(140)에는 스트로(11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46)에 의해 정의되는 삽입구를 막기 위한 마개(148)를 삽입부(146)에 연결하여 음용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 마개(148)를 이용하여 삽입구를 막음으로써 외부의 오염된 공기 등이 마스크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스트로 수용부(140)는, 스트로(110)를 삽입부(146)를 통해 스트로 수용부(140)로 삽입 시 삽입된 스트로(110)의 부분을 마스크 몸체부(130)의 앞면 쪽에서 덮고 마스크 몸체부(130)의 후면 쪽에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덮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42)는, 스트로(110)를 삽입부(146)를 통해 스트로 수용부(140)로 삽입가능하게 하는 공간(150, 도 5 참조)을 정의하도록 마스크 몸체부(130)의 앞면 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덮개부(142)는 스트로(110)를 삽입부(146)를 통해 공간(150)으로 삽입하였을 때 여유가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는(142), 스트로(110)를 삽입부(146)를 통해 스트로 수용부(142)로 수평으로 삽입가능하게 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덮개부(142)가 손으로 만질 때 부드러운 느낌을 주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3차원적으로 곡면 처리되어 있으나, 덮개부(142)를 각이 진 형태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An
스트로 수용부(140)는 덮개부(142)를 지지하기 위하여 덮개부(142) 주위에 덮개부(142)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44)를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제작하면 입으로 스트로(110)를 당겨서 물을 때 같이 당겨지는 스트로 수용부(140)의 움직임으로 인해 마스크 몸체부(130)가 함몰되면서 뒤틀리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나 미관상의 약점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지지부(144)를 조그맣게 제작하면 입으로 스트로(110)를 당겨서 물을 때 마스크 몸체부(130)가 함몰되면서 뒤틀리는 정도가 크나 기존 마스크의 형태를 크게 해치지 않는 형태로 마스크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지지부(144)를 적절한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44)를 포함하는 스트로 수용부(140)를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하여 마스크 몸체부(130)에 접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바깥쪽 스트로 수용부(140)를 손으로 안쪽으로 밀어 내부의 스트로(110)가 입쪽으로 가게하여 음료수 등을 음용한 후 스트로(110)를 놓았을 때 함몰되어 뒤틀린 마스크 몸체부(130)가 스트로 수용부(140)의 탄성으로 인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환원되어 마스크 본연의 기능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접속되거나 결합된다는 기재의 의미는 당해 구성 요소가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거나 결합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이들이 그 사이에 개재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 구성 요소를 통해 접속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용어들(예컨대, '상에', '상부에', '위에', '간에', '사이에' 등)도 유사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eaning of the description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terposed there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meaning that may be connected or coupled through an element. In addition, term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eg, 'on', 'on', 'on', 'between', 'between', etc.) should be interpreted with similar meanings.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본 고안이 구현되는 환경 또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몇몇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의 배치 순서 및 연결이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arrangement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r require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or example,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som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s one. Also, the arrangement order and connection of some components may be changed.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i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thes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10: 스트로
112: 기억자부
114: 호스부
116: 일자부
130: 마스크 몸체부
140: 스트로 수용부
142: 덮개부
144: 지지부
146: 삽입부
148: 마개
160: 컵110: straw
112: memory department
114: hose unit
116: date part
130: mask body
140: straw receiving unit
142: cover part
144: support
146: insertion part
148: stopper
160: cup
Claims (10)
안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된 마스크 몸체부, 및
상기 마스크 몸체부에 형성되는 스트로(straw)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로 수용부에는 스트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스트로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스트로 수용부로 삽입 시 상기 삽입된 상기 스트로의 부분을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앞면 쪽에서 덮고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후면 쪽에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As a mask that enables drinking,
A mask body shap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face, and
and a straw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the mask body part,
An insertion part for inserting a straw is formed in the straw receiving part,
The straw accommodating part, whe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straw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insertion part, covers the part of the inserted straw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sk body part and includes a cover part configured to expose the back side of the mask body part. possible mask.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 시 입에 근접하게 되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부분에 형성되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According to claim 1,
The straw receiving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mask body portion that comes close to the mouth when the mask is worn on the face, drinkable mask.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형성되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According to claim 1,
The straw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eft or right portion of the mask body, drinkable mask.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에 고주파 접합되는, 음용이 능한 마스크.According to claim 1,
The straw receiving portion is high-frequency bonding to the mask body, drinkable mask.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트로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스트로 수용부로 삽입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정의하도록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앞면 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된,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art has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sk body part to define a space that allows the straw to be inserted into the straw receiving part through the inserting part, the drinkable mask.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트로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스트로 수용부로 수평으로 삽입가능하게 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part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so that the straw can b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straw receiving part through the inserting part, the drinkable mask.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 주위에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According to claim 1,
The straw receiv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ortion around the cover portion to support the cover portion, drinkable mask.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상기 삽입부를 막기 위한 뚜껑을 더 포함하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According to claim 1,
The straw receiv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lid for blocking the insertion portion, drinkable mask.
상기 스트로 수용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According to claim 1,
The straw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drinkable mask.
상기 덮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3차원적으로 곡면 처리되어 있는, 음용이 가능한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ortion is at least partially three-dimensionally curved, the drinkable mask.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10001353U KR20220002659U (en) | 2021-04-29 | 2021-04-29 | Mask Capable of Allowing For Drin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10001353U KR20220002659U (en) | 2021-04-29 | 2021-04-29 | Mask Capable of Allowing For Drink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02659U true KR20220002659U (en) | 2022-11-07 |
Family
ID=840406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210001353U Ceased KR20220002659U (en) | 2021-04-29 | 2021-04-29 | Mask Capable of Allowing For Drink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002659U (en) |
-
2021
- 2021-04-29 KR KR2020210001353U patent/KR20220002659U/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90095Y1 (en) | Wearable mask | |
| CN211379732U (en) | Antifogging pad and mask with antifogging pad | |
| ES2502898T3 (en) | Sanitary mask for the protection of others | |
| US20140250558A1 (en) | Baby teether bodysuit | |
| KR101326975B1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mask | |
| KR101740995B1 (en) | Functional Clothes With Detachable Mask | |
| US20150142054A1 (en) | Teat | |
| KR20060083536A (en) | Frame mask | |
| KR20150142321A (en) | Hygiene mask | |
| KR20170001663U (en) | Neck pillow containing a variety of functions | |
| CN102440458B (en) | Masks with anti-fog or fog-reducing functions | |
| KR20220002659U (en) | Mask Capable of Allowing For Drinking | |
| JP3209649U (en) | mask | |
| JP2008114025A (en) | Three-dimensional nose covering mask | |
| KR200410972Y1 (en) | Winter mask | |
| KR200492417Y1 (en) | Mask | |
| KR20210120226A (en) | Facial Mask with nose receiving space | |
| JP5459984B2 (en) | Nipple protector | |
| KR20200122108A (en) | Nose mask | |
| KR101704781B1 (en) | Neck pillow for travel | |
| KR102543938B1 (en) | A face mask. | |
| JP4649298B2 (en) | mask | |
| CN212139430U (en) | Functional mask | |
| KR20180113798A (en) | Mask with Earplugs | |
| CN207322772U (en) | It is a kind of to be taken easy to wear the kindergarten garden of Dribble towe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429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0616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