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24782A - 자궁내막증의 비침습적 진단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로서의 s100a8 - Google Patents

자궁내막증의 비침습적 진단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로서의 s100a8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782A
KR20220024782A KR1020227002014A KR20227002014A KR20220024782A KR 20220024782 A KR20220024782 A KR 20220024782A KR 1020227002014 A KR1020227002014 A KR 1020227002014A KR 20227002014 A KR20227002014 A KR 20227002014A KR 20220024782 A KR20220024782 A KR 20220024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metriosis
patient
amount
sampl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카테리니 게오르고풀루
마르틴 훈트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2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78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6Gynecology or obstetrics
    • G01N2800/364Endometriosis, i.e. non-malignant disorder in which functioning endometrial tissue is present outside the uterine ca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농도 또는 양을 결정하고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환자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지 또는 자궁내막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받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거나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궁내막증의 비침습적 진단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로서의 S100A8
본 발명은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농도 또는 양을 결정하고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환자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지 또는 자궁내막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 치료받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거나 자궁내막증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자궁내막증은 자궁 외부에서 자궁내막샘 및 기질-유사 병변의 존재로 정의된다. 병변은 복막 병변, 난소의 표재성 임플란트 또는 낭종, 또는 심부 침윤성 질병일 수 있다.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의 5~8%, 만성 골반통이 있는 여성의 70%에서 발생한다. 자궁내막증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1억 7,600만 명의 여성으로 추산된다 (Adamson 등 J Endometr. 2010; 2: 3-6). 이러한 여성들 중 종종 자궁내막증 진단이 늦어져 불필요한 고통과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18-45세 환자의 경우 7-10년 지연이 있다. 자궁내막증이 있는 대부분의 여성은 청소년기에 증상이 시작된다고 보고하므로 조기 진료, 진단, 질병 식별 및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여 질병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조기 진단에 대한 장벽은 청소년 환자에 있어서 진단 및 치료 비용이 높은 것과 혼란스러운 증상 제시, 예를 들어, 주기적 및 비주기적 통증을 포함한다 (Parasar 등 Curr Obstet Gynecol Rep. 2017; 6: 34-41).
자궁내막증 진단의 최적 표준은 복강경 시각화 및 후속 조직학적 확인이다. 현재까지 자궁내막증의 진단을 위한 비침습적 방법은 없다 (Hsu 등 Clin Obstet Gynecol 2010: 53: 413-419). 진단적 복강경 검사 중 자궁내막증에 대한 복강경 수술에 대한 훈련과 기술을 갖춘 산부인과 전문의가 골반에 대한 체계적인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NICE 가이드라인 NG73, 2017). 외과적 시각화에는 신뢰할 수 있는 진단을 위한 우수한 전문 지식, 교육 및 기술이 필요하다. 진단을 위해서는 복강경 수술이 필요한데 의사들은 이를 최대한 기피하기 때문에 진단이 7~10년 지연된다. 비침습적 진단 검사가 없다는 것은 증상의 발병과 자궁내막증의 최종 진단 사이의 긴 지연에 크게 기여한다 (Signorile and Baldi. J Cell Physiol 2014; 229: 1731-1735). 따라서 자궁내막증 진단, 특히 조기, 최소 및 경증 자궁내막증 진단을 위한 비침습적 검사에 대한 의학적 수요가 충족되지 않고 있다 (미국 생식의학회 수정 rASRM 1-2기).
자궁선근증은 양성 자궁내막선과 기질이 자궁의 바깥쪽 근육층인 자궁근층으로 침윤된 것으로 정의된다. 형태와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3가지 구별되는 자궁선근증 하위유형들이 있다: 내부 선근증, 외부 선근증 및 선근종. 내부 선근증은 국소성, 미만성 및 표재성 선근증으로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Bazot M 등 Fertil Steril. 2018;109:389-397). 자궁선근증은 자기 공명 영상 (MRI) 소견에 기초하여 자궁 외층 또는 내층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I-IV의 4가지 하위유형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자궁선근증의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에는 월경 중 과다 출혈 (월경과다) 및 월경 주기 사이의 출혈 (부정자궁출혈), 월경통, 만성 골반 통증, 성교통 및 불임이 포함된다 (Chapron C 등 Hum Reprod Update. 2020;26:392-411).
경질 초음파(TVUS) 및 자기 공명 영상(MRI)이 현재 자궁선근증 진단에 사용되며, 전체 민감도/특이도는 각각 83.8%, 63.9% 및 77.3%, 89.8%이다. 다양한 자궁선근증 유형 중에서 미만성 자궁선근증은 영상으로 발견하기가 더 어려우며 숙련된 초음파 전문의가 필요하다. 또한 영상 장비에 대한 접근은 특히 1차 의료 전문가들로 제한되며 훈련된 직원과 전문 자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비침습적 혈액 기반 검사는 영상 장치 없이도 자궁선근증의 의학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조작자들 간의 변동성을 줄이며 보다 표준화된 병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Chapron C 등 Hum Reprod Update. 2020;26:392-411).
자궁내막증의 비침습적 진단은 조기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세계자궁내막증학회(WES)와 세계 자궁내막증 연구 재단(WERF)에서 연구 우선순위로 선정되었다 (Fassbender 등, Springer, Peripheral Blood Biomarkers for Endometriosis. 2017). 따라서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기 위한 비침습적 도구는 조기 진단 및 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개선하고 생식력을 보존할 수 있다 (Parasar 등 Curr Obstet Gynecol Rep. 2017; 6: 34-41).
혈액 바이오마커는 복강경 검사가 필요한 자궁내막증 진단 시간 지연을 줄이는데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자궁내막증 진단을 위한 비침습적 바이오마커는 확인되지 않았다. CA-125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혈액 바이오마커 중 하나이지만 진단 유틸리티는 자궁내막증 rASRM 단계 III 및 IV로 제한된다 (Nisenblat 등,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6;5: CD012179).
S100A8 수준 증가는 만성 염증 병태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낭포성 섬유증, 염증성 장 질병, 크론병, 전신 홍반성 루푸스, 진행성 전신 경화증) 및 여러 유형의 악성 종양에서 보고된 바 있다 (Foell D. 등 Clin Chim Acta 2004;344:37-51). 전령 RNA(mRNA)의 조직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결과 자궁내막증이 없는 여성의 자궁내막과 비교할 때 자궁내막 병변에서 가장 높은 상향조절을 나타내는 유전자 목록에서 S100A8을 밝혀냈다 (Burney R. 등 Endocrinol. 2007; 148(8):2814-2826). 조직 수준에서 S100A8 mRNA는 조직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자궁내막과 비교할 때 자궁외 병변내에서 9.5배 상향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yster K. 등 Fertil Steril. 2007;88: 1505-33).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단백질체 분석 - 침습적 복강경 검사로 자궁내막증 진단을 받은 여성에서 분리한 복막액의 탠덤 질량 분석은 경미한 질병(rASRM 1-2기)으로 진단된 환자에 비해 중등도-중증 자궁내막증 (rASRM 3-4기) 환자에서 더 높은 S100A8 수치를 나타냈다 (Ferrero 등 Gynecol Endocrinol. 2009;24(8):433-441).
발명의 요약
첫 번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지 또는 자궁내막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자궁내막증,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 [특히 약물-기반 요법 또는 외과 요법 (복강겸검사)]를 받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 번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지 또는 자궁내막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면 목록
도 1: 단일 바이오마커(A) S100A8, (B) CA-125 및 (C) 임상 증상 월경통에 대한 수신자 조작 곡선 (ROC) 분석.
x-축 =특이도, y-축=민감도
도 2 (A-F): S100A8과 임상 증상들의 조합에 대한 수신자 조작 곡선 (ROC) 분석.
x-축 =특이도, y-축=민감도
도 3 (A-B): 자궁내막증 사례 및 대조군에서 S100A8 (A) 및 rASRM 1-2기 (G1/2), rASRM 3-4기 (G3/4) 및 대조군 (B)에서 S100A8의 박스 플롯
도 4 (A-B): 자궁선근증 사례 및 대조군에서 S100A8의 혈청 수준의 박스 플롯 및 ROC 곡선.
도 5 (A-B): 자궁선근증 사례 및 대조군에서 CA-125의 혈청 수준의 박스 플롯 및 ROC 곡선.
표 목록
표 1: 자궁내막증이 있는 및 대조군 여성에서 바이오마커 S100A8 및 바이오마커 조합의 진단 성능.
표 2: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Youden 지수를 기반으로 자궁내막증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바이오마커 조합에 대한 컷오프.
표 3: 자궁선근증 사례 및 대조군에서 단일 바이오마커 S100A8 및 CA-125의 진단 성능.
발명의 상세한 설명
우리는 혈액에서 측정된 S100A8이 대조군에 비해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증가한다는 것을 최초로 보여준다. S100A8 수준은 이미 자궁내막증 1 및 2기 (최소/경증 자궁내막증)에서 증가한다. 우리는 또한 S100A8을 월경통(월경 주기 의존성 통증)과 결합시키는 것이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과 자궁내막증이 없는 여성을 구별하기 위한 진단 성능을 증가시켰음을 보여준다. 자궁내막증, 특히 초기 자궁내막증의 확실한 진단을 위한 비침습적 검사에 대한 의학적 수요가 여전히 충족되지 않고 있다. S100A8은 단독으로 또는 월경통/하복부 통증 및/또는 CA-125와 함께 조합하여 초기 자궁내막증, 특히 복막 자궁내막증 (rASRM 1-2기)이 있는 여성을 식별하는 비침습적 혈액 기반 검사시 이점을 가지는데, 이는 현재는 비-침습적 검사에서 불가능한 것이다.
정의
용어 “포함하다”, 및 이의 변형들, 가령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은, 언급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군을 포함함을 의미하지만 임의의 그 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을 제외시키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단수형 '하나' 및 '그것'은 내용에서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농도, 양 및 기타 수치 데이터는 본원에서 “범위” 형식으로 표현 또는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형식은 단지 편의와 간결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해당 범위의 한도값으로 명확하게 언급된 수치 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해당 범위내 포함되는 모든 개개의 수치 값들 또는 하위-범위들이 마치 각 수치값 및 하위-범위가 명확하게 언급된 것처럼 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연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150 mg 내지 600 mg”의 수치 범위는 150 mg 내지 600 mg의 명시적으로 인용된 값들 뿐만 아니라 표시된 범위 내의 개별 값 및 하위 범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수치 범위에는 개별 값들, 예를 들어, 150, 160, 170, 180, 190, …580, 590, 600 mg 및 하위 범위들, 예를 들어, 150 내지 200, 150 내지 250, 250 내지 300, 350 내지 600 등이 포함된다. 이 동일한 원칙은 하나의 숫자 값만 인용하는 범위에 적용된다. 또한, 이러한 해석은 기술되는 범위 폭이나 특성에 관계없이 적용되어야 한다.
수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용어 “약”은 표시된 수치 값보다 5% 더 작은 하한을 갖고 표시된 수치 값보다 5% 더 큰 상한을 갖는 범위 내의 수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표”는 상태에 대한 징후 또는 신호를 나타내거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상태”는 세포, 조직 또는 기관의 생물학적 상태 또는 개체의 건강 및/또는 질병 상태를 나타낸다. 지표는 펩타이드, 단백질 및 핵산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분자의 존재 또는 부재일 수 있거나, 세포, 조직, 기관 또는 개체에서 이러한 분자의 발현 수준 또는 패턴의 변화일 수 있다. 지표는 개체에서 질병의 발병, 발달 또는 존재 또는 그러한 질병의 추가 진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지표는 또한 개체의 질병 발병 위험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용어 “바이오마커”는 상기 시스템의 생물학적 상태의 지표로서 사용되는 생물학적 시스템 내의 물질을 지칭한다. 해당 분야에서, 용어 “바이오마커”는 때때로 상기 내인성 물질(예를 들어, 항체, 핵산 프로브 등, 영상화 시스템)의 검출 수단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바이오마커”라는 용어는 검출 수단이 아니라 물질에만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이오마커는 살아있는 유기체에 존재하는 임의의 종류의 분자, 예를 들어, 핵산 (DNA, mRNA, miRNA, rRNA 등), 단백질 (세포 표면 수용체, 세포질 단백질 등), 대사 산물 또는 호르몬 (혈당, 인슐린, 에스트로겐 등), 특정한 또 다른 분자 변형의 특징적인 분자 (예를 들어, 단백질의 당 부분 또는 인산 잔기, 게놈 DNA의 메틸 잔기) 또는 유기체에 의해 내재화된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의 대사산물일 수 있다.
“S100A8”, S100 칼슘 결합 단백질 A8 (칼그라눌린-A; 골수성 관련 단백질 8, MRP8)은 10.8 킬로달톤의 칼슘 및 아연 결합 단백질이며 S100 단백질 패밀리에 속한다. S100 계열은 Ca2+ 결합 EF-손 (나선 E-루프-나선 F) 단백질의 가장 큰 하위 그룹을 구성한다. S100 단백질은 중성 pH에서 황산암모늄이 포함된 100% 포화 용액에 용해되며, 이로부터 그 명칭이 유래한다. S100A8은 주로 단핵구, 호중구 및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되지만 섬유아세포, 성숙 대식세포, 혈관 내피 세포 및 각질 세포와 같은 다양한 기타 활성화된 세포 유형에서도 발현된다 (Ingersoll 등 Blood. 2010;115(3):e10-9). S100A8은 DAMP (손상-관련 분자 패턴) 분자로서, 손상되거나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에서 방출되며 TLR4 (톨-유사 수용체 4) 및 RAGE (최종 당화 산물에 대한 수용체)에 결합하여 염증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내인성 위험 신호 역할을 한다. 염증 부위에서 S100A8은 호중구 부착 및 대식세포 활성화를 유도하여 화학주성 인자로 작용한다 (Schmidt 등Semin Thromb Hemost. 2000;26(5):285-293).
“CA-125”, 탄수화물 항원 125는 때때로 암 항원 125 또는 종양 항원 125로 명명되며 MUC16 유전자에 의해 생성되고 세포막과 결합되는 뮤신 유형 당단백질이다. CA-125는 자궁내막, 나팔관, 난소, 복막을 비롯한 체강상피에서 유래하는 상피세포 난소암에 대한 바이오마커이다. CA-125의 진단적 사용은 중간 정도의 민감도를 가진 자궁내막증 3 및 4기 (중등도 및 중증 자궁내막증)에 제한된다.
질병의 “증상”은 이러한 질병이 있는 조직, 기관 또는 유기체에서 눈에 띄는 질병의 결과이며 조직, 기관 또는 개체의 통증, 약점, 압통, 긴장, 경직 및 경련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질병의 “징후” 또는 “신호”는 바이오마커 또는 분자 마커와 같은 특정 지표의 존재, 부재, 증가 또는 상승, 감소 또는 감퇴와 같은 변화 또는 변경, 또는 증상의 발달, 존재, 또는 악화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증의 증상은 지속적이거나 다양한 작열감, 욱신거림, 가려움증 또는 찌르는 듯한 통증으로 느껴질 수 있는 불쾌한 감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질병” 및 “장애”는 조직, 기관 또는 개체가 더 이상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비정상적인 상태, 특히 질병 또는 부상과 같은 비정상적인 의학적 상태를 지칭하며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질병은 그러한 질병의 존재를 나타내는 특정 증상 또는 징후와 연관된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 또는 징후의 존재는 질병을 앓고있는 조직, 기관 또는 개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나 징후의 변화는 이러한 질병의 진행을 나타낼 수 있다. 질병의 진행은 일반적으로 질병의 “악화” 또는 “개선”을 나타낼 수 있는 이러한 증상 또는 징후의 증가 또는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질병의 “악화”는 조직, 기관 또는 유기체가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질병의 “개선”은 일반적으로 조직, 기관 또는 유기체가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의 증가를 특징으로 한다. 질병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 조직, 기관 또는 개체는 건강한 상태이지만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질병 발병 위험은 이러한 질병의 초기 또는 약한 징후 또는 증상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경우 치료를 통해 질병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 질병의 예는 염증성 질병, 감염성 질병, 피부 상태, 내분비 질병, 장 질병, 신경계 장애, 관절 질병, 유전 질병, 자가면역 질병, 외상성 질병 및 다양한 유형의 암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외부의 자궁내막 유사 조직의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호르몬 의존성 만성 염증성 질병이다. 자궁내막증의 임상 양상은 환자마다 크게 다르다. 자궁내막증 환자는 종종 월경사이 출혈, 고통스러운 기간 (월경통), 고통스러운 성교 (성교통), 고통스러운 배변 (배변곤란) 및 고통스러운 배뇨 (배뇨통)와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골반통은 일반적으로 만성 (≥6개월 지속)이며 월경통 (50~90%의 경우), 성교통, 심부 골반통, 등 및 허리 통증이 있거나 없는 하복부 통증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통증은 월경 주기 전반에 걸쳐 예측할 수 없고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지속적일 수도 있으며 둔하고 욱신거리거나 날카로우며 신체 활동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방광 및 장 관련 증상 (메스꺼움, 팽만감, 조기 포만감)은 일반적으로 주기적이다. 통증은 종종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고 성격이 변할 수 있다; 드물게 여성은 신경병성 요소를 시사하는 증상인 작열감 또는 과민증을 보고한다. 종종 자궁내막증은 무증상일 수 있으며, 임상의는 불임을 평가하는 동안에만 주의를 기울인다 (Sinaii 등 Fertil Steril. 2008; 89(3): 538-545).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월간 출산율이 가임 부부(15-20%)에 비해 감소한다 (2-10%). 자궁내막증은 생식능력을 손상시키지만 일반적으로 임신을 완전히 예방하지는 못한다 (Fadhlaoui 등 Front Surg. 2014; 1: 24).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 자궁내막증 부위는 골반 기관과 복막이지만 폐와 같은 신체의 다른 부분도 때때로 영향을 받는다. 질병의 범위는 정상 골반 기관에 있는 소수의 작은 병변에서부터 큰 난소 자궁내막 낭종 (자궁내막종) 및/또는 골반 해부학상으로 현저한 왜곡을 유발하는 광범위한 섬유증 및 유착 형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자궁내막증은 위치에 따라 복막 자궁내막증, 난소 자궁내막낭종 (자궁내막종), 심부 결절 (심부 침윤성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으로 나눌 수 있다 (Kennedy 등 Hum Reprod. 2005; 20(10): 2698-2704).
“rASRM 병기” 또는 “rASRM 병기결정”이라는 용어는 수술 (복강경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자궁내막증의 중증도를 설명하는 미국 생식의학 학회 (ASRM)에서 설정한 수정된 분류 시스템을 나타낸다. 분류는 복막 및 골반 임플란트의 형태를 기반으로 빨간색, 흰색, 검은색 병변과 같이 이루어지며 각 병변의 침범 백분율을 포함해야 한다. 자궁내막 임플란트, 플라크, 자궁내막종 및 유착의 수, 크기 및 위치를 기록해야 한다. 장, 요로, 나팔관, 질, 자궁경부, 피부 또는 기타 위치의 자궁내막증이 ASRM 지침에 따라 기록되어야 한다. ASRM 지침에 따른 자궁내막증의 병기는 점수에 따라 1, 2, 3, 4기로 결정되며 최소, 경증, 중등도 및 중증 자궁내막증에 해당한다. rASRM 1기 및 2기 자궁내막증 (최소 내지 경증 자궁내막증)은 표재성 복막 자궁내막증, 작은 심부 병변의 존재 가능성, 자궁내막종의 부재 및/또는 경증의 유착으로 정의된다. rASRM 3기 및 4기 자궁내막증 (중등도 내지 중증 자궁내막증)은 표재성 복막 자궁내막증, 자궁과 장 사이에 중등도 내지 광범위한 유착을 갖는 심부 침윤성 자궁내막증 및/또는 난소 및 난관과 관련된 중등도 내지 광범위한 유착을 갖는 자궁내막종 낭종의 존재로 정의된다.
용어 “VAS” (시각 아날로그 척도)라는 용어는 통증의 강도를 평가하는 도구이다. VAS는 양 말단이 '통증 없음'과 '상상가능한 최악의 통증'으로 표시된 10cm 길이의 수평선으로 구성된다. 각 환자는 자신의 통증 정도를 선 위에 눈금으로 표시하고 제일 왼쪽의 '통증 없음'에서 눈금 표시까지의 거리를 센티미터로 측정하여 0에서 10까지의 통증 점수를 산출한다. '통증 없음'은 통증 점수 0에 해당하고, '상상가능한 최악의 통증'은 통증 점수 10에 해당한다.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월경통은 평균 VAS 점수가 약 6으로서 가장 높은 통증 인식과 관련이 있다 (Cozzolino 등 Rev Bras Ginecol Obstet. 2019; 41(3): 170-175).
본원에서 사용되는 “환자”는 본원에 기재된 진단, 예후 또는 치료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임의의 포유동물, 어류, 파충류 또는 조류를 의미한다. 특히, “환자”는 실험 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쥐, 토끼 또는 제브라피쉬), 가축 (예를 들어, 기니피그, 토끼, 말, 당나귀, 소, 양, 염소, 돼지, 닭, 낙타, 고양이, 개, 거북이, 남생이, 뱀, 도마뱀 또는 금붕어) 또는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및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환자”가 인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어 “샘플” 또는 “관심 샘플”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조직, 기관 또는 개체보다 작으며, 조직, 기관 또는 개체 전체를 나타내고자 하는 조직, 기관 또는 개체의 일부 또는 조각을 지칭한다. 샘플을 분석시 이는 조직 상태 또는 기관 또는 개체의 건강 또는 질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샘플의 예에는 혈액, 혈청, 혈장, 활액, 소변, 타액 및 림프액과 같은 유체 샘플 또는 조직 추출물, 연골, 뼈, 활막 및 결합 조직과 같은 고체 샘플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샘플 분석은 시각적 또는 화학적 기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시각적 분석에는 샘플의 형태학적 평가를 허용하는 조직, 기관 또는 개체의 현미경 영상화 또는 방사선 스캔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 분석에는 특정 지표들의 존재 여부 또는 이들의 양, 농도 또는 수준의 변경에 대한 검출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샘플은 시험관내 샘플이며 시험관내에서 분석되며 체내로 다시 전달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양”은 본원에서 지칭된 바와 같은 바이오마커의 절대량, 상기 바이오마커의 상대적인 양 또는 농도, 뿐만 아니라 이와 상관관계가 있거나 또는 이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임의의 값 또는 매개변수를 포괄한다. 이러한 값 또는 매개변수는 직접 측정에 의해 상기 펩티드로부터 얻은 모든 특정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의 강도 신호 값, 예를 들어, 질량 스펙트럼 또는 NMR 스펙트럼의 강도 값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 설명된 간접 측정에 의해 수득된 모든 값 또는 매개변수, 예컨대, 펩티드에 반응하여 생물학적 판독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반응 양 또는 특이적으로 결합된 리간드로부터 얻은 강도 신호이다. 전술한 양 또는 매개변수와 관련된 값은 또한 모든 표준 수학적 연산에 의해 얻어 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교하는”은 개체로부터 획득된 표본 내 바이오마커의 양을 본원의 다른 곳에서 특정된 바이오마커의 기준량과 비교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비교는 일반적으로 상응하는 매개변수 또는 값의 비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절대량은 절대 기준량과 비교되는 반면 농도는 기준 농도와 비교되며 또는 샘플 내 바이오마커로부터 얻은 강도 신호는 기준 샘플에서 얻은 동일한 유형의 강도 신호와 비교된다. 비교는 수동으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 될 수 있다. 대상체의 샘플 내 바이오마커의 측정 또는 검출 양의 값과 기준양은 예를 들어 서로 비교될 수 있으며, 상기 비교는 비교를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 될 수 있다. 상기 평가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원하는 평가를 적절한 출력 형식으로 제공한다. 컴퓨터-이용 비교의 경우, 측정 양의 값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절한 기준에 해당하는 값과 비교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추가로 비교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원하는 평가를 적절한 출력 형식으로 자동으로 제공한다. 컴퓨터-이용 비교의 경우, 측정 양의 값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절한 기준에 해당하는 값과 비교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추가로 비교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원하는 평가를 적절한 출력 형식으로 자동으로 제공한다.
“기준에 대해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비교하는”이라는 표현은 단지 어떤 방식으로든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조 샘플에서 기준 농도가 설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준 샘플” 또는 “대조 샘플”은 관심 샘플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되고 그 정보가 관심 샘플의 정보와 비교되는 샘플을 지칭한다. 따라서 기준 샘플은 관심 샘플에서 얻은 정보를 평가할 수 있는 표준을 제공한다. 대조군 샘플은 건강한 또는 정상 조직, 기관 또는 개체로부터 유래되므로, 이로써 조직, 기관 또는 개체의 건강한 상태에 대한 표준을 제공할 수 있다. 정상 기준 샘플의 상태와 관심 샘플의 상태 사이의 차이는 질병 발달의 위험 또는 이러한 질병 또는 장애의 존재 또는 추가 진행을 나타낼 수 있다. 대조군 샘플은 이상 또는 질병 조직, 기관 또는 개체로부터 유래되므로, 이로써 조직, 기관 또는 개체의 질병 상태에 대한 표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기준 샘플의 상태와 관심 샘플의 상태 사이의 차이는 질병 발달의 위험 저하 또는 이러한 질병 또는 장애가 없음 또는 호전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기준 샘플은 또한 관심 샘플과 동일한 조직, 기관 또는 개체에서 파생될 수 있지만 보다 이른 시점에 채취되었다. 앞서 채취한 기준 샘플의 상태와 관심 샘플의 상태 간의 차이는 질병의 진행, 즉 시간 경과에 따른 질병의 호전 또는 악화를 나타낼 수 있다.
대조군 샘플은 내부 또는 외부 대조군 샘플일 수 있다. 상기 마커(들)의 수준(들)에서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내부 대조군 샘플이 사용된다, 즉, 마커 수준(들)은 테스트 샘플에서 뿐만 아니라 동일한 대상체에서 채취한 하나 이상의 다른 샘플(들)에서 평가된다. 외부 대조군 샘플의 경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샘플에서 마커의 존재 또는 양은 주어진 병태를 앓는 것으로 알려진 또는 주어진 병태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개체에서 또는 주어진 병태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개체, 즉 “정상 개체”에서 이의 존재 또는 양과 비교된다.
숙련된 기술자는 이러한 외부 대조군 샘플을 단일 개체로부터 얻을 수 있거나, 또는 연령이 일치하고 혼란을 일으키는 질병이 없는 기준 모집단으로부터 얻을 수 있음을 알고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기준 모집단으로부터 잘 특성화된 100명의 개체들로부터 얻은 샘플들을 사용하여 “기준 값”을 설정한다. 그러나 기준 모집단은 20, 30, 50, 200, 500 또는 1000명의 개체로 구성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건강한 개체들은 대조군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준 모집단을 대표한다.
예를 들어, 환자 샘플의 마커 농도는 특정 질병의 특정 경과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농도와 비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샘플의 마커 농도는 진단과 직간접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마커 농도는 예를 들어 개체가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는 샘플의 마커 농도는, 질병 진행의 위험을 판단하거나 환자를 추적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특정 질병의 요법에 대한 반응, 특정 질병의 진단, 특정 질병의 중증도 평가, 특정 질병에 대한 적절한 약물 선택 지침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마커 농도와 비교될 수 있다. 의도한 진단 용도에 따라 적절한 대조군 샘플이 선택되고 마커에 대한 대조군 또는 기준 값이 설정된다. 또한 숙련된 기술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대조군 샘플에서 설정된 절대 마커 값들은 사용된 분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지표의 수준 “저하” 또는 “감소”라는 용어는 샘플 내 이러한 지표 수준이 기준 또는 기준 샘플과 비교하여 감소되는 것을 지칭한다.
지표의 수준 “상승” 또는 “증가”라는 용어는 샘플 내 이러한 지표 수준이 기준 또는 기준 샘플과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질병을 앓고 있지 않은 개체의 동일한 유체 샘플에서보다 주어진 질병을 앓고 있는 한 개체의 유체 샘플에서 더 많은 양으로 검출가능한 단백질은 상승된 수준을 갖는다.
용어 “측정”, “측정하는” 또는 “결정하는”은 바람직하게는 정성적, 반정량적 또는 정량적 측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면역글로불린(Ig)”은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의 당단백질을 부여하는 면역을 지칭한다. “표면 면역글로불린”은 막횡단 영역에 의해 효과기 세포의 막에 부착되며 B-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 클래스 I 및 II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단백질,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 (~2M), CD3, CD4 및 CDS와 같은 분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막횡단 영역이 결여되어 혈류 및 체강으로 방출될 수 있는 분비된 면역글로불린을 지칭한다. 인간 항체는 보유하고 있는 중쇄에 따라 다양한 아이소형으로 분류된다. 그리스 문자로 표시되는 다음 5가지 유형의 인간 Ig 중쇄가 존재한다: α, γ, δ, ε 및 μ. 존재하는 중쇄의 유형은 항체의 부류를 정의한다, 즉, 이러한 사슬들은 각각 IgA, IgD, IgE, IgG 및 IgM 항체에서 발견되며, 각각은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다양한 유형의 항원에 대한 적절한 면역 반응을 지시한다. 서로 상이한 중쇄들은 크기와 구성이 다르다; 약 45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Janeway 등 (2001) Immunobiology, Garland Science). IgA는 점막 부위, 예를 들어, 소화관, 호흡기관, 및 비뇨생식기에서 그리고 침, 눈물, 모유에서 발견되며 병원체에 의한 집락 형성을 방지한다 (Underdown & Schiff (1986) Annu. Rev. Immunol. 4:389-417). IgD는 주로 항원에 노출되지 않은 B 세포에서 항원 수용체로 기능하며 호염기구 및 비만 세포를 활성화하여 항미생물 인자를 생성하는 데 관여한다 (Geisberger 등 (2006) Immunology 118:429-437; Chen 등 (2009) Nat. Immunol. 10:889-898). IgE는 비만 세포와 호염기구에서 히스타민의 방출을 유발하는 알레르기항원에 결합하여 알러지 반응에 관여한다. IgE는 또한 기생충에 대한 보호에 관여한다 (Pier 등 (2004) Immunology, Infection, and Immunity, ASM Press). IgG는 침입하는 병원체에 대한 항체-기반 면역의 대부분을 제공하며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수동 면역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항체 아이소형이다 (Pier 등 (2004) Immunology, Infection, and Immunity, ASM Press). 인간에는 4가지 다른 IgG 하위부류 (IgG1, 2, 3, 4)가 존재하며, 혈청 내 존재비의 순서로 명명되는데, IgG1이 가장 풍부하고 (~66%), 그 다음이 IgG2(~23%), IgG3(~7%) 및 IgG (~4%)이다. 상이한 IgG 부류들의 생물학적 프로파일은 각각의 힌지 영역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IgM은 B 세포의 표면에서 단량체 형태로 그리고 매우 높은 결합력을 갖는 분비된 오량체 형태로 발현된다. IgM은 충분한 IgG가 생성되기 전에 B 세포 매개(체액) 면역의 초기 단계에서 병원체를 제거하는 데 관여한다 (Geisberger 등 (2006) Immunology 118:429-437). 항체는 단량체로 발견될 뿐만 아니라 2개의 Ig 단위의 이량체 (예를 들어, IgA), 4개의 Ig 단위의 사량체 (예를 들어, 경골 어류의 IgM) 또는 5개의 Ig 단위의 오량체 (예를 들어, 포유류 IgM)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체는 일반적으로 이황화 결합을 통해 연결되고 2개의 동일한 중쇄 및 동일한 2개의 경쇄를 포함하는 4개의 폴리펩티드 사슬로 만들어지며, “Y”자형 거대 분자와 유사하다. 각각의 사슬은 다수의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을 포함하며, 그 중 일부는 불변 도메인이고 그 외에는 가변 도메인이다.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은 2개의 ~ 시트에 배열된 7 내지 9개의 역평행 ~ 가닥의 2개층 샌드위치로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항체의 중쇄는 4개의 Ig 도메인을 포함하며, 그 중 3개는 불변 (CH 도메인: CH1. CH2. CH3) 도메인이고 하나는 가변 도메인 (VH)이다. 경쇄는 전형적으로 하나의 불변 Ig 도메인 (CL) 및 하나의 가변 Ig 도메인 (VL)을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인간 IgG 중쇄는 N-에서 C-말단으로 VwCH1-CH2-CH3 순서로 연결된 4개의 Ig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반면 (VwCyl-Cy2-Cy3으로도 지칭됨), 인간 IgG 경쇄는 N-에서 C-말단으로 VL-CL 순서로 연결된 2개의 면역글로불린 도메인들로 구성되며 카파 또는 람다 유형(VK-CK 또는 VA.-CA) 중 하나이다. 예시적으로, 인간 IgG의 불변 사슬은 447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면역글로불린 내의 아미노산 위치의 넘버링은 Kabat, E. A., Wu, T.T., Perry, H. M., Gottesman, K. S., 및 Foeller, C., (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에서와 같이 “EU 색인”의 넘버링이다. Kabat 문헌에서와 같은 EU 색인”은 인간 IgG 1EU 항체의 잔기 넘버링을 지칭한다. 따라서, IgG의 내용에서 CH 도메인은 다음과 같다: “CH1”은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라 아미노산 위치 118-220을 나타내고; “CH2”는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라 아미노산 위치 237-340을 나타내고; “CH3”은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라 아미노산 위치 341-447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들 “전장 항체”, “무손상 항체” 및 “전체 항체”는 상호교환적으로 아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항체 단편이 아니라, 이의 실질적으로 무손상 형태의 항체를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특히 Fc 영역을 함유하는 중쇄를 갖는 항체를 지칭한다.
항체들의 파파인 소화는 통상적으로, 각각 하나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지며 “Fab 단편들”로 불리는 (“Fab 부분” 또는 “Fab 영역”으로도 지칭됨) 2개의 동일한 항원 결합 단편들, 및 잔부 “Fe 단편” (“Fe 부분” 또는 “Fe 영역”으로도 지칭됨)을 생성한다. 인간 IgG Fe 영역의 결정 구조는 결정되어 있다 (Deisenhofer (1981) Biochemistry 20:2361-2370). IgG, IgA 및 IgD 아이소형에서 Fe 영역은 항체의 두 중쇄의 CH2 및 CH3 도메인에서 파생된 두 개의 동일한 단백질 단편으로 구성된다; IgM 및 IgE 아이소형에서 Fe 영역은 각 폴리펩티드 사슬에 3개의 중쇄 불변 도메인 (CH2-4)을 포함한다. 또한, 더 작은 면역글로불린 분자는 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인공적으로 제작되었다. 용어 “Fab' 단편”은 Ig 분자의 힌지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Fab 단편을 지칭하는 반면, “F(ab')2 단편”은 화학적으로 연결되거나 이황화 결합을 통해 연결된 2개의 Fab' 단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단일 도메인 항체 (sdAb)”(Desmyter 등 (1996) Nat. Structure Biol. 3:803-811) 및 “나노바디”는 단일 VH 도메인만을 포함하는 반면, “단일 사슬 Fv (scFv)” 단편은 짧은 링커 펩티드를 통해 경쇄 가변 도메인에 연결된 중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한다 (Huston 등 (1988) Proc. Natl. Acad. Sci. USA 85, 5879-5883). 2가 단일 사슬 가변 단편들(di-scFvs)은 2개의 scFv(scFvA-scFvB)를 연결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것은 “탠덤 scFv”(VHA-VLA-VHB-VLB)를 생성하는 2개의 VH 및 2개의 VL 영역을 갖는 단일 펩티드 사슬을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너무 짧아서 두 개의 가변 영역이 함께 폴딩될 수 없는 링커를 가지는 scFv를 생성하여 scFv가 이량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5개 잔기인 링커들을 사용하여 이러한 이량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유형은 “디아바디”로 공지되어 있다. V H와 VL 도메인 사이에 훨씬 더 짧은 링커 (1개 또는 2개의 아미노산)는 단일특이성 삼량체, 소위 “트리아바디” 또는 “트리바디”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중특이성 디아바디는 각각 VHA-VLB 및 VHB-VLA 또는 VLA-VHB 및 VLB-VHA 배열을 가지는 사슬들로 발현함으로써 형성된다. 단일쇄 디아바디(scDb)는 12-20개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14개 아미노산의 링커 펩티드(P)에 의해 연결된 VHA-VLB 및 VHB-VLA 단편 (VHA-VLB-P-VHB-VLA)을 포함한다. “이중특이성 T 세포 인게이저(BiTE)”는 상이한 항체들의 2개의 scFv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로서, 이때 scFv 중 하나는 CD3 수용체를 통해 T 세포에 결합하고 다른 하나는 종양 특이적 분자를 통해 종양 세포에 결합한다 (Kufer 등 (2004) Trends Biotechnol. 22:238-244). 이중 친화성 재표적화 분자 (“DART” 분자)는 C-말단 이황화물 다리를 통해 추가로 안정화된 디아바디이다.
따라서, 용어 “항체 단편”은 바람직하게는 그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온전한 항체의 일부를 지칭한다. 항체 단편에는 Fab, Fab', F(ab')2, Fv 단편; 디아바디; sdAb, 나노바디, scFv, di-scFv, 탠덤 scFv, 트리아바디, 디아바디, scDb, BiTE 및 DART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결합 친화도”는 일반적으로 분자 (예를 들어, 항체)의 단일 결합 부위와 이의 결합 짝 (예를 들어, 항원) 사이의 비공유 상호작용의 총합 강도를 지칭한다. 달리 표시되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결합 친화도”는 결합쌍(예를 들면, 항체 및 항원)의 구성원 간의 1:1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고유 결합 친화도를 의미한다. 분자 X의 그 짝 Y에 대한 친화도는 일반적으로 해리 상수 (Kd)로 나타낼 수 있다. 친화도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기반 분석(예를 들어,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2005/012359에 기재된 바와 같은 BIAcore 분석); 효소 결합 면역흡수 분석(ELISA); 및 경쟁 분석(예를 들어, RIA)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해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들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낮은-친화도 항체는 일반적으로 항원에 느리게 결합하고, 즉각 해리되는 경향이 있고, 반면 높은-친화도 항체는 일반적으로 항원에 더 신속하게 결합하고, 더 오래도록 결합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결합 친화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이들중 임의의 것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샌드위치 면역분석”은 관심 분석물의 검출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분석에서 분석물은 제1 항체와 제2 항체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분석에서는 포획 및 검출 항체가 관심 분석물의 서로 다른 비중첩 에피토프에 결합해야 한다. 적절한 수단으로 그러한 샌드위치 복합체를 측정하고 분석물을 정량화한다. 전형적인 샌드위치형 분석에서, 고체상에 결합되거나 이에 결합할 수 있는 1차 항체 및 검출가능하게 표지된 2차 항체는 각각 상이한 비중첩 에피토프에서 분석물에 결합한다. 제1 분석물 특이적 결합제 (예를 들어, 항체)는 고체 표면에 공유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결합된다. 고체 표면은 전형적으로 유리 또는 중합체이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나일론,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고체 지지체는 튜브, 비드, 마이크로플레이트의 디스크 또는 면역분석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타 표면의 형태일 수 있다. 결합 과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교 공유 결합 또는 물리적 흡착으로 구성되며, 중합체-항체 복합체는 테스트 샘플 준비시 세척된다. 이어서 테스트 샘플 분취액이 고체상 복합체에 첨가되고, 제1 또는 포획 항체 그리고 상응하는 항원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예를 들어, 2-40분 또는 더 편하다면 밤새) 그리고 적합한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실온 내지 40℃, 예를 들어, 25℃내지 37℃) 배양된다. 인큐베이션 기간 후, 제1 또는 포획 항체 및 이에 결합된 항체를 포함하는 고체상은 세척되어 항원 상의 또 다른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제2 또는 표지된 항체와 함께 배양될 수 있다. 제2 항체는 리포터 분자에 연결되며, 이는 제1 항체와 관심 항원의 복합체에 대한 제2 항체의 결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매우 다양한 대체 샌드위치 분석 형태에는 결합 쌍의 제1 파트너, 예를 들어, 상자성 스트렙타비딘 코팅된 마이크로입자로 코팅된 고체상의 사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입자는 결합 쌍의 제2 파트너 (예를 들어, 비오틴화된 항체)에 결합되는 분석물-특이적 결합제, 분석물을 포함하거나 포함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샘플, 및 검출가능하게 표지된 제2 분석물-특이적 결합제와 혼합되고 배양되며, 상기 결합 쌍의 제2 파트너는 상기 분석물-특이적 결합제에 결합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이들 성분들은 표지된 항체가 분석물, (이에 결합된) 분석물-특이적 결합제, 결합 쌍의 제2 파트너 및 결합 쌍의 제1 파트너에 의해 고체상 마이크로입자에 결합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적절한 조건하에서 인큐베이션된다. 적절한 경우 이러한 분석은 하나 이상의 세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가능하게 표지된”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표지를 포함한다.
직접 검출가능한 표지는 검출가능한 신호를 제공하거나 제2 표지와 상호작용하여 제1 또는 제2 표지에 의해 제공되는 검출가능한 신호를 변형시켜, FRET(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을 제공한다. 형광 염료 및 발광(화학발광 및 전기화학발광 포함) 염료와 같은 표지 (Briggs 등 “Synthesis of Functionalised Fluorescent Dyes and Their Coupling to Amines and Amino Acids,” J. Chem. Soc., Perkin-Trans. 1 (1997) 1051-1058)는 검출가능한 신호를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표지에 적용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 표지는 검출가능한 신호, 즉, 형광 표지, 발광 표지 (예를 들어, 화학발광 표지 또는 전기화학발광 표지), 방사성 표지 또는 금속-킬레이트 기반 표지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표지 각각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다음 범주들로 그룹화될 수 있는 수많은 표지들 (염료라고도 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함께 그리고 이들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를 나타낸다.
(a) 형광 염료
형광 염료는, 예를 들어, Briggs 등 “Synthesis of Functionalized Fluorescent Dyes and Their Coupling to Amines and Amino Acids,” J. Chem. Soc., Perkin-Trans. 1 (1997) 1051-1058)에 기재되어 있다.
형광 표지 또는 형광단은 희토류 킬레이트 (유로피움 킬레이트), FITC, 5-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6-카르복시 플루오레세인을 포함하는 플루오레세인 유형 표지; TAMRA를 포함하는 로다민 유형 표지; 단실; 리사민; 시아닌; 피코에리트린; 텍사스 레드; 및 이들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형광 표지는 본원에 개시된 기술을 사용하여 표적 분자에 포함된 알데히드기에 접합될 수 있다. 형광 염료 및 형광 표지 시약은 Invitrogen/Molecular Probes (Eugene, Oregon, USA) 및 Pierce Biotechnology, Inc.(Rockford, IL)로부터 구입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b) 발광 염료
발광 염료 또는 표지는 화학발광 및 전기화학발광 염료로 더욱 세분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화학발광 표지에는 루미놀, 아크리디늄 화합물, 코엘렌테라진 및 유사체, 디옥세탄, 퍼옥시옥살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포함된다. 면역진단 절차의 경우 주로 아크리디늄 기반 표지가 사용된다 (상세한 검토는 Dodeigne C. 등, Talanta 51 2000;415-439에 제공됨).
전기화학발광 표지로 사용되는 주요 관련 표지들은 각각 루테늄 기반 및 이리듐 기반 전기화학발광 복합체이다. 전기화학발광 (ECL)은 매우 민감하고 선택적인 방법으로서 분석 응용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는 전극 전위를 적용하여 반응 제어의 용이성과 화학 발광 분석의 분석 장점(배경 광학 신호의 부재)을 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루테늄 복합체, 특히 액상 또는 액체-고체 계면에서 TPA(트리프로필아민)로 재생되는 [Ru(Bpy)3]2+(~620nm에서 광자를 방출)가 ECL 표지로 사용된다.
전기화학발광(ECL) 분석은 관심 분석물의 존재 및 농도에 대한 민감하고 정확한 측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은 적절한 화학적 환경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되거나 환원될 때 발광하도록 유도될 수 있는 표지 또는 기타 반응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기화학발광은 특정 시간에 특정 방식으로 작업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유발된다. 표지에 의해 생성된 빛이 측정되며 이는 분석물의 존재 또는 양을 나타낸다. 이러한 ECL 기술들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 5,221,605, 미국 특허 제 5,591,581, 미국 특허 제 5,597,910,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0/05296,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2/14139,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0/05301,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6/24690,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US95/03190, PCT 특허출원 US97/16942,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US96/06763,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5/08644,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6/06946,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6/33411,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87/06706,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6/39534,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6/41175, PCT 특허출원 공개공보 WO96/40978, PCT/US97/03653 및 미국 특허 출원 08/437,348 (미국 특허 제 5,679,519)를 참조하라. 또한 ECL의 분석적 응용에 관한 Knight, 등 의 문헌 (Analyst, 1994, 119: 879-890)의 1994년 검토 및 이 문헌에서 이용된 참조문헌들을 참조하라. 한 구체예에서, 본 설명에 따른 방법은 전기화학발광 표지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최근에는 또한 이리듐 기반 ECL-표지들이 설명된 바 있다 (WO2012107419).
(c) 방사성 표지는 방사성 동위원소(방사성 핵종), 예를 들어, 3H, 11C, 14C, 18F, 32P, 35S, 64Cu, 68Gn, 86Y, 89Zr, 99TC, 111In, 123I, 124I, 125I, 131I, 133Xe, 177Lu, 211At, 또는 131Bi를 사용한다.
(d) 영상화 및 치료 목적을 위한 표지로 적합한 금속-킬레이트 복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US 2010/0111861; US 5,342,606; US 5,428,155; US 5,316,757; US 5,480,990; US 5,462,725; US 5,428,139; US 5,385,893; US 5,739,294; US 5,750,660; US 5,834,461; Hnatowich 등, J. Immunol. Methods 65 (1983) 147-157; Meares 등, Anal. Biochem. 142 (1984) 68-78; Mirzadeh 등, Bioconjugate Chem. 1 (1990) 59-65; Meares 등, J. Cancer (1990), Suppl. 10:21-26; Izard 등, Bioconjugate Chem. 3 (1992) 346-350; Nikula 등, Nucl. Med. Biol. 22 (1995) 387-90; Camera 등, Nucl. Med. Biol. 20 (1993) 955-62; Kukis 등, J. Nucl. Med. 39 (1998) 2105-2110; Verel 등, J. Nucl. Med. 44 (2003) 1663-1670; Camera 등, J. Nucl. Med. 21 (1994) 640-646; Ruegg 등, Cancer Res. 50 (1990) 4221-4226; Verel 등, J. Nucl. Med. 44 (2003) 1663-1670; Lee 등, Cancer Res. 61 (2001) 4474-4482; Mitchell, 등, J. Nucl. Med. 44 (2003) 1105-1112; Kobayashi 등 Bioconjugate Chem. 10 (1999) 103-111; Miederer 등, J. Nucl. Med. 45 (2004) 129-137; DeNardo 등, Clinical Cancer Research 4 (1998) 2483-90; Blend 등, Cancer Biotherapy & Radiopharmaceuticals 18 (2003) 355-363; Nikula 등 J. Nucl. Med. 40 (1999) 166-76; Kobayashi 등, J. Nucl. Med. 39 (1998) 829-36; Mardirossian 등, Nucl. Med. Biol. 20 (1993) 65-74; Roselli 등, Cancer Biotherapy & Radiopharmaceuticals, 14 (1999) 209-20).
구체예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지 또는 자궁내막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결정된 양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구체예들에서,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 상승은 환자의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낸다. 특히, 환자 샘플의 S100A8의 양이 기준 또는 기준 샘플의 S100A8의 양 보다 많은 경우 환자 샘플의 S100A8의 양은 환자의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낸다. 특히, S100A8은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지 않거나 발병 위험이 없는 개체의 동일한 유체 샘플에서보다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에 대해 평가된 환자의 유체 샘플에서 더 많은 양으로 검출될 수 있다.
특히, S100A8 양의 50% 이상의 상승은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낸다. 특히, S100A8 양의 100% 이상의 상승은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낸다. 특히, S100A8 양의 150% 이상의 상승은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낸다. 특히, S100A8 양의 200% 이상의 상승은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환자의 샘플은 체액 샘플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샘플은 전혈, 혈청 또는 혈장 샘플이다. 구체예들에서, 샘플은 시험관내 샘플이다, 즉, 이는 시험관내에서 분석되며 체내로 다시 전달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실험 동물, 가축 또는 영장류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인간 환자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여성 인간 환자이다.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3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4기 자궁내막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1기, 2기, 3기, 또는 4기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초기 자궁내막증, 특히,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또는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3기 또는 4기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복막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종, 심부 침윤성 자궁내막증 (DIE) 및 자궁선근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또는 2기 복막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들에서, 평가는 rASRM 병기결정과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특히, 평가는 복강경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수행된다. 특히 평가는 복강경검사 및/또는 rASRM 병기결정을 사용하여 환자의 자궁내막증의 존재 또는 중증도를 평가하지 않고 수행된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시험관내 방법이다.
구체예들에서, S100A8의 양은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구체예들에서,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a)는 면역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면역 분석은 직접 또는 간접 형식으로 수행된다. 구체예들에서 이러한 면역분석은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 효소 면역분석(EIA), 방사선면역분석(RIA), 또는 발광, 형광, 화학발광 또는 전기화학발광의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 분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a)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i) 환자의 샘플을 S100A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여 항체와 S100A8 사이에 복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ii) 단계 i)에서 형성된 복합체를 정량화함으로써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정량화하는 단계.
특정 구체예들에서, 단계 i)에서 샘플은 S100A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2개의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샘플은 제1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그리고 조건하에서 제1 및 제2 항체와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즉, 제1 항체 먼저 그리고 그후 제2 항체와, 또는 제2 항체 먼저 그리고 그 후 제1 항체와, 또는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는 특이적 항-S100A8 항체와 S100A8 항원/분석물 사이의 복합체 (= 항-S100A8 복합체) 형성 또는 S100A8에 대한 제1 항체, S100A8 (분석물) 및 제2 항 - S100A8 항체를 포함하는 2차, 또는 샌드위치 복합체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 형성에 적절한 또는 이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일상적인 실험에 불과하다.
항-S100A8 항체/S100A8 복합체의 검출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의 검출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수단/방법들에 절대적으로 익숙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S100A8, S100A8(분석물)에 대한 제1 항체 및 S100A8에 대한 제2 항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가 형성될 것이며, 여기서 제2 항체는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한 구체예에서 S100A8에 대한 제1 항체, S100A8(분석물) 및 S100A8에 대한 제2 항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가 형성될 것이며, 여기서 제2 항체는 검출가능하게 표지되고 제1 항-S100A8 항체는 고체상에 결합할 수 있거나 고체상에 결합된다.
구체예들에서, 제2 항체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제2 항체는 발광 염료, 특히 화학발광 염료 또는 전기화학발광 염료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구체예들에서,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월경통 및/또는 하복부 통증의 존재를 평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월경통 및/또는 하복부 통증의 존재는 VAS 척도에 따라 평가된다. 구체예들에서, 4 이상의 월경통 VAS 점수는 중등도 또는 중증 월경통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3 이하의 점수는 월경통이 없거나 경증임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CA-125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월경통,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VAS 척도에 따른 하복부 통증, 또는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CA-125의 양 또는 농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를 받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구체예들에서, 환자 샘플에서 S100A8 양의 상승이 결정되는 경우 환자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특히, 환자 샘플에서 S100A8의 양이 기준 또는 기준 샘플에서 S100A8의 양보다 많은 경우 환자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특히, S100A8의 양이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지 않거나 발병할 위험이 없거나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되지 않은 개체의 동일한 유체 샘플에서보다 평가된 환자의 유체 샘플에서 더 많은 경우 환자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특히 S100A8의 양이 50% 이상 상승된 경우 환자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특히 S100A8의 양이 100% 이상 상승된 경우 환자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특히 S100A8의 양이 150% 이상 상승된 경우 환자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특히 S100A8의 양이 200% 이상 상승된 경우 환자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약물 기반 요법 또는 외과 요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의 외과적 요법은 복강경검사 또는 신경 보존 수술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의 약물 기반 요법은 신경성 염증을 억제하거나 표적하는 것 및/또는 진통제 및/또는 호르몬 요법 (예를 들어, 호르몬 피임제 또는 GnRH 효능제)이다.
구체예들에서, 환자의 샘플은 체액 샘플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샘플은 전혈, 혈청 또는 혈장 샘플이다. 구체예들에서, 샘플은 시험관내 샘플이다, 즉, 이는 시험관내에서 분석되며 체내로 다시 전달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실험 동물, 가축 또는 영장류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인간 환자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여성 인간 환자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3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4기 자궁내막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지궁내막증은 1기, 2기, 3기, 또는 4기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초기 자궁내막증, 특히,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또는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3기 또는 4기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복막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종, 심부 침윤성 자궁내막증 (DIE) 및 자궁선근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또는 2기 복막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시험관내 방법이다.
구체예들에서, S100A8의 양은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구체예들에서,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a)는 면역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면역 분석은 직접 또는 간접 형식으로 수행된다. 구체예들에서 이러한 면역분석은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 효소 면역분석(EIA), 방사선면역분석(RIA), 또는 발광, 형광, 화학발광 또는 전기화학발광의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 분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a)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i) 환자의 샘플을 S100A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여 항체와 S100A8 사이에 복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ii) 단계 i)에서 형성된 복합체를 정량화함으로써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정량화하는 단계.
특정 구체예들에서, 단계 i)에서 샘플은 S100A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2개의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샘플은 제1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그리고 조건하에서 제1 및 제2 항체와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즉, 제1 항체 먼저 그리고 그후 제2 항체와, 또는 제2 항체 먼저 그리고 그 후 제1 항체와, 또는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는 특이적 항-S100A8 항체와 S100A8 항원/분석물 사이의 복합체 (= 항-S100A8 복합체) 형성 또는 S100A8에 대한 제1 항체, S100A8 (분석물) 및 제2 항 - S100A8 항체를 포함하는 2차, 또는 샌드위치 복합체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 형성에 적절한 또는 이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일상적인 실험에 불과하다. 항-S100A8 항체/S100A8 복합체의 검출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의 검출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수단/방법들에 절대적으로 익숙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S100A8, S100A8(분석물)에 대한 제1 항체 및 S100A8에 대한 제2 항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가 형성될 것이며, 여기서 제2 항체는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한 구체예에서 S100A8에 대한 제1 항체, S100A8(분석물) 및 S100A8에 대한 제2 항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가 형성될 것이며, 여기서 제2 항체는 검출가능하게 표지되고 제1 항-S100A8 항체는 고체상에 결합할 수 있거나 고체상에 결합된다.
구체예들에서, 제2 항체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제2 항체는 발광 염료, 특히 화학발광 염료 또는 전기화학발광 염료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구체예들에서,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월경통 및/또는 하복부 통증의 존재를 평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월경통 및/또는 하복부 통증의 존재는 VAS 척도에 따라 평가된다. 구체예들에서, 4 이상의 월경통 VAS 점수는 중등도 또는 중증 월경통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3 이하의 점수는 월경통이 없거나 경증임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CA-125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월경통,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VAS 척도에 따른 하복부 통증, 또는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CA-125의 양 또는 농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거나 자궁내막증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모니터링하여 환자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지 결정한다. 특히,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모니터링하여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또는 변하지 않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환자는 환자 샘플에서 S100A8 양의 상승이 결정되는 경우 모니터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링하여 환자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지 결정한다. 특히,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링하여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또는 변하지 않는지를 결정한다. 특히,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링하여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적용된 요법으로 인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또는 변하지 않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의 감소는 해당 요법이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변하지 않았거나 증가하는 것은 해당 요법이 비효과적임을 나타낸다, 즉,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변하지 않았거나 증가하는 것은 자궁내막증의 지속 또는 재발을 나타낸다. 특히 자궁내막증 치료는 S100A8의 양이 50% 이상까지 증가하는 경우 비효과적이다. 특히 자궁내막증 치료는 S100A8의 양이 100% 이상까지 증가하는 경우 비효과적이다. 특히 자궁내막증 치료는 S100A8의 양이 150% 이상까지 증가하는 경우 비효과적이다. 특히 자궁내막증 치료는 S100A8의 양이 200% 이상까지 증가하는 경우 비효과적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가 변하지 않거나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해당 요법이 적용된다.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다른 시점에서 여러 번 모니터된다.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수 주, 수 개월 또는 수 년의 기간 내에 여러 번 모니터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월 1회 또는 연 1회 모니터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자궁내막증 진단 후 월 1회 또는 연 1회 모니터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는 요법 후 1회, 특히 외과적 요법 후 1회 모니터된다. 특히 자궁내막증을 치료 중인 환자는 치료 효능 및/또는 자궁내막증의 재발을 결정하기 위해 월 1회 또는 연 1회 모니터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 치료는 약물 기반 요법 또는 외과 요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의 외과적 요법은 복강경검사 또는 신경 보존 수술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의 약물 기반 요법은 신경성 염증을 억제하거나 표적하는 것 및/또는 진통제 및/또는 호르몬 요법이다. 구체예들에서, 환자의 샘플은 체액 샘플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샘플은 전혈, 혈청 또는 혈장 샘플이다. 구체예들에서, 샘플은 시험관내 샘플이다, 즉, 이는 시험관내에서 분석되며 체내로 다시 전달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실험 동물, 가축 또는 영장류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인간 환자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는 여성 인간 환자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3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4기 자궁내막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지궁내막증은 1기, 2기, 3기, 또는 4기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초기 자궁내막증, 특히,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또는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3기 또는 4기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들에서, 자궁내막증은 복막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종, 심부 침윤성 자궁내막증 (DIE) 및 자궁선근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가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또는 2기 복막 자궁내막증이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시험관내 방법이다.
구체예들에서, S100A8의 양은 항체, 특히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구체예들에서,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a)는 면역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면역 분석은 직접 또는 간접 형식으로 수행된다. 구체예들에서 이러한 면역분석은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 효소 면역분석(EIA), 방사선면역분석(RIA), 또는 발광, 형광, 화학발광 또는 전기화학발광의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 분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환자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a)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i) 환자의 샘플을 S100A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여 항체와 S100A8 사이에 복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ii) 단계 i)에서 형성된 복합체를 정량화함으로써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을 정량화하는 단계.
특정 구체예들에서, 단계 i)에서 샘플은 S100A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2개의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샘플은 제1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그리고 조건하에서 제1 및 제2 항체와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즉, 제1 항체 먼저 그리고 그후 제2 항체와, 또는 제2 항체 먼저 그리고 그 후 제1 항체와, 또는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는 특이적 항-S100A8 항체와 S100A8 항원/분석물 사이의 복합체 (= 항-S100A8 복합체) 형성 또는 S100A8에 대한 제1 항체, S100A8 (분석물) 및 제2 항 - S100A8 항체를 포함하는 2차, 또는 샌드위치 복합체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 형성에 적절한 또는 이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일상적인 실험에 불과하다.
항-S100A8 항체/S100A8 복합체의 검출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항-S100A8 항체/S100A8/제2 항-S100A8 항체 복합체의 검출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수단/방법들에 절대적으로 익숙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S100A8, S100A8(분석물)에 대한 제1 항체 및 S100A8에 대한 제2 항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가 형성될 것이며, 여기서 제2 항체는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한 구체예에서 S100A8에 대한 제1 항체, S100A8(분석물) 및 S100A8에 대한 제2 항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가 형성될 것이며, 여기서 제2 항체는 검출가능하게 표지되고 제1 항-S100A8 항체는 고체상에 결합할 수 있거나 고체상에 결합된다.
구체예들에서, 제2 항체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제2 항체는 발광 염료, 특히 화학발광 염료 또는 전기화학발광 염료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다.
구체예들에서,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월경통 및/또는 하복부 통증의 존재를 평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월경통 및/또는 하복부 통증의 존재는 VAS 척도에 따라 평가된다. 구체예들에서, 4 이상의 월경통 VAS 점수는 중등도 또는 중증 월경통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3 이하의 점수는 월경통이 없거나 경증임을 나타낸다.
구체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CA-125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예들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월경통,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VAS 척도에 따른 하복부 통증, 또는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CA-125의 양 또는 농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서, 본 발명은 다음 양상들에 관한 것이다: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지 또는 자궁내막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2.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의 치료 [특히 약물 기반 요법 또는 외과 요법(복강경검사)]를 위해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3.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거나 자궁내막증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하는 방법: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4. 양상 1 내지 3에 있어서,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 상승은 환자의 자궁내막증의 존재를 나타내는, 방법.
5. 양상 1 내지 4에 있어서, 샘플은 체액인, 방법.
6. 양상 1 내지 5에 있어서, 샘플은 혈액, 혈청 또는 혈장인, 방법.
7. 양상 1 내지 6에 있어서, 대상체는 여성 환자, 특히, 인간 여성 환자인, 방법.
8. 양상 1 내지 7에 있어서, 평가는 rASRM 병기결정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방법.
9. 양상 1 내지 8에 있어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3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4기 자궁내막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0. 양상 1 내지 9에 있어서, 자궁내막증은 초기 자궁내막증, 특히,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또는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인, 방법.
11. 양상 1 내지 10에 있어서, 자궁내막증은 복막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종, 심부 침윤성 자궁내막증 및 자궁선근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2. 양상 1 내지 11에 있어서, VAS 척도에 따른 월경통 및/또는 VAS 척도에 따른 하복부 통증의 평가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양상 1 내지 12에 있어서, CA-125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양상 12 또는 13에 있어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월경통,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VAS 척도에 따른 하복부 통증, 또는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CA-125의 양 또는 농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다음의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며, 그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제시된 절차에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자궁내막증이 있는 및 대조군 여성에서 바이오마커 S100A8 및 바이오마커 조합의 진단 성능.
측정을 위해 인간 여성의 총 21개의 혈청과 31개의 혈장 샘플을 분석했다. 분석물의 농도는 ELISA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사례군은 복강경 시각화 그리고 이어서 조직학적으로 확인하여 진단하여 골반 자궁내막증(ASRM 1-4기)을 진단받은 환자들과 자궁내막증이 없는 건강한 여성들을 포함하는 대조군으로 구성된다.
인간 혈청에서 S100A8의 농도는 CircuLex/MBL의 Human S100A8/MRP8 ELISA 키트 (독일 Biozol Eching에 의해 배급됨, 카탈로그 번호: CY-8061)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키트는 정량적 샌드위치 ELISA 기술을 사용한다. 이 분석의 측정 범위는 78.1 pg/mL - 5,000 pg/mL이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는 인간 S100A8에 특이적인 단일 클론 항체로 사전 코팅되어 있다. 샘플들은 200배 희석액으로 측정된다. 모든 시약들을 실온이 되게 한 후 각 샘플과 표준물질 100μL를 추가한다. 샘플들은 단독실험으로 측정하고, 표준물질들은 중복실험으로 측정한다. 분당 650 라운드(rpm)로 설정된 마이크로플레이트 진탕기에서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는 동안 존재하는 모든 S100A8은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고정화된 포획 항체에 결합된다. 세척 단계 (4x 350 μL) 동안 결합되지 않은 물질을 플레이트에서 제거한 다음, S100A8에 특이적인 효소 결합 단일클론 항체 100 μL을 웰들에 추가한다. 진탕기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고 결합되지 않은 검출 항체를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세척 단계 이후, 100μL의 기질 용액을 플레이트에 추가한다. 다음 10분 이내에 색상은 초기 단계에서 결합되는 S100A8의 양에 비례하여 발색된다. 100 μL 정지 용액을 첨가하여 발색을 정지시키고 검출용으로 450 nm 및 배경 빼기용으로 570 nm의 플레이트 판독기로 색상 강도를 측정한다. 교정물질 곡선 생성을 위해 키트와 함께 제공된 동결건조된 재조합 S100A8을 재구성하고 교정물질 희석제에 희석했다. 이 분석의 교정 범위는 78.1 pg/mL - 5,000 pg/mL이다. 교정물질 6 (5,000 pg/mL)은 400μL의 희석 완충액으로 1:10으로 추가 희석하여 인간 S100A8 표준 (키트에 제공)를 재구성하여 준비한다. 교정물질 5 내지 교정물질 1 (78.1 pg/mL)은 교정물질 희석제에서 연속 2배 희석 단계에 의해 준비된다. 순수한 교정물질 희석제는 바탕으로 기능한다 (0 pg/mL). 교정 곡선은 가중치가 없는 4-매개변수 비선형 회귀(Newton/Raphson)를 사용하여 피팅하였다.
CA-125의 농도는 cobas e 601 분석기로 측정되었다. cobas e 601 분석기를 사용한 CA 125 II 검출은 Elecsys® 전기화학발광 (ECL)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간단히 말해서, 비오틴 표지 및 루테늄 표지 항체는 희석되지 않은 샘플 각각의 양과 조합되어 분석기에서 인큐베이션된다. 그 후, 스트렙타비딘으로 코팅된 자성 마이크로입자가 추가되고 비오틴 표지된 면역학적 복합체의 결합을 촉진하기 위해 기기에서 인큐베이션된다. 이 인큐베이션 단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측정 셀로 옮기고 비드가 전극 표면에 자기적으로 포획된다. 그런 다음 후속 ECL 반응을 위한 트리프로필아민(TPA)이 포함된 ProCell M 완충액을 측정 셀에 도입하여 결합된 면역분석 복합체를 유리 잔류 입자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작업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의 전압 유도로 반응이 개시되고 TPA 뿐만 아니라 루테늄 복합체에 의해 광자를 방출시킨다. 생성된 전기화학발광 신호는 광전자 증배관에 의해 기록되고 각 분석물의 농도 수준을 나타내는 숫자 값으로 변환된다.
수신자 조작 특성 (ROC) 곡선이 생성되었다 (단일 바이오마커는 도 1 참조, 바이오마커와 임상 증상의 조합은 도 2 참조). 모델 성능은 곡선 아래 면적을 보고 결정한다 (AUC). 가능한 최고 AUC는 1인 반면 가능한 최저값은 0.5이다. Youden 지수를 사용하여 최적의 컷오프를 선택했다 (민감도와 특이도의 최대 합 - 1).
표 1: 자궁내막증이 있는 및 대조군 여성에서 바이오마커 S100A8 및 바이오마커 조합의 진단 성능.
Figure pct00001
다변량 분석의 경우 AUC 도표, 다양한 바이오마커 조합에 대한 컷오프를 적용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및 Youden 지수를 기반으로 자궁내막증을 예측했다. 4 이상의 월경통 VAS 점수는 중등도 또는 중증 월경통을 나타낸다. 3 이하의 점수는 월경통이 없거나 경증임을 나타낸다.
표 2: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Youden 지수를 기반으로 자궁내막증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바이오마커 조합에 대한 컷오프.
Figure pct00002
*절편 α: 곡선이 y축과 교차하는 점; **매개변수 β: 각 변수에 대한 선형 회귀 곡선의 기울기.
매개변수 α와 β의 값은 각각 다변량 분석에 포함된 분석물과 임상 증상에 따라 다르다.
S100A8 및 월경통 VAS에 따른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
● 로짓 = α + (β1* S100A8 값[pg/mL]) + (β2* 월경통 값 [VAS]) ≥ 컷오프값이면 질병 (즉, 자궁내막증 1, 2, 3 또는 4기), 그렇지 않으면 질병 없음
또는
● 로짓 = -3.1474 + (0.000033* S100A8) + (-0.8672* 월경통 값) ≥ -0.58422이면 질병 (즉, 자궁내막증 1, 2, 3 또는 4기), 그렇지 않으면 질병 없음
자궁내막증 사례/대조군 및 자궁내막증 사례 G1/2 (rASRM 1-2기)/ 자궁내막증 사례 G3-4 (rASRM 3-4기)/대조군에 대해 박스 플롯들 (도 3 참조)을 생성하였다. 데이터는 중앙값 (중간 사분위수), 사분위수 범위 (해당 군에 대한 점수의 중간 50%를 나타냄), 상위 사분위수(점수의 75%가 상위 사분위수 아래에 있음), 하위 사분위수(점수의 25%가 하위 사분위수 아래에 있음)를 포함한 박스 및 수염 플롯들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수염은 각각 5번째 백분위수와 95번째 백분위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자궁선근증이 있는 및 대조군 여성에서 바이오마커 S100A8 및 바이오마커 조합의 진단 성능.
사례군은 복강경 시각화 그리고 이어서 조직학적으로 확인하여 자궁선근증으로 진단된 환자들로 구성되었고 대조군은 자궁선근증이 없는 건강한 여성들로 구성되었다. 사례군 포함 기준은 골반 통증/불임의 존재 및 18-45세 사이의 연령이었다. 사례군의 배제기준은 임신/수유부, 악성종양, 재발성 자궁선근증, 복강경/개복술 ≤6개월인 경우이다.
인간 혈청 중 S100A8의 농도는 CircuLex/MBL의 인간 S100A8/MR8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실시예 1 참조).
CA-125의 농도는 앞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lecsys® CA 125 II를 사용하는 cobas e 601 분석기에 의해 결정되었다.
단일 바이오마커에 대한 단변량 모델에 의해 수신자 조작 특성 (ROC) 곡선을 생성하였다. 모델 성능은 곡선 아래 면적을 보고 결정한다 (AUC).
표 3. 자궁선근증 사례 및 대조군에서 단일 바이오마커 S100A8 및 CA-125의 진단 성능.
Figure pct00003
자궁선근증 사례 대 대조군을 구별하기 위한 S100A8의 진단 성능은 바이오마커 CA-125의 진단 성능에 비해 더 높다.
도 4. 자궁선근증 사례 및 대조군에서 S100A8의 혈청 수준의 박스 플롯 및 ROC 곡선. (A) 박스 플롯은 대조군 대 자궁선근증 사례들의 혈청 S100A8 수준을 보여준다. 각 박스의 하단 및 상단 가장자리는 각각 첫 번째 및 세 번째 사분위수에 해당한다. 가운데 굵은 선은 중앙값을 나타내고 상단 및 하단 수염들은 사분위수 범위의 1.5배인 값을 나타낸다. (B) 대조군 및 자궁선근증 사례들에 대한 혈청 S100A8의 ROC 곡선을 나타낸다.
도 5. 자궁선근증 사례 및 대조군에서 CA-125의 혈청 수준의 박스 플롯 및 ROC 곡선. (A) 박스 플롯은 대조군 대 자궁선근증 사례들의 혈청 CA-125 수준을 보여준다. 각 박스의 하단 및 상단 가장자리는 각각 첫 번째 및 세 번째 사분위수에 해당한다. 가운데 굵은 선은 중앙값을 나타내고 상단 및 하단 수염들은 사분위수 범위의 1.5배인 값을 나타낸다. (B) 대조군 및 자궁선근증 사례들에 대한 혈청 CA-125의 ROC 곡선을 나타낸다.

Claims (15)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자궁내막증이 있는지 또는 자궁내막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2.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에 대한 치료 [특히 약물 기반 요법 또는 외과 요법(복강경검사)]를 받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3.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거나 자궁내막증 치료 중인 있는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양 또는 농도를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샘플에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 상승은 환자의 자궁내막증의 존재를 나타내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은 체액인,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은 혈액, 혈청 또는 혈장인,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여성 환자, 특히, 인간 여성 환자인, 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가는 rASRM 병기결정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궁내막증은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3기 자궁내막증,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4기 자궁내막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궁내막증은 초기 자궁내막증, 특히,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1기 자궁내막증 또는 rASRM 병기결정에 따른 2기 자궁내막증인,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궁내막증은 복막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종, 심부 침윤성 자궁내막증 및 자궁선근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자궁선근증이 평가되는,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AS 척도에 따른 월경통 및/또는 VAS 척도에 따른 하복부 통증의 평가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125의 양 또는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월경통의 비율,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VAS 척도에 따른 하복부 통증의 비율, 또는 S100A8의 양 또는 농도와 CA-125의 양 또는 농도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02014A 2019-07-22 2020-07-20 자궁내막증의 비침습적 진단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로서의 s100a8 Ceased KR20220024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87474.2 2019-07-22
EP19187474 2019-07-22
PCT/EP2020/070427 WO2021013784A1 (en) 2019-07-22 2020-07-20 S100a8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782A true KR20220024782A (ko) 2022-03-03

Family

ID=6743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014A Ceased KR20220024782A (ko) 2019-07-22 2020-07-20 자궁내막증의 비침습적 진단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로서의 s100a8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37068A1 (ko)
EP (1) EP4004553A1 (ko)
JP (1) JP7421631B2 (ko)
KR (1) KR20220024782A (ko)
CN (1) CN114144673A (ko)
BR (1) BR112022000945A2 (ko)
WO (1) WO2021013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3051A (zh) * 2023-04-28 2023-08-25 融智生物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人钙结合蛋白s100a8检测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606A (en) 1984-10-18 1994-08-3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olyazamacrocyclic compounds for complexation of metal ions
US5316757A (en) 1984-10-18 1994-05-3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nthesis of polyazamacrocycles with more than one type of side-chain chelating groups
US5221605A (en) 1984-10-31 1993-06-22 Igen, Inc. Luminescent metal chelate labels and means for detection
ATE127923T1 (de) 1986-04-30 1995-09-15 Igen Inc Elektrochemilumineszenz-testverfahren.
US5591581A (en) 1986-04-30 1997-01-07 Igen, Inc. Electrochemiluminescent rhenium moieties and methods for their use
JPH076913B2 (ja) 1988-11-03 1995-01-30 イゲ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ミン誘導還元剤を利用する電気化学発光反応
AU637775B2 (en) 1988-11-03 1993-06-10 Igen, Inc. Electrochemiluminescent assays
IL93661A0 (en) * 1989-03-07 1990-12-23 Adeza Biomedical Corp Endometriosis diagnosis and kits and reagents therefor
IL100867A (en) 1991-02-06 1995-12-08 Ige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uminescence assays
US5480990A (en) 1991-12-10 1996-01-02 The Dow Chemical Company Bicyclopolyazamacrocyclocarboxylic acid complexes for use as contrast agents
US5739294A (en) 1991-12-10 1998-04-14 The Dow Chemical Company Bicyclopol yazamacrocyclophosphonic acid complexes for use as contrast agents
US5428139A (en) 1991-12-10 1995-06-27 The Dow Chemical Company Bicyclopolyazamacrocyclophosphonic acid complexes for use as radiopharmaceuticals
ZA929351B (en) 1991-12-11 1993-06-04 Igen Inc Electrochemiluminescent label for DNA assays.
US5385893A (en) 1993-05-06 1995-01-31 The Dow Chemical Company Tricyclopolyazamacrocyclophosphonic acids, complexe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use as contrast agents
US5462725A (en) 1993-05-06 1995-10-31 The Dow Chemical Company 2-pyridylmethylenepolyazamacrocyclophosphonic acids, complexe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use as contrast agents
US5834461A (en) 1993-07-29 1998-11-10 American Cyanamid Company Tricyclic benzazepine vasopressin antagonists
ATE236269T1 (de) 1993-09-22 2003-04-15 Igen Int Inc Ein elektrochemiluminescenter nachweis von nukleinsäuren auf basis der selbsttragenden sequenzreplikation
EP0777741A4 (en) 1994-08-26 1999-01-13 Igen Inc BIOSENSOR AND METHOD FOR THE ELECTROPHOTOCHEMICAL LUMINESCENCE DETECTION OF NUCLEIC ACIDS ADSORBED ON A SOLID SURFACE
US5786141A (en) 1994-08-26 1998-07-28 Bard; Allen J.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 labels for analysis and/or referencing
US6852502B1 (en) 1995-06-06 2005-02-08 Bioveris Corporation Electrochemiluminescent enzyme biosensors
US5643713A (en) 1995-06-07 1997-07-01 Liang; Pam Electrochemiluminescent monitoring of compounds
AU5665196A (en) 1995-04-18 1996-11-07 Igen, Inc. Electrochemiluminescence of rare earth metal chelates
US5679519A (en) 1995-05-09 1997-10-21 Oprandy; John J. Multi-label complex for enhanced sensitivity in electrochemiluminescence assay
ATE358276T1 (de) 1995-06-07 2007-04-15 Bioveris Corp Elektrochemilumineszenz-enzymimmunoassay
US20050106667A1 (en) 2003-08-01 2005-05-19 Genentech, Inc Binding polypeptides with restricted diversity sequences
US7399598B2 (en) * 2005-10-14 2008-07-15 Taipei Medical University Diagnosis method of endometriosis by detecting biochemical markers and usage of these biochemical markers
WO2008016186A1 (fr) * 2006-08-03 2008-02-07 The University Of Tokyo Anticorps spécifique dirigé contre l'autotaxine humaine intacte, procédé de criblage dudit anticorps et procédé et réactif destinés à l'examen d'un lymphome malin par une analyse de l'autotaxine
US8338111B2 (en) * 2006-12-22 2012-12-25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ndometriosis markers
CN101210929A (zh) * 2006-12-29 2008-07-02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检测子宫内膜异位症血浆标志蛋白质的方法
US7871778B2 (en) * 2007-04-25 2011-01-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diagnosing endometriosis
EP2065707A1 (en) * 2007-11-28 2009-06-03 Laboratorios S.A.L.V.A.T., S.A. Detection of endometrial secretion markers for assesment of endometriosis
US8367332B2 (en) 2008-10-31 2013-02-05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abasic site formation in vivo
WO2010078411A1 (en) * 2008-12-30 2010-07-08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 of predicting acute appendicitis
KR20130056855A (ko) * 2010-03-01 2013-05-30 카리스 라이프 사이언스 룩셈부르크 홀딩스 치료진단용 생물학적 지표들
EP2673284B1 (en) 2011-02-09 2017-08-30 Roche Diagnostics GmbH New iridium-based complexes for ecl
NO20110895A1 (no) * 2011-06-21 2012-12-24 Magne Fagerhol Kompetitive S100A9 immunoanalyser
TW201401798A (zh) 2012-06-28 2014-01-01 Chunghwa Telecom Co Ltd FTTx光終端設備之用戶端動態多路由饋電系統
CN104885059B (zh) 2012-12-12 2017-09-08 株式会社东芝 云系统管理装置、云系统及重新配置方法
JP5922639B2 (ja) 2013-12-07 2016-05-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折り畳み式の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WO2016116881A1 (en) * 2015-01-23 2016-07-28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calprotectin
US9716942B2 (en) 2015-12-22 2017-07-25 Bose Corporation Mitigating effects of cavity resonance in speakers
WO2017201748A1 (zh) * 2016-05-27 2017-11-30 曾启瑞 一种检测子宫内膜异位症之方法与其应用
US10982282B2 (en) 2016-08-30 2021-04-20 Yale University MicroRNAs as biomarkers for endometrio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3784A1 (en) 2021-01-28
CN114144673A (zh) 2022-03-04
BR112022000945A2 (pt) 2022-03-08
US20220137068A1 (en) 2022-05-05
JP7421631B2 (ja) 2024-01-24
JP2022542054A (ja) 2022-09-29
EP4004553A1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7058A1 (en) S100a6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US20250130244A1 (en) Method for diagnosing endometriosis and for classifying the stage of endometriosis
WO2022207628A1 (en) Scf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US20240027474A1 (en) Psp94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US20220137068A1 (en) S100a8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US20220155315A1 (en) S100a9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JP7727015B2 (ja) 腺筋症の非侵襲的診断のための血液バイオマーカーとしてのsFRP4
US20220137069A1 (en) S100a12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US20220137052A1 (en) Substance p as blood biomarker for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endometriosis
WO2025026908A1 (en) Serum epha1 as biomarker for endometri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