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62874A -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874A
KR20220062874A KR1020200148568A KR20200148568A KR20220062874A KR 20220062874 A KR20220062874 A KR 20220062874A KR 1020200148568 A KR1020200148568 A KR 1020200148568A KR 20200148568 A KR20200148568 A KR 20200148568A KR 20220062874 A KR20220062874 A KR 20220062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requency
control
signal
gene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5633B1 (ko
Inventor
송지영
오승찬
구현근
이재걸
정솔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4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56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6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02J3/06Controlling transfer of power between connected networks; Controlling sharing of load between connected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2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or power factor or reactive power compensating or correct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제어 장치로서,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로부터 수신된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보조신호를 상기 전압제어 설비로 전달한다.

Description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REQUENCY OF THE POWER SYSTEM}
본 발명은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고, 신뢰도 기준의 최저주파수 유지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 부하는 그 부하의 특성에 따라 정전력, 정전류, 및 정임피던스의 조합으로 모델링되어 있고, 계통의 전압 변동에 따라 부하량도 함께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순환 정전시 계통의 주파수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일부 부하 차단뿐만 아니라 부하측 변압기 OLTC(On-Load Tap Changer)를 동작시켜 부하량을 임의로 저감시킨 사례가 있다. 이 경우, 수요와 공급(예를 들어, 부하와 발전) 사이에서 수요급증에 의한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주파수 하락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하측 전압을 임의로 낮추어 직간접적으로 부하량 감소에 따른 주파수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주파수 상승을 위한 OLTC 동작은 물리적인 변압기 탭 동작시간이 100초가량 소요되고, 시스템이 아닌 계통운영자의 급전지시를 통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계통 고장시 주파수 하락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발전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용량 송전선로, 초고압직류송전(HVDC, high-voltage direct current),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추가적인 설비 투자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고, 신뢰도 기준의 최저주파수 유지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고, 신뢰도 기준의 최저주파수 유지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주파수 제어 장치는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로부터 수신된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보조신호를 상기 전압제어 설비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통 주파수가 미리 지정된 불감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전압 변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전압 변동값을 반영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수학식을 이용해 상기 전압 변동값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생성한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은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로부터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보조신호를 상기 전압제어 설비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계통 주파수가 미리 지정된 불감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전압 변동값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전압 변동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압 변동값은 수학식을 이용해 산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고, 신뢰도 기준의 최저주파수 유지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통의 주파수 하락시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추가적인 설비 투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개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S200)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통 고장시 주파수 제어 시스템에 의한 모의 파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개괄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일단에는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30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계통의 상위 시스템(200)이 연결될 수 있다.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300)는 일정 지역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전압제어 설비(300)를 포함할 수 있고, 전압제어 설비(300)는 예를 들어, 발전기, 커패시터, 리액터, 병렬형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통의 상위 시스템(200)은 일정 지역 내에서 전압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여 감시하는 상위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고, 상위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집중 원격감시 시스템(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 지역은 전압제어 설비(300)의 전압 조정 효과가 부하측 전압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적 민감도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지역은 다수의 일정 지역을 포괄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제어 장치(100)는 전압제어 설비(300)의 부하량을 직간접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고장으로 인한 주파수 감소를 보다 신속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위 시스템(200)은 전압제어 설비(300)의 인근 전압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계통의 전압 상태에 따라 주파수 제어 장치(100)를 통해 전압제어 설비(300)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주파수 제어 장치(100)와 관련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블록도, 순서도, 등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S200)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 3의 적어도 일부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주파수 제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제어 설비(300)의 주파수 제어 방법을 구성하는 각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동작 방법(S200)의 각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위 시스템(200) 및 전압제어 설비(300)는 도 1의 상위 시스템(200) 및 전압제어 설비(300)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신호 생성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수신할 수 있다(S210). 이 때, 주파수 제어 장치(100)는 전압제어 설비(300)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추가의 측정부를 구비하여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계통 주파수가 불감대 영역(예를 들어, 도 4의 음영 표시된 영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감대 영역(111)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하 주파수(f_upper)와 하한 주파수(f_lower)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계통 주파수가 불감대 영역(111)을 벗어나는 경우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주파수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계통 주파수가 불감대 영역(111)을 벗어나는 경우, 전압제어 설비(300)의 전압 변동값을 산출하고, 이를 반영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전압제어 설비(300)의 기준 전압값을 입력받아 드룹(droop) 제어를 통해 계통 주파수의 회복을 위한 전압 변동값을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드룹(droop) 제어와 전압 변동값을 아래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수학식2]
Figure pat00002
여기서, Vaux는 전압 변동값을 의미하고, f는 계통 주파수, Vref는 기준 전압값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또한, fmean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한 주파수 값보다 크거나, 또는 하한 주파수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 또는 전압제어 설비(300)의 상위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40). 트리거 신호는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전압값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신호 생성부(120)는 생성된 보조신호를 전압제어 설비(300)로 전달할 수 있다(S250).
일 실시 예에서,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주파수가 불감대 영역(111)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전압 변동값을 산출하여, 이를 반영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생성부(120)에 전달하고, 신호 생성부(120)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여 전압제어 설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주파수 제어 장치(100)는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전압값의 변동이 크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계통 주파수가 크게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생성부(120)로 전달하고, 신호 생성부(120)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상위 시스템(200)은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전압값을 유지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생성부(120)에 전달하고, 신호 생성부(120)는 전달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전압제어 설비(300)의 계통 전압값을 마지막 계통 전압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측정부(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계통 주파수, 기준 전압값, 계통 전압값 등, 전압제어 설비(300)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저장부(13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30)에는 또는 저장부(130)와는 별개로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을 위한 추가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압제어 설비(300)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백업하여 상기 추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유실 또는 분실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는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각 엘리멘트(110, 120, 130)은 주파수 제어 장치(10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해당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계통 주파수와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 원격 통신을 위한 통신부, 등)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통 고장시 주파수 제어 시스템에 의한 모의 파형을 도시한다.
도 5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계통의 과도 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발전기를 차단하는 경우, 신뢰도 기준 최저 주파수인 59.2Hz를 만족하지 않으므로, 사전에 발전량을 감발하여 운전하거나, 또는 이에 상응하도록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을 필수적으로 설치하였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전압제어 설비(300)의 주파수 회복을 위한 사전 발전 제약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본 발명의 주파수 제어 장치(100)를 전원제어 설비(300)에 적용하는 경우, 도 5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계통의 과도 안정도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신뢰도 기준의 최저 주파수의 유지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제어 설비(300)에 계통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발전 제약 비용과 추가적 설비 투자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유연하게 계통을 운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고, 신뢰도 기준의 최저주파수 유지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통의 주파수 하락시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추가적인 설비 투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주파수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신호 생성부 130: 저장부
200: 상위 시스템 300: 전원제어 설비

Claims (11)

  1.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로부터 수신된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보조신호를 상기 전압제어 설비로 전달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통 주파수가 미리 지정된 불감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전압 변동값을 산출하고, 상기 전압 변동값을 반영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해 상기 전압 변동값을 산출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
    [수학식]
    Figure pat00003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
  6. 계통의 전압제어 설비로부터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계통 주파수와 기준 전압값을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상위 시스템에서 제공된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보조신호를 상기 전압제어 설비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계통 주파수가 미리 지정된 불감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전압 변동값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전압 변동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동값은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해 산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수학식]
    Figure pat00004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전압제어 설비의 계통 전압값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주파수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148568A 2020-11-09 2020-11-09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ctive KR10270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68A KR102705633B1 (ko) 2020-11-09 2020-11-09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68A KR102705633B1 (ko) 2020-11-09 2020-11-09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74A true KR20220062874A (ko) 2022-05-17
KR102705633B1 KR102705633B1 (ko) 2024-09-12

Family

ID=8180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568A Active KR102705633B1 (ko) 2020-11-09 2020-11-09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56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25B1 (ko) * 2009-09-30 2011-06-08 한국전력공사 전력 계통의 전압 제어 시스템 및 전압 제어 방법
KR20160028751A (ko) * 2014-09-04 2016-03-14 한국전력공사 전력 계통의 전압 안정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07664A (ko) * 2017-07-13 2019-01-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 계통 안정화 시스템
KR20200022954A (ko) * 2018-08-24 2020-03-0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원의 출력 변동에 따른 전력계통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계통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425B1 (ko) * 2009-09-30 2011-06-08 한국전력공사 전력 계통의 전압 제어 시스템 및 전압 제어 방법
KR20160028751A (ko) * 2014-09-04 2016-03-14 한국전력공사 전력 계통의 전압 안정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07664A (ko) * 2017-07-13 2019-01-2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 계통 안정화 시스템
KR20200022954A (ko) * 2018-08-24 2020-03-0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원의 출력 변동에 따른 전력계통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계통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5633B1 (ko) 202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3811B2 (en) Reactive power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EP3549227B1 (en) A smart socket an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said socket
US11477213B2 (en) Technologies for providing secure emergency power control of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JP7330090B2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系統安定化システム及び系統安定化支援方法
WO2015130440A1 (en) Topology determination using graph theory
KR102325030B1 (ko) 고조파 측정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0665540B1 (ko) 3상 입출력 올 아이지비티 유피에스 시스템
Heyderi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approach for distributed hierarchical control of vsc-based microgrids
JP6498894B2 (ja) 系統安定化システム
CN116298538B (zh) 一种智能电容补偿装置的在线监测方法
KR100791625B1 (ko) 무효전력 보상방법 및 그 장치
EP408209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grid islanding
KR20220062874A (ko) 전력계통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61200A (ko) 변전소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6782442B2 (ja) 計測装置、計測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18655971A (zh) 供电功率转换单元、供电系统、服务器的供电方法和设备
US12424852B2 (en) Electrical assembly with a dynamic braking system
JP7712546B2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システムの制御方法
Rasmussen Impact of leading power factor on data center generator systems
KR102369643B1 (ko) 무효전력 보상 장치 및 그의 운전 시험 제어 방법
Joseph et al. Impact of grid strength on HVDC connection requirements
Martínez-Ramos et al. Optimal and secure operation of transmission systems
JPH011430A (ja) 系列間チエツク装置
KR20150045081A (ko) Facts 기기의 운전점 예측제어 방법 및 장치
US11146102B2 (en) Method and control center arrangement for the control of an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gri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