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74379A - 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 - Google Patents

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379A
KR20220074379A KR1020200162819A KR20200162819A KR20220074379A KR 20220074379 A KR20220074379 A KR 20220074379A KR 1020200162819 A KR1020200162819 A KR 1020200162819A KR 20200162819 A KR20200162819 A KR 20200162819A KR 20220074379 A KR20220074379 A KR 20220074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wler
wheel
cylinder
drive shaft
tr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호
공현철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알티
Priority to KR102020016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379A/en
Publication of KR2022007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37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62D55/116Attitude or position control of chassis by action on suspension, e.g. to compensate for a slo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로에 대응하는 크롤러에 대한 것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 구동축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궤도; 궤도가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보조하는 복수의 차륜; 구동축 및 복수의 차륜간을 고정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에 고정되어 인출 및 인입이 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크롤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wler corresponding to a ramp, comprising: a drive shaf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Orbit rotated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a plurality of wheels assisting the track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 frame for fixing the drive shaft and the plurality of wheels; and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be drawn out and drawn in.

Description

크롤러 및 독립구동 가능한 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Vehicle including crawler and independently driveable crawler

본 발명은 경사로에 대응하는 크롤러에 대한 것으로, 크롤러 및 독립구동 가능한 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wler corresponding to a ramp, and to a vehicle including the crawler and a crawler capable of independently driving.

무한궤도식 크롤러 주행장치는 접지면적이 비무한궤도식 차량에 비해 크다. 때문에 접지 단위대상면에 전가되는 접지압이 낮고, 험로 및 지반이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무른 곳에서도 주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접지 대상면이 무른 습전이나 지형이 거친 장소에서 주로 작업하는 작업차에 크롤러식 주행장치가 적용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구동륜과 텐션륜, 구동륜과 텐션륜 사이의 트랙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된 복수의 하부 접지륜과 상부 안내륜, 그리고 상부 안내륜, 하부 접지륜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륜과 텐션륜의 회전에 의해 기동력을 발생시키는 크롤러를 포함 한다.The crawler-type crawler traveling device has a larger footprint than the non-tracked vehicle. Therefore, the grounding pressure applied to the grounding unit target surface is low, and it has the advantages of being easy to drive on rough roads and in relatively weak or soft ground. Therefore, the crawler-type driving device is sometimes applied to a work vehicle that mainly works in a wet field where the grounding target surface is soft or in a place with rough terrain.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lower and upper guiding wheels rotatably mounted on a track frame between the driving wheel and the tension wheel, and the driving wheel and the tension wheel, and supported by the upper guiding wheel and the lower traction wheel, and suppor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tension wheel Includes crawlers that generate maneuverability.

이러한 크롤러는 주로 험로를 주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험로 주행능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충격을 완화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주행능력을 개선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Since these crawlers mainly drive on rough roads, rough road driving ability is treat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and a technology for mitigating shock and improving driving ability to drive more stably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64515 호 (2012. 06. 1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4515 (2012. 06. 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험로주행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주행안정성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driving stability for more stably performing rough road dri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경사도가 급격히 변경되는 경사로에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lleviate the impact on a slope in which the slope is rapidly changed.

본 발명은 경사로에 대응하는 크롤러에 대한 것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 구동축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궤도; 궤도가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보조하는 복수의 차륜; 구동축 및 복수의 차륜간을 고정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에 고정되어 인출 및 인입이 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크롤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wler corresponding to a ramp, comprising: a drive shaf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Orbit rotated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a plurality of wheels assisting the track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 frame for fixing the drive shaft and the plurality of wheels; and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be drawn out and drawn in.

그리고, 실린더는 구동축의 구동을 통해 이동되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에 마련될 수 있다.And, the cylinde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that is moved through the driving of the drive shaft.

또한, 실린더의 타단으로부터 구동축의 회전중심까지의 제1간격, 실린더의 타단으로부터 실린더의 일단까지의 제2간격 및 구동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프레임의 일단까지의 제3간격이 형성하는 삼각형인 이격형태에서 제2간격의 거리만 실린더의 인출 및 인입에 의해 증감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iangular spacing form formed by the first interval from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he second interval from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to one end of the cylinder, and the third interval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one end of the frame Only the distance of the second interval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drawing out and retracting the cylinder.

또한, 크롤러에서 이동방향을 향해 지면형상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지면이 이동방향으로부터 하방으로 기 결정된 각도 이상 이격되면 경사각도에 대응되도록 차체로부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wler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shape of the ground toward the moving direction, and when the ground sensed by the sensing unit is spac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rom the moving direction, the crawler rotates around the drive shaft from the vehicle body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또한, 복수의 차륜은, 이동방향의 전측에 위치되는 제1차륜 및 지면 측에 궤도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차륜으로 구성되는 종동차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heels may include a first wheel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and a driven wheel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position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track on the ground side.

또한, 복수의 차륜은 이동방향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2차륜을 더 포함하고, 제1차륜은 수평상태에서 이동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궤도의 진입각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heel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heel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first wheel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when moving in the moving direction in a horizontal state to form an entrance angle of the track.

또한, 프레임에 고정되어 궤도를 이동방향으로 가압하는 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장력유지부는 제1차륜와 연결되어 제1차륜을 통해 궤도를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unit fixed to the frame to press the track in the moving direction, the tension maintain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heel to press the track through the first wheel.

차체; 및 차체에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크롤러;를 포함하고, 크롤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 구동축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궤도; 궤도가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보조하는 복수의 차륜; 구동축 및 복수의 차륜간을 고정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에 고정되어 인출 및 인입이 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독립구동 가능한 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car body; and a plurality of crawler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crawler includes: a driving shaf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Orbit rotated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a plurality of wheels assisting the track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 frame for fixing the drive shaft and the plurality of wheels; and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be drawn out and drawn in. Provided is a vehicle including a crawler capable of independently dri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크롤러를 마련함으로써, 험로주행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주행안정성을 갖추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driven crawl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with driving stability that performs rough road driving more sta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도를 감지하여 급격하게 변경되는 경사에 대응되도록 크롤러가 회전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in which a crawler is rotated to correspond to an abruptly changed inclination by sensing the incl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을 오르는 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크롤러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2(b)는 크롤러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가 실린더의 인출에 의해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로부터 궤도를 생략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궤도를 생략한 크롤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궤도 및 실린더를 생략한 크롤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climbing a s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aw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rawler, 2 (b)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rawler,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craw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by drawing out the cylinder;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track is omitted from the craw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aw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wler omitting a t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wler omitting a track and a cylin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을 오르는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climbing a s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독립구동 가능한 크롤러(100)를 포함하는 차량은 복수 개의 크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롤러(100)는 차체(10)와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5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크롤러(100)는 크롤러(100)에 포함된 실린더(110)를 통해 차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구동축(150)은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성이고, 실린더(110)는 인출되며 직선방향으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110)가 인출되는 경우 크롤러(100)는 가압력에 의해 밀려날 수 있다. 다만, 크롤러(100)는 구동축(150)을 통해 차체(10)와 연결되었으므로, 실린더(110)에 의한 가압은 구동축(150)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10)로부터 구동축(150)을 중심으로 회동이 되는 크롤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의 단부 측에 위치한 크롤러(100)일 수 있다. 즉, 경사로의 단부에서 급격하게 경사도가 변경되어 지면(1)과의 각도가 형성되는 경우 도시되지 않은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실린더(110)는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실린더(110)는 크롤러(100)를 구동축(150)으로부터 기 결정된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including a crawler 100 capable of independently driv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crawlers 100 . The crawl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10 through a drive shaft 150 receiving rotational power. Also, the crawler 100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0 through a cylinder 110 included in the crawler 100 . The drive shaft 15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nd the cylinder 110 is drawn out and may transmit a pressing force in a straight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cylinder 110 is withdrawn, the crawler 100 may be pushed by the pressing force. However, since the crawler 1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10 through the drive shaft 150 , pressurization by the cylinder 110 may caus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50 as a rotation shaft. For example, the crawler 100 that is rotated from the vehicle body 10 about the driving shaft 150 may be the crawler 100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s shown. That is, when the angle with the ground 1 is formed by abruptly changing the inclination at the end of the ramp, the cylinder 110 can be withdrawn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and the withdrawn cylinder 110 is a crawler ( 100 )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driving shaft 150 .

여기서 기 결정된 각도는 경사로의 단부에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각도이고, 상기 이격된 각도만큼을 크롤러(1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110)는 인출될 수 있다. 즉, 이격된 각도만큼 보상을 해주는 보상각(A)일 수 있다. 이러한 보상각(A)의 형성은 차체(10)가 경사로를 주행하고 경사도의 변화에 의한 전방 크롤러(100)의 착지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즉, 지면(1)의 형상을 따라 접지면(1)적을 최대한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차체(10)로부터 크롤러(100)의 보상각(A)만큼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predetermined angle is an angle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ramp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cylinder 110 may be drawn out so that the crawler 100 can rotate by the spaced angle. That is, it may be a compensation angle (A) that compensates for the spaced apart angle. The formation of the compensation angle A can reduce or prevent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vehicle body 10 travels on a slope and the front crawler 100 lands due to a change in the slope. That i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und (1), the rotation by the compensation angle (A) of the crawler (100) from the vehicle body (10) can be made to maintain the ground plane (1) enemy to the maximum.

이러한 보상각(A)의 형성을 위해 회전중심인 구동축(150)은 실린더(110)의 위치보다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더 후측에 마련될 수 있다. 흔히 진입각으로 정의되는 이동방향의 전방에 형성된 각도는 최전방에 위치한 차륜(120)이 지면(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방향의 평평한 지면(1)을 기준으로 돌출된 장애물을 넘어 주행하는 동안 주행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order to form such a compensation angle (A),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iving shaft 150 may be provided further rearward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than the position of the cylinder 110 . The angle formed in the front of the moving direction, which is often defined as the approach angle, may be formed by being positioned where the frontmost wheel 120 is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1 . This can improve driving stability while driving over an obstacle protruding based on the flat ground 1 in the moving direction.

반면에, 이동방향의 평평한 지면(1)을 기준으로 움푹 패인 오목한 장애물 또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구조의 지면(1)을 주행할 때 상기 보상각(A)이 발생하여 크롤러(100) 회전을 통한 보상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여 주행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ensation angle (A) is generated when traveling on a concave obstacle that is recessed based on the flat ground (1) in the moving direction or the ground (1)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clination is sharply lowered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100) It is possible to improve driving stability by mitigating the impact by compensation through rot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100)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크롤러(100)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2(b)는 크롤러(10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raw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crawler 100, 2 (b)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rawler 100 to be.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크롤러(100)는 회전되는 궤도(101)를 기준으로 차체(10) 측으로 구동축(150)이 돌출될 수 있고, 실린더(110)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실린더(110)는 차체(1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110)는 차체(1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11)와 프레임(160)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112)가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111) 및 제2연결부(112)는 연결점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 in the crawler 100 , the driving shaft 150 may protrude toward the vehicl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track 101 , and the cylinder 110 is disposed. can be Of course, the cylinder 110 may be disposed within a limi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ehicle body 10 . The cylinder 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11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1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12 connected to the frame 160 at both ends.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may be connected to be rotatable about the connection point.

여기서, 실린더(110)의 구동에는 다음 세가지 지점의 임의의 위치간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실린더(110)의 제1연결부(111)로부터 구동축(150)의 회전중심까지의 제1간격(B1), 실린더(110)의 제1연결부(111)으로부터 실린더(110)의 제2연결부(112)까지의 제2간격(B2) 및 구동축(1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실린더(110)의 제2연결부(112)까지의 제3간격(B3)이 형성된다. 각 간격을 서로 연결하면 삼각형인 이격형태(B)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제2간격(B2)의 거리만 실린더(110)의 인출 및 인입에 의해 증감될 수 있다.Here, the driving of the cylinder 110 can be explained by setting an interval between arbitrary positions of the following three points. The first interval B1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of the cylinder 110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shaft 150,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of the cylinder 110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of the cylinder 110 ) to the second interval (B2) and the third interval (B3)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shaft 150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of the cylinder 110 is formed. When each interval is connected to each other, a triangular separation shape (B) is formed. Here, only the distance of the second interval (B2)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drawing out and retracting the cylinder 110 .

한편, 구동축(15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궤도(101)에 전달되기 위해 궤도(101)는 구동축(150)과 연결된 스프라켓(140)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스프라켓(140) 이외에 궤도(101)와 접촉되는 차륜(120)을 복수 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예시의 크롤러(100)와 같은 경우, 제1차륜(121), 종동차륜(122) 및 제2차륜(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륜(121)의 경우 이동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는 차륜(120)이고, 종동차륜(122)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차륜(120) 중에 작게 마련되어 복수개가 저면측에 위치되도록 궤도(101)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란, 제2차륜(123)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최후측에 마련되는 차륜(120)이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e shaft 150 to be transmitted to the track 101 , the track 101 may correspond to the sprocket 14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5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wheels 120 in contact with the track 101 ar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sprocket 140 . For example, the crawler 100 of this example may include a first wheel 121 , a driven wheel 122 , and a second wheel 123 . In the case of the first wheel 121, the wheel 120 is positioned in the front of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riven wheel 122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mong the wheels 120. can be arrang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second wheel 123 is the wheel 120 provided at the rearmost sid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여기서 제1차륜(12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진입각을 형성하기 위해 지면(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차륜(121)은 궤도(101)에 장력(ten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장력은 궤도(101)가 차륜(120)들에 의해 구속되어 차륜(120)이 배열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차륜(120)의 배열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본 예시에서는 제1차륜(121)이 장력유지부(130)를 통해 궤도(101)를 가압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Here, in the case of the first wheel 121,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1 to form an approach angle. Also, the first wheel 121 may provide tension to the track 101 . Here, the tension is continuously provided to prevent deviation from the arrangement of the wheels 120 so that the track 101 is constrained by the wheels 120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s 120 are arranged, in this example In this case, the first wheel 121 may be generated by pressing the track 101 through the tension maintaining unit 130 . A detailed description in this regar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100)가 실린더(110)의 인출에 의해 구동축(150)을 기준으로 회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at the craw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150 by drawing out the cylinder 110 .

도 3을 참조하면, 크롤러(100)가 실린더(110)의 인출에 의해 하방으로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150)을 중심으로 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이격형태(B)는 제2간격(B2)이 증가되면서 변화(B2에서 B2')될 수 있다. 즉, 차체(10)를 기준으로 제1연결부(111)의 위치 및 구동축(150)의 중심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실린더(110)가 인출되어 길이가 증가됨으로써 실린더(110)의 제2연결부(112) 위치만 변경될 수 있다. 실린더(110)의 제1연결부(111) 및 제2연결부(112) 간의 거리인 제2간격(B2)의 증가정도는 경사도의 보다 큰 변화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변화율은 경사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궤도(101)의 이동방향 전측에 있는 지면(1)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실린더(110)는 인출 또는 인입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rawler 100 may be rotat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drawing out the cylinder 110 . Here, the rotation may be centered on the drive shaft 15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form (B) may be changed (from B2 to B2') as the second interval B2 is increased.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art ( 112) Only the location can be changed. The increase degree of the second interval B2,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of the cylinder 110, means a greater rate of change of the inclination. Here, the rate of change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inclination is reduced, and the cylinder 110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in withdrawal or inlet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ate of the ground 1 on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ck 101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100)로부터 궤도(101)를 생략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track 101 is omitted from the craw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궤도(10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150)에 스프라켓(140)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회전되는 궤도(101)는 차륜(120)들을 연동시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라켓(1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차륜(123)과 스프라켓(140) 사이 구간에 위치되는 인장력이 발생하여 장력이 형성되게 되나 스프라켓(140)과 제1차륜(121) 사이구간에 위치된 궤도(101)는 장력이 상실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을 형성해주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1차륜(121)은 궤도(101)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예시에 따르면, 제1차륜(121)은 장력유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procket 140 may be connected to a drive shaft 150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track 101 and rotated, and the rotating track 101 is rotated by interlocking the wheels 120 . can be For example, when the sprocket 14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 tensile force position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wheel 123 and the sprocket 140 is generated to form tension, but the sprocket 140 and the first wheel ( 121) The track 101 located in the interval may lose tension. Accordingly, the first wheel 121 may continuously press the track 101 to form tension.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first wheel 121 may be connected to the tension maintaining unit 130 .

구체적으로 장력유지부(130)와 제1차륜(121)은 차륜지지부(121a)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차륜지지부(121a)는 일단이 차륜(120)의 양측에서 차륜(120)의 원심과 차륜(120)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피스톤형태의 장력유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 형태의 장력유지부(130)는 제1차륜(121) 측으로 유압 또는 전력을 통해 가압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된 상태의 피스톤이 팽창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1차륜(121)을 밀어낼 수 있고, 궤도(101)와 맞닿은 제1차륜(121)은 궤도(101)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륜(121)과 스프라켓(140) 사이에서는 궤도(101)의 장력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nsion maintaining unit 130 and the first wheel 121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wheel supporting unit 121a. The wheel support part 121a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side of the wheel 120 from both sides of the wheel 120 so that the wheel 120 is rotatable,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piston-type tension maintaining unit 130 . Here, the piston-shaped tension maintaining unit 130 may be in a compressed state to be pressurized toward the first wheel 121 through hydraulic pressure or electric power. Accordingly, the piston in a compressed state may continuously push the first wheel 121 to expand, and the first wheel 121 in contact with the track 101 may press the track 101 . Accordingly, tension of the track 10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wheel 121 and the sprocket 140 .

지면(1)측에 위치된 복수 개의 종동차륜(122)은 프레임(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60)은 지지프레임(161), 바디프레임(162), 연결프레임(163)을 포함한다. 바디프레임(162)은 복수 개의 종동차륜(122) 및 제2차륜(123)을 양측면에서 고정하고 장력유지부(130)와 고정부(131)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장력유지부(130)를 프레임(16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60)을 기준으로 제1차륜(121)방향으로 지속적인 가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프레임(162)은 종동차륜(122) 및 제2차륜(123)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데 이러한 바디프레임(162)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63)을 포함한다. 물론, 종동파륜 및 제2차륜(123)의 회전축의 양단이 양측면에 위치된 바디프레임(162) 각각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연결프레임(163)에 의한 바디프레임(162) 간의 고정에 의해 보다 견고한 프레임(160)이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riven wheels 122 positioned on the ground 1 side may be fixed by the frame 160 . Specifically, the frame 160 includes a support frame 161 , a body frame 162 , and a connection frame 163 . The body frame 162 secures the plurality of driven wheels 122 and the second wheel 123 from both sides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tension maintaining part 130 and the fixing part 131, so that the tension maintaining part 130 is attached to the frame ( 160) can be fixed. Accordingly, continuous pressing can be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121 with respect to the frame 160 . In addition, the body frame 16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en wheel 122 and the second wheel 123,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onnection frame 163 connecting these body frames 162 to each other. Of course,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n wave wheel and the second wheel 123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each of the body frames 162 located on both side surfaces, but by fixing between the body frames 162 by the connecting frame 163, more A rigid frame 160 may be constructed.

상기 바디프레임(162)과 결합된 지지프레임(161)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스프라켓(14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라켓(140)의 회전축은 구동축(150)의 회전중심과 동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161 coupled to the body frame 162 may extend upward and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procket 140 . Here, the rotational axis of the sprocket 140 may be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iving shaft 15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15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e shaf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구동축(150)은 차체(10)로부터 연장된 샤프트(11)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150)은 샤프트(11)가 삽입고정되는 연결축(151), 상기 연결축(151)의 차체(10)측에서 차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52), 크롤러(100) 측에서 크롤러(100) 측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축(151)은 크롤러(100) 측 및 차체(10) 측 양단이 각각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이탈방지부(152)는 확장된 부분을 감싸면서 차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10)로부터 연결축(1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11)는 연결축(151)의 회전충심측에 삽입되고, 삽입부에는 DU부시 등의 선택적이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riving shaf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11 extending from the vehicle body 10 . The drive shaft 150 includes a connection shaft 151 to which the shaft 11 is inserted and fixed,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152 for preventing the shaft 1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10 from the vehicle body 10 side of the connection shaft 151, and a crawler. A cover portion 153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crawler 100 side from the (100) side is included. Here, the connecting shaft 151 is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crawler 100 side and the vehicle body 10 side are extended, respectively,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52 may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10 while surrounding the expanded pa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ng shaft 15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10 . On the other hand, the shaft 11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cor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151, the insertio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tional configuration such as a DU bush.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전술한 일 실시예와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별도의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part where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is applicable to the following other embodiment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롤러(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raw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크롤러(200)는 구동축(250)과 동축 상에 회전축이 마련된 스프라켓(240)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최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차륜(221)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에 위치되고, 종동차륜(222)은 스프라켓(240)과 제1차륜(22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차륜(221)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진입각을 확보할 수 있다.6 and 7 , in the crawler 200 , the sprocket 240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coaxial with the driving shaft 250 may be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wheel 221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riven wheel 22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procket 240 and the first wheel 221 . The first wheel 22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to secure an entry angle.

또한, 크롤러(200)가 실린더(210)의 인출에 의해 하방으로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250)을 중심으로 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이격형태(C)는 제2간격(C2)이 증가되면서 변화될 수 있다. 즉, 차체를 기준으로 제1연결부(212)의 위치 및 구동축(250)의 중심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실린더(210)가 인출되어 길이가 증가됨으로써 실린더(210)의 제2연결부(212) 위치만 변경될 수 있다. 실린더(210)의 제1연결부(212) 및 제2연결부(212) 간의 거리인 제2간격(C2)의 증가정도는 경사도의 보다 큰 변화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변화율은 경사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궤도(201)의 이동방향 전측에 있는 지면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실린더(210)는 인출 또는 인입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wler 200 may be rotat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drawing out the cylinder 210 . Here, the rotation may be centered on the drive shaft 25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form (C) may be changed as the second interval (C2) is increas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driving shaft 250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re not changed and the cylinder 210 is drawn out and the length is increas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2 of the cylinder 210 is increased. only can be changed.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second interval C2,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2 of the cylinder 210, means a greater rate of change of the inclination. Here, the rate of change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inclination is reduced, and the cylinder 210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drawn out or drawn in so as to correspond thereto by sensing the state of the gr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ck 201 .

본 실시에에서도 실린더(210)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스프라켓(240)보다 전측에 위치됨으로써 실린더(210)의 구동에 의해 보상각만큼 회동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cylinder 2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procket 240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a compensation angle by driving the cylinder 210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궤도(201)를 생략한 크롤러(2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동차륜(222)은 지면 측에 인접하여 궤도(201)의 내측에서 궤도(201)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궤도(201)의 상측에 마련된 차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60)은 종동차륜(222), 제1차륜(221) 및 스프라켓(240)을 고정시킬 수 있다.8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wler 200 omitting the track 2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driven wheel 222 is dispo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rack 201 from the inside of the track 201 adjacent to the ground 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wheel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ck 201 . . In addition, the frame 260 may fix the driven wheel 222 , the first wheel 221 , and the sprocket 240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궤도(201) 및 실린더(210)를 생략한 크롤러(20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wler 200 omitting the track 201 and the cylinder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260)을 통해 스프라켓(240), 제1차륜(221) 및 종동차륜(222)을 고정함으로써 각 차륜의 배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260)은 탄성체(230)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230)는 프레임(260)의 일측에서 제1차륜(221)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연결부(221a)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21a)는 제1차륜(22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탄성체(230)가 연결부(221a)와 결합되면서 탄성체(230)의 탄성이 제1차륜(221)으로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arrangement of each wheel may be configured by fixing the sprocket 240 , the first wheel 221 , and the driven wheel 222 through the frame 260 . Here, the frame 260 may be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230 . The elastic body 23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rame 260 toward the first wheel 221 ,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21a. The connection part 221a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wheel 221 ,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wheel 221 while the elastic body 23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21a.

즉, 탄성체(230)로부터 발생하는 탄성력이 제1차륜(221)을 통해 궤도(201)로 전달되면서 궤도(201)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궤도(201)에는 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탄성체(230)는 연결부(221a)를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프레임(26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230)는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어, 탄성복원력을 제1차륜(221)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elastic force generated from the elastic body 230 is transmitted to the track 201 through the first wheel 221 , it is possible to press the track 201 . Accordingly, tension may occur in the orbit 201 .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elastic body 23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260 while constantly pressing the connecting portion 221a. Accordingly, the elastic body 230 may be coupled in a compressed state to transmi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wheel 221 sid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 지면
10 : 차체
11 : 샤프트
100 : 크롤러
101 : 궤도
110 : 실린더
111 : 제1연결부
112 : 제2연결부
120 : 롤러부
121 : 제1차륜
121a : 차륜지지부
122 : 종동차륜
123 : 제2차륜
130 : 장력유지부
131 : 고정부
140 : 스프라켓
150 : 구동축
151 : 연결축
151a : 확장부
152 : 이탈방지부
153 : 커버부
160 : 프레임
161 : 지지프레임
162 : 바디프레임
163 : 연결프레임
A : 보상각
B : 이격형태
B1 : 제1간격
B2, B2' : 제2간격
B3 : 제3간격
200 : 크롤러
201 : 궤도
210 : 실린더
211 : 제1연결부
212 : 제2연결부
221 : 제1차륜
222 : 종동차륜
230 : 탄성체
240 : 스프라켓
250 : 구동축
260 : 프레임
C : 이격형태
C1 : 제1간격
C2, C2' : 제2간격
C3 : 제3간격
1: ground
10: body
11: shaft
100: crawler
101: orbit
110: cylinder
111: first connection part
112: second connection part
120: roller unit
121: first wheel
121a: wheel support
122: driven wheel
123: second wheel
130: tension maintaining part
131: fixed part
140: sprocket
150: drive shaft
151: connecting shaft
151a: extension
152: escape prevention part
153: cover part
160: frame
161: support frame
162: body frame
163: connection frame
A: compensation angle
B: spaced type
B1: 1st interval
B2, B2': 2nd interval
B3: 3rd interval
200: crawler
201 : Orbit
210: cylinder
211: first connection part
212: second connection part
221: first wheel
222: driven wheel
230: elastic body
240: sprocket
250: drive shaft
260: frame
C: spaced form
C1: first interval
C2, C2': second interval
C3: 3rd interval

Claims (8)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궤도;
상기 궤도가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보조하는 복수의 차륜;
상기 구동축 및 상기 복수의 차륜간을 고정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차체에 고정되어 인출 및 인입이 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크롤러.
a drive shaft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Orbit rotated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a plurality of wheels assisting the track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 frame for fixing the driving shaft and the plurality of wheels; and
A crawler comprising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be drawn out and drawn 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구동축의 구동을 통해 이동되는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에 마련되는, 크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ylinder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moved through the driving of the drive shaft, a craw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회전중심까지의 제1간격, 상기 실린더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일단까지의 제2간격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일단까지의 제3간격이 형성하는 삼각형인 이격형태에서 상기 제2간격의 거리만 상기 실린더의 인출 및 인입에 의해 증감되는, 크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iangle formed by a first interval from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 second interval from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to one end of the cylinder, and a third interval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one end of the cylinder In the phosphorus spaced form, only the distance of the second interval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drawing out and drawing in of the cylinder, a craw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에서 이동방향을 향해 지면형상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지면이 상기 이동방향으로부터 하방으로 기 결정된 각도 이상 이격되면 경사각도에 대응되도록 차체로부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크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shape of the ground toward the moving direction in the crawler,
When the ground sensed by the sensing unit is spac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rom the moving direction, the crawler is rotated from the vehicle body about the drive shaft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륜은,
이동방향의 전측에 위치되는 제1차륜 및 지면 측에 상기 궤도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차륜으로 구성되는 종동차륜을 포함하는, 크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wheels,
A crawler comprising: a first wheel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a moving direction and a driven whee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heels arrang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track on the ground sid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륜은 상기 이동방향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2차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차륜은 수평상태에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궤도의 진입각을 형성하는, 크롤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wheels further include a second wheel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first wheel is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when moving in the moving direction in a horizontal state to form an entry angle of the track, crawl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궤도를 이동방향으로 가압하는 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제1차륜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륜을 통해 상기 궤도를 가압하는, 크롤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rawler further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part fixed to the frame and pressing the track in a moving direction, wherein the tension maintain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wheel to press the track through the first wheel.

차체; 및
상기 차체에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크롤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궤도;
상기 궤도가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보조하는 복수의 차륜;
상기 구동축 및 상기 복수의 차륜간을 고정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차체에 고정되어 인출 및 인입이 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독립구동 가능한 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car bod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rawler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e crawler is
a drive shaft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Orbit rotated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a plurality of wheels assisting the track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 frame for fixing the driving shaft and the plurality of wheels; and
A vehicle including a crawler capable of independently driving, including a cylind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be drawn out and drawn in.
KR1020200162819A 2020-11-27 2020-11-27 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 Ceased KR202200743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19A KR20220074379A (en) 2020-11-27 2020-11-27 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19A KR20220074379A (en) 2020-11-27 2020-11-27 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379A true KR20220074379A (en) 2022-06-03

Family

ID=8198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819A Ceased KR20220074379A (en) 2020-11-27 2020-11-27 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37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10946A (en) * 2024-09-20 2024-10-22 泛太能源环境(浙江)有限公司 Walking mechanism and its testing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515A (en) 2010-12-09 2012-06-19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Undercarriage with a structure for buffering tension of rubber craw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515A (en) 2010-12-09 2012-06-19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Undercarriage with a structure for buffering tension of rubber craw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10946A (en) * 2024-09-20 2024-10-22 泛太能源环境(浙江)有限公司 Walking mechanism and its test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1882C (en) Track assembly for an all-terrain vehicle (atv) or other tracked vehicle
US6874586B2 (en) Track assembly for an all-terrain vehicle
CN108100066B (en) Adjustable crawler travel mechanism and tractor
US9051009B2 (en) Steerable track system
US1592654A (en) Vehicle for rough ground
TW200824932A (en) Amphibious vehicle
USRE37098E1 (en) Earth-based vehicle
CN107244358B (en) A crawler walking mechanism
US6152244A (en) Drilling apparatus mounted on wheels, with articulated chassis
KR20220074379A (en) Crawl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crawler that can be independent driven
US11319006B2 (en) Spiral drive mechanism, particularly for mechanical vehicles, land and marine machines
KR100757842B1 (en) Traveling robot
CN206954336U (en) A kind of triangle Athey wheel
US20010052684A1 (en) Self-propelled harvesting machine, especially a pick-up chopper
RU2675725C2 (en) All-terrain vehicle propulsion with air-cushioned pneumatic caterpillar
JPS5923779A (en) tracked vehicle
KR101659042B1 (en) Tracked moving apparatus
CA2825509C (en) Track assembly for an all-terrain vehicle
US6854540B2 (en) Rail track vehicle
US10894560B2 (en) Track belt and a track assembly
SU895785A1 (en) Endless track vehicle guiding wheel suspension assembly
US20240326953A1 (en) Snow vehicle for stand-up use
CN118302357A (en) Crawler chassis for a tracked vehicle
JP5179904B2 (en) Crawler type traveling device
USRE38701E1 (en) Earth-bas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