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716A -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4716A KR20220084716A KR1020200174463A KR20200174463A KR20220084716A KR 20220084716 A KR20220084716 A KR 20220084716A KR 1020200174463 A KR1020200174463 A KR 1020200174463A KR 20200174463 A KR20200174463 A KR 20200174463A KR 20220084716 A KR20220084716 A KR 202200847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during
- section
- refrigerator
- overu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4—Calculation of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되어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된 이후에, 도어가 개방될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가 운전 종료조건을 만족하거나, 고내 온도의 변화가 운전 종료조건을 만족할 경우 부하 대응운전을 종료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부하 대응운전의 동작 중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소비전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satisfied and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room satisfies the operation termination condition, or the change in the storage temperature satisfies the operation termination condition It is made to end the load response operation, and through this, excessive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토대로 과사용 시간대 및 요일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절전 운전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nfigured to check an overuse time zone and a day of the week based on a user's usage pattern, and perform a power saving operation using the checked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보관 대상물을 장시간 혹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allows storage objects stored in a storage space to be stored for a long time o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by using cold air.
이러한 냉장고에는 압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이 구비되면서 냉기를 생성 및 순환하도록 구성된다.Such a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circulate cold air while being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a compressor and an evaporator.
상기 저장실 내부에 대한 온도 제어는 해당 저장실의 설정 기준온도(NT;Notch)를 기준으로 상한 기준온도(NT+diff)에 비해 더욱 상승하면 압축기를 동작시켜 해당 저장실 내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운전되고,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준으로 하한 기준온도(NT-diff)에 비해 더욱 하락하면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켜 해당 저장실 내로 공급되는 냉기가 차단되도록 운전된다.When the temperature control for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rises further than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 + diff) based o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Notch) of the storage room, the compressor is operated to supply cold air into the storage room, and set When the reference temperature (NT) is further lower than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based on the reference temperature (NT),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stopped and the cold air supplied into the storage chamber is blocked.
특히, 최근에는 냉장고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1325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0062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5242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6698호 등 다양한 제어방법이 제공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by allowing different control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of the refrigerator. Various control methods are provided, such as 10-2011-0080062,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55242,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9-0096698.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냉장고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과는 상관없이 제조 회사에서 설정한 알고리듬에 따라 운전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소비전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refrigerator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power consumption as they are operated according to an algorithm set by a manufacturer regardless of a user's usage pattern.
특히, 도어의 개폐 조작에 대한 사용 빈도가 높을 경우에는 압축기가 연속해서 운전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압축기가 설정된 시간 이상 연속으로 운전될 경우에는 저장물의 보호를 위한 비상운전이 수행됨에 따라 전력 소모가 커질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oor opening/closing operation is high, the compressor is inevitably operated continuous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had to be increased.
이와 함께, 종래에는 상기 부하 대응운전이 최대 냉력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저장실 내의 온도 환경에 따라 과냉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며, 이로 인한 저장물의 신선도가 나빠지게 된 문제점이 야기되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as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maximum cooling power, there is a concern that overcooling may occu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environment in the storage room,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freshness of the stored product is deteriorated.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한 전력 소모의 발생 원인을 미연에 확인하고 방지하기 위한 운전 혹은, 제어가 필요시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operation or control to check and prevent the cause of the above-described power consumption in advance.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토대로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refrigerator capable of performing power saving operation using information identified based on a user's usage pattern and the sam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도한 냉력 제공이나 냉력의 가변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과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refrigerator capable of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stored products by preventing overcooling that may be caused by excessive provision of cooling power or a change in cooling pow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설정된 기간 동안 수행된 각 시간별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취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the user's usage pattern for each time period performed during a set perio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취득된 사용 패턴에 따라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을 구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a normal section and an overuse section for each time according to the acquired usage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구분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의 시간 동안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o different reference values during the divided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기준값은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reference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기준온도를 더욱 낮게 변경하여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hange and control the reference temperature to a lower value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고내 온도에 대한 기준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상한 기준온도(NT-diff)나 하한 기준온도(NT-diff) 혹은, 상기 설정 기준온도(NT) 중 적어도 어느 한 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an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or a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determined based on a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set by the user, At least one of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s NT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설정 경과시간 내에 설정 조건온도 이상 고내 온도가 상승될 경우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load response operation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rises above a set condition temperature within a set elapsed time.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기준값은 부하 대응운전의 수행을 위한 설정 경과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set elapsed time for perform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설정 경과시간이 더욱 짧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elapsed time f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during the overuse section can be set shorter than the normal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기준값은 부하 대응운전의 수행을 위한 설정 조건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set condition temperature for perform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설정 조건온도가 더욱 낮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f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during the overuse section may be set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기준값은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 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크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during the overuse section to be greater than that for the normal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상승되는 온도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설정 변화율보다 높을 경우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that rises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is higher than the preset rate of change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기준값은 부하 대응운전의 수행을 위한 설정 변화율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set change rate for perform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설정 변화율이 더욱 낮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change rate f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during the overuse section may be set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부하 대응운전시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크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o be decreased to be great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기준값은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ooling power adjusting means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부하 대응운전시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ooling power adjusting means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제어부는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에 대한 구분이 정해진 시간 혹은, 일자마다 갱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be configured to update the classification of the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d section for each time at a predetermined time or d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일반 저장운전 혹은, 부하 대응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일반운전 수행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eneral operation performing step of selectively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general storage operation and a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의 시간대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a usage pattern for each time period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정보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기간 동안 수행된 각 시간별 사용 패턴에 따라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으로 구분하는 절전운전 설정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aving operation setting step of classifying a normal section and an overuse section for each time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for each time performed for a set period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설정단계에서 구분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의 시간 동안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을 조절하면서 일반 저장운전 혹은, 부하 대응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절전운전 수행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to different reference values during the time of the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 section divided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etting step, at least either of a general storage operation or a load response operation. A power saving operation execution step of selectively performing one operation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는 사용자의 요청 발생시 수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a user's request occu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요청이 없을 경우에는 일반운전 수행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request for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by the user, the step of performing the normal operation may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의 기준값은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may include a reference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기준온도를 더욱 낮게 변경하여 운전할 수 있다.Also,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changed to be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to be oper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기준온도를 더욱 높게 변경하여 운전할 수 있다.Also,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changed to be higher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during the over-use section to be oper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설정 경과시간이 더욱 짧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with a set elapsed time set short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설정 경과시간이 더욱 길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with a set elapsed time set longer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during the overuse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설정 조건온도가 더욱 낮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Also,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may be set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설정 조건온도가 더욱 높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Also,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may be set higher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during the over-use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Also,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during the normal section is lower than that during the over-use section during the load-response operation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상승되는 온도변화율이 설정 변화율보다 높을 경우 수행될 수 있다.Also,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may be performed when the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when the door is opened is higher than the set rate of ch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설정 변화율이 더욱 낮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change rate may be set to be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설정 변화율이 더욱 높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change rate may be set to be higher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during the overuse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the cooling power adjusting means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during an overuse section than during a normal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더욱 낮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the cooling power adjusting means may be controlled so that a lower cooling power is provided during a normal section than during an overuse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설정단계의 각 구간별 기준값은 정해진 시간 혹은, 일자마다 갱신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section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etting step may be upd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every d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절전운전 수행단계는 갱신된 각 구간별 기준값을 토대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updated reference value for each sec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취득된 각 시간별 사용 패턴에 따라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절전운전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pattern because the control is performed with different reference values by dividing the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d section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for each time acquired during the set period. This has the effect mad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 최대 냉력으로만 운전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 패턴에 따라 냉력이 달라진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과도한 냉력 제공이나 냉력의 가변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저장물의 과냉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perated only with the maximum cooling power during load response operation, but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pow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It has the effect that the overcool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기준값(예컨대, 기준온도나 기준시간)을 더욱 낮게 변경하여 운전하기 때문에 선제적인 온도 대응으로 저장물의 변질이 방지될 수 있고, 일반 구간 동안에는 전력 소모가 줄어들어 소비전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changing the reference value (eg, reference temperature or reference time) to a lower value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in the general section, deterioration of the stored material can be prevented by preemptive response to the temperature, and the general During the section,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so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 패턴이 계속적으로 갱신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정확한 절전운전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enabling accurate power sav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pattern because the usage pattern is continuously upd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운전 기준값에 따라 수행되는 운전 상태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각 저장실별 온도 영역에 따른 냉력 결정을 위해 나타낸 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각 저장실 온도 영역별 하락을 위한 필요 냉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각 저장실 온도 영역별 하락을 위한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 중 부하 대응운전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 중 비상운전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종래 일반적인 냉장고의 비상운전시 부하 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비상운전시 부하 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a load-responsive ope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frigeration cycl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performed according to an operation reference value based on a user-set reference temperature for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able showing the determination of cooling pow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egion for each storage room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able showing a cooling power required for a decrease in each storage compartment temperature reg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able showing a time required for a decrease in each storage compartment temperature reg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during a load response operation in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during an emergency operation in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graph illustrating a state of providing a load during emergency operation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refrigerator;
13 is a graph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ad is provided during emergency ope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load response ope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비상운전이 수행될 때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의 고내 온도를 함께 고려한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임과 더불어 과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operation is performed,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s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together, so that the excessiv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t is design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caused by the cooling power and prevent overcooling.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넷(11)이 포함된다.First,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캐비넷(11)은 냉장고(1)의 고내 벽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inner-case)(11a) 및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outter case)(11b)가 포함되며, 이러한 캐비넷(11)에 의해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제공된다.The
상기 저장실은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고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실이 서로 다른 온도 영역으로 저장물을 저장하는 두 개의 저장실이 포함됨을 그 예로 한다.Only on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two or more storage compartments may be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torage chamber includes two storage chambers for storing stored materials in different temperature regions.
이러한 저장실은 제1설정 기준온도(NT:Notch Temperature)로 유지되는 제1저장실(12)이 포함될 수 있다.The storage chamber may include a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NT)는 저장물이 결빙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서도 냉장고(1)의 외부 온도(실내 온도)에 비해서는 낮은 온도 범위가 될 수 있다.The first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may be a temperature at which the stored object is not frozen, but may be in a temperature range lower than the external temperature (indoor temperature) of the
예컨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NT)는 32℃ 이하 0℃ 초과의 고내 온도(제1저장실 내의 온도)(CT;Compartment Temperatu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NT)는 필요에 따라(예컨대, 실내온도 혹은, 저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32℃에 비해 더욱 높거나 혹은, 0℃에 비해 같거나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may be a compartment temperature (CT) of 32° C. or less and greater than 0° C. (temperature in the first storage room). Of course, the first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may be set higher than 32°C, or equal to or lower than 0°C, if necessary (eg, depending on the room temperature or the type of storage).
특히,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NT)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저장실(12)의 고내 온도(CT)가 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NT)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지정된 온도가 제1설정 기준온도(NT)로 사용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may be the internal temperature CT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제1저장실(12)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NT)를 유지하기 위한 제1운전 기준값(NT±diff)으로 일반 저장운전이 수행된다. 상기 제1운전 기준값(NT±diff)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한 기준온도(NT-diff)와 제1상한 기준온도(NT+diff)가 포함되는 만족 영역의 온도 범위값이다.In addition, a general storag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즉, 제1저장실(12) 내의 고내 온도(CT)가 제1설정 기준온도(NT)를 기준으로 제1하한 기준온도(NT-diff1)에 도달될 경우에는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중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고내 온도(CT)가 제1설정 기준온도(NT)를 기준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제1상한 기준온도(NT+diff)에 이르기 전(혹은, 도달할 때)에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이 재개된다.That i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CT in the
이렇듯, 상기 제1저장실(12) 내부는 제1설정 기준온도(NT)를 기초로 상기 제1저장실(12)에 대한 제1운전 기준값(NT±diff)을 고려하여 냉기가 공급 또는, 공급 중단되면서 일반 저장운전이 수행된다.As such, the inside of the
이러한 제1설정 기준온도(NT)와 제1운전 기준값(NT±diff)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first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and the first operation reference value NT±diff are as shown in FIG. 3 .
또한, 상기 저장실은 제2설정 기준온도(NT2)로 유지되는 제2저장실(13)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chamber may include a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는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NT)보다 낮은 온도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규정된 온도가 사용된다.The second set reference temperature NT2 may be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In this case, the second set reference temperature NT2 may be set by the user, and when the user does not set it, an arbitrarily prescribed temperature is used.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는 저장물을 결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온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는 0℃ 이하 -24℃ 이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set reference temperature NT2 may be a temperature sufficient to freeze the stored object. For example, the second set reference temperature NT2 may be set to a temperature of 0 °C or less -24 °C or higher.
물론,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는 필요에 따라(예컨대, 실내 온도 혹은, 저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0℃에 비해 더욱 높거나 혹은, -24℃에 비해 같거나 더욱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econd set reference temperature NT2 may be set higher than 0°C, or equal to or lower than -24°C, if necessary (eg, depending on the room temperature or the type of storage). .
특히,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저장실(13)의 고내 온도가 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지정된 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NT2)로 사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set reference temperature NT2 may b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제2저장실(13)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NT2)를 유지하기 위한 제2운전 기준값(NT2±diff)으로 운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운전 기준값(NT2±diff)은 제2하한 기준온도(NT2-diff)와 제2상한 기준온도(NT2+diff)가 포함되는 만족 영역의 온도 범위값이다.The second operation reference value NT2±diff is a temperature range value of a satisfactory region including the second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2-diff and the second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2+diff.
즉, 제2저장실(13) 내의 고내 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NT2±diff)를 기준으로 제2하한 기준온도(NT2-diff)에 도달될 경우에는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중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내 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NT2)를 기준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제2상한 기준온도(NT2+diff)에 이르기 전(혹은, 도달할 때)에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in the
이렇듯, 상기 제2저장실(13) 내부는 제2설정 기준온도(NT2)를 기초로 상기 제2저장실(13)에 대한 제2운전 기준값(NT2±diff)을 고려하여 냉기가 공급 또는, 공급 중단된다.As such, in the
특히, 상기 제1운전 기준값(NT±diff)은 제2운전 기준값(NT2±diff)에 비해 상한 기준온도(NT+diff)와 하한 기준온도(NT-diff) 간의 범위가 더욱 작게 설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operation reference value NT±diff may be set to have a smaller range between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and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than the second operation reference value NT2±diff. .
예컨대, 제1운전 기준값(NT±diff)의 제1하한 기준온도(NT-diff)와 제1상한 기준온도(NT+diff)는 ±2.0℃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운전 기준값(NT2±diff)의 제2하한 기준온도(NT2-diff)와 제2상한 기준온도(NT2+diff)는 ±1.5℃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and the first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of the first operation reference value NT±diff may be set to ±2.0° C., and the second operation reference value NT2 The second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2-diff) and the second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2+diff) of ±diff) may be set to ±1.5°C.
한편, 전술된 각 저장실(12,13)은 유체가 순환되면서 고내 온도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상기 유체는 공기가 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도 상기 저장실(12,13)을 순환하는 유체가 공기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유체는 공기 이외의 기체가 될 수도 있다.The fluid may be ai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luid circulating in the
저장실(12,13) 외부의 온도(실내온도)는 실내온도센서(1a)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고내 온도(제1저장실, 제2저장실 내의 온도)(CT)는 고내온도센서(1b,1c)(첨부된 도 2 참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indoor temperature) outside the
상기 각각의 온도센서(1a,1b,1c)는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실내온도와 각 고내 온도(CT)는 동일한 하나의 온도센서로 측정되거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온도센서가 협력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Each of the
또한, 상기 저장실(12,13)에는 도어(12a,13a)가 구비된다.In addition,
상기 도어(12a,13a)는 저장실(12,13)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식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랍식의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도어(12a,13a)는 하나 혹은, 그 이상 복수로 제공 될 수가 있다.One or more of the
특히, 상기 도어(12a,13a) 혹은, 캐비넷(11)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도어(12a,13a)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4)가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냉기열원이 포함된다.Next, the
상기 냉기열원은 냉기를 생성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The cold air heat source is configured to generate cold air.
이러한 냉기열원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ld air heat source may be made in various ways.
예컨대, 상기 냉기열원은 열전모듈(23)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d air heat source may be composed of a
이때, 상기 열전모듈(23)은 첨부된 도 3과 같이 흡열면(231)과 발열면(232)을 포함하는 열전소자(23a)와, 상기 흡열면(231)이나 발열면(23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싱크(sink)(23b)를 포함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냉기열원은 증발기(21,22)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air heat source may be composed of evaporators (21, 22).
상기 증발기(21,22)는 압축기(60)(첨부된 도 4 참조)와 응축기(도시는 생략됨) 및 팽창기(도시는 생략됨)와 함께 냉동시스템을 이루며, 해당 증발기를 지나는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상기 공기의 온도를 낮추도록 동작된다.The
상기 저장실이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을 포함할 경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저장실(12)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증발기(21)와 상기 제2저장실(13)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증발기(22)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storage chamber includes a
이때, 상기 제1증발기(21)는 상기 이너케이스(11a) 내부 중 상기 제1저장실(12) 내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증발기(22)는 상기 제2저정실(13) 내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저장실(12) 혹은, 제2저장실(13) 중 적어도 어느 한 저장실 내에만 증발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evaporator may be provided only in at least one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증발기(21,22)가 두 개로 제공되더라도 해당 냉동시스템을 이루는 압축기(60)는 하나만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wo
이의 경우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60)는 제1냉매통로(61)를 통해 제1증발기(21)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제2냉매통로(62)를 통해 제2증발기(22)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냉매통로(61,62)는 냉매밸브(63)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냉력조절수단이 포함된다.Next, the
상기 냉력조절수단은 제1저장실(12)로 공급되는 냉기의 냉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adjust the cooling power of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상기 냉력조절수단은 제어부(70)에 의한 부하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력조절수단에는 압축기(60)와 제1냉각팬(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oling power regula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enable load control by the
여기서, 상기 압축기(60)는 상기 냉기열원(증발기)(21,22)와 함께 냉동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이며, 이러한 압축기(60)의 부하 조절을 통해 냉력을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제1냉각팬(31)은 제1증발기(21)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제1저장실(12)에 공급하는 기기이며, 이러한 제1냉각팬(31)의 부하 조절(회전 속도의 조절)을 통해 냉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물론, 냉장고에는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제2저장실(13)에 공급하는 제2냉각팬(41)이 더 포함되거나, 혹은, 상기 제1냉각팬(31)(혹은, 제2냉각팬)이 상기 제2저장실(13)로 제1증발기(21) 혹은,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제어부(70)가 포함된다.Next, the
상기 제어부(70)는 냉력조절수단의 부하 및 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실내온도센서(1a) 및 고내온도센서(1b,1c)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냉력조절수단을 이루는 압축기(60) 및 제1냉각팬(41)의 부하 및 운전을 제어하면서 각 저장실(12,13)이 각각의 설정 기준온도(NT,NT2)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설정 기준온도(NT,NT2)를 기준으로 볼 때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 및 하한 기준온도(NT-diff,NT2-diff) 사이의 온도 범위는 만족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에 비해 더욱 높은 온도는 불만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and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is set as a satisfactory area when viewed based o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NT2).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may be set as a dissatisfaction region.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제1저장실(12) 혹은, 제2저장실(13)에 대한 일반 저장운전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상기 일반 저장운전은 각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CT,CT2)가 설정 기준온도(NT,NT2)를 기준으로 하한 기준온도(NT-diff1,NT2-diff)에 도달될 경우에는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고내 온도(CT,CT2)가 설정 기준온도(NT,NT2)를 기준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에 이르기 전(혹은, 도달할 때)에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재개하는 운전이다.In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CT, CT2) in each storage room (12, 13) reaches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1, NT2-diff) based o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NT2), cold air When the operation for supply is performed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CT, CT2) rises based o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NT2), before reaching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or, It is an operation to resume operation for supplying cold air when the
이러한 일반 저장운전은, 각 저장실(12,13)에 교대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운전되면서 각각의 고내 온도(CT,CT2)가 상한 기준온도(NT+diff1,NT2+diff)와 하한 기준온도(NT-diff1,NT2-diff) 사이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general storage operation, each storage chamber (12, 13) is operated so that cold air is alternately supplied, each of the internal temperatures (CT, CT2) is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1, NT2+diff) and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 -diff1,NT2-diff) is maintained.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저장실(12,13)에 대한 부하 대응운전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상기 부하 대응운전은 일반 저장운전으로 냉장고가 운전되는 도중 도어(12a,13a)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개방 이후부터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운전이다.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an operation for preventing excessive temperature rise after opening when the
이러한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가 설정 경과시간(T) 내에 설정 조건온도(투입 조건온도)(Δt) 이상 상승될 경우 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load response operation may be set to satisfy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rises by more than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supply condition temperature) (Δt) within the set elapsed time (T) when the door is opened.
상기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상승되는 온도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설정 변화율보다 높을 경우 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load response operation may be set to satisfy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when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that rises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hamber when the door is opened is higher than a preset rate of change.
상기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가 불만 영역일 때 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load response operation may be set such that an operation start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is a dissatisfaction region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제어부(70)는 전술된 일반 저장운전과 부하 대응운전에 따라 냉력조절수단(압축기 혹은, 제1냉각팬)의 부하를 달리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컨대, 일반 저장운전시에는 냉력조절수단(압축기 혹은, 제1냉각팬)의 전력 소모를 고려한 절전 운전으로 동작되면서 서서히 각 저장실(12,13)의 온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반면, 부하 대응운전에는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력조절수단(압축기 혹은, 제1냉각팬)을 일반 저장운전시에 비해 더욱 높은 부하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면서 신속하게 각 저장실(12,13)의 온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compressor or the first cooling fan) is controlled to operate at a higher load compared to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food while quickly controlling each storage compartment (12, 13) can be controlled to lower the temperature of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저장실(12,13)에 대한 능동 절전운전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상기 능동 절전운전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토대로 기준값을 변경하여 수행하는 운전이며,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performed by changing a reference value based on a user's usage pattern, and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by a user's selection.
이러한 능동 절전운전을 위해 상기 제어부(70)는 설정된 기간 동안 수행된 각 시간별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취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or such an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the
예컨대, 첨부된 도 6과 같이 3주 동안 매 시간별 냉장고의 사용 여부(도어의 개방 여부 혹은, 부하 대응운전의 실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각 시간별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취득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by checking whether the refrigerator is used every hour for 3 weeks (whether a door is opened or whether a load response operation is performed), the user's usage pattern is acquired for each hour.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취득된 사용 패턴에 따라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의 시간 동안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일반 구간은 일반적인 사용 상태이고, 과사용 구간은 상기 일반 구간보다 잦은 도어의 개폐 조작이 이루어지는 사용 상태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l section may be a general use state, and the overuse section may be a use state in which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performed more frequently than the normal section.
상기 기준값은 일반 저장운전 혹은, 부하 대응운전의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인자가 될 수 있다.The reference value may be a factor used for performing a general storage operation or a load response operation.
예컨대, 상기 기준값에는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준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상한 기준온도(NT-diff)나 하한 기준온도(NT-diff) 혹은, 상기 설정 기준온도(NT) 중 적어도 어느 한 온도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reference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an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or a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determined based on a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set by the user, or at least one of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can be
이때, 상기 기준온도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기준온도를 낮춤으로써 선제적인 고내 온도의 하락을 통한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기준온도를 높임으로써 냉력조절수단(압축기 혹은, 냉각팬)의 동작에 따른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general section. That is, by lower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through a preemptive decrease in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by rais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during the general section, the pow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compressor or cooling fan) This was done to reduce consumption.
이와 함께, 상기 기준값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경과시간(T)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set elapsed time T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satisfied.
이때, 상기 설정 경과시간(T)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낮춤으로써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높임으로써 부하 대응운전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set elapsed time T may be set short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by lowering the set elapsed time (T)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and during the normal section, the set elapsed time ( By increasing T),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e to load response operation.
이와 함께, 상기 기준값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조건온도(Δt)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set condition temperature Δt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satisfied.
이때, 상기 설정 조건온도(Δt)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낮춤으로써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높임으로써 부하 대응운전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Δt may be set to be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general section. 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by lowering the set elapsed time (T)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and during the normal section, the set elapsed time ( By increasing T),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e to load response operation.
이와 함께, 상기 기준값에는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that decreases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이때, 상기 온도변화율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높아지도록 냉력을 높임으로써 잦은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더라도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을 낮아지도록 냉력을 낮춤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the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per unit time during the overuse period compared to the normal period. 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cooling power is increased so that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is increased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frequently, and the cooling power is lowered to lower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during the normal section. In this wa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물론, 상기 각 구간(일반 구간 또는, 과사용 구간)별 온도변화율의 변경 설정은 부하 대응운전시에만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부하 대응운전시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높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change setting of the temperature change rate for each section (normal section or over-use section) may be set to be performed only during load-responsive operation. That is,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falling during the overuse section can be se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section.
이와 함께, 상기 기준값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변화율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a set change rat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satisfied.
이때, 상기 설정 변화율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설정 변화율은 더욱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설정 변화율이 낮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선제적인 부하 대응운전의 수행을 통해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설정 변화율이 높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set rate of change may be set to be lower than the set rate of change f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in the general section. 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setting change rate is set low,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through preemptive load response opera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setting the setting change rate high during the general section.
이와 함께, 상기 기준값에는 냉력조절수단(압축기 혹은, 냉각팬)의 냉력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value may include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compressor or cooling fan).
이때, 상기 냉력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과사용 구간동안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이 더욱 높게 제어되면서 빠르게 고내 온도가 하락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에는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이 더욱 낮게 제어되면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cooling power may be set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during an overuse section than a normal section. 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controlled to be higher,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rapidly decreased, and in the general section,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controlled to be lower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특히, 부하 대응운전시에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a higher cooling power is provided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에 대한 구분이 정해진 시간 혹은, 일자마다 갱신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시간마다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에 대한 구분이 갱신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매일(혹은, 매주)마다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에 대한 구분이 갱신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도어(12a,13a)가 재개방될 경우, 최대 부하로 냉력조절수단(압축기 혹은, 제1냉각팬)을 동작하면서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부하 대응운전 도중 도어(12a,13a)가 재개방되면 부하 대응운전에 대한 운전 시작조건의 만족 여부에 상관없이 도어(12a,13a)가 폐쇄되면 최대 냉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이때, 상기 최대 부하는, 일반 저장운전시의 냉력보다는 높은 냉력이 제공될 수 있을 정도의 부하이다.In this case, the maximum load is a load sufficient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than that during a general storage operation.
물론, 상기한 최대 냉력의 제공은 부하 대응운전의 재수행이 진행된 후 일정 시간 경과시까지 수행되도록 하며, 그 이후에는 저장실(12,13) 내부의 온도에 따라 냉력이 가변되게 제어함이 더욱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provision of the maximum cooling power is perform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re-performa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performed, and after that, it is more preferable to control the cooling power to be variab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s 12 and 13 do.
특히, 상기 도어(12a,13a)의 재개방으로 인해 최대 냉력으로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상기 능동 절전운전이 실행되는 도중이라도 기준값의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maximum cooling power due to the reopening of the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제상운전의 투입 조건이 만족된 경우, 부하 대응운전은 중단됨과 더불어 제상운전을 위한 제상전 운전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condition of the defrost operation is satisfied while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the
특히, 상기 제상전 운전은 냉력조절수단(압축기 및 제1냉각팬)이 최대 부하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면서 제1저장실(12) 내의 고내 온도(CT)가 제1하한 기준온도(NT-diff)보다 낮은 온도의 제상 수행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operation before the defrost,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compressor and the first cooling fan) is controlled to operate at the maximum load while the internal temperature (CT) in the
이러한 제어부(70)의 제어는 고내 온도가 제1상한 기준온도(NT+diff) 혹은, 그 이상의 온도 영역일 경우라도 제상 수행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ntrol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제상전 운전이 종료된 후에는 제상운전이 수행되고, 상기 제상운전이 완료된 후에는 최대 부하로 냉력조절수단이 동작된 후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CT,CT2)가 설정 기준온도(NT,NT2)보다 낮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after the operation before the defrost is finished, the defrost operation is performed, and after the defrost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operated at the maximum load, and then the internal temperatures (CT, CT2) in the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반 저장운전과 부하 대응운전 및 능동 절전운전을 위한 각각의 제어과정을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each control process for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and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7 to 10 .
설명에 앞서, 각 운전은 각 온도센서(1a,1b,1c)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냉동시스템을 운전하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each opera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먼저, 첨부된 도 7의 순서도와 같이 제어부(70)는 각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CT,CT2)에 대한 센싱값을 지속적으로 취득(S110)한다.First,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lowchart of FIG. 7 , the
상기 고내 온도는 각 저장실(12,13)에 위치된 각각의 고내온도센서(1b,1c)에 의해 측정되며, 이렇게 측정된 고내 온도(CT,CT2)는 제어부(70)로 제공된다.The refrigerator internal temperature is measured by each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취득된 고내 온도(CT,CT2)를 토대로 냉력조절수단을 제어하면서 저장실(12,13)에 대한 일반 저장운전을 지속적으로 수행(S120)한다.Then, the
상기 일반 저장운전은 각 저장실별 설정 기준온도(NT,NT2)를 기준으로 만족 영역의 온도 범위(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 및 하한 기준온도(NT-diff,NT2-diff) 사이의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is based o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NT2) for each storage room,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atisfactory area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and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to maintain a temperature range between
이때, 상기 일반 저장운전시 냉동시스템을 이루는 압축기(60)는 부하 대응운전이나 비상운전에 비해 낮은 출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된다.In this case, the
이와 함께, 상기 일반 저장운전은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에 도달하면 압축기(60)가 운전되면서 냉기 공급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하한 기준온도(NT-diff,NT2-diff)에 도달하기 전에 압축기(60)의 운전이 정지되면서 냉기 공급을 감소하는 제어를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진행된다.In addition, in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when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is reached, the
물론, 상기 압축기(60)는 상기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에 도달하기 전에 운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상기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를 초과한 불만 영역에 도달할 때 운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특히, 상기 일반 저장운전은 제1저장실(12)이 우선으로 운전된다. 즉,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의 고내 온도 모두가 불만 영역이더라도 상기 제1저장실(12)의 고내 온도(CT)가 만족 영역에 이르도록 우선적으로 운전된 후 제2저장실(13)의 고내 온도(CT2)를 만족 영역에 이르도록 하기 위한 운전이 수행된다.In particular, in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the
이는 제1저장실(12)의 경우 작은 온도 변화라도 저장물이 변질되는 우려가 있는 반면, 제2저장실(13)의 경우는 온도 변화가 발생되더라도 저장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물론, 제2저장실(13)로 냉기가 공급되는 도중에도 상기 제1저장실(12)이 불만 영역에 속하거나 혹은, 상한 기준온도(NT+diff)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2저장실(13)로 공급되는 냉기는 제1저장실(12)로 공급되도록 운전된다.Of course, even while the cold air is being supplied to the
그리고, 전술된 일반 저장운전(S1)이 수행되는 과정에서는 도어(12a,13a)의 개방 여부가 지속적으로 확인된다.And, it is continuously checked whether the
만일, 상기 도어(12a,13a)가 개방될 경우 제어부(70)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확인(S130)한다.If the
상기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은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가 설정 경과시간(T) 내에 설정 조건온도(투입 조건온도)(Δt) 이상 상승될 경우,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상승되는 온도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설정 변화율보다 높을 경우,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가 불만 영역일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만 영역은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에 비해 더욱 높은 온도이다.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그리고, 상기 일반 저장운전(S1)이 수행되는 도중 상기한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이 만족된다면 부하 대응운전(S2)을 수행(첨부된 도 8 참조)한다.In addition, if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is satisfied while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S1 is being performed,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performed (refer to the attached FIG. 8 ).
이러한 부하 대응운전(S2)은 일반 저장운전(S1) 보다는 높은 냉력으로 수행(S210)되며, 상기 부하 대응운전(S2)이 수행될 때에는 해당 부하 대응운전(S2)에 대한 운전 종료조건을 확인(S220)하여 운전 종료조건이 만족되면 부하 대응운전(S2)은 종료(S230)된다.This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performed with a higher cooling power than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S1) (S210), and whe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performed, the operation termination condition for the corresponding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checked ( When the operation 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S220),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terminated (S230).
그리고, 상기 부하 대응운전(S2)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70)는 각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CT,CT2)를 기준으로 냉력조절수단(압축기 및 각 냉각팬)을 제어하면서 일반 저장운전(S1)을 수행한다.And, whe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finished, the
한편, 상기한 일반 저장운전(S1) 혹은, 부하 대응운전(S2)이 수행될 때에는 상기 각 운전의 시간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가 취득(S160)되어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eneral storage operation (S1) 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performed,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for each time of each operation is acquired (S160) and stored.
이때, 상기 사용 패턴은 도어(12a,13a)의 개방 혹은, 부하 대응운전의 수행 중 적어도 어느 한 행위가 될 수 있고, 수행 여부나 수행 횟수 중 어느 하나로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 pattern may be at least one of opening the
이와 함께, 상기 각 운전의 시간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는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된 후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으로 구분(S170)된다.At the same time,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by time of each driving is accumulated for a set period and then divided into a normal section and an overuse section for each time ( S170 ).
예컨대, 3주일 동안 취득된 시간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각 시간별로 평균 사용량에 비해 많은 사용이 이루어진 시간대를 확인하여 해당 시간대를 과사용 구간으로 구분하고, 그 이외의 시간대는 일반 구간으로 구분하는 것이다.For example, based on the hourly usage pattern acquired for 3 weeks, check the time zone in which more usage is made compared to the average usage for each hour, classify the corresponding time zone as an overuse section, and classify the other time zones as a general section .
물론, 상기 일반 구간은 평균 사용량의 구간과 평균 사용량에 비해 적은 사용이 이루어지는 비사용 구간으로 추가로 구분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general section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n average usage section and a non-use section in which use is less than the average usage section.
상기와 같이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이 구분되면 능동 절전운전(S3)이 수행될 경우 상기 구분된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기준값을 이용한 운전이 수행되도록 설정된다.When the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 section are divi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is performed, the operation using a different reference value is set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상기 기준값은 전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온도, 부하 대응운전(S2)의 운전 시작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경과시간(T)이나 설정 조건온도(Δt),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 혹은, 설정 변화율, 냉력조절수단의 냉력 중 적어도 어느 한 값이 포함될 수 있다.The reference value is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그리고, 전술된 일반 저장운전(S1) 혹은, 부하 대응운전(S2)이 수행되는 도중 사용자에 의한 능동 절전운전(S3)의 수행 선택(요청)이 발생되면 능동 절전운전(S3)이 수행(첨부된 도 9 참조)된다.And, when a user selects (request) to perform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while the above-described general storage operation (S1) or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being performed,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is performed (attached) (see Figure 9).
즉, 제어부(70)는 능동 절전운전(S3)의 수행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구분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의 시간 동안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을 조절하면서 일반 저장운전(S1) 혹은, 부하 대응운전(S2) 중 적어도 어느 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된다.That is, when a request to perform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is generated, the
예컨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설정 기준온도(NT,NT2)나 상한 기준온도(NT+diff,NT2+diff) 혹은, 하한 기준온도(NT-diff,NT2-diff) 중 어느 한 기준온도를 더욱 낮게 변경하거나 혹은,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어느 한 기준온도를 더욱 높게 변경하여 운전할 수도 있다.For example,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in the general section, any one of the set standard temperature (NT, NT2), the upper limit standard temperature (NT+diff, NT2+diff), or the lower limit standard temperature (NT-diff, NT2-diff) is more It may be changed to a lower value or by changing one of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temperatures to be higher during the general section than during the overuse section.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기준온도를 낮춤으로써 선제적인 고내 온도의 하락을 통한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기준온도를 높임으로써 냉력조절수단(압축기 혹은, 냉각팬)의 동작에 따른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lower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through a preemptive decrease in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by rais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during the general section, the pow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compressor or cooling fan) This was done to reduce consumption.
또한, 부하 대응운전시(S2)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설정 경과시간(T)이 더욱 짧게 설정되거나 혹은,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설정 경과시간(T)이 더욱 길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the set elapsed time (T) is set short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the normal section, or the set elapsed time (T) is set longer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the overuse section. have.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낮춤으로써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높임으로써 부하 대응운전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by lowering the set elapsed time (T)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and during the normal section, the set elapsed time ( By increasing T),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e to load response operation.
또한, 부하 대응운전시(S2)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설정 조건온도(Δt)가 더욱 낮게 설정되거나 혹은,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설정 조건온도(Δt)가 더욱 높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Δt) is set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or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t) is set higher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the overuse section. can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S2)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낮춤으로써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부하 대응운전(S2)의 운전 시작조건을 결정하는 설정 경과시간(T)을 높임으로써 부하 대응운전(S2)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by lowering the set elapsed time (T)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and during the normal section,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is lowered. By increasing the determined elapsed time (T), the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can be reduced.
또한, 부하 대응운전(S2)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낮게 설정되거나 혹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저장실(12,13)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높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f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높아지도록 냉력을 높임으로써 잦은 도어(12a,13a)의 개방이 이루어지더라도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을 낮아지도록 냉력을 낮춤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cooling powe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to increase,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물론, 상기 각 구간(일반 구간 또는, 과사용 구간)별 온도변화율의 변경 설정은 부하 대응운전(S2)시에만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부하 대응운전(S2)시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높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change setting of the temperature change rate for each section (normal section or overuse section) may be set to be performed only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That is,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falling during the overuse section can be se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section.
또한, 부하 대응운전(S2)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설정 변화율이 더욱 낮게 설정되거나 혹은,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설정 변화율이 더욱 높게 설정되어 운전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the setting change rate may be set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general section, or the set change rate may be set higher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the overuse section and may be operated.
즉, 과사용 구간동안에는 설정 변화율이 낮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선제적인 부하 대응운전(S2)의 수행을 통해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동안에는 설정 변화율이 높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setting the setting change rate low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temperature rise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preemptive load response operation (S2), and the setting change rate is set high during the general sec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id it
또한,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거나 혹은,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더욱 낮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may be controlled so that a higher cooling power is provided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in the normal section, or a lower cooling power is provided during the normal section than during the overuse section.
즉, 과사용 구간동안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이 더욱 높게 제어되면서 빠르게 고내 온도가 하락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구간에는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이 더욱 낮게 제어되면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부하 대응운전(S2)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controlled to be higher,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rapidly decreased, and in the general section,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controlled to be lower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S2),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a higher cooling power is provided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in the general section.
그리고, 상기 능동 절전운전(S3)이 수행될 때에도 각 시간대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는 정해진 시간(예컨대, 매 시간) 혹은, 정해진 일자(예컨대, 매일 혹은, 격일)마다 파악되면서 계속적으로 갱신된다.Also, even when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is performed,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for each time zone is continuously updated while being grasped at a predetermined time (eg, every hour) or on a predetermined date (eg, every day or every other day).
이와 함께, 상기 능동 절전운전(S3)은 계속적으로 갱신되는 각 시간대별 사용 패턴을 기준으로 운전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 S3 )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ased on the continuously updated usage pattern for each time period.
한편, 상기 능동 절전운전(S3)은 종료 조건을 만족할 경우 종료되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is terminated when the 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이때, 상기 종료 조건은 고내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고, 고내 온도의 온도 하락율이 설정 하락율보다 클 경우가 포함될 수 있으며, 고내 온도가 설정된 시간 내에 설정된 온도 이상 떨어졌을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satisfies a set temperature range, a case in which the temperature drop rate of the refrigerator temperature is greater than a set drop rate, and a case in which the inside temperature drops more than the set temperature within a set time. can
특히, 상기 능동 절전운전(S3)의 종료 조건은 일반 구간에 대한 운전과 과사용 구간에 대한 운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ermination condition of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 S3 )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riving for the normal section and the driving for the overused section.
예컨대, 일반 구간에 대한 운전시에는 고내 온도가 하한 기준온도(NT-diff,NT2-diff)에 도달될 경우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과사용 구간에서는 상기 하한 기준온도(NT-diff,NT2-diff)보다 낮은 설정 최저온도(강노치-diff)에 도달될 경우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operation for a general section, it may be set to e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reaches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and in the overuse section,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NT2-diff) ) can be set to end when the set minimum temperature (strong notch-diff) is reached.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능동 절전운전(S3)이 수행되는 도중 제상운전의 투입 조건이 만족된 경우, 능동 절전운전(S3)을 중단(S350)함과 더불어 제상운전을 위한 제상전 운전이 우선적으로 수행(S510)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when the input condition of the defrosting operation is satisfied while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is being performed, the
특히, 상기 제상전 운전은 냉력조절수단(압축기 및 제1냉각팬)이 최대 부하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면서 제1저장실(12) 내의 고내 온도(CT)가 제1하한 기준온도(NT-diff)보다 낮은 온도의 제상 수행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operation before the defrost,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compressor and the first cooling fan) is controlled to operate at the maximum load while the internal temperature (CT) in the
이러한 제어부(70)의 제어는 고내 온도가 제1상한 기준온도(NT+diff) 혹은, 그 이상의 온도 영역일 경우라도 제상 수행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ntrol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상전 운전이 종료된 후 제상운전을 수행(S520)하고, 상기 제상운전이 완료된 후 최대 부하로 냉력조절수단을 동작하여 최대 냉력을 제공(S530)하면서 제1저장실(12) 내의 고내 온도(CT)가 제1설정 기준온도(NT)보다 낮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능동 절전운전(S3)이 수행되는 도중 비상운전의 투입 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확인(S360)하고, 상기 비상운전의 투입 조건이 만족된 경우, 능동 절전운전을 중단(S370)함과 더불어 비상운전(S4)이 수행(첨부된 도 10 참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이때, 상기 비상운전(S4)의 투입 조건은 설정 시간 이상 연속으로 압축기(60)가 동작될 경우, 설정 시간 이상 고내 온도가 하락(또는, 만족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condition of the emergency operation (S4) includes at least any one of when the
상기 비상운전(S4)은 설정된 냉력으로 냉력조절수단을 동작(S410)시키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된 냉력은 최대 냉력이 될 수 있다.The emergency operation (S4) may be performed while operating (S410)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with the set cooling power. In this case, the set cooling power may be the maximum cooling power.
이와 함께, 상기 냉력조절수단이 동작된 이후에는 비상운전의 운전 종료조건을 확인(S420)한 후 상기 운전 종료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비상운전이 종료(S430)되도록 제어된다.At the same time, after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operated, the emergency operation is controlled to end (S430) after the operation termination condition of the emergency operation is checked (S420) and when the operation 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물론, 상기 비상운전(S4)의 투입 조건이 만족되고 상기 비상운전(S4)이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능동 절전운전(S3)시 일반 구간에서만 냉력이 가변(하락)되게 제어하고, 과사용 구간에서는 냉력이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Of course, after the input condition of the emergency operation (S4) is satisfied and the emergency operation (S4) is performed, the cooling power is controlled to be variable (decreased) only in the general section during the active power saving operation (S3), and the cooling power is controlled in the overuse section It may be desira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being controlled not to chang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취득된 각 시간별 사용 패턴에 따라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절전운전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pattern is performed because the control is performed with different reference values by classifying the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d section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for each time acquired during the set period. This becomes possible.
즉,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의 그래프를 참조해 볼 때, 종래의 일반적인 부하 대응운전(Power TDC)시의 고내 온도 편차(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이)보다 본 발명의 절전운전(Save TDC)시의 운전 고내 온도 편차가 크게 줄어들 수 있어서 소비전력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때, 첨부된 도 12는 종래 일반적인 운전시의 시간별 부하 및 온도 상태이고,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시의 시간별 부하 및 온도 상태이다.That is, when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graphs of FIGS. 11 to 13, the power saving operation (Save TD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deviation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during the conventional general load response operation (Power TDC). ), the temperature deviation inside the operating cabinet can be greatly reduced, so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At this time, the attached FIG. 12 is a load and temperature state by time during a conventional general operation, and FIG. 13 is a load and temperature state by time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부하 대응운전시 최대 냉력으로만 운전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 패턴에 따라 냉력이 달라진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과도한 냉력 제공이나 냉력의 가변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저장물의 과냉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perated only with the maximum cooling power during load response operation, but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pow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Overcooling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기준값(예컨대, 기준온도나 기준시간)을 더욱 낮게 변경하여 운전하기 때문에 선제적인 온도 대응으로 저장물의 변질이 방지될 수 있고, 일반 구간 동안에는 전력 소모가 줄어들어 소비전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changing the reference value (eg, reference temperature or reference time) to a lower value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in the general section, deterioration of the stored material can be prevented by preemptive response to the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and power consumption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 패턴이 계속적으로 갱신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정확한 절전운전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accurate power sav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pattern because the usage pattern is continuously updated.
1. 냉장고
1a. 실내온도센서
1b,1c. 고내온도센서
11. 캐비넷
12. 제1저장실
13. 제2저장실
12a,13a. 도어
14. 감지센서
21,22. 증발기
23. 열전모듈
23a. 열전소자
23b. 싱크
231. 흡열면
232. 발열면
31. 제1냉각팬
41. 제2냉각팬
60. 압축기
61. 제1냉매통로
62. 제2냉매통로
63. 냉매밸브
70. 제어부
71. 카운터1.
1b, 1c.
12.
12a, 13a.
21,22.
23a.
231.
31. 1st cooling
60.
62. Second
70.
Claims (34)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는 냉기열원;
부하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냉력을 조절하기 위한 냉력조절수단;
상기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을 조절하여 상기 저장실에 냉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일반 저장운전과 부하 대응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기간 동안 수행된 각 시간별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용 패턴에 따라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을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의 시간 동안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hamber;
a cold air heat source for generating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chamber;
Cooling power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chamber while the load control is possible;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general storage operation and a load response operation while controll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to control the supply of cold air to the storage chamber;
The control unit is
Acquires a user's usage pattern for each time period performed for a set period, divides a normal section and an overuse section for each time according to the acquired usage pattern, and controls the divided normal section and overuse section with different reference values during the time of the divided normal section and overuse sectio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perform.
상기 기준값은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온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ference value includes a reference temperature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inside a refrigerator in a storage room.
상기 고내 온도에 대한 기준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상한 기준온도(NT-diff)나 하한 기준온도(NT-diff) 혹은, 상기 설정 기준온도(NT) 중 적어도 어느 한 온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either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or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determined based o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set by the user, or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emperature is included.
상기 제어부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기준온도를 더욱 낮게 변경하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ference temperature by chang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to a lower level during an overuse section than during a normal section.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설정 경과시간 내에 설정 조건온도 이상 고내 온도가 상승될 경우 상기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rises above a set condition temperature within a set elapsed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상기 기준값은 상기 설정 경과시간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ference value includes the set elapsed time.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설정 경과시간은 더욱 짧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7. The method of claim 6,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elapsed time f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during the excessive use section is set shorter than that of the general section.
상기 기준값은 상기 설정 조건온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ference valu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is included.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설정 조건온도는 더욱 낮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9. The method of claim 8,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f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the normal section is set to be lower.
상기 기준값은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ference value includes a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that decreases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상기 제어부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높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emperature change rate to be lowered per unit time to be high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상기 제어부는 부하 대응운전시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높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to be high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상기 제어부는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상승되는 온도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설정 변화율보다 높을 경우 상기 부하 대응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is higher than a preset rate of change when the door is opened.
상기 기준값은 상기 설정 변화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ference valu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rate of change is included.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부하 대응운전을 위한 설정 변화율은 더욱 낮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5. The method of claim 14,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change rate for the load response operation during the overuse section is set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section.
상기 기준값은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reference valu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is included.
상기 제어부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during an overuse section than during a normal section.
상기 제어부는 부하 대응운전시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during an overuse section than during a normal section during load response oper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에 대한 구분이 정해진 시간 혹은, 일자마다 갱신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vision between the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d section is updated for each predetermined time or date for each time period.
도어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는 도어 개방 확인단계;
상기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정보와 부하 대응운전의 운전 시작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에 따라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을 조절하여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하면서 일반 저장운전 혹은, 부하 대응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일반운전 수행단계;
상기 각 운전의 시간대별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단계;
상기 정보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기간 동안 수행된 각 시간별 사용 패턴에 따라 각 시간별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으로 구분하는 절전운전 설정단계;
상기 절전운전 설정단계에서 구분된 일반 구간과 과사용 구간의 시간 동안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냉력조절수단의 냉력을 조절하면서 일반 저장운전 혹은, 부하 대응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절전운전 수행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a temperatur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in the storage room;
a door open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At least one of a general storage operation or a load response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controlling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room by controll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nside the storage room and whether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s of the load response operation are satisfied. a step of performing a general operation selectively performed;
a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a usage pattern for each time period of the respective driving;
a power saving operation setting step of dividing into a normal section and an overuse section for each time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for each time performed for a set period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A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of selectively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general storage operation or a load response operation while adjust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oling power control means to different reference values during the time of the normal section and the overuse section divided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setting step ;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는 사용자의 요청 발생시 수행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요청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일반운전 수행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is made to be performed when a user's request occurs,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rmal operation perform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re is no request for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by the user.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의 기준값은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온도가 포함되고,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기준온도를 더욱 낮게 변경하여 운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reference value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includes a reference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to a lower value during an overuse section than during a normal section.
상기 고내 온도에 대한 기준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상한 기준온도(NT-diff)나 하한 기준온도(NT-diff) 혹은, 상기 설정 기준온도(NT) 중 적어도 어느 한 온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either the upp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or the lower limit reference temperature (NT-diff) determined based o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set by the user, or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NT).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emperature is included.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의 기준값은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온도가 포함되고,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기준온도를 더욱 높게 변경하여 운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reference value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includes a reference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to be higher during a normal section than during an overuse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설정 경과시간 내에 설정 조건온도 이상 고내 온도가 상승될 경우 수행되고,
상기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설정 경과시간이 더욱 짧게 설정되어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load 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ep is perform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rises above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within the set elapsed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set elapsed time is set to be short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설정 경과시간 내에 설정 조건온도 이상 고내 온도가 상승될 경우 수행되고,
상기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설정 경과시간이 더욱 길게 설정되어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load 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ep is perform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rises above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within the set elapsed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set elapsed time is set to be longer for a normal section than for an overuse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설정 경과시간 내에 설정 조건온도 이상 고내 온도가 상승될 경우 수행되고,
상기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설정 조건온도가 더욱 낮게 설정되어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load 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ep is perform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rises above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within the set elapsed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is set to be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설정 경과시간 내에 설정 조건온도 이상 고내 온도가 상승될 경우 수행되고,
상기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설정 조건온도가 더욱 높게 설정되어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load 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step is perform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rises above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within the set elapsed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set condition temperature is set to be higher during a normal section than during an overuse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하락되는 온도변화율이 더욱 낮게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during the normal section is controll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overuse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상승되는 온도변화율이 설정 변화율보다 높을 경우 수행되고,
상기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상기 설정 변화율이 더욱 낮게 설정되어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load 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when the door is opened is higher than the set rate of change,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setting change rate is set to be l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의 부하 대응운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실 내의 고내 온도에 대한 단위시간당 상승되는 온도변화율이 설정 변화율보다 높을 경우 수행되고,
상기 부하 대응운전시에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상기 설정 변화율이 더욱 높게 설정되어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load 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when the door is opened is higher than the set rate of change,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load response operation, the setting change rate is set to be higher during a normal section than during an overuse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일반 구간보다 과사용 구간동안 더욱 높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the cooling power adjusting means is controlled to provide a higher cooling power during the overuse section than during the normal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에서는 과사용 구간보다 일반 구간동안 더욱 낮은 냉력이 제공되도록 냉력조절수단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aving operation, the cooling power adjusting means is controlled to provide a lower cooling power during a normal section than during an overuse section.
상기 절전운전 설정단계의 각 구간별 기준값은 정해진 시간 혹은, 일자마다 갱신되고,
상기 절전운전 수행단계는 상기 갱신된 각 구간별 기준값을 토대로 운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section of the power saving operation setting step is updated for each predetermined time or dat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wherein the power saving operation performing step is performed based on the updated reference value for each section.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4463A KR20220084716A (en) | 2020-12-14 | 2020-12-14 |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PCT/KR2021/016582 WO2022131564A1 (en) | 2020-12-14 | 2021-11-12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4463A KR20220084716A (en) | 2020-12-14 | 2020-12-14 |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84716A true KR20220084716A (en) | 2022-06-21 |
Family
ID=820578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74463A Pending KR20220084716A (en) | 2020-12-14 | 2020-12-14 |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084716A (en) |
| WO (1) | WO2022131564A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70087440A (en) | 2017-07-19 | 2017-07-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
| KR20180055242A (en) | 2016-11-16 | 2018-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20200087049A (en) | 2019-01-10 | 2020-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20200105183A (en) | 2019-02-28 | 2020-09-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745581B2 (en) * | 2002-09-16 | 2004-06-08 | The Coca-Cola Company | Systems and methods for temperature control in refrigeration systems and heating systems |
| JP2006023042A (en) * | 2004-07-09 | 2006-01-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efrigerator |
| KR100705767B1 (en) * | 2005-12-20 | 2007-04-0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Cooling control method of Kimchi refrigerator |
| KR20150032404A (en) * | 2013-09-17 | 2015-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00077881A (en) * | 2018-12-21 | 2020-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
-
2020
- 2020-12-14 KR KR1020200174463A patent/KR20220084716A/en active Pending
-
2021
- 2021-11-12 WO PCT/KR2021/016582 patent/WO2022131564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55242A (en) | 2016-11-16 | 2018-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20170087440A (en) | 2017-07-19 | 2017-07-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
| KR20200087049A (en) | 2019-01-10 | 2020-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20200105183A (en) | 2019-02-28 | 2020-09-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2131564A1 (en) | 2022-06-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139116B1 (en) | Refrigerator | |
| KR102418005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US11835291B2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12797705B (en) | Refrigerator control method | |
| KR102440226B1 (en) | refrigerator | |
| US10962274B2 (en) | Multi-duct assembly, refrigerator including the multi-duct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 |
| US20200149798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US11906243B2 (en) |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US20250305761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 AU2022200484B2 (en) |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629604B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14502901B (en) | Refrigeration appliances with high freezing capacity | |
| KR20220084716A (en) |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0229145B1 (en) | How to control the high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 |
| KR20220084715A (en) |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220084711A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240230215A9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240044568A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220084713A (en) |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20240302092A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2003272042A (en) | Cooling control device for vending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