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52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1524A KR20220101524A KR1020210003647A KR20210003647A KR20220101524A KR 20220101524 A KR20220101524 A KR 20220101524A KR 1020210003647 A KR1020210003647 A KR 1020210003647A KR 20210003647 A KR20210003647 A KR 20210003647A KR 20220101524 A KR20220101524 A KR 20220101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rame
- panel
- refrigerator
- l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100)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패널(111) 및 상기 전면패널(111) 보다 폭이 작은 후면패널(116)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패널조립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1)의 후면에는 도어프레임이 결합되어, 상기 후면패널(116)과의 사이에 발포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도어라이너(160)가 조립되고,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발포공간(S)의 개구된 후방을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의 네 변을 각각 구성하는 개별프레임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개별프레임 중에서 어퍼프레임(130) 또는 로어프레임(140)에는 상기 발포공간(S)에 연결되는 주입구(H1,H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전면패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면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면접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여 냉장고의 도어 개폐를 줄이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 도어는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로 구성된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어프레임은 금속재질만으로 구성되거나, 합성수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부품들 사이는 스크류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도어의 무게를 가볍하게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이고자 도어의 프레임을 금속재질이 아니라, 합성수지재질로만 만들기도 한다. 합성수지재질의 도어프레임은 무게가 가벼운 반면, 금속프레임에 비해 강도가 약하여 무거운 유리 재질의 도어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질의 도어 프레임 부품들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강하게 체결하기 어렵고, 따라서 부품의 조립부위를 통해 발포액이 누수될 위험이 있다.
한편, 이러한 냉장고 도어는 단열성능을 위해서 내부에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제를 발포 충진하여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처럼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는 일반적인 도어에 비하여 발포 공간 및 발포 유로가 상대적으로 작아 발포제의 발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냉장고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 부분을 회피하여 외곽 부분에 발포 공간을 만들어야 하므로, 발포 공간 및 발포 유로는 도어 전체에서 투시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도어프레임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도어의 도어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발포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냉장고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거나, 투시창을 통해 도어프레임이 노출되어 미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78334에는 가조립된 도어에 발포제를 발포할 때 발포 저항을 줄이는 내용이 공개되어 있는데, 발포 공간 및 유로확보를 위해 도어프레임이 두껍고, 투시창의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조립체에 투명한 패널조립체를 적용하여 냉장고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되, 패널조립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은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합성수지재질의 부품들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투명한 패널조립체를 적용하여 냉장고를 투시할 수 있는 면적은 넓게 하되, 전면으로 드러나는 전면부 전체는 투명한 재질의 전면패널만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 보다 폭이 작은 후면패널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패널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는 도어프레임이 결합되어, 상기 후면패널과의 사이에 발포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도어라이너가 조립되고, 상기 도어라이너는 상기 발포공간의 개구된 후방을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의 네 변을 각각 구성하는 개별프레임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개별프레임 중에서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에는 상기 발포공간에 연결되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전면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면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도어라이너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면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기 전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베젤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후면패널의 양측면을 각각 둘러싸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의 상부는 어퍼프레임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발포공간에 연결되는 상기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의 하부를 로어프레임이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로어프레임의 전면에는 각각 단차진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면에 상기 사이드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사이드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로어프레임의 전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걸이홀과 제1걸이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은 서로 맞물려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로어프레임은 각각 'ㄷ'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조립되되 3면에서 면접촉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로어프레임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조립되되 3면에서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베젤부에 면접촉되는 사이드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전면부에는 사이드메인부가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메인부에는 사이드후면부가 직교하게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전면부와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전면부에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하단을 거는 걸이암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후면부에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제1걸이후크가 삽입되는 걸이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사이드전면부 및 상기 베젤부와 면접촉되는 어퍼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퍼전면부에서 직교하게 어퍼메인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메인부에는 어퍼후면부가 직교하게 연결되어 상기 어퍼전면부와 마주볼 수 있고, 상기 어퍼후면부는 상기 사이드후면부와 면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전면부 및 상기 어퍼후면부에는 각각 제1걸이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걸이후크는 상기 어퍼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조립방향을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도어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장착부와 상기 어퍼프레임의 어퍼전면부 사이에는 전달리브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전면부, 상기 어퍼메인부 및 상기 어퍼후면부에서 상기 발포공간을 향한 내면은 보강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면을 구성하는 어퍼메인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어퍼메인부에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한 쌍의 주입구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사이드전면부 및 상기 베젤부와 면접촉되는 로어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어전면부에서 직교하게 로어메인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메인부에는 로어후면부가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전면부에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상단을 거는 걸이암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후면부에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제2걸이후크가 삽입되는 걸이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드전면부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과 제1접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프레임의 어퍼전면부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과 제2접착면을 형성하며, 상기 로어프레임의 로어전면부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과 제3접착면을 형성하되, 상기 제1접착면, 상기 제2접착면 및 상기 제3접착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발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발포공간의 후면은 상기 도어라이너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라이너는 중심부가 관통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의 바깥쪽 일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 가장자리와 밀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의 안쪽 일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라이너의 상부에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어퍼후면부의 하단을 거는 고정암이 돌출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의 하부에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로어후면부를 통과하여 조립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라이너에 구비된 발포경계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발포경계부와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이 밀착되는 부분에 상기 발포공간의 경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경계부는 함몰되어 내부에 댐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공간에는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을 향해 댐핑플레이트가 돌출되어 상기 댐핑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댐핑공간이 좌우로 구획될 수 이Tek
그리고, 상기 도어라이너의 가장자리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드후면부와 면접촉되고, 상기 사이드후면부와 인접한 상기 도어라이너의 내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드전면부을 향해 구획펜스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라이너의 후면에는 가스켓이 결합되는 가스켓조립홈이 함몰되고, 상기 가스켓조림홈에는 상기 발포공간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벤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조립홈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간섭방지부가 상기 가스켓조립홈의 바닥면에서 더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발포공간 중 일부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부에는 히터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에는 상기 베젤부의 배면을 향하도록 히터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에는 상기 히터장착홈에 인접하여 접착홈이 함몰되되, 상기 접착홈은 상기 베젤부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방지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용 도어는 투명한 패널조립체를 적용하되, 패널조립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은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합성수지재질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도어프레임과 비교하면 도어의 전체 무게를 줄여 도어조립체의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개별프레임(사이드프레임, 어퍼프레임 및 로어프레임)들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 없이 서로 맞물려 조립되고, 후방에서 조립되는 도어라이너 역시 걸림구조로 도어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조립작업이 간소화되고,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어프레임 이외에 별도의 아웃프레임을 덧대지 않고 도어프레임만으로 패널조립체를 지지하므로 도어의 지지구조를 얇게 할 수 있고, 패널유닛을 통해 냉장고의 내부 등을 투시할 수 있는 부분(투시부)은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냉장고의 보관공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도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여러겹으로 구성된 유리재질의 패널유닛 중에서 가장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은 가장자리부분이 도어프레임에 둘러싸이지 않고 전면이 모두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전방에서는 유리부분(전면패널)만 노출되므로 냉장고의 미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사이드프레임, 어퍼프레임 및 로어프레임)들이 서로 조립되면 도어프레임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되는 패널조립체와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도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넓은 접착면적을 통해 발포공간의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어프레임의 후면도 연속된 평면을 구성하여 도어라이너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발포공간의 밀폐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의 베젤부를 반투명하게 만들면 뒤쪽에 있는 도어프레임 등 조립부를 가려 도어의 미감을 좋게 하면서도, 베젤부의 배면에 위치한 조명장치나 터치조작장치 등이 조사하는 빛은 전방으로 투과시킬 수 있으므로 베젤부를 디스플레이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어퍼/로어프레임을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하면, 금속모재로 만드는 것 보다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장치나 터치버튼과 같은 다양한 전기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수용구조를 도어프레임에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개별프레임(사이드프레임, 어퍼프레임 및 로어프레임)들은 서로 맞물려 여러면에서 면접촉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도어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고, 부품들 사이로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에서 패널유닛을 제외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구조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프레임의 안쪽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프레임의 전면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에서 사이드프레임과 로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2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2의 II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에서 패널유닛과 사이드프레임을 제외한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에서 상부 측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도 2의 IV-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의 하부구조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의 하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9는 도 2의 V-V'선에 대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제작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에서 패널유닛을 제외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구조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프레임의 안쪽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프레임의 전면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에서 사이드프레임과 로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2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2의 II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에서 패널유닛과 사이드프레임을 제외한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에서 상부 측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도 2의 IV-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의 하부구조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의 하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9는 도 2의 V-V'선에 대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일실시례를 제작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100)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도어조립체가 적용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는 일반냉장고, 와인냉장고, 김치냉장고, 음료저장고, 식물재배장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내부에 보관공간이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캐비넷(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크게는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의 개방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0)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까지 연결되어, 힌지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덮거나, 힌지장치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0)에는 총 4개의 보관공간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부에는 제1상부수납부(30A)와 제2상부수납부(30B)가 있고, 하부에는 제1하부수납부(40A)와 제2하부수납부(40B)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도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1상부수납부(30A)를 차폐하는 도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상부수납부(30B)에는 디스펜서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장치(50)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냉장고를 열지 않고도 물이나 얼음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장치(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실시례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는 상기 제1상부수납부(30A)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는 회전을 통해 여닫히는 구조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제1상부수납부(30A)를 차폐하거나, 회전을 통해 전면프레임으로부터 멀어져 제1상부수납부(30A)를 개방시킨다.
즉, 상기한 냉장고용 도어(100)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밀폐형의 제1상부수납부(30A)를 이루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밀폐형의 제1상부수납부(30A)는 냉기손실 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투시부(115) 구조로 만들어져 제1상부수납부(30A)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9에는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용 도어(100)의 한쪽에는 힌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냉장고용 도어(100)를 상기 캐비넷(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힌지는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우측면에 설치되는데, 이와 반대로 좌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 및 하부가 아니라 중간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31은 상기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장착부를 나타낸다.
도 3를 보면,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후방에 조립되는 도어라이너(160)와 가스켓(190)이 생략된 상태로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후방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도어라이너(160)가 생략되면,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후방에는 사각형상의 빈 공간인 발포공간(S)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발포공간(S)은 도어라이너(1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차폐된 상태에서 주입구(H1,H2)를 통해 발포액이 주입 및 발포될 수 있다. 상기 발포공간(S)은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프레임과 후면패널(116)의 사이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패널조립체(110), 히터하우징(180), 도어프레임, 도어라이너(160) 및 가스켓(190)이 나열되어 있다. 이 중에서 상기 히터하우징(180)은 상기 패널조립체(110)의 후면패널(116)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패널조립체(110)는 여러겹의 유리패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패널조립체(110)에는 복수의 투명한 재질의 패널이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되며, 상기 패널조립체(110)를 통해 냉장고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조립체(110)는 복수 유리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유리재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투시가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패널층 중 상기 패널조립체(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1)은 하프 글래스 소재로 형성되어 냉장고 내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필름이 도포되어 반투명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조립체(110)는 패널조립체(11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111)과,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에 적층되는 후면패널(116)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패널(116)은 전면패널(111)의 후방에 적층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후면패널(116)이 2겹(116a,116b)으로 구성되지만, 1겹 이하이거나 또는 3겹 이상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조립체(110)는 상기 전면패널(111)과 후면패널(116)을 포함하여 3중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패널조립체(110)는 유리 또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패널(111) 및 후면패널(116)은 단열 소재 또는 단열 구조를 가지며 고내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면패널(116)은 상기 전면패널(111)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면패널(111)의 면적이 상기 후면패널(116)의 면적 보다 더 넓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111)의 가장자리는 상기 후면패널(116)의 가장자리, 즉 후면패널(116)의 측면 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전면패널(111)의 더 돌출된 부분을 베젤부(112b)라 하고, 베젤부(112b)의 안쪽에 있는 부분을 투시부(115)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115)는 상기 패널조립체(110)를 통해서 보관공간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부분이고, 베젤부(112b)는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젤부(112b)는 상기 전면패널(111)에만 있지만, 상기 투시부(115)는 전면패널(111) 뿐 아니라, 상기 후면패널(116)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상기 투시부(115)는 패널조립체(110)를 통해 냉장고의 보관공간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부분으로, 전면패널(111)의 중심부분과, 후면패널(116)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3을 보면 투시부(115)는 베젤부(112b)의 안쪽에 마련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베젤부(112b)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프레임이 설치되고, 다양한 부품들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조립체(110)를 구성하는 각 유리 사이사이에는 간봉(11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간봉(118)은 각 유리사이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것으로, 각 유리들과 복수의 간봉(118)들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실런트가 도포되어 전면패널(111)-후면패널(116) 사이가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후면패널(116)의 후면에는 복사에 의한 저장실 내로의 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된 유리를 로이 유리(Low-ε Glass)라고 하는데, 유리의 표면에 보통은 등을 스퍼터링(Sputtering) 등으로 증착함으로써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봉(149)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전면패널(111)-후면패널(116) 사이의 밀폐된 공간은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111)-후면패널(116)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는 단열을 위한 아르곤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도 있다. 비활성 기체는 일반 공기에 비해 단열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다음으로 도어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도어프레임은 개별프레임들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의 네 변을 각각 구성하는 개별프레임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되면 상기 도어프레임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별프레임 중에서 어퍼프레임(130) 또는 로어프레임(140)에는 상기 발포공간(S)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주입구(H1,H2)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구(H1,H2)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주입구(H1,H2)는 어퍼프레임(13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아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상기 어퍼프레임(130) 사이는 3면에서 면접촉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상기 로어프레임(140) 역시 3면에서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공간(S)을 밀폐하기 위한 차폐면적도 함께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과, 어퍼프레임(130) 및 로어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어퍼프레임(130) 및 로어프레임(140)은 각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체 중량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도어프레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워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보면,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세워지는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은 대략 'ㄷ'자 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일방향을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은 뒤틀림이나 휘어짐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사이드몸체(121)는 사이드전면부(121a), 사이드메인부(121b) 및 사이드후면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 사이드메인부(121b) 및 사이드후면부(121c)는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대략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몸체(121)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위아래로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는 상기 베젤부(112b)에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는 아래에서 설명될 로어전면부(143a) 및 어퍼전면부(133a)와 함께 연속된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 로어전면부(143a) 및 어퍼전면부(133a)는 상기 베젤부(112b)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는 로어전면부(143a) 및 어퍼전면부(133a)와 함께 연속된 평면을 구성하므로 접착면적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에는 걸이암(1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암(124)은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하단을 걸 수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걸이암(124)은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의 배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일 수 있고, 상기 걸이암(124)은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하단을 지지하는 형태로 걸어줄 수 있다.
상기 사이드메인부(121b)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메인부(121b)는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상기 로어프레임(140)에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사이드메인부(121b)의 상부가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겹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는 상기 사이드메인부(121b)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는 상기 전면 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는 상기 패널조립체(110)와의 접착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에는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제1걸이후크(133d)가 삽입되는 걸이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홀(123)은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걸이홀(123)에 상기 제1걸이후크(133d)가 걸리면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상기 어퍼프레임(130)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는 걸이암(124)과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의 걸이홀(123)이 각각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조립되므로,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상기 어퍼프레임(130)은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의 상부는 상기 어퍼프레임(130)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130)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 사이를 연결하는 일종의 바(bar)형상이고, 상기 어퍼프레임(130)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눕혀지는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130)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대략 'ㄷ'자 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일방향을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어퍼프레임(130)은 뒤틀림이나 휘어짐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30)은 어퍼전면부(133a), 어퍼메인부(133b) 및 어퍼후면부(13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전면부(133a), 어퍼메인부(133b) 및 어퍼후면부(133c)는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대략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좌우측 끝부분은 각각 좌우로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어퍼전면부(133a)는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와 면접촉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어퍼전면부(133a)가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와 중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전면부(133a)에는 제1전면부(133a1)와 제2전면부(133a2)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2전면부(133a2)는 제1전면부(133a1)와 단차진 조립면(133a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면(133a2)은 상기 어퍼전면부(133a)에서 후방으로 단차진 부분을 형성하고, 이 부분을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전면부(121a)가 메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어퍼전면부(133a)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전면부(121a)는 서로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과 도 9를 보면, 상기 어퍼전면부(133a)에는 제1걸이후크(133d)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후크(133d)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홀(123)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후크(133d)는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조립방향을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어퍼프레임(130)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에 조립될 때 상기 제1걸이후크(133d)가 상기 걸이홀(123)에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걸이후크(133d)는 상기 조립면(133a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전면부(133a)는 상기 베젤부(112b)와도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어퍼전면부(133a)와 상기 베젤부(112b)의 배면은 접착제나 테잎 등으로 서로 접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전면부(133a)는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어퍼전면부(133a)에는 상기 어퍼메인부(133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메인부(133b)는 상기 어퍼전면부(133a)에서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어퍼메인부(133b)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구멍이 주입구(H1,H2)일 수 있다. 상기 주입구(H1,H2)는 상기 어퍼메인부(133b)에 서로 이격되어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H1,H2)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높이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한 쌍의 주입구(H1,H2)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주입구(H1,H2)를 통해 주입되는 발포액의 진행속도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장치(150)를 지나는 발포액은 진행속도가 지연되므로, 사이드프레임(120)과 중첩되는 위치에 주입구(H1,H2)를 배치하여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주입구(H1,H2)에 차폐커버(C)가 덮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폐커버(C)는 발포액이 모두 충진된 후에 상기 주입구(H1,H2)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C)의 커버몸체(C1)는 상기 주입구(H1,H2)를 덮고, 상기 커버몸체(C1)의 하부에는 커버후크(C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C1)는 상기 어퍼메인부(133b)에 형성된 단차면(136)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커버후크(C2)는 상기 주입구(H1,H2)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어퍼메인부(133b)에는 수축방지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홈(135)은 상기 어퍼메인부(13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홈(135)은 합성수지재질을 사출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어퍼프레임(130)이 제조과정에서 수축되고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축방지홈(135)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상기 어퍼프레임(130)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메인부(133b)와 상기 어퍼전면부(133a)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어퍼메인부(133b)의 끝부분인 제1전면돌출단(133a')이 상기 어퍼전면부(133a) 보다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어퍼메인부(133b)의 제1전면돌출단(133a') 아래쪽으로 제1장착공간(A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장착공간(A1)은 앞서 설명한 패널조립체(110) 중에서 전면패널(111)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어퍼메인부(133b)에는 어퍼후면부(133c)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후면부(133c)는 상기 어퍼메인부(133b)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퍼전면부(133a)와 마주볼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어퍼후면부(133c)는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와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어퍼후면부(133c)에도 상기 제1걸이후크(133d)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어퍼전면부(133a)의 전면에는 제1걸이후크(133d)가 구비되고, 어퍼전면부(133a)의 배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암(124)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후면부(133c)의 배면에는 제1걸이후크(133d)가 구비되고, 상기 어퍼후면부(133c)의 전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암(124)이 걸릴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은 서로 여러 지점에서 서로 맞물리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어퍼메인부(133b)의 상단에는 제1후면돌출단(133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면돌출단(133c')은 상기 어퍼후면부(133c) 보다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제1후면돌출단(133c')과 상기 어퍼후면부(133c) 사이에는 빈 공간인 제2장착공간(A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공간(A2)은 도어라이너(160)가 채울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30)에는 센서장착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132)는 도어센서(미도시)가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센서장착부(132)는 상기 어퍼메인부(133b)에 구비될 수 있는데, 어퍼메인부(133b)에서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도 8은 아래쪽에서 상기 어퍼메인부(133b)를 바라본 것으로, 도 8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센서장착부(132)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132)의 중심에는 센싱홀(132c)이 구비될 수 있고, 여기에는 도어센서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장착부(132)의 전면에는 센싱부(132a)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32a)는 패널조립체(110)의 베젤부(112b)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센서장착부(132)는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의 상단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D는 센서장착부(132)를 덮는 센서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도 8을 보면, 상기 센서장착부(132)에는 전달리브(13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리브(132b)는 상기 어퍼메인부(133b)의 저면에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달리브(132b)는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전달리브(132b)는 상기 센싱부(132a)가 노출된 상기 어퍼전면부(133a)와 상기 센서장착부(13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달리브(132b)는 냉장고용 도어(100)의 전면에 발생한 충격이 상기 센서장착부(132)에 보다 잘 전달되도록 해줄 수 있다.
도 7과 도 9을 보면, 상기 어퍼전면부(133a), 상기 어퍼메인부(133b) 및 상기 어퍼후면부(133c)에서 상기 발포공간(S)을 향한 내면은 제1보강리브(13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130)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1보강리브(134)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어퍼프레임(130)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고, 특히 발포액의 발포과정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변형을 방지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리브는 비대칭구조일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어퍼전면부(133a)가 상기 어퍼후면부(133c) 보다 넓기 때문이다. 즉, 제1보강리브(134) 중에서 상기 어퍼전면부(133a)에 연결된 부분(134a)이 상기 어퍼후면부(133c)에 연결된 부분(134b) 보다 넓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어프레임(14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의 하부는 상기 로어프레임(140)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140)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 사이를 연결하는 일종의 바(bar)형상이고, 상기 로어프레임(140)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눕혀지는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140)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대략 'ㄷ'자 형태의 횡단면을 갖고, 일방향을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로어프레임(140)은 뒤틀림이나 휘어짐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로어프레임(140)은 로어전면부(143a), 로어메인부(143b) 및 로어후면부(14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전면부(143a), 로어메인부(143b) 및 로어후면부(143c)는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대략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좌우측 끝부분은 각각 좌우로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로어전면부(143a)는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 상기 어퍼전면부(133a)와 함께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어전면부(143a)는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 및 상기 어퍼전면부(133a)와 함께 서로 연속된 평면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베젤부(112b)에 면접촉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로어전면부(143a)는 상기 로어후면부(143c)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전면부(143a)의 상단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암(124)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전면부(143a)에는 제2걸이후크(143d)가 돌출될 수 있고, 여기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홀(123)이 걸릴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 상기 로어프레임(14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사이의 조립구조는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사이의 조립구조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로어전면부(143a)의 전면에는 제2걸이후크(143d)가 구비되고, 로어전면부(143a)의 배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암(124)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후면부(143c)의 배면에는 제2걸이후크(143d)가 구비되고, 상기 로어후면부(143c)의 전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암(124)이 걸릴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은 서로 여러 지점에서 서로 맞물리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어전면부(143a)는 상기 사이드전면부(121a)와 면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전면부(143a)에는 제1전면부(143a1)와 제2전면부(143a2)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2전면부(143a2)는 제1전면부(143a1)와 단차진 조립면(143a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면(143a2)은 상기 로어전면부(143a)에서 후방으로 단차진 부분을 형성하고, 이 부분을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전면부(121a)가 메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로어전면부(143a)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전면부(121a)는 서로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어메인부(143b)와 상기 로어전면부(143a)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로어메인부(143b)의 끝부분인 제2전면돌출단(143a')이 상기 로어전면부(143a) 보다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로어메인부(143b)의 제2전면돌출단(143a') 위쪽으로 제1장착공간(A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장착공간(A1)은 앞서 설명한 어퍼메인부(133b)와 상기 어퍼전면부(133a)에 사이에 형성된 제1장착공간(A1)과 같은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로어전면부(143a)에는 로어메인부(143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메인부(143b)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어메인부(143b)에는 힌지장치가 설치되는 힌지하우징(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은 상기 발포공간(S)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메인부(143b)에는 로어후면부(143c)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후면부(143c)는 상기 로어메인부(143b)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로어전면부(143a)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로어후면부(143c)는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와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로어후면부(143c)에도 상기 로어전면부(143a)와 마찬가지로 제1후면부(143c1)와 제2후면부(143c2)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2후면부(143c2)는 제1후면부(143c1)와 단차진 조립면(143c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면(143c2)은 상기 로어후면부(143c)에서 후방으로 단차진 부분을 형성하고, 이 부분을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후면부(121c)가 메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로어후면부(143c)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후면부(121c)는 서로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어후면부(143c)의 하단에는 제2후면돌출단(143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후면돌출단(143c')은 상기 로어후면부(143c) 보다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제2후면돌출단(143c')과 상기 로어후면부(143c) 사이에는 빈 공간인 제2장착공간(A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공간(A2)은 앞서 설명한 어퍼후면부(133c)와 상기 어퍼메인부(133b) 사이의 제2장착공간(A2)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제2장착공간(A2)은 도어라이너(160)가 채울 수 있다.
상기 로어전면부(143a), 상기 로어메인부(143b) 및 상기 로어후면부(143c)에서 상기 발포공간(S)을 향한 내면은 제2보강리브(14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140)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2보강리브(144)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리브(144)는 상기 로어프레임(140)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고, 특히 발포액의 발포과정에서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변형을 방지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보강리브(144)는 비대칭구조일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로어전면부(143a)가 상기 로어후면부(143c) 보다 넓기 때문이다. 즉, 제2보강리브(144) 중에서 상기 로어전면부(143a)에 연결된 부분(144a)이 상기 로어후면부(143c)에 연결된 부분(144b) 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로어후면부(143c)에는 푸시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홀(146)은 푸시장치(147)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푸시장치(147)의 일부가 상기 푸시홀(146)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7에는 상기 푸시장치(147)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푸시장치(147)는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를 상기 캐비넷(10)으로부터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장치(150)를 해제하면,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가 어느 정도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어메인부(143b)에는 수축방지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홈(145)은 상기 로어메인부(14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홈(145)은 합성수지재질을 사출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로어프레임(140)이 제조과정에서 수축되고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조립되는 도어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패널조립체(110)의 전면패널(111)의 배면과 접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i)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전면부(121a)가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과 제1접착면(K1, 도 16 및 도 19 참조)을 형성할 수 있고, (ii)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어퍼전면부(133a)가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과 제2접착면(K2, 도 12 및 도 15 참조)을 형성할 수 있으며, (iii)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로어전면부(143a)가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과 제3접착면(K3, 도 18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면 내지 제3접착면(K1~K3)은 서로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 사이에는 충분히 넓은 접착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잠금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50)는 상기 냉장고용 도어(10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50)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장치(150)는 하단에 손잡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151)로부터 상부로 긴 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50)는 잠금하우징(155)에 의해 감싸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발포과정에서 잠금장치(150)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51)의 반대편에는 잠금부(153)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잠금부(153)는 일종의 후크구조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51)를 들어올리면 상기 잠금부(153)가 연동하여 잠김상태가 풀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150)에 구비된 탄성부재(미도시)는 상기 손잡이부(151)를 원위치시켜줄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도어라이너(1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조립되어 상기 발포공간(S)을 차폐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발포공간(S)은 상기 베젤부(112b)의 배면,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측면, 상기 후면패널(116)의 측면 및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전면에 의해 정의되는 빈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조립되어 상기 발포공간(S)을 차폐하고, 이 상태에서 발포액이 상기 주입구(H1,H2)를 통해 주입되면 상기 발포공간(S)에 발포액이 채워지고 발포되어 단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라이너몸체(161)는 대략 사각틀 형태이고, 상기 라이너몸체(161)는 중심부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가 관통된 형태이므로, 상기 투시부(115)가 상기 도어라이너(160)를 투시하여 캐비넷(10)의 보관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에는 고정암(162)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암(162)은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전면에서 대략 외팔보 형태로 연장될 수 있고, 상부, 즉 상기 어퍼프레임(130)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암(162)은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어퍼후면부(133c)의 하단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고정암(162)에는 다수개의 고정편(162a)들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암(162)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3을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하부에는 고정후크(1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163)는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전면에서 외팔보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163)는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로어후면부(143c)를 통과하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163)의 끝부분에는 고정턱(163a)이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163)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상부는 상기 고정암(162)에 의해 상기 어퍼프레임(130)에 걸리고,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하부는 상기 고정후크(163)에 의해 상기 로어프레임(140)에 걸릴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고정암(162)을 먼저 상기 어퍼프레임(130)에 건 후에,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하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후크(163)를 상기 로어프레임(140)에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라이너(160)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가 도어프레임에 조립되면,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상기 어퍼프레임(130) 및 상기 로어프레임(140)과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먼저 도 16을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후면부(121c)와 면접촉되어 제1라이너접촉면(L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5를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가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어퍼후면부(133c)와 면접촉되어 제2라이너접촉면(L2)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3을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가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로어후면부(143c)와 면접촉되어 제3라이너접촉면(L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상기 어퍼프레임(130) 및 상기 로어프레임(140)과 각각 면접촉되므로, 발포공간(S)을 밀폐하기 위한 차폐면적도 함께 넓어질 수 있다.
도 13을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에는 가스켓장착부(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장착부(B)는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여기에는 가스켓(190)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장착부(B)의 형태는 가스켓(19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가스켓장착부(B)에는 요철부(165)가 구비되고, 상기 요철부에는 가스켓조립홈(16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조립홈(165a)은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후면에서 상기 가스켓장착부(B) 보다 더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스켓조립홈(165a)에는 가스켓(19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가스켓조립홈(165a)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가 조립되어 상기 가스켓(190)을 보가 견고하게 상기 도어라이너(16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17을 보면, 상기 가스켓조립홈(165a)에는 상기 발포공간(S)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벤트(V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벤트(V2)는 발포공간(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스켓조립홈(165a)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H1,H2)는 한 쌍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한 쌍의 주입구(H1,H2)를 통해 주입된 발포액이 팽창 및 응고하여 가스 적체(gas trap)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에어벤트(V2)가 이러한 가스 적체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하부에는 푸시장치(147)가 장착되는 푸시통과부(1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장치(147)의 일부는 상기 푸시통과부(167)를 통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에는 간섭방지부(16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부(169)는 상기 가스켓(190)이 눌리는 과정에서 가스켓(19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함몰된 공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간섭방지부(169)는 상기 요철부와 인접한 상기 가스켓장착부(B)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섭방지부(169)에도 역시 상기 에어벤트(V2)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과의 사이에 제1라이너접촉면(L1), 제2라이너접촉면(L2) 및 제3라이너접촉면(L3)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후면패널(116)의 배면과도 접촉되어 상기 발포공간(S)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바깥쪽 일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 가장자리와 밀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안쪽 일부는 상기 후면패널(116)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3, 도 18 및 도 19를 보면,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내측에는 발포경계부(1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포경계부(166)는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후방, 즉 상기 후면패널(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발포경계부(166)는 대략 삼각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그 내부에 댐핑공간(16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경계부(166)의 한 쪽 끝은 상기 후면패널(116)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발포경계부(166)와 상기 후면패널(116)의 표면이 서로 만나는 부분이 발포공간(S)의 한쪽 경계가 될 수 있다. 상기 댐핑공간(166a)은 상기 발포액이 채워지는 속도를 늦추어 상기 발포경계부(166)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댐핑공간(166a)에는 상기 후면패널(116)의 표면을 향해 댐핑플레이트(166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댐핑플레이트(166b)는 상기 댐핑공간(166a)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댐핑플레이트(166b)를 기준으로 상기 댐핑공간(166a)이 좌우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댐핑플레이트(166b)의 일단부와 상기 후면패널(116)의 표면은 밀착되지 않고, 도 19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어느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포액은 상기 댐핑플레이트(166b)를 타고 넘어 상기 경계부까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댐핑플레이트(166b)는 댐핑공간(166a)에 발포액이 채워지는 속도를 더욱 늦추어줄 수 있다.
도 19에서 보듯이,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후면부(121c)와 면접촉될수 있고, 여기에는 앞서 설명한 제1라이너접촉면(L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후면부(121c)와 인접한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내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전면부(121a)을 향해 구획펜스(168)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획펜스(168)는 상기 발포액이 상기 제1라이너접촉면(L1)을 향해 이동하는 속도를 늦추어,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구획펜스(168)는 상기 댐핑플레이트(166b)와 같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보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후면패널(116)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발포공간(S) 중 일부에는 조명장치(17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8)는 상기 투시부(115)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8)에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 등의 조명부(178a)와, 전원 및 신호인가를 위한 커넥터부(178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78)는 생략되거나, 신호입력을 위한 입력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젤부(112b)에는 히터하우징(1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180)은 열선과 같은 발열장치(미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히터하우징(180)의 상기 전면패널(111)과 후면패널(116)의 경계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장치는 냉장고용 도어(100)에 형성될 수 있는 결로를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180)을 구성하는 하우징몸체(181)는 대략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보면, 상기 히터하우징(180)을 구성하는 하우징몸체(181)에는 상기 베젤부(112b)의 배면을 향하도록 히터장착홈(1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장착홈(185)에는 발열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히터장착홈(185)은 상기 후면패널(116)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하우징(180)에는 상기 히터장착홈(185)에 인접하여 접착홈(187)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접착홈(187)은 상기 베젤부(112b)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홈(187)에는 상기 히터하우징(180)을 상기 베젤부(112b)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나 테잎이 상기 히터하우징(180)에 보다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착홈(187)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일종의 연속된 요철구조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패널조립체(110)를 구성하는 전면패널(111)과 후면패널(116)이 적층되어 하나의 패널조립체(110)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별개로, 상기 도어프레임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과 어퍼프레임(130) 및 로어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어퍼프레임(130)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조립되고, 상기 로어프레임(140)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20)과 어퍼프레임(130) 사이의 조립구조와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및 로어프레임(140) 사이의 조립구조는 동일하다.
즉, 본 실시례에서 상기 어퍼전면부(133a)의 전면에는 제1걸이후크(133d)가 구비되고, 어퍼전면부(133a)의 배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암(124)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후면부(133c)의 배면에는 제1걸이후크(133d)가 구비되고, 상기 어퍼후면부(133c)의 전면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걸이암(124)이 걸릴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어퍼프레임(13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은 서로 여러 지점에서 서로 맞물리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이 조립되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패널조립체(1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패널조립체(110)는 상기 전면패널(111)이 위쪽을 향하도록 눕혀지고, 상기 후면패널(116)을 둘러싸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이 배치된다. 그리고, 도 20에서 보듯이, 4면에서 각각 지그(J)를 상기 도어프레임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다. 화살표①,②는 지그(J)가 눌러주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롤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면패널(111)를 위에서 아래로 압착하면, 상기 베젤부(112b)의 배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전면부(121a)가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과 제1접착면(K1, 도 16 및 도 19 참조)을 형성할 수 있고, (ii)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어퍼전면부(133a)가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과 제2접착면(K2, 도 12 및 도 15 참조)을 형성할 수 있으며, (iii)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로어전면부(143a)가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과 제3접착면(K3, 도 18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면 내지 제3접착면(K1~K3)은 서로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전면패널(111)의 배면 사이는 강하게 접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패널조립체(110)와 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품을 뒤집고, 상기 베젤부(112b)에 상기 히터하우징(180)을 접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뒤쪽으로 상기 도어라이너(160)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상부는 상기 고정암(162)에 의해 상기 어퍼프레임(130)에 걸리고,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하부는 상기 고정후크(163)에 의해 상기 로어프레임(140)에 걸릴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고정암(162)을 먼저 상기 어퍼프레임(130)에 건 후에, 상기 도어라이너(160)의 하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후크(163)를 상기 로어프레임(140)에 끼울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상기 어퍼프레임(130) 및 상기 로어프레임(140)과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드후면부(121c)와 면접촉되어 제1라이너접촉면(L1)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라이너(160)가 상기 어퍼프레임(130)의 어퍼후면부(133c)와 면접촉되어 제2라이너접촉면(L2)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라이너(160)가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로어후면부(143c)와 면접촉되어 제3라이너접촉면(L3)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도어라이너(160)는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20), 상기 어퍼프레임(130) 및 상기 로어프레임(140)과 각각 면접촉되므로, 발포공간(S)을 밀폐하기 위한 차폐면적도 함께 넓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주입구(H1,H2)에 발포액을 충진하고 발포시켜 단열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포액은 앞서 설명한 베젤부(112b)와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 사이의 면접촉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과 상기 도어라이너(160) 사이의 면접촉 구조를 통해서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발포공간 안을 채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캐비넷
11: 아웃케이스
20: 상부플레이트 100: 냉장고용 도어
110: 패널조립체 111: 전면패널
116: 후면패널 120: 사이드프레임
130: 어퍼프레임 140: 로어프레임
150: 잠금장치 160: 도어라이너
180: 히터하우징 190: 가스켓
S: 발포공간
20: 상부플레이트 100: 냉장고용 도어
110: 패널조립체 111: 전면패널
116: 후면패널 120: 사이드프레임
130: 어퍼프레임 140: 로어프레임
150: 잠금장치 160: 도어라이너
180: 히터하우징 190: 가스켓
S: 발포공간
Claims (30)
-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 보다 폭이 좁은 후면패널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패널조립체;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패널과의 사이에 발포공간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조립되고, 상기 발포공간의 개구된 후방을 차폐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네 변을 각각 구성하는 개별프레임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를 구성하며,
상기 개별프레임 중에서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에는 상기 발포공간에 연결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구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 가장자리와 면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은 상기 도어라이너의 전면 가장자리와 면접촉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기 전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베젤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접착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후면패널의 양측면을 각각 둘러싸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발포공간에 연결되는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어퍼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로어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로어프레임의 표면에는 각각 단차진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면에 상기 사이드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사이드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로어프레임의 표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을 구성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걸이홀과 제1걸이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은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로어프레임은 각각 'ㄷ'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조립되되 3면에서 면접촉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로어프레임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조립되되 3면에서 면접촉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베젤부에 면접촉되는 사이드전면부;
상기 사이드전면부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메인부;와
상기 사이드메인부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전면부와 마주보는 사이드후면부;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전면부에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하단을 거는 걸이암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후면부에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제1걸이후크가 삽입되는 걸이홀이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사이드전면부 및 상기 베젤부와 면접촉되는 어퍼전면부;
상기 어퍼전면부에서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면을 구성하는 어퍼메인부;와
상기 어퍼메인부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퍼전면부와 마주보며, 상기 사이드후면부와 면접촉되는 어퍼후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퍼전면부 및 상기 어퍼후면부에는 각각 제1걸이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걸이후크는 상기 어퍼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조립방향을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도어센서가 장착되는 센서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장착부와 상기 어퍼프레임의 어퍼전면부 사이에는 전달리브가 연결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퍼전면부, 상기 어퍼메인부 및 상기 어퍼후면부에서 상기 발포공간을 향한 내면은 보강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퍼전면부는 상기 어퍼후면부 보다 넓은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면을 구성하는 어퍼메인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어퍼메인부에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주입구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사이드전면부 및 상기 베젤부와 면접촉되는 로어전면부;
상기 로어전면부에서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면을 구성하는 로어메인부;과
상기 로어메인부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로어전면부와 마주보며, 상기 사이드후면부와 면접촉되는 로어후면부;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전면부에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상단을 거는 걸이암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후면부에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제2걸이후크가 삽입되는 걸이홀이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드전면부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 사이에는 제1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의 어퍼전면부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 사이에는 제2접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프레임의 로어전면부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 사이에는 제3접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접착면, 상기 제2접착면 및 상기 제3접착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인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발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발포공간의 후면은 상기 도어라이너에 의해 차폐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는 중심부가 관통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의 바깥쪽 일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 가장자리와 밀착되며, 상기 도어라이너의 안쪽 일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과 밀착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의 상부에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어퍼후면부의 하단을 거는 고정암이 돌출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의 하부에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로어후면부를 통과하여 조립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에 구비된 발포경계부는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발포경계부와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이 밀착되는 부분에 상기 발포공간의 경계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발포경계부는 함몰되어 내부에 댐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공간에는 상기 후면패널의 표면을 향해 댐핑플레이트가 돌출되어 상기 댐핑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댐핑공간이 좌우로 구획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의 가장자리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과 면접촉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 가장자리와 인접한 상기 도어라이너의 표면에는 상기 발포공간을 향해 구획펜스가 돌출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의 후면에는 가스켓이 결합되는 가스켓조립홈이 함몰되고, 상기 가스켓조림홈에는 상기 발포공간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벤트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의 후면에는 가스켓장착부 보다 더 함몰되게 간섭방지부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발포공간 중 일부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에는 히터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에는 상기 베젤부의 배면을 향하도록 히터장착홈이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에는 상기 히터장착홈에 인접하여 접착홈이 함몰되되, 상기 접착홈은 상기 베젤부을 향해 개방되는 냉장고용 도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방지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 보다 폭이 작은 후면패널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패널조립체;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패널과의 사이에 발포공간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조립되고, 상기 발포공간의 개구된 후방을 차폐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네 변을 각각 구성하는 개별프레임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를 구성하며,
상기 개별프레임 중에서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에는 상기 발포공간에 연결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패널을 향해 연속된 접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라이너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후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포공간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냉장고용 도어.
Priority Applications (8)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03647A KR20220101524A (ko) | 2021-01-11 | 2021-01-11 | 냉장고 |
| CN202111441822.XA CN114754537B (zh) | 2021-01-11 | 2021-11-30 | 冰箱 |
| CN202311779404.0A CN117553503A (zh) | 2021-01-11 | 2021-11-30 | 冰箱 |
| EP21211829.3A EP4027083A1 (en) | 2021-01-11 | 2021-12-01 | Refrigerator |
| US17/550,275 US12000644B2 (en) | 2021-01-11 | 2021-12-14 | Refrigerator |
| AU2021286332A AU2021286332B2 (en) | 2021-01-11 | 2021-12-15 | Refrigerator |
| AU2024200969A AU2024200969A1 (en) | 2021-01-11 | 2024-02-15 | Refrigerator |
| US18/645,491 US12366403B2 (en) | 2021-01-11 | 2024-04-25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03647A KR20220101524A (ko) | 2021-01-11 | 2021-01-11 | 냉장고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01524A true KR20220101524A (ko) | 2022-07-19 |
Family
ID=7882086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03647A Pending KR20220101524A (ko) | 2021-01-11 | 2021-01-11 | 냉장고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2) | US12000644B2 (ko) |
| EP (1) | EP4027083A1 (ko) |
| KR (1) | KR20220101524A (ko) |
| CN (2) | CN114754537B (ko) |
| AU (2) | AU2021286332B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3936801A1 (en) * | 2020-07-06 | 2022-01-1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 CN114183970A (zh) * | 2020-09-15 | 2022-03-15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冰箱及其玻璃门 |
| KR20220101524A (ko) | 2021-01-11 | 2022-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KR102593786B1 (ko) * | 2021-07-15 | 2023-10-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US12247776B2 (en) | 2022-11-10 | 2025-03-11 | Whirlpool Corporation | Vis door reinforcement bracket design |
| US12424182B1 (en) * | 2024-05-02 | 2025-09-23 | AUO Corporation | Display panel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70006542A (ko) | 2015-07-08 | 2017-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 KR20180078334A (ko) | 2015-07-15 | 2018-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
Family Cites Families (3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411247A (en) * | 1966-10-10 | 1968-11-19 | Amerace Corp | Refrigerator door frame |
| US4998382A (en) * | 1989-12-11 | 1991-03-12 | Ardco, Inc. | Insulated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substantially all glass front doors |
| US5910083A (en) * | 1990-09-20 | 1999-06-08 | New Anthony, Inc. | Integral spacer for door rail |
| JP3657341B2 (ja) * | 1996-01-25 | 2005-06-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蔵庫扉及び扉内板の射出成形方法 |
| US7043886B1 (en) * | 2003-01-07 | 2006-05-16 | Thermoseal Glass Corp. | Refrigerator door assembly |
| DE202005002231U1 (de) * | 2005-01-25 | 2006-06-08 |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 Kühl- und/oder Gefriergerät |
| CN1952556B (zh) * | 2005-10-21 | 2010-08-25 |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 冰箱的门结构 |
| US20080024047A1 (en) * | 2006-07-24 | 2008-01-31 | Juo Chun J | Decorative door for cooler |
| KR20110065885A (ko) | 2009-12-10 | 2011-06-16 | (주)엘지하우시스 | 냉장고 투명도어 유리 패널 |
| CN102116554A (zh) * | 2010-01-04 | 2011-07-06 | Lg电子株式会社 | 电冰箱 |
| KR20160045545A (ko) * | 2014-10-17 | 2016-04-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KR101802586B1 (ko) * | 2015-07-14 | 2017-11-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
| KR102562149B1 (ko) * | 2015-07-14 | 2023-08-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
| KR101892794B1 (ko) * | 2015-08-25 | 2018-08-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KR101810760B1 (ko) * | 2016-01-05 | 2017-1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101856835B1 (ko) * | 2016-01-05 | 2018-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KR101862564B1 (ko) * | 2016-01-05 | 2018-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CN105825774A (zh) * | 2016-04-15 | 2016-08-03 | 宁波金格奥电器有限公司 | 一种去除屏幕镀膜的方法 |
| KR102687627B1 (ko) * | 2016-08-29 | 2024-07-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KR102273092B1 (ko) * | 2016-12-12 | 2021-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KR102733673B1 (ko) * | 2017-01-23 | 2024-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용 패널 어셈블리 |
| EP3378360B1 (en) * | 2017-03-24 | 2022-07-2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 KR102259753B1 (ko) * | 2017-03-24 | 2021-06-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DE102017011959B4 (de) * | 2017-12-22 | 2021-10-14 | Emz-Hanauer Gmbh & Co. Kgaa | Flächenleuchtmodul sowie Verfahren zu dessen Montage |
| AU2018412991B2 (en) * | 2018-03-13 | 2021-11-1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frigerator |
| EP3575715B1 (en) * | 2018-05-28 | 2025-06-25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 KR102693079B1 (ko) * | 2018-09-05 | 2024-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 KR102774425B1 (ko) * | 2018-11-08 | 2025-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패널 어셈블리, 냉장고 및 가전품 |
| CN211876506U (zh) * | 2020-01-16 | 2020-11-06 |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 一种冰箱门体结构及包含该结构的冰箱 |
| US11073328B1 (en) * | 2020-01-23 | 2021-07-27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Injection molded front frame corners for cooling appliances |
| CN111265087A (zh) * | 2020-03-11 | 2020-06-12 | 徐州丽斯顿工业设计有限公司 | 一种可伸缩衣架 |
| EP3936801A1 (en) * | 2020-07-06 | 2022-01-1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 EP3936799A1 (en) * | 2020-07-06 | 2022-01-1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 KR20220053918A (ko) * | 2020-10-23 | 2022-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KR20220101524A (ko) | 2021-01-11 | 2022-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21
- 2021-01-11 KR KR1020210003647A patent/KR20220101524A/ko active Pending
- 2021-11-30 CN CN202111441822.XA patent/CN114754537B/zh active Active
- 2021-11-30 CN CN202311779404.0A patent/CN117553503A/zh active Pending
- 2021-12-01 EP EP21211829.3A patent/EP4027083A1/en active Pending
- 2021-12-14 US US17/550,275 patent/US12000644B2/en active Active
- 2021-12-15 AU AU2021286332A patent/AU2021286332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2-15 AU AU2024200969A patent/AU2024200969A1/en active Pending
- 2024-04-25 US US18/645,491 patent/US1236640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70006542A (ko) | 2015-07-08 | 2017-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 KR20180078334A (ko) | 2015-07-15 | 2018-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4754537A (zh) | 2022-07-15 |
| AU2021286332A1 (en) | 2022-07-28 |
| EP4027083A1 (en) | 2022-07-13 |
| US20240271857A1 (en) | 2024-08-15 |
| AU2021286332B2 (en) | 2023-11-16 |
| AU2024200969A1 (en) | 2024-03-07 |
| US12000644B2 (en) | 2024-06-04 |
| US20220221216A1 (en) | 2022-07-14 |
| US12366403B2 (en) | 2025-07-22 |
| CN117553503A (zh) | 2024-02-13 |
| CN114754537B (zh) | 2024-01-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20101524A (ko) | 냉장고 | |
| US11971207B2 (en) | Refrigerator and transparent panel assembly for refrigerator | |
| CN113803926A (zh) | 冰箱 | |
| KR102864078B1 (ko) | 냉장고 | |
| AU2023214380B2 (en) | Refrigerator | |
| US20250321046A1 (en) | Refrigerator | |
| AU2009200623A1 (en) | An Appliance Door Panel, and Means for Attaching a Panel to an Appliance | |
| KR20220005223A (ko) | 냉장고 | |
| KR20220005220A (ko) | 냉장고 | |
| KR20240051576A (ko) | 냉장고 | |
| KR20220007290A (ko) |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
| KR20220005332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