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555A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7555A KR20220107555A KR1020210010318A KR20210010318A KR20220107555A KR 20220107555 A KR20220107555 A KR 20220107555A KR 1020210010318 A KR1020210010318 A KR 1020210010318A KR 20210010318 A KR20210010318 A KR 20210010318A KR 20220107555 A KR20220107555 A KR 202201075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on dioxide
- distillation
- heat exchanger
- tank
- pressure vess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6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6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YTYCFOTNPOANT-UHFFFAOYSA-N Perchloroethylene Chemical group ClC(Cl)=C(Cl)Cl CYTYCFOTNPOA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50011008 tetrachloroethyle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89 carb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2—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having one rotary cleaning receptacl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disclosure)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이용하여 세탁 등의 의류처리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laundry treatment such as laundry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A clothes treatment device refers to a device developed to wash and dry clothes at home and laundry, and to remove wrinkles on clothes. Classified as clothes treatment equipment, there i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 dryer for drying clothes, a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both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a clothes manager for refreshing clothes, and a washing machine f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It is a concept including a steamer and the like.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는 물을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탁행정이 완료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탈수과정을 거치더라도 의류에 함수된 물이 남아있게 된다.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자연건조를 시키거나 별도의 건조행정을 통해 열풍을 공급해야 하므로 건조행정만큼의 추가적인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A typical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reats clothes using water.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n which the washing cycle has been completed, even if the laundry goes through the dehydration process, water hydrated in the clothes remains. In order to dry wet clothes, it is necessary to dry them naturally or supply hot air through a separate drying cycle, so it may require additional time as much as the drying cycle.
일반적으로 물과 세제를 사용하여, 의류에 붙거나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세탁용제(cleaning solvent)로 물 대신,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 PCE)과 같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지용성(lipophilic)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유기용제는 휘발성이 있으므로, 건조행정의 시간이 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다만, 지용성 이물질을 제거하는데는 효과적이나 수용성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열풍을 이용한 건조행정을 거친다고 하더라도 남아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때문에 장시간 냄새를 맡을 경우,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퍼클로로에틸렌은 미국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환경에 해롭다. In general, using water and detergent,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or adsorbed on clothes can be removed. Alternatively, instead of water as a cleaning solvent, an organic solvent such as perchlorethylene (PCE) may be used to effectively remove lipophilic foreign substances. Since organic solvents are volatile, the drying cycle may be shorter than when water is used. However, it is effective in removing fat-soluble foreign substances, but there is a limit in removing water-soluble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even after a drying process using hot air, it may cause discomfort if smell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remain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rmful to
이러한 발암성분과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세탁용제로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가 대두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대기압 상온에서 무색, 무취의 기체이므로 고압에서 진행되는 세탁과정이 끝나고 대기압으로 낮추게되면 이산화탄소는 증발하게 되므로 별도의 건조행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또한, 일반적인 대기의 성분중 하나이므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Carbon dioxide (CO 2 ) is emerging as a new laundry solvent to prevent these carcinogen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ince carbon dioxide is a colorless and odorless gas at atmospheric pressure and room temperature,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a separate drying cycle because the carbon dioxide evaporates when the washing process at high pressure is finished and the pressure is lowered to atmospheric pressure. In addition, as it i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general atmosphere, it does not pollute the environment.
또한, 증류기(distiller) 또는 증류탱크(distillation tank)를 활용하는 경우, 세탁후 오염된 이산화탄소에서 이물질만을 제거한 후 깨끗한 이산화탄소를 증류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distiller or a distillation tank, after washing, only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contaminated carbon dioxide, and then clean carbon dioxide is distilled and reused.
미국등록특허공보 US6860123B1은 증류기를 활용하여 세탁후 오염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증류시켜 재사용하는 사이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세탁 후, 세탁조에 있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증류탱크로 배출한 후, 이를 증류조 내부에서 열을 이용하여 재생(regeneration)시켜 재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증류탱크 내부에는 기체 이산화탄소와 액체 이산화탄소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또는 재생기)가 설치된다. 이물질과 분리된 기체 이산화탄소는 압축기를 통해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가 되어, 열교환기로 들어가게 되고, 여기서 액체 증류탱크 내부의 액체이산화탄소와 열교환을 통해, 액체 이산화탄소는 증발하고, 기체 이산화탄소는 액화되게 된다. 이때, 액화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다시 저장탱크로 이송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U.S. Patent Publication No. US6860123B1 discloses a cycle in which contaminated liquid carbon dioxide is distilled and reused after washing using a distiller. That is, after washing, the liquid carbon dioxide in the washing tub is discharged to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n it is regenerated and recycled using heat in the distillation tub. To this end, a heat exchanger (or regenerator) for exchanging gaseous carbon dioxide and liquid carbon dioxide is installed inside the distillation tank. The gaseous carbon dioxide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erial is compressed through a compressor to become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and enters the heat exchanger, where, through heat exchange with liquid carbon dioxide in the liquid distillation tank, the liquid carbon dioxide evaporates and the gaseous carbon dioxide becomes liquefied. . At this time, the liquefied gaseous carbon dioxide can be transferred back to the storage tank and reused.
그러나, 열교환과정에서, 증류탱크 내부의 액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키게 되므로,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는 점점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 압축기에서의 기체 이산화탄소의 흡입 밀도가 낮아져 열교환(재생)시 유량이 감소하고, 열교환기의 외부의 열저항이 증가해 열교환 성능 (또는 재생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또한 운전시 재생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heat exchange process, since the liquid carbon dioxide in the distillation tank is vaporized, the level of the liquid carbon dioxide is gradually lower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ction density of gaseous carbon dioxide in the compressor is lowered, so that the flow rate during heat exchange (regeneration) is reduced, and the external heat resistance of the heat exchanger is increased to lower heat exchange performance (or regeneration efficiency). This also h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required for regeneration is required during operation.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이산화탄소의 저장탱크의 용량을 줄이게 되면, 세탁과정에서 증류된 이산화탄소를 재사용해야하므로, 증류과정에서의 긴 소요시간만큼 세탁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capacity of the carbon dioxide storage tank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ince it is necessary to reuse the carbon dioxide distilled in the wash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hing time increases as much as the long required time in the distillation process.
첫째, 본 개시는 증류과정에서 압축기로 증류탱크 내부의 기체 이산화탄소를 뽑아내는 경우, 증류탱크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First,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lowe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tillation tank when gaseous carbon dioxide is ex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tillation tank by a compressor during the distillation process.
둘째, 본 개시는 증류과정 중, 증류탱크 내부의 액체 이산화탄소가 점점 증발함에 따라,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압축기 흡입 밀도가 낮아져 증류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열교환기를 지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감소하여 열교환성능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econd, in the present disclosure, as the liquid carbon dioxide in the distillation tank gradually evaporates during the distillation process, the level of liquid carbon dioxide is lowered, and accordingly, the compressor suction density is lowered, so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distillation tank is increas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heat exchange performance by reducing it as a solution.
셋째, 본 개시는 증류에 걸리는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ird,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distillation as a solution.
넷째, 본 개시는 액체이산화탄소를 가열하는 외부열원으로 저장탱크의 압력을 낮추는데 사용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Fourth,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by using a heat pump used to lower the pressure of a storage tank as an external heat source for heating liquid carbon dioxi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류탱크의 외부에 외부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외부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증류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와 열교환시켜,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를 가열한 후 다시 상기 증류탱크에 공급하기 위함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may include an external heat exchanger on the outside of the distillation tank. This is to heat the liquid carbon dioxide by heat exchange with liquid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distillation tank using an external heat source, and then supply the liquid carbon dioxide to the distillation tank again.
이를 위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가 흐르는 상기 외부열교환기의 주변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공기와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액체이산화탄소에 열을 전달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fan that sucks outside air and introduces air into the periphery of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hrough which the liquid carbon dioxide flows to transfer heat to the liquid carbon dioxid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and liquid carbon dioxide.
즉, 증류과정 또는 증류재생과정에서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액체 이산화탄소에 증발열을 공급하는 것이다. That is, heat of evaporation is supplied to liquid carbon dioxide through an external heat exchanger during a distillation process or a distillation regeneration process.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를 대기압보다 큰 압력으로 유지하는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상기 압력용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압력용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중 액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상기 저장탱크에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액화시켜 공급하는 증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류부는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용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에 용해된 이물질을 분리하기위해 상기 압력용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증류탱크; 상기 증류탱크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외부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외부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pressure vessel for maintaining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therein at a pressure greater than atmospheric pressure; a storage tank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vessel, storing carbon dioxide and supplying carbon dioxide to the pressure vessel; and a distillation unit for liquefying and supplying the vaporized carbon dioxide to the storage tank after vaporizing liquid carbon dioxide from th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pressure vessel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nd wherein the distillation unit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vessel a distillation tank for storing th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pressure vessel in order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dissolved in th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pressure vessel; a circulation passage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distillation tank and circulates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and an external heat exchanger position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heat the liquid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using external heat.
상기 순환유로의 일단은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증류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circulation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tillation tank so that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flows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상기 증류부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상기 외부열교환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향해 이동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til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pump positioned between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 external heat exchanger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move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toward the external heat exchanger.
그리고,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증류탱크와 상기 외부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외부열교환기로 이동시키는 제1순환배관; 및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난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로 이동시키는 제2순환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assage includes: a first circulation pipe connecting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o move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to the external heat exchanger; and a second circulation pipe for moving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o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제2순환배관은 상기 증류탱크 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ircula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in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력용기와 상기 증류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압력용기에서 상기 증류탱크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순환배관은 상기 배출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난 이산화탄소를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상기 증류탱크로 이동시킬수 있다.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vessel and the distillation tank to discharge carbon dioxide from the pressure vessel to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and the external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may be moved to the distillation ta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상기 배출배관은 상기 증류탱크의 상부 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tillation tank.
또한, 상기 증류부는 상기 증류탱크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에서 기체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증류압축기; 상기 증류탱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와 열교환시키는 내부열교환기; 및 상기 내부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열교환기를 지나 냉각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시키는 저장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illation unit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istillation tank, the distillation compressor for sucking gaseous carbon dioxide from the distillation tank and compressing it; an internal heat exchanger located inside the distillation tank,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compressor, and exchanging the compressed gaseous carbon dioxide with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and a storage pipe connecting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nd the storage tank to move the cooled carbon dioxide through the internal heat exchanger to the storage tank.
상기 증류부는 상기 증류탱크와 상기 증류압축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증류탱크에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압축기로 이동시키는 흡입배관; 및 상기 증류압축기와 상기 내부열교환기를 연결하여,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내부열교환기로 이동시키는 토출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tillation unit includes: a suction pipe connecting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 distillation compressor to move gaseous carbon dioxide from the distillation tank to the distillation compressor;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istillation compressor and the internal heat exchanger to move the compressed gaseous carbon dioxide to the internal heat exchanger.
상기 내부열교환기는 상기 증류탱크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ternal heat exchanger may be located at a lower portion inside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흡입배관은 상기 증류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The suc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that sucks and supplies air, and may supply heat to the liquid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using heat of the air sucked in by the blowing fan.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력용기,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증류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증류탱크는 각각 상기 캐비닛의 좌우측면 중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the pressure vessel, the storage tank, and the distillation unit therein, wherei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is clos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distillation tank, respectively. can do.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의 압력을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와 열교환을 위한 제1열교환기; 상기 외부열교환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제2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냉매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storage tank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storage tank below a preset reference pressure; a second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heat to the liquid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and a refrigerant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지나 냉각된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시킨 후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시키는 순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irculation fan that cools the outside air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n moves it to the storage tank in order to cool the storage tank using the outside air cool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may include more.
첫째, 본 개시는 증류과정에서 압축기로 증류탱크 내부의 기체 이산화탄소를 뽑아내는 경우, 증류탱크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en gaseous carbon dioxide is ex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tillation tank by a compressor during the distill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tillation tank.
둘째, 본 개시는 증류과정 중, 증류탱크 내부의 액체 이산화탄소가 점점 증발함에 따라,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압축기 흡입 밀도가 낮아져 증류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열교환기를 지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감소하여 열교환성능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in the present disclosure, as the liquid carbon dioxide in the distillation tank gradually evaporates during the distillation process, the level of liquid carbon dioxide is lowered, and accordingly, the compressor suction density is lowered, so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distillation tank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by reducing it.
셋째, 본 개시는 증류에 걸리는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ird, the present disclosure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distillation.
넷째, 본 개시는 액체이산화탄소를 가열하는 외부열원으로 저장탱크의 압력을 낮추는데 사용하는 히트펌프에서 응축기에서 방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Fourth, the present disclosure can increase energy efficiency by us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condenser in the heat pump used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storage tank as an external heat source for heating liquid carbon dioxide.
도 1(a)와 도 1(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압력용기 내부에 구비된 드럼 및 구동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압력용기에서 제2하우징을 분리한 후 격벽과 구동부과 나타나도록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격벽의 정면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활용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행정 중 저장탱크에 저장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평압에 도달하기 위한 가압단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본 개시인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행정 중 가압단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가압단계 및 보충단계가 끝난 후 저장탱크와 압력용기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액체 이산화탄소를 압력용기에 공급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세척이 완료된 후, 헹굼과정을 진행하기에 앞서, 저장탱크와 압력용기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압력용기에 공급하여 압력용기 내부의 액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세척단계 또는 헹굼단계 후 증류탱크로 배출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증류하는 증류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헹굼단계 후 세탁행정을 완료하기 전 압력용기에 남아 있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고 잔류가스를 제거하는 회수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의류처리장치에서 구비되는 외부열교환기를 이용한 증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외부열교환을 위한 외부 열원으로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1 (a) and 1 (b) show an examp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drum and th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pressure vessel.
3 is a view from the rear so that the partition wall and the driving unit appear after separating the second housing from the pressure vessel.
4(a) and 4(b) are views from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respectively.
5 schematically shows the components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6( a ) shows an example of a pressurization step for reaching a flat pressure using gaseous carbon dioxide stored in a storage tank during a washing cyc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6(b) shows another example of a pressurization step during a washing cyc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 (a) shows the step of supplying liquid carbon dioxide to the pressure vessel us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pressure vessel after the pressurization step and the replenishment step are finished. 7 (b) shows the step of recovering the liquid carbon dioxide inside the pressure vessel by supplying carbon dioxide to the pressure vessel us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pressure vessel before proceeding with the rinsing process after washing is completed. .
Figure 8 (a) shows the distillation step of distilling the liquid carbon dioxide discharged to the distillation tank after the washing step or the rinsing step. FIG. 8(b) shows a recovery step of recovering gaseous carbon dioxide remaining in the pressure vessel and removing residual gas after the rinsing step and before completing the washing cycle.
9 shows a distillation process using an external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 shows an example of using a heat pump as an external heat source for external heat exchang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used as a limitation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For example, expressions such as "same" and "same as" not only indicate the strictly identical state, but also indicate a state in which a tolerance or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the same function is obtained exists.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For example, expressions indicating a relative or absolute arrangement such as "in any direction", "along a certain direction", "parallel", "vertically", "central", "concentric" or "coaxial", Not only strictly indicates such an arrangement, but also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relative displacement is carried out with a tolerance or an angle or distance sufficient to achieve the same function.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disclosure, i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a spati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with X-axis, Y-axis, and Z-axis orthogonal to each other.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Adding a '+' sign in front of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a positive direction, which is one of the two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A sign '-' in front of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the other negative direction among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Expression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before (+Y)/after (-Y)/left(+X)/right(-X)/up(+Z)/down(-Z)” mentioned below are XYZ I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axis, but this is for explanation so that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clearly understood to the last,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reference is placed.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The use 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in front of the components mentioned below is only to avoid confusion of the components referred to, and the order, importance, or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etc. is irrelevant For example, an invention including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can also be implemen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본 개시는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기재하였으나, 이산화탄소외에 다른 세탁용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carbon dioxide is used as a laundry solvent, but other laundry solvents other than carbon dioxide may be used.
도 1(a)와 도 1(b)는 은 본 개시의 일례로 의류처리장치(10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를 대기압보다 큰 압력으로 유지하는 압력용기(200), 상기 압력용기(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상기 압력용기(200)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저장탱크(150) 및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중 액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상기 저장탱크(150)에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액화시켜 공급하는 증류부(400)를 포함한다. 1(a) and 1(b) illustrat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 a ),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000 is a
상기 압력용기(200)의 상부에 위치함은, 전면에서 바라보아, 바닥면에서 원통형상을 갖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원형단면의 중심까지의 수직높이보다, 원통형상의 저장탱크(150)의 원형단면의 중심까지의 수직높이가 더 크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증류부(400)의 증류탱크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 상기 증류탱크(401)가 상기 압력용기(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즉, 상기 저장탱크(150)는 설치높이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설치높이보다 높고, 상기 증류탱크(401)의 설치높이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설치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That i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200)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0) 및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0) 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을 지지하고, 상기 압력용기, 상기 저장탱크(150) 및 상기 증류부(400)를 지지하는 프레임(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further includes a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50)에서 상기 압력용기(200)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후,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00)에 수용된 의류와 액체 이산화탄소간에 마찰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000 supplies carbon dioxide from the
세탁행정이란, 의류의 세탁을 위해 사용자가 코스를 선택 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가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를 뜻한다.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저장탱크(150)에서 이산화탄소를 상기 압력용기(200)에 공급하는 가압단계 및 공급단계, 상기 드럼(300)을 기 설정된 제1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액체 이산화탄소와 의류 사이의 마찰을 이용하여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척단계, 상기 드럼(300)을 기 설정된 제2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액체 이산화탄소와 의류 사이의 마찰을 이용하여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헹굼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shing cycle refers to a series of steps performed by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000 when a user selects a course for washing clothes. The washing operation includes a pressurizing step and a supplying step of supplying carbon dioxide from the
상기 헹굼단계는 두번에 걸쳐 반복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력용기(또는 세탁챔버)(200) 내부는 대략 45~51 바(bar), 10~15℃조건에서 세척단계는 10~15분, 헹굼단계는 3~4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The rinsing step may be repeated twice. Preferably, the inside of the pressure vessel (or washing chamber) 200 is approximately 45 to 51 bar, and the washing step may be performed for 10 to 15 minutes, and the rinsing step may be performed for 3 to 4 minutes at 10 to 15 ° C.
상기 세척단계 및, 상기 헹굼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증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증류란,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과 혼합된 특정 액체를 가열하여 상기 특정 액체만을 기화(또는 증발)시킨 후 다시 냉각하여 순수한 특정 액체만을 분리해내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과 혼합된 액체이산화탄소를 기화시킨 후 냉각하여 순수한 액체 이산화탄소만을 분리해내는 단계를 뜻한다. 상기 분리된 액체 이산화탄소는 다시 저장탱크에 공급된 후 다음 단계에 재사용될 수 있다. After the washing step and the rinsing step are completed, a distillation step may be included. Distillation refers to heating a specific liquid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or contaminants), vaporizing (or evaporating) only the specific liquid, and then cooling again to separate only a specific pure liqui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refers to a step of separating only pure liquid carbon dioxide by cooling after vaporizing liquid carbon dioxide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clothes. The separated liquid carbon dioxide may be reused in the next step after being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gain.
캐비닛(1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바닥면(미도시), 상기 캐비닛(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미도시),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닛 바닥면과 상기 상부패널을 연결하는 전면패널(103), 상기 캐비닛(100)의 양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닛 바닥면과 상기 상부패널을 연결하는 측면패널(미도시) 및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전면패널(103)에는 의류를 드럼(300)으로 투입하거나 상기 드럼(300)에 수용된 의류를 캐비닛(10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캐비닛 투입구(10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전면패널(10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투입구(1031)를 개폐하는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압력용기(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산화탄소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200)는 상기 캐비닛투입구와 연통가능한 용기투입구(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0)가 폐쇄시 상기 캐비닛 투입구(1031)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투입구(219)까지 폐쇄되어 상기 압력용기(200)는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수용할 수 있는 압력용기 또는 내압용기(pressure vessel)가 될 수 있다. The
예컨대, 상기 압력용기(200)에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액체 이산화탄소로 존재하기 위해 소정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데, 바림직하게 상기 압력은 45 바(bar)이상 51 바(bar) 이하의 압력범위에서 설정된 하나의 압력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arbon dioxide supplied to the
드럼(300)은 상기 압력용기(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300)은 제1하우징(211, 도 2 참조)의 내부 공간 즉, 제1챔버(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은 상기 압력용기(200)와 상기 드럼(300) 사이에 유체가 연통가능하도록 상기 드럼(30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측면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300)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301), 상기 드럼바디의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측면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복수 개의 측면관통홀을 통해 상기 압력용기(200), 구체적으로는 제1챔버(210, 도 2 참조), 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챔버(210, 도 7참조)와 상기 드럼(300)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Carbon dioxide supplied to the
상기 드럼(300)은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드럼(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드럼바디(301)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압력용기는 내부에 구비된 드럼(300)을 이용하여 세척단계 및 헹굼단계가 일어나는 세탁챔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sure vessel may serve as a washing chamber in which the washing step and the rinsing step occur using the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높이 순서대로 저장탱크(150), 압력용기(200) 및 증류부(4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같은 압력조건하에서도 중력에 의해 액체이산화탄소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즉 저장탱크(150)와 압력용기(200)의 압력이 같아도 서로 연통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장탱크(150)에서 압력용기(200)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압력용기(200)와 상기 증류부(400)의 증류탱크(401)의 압력이 같아도 높이차에 따른 중력에 의해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상기 증류탱크(401)로 배출 될 수 있다.1(a) and 1(b), the
또한, 상기 저장탱크(150), 압력용기(200) 및 증류탱크(401)의 각 무게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를 고려하면, 상기 저장탱크(150), 압력용기(200) 및 증류탱크(401)는 높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보다,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것이 무게의 분배면이나 의류처리장치의 소형화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e weight of each of the
이와 달리,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증류탱크(401)와 상기 저장탱크(150)는 각각 상기 캐비닛(100)의 일 측면보다 타 측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A , the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탱크(150), 압력용기(200) 및 증류탱크(401)가 전면에서 바라보아 저장탱크(150) 및 증류탱크(401)가 캐비닛의 좌측보다 캐비닛의 우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 측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1 (a) and 1 (b), the
상기 저장탱크(150), 압력용기(200) 및 증류탱크(401)가 배치된 후 남는 빈 공간에는 여러가지 압축기, 오일분리기(295), 제어부(900), 방열팬(299) 및 각종 연결배관이 위치할 수 있다. In the empty space remaining after the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900)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측면이나 전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1에서는 상기 제어부(900)는 박스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데, 박스내부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같은 제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900)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PCB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박스와 같은 형태가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B , the control unit 90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This is for easy access to the control unit 900 .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may be located on the side or front side. In FIG. 1 , the control unit 9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and a control device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x.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900 may be provided as a PCB including a microcomputer. 1 shows a state in which a box-like shape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상기 제어부는 여러가지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각 배관의 개폐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자의 입력을 받아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나 행정을 기 설정된 단계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vement of carbon dioxid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pipe through various flow control valves.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can be controlled to rotate the drum.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receive a ruler input and perform a course or administration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preset step.
이는 상기 제어부(9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압력용기(200)가 노출됨으로써 유지보수를 고려한 것이다. When the control unit 900 is rotated, the
상기 방열팬(299)은 증류압축기(290)를 냉각시키거나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방열팬이 상기 캐비닛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증류압축기(290)를 냉각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으면 어디에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증류압축기(290)는 증류단계에서 기체 이산화탄소를 압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회수단계에서 압축된 고온의 기체 이산화탄소를 이용해서 압력용기(20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The
오일분리기(295)는 상기 제어부(900)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0)가 회전시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의 압력용기(200), 저장탱크(150) 및 압축기 등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The
상기 오일분리기(295)는 증류압축기(290)에서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할 때 사용하는 윤활오일이 이산화탄소가 섞이게 되는데 이를 다시 분리하기 위함이다. 이산화탄소에 윤활오일이 섞이는 경우, 세척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에 윤활오일이 들어가 의류를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e
도 2는 압력용기(20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압력용기(200)는 대기압보다 큰 압력으로 이산화탄소를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의류의 세탁을 위해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고압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압력용기(200)는 내부에 드럼(3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2 shows the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용기(200)는 상기 압력용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211) 및 제2하우징(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11)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300)이 삽입되는 공간인 제1챔버(210)를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상기 드럼(300)은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어서, 내부에 의류가 수용된 상태로 액체 이산화탄소와 의류가 서로 혼합이 될 것이다. The
상기 제1하우징(211)은 전방에 형성된 용기투입구(219)의 반대방향, 즉 제2하우징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제1개구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구부(213)는 상기 용기투입구(219)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투입구(219)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상기 제1하우징(211)은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 측에는 원형 형상을 가진 상기 용기투입구(219)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형 형상을 가진 상기 제1개구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The
상기 드럼(300)은 상기 제1하우징(211)의 내부 공간인 제1챔버(210)의 형상과 유사하게 원통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300)은 상기 제1하우징(211) 내부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The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제1개구부(213)를 통해서 상기 드럼(300)을 꺼내서 수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부(213)의 크기는 상기 드럼(300)의 단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개구부(213)의 크기는 상기 드럼(300)의 최대 단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등은 상기 제1하우징(211)과 상기 제2하우징(221)을 분리한 후 상기 제1개구부(213)를 개방해서 상기 드럼(300)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213)를 통해서 상기 드럼(300)을 상기 제1하우징(211)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ize of the
상기 제1하우징(211)에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저장탱크(150)에서 상기 제1하우징(211)으로 공급되는 유입관(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유입관은 통해 상기 제1하우징(211)의 외측으로 노출된 관으로 상기 저장탱크(150)에서 상기 제1하우징(211)의 내부, 즉 상기 제1챔버(210)로 이산화탄소를 이동시킬 수 있다. An inlet pipe (not shown)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is supplied from the
상기 제1하우징(211)에는 상기 제1챔버(210)에서 사용된 액체이산화탄소가 상기 증류부(400)로 이동시 액체 이산화탄소에 녹지않는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50)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하부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50)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원기둥 상기 필터부(350)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원기둥 형상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삽입부(351), 상기 필터삽입부(351)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를 거친 액체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401)로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하우징(211)과 상기 증류탱크(401),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홀(352)과 상기 증류탱크(401)는 배출배관(630, 도 9 참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하우징(211)은 상기 제1개구부(213)를 따라 형성된 제1플랜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212) 상기 제1하우징(211)의 원기둥 형상과 유사하게 상기 제1하우징(211)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212)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반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하우징(211)의 둘레를 따라 고르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2하우징(221)은 상기 제1하우징(211)에 결합되어서, 하나의 압력용기(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압력용기(200)의 내부는 분리부(250)에 의해 의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인 제1챔버(210)와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가 설치되는 공간인 제2챔버(220)로 분리될 수 있다.The
개략적으로 상기 분리부(250)는 디스크형상으로 상기 제1개구부(2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압력용기(200)의 내부공간 중 제1챔버(210)는 상기 제1하우징(211) 및 상기 분리부(250)에 의해 형성되고, 제2챔버(220)는 상기 제2하우징(221) 및 상기 분리부(2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10)는 상기 드럼(300)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챔버(220)에는 구동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250)의 가운데는 상기 구동부(500)에 구비되는 회전축(미도시)이 사이 드럼(300)에 연결되기 위한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Schematically, the
상기 제2하우징(221)은 상기 제1플랜지(212)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21)은 상기 제1하우징(211)의 단면과 유사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1하우징(2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2플랜지(222)는 상기 제1플랜지(212)에 다수 개의 체결부재, 예컨대 볼트와 너트, 에 의해서 결합되어, 상기 제2하우징(221)이 상기 제1하우징(2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압력이 외부 대기 압력보다 큰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하우징(211)에 마련된 상기 필터삽입부(351)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는 복수 개의 작은 구멍들을 포함해서, 이물질은 구멍들을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에, 액체 이산화탄소는 구멍들을 통과해서 상기 배출배관(630)을 통해서 상기 제1하우징(2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는 메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s disposed in the
상기 압력용기는 상기 제1개구부(213)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211)에 결합되는 분리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250)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구분하는 격벽(251), 상기 격벽(251)에 지지되어 상기 제1챔버(210)에 수용되는 이산화탄소와 열교환이 가능한 용기열교환기(256),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와 상기 격벽(251)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2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59)는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의 열이 상기 격벽(251)을 통해 상기 제2챔버(2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pressure vessel may include a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와 상기 단열부재(259)도 모두 격벽(251)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와 상기 단열부재(259)는 제1챔버(210)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구동부(500)는 드럼(300)의 반대방향 즉, 제2챔버(220)에 위치할 수 있다.Both the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를 통해 제1챔버(210) 또는 드럼(300)에 열을 공급하는 이유는 상기 제1챔버(210)에서 액체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 또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의류가 굳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supplying heat to the
상기 용기열교환기의 본체는 파이프가 구불구불하게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10)에 수용된 이산화탄소와 최대한 접촉면적을 넓게하기 위함이다. The body of the container heat exchanger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a meander. This i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carbon dioxide accommodated in the
또한,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는 후술할 제1관통홀(2511, 도 4참조)의 크기에 대응되어 구동부(500)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중심관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는 개략적으로 도넛형상일 수 있다. 이는 단열부재도 마찬기이다. 상기 구동부(500)의 회전축이 상기 분리부(250)를 관통한 후, 상기 드럼(300)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는 냉매가 순환하면서 열을 공급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전기히터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도 2 및 도 3에서는 격벽(251)이 제1하우징(211)에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분리부(250)가 상기 제2하우징(221)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2 and 3 , the
상기 분리부(250)는 상기 제1챔버(210)에 저장되는 이산화탄소 중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챔버(220)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분리부(250)는 상기 제1챔버(210)에 저장되는 이산화탄소 중 기체 이산화탄소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챔버(210)와 상기 제2챔버(220)간 압력평형을 이루어 격벽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함이다.The
즉, 고압의 이산화탄소가 제1챔버(210)에 수용되고, 상기 제2챔버가 대기압으로 유지되거나, 상기 제1챔버(210)가 고압에서 대기압으로 감압되거나, 대기압에서 고압으로 증압되는 경우, 상기 격벽(251)은 압력차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고, 이는 상기 격벽(251)의 피로(fatigue)로 인한 파괴나 스트레스로 인한 변형이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력차를 유지하면서도, 불필요한 부분에 액체 이산화탄소가 채워져 낭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격벽(251)은 기체 이산화탄소는 자유롭게 이동하되 액체 이산화탄소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high-pressure carbon dioxide is accommodated in the
이를 위해, 상기 격벽(251)과 상기 격벽이 결합되는 안착홈(2122) 사이에는 그라파이트 재질의 개스킷(Graphite Gasket, 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모든 관통홀들은 제2관통홀을 제외하고 실링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기체 이산화탄소는 자유롭게 이동하되 액체 이산화탄소의 이동을 막기 위함이다. To this end, a graphite gasket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격벽 중 액체 이산화탄소가 닿지 않는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 도 4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체 이산화탄소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좌우 공간의 압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제1챔버(210)와 제2챔버(220) 사이의 압력차가 없기 때문에 상기 그라파이트 재질의 개스킷은(Graphite Gasket)은 압력에 의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이동을 차단할 필요 없이 단순하게 중력에 의한 이동만을 차단하기 때문에 과도한 체결력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2512 (refer to FIG. 4 )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rrier rib that does not contact liquid carbon dioxide. Through this, the movement of gaseous carbon dioxide is possible, so that the left and right space can be maintained in equilibrium. After all, since there is no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격벽(251)의 좌측 공간, 제1챔버(210)에는 상기 드럼(300)이 배치되어서 의류 등과 액체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세탁단계 또는 헹굼단계 등의 의류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격벽(251)의 우측 공간에는 구동부(500)가 배치되어서, 상기 드럼(300)이 회전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500)는 일부가 상기 격벽(251)을 관통해서, 상기 드럼(30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2 , the
상기 격벽(251)은 상기 제1개구부(21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213)에 맞닿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개구부(213)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격벽(251)과 상기 제1개구부(213)는 상기 제1하우징(211)의 형상과 유사하게 대략 원형을 이루는데, 상기 제1개구부(213)의 지름(L)은 상기 격벽(251)의 지름보다 작다. 상기 제1개구부(213)의 지름(L)은 상기 드럼(300)의 지름보다는 크다. 따라서 상기 드럼(300)의 단면의 크기가 가장 작고, 상기 제1개구부(213)의 단면이 중간 크기이고, 상기 격벽(251)의 크기가 가장 크다. The
상기 격벽(251)은 복수 개의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플랜지(212)에는 상기 격벽(251)이 결합되는 안착홈(2122)이 상기 제1개구부(213)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구부(213)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상기 안착홈(21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22)은 상기 격벽(251)의 두께이상 함몰되어서, 상기 제1플랜지(212)와 상기 제2플랜지(222)가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22)이 상기 격벽(251)의 두께를 갖고, 상기 격벽(25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안착홈(2122)에 상기 격벽(251)이 안착되면, 상기 제1플랜지(212)의 면이 평평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
상기 제1플랜지(212)에는 상기 안착홈(2122)의 둘레 보다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안착면(2124)이 마련되고, 상기 제2플랜지(222)에는 상기 제1안착면(2124)에 면접촉해서 결합되는 제2안착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면(2124)과 상기 제2안착면은 서로 맞닿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하우징(211)의 내부 공간의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안착면(2124)과 상기 제2안착면은 상기 제1하우징(211)과 상기 제2하우징(221)의 외주면에 배치되어서, 서로 면접촉을 하면서 두 개의 하우징이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A
상기 격벽(251)에는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제1챔버(210) 내부로 냉매가 이동하는 용기열교환기(256)가 배치되고,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는 상기 제1하우징(211)과 상기 격벽(251)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를 통해 제1챔버(21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챔버(210)에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401)로 배출할 때, 또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때, 상기 제1챔버(210)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드럼(300)에 수용된 의류가 굳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와 상기 격벽(251)의 사이에는 단열부재(25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59)는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의 온도가 상기 격벽(25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의 열교환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A
상기 단열부재(259)은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의 온도 변화가 상기 격벽(251)에 발생시키는 영향을 줄인다. 상기 단열부재(259)는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의 전체 면적을 가리는 것이 가능하다.The
도 3은 도 2에서 제2하우징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is separated from FIG. 2 .
상기 제2하우징(221)이 상기 제1하우징(211)과 분리되면, 상기 격벽(251)이 외부로 노출될 것이다. 상기 격벽(251)은 상기 제1하우징(211)의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2하우징(221)이 상기 제1하우징(211)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제1하우징(211)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격벽(251)은 복수 개의 제3관통홀(25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격벽은 상기 제1하우징(211)과 복수 개의 체결부재, 예컨대 볼트, 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격벽(251)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제1관통홀(2511, 도 4 참조)을 통해 구동부(500)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500)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이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에는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를 통해 열을 전달하기 위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관(2567, 2568)이 관통할 수 있다. It may be coupled to the
도 3은 제1관(2567)과 제2관(2568)이 각각 관통하는 2개의 제2관통홀(2512)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한 개의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관(2567) 및 상기 제2관(2568)이 지나가도 무방하다. 상기 제1관(2567) 및 상기 제2관(2568)은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와 연결되어 냉매를 순환시키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제1관(2567)으로 냉매가 유입되면, 상기 제2관(2568)을 통해 냉매가 유출될 것이다. 3 shows two second through-
여기서, 상기 냉매는 별도의 냉매가 아닌 증류압축기(290)를 통해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증류를 위해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는 고온, 고압의 상태이므로, 이를 압력용기(200) 내부에 구비된 용기열교환기(256)를 통해 상기 압력용기(200)의 내부온도를 올리는데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refrigerant may be gaseous carbon dioxide compressed through the
상기 제1관(2567)을 통해 고온의 냉매가 공급되고,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을 통해 상기 제1챔버(210) 내부에서 이산화탄소와 열을 교환한 후, 냉각된 냉매가 상기 제2관(2568)을 통해 배출될 것이다.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is supplied through the
상기 격벽(251)이 상기 제1하우징(211)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개구부(213)가 노출될 것이다. 이때 상기 드럼(300)은 상기 제1개구부(213)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가능하다. 상기 제1개구부(213)의 크기는 상기 드럼(300)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개구부(213)를 통해서 상기 드럼(300)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When the
상기 격벽(251)과 상기 안착홈(2122)의 사이에는 개스킷(미도시)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251)이 상기 제1하우징(211)에 결합될 때에 그 사이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격벽(251)이 상기 안착홈(2122)에 안착될 때에, 상기 개스킷을 압착하면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격벽(251)에는 상기 제1하우징(211)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3관통홀(2513, 도 4참조)이 외주면을 따라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A gasket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또한, 상기 격벽(251)은 상기 구동부(500)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의 회전축이 상기 분리부(250)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300)과 연결되므로, 결국, 상기 격벽이 상기 드럼(300) 및 상기 구동부(500)를 모두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4(a)와 도 4(b)는 각각 격벽(251)을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4(a) and 4(b) are views of the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251)의 중앙에는 드럼(300)과 결합하기 위해 구동부(500)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제1관통홀(2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511)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관통홀(2511)을 통과하는 상기 회전축과 간섭이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a first through-
또한, 상기 격벽(251)은 기체 이산화탄소가 제1챔버(210)와 제2챔버(220)를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은 상기 제1관통홀(251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 이산화탄소의 최대수위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이 위치한 높이보다 낮아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을 통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통상적으로 세탁단계 또는 헹굼단계 시에 사용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양은 상기 드럼(300)의 절반을 넘지 않는다. 즉 상기 드럼(300)에 결합되는 구동부(500)의 회전축의 높이, 즉,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관통홀의 최소높이 (제1관통홀의 중심까지의 높이 - 제1관통홀의 반경), 이상까지 올라가지 않는다. Typically, the amount of liquid carbon dioxide used in the washing step or the rinsing step does not exceed half of the
따라서, 상기 제2관통홀(2512)이 상기 제1관통홀(251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2관통홀(2512)을 통해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달리, 기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제1하우징(211)과 상기 격벽(251)에 의한 공간에 차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상기 제2하우징(221)과 상기 격벽(251)에 의한 공간으로 이동되어서 압력 평형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through
즉, 세척단계 또는 헹굼단계 등의 의류처리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하우징(211)과 상기 격벽(251)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에는 기체 이산화탄소와 액체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 제2하우징(221)과 상기 격벽(251)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에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존재하지 않고, 기체 이산화탄소만 존재하게 된다. 두 개의 공간은 압력 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하우징(221)과 상기 격벽(251)에 의한 공간에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존재할 필요가 없고, 액체 이산화탄소의 사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 That is, gaseous carbon dioxide and liquid carbon dioxide are mix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따라서, 세탁단계 또는 헹굼단계 등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전체 양이 감소될 수 있어서, 종래 기술에 비해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사용한 후에 재처리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줄어들게될 것이다. Accordingly,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used in the washing step or the rinsing step can be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used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refor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hat must be reprocessed after use will be reduced.
사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탱크의 용량은 물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기 위한 세탁기의 전체 크기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후에 증류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결국 세탁행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감소할 수 있다.Sinc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used is reduced, the capacity of the tank for storing carbon dioxide as well as the overall size of the washing machine for using carbon dioxide may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o be distilled after use is reduced, the time required for the washing cycle can be reduc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을 통해 냉매관((2567, 2568)이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2512)의 크기는 상기 냉매관(2567, 2568)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격벽(251)은 상기 제1하우징(211)이나 상기 제2하우징(221)과 분리가 가능한 하나의 부품으로, 상기 용기열교환기(256), 상기 단열부재(259) 및 상기 구동부(500)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용기열교환기(256) 및 상기 단열부재(259)를 상기 격벽(251)에 결합시기키 위해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4관통홀(2514)이 상기 제1관통홀(2511)의 반경방향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The
도 4(a)는 상기 복수개의 제4관통홀(2514)이 2개씩 짝을 이루어 세 쌍이 각각 120º(도) 간격으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상기 용기열교환기(256)와 상기 단열부재(259)를 상기 격벽(251)에 결합시켜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 또는 배치이든 무방하다. 4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ourth through-
또한, 상기 격벽(251)이 상기 제1하우징(211)으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 등이 상기 드럼(300)을 상기 제1하우징(2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격벽(251)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복수 회 단차지게 형성되고, 강도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는 곡선면을 갖도록 해서, 다양한 방향의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상기 격벽(251)의 가장 바깥쪽 부분은 상기 제1하우징(211)의 상기 안착홈(2122)에 결합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251)은 상기 안착홈(2122)에 결합 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하우징(211)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212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복수 개의 제3관통홀(25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도 4(b)를 기준으로 상기 격벽(251)의 가장 바깥부분을 기준으로 중앙부로 이동하면서, 좌측으로 돌출된 후, 우측으로 돌출되고, 다시 좌측으로 돌출되는 등의 다양한 방향으로 다양한 길이만큼 단차져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4(b), while moving to the central part based on the outermost part of the
도 5 내지 도 8은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활용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행정을 설명하기 위해 세탁행정을 이루는 주요 단계에서 이산화탄소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5 to 8 schematically illustrate a movement path of carbon dioxide in a main step of forming a washing cycle in order to explain a washing cycl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도 5을 참조하면,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활용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고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세척 및 헹굼을 진행하는 압력용기(200), 사용된 이산화탄소를 증류후 저장하고 상기 압력용기(또는 세탁챔버)(200)에 공급하는 저장탱크(150) 및 사용후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증류하는 증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includes a
상기 압력용기(200)는 사용후 배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녹지않는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350)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하부표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필터부(350)가 상기 압력용기(200) 및 상기 증류부(400) 사이에 별도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였다.The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모자라는 이산화탄소를 보충하는 보충탱크(155, 도 6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replenishment tank 155 (refer to FIG. 6 ) for replenishing carbon dioxide that is insufficient in the
상기 증류부(400)는 세척단계 및 헹굼단계에서 사용된 이산화탄소, 즉 상기 압력용기에서 사용된 이산화탄소에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재사용하기 위해 증류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이산화탄소에 이물질, 특히 액체 이산화탄소에 녹은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액체 이산화탄소만을 기화시킨 후 다시 냉각시켜야 한다. The
이를 위해 통상적인 증류부(400)는 압력용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한 증류탱크(401), 상기 증류탱크(401)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401)에서 기체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290),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압축기(29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401)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와 열교환시키는 내부열교환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상기 통상적인 증류부(400)는 증류된 이산화탄소를 액화시키기 위한 냉각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배관 및 상기 복수 개의 배관을 따라 이산화탄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밸브 또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도 5에서는 각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상기 복수 개의 밸브 또는 제어기는 생략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배관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이동방향은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ipes connecting each component and a plurality of valves or controller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carbon dioxide along the plurality of pipes. This has been described using FIGS. 9 and 10 . 5 schematically shows each component, the plurality of valves or controllers are omitted, and the plurality of pipes are indicated by lines.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carbon dioxide is indicated by an arrow.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의 삼중점(triple point)는 5.1 기압(atm), -56.6℃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삼중점 보다 낮은 압력하에서 온도 변화시 고체(드라이아이스)에서 기체로 상변화(phase change)가 일어나는 반면, 삼줌점 보다 높은 압력하에서는 액체 및 기체로 존재하여 주어진 압력 및 온도에 따라, 액체와 기체사이에 상변화(phase change)가 일어 날 수 있다. The triple point of carbon dioxide (CO 2 ) is known to be 5.1 atm, -56.6°C. Therefore, a phase change occurs from solid (dry ice) to gas when the temperature is changed under a pressure lower than the triple point, whereas it exists as a liquid and a gas under a pressure higher than the triple point, depending on a given pressure and temperature, liquid and gas A phase change may occur in between.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가압하는 경우,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 물을 세탁용제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액체 이산화탄소(liquid carbon dioxide, CO2(L) 또는 L-CO2)를 세탁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수용성물질의 경우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세탁력이 떨어지므로, 수용성물질의 제거를 위한 세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carbon dioxide is pressurized, liquid carbon dioxide (CO 2 (L) or L-CO 2 ) may be used as a laundry solvent, similarly to using water as a laundry solvent in a gener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owever, in the case of water-soluble substances, since washing power using carbon dioxide is lowered, detergents or surfactants for removing water-soluble substances may be additionally used.
만약, 세탁용제로 이산화탄소가 아닌 다른 유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소정 온도에서 가압하는 경우 기체가 액체로 상변화가 일어나거나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로 상태일 수 있는 유체일 수 있다. If, as a laundry solvent, a fluid other than carbon dioxide may be used. When the fluid is pressuriz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phase change from a gas to a liquid may occur or a fluid may be in a state of a supercritical fluid.
만약, 세탁용제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 세탁행정이 끝난 후 대기압으로 감압시 이산화탄소는 모두 기체로 증발하게 되므로 별도로 긴 시간이 요구되는 건조행정을 거칠 필요가 없고, 잔류된 이산화탄소가 있다고 하더라도 냄새가 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산화탄소를 가압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의 터브(tub)와 달리, 이산화탄소가 누출(leak)되지 않도록 밀폐된 압력용기를 필요로 한다. If carbon dioxide is used as a washing solvent, all carbon dioxide evaporates into gas when the pressure is reduced to atmospheric pressure after the washing cycle is finished, so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a separate drying cycle that requires a long tim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come off. However, since carbon dioxide is pressurized and used, a sealed pressure vessel is required to prevent carbon dioxide from leaking, unlike a tub of a general clothes treatment apparatus.
따라서, 압력용기(200)는 가압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밀폐용기이며, 상기 가압된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견디는 탱크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저장탱크(150), 보충탱크(155) 및 증류탱크(401)도 마찬가지이다. Accordingly, the
도 6 내지 도 8는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활용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행정을 주요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6 to 8 are views showing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by major steps.
도 6(a)는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활용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행정 중 세척과정(washing process)에 들어가기에 앞선 가압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6(a) shows a pressurization step prior to entering a washing process during a washing cycle of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사용자가 전술한 세탁행정을 선택하면, 가압단계에 앞서 제어부(900)는 압력용기에 구비된 퍼지밸브(298)를 개방하고, 진공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압력용기(20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에 공기가 남아 수분이 함유되면 의류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세탁력이 저감될 수 때문이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washing cycle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900 opens the
또한,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퍼지밸브(298) 개방이후 남은 잔류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압력용기(20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바람직하게는 진공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pump (not shown) to discharge the remaining air after the opening of the
이후, 상기 저장탱크(150)의 상부를 개방하여 기체 이산화탄소를 압력용기(200)로 공급하여 상기 압력용기(20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50)의 내부압력이 상기 압력용기(200) 내부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저장탱크(150)의 내부 압력이 상기 압력용기(200) 내부 압력이 동일해질 때까지 기체 이산화탄소가 저장탱크(150)에서 압력용기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Thereafter, the upper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저장탱크(150) 및 상기 압력용기(200)의 압력이 평형을 이룰 때까지 계속 될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용기(200)가 분리부(250)에 의해 제1챔버(210)와 제2챔버(220)로 나누어진 경우, 상기 제1챔버(210)에서는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평형을 이루고 공존할 것이고, 상기 제2챔버(220)는 상기 제1챔버(210)와 동일한 압력의 기체 이산화탄소로 채워지게 될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surization step will be continued until the pressures of the
상기 저장탱크(150)에는 이전 세탁행정에 사용된 이산화탄소가 증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50)도 고압을 견딜 수 있는 탱크이며, 일부는 기체 이산화탄소로 나머지는 액체 이산화탄소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150)의 상부를 개방하여 이산화탄소를 압력용기(200)로 공급할 수 있다. In the
이 때, 상기 저장탱크(150)와 압력용기(200)은 압력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이산화탄소가 상기 압력용기(200)에 공급될 것이다. 그러므로 저장탱크(150)의 압력은 감소할 것이고, 이로 인해 온도도 감소하게 될 것이다. 저장탱크(150)에는 기체 이산화탄소와 액체 이산화탄소가 공존하는데, 만약 진공에 가까운 압력용기(200)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넣으면 모두 기화되면서 급격히 온도가 떨어져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체 이산화탄소를 먼저 주입할 수 있다. At this time, carbon dioxide will be supplied to the
도 6(b)는 가압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세탁행정에 이용하는 이산화탄소는 세척단계 및 헹굼단계에서 사용된 액체이산화탄소를 증류해서 다시 사용한다고 하여도, 세탁행정 초기 퍼지밸브(298)를 개방 및 세탁행정 후 잔류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일어나는 약간의 손실 등을 고려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보충할 필요가 있으므로 보충탱크(1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충탱크(155)에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채워져 있고, 이를 압력용기(200)로 공급할 수 있다.Figure 6 (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ing step. Even if the carbon dioxide used in the washing cycle is reused by distilling the liquid carbon dioxide used in the washing step and the rinsing step, a slight loss caused by opening the
도 7(a)는 가압단계가 끝난 후 저장탱크(150)와 압력용기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압력용기(200)에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7 (a) shows a supply step of supplying carbon dioxide to the
상기 가압단계가 끝난 후, 상기 압력용기(200)는 소정의 압력, 예컨대 50 바(bar), 를 유지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압력용기(200)에는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평형을 이룬 채 공존할 것이다. 하지만, 세척을 진행하기 위해 충분한 액체 이산화탄소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150)의 하부를 개방하여 액체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는 압력이 아닌 상기 압력용기(200)와 상기 저장탱크(150)의 높이차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150)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압력용기(200)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After the pressurization step is over, the
또는 상기 저장탱크(150)의 설치높이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설치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캐비닛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탱크(150)의 원형 단면의 중심까지의 높이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원형 단면의 중심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또한, 상기 저장탱크(150)의 상부와 상기 압력용기(200)사이는 기체 이산화탄소가 서로 연통하도록 한다. 이를 도 7(a)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이동경로상에 양쪽화살표로 표시하였다.In addition,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공급단계에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압력용기(200)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까지 채워지면, 제어부(900)는 드럼(300)을 기설정된 제1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세척단계(washing process)를 진행시킬 수 있다. 액체 이산하탄소의 수위는 수위센서를 이용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제어부(900)가 밸브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유량이 상기 압력용기(2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liquid carbon dioxide is filled in the
도 7(b)는 세척이 완료된 후, 헹굼(rinsing)을 진행하기에 앞서, 저장탱크(150)와 압력용기(200)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압력용기(200)에 공급하여 압력용기(200) 내부의 액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헹굼준비단계를 나타낸 것이다.7(b) shows that after washing is complete, before rinsing, carbon dioxide is supplied to the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사용된 액체 이산화탄소는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배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필터(미도시)를 거쳐,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The liquid carbon dioxide used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350)를 거치면서 액체 이산화탄소에 녹지않는 이물질이 걸러지고, 증류부(400)를 거치면서 증류를 통해 액체 이산화탄소에 녹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재사용을 위해 정화된 액체 이산화탄소만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foreign substances insoluble in liquid carbon dioxide ar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배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압력차가 아닌 상기 압력용기(200)와 상기 증류탱크(401)의 높이차에 의해 상기 증류탱크(401)로 배출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증류탱크(401)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압력용기(200)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이동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기 위함이다. The liquid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이 때 각 구성요소간의 압력평형을 위해 상기 저장탱크(150)와 상기 증류탱크 및 상기 압력용기(200)를 연통시켜 기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저장탱크(150)와 상기 증류탱크 및 상기 압력용기(200)를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이산화탄소의 이동경로상에 양쪽화살표로 표시하였다. At this time, the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사용 후 배출된 액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증류탱크(401)를 채우게 되고, 대신 그 빈자리를 상기 저장탱크(150)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깨끗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압력용기(200)를 채우게 될 것이다. 이는 이후 진행된 헹굼단계를 위함이다. The liquid carbon dioxide discharged after use in the
도 8(a)는 세척단계와 헹굼단계 사이, 헹굼단계와 다른 헹굼단계 사이, 또는 세척단계와 헹굼단계가 모두 끝난 후,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상기 증류탱크(401)로 배출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증류하는 증류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8(a) shows the liquid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헹굼준비단계 후, 제어부(900)는 상기 드럼(300)을 기 설정된 제2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잔류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헹굼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After the rinsing preparation step, the controller 900 rotates the
세척단계나 헹굼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또는 상기 헹굼단계가 종료된 후, 증류부(400)에서 이산화탄소의 증류가 진행될 수 있다. During the washing or rinsing step or after the rinsing step is finished, distillation of carbon dioxide may be performed in the
상기 증류부(400)는 상기 증류탱크(401)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401)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중 기체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증류압축기(290),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압축기(29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와 열교환시키는 내부열교환기(410) 및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를 지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시키는 저장배관(6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증류압축기(290)는 압축배관(640)으로 증류탱크(40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배관(640)은 상기 증류탱크(401)와 상기 증류압축기(290)를 연결하여 기체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상기 증류압축기(290)로 보내는 흡입배관(641), 상기 증류압축기(290)와 싱기 내부열교환기(410)를 연결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로 토출하는 토출배관(651)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증류압축기(290)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압축할 수 있는 일반적인 압축기일 수 있다. The
상기 증류탱크(401)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는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평형을 이루고 있을 것이다. 이중 액체 이산화탄소는 이물질과 혼합된 상태이고, 기체 이산화탄소는 이물질이 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기체 이산화탄소만 있게 될 것이다. The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상기 증류탱크(401) 내부의 압력은 상기 증류탱크(401)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증류해서 계속해서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증류를 할수록 상기 증류탱크(40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증류압축기(290)가 동작하면, 상기 증류압축기(290)의 기체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증류탱크(401) 내부의 압력은 떨어질 것이고, 이에 따라, 액체 이산화탄소의 기화가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 압력은 상기 저장탱크(150)의 내부 압력보다 낮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산화탄소를 보내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탱크(150)의 내부 압력이상으로 압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증류압축기(290)를 필요로 할 수 있다. Since the pressure inside the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는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와 증류탱크 내부에 수용된 액체 이산화탄소와의 열교환을 위해서다.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는 고온, 고압의 상태이므로, 온도를 낮추어 상기 저장탱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를 낮추어 액체 이산화탄소로 상변화한 후 저장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별도의 냉각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것보다, 에너지 효율적 측면에서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증발을 위해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의 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위와 같은 내부열교환기(410)를 이용할 수 있다. To this end, rather than cooling using a separate cool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eat of the compressed gaseous carbon dioxide for evaporating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 can be used.
또한, 상기 증류부(400)는 상기 내부열교환기(410)와 상기 저장탱크(150)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를 지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시키는 저장배관(610)에는 이동중인 이산화탄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증류부(400)를 통해 이물질이 혼합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이물질과 분리 하게 되는데, 이 때 필요한 기화열을 이미 기화되어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와의 열교환을 통해 얻게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liquid carbon dioxide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is vaporized through the
다만, 상기 증류압축기(290)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증류압축기(29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결국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에 섞여 들어가게 되므로 상기 증류부(400)는 저장배관(610)상에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분리기(295,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도 8(b)는 세척 및 헹굼단계가 모두 종료되어 증류를 위해 압력용기(200)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배출 한 후 상기 압력용기(200)에 남아 있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회수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8 (b) shows a recovery step of recovering the gaseous carbon dioxide remaining in the
증류 방법은 모두 동일하나, 차이는 헹굼단계가 끝난 후에는 더 이상 기체 이산화탄소가 압력용기(200)에 잔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능한한 기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함이다.The distillation methods are all the same, but the difference is to recover and reuse gaseous carbon dioxide as much as possible since gaseous carbon dioxide no longer needs to remain in the
도 8(b)는 헹굼단계 후 세탁행정을 완료하기 전, 압력용기(200)에 남아 있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고 잔류가스를 제거하는 회수단계를 나타낸 것이다.FIG. 8(b) shows a recovery step of recovering gaseous carbon dioxide remaining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증류단계는 압력용기(200)내의 액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정화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뜻한다. 이와 달리, 회수단계는 압력용기(200)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압축 후 저장탱크(150)에 저장하는 단계를 뜻한다. 기체 이산화탄소는 이물질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굳이 필터를 통과하거나 복잡한 증류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tillation step refers to a step of vaporizing liquid carbon dioxide in the
증류압축기(290)는 증류단계 뿐만아니라, 회수단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210)의 내부에 격벽(251)과 드럼(300)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를 통해 열을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냉매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증류압축기(290)를 통해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는 별도의 냉매를 압축히기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연결배관의 개폐를 통해 가능하다. The
증류단계에서와 달리, 상기 증류압축기(290)에서 압축된 이산화탄소는 용기열교환기(256)을 지난 후, 냉각기(160)를 지나 액화되어 상기 저장탱크(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이동경로는 연결배관 및 밸브(미도시)의 개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Unlike in the distillation step, the carbon dioxide compressed in the
상기 압력용기(200) 내부의 기체 이산화탄소가 증류압축기(290)를 통해 압축 후 용기열교환기(256)를 지나는 이유는 기체 이산화탄소가 회수되면서 압력용기(200)의 압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아직 회수되지 않은 기체 이산화탄소가 액화되고 이는 결국 의류에 손상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수단계에서 압력용기(200)내의 온도를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that the gaseous carbon dioxide in the
그리고, 상기 압력용기(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예컨대 1.5 바(bar),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마지막으로 퍼지밸브(298)를 개방하여 잔류하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저장탱크에는 세탁행정동안 공급된 이산화탄소에서 약간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번 세탁행정에서 모자라는 이산화탄소를 보충하기 위해 보충탱크(155)를 필요로 할 수 있다. 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도 8(b)는 상기 증류압축기(290)와 상기 압력용기(200)를 별도의 배관으로 연결하여 상기 증류압축기(290)를 지난 고온고압의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압력용기(200)로 직접 보내 열교환시키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증류압축기(290)를 사용하게 되므로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측면에서, 상기 증류압축기(290)를 지난 고온고압의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압력용기(200)로 보내는 대신, 내부열교환기(410)을 지나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이용할 수 있다.8 (b) shows that the
즉, 상기 내부열교환기(410)을 지나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원하는 온도까지 충분히 냉각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압력용기(200)를 거쳐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하도록 하면,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가 가지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용기(200)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상기 내부열교환기(410)을 지나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원하는 온도까지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탱크(150)로 유입시키기 전 어차피 별도의 냉각기를 이용하여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That is, the liquid carbon dioxide moving to the
상기 내부열교환기(410)을 지나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용기열교환기(256)로 거쳐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압력용기(200)의 내부에 별도의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증류압축기에 소요되는 에너지 및 별도의 냉각기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Liquid carbon dioxide moving to the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사용하는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일반적으로 액체 이산화탄소의 양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헹굼단계에 필요한 양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헹굼단계는 일반적으로 2번 반복될 수 있으므로 2번의 헹굼단계에 필요한 양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저장탱크(150)의 크기 및 무게가 커져, 의류처리장치의 소형화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장탱크(150)의 저장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기 위해 세척단계 또는 1번의 헹굼단계 중 더 많은 양을 필요로 하는 단계에 맞추어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인 후, 세척단계 또는 헹굼단계에서는 이를 증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typic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따라서, 단순히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세탁행정동안 증류단계를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세탁행정에 필요한 시간에 이산화탄소를 증류하기 위한 시간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로 하게 된다. Therefore, unlike a general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simply receives water from the outside to perform the washing cycle, a distillation step is required during the washing cycle, and for this purpose, additional time is required for distilling carbon dioxide at the time required for the washing cycle. will do
추가적인 증류시간은 결국 소비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되므로, 증류시간을 되도록 단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additional distillation time eventually causes inconvenience to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distillation time as much as possible.
또한,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사용하는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증류탱크(401)의 내부 압력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는 기체 이산화탄소의 밀도 저하로 압축기에 흡입되는 기체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감소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결국, 감소된 유량만큼, 내부열교환기(410)에서 재생효율(regeneration efficiency)은 낮아지게 될 것이다. 재생효율이란, 고온의 기체 이산화탄소와 저온의 액체 이산화탄소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뜻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그리고, 상기 내부열교환기(4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잠겨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저하로 인해 재생효율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증류탱크(401)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열교환기(410)가 최대한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증류탱크(401)도 일종의 고압탱크이므로, 내부응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증류탱크의 형상은 원통형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국,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는 아래로 갈수록 바닥면의 면적이 좁아지므로, 내부열교환기(410)의 형상도 이에 따라 대응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결국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급격히 열교환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And, in order for the
도 9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증류탱크 외부에 외부 열교환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증류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증류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기 위해, 설명에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복수의 배관 및 각 배관을 제어하는 밸브들은 일례일 뿐, 이와 달리 연결되어도 이산화탄소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복수의 배관이 달리 연결되고 각 배관의 밸브가 달리 개폐되어도 무방하다.9 shows the distillation ste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n external heat exchanger outside the distillation tank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order to focus on the distillation step, components unnecessary for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ipes and the valves for controlling each pipe shown in FIG. 9 are only examples, and even if they are connected differently, if the carbon dioxide can be moved in a desired direction, the plurality of pipes are connected differently and the valves of each pipe are opened and closed differently free of charge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를 대기압보다 큰 압력으로 유지하는 압력용기(200), 상기 압력용기(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상기 압력용기(200)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저장탱크(150), 및 상기 압력용기(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중 액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상기 저장탱크(150)에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액화시켜 공급하는 증류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그리고, 상기 증류부(400)는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증류탱크(401), 상기 증류탱크(401)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401)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660), 및 상기 순환유로(660) 상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660)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외부열을 이용하여 열을 공급, 즉, 가열, 하는 외부열교환기(49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증류부(400)는 상기 증류탱크(401)와 상기 증류압축기(29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증류탱크에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압축기(290)로 이동시키는 흡입배관(641), 상기 증류압축기(290)와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를 연결하여,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로 이동시키는 토출배관(651), 및 상기 내부열교환기(410)와 상기 저장탱크(150)를 연결하여,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시키는 저장배관(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9는 증류시 필요한 개략적인 배관 및 밸브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밸브를 이용한 배관의 개폐는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FIG. 9 shows schematic piping and valves required for distillation. Opening and closing of the pipe using the valv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0 .
상기 저장탱크(150)와 상기 압력용기(200) 사이는 공급배관(620)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배관(620)상에는 공급제어밸브(62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공급제어밸브(625)를 개방하여 가압단계 및 공급단계에서 상기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압력용기(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배관이 별도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간략히 도시하였다. A
증류를 위해, 세척단계 또는 헹굼단계가 완료시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사용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증류부(400)로 배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용기(200)와 상기 증류탱크(401)는 배출배관(6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배출배관(630)상에 구비되는 배출제어밸브(635)에 의해 상기 배출배관(630)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증류탱크(401)는 상기 압력용기(200)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데 높이차로 인해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용기(200)에서 상기 증류탱크(401)로 액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할 수 있다.For distillation, when the washing step or the rinsing step is completed, the liquid carbon dioxide used in the
만약 압력용기(200)의 내부공간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챔버(210)와 제2챔버(220)로 분리된 경우라면, 상기 저장배관(610), 상기 공급배관(620) 및 상기 배출배관(630)은 상기 제1하우징(2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210)와 연결될 것이다. If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 증류탱크(401) 내부의 압력은 상기 압력용기(200)의 압력보다 낮으므로 액체 이산화탄소가 기화되어 기체 이산화탄소가 생기고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는 해당 온도 및 압력에서 상평형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Since the pressure inside the
상기 증류압축기(290)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 압력은 점차적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기체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고 액체 이산화탄소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증류단계에서 상기 증류압축기(290)가 동작하면 할수록, 상기 증류탱크 내부의 압력은 감소, 기체 이산화탄소의 밀도 감소,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 감소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When the
상기 증류압축기(290)는 압축배관(640)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압축배관(640)은 상기 증류탱크와 상기 증류압축기(290)를 연결하는 흡입배관(641) 및 상기 증류압축기(290)와 상기 내부열교환기를 연결하는 토출배관(6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배관(641)은 상기 흡입제어밸브(645)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고, 상기 토출배관(651)은 상기 토출제어밸브(655)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The
상기 흡입배관(641)을 통해 상기 증류탱크(401)에 저장된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증류압축기(290)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배관(651)을 통해 상기 증류압축기(290)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로 배출될 수 있다.The gaseous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기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증류탱크(401)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기체 이산화탄소의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배관의 일단은 상기 증류탱크(401)의 상부를 통해 상기 증류탱크(401)와 연결될 수 있다. Since the gaseous carbon dioxide is located above the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는 상기 증류탱크(401) 내부에서 액체 이산화탄소에 가능한 잠기도록 상기 증류탱크(401)의 바닥면에 위치할 것이다.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는 통상적인 열교환기와 유사하게, 내부에 기체 이산화탄소가 지나가는 파이프가 구불구불하게 연결되어 있어, 액체 이산화탄소와의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열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따라서, 이렇게 배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이산화탄소는 내부열교환기(410)를 지나면서 액체 이산화탄소에 의해 냉각될 것이다. 반면, 액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내부열교환기(410)를 지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이산화탄소의 열을 받아 증발열로 이용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carbon dioxide discharged in this way will be cooled by the liquid carbon diox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내부열교환기(410)와 상기 저장탱크(150)는 저장배관(610)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저장배관(610)상에 구비되는 저장제어밸브(615)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배관(6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저장배관(610)상에는 상기 저장탱크(150)로 이동하는 이산화탄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6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밸브(617) 일종의 원웨이 밸브(one-way valve)로 제어부(900)에 의해 능동적으로 제어될 필요는 없다. Meanwhile, a
다만, 이러한 증류과정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증류탱크(401)외부에 위치하여 액체이산화탄소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660) 및 상기 순환유로(660)상에 위치하는 외부열교환기(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in this distillation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000 is located outside the
상기 순환유로(660)는 상기 증류탱크(401)에서 액체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로 이동시키는 제1순환배관(661),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를 지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로 다시 이동시키는 제2순환배관(67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어부(900)는 제1순환배관(661) 및 제2순환배관(671) 상에 각각 구비된 제1순환제어밸브(665) 빛 제2순환제어밸브(675)를 통해 제1순환배관(661) 및 제2순환배관(671)의 개폐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900 is a
액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증류탱크(40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액체 이산화탄소의 유입을 위해 상기 제1순환배관(661)의 일단은 상기 증류탱크(401)의 하부를 통해 상기 증류탱크(401)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Since the liquid carbon dioxide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반면, 상기 제2순환배관(671)은 열을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증류탱크(401)의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순환배관(671)은 상기 증류탱크(401)의 상부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배출배관(630)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탱크(401)와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상기 증류부(400)는 상기 순환유로(660) 상에서 상기 증류탱크(401)와 상기 외부열교환기(49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401)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를 향해 이동시키는 순환펌프(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순환펌프(450)를 이용하여, 상기 증류탱크(401)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순환유로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또한, 상기 증류부(400)는 상기 외부열교환기(490)에 열전달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방열팬(29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91)은 외부공기를 상기 송풍팬(491)쪽으로 보내, 외부공기가 지닌 열을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를 통해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에서 배출되는 압력을 고려하면 상기 증류탱크(401)의 내부온도는 대략 -5 ℃ 이상 5 ℃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를 상온으로 가정하는 경우,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를 통해 상기 외부공기에서 상기 액체 이산화탄소로의 열전달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상기 송풍팬(491)을 별도로 두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방열팬(299)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열교환기(490) 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송풍할 수도 있다.The external air may be blown in the direction of the
결국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를 통해 액체 이산화탄소의 기화를 위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증류탱크의 압력강하를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액체 이산화탄소의 기화를 위한 열의 추가공급은 내부열교환기(410)에서의 재생과정 중 상기 증류탱크(401)의 압력을 높여 압축기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내부열교환기에서의 재생효율을 높이게 될 것이다. 이는 증류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게 되므로 전체 세탁행정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As a result, heat for vaporization of liquid carbon dioxide may be supplied through the
또한,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로 유출된 액체 이산화탄소는 다시 순환하여 상기 증류탱크(401)로 들어가므로 상기 외부열교환기(490)의 설치 및 이로 인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순환은 상기 증류탱크의 압력강하를 일으키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liquid carbon dioxide leaked into the
도 9에 도시된 압력용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용기(200)는 제1하우징(211), 제2하우징(22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력용기(200)의 내부공간을 제1챔버(210)와 제2챔버(220)로 분리하는 분리부(250)를 포함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분리부(250)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로 분리하고, 구동부(500) 및 드럼을 지지하는 격벽(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의 회전축은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3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격벽(251)에 의해 액체 이산화탄소는 제1챔버(210)에만 있고, 제2챔버(220)로 이동할 수 없다. The
이와 달리, 도 10은 압력용기(200)의 다른 실시예로 격벽(251)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내부 전체에 액체 이산화탄소가 수용될 수 있는 압력용기(2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드럼(300)이 상기 압력용기(200)의 내부에 있으면 구동부(500)는 드럼(300)과 같은 공간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Unlike this, FIG. 10 shows a
도 10은 외부열교환기(490)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열을 공급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supplying heat to liquid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an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세탁용제로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저장탱크(150)의 압력관리를 위한 칠러(chi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칠러는 상기 저장탱크(150)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시, 냉각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50)를 감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carbon dioxide as a laundry solvent may further include a chiller for pressure management of the
도 10은 상기 칠러를 히트펌프(800)로 대체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칠러를 상기 히트펌프(800)로 대체하는 경우, 상기 히트펌프(800)는 상기 저장탱크(150)의 압력을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150)와 열교환을 위한 제1열교환기(810), 상기 외부열교환기(490)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제2열교환기(830), 및 상기 제1열교환기(810)를 포함할 수 있다. 1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hiller is replaced with a
또한, 상기 히트펌프(800)는 상기 제1열교환기(810) 및 상기 제2열교환기(830)를 통해 열교환을 하는 냉매를 순환시키고 압축하는 냉매압축기(820) 및 상기 제2열교환기(830)를 지나 방열된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시키는 팽창부(8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제1열교환기(810)는 저온의 냉매가 지나가면서, 주변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800)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의해 열을 뺏겨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탱크(150)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순환팬(8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50)는 상기 제1열교환기(810)을 지나 냉각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50)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900)는 상기 순환팬(815)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50)로 저온의 공기를 송풍시켜, 상기 저장탱크(150)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The
상기 제2열교환기(830)와 상기 외부열교환기(490)는 서로에게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하나의 열전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830)는 상기 외부열교환기(490)와 열전달을 위해 상기 제2열교환기(830) 내부에 상기 외부열교환기(490)가 삽입된 형태일 수도 있다. 즉, 압축된 냉매속에 외부열교환기(490)가 잠겨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열교환기(830)도 상기 외부열교환기(490)와 동일한 형태로 대응되는 구불구불한 파이프 형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공기나 물 같은 다른 물질을 통해 열교환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The second heat exchanger 830 and the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u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0: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103: 전면패널
1031: 캐비닛 투입구
110: 프레임
130: 도어
150: 저장탱크
160: 냉각기
200: 압력용기
256: 용기열교환기
259: 단열부재
300: 드럼
290: 증류압축기
295: 오일분리기
400: 증류부
401: 증류탱크
410: 내부열교환기
490: 외부열교환기
500: 구동부
610: 저장배관
620: 공급배관
630: 배출배관
641: 흡입배관
651: 토출배관
617: 역류방지밸브
660: 순환유로
900: 제어부1000: clothes treatment device 100: cabinet 103: front panel
1031: cabinet inlet 110: frame 130: door
150: storage tank 160: cooler 200: pressure vessel
256: container heat exchanger 259: insulating member 300: drum
290: distillation compressor 295: oil separator 400: distillation unit
401: distillation tank 410: internal heat exchanger 490: external heat exchanger
500: drive unit 610: storage pipe 620: supply pipe
630: discharge pipe 641: suction pipe 651: discharge pipe
617: non-return valve 660: circulation path 900: control unit
Claims (15)
상기 압력용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상기 압력용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압력용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중 액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상기 저장탱크에 상기 기화된 이산화탄소를 액화시켜 공급하는 증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류부는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용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에 용해된 이물질을 분리하기위해 상기 압력용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증류탱크;
상기 증류탱크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외부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외부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 pressure vessel for maintaining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therein at a pressure greater than atmospheric pressure;
a storage tank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vessel, storing carbon dioxide and supplying carbon dioxide to the pressure vessel; and
and a distillation unit for liquefying and supplying the vaporized carbon dioxide to the storage tank afte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by vaporizing liquid carbon dioxide from th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pressure vessel,
The distillation unit
a distillation tank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vessel to stor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pressure vessel in order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dissolved in th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pressure vessel;
a circulation passage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distillation tank and circulates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and
and an external heat exchanger position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heat the liquid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using external heat.
상기 순환유로의 일단은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증류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circulation passage i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is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tillation tank so that the liquid carbon dioxide flows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상기 증류부는
상기 순환유로 상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상기 외부열교환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향해 이동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tillation unit
and a circulation pump positioned between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 external heat exchanger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move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toward the external heat exchanger.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증류탱크와 상기 외부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증류탱크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외부열교환기로 이동시키는 제1순환배관; 및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난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로 이동시키는 제2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circulation path
a first circulation pipe connecting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o move the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to the external heat exchanger; and
and a second circulation pipe for moving the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o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제2순환배관은
상기 증류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circulation pipe i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압력용기와 상기 증류탱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압력용기에서 상기 증류탱크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순환배관은
상기 배출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난 이산화탄소를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상기 증류탱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vessel and the distillation tank to discharge carbon dioxide from the pressure vessel to the distillation tank,
The second circulation pipe is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to move carbon dioxid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o the distillation ta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상기 배출배관은
상기 증류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The exhaust pipe i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증류부는
상기 증류탱크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탱크에서 기체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증류압축기;
상기 증류탱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증류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와 열교환시키는 내부열교환기; 및
상기 내부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내부열교환기를 지나 냉각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시키는 저장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distillation unit
a distillation compressor located outside the distillation tank, which sucks in gaseous carbon dioxide from the distillation tank and compresses it;
an internal heat exchanger located inside the distillation tank and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compressor to heat-exchange the compressed gaseous carbon dioxide with liquid carbon dioxide stored in the distillation tank; and
and a storage pipe connecting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nd the storage tank to move the cooled carbon dioxide through the internal heat exchanger to the storage tank.
상기 증류부는
상기 증류탱크와 상기 증류압축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증류탱크에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압축기로 이동시키는 흡입배관; 및
상기 증류압축기와 상기 내부열교환기를 연결하여, 상기 압축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내부열교환기로 이동시키는 토출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tillation unit
a suction pipe connecting the distillation tank and the distillation compressor to move gaseous carbon dioxide from the distillation tank to the distillation compressor; and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istillation compressor and the internal heat exchanger to move the compressed gaseous carbon dioxide to the internal heat exchanger.
상기 내부열교환기는
상기 증류탱크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ternal heat exchang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distillation tank.
상기 흡입배관은
상기 증류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증류탱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ction pipe i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istillation tank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tillation tank.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blowing fan for supplying air by sucking,
and supplying heat to the liquid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by using the heat of the air sucked in by the blowing fan.
상기 압력용기,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증류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증류탱크는 각각
상기 캐비닛의 좌우측면 중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A cabinet including the pressure vessel, the storage tank, and the distillation unit therein; further comprising,
The storage tank and the distillation tank are each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abinet is located closer than the other side.
상기 저장탱크의 압력을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와 열교환을 위한 제1열교환기;
상기 외부열교환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외부열교환기를 지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제2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냉매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a first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storage tank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storage tank below a preset reference pressure;
a second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heat to the liquid carbon dioxid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external heat exchanger; and
and a refrigerant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상기 제1열교환기를 지나 냉각된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시킨 후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시키는 순환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In order to cool the storage tank using the external air cool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 circulation fan for cooling the external air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n moving it to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10318A KR102472994B1 (en) | 2021-01-25 | 2021-01-25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PCT/KR2022/001227 WO2022158931A2 (en) | 2021-01-25 | 2022-01-24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10318A KR102472994B1 (en) | 2021-01-25 | 2021-01-25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07555A true KR20220107555A (en) | 2022-08-02 |
| KR102472994B1 KR102472994B1 (en) | 2022-12-01 |
Family
ID=825498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10318A Active KR102472994B1 (en) | 2021-01-25 | 2021-01-25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72994B1 (en) |
| WO (1) | WO2022158931A2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75302A1 (en) * | 2023-10-05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WO2025075323A1 (en) * | 2023-10-05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WO2025146984A1 (en) * | 2024-01-04 | 2025-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WO2025159378A1 (en) * | 2024-01-22 | 2025-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75303A1 (en) * | 2023-10-05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WO2025075326A1 (en) * | 2023-10-05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US20250283270A1 (en) * | 2024-03-05 | 2025-09-11 | Hamilton Sundstrand Space Systems International, Inc. | Carbon dioxide-based cleaning systems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216302B1 (en) * | 1997-11-26 | 2001-04-17 | Mve, Inc. | Carbon dioxide dry cleaning system |
| US6360392B1 (en) * | 1997-12-24 | 2002-03-26 | Alliance Laundry Systems Lll | Liquified gas dry-cleaning machine with improved agitation system |
| JP2003135891A (en) * | 2001-11-05 | 2003-05-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Washing method and device using carbon dioxide |
| US20050034247A1 (en) * | 1999-03-19 | 2005-02-17 | Aktiebolaget Electrolux | Apparatus for cleaning textiles with a densified liquid treatment gas |
| US20070256706A1 (en) * | 2006-04-06 | 2007-11-08 | Esko Ahlbom | Multiple bath CO2 cleaning |
| US20170299230A1 (en) * | 2016-03-08 | 2017-10-19 | Co2Nexus, Inc. | Thermodynamic management for integrated densified fluid-based textile treatment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442980B2 (en) * | 1997-11-26 | 2002-09-03 | Chart Inc. | Carbon dioxide dry cleaning system |
| JP2010148632A (en) * | 2008-12-25 | 2010-07-08 | Sharp Corp | Cleaning device |
| GB0922411D0 (en) * | 2009-12-22 | 2010-02-03 | Johnson Matthey Plc | Conversion of hydrocarbons to carbon dioxide and electrical power |
| EP2576885B1 (en) * | 2010-05-28 | 2016-08-24 | Electrolux Laundry Systems Sweden AB | Cool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e for co2 washing machines |
-
2021
- 2021-01-25 KR KR1020210010318A patent/KR102472994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1-24 WO PCT/KR2022/001227 patent/WO2022158931A2/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216302B1 (en) * | 1997-11-26 | 2001-04-17 | Mve, Inc. | Carbon dioxide dry cleaning system |
| US6360392B1 (en) * | 1997-12-24 | 2002-03-26 | Alliance Laundry Systems Lll | Liquified gas dry-cleaning machine with improved agitation system |
| US20050034247A1 (en) * | 1999-03-19 | 2005-02-17 | Aktiebolaget Electrolux | Apparatus for cleaning textiles with a densified liquid treatment gas |
| JP2003135891A (en) * | 2001-11-05 | 2003-05-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Washing method and device using carbon dioxide |
| US20070256706A1 (en) * | 2006-04-06 | 2007-11-08 | Esko Ahlbom | Multiple bath CO2 cleaning |
| US20170299230A1 (en) * | 2016-03-08 | 2017-10-19 | Co2Nexus, Inc. | Thermodynamic management for integrated densified fluid-based textile treatment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75302A1 (en) * | 2023-10-05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WO2025075323A1 (en) * | 2023-10-05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WO2025146984A1 (en) * | 2024-01-04 | 2025-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WO2025159378A1 (en) * | 2024-01-22 | 2025-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72994B1 (en) | 2022-12-01 |
| WO2022158931A3 (en) | 2022-09-15 |
| WO2022158931A2 (en) | 2022-07-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472994B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 KR102725978B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 KR102562191B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 JP7026658B2 (en) | Garment processing equipment with heat pump module | |
| US20220154387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03167916B (en) | For cleaning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the component of cleaned industry manufacture | |
| US6938356B2 (en) | Drying machine | |
| CN101092792B (en) | clothes dryer | |
| CN102479671B (en) | Substrate board treatment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 |
| CN100359091C (en) | Process method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yeing | |
| EP0651831A4 (en) | Liquid/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ry cleaning system. | |
| CN101492875A (en) | Washing cloth treating device | |
| JP2012249740A (en) | Clothes drier | |
| KR102594903B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 CN101173478B (en) | Integral heat pump unit for heat pump washer dryer | |
| WO2000053839A2 (en) | Dry cleaning process using rotating basket agitation | |
| JP2019107599A (en) | Vacuum vapor cleaning method | |
| KR20220148776A (en) | Washing machine | |
| KR102472995B1 (en) | Washing machine | |
| KR10045028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er regenerating non-purge absorption air drier | |
| JP2005027934A (en) | Laundry dryer | |
| KR102536873B1 (en) | Washing machine | |
| US11767629B2 (en) | Washing machine | |
| KR20250117200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 JP2813454B2 (en) | Dry clean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