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871A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Google Patents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2871A KR20220132871A KR1020210037958A KR20210037958A KR20220132871A KR 20220132871 A KR20220132871 A KR 20220132871A KR 1020210037958 A KR1020210037958 A KR 1020210037958A KR 20210037958 A KR20210037958 A KR 20210037958A KR 20220132871 A KR20220132871 A KR 202201328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pipe
- parasol
- hub
- aw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2—Devices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umbrellas to wi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 A45B2023/0062—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the support arm being telescopic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양막이 파이프 내에 수용되게 하여 기존의 파라솔과 달리 차양막의 외부 노출에 따른 강풍 등에 의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as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asol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strong winds due to external exposure of the awning, etc., unlike a conventional parasol by allowing the awning to be accommodated in a pipe.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태양광을 차단하거나 또는 비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져 야외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parasol has a function of blocking sunlight or blocking rain, and thus is widely used as a means to relax outdoors.
이러한 파라솔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동형 파라솔과 크기가 큰 대형 파라솔로 구분되는데, 특히 대형 파라솔의 경우 지면에 직접 고정되고 견고한 프레임체로 구성되어, 한번 설치된 상태에서는 해당 파라솔을 해체하기 전까지 펼친 상태에서 계속 유지하므로, 비교적 넓은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의 문제가 있고 강풍 등의 자연 재해시 파손 및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se parasols are divided into a relatively small portable parasol and a large large parasol. In particular, large parasols are fixed directly to the ground and consist of a solid frame, and once installed, they remain in the unfolded state until the parasol is dismantled. Therefore, it occupies a relatively large space, so there is a problem of space utilization, and damage and safety accidents may occur in cas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strong winds.
이에 대해 선행기술 특허 10-1796394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해결하고 있다.In this regard, as presented in Patent No. 10-1796394 of the prior art, it is solved by implementing it in a foldable manner for user convenien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접이식 대형 파라솔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는 지지암(20), 상기 기지암(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차양막(30), 와이어(50)를 권취 및 인출되도록 하여 차양막(30)을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와이어 권취부재(40)를 포함하는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0)의 분리구간에서 서로 마주하는 프론트 암 및 리어 암 사이에는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제어되어 리어 암을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힌지 수단(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conventional folding large parasol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post 10 fixed to the ground, a
그러나,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제어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와이어의 장력의 약화되고 이에 따른 기능 저하로 파라솔을 펼치거나 접히는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강풍 등의 자연 재해시에도 차양막 등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파손 및 안전사고의 대비에서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it is controlled by the tension of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양막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파이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하여 햇빛 등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파라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by moving the awning membrane and the supporting part supporting it up and down in the pipe, the awning membrane can be expanded or folded to block sunlight, etc., improving user convenie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parasols.
또한, 차양막이 파이프 내에 수용되게 하여 기존의 파라솔의 경우 차양막의 외부 노출에 따른 강풍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라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asol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by strong winds due to external exposure of the sunshade in the case of an existing parasol by allowing the awning to be accommodated in the pip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햇빛 등의 차단용으로 펼쳐지는 차양막과, 바닥면 등에 고정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차양막을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일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펼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접히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파라솔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ding membrane that is spread for blocking sunlight, etc., a pip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etc., a support arm formed in the pipe and supported to fold or unfold the shading membrane while being supported, and one end of the support arm It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moving upwards or downwards in the pipe to expand the shading membrane or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old the shading membrane, and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supporting part up and down in the pipe. Parasols are provided.
또한, 상기 지지암은 일단은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우산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 내에 형성된 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mbrella spokes supporting the awn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in the pipe.
또한, 상기 우산살은 복수개가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서 방사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umbrella spokes are formed symmetrically and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a radial structure in the center.
또한, 상기 복수개의 우산살이 수렴하는 중심점으로서 허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ub is formed as a central point at which the plurality of umbrellas converge.
또한, 상기 허브와 상기 지지부는 원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ub and the support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isk.
또한, 상기 지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관통하는 허브막대를 형성하고, 상기 허브막대의 일단은 상기 허브의 하부면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ub bar penetrating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art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hub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ub to support 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또한, 상기 우산살과 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암의 길이가 상기 허브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점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한 상기 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차양막이 접혀질 경우에 상기 우산살이 상부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파이프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upport arm connecting the umbrella and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to the point connecting the hub and the support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awning film is unfolded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driving portion. When the awning is fol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mbrella is accommodated in the pipe while being folded in the upper direction.
또한, 상기 파이프 상단부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부의 위치에서 상기 상부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xing pa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ipe, and when the support part moves upwar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iving part, the movement of the upper part is stopped at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고정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원판의 적층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부의 적층구조의 상부 원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support part is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of disks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fixing part is supported on the upper disk of the stacked structure of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구동부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고,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가 맞물린 랙 기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rack gear, and the rotating pinion gear moves the meshed rack gear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support part up and down in the pipe.
또한, 사용자 손잡이로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핸들 회전축을 통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기 핸들 조작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랙 기어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having a handle as a user handle,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through the handle rotation shaft, the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according to the rotation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handle upper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핸들에 핸들 잠금홀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에 파이프 잠금홀을 형성하여, 잠금키를 통해 상기 파이프 잠금홀과 핸들 잠금홀를 연결하여 고정시켜 소정 위치에서 상승 또는 하강없이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andle lock hole is formed in the handle, a pipe lock hole is formed in the pipe, and the pipe lock hole and the handle lock hole are connected and fixed through a lock key to stop without raising or lower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o.
또한, 상기 지지암은 일단은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우산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 내에 형성된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관통하는 허브막대를 형성하고, 상기 허브막대의 일단은 상기 허브의 하부면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타단은 연결막대를 통해 상기 랙 기어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ort arm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mbrella spokes supporting the awning membran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in the pipe, and forms a hub bar penetrating throug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the One end of the hub bar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ub,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ack gear through the connecting bar.
본 발명은 차양막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파이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하여 햇빛 등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r convenience by moving the awning membrane and the supporting part supporting it up and down in the pipe to open or fold the awning membrane to block sunlight and the like.
또한, 우산살이 상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함께 차양막도 파이프 내에 수용되게 되므로 파이프가 지지암, 우산살 및 차양막을 보호하는 외부 하우징으로 커버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파라솔의 경우 차양막과 이를 지지하는 우산살 및 지지암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강풍 등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s the umbrella is fold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awning is also accommodated in the pipe, so the pipe is covered with an outer housing that protects the support arm, the umbrella and the awning. Through this, in the case of an existing parasol, since the awning membrane and the umbrella spokes and support arms supporting it ar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being damaged by strong winds.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대형 파라솔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의 개략적인 (a)측단면도, (b) 평면도,
도 4는 도 2의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의 상단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각각 (a) 차양막을 접었을 때와 (b) 차양막을 펼쳤을 때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의 하단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각각 (a) 차양막을 접었을 때와 (b) 차양막을 펼쳤을 때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olding large parasol,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gure 3 is a schematic (a) side cross-sectional view, (b) plan view of the
4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upper end of the
5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lower end of th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aras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의 개략적인 (a)측단면도, (b) 평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도 4는 도 2의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의 상단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각각 (a) 차양막을 접었을 때와 (b) 차양막을 펼쳤을 때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100)의 하단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각각 (a) 차양막을 접었을 때와 (b) 차양막을 펼쳤을 때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upper end of th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100)은, 햇빛 또는 비 등의 차단용으로 펼쳐지는 차양막(미도시)과, 바닥면 또는 지면에 고정되는 파이프(130)와, 상기 파이프(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차양막을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는 지지암(114)과, 상기 기지암(114)의 일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펼치거나 반대 방향인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접히도록 하는 지지링(122)과, 상기 지지링(1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2 to 5 , the
이때, 차양막은 천, 비닐, 플라스틱,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나, 햇빛 또는 비 등(이하, '햇빛 등' 이라 한다)의 차단이 가능한 재질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wning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loth, vinyl, plastic, and biodegradable polymer resin, but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sunlight or ra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nlight, etc.') is preferable.
또한, 상기 파이프(130)는 지면 또는 바닥면 등(이하, '바닥면 등'이라 한다)에 고정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주로서 기능하며, 상기 파이프는 원통 형태로서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링(122) 및 상기 지지링(1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등이 상기 중공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게 하여 공간적인 이점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130)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강풍 등에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필요하므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 또는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등이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파라솔(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each component of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상단부는 크게, 상기 파이프(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차양막을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는 지지암(114)과, 상기 기지암(114)의 일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펼치거나 반대 방향인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접히도록 하는 지지링(122)을 구비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 the upper end for supporting the awning membrane is large, formed inside the
이때, 상기 지지암(114)은 일단은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우산살(113)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130) 내에 형성된 지지링(122)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우산살(113)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서 방사형 구조로 비 또는 눈 등의 차단시에 힘의 분산을 가져와 지지되는 차양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암(114)도 상기 우산살(113)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122)와 연결되어 상기 우산살(113)에 지지되는 차양막을 펼칠 때 지지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기지암(114)의 일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상기 파이프(130)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펼치거나 반대 방향인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접히도록 하는 지지링(122)을 구비한다.In addition, whi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특히, 상기 복수개 형성되고 방사형 구조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우산살(113)이 수렴하는 중심점으로서 허브(112)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112)는 원판 형태로 구성되어 방사형으로 상기 우산살(113)과 연결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지지링(122)도 상기 허브(112)와 수직 방향에서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지지링(122)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관통하는 허브막대(111)를 형성하고 상기 허브막대(111)의 일단은 상기 허브(112)의 하부면에 연결하고 타단은 후술하는 구동부와 연결하여 상기 허브(112)와 상기 지지링(1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한다. 이때, 상기 우산살(113)과 지지링(122)을 연결하는 지지암(114)의 길이가 허브 막대(111)에서 상기 허브(112)와 상기 지지링(122)의 연결하는 지점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 이를 통해,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도 4b)에서 지지링(122)이 하부로 이동하여 차양막이 접혀지는 상태(도 4a)에서는 우산살(113)이 상부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파이프(130)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우산살(113)이 상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함께 차양막도 파이프(130) 내에 수용되게 되므로 파이프(130)가 지지암(114), 우산살(133) 및 차양막을 보호하는 외부 하우징으로 커버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파라솔의 경우 차양막과 이를 지지하는 우산살 및 지지암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강풍 등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우산살(113)의 연결방식을 살펴보면, 우산살(113)은 지지암(114)과 핀으로 연결되고 회전가능하다. 또한, 상기 우산살(113)은 허브(112)와 핀으로 연결되고 회전가능하며, 상기 지지암(114)은 지지링(122)과 핀으로 연결되고 회전가능하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또한, 지지링(122)은 원판 형태로 그 직경이 파이프(1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130) 내에서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링(122)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관통하는 허브막대(111)를 형성하고 상기 허브막대(111)의 일단은 상기 허브(112)의 하부면에 연결하고 타단은 후술하는 구동부와 연결하여 상기 허브(112)와 상기 지지링(1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한다. 이때, 허브(112)와 지지링(122)과 중심을 같이하는 동심원 구조로서 모두 원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허브(112) 원판의 직경이 지지링(122) 원판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차양막을 접을 경우 파이프(130) 내에 수용되게 한다. 또한, 지지링(122)은 지지암(114)과 우산살(113) 및 허브(112)를 지지할 수 있게 단일 원판이 아닌 직경이 다른 원판의 적층구조로서 다단 원판을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허브막대(111)는 지지링(122)의 중심을 통과하여 이동가능하며 하단부의 상기 지지링(1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파이프(130) 상단부에 링 형태의 고정링(1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은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링(122)이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링(121)에 부딪치면 더 이상의 위로 이동할 수 없게 한다.In addition, a ring-shaped
도 5를 참조하면, 하단부는 상기 지지링(1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lower end includ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상기 구동부는 랙 기어(141)와 피니언 기어(142)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42)가 맞물린 랙 기어(141)를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즉, 사용자 손잡이로서 핸들(150)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150)은 핸들 회전축(151)을 통해 피니언 기어(142)와 연결된다. 즉, 피니언 기어(142)는 핸들 회전축(151)을 회전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핸들(150) 조작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맞물린 랙 기어(14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The driving uni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가령, 상단부의 허브막대(111)는 연결막대(131)를 통해 하단부의 랙 기어(141)과 연결된다. 이때 랙 기어(141)를 피니어 기어(142)가 이동하며, 피니언 기어(142)는 핸들 회전축(143)을 통해 핸들(150)과 연결되어 파이프(130) 내에서 형성된 연결막대(1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For example, the
이에 따라, 핸들 회전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핸들(150) 조작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맞물린 랙 기어(14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Accordingly, the
이때, 잠금키(153)를 파이프 잠금홀(151)과 핸들 잠금홀(152)를 연결하여 고정시켜 소정 위치에서 상승 또는 하강없이 정지시킨다.At this time, the
이어, 파라솔의 상단부를 펴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upper part of the paraso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즉, 핸들(15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단부를 다같이 위로 옮기고 지지링(122)은 고정링(121)에 부딪히면 더 이상 위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허브막대(111) 및 허브(112)는 계속해서 위로 이동하게 되고 지지암(114) 및 우산살(113)을 펴기 시작한다. 이때, 랙 기어(141)가 일정한 단계(또는 행정)에 도달한 후에는 더 이상 상부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고 우산살(113)을 완전히 펴서 지지된 차양막을 펼치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접는 과정을 위의 과정과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이때,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설정하면 되고, 다만 파라솔을 펴는 과정과 접는 과정은 상호 반대 방향의 회전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ding process should be reversed to the above process. In this case,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r the clockwise direc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but the process of unfolding and folding the parasol may be possible through rotation in opposite directions.
여기서, 핸들 조작을 통한 작동자의 인력에 따른 수동 조작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구동형 또는 유압 실린더 형태로 슬라이더 링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위치 또는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Here, the manu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npower of the operator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witch or remote control for moving the slider ring up and down in the form of a motor-driven or hydraulic cylinder is also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1: 허브막대
112: 허브
113: 우산살
114: 지지암
121: 고정링
122: 지지링
130: 파이프
131: 연결막대
141: 랙 기어
142: 피니언 기어
143: 핸들 회전축
150: 핸들
151: 파이프 잠금홀
152: 핸들 잠금홀
153: 잠금키111: hub bar
112: hub
113: umbrella
114: support arm
121: retaining ring
122: support ring
130: pipe
131: connection bar
141: rack gear
142: pinion gear
143: handle rotation shaft
150: handle
151: pipe lock hole
152: handle lock hole
153: lock key
Claims (14)
바닥면 등에 고정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차양막을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일단과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펼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을 접히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An awning that spreads out to block sunlight, etc.
a pipe fixed to the floor, etc.;
A support arm formed inside the pipe and supported to fold or unfold the awning membrane;
And a support part for moving the upper or lower part in the pipe to expand the shading membrane or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old the shading membrane while being connected to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support arm;
Parasol comprising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support part up and down in the pipe.
상기 지지암은 일단은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우산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 내에 형성된 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rm is a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mbrella spokes supporting the awn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in the pipe.
상기 우산살은 복수개가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서 방사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3.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umbrella spokes are symmetrically formed and a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adial structure from the center.
상기 복수개의 우산살이 수렴하는 중심점으로서 허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3. The method of claim 2,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the hub is formed as a central point at which the plurality of umbrella spokes converge.
상기 허브와 상기 지지부는 원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5. The method of claim 4,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the hub and the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isk.
상기 지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관통하는 허브막대를 형성하고, 상기 허브막대의 일단은 상기 허브의 하부면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5. The method of claim 4,
A hub bar passing throug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hub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ub to support 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상기 우산살과 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암의 길이가 상기 허브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점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한 상기 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차양막이 접혀질 경우에 상기 우산살이 상부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파이프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7. The method of claim 6,
The length of the support arm connecting the umbrella and the support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to the point connecting the hub and the support, and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upport through the driving part, the shading mak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shading mak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when folded, the umbrella is accommodated in the pipe while being folded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파이프 상단부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부의 위치에서 상기 상부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According to claim 1,
A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by forming a fixing part at the upper end of the pipe, and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part from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when the support part moves upwar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iving part.
상기 고정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원판의 적층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부의 적층구조의 상부 원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support part is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of disks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fixing part is supported on the upper disk of the stacked structure of the support part.
상기 구동부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라솔.According to claim 1,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uni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고,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가 맞물린 랙 기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를 상기 파이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rack gear,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by moving the rack gear engaged with the rotating pinion gea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support part up and down in the pipe.
사용자 손잡이로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핸들 회전축을 통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기 핸들 조작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랙 기어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11. The method of claim 10,
A user handle having a handle, wherein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through a handle rotation shaft,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the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is moved in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handle.
상기 핸들에 핸들 잠금홀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에 파이프 잠금홀을 형성하여,
잠금키를 통해 상기 파이프 잠금홀과 핸들 잠금홀를 연결하여 고정시켜 소정 위치에서 상승 또는 하강없이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13. The method of claim 12,
A handle lock hole is formed in the handle, and a pipe lock hole is formed in the pipe,
Parasol, characterized in that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pipe lock hole and the handle lock hole through a lock key, the parasol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raising or lowering.
상기 지지암은 일단은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우산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 내에 형성된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관통하는 허브막대를 형성하고, 상기 허브막대의 일단은 상기 허브의 하부면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타단은 연결막대를 통해 상기 랙 기어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11. The method of claim 10,
One end of the support arm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mbrella spokes supporting the awn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in the pipe,
A hub bar passing throug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hub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ub to support 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ack gear through the connecting bar. .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37958A KR20220132871A (en) | 2021-03-24 | 2021-03-24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 KR1020230083865A KR20230106548A (en) | 2021-03-24 | 2023-06-28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37958A KR20220132871A (en) | 2021-03-24 | 2021-03-24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83865A Division KR20230106548A (en) | 2021-03-24 | 2023-06-28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32871A true KR20220132871A (en) | 2022-10-04 |
Family
ID=83600193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37958A Ceased KR20220132871A (en) | 2021-03-24 | 2021-03-24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 KR1020230083865A Ceased KR20230106548A (en) | 2021-03-24 | 2023-06-28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83865A Ceased KR20230106548A (en) | 2021-03-24 | 2023-06-28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2) | KR20220132871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37127B1 (en) * | 2022-10-27 | 2023-05-30 | 조영우 | 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96394B1 (en) | 2016-09-27 | 2017-11-10 |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 Large parasol |
-
2021
- 2021-03-24 KR KR1020210037958A patent/KR20220132871A/en not_active Ceased
-
2023
- 2023-06-28 KR KR1020230083865A patent/KR20230106548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96394B1 (en) | 2016-09-27 | 2017-11-10 |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 Large parasol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37127B1 (en) * | 2022-10-27 | 2023-05-30 | 조영우 | 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06548A (en) | 2023-07-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020074032A1 (en) | Frame assembly for folding tents | |
| US5116258A (en) | Collapsible umbrella | |
| KR101796394B1 (en) | Large parasol | |
| US6230727B1 (en) | Collapsible canopy | |
| RU2088129C1 (en) | Umbrella on pole | |
| EP1510145B1 (en) | Height adjustable umbrella assembly | |
| KR102079204B1 (en) | Parasol having pocket section | |
| CN104812266B (en) | Umbrella | |
| CN112922439B (en) | Foldable erectable canopy awning with crank system | |
| NL1026727C2 (en) | Beach umbrella. | |
| KR102152372B1 (en) | Folding type big size parasol with wire protect function | |
| CN105846044B (en) | A kind of foldable umbrella antenna structural framework and method of deploying | |
| US11096458B1 (en) | Multi-use umbrella with water filtration and sail functions | |
| US4813442A (en) | Collapsible protective structure | |
| US4319600A (en) | Umbrella | |
| KR20230106548A (en) | A parasol for blocking sunlight at a fruit tree | |
| EP0829598A1 (en) | Canopy structure | |
| KR20210095542A (en) | Roll type auto foldable umbrella | |
| KR102102722B1 (en) | Double folding parasol with chair | |
| KR102073895B1 (en) | Apparatus for Parasol | |
| KR102542054B1 (en) | Side-supported parasol | |
| KR100511007B1 (en) | Fixed large parasol having foldable awning | |
| KR101614648B1 (en) | Parasol | |
| DE202009006997U1 (en) | standing umbrella | |
| KR102776932B1 (en) | Folding type paraso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6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