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332A - Mouth piece - Google Patents
Mouth pie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5332A KR20220165332A KR1020210073832A KR20210073832A KR20220165332A KR 20220165332 A KR20220165332 A KR 20220165332A KR 1020210073832 A KR1020210073832 A KR 1020210073832A KR 20210073832 A KR20210073832 A KR 20210073832A KR 20220165332 A KR20220165332 A KR 202201653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ion portion
- shape memory
- mouthpiece
- teeth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06010041235 Snor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1000002859 sleep a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6010006514 brux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9116 sleep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84 soft palat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01705 Mouth breath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513 denti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346 tooth eru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31 shape-memory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884 Airway Obstru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698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90 Disorders of Excessive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118 Hypot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302 Sleep Brux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4 a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53 dental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0 muscle relax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1 shape mem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685 sleep-wak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면 중 코골이, 무호흡증, 구강호흡 및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thpiece capable of preventing snoring, apnea, mouth breathing and bruxism during sleep.
코골이(snoring)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의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유발해서 발생되는 호흡 잡음에 해당한다. 코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이 수면 중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수면시 혀의 이완과 중력에 의해서 기도가 막히거나 가까이 늘어지는 현상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기도가 축소되고, 이 축소된 기도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켜 코고는 소리를 내게 된다. Snoring occurs when the airflow during sleep passes through an airway that has been narrowed due to various causes, causing the soft palate (soft palate, the soft palate at the back of the roof of the mouth) to form a drooping shape below the center of the soft palate. It is also referred to as breathing noise caused by vibrations in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the back of the lungs. There are various causes of snoring, but generally, the airway is partially narrowed by the phenomenon that the airway is blocked or stretched close by the relaxation of the tongue and gravity during sleep, because the muscles are relaxed and stretched during sleep. When air passes through the narrowed airway, it causes the surrounding soft parts to vibrate, producing a snoring sound.
수면 무호흡(sleep apena)은 수면 중 혀의 처짐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상기도의 반복적인 폐쇄로 인해 호흡이 멈추거나 감소하여 자주 깨는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 수면 장애에 해당한다. Sleep apnea is caused by airway obstruction due to tongue drooping during sleep, and corresponds to a sleep disorder in which respiration stops or decreases due to repeated obstruction of the upper airway, resulting in frequent awakening symptoms.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지속되면, 지나친 주간 졸음이나 인지 장애, 작업 수행 능력 저하 및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나아가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및 당 대사 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If snoring and sleep apnea persist,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ognitive impairment, decreased work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may be caused, and furthermore,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abnormal sugar metabolism may be caused.
구강호흡은 수면 중 코로 호흡하지 않고 구강을 통해서 호흡하는 것으로, 구강 내부를 건조하게 하고 심한 경우 수면 무호흡으로 이어진다. Mouth breathing is breathing through the mouth rather than through the nose during sleep, which dries the inside of the mouth and leads to sleep apnea in severe cases.
이갈이(bruxism)은 수면 중이나 또는 낮 동안 깨어 있을 때 반복적으로 치아를 꽉 물거나(clenching) 또는 옆으로 가는(grinding) 행위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는 수면 중 발생하는 행위를 의미한다.Bruxism includes an act of repeatedly clenching or grinding teeth during sleep or while awake during the day, and generally refers to an act that occurs during sleep.
코골이, 수면 무호흡, 구강호흡 및 이갈이 등과 같은 수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중 하나가 사용자의 입에 장착하는 마우스피스이다. 마우스피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치아에 끼워 고정하고 수면 중 혀가 근육 이완에 의해서 처져서 기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등을 방지한다.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overcome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sleep apnea, mouth breathing, and bruxism, and one of them is a mouthpiece worn in a user's mouth. A mouthpiece is generally fitted and fixed to a user's teeth and prevents snoring and sleep apnea by preventing the tongue from sagging due to muscle relaxation and closing the airway during sleep.
본 발명은 수면 장애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마우스 피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thpiece that can effectively overcome sleep disord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와,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와, 상부삽입부는 상부외면과 상부내면을 구비하고, 상부외면 및 내면에 의해서 상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삽입부는 하부외면과 하부내면을 구비하고, 하부외면 및 하부내면에 의해서 하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최전방에서 하부치열삽입홈은 상부치열삽입홈에 비해서 전방에 위치한다. A mouthpie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upper row of teeth is inserted, a low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lower row of teeth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an upper insertion portion having an upper outer surface and an upper inner surface, The upper dentit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by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the lower insertion part has a lower outer surface and a low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dentit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by the lower out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hom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와,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와, 상부삽입부에 결합하는 상부형상기억부와, 하부삽입부에 결합하는 하부형상기억부를 포함하고, 하부형상기억부는 상부형상기억부에 비해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A mouthpie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upper row of teeth is inserted, a low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lower row of teeth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 upper shape memor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a lower insertion portion. A lower shape memory unit coupled to the insertion unit may be included, and the lower shape memory unit may protrude forward compared to the upper shape memory unit.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A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upper outer surface may be formed thickest at the foremost side. In addition, the lower outer surface may be formed to be the thinnest at the foremost side.
상부형상기억부는 최전방 상면에 형성된 전방치열보호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pper shape memory unit may include a frontal fissure protec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most upper surface.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에는 각각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형상기억부 및 하부형상기억부는 각각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An upper through hole and a lower through hole are formed in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the lower insertion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shape memory portion and the lower shape memory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lower through hole, respectively.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의 최전방에는 절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n incision may be formed at the foremost front of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the lower insertion portion, respectively.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손잡이 및 하부손잡이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The upper insertion part and the lower insertion part may have upper and lower handles protruding forward, respectively.
하부삽입부의 양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홀에는 U 형상의 걸림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걸림부는 하부삽입부에서 하향 돌출 및 후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insertion portion, and a U-shaped lock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and the locking portion may protrude downward and be inclined backward from the lower insertion por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erted.
본 발명은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uthpiece that is convenient to wear and can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에서 형상기억부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상부삽입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하부삽입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부형상기억부 및 하부형상기억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outhpie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mouthpiece illustrated in FIG. 1;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hape memory unit is removed from the mouthpiec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
6 is a plan view of the mouthpiece illustrated in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thpiece illustrated in FIG. 4;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of the mouthpie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insertion portion of the mouthpie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shape memory unit and a lower shape memory uni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제1, 제2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upper, lower,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 is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10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100)에서 형상기억부(180, 190)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4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10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의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참고로, 도 2 및 도 5는 마우스피스(100)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예시한다. For reference, FIGS. 2 and 5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부 치열(도시하지 않음) 및 하부 치열(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수면 중 혀가 처져서 기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및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다. 1 to 10, the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상부삽입부(110), 하부삽입부(140), 걸림부(170), 상부형상기억부(180), 하부형상기억부(1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갖고 걸림부(170)가 하향 돌출 및 후방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걸림부(170)도 U 형상을 갖는다.The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는 마우스 피스(100)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이 각각 삽입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는 모두 U 형상을 갖고 그 상부에는 각각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위치한다. The
상부삽입부(110)는 사용자의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치열의 형상에 대응하는 U 형상을 갖는다. 상부 치열은 상부치열삽입홈(120)에 삽입되고, 상부치열삽입홈(120)은 상부외면(112) 및 상부내면(116)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부외면(112)은 마우스 피스(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면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특히, 상부외면(112)은 마우스 피스(110)의 최전방(즉, 상부손잡이(124)가 형성된 부분)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최전방의 상부외면(112)은 하부외면(142)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착용시 하부 치열은 상부 치열에 비해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치열 배치 기도를 확보할 수 있어서 코골이 등과 같은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 The upper
상부외면(112)의 전방에는 상부손잡이(124)가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부손잡이(124)는 하부손잡이(154)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손잡이(124) 및 하부손잡이(154)를 잡고 마우스 피스(100)를 사용할 수 있다. In front of the upper
상부외면(112)의 최전방에는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14)는 가장 두꺼운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외면(112)의 최전방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하는데(도 6 참조), 이로 인해서 상부삽입부(110)가 절개부(114)를 기준으로 수축 및 팽창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치열 구조에 대응해서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삽입부(110)에 형성된 절개부(114)는 하부삽입부(140)에 형성된 절개부(144)와 동일한 크기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A
상부삽입부(110)는 절개부(114)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삽입부(110)는 하부삽입부(140)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부삽입부(110)에서 절개부(114)의 하부에는 결합돌기(126)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도 8 참조). 결합돌기(126)는 하부삽입부(140)에 형성된 결합홈(도 9 도면부호 158 참조)에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상부삽입부(110)와 하부삽입부(140)가 상호 결합할 수 있게 된다. A
상부삽입부(110)는 상부치열삽입홈(120)을 형성하는 상부내면(116)을 구비한다. 상부내면(116)은 상부외면(112)에 비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U 형상의 면으로서 상부외면(112)에 비해서 약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내면(116)은 상부외면(112)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내면(116)은 후방으로 약간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상부내면(116)의 중앙은 절개부(118)에 의해서 단절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부삽입부(110)는 상부외면(112)의 최전방만 부분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최전방을 기준으로 용이하게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된다. The center of the upper
상부치열삽입홈(120)은 상부외면(112)과 상부내면(116)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는 상부형상기억부(18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치열삽입홈(120)은 U 형상을 갖고 두 개의 개방된 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치열삽입홈(120)의 바닥면에는 상부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관통홀(122)에는 상부형상기억부(180) 또는 하부형상기억부(19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관통홀(122)은 하부삽입부(140)에 형성된 하부관통홀(152)과 동일한 크기 및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upper
하부삽입부(140)는 상부삽입부(110)에 대응하는 U 형상을 갖는다. 하부삽입부(140)는 상부삽입부(110)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부외면(142), 하부내면(146), 하부치열삽입홈(150) 및 하부손잡이(154)를 포함한다.The
하부치열삽입홈(150)은 U 형상의 홈으로서 사용자의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하부치열삽입홈(150)에는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위치한다. 하부치열삽입홈(150)에도 하부관통홀(15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부삽입부(110)의 상부관통홀(122)과 동일한 크기 및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치열삽입홈(150)의 양단부도 상부치열삽입홈(120)과 동일하게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lower
하부외면(142)은 하부치열삽입홈(150)의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면으로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외면(142)도 상부외면(112)과 동일하게 최전방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고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The lower
하부외면(142)의 최전방에는 절개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44)는 하부외면(142)의 두께를 축소시켜서 하부삽입부(140)가 절개부(144)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수축 및 팽창할 수 있게 한다. A
하부내면(146)은 하부외면(142)에 대해서 일정 간격을 갖고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부외면(142)에 비해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하부외면(142)의 최전방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내면(146)의 최전방에도 절개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48)는 하부외면(142)의 절개부(144)와 동일한 위치를 갖는데, 이로 인해 하부삽입부(140)가 두 개의 절개부(144, 148)를 기준으로 그 폭이 용이하게 확대 및 축소될 수 있다. The frontmost part of the lower
하부외면(142)의 최전방에는 하부손잡이(154)가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돌출될 수 있다. At the foremost front of the lower
하부삽입부(140)의 양단부에는 연결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156)에는 나사(도면부호 없음) 등이 삽입되어 걸림부(170)를 하부삽입부(140)의 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걸림부(170)를 제거한 상태로 마우스 피스를 사용할 수 있다. Connection holes 156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도 9를 참고하면, 하부삽입부(140)의 하면에는 결합홀(158)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58)에는 상부삽입부(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2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상부삽입부(110)와 하부삽입부(140)가 상호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9 ,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걸림부(170) 및 연결홀(156)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연결홀(156)이 상부삽입부(110)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A mouth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have the hooking
걸림부(170)는 U 형상을 갖고 하부삽입부(140)에 연결되어 하향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걸림부(170)는 연결홀(156)에 연결되어 수직 및 경사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172)와, 한 쌍의 연장부(172)의 양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수평으로 위치하는 연결부(17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걸림부(170)는 사용자의 혀가 걸리는 부분에 해당하는데, 이로 인해 혀가 쳐져서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oking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다양한 길이 및 형상을 갖는 걸림부(170)를 선택적으로 연결홀(156)에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걸림부(170)의 구비 여부, 그 형상 및 길이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The
상부형상기억부(180)는 상부치열삽입홈(120)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사용자의 상부 치열 형상에 맞게 음각으로 변형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부형상기억부(180)는 상부삽입부(110)와 유사하게 U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형상기억부(180)의 상면 중에서 최전방에는 전방치열보호돌기(18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전방치열보호돌기(182)는 상부외면(112)에 비해 상향 돌출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전방치열보호돌기(182)는 상부 치열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부 치열의 전방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Front
상부형상기억부(180)의 높이는 상부외면(112)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내면(116)에 비해서 약간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하부형상기억부(190)는 하부치열삽입홈(150)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사용자의 하부 치열 형상에 맞게 음각으로 변형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하부형상기억부(190)는 하부삽입부(110)와 유사하게 U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10을 참고하면, 두 개의 형상기억부(180, 190)가 각각 도 1과 같이 결합된 경우,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상부형상기억부(180)에 비해서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lower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모두 형상기억소재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형상 기억 폴리머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형상 기억 폴리머는 온도, 광유도 또는 전기 자극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어 변형된 상태(임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열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는 상태로 된 후 사용자의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 형상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Both the upper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열에 의해서 형상 변형이 가능한 경우, 우선 마우스 피스(100)를 뜨거운 물에 넣어서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우스 피스(100)를 물어서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을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에 각각 삽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의 형상(음각 형상)을 기억하게 된다. 그리고 마우스 피스를 빼내어서 찬물에 투입하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경화되면서 열이 가해지지 않는 한 변형된 형상(즉,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shape of the upper
물론,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의 형상이 치열에 맞게 변형된 후 다시 열을 가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 Of course, after the shapes of the upper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와 이중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100: 마우스 피스
110: 상부삽입부
140: 하부삽입부
170: 걸림부
180: 상부형상기억부
190: 하부형상기억부100: mouthpiece
110: upper insertion part
140: lower insertion part
170: hanging part
180: upper shape memory unit
190: lower shape memory unit
Claims (9)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기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
상기 상부삽입부는 상부외면과 상부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외면 및 상기내면에 의해서 상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부는 하부외면과 하부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외면 및 하부내면에 의해서 하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최전방에서 상기 하부치열삽입홈은 상기 상부치열삽입홈에 비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마우스 피스.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upper row of teeth is inserted; and
a low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lower teeth are inserted and coupled with the upper insertion portion;
The upper insertion part has an upper outer surface and an upper inner surface, and an upper dent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by the upper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The lower insertion portion has a lower outer surface and a lower inner surface, and a lower dent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by the lower out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In the foremost position, the lower dental insertion groove is positioned forward compared to the upper dental insertion groove.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기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
상기 상부삽입부에 결합하는 상부형상기억부; 및
상기 하부삽입부에 결합하는 하부형상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형상기억부는 상기 상부형상기억부에 비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마우스 피스.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upper row of teeth is inserted; and
a low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lower teeth are inserted and coupled with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 upper shape memory unit coupled to the upper insertion unit; and
And a lower shape memory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insertion portion,
The lower shape memory part protrudes forward compared to the upper shape memory part.
상기 상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According to claim 1,
The mouth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outer surface is formed thickest at the foremost side.
상기 하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According to claim 1,
The mouth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outer surface is formed the thinnest in the foremost part.
상기 상부형상기억부는 최전방 상면에 형성된 전방치열보호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According to claim 2,
The mouth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hape memory portion has a front teeth protec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most front surface.
상기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에는 각각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형상기억부 및 하부형상기억부는 각각 상기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According to claim 2,
An upper through hole and a lower through hole are formed in the upper insertion part and the lower insertion part, respectively.
The upper shape memory part and the lower shape memory part are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lower through hole, respectively.
상기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의 최전방에는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A mouthpiece, characterized in that an incision is formed at the foremost front of the upper insertion part and the lower insertion part, respectively.
상기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손잡이 및 하부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The mouth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the lower insertion portion have an upper handle and a lower handle protruding forward.
상기 하부삽입부의 양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홀에는 U 형상의 걸림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삽입부에서 하향 돌출 및 후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insertion portion,
The U-shaped hooking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The mouth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be inclined backward from the lower insertion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3832A KR102549912B1 (en) | 2021-06-08 | 2021-06-08 | Mouth pie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3832A KR102549912B1 (en) | 2021-06-08 | 2021-06-08 | Mouth pie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65332A true KR20220165332A (en) | 2022-12-15 |
| KR102549912B1 KR102549912B1 (en) | 2023-07-03 |
Family
ID=8443941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73832A Active KR102549912B1 (en) | 2021-06-08 | 2021-06-08 | Mouth pie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49912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127769B2 (en) | 2007-11-18 | 2012-03-06 | Dreamscape Medical Llc | Integrated oral appliance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
| JP4986699B2 (en) * | 2006-05-09 | 2012-07-25 | 俊治 油田 | Mouthpiece |
| KR101235888B1 (en) * | 2012-07-24 | 2013-02-21 | 김희윤 |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
| KR20170003180U (en) * | 2016-03-02 | 2017-09-13 | 김대구 | Mouthpiece for sleeping |
| KR101958241B1 (en) * | 2018-11-29 | 2019-03-14 | 장규연 | Mouth piece |
-
2021
- 2021-06-08 KR KR1020210073832A patent/KR1025499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986699B2 (en) * | 2006-05-09 | 2012-07-25 | 俊治 油田 | Mouthpiece |
| US8127769B2 (en) | 2007-11-18 | 2012-03-06 | Dreamscape Medical Llc | Integrated oral appliance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
| KR101235888B1 (en) * | 2012-07-24 | 2013-02-21 | 김희윤 |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
| KR20170003180U (en) * | 2016-03-02 | 2017-09-13 | 김대구 | Mouthpiece for sleeping |
| KR101958241B1 (en) * | 2018-11-29 | 2019-03-14 | 장규연 | Mouth pie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49912B1 (en) | 2023-07-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576808B2 (en) | Apparatus and kit for an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using same | |
| JP5485280B2 (en) |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positive positioning hinge | |
| US9545331B2 (en) |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
| CN101888814B (en) | Orthodontic appliance | |
| JP6218857B2 (en) | Oral appliance | |
| US20190183670A1 (en) | Mouthpiece | |
| US12201549B2 (en) | Apparatus for reducing snoring | |
| US8640705B2 (en) | Anti-snoring device | |
| JP2020062503A (en) | Mouthpiece | |
| US20110220125A1 (en) |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 | |
| JP7401310B2 (en) | Occlusal splint configuration with fixation band | |
| JP2017505179A (en) | Mandibular anterior fixation device and methods and kits for making the device | |
| KR102053985B1 (en) |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s | |
| US2006017489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ring for obstructive sleep disorder breathing | |
| JP5361991B2 (en) | Snoring prevention device | |
| JP7109793B2 (en) | Tongue restraint oral appliance | |
| WO2007119041A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breathing through a person's nose | |
| CN107249506A (en) | The fixed oral appliance of mandibular teeth | |
| US8186356B2 (en) | Mouth guard | |
| KR102096597B1 (en) | Oral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 |
| US10912670B2 (en) |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US11039951B2 (en) | Assistance implement for ameliorating sleep apnea syndrome | |
| KR101958241B1 (en) | Mouth piece | |
| KR102549912B1 (en) | Mouth piece | |
| CN114302700B (en) | Anti-snor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