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65346A -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 Google Patents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346A
KR20220165346A KR1020210073866A KR20210073866A KR20220165346A KR 20220165346 A KR20220165346 A KR 20220165346A KR 1020210073866 A KR1020210073866 A KR 1020210073866A KR 20210073866 A KR20210073866 A KR 20210073866A KR 20220165346 A KR20220165346 A KR 2022016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ogliptin
coating layer
coating
table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한
김환호
서정웅
김아영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346A/ko
Publication of KR2022016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34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내층; 및 내층을 코팅시킨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에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과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인,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코팅된 정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복합제제 내 에보글립틴부 비율 최소화를 통한 정제 크기 감소 및 에보글립틴 유연물질 발생 억제를 통한 유효기간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Formulation comprising evogliptin with improved stability}
본 발명은 디펩티딜펩티다제 IV (DPP-IV) 억제제인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과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제제에 있어서,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에 관한 것이다.
DPP-IV 저해제는 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 또는 치료 효과 증진을 위해 개발된 약물로서, 현재 국내에 시판중인 DPP-IV 저해제로는 시타글립틴(Sitagliptin), 빌다글립틴(Vildagliptin), 삭사글립틴(Saxagliptin), 에보글립틴(Evogliptin) 등이 있다. DPP-IV 저해제는 당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GLP-1의 혈중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기전을 가지며, 안정적인 혈당 강하 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저혈당과 체중 증가 등 기존 당뇨병 치료제의 부작용을 개선하였다.
메트포르민은 비구아나이드계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서 인간 말초 조직에서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장에서 글루코오스의 흡수를 억제하고, 간 글루코오스합성(gluconeogenesis)을 억제하며,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는데 관련되어 있어, 당뇨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이다.
DPP-IV 억제제와 메트포르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당뇨병 치료용 의약 화합물로서, 상기 의약 화합물은 각기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항당뇨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두 약물의 조합은 당뇨환자의 치료에 있어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DPP-IV 저해제를 포함하는 복합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메트포르민과 DPP-IV 저해제’, ‘TZD계열과 DPP-IV 저해제’, ‘SGLT-2 저해제와 DPP-IV 저해제’ 조합이 있으며, 최근에는 ‘메트포르민, DPP-IV 저해제 및 SGLT-2 저해제’ 조합의 3제 복합제, ‘로수바스타틴과 DPP-IV 저해제’의 당뇨/고지혈 복합제 개발 역시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런데, DPP-IV 억제제를 복합제로 개발하던 중에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DPP-IV 억제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DPP-IV 억제제의 접촉을 억제하는 격리층의 양 또는 비율이 DPP-IV 억제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발견되어, 장기간 저장에도 약물이 분해되지 않고 의약상 허용되지 않는 유연물질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제형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복합제 개발에 있어서는 약물이 체내에 흡수될 수 있을 정도로 적합한 방출을 발휘하여야 하지만, 각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복합제의 제형개발은 용이하지 않고, 바람직한 방출을 발휘하는 제형을 개발해도 잔류용매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상기 복합제제의 개발 방향은 약물 간 배합적합성 또는 방출 속도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층정 또는 약물코팅정의 제제형태로 개발되었는데, 약물코팅정은 정제 크기 감소를 통한 복약순응도 증진이라는 장점이 있어서 활발히 개발이 이뤄져왔으며,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예로는 자누메트엑스알서방정(Janumet®XR, WO 2009-099734 A1),콤비글라이즈(Kombiglyze®XR, WO 2005-117841 A1) 및 테넬리아엠서방정(Tenelia®MS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26825)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 역시 이와 같은 약물코팅정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개발한 DPP-IV 저해제 신약인 에보글립틴(Suganon®,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7497)을 포함하는 약물코팅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WO 2009-099734 A1(자누메트엑스알 특허), WO 2005-117841 A1(콤비글라이즈 특허)의 실시예와 같이 코팅기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적용하여 에보글립틴 약물코팅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는데, 연구 개발 과정 중에 에보글립틴이 코팅 시에 무정형으로 변화하며 안정성이 저하되어 유연물질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장기간 저장에도 유연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형의 개발이 제약업계에서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본 과제는 반드시 해결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인 WO 2009-099734 A1(자누메트엑스알 특허)에서 개시하고 있는 시타글립틴의 속방층 제제화 기술은 휘발성이 낮은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코팅 공정을 거쳐야만 시타글립틴 속방층을 완성할 수 있다는 큰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21774 A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휘발성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이 기술은 잔류 용매 발생 가능성에 따른 독성 또는 허가 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최근에는 작업자의 안전 및 친환경 공정을 위해 유기용매 사용을 지양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메트포르민과 에보글립틴’의 복합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코팅층 내에서 에보글립틴 유연물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고분자로서 에틸셀룰로오스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안정성 개선을 위한 에틸셀룰로오스 및 적절한 코팅기제를 정제수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에보글립틴 코팅 조성을 발견하여, 다양한 약물군과의 복합제제 개발에 활용성이 높은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WO 2009-099734 A1 WO 2005-117841 A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749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21774 A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 및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에 있어서, 에보글립틴에서 유연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복합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내층; 및 내층을 코팅시킨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에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과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인,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코팅된 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팅된 정제는 내층에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며, 코팅층에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고분자인 에틸셀룰로오스를 함께 코팅시킨 것으로서, 본 발명의 코팅층에는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은 에보글립틴으로서 2.5 mg/T 내지 10 mg/T로 존재하고, 에틸셀룰로오스는 코팅층 총 중량의 25 내지 60 중량%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에보글립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무기 또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되는 염을 말한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되는 염은 알루미늄, 암모늄, 칼슘, 구리, 제이철, 제일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염, 망간,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또는 나트륨 염이 바람직하다. 고형의 염은 하나 이상의 결정 구조로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수화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유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일급, 이급 또는 삼급 아민, 천연적으로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아민 환, 또는 아르기닌, 베타인, 카페인,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몰폴린, N-에틸피페리딘,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 하이드라바민, 이소프로필아민, 라이신, 메틸글루카민, 포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프로카인, 퓨린, 테오브로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로메타민 등과 같은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한다. 무기 및 유기산으로부터 제조되는 염은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캄포르술폰산, 시트르산, 에탄술폰산, 퓨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하이드로브롬산, 염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뮤크산, 질산, 파모산, 판토텐산, 인산, 숙신산, 황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폰산, 아디프산 등을 포함한다. 아세트산, 시트르산, 염산, 말산, 인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또는 아디프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코팅층에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과 함께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시킴으로써,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보글립틴은 총 유연물질의 함량이 2.0 중량% 이하로 관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메트포르민 및 에보글립틴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는 열가혹 조건(60℃,HDPE bottle,Closed)에서 4주간 보관하는 경우, 에보글립틴 총 유연물질의 함량이 2.0 중량% 이하여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은 외층인 코팅층에 에보글립틴 및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연물질 생성이 촉진될 수 있는 에보글립틴 안정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코팅액 내에 용해된 에보글립틴은 코팅 공정 중 급격한 고형화로 인해서 무정형으로 변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에보글립틴 유연물질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틸셀룰로오스를 코팅액 내에 포함시켜 에보글립틴의 유연물질 생성을 억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코팅액에 코팅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셀룰로오스를 코팅층에 적용할 경우, 에보글립틴 코팅층의 가소성을 최소화하여 유연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지만, 코팅층의 가소성이 낮아 코팅층 파손 등의 정제 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코팅액에 특정 코팅기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코팅기제는 중쇄중성지방, 올레산,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탈크, 산화티탄, 글리세릴모노카프릴로카프레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레시틴, 잔탄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층은, 메트포르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무기 또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되는 염이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염산염이다. 본 발명의 내층에 포함되는 메트포르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내층 총 중량의 약 75 내지 8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층에는 임의로 1종 이상의 결합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내층 총 중량의 1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임의로 1종 이상의 방출조절제,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보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내층 총 중량의 12 내지 2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임의로 1종 이상의 활택제,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이 내층 총 중량의 0.2 내지 2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내층은 에보그립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복합 제제의 내층에는 메트포르민 이외에 펜포르민 등의 빈구아니드; 아카르보스, 미글리톨 등의 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인슐린, 인슐린 분비 촉진제 또는 인슐린 증감제; 레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 등의 메글리티니드; 글리메피리드, 글리부리드, 글리클라지드, 클로로프로프아미드, 글리피지드 등의 술포닐우레아계 약물; 글루코반스 등의 빈구아니드/글리부리드 조합물; 트리글리타존, 이사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피라글리타자르, 엔글리타존, 다르글리타존, 이사글리타존, 레글리타자르, 리보글리타존, 리라글루티드 등의 티아졸리딘디온계 약물; PPAR-알파 효능제; PPAR-감마 효능제; PPAR 알파/감마 이중 효능제;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지방산 결합 단백질(aP2)의 억제제; 글루카곤-유사펩티드(GLP-1), 또는 GLP-1 수용체의 다른 효능제; 및 다파글플로진 등의 SGLT-2 저해제를 비롯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당뇨병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내층 정제를 제공하는 단계;
b)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 에틸셀룰로오스 및 코팅기제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코팅층(의약 함유)을 형성시켜 코팅층 제형으로 정제를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팅된 정제를 건조하여 본 발명의 코팅된 정제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된 정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코팅된 정제에 사용되는 내층은 다양한 공정 및 부형제의 첨가 순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습식 과립 공정 및 타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액은 정제수에 에보글립틴 타르타르산염 및 에틸셀룰로오스 20cP를 포함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된 정제는 제II형 당뇨병에 대해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개과 동물 및 고양이과 동물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된 정제는 코팅층에 에틸셀룰로오스를 적용하여 에보글립틴의 유연물질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안정성 개선 및 충분한 유효기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보글립틴을 코팅층에 적용시킴으로써 복합제제 내 에보글립틴부 비율 최소화를 통한 정제 크기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안정성 시험에서 에보글립틴의 유연물질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실물 사진 및 정제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며,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단면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록된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 외에도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내지 7>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의 제조
단계 1: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내층의 제조
1) 과립의 조제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액에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적색산화철을 잘 분산시킨 뒤, 유동층 과립기 내에서 메트포르민염산염에 분무하여 제립, 건조 및 정립하였다.
2) 후혼합
1)의 정립물을 혼합기에 넣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보머를 혼합한 뒤, 체과한 스테아린산마그네슘으로 활택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타정
2)의 최종 혼합물을 로타리 타정기(PR1000, PTK-GB, 한국)를 이용하여 타정하여 총 중량 1270.4mg의 정제(내층)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단계 2: 에보글립틴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제조
1) 코팅액의 제조
정제수에 에보글립틴 타르타르산염 및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하기 표 2의 조성 성분을 교반기에 넣고 완전히 분산시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2) 외층(코팅층)의 코팅
상기 1)에서 제조된 코팅액을 단계 1에서 제조된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내층 정제에 코팅기(Diosna, 독일) 내에서 분무, 건조하여 총 중량 1,330.4mg의 코팅된 정제를 수득하고 각각 실시예 1 내지 7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은 에보글립틴 타르타르산염, 에틸셀룰로오스, 탈크, 알루라레드 AC 알루미늄레이크, 글리세릴모노카프릴로카프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은 에틸셀룰로오스의 양을 변화시킨 것이다. 실시예 4 내지 5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각각 폴리비닐알코올 및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실시예 6 내지 7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에보글립틴의 양을 변화시킨 것이다.
<비교예 1 내지 7> 코팅층에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지 않는 복합제제의 제조
단계 1: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내층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내층을 제조하였다.
단계 2: 에보글립틴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된 정제를 수득하고 비교예 1 내지 7로 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비교예 1 내지 7은 약물코팅층에 포함되는 에틸셀루로오스가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즉, 비교예 1, 5 내지 7은 WO 2005-117841 A1(콤비글라이즈 특허)에서 약물 코팅층에 사용한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정제이고, 비교예 2는 WO 2009-099734 A1(자누메트엑스알 특허)에서 약물 코팅층에 사용한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정제이다. 특히, 비교예 1 및 2는 각각 상기 실시예 4 및 5의 조성에서 에틸셀룰로오스를 제외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3은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비교예 4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udragit®E100)를 코팅층에 포함하는 정제이다.
<실험예 1> 안정성 시험 (열가혹 조건 및 가속 조건)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제제를 60℃밀폐된 HDPE bottle에 보관하고 개시시, 2주 및 4주 시점에서 총 유연물질의 양을 평가하여 표 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4에서 제조된 제제를 40℃,75%RH 밀폐된 HDPE bottle에 보관하고 개시시, 1개월, 2개월 및 6개월 시점에서 총 유연물질의 양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상기 표 4에 기재된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팅층의 에틸셀룰로오스 유무에 따라 유연물질 발생량이 큰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은 에틸셀룰로오스만을 주요 코팅기제로 포함하는 조성으로서 유연물질 발생 억제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즉, 실시예 1 내지 3은 열가혹 조건 하에서 충분히 안정함이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2는 에틸셀룰로오스 감량에 따라 유연물질 발생 속도가 다소 증가하였다. 실시예 3은 에틸셀룰로오스 증량에도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4는 에틸셀룰로오스 외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함에도 실시예 1과 유사한 유연물질 발생 속도를 나타내었으며, 가속시험 6개월에서도 충분히 안정함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6 및 7을 통해서는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양을 변화시킬 경우에도 열가혹 조건 하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2, 5 내지 7은 각각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만을 주요 코팅기제로 포함하는 조성으로서 높은 가소성에 의해 유연물질이 매우 빠르게 발생하므로, 에보글립틴 코팅 조성으로서 부적합하다. 또한, 비교예 3에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를 코팅층에 포함하는 정제, 비교예 4에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udragit®E100)를 코팅층에 포함하는 정제 역시 유연물질이 매우 빠르게 발생하므로, 에보글립틴 코팅 조성으로서 부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코팅층에 에틸셀룰로오스를 적용하여 에보글립틴의 유연물질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안정성 개선 및 충분한 유효기간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내층; 및
    내층을 코팅시킨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에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인,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코팅된 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은 코팅층에 에보글립틴으로서 2.5mg/정 내지 10mg/정 존재하는,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코팅된 정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셀룰로오스는 코팅층 총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60 중량%로 존재하는,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코팅된 정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코팅층에 포함되는 코팅기제는 중쇄중성지방, 올레산,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탈크, 산화티탄, 글리세릴모노카프릴로카프레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레시틴, 잔탄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코팅된 정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 에틸셀룰로오스 및 코팅 기제를 정제수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 코팅액을 적용한, 코팅층 내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코팅된 정제.
  6. a)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과립을 제조한 후, 결합제, 방출조절제 및 활택제를 혼합하고 타정시켜 내층 정제를 제공하는 단계;
    b)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 에틸셀룰로오스 및 코팅기제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코팅층을 형성시켜 코팅층 제형으로 정제를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팅된 정제를 건조하여 본 발명의 코팅된 정제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팅된 정제의 제조 방법.
KR1020210073866A 2021-06-08 2021-06-08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Pending KR20220165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866A KR20220165346A (ko) 2021-06-08 2021-06-08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866A KR20220165346A (ko) 2021-06-08 2021-06-08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346A true KR20220165346A (ko) 2022-12-15

Family

ID=8443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866A Pending KR20220165346A (ko) 2021-06-08 2021-06-08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34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7841A1 (en) 2004-05-28 2005-12-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ated tablet formulation and method
WO2009099734A1 (en) 2008-02-05 2009-08-13 Merck & Co.,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 combination of metformin and a dipeptidyl peptidase-iv inhibitor
KR101007497B1 (ko) 2007-04-19 2011-01-12 동아제약주식회사 베타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ddp-ⅳ 저해제,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또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1774A (ko) 2018-08-21 2020-03-02 대화제약 주식회사 시타글립틴 속방층을 포함하는 제제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제제, 시타글립틴 속방층 코팅 방법, 및 시타글립틴 속방층 코팅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7841A1 (en) 2004-05-28 2005-12-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ated tablet formulation and method
KR101007497B1 (ko) 2007-04-19 2011-01-12 동아제약주식회사 베타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ddp-ⅳ 저해제,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또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9099734A1 (en) 2008-02-05 2009-08-13 Merck & Co.,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 combination of metformin and a dipeptidyl peptidase-iv inhibitor
KR20200021774A (ko) 2018-08-21 2020-03-02 대화제약 주식회사 시타글립틴 속방층을 포함하는 제제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제제, 시타글립틴 속방층 코팅 방법, 및 시타글립틴 속방층 코팅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6453B2 (en)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with reduced food effect
AU2005249467B2 (en) Coated tablet formulation and method
US7674479B2 (en) Sustained-release bupropion and bupropion/mecamylamine tablets
JP2014504639A (ja) アミン化合物を含む医薬製剤
US20070172525A1 (en) Anti-diabetic combinations
CN101932241A (zh) 二甲双胍和二肽基肽酶-ⅳ抑制剂的组合的药物组合物
JP2025118943A (ja) 2-[(4-{6-[(4-シアノ-2-フルオロベンジル)オキシ]ピリジン-2-イル}ピペリジン-1-イル)メチル]-1-[(2s)-オキセタン-2-イルメチル]-1h-ベンゾイミダゾール-6-カルボン酸またはその薬学的な塩を用いた2型糖尿病、または肥満、または過体重の治療
US2020028942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diabet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684596B2 (en) Antidiabe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813362B2 (en) Film-coated tablet comprising a triazine derivativ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CN107205969A (zh) 糖尿病治疗用药物组合物
US2015028324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Linaglipti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WO2014017833A1 (en) Composite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metformin and rosuvastatin
WO2019132833A1 (en) The modified release combination comprising linagliptin and metformin
KR20220165346A (ko) 에보글립틴의 안정성이 개선된 제제
US20150250734A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saxagliptin or salts thereof
EP3025707A1 (en) A multilayer tablet comprising metformin and pioglitazone
EP4456872A1 (en) Obicetrapib and sglt2 inhibitor combination
KR20220140343A (ko) 에보글립틴 및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경구용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5144305A2 (en) Pharmaceutical extended-release formulations comprising linagliptin and metformin
TR2023018923A2 (tr) Li̇nagli̇pti̇n ve metformi̇n i̇çeren farmasöti̇k tablet formülasyonlari
Barot et al. A Review on the Drugs Getting Off-Patent between the Years 2022-2025 in USA and Their Pharmaceutical Properties
TR2025007041A2 (tr) Li̇nagli̇pti̇n ve metformi̇n i̇çeren farmasöti̇k uzatilmiş salim formülasyonlari
TR2023007477A2 (tr) Linagliptin &amp; metformin içeren monolitik tablet bileşimi.
TR2025002186T2 (tr) Evogli̇pti̇n ve metformi̇n i̇çeren oral bi̇leşi̇m formülasyonu ve bunun hazirlanmasina yöneli̇k yön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