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134A - Pressure control valve - Google Patents
Pressure control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7134A KR20220167134A KR1020210076289A KR20210076289A KR20220167134A KR 20220167134 A KR20220167134 A KR 20220167134A KR 1020210076289 A KR1020210076289 A KR 1020210076289A KR 20210076289 A KR20210076289 A KR 20210076289A KR 20220167134 A KR20220167134 A KR 202201671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ppet
- main valve
- pressure control
- control valve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1—Damping of valv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간격을 정의할 수 있는 댐핑부가 형성된 오리피스 포펫을 포함하여, 보다 높은 유압을 제어할 수 있는 압력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control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 control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a higher hydraulic pressure, including an orifice poppet having a damping unit capable of defining a moving interval.
일반적으로, 크레인, 건설용 장비나 산업용 장비에는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이용하여 중장비에 장착된 여러 가지 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회로 시스템이 사용된다.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는 각각의 작업기의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데, 이때, 유압회로 시스템에 구비되는 릴리프 밸브, 또는 압력 제어밸브는 과도한 부하로부터 구동원을 포함한 유압회로 전체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최고압을 규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general, cranes, construction equipment, or industrial equipment use hydraulic circuit systems for driving various work machines mounted on heavy equipment using pressure oil discharged from a hydraulic pump. The hydraulic oil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pump is supplied to the actuators of each work machine. At this time, the relief valve or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hydraulic circuit system regulates the maximum pressure to protect the entire hydraulic circuit system including the driving source from excessive load. perform the function of
압력 제어밸브는 회로의 압력이 밸브의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유체의 일부 또는 전량을 배출시켜 회로 내의 압력을 설정값 이하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sure control valve may perform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pressure in the circuit below the set value by discharging part or all of the fluid when the pressure in the circuit reaches the set pressure of the valve.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81056호는 압력 제어밸브의 하나로서, 특히 파일럿 포펫을 구비하여 설정압력을 가변할 수 있는 압력 제어밸브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81056 discloses a pressure control valve having a pilot poppet and having a variable set pressure as one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s.
종래기술은 파일럿 포펫 스프링을 가압하는 피스톤 내부에 신호통로를 설치하는 압력 제어밸브를 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discloses a pressure control valve in which a signal passage is installed inside a piston that pressurizes a pilot poppet spring.
그러나, 종래기술은 순간적으로 강한 유압이 가해지는 경우,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없어, 통제 가능한 최고압이 낮은 존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a strong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instantaneously, the inflow flow rate cannot be controll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ximum controllable pressure is low.
또한, 피스톤의 외경과 파일럿 포펫의 내경이 일치하여 결합공정 상 불량품의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ston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ot poppet mat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ive products is high during the coupling process.
나아가, 강한 유압이 강해지는 경우, 압력 제어밸브에 유동이 발생하여 유압 탱크로부터 결합이 해제되거나 누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when the strong hydraulic pressure is strong, flow occurs in the pressure control valve, so that the coupling is released from the hydraulic tank or oil leakage occurs.
본 발명은 오리피스의 이동 가능한 구간을 제어하여, 보다 높은 유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압력 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control valve capable of stably controlling a higher hydraulic pressure by controlling a movable section of an orifice.
또한, 본 발명은 단계별로 복수개의 유로가 개폐되어, 높은 유압에 불구하고 유동이나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 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control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plurality of passages step by step to prevent flow or vortex generation despite high hydraulic pressure.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 구성을 일체화하여 생산 시간 및 생산 공수를 감소할 수 있는 압력 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control valve capable of reducing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man-hours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는, 유압 탱크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상기 유압 시스템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와 결합하며, 유압이 한계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개방되는 파이로트 밸브; 및 중심축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유로가 형성되어 통과 유량을 제어하는 오리피스 포펫;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주형의 메인 밸브 바디;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메인 밸브 포펫; 및 상기 메인 밸브 포펫과 상기 파이로트 밸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포펫은, 유체가 안내되는 중공형의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부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유입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전방측 외부로 노출되는 댐핑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ydraulic tank, the main valve into which the fluid of the hydraulic system can be introduced to one side; a pilot valve coupled to the main valve and opened only when the hydraulic pressure exceeds a limit pressure; and an orifice poppet having a flow path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formed on the central axis to control a passing flow rate. The main valve includes a cylindrical main valve body having an empty interior; a main valve poppet provided inside the main valve body; and a first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main valve poppet and the pilot valve. The orifice poppet includes a hollow inlet through which fluid is guided; a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inlet and having a diameter longer than that of the inlet; and a damping unit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inlet uni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valve poppet. can include
한편,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유체가 안내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다단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전방측 유로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valve poppe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ulti-stage passag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rough which fluid is guided, and the damping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longer than a diameter of a front side passage of the main valve poppet. there is.
또한, 상기 오리피스 포펫은, 상기 파이로트 밸브 포펫의 내주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유입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fice poppet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ot valve poppet; The main valve poppe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inflow passag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seat portion may be formed lon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passages of the main valve poppet.
한편,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유로는, 상기 오리피스 포펫에 가해지는 압력이 한계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안착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assage of the main valve poppet may be sealed by the seating portion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rifice poppet is less than or equal to a limit pressure.
이때, 상기 메인 밸브 바디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에 의해 개폐되는 제1 연통홀; 및 상기 파이로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연통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통홀은, 상기 제2 연통홀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valve body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hole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valve poppet;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opened and closed by the pilot valve. Including,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may maintain a closed state whi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open.
한편, 상기 오리피스 포펫은, 상기 댐핑부의 전후방을 연통하는 보상유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상기 보상유로의 가상의 연장선에 접하는 지점이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ifice poppet, the compensation passage communica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damping unit; Further, the main valve poppet may be formed such that a point in contact with a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compensation flow path is inclined toward a central axis.
이때, 상기 보상유로는, 상기 댐핑부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compensation passages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ssag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amping unit.
또한, 상기 복수개의 보상유로는, 상기 댐핑부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를 기준으로,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의 거리가 균등하게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compensating passages may be equally spaced apart in rad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based on the passag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amping unit.
한편,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내부로 안내되는 유체는 반드시 상기 오리피스 포펫의 내부 유로를 통해서만 유입될 수 있다.Meanwhile, the fluid gui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valve poppet can be introduced only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orifice poppet.
한편,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과 상기 파이로트 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압력 제어밸브.Meanwhile, the main valve may include a seal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main valve poppet and the pilot valve; A pressure control valve comprising a.
또한,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내주면이 적어도 2회 이상 단차지게 형성되어, 직경이 서로 다른 유로가 적어도 2 이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valve poppet may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tepped at least twice, and may include at least two passag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이때,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단차지게 형성된 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lastic body may be disposed on a stepped surface of the main valve poppet.
한편, 상기 댐핑부는, 상기 유입부의 전방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damping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inlet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시스템에서 유압이 한계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작동하는 압력 제어밸브는 유압 탱크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상기 유압 시스템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메인 밸브; 및 상기 메인 밸브와 결합하며, 유압이 한계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개방되는 파이로트 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주형의 메인 밸브 바디;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메인 밸브 포펫; 및 상기 메인 밸브 포펫과 상기 파이로트 밸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전후방이 연통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유로; 및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전방측 외부에 노출되는 댐핑부; 를 포함하며, 상기 댐핑부는,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전방측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control valve that operates when the hydraulic pressure rises above the limit pressure in the hydraulic system is coupled to the hydraulic tank, the main valve into which the fluid of the hydraulic system can flow into one side; and a pilot valve coupled to the main valve and opened only when the hydraulic pressure exceeds a limit pressure. The main valve includes a cylindrical main valve body having an empty interior; a main valve poppet provided inside the main valve body; and a first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main valve poppet and the pilot valve. The main valve poppet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front and rear; and a damp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valve body. Including, the damping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valve body.
이때,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상기 댐핑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보상유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바디는, 상기 보상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가 도달하는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상면;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valve poppe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ensation passages penetrating the damping unit from front to rear; The main valve body further includes a compensating surface inclined at a point where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compensating flow path arrives; may further include.
한편, 상기 보상유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댐핑부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ensating passage may be inclin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damping part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상기 보상면은, 상기 보상유로의 가상의 연장선과 대략적으로 직교하게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ensation surface may be incline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a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compensation passage.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오리피스 포펫을 구비하여, 급격히 유압이 상승하더라도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rifice poppet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passage is provided, so that flow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hydraulic pressure rapidly ri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 포펫의 이동 구간을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유압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range of the orifice poppet can be physically limited,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can be normally controlled despite a higher hydraulic press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를 외부로 단계를 거쳐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quentially discharging the fluid through steps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ortex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밸브 포펫에 오리피스 포펫을 결합할 때 불량품 발생률을 최소화하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ifice poppet is coupled to the main valve poppe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ive products and reduce production cost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에 과유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액추에이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기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hydraulic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actuato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ctuator and prolonging the life expectancy of the actu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회로에서 특히 압력제어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를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를 타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 포펫에 오리피스 포펫가 결합된 결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 포펫에 오리피스 포펫이 결합된 결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 포펫에 오리피스 포펫이 결합된 결합상태도 및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메인 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로트 포펫의 사시도이다.1 shows, in particular, a pressure control circuit in a hydraulic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sid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ther sid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0 is a diagram showing a coupled state in which an orifice poppet is coupled to a main valve popp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ifice popp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coupled state in which an orifice poppet is coupled to a main valve popp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ifice popp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and an enlarged view of a coupling state in which an orifice poppet is coupled to a main valve popp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ifice popp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valve in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ot pop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유압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 hydraulic control system including a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회로에서 특히 압력제어회로를 도시하고 있다.1 shows, in particular, a pressure control circuit in a hydraulic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1)은 파워소스(100), 액추에이터(200), 메인 밸브(300), 파이로트 밸브(400), 오리피스 포펫(500) 및 유압 탱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 외에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거나, 유속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들이 추가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먼저, 파워소스(100)는 유압 탱크(110) 및 유압 펌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유압 탱크(110)는 시스템에 공급되는 작동 유체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유압 탱크(110)는 공급용 유압 탱크(110)와 회수용 유압 탱크(600)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The hydraulic tank 11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working fluid supplied to the system. In the hydraulic tank 110, the hydraulic tank 110 for supply and the
유압 펌프(120)는 유압 탱크(110)에서 유체를 유도하는 힘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펌프가 필요한 유량, 유압, 유속 및 유체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The hydraulic pump 120 supplies a force for inducing fluid in the hydraulic tank 110 . Various pumps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flow rate, hydraulic pressure, flow rate, and fluid properties.
액추에이터(200)는 유압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의미한다.The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200)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이 구비되며, 피스톤이 작동 유체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작동하여 유압을 선형 운동으로 변형할 수 있다.In general, the
본 발명에서, 액추에이터(200)는 유체를 통해 힘을 받아 강한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 굴삭기 등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 건설용 중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은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제어밸브는 메인 밸브(300), 파이로트 밸브(400) 및 오리피스 포펫(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 hydraul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The pressure control valve may include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은 유압 펌프(120)를 통해 작동 유체에 압력을 가하여 액추에이터(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hydraul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the
액추에이터(200)는 과도한 압력을 받으면 오작동하거나, 파손이 생길 수 있으며,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200)의 안정된 구동을 위해 유압 제어 시스템 내부의 압력은 한계압력(Ps) 이하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When the
압력 제어밸브는 시스템 내부 유체의 압력이 한계압력(Ps) 이상인 경우 작동하여, 압력을 강하할 수 있다.The pressure control valve may operate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system is higher than the limit pressure (Ps),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구체적으로, 압력 제어밸브는 유체의 압력이 한계압력(Ps) 미만인 경우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유체의 압력이 한계압력(Ps) 이상인 경우에는 작동하여, 일정량의 유체를 유압 탱크(600)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1) 내부의 작동 유체의 압력을 강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ure control valve may maintain a closed state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less than the limit pressure (Ps). However,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imit pressure (Ps), it operates and can guide a certain amount of fluid to the
보다 구체적으로, 유압 시스템(1) 내의 유압이 한계압력(Ps) 이상인 경우, 먼저 파이로트 밸브(400)가 개방되며, 이후 메인 밸브(300)가 개방되어 2단계에 걸쳐 작동 유체를 유압 탱크(600)로 안내할 수 있다. 압력 제어밸브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은 압력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시스템 내부의 유압을 한계압력(Ps)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200)의 기대 수명을 향상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2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ydraul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control valve, and can maintain the hydraulic pressure inside the system below the limit pressure (Ps). Thus, the life expectancy of the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를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를 타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2 shows a view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side, and FIG. 3 shows a view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ther side, and FIG. A cross section of a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는 메인 밸브(300), 파이로트 밸브(400), 오리피스 포펫(500) 및 커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메인 밸브(300)는 메인 밸브 바디(310), 메인 밸브 포펫(320), 제1 탄성체(330) 및 실링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메인 밸브 바디(310)는 압력 제어밸브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메인 밸브 바디(310)의 외형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메인 밸브 바디(310)는 전단부(311), 전방 연통홀(312), 나사산(313), 및 후방 연통홀(3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서술에서 전방이란, 파이로트 밸브(400)를 기준으로, 메인 밸브 바디(310)에 유체가 최초 유입되는 지점을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파이로트 밸브(400)를 기준으로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단부(311)가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ward may mean a direction looking at a point where fluid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반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서술에서 후방이란,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단부(311)를 기준으로 파이로트 밸브(400)가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Conversely,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따라서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단부(311)에서, 유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t the
전단부(311)는 유압 회로에서 압력 제어밸브로 작동 유체가 최초 도착하는 입구로 기능할 수 있다. 전단부(311)는 압력 제어밸브의 최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전단부(31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주형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포펫(500)의 유입부(510)가 전단부(311)보다 더 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 시스템(1) 내부의 유체는 전단부(311)보다 유입부(510)에 먼저 도달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방 연통홀(312)은 메인 밸브 바디(310)의 외주면에 대략적인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연통홀(312)을 통해, 메인 밸브 바디(3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전방 연통홀(312)이 개방/폐쇄되는 작동 과정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전방 연통홀(312)은 메인 밸브 바디(310)의 외주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 연통홀(312)의 개수는 유압 시스템(1)내 작동 유체의 물성치, 설정 유압, 유량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가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front communication holes 312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전방 연통홀(312)은 메인 밸브 바디(310)의 외주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전방 연통홀(312)이 개방되어 유체가 배출될 때의 유로의 방향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연통홀(312)이 개방되어 유체가 배출될 때, 유체의 반발력에 의해 압력 제어밸브에서 유동이 발생하거나 균형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ront communication holes 31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나사산(313)은 메인 밸브 바디(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압력 제어밸브는 나사산(313)을 통해 유압 탱크(6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실링부(340)는 메인 밸브 바디(310)의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aling
실링부(340)는 메인 밸브 바디(310)와 파이로트 밸브(400)의 사이에 구비되어, 메인 밸브 바디(310)의 내부 공간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실링부(340)는 고무 오링(O-ring)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링과 같은 실링을 위해 통용되는 부재가 선택될 수 있다.The sealing
후방 연통홀(314)은 파이로트 밸브(400)의 연통홀과 연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로트 밸브(400) 내부의 유체가 압력 제어밸브의 외부 공간으로 안내되는 유로를, 파이로트 밸브(400)의 연통홀(440)과 함께 형성할 수 있다.The
메인 밸브 포펫(320)은 메인 밸브(3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메인 밸브(300)의 전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밸브 포펫(320)은 전방측은 직경이 짧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긴, 대략적인 컵(cup)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메인 밸브 포펫(320)은 메인 밸브 바디(3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밸브 포펫(320)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방 연통홀(312)을 개폐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메인 밸브 포펫(320)은 메인 밸브 바디(310)의 입구측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가지고, 메인 밸브 바디(310)의 후방측의 직경보다는 짧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밸브 바디(310)의 후방측에서 인입되며,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방측에 걸려져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메인 밸브 포펫(32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A specific shape of the
제1 탄성체(330)는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체(330)는 일측이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체(330)는 메인 밸브 포펫(320)과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제1 탄성체(330)는 메인 밸브 포펫(320)이 유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메인 밸브 포펫(320)은 후방으로 가해지는 유압이 제1 탄성체(330)가 전방으로 가하는 탄성력보다 작은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며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파이로트 밸브(400)는 메인 밸브(300)와 결합되며, 전방측에 인가되는 유압이 한계유압(Ps) 이상인 경우 개방될 수 있다.The
파이로트 밸브(400)는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 파이로트 포펫(420) 및 제2 탄성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는 파이로트 밸브(4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The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는 대략적인 원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부 공간에 파이로트 밸브(400)의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The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는 메인 밸브 바디(310)의 내주면에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밸브 바디(310)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가 결합되는 양면(315)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이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메인 밸브 바디(310)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는 서로 돌려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는 메인 밸브 바디(310)와 이동 불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외경은, 메인 밸브 바디(310)의 내경에 대응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메인 밸브 바디(310)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 outer diameter of the
파이로트 포펫(420)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전방측 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이로트 포펫(420)은 제2 탄성체(430)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The
또한, 파이로트 포펫(420)의 전단부(421)는 적어도 일부분이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파이로트 포펫(420)의 전단부(421)는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체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end 421 of the
나아가, 파이로트 포펫(42)의 전단부(421)의 최전방측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rontmost side of the front end 421 of the pilot poppet 42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파이로트 포펫(420)의 전단부(421)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유체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단부(421)의 최전방측(421a)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사방에서 전해지는 압력을 분산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ront end 421 of the
제2 탄성체(430)는 파이로트 포펫(420)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탄성체(430)는 파이로트 밸브(400)의 후방쪽에 인입되어 결합하는 제1 커버(7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체(430)는 파이로트 포펫(420)과 제1 커버(710) 사이에 배치되어, 파이로트 포펫(420)을 전방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The second
제2 탄성체(430)의 탄성력은 압력 제어밸브의 작동 기준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탄성체(430)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 제어밸브의 작동 개시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제2 탄성체(430)는 유압이 한계압력(Ps) 이상인 경우 압축될 수 있다.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오리피스 포펫(500)는 유로상에 배치되어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최대 유량을 설정하는 구성이다.The
오리피스 포펫(500)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포펫(500)에 형성된 유로의 단면적에 따라, 통과 가능한 최대 유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오리피스 포펫(500)의 유로를 통해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에 작동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포펫(500)의 전방측은 유압 시스템의 유로측에 배치되며, 후방측 일부는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오리피스 포펫(50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유압은, 메인 밸브 바디(510)와 메인 밸브 포펫(520)의 사이에 측정되는 유압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ide of the
오리피스 포펫(5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The specific shape of the
커버부(700)는 압력 제어밸브의 최후방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압력 제어밸브의 후방으로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7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and can prevent the working fluid from leaking to the rear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커버부(700)는 제1 커버(710) 및 제2 커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unit 700 may include a
제1 커버(710)는 적어도 일부분이 파이로트 밸브(400)의 내주면에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제1 커버(710)는 전방측에 제2 탄성체(430)가 인입될 수 있는 비어있는 원주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체(43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의 직경은 제2 탄성체(430)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An empty cylindrical hole into which the second
제2 커버(720)는 압력 제어밸브의 최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커버(720)는 압력 제어밸브의 내부 공간을 흐르는 유체가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밸브 바디(310)의 입구에 측정되는 유압을 P1, 메인 밸브 포펫(320)과 파이로트 포펫(420)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측정되는 유압을 P2,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부 공간에서 측정되는 유압을 P3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에서 P1, P2 및 P3는 각각 전술한 공간의 유압을 의미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 the hydraulic pressure measured at the inlet of the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의 작동 과정을 상술한다.Referring to FIGS. 5 to 9 ,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서술상의 편의를 위해, 도 5부터 도 9에서 도시된 압력 제어밸브의 배치 상태를 각각 제1 상태 내지 제5 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5 to 9 each show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isposition states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s shown in FIGS. 5 to 9 will be defined as first to fifth states, respectively.
도 5는 압력 제어밸브의 작동 전 상태인 제1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5 shows a first state, which is a state before the pressure control valve operates.
도 5를 참조하면, 파워소스(100)를 통해 압력 제어밸브를 향해 안내되는 작동 유체는, 메인 밸브(300)의 전단 및 오리피스 포펫(500)를 통해 메인 밸브 바디(3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FIG. 5 , the working fluid guided toward the pressure control valve through the
제1 상태에서, 메인 밸브 바디(310)의 입구 유압(P1)은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유압(P2)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P1 = P2) 또한,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유압(P2)는 한계압력(Ps)보다 작은 상태로 유지된다. (P1 = P2 < Ps) 따라서, 파이로트 포펫(420)은 전방을 향해 가압 고정된다.In the first state, the inlet hydraulic pressure P1 of the
제1 상태에서, 압력 제어밸브의 모든 연통홀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메인 밸브(300)의 전방 연통홀(312) 및 후방 연통홀(314)과 파이로트 밸브(400)의 연통홀(440)이 모두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the first state, all communication holes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may remain closed. That is, the
도 6은 압력 제어밸브가 작동 개시되는 제2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6 shows a second state in which the pressure control valve is started to operat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밸브는 제2 상태가 개시되면, 파이로트 포펫(420)이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in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tate starts, the
구체적으로, 메인 밸브 포펫(320) 내부공간의 유압(P2)은 파이로트 포펫(420)의 전단부(421)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유압(P2)이 한계압력(Ps)보다 커지면, 파이로트 포펫(420)의 전단부(421)가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파이로트 포펫(420)의 전단부(421)가 받는 유압(P2)이, 파이로트 포펫(420)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제2 탄성체(430)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파이로트 포펫(42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ydraulic pressure P2 in the inner space of the
파이로트 포펫(420)은 대략적인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주판부(424)와, 주판부(42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면(4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참조) The
주판부(424)의 직경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주면 직경에 대응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로트 포펫(420)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주면에 유격 없이 결합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main plate part 424 may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절곡면(425)은 파이로트 포펫(420)의 중심 축을 향하여 소정의 너비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bent surface 425 may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width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따라서 파이로트 포펫(420)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절곡면(425)과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 사이에 유체가 안내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상기 유로는 파이로트 포펫(420)이 제2 탄성체(43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폐쇄된다. 구체적으로, 파이로트 포펫(420)이 제2 탄성체(430)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가압될 때, 경사부(422)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전방측 입구가 밀폐 결합된다.The passage is closed when the
이때, 파이로트 포펫(420)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유압(P2)이 제2 탄성체(430)의 전방을 향하는 탄성력보다 강한 경우, 파이로트 포펫(420)이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며, 이에 따라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전방측 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hydraulic pressure P2 for pressing the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는,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전방측 입구가 개방되면 후방을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전방측 입구를 통과한 유체는, 전술한 파이로트 포펫(420)과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주면 사이의 유로로 안내되어 압력 제어밸브의 외부로 유출된다. 이렇게, 유체가 파이로트 포펫(420)을 통과하여 압력 제어밸브의 외부로 안내되는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파이로트 밸브(400)가 개방되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도 7은 파이로트 밸브(400)를 통한 유체의 배출이 종료된 제3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7 shows a third state in which fluid discharge through the
제2 상태에서 파이로트 밸브(400)의 내부에서 연통홀(440)을 통해 외부로 유체가 유출되면, 순간적으로 메인 밸브 포펫(320) 내부에서 많은 양의 유체가 파이로트 밸브(400)로 유출된다. 이때, 메인 밸브 포펫(3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은 오리피스 포펫(500)의 유로를 통과할 수 있는 일정량 이하로 제어되는 바, 메인 밸브 포펫(320) 내부공간은 유출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에 비해 속도가 높아,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메인 밸브 포펫(320) 내부공간의 유압(P2)이 빠르게 하락한다.In the second state, when fluid flows from the inside of the
메인 밸브 포펫(320) 내부공간의 유압(P2)이 한계압력(Ps)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파이로트 포펫(420)의 전방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후방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강해진다. 즉, 파이로트 포펫(420)을 후방에서 가압하는 제2 탄성체(430)의 탄성력이 유압(P2)보다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파이로트 포펫(420)에 가해지는 알짜힘은 전방을 향하게되며, 이에 따라 파이로트 포펫(42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파이로트 포펫(4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파이로트 밸브(400)의 입구가 폐쇄된다.When the hydraulic pressure P2 in the inner space of the
도 8은 메인 밸브 포펫(32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메인 밸브(300)가 개방된 제4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상태에서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유압(P2)이 강하하면, 메인 밸브 바디(310)의 입구측 유압(P1)이 메인 밸프 포펫의 내부 유압(P2)보다 높아진다.8 illustrates a fourth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는 메인 밸브 바디(310)에 이동 불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유압(P2)이 파이로트 밸브(400)의 내부 유압(P3)보다 낮더라도,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는 이동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반면, 메인 밸브 포펫(320)은 메인 밸브 바디(31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메인 밸브 바디(310)의 입구측 유압(P1)이 메인 밸프 포펫의 내부 유압(P2)보다 높아지면, 메인 밸브 포펫(32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메인 밸브 포펫(320)은 파이로트 밸브(400)에 지지되는 제1 탄성체(33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The
따라서, 메인 밸브 바디(310) 입구측 유압(P1)과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유압(P2)의 압력차이가, 제1 탄성체(330)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메인 밸브 바디(310)에 후방을 향하는 알짜힘이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hydraulic pressure P1 of the
메인 밸브 포펫(3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방 연통홀(312)이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구체적으로, 메인 밸브 포펫(320)이 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메인 밸브 포펫(320)의 외주면에 의해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방 연통홀(312)이 폐쇄되어 있다. 메인 밸브 포펫(3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방 연통홀(312)이 개방된다. 따라서, 메인 밸브(300)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전방 연통홀(312)을 통해 곧바로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 공간은 유압 탱크(600)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 이렇게 전방 연통홀(312)이 개방되어, 유체가 외부로 안내되는 유로가 형성된 상태를 메인 밸브(300)의 개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도 9는 메인 밸브 바디(310)가 전방을 향하여 다시 이동한 제5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9 shows a fifth state in which the
제4 상태에서 메인 밸브(300)의 입구에서 연통홀을 통해 유체가 토출되면, 메인 밸브 전단의 유압(P1)이 강하한다. 메인 밸브(300) 전단의 유압(P1)이 강하하여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유압(P2)과 제1 탄성체(330)의 탄성력보다 낮아지면, 메인 밸브 포펫(320)에 전방으로 알짜힘이 작용한다.In the fourth state, when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inlet of the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메인 밸브 포펫(320)은 알짜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4 상태에서 개방된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방 연통홀(312)이 다시 폐쇄될 수 있다.The
메인 밸브(300)가 폐쇄되면, 메인 밸브(300)의 전단측 유압(P1)은 한계유압(Ps)보다 낮은 상태로 강하된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1)의 유압이 한계유압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여러 단계를 거쳐 유압이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바, 압력 제어밸브에서 유동이나 유체의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ydraulic pressure is gradually lowered through several steps, it is possible to prevent flow or vortex of the fluid from occurring in the pressure control valve.
이하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500)의 구체적인 형상 및 메인 밸브 포펫(320)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shape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 포펫(320)에 오리피스 포펫(5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50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 포펫(320)에 오리피스 포펫(5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50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 포펫(320)에 오리피스 포펫(5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500)을 도시하고 있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먼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 포펫(320)은 내주면에 직경이 서로 다른 다단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구체적으로 메인 밸브 포펫(320)은 전방측부터 후방측으로 각각 직경이 다른 제1 유로(321)부터 제5 유로(325)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먼저 제1 유로(321)는 메인 밸브 포펫(320)의 최전방에 구비되어, 유체가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로 기능할 수 있다.First, the
제1 실시예에서, 제2 유로(322)는 제1 유로(321)의 직경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321)에서 제2 유로(322)로 안내되는 유로상에서, 대략적으로 유로가 더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리피스 포펫(500)에 가해지는 유압이 보다 낮아져, 오리피스 포펫(500)이 이탈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제2 유로(322)는 오리피스 포펫(50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 유체가 제2 유로(322)과 오리피스 포펫(500)의 외주면의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제3 유로(323)와 제4 유로(324)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차진 면에 제1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다. (도 4 참조) 따라서 제1 탄성체가(330) 배치된 위치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flow path 323 and the fourth flow path 324 are formed to be stepped, so that the first spring can be seated on the stepped surface. (See FIG. 4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제5 유로(325)는 내부에 인입되는 파이로트 밸브(400)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참조)The fifth flow passage 325 may form an internal space together with the
제5 유로(325)의 직경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가 내부에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ifth flow path 32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포펫(500)는 중심축상에 홀이 형성된 대략적인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n
먼저, 오리피스 포펫(500)의 전방측에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심축에 연통 홀이 형성된 중공형의 유입부(51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부(510)의 내경은 압력 제어밸브에서 요구되는 유량과 유속, 그리고 작동 유체의 성질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First, the front side of the
유입부(510)의 내경은 메인 밸브 포펫(320)의 제2 유로(322)의 직경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최대 유량을 소정의 유량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An inner diameter of the
오리피스 포펫(500)은 유입부(510)의 외경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긴 외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안착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11을 참조하면, 안착부(520)는 전방측의 직경보다 후방측의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부(520)의 외주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안착부(520)의 직경은 제2 유로(322)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부(520)의 전방측 직경 및 후방측 직경 모두 제2 유로(322)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오리피스 포펫(500)은 제1 탄성체(33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520)는 제2 유로(322)의 후방측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 유체가 제2 유로(322)를 통해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오리피스 포펫(500)의 후방측에는 유체가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유출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An
유출부(530)는 안착부(520)의 후방측에 연결된 대략적인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유출부(530)의 외경은 유입부의 외경보다는 더 길고, 안착부의 외경보다는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유출부(530)의 전방측 외경은 후방측 외경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부(530)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탄성체(33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유출부(5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더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출부(530)의 내부 유로는, 후방측 출구를 향하여 더 넓어지도록 경사진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passage formed inside the
이에 따라, 오리피스 포펫(500)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의 유로 방향이 후방을 향하여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out through the
나아가, 오리피스 포펫(500)을 통과하여 유출되는 유체량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의 유체량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에 유체의 와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more, despite the change in the amount of fluid flowing out through the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파이로트 포펫(500)은 댐핑부(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대한 서술에서 메인 밸브 포펫(320)과 파이로트 포펫(500)에 대하여 생략된 서술은, 제1 실시예에서 전술된 서술을 차용하기로 한다.12 and 13,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댐핑부(540)는 유입부(510)의 전방측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댐핑부(540)는 압력 제어밸브의 최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damping
댐핑부(540)의 중심에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댐핑부(540)의 전방에서 유입된 유체는 유입부(510)를 거쳐 유출부(530)로 안내될 수 있다.A flow path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amping
댐핑부(540)는 직경이 유입부(510)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댐핑부(540)의 직경(D1)은 제1 유로(321)의 직경(D2)에 대응 형성될 수 있다.The damping
구체적으로, 댐핑부(540)의 직경(D1)은 제1 유로의(321)의 직경(D2)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ameter D1 of the damping
이에 따라, 오리피스 포펫(500)이 전방측에서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댐핑부(540)가 제1 유로(321)와 만나는 지점 이상으로 후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오리피스 포펫(500)이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경우, 안착부(520)와 제4 유로(324)의 사이로 다량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제어밸브가 제어하는 유량을 넘어,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댐핑부(540)에 의해 오리피스 포펫(500)의 한계 이동거리가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 시스템(1)의 내부 유압이 순간적으로 강하게 형성되더라도 오리피스 포펫(500)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압력 제어밸브가 제어가능한 한계압력(Ps)이 상승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 movement distance of the
댐핑부(540)는 유입부(51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입부(510)의 전방에 댐핑부(540)가 형성되면, 오리피스 포펫(500)과 메인 밸브 포펫(320)의 결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와 같이 메인 밸브 포펫(320)의 후방에서 오리피스 포펫(500)을 단순하게 끼워 결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damping
댐핑부(540)는 유입부(510)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생산 공정상 댐핑부(540)를 제외한 오리피스 포펫(500)을 메인 밸브 포펫(320)에 결합한 뒤, 댐핑부(540)를 유입부(510)에 결합하여, 생산 과정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amping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포펫(500)의 댐핑부(540)에는 보상유로(54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구체적으로, 댐핑부(540)의 전방면에서 후방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보상유로(541)가 형성될 수 있다. 보상유로(541)들은, 댐핑부(540)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의 외주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plurality of
보상유로(541)간의 사이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되는 유체로 인해 오리피스 포펫(500)이 회전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tervals between the
도 14를 참조하면, 보상유로(54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중심축에서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상유로(541)는 축에서 외주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상유로(541)를 통과하는 유체는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특히 도 14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보상유로(541)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는 제1 유로(321)의 경사면(321a)과 만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321a)에 충돌한 유체에 의해 생긴 반발력으로, 댐핑부(540)는 다시 전방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14 , the fluid flowing out through the
특히, 오리피스 포펫(50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유압이 강해져, 오리피스 포펫(50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보상유로(541)의 출구와 경사면(321a)의 사이 간격이 더 짧아진다.In particular, when the
보상유로(541)의 출구와 경사면(321a)의 사이 간격이 더 짧아지면, 보상유로(541)에서 토출된 유체가 경사면(321a)에 부딪혀 복귀하는 반발력이 더 강해진다. 이에 따라, 댐핑부(540)는 전방을 향해 더 강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오리피스 포펫(500)이 강한 가압에도 불구하고 후방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부(540)의 효과가, 보상유로(541)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 of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메인 밸브(3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16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메인 밸브 포펫(320)은 댐핑부(327) 및 보상유로(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메인 밸브 포펫(320)은 제3 실시예에서 전술된 오리피스 포펫(5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댐핑부(327)는 직경이 메인 밸브 바디(310)의 전단부(310)의 내경보다 더 긴, 일정 두께를 갖는 원반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amping unit 327 may be provided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diameter lon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댐핑부(327)는 메인 밸브 포펫(3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전단부(310)와 접촉하여, 메인 밸브 포펫(320)의 후방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damping unit 327 may contact the
댐핑부(327)와 전단부(310)의 사이 거리는 전술한 전방 연통홀 개방단계(제4 단계, 도 8 참조)에서, 전방 연통홀(312)이 개방되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댐핑부(327)와 전단부(310)가 물리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메인 밸브 포펫(32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연통홀(312)은 개방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damping part 327 and the
보상유로(328)는 댐핑부(327)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댐핑부(327)의 전방면에서 후방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보상유로(32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상유로(328)들은, 댐핑부(327)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의 외주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mpensation passage 328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damping part 327 in a radial direction. A plurality of compensation passages 328 penetrating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rear surface of the damping unit 327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compensation passages 328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ssag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amping part 327 .
보상유로(328)간의 사이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상유로(328)로 유입되는 유체로 인해 메인 밸브 포펫(320)이 회전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tervals between the compensation passages 328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rotational clearance of the
댐핑부(327)의 중심에 형성된 유로의 직경(D3)은, 유압 시스템(1)의 작동 유체의 성질, 유압, 압력 제어밸브의 설계 수치 등의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D3 of the passag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amping unit 327 may be selective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the nature of the working fluid of the
댐핑부(327) 유로의 직경(D3)은 제1 유로(32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댐핑부(327)의 유로에서 제1 유로(321)로 안내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병목(bottle-neck)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ameter D3 of the passage of the damping part 327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 일체형 메인 밸브 바디(320)를 구비하여, 설계를 간소화하고, 작동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rifice-integrated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로트 포펫(420)을 도시하고 있다.17 shows a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이로트 포펫(420)은 전단부(421), 경사부(422), 주판부(424) 및 후단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a
전단부(421)는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전방측 입구에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단부(421)는 적어도 일부가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참조) 즉, 전단부(421)는 적어도 일부가,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end 4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front entrance of the
전단부(421)의 전방측 단부(421a)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부(421)의 전방측 단부는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밸브 포펫(320)의 내부에서 순간적으로 강한 유압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상쇄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end 421a of the front end 421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42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경사부(422)는 전단부(421)와 연결되며, 전방측보다 후방측의 직경이 더 넓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422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421, and may be inclined to have a wider diameter on the rear side than on the front side.
경사부(422)는,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입구에 결합할 수 있다. 경사부(422)는 후방측 단면이 더 넓게 형성되어,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422 may be coupled to the inlet of the
주판부(424)는 대략적인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plate portion 424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disc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17을 참조하면, 주판부(424)는, 축 방향의 두께가 원주측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주판부(424)는 축에서 원주를 향하며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판부(424)의 중심측에 유입된 유체가, 주판부(424)의 경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주판부(424)의 형상에 따라, 파이로트 포펫(420)은 유압을 반경방향으로 분산시켜, 유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main plate portion 424 may have a thickness in an axial direction greater than a thicknes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main plate portion 424 may be formed inclined from the axis toward the circumference. Accordingly, the fluid flowing into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portion 424 can naturally flow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main plate portion 424 .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plate part 424, the
후단부(423)는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제2 탄성체(430)가 결합될 수 있다. 후단부(423)의 직경은 제2 탄성체(430)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단부(423)는 제2 탄성체(430)가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end 42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로트 포펫(420)은 절곡면(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절곡면(425)은 주판부(424)의 외주에서 축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ent surface 425 may be formed to be curved toward an axis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plate portion 424 .
절곡면(425)은 파이로트 밸브(400) 내부의 유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파이로트 밸브 바디(410)의 내주면과 주판부(424) 사이에 비어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비어있는 공간으로 유체가 안내될 수 있다.The bent surface 425 may function as a passage inside the
절곡면(425)은 주판부(424)의 원주를 따라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절곡면(425)이 복수개가 구비되면, 주판부(424)를 통과하는 유체가 복수개의 유로로 나뉘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이 대략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일측으로만 유체가 안내되어, 파이로트 포펫(420)의 배치된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ending surfaces 425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plate portion 424 . When a plurality of bending surfaces 425 are provided,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plate 424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ssages and guided. Therefore, the hydraulic pressure is substantially equally distributed, and the fluid is guided only to one side, so that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이상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실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odify variously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modifi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will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claims.
1: 유압 시스템
100: 파워소스
110: 유압탱크
120: 유압펌프
200: 액추에이터
300: 제1 밸브
310: 메인 밸브 바디
312: 전방 연통홀
314: 후방 연통홀
320: 메인 밸브 포펫
330: 제1 탄성체
400: 파이로트 밸브
410: 파이로트 밸브 바디
420, 450: 파이로트 밸브 포펫
421, 451: 전단부
422, 452: 경사부
425: 절곡면
440: 파이로트 밸브 연통홀
455: 연통홀
500: 오리피스
600: 유압탱크
700: 커버부1: hydraulic system
100: power source 110: hydraulic tank
120: hydraulic pump
200: actuator
300: first valve 310: main valve body
312: front communication hole 314: rear communication hole
320: main valve poppet 330: first elastic body
400: pilot valve 410: pilot valve body
420, 450: pilot valve poppet 421, 451: front end
422, 452: inclined portion 425: bent surface
440: pilot valve communication hole 455: communication hole
500: orifice 600: hydraulic tank
700: cover part
Claims (18)
유압 탱크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상기 유압 시스템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와 결합하며, 유압이 한계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개방되는 파이로트 밸브; 및
중심축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유로가 형성되어 통과 유량을 제어하는 오리피스 포펫;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주형의 메인 밸브 바디;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메인 밸브 포펫(320); 및
상기 메인 밸브 포펫과 상기 파이로트 밸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330);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포펫은,
유체가 안내되는 중공형의 유입부(510);
상기 유입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부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으로 형성되는 안착부(520); 및
상기 유입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전방측 외부로 노출되는 댐핑부(540);를 포함하는 압력 제어밸브.In the pressure control valve that operates when the hydraulic pressure rises above the limit pressure in the hydraulic system,
A main valve coupled to a hydraulic tank and into which fluid of the hydraulic system is introduced to one side;
a pilot valve coupled to the main valve and opened only when the hydraulic pressure exceeds a limit pressure; and
An orifice poppet having a passag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formed on the central axis to control the passing flow rate; and
The main valve,
Cylindrical main valve body with hollow inside;
a main valve poppet 320 provided inside the main valve body; and
A first elastic body 330 disposed between the main valve poppet and the pilot valve;
The orifice poppet,
A hollow inlet 510 through which fluid is guided;
a seating portion 52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inlet and having a diameter longer than that of the inlet;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comprising: a damping unit 54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inle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valve poppet.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유체가 안내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다단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전방측 유로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valve poppe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ulti-stage flow passag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rough which the fluid is guided,
The damping part,
A pressure control valve formed to have a longer diameter than a diameter of a passage on a front side of the main valve poppet.
상기 오리피스 포펫은,
상기 파이로트 밸브 포펫의 내주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유입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경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orifice poppet,
a seating portion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ot valve poppet;
Including more,
The main valve poppet,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inflow channel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e attachment part,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flow path of the main valve poppet.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유로는,
상기 오리피스 포펫에 가해지는 압력이 한계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안착부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 According to claim 3,
The passage of the main valve poppet,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rifice poppet is less than the limit pressure, it is sealed by the seating portion.
상기 메인 밸브 바디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에 의해 개폐되는 제1 연통홀; 및
상기 파이로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통홀은,
상기 제2 연통홀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valve body,
a first communication hole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valve poppet;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opened and closed by the pilot valve;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closed from the open state.
상기 오리피스 포펫은,
상기 댐핑부의 전후방을 연통하는 보상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상기 보상유로의 가상의 연장선에 접하는 지점이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2,
The orifice poppet,
It further includes; a compensation passage communica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damping unit;
The main valve poppet,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int in contact with the virtual extension of the compensation passage is formed inclined toward the central axis.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내부로 안내되는 유체는 반드시 상기 오리피스 포펫의 내부 유로를 통해서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gui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valve poppet necessarily flows only through the inner passage of the orifice poppet.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과 상기 파이로트 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valve,
a seal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main valve poppet and the pilot valve;
A pressure control valve comprising a.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내주면이 적어도 2회 이상 단차지게 형성되어, 직경이 서로 다른 유로가 적어도 2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valve poppet,
A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stepwise at least twice, and at least two passag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provided.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단차지게 형성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elastic body,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tepped surface of the main valve poppet.
상기 댐핑부는,
상기 유입부의 전방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damping part,
A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inlet.
상기 오리피스 포펫은,
상기 안착부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출부는,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의 내부로 유체를 안내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
The orifice poppet,
An outlet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further comprising:
The outflow part,
A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valve poppet to guide fluid into the main valve poppet.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내부 유로의 직경이 상기 유입부의 외경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1,
The main valve poppet,
A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passage is lon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let.
상기 유출부의 내부 유로는, 전방보다 후방이 더 넓은 직경을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1,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flow path of the outlet is formed in a funnel shape having a diameter wider at the rear than at the front.
유압 탱크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상기 유압 시스템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메인 밸브; 및
상기 메인 밸브와 결합하며, 유압이 한계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개방되는 파이로트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주형의 메인 밸브 바디;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는 메인 밸브 포펫; 및
상기 메인 밸브 포펫과 상기 파이로트 밸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전후방이 연통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유로; 및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전방측 외부에 노출되는 댐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핑부는,
상기 메인 밸브 바디의 전방측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In the pressure control valve that operates when the hydraulic pressure rises above the limit pressure in the hydraulic system,
A main valve coupled to a hydraulic tank and into which fluid of the hydraulic system is introduced to one side; and
A pilot valve coupled to the main valve and opened only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limit pressure;
The main valve,
Cylindrical main valve body with hollow inside;
a main valve poppet provided inside the main valve body; and
A first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main valve poppet and the pilot valve;
The main valve poppet,
a plurality of passag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rough which fluid flow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and
Including; damp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valve body,
The damping part,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longer diameter than the front side diameter of the main valve body.
상기 메인 밸브 포펫은,
상기 댐핑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보상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바디는,
상기 보상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가 도달하는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상면;을 더 포함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5,
The main valve poppe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mpensation passages penetrating the damping unit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main valve body,
The pressure control valve further comprising a compensating surface inclined at a point where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compensating passage reaches.
상기 보상유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댐핑부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밸브.According to claim 16,
As for the compensation flow,
The pressure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damping part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보상면은,
상기 보상유로의 가상의 연장선과 대략적으로 직교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압력 제어밸브.
According to claim 17,
The compensation surface is
A pressure control valve formed incline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a virtual extension of the compensation passag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6289A KR102581712B1 (en) | 2021-06-11 | 2021-06-11 | Pressure control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6289A KR102581712B1 (en) | 2021-06-11 | 2021-06-11 | Pressure control valv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67134A true KR20220167134A (en) | 2022-12-20 |
| KR102581712B1 KR102581712B1 (en) | 2023-09-22 |
Family
ID=8453909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76289A Active KR102581712B1 (en) | 2021-06-11 | 2021-06-11 | Pressure control valv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81712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81056A (en) * | 2004-02-12 | 2005-08-1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Pilot poppet type relief valve |
| KR20050081057A (en) * | 2004-02-12 | 2005-08-1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Relief valve |
| KR20090091567A (en) * | 2008-02-25 | 2009-08-2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Pressure control valve |
| KR20190091807A (en) * | 2018-01-29 | 2019-08-07 | 주식회사 두산 | Pilot poppet type relief valve |
-
2021
- 2021-06-11 KR KR1020210076289A patent/KR1025817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81056A (en) * | 2004-02-12 | 2005-08-1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Pilot poppet type relief valve |
| KR20050081057A (en) * | 2004-02-12 | 2005-08-1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Relief valve |
| KR20090091567A (en) * | 2008-02-25 | 2009-08-2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Pressure control valve |
| KR20190091807A (en) * | 2018-01-29 | 2019-08-07 | 주식회사 두산 | Pilot poppet type relief valv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81712B1 (en) | 2023-09-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88872B1 (en) | Valve manifold | |
| JP4739529B2 (en) | Control unit for at least two hydraulic consumers and differential pressure valve for the control unit | |
| JP5775368B2 (en) | Relief valve | |
| JP4759282B2 (en) | Two-stage pressure absorption piston type accumulator | |
| CA2764364C (en) | Two position three way valve | |
| CN216142768U (en) | Electro-hydraulic proportional reversing valve | |
| JP5682015B2 (en) | Hydraulic system | |
| KR100976358B1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 |
| US20100307621A1 (en) | Hydraulic valve device | |
| EP3553324B1 (en) | Valve and hydraulic system with the same | |
| JP2010101336A (en) | Spool valve | |
| CN112594244B (en) | Mechanical hydraulic control reversing valve | |
| KR20220167135A (en) | Pressure control valve | |
| KR20170136427A (en) | Flow control valve and valve structure | |
| KR20220167134A (en) | Pressure control valve | |
| WO2013041884A1 (en) | A valve with integrated pressure compensator | |
| KR20080077007A (en) | Actuator control unit | |
| KR20220167133A (en) | Pressure control valve | |
| GB2066368A (en) | Hydraulic priority circuit for vehicles | |
| WO2023150448A1 (en) | Pressure relief valve with a reverse free flow configuration integrated therewith | |
| CN115750500A (en) | Normally closed type pilot control constant-ratio pressure reduction overflow valve | |
| US20090217983A1 (en) | Hydraulic valve assembly | |
| US6848353B2 (en) | Hydraulic device | |
| JP7336836B2 (en) | Flow control valve and working machine | |
| US12209597B2 (en) | Hydraulic circuit including a hydraulically actuatable motion control valv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