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002A - blind rivet - Google Patents
blind riv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70002A KR20220170002A KR1020210080499A KR20210080499A KR20220170002A KR 20220170002 A KR20220170002 A KR 20220170002A KR 1020210080499 A KR1020210080499 A KR 1020210080499A KR 20210080499 A KR20210080499 A KR 20210080499A KR 20220170002 A KR20220170002 A KR 202201700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hole
- hollow
- extension
- variable
- blind riv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16B19/1072—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the pull-mandrel or the like comprising a thread and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ivet, thereby mechanically expanding and fastening the riv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Dow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정밀성 및 내식성이 개선되는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ind riv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ind rivet with improved fastening precision and corrosion resistance.
일반적으로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은 얇은 판을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품에 고정하는 것을 비롯하여 다양한 응용예에서 사용되고, 스틸부터 플라스틱에 이르는 다양한 재료에서 사용된다. In general, blind rivets ar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fastening thin plates to relatively thick components, and are used in a variety of materials from steel to plastic.
이러한 상기 블라인드 리벳은 저비용 조립이 실행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최종 결합 또는 고정의 강도 및 일체성에 공헌한다. 예를 들어, 결합되어야 하는 한 쌍의 작업판이 조금 휘어져 있다면 상기 리벳이 상기 작업판을 함께 클램프하기 위해 필요하다.These blind rivets allow a low-cost assembly to be performed, and also contribute to the strength and integrity of the final joint or fastening. For example, if a pair of work plates to be joined are slightly bent, the rivets are needed to clamp the work plates together.
그리고, 블라인드 리벳은 일반적으로 높은 전단 강도를 갖도록 요구되고, 상기 작업판이 인가된 부하에 의해 진동하거나, 인가된 진동에 의해 마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리벳 본체 및 상기 리벳이 삽입되도록 작업판에 형성된 홀 사이의 임의의 간격으로 확장되도록 요구된다. 이는 차량 산업에서 특히 중요하다.In addition, blind rivets are generally required to have high shear strength, and the rivet body and the rivet are formed on the work plate so that the work plate is not vibrated by the applied load or worn by the applied vibration. It is required to extend to any spacing between hole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vehicle industry.
또한, 상기 리벳은 설치되었을 때 상기 작업편의 블라인드 측에 단일 롤형 벌지(single roll-type bulged) 설치를 가져야 하고, 인가 하중에 대한 강화된 인장 저항을 제공하고, 심미적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In addition, it is generally required that the rivets, when installed, have a single roll-type bulged installation on the blind side of the workpiece, provide enhanced tensile resistance to applied loads, and provide an aesthetic appearance. do.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블라인드 리벳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1A and 1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blind rivet.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블라인드 리벳(1)은 헤드부(2)의 내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3)를 갖는 리벳과, 체결대상모재(M)에 삽입된 리벳의 몸체부 (3) 단부를 변형시켜 리벳이 체결대상모재(M)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스템부(4)로 구성될 수 있다.1A to 1B, a conventional
이때, 종래의 블라인드 리벳(1)은 상기 스템부(4)가 상기 몸체부(3)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며,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3)의 단부 테두리에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상기 스템부(4)를 툴에 고정한 후 소정의 힘으로 당기면 상기 몸체부(3)의 단부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체결대상모재(M)에 형성된 홀 테두리에 걸림 체결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2)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스템부(4)가 절단 가공된다.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그러나, 종래의 블라인드 리벳(1)의 경우 상기 스템부(4)를 당기는 힘에 따른 리벳의 몸체부(3) 단부의 변형되는 형상(3a)이 다르게 형성되어 각 리벳별 체결력의 편차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또한, 상기 스템부(4)를 절단시 파단면(4a)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러한 파단면(4a)이 부식됨에 따라 리벳의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스템부(4)의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스템부(4)의 외주에 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템부(4)를 당기는 강한 힘으로 인하여 리벳의 체결 과정에서 상기 스템부(4)가 절단되는 경우 리벳이 제대로 체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더불어, 상기 스템부(4)를 절단한 나머지 부분이 폐기되므로 소재낭비로 인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결정밀성 및 내식성이 개선되는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ind rivet with improved fastening precision and corrosion resistanc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결대상모재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어 클램핑 고정되는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의 일측 테두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직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확장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하되 내주면에 나사홈부가 기설정된 길이영역을 따라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리벳몸체부;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연장부의 타단측에 체결 구속되는 구속단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측이 상기 장착홀과 상기 구속단 사이에서 가압되어 확장 변형되기 위한 회전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나사홈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나사홈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된 가압코어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ind rivet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in a parent material to be fastened and fixed by clamping, and a head extended with a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so as to contact one edge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the rivet penetra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t the same time, and having a hollow threaded groove formed along a predetermined length area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dy part; and a restraining end inserted into the hollow, fastened and constrain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is pressed between the mounting hole and the restraint to provide rotational pressure for expansion and deformation. Provided is a blind rivet including a pressurizing core port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crew groove portion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portion and rotated through a rotating means, and having a coupling end 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is coupled to one end.
한편, 본 발명은 체결대상모재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어 클램핑 고정되는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의 일측 테두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직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확장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장착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변단이 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하되 내주면에 나사홈부가 연속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리벳몸체부; 및 상기 가변단의 길이를 초과하되 상기 리벳몸체부의 길이 미만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일면테두리가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걸림되도록 단면적이 상기 중공의 내경을 초과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변단측에 체결 구속되는 구속단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단이 상기 장착홀의 타단과 상기 구속단 사이에서 가압되어 확장 변형되기 위한 회전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나사홈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나사홈부가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된 가압코어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blind rivet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in a base material to be fastened and fixed by clamping, a head portion extending in a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edge surface on one side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mounting hol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pass through and having a variable end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hole, wherein the head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re simultaneously penetrated, but a hollow in which threaded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ivet body; and extending to a leng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variable end but less than the length of the rivet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hollow, disposed outside the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uch that an edge of one side is caught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 rotation means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variable end is pres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restraint end to provide a rotational pressing force for expansion and deformation. Provided is a blind rivet including a pressurizing core portion in which a screw groove portion engaged with and rotated through the screw groove portion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one direction, and a coupling end in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t one end.
또한, 본 발명은 체결대상모재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어 클램핑 고정되는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의 일측 테두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직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확장 형성되되 일단부에 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장착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변단이 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하되 상기 가변단에 대응하는 내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협소부의 내주에 나사홈부가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리벳몸체부; 및 상기 중공의 내경 미만의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가변단측에 체결 구속되는 구속단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단이 상기 장착홀의 타단과 상기 구속단 사이에서 가압되어 확장 변형되기 위한 회전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나사홈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나사홈부가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단이 상기 걸림홈부에 수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코어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blind rivet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formed in a base material to be fastened and fixed by clamping, the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is formed so as to contact the edge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hole, bu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at one end. An extension portion having a recessed head portion and a variable end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and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hole, the extension portion passing through the head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simultaneously and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end A rivet body through which a hollow threaded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narrow portion protruding radially inward on the inner circumfer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exte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and be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a restraining end fastened to the variable end sid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variable end connects to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hole. A screw groove portion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portion and rotated through a rotating means is form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ovide rotational pressure for being pressed between the restraining ends and deformed, and an end portion of the rotating means is inserted and coupled to one end. Provided is a blind rivet including a pressing core part formed in a shape to be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 par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가압코어부가 리벳몸체부의 내주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수단의 회전력을 통해 균일한 피치 간격으로 상측으로 회전 이송됨에 따라 가변단에 일정한 압축력이 가해지면서 균일한 두께 및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리벳별 체결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체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as the pressure core is screw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ivet body and rotated and transferred upward at uniform pitch intervals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ans, a constant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variable end and transformed into a uniform thickness and shape, thereby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for each rivet Since they are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fastening properties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결합홈이 형성된 가압코어부의 일단이 가변부의 압축 변형 후에도 중공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체결대상모재에 리벳의 고정이 완료된 후 헤드부 외측으로의 돌출구조가 실질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절단 등의 후처리공정이 생략되고 절단면이 부식되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방지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내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as one end of the pressing core part having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located inside the hollow even after th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variable part, the protruding structure to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is substantially removed after fixing the rivet to the parent material to be fastened, so that cutting, etc. Since the post-processing process is omitted and the problem of corrosion of the cut surface is fundamentally prevented, work convenience and corrosion resista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가압코어부가 가변단과 삽입부의 하부측 내주에 동시에 체결되는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가압력에 의해 가변단이 체결대상모재와 구속단 사이에서 확장 변형되면서 가압코어부와 부분적으로 이격되더라도 결합단측의 나사 체결이 유지되어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변형된 가변단이 체결대상모재에 밀착되므로 체결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 as the pressure core part is formed to a length that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ide of the variable end and the insertion part, the variable end is expanded and deformed between the base material to be fastened and the restraint end by the rotational pressure, even if it is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pressure core part. Since the screw fastening is maintained and the rotational force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he deformed variable end adheres to the fastening target base material, so fastening st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넷째, 결합단이 걸림홈부의 내면에 걸림되어 가압코어부가 회전력에 의해 자전되므로 가변단이 나사산부를 따라 상향 이동되면서 압축 변형될 수 있으며, 나사홈부가 가변단의 단부에만 형성되도록 중공의 상측이 여유간격을 포함하여 확장되면서 가변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므로 용이하게 확장 변형될 수 있다.Fourth, since the coupling end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and the pressing core rotates by rotational force, the variable end can be compressed and deformed while moving upward along the screw thread, and the upper side of the hollow is free so that the screw groove is formed only at the end of the variable end. Since the thickness of the variable end becomes relatively thin while being expanded including the gap, it can be easily expanded and deformed.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블라인드 리벳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단면예시도.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단면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7a 및 도 7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단을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1A and 1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blind rive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c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upling en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to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 리벳은 체결대상모재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어 클램핑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대상모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비되되 적어도 일측이 상호 중첩되어 구비되는 판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일측과 상측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이고, 타측과 하측은 상호 대응되는 방향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회전가압력이라 함은 회전력을 통해 후술되는 가변단이 압축 변형되도록 가해지는 가압력을 포괄하는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 blind riv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blind rive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parent material to be fastened and clamped.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fastening target base material is a plate material provided in a plurality of at least one or at least one side of which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Hereinafter, one side and the upper side are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otational pressing force described below includes the pressing force applied so that the variable end to be described later is compressed and deformed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단면예시도이고, 도 7a 및 도 7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단을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c are exemplary views of a coupling en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100)은 리벳몸체부(10) 및 가압코어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100)은 상기 리벳몸체부(10)와 상기 가압코어부(20)가 금속 재질로 제조되어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나, 각 부품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 고강도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a
상기 리벳몸체부(10)는 헤드부(11)와 연장부(1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상세히, 상기 헤드부(11)는 체결대상모재(도 3a의 M)에 형성된 장착홀(도 3a의 h)의 직경을 초과하는 면적으로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상기 연장부(12)가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헤드부(11)가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일측 테두리면에 안착 접촉될 수 있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헤드부(11)는 그 면적이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직경을 초과한다면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헤드부(11)는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hape of the
그리고, 상기 헤드부(1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단부가 라운드지게 하향 경사짐에 따라 하면(11a)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회전수단(도 3a의 D)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블라인드 리벳(100)이 상기 체결대상모재(도 3a의 M)에 클램핑 고정시 상기 헤드부(11)가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일측 테두리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변형된 가변단(도 3c의 15)과 상기 헤드부(11)가 상기 체결대상모재(도 3a의 M)의 일면 및 타면에 유격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더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부(11)의 하면에 회전구속돌기가 하향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속돌기가 상기 체결대상모재(도 3a의 M)의 외면에 가압 접촉되면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이 회전 구동시 상기 리벳몸체부(10)가 상기 체결대상모재(도 3a의 M)에 회전 구속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가압코어부(20)만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코어부(20)가 후술되는 중공(13)을 따라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연장부(12)의 타측이 압축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restraining protrusion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헤드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부(11)는 상기 연장부(12)의 일단측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상세히, 상기 연장부(12)는 횡방향 단면적이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내경에 대응되거나 최소한의 삽입공차가 고려되어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내경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2)는 횡방향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연장길이는 상기 체결대상모재(도 3a의 M)의 두께 또는 중첩된 두께를 초과하도록 기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연장부(12)는 삽입부(14)와 가변단(15)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삽입부(1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연장부(12)에서 상기 헤드부(11)와 연결된 부분으로서,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내측에 삽입 및 수용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단(15)은 상기 삽입부(14)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러한 삽입부(14)와 가변단(15)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장부(12)의 상하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임의로 구분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장부(12)의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장착홀(도 3a의 h)에 삽입 및 수용되는 부분이 상기 삽입부(14)이고, 상기 장착홀(도 3a의 h)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가변단(15)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4)와 상기 가변단(15)은 상기 연장부(12)의 전체 길이 및 상기 체결대상모재(도 3a의 M)의 중첩 두께에 따라 그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inserting
상기 리벳몸체부(10)에는 중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1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공(13)은 상기 헤드부(11)와 상기 연장부(12)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공(13)의 내주면에는 기설정된 길이영역을 따라 나사홈부(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설정된 길이영역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13)의 전체적인 내주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중공(13)의 타단측 내주 일부분에 대응하는 것일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hollow 13 is formed through the
한편, 상기 가압코어부(20)는 상기 중공(13)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의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 조작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코어부(20)는 결합단(21), 구속단(23) 및 나사산부(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결합단(21)은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2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4)은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회전력전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력전달면을 통해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가압코어부(20)가 회전될 수 있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때, 상기 결합홈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24a) 등의 다각, 십자(24b) 형상 또는 별(Torx/Torx plus,24c)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의 단부와 다각형상의 상기 결합홈(24)이 맞물림에 따라 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7A to 7C ,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s a polygon such as a
이러한 결합홈(24)은 후술되는 길이 또는 형상 구조를 통하여 상기 가변단(15)이 확장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1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The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단(21)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압코어부의 길이가 합산된 길이는 후술되는 길이관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와 결합되는 구조가 돌기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가변단(15)의 변형 후 상기 헤드부(11)의 상측으로 돌출 구조가 형성되지 않도록 설정된다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Of course, in some case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 one side may be formed at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단(21)이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상단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24)이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일단에 일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그리고, 상기 구속단(23)은 상기 가압코어부(20)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12)의 타단측에 체결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속단(23)이 상기 가압코어부(20)의 타단측에 구비되며, 이때 상기 구속단(23)은 상기 가압코어부(20)의 횡방향 단면적을 초과하여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나사산부(22)는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도 3a의 D)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나사홈부(16)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Also, the restraining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연장부(12)의 타단측은 상기 가변단(15)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a에서 L1은 상기 리벳몸체부(10)의 전체길이, L2는 상기 연장부(12)의 전체길이, L3은 상기 헤드부(11)의 전체길이, L4는 상기 가변단(15)의 길이, L5는 상기 체결대상모재(M)의 두께 또는 상기 삽입부(14)의 길이, L6은 상기 가압코어부(20)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며, w1은 상기 가변단(15)의 단면 두께를 표시한 것이다.3A and 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ther end side of the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상기 리벳몸체부(10)는 상기 연장부(12)가 상기 장착홀(h)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헤드부(11)가 상기 체결대상모재(M)의 일면에 접촉 안착된다. 이때, 상기 나사홈부(16)는 상기 중공(13)의 내주를 따라 연속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부(11)와 상기 연장부(12)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기 중공(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to 3C , in the
그리고, 상기 가압코어부(20)는 상기 연장부(12)의 타단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나사산부(22)가 상기 나사홈부(16)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구속단(23)은 상기 연장부(12)의 타단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상기 구속단(23)은 상기 가압코어부(20)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가변단(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구속단(23)이 상기 가압코어부(20)와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압코어부(20)의 타단부에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restraining
이때, 상기 구속단(23)은 상기 가압코어부(20)와 단차지게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속단(23)은 일면테두리(23a)가 상기 중공(13)의 내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속단(23)의 일면테두리(23a)가 상기 가변단(15)의 타단에 걸림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training
한편, 상기 결합단(21)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24)에 상기 회전수단(D)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수단(D)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 리벳(10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헤드부(11)를 상기 체결대상모재(M)의 일면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가압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수단(D)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수단(D)의 회전력이 실질적으로 상기 가압코어부(20)에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the end of the rotation unit D is inserted into the
상기 회전수단(D)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가압코어부(20)는 상기 나사홈부(16)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향 이동되며, 상기 구속단(23)측이 상기 체결대상모재(M)의 타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가변단(15)의 타단에 상기 구속단(23)의 일면테두리(23a)가 걸림됨에 따라 체결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압코어부(20)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부(11)측으로 상향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단(15)이 상기 체결대상모재(M)와 상기 구속단(23)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가변단(15a)과 상기 헤드부(11)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리벳(100)이 상기 장착홀(h)에 클램핑 고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중첩된 상기 체결대상모재(M)가 상기 블라인드 리벳(10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ne-
여기서, 상기 가압코어부(20)는 상기 가변단(15)의 내주 및 상기 삽입부(14)의 하부측 내주에 동시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코어부(20)의 길이(L6)는 상기 가변단(15)의 길이(L4)를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코어부(20)의 길이(L6)가 상기 체결대상모재(M)로부터 상기 연장부(12)의 하단부 사이 길이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세히, 상기 가압코어부(20)가 상기 중공(13)에 삽입되되, 상기 구속단(23)이 상기 연장부(12)의 타단측에 체결 구속되면 상기 결합단(21)측이 상기 삽입부(14)의 길이방향 일측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D)을 통해 상기 가압코어부(20)가 회전시 상기 가변단(15)이 상기 체결대상모재(M) 및 상기 구속단(23) 사이에 가압됨에 의해 상기 가변단(15)의 내주가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외주로부터 이격된다.In detail, when the
여기서, 상기 가압코어부(20)가 상기 가변단(15)의 길이(L4)를 초과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가압코어부(20)가 상기 가변단(15)과 상기 삽입부(14)의 하측 내주에 동시에 체결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14)의 하측이라 함은 상기 삽입부(14)와 상기 가변단(15)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삽입부(14)의 타단측과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이를 통해, 상기 가변단(15)측의 중공(13) 내주가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외주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상기 결합단(21)측이 상기 삽입부(14)측의 중공(13) 내주에 형성된 나사홈부(16)에 나사 체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코어부(20)가 상기 나사홈부(16)를 따라 지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가변단(15)이 압축되면서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13 on the side of the
더욱이, 상기 블라인드 리벳(100)은 상기 나사산부(22)가 상기 나사홈부(16)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되므로 상기 가압코어부(20)가 상기 나사산부(22)/나사홈부(16)의 피치에 대응하여 균일한 간격으로 회전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단(15)에 일정한 압축력이 전달되므로 균일한 두께 및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벳별 체결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어 체결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threaded
이때, 상기 가압코어부(20)는 그 길이(L6)가 상기 가변단(15)의 길이(L4)를 초과하되 상기 리벳몸체부(10)의 길이(L1)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압코어부(20)의 길이(L6)는 상기 헤드부(11)로부터 상기 삽입부(14)까지의 길이 및 상기 가변단이 변형 중첩되어 가변된 길이가 합산된 길이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코어부(20)의 길이(L6)는 상기 헤드부(11)의 길이(L3), 상기 삽입부(14)의 길이(L5) 및 상기 변형된 가변단(15a)의 길이가 합산된 길이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형된 가변단(15a)의 길이라 함은 상기 가변단(15)의 단면두께(w1)가 변형되어 중첩된 만큼의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6) of the pressing core part (20) exceeds the length (L4) of the variable end (15) but is less than the length (L1) of the rivet body part (10). Moreover, the length L6 of the
따라서, 상기 결합홈(24)이 형성된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일단이 상기 가변부(15)의 압축 변형 후에도 상기 중공(1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단(15)의 확장 변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결합홈(24)이 상기 중공(13)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헤드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가압코어부(20)의 일단부를 절단하는 번거로운 후처리 공정이 실질적으로 생략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코어부(20)를 절단 후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시 부식되는 문제가 실질적으로 제거되므로 내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one end of the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가변코어부(20)가 상기 리벳몸체부(10)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가변부(15)에 회전가압력이 전달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만 요구된다. 이를 통해, 리벳에 당김력이 전달되도록 코어를 길게 형성시켜야 하며, 이렇게 길게 사용된 소재가 절단 후 실질적으로 폐기됨으로 인하여 소재낭비가 증가하던 종래에 비하여 소재소요량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상기 구속단(123)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modification,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restrainin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속단(123)은 상기 가압코어부(1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가압코어부(120)가 회전되면 상기 구속단(123)이 상기 체결대상모재(M)의 타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구속단(123)이 상기 중공(13)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부(123b)에 상기 중공(13)의 타단 내주가 가압되면서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restraining
그리고, 상기 변형된 가변단(15b)의 외면이 상기 장착홀(h)의 타측 테두리면에 가압 접촉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변형된 가변단(15b)과 상기 헤드부(11)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리벳(100A)이 상기 장착홀(h)에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단면예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200)에서 상기 중공(213)과 상기 가압코어부(2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a에서 L4는 상기 가변단(215)의 길이, L7은 상기 협소부(213b)의 길이, L8은 상기 걸림홈부(218)의 하면에서 상기 가변단(215)의 단부까지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5 is a cross-sectional example of a blind riv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lind riv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공(213)은 이격관통부(213a)와 협소부(213b)를 포함하여 관통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hollow 213 may be penetrated by including a spaced through
상세히, 상기 이격관통부(213a)는 상기 중공(213)의 일측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상기 이격관통부(213a)의 내경은 상기 나사산부(222)의 최대 외경을 초과하는 여유간격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소부(213b)는 상기 이격관통부(213a)의 타측 내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협소부(213b)의 내주에 상기 나사홈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코어부(220)는 상기 협소부(213b)의 내주에 형성된 상기 나사홈부(216)에 나사 체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the spaced through
상기 결합단(221)은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단면적을 초과하여 확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단(221)과 상기 가압코어부(220)가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221)은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홈(224)이 형성된 상기 결합단(221)이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일단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헤드부(211)에는 상기 결합단(221)이 수납되도록 걸림홈부(218)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218)는 상기 중공(213)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부(218)는 상기 결합단(221)의 횡방향 단면적 및 두께 이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코어부(220)가 상기 중공(213)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단(221)이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걸림홈부(218)에 실질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이때, 상기 가압코어부(220)는 상기 헤드부(211)측으로 개구된 상기 중공(213)의 일측을 통해 삽입되되, 상기 나사산부(222)가 상기 협소부(213b)에 형성된 상기 나사홈부(216)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221)의 하면테두리가 상기 걸림홈부(218)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타단측에는 상기 구속단(2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속단(223)은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나사산부(222)이 형성된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길이방향 하단부가 상기 구속단(223)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코어부(220)는 상단부측에 상기 결합홈(224)이 형성된 볼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straining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단(221)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224)에 상기 회전수단(D)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수단(D)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 리벳(20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D)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가압코어부(220)가 회전될 수 있다.6A to 6B, the end of the rotating means (D) is inserted into the
이때, 상기 가압코어부(220)는 상기 결합단(221)이 상기 걸림홈부(218)에 걸림됨에 따라 이송이 제한되며 따라서 연속적으로 자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산부(222)에 나사 체결된 상기 가변단(215)의 타단측이 상기 가압코어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체결대상모재(M)의 타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단(215)이 상기 체결대상모재(M)와 상기 협소부(213b)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가변단(215a)과 상기 헤드부(211)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리벳(200)이 상기 장착홀(h)에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이때, 상기 협소부(213b)는 상기 중공(213)의 타단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가변단(215)의 길이 미만의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협소부(213b)와 상기 체결대상모재(M)의 타면 사이에 돌출되는 상기 가변단(215)의 일부분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변단(215)이 용이하게 압축되어 확장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 체결대상모재
h: 장착홀
10: 리벳몸체부
13: 중공
15: 가변단
16: 나사홈부
20: 가압코어부
21: 결합단
22: 나사산부
23: 구속단
100: 블라인드 리벳M: Base material to be fastened h: Mounting hole
10: rivet body 13: hollow
15: variable end 16: screw groove
20: pressurized core part 21: coupling end
22: screw thread 23: restraint end
100: blind rivet
Claims (12)
상기 장착홀의 일측 테두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직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확장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하되 내주면에 나사홈부가 기설정된 길이영역을 따라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리벳몸체부;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연장부의 타단측에 체결 구속되는 구속단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측이 상기 장착홀과 상기 구속단 사이에서 가압되어 확장 변형되기 위한 회전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나사홈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나사홈부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단이 구비된 가압코어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In the blind rivet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base material to be fastened and clamped,
A head portion extending in a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edge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hole,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the head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passing through at the same time A rivet body portion through which a hollow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a predetermined length region is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straining end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fastened and constrain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is pressed between the mounting hole and the restraining end to provide a rotational pressure for expansion and deformation. A blind rivet comprising a press core portion having a screw groove portion engaged with and rotated by a rotating mean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coupling end 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rotation means is coupled to one end.
상기 결합단에는 상기 회전수단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홈으로 형성되되 내면에 회전력전달면이 형성된 결합홈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end is formed with a groove so that the end of the rotating means is inserted, and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Blind riv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included.
상기 결합홈은 상기 가변단이 가압되어 확장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2,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hollow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end is pressed and expanded and deformed.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착홀의 내부에 수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변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코어부는 상기 가변단 내주 및 상기 삽입부 하부측 내주에 동시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part includes an insertion part accommodated inside the mounting hole and a variable en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art and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hole,
The blind riv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core part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ariable end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part.
상기 나사홈부는 상기 중공의 내주를 따라 연속 형성되며,
상기 가압코어부는 상기 리벳몸체부의 길이 미만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4,
The screw groove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Blind riv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core portion is formed less than the length of the rivet body portion.
상기 가압코어부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삽입부까지의 길이 및 상기 가변단이 변형 중첩되어 가변된 길이가 합산된 길이 미만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5,
The blind riv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pressing core portion is less than the sum of the length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variable end by overlapping deformation.
상기 구속단은
상기 가압코어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변단의 외측에 배치되되,
일면테두리가 상기 가압단의 타단에 걸림되도록 단면적이 상기 중공의 내경을 초과하여 상기 가압코어부와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4,
The restraint group
It extends from the end of the pressing core part and is disposed outside the variable end,
Blind riv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exceeds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and is formed stepwise with the pressing core so that one side edge is caught on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end.
상기 구속단은
상기 가압코어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회전가압력을 통해 상기 중공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가변단이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되도록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4,
The restraint group
Doedo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pressurized core portion,
Blind riv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ind rivet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expanding toward the other side so that the variable end is expanded and deform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while being drawn into the hollow through the rotational pressing force.
상기 중공은 상기 나사산부의 최대 외경을 초과하는 여유간격을 포함하여 형성된 이격관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나사홈부는 상기 이격관통부의 타측 내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가변단의 길이 미만의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협소부의 내주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includes a spaced through portion formed including a margin exceeding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The screw groove protrudes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of the spaced through part an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narrow part formed corresponding to a region less than the length of the variable end.
상기 결합단은 상기 가압코어부의 단면적을 초과하되 상기 중공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걸림홈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코어부는 상기 걸림홈부와 상기 연장부의 타단 사이 길이 이상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According to claim 9,
The coupling end exceed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ssing core portion but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a locking groove formed recessed at one side of the hollow,
The blind riv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core part extends long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catching groove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art.
상기 장착홀의 일측 테두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직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확장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장착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변단이 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하되 내주면에 나사홈부가 연속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리벳몸체부; 및
상기 가변단의 길이를 초과하되 상기 리벳몸체부의 길이 미만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일면테두리가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걸림되도록 단면적이 상기 중공의 내경을 초과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변단측에 체결 구속되는 구속단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단이 상기 장착홀의 타단과 상기 구속단 사이에서 가압되어 확장 변형되기 위한 회전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나사홈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나사홈부가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된 가압코어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In the blind rivet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parent material to be fastened and clamped,
A head portion extending in a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hole, and an extension portion having a variable end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and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hole. Including, but through the head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t the same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vet body through which the hollow threaded grooves a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extends to a length that exceeds the length of the variable end but is less than the length of the rivet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is disposed outside the extension and has a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extension so that one edge is caught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A restraining end fastened and restrained at the variable end sid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variable end is pres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restraining end to provide rotational pressure for expansion and deformation through a rotating means. A blind rivet comprising a pressurizing core portion, wherein a screw groove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screw groove portion is formed in one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oupling end into which an end of the rotation means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t one end.
상기 장착홀의 일측 테두리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직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확장 형성되되 일단부에 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장착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변단이 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동시에 관통하되 상기 가변단에 대응하는 내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협소부의 내주에 나사홈부가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리벳몸체부; 및
상기 중공의 내경 미만의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가변단측에 체결 구속되는 구속단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단이 상기 장착홀의 타단과 상기 구속단 사이에서 가압되어 확장 변형되기 위한 회전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나사홈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나사홈부가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형성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단이 상기 걸림홈부에 수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코어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In the blind rivet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base material to be fastened and clamped,
A head portion extending in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im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hooking groove recessed at one end, and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to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hole. An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otruding variable end, wherein the head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simultaneously pass through, and a hollow in which a threaded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narrow portion protruding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end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ivet body portion; and
It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a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by extending beyond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and a restraining end fastened to the variable end sid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variable end connects to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A screw groove portion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portion and rotated through a rotating means is form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ovide a rotational pressure force for expansion and deformation by being pressed between the restraining ends, and a coupling end in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rotation means is inserted and coupled to one end. A blind rivet including a pressing core portion formed in a shape accommodated in the engaging groov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0499A KR102645167B1 (en) | 2021-06-22 | 2021-06-22 | blind riv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0499A KR102645167B1 (en) | 2021-06-22 | 2021-06-22 | blind rive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70002A true KR20220170002A (en) | 2022-12-29 |
| KR102645167B1 KR102645167B1 (en) | 2024-03-07 |
Family
ID=8453977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80499A Active KR102645167B1 (en) | 2021-06-22 | 2021-06-22 | blind riv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4516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336061A (en) * | 2023-04-18 | 2023-06-27 | 上海交通大学 | Semi-hollow rivet with microstructure on surfac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33134A (en) | 1994-04-14 | 1995-12-22 | 케이쓰 던햄 | Blind rivets |
| KR200282962Y1 (en) * | 2002-04-09 | 2002-07-24 | 주식회사 삼일 | Blind rivet |
| US20020192047A1 (en) * | 2001-05-31 | 2002-12-19 | Gesipa Blindniettechnik Gmbh | Blind rivet nut and fastening unit |
| KR20110090255A (en) * | 2010-02-03 | 2011-08-10 | 정종필 | Blind rivets |
-
2021
- 2021-06-22 KR KR1020210080499A patent/KR1026451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33134A (en) | 1994-04-14 | 1995-12-22 | 케이쓰 던햄 | Blind rivets |
| US20020192047A1 (en) * | 2001-05-31 | 2002-12-19 | Gesipa Blindniettechnik Gmbh | Blind rivet nut and fastening unit |
| KR200282962Y1 (en) * | 2002-04-09 | 2002-07-24 | 주식회사 삼일 | Blind rivet |
| KR20110090255A (en) * | 2010-02-03 | 2011-08-10 | 정종필 | Blind rivet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336061A (en) * | 2023-04-18 | 2023-06-27 | 上海交通大学 | Semi-hollow rivet with microstructure on surfa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45167B1 (en) | 2024-03-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608417B2 (en) | Dual action disposable clamp | |
| EP0041593B1 (en) | Fastener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 |
| JPH04505958A (en) | Swage fasteners with strong spacing collars | |
| US8782899B2 (en) | Method for establishing a nail connection and a nail for this purpose | |
| US7722303B2 (en) | Frangible blind rivet | |
| JPH04505727A (en) | Installation swage fasteners and methods with variable and selectively high initial tightening preloads | |
| KR20010101191A (en) | Blind fastener | |
| JP2005034910A (en) | Three-component blind fastener | |
| EP1369601B1 (en) | Peel-Type Blind Rivet | |
| EP2580485B1 (en) | Blind rivet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blind rivet | |
| KR20000069177A (en) | Blind rivet and method of making same | |
| US6527490B1 (en) | Punching, stamping rivet | |
| JP2011516801A (en) | Solid rivets for joining composite components | |
| JP2013535626A (en) | Fasteners with splines on the outside | |
| US9631661B2 (en) | Expansion anchor | |
| CN101086270B (en) | Element and an assembly of parts that can be joined to sheet metal parts by riveting | |
| EP2597324B1 (en) | Rivet stud | |
| KR20220170002A (en) | blind rivet | |
| US5873689A (en) | Low torque threaded fastener and mine roof support system using such a fastener | |
| KR20020037744A (en) | Method for placing a functional element; die. functional element; assembly element and die arrangement | |
| US20220099129A1 (en) | Self-Punching Fastening Element | |
| US11608847B2 (en) | Self-punching fastener | |
| EP3850231B1 (en) | Multi clinch fastener insert | |
| US12078199B2 (en) | Self-punching functional element, componen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nent assembly | |
| US20240376923A1 (en) | Self-Punching Functional Ele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