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542A - Van camper with shower function - Google Patents
Van camper with shower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5542A KR20230005542A KR1020210086385A KR20210086385A KR20230005542A KR 20230005542 A KR20230005542 A KR 20230005542A KR 1020210086385 A KR1020210086385 A KR 1020210086385A KR 20210086385 A KR20210086385 A KR 20210086385A KR 20230005542 A KR20230005542 A KR 20230005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wer
- sink
- water
- unit
- v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2—Washing facil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합차 내에 샤워 시설을 구비하여 캠핑장 등에서 차량 내에 마련된 샤워 시설을 이용하여 샤워를 할 수 있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having a shower facility provided in the van and capable of taking a shower using the shower facility provided in the vehicle at a camping site.
일반적으로 주말을 이용한 야외 캠핑과 같은 레저여행이 성행하고 있다.In general, leisure trips such as outdoor camping on weekends are prevalent.
캠핑 중에서도 캠핑카를 이용한 캠핑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버스의 차내를 가옥과 같이 개조한 홈카나 승용차로 견인하는 트레일러 내부에 각종 설비를 한 하우스 트레일러, 트럭의 하대(荷臺)에 거실을 올려놓은 캠핑 왜건 등이 있다.Among camping, camping using a camper is attracting attention, and this is a house trailer with various facilities inside a trailer towed by a car, a home car that has been remodeled like a house on a bus, and camping with a living room on the bottom of a truck. wagons, etc.
이중 가장 간단한 것은 2, 3개의 침대와 부엌을 설비한 것이지만, 호화로운 것은 다이닝키친, 목욕실, 화장실이 붙어있는 것도 있다. 마이크로 버스나 라이트밴, 소형 트럭 등을 개조한 캠핑카도 있다.Among them, the simplest one is equipped with two or three beds and a kitchen, but the luxurious one has a dining kitchen, bathroom, and toilet attached. There are also campers converted from microbuses, light vans, and small trucks.
국내에서도 다양한 캠핑카들이 선보이고 있으며, 지붕을 개조한 루프텐트(Roof-tent)형도 그 중 하나이다.A variety of camping cars are being introduced in Korea, and a roof-tent type with a modified roof is one of them.
또한, 2000년 초반 전국의 펜션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5년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며, 여행 트렌드도 단순한 여행지를 찾아 떠나는 여행에서 문화체험을 통한 여행으로 변하여, 현재에는 온가족이 함께 이용하는 테마가 있는 가족캠핑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ensions nationwide began to increase in the early 2000s and reached saturation in 2005, and the travel trend has changed from a trip to find a simple destination to a trip through cultural experience. Camping is a trend.
다양한 레저용품 시장의 확대도 등산, 낚시, 트래킹 등의 캠핑문화 발전에 큰 몫을 하고 있지만, 미디어매체에서도 야외에서 숙식을 하며 여가를 즐기는 모습을 방영함으로써 캠핑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심을 야기하였고, 그에 따라 관련 인터넷 동호회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The expansion of the various leisure goods market also plays a large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mping culture such as mountain climbing, fishing, and tracking. Accordingly, related Internet clubs are also actively operated.
한편, 숙박에 억매이지 않고, 조용하면서 한적한 곳으로의 여행을 즐기기 원하는 여행자들이 늘어나면서,차량의 내부에 각종 생활시설이 완비된 캠핑카(Camping Car) 또는 케러반(Caravan)을 이용하는 여행자들이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more travelers want to enjoy a trip to a quiet and secluded place without being constrained to stay, the number of travelers using a camping car or caravan equipped with various living facilities inside the vehicle is increasing. there is.
이와 같은 캠핑카는 언제 어디든 자유롭게 떠날 수 있을 것 같은 자유와 낭만을 심어주고 있으나, 국내 캠퍼들이 이용하는 캠핑카나 캠핑트레일러는 국내 정서와는 맞지 않는 제품이 대부분이며, 터무니없이 비싼 외국산 캠핑카와 디자인이 매우 조악한 국내산 캠핑카가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Camping cars like this instill freedom and romance as if they can freely leave anytime, anywhere, but most of the camping cars and camping trailers used by domestic campers are products that do not match the domestic sentiment, and are absurdly expensive foreign campers and very poor designs. Domestic camping cars occupy the market.
여가생활, 취미 등의 목적으로 캠핑인구가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용도의 캠핑카는 전용으로 제작된 차량만이 법적으로 허용되어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법적으로 승합차의 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일반 승합차를 캠핑카로의 개조가 붐을 일으키고 있다.The camping population is increasing for the purpose of leisure life and hobbies, and only vehicles manufactured exclusively for this purpose have been legally permitted and used. Furnace renovations are booming.
대부분의 캠핑카로서 적합하게 개조할 수 있는 차량은 10인 이상의 승합차를 기준으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탑차 차량이다.Most of the camper vans that can be suitably modified are boarding vehicles that can provide enough space based on vans with 10 or more people.
상기 승합차(乘合車)는 승용차보다 더 많은 사람을 태울 수 있는 자동차로서,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11인승 이상을 승합차로 분류한다.The van is a car that can carry more people than a passenger car, and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classified as a van with 11 or more seats.
이와 같이 승합차를 캠핑카로 개조하여 겨울낚시, 해돋이 감상, 가을 여행을 다니고, 이때 전기장판이나 차량용 온수매트를 승합차의 바닥에 깔아 난방을 한다.In this way, the van is converted into a camper, and winter fishing, sunrise appreciation, and autumn travel are carried out, and at this time, electric blankets or vehicle hot water mats are placed on the floor of the van for heating.
한편, 승합차나 지프형 RV(Recreational Vehicle) 또는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이하 '승합차'로 통칭함)에 설치하려는 경우 천장 내장재가 약해서 피스(나사못 등)를 박아도 쉽게 빠져 버리고, 화물차처럼 커튼레일이 없으며 고리를 고정할 곳이 없어 난방텐트의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install it in a van or jeep-type RV (Recreational Vehicle) or SUV (Sports Utility Vehicle) vehicl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van'), the interior material of the ceiling is weak and easily falls out even if you drive in a piece (screw, etc.), and it is like a truck. There is no curtain rail and there is no place to fix the hook,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heating tent was impossible.
또한 승합차의 내부에 다수의 캠핑에 필요한 시설이 설치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샤워를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 또는 설치할 수 없고, 이에 사용자는 캠핑장 등에 별도로 마련된 샤워 시설을 이용해야 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a number of facilities necessary for camping are installed inside the van,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or install a space where the user can take a shower, and thus the user has to use a shower facility separately provided in the camping groun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캠핑카'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camping car'.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캠핑카는 차량의 차체 양측에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도어가 마련되고, 후방에 내부와 통하는 테일게이트가 구비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차체의 실내공간부에는 실내측 공간을 확장 사용하기 위해 다용도의 내부 적재실이 차체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하게 구비된 캠핑카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공간부의 내측 벽에는 미사용시 내부적재실의 외측과 간섭되지 않게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실내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를 갖는 형태로 펼쳐지는 제1접이부재와, 상기 내부 적재실 내에는 미사용시 내부 적재실의 내측 벽으로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접이부재와 동일높이로 펼쳐지는 제2접이부재와, 상기 내부 적재실에 구비되어 펼쳐진 제2접이부재의 하부 받침 및 탁상용도로 사용하는 테이블과, 상기 내부 적재실의 후방 하부 양측에 출몰 및 출몰된 상태에서 일측이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차체 후방으로 인출된 내부 적재실의 하부를 지면으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체결 설치되어 연장되는 연장다리를 구비한다.In the camping ca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below, sliding or casement doo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vehicle, a tailgate is provided at the rear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excluding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 seat has an indoor space. In a camping car equipped with a multi-purpose internal loading compartment that slides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or extended use and appears, the inner wall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ody accommodating the internal loading compartment is fol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utside of the internal loading compartment when not in use. A first folding member that is fixed and is unfolded in a form having a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ior space when in use, and is folded and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ner loading compartment when not in use in the inner loading compartment, and when in use, the bottom of the inner loading compartment. A second fold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surface to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folding member, a lower support of the second folding member provided in the inner loading compartment and a table used for a tabletop, and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inner loading compartment A leg member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internal loading compartment drawn out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to the ground,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e at a right angle in the state of being in and out of the body, and an extension that is detachably screwed to the leg member and is installed and extended equip the legs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승합캠핑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승합캠핑카는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이 설치된 승합차량의 내부 후방에는 캠핑용 각종 도구를 다단으로 수납 보관 및 설치할 수 있도록 캠핑용 편의시설다단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핑용 편의시설다단설치부는 상단과 중간 및 하단으로 구분하되 상단에는 상단수납부와 냉장고수납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기구를 수납 보관하는 수납장과 음식물을 냉장 및 냉동 보관하는 냉장고를 설치하고 중간에는 후방에서 입출하면서 각종 요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수납인출형 수납조리대를 설치하며 하단에는 에어침대를 비롯하여 각종 물품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하단수납부와 장치장착함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중간에 설치되는 상기 수납인출형 수납조리대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조리대의 양측면과 차체의 내부 대응면에 다단가이드레일로서 1단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조리대를 차체의 내부로 수납하거나 차체의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조리대의 후반부 중앙에는 후방개방공간부를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여 조리사가 후방개방공간부를 통해 조리대의 내측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조리대의 전반부 중앙에는 물분사기가 구비된 싱크대를 설치하여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In the van camping car according to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합차의 중간 통로에 샤워 시설을 설치하여 캠핑카 내에서 샤워가 가능한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capable of showering in a camper by installing a shower facility in an intermediate passage of the va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합차의 중간 통로에 샤워 시설을 사용하지 않을 때 탑승자가 승합차 내부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that allows passengers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van when the shower facility is not used in the middle aisle of the van so that the limited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는 차량의 차체 양측에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도어(1)가 마련되고, 후방에 내부와 통하는 테일게이트(2)가 구비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차체의 실내공간부(3)에 실내측 공간을 확장 사용하기 위한 승합차 캠핑카에 있어서, 식기 또는 그릇을 세척할 수 있게 상기 실내공간부(3)의 일측에 설치되는 씽크대부(110); 상기 씽크대부(110)의 일측에 사용자가 샤워를 할 수 있도록 욕조(132)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출입도어(1)를 통해 실내공간부(3)로 통행할 수 있게 통로덮개(131)가 설치되는 샤워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sliding or opening doors 1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nd a
상기 실내공간부(130)에는 캠핑에 사용되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수납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상기 씽크대부(110)는 식기를 씻을 수 있게 마련되는 씽크대(111); 상기 씽크대(111)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113)을 넣고 뺄 수 있게 상기 씽크대(11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씽크대도어(112); 상기 씽크대도어(112)의 내측에 수납되고, 상기 식기를 씻을 수 있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113); 상기 물통(113)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샤워부(130)에 물을 공급되는 샤워호스(137)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114); 상기 물통(113)에서 펌핑된 물이 상기 씽크대(111)로 유출되게 상기 씽크대(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도꼭지(115);를 포함하며,The
상기 씽크대부(110)에는 식자재를 자를 수 있게 상기 씽크대(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마(116)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117)와, 식기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식기수납공간(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상기 샤워부(130)는 상기 출입도어(1)를 통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통로덮개(131); 상기 통로덮개(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샤워 중에 사용되는 물을 집수하는 욕조(132); 상기 욕조(132)에 집수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게 상기 욕조(1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욕조배수구멍(133); 상기 욕조배수구멍(133)을 통해 배수된 물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게 차체에 형성되는 배수구멍(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샤워부(130)는 상기 실내공간부(3)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튼프레임(135); 상기 커튼프레임(135)에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튼(136); 상기 물통(113)에서 펌핑된 물을 공급하는 샤워호스(137); 상기 샤워호스(137)의 선단에 설치되는 샤워헤드(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측면수납부(1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51); 타이어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바닥플레이트(151)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이어 가림판(152); 상기 타이어 가림판(152)의 상부에 고정되는 중간플레이트(153); 상기 중간플레이트(153)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54); 상기 중간플레이트(153)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54)의 일면에 고정되는 수직격판(155); 상기 수직격판(155)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56);을 포함하고,The side accommodating
상기 후방수납부(170)는 상기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171); 상기 상판(171)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수납케이스(172);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수납케이스(173);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개폐도어(174);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개폐도어(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에 의하면, 캠핑카 내에서 샤워를 할 수 있게 되고, 물통의 교체에 의해 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커튼을 전개시켜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샤워할 수 있게 되고, 샤워헤드를 개폐도어의 내측에 수납시켜 샤워를 하지 않는 동안에 샤워헤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ake a shower in the camper, use water continuously by replacing the water tank, and open the curtain to block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take a shower, and the shower head is housed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so that the shower head can be neatly stored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not taking a show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의 샤워부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의 욕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hower unit of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htub of a van camping ca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6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van camping ca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는 차량의 차체 양측에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도어(1)가 마련되고, 후방에 내부와 통하는 테일게이트(2)가 구비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차체의 실내공간부(3)에 실내측 공간을 확장 사용하기 위한 승합차 캠핑카에 있어서, 식기 또는 그릇을 세척할 수 있게 상기 실내공간부(3)의 일측에 설치되는 씽크대부(110)와, 상기 씽크대부(110)의 일측에 사용자가 샤워를 할 수 있도록 욕조(132)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출입도어(1)를 통해 실내공간부(3)로 통행할 수 있게 통로덮개(131)가 설치되는 샤워부(130)를 포함한다.A van camping ca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sliding or opening doors (1)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vehicle, a tailgate (2)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t the rear, and a driver's seat and In a van camping car for expanding and using the indoor space of the interior space part (3) of the vehicle body excluding the passenger seat, a sink unit (1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space part (3) to wash dishes or dishes And, 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합차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에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게 출입도어(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의 후방에는 테일게이트(2)가 설치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의 후방에서부터 테일게이트(2) 사이에는 실내공간부(3)가 형성된다.1 shows a v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ntrance door 1 is slidably installed so that passengers can board, a
상기 실내공간부(3)에는 캠핑 등에서 실내공간부(3)에서 숙식을 해결할 수 있도록 씽크대부(110)와, 실내공간부(3) 내에서 샤워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샤워부(130)와, 캠핑 등에서 사용되는 식기 또는 집기 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와 후방수납부(170)가 설치된다.In the
도 2는 샤워부(130)의 커튼(136)을 분리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샤워부(130)의 샤워헤드(138)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the
상기 씽크대부(110)는 식기를 씻을 수 있게 마련되는 씽크대(111)와, 상기 씽크대(111)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113)을 넣고 뺄 수 있게 상기 씽크대(11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씽크대도어(112)와, 상기 씽크대도어(112)의 내측에 수납되고, 상기 식기를 씻을 수 있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113)과, 상기 물통(113)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샤워부(130)에 물을 공급되는 샤워호스(137)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114)와, 상기 물통(113)에서 펌핑된 물이 상기 씽크대(111)로 유출되게 상기 씽크대(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도꼭지(115)를 포함한다.The
상기 씽크대부(110)에는 식자재를 자를 수 있게 상기 씽크대(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마(116)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117)와, 식기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도록 식기수납공간(119)이 설치된다.The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씽크대부(130)는 식기 또는 그릇 등을 씻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씽크볼이 형선된 씽크대(111)와 씽크대도어(112)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상기 씽크대도어(112)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씽크대도어(112)의 내부에는 씽크대(111)에서 식기 등을 씻는데 사용되는 물이 저장된 물통(113)이 수납된다.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즉, 씽크대(111)의 하부에는 캠핑카에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물통(113)이 수납되며, 상기 물통(113)은 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다수개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물의 사용 후 물통(113)을 교체할 수 있게 씽크대도어(112)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That is, a
상기 씽크대부(110)의 일면에는 샤워헤드(138)를 인출시킬 수 있게 개폐도어(114)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114)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opening/
또 상기 씽크대부(110)에는 물통(113)의 물이 분출되는 수도꼭지(115)가 설치되며, 씽크대(111)의 일측에는 음식 재료를 자를 수 있게 도마(116)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씽크대부(110)에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전자레인지(117)가 설치되며, 밥을 지을 수 있게 밥솥(118)이 구비되고, 수저, 젓가락, 접시 등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게 식기수납공간(119)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샤워부(130)는 씽크대부(110)와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The
상기 샤워부(130)는 상기 출입도어(1)를 통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통로덮개(131)와, 상기 통로덮개(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샤워 중에 사용되는 물을 집수하는 욕조(132)와, 상기 욕조(132)에 집수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게 상기 욕조(1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욕조배수구멍(133)과, 상기 욕조배수구멍(133)을 통해 배수된 물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게 차체에 형성되는 배수구멍(134)을 포함한다.The
상기 통로덮개(131)는 실내공간부(3)를 드나들 수 있게 출입도어(1) 사이에 위치되게 씽크대부(110)와 측면수납부(150) 사이에 설치된다.The
상기 통로덮개(131)는 욕조(132)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 시에는 사용자가 실내공간부(3) 내부를 통행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사용자가 샤워 시에는 물을 받아주는 욕조(132)를 개방시킬 수 있게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의 샤워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의 욕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hower unit of a van camping ca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van camping car having a shower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덮개(131)의 하부에는 욕조(132)가 설치되며, 상기 욕조(132)에는 욕조(132)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욕조배수구멍(133)이 형성된다.4 to 6, a
아울러 상기 욕조배수구멍(133)에서 배출된 물이 차량의 외부로 배수되게 차량에는 배수구멍(134)이 대응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도 4 및 도 6에서 각 배수구멍(133, 134)은 욕조(132)와 차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호스(미도시) 등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S. 4 and 6 , the drain holes 133 and 134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샤워부(130)의 상부에는 샤워 중인 사용자를 가릴 수 있게 커튼(136)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a
상기 실내공간부(3)의 천장에는 욕조(13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커튼프레임(135)이 설치되고, 상기 커튼프레임(135)에는 전개(펼침과 접힘)가 이루어지는 커튼(136)이 설치된다.A
또 샤워에 물을 사용할 수 있게 샤워호스(137)가 설치되며, 상기 샤워호스(137)는 물통(113)에 연결된다. 상기 물통(113)에는 물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미도시) 등이 설치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이러한 샤워호스(137)는 개폐도어(114)를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샤워호스(137)의 선단에는 물을 분사하여 주는 샤워헤드(138)가 설치된다.The
사용자는 샤워하기 위하여 개폐도어(114)의 내측에 있는 샤워헤드(138)를 외부로 인출시키고, 샤워부(130)의 통로덮개(131)를 들어올려 욕조(132)의 상면을 개방시킨다.To take a shower, the user draws the
이와 같이 통로덮개(131)를 개방시킴에 따라 욕조(132)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커튼프레임(135)에 설치되어 있는 커튼(136)를 펼쳐 외부와 차단되게 한다. 이때 출입도어(1)를 록킹시켜 실내공간부(3)를 외부와 차단시킴은 물론이다.As the
상기 물통(113)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펌핑에 의해 샤워호스(137)와 샤워헤드(138)에 공급되고, 사용자는 욕조(13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샤워를 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stored in the
상기 욕조(132)로 떨어진 물은 욕조배수구멍(133)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물통(113)에서 공급된 물은 욕조배수구멍(133)에 대응되게 형성된 배수구멍(134)을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water falling into the
상기 측면수납부(1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51)와, 타이어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바닥플레이트(151)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이어 가림판(152)과, 상기 타이어 가림판(152)의 상부에 고정되는 중간플레이트(153)와, 상기 중간플레이트(153)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54)와, 상기 중간플레이트(153)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54)의 일면에 고정되는 수직격판(155)과, 상기 수직격판(155)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56)을 포함한다.The
상기 후방수납부(170)는 상기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171)과, 상기 상판(171)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수납케이스(172)와,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수납케이스(173)와,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개폐도어(174)와,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개폐도어(175)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측면수납부(150)는 실내공간부(3)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측면수납부(150)의 바닥면에는 바닥플레이트(151)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151)의 상면에는 타이어에 대응되게 타이어 가림판(152)이 형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바닥플레이트(151)의 상부에는 중간플레이트(153)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153)의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154)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51, 153, 154)는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an
상기 플레이트(151, 153. 154)의 일측에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직격판(155)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격판(155)에는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56)가 설치된다.A
이들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에는 캠핑에 사용되는 물품을 보관함은 물론 의복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플레이트(151, 153, 154)에 의해 다층의 구획된 공간이 형성된다.In the pair of
또 상기 후방수납부(170)는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 사이에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판(171)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71)은 취침 등을 할 수 있게 다수개의 구획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상기 상판(171)의 하부에는 물품 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게 제1 수납케이스(172)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하부에는 제2 수납케이스(173)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A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172, 173)의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 개폐도어(174)가 설치되고, 수납케이스(172, 13)의 타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도어(175)가 설치된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상기 측면수납부(150)는 플레이트(151, 153, 154)에 의해 다층의 공간으로 구획 형성됨에 따라 캠핑에 사용되는 물품 등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며, 후방수납부(170)에는 의복 등을 별도로 수납, 보관할 수 있게 된다.As th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110: 씽크대부 111: 씽크대
112: 씽크대도어 113: 물통
114: 개폐도어 115: 수도꼭지
116: 도마 117: 전자레인지
118: 밥솥 119: 식기수납공간
130: 샤워부 131: 통로덮개
132: 욕조 133: 욕조배수구멍
134: 배수구멍 135: 커튼프레임
136: 커튼 137: 샤워호스
138: 샤워헤드
150: 측면수납부 151: 바닥플레이트
152: 타이어 가림판 153: 중간플레이트
154: 상부플레이트 155: 수직격판
156: 개폐도어
170: 후방수납부 171: 상판
172: 제1 수납케이스 173: 제2 수납케이스
174: 제1 개폐도어 175: 제2 개폐도어110: sink loan 111: sink
112: sink door 113: water tank
114: opening and closing door 115: faucet
116: cutting board 117: microwave
118: rice cooker 119: dish storage space
130: shower unit 131: passage cover
132: bathtub 133: bathtub drain hole
134: drainage hole 135: curtain frame
136: curtain 137: shower hose
138: shower head
150: side storage unit 151: bottom plate
152: tire cover plate 153: intermediate plate
154: upper plate 155: vertical diaphragm
156: opening and closing door
170: rear storage unit 171: top plate
172: first storage case 173: second storage case
174: first opening and closing door 175: second opening and closing door
Claims (6)
식기 또는 그릇을 세척할 수 있게 상기 실내공간부(3)의 일측에 설치되는 씽크대부(110);
상기 씽크대부(110)의 일측에 사용자가 샤워를 할 수 있도록 욕조(132)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출입도어(1)를 통해 실내공간부(3)로 통행할 수 있게 통로덮개(131)가 설치되는 샤워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Sliding or opening doors (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vehicle, and a tailgate (2) is provided at the rear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and the interior space is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3) of the vehicle body excluding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 seat. In the van camper for extended use,
a sink unit 1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door space unit 3 to wash dishes or bowls;
A bathtub 13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nk unit 110 so that the user can take a shower, and the passage cover 131 allows the user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door 1 to the indoor space unit 3 A van camper with a shower function comprising a; shower unit 130 in which is installed.
상기 실내공간부(130)에는 캠핑에 사용되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수납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side storage units 150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unit 130 to store items used for camping;
A van camping car with a show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ar storage unit 170 that is retractably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so as to store items.
상기 씽크대부(110)는 식기를 씻을 수 있게 마련되는 씽크대(111);
상기 씽크대(111)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113)을 넣고 뺄 수 있게 상기 씽크대(11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씽크대도어(112);
상기 씽크대도어(112)의 내측에 수납되고, 상기 식기를 씻을 수 있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113);
상기 물통(113)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샤워부(130)에 물을 공급되는 샤워호스(137)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114);
상기 물통(113)에서 펌핑된 물이 상기 씽크대(111)로 유출되게 상기 씽크대(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도꼭지(115);를 포함하며,
상기 씽크대부(110)에는 식자재를 자를 수 있게 상기 씽크대(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마(116)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117)와, 식기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식기수납공간(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ink unit 110 includes a sink 111 provided to wash dishes;
a sink door 11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111 to insert and remove the water container 113 for supplying water to the sink 111;
a water container 113 stored inside the sink door 112 and storing water for washing the dishes;
an opening/closing door 114 in which a shower hose 137 supplying water to the shower unit 130 using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113 is drawn out;
A faucet 11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nk 111 so that the water pumped from the water tank 113 flows out to the sink 111; includes,
In the sink unit 110, a cutting board 116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nk 111 to cut food materials, a microwave oven 117 to cook food, and tableware ar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and stored separately A van camper having a show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h storage space (119).
상기 샤워부(130)는 상기 출입도어(1)를 통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통로덮개(131);
상기 통로덮개(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샤워 중에 사용되는 물을 집수하는 욕조(132);
상기 욕조(132)에 집수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게 상기 욕조(1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욕조배수구멍(133);
상기 욕조배수구멍(133)을 통해 배수된 물이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게 차체에 형성되는 배수구멍(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According to claim 3,
The shower unit 130 includes a passage cover 131 installed so that a user can pass through the entrance door 1;
A bathtub 132 installed under the passage cover 131 to collect water used during a shower;
a bathtub drain hole 133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htub 132 to drain water collected in the bathtub 132;
A van camping car with a show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rain hole 134 formed in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bathtub drain hole 13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샤워부(130)는 상기 실내공간부(3)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튼프레임(135);
상기 커튼프레임(135)에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튼(136);
상기 물통(113)에서 펌핑된 물을 공급하는 샤워호스(137);
상기 샤워호스(137)의 선단에 설치되는 샤워헤드(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According to claim 3,
The shower part 130 includes a curtain frame 135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space part 3;
a curtain 136 installed in the curtain frame 135 to be deployable;
a shower hose 137 supplying the water pumped from the water tank 113;
A van camper with a shower function comprising a; shower head 138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hower hose 137.
상기 측면수납부(1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51);
타이어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바닥플레이트(151)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이어 가림판(152);
상기 타이어 가림판(152)의 상부에 고정되는 중간플레이트(153);
상기 중간플레이트(153)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54);
상기 중간플레이트(153)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54)의 일면에 고정되는 수직격판(155);
상기 수직격판(155)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56);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수납부(170)는 상기 한 쌍의 측면수납부(15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판(171);
상기 상판(171)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수납케이스(172);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저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수납케이스(173);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개폐도어(174);
상기 제1 수납케이스(172)의 타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개폐도어(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According to claim 3,
The side accommodating part 150 includes a bottom plate 151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 tire covering plate 152 formed in an arc shape of the bottom plate 151 to cover the tire;
an intermediate plate 153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ire cover plate 152;
an upper plate 154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153;
a vertical diaphragm 155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iddle plate 153 and the upper plate 154;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5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55,
The rear storage unit 170 includes a plurality of top plates 171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ide storage units 150;
a first storage case 172 retrac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171;
a second storage case 173 retrac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case 172;
a first opening/closing door 174 installed to be openable on one side of the first storage case 172;
A van camper with a show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door 175 installed to be openable and open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orage case 17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6385A KR20230005542A (en) | 2021-07-01 | 2021-07-01 | Van camper with shower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6385A KR20230005542A (en) | 2021-07-01 | 2021-07-01 | Van camper with shower fun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05542A true KR20230005542A (en) | 2023-01-10 |
Family
ID=848936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86385A Ceased KR20230005542A (en) | 2021-07-01 | 2021-07-01 | Van camper with shower fun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30005542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97937B1 (en) | 2024-09-27 | 2025-04-21 | 주식회사 제이릭 | A prefabricated shower box for camping car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37963B1 (en) | 2014-08-06 | 2014-09-12 | (주) 태화정공 | Camping car |
| KR101566761B1 (en) | 2015-02-26 | 2015-11-06 | 김민성 | A camping car |
| KR101917193B1 (en) | 2018-08-02 | 2018-11-09 | 김병곤 | The camping car with activated storage space |
-
2021
- 2021-07-01 KR KR1020210086385A patent/KR20230005542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37963B1 (en) | 2014-08-06 | 2014-09-12 | (주) 태화정공 | Camping car |
| KR101566761B1 (en) | 2015-02-26 | 2015-11-06 | 김민성 | A camping car |
| KR101917193B1 (en) | 2018-08-02 | 2018-11-09 | 김병곤 | The camping car with activated storage spac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97937B1 (en) | 2024-09-27 | 2025-04-21 | 주식회사 제이릭 | A prefabricated shower box for camping ca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4550946A (en) | Van layout | |
| US20090102231A1 (en) | Recreational vehicle with expandable living area | |
| KR101566761B1 (en) | A camping car | |
| KR101759036B1 (en) | A Camping Car | |
| US11345271B2 (en) | Camper systems and vehicles having a translocatable work area | |
| US7469949B2 (en) | Slidable room arrangement for recreational trailer | |
| CN204472664U (en) | A kind of pull type caravan | |
| KR102323761B1 (en) | Expandable swing sink facility deployed in camping car | |
| KR20180001293U (en) | TV cradle for camping vehicles with table function | |
| US10457189B1 (en) | Expandable compact camping trailer | |
| CN202863234U (en) | Self-propelled medium-sized motor home | |
| KR20230005542A (en) | Van camper with shower function | |
| KR100794475B1 (en) | Camping house mounted on loading box of the freight car | |
| CN102785607A (en) | Self-propelled medium-sized recreational vehicle | |
| US2862758A (en) | Camping equipment trailers | |
| US20250065795A1 (en) | Leisure vehicle, modular arrangement and modular construction system | |
| CN201077412Y (en) | Multipurpose caravan | |
| CN204659560U (en) | Caravan is pulled in a kind of campsite | |
| KR102705492B1 (en) | camping car | |
| CN107323336A (en) | A kind of new business touring car | |
| US20240294105A1 (en) | Motorhome with expandable bathroom | |
| KR102310203B1 (en) | Fixed type side sink facility deployed in camping car | |
| CN212556001U (en) | A campsite trailer | |
| KR102643994B1 (en) | Camping car equipped with an expandable table and bed | |
| NZ579219A (en) | bathroom module with shower and toile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