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05001A -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001A
KR20230005001A KR1020210085569A KR20210085569A KR20230005001A KR 20230005001 A KR20230005001 A KR 20230005001A KR 1020210085569 A KR1020210085569 A KR 1020210085569A KR 20210085569 A KR20210085569 A KR 20210085569A KR 20230005001 A KR20230005001 A KR 2023000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amino acids
represented
region represented
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60436B1 (ko
Inventor
김승구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이노베이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베이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이노베이션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8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60436B1/ko
Priority to PCT/KR2022/007656 priority patent/WO2023277361A1/ko
Priority to US18/575,494 priority patent/US20250129178A1/en
Publication of KR2023000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6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604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0/00Cellular immunotherapy
    • A61K40/10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40/11T-cells, e.g. tumou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or regulatory T [Treg] cells; Lymphokine-activated killer [LAK]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0/00Cellular immunotherapy
    • A61K40/30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recombinant expression of specific molecules in the cells of the immune system
    • A61K40/31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0/00Cellular immunotherapy
    • A61K40/40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antigens that are targeted or presented by cells of the immune system
    • A61K40/41Vertebrate antigens
    • A61K40/42Cancer antigens
    • A61K40/4254Adhesion molecules, e.g. NRCAM, EpCAM or cadherins
    • A61K40/4255Mesothelin [MSL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7CD8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78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07K2317/53Hi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2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signal sequ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3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ransmembrane se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소텔린(mesothelin)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CAR-T 세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메소텔린 발현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소텔린에 보다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스크리닝하여 신규한 항체 7종(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을 확립하였고, 상기 신규한 항체들이 메소텔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확립된 항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및 CAR-T 세포는 메소텔린을 효과적으로 인식하여 CAR-T 세포의 활성화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CAR-T 세포는 메소텔린이 과발현된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Antibody specific for mesotheli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메소텔린(mesothelin)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CAR-T 세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메소텔린 발현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소텔린(mesothelin, MSLN)은 69~71kDa 전구체 폴리펩티드로서 당단백질(glycoprotein)이고, 세포표면에 발현하여 세포와 세포가 달라 붙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 조직에서는 낮은 발현을 보이지만 중피암(Mesothelioma), 췌장암(Pancreatic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고형암에서 과발현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표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
메소텔린을 발현하는 폐암, 난소암 및 췌장암을 대상으로 하는 항체 기반의 표적화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으며(대한민국공개특허10-2017-0036503호; Chang, K, et al., Int J Cancer, 50(3):373, 1992), 특히,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를 이용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CAR-T 세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70016호; Zhiwei Zhang et al., Cell Death & Disease, 10:479, 2019).
이에, 본 발명에서는 메소텔린에 보다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개발하기 위해 메소텔린에 결합하는 항체를 스크리닝 하여 신규한 항체 7종(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을 확립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선별한 7종의 항체는 메소텔린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메소텔린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CAR-T 세포를 제조하였으며, MSLN-CAR-T 세포는 메소텔린 과발현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상기 항체를 발현하는 벡터,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세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메소텔린을 표적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체 또는 메소텔린을 표적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를 포함하는 암 또는 종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2)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2의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3)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4)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5)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6) 서열번호 5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또는
(7) 서열번호 6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된 메소텔린(mesothel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클론 항체, 바람직하게는 scFv(Single-chain variable fragmen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 항체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2) 항체는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3) 항체는 서열번호 2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4) 항체는 서열번호 3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5) 항체는 서열번호 4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
상기 (6) 항체는 서열번호 5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7) 항체는 서열번호 6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생산하는 재조합 세포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소텔린-결합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공동자극 도메인(costimulatory domain);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domain)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로,
상기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은 본 발명의 메소텔린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중에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CD8α, CD4, CD28, CD137, CD80, CD86, CD152 및 PD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동자극 도메인은 CD28, 4-1BB, OX-40 및 ICO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유래일 수 있고, 상기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 유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의 C 말단 및 막경유 도메인의 N 말단 사이에 위치된 힌지 부위(hinge region)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부위는 CD8α 유래일 수 있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plasmid),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al) 벡터 또는 렌티바이러스(lentiviral) 벡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포함하고,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있어서, 상기 면역 이펙터 세포는 T 세포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소텔린을 표적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 또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 또는 종양은 정상세포에 비해 메소텔린이 과발현된 암 또는 종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 또는 종양은 편평세포암,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폐의 선암종, 폐의 편평세포 암종, 중피암, 복막암, 간세포성암, 위장암, 췌장암, 신경교종,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간세포암, 유방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자궁내막 또는 자궁 암종, 타액선 암종, 신장암, 간암, 전립선암, 외음부암, 갑상선암, 간 암종, 백혈병 및 다른 림프구증식성 장애, 및 다양한 유형의 두경부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소텔린에 보다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스크리닝하여 신규한 항체 7종(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을 확립하였고, 상기 신규한 항체들이 메소텔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확립된 항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및 CAR-T 세포는 메소텔린을 효과적으로 인식하여 CAR-T 세포의 활성화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CAR-T 세포는 메소텔린이 과발현된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선별한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의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중피종(mesothelioma)세포(NCI-H2052)에 대한 결합력을 FACS로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2는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MSLN-CAR)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MSLN-CAR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한 MSLN-CAR 발현 세포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A) HEK293 세포주에 MSLN-CAR 발현 렌티바이러스를 형질전환시키는 방법 및 (B) 형질전환된 HEK293 세포의 메소텔린 펩타이드에 대한 결합능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MSLN-CAR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로 형질전환된 HEK293FT 세포에서 MSLN-CAR 발현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6은 MSLN-CAR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한 MSLN-CART 세포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A) 말초 혈액 단핵세포(PBMC)를 이용한 MSLN-CART 세포 제조방법 및 (B) 제조된 MSLN-CART 세포의 메소텔린 펩타이드에 대한 결합능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3A8, 4G11, 6G5 및 7C3 항체 각각을 이용하여 제조한 MSLN-CAR-T 세포의 메소텔린 펩타이드 결합능을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9는 3A8, 4G11, 6G5 및 7C3 항체 각각을 이용하여 제조한 MSLN-CAR-T 세포의 활성화를 확인하기 위해, 표적 세포의 존재하에 MSLN-CAR-T 세포에 의한 IFNγ 발현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0은 3A8, 4G11, 6G5 및 7C3 항체 각각을 이용하여 제조한 MSLN-CAR-T 세포에 의한 표적 세포의 사멸효과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메소텔린(mesothel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으로서,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2)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3)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4)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5)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6) 서열번호 5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7) 서열번호 6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체는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단일클론항체라고도 불리며, 단일 항체 형성세포가 생성하는 항체로, 1차 구조(아미노산 배열)가 균일한 특징이 있다. 오직 하나의 항원 결정기만을 인식하며, 일반적으로 암세포와 항체생산세포를 융합한 하이브리도마(hybridoma cell)을 배양하여 생산되지만, 확보된 항체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다른 재조합 단백질 발현 숙주세포를 이용하여 생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항체는 필요에 따라 CDR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인간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CDR", 즉 "상보성 결정 영역"은 중쇄 및 경쇄 폴리펩타이드 모두의 가변 영역 내에서 발견되는 비근접(non-contiguous) 항원 결합 부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간화 항체"는 인간에 의해 생산된 항체의 것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소유하고 및/또는 본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인간 항체를 만들기 위한 기술 중에서 한 가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항체이다. 인간화 항체의 이러한 정의는 비인간 항원 결합 잔기를 포함하는 인간화 항체를 특정적으로 배제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단편도 사용될 수 있다. 항체 분자의 단편이란 적어도 펩타이드 태그(에피토프)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scFv, Fab, F(ab'), F(ab')2,단일 도메인(single domain) 등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 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 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부위(hinge region)를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부위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으로, 이중쇄 Fv(dsFv)는 디설파이드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c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 영역과 경쇄의 가변 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항체 단편은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수득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 항체는 메소텔린 단백질 전체 또는 일부 펩타이드를 면역원(또는 항원)으로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면역원으로서 메소텔린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또는 메소텔린 단백질을 포함하는 캐리어(carrier)를 필요에 따라서 면역증강제인 아주반트(adjuvant)(예, Freund adjuvant)와 함께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의 피하, 근육, 정맥, 발볼록살 또는 복강 내에 1회 내지 그 이상 주사하는 것으로써 면역감작(immunization)을 시킨다. 상기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은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래트, 햄스터, 몰모트, 닭, 토끼, 고양이, 개, 돼지, 염소, 양, 당나귀, 말 또는 소(인간 항체를 생산하는 형질 전환(transgenic) 마우스와 같은 다른 동물 유래의 항체를 생산하도록 조작된 형질 전환(transgenic) 동물을 포함한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래트, 햄스터, 몰모트, 닭 또는 토끼이다. 첫 번째 면역으로부터 약 1~21일 마다 1~4회 면역을 실시하여, 최종 면역으로부터 약 1~10일 후에 면역 감작 된 포유동물로부터 항체 생산하는 세포를 수득할 수 있다. 면역을 시키는 회수 및 시간적 간격은 사용하는 면역원의 특징 등에 의하여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단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hybridoma)의 제조는 케이라 및 미르슈타인 등의 방법(Nature, 1975, Vol. 256, p. 495-497) 및 이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면역 감작된 인간을 제외한 동물로부터 채취한 비장, 림프절, 골수 또는 편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비장에 포함되는 항체 생산하는 세포와 자가 항체 생산 능력이 없는 포유동물 유래의 골수종 세포(myeloma cells)를 세포 융합시키는 것에 의해 하이브리도마(hybridoma)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포유동물은 마우스, 래트, 몰모트, 햄스터, 닭, 토끼 또는 인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래트, 닭 또는 인간일 수 있다.
세포 융합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센다이 바이러스를 비롯한 융합 촉진제나 전기 펄스에 의한 방법이 이용되고, 일례를 들면, 융합 촉진제를 함유하는 융합 배지에 항체 생산 세포와 무한 증식 가능한 포유류 유래의 세포를 약 1:1 내지 1:10의 비율로 부유시켜, 이 상태로, 약 30 내지 40℃로 약 1 내지 5분간 배양한다. 융합 배지에는, 예를 들면, MEM 배지, RPMI1640 배지 및 이스코브 변형 둘베코 배지(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를 비롯한 통상의 일반적인 것을 이용하면 좋고, 소 혈청 등의 혈청류는 제외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클론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은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획득한 융합 세포를 HAT 배지 등의 선택용 배지에 옮기고, 약 30 내지 40℃로 약 3일 내지 3주일 배양해서 하이브리도마 이외의 세포를 사멸시킨다. 이어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microtiter plate) 등에서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한 후, 위에서 기술한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면역반응에 사용한 면역원과 배양 상청액과의 반응성이 증가된 부분을 RIA(radioactive substance-marked immuno antibody) 또는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같은 면역분석방법을 통하여 찾는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찾은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클론은 상기 면역원에 대하여 특이적인 결합력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이와 같은 하이브리도마를 생체 내외에서 배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배양에는, 포유동물 유래의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이 이용되며, 배양물 등으로부터 단클론 항체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항체 일반을 정제하기 위한 이 분야에서의 통상의 방법이 이용된다. 각각의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염석(鹽析), 투석, 여과, 농축, 원심분리, 분별 침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어피니티 크로마토그래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및 등전점 전기영동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필요에 따라서 조합해서 적용된다. 정제한 단클론 항체는, 그 후, 농축, 건조하여, 용도에 따라서 액상 또는 고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중쇄(重鎖) 및 경쇄(輕鎖) 가변영역을 코딩하는 DNA를 각각, 중쇄 및 경쇄의 정상영역을 코딩하는 기지의 DNA(예를 들면, 일본 2007-252372호 공보 참조)와 각각 연결한 유전자를, PCR법, 또는, 화학 합성에 의해 합성하고, 그 유전자의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발현 벡터(pcDNA 3.1(Invitrogen 사 판매) 등에 이식하여 형질 전환체를 제조하고, CHO 세포나 대장균 등의 숙주 중에서 발현시킴으로써 항체를 생산하고, 이러한 배양액으로부터, 프로테인 A 또는 G(Protein A 또는 G) 컬럼 등을 이용해서 항체를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제조하기 위해, 메소텔린 단백질을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제조 및 스크리닝 하여,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scFv) 7종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각각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로 명명하였다.
(1) 상기 3A8 항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GYSFTGYT),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INPYNGGT)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ARVGGSSWYFDV)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QSLLYSSNQKNY),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WAS)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QQGNTLPWT)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3A8 항체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경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10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상기 4G11 항체는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GYSFTGYY),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ISCYNGAT)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ARWDRDWFAY)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QDVGIA),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WAS)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QQYSSYPFT)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4G11 항체는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로, 경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20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상기 5A9 항체는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GFSITSSSYC),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ICYEGSI) 및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SRENRLLKDAMDY)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QSLLSSRTRKNY),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WAS) 및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KQSYNLRT)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A9 항체는 서열번호 2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29의 염기서열로, 경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30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상기 6G5 항체는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GYSFTGYT),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INPYNGGT) 및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ARVGGSSWYFDV)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QSLLYSSNQKNY),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WAS) 및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QQYYTYPTWT)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G5 항체는 서열번호 3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39의 염기서열로, 경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40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 상기 7C3 항체는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GYTFSAYW),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ILPGSGST) 및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ARGDYYAMDY)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QSLLYSNGKTY), 서열번호 4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LVS) 및 서열번호 4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VQGTHFPFT)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7C3 항체는 서열번호 4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49의 염기서열로, 경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50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6) 상기 9E8 항체는 서열번호 5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GYSFTGYT),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INPYNGGT) 및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ARVGGSSWYFDV)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QSLLYSSNQKNY), 서열번호 5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WAS) 및 서열번호 5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QQYYSYPTWT)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E8 항체는 서열번호 5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59의 염기서열로, 경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60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7) 상기 9E11 항체는 서열번호 6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GYSITSDYA), 서열번호 6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ISYSGST) 및 서열번호 6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ARGAAGFAY)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QTIGTW), 서열번호 6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AAT) 및 서열번호 6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QQLYSTPWT)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E11 항체는 서열번호 6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며, 상기 중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69의 염기서열로, 경쇄 가변 부위는 서열번호 70의 염기서열로 코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인 항체는 바람직하게 scFv(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로, 중쇄 가변 부위 및 경쇄 가변 부위가 링커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7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2의 염기서열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쇄 가변부위-링커-중쇄 가변부위로 연결된 경우 3A8 항체는 서열번호 73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4의 염기서열로, 4G11 항체는 서열번호 75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6의 염기서열로, 5A9 항체는 서열번호 77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8의 염기서열로, 6G5 항체는 서열번호 79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0의 염기서열로, 7C3 항체는 서열번호 8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2의 염기서열로, 9E8 항체는 서열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4의 염기서열로, 9E11 항체는 서열번호 85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6의 염기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길이로 분리된 핵산 분자(nucleic acid molecule),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유사체를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1)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증폭과 같은 in-vitro 증폭; (2) 클로닝 및 재조합; (3) 절단(digestion) 및 겔 전기영동 분리와 같은 정제; (4) 화학 합성과 같은 합성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기 위한 핵산은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한 단편 조작(restriction fragment operation) 또는 SOE PCR의 적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벡터(expression vector)"는 적당한 숙주세포 내에서 목적 유전자가 발현할 수 있도록 프로모터 등의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제조물이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al) 벡터 및 렌티바이러스(lentiviral) 벡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당한 숙주로 형질전환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벡터는 코딩 영역이 적합한 숙주에서 정확하게 발현될 수 있게 하는 발현 제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요소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모터, 리보솜 결합 부위(ribosome-binding site), 인핸서(enhancer) 및 유전자 전사(transcription) 또는 mRNA 번역(translation)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조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발현 조절 서열의 특정 구조는 종 또는 세포 유형의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TATA 박스(box), 캡핑된(capped) 서열, CAAT 서열 등과 같은 전사 개시 및 번역 개시에 각각 참여하는 5' 비-전사 서열, 및 5' 또는 3' 비-번역 서열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5' 비-전사 발현 조절 서열은 기능적으로 연결된 핵산을 전사 및 조절하기 위한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모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로모터"는 전사를 지시하기에 충분한 최소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세포 유형 특이적 또는 외부의 신호 또는 제제에 의해 유도되는 조절 가능한 프로모터 의존적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하는 데 충분한 프로모터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은 유전자의 5' 또는 3'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존적 프로모터 및 유도적 프로모터 둘 다 포함된다. 프로모터 서열은 원핵생물, 진핵생물 또는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형질전환체"는 하나 이상의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갖는 벡터가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형질전환된 세포를 의미하고, 발현 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문헌(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2판),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1. 74, 1989)에 기재된 인산칼슘법 또는 염화캄슘/염화루비듐법, 일렉트로포레이션법(electroporation), 전기주입법(electroinjection), PEG 등의 화학적 처리방법, 유전자 총(gene gun)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벡터가 발현되는 형질전환체를 영양배지에서 배양하면 항체 단백질을 대량으로 제조, 분리 가능하다. 배지와 배양조건은 숙주 세포에 따라 관용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배양시 세포의 생육과 단백질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온도, 배지의 pH 및 배양시간 등의 조건들을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벡터는 항체의 생산을 위해 숙주세포,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세포에 형질전환 시킬 수 있다. 완벽한 글리코실화된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적합한 숙주 세포주의 수는 당해 분야에서 개발되어 왔으며 COS-1(예를 들면, ATCC CRL 1650), COS-7(예를 들면, ATCC CRL-1651), HEK293, BHK21(예를 들면, ATCC CRL-10), CHO(예를 들면, ATCC CRL 1610) 및 BSC-1(예를 들면, ATCC CRL-26) 세포주, Cos-7 세포, CHO 세포, hep G2 세포, P3X63Ag8653, SP2/0-Agl4, 293 세포, HeLa 세포 등을 포함하며, 이들 세포는 예를 들면,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미국)으로부터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메소텔린-결합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공동자극 도메인(costimulatory domain);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domain)을 포함하는,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로,
상기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은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2)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3)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4)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5)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6) 서열번호 5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7) 서열번호 6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키메릭 항원 수용체 (CAR)"는 일반적으로 항원 및 하나 이상의 세포 내 도메인과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세포 외 도메인을 함유하는 융합 단백질을 지칭한다. CAR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T 세포(CAR-T)의 핵심 부분이며, 항원(예를 들어, 종양 관련 항원) 결합 도메인, 막 관통 도메인, 공동 자극 도메인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CAR는 항체의 항원(예를 들어, 메소텔린) 특이성에 기초하여 T 세포 수용체-활성화 세포 내 도메인과 조합될 수 있다. 유전자가 변형된 CAR-발현 T 세포는 표적 항원-발현 악성 세포를 특이적으로 식별하고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메소텔린-결합 도메인(mesothelin-binding domain)"은 일반적으로 메소텔린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도메인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은 암 또는 종양세포에서 과발현된 메소텔린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메소텔린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결합 도메인(binding domain)"은 "세포 외 도메인(extracellular domain)", "세포 외 결합 도메인(extracellular binding domain)", "항원-특이적 결합 도메인(antigenspecific binding domain)" 및 "세포 외 항원-특이적 결합 도메인(extracellular antigen-specific biding domain)"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표적 항원(예를 들어,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CAR 도메인 또는 단편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메소텔린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은 상술한 항-메소텔린 항체로,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바람직하게는 scFv(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인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3A8, 4G11, 5A9, 6G5 및 7C3 항체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의 N 말단에 신호 펩타이드(signal peptid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펩타이드(signal peptide)"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전달을 안내하기 위한 펩타이드 사슬을 지칭한다. 신호 펩타이드는 5 내지 30 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 짧은 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9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의 C 말단 및 막관통 도메인의 N 말단 사이에 위치된 힌지 부위(hinge region)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부위는 CD8α 유래로,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5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위(hinge region)"는 일반적으로 항원-결합 영역과 면역 세포 Fc 수용체 (FcR)-결합영역 사이의 연결 영역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은 일반적으로 세포막을 통과하고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의 역할을 하는 CAR의 도메인을 지칭한다.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CD8α, CD4, CD28, CD137, CD80, CD86, CD152 및 PD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6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동 자극 도메인(costimulatory domain)"은 일반적으로 림프구의 항원에 대한 효과적인 반응에 필요한 세포 표면 분자인 면역 자극 분자를 제공할 수 있는 세포 내 도메인을 지칭한다. 상기 기재된 공동자극 도메인(costimulatory domain)은 CD28의 공동 자극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고, OX40 및 4-1BB의 공동 자극 도메인과 같은 TNF 수용체 패밀리의 공동 자극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7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4-1BB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domain)"은 일반적으로 세포 내부에 위치하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도메인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이다. 예를 들어,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 세포 내 도메인, CD28 세포 내 도메인, CD28 세포 내 도메인, 4-1BB 세포 내 도메인 및 OX40 세포 내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8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CD3ζ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MSLN-CAR)는 바람직하게 도 2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 코딩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벡터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MSLN-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MSLN-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메소텔린-결합 도메인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공동 자극 도메인을 코팅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소텔린-결합 도메인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인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 바람직하게는 3A8, 4G11, 6G5 및 7C3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일 수 있으며, 경쇄가변부위 및 중쇄가변부위가 링커로 연결된 scFv 형태로, 구체적인 염기서열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88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신호 펩타이드;
서열번호 7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3A8 항체, 서열번호 76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4G11 항체, 서열번호 8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6G5 항체 또는 서열번호 8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7C3 항체;
서열번호 90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막관통 도메인;
서열번호 91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4-1BB(공동자극 도메인); 및
서열번호 9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CD3ζ(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소텔린-결합 도메인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및 막관통 도메인 사이에, 힌지 부위(hinge region)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89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CD8 힌지 부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MSLN-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벡터는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로, 바람직하게는 렌티바이러스 벡터이며,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EF1α 프로모터;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며,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해 WPRE(woodchuck hepatitis virus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y elem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
상기 EF1α 프로모터는 서열번호 87의 염기서열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서열번호 87의 염기서열과 90% 이상, 93%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 동일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모터는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인 항-메소텔린 항체(scFv)의 발현을 유도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숙주 세포 내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도입하기 위한 생물학적 방법은 DNA 및 RNA 벡터의 사용을 포함한다. 바이러스 벡터, 및 특히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는 유전자를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세포 내로 삽입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다른 바이러스 벡터는 렌티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숙주 세포 내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도입하기 위한 화학적 수단은 콜로이드성 분산액 시스템, 예컨대 거대분자 복합체, 나노캡슐, 마이크로구체, 비드, 및 수중유 에멀젼, 미셀, 혼합된 미셀, 및 리포솜을 비롯한 지질-기반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전달 비히클로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콜로이드성 시스템은 리포솜(예를 들어, 인공 막 소포)이다. 핵산의 최신 기술의 표적화된 전달, 예를 들어, 표적화된 나노입자 또는 다른 적합한 마이크로미터-미만 크기의 전달 시스템을 사용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전달을 위한 다른 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비-바이러스 전달 시스템이 이용되는 경우에, 예시적인 전달 비히클은 리포솜이다. 지질 제제의 사용은 숙주세포 내로의 핵산의 도입(시험관 내, 생체 외 또는 생체 내)을 위해 고려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핵산은 지질과 회합될 수 있다. 지질과 회합된 핵산은 리포솜의 수성 내부에 캡슐화되거나, 리포솜의 지질 이중층 내에 점재되거나, 리포솜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둘 다와 회합된 연결 분자를 통해 리포솜에 부착되거나, 리포솜 내에 포획되거나, 리포솜과 복합체화되거나, 지질 함유 용액 중에 분산되거나, 지질과 혼합되거나, 지질과 조합되거나, 지질 내에 현탁액으로서 함유되거나, 미셀과 함께 함유 또는 복합체화되거나, 또는 지질과 달리 회합될 수 있다. 지질, 지질/DNA 또는 지질/발현 벡터 회합 조성물은 용액 중의 임의의 특정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 발현 면역 이펙터 세포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MSLN-CAR)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면역 이펙터 세포는 포유동물 유래 세포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 세포, B 세포, 자연 살해(NK) 세포, 수지상 세포, 골수 세포, 단핵세포, 또는 대식세포, 더 바람직하게는 T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SLN-CAR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는 본 발명의 MSLN-CAR 발현 벡터를 면역 이펙터 세포, 예를 들어 T 세포 또는 NK 세포 내로 도입시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SLN-CAR 발현 벡터는 전기천공법,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2000, Invitrogen) 등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 이펙터 세포는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의해 형질 감염되어 CAR 분자를 운반하는 바이러스 게놈을 숙주 게놈에 통합시켜 표적 유전자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현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이인자(transposon)는 CAR 운반 플라스미드(transposon) 및 전이효소 운반 플라스미드를 표적 세포 내로 도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CAR 분자는 유전자 편집방법 (예컨대 CRISPR/Cas9)에 의해 게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SLN-CAR를 코팅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 삽입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벡터를 T 세포에 형질전환 시켜 MSLN-CAR-T 세포를 제조하였다 (도 6 및 도 7). 제조된 MSLN-CAR-T 세포에서는 본 발명의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게 된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 제조를 위한 면역 이펙터 세포는 대상체로 부터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는 면역 반응이 도출될 수 있는 살아있는 유기체 (예를 들어, 포유동물)를 포함한다. 대상체의 예는 인간, 개, 고양이, 마우스, 래트, 및 그의 트랜스제닉 종을 포함한다. T 세포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 골수, 림프절 조직, 제대혈, 흉선 조직, 감염 부위로부터의 조직, 복수, 흉막 삼출, 비장 조직, 및 종양을 비롯한 수많은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상기 T 세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많은 기술, 예를 들면, 피콜(Ficoll)™ 분리를 사용하여 대상체로부터 수집된 혈액 단위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혈액으로부터 세포는 분리반출술에 의해 수득되며, 분리반출술 생성물은 전형적으로 T 세포, 단핵구, 과립구, B 세포를 비롯한 림프구, 다른 유핵 백혈구, 적혈구, 및 혈소판을 함유한다.
분리반출술에 의해 수집된 세포는 혈장 분획을 제거하고 세포를 후속 프로세싱 단계를 위해 적절한 완충제 또는 배지에 두기 위해 세척될 수 있다. T 세포는 적혈구를 용해시키고, 예를 들어 퍼콜(PERCOLL)™ 구배를 통한 원심분리에 의해 또는 역류 원심 분리에 의해 단핵구를 고갈시킴으로써 말초 혈액 림프구로부터 단리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말초 혈액 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로 부터 활성화된 T 세포를 분리한 다음, MSLN-CAR 렌티바이러스를 T 세포에 형질도입시켜 MSLN-CAR-T 세포를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3A8, 4G11, 6G5 및 7C3 항체를 이용하여 MSLN-CAR-T 세포를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된 MSLN-CAR-T 세포의 메소텔린-펩타이드 결합능을 확인하기 위해, CD3, CD4 또는 CD8이 활성화된 MSLN-CAR-T 세포에 대한 메소텔린 펩타이드에 대한 결합능을 확인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MSLN-CAR-T 세포가 메소텔린 펩타이드와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일구현예에서, MSLN-CAR-T 세포의 활성화를 확인하기 위해, 표적 세포의 존재하에 MSLN-CAR-T 세포에 의한 IFNγ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9a 내지 도 9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소텔린을 발현하지 않은 H28 세포에서는 T 세포가 활성화되지 않은 반면,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H2052 세포의 존재하에 T 세포가 활성화되어 IFNγ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구현예에서, MSLN-CAR-T 세포에 의한 표적 세포의 사멸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MSLN-CAR-T 세포는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H2052 세포 특이적인 사멸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 선별한 항체는 메소텔린 과발현 암 또는 종양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였으므로, 메소텔린 과발현 암 또는 종양 세포의 면역회피를 억제하여 면역세포/대식세포에 의한 세포 독성 또는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조한 MSLN-CAR-T 세포는 메소텔린 과발현 세포 특이적 사멸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항-메소텔린 항체, 이를 이용한 CAR-T 세포는 메소텔린 과발현과 관련된 질환, 특히,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메소텔린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메소텔린을 표적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를 포함하는,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 또는 종양은 정상대조군, 또는 정상 세포에 비해 메소텔린이 과발현된 암 또는 종양으로, 구체적으로 편평세포암,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폐의 선암종, 폐의 편평세포 암종, 중피암, 복막암, 간세포성암, 위장암, 췌장암, 신경교종,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간세포암, 유방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자궁내막 또는 자궁 암종, 타액선 암종, 신장암, 간암, 전립선암, 외음부암, 갑상선암, 간 암종, 백혈병 및 다른 림프구증식성 장애, 및 다양한 유형의 두경부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소텔린 과발현 암 또는 종양의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치료제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및/또는 경쇄에 공유결합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MSLN-CAR-T 세포와 병용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제는 항암제일 수 있다. 항암제는 암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키고, 세포독성 약제 및 세포 증식 억제제를 아우르는 비-펩타이드성(즉, 비-단백질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알킬화제, 니트로소요소, 항대사물질, 항종양 항생물질, 식물 (빈카) 알칼로이드 및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포함한다. 펩타이드성 화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메소텔린을 표적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는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 내에서 유일한 활성성분이거나, 또는 예를 들면, 항-T 세포, 항-IFNγ 또는 항-LPS 항체와 같은 다른 항체성분들, 또는 크산틴과 같은 비항체 성분들을 포함하는 다른 활성성분들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약제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항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목표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하는 데 필요한 치료제의 양을 의미하고, 또는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치료제의 양을 뜻한다. 어떤 항체에 대하여, 치료적 유효 투여량은 세포배양 분석법 또는 보통 설치류, 토끼, 개, 돼지 또는 영장류와 같은 동물 모델로 최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동물 모델은 또한 적절한 농도범위와 투여루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인간의 투약을 위해 유용한 투여량 및 루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간환자를 위한 정밀한 유효량은 질환상태의 심각도, 환자의 일반적 건강 상태, 환자의 나이, 체중 및 성별, 식이요법, 투여시간, 투여빈도, 약제조성, 반응감도 및 치료에 대한 내성/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양은 통상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임상의사의 판단의 범위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유효 투여량은 0.01 ~ 50mg/kg, 바람직하게는 0.1 ~ 20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mg/kg이다. 조성물은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다른 제제, 약제 또는 호르몬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가 투여되는 투여량은 치료될 상태의 성질, 악성 림프종 또는 백혈병의 등급, 및 항체가 질환 예방 차원에서 사용되는지 또는 현존하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투여빈도는 항체분자의 반감기, 약 효과의 지속성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항체분자가 짧은 반감기(예, 2 ~ 10시간)를 가지면, 하루당 1회 또는 그 이상의 투여량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는, 항체분자가 긴 반감기(예, 2 ~ 15일)를 가지면, 하루에 한번, 일주일에 한차례, 또는 매 1개월 또는 2개월당 한차례의 투여량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약제 조성물은 항체의 투여를 위하여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담체는 그 자신이 조성물을 투여받는 개체에 유해한 항체의 생성을 유발해서는 안되고, 독성이 없어야만 한다. 적당한 담체로는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리포오좀, 다당류, 폴리락틱산, 폴리글리콜산, 아미노산 중합체, 아미노산 공중합체 및 비활성 바이러스 입자들과 같은, 서서히 물질대사되는 거대분자일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들은, 예를 들면, 염화수소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과 같은 미네랄산염들,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말론산 및 벤조산 같은 유기산의 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치료 조성물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부가적으로, 물, 식염수, 글리세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액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습윤제, 유화제 또는 pH 완충물질과 같은 보조 물질들이 이런한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환자에 의한 약제 조성물 섭취를 위해, 정제, 환약, 당의정, 캡슐, 액체, 겔, 시럽, 슬러리 및 현탁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투여를 위한 바람직한 형태는, 예로써 주사(injection) 또는 주입(infusion)(예를 들면, 환괴(bolus) 주사 또는 연속적 주입)에 의한 비경구적 투약에 적합한 형태를 포함한다. 생성물이 주입 또는 주사용일 경우에는, 오일 또는 수용성 부형제내의 현탁제, 용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이는 현탁제, 방부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처방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항체분자는 무수형태일 수 있고, 사용전에 적절한 멸균액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일단 제제화된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에게 직접 투여될 수 있다. 치료받을 환자들은 동물일 수 있다. 그러나, 조성물은 인간 환자 투여를 위해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제한은 없지만, 경구, 정맥,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척추강내, 심실내, 경피(transdermal), 경피(transcutaneous)(예, WO 98/20734 참조),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내, 국소, 혀밑, 질내 또는 직장 경로를 포함하는 어떤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을 투여하는 데 하이포스프레이(hypospray)가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치료 조성물은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주사가능한 물질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주입전에 액체 부형제내용액 또는 현탁액에 적합한 고체 형태가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의 직접적인 전달은 일반적으로 주사, 피하주사, 복강내주사, 정맥내주사, 근육내주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조직의 간질(interstitial) 공간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조성물은 상처부위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 처리는 단일 복용 스케쥴 또는 다중 복용 스케쥴일 수 있다.
조성물내의 활성성분은 항체분자일 수 있다. 그 자체로, 위장관내에서 분해에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이 위장관을 사용하는 경로에 의해 투여되면, 조성물은, 분해로부터 항체를 보호하지만 일단 위장관으로부터 흡수된 항체를 방출시키는 제제를 함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완벽한 논의는 레밍톤 약제학지(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Mack Publishing Company, NJ, 1991)를 이용할 수 있다.
메소텔린 과발현 암 또는 종양의 진단 또는 모니터링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메소텔린 과발현 암 또는 종양의 진단 또는 모니터링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메소텔린 과발현 암 또는 종양은 정상대조군, 또는 정상 세포에 비해 메소텔린이 과발현된 암 또는 종양으로, 구체적으로 편평세포암,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폐의 선암종, 폐의 편평세포 암종, 중피암, 복막암, 간세포성암, 위장암, 췌장암, 신경교종,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간세포암, 유방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자궁내막 또는 자궁 암종, 타액선 암종, 신장암, 간암, 전립선암, 외음부암, 갑상선암, 간 암종, 백혈병 및 다른 림프구증식성 장애, 및 다양한 유형의 두경부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표지될 수 있다. 간접적 표지는 검출가능 표지를 포함하는 2차 항체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2차 항체가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에 결합한다. 다른 간접적 표지는 바이오틴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바이오티닐화된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검출가능 표지를 포함하는 아비딘 또는 스트렙트아비딘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적절한 검출가능 표지는 분광분석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전기적, 광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검출가능한 모든 조성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표지는, 비제한적으로, 자석 비드, 형광염료(예를 들어,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안산염, 텍사스 레드, 로다민, 초록 형광 단백질, 적색 형광 단백질, 황색 형광 단백질 등), 방사성 표지(예를 들어, 3H,125I,35S,14C또는 32P), 효소(예를 들어, 겨자무과산화효소,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루시퍼라아제 및 효소-연결 면역흡착검사(ELISA)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및 콜로이드성 골드 또는 착색 유리 또는 플라스틱(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등) 비드와 같은 표색계 표지를 포함한다.
또한, 진단 또는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항체는 형광 단백질로 표지될 수 있으며, 조영제 또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진단 키트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항체는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마이크로어레이, 칩, 유리, 비드 또는 입자, 또는 멤브레인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제조 및 선별
메소텔린(mesothelin) 특이적인 항체를 선별하기위해, 메소텔린과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제조하여 항체를 선별하였다.
먼저, 메소텔린 단백질(Acrobiosystems, cat#MSN-H5223)을 면역하여 비장세포를 적출하고 마우스 골수증세포와 세포 융합을 통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제작하였다.
세포 융합에 이용하는 마우스 골수종 세포는 HGPRT(HypoxanthineGuanidine-Phosphoribosyl-Transferase)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HAT 배지에서는 생존할 수 없으나, 하이브리도마는 비장세포와 융합함으로써 HAT 배지에서 생존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하이브리도마만을 증식시킬 수 있으므로, 통상 하이브리도마를 확립시킬때까지 HAT 배지에서 증식시켰다.
증식된 하이브리도마 중에서 메소텔린과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선별하기 위해 한계희석법을 사용하였다. 우선 96웰당 1개 세포 이하가 되도록 한 다음, 1개의 세포로부터 증식된 클론에서 얻어진 항체가 메소텔린과 결합하는지를 ELISA로 확인하고 메소텔린과 결합하는 클론을 선별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메소텔린과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선별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메소텔린에 결합하는 7종의 항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7종의 항체는 각각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로 명명하였으며, 이들의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였다. 서열분석 결과에 따른 각 항체의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에 대한 서열정보는 하기 표 1 내지 표 7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1 내지 7에서 밑줄 친 부분은 상보적 결정 부위(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를 의미한다.
3A8 항체 서열정보
3A8 서열정보 서열번호
중쇄가변부위 CDR1 GYSFTGYT 서열번호 1
중쇄가변부위 CDR2 INPYNGGT 서열번호 2
중쇄가변부위 CDR3 ARVGGSSWYFDV 서열번호 3
경쇄가변부위 CDR1 QSLLYSSNQKNY 서열번호 4
경쇄가변부위 CDR2 WAS 서열번호 5
경쇄가변부위 CDR3 QQYYSYPTWT 서열번호 6
중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EVQLQQSGPELVKPGASMKISCKAS GYSFTGYT MNWVKQSHGKNLEWIGL INPYNGGT SYNQKFKGKATLTVDKSSSTAYMELLSLTSEDSAVYYC ARVGGSSWYFDV WGAGTTVTVSS 서열번호 7
경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DIVMTQSPSSLAVSVGEKVIMSCKSS QSLLYSSNQKNY LAWYQQKPGQSPKLLIY WAS TRESGVPDRFTGSGSGTDFTLTISSVKAEDLAVYYC QQYYSYPTWT FGGGTKLEIK 서열번호 8
중쇄가변부위
염기서열
gaggtccagctgcaacagtctggacctgagctggtgaagcctggagcttcaatgaagatatcctgcaaggcttctggttactcattcactggctacaccatgaactgggtgaagcagagccatggaaagaaccttgagtggattggacttattaatccttacaatggtggtactagctacaaccagaagttcaagggcaaggccacattaactgtagacaagtcatccagcacagcctacatggagctcctcagtctgacatctgaggactctgcagtctattactgtgcaagggtgggcggtagtagctggtacttcgatgtctggggcgcagggaccacggtcaccgtctcctca 서열번호 9
경쇄가변부위
염기서열
gacattgtgatgacccagtctccatcctccctagctgtgtcagttggagagaaggttattatgagctgcaagtccagtcagagccttttatatagtagcaatcaaaagaactacttggcctggtaccagcagaaaccagggcagtctcctaaactgctgatttactgggcatccactagggaatctggggtccctgatcgcttcacaggcagtggatctgggacagatttcactctcaccatcagcagtgtgaaggctgaagacctggcagtttattactgtcagcaatattatagctatcctacgtggacgttcggtggaggcaccaagctggaaatcaaa 서열번호 10
4G11 항체 서열정보
4G11 서열정보 서열번호
중쇄가변부위 CDR1 GYSFTGYY 서열번호 11
중쇄가변부위 CDR2 ISCYNGAT 서열번호 12
중쇄가변부위 CDR3 ARWDRDWFAY 서열번호 13
경쇄가변부위 CDR1 QDVGIA 서열번호 14
경쇄가변부위 CDR2 WAS 서열번호 15
경쇄가변부위 CDR3 QQYSSYPFT 서열번호 16
중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EVQLQQSGPELVKTGDSVKISCKAS GYSFTGYY MHWVKQSHGKSLEWIGY ISCYNGAT SYSQKFKGKATFTVDTSSSTAYMQFNSLTSEDSAVYYC ARWDRDWFAY WGQGTLVTVSA 서열번호 17
경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DIVMTQSHKFMSTSVGDRVSITCKAS QDVGIA VAWYQQKPGQSPKLLIY WAS TRHTGVPDRFTGSGSGTDFTLTISNVQSEDLADYFC QQYSSYPFT FGSGTKLEIK 서열번호 18
중쇄가변부위
염기서열
taggtccagctgcaacagtctggacctgagctagtgaagactggggattcagtgaagatatcctgcaaggcttctggttactcattcactggttactacatgcactgggtcaagcagagccatggaaagagccttgagtggattggatatattagttgttacaatggtgctactagctacagccagaagttcaagggcaaggccacatttactgtagacacatcctccagcacagcctacatgcagttcaacagcctgacatctgaagactctgcggtctattactgtgcaagatgggacagggactggtttgcttactggggccaagggactctggtcactgtctctgca 서열번호 19
경쇄가변부위
염기서열
tacattgtgatgacccagtctcacaaattcatgtccacatcagtgggagacagggtcagcatcacctgcaaggccagtcaggatgtgggtattgctgtagcctggtatcaacagaaaccagggcaatctcctaaactactgatttactgggcatccacccggcacactggagtccctgatcgcttcacaggcagtggatctgggacagatttcactctcaccattagcaatgtgcagtctgaagacttggcagattatttctgtcagcaatatagcagctatccattcacgttcggctcggggacaaagttggaaataaaa 서열번호 20
5A9 항체 서열정보
5A9 서열정보 서열번호
중쇄가변부위 CDR1 GFSITSSSYC 서열번호 21
중쇄가변부위 CDR2 ICYEGSI 서열번호 22
중쇄가변부위 CDR3 SRENRLLKDAMDY 서열번호 23
경쇄가변부위 CDR1 QSLLSSRTRKNY 서열번호 24
경쇄가변부위 CDR2 WAS 서열번호 25
경쇄가변부위 CDR3 KQSYNLRT 서열번호 26
중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EVQLEESGPAVIKPSQSLSLTCIVS GFSITSSSYC WHWIRQPPGKGLEWMGR ICYEGSI YYSPSIKSRFTISRDTSLNKFFIQLSSVTNEDTAMYYC SRENRLLKDAMDY WGQGTSVTVSS 서열번호 27
경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DIVMTQSPSSLAVSAGEKVTMSCKSS QSLLSSRTRKNY LAWYQQKPGQSPKLLIY WAS TRESGVPDRFTGSGSGTDFTLTISSVQAEDLAVYYC KQSYNLRT FGGGTKLEIK 서열번호 28
중쇄가변부위
염기서열
caggtgcagctggaggagtctggacctgctgtcatcaagccatcacagtcactgtctctcacctgcatagtctctggattctccatcacaagtagtagttattgctggcactggatccgccagcccccaggaaaggggttagagtggatggggcgcatatgttatgaaggttcaatatactatagtccatccatcaaaagccgcttcaccatctccagagacacatctctgaacaaattctttatccagctgagctctgtgacaaatgaggacacagccatgtactactgttccagggaaaaccgcctactgaaggacgctatggactactggggtcaaggaacctcagtcaccgtctcctca 서열번호 29
경쇄가변부위
염기서열
aacattgtgatgacccagtctccatcctccctggctgtgtcagcaggagagaaggtcactatgagctgcaaatccagtcagagtctgctcagcagtagaacccgaaagaactacttggcttggtaccagcagaaaccagggcagtctcctaaactgctgatctactgggcatccactagggaatctggggtccctgatcgcttcacaggcagtggatctgggacagatttcactctcaccatcagcagtgtgcaggctgaagacctggcagtttattactgcaaacaatcttataatcttcggacgttcggtggaggcaccaagctggaaatcaaa 서열번호 30
6G5 항체 서열정보
6G5 서열정보 서열번호
중쇄가변부위 CDR1 GYSFTGYT 서열번호 31
중쇄가변부위 CDR2 INPYNGGT 서열번호 32
중쇄가변부위 CDR3 ARVGGSSWYFDV 서열번호 33
경쇄가변부위 CDR1 QSLLYSSNQKNY 서열번호 34
경쇄가변부위 CDR2 WAS 서열번호 35
경쇄가변부위 CDR3 QQYYTYPTWT 서열번호 36
중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EVQLQQSGPELVKPGASMKISCKAS GYSFTGYT MNWVKQSHGKNLEWIGL INPYNGGT SYNQKFKGKATLTVDKSSSTAYMELLSLTSEDSAVYYC ARVGGSSWYFDV WGAGTTVTVSS 서열번호 37
경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DIVMTQSPSSLAVSVGEKVTMSCKSS QSLLYSSNQKNY LAWYQQKPGQSPKLLIY WAS TRESGVPDRFTGSGSGTDFTLTISSVKAEDLAVYYC QQYYTYPTWT FGGGTKLEIK 서열번호 38
중쇄가변부위
염기서열
aaggtccagctgcaacagtctggacctgagctggtgaagcctggagcttcaatgaagatatcctgcaaggcttctggttactcattcactggctacaccatgaactgggtgaagcagagccatggaaagaaccttgagtggattggacttattaatccttacaatggtggtactagttacaaccagaagttcaagggcaaggccacattaactgtagacaagtcatccagcacagcctacatggagctcctcagtctgacatctgaggactctgcagtctattactgtgcaagggtgggcggtagtagctggtacttcgatgtctggggcgcagggaccacggtcaccgtctcctca 서열번호 39
경쇄가변부위
염기서열
tacattgtgatgacccagtctccatcctccctagctgtgtcagttggagagaaggttactatgagctgcaagtccagtcagagccttttatatagtagcaatcaaaagaactacttggcctggtaccagcagaaaccagggcagtctcctaaactgctgatttactgggcatccactagggaatctggggtccctgatcgcttcacaggcagtggatctgggacagatttcactctcaccatcagcagtgtgaaggctgaagacctggcagtttattactgtcagcaatattatacctatcctacgtggacgttcggtggaggcaccaagctggaaatcaaa 서열번호 40
7C3 항체 서열정보
7C3 서열정보 서열번호
중쇄가변부위 CDR1 GYTFSAYW 서열번호 41
중쇄가변부위 CDR2 ILPGSGST 서열번호 42
중쇄가변부위 CDR3 ARGDYYAMDY 서열번호 43
경쇄가변부위 CDR1 QSLLYSNGKTY 서열번호 44
경쇄가변부위 CDR2 LVS 서열번호 45
경쇄가변부위 CDR3 VQGTHFPFT 서열번호 46
중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EVQLQQSGAELMRPGASVKISCKAT GYTFSAYW IEWVKQRPGHGLEWIGE ILPGSGST KYNEKFKGKATFTADTSSNTAYMQLSSLTSEDSAVYYC ARGDYYAMDY WGQGTSVTVSS 서열번호 47
경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DVLMTQTPLTLSVTIGQPASISCKSS QSLLYSNGKTY LNWLLQRPGQSPKRLIY LVS KLDSGVPDRFTGSGSGTDFTLKISRVEAEDLGVYYC VQGTHFPFT FGSGTKLEIK 서열번호 48
중쇄가변부위
염기서열
taggtccagctgcaacagtctggagctgagctgatgaggcctggggcctcagtgaagatatcctgcaaggctactggctacacattcagtgcctactggatagagtgggtaaagcagaggcctggacatggccttgagtggattggagagattttacctggaagtggtagtactaaatacaatgagaagttcaagggcaaggccacattcactgcagatacatcctccaacacagcctacatgcaactcagcagcctgacatctgaggactctgccgtctattactgtgcaagaggggattactatgctatggactactggggtcaaggaacctcagtcaccgtctcctca 서열번호 49
경쇄가변부위
염기서열
aatgttttgatgacccaaactccactcactttgtcggttaccattggacaaccagcctctatctcttgcaagtcaagtcagagcctcttatatagtaatggaaaaacctatttgaattggttattacagaggccaggccagtctccaaagcgcctaatctatctggtgtctaaactggactctggagtccctgacaggttcactggcagtggatcaggaacagattttacactgaaaatcagcagagtggaggctgaggatttgggagtttattactgcgtgcaaggtacacattttccattcacgttcggctcggggacaaagttggaaataaaa 서열번호 50
9E8 항체 서열정보
9E8 서열정보 서열번호
중쇄가변부위 CDR1 GYSFTGYT 서열번호 51
중쇄가변부위 CDR2 INPYNGGT 서열번호 52
중쇄가변부위 CDR3 ARVGGSSWYFDV 서열번호 53
경쇄가변부위 CDR1 QSLLYSSNQKNY 서열번호 54
경쇄가변부위 CDR2 WAS 서열번호 55
경쇄가변부위 CDR3 QQYYSYPTWT 서열번호 56
중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EVQLQQSGPELVKPGASMKISCKAS GYSFTGYT MNWVKQSHGKNLEWIGL INPYNGGT SYNQKFKGKATLTVDKSSSTAYMELLSLTSEDSAVYYC ARVGGSSWYFDV WGAGTTVTVSS 서열번호 57
경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DIVMTQSPSSLAVSVGEKVIMSCKSS QSLLYSSNQKNY LAWYQQKPGQSPKLLIY WAS TRESGVPDRFTGSGSGTDFTLTISSVKAEDLAVYYC QQYYSYPTWT FGGGTKLEIK 서열번호 58
중쇄가변부위
염기서열
gaggtccagctgcaacagtctggacctgagctggtgaagcctggagcttcaatgaagatatcctgcaaggcttctggttactcattcactggctacaccatgaactgggtgaagcagagccatggaaagaaccttgagtggattggacttattaatccttacaatggtggtactagctacaaccagaagttcaagggcaaggccacattaactgtagacaagtcatccagcacagcctacatggagctcctcagtctgacatctgaggactctgcagtctattactgtgcaagggtgggcggtagtagctggtacttcgatgtctggggcgcagggaccacggtcaccgtctcctca 서열번호 59
경쇄가변부위
염기서열
gacattgtgatgacccagtctccatcctccctagctgtgtcagttggagagaaggttattatgagctgcaagtccagtcagagccttttatatagtagcaatcaaaagaactacttggcctggtaccagcagaaaccagggcagtctcctaaactgctgatttactgggcatccactagggaatctggggtccctgatcgcttcacaggcagtggatctgggacagatttcactctcaccatcagcagtgtgaaggctgaagacctggcagtttattactgtcagcaatattatagctatcctacgtggacgttcggtggaggcaccaagctggaaatcaaa 서열번호 60
9E11 항체 서열정보
9E11 서열정보 서열번호
중쇄가변부위 CDR1 GYSITSDYA 서열번호 61
중쇄가변부위 CDR2 ISYSGST 서열번호 62
중쇄가변부위 CDR3 ARGAAGFAY 서열번호 63
경쇄가변부위 CDR1 QTIGTW 서열번호 64
경쇄가변부위 CDR2 AAT 서열번호 65
경쇄가변부위 CDR3 QQLYSTPWT 서열번호 66
중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QVQLKESGPGLVKPSQSLSLTCTVT GYSITSDYA WNWIRQFPGNKLEWMGY ISYSGST R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 ARGAAGFAY WGQGTLVTVSA 서열번호 67
경쇄가변부위
아미노산서열
DIVMTQSPASQSASLGESVTITCLAS QTIGTW LAWYQQKPGKSPQLLIY AAT SLADGVPSRFSGSGSGTEFSFKISSLQAEDFVSYYC QQLYSTPWT FGGGTKLEIK 서열번호 68
중쇄가변부위
염기서열
gaggtgcagctgaaggagtcgggacctggcctggtgaaaccttcgcagtctctgtccctcacctgcactgtcactggctactcaatcaccagtgattatgcctggaactggatccggcagtttccaggaaacaaactggagtggatgggctacataagctacagtggaagcactaggtacaacccatctctcaaaagtcgaatctctatcactcgagacacatccaagaaccagttcttcctgcagttgaattctgtgactactgaggacacagccacatattactgtgcaagaggggctgcgggctttgcttactggggccaagggactctggtcactgtctctgca 서열번호 69
경쇄가변부위
염기서열
tacattgtgatgacccagtctcctgcctcccagtctgcatctctgggagaaagtgtcaccatcacatgcctggcaagtcagaccattggtacatggttagcatggtatcagcagaaaccagggaaatctcctcagctcctgatttatgctgcaaccagcttggcagatggggtcccatcaaggttcagtggtagtggatctggcacagaattttctttcaagatcagcagcctacaggctgaagattttgtaagttattactgtcaacaactttacagtactccgtggacgttcggtggaggcaccaagctggaaatcaaa 서열번호 70
선별한 항체의 메소텔린에 대한 특이성 확인 - ELISA 분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립한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의 메소텔린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해,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메소텔린 펩타이드를 코딩하기 위해, 메소텔린 펩타이드를 100 ng/웰이 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다음,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3% BSA가 포함된 1 X PBST를 처리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블로킹시켰다.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 생산하는 각 클론의 하이브리도마 세포 배양액 3 ㎕를 각 웰에 처리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 X PBST로 3번 세척하였다. 2차 항체(anti-HRP, 1:10,000)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 X PBST로 3번 세척한 다음, 발색을 위해 TMB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1N H2SO4의 정지액(stop solution)을 처리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LISA 실험 조건
ELISA reader Infinite F50
Measurement Filter 450 nm
Measurement Mode Single Point Photo
Antigen Coating 100 ng/well
2 nd Antibody (Anti-mIgG -HRP) 1:10,000 dilution
Substrate TMB
ELISA 실험 결과
항체 종류 OD450 측정값
3A8 1.270
4G11 1.352
5A9 1,487
6G5 1.424
7C3 1.518
9E8 0.758
9E11 1.640
그 결과,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별한 항체가 모두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별한 항체의 메소텔린에 대한 특이성 확인 - FACS 분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립한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의 메소텔린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해, FACS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주중피종(mesothelioma)세포주인 NCI-H2052(4 x 105개)와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1 ㎍) 각각을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2차 항체로 표면을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메소텔린 항체(APC anti-human Mesothelin; R&D Systems, cat#FAB32652A, 5㎕)를, 2차 항체로는 PE-컨쥬게이션된 항-마우스 IgG 항체(PE-conjugated goat anti-mouse IgG; Biolegend Inc., cat# 405307, 미국, 5㎕)를 사용하였다.
FACS 분석 결과
항체 종류 Count Median Mean
3A8 10094 704 861
4G11 10132 1116 1256
5A9 10120 58.5 63.2
6G5 10056 560 705
7C3 10111 444 528
9E8 10090 56.2 77.7
9E11 10123 69.1 81.4
양성대조군(positive) 10101 53.4 57.8
2차 항체만 처리(2nd Ab alone) 10120 55.1 62.7
무처리(none) 10080 13.7 14.1
그 결과, 도 1 및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3A8, 4G11, 5A9, 6G5, 7C3, 9E8 및 9E11 항체 모두 메소텔린을 발현하는 세포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MSLN-CAR) 발현 벡터 제작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3A8, 4G11, 6G5 및 7C3 항체를 이용하여,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MSLN-CAR 렌티바이러스)를 제조하였다.
도 3의 모식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EF1α 프로모터(서열번호 87);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서열번호 88);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서열번호 74, 서열번호 76, 서열번호 80, 서열번호 82);
CD8 힌지 부위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서열번호 89);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서열번호 90);
4-1BB(공동자극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서열번호 91);
CD3ζ(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서열번호 92); 및
WPRE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서열번호 93)로 구성된 CAR DNA를 생체외 (in vitro)에서 합성하여 3세대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삽입하였다.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pMDLg/pRRE (Addgene, cat# #12251) pMD2.G (Addgene, cat##12259), pRSV-Rev (Addgene, cat##12253)의 세 가지 벡터 함께 HEK293FT 세포로 공동 감염(co-transfection)시킨 다음, MSLN-CAR 렌티바이러스를 생산하였다. 공동 감염을 위해 Lipofectamine 3000 transfection kit(Invitrogen, cat# L3000-015)와 Opti-MEM+GlutaMAX (gibco, cat# 51985-034) 배지를 사용하여 세 가지 벡터와 HEK293FT 세포를 4시간 배양하였다.
렌티바이러스 벡터로 형질감염된 HEK293FT에서 MSLN 특이적인 CAR가 발현이 되는지 확인한 결과(도 4B),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메소텔린(MSLN) 항체 발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MSLN-CAR-T 세포 제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MSLN-CAR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T 세포에 형질전환시켜 항-MSLN 항체(3A8, 4G11, 6G5 및 7C3 항체) 기반 MSLN-CAR-T 세포를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혈액에서 말초혈액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를 분리한 다음, T 세포활성화비드(T cell activation bead; Miltenyl Biotec, cat# 130-091-441)를 사용해 T 세포를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T 세포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MSLN-CAR 렌티바이러스를 T 세포에 형질 도입시켜 MSLN-CAR-T 세포를 제조하였다.
MSLN-CAR-T 세포의 메소텔린 펩타이드 결합능은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MSLN-CAR-T세포를 항-CD3, 항-CD4, 항-CD8 항체를 이용하여 CD3, CD4 또는 CD8이 활성화된 MSLN-CAR-T 세포로 각각 분류한 다음, 메소텔린(FITC-MSLN) 펩타이드와 반응시킨 후, FACS 기계를 이용해 형광 세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CD3, CD4 또는 CD8이 활성화된 MSLN-CAR-T 세포 모두 메소텔린 펩타이드와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소텔린 발현 세포에서 MSLN-CAR-T 세포 활성화 확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MSLN-CAR-T 세포가 메소텔린 발현 세포 특이적으로 활성화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적세포의 존재 하에 MSLN-CAR-T 세포에 의한 IFNγ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표적세포는 메소텔린을 발현하지 않는 H28 세포(mesothelioma cell line; 세포주 등록번호 정보) 및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H2052 세포(mesothelioma cell line; 세포주 등록번호 정보)를 이용하였으며, 표적세포와 MSLN-CAR-T 세포를 1:2, 1:1 및 1:0.5 비율로 일정시간 반응시킨 후 surface & intra antibody로 염색하여 유세포분석기로 측정하였다 (INF-r, CD3, CD4, CD8 염색).
그 결과 도 9a 내지 도 9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소텔린을 발현하지 않은 H28 세포에서는 T 세포가 활성화되지 않은 반면,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H2052 세포의 존재하에 T 세포가 활성화되어 IFNγ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소텔린 발현 세포에 대한 MSLN-CAR-T 세포의 사멸 효과 확인
본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항-메소텔린 항체 기반 MSLN-CAR-T세포에 의한 표적세포의 사멸효과를 확인하였다.
표적세포는 메소텔린을 발현하지 않는 H28 세포 및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H2052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표적세포와 MSLN-CAR-T 세포가 1:20, 1:10, 1:4, 1:2, 1:1 비율이 되도록 각각 혼합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루미네센스 (CytoTox-Glo Cytotoxicity Assay, Promega, cat. NO G9291)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으로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세포 사멸 정도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 Cytotoxicity = [(Experimental - Effector Spontaneous - Target Spontaneous) / (Target Maximum - Target Spontaneous)] X 100
Experimental: 표적세포 및 CAR-T 세포 복합 배양의 배지로부터 도출된 발광(Luminescence)값
Effector Spontaneous: CAR-T 세포만의 배지로부터 도출된 발광값
Target Spontaneous: 표적세포만의 배지로부터 도출된 발광값
Target Maximum: 표적세포의 100% 용해(용해시약 (Lysis Reagent) 이용)로부터 도출된 발광값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메소텔린 항체(3A8 및 4G11) 기반 MSLN-CAR-T 세포는 메소텔린을 과발현하는 H2052 세포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InnoBation Bio Co., Ltd. <120> Antibody specific for mesothelin and uses thereof <130> PDPC214316 <160> 9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H_CDR1 <400> 1 Gly Tyr Ser Phe Thr Gly Tyr Thr 1 5 <210> 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H_CDR2 <400> 2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1 5 <210> 3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H_CDR3 <400> 3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1 5 10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L_CDR1 <400> 4 Gln Ser Leu Leu Tyr Ser Ser Asn Gln Lys Asn Tyr 1 5 10 <210> 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L_CDR2 <400> 5 Trp Ala Ser 1 <210> 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L_CDR3 <400> 6 Gln Gln Tyr Tyr Ser Tyr Pro Thr Trp Thr 1 5 10 <210> 7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H amino acid <400> 7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Leu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Met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Tyr 20 25 30 Thr Met Asn Trp Val Lys Gln Ser His Gly Lys Asn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Leu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Ser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Leu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Ala Gly 100 105 110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8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L amino acid <400> 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Val Gly 1 5 10 15 Glu Lys Val Ile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Ser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Lys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Gln Gln 85 90 95 Tyr Tyr Ser Tyr Pro Thr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100 105 110 Ile Lys <210> 9 <211> 3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H nucleotide <400> 9 gaggtccagc tgcaacagtc tggacctgag ctggtgaagc ctggagcttc aatgaagata 60 tcctgcaagg cttctggtta ctcattcact ggctacacca tgaactgggt gaagcagagc 120 catggaaaga accttgagtg gattggactt attaatcctt acaatggtgg tactagctac 180 aaccagaagt tcaagggcaa ggccacatta actgtagaca agtcatccag cacagcctac 240 atggagctcc tcagtctgac atctgaggac tctgcagtct attactgtgc aagggtgggc 300 ggtagtagct ggtacttcga tgtctggggc gcagggacca cggtcaccgt ctcctca 357 <210> 10 <211> 3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_VL nucleotide <400> 10 Gly Ala Cys Ala Thr Thr Gly Thr Gly Ala Thr Gly Ala Cys Cys Cys 1 5 10 15 Ala Gly Thr Cys Thr Cys Cys Ala Thr Cys Cys Thr Cys Cys Cys Thr 20 25 30 Ala Gly Cys Thr Gly Thr Gly Thr Cys Ala Gly Thr Thr Gly Gly Ala 35 40 45 Gly Ala Gly Ala Ala Gly Gly Thr Thr Ala Thr Thr Ala Thr Gly Ala 50 55 60 Gly Cys Thr Gly Cys Ala Ala Gly Thr Cys Cys Ala Gly Thr Cys Ala 65 70 75 80 Gly Ala Gly Cys Cys Thr Thr Thr Thr Ala Thr Ala Thr Ala Gly Thr 85 90 95 Ala Gly Cys Ala Ala Thr Cys Ala Ala Ala Ala Gly Ala Ala Cys Thr 100 105 110 Ala Cys Thr Thr Gly Gly Cys Cys Thr Gly Gly Thr Ala Cys Cys Ala 115 120 125 Gly Cys Ala Gly Ala Ala Ala Cys Cys Ala Gly Gly Gly Cys Ala Gly 130 135 140 Thr Cys Thr Cys Cys Thr Ala Ala Ala Cys Thr Gly Cys Thr Gly Ala 145 150 155 160 Thr Thr Thr Ala Cys Thr Gly Gly Gly Cys Ala Thr Cys Cys Ala Cys 165 170 175 Thr Ala Gly Gly Gly Ala Ala Thr Cys Thr Gly Gly Gly Gly Thr Cys 180 185 190 Cys Cys Thr Gly Ala Thr Cys Gly Cys Thr Thr Cys Ala Cys Ala Gly 195 200 205 Gly Cys Ala Gly Thr Gly Gly Ala Thr Cys Thr Gly Gly Gly Ala Cys 210 215 220 Ala Gly Ala Thr Thr Thr Cys Ala Cys Thr Cys Thr Cys Ala Cys Cys 225 230 235 240 Ala Thr Cys Ala Gly Cys Ala Gly Thr Gly Thr Gly Ala Ala Gly Gly 245 250 255 Cys Thr Gly Ala Ala Gly Ala Cys Cys Thr Gly Gly Cys Ala Gly Thr 260 265 270 Thr Thr Ala Thr Thr Ala Cys Thr Gly Thr Cys Ala Gly Cys Ala Ala 275 280 285 Thr Ala Thr Thr Ala Thr Ala Gly Cys Thr Ala Thr Cys Cys Thr Ala 290 295 300 Cys Gly Thr Gly Gly Ala Cys Gly Thr Thr Cys Gly Gly Thr Gly Gly 305 310 315 320 Ala Gly Gly Cys Ala Cys Cys Ala Ala Gly Cys Thr Gly Gly Ala Ala 325 330 335 Ala Thr Cys Ala Ala Ala 340 <210> 1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H_CDR1 <400> 11 Gly Tyr Ser Phe Thr Gly Tyr Tyr 1 5 <210> 1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H_CDR2 <400> 12 Ile Ser Cys Tyr Asn Gly Ala Thr 1 5 <210> 1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H_CDR3 <400> 13 Ala Arg Trp Asp Arg Asp Trp Phe Ala Tyr 1 5 10 <210> 1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L_CDR1 <400> 14 Gln Asp Val Gly Ile Ala 1 5 <210> 1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L_CDR2 <400> 15 Trp Ala Ser 1 <210> 1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L_CDR3 <400> 16 Gln Gln Tyr Ser Ser Tyr Pro Phe Thr 1 5 <210> 17 <211> 1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H amino acid <400> 17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Leu Val Lys Thr Gly Asp 1 5 10 15 Ser Val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Tyr 20 25 30 Tyr Met His Trp Val Lys Gln Ser His Gly Lys Ser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Ser Cys Tyr Asn Gly Ala Thr Ser Tyr Ser Gln Lys Phe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Phe Thr Val Asp Thr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Phe Asn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Trp Asp Arg Asp Trp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Ala 115 <210> 18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L amino acid <400> 1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His Lys Phe Met Ser Thr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Se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p Val Gly Ile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Ser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rp Ala Ser Thr Arg His Thr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Asn Val Gln Ser 65 70 75 80 Glu Asp Leu Ala Asp Tyr Phe Cys Gln Gln Tyr Ser Ser Tyr Pro Phe 85 90 95 Thr Phe Gly Ser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19 <211> 3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H nucleotide <400> 19 taggtccagc tgcaacagtc tggacctgag ctagtgaaga ctggggattc agtgaagata 60 tcctgcaagg cttctggtta ctcattcact ggttactaca tgcactgggt caagcagagc 120 catggaaaga gccttgagtg gattggatat attagttgtt acaatggtgc tactagctac 180 agccagaagt tcaagggcaa ggccacattt actgtagaca catcctccag cacagcctac 240 atgcagttca acagcctgac atctgaagac tctgcggtct attactgtgc aagatgggac 300 agggactggt ttgcttactg gggccaaggg actctggtca ctgtctctgc a 351 <210> 20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_VL nucleotide <400> 20 tacattgtga tgacccagtc tcacaaattc atgtccacat cagtgggaga cagggtcagc 60 atcacctgca aggccagtca ggatgtgggt attgctgtag cctggtatca acagaaacca 120 gggcaatctc ctaaactact gatttactgg gcatccaccc ggcacactgg agtccctgat 180 cgcttcaca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tagcaa tgtgcagtct 240 gaagacttgg cagattattt ctgtcagcaa tatagcagct atccattcac gttcggctcg 300 gggacaaagt tggaaataaa a 321 <210> 2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H_CDR1 <400> 21 Gly Phe Ser Ile Thr Ser Ser Ser Tyr Cys 1 5 10 <210> 2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H_CDR2 <400> 22 Ile Cys Tyr Glu Gly Ser Ile 1 5 <210> 2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H_CDR3 <400> 23 Ser Arg Glu Asn Arg Leu Leu Lys Asp Ala Met Asp Tyr 1 5 10 <210> 2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L_CDR1 <400> 24 Gln Ser Leu Leu Ser Ser Arg Thr Arg Lys Asn Tyr 1 5 10 <210> 2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L_CDR2 <400> 25 Trp Ala Ser 1 <210> 26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L_CDR3 <400> 26 Lys Gln Ser Tyr Asn Leu Arg Thr 1 5 <210> 27 <211> 1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H amino acid <400> 27 Glu Val Gln Leu Glu Glu Ser Gly Pro Ala Val Ile Lys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Leu Thr Cys Ile Val Ser Gly Phe Ser Ile Thr Ser Ser 20 25 30 Ser Tyr Cys Trp His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Met Gly Arg Ile Cys Tyr Glu Gly Ser Ile Tyr Tyr Ser Pro Ser 50 55 60 Ile Lys Ser Arg Phe Thr Ile Ser Arg Asp Thr Ser Leu Asn Lys Phe 65 70 75 80 Phe Ile Gln Leu Ser Ser Val Thr Asn Glu Asp Thr Ala Met Tyr Tyr 85 90 95 Cys Ser Arg Glu Asn Arg Leu Leu Lys Asp Ala Met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28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L amino acid <400> 2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Ala Gly 1 5 10 15 Glu Lys Val Thr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Ser Ser 20 25 30 Arg Thr Arg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Gln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Lys Gln 85 90 95 Ser Tyr Asn Leu Arg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29 <211> 3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H nucleotide <400> 29 caggtgcagc tggaggagtc tggacctgct gtcatcaagc catcacagtc actgtctctc 60 acctgcatag tctctggatt ctccatcaca agtagtagtt attgctggca ctggatccgc 120 cagcccccag gaaaggggtt agagtggatg gggcgcatat gttatgaagg ttcaatatac 180 tatagtccat ccatcaaaag ccgcttcacc atctccagag acacatctct gaacaaattc 240 tttatccagc tgagctctgt gacaaatgag gacacagcca tgtactactg ttccagggaa 300 aaccgcctac tgaaggacgc tatggactac tggggtcaag gaacctcagt caccgtctcc 360 tca 363 <210> 30 <211> 3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_VL nucleotide <400> 30 a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ggctgtgt cagcaggaga gaaggtcact 60 atgagctgca aatccagtca gagtctgctc agcagtagaa cccgaaagaa ctacttggct 120 tggtaccagc agaaaccagg gcagtctcct aaactgctga tctactgg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c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cacc 240 atcagcagtg tgcaggctga agacctggca gtttattact gcaaacaatc ttataatctt 300 cggacgttcg gtggaggcac caagctggaa atcaaa 336 <210> 3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H_CDR1 <400> 31 Gly Tyr Ser Phe Thr Gly Tyr Thr 1 5 <210> 3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H_CDR2 <400> 32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1 5 <210> 33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H_CDR3 <400> 33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1 5 10 <210> 3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L_CDR1 <400> 34 Gln Ser Leu Leu Tyr Ser Ser Asn Gln Lys Asn Tyr 1 5 10 <210> 3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L_CDR2 <400> 35 Trp Ala Ser 1 <210> 3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L_CDR3 <400> 36 Gln Gln Tyr Tyr Thr Tyr Pro Thr Trp Thr 1 5 10 <210> 37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H amino acid <400> 37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Leu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Met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Tyr 20 25 30 Thr Met Asn Trp Val Lys Gln Ser His Gly Lys Asn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Leu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Ser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Leu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Ala Gly 100 105 110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38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L amino acid <400> 3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Val Gly 1 5 10 15 Glu Lys Val Thr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Ser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Lys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Gln Gln 85 90 95 Tyr Tyr Thr Tyr Pro Thr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100 105 110 Ile Lys <210> 39 <211> 3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H nucleotide <400> 39 aaggtccagc tgcaacagtc tggacctgag ctggtgaagc ctggagcttc aatgaagata 60 tcctgcaagg cttctggtta ctcattcact ggctacacca tgaactgggt gaagcagagc 120 catggaaaga accttgagtg gattggactt attaatcctt acaatggtgg tactagttac 180 aaccagaagt tcaagggcaa ggccacatta actgtagaca agtcatccag cacagcctac 240 atggagctcc tcagtctgac atctgaggac tctgcagtct attactgtgc aagggtgggc 300 ggtagtagct ggtacttcga tgtctggggc gcagggacca cggtcaccgt ctcctca 357 <210> 40 <211> 3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_VL nucleotide <400> 40 t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agctgtgt cagttggaga gaaggttact 60 atgagctgca agtccagtca gagcctttta tatagtagca atcaaaagaa ctacttggcc 120 tggtaccagc agaaaccagg gcagtctcct aaactgctga tttactgg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c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cacc 240 atcagcagtg tgaaggctga agacctggca gtttattact gtcagcaata ttatacctat 300 cctacgtgga cgttcggtgg aggcaccaag ctggaaatca aa 342 <210> 4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H_CDR1 <400> 41 Gly Tyr Thr Phe Ser Ala Tyr Trp 1 5 <210> 4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H_CDR2 <400> 42 Ile Leu Pro Gly Ser Gly Ser Thr 1 5 <210> 4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H_CDR3 <400> 43 Ala Arg Gly Asp Tyr Tyr Ala Met Asp Tyr 1 5 10 <210> 4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L_CDR1 <400> 44 Gln Ser Leu Leu Tyr Ser Asn Gly Lys Thr Tyr 1 5 10 <210> 4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L_CDR2 <400> 45 Leu Val Ser 1 <210> 4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L_CDR3 <400> 46 Val Gln Gly Thr His Phe Pro Phe Thr 1 5 <210> 47 <211> 1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H amino acid <400> 47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Met Arg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Ile Ser Cys Lys Ala Thr Gly Tyr Thr Phe Ser Ala Tyr 20 25 30 Trp Ile Glu Trp Val Lys Gln Arg Pro Gly Hi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Glu Ile Leu Pro Gly Ser Gly Ser Thr Lys Tyr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Phe Thr Ala Asp Thr Ser Ser Asn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y Asp Tyr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115 <210> 48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L amino acid <400> 48 Asp Val Leu Met Thr Gln Thr Pro Leu Thr Leu Ser Val Thr Ile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Asn Gly Lys Thr Tyr Leu Asn Trp Leu Leu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Arg Leu Ile Tyr Leu Val Ser Lys Leu Asp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Val Gln Gly 85 90 95 Thr His Phe Pro Phe Thr Phe Gly Ser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49 <211> 3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H nucleotide <400> 49 taggtccagc tgcaacagtc tggagctgag ctgatgaggc ctggggcctc agtgaagata 60 tcctgcaagg ctactggcta cacattcagt gcctactgga tagagtgggt aaagcagagg 120 cctggacatg gccttgagtg gattggagag attttacctg gaagtggtag tactaaatac 180 aatgagaagt tcaagggcaa ggccacattc actgcagata catcctccaa cacagcctac 240 atgcaactca gcagcctgac atctgaggac tctgccgtct attactgtgc aagaggggat 300 tactatgcta tggactactg gggtcaagga acctcagtca ccgtctcctc a 351 <210> 50 <211> 3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_VL nucleotide <400> 50 aatgttttga tgacccaaac tccactcact ttgtcggtta ccattggaca accagcctct 60 atctcttgca agtcaagtca gagcctctta tatagtaatg gaaaaaccta tttgaattgg 120 ttattacaga ggccaggcca gtctccaaag cgcctaatct atctggtgtc taaactggac 180 tctggagtcc ctgacaggtt cactggcagt ggatcaggaa cagattttac actgaaaatc 240 agcagagtgg aggctgagga tttgggagtt tattactgcg tgcaaggtac acattttcca 300 ttcacgttcg gctcggggac aaagttggaa ataaaa 336 <210> 5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H_CDR1 <400> 51 Gly Tyr Ser Phe Thr Gly Tyr Thr 1 5 <210> 5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H_CDR2 <400> 52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1 5 <210> 53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H_CDR3 <400> 53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1 5 10 <210> 5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L_CDR1 <400> 54 Gln Ser Leu Leu Tyr Ser Ser Asn Gln Lys Asn Tyr 1 5 10 <210> 5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L_CDR2 <400> 55 Trp Ala Ser 1 <210> 5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L_CDR3 <400> 56 Gln Gln Tyr Tyr Ser Tyr Pro Thr Trp Thr 1 5 10 <210> 57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H amino acid <400> 57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Leu Val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Met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Tyr 20 25 30 Thr Met Asn Trp Val Lys Gln Ser His Gly Lys Asn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Leu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Ser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Leu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Ala Gly 100 105 110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58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L amino acid <400> 5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Val Gly 1 5 10 15 Glu Lys Val Ile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Ser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Lys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Gln Gln 85 90 95 Tyr Tyr Ser Tyr Pro Thr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100 105 110 Ile Lys <210> 59 <211> 3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H nucleotide <400> 59 gaggtccagc tgcaacagtc tggacctgag ctggtgaagc ctggagcttc aatgaagata 60 tcctgcaagg cttctggtta ctcattcact ggctacacca tgaactgggt gaagcagagc 120 catggaaaga accttgagtg gattggactt attaatcctt acaatggtgg tactagctac 180 aaccagaagt tcaagggcaa ggccacatta actgtagaca agtcatccag cacagcctac 240 atggagctcc tcagtctgac atctgaggac tctgcagtct attactgtgc aagggtgggc 300 ggtagtagct ggtacttcga tgtctggggc gcagggacca cggtcaccgt ctcctca 357 <210> 60 <211> 3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_VL nucleotide <400> 60 g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agctgtgt cagttggaga gaaggttatt 60 atgagctgca agtccagtca gagcctttta tatagtagca atcaaaagaa ctacttggcc 120 tggtaccagc agaaaccagg gcagtctcct aaactgctga tttactgg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c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cacc 240 atcagcagtg tgaaggctga agacctggca gtttattact gtcagcaata ttatagctat 300 cctacgtgga cgttcggtgg aggcaccaag ctggaaatca aa 342 <210> 6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H_CDR1 <400> 61 Gly Tyr Ser Ile Thr Ser Asp Tyr Ala 1 5 <210> 6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H_CDR2 <400> 62 Ile Ser Tyr Ser Gly Ser Thr 1 5 <210> 63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H_CDR3 <400> 63 Ala Arg Gly Ala Ala Gly Phe Ala Tyr 1 5 <210> 6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L_CDR1 <400> 64 Gln Thr Ile Gly Thr Trp 1 5 <210> 6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L_CDR2 <400> 65 Ala Ala Thr 1 <210> 6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L_CDR3 <400> 66 Gln Gln Leu Tyr Ser Thr Pro Trp Thr 1 5 <210> 67 <211> 1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H amino acid <400> 67 Gln Val Gln Leu Lys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20 25 30 Tyr Ala Trp Asn Trp Ile Arg Gln Phe Pro Gly Asn Lys Leu Glu Trp 35 40 45 Met Gly Tyr Ile Ser Tyr Ser Gly Ser Thr Arg Tyr Asn Pro Ser Leu 50 55 60 Lys Ser Arg Ile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65 70 75 80 Leu Gln Leu Asn Ser Val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y Ala Ala Gly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Ala 115 <210> 68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L amino acid <400> 68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la Ser Gln Ser Ala Ser Leu Gly 1 5 10 15 Glu Ser Val Thr Ile Thr Cys Leu Ala Ser Gln Thr Ile Gly Th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Ser Pro Gln Leu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Thr Ser Leu Ala Asp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Glu Phe Ser Phe Lys Ile Ser Ser Leu Gln Ala 65 70 75 80 Glu Asp Phe Val Ser Tyr Tyr Cys Gln Gln Leu Tyr Ser Thr Pro Trp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69 <211> 3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H nucleotide <400> 69 gaggtgcagc tgaaggagtc gggacctggc ctggtgaaac cttcgcagtc tctgtccctc 60 acctgcactg tcactggcta ctcaatcacc agtgattatg cctggaactg gatccggcag 120 tttccaggaa acaaactgga gtggatgggc tacataagct acagtggaag cactaggtac 180 aacccatctc tcaaaagtcg aatctctatc actcgagaca catccaagaa ccagttcttc 240 ctgcagttga attctgtgac tactgaggac acagccacat attactgtgc aagaggggct 300 gcgggctttg cttactgggg ccaagggact ctggtcactg tctctgca 348 <210> 70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_VL nucleotide <400> 70 tacattgtga tgacccagtc tcctgcctcc cagtctgcat ctctgggaga aagtgtcacc 60 atcacatgcc tggcaagtca gaccattggt acatggttag catggtatca gcagaaacca 120 gggaaatctc ctcagctcct gatttatgct gcaaccagct tggcagatgg ggtcccatca 180 aggttcagtg gtagtggatc tggcacagaa ttttctttca agatcagcag cctacaggct 240 gaagattttg taagttatta ctgtcaacaa ctttacagta ctccgtggac gttcggtgga 300 ggcaccaagc tggaaatcaa a 321 <210> 7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amino acid <400> 71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1 5 10 15 <210> 72 <211> 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nucleotide <400> 72 ggcggaggcg gcagcggcgg aggcggctct ggcggcggcg ggagc 45 <210> 73 <211> 2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 scFv <400> 73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Val Gly 1 5 10 15 Glu Lys Val Ile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Ser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Lys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Gln Gln 85 90 95 Tyr Tyr Ser Tyr Pro Thr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100 105 110 Ile Lys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115 120 125 Ser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Leu Val Lys Pro Gly 130 135 140 Ala Ser Met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145 150 155 160 Tyr Thr Met Asn Trp Val Lys Gln Ser His Gly Lys Asn Leu Glu Trp 165 170 175 Ile Gly Leu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Ser Tyr Asn Gln Lys 180 185 190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195 200 205 Tyr Met Glu Leu Leu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210 215 220 Cys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Ala 225 230 235 240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245 <210> 74 <211> 7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A8 scFv <400> 74 g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agctgtgt cagttggaga gaaggttatt 60 atgagctgca agtccagtca gagcctttta tatagtagca atcaaaagaa ctacttggcc 120 tggtaccagc agaaaccagg gcagtctcct aaactgctga tttactgg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c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cacc 240 atcagcagtg tgaaggctga agacctggca gtttattact gtcagcaata ttatagctat 300 cctacgtgga cgttcggtgg aggcaccaag ctggaaatca aaggcggagg cggcagcggc 360 ggaggcggct ctggcggcgg cgggagcgag gtccagctgc aacagtctgg acctgagctg 420 gtgaagcctg gagcttcaat gaagatatcc tgcaaggctt ctggttactc attcactggc 480 tacaccatga actgggtgaa gcagagccat ggaaagaacc ttgagtggat tggacttatt 540 aatccttaca atggtggtac tagctacaac cagaagttca agggcaaggc cacattaact 600 gtagacaagt catccagcac agcctacatg gagctcctca gtctgacatc tgaggactct 660 gcagtctatt actgtgcaag ggtgggcggt agtagctggt acttcgatgt ctggggcgca 720 gggaccacgg tcaccgtctc ctca 744 <210> 75 <211> 2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 scFv <400> 75 Asp Ile Val Met Thr Gln Ser His Lys Phe Met Ser Thr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Se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p Val Gly Ile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Ser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rp Ala Ser Thr Arg His Thr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Asn Val Gln Ser 65 70 75 80 Glu Asp Leu Ala Asp Tyr Phe Cys Gln Gln Tyr Ser Ser Tyr Pro Phe 85 90 95 Thr Phe Gly Ser Gly Thr Lys Leu Glu Ile Lys Gly Gly Gly Gly Ser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Val Gln Leu Gln Gln 115 120 125 Ser Gly Pro Glu Leu Val Lys Thr Gly Asp Ser Val Lys Ile Ser Cys 130 135 140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Tyr Tyr Met His Trp Val Lys 145 150 155 160 Gln Ser His Gly Lys Ser Leu Glu Trp Ile Gly Tyr Ile Ser Cys Tyr 165 170 175 Asn Gly Ala Thr Ser Tyr Ser Gln Lys Phe Lys Gly Lys Ala Thr Phe 180 185 190 Thr Val Asp Thr Ser Ser Ser Thr Ala Tyr Met Gln Phe Asn Ser Leu 195 200 205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Trp Asp Arg Asp 210 215 220 Trp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Ala 225 230 235 <210> 76 <211> 7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G11 scFv <400> 76 tacattgtga tgacccagtc tcacaaattc atgtccacat cagtgggaga cagggtcagc 60 atcacctgca aggccagtca ggatgtgggt attgctgtag cctggtatca acagaaacca 120 gggcaatctc ctaaactact gatttactgg gcatccaccc ggcacactgg agtccctgat 180 cgcttcaca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tagcaa tgtgcagtct 240 gaagacttgg cagattattt ctgtcagcaa tatagcagct atccattcac gttcggctcg 300 gggacaaagt tggaaataaa aggcggaggc ggcagcggcg gaggcggctc tggcggcggc 360 gggagctagg tccagctgca acagtctgga cctgagctag tgaagactgg ggattcagtg 420 aagatatcct gcaaggcttc tggttactca ttcactggtt actacatgca ctgggtcaag 480 cagagccatg gaaagagcct tgagtggatt ggatatatta gttgttacaa tggtgctact 540 agctacagcc agaagttcaa gggcaaggcc acatttactg tagacacatc ctccagcaca 600 gcctacatgc agttcaacag cctgacatct gaagactctg cggtctatta ctgtgcaaga 660 tgggacaggg actggtttgc ttactggggc caagggactc tggtcactgt ctctgca 717 <210> 77 <211> 2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 scFv <400> 77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Ala Gly 1 5 10 15 Glu Lys Val Thr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Ser Ser 20 25 30 Arg Thr Arg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Gln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Lys Gln 85 90 95 Ser Tyr Asn Leu Arg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115 120 125 Val Gln Leu Glu Glu Ser Gly Pro Ala Val Ile Lys Pro Ser Gln Ser 130 135 140 Leu Ser Leu Thr Cys Ile Val Ser Gly Phe Ser Ile Thr Ser Ser Ser 145 150 155 160 Tyr Cys Trp His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165 170 175 Met Gly Arg Ile Cys Tyr Glu Gly Ser Ile Tyr Tyr Ser Pro Ser Ile 180 185 190 Lys Ser Arg Phe Thr Ile Ser Arg Asp Thr Ser Leu Asn Lys Phe Phe 195 200 205 Ile Gln Leu Ser Ser Val Thr Asn Glu Asp Thr Ala Met Tyr Tyr Cys 210 215 220 Ser Arg Glu Asn Arg Leu Leu Lys Asp Ala Met Asp Tyr Trp Gly Gln 225 230 235 240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245 <210> 78 <211> 7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A9 scFv <400> 78 a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ggctgtgt cagcaggaga gaaggtcact 60 atgagctgca aatccagtca gagtctgctc agcagtagaa cccgaaagaa ctacttggct 120 tggtaccagc agaaaccagg gcagtctcct aaactgctga tctactgg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c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cacc 240 atcagcagtg tgcaggctga agacctggca gtttattact gcaaacaatc ttataatctt 300 cggacgttcg gtggaggcac caagctggaa atcaaaggcg gaggcggcag cggcggaggc 360 ggctctggcg gcggcgggag ccaggtgcag ctggaggagt ctggacctgc tgtcatcaag 420 ccatcacagt cactgtctct cacctgcata gtctctggat tctccatcac aagtagtagt 480 tattgctggc actggatccg ccagccccca ggaaaggggt tagagtggat ggggcgcata 540 tgttatgaag gttcaatata ctatagtcca tccatcaaaa gccgcttcac catctccaga 600 gacacatctc tgaacaaatt ctttatccag ctgagctctg tgacaaatga ggacacagcc 660 atgtactact gttccaggga aaaccgccta ctgaaggacg ctatggacta ctggggtcaa 720 ggaacctcag tcaccgtctc ctca 744 <210> 79 <211> 2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 scFv <400> 79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Val Gly 1 5 10 15 Glu Lys Val Thr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Ser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Lys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Gln Gln 85 90 95 Tyr Tyr Thr Tyr Pro Thr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100 105 110 Ile Lys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115 120 125 Ser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Leu Val Lys Pro Gly 130 135 140 Ala Ser Met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145 150 155 160 Tyr Thr Met Asn Trp Val Lys Gln Ser His Gly Lys Asn Leu Glu Trp 165 170 175 Ile Gly Leu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Ser Tyr Asn Gln Lys 180 185 190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195 200 205 Tyr Met Glu Leu Leu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210 215 220 Cys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Ala 225 230 235 240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245 <210> 80 <211> 7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G5 scFv <400> 80 t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agctgtgt cagttggaga gaaggttact 60 atgagctgca agtccagtca gagcctttta tatagtagca atcaaaagaa ctacttggcc 120 tggtaccagc agaaaccagg gcagtctcct aaactgctga tttactgg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c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cacc 240 atcagcagtg tgaaggctga agacctggca gtttattact gtcagcaata ttatacctat 300 cctacgtgga cgttcggtgg aggcaccaag ctggaaatca aaggcggagg cggcagcggc 360 ggaggcggct ctggcggcgg cgggagcaag gtccagctgc aacagtctgg acctgagctg 420 gtgaagcctg gagcttcaat gaagatatcc tgcaaggctt ctggttactc attcactggc 480 tacaccatga actgggtgaa gcagagccat ggaaagaacc ttgagtggat tggacttatt 540 aatccttaca atggtggtac tagttacaac cagaagttca agggcaaggc cacattaact 600 gtagacaagt catccagcac agcctacatg gagctcctca gtctgacatc tgaggactct 660 gcagtctatt actgtgcaag ggtgggcggt agtagctggt acttcgatgt ctggggcgca 720 gggaccacgg tcaccgtctc ctca 744 <210> 81 <211> 24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 scFv <400> 81 Asp Val Leu Met Thr Gln Thr Pro Leu Thr Leu Ser Val Thr Ile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Asn Gly Lys Thr Tyr Leu Asn Trp Leu Leu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Arg Leu Ile Tyr Leu Val Ser Lys Leu Asp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Val Gln Gly 85 90 95 Thr His Phe Pro Phe Thr Phe Gly Ser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115 120 125 Val Gln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Met Arg Pro Gly Ala Ser 130 135 140 Val Lys Ile Ser Cys Lys Ala Thr Gly Tyr Thr Phe Ser Ala Tyr Trp 145 150 155 160 Ile Glu Trp Val Lys Gln Arg Pro Gly His Gly Leu Glu Trp Ile Gly 165 170 175 Glu Ile Leu Pro Gly Ser Gly Ser Thr Lys Tyr Asn Glu Lys Phe Lys 180 185 190 Gly Lys Ala Thr Phe Thr Ala Asp Thr Ser Ser Asn Thr Ala Tyr Met 195 200 205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Ala 210 215 220 Arg Gly Asp Tyr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225 230 235 240 Thr Val Ser Ser <210> 82 <211> 7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C3 scFv <400> 82 aatgttttga tgacccaaac tccactcact ttgtcggtta ccattggaca accagcctct 60 atctcttgca agtcaagtca gagcctctta tatagtaatg gaaaaaccta tttgaattgg 120 ttattacaga ggccaggcca gtctccaaag cgcctaatct atctggtgtc taaactggac 180 tctggagtcc ctgacaggtt cactggcagt ggatcaggaa cagattttac actgaaaatc 240 agcagagtgg aggctgagga tttgggagtt tattactgcg tgcaaggtac acattttcca 300 ttcacgttcg gctcggggac aaagttggaa ataaaaggcg gaggcggcag cggcggaggc 360 ggctctggcg gcggcgggag ctaggtccag ctgcaacagt ctggagctga gctgatgagg 420 cctggggcct cagtgaagat atcctgcaag gctactggct acacattcag tgcctactgg 480 atagagtggg taaagcagag gcctggacat ggccttgagt ggattggaga gattttacct 540 ggaagtggta gtactaaata caatgagaag ttcaagggca aggccacatt cactgcagat 600 acatcctcca acacagccta catgcaactc agcagcctga catctgagga ctctgccgtc 660 tattactgtg caagagggga ttactatgct atggactact ggggtcaagg aacctcagtc 720 accgtctcct ca 732 <210> 83 <211> 2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 scFv <400> 83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Ala Val Ser Val Gly 1 5 10 15 Glu Lys Val Ile Met Ser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Tyr Ser 20 25 30 Ser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Ser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Val Lys Ala Glu Asp Leu Ala Val Tyr Tyr Cys Gln Gln 85 90 95 Tyr Tyr Ser Tyr Pro Thr Trp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100 105 110 Ile Lys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115 120 125 Ser Glu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u Leu Val Lys Pro Gly 130 135 140 Ala Ser Met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Gly 145 150 155 160 Tyr Thr Met Asn Trp Val Lys Gln Ser His Gly Lys Asn Leu Glu Trp 165 170 175 Ile Gly Leu Ile Asn Pro Tyr Asn Gly Gly Thr Ser Tyr Asn Gln Lys 180 185 190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195 200 205 Tyr Met Glu Leu Leu Ser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210 215 220 Cys Ala Arg Val Gly Gly Ser Ser Trp Tyr Phe Asp Val Trp Gly Ala 225 230 235 240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245 <210> 84 <211> 7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8 scFv <400> 84 gacattgtga tgacccagtc tccatcctcc ctagctgtgt cagttggaga gaaggttatt 60 atgagctgca agtccagtca gagcctttta tatagtagca atcaaaagaa ctacttggcc 120 tggtaccagc agaaaccagg gcagtctcct aaactgctga tttactgggc atccactagg 180 gaatctgggg tccctgatcg cttcacaggc agtggatctg ggacagattt cactctcacc 240 atcagcagtg tgaaggctga agacctggca gtttattact gtcagcaata ttatagctat 300 cctacgtgga cgttcggtgg aggcaccaag ctggaaatca aaggcggagg cggcagcggc 360 ggaggcggct ctggcggcgg cgggagcgag gtccagctgc aacagtctgg acctgagctg 420 gtgaagcctg gagcttcaat gaagatatcc tgcaaggctt ctggttactc attcactggc 480 tacaccatga actgggtgaa gcagagccat ggaaagaacc ttgagtggat tggacttatt 540 aatccttaca atggtggtac tagctacaac cagaagttca agggcaaggc cacattaact 600 gtagacaagt catccagcac agcctacatg gagctcctca gtctgacatc tgaggactct 660 gcagtctatt actgtgcaag ggtgggcggt agtagctggt acttcgatgt ctggggcgca 720 gggaccacgg tcaccgtctc ctca 744 <210> 85 <211> 2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 scFv <400> 85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la Ser Gln Ser Ala Ser Leu Gly 1 5 10 15 Glu Ser Val Thr Ile Thr Cys Leu Ala Ser Gln Thr Ile Gly Th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Ser Pro Gln Leu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Thr Ser Leu Ala Asp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Glu Phe Ser Phe Lys Ile Ser Ser Leu Gln Ala 65 70 75 80 Glu Asp Phe Val Ser Tyr Tyr Cys Gln Gln Leu Tyr Ser Thr Pro Trp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Gly Gly Gly Gly Ser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n Val Gln Leu Lys Glu 115 120 125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Ser Leu Ser Leu Thr Cys 130 135 140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Tyr Ala Trp Asn Trp Ile 145 150 155 160 Arg Gln Phe Pro Gly Asn Lys Leu Glu Trp Met Gly Tyr Ile Ser Tyr 165 170 175 Ser Gly Ser Thr Arg Tyr Asn Pro Ser Leu Lys Ser Arg Ile Ser Ile 180 185 190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Leu Gln Leu Asn Ser Val 195 200 205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Ala Arg Gly Ala Ala Gly 210 215 220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Ala 225 230 235 <210> 86 <211> 7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E11 scFv <400> 86 tacattgtga tgacccagtc tcctgcctcc cagtctgcat ctctgggaga aagtgtcacc 60 atcacatgcc tggcaagtca gaccattggt acatggttag catggtatca gcagaaacca 120 gggaaatctc ctcagctcct gatttatgct gcaaccagct tggcagatgg ggtcccatca 180 aggttcagtg gtagtggatc tggcacagaa ttttctttca agatcagcag cctacaggct 240 gaagattttg taagttatta ctgtcaacaa ctttacagta ctccgtggac gttcggtgga 300 ggcaccaagc tggaaatcaa aggcggaggc ggcagcggcg gaggcggctc tggcggcggc 360 gggagcgagg tgcagctgaa ggagtcggga cctggcctgg tgaaaccttc gcagtctctg 420 tccctcacct gcactgtcac tggctactca atcaccagtg attatgcctg gaactggatc 480 cggcagtttc caggaaacaa actggagtgg atgggctaca taagctacag tggaagcact 540 aggtacaacc catctctcaa aagtcgaatc tctatcactc gagacacatc caagaaccag 600 ttcttcctgc agttgaattc tgtgactact gaggacacag ccacatatta ctgtgcaaga 660 ggggctgcgg gctttgctta ctggggccaa gggactctgg tcactgtctc tgca 714 <210> 87 <211> 117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F1 promoter <400> 87 gctccggtgc ccgtcagtgg gcagagcgca catcgcccac agtccccgag aagttggggg 60 gaggggtcgg caattgaacc ggtgcctaga gaaggtggcg cggggtaaac tgggaaagtg 120 atgtcgtgta ctggctccgc ctttttcccg agggtggggg agaaccgtat ataagtgcag 180 tagtcgccgt gaacgttctt tttcgcaacg ggtttgccgc cagaacacag gtaagtgccg 240 tgtgtggttc ccgcgggcct ggcctcttta cgggttatgg cccttgcgtg ccttgaatta 300 cttccacctg gctgcagtac gtgattcttg atcccgagct tcgggttgga agtgggtggg 360 agagttcgag gccttgcgct taaggagccc cttcgcctcg tgcttgagtt gaggcctggc 420 ctgggcgctg gggccgccgc gtgcgaatct ggtggcacct tcgcgcctgt ctcgctgctt 480 tcgataagtc tctagccatt taaaattttt gatgacctgc tgcgacgctt tttttctggc 540 aagatagtct tgtaaatgcg ggccaagatc tgcacactgg tatttcggtt tttggggccg 600 cgggcggcga cggggcccgt gcgtcccagc gcacatgttc ggcgaggcgg ggcctgcgag 660 cgcggccacc gagaatcgga cgggggtagt ctcaagctgg ccggcctgct ctggtgcctg 720 gcctcgcgcc gccgtgtatc gccccgccct gggcggcaag gctggcccgg tcggcaccag 780 ttgcgtgagc ggaaagatgg ccgcttcccg gccctgctgc agggagctca aaatggagga 840 cgcggcgctc gggagagcgg gcgggtgagt cacccacaca aaggaaaagg gcctttccgt 900 cctcagccgt cgcttcatgt gactccactg agtaccgggc gccgtccagg cacctcgatt 960 agttctcgag cttttggagt acgtcgtctt taggttgggg ggaggggttt tatgcgatgg 1020 agtttcccca cactgagtgg gtggagactg aagttaggcc agcttggcac ttgatgtaat 1080 tctccttgga atttgccctt tttgagtttg gatcttggtt cattctcaag cctcagacag 1140 tggttcaaag tttttttctt ccatttcagg tgtcgtga 1178 <210> 88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gnal peptide <400> 88 atggccttac cagtgaccgc cttgctcctg ccgctggcct tgctgctcca cgccgccagg 60 ccg 63 <210> 89 <211> 1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 Hinge <400> 89 accacgacgc cagcgccgcg accaccaaca ccggcgccca ccatcgcgtc gcagcccctg 60 tccctgcgcc cagaggcgtg ccggccagcg gcggggggcg cagtgcacac gagggggctg 120 gacttcgcct gtgat 135 <210> 90 <211> 7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M(transmembrane domain) <400> 90 atctacatct gggcgccctt ggccgggact tgtggggtcc ttctcctgtc actggttatc 60 accctttact gc 72 <210> 91 <211> 1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1BB <400> 91 aaacggggca gaaagaaact cctgtatata ttcaaacaac catttatgag accagtacaa 60 actactcaag aggaagatgg ctgtagctgc cgatttccag aagaagaaga aggaggatgt 120 gaactg 126 <210> 92 <211> 3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 zeta <400> 92 agagtgaagt tcagcaggag cgcagacgcc cccgcgtaca agcagggcca gaaccagctc 60 tataacgagc tcaatctagg acgaagagag gagtacgatg ttttggacaa gagacgtggc 120 cgggaccctg agatgggggg aaagccgaga aggaagaacc ctcaggaagg cctgtacaat 180 gaactgcaga aagataagat ggcggaggcc tacagtgaga ttgggatgaa aggcgagcgc 240 cggaggggca aggggcacga tggcctttac cagggtctca gtacagccac caaggacacc 300 tacgacgccc ttcacatgca ggccctgccc cctcgc 336 <210> 93 <211> 59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WPRE <400> 93 atcaacctct ggattacaaa atttgtgaaa gattgactgg tattcttaac tatgttgctc 60 cttttacgct atgtggatac gctgctttaa tgcctttgta tcatgctatt gcttcccgta 120 tggctttcat tttctcctcc ttgtataaat cctggttgct gtctctttat gaggagttgt 180 ggcccgttgt caggcaacgt ggcgtggtgt gcactgtgtt tgctgacgca acccccactg 240 gttggggcat tgccaccacc tgtcagctcc tttccgggac tttcgctttc cccctcccta 300 ttgccacggc ggaactcatc gccgcctgcc ttgcccgctg ctggacaggg gctcggctgt 360 tgggcactga caattccgtg gtgttgtcgg ggaagctgac gtcctttcca tggctgctcg 420 cctgtgttgc cacctggatt ctgcgcggga cgtccttctg ctacgtccct tcggccctca 480 atccagcgga ccttccttcc cgcggcctgc tgccggctct gcggcctctt ccgcgtcttc 540 gccttcgccc tcagacgagt cggatctccc tttgggccgc ctccccgcct g 591 <210> 94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gnal peptide <400> 94 Met Ala Leu Pro Val Thr Ala Leu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1 5 10 15 His Ala Ala Arg Pro 20 <210> 95 <211> 4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 Hinge <400> 95 Thr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Thr Pro Ala Pro Thr Ile Ala 1 5 10 15 Ser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Ala Cys Arg Pro Ala Ala Gly 20 25 30 Gly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Phe Ala Cys Asp 35 40 45 <210> 96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M(transmembrane domain) <400> 96 Ile Tyr Ile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Val Leu Leu Leu 1 5 10 15 Ser Leu Val Ile Thr Leu Tyr Cys 20 <210> 97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1BB <400> 97 Lys Arg Gly Arg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1 5 10 15 Arg Pro Val Gln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20 25 30 Pro Glu Glu Glu Glu Gly Gly Cys Glu Leu 35 40 <210> 98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 zeta <400> 98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Pro Ala Tyr Lys Gln Gly 1 5 10 15 Gln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Gly Arg Arg Glu Glu Tyr 20 25 30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Pro Glu Met Gly Gly Lys 35 40 45 Pro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Tyr Asn Glu Leu Gln Lys 50 55 60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Gly Met Lys Gly Glu Arg 65 70 75 80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Gln Gly Leu Ser Thr Ala 85 90 95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Gln Ala Leu Pro Pro Arg 100 105 110

Claims (14)

  1.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2)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2의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3)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4)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5)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6) 서열번호 5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 또는
    (7) 서열번호 6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로 구성된 메소텔린(mesothel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항체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2) 항체는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3) 항체는 서열번호 2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4) 항체는 서열번호 3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5) 항체는 서열번호 4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
    상기 (6) 항체는 서열번호 5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상기 (7) 항체는 서열번호 67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8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부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
  5. 제4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생산하는 재조합 세포.
  6. 메소텔린(mesothelin)-결합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공동자극 도메인(costimulatory domain);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domain)을 포함하는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로,
    상기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은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2)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3)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4)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5)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4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4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6) 서열번호 5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5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7) 서열번호 61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2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3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부위 및 서열번호 64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65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6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CD8α, CD4, CD28, CD137, CD80, CD86, CD152 및 PD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이며,
    공동자극 도메인은 CD28, 4-1BB, OX-40 및 ICO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이고,
    상기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소텔린-결합 도메인의 C 말단 및 막관통 도메인의 N 말단 사이에 힌지 부위(hinge region)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
  11.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메소텔린을 표적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면역 이펙터 세포.
  12. 제1항 또는 제2항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제11항의 면역 이펙터 세포;를 포함하는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 또는 종양은 편평세포암,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폐의 선암종, 폐의 편평세포 암종, 중피암, 복막암, 간세포성암, 위장암, 췌장암, 신경교종,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간세포암, 유방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자궁내막 또는 자궁 암종, 타액선 암종, 신장암, 간암, 전립선암, 외음부암, 갑상선암, 간 암종, 백혈병 및 다른 림프구증식성 장애, 및 다양한 유형의 두경부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의 메소텔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메소텔린 과발현 암 또는 종양의 진단 또는 모니터링용 조성물.
KR1020210085569A 2021-06-30 2021-06-30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Active KR102860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69A KR102860436B1 (ko) 2021-06-30 2021-06-30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PCT/KR2022/007656 WO2023277361A1 (ko) 2021-06-30 2022-05-30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US18/575,494 US20250129178A1 (en) 2021-06-30 2022-05-30 Antibody specific for mesothelin and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69A KR102860436B1 (ko) 2021-06-30 2021-06-30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001A true KR20230005001A (ko) 2023-01-09
KR102860436B1 KR102860436B1 (ko) 2025-09-19

Family

ID=8469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569A Active KR102860436B1 (ko) 2021-06-30 2021-06-30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50129178A1 (ko)
KR (1) KR102860436B1 (ko)
WO (1) WO20232773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63790A1 (ko) * 2023-09-20 2025-03-27 주식회사 유씨아이테라퓨틱스 항-메소텔린 항체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21296A (zh) 2021-10-06 2023-06-01 美商鏈接免疫療法公司 抗間皮素抗原結合分子及其用途
CN116925226B (zh) * 2023-03-09 2024-03-19 上海迪诺信安生物科技有限公司 抗msln抗体、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195017E (pt) * 2007-10-01 2014-12-31 Bristol Myers Squibb Co Anticorpos humanos que se ligam à mesotelina e utilizações dos mesmos
CA3116051C (en) * 2012-03-23 2023-09-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ti-mesothelin chimeric antigen receptors
KR20160098259A (ko) * 2013-12-19 2016-08-18 노파르티스 아게 인간 메조텔린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그의 용도
KR20180055824A (ko) * 2015-08-21 2018-05-25 카르스젠 테라퓨틱스 리미티드 항 메소텔린 완전 인간 항체 및 메소텔린을 타겟팅하는 면역효과 세포
KR101782487B1 (ko) * 2015-09-24 2017-09-27 재단법인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신규 항-메소텔린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0016B1 (ko) * 2019-01-21 2020-01-29 (주)녹십자셀 메소텔린 특이적인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를 발현하는 t 세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63790A1 (ko) * 2023-09-20 2025-03-27 주식회사 유씨아이테라퓨틱스 항-메소텔린 항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50129178A1 (en) 2025-04-24
KR102860436B1 (ko) 2025-09-19
WO2023277361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03013B (zh) Cd3抗原结合片段及其应用
KR102316091B1 (ko) Bcma를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102860436B1 (ko)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1848809A (zh) 靶向Claudin18.2的CAR分子、其修饰的免疫细胞及用途
KR20210143097A (ko) Cd22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US20240002505A1 (en) Fully human antibody targeting cd5, and fully human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805186B1 (ko) Gpc3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KR20210143096A (ko) Cd22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EP4435010A1 (en) Bispecific antibody against tigit and pd-l1,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N113825772A (zh) 抗her2亲合体及将其用作开关分子的可切换嵌合抗原受体
CN118946588A (zh) 抗pvrig抗体、其药物组合物及用途
KR102829757B1 (ko) 인간화된 cd22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를 이용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KR102393776B1 (ko) Cd22에 특이적인 인간화 항체 및 이를 이용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CN114805581B (zh) 靶向il13ra2的抗体、嵌合抗原受体及其用途
KR20220122844A (ko) Cd22에 특이적인 인간화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548256B1 (ko) Cd22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757518B1 (ko) Cd47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US20230212286A1 (en) Antibodies specific for cd22 and uses thereof
HK40082194A (en) Antibody specific to cd22, and use thereof
KR20230139570A (ko) 친화도가 성숙된 cd47에 특이적인 인간화 항체
KR20230004220A (ko) Cd47에 특이적인 인간화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cd47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