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721A - Ladder Access Restriction Device for Aerial Work - Google Patents
Ladder Access Restriction Device for Aerial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5721A KR20230015721A KR1020210097199A KR20210097199A KR20230015721A KR 20230015721 A KR20230015721 A KR 20230015721A KR 1020210097199 A KR1020210097199 A KR 1020210097199A KR 20210097199 A KR20210097199 A KR 20210097199A KR 20230015721 A KR20230015721 A KR 20230015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dder
- control unit
- locking
- unit
- front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06—Devices for preventing acces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05B2015/041—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oaded perpendicular to cylinder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의 무단출입을 제한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access limiting device for working at heigh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dder access limiting device for working at high plac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restricting unauthorized entry and exit of the ladder.
일반적으로 발전소 또는 제철소 및 공장 등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해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형성한다.In general, power plants or steel mills and factories form ladders for aerial work so that workers can climb up and down for maintenance and the like.
이러한 고소작업용 사다리는 평소에는 차단하고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할 경우 개방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출입제한장치를 포함한다.The ladder for working at heights includes an access limiting device that is normally blocked and opened to allow workers to enter and exit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그러나 종래에는 담당 작업자는 물론 주변의 작업자 또는 일반인이 쉽게 출입제한장치를 개방 및 출입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worker in charge as well as the surrounding workers or ordinary people can easily open and access the access limiting device, it has a problem of providing a cause of safety accidents.
특히 종래에는 사다리의 전방을 통제하는 구성이므로 사다리의 후방 또는 사다리의 안전난간으로 출입하는 작업자 및 일반인을 통제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게 되었다.In particular, in the prior art, since the configuration controls the front of the ladder,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can not control workers and ordinary people entering and exiting the rear of the ladder or the safety railing of the ladd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은 사다리를 별도의 열쇠를 소지하고 있는 담당 작업자만 개방하여 출입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dder access limiting device for work at heights in which only a worker in charge holding a separate key can open and access the ladder.
특히 본 발명은 사다리의 전방 및 후방은 물론 안전난간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dder access limiting device for working at heights capable of restricting access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ladder as well as safety railing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100)는,The ladder
사다리(10)의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결합유닛(110); 상기 결합유닛(110)의 전방에 사다리(10)의 전방을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방 통제부(120);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작업자가 사다리(10)의 안전난간(20) 내측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형성하는 차단부(121); 상기 결합유닛(110)의 후방에 사다리(10)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후방 통제부(130);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잠금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결합유닛(110)은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후방에 형성하는 제1결합구(111); 상기 제1결합구(11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개방통로(112); 상기 개방통로(112)의 상부에 연결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이동통로(113); 상기 이동통로(113)의 타측에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14); 상기 후방 통제부(130)의 전방에 형성하는 제2결합구(115); 상기 제2결합구(115)의 전방 일측에 상기 개방통로(112)와 이동통로(113)를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113)의 내측에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116);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이때 상기 제1결합구(111)의 전방에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일측을 연결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힌지부(1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아울러 상기 잠금유닛(140)은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내측에 형성하는 잠금몸체(141);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외측에 돌출한 상태로 상기 잠금몸체(141)의 내측 중앙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42); 상기 회전몸체(14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통공(142a); 상기 잠금몸체(141)와 회전몸체(142)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외측에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잠금돌기(143a)를 구비하는 회전축(143); 상기 회전축(143)의 중간 일측에 형성하는 걸림부(144); 상기 회전축(143)의 외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잠금몸체(141)와 걸림부(144)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45); 상기 회전축(143)의 내측에 상기 사다리(10)의 발판(11)과 맞닿아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잠금구(146);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잠금돌기(143a)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돌기(147)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몸체(142)와 회전축(143) 및 잠금구(14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열쇠(1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잠금구(146)의 표면에 상기 발판(11)이 내측에 삽입하여 위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홈(14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guide groove (146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지정열쇠를 소지한 담당 작업자만 사다리를 출입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ecause only the worker in charge of holding the designated key can enter and exit the ladder.
특히 본 발명은 사다리의 전방 및 후방은 물론 안전난간을 동시에 통제하여 불필요한 출입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entry in advance by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ladder as well as the safety handrail.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e efficiency and utilization range becaus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easy.
도 1은 본 발명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결합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잠금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dder access limiting device for working at he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adder access limiting device for work at height.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nlarged views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결합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잠금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for ladders for work at he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for ladders for work at he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view for showing, and FIGS. 4 and 5 show an enlarged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다리(10)의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결합유닛(110); 상기 결합유닛(110)의 전방에 사다리(10)의 전방을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방 통제부(120);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작업자가 사다리(10)의 안전난간(20) 내측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형성하는 차단부(121); 상기 결합유닛(110)의 후방에 사다리(10)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후방 통제부(130);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잠금유닛(14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특히 상기 결합유닛(110)은 사다리(10)의 양측에 다수개를 설치하여 상기 전방 통제부(120) 및 후방 통제부(130)를 견고하게 결합한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결합유닛(110)은 사다리(10)의 규격 및 높이에 따라서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 또는 클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상기 결합유닛(110)은 상기 후방 통제부(130)의 탈착 및 설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In addition,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후방에 형성하는 제1결합구(111); 상기 제1결합구(11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개방통로(112); 상기 개방통로(112)의 상부에 연결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이동통로(113); 상기 이동통로(113)의 타측에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14); 상기 후방 통제부(130)의 전방에 형성하는 제2결합구(115); 상기 제2결합구(115)의 전방 일측에 상기 개방통로(112)와 이동통로(113)를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113)의 내측에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116);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3, a
특히 상기 개방통로(112)와 이동통로(113) 및 받침부(114)는 일체로 연결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116)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넓이를 갖도록 형성한다.In particular, the
이때 상기 지지부(116)는 상기 제2결합구(115)의 전방 일측에 일정높이를 갖도록 돌출한 상태로 상기 받침부(114)의 내측에 안착 및 지지하여 상기 후방 통제부(130)를 상기 전방 통제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지지부(116)가 상기 개방통로(112)와 이동통로(113)를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114)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전방 통제부(120)와 후방 통제부(130)를 서로 결합하고,Therefore, the
반대로 상기 지지부(116)가 상기 받침부(114)와 이동통로(113) 및 개방통로(112)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전방 통제부(120)와 후방 통제부(130)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Conversely, the
한편, 상기 전방 통제부(120)는 사다리(10)의 전방에 위치하여 불필요한 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전방 통제부(120)는 사다리(10)의 전방을 전체적으로 차단하여 사다리(10)의 발판(11)을 잡거나 밟을 수 없도록 일정넓이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특히 상기 제1결합구(111)의 전방에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일측을 연결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힌지부(110a);를 포함하여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상기 힌지부(110a)를 중심으로 회전 및 개폐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여기서 상기 힌지부(110a)는 경첩 또는 핀 및 회전축을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차단부(121)은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상부에 전방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한 상태로 상기 전방 통제부(120) 및 안전난간(20)을 잡고 올라가지 못하도록 차단한다.In addition, the blocking
특히 상기 차단부(121)은 사다리(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난간(20)의 하부를 차단할 수 있는 넓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차단부(121)과 안전난간(2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도록 유도한다.In particular, the blocking
그리고 상기 후방 통제부(130)는 사다리(10)의 후방 또는 사다리(10)의 후방과 벽체 사이 공간으로 무단을 출입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다리(10)의 후방을 전체적으로 차단하여 사다리(10)의 발판(11)을 잡거나 밟을 수 없도록 일정넓이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And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유닛(140)은 별도의 열쇠(148)를 소유하는 담당 작업자만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개폐하여 사다리(10)를 출입할 수 있도록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상기 잠금유닛(140)은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내측에 형성하는 잠금몸체(141);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외측에 돌출한 상태로 상기 잠금몸체(141)의 내측 중앙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42); 상기 회전몸체(14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통공(142a); 상기 잠금몸체(141)와 회전몸체(142)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외측에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잠금돌기(143a)를 구비하는 회전축(143); 상기 회전축(143)의 중간 일측에 형성하는 걸림부(144); 상기 회전축(143)의 외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잠금몸체(141)와 걸림부(144)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45); 상기 회전축(143)의 내측에 상기 사다리(10)의 발판(11)과 맞닿아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잠금구(146);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잠금돌기(143a)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돌기(147)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몸체(142)와 회전축(143) 및 잠금구(14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열쇠(148);를 포함한다.The
특히 상기 잠금몸체(141)는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이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형성한다.In particular, the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42)는 상기 전방 통제부(120)의 외측에 돌출한 상태로 작업자가 상기 열쇠(148)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잠금몸체(141)의 내측 중앙에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통공(142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여 상기 잠금돌기(143a)가 내측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열쇠(148)의 개폐돌기(147)가 상기 통공(142a)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돌기(143a)와 맞닿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In particular, at least one through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43)은 상기 잠금몸체(141)와 회전몸체(142)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열쇠(148)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143)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잠금구(146)가 회전하면서 상기 점검도어(110)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rotating
특히 상기 잠금돌기(143a)는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몸체(142)와 회전축(143)을 동시에 고정한 상태로 작업자가 상기 개폐돌기(147)를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보조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걸림부(144)는 상기 탄성체(145)의 일측면과 맞닿아 상기 회전축(143)이 평소에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돌기(143a)가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탄성체(145)는 평소에 상기 회전축(143)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잠금돌기(143a)가 상기 통공(142a)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열쇠(148)를 소지하는 작업자만 상기 회전축(14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구(146)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143)의 중심과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편심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143)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사다리(10)의 발판(11)과 맞닿아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고정하거나 반대로 상기 발판(11)과 떨어지면서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개방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 the
여기서 상기 잠금구(146)의 표면에 상기 발판(11)이 내측에 삽입하여 위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홈(146a);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uide groove (146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특히 상기 열쇠(148)는 일측에 상기 개폐돌기(147)를 구비하여 상기 잠금돌기(143a)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 상기 전방 통제부(120)를 개폐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key 148 has the opening/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figuration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사다리 11: 발판
20: 안전난간
100: 본 발명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
110: 결합유닛 110a: 힌지부
111: 제1결합구 112: 개방통로
113: 이동통로 114: 받침부
115: 제2결합구 116: 지지부
120: 전방 통제부 121: 차단부
130: 후방 통제부
140: 잠금유닛 141: 잠금몸체
142: 회전몸체 142a: 통공
143: 회전축 143a: 잠금돌기
144: 걸림부 145: 탄성체
146: 잠금구 146a: 유도홈
147: 개폐돌기 148: 열쇠10: ladder 11: footrest
20: safety railing
100: ladder access limiting device for work at h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111: first coupler 112: open passage
113: moving passage 114: support
115: second coupler 116: support
120: front control unit 121: blocking unit
130: rear control unit
140: lock unit 141: lock body
142: rotating
143:
144: hanging part 145: elastic body
146: locking
147: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148: ke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97199A KR102601208B1 (en) | 2021-07-23 | 2021-07-23 | Ladder Access Restriction Device for Aerial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97199A KR102601208B1 (en) | 2021-07-23 | 2021-07-23 | Ladder Access Restriction Device for Aerial Work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15721A true KR20230015721A (en) | 2023-01-31 |
| KR102601208B1 KR102601208B1 (en) | 2023-11-13 |
Family
ID=851092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97199A Active KR102601208B1 (en) | 2021-07-23 | 2021-07-23 | Ladder Access Restriction Device for Aerial Wor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01208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55033B1 (en) * | 2023-11-30 | 2024-04-08 | 주식회사 성지기공 | External ladder locking apparatus of water tank |
| KR20250000913U (en) * | 2023-12-07 | 2025-06-16 | (주)포스코퓨처엠 | Lifting prohibition device for vertical lifting ladder |
Citation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14288A (en) | 1999-04-30 | 2000-11-14 | Taisei Corp | Intrusion prevention device for ramp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
| KR200219986Y1 (en) | 2000-10-31 | 2001-04-16 | 주식회사은강건설산업 | ladder for bridge |
| US6364057B1 (en) | 2000-10-03 | 2002-04-02 | Guy R. Cornejo | Ladder shield for stepladders |
| JP2002242570A (en) | 2001-02-13 | 2002-08-28 | Toda Constr Co Ltd | Lifting ramp |
| KR200407148Y1 (en) | 2005-10-20 | 2006-01-25 | 황재모 |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ladder |
| KR200420406Y1 (en) | 2006-04-11 | 2006-07-04 | 정상옥 | Vertical Ladder Access Control Device |
| KR20090002927U (en) | 2007-09-19 | 2009-03-24 | 엄호근 | Access Control System of Aerial Work Ladder |
| KR102120692B1 (en) | 2019-01-16 | 2020-06-11 | 주식회사 엘케이 플랜트 | safety cover for ladder |
| KR102147303B1 (en) | 2020-06-23 | 2020-08-24 | 이호성 | cover for ladder |
| KR102219118B1 (en) * | 2020-09-09 | 2021-02-23 | 경기도 성남시 | Height Adjustable Safety Ladder for Manhole |
-
2021
- 2021-07-23 KR KR1020210097199A patent/KR10260120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14288A (en) | 1999-04-30 | 2000-11-14 | Taisei Corp | Intrusion prevention device for ramp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
| US6364057B1 (en) | 2000-10-03 | 2002-04-02 | Guy R. Cornejo | Ladder shield for stepladders |
| KR200219986Y1 (en) | 2000-10-31 | 2001-04-16 | 주식회사은강건설산업 | ladder for bridge |
| JP2002242570A (en) | 2001-02-13 | 2002-08-28 | Toda Constr Co Ltd | Lifting ramp |
| KR200407148Y1 (en) | 2005-10-20 | 2006-01-25 | 황재모 |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ladder |
| KR200420406Y1 (en) | 2006-04-11 | 2006-07-04 | 정상옥 | Vertical Ladder Access Control Device |
| KR20090002927U (en) | 2007-09-19 | 2009-03-24 | 엄호근 | Access Control System of Aerial Work Ladder |
| KR102120692B1 (en) | 2019-01-16 | 2020-06-11 | 주식회사 엘케이 플랜트 | safety cover for ladder |
| KR102147303B1 (en) | 2020-06-23 | 2020-08-24 | 이호성 | cover for ladder |
| KR102219118B1 (en) * | 2020-09-09 | 2021-02-23 | 경기도 성남시 | Height Adjustable Safety Ladder for Manhol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55033B1 (en) * | 2023-11-30 | 2024-04-08 | 주식회사 성지기공 | External ladder locking apparatus of water tank |
| KR20250000913U (en) * | 2023-12-07 | 2025-06-16 | (주)포스코퓨처엠 | Lifting prohibition device for vertical lifting ladd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01208B1 (en) | 2023-11-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30015721A (en) | Ladder Access Restriction Device for Aerial Work | |
| US4185716A (en) | Self closing gate | |
| KR102219118B1 (en) | Height Adjustable Safety Ladder for Manhole | |
| KR101030286B1 (en) | Emergency evacuation system with dedicated gates on the balustrade of the veranda | |
| KR100738812B1 (en) | Emergency ladder with balcony railing | |
| KR102114740B1 (en) | Safety device for ready-mixed concrete truck | |
| KR20200098033A (en) | A safety railing ladder for high place work | |
| JPH0597357A (en) | Elevator cage device | |
| KR100828576B1 (en) | Portable frame scaffolding handrail | |
| KR101927003B1 (en) | Elevator | |
| KR200357968Y1 (en) | Rail for escape | |
| KR101436270B1 (en) | Wind energy installation working gantry and wind energy installation | |
| KR100607451B1 (en) | Retractable Safety Ladder | |
| KR101323276B1 (en) | Safety door of lift entrance for new construction | |
| CN105110154B (en) | Elevator capable of preventing car door from being opened when car stops at dangerous height | |
| KR200286103Y1 (en) | enter and leave apparatus of bridge inspection rest | |
| KR102704584B1 (en) | Door Lock Device | |
| KR102714204B1 (en) | Sliding Ladder Safety Guards | |
| KR100670190B1 (en) | Emergency staircase structure of multi-storey building to prevent fire spread | |
| KR101151751B1 (en) | Lift for a back cage door opening apparatus | |
| CN217400791U (en) | Fire control window convenient to flee | |
| CN216142387U (en) | Safety access door for scaffold | |
| KR20210128604A (en) | Safety hanger | |
| CN209536837U (en) | Tower crane anti-climbing device | |
| JPS6041244Y2 (en) | Safety equipment for both lifting and horizontal move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