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17692A - 무저항 주사기 - Google Patents

무저항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692A
KR20230017692A KR1020210099522A KR20210099522A KR20230017692A KR 20230017692 A KR20230017692 A KR 20230017692A KR 1020210099522 A KR1020210099522 A KR 1020210099522A KR 20210099522 A KR20210099522 A KR 20210099522A KR 20230017692 A KR20230017692 A KR 2023001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injection
infusion
resistance
syr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대승의료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승의료기기(주) filed Critical 대승의료기기(주)
Priority to KR102021009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692A/ko
Publication of KR2023001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69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5/1582Double lume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61M5/3291Shafts with additional lateral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injection pressure
    • A61M5/484Regulating injection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7Guide tubes having means for atraumatic insertion in the body or protection of the tip of the sheath during insertion, e.g. special designs of dilators, needles or she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저항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저항 주사기로서,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out cannula); 및 전단에 스타일렛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아웃 캐뉼라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inner cannula)를 포함하되, 상기 아웃 캐뉼라는, 상기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무저항 주사기에 따르면,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와, 전단에 스타일렛이 일체로 구비되며, 아웃 캐뉼라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를 포함하되, 아웃 캐뉼라는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시 혈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고, 그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저항 주사기에 따르면, 혈관에 삽입되어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사이드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는 아웃 캐뉼라를 구성함으로써, 주방출구의 전방으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과 함께 보조 방출구를 통한 젤코의 측면에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더욱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의 압력과 저항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무저항 주사기에 따르면, 아웃 캐뉼라의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막힘없이 전방으로 방출되면서 측면으로도 방출되도록 함에 따라 방출구의 단면적 증대를 통한 압력과 저항을 줄여 통증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동일 수액이나 주사액의 동일 밀도의 조건 하에서 직경이 작은 아웃 캐뉼라의 젤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저항 주사기{LOSS OF RESISTANCE SYRINGE}
본 발명은 무저항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시 혈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저항을 줄여줌으로써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아웃 캐뉼라의 구조를 갖는 무저항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간호사나 의사가 환자의 몸에 직접 약을 투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통상의 주사기는 하나의 주사 바늘을 구비하고, 피스톤을 눌러 실린더 내의 약품을 환자에게 투입하게 된다. 특히, 주사기는 주사 바늘이 굵은 바늘인 경우에는 피부를 관통할 때의 두려움과 통증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주사기의 사용 시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침형태의 주사바늘이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고통을 감소시키고자 개발된 침형태의 주사기에 적용되는 주사 바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약 투여 경로에 따른 주사의 종류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플런저, 배럴, 볼륨 마킹, 니들, 개스킷, 및 캡을 구비하는 일회용 주사기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주사 바늘이 침 형태로 측면에 2개의 홀이 형성되어 주사액이 측면으로 방출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약 투여 경로에 따른 주사의 종류로서, 피하주사와 근육주사와 정맥주사의 사용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바늘에 주사액을 전면으로 방출하는 하나의 방출구가 형성되는 구조로, 약 투여 경로에 따른 주사기의 피부조직 삽입 시 두려움 및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즉, 주사액의 방출 시 피부와 혈관 내에서 저항이 생기고, 이러한 저항의 압력이 발생되어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주사액의 밀도가 높아지고 양이 많아질 경우 주사되는 약물의 주입되는 속도 조절을 위해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주사 바늘이 사용되게 되고, 이는 직경이 작은 주사 바늘에 비해 환자에게 두려움과 통증을 유발시키고, 바늘에 의한 자상의 상처가 커질 수 있게 된다.
도 2의 침형태의 주사기는, 침 형태의 바늘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여 기존 일회용 주사기에서 주사액의 방출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과 저항을 줄여 통증이 감소되도록 하고 있으나, 침형태의 주사기에 적용되는 주사 바늘은 주사액 방출 시 앞쪽이 막혀 있어서 단면적의 변화가 없으므로 압력이 옆면에 걸리는 문제가 있다. 즉, 침형태의 주사기의 주사 바늘은 측면을 통해 주사액이 방출되고, 전면이 막힌 구조로 방출되는 주사액의 유속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므로 압력이 더 크게 작용될 수도 있게 되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혈관용 주사기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지속적으로 혈관에 투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혈관용 주사기는 일반 주사기용 바늘과 달리 환자의 활동에 따른 혈관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의 가이드 바늘과, 그 외부에 씌워지는 합성수지 튜브로 구성되며, 금속제 가이드 바늘은 피부와 혈관을 뚫어 외부 합성수지 튜브를 혈관까지 인도하는 기능을 하고, 합성수지 튜브는 금속제 가이드 바늘과 함께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튜브와 결합되어 수액이나 주사액을 혈관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혈관용 주사기의 합성수지 튜브 또한 수액이나 주사액을 전방으로만 방출하는 구조로, 수액이나 주사액의 밀도가 높아지고 양이 많아질 경우 주사되는 약물의 주입되는 속도 조절을 위해 보다 큰 직경을 가진 튜브가 사용되어야 하고, 이는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시 발생하는 압력의 증가로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와, 전단에 스타일렛이 일체로 구비되며, 아웃 캐뉼라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를 포함하되, 아웃 캐뉼라는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시 혈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고, 그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저항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관에 삽입되어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사이드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는 아웃 캐뉼라를 구성함으로써, 주방출구의 전방으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과 함께 보조 방출구를 통한 젤코의 측면에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더욱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의 압력과 저항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는, 무저항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아웃 캐뉼라의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막힘없이 전방으로 방출되면서 측면으로도 방출되도록 함에 따라 방출구의 단면적 증대를 통한 압력과 저항을 줄여 통증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동일 수액이나 주사액의 동일 밀도의 조건 하에서 직경이 작은 아웃 캐뉼라의 젤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저항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는,
무저항 주사기로서,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out cannula); 및
전단에 스타일렛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아웃 캐뉼라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inner cannula)를 포함하되,
상기 아웃 캐뉼라는,
상기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 캐뉼라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를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젤코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 캐뉼라는,
상기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혈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와 결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는,
상기 아웃 캐뉼라의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의 끝단에 형성되어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전방으로 방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보조 방출구는,
상기 아웃 캐뉼라의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의 일 측면에 사이드 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 캐뉼라는,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젤코에 형성된 주방출구를 통해 전방으로 방출하면서 동시에 젤코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보조 방출구를 통해 측면을 통해 방출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 캐뉼라는,
상기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되는 젤코에 형성된 주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전면으로 방출되고, 동시에 젤코의 일 측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사이드 홀 형태의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방출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 캐뉼라는,
상기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되는 젤코에 형성된 주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전면으로 방출되고, 동시에 젤코의 일 측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사이드 홀 형태의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방출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증가를 통한 주사액의 방출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무저항 주사기에 따르면,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와, 전단에 스타일렛이 일체로 구비되며, 아웃 캐뉼라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를 포함하되, 아웃 캐뉼라는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시 혈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고, 그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저항 주사기에 따르면, 혈관에 삽입되어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사이드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는 아웃 캐뉼라를 구성함으로써, 주방출구의 전방으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과 함께 보조 방출구를 통한 젤코의 측면에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더욱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의 압력과 저항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무저항 주사기에 따르면, 아웃 캐뉼라의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막힘없이 전방으로 방출되면서 측면으로도 방출되도록 함에 따라 방출구의 단면적 증대를 통한 압력과 저항을 줄여 통증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동일 수액이나 주사액의 동일 밀도의 조건 하에서 직경이 작은 아웃 캐뉼라의 젤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침형태의 주사기에 적용되는 주사 바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약 투여 경로에 따른 주사의 종류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아웃 캐뉼라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이너 캐뉼라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사용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아웃 캐뉼라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이너 캐뉼라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사용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100)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out cannula)(110)와, 전단에 스타일렛(121)이 일체로 구비되며, 아웃 캐뉼라(110)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inner cannula)(120)를 포함하되, 아웃 캐뉼라(110)는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젤코(111)에 형성되는 주방출구(112)와 보조 방출구(11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구현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웃 캐뉼라(110)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아웃 캐뉼라(out cannula)(110)는 후술하게 될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젤코(111)에 형성되는 주방출구(112)와 보조 방출구(11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웃 캐뉼라(110)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고(111)의 주방출구(112)와 보조 방출구(113)를 통한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시 피부와 혈관 내에서 저항이 생기는 일시적 압력 발생으로 유발되는 통증을 줄여줄 수 있도록 주방출구(112)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을 통한 막힘없이 측면의 보조 방출구(113)를 통한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로 방출 단면적이 늘어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고, 그를 통한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아웃 캐뉼라(110)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를 일체로 구비하되, 젤코(111)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젤코(111)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되, 인체에 무해한 생체적합성의 재질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아웃 캐뉼라(110)는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혈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와 결합 사용될 수 있다. 즉, 아웃 캐뉼라(1100는 이너 캐뉼라(120)와 함께 정맥 주사기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젤코(111)에 형성되는 주방출구(112)는 아웃 캐뉼라(110)의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전방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젤코(111)에 형성되는 보조 방출구(113)는 아웃 캐뉼라(110)의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의 일 측면에 사이드 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웃 캐뉼라(110)는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젤코(111)에 형성된 주방출구(112)를 통해 전방으로 방출하면서 동시에 젤코(11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보조 방출구(113)를 통해 측면을 통해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아웃 캐뉼라(110)는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되는 젤코(111)에 형성된 주방출구(112)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전면으로 방출되고, 동시에 젤코(111)의 일 측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사이드 홀 형태의 보조 방출구(113)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방출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아웃 캐뉼라(110)는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되는 젤코(111)에 형성된 주방출구(112)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전면으로 방출되고, 동시에 젤코(111)의 일 측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사이드 홀 형태의 보조 방출구(113)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방출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증가를 통한 주사액의 방출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너 캐뉼라(120)는, 전단에 스타일렛(121)이 일체로 구비되며, 아웃 캐뉼라(110)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너 캐뉼라(inner cannula)(120)의 스타일렛(121)은 금속제의 바늘로서, 아웃 캐뉼라(110)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젤코(111)와 밀착된 상태로 혈관에 삽입된 후 혈관에 젤코(111)가 삽입된 상태로 아웃 캐뉼라(110)와 분리된다. 여기서, 이너 캐뉼라(120)의 스타일렛(121)은 아웃 캐뉼라(110)의 젤코(111)를 혈관에 인도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바늘로서, 침형태의 바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의 사용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100)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out cannula)(110)와, 전단에 스타일렛(121)이 일체로 구비되며, 아웃 캐뉼라(110)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inner cannula)(120)를 구비하는 정맥 주사기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 캐뉼라(110)와 이너 캐뉼라(120)의 삽입 체결과, 혈관에 삽입과, 아웃 캐뉼라(110)의 젤코(111)가 혈관에 삽입된 상태로 이너 캐뉼라(120)가 후퇴 제거되는 사용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무저항 주사기(100)는 아웃 캐뉼라(110)의 젤코(111)에 형성되는 주방출구(112)와 보조 방출구(113)를 통한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단면적이 증가된 상태로 막힘없이 방출됨으로써 압력과 저항을 줄여 환자의 통증이 경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주사액의 밀도와 양의 조건에서는 기존 보다 작은 직경의 게이지를 갖는 주사를 맞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와, 전단에 스타일렛이 일체로 구비되며, 아웃 캐뉼라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를 포함하되, 아웃 캐뉼라는 이너 캐뉼라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액이나 주사액의 방출 시 혈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고, 그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혈관에 삽입되어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사이드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는 아웃 캐뉼라를 구성함으로써, 주방출구의 전방으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과 함께 보조 방출구를 통한 젤코의 측면에서의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더욱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수액이나 주사액 방출의 압력과 저항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아웃 캐뉼라의 젤코에 형성되는 주방출구와 보조 방출구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막힘없이 전방으로 방출되면서 측면으로도 방출되도록 함에 따라 방출구의 단면적 증대를 통한 압력과 저항을 줄여 통증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동일 수액이나 주사액의 동일 밀도의 조건 하에서 직경이 작은 아웃 캐뉼라의 젤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저항 주사기
110: 아웃 캐뉼라(out cannula)
111: 젤코
112: 주방출구
113: 보조 방출구
120: 이너 캐뉼라(inner cannula)
121: 스타일렛

Claims (8)

  1. 무저항 주사기(100)로서,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가 일체로 구비되는 아웃 캐뉼라(out cannula)(110); 및
    전단에 스타일렛(121)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아웃 캐뉼라(110)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전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이너 캐뉼라(inner cannula)(120)를 포함하되,
    상기 아웃 캐뉼라(110)는,
    상기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젤코(111)에 형성되는 주방출구(112)와 보조 방출구(11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캐뉼라(110)는,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를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젤코(111)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캐뉼라(110)는,
    상기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된 후 수액이나 주사액을 혈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와 결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젤코(111)에 형성되는 주방출구(112)는,
    상기 아웃 캐뉼라(110)의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젤코(111)에 형성되는 보조 방출구(113)는,
    상기 아웃 캐뉼라(110)의 플렉시블 한 튜브 형태의 젤코(111)의 일 측면에 사이드 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캐뉼라(110)는,
    수액세트의 수액 튜브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주사액을 젤코(111)에 형성된 주방출구(112)를 통해 전방으로 방출하면서 동시에 젤코(11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보조 방출구(113)를 통해 측면을 통해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캐뉼라(110)는,
    상기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되는 젤코(111)에 형성된 주방출구(112)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전면으로 방출되고, 동시에 젤코(111)의 일 측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사이드 홀 형태의 보조 방출구(113)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방출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캐뉼라(110)는,
    상기 이너 캐뉼라(120)를 통해 피부 내 혈관에 삽입되는 젤코(111)에 형성된 주방출구(112)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전면으로 방출되고, 동시에 젤코(111)의 일 측면에 추가로 형성되는 사이드 홀 형태의 보조 방출구(113)를 통해 수액이나 주사액이 방출되도록 함에 따른 방출구의 단면적을 증가를 통한 주사액의 방출 압력과 저항을 줄여주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항 주사기.
KR1020210099522A 2021-07-28 2021-07-28 무저항 주사기 Ceased KR20230017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22A KR20230017692A (ko) 2021-07-28 2021-07-28 무저항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22A KR20230017692A (ko) 2021-07-28 2021-07-28 무저항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692A true KR20230017692A (ko) 2023-02-06

Family

ID=8522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22A Ceased KR20230017692A (ko) 2021-07-28 2021-07-28 무저항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6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0078A (en) Dampening devices and methods for needle retracting safety vascular access devices
US6723074B1 (en) Sequential delivery syringe
RU2180861C2 (ru) Инъекционная игла
CA1203135A (en) Analgesic syringe
CN101340940B (zh) 用于药物射流喷射单元的皮肤保持装置
JPH06190038A (ja) 皮下注射器
US20080119797A1 (en) System with a syringe device and a needle device
US5049137A (en) Prepackaged syringe and catheter apparatus for deep administration of a fluid,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210048662A (ko) 주사기
JP2011527228A (ja) 体のある領域の端から端に亘って注射するために用いる注射器
US2003012020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clerotherapy
US8012133B2 (en) System for injection through or into the human skin
MX2023005067A (es) Ensamblaje de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y accesorio para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KR20230017692A (ko) 무저항 주사기
KR101699757B1 (ko) 일체형의 약액 공급용 니들 세트
KR200256333Y1 (ko) 혈관 주사용 바늘 어셈블리
KR20230017690A (ko) 무저항 주사기
KR20240046568A (ko) 다기능 플런저 핸들을 갖는 주사기
RU2721823C1 (ru) Карпульный инъектор
KR101883826B1 (ko) 치료물질 주입용 주사기
US20210128817A1 (en) Needle unit with biostatic chamber
KR100517200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JP7301072B2 (ja) 流体物質を注入するための、および流体物質の注入前に注入部位の監視を可能するための注入ヘッド、ならびにそのようなヘッドを備えた注射器
US202500253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rrigation into the lacrimal puncta
RU2085219C1 (ru) Шприц для инъекций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