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27424A - 차량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424A
KR20230027424A KR1020210109190A KR20210109190A KR20230027424A KR 20230027424 A KR20230027424 A KR 20230027424A KR 1020210109190 A KR1020210109190 A KR 1020210109190A KR 20210109190 A KR20210109190 A KR 20210109190A KR 20230027424 A KR20230027424 A KR 20230027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light
vehicl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반석
백승우
최형진
차준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424A/ko
Priority to DE102021006211.6A priority patent/DE102021006211A1/de
Priority to CN202111672217.3A priority patent/CN115707901A/zh
Priority to US17/569,854 priority patent/US11519580B1/en
Publication of KR2023002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42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55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장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와, 광원부의 개수와 대응되는 입체면이 형성되고,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입체 조명을 구현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여 차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적인 단면을 갖는 입체면에 대한 조명이 가능하여 차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야간 운행시 대상물을 잘 보이도록 하는 조명 기능과, 자차의 운전자나 다른 차량의 운전자, 보행자에게 자차의 상태(주행 상태나 운전 상태, 주행 방향, 그 밖의 각종 차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및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램프들이 장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헤드램프 어셈블리(Head Lamp Assembly)의 하이 빔(High Beam) 램프 및 로우 빔(Low Beam) 램프, 턴 시그널(Turn Signal) 램프, 포지셔닝(Positioning) 램프, 포그(Fog) 램프, 그리고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의 테일(Tail) 램프 및 스톱(Stop)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Back Up) 램프, 포그 램프, 그 밖의 룸(Room) 램프, 클러스터(Cluster)의 램프, 링(Ring) 램프 등이 장착되고 있고, 이 중에는 법적으로 밝기 정도와 각 용도별 색깔 등이 규정되어 있는 램프들도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램프로서 종래의 백열등 대신 눈에 피로감을 적게 주고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디자인의 자유도가 큰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 램프의 적용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LED 램프는 기존의 백열등에 비해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길며 점등 스피드가 빨라 우수한 시인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는데, 광원부인 LED 모듈과,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의 방향을 설정하는 반사부와, LED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어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 등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한편,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주로 조명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되고 있을 뿐, 특정 모양으로 빛을 아름답게 표현하거나 발산하는 미적인 기능에 있어서는 아직 미흡하여, 차량의 디자인성이나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최근 차량 디자인을 고려하여 차량에서 램프가 차지하는 면적을 점차 넓게 설계하고 있고, 또한 법규로 규정된 램프의 조사 면적이 넓은데 비하여, LED 램프의 경우 광원인 개별 LED의 조사 각도가 좁기 때문에, 램프의 조사 면적 및 발광 면적을 채우는데 매우 많은 수의 LED가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LED의 고성능화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디자인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빛을 내고자 하는 경우 많은 수의 LED를 탑재하는 디자인이 주류이고, 이는 결국 램프의 제조 비용 및 원가 상승의 주된 요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LED 램프는 LED 배열 전면에 편평하고 얇은 간단한 구조의 렌즈를 단순히 씌워놓은 구성이므로, 보는 이로 하여금 매우 밋밋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81352호(2013.07.17.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램프)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입체적인 단면을 갖는 입체면에 대한 조명이 가능하여 차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는: 차체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개수와 대응되는 입체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입체 조명을 구현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차체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광원케이스부;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입체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램프부;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렌즈부; 및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패턴을 조정하는 광원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시트부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시트부는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삽입되는 시트베이스부; 및 상기 시트베이스부에 형성되고, 광을 통과시켜 패턴을 형성시키는 시트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광원부 중 어느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제1조명을 구현하는 제1투과부; 및 상기 제1투과부와 연결되고, 상기 광원부 중 다른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제2조명을 구현하는 제2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투과부와 상기 제2투과부는 연결되고, 상기 제1조명과 상기 제2조명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는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체면을 형성하는 스크린부에 도달하여 입체 조명을 구현하므로, 차체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는 하우징부(10)와, 광원부(20)와, 스크린부(3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차체(100)에 장착된다. 일예로, 하우징부(10)는 전면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차체(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원부(20)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한다. 일예로, 2개의 광원부(20)는 1개의 하우징부(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스크린부(30)는 광원부(20)의 개수와 대응되는 입체면이 형성되고, 광원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입체 조명을 구현한다. 일예로, 스크린부(30)는 하우징부(10)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0)와, 광원부(20)와, 스크린부(30)는 일체로 조립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0)는 차체(100) 전면부에 배치된다. 일예로, 하우징부(10)는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 가능하고, 차체(100) 라디에이터 그릴 영역의 좌우 양측에 해당되는 안개등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0)는 차체(100)에 장착되어 내장되고, 스크린부(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20)는 하우징부(10)에 조립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20)는 광원케이스부(21)와, 광원램프부(22)와, 광원렌즈부(23)와, 광원시트부(24)를 포함한다.
광원케이스부(21)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광원케이스부(21)는 하우징부(10)에 탈부착 가능하다. 광원케이스부(21)는 전면이 개구된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때, 광원케이스부(21)의 내측면에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물질이 코팅되어 광을 전면 개구된 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광원램프부(22)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광원램프부(22)는 광량과 점등을 제어하는 기판과 램프를 포함하고, 램프로는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램프부(22)는 전원이 인가되면 광원케이스부(21)의 전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원렌즈부(23)는 광원케이스부(21)에 장착되고, 광원램프부(22)에서 조사되는 광을 유도한다, 일예로, 광원렌즈부(23)는 광을 확산하거나 정렬하여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시트부(24)는 광원케이스부(21)에 장착되고, 광원램프부(22)에서 조사되는 광의 패턴을 조정한다. 일예로, 광원시트부(24) 각각에는 고유한 광 패턴이 형성되고, 광원시트부(24)를 광원케이스부(21)에 교체 설치하여 다양한 광 패턴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시트부(24)는 시트베이스부(241)와 시트홀부(242)를 포함한다.
시트베이스부(241)는 광원케이스부(21)에 삽입된다. 일예로, 광원케이스부(21)는 광원렌즈부(23)와 광원램프부(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광원케이스부(21)에 교체 설치될 수 있다. 광원케이스부(21)는 광을 차단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가 광원케이스부(21)와 조립될 수 있다.
한편, 광원렌즈부(22)가 2개인 경우, 2개의 광원렌즈부(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격된 광원렌즈부(22) 사이로 시트베이스부(241)가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광원렌즈부(22)가 3개 이상인 경우, 광원렌즈부(22) 사이 공간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 시트베이스부(241)가 배치될 수 있다.
시트투과부(242)는 시트베이스부(241)에 형성되고, 광을 통과시켜 패턴을 형성시킨다. 일예로, 시트투과부(242)는 시트베이스부(241)에 형성되는 홀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투과부(242)의 크기 또는 시트투과부(242)의 투과율에 따라 조명의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30)는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는 서로 연결되어 입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투과부(31)는 광원부(20) 중 어느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제1조명(311)을 구현한다. 일예로, 제1투과부(31)는 광원시트부(24)에 의해 구현되는 패턴이 제1투과부(31)에 도달하여 제1조명(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투과부(32)는 제1투과부(31)와 연결되고, 광원부(20) 중 다른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제2조명(321)을 구현한다. 일예로, 제2투과부(32)는 광원시트부(24)에 의해 구현되는 패턴이 제2투과부(32)에 도달하여 제2조명(3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부(30)에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가 구비되어 입체면을 형성하는 경우,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는 서로 조립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의 연결부위는 각진 형상을 하거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명(311)과 제2조명(321)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광원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제1투과부(31)에서 제1조명(311)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광원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제2투과부(32)에서 제2조명(3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조명(311)은 제1투과부(31)의 단부까지 구현되고, 제2조명(321)은 제2투과부(32)의 단부까지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가 연결되면, 제1조명(311)과 제2조명(321)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부(30)가 입체면을 형성하더라도 입체면에 대응되는 입체 조명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부(10)에 광원부(20)를 장착하고, 광원부(20)의 개수와 대응되는 입체면이 형성되는 스크린부(30)를 하우징부(10)에 장착한다. 이러한 스크린부(30)는 하우징부(10)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차량용 조명장치(1)는 모듈로서 차체(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즉, 차량용 조명장치(1)는 기존에 라디에이터 그릴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안개등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광원부(20)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광원부(20)에서 생성된 광이 스크린부(30)에 도달되어 입체 조명을 구현한다.
즉, 스크린부(30)의 입체면은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를 포함하고, 제1투과부(31)와 제2투과부(32)는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투과부(31)에는 제1조명(311)이 형성되고, 제2투과부(32)에는 제2조명(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조명(311)과 제2조명(321)은 서로 연결된다.
한편, 광원부(20)는 광원케이스부(21)와, 광원케이스부(21)에 장착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램프부(22)와, 광을 유도하는 광원렌즈부(23)와, 광 패턴을 구현하는 광원시트부(24)를 포함한다. 이때, 광원시트부(24)는 교체 가능하므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광 패턴을 갖는 광원시트부(24)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는 광원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체면을 형성하는 스크린부(30)에 도달하여 입체 조명을 구현하므로, 차체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광원부
21 : 광원케이스부 22 : 광원램프부
23 : 광원렌즈부 24 : 광원시트부
30 : 스크린부 31 : 제1투과부
32 : 제2투과부

Claims (7)

  1. 차체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개수와 대응되는 입체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입체 조명을 구현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차체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광원케이스부;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입체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램프부;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렌즈부; 및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패턴을 조정하는 광원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시트부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시트부는
    상기 광원케이스부에 삽입되는 시트베이스부; 및
    상기 시트베이스부에 형성되고, 광을 통과시켜 패턴을 형성시키는 시트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광원부 중 어느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제1조명을 구현하는 제1투과부; 및
    상기 제1투과부와 연결되고, 상기 광원부 중 다른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제2조명을 구현하는 제2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제1투과부와 상기 제2투과부는 연결되고,
    상기 제1조명과 상기 제2조명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KR1020210109190A 2021-08-19 2021-08-19 차량용 조명장치 Pending KR20230027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90A KR20230027424A (ko) 2021-08-19 2021-08-19 차량용 조명장치
DE102021006211.6A DE102021006211A1 (de) 2021-08-19 2021-12-16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
CN202111672217.3A CN115707901A (zh) 2021-08-19 2021-12-31 车辆用照明装置
US17/569,854 US11519580B1 (en) 2021-08-19 2022-01-06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90A KR20230027424A (ko) 2021-08-19 2021-08-19 차량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24A true KR20230027424A (ko) 2023-02-28

Family

ID=8432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190A Pending KR20230027424A (ko) 2021-08-19 2021-08-19 차량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19580B1 (ko)
KR (1) KR20230027424A (ko)
CN (1) CN115707901A (ko)
DE (1) DE1020210062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5801U1 (de) 2001-09-26 2002-03-07 Merlaku, Kastriot, 80807 München Fahrzeug-Nebel-Scheinwerfer oder Nebel-Leuchte
JP5474732B2 (ja) 2009-12-17 2014-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KR20130081352A (ko) 2012-01-09 2013-07-17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량용 램프
DE102013101021B4 (de) * 2013-02-01 2022-03-03 HELLA GmbH & Co. KGaA Vorrichtung zur Lichtstreuung für Fahrzeuge mit einem Gewebe in Form einer Gewebekugel oder eines Gewebeknäuels
AT517885B1 (de) 2015-10-23 2018-08-15 Zkw Group Gmbh Mikro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zur Erzeugung von abbildungsfehlerfreien Lichtverteilungen
JP6932933B2 (ja) * 2017-01-19 2021-09-0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FR3068658B1 (fr) * 2017-07-06 2021-04-16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d'un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006211A1 (de) 2023-02-23
US11519580B1 (en) 2022-12-06
CN115707901A (zh)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13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1268814B1 (ko)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JP5275776B2 (ja) 車両用灯具
EP2784375B1 (en) Vehicular headlamp
JP2010040322A (ja) 車両用灯具
CN101639186B (zh) 前照灯
JP2007324002A (ja) 車両用灯具
KR102343401B1 (ko) 매트릭스 sbl 광학계를 갖는 헤드램프
JP2012064535A (ja) 車両用灯具
KR20180045384A (ko) 차량용 램프
JP6975587B2 (ja) 車両用灯具
KR20180045377A (ko) 차량용 램프
JP2022127302A (ja) 車両用灯体装置
KR20230027424A (ko) 차량용 조명장치
JP6920015B2 (ja) 車両用灯具
WO2023210678A1 (ja) 車両用灯具
KR20100122645A (ko) 차량용 램프
KR101396868B1 (ko) 차량의 적응형 전방 조명장치
JP2017059315A (ja) 車輌用灯具
JP7528486B2 (ja) 車両用灯具
KR101396869B1 (ko) 차량용 램프
JP4721445B2 (ja) 車両用灯具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JP2014063641A (ja) 車両用灯具
KR200482997Y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