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34656A -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 Google Patents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656A
KR20230034656A KR1020210117681A KR20210117681A KR20230034656A KR 20230034656 A KR20230034656 A KR 20230034656A KR 1020210117681 A KR1020210117681 A KR 1020210117681A KR 20210117681 A KR20210117681 A KR 20210117681A KR 20230034656 A KR20230034656 A KR 2023003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display
remote control
touch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656A/ko
Priority to PCT/KR2022/013123 priority patent/WO2023033570A1/ko
Priority to EP22865072.7A priority patent/EP4300280A4/en
Priority to CN202280059346.1A priority patent/CN117916703A/zh
Priority to US18/152,479 priority patent/US20230161472A1/en
Publication of KR2023003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5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리모컨과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통신부,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제2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되면, 적어도 하나의 키의 정보들을 리모컨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리모컨의 키 설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FOR SETTING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S THEREOF}
본 개시는 키를 표시하는 리모컨과, 그 리모컨에 표시되는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TV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전제품에서 리모컨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리모컨은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하나의 키를 누르면 그 키의 키 값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RF(Radio Frequency) 송신기를 갖춘 리모컨의 경우 제어 신호를 RF 신호 형태로 출력하지만, 최근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리모컨들은 제조 회사에서 정한 사양에 따라 키들의 위치 및 기능이 설정되었다. 가전 제품이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전체 기능들에 각각 매핑되는 키들을 작은 리모컨 본체에 전부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가전 제품에 구비된 UI를 통해서 여러번 조작을 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하위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초기 UI에서 상위 메뉴를 선택한 후, 순차적으로 하위 메뉴들을 선택해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찾아야 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원하는 기능에 직접 매핑된 단축 키를 구비한 리모컨도 개발되었으나, 그 리모컨의 단축 키에 기능을 매핑하는 과정 자체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의 가전 제품들은 그 기능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찾기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더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리모컨의 키 설정을 사용자가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컨과, 그 설정 방법들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에 따라 안출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컨과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통신부,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 각각 이동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전체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 중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의 고정 키 값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 이외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키의 키 값을 상기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체 키들을 기 설정된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모두 표시하고, 상기 전체 키들의 일 측에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터치 패드 이미지를 나란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에 대응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커서가 하나의 키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드래그 앤 드랍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 앤 드랍 조작에 따라 상기 하나의 키를 이동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은, 외부 장치 및 리모컨과 각각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키 및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내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각각 이동되면,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내에서 이동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전체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 중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 이외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키의 키 값을 상기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에 대해 설정된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체 키들을 기 설정된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모두 표시하고, 상기 전체 키들의 일 측에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를 나란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에 대응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서 이동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하나의 키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드래그 앤 드랍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 앤 드랍 조작에 따라 상기 하나의 키를 이동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통신부, 터치 패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키 설정 기능이 실행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키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패드를 제어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패드에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키 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식별하여, 식별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서, 상기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은,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 각각 이동되면,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내에서 이동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전체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 중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 이외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키의 키 값을 상기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에 대해 설정된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은,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에 대응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UI 화면 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입력되는 드래그 앤 드랍 조작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컨과 연결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 각각 이동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리모컨에서 제공하는 키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키를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키를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키를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본 실시 예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 TV 이외에도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비디오 월(video wall),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스마트 스피커, 키오스크 등의 제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탑 박스나 기타 제어 장치에서도 본 실시 예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리모컨(200)은 터치 패드(210)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210)에는 리모컨(200)의 키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러한 이미지는 소프트 키 또는 소프트 버튼이라고 부를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키 라고 명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200)의 터치 패드(210)와 대응되는 이미지, 즉, 터치 패드 이미지(30)와, 복수의 키(20-1 ~ 20-n)(n은 양의 정수)를 포함하는 UI 화면(10)을 표시한다. 복수의 키(20-1 ~ 20-n)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키들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각종 숫자 키와 전원 키, 외부 입력 모드 선택 키, 채널 업/다운 키, 볼륨 업/다운 키, 메뉴 키, 확인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키(20-1 ~ 20-n) 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UI 화면(10) 상에서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패드 이미지(30) 내로 이동한 키의 키 정보와, 그 키의 최종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200)으로 전송한다. 키 정보에는 그 키의 이름, 키 형태, 키 값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리모컨(200)은 전송된 정보를 저장한다. 리모컨(200)은 터치 패드(210) 상에서 그 키의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을 식별하여 그 지점에 해당 키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리모컨(200)의 키들이 설정된다. 설정이 완료되면, 리모컨(200)은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리모컨(200) 사용 시에는 그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210)에 키들을 표시하게 된다.
도 1에서 키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직접적으로 또는 외부 서버나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한다면, 사용자는 UI 화면(10) 상에서 직접 키를 선택하여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으로 이동시키는 터치 조작을 입력하여 리모컨 키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리모컨(200) 자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의 음성 인식이나, 모션 인식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특정 키를 선택하여 터치 패드 이미지(30)로 옮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방식인 경우, 사용자가 특정 키의 이름을 말하면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의 일 지점에 해당 키를 표시하고, 상하좌우를 지칭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해당 키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손바닥 위치에 따라 화면에 커서를 표시하고, 특정 키 위에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주먹쥐면 해당 키가 선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먹의 위치를 옮기면 그에 따라 키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고,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의 일 지점에서 주먹을 펴면 해당 키를 그 위치에 고정 표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10)는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2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1 및 제2 통신부(110, 120)의 통신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컨 등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리모컨(200)과 통신하고, 제2 통신부(120)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또는 유/무선 LAN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130)는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13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프로세서(150)에서 처리한 각종 영상 화면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UI 화면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5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NPU (Neural Processing Unit),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12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장치의 사용자는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을 수신한다.
프로세서(150)는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리모컨(200)의 터치 패드 이미지(30) 및 복수의 키(20-1 ~ 20-n)를 포함하는 UI 화면(10)을 구성한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하여, UI 화면(10)을 표시한다.
프로세서(150)는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으로 이동하면, 이동된 키의 키 정보 및 그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리모컨으로 전송한다. 정보 전송은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으로 하나의 키가 이동될 때마다 바로 수행될 수도 있고, 키 이동 작업이 전부 완료된 이후에 일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키 정보에는 키의 이름과, 그 키 값, 터치 패드(210) 내에 표시되는 키의 형태 및 크기, 컬러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키 값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지정하기 위한 값을 의미한다. 키 값은 제조 회사 별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0xFF 2byte HEX code로 구성되는 경우, 총 255개의 키에 대하여 키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전체 키의 키 값이 전부 정해져서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전체 키의 개수가 255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부 키의 키 값을 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는, 메모리(140)에는 디폴트로 정해진 일부 키들에 대해서 설정된 고정 키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그러한 키들을 제외한 기타 키들에 대해서는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리모컨(200)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원키, 볼륨 업/다운 키, 채널 업/다운 키, 방향 조정 키, 메뉴 키, 확인 키, 숫자 키 등등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0x00~0x34의 키 값이 각각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영화 화면 모드 진입"과 같은 기능에 해당하는 키가 터치 패드 이미지(30)로 이동하였다면, 프로세서(150)는 해당 키의 키 값은 고정 키 값이 아닌 키 값인 0x35로 생성하여, 리모컨(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신규 키 값은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상태에서 순서대로 만들 수도 있고, 랜덤하게 만들 수도 있다.
리모컨(200)은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210)에 각종 키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리모컨(200)은 터치 패드(210), 메모리(220), 통신부(230), 프로세서(240)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210)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 터치 기능을 갖춘 구성요소이다. 터치 패드(21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감지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 중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지점에 대한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
메모리(220)에는 리모컨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예로, 메모리(220)에는 터치 패드(210)에 표시될 각 키들의 키 정보와, 그 표시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된다.
통신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방식은 다양한 방식들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키 정보와, 그 키들을 표시할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프로세서(240)는 수신된 정보들을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이러한 리모컨 키 설정 작업은 리모컨(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 진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이 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수시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리모컨 키 설정 작업이 재수행되어 새로운 키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220)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에 따라, 새롭게 수정된 키들이 터치 패드(210)상에서 정해진 위치에 표시된다.
리모컨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터치 패드(210)에 표시된 키를 터치하면 된다. 프로세서(240)는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키 값을 메모리(220)로부터 식별한다. 프로세서(240)는 식별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구성하여, 통신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외부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전자 책, MP3 플레이어, 스마트 스피커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나 또는 중계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과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된 외부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 4에서는 휴대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4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메모리(미도시)에 설치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311, 312)을 디스플레이(310) 상에 표시한다. 어플리케이션들 중에는 특정 환경(예를 들어, 집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각종 전자 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환경 내의 각종 전자 장치들과 사물 인터넷 기술(Internet of Things : IoT)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312)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실행 화면(320)을 표시한다. 실행 화면(320)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어 가능한 각종 전자 장치들에 대한 메뉴들(예를 들어,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이 표시된다. 리모컨 키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가 TV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TV 메뉴(321)를 선택하였을 때 TV 제어 화면(330)에 리모컨 키 설정 메뉴(33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모컨 키 설정 메뉴(331)를 선택하면, 리모컨 키를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340)이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다.
UI 화면(340)에는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각종 메시지(341)와 함께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 영역(342)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작 영역(342)의 일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 조작, 일 지점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롱터치 조작, 일정 시간 이내에 복수 회 연속 터치하는 연속 터치 조작,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하는 드래그앤 드랍 조작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20)에서 TV 메뉴(321)가 선택되었을 때 또는 TV 제어 화면(330) 내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TV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TV로 구현된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통신부(120)를 통해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연결은 모바일 디바이스(300) 내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계 서버나 클라우드 서버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전송되는 각종 제어 신호나 데이터 등은 중계 서버나 클라우드 서버 등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수신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는 리모컨 키 설정 메뉴(331)가 선택되면, 리모컨 키 설정을 위한 UI 화면(340)을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는 리모컨 키 설정을 위한 UI 화면(340)의 조작 영역(342)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커서를 이용하여 키를 특정한 후 특정된 키를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시키거나, 터치 패드 이미지로부터 밖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조작 영역(342)이 전체 디스플레이(310) 내의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10) 전체가 조작 영역(342)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함께 이용하여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는 넓은 화면을 통해서 각종 키들을 보면서 손에 익숙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편리하게 키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키를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제2 통신부(120)를 통해 UI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5와 같은 UI 화면(1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한다. UI 데이터란 UI 화면(10)의 전체 레이아웃, 화면 내 각 그래픽 오브젝트들의 표시 좌표, 특성, 형태, 컬러, 속성 등을 정의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UI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회사에서 제품 제조 시에 미리 저장하여 주거나, 온/오프라인 소스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UI 화면(10)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UI 화면(10)을 보면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조작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는 조작 영역(342)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UI 화면의 각 좌표들을 1:1로 매칭시킬 수 있다. 정확한 매칭을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는 조작 영역(342)의 가로세로 비율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UI 화면(10)에 맞추어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 영역(342) 내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터치 지점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I 화면(10) 내에서 그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서(40)를 표시한다.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이동 방향이나 거리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킨다. 커서가 하나의 키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영역(342)을 터치한 후 터치 지점을 이동시켰다가 터치 해제하는 조작, 즉, 드래그앤드랍 조작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드래그앤드랍 조작에 따라 해당 키를 이동 표시한다. 도 5와 같이 "화면 모드"라는 키(20-x) 위에 커서(40)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조작 영역 내에서 임의의 a지점을 터치한 후 b지점으로 드래그앤드랍 조작을 입력하였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조작 방향 및 거리에 따라 해당 키(20-x) 자체를 커서(40)와 함께 이동시킨다. 이동된 위치가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이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의 최종 이동 위치에 키(31)를 고정 표시한다. 반면, 터치 패드 이미지(30) 밖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실시 예에 따라 키(20-x)를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거나, UI 화면(10) 내의 최종 이동 위치에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서는 조작 영역(342)의 일 측에 선택 버튼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선택 버튼은 커서가 표시된 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선택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터치 및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키의 표시 위치를 드래그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이동시켜 표시한다. 선택 버튼이 눌러져 있는 동안에는 터치가 해제되더라도 키 선택 상황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조작 영역(342)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선택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여러 번 터치 앤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키를 이동시킨 후, 선택 버튼을 해제하여, 최종 이동 위치에 키를 표시할 수 있다.
키 이동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터치 패드 이미지(30) 내에 표시된 키(31)에 대응되는 원래의 키(20-x)는 UI 화면(10) 내에서 삭제하거나, 채도나 명도를 떨어뜨려서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으로 키(20-x)의 이동이 완료되면, 그 이동된 키에 대한 각종 키 정보와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리모컨(200)으로 전송한다. 리모컨(200)의 프로세서(240)는 전송된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도 5에서는 하나의 키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바로 그 키에 대한 정보들이 리모컨(200)으로 제공되고, 리모컨(200)에서 그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10) 상에 키(211)를 표시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러 번의 키 이동 작업을 수행한 후 한꺼번에 정보들을 리모컨(200)으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경우에 실현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방식으로 키 선택 및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이용한 키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지자기 센서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이들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을 산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산출된 각도들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자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감지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커서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UI 화면(10)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전단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향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전단부가 향하는 위치에 커서(40)를 표시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기 설정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3축 지자기 센서가 구비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평평한 면에 놓은 상태에서 x, y, z축 센서의 출력 값을 산출하고 캘리브레이션하여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들고 움직이면, 저장된 값을 기준 으로 센서의 출력 값 변화에 따른 자세 변화를 추정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커서(40)가 하나의 키(20-x)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특정 하드웨어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미도시)를 선택한 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 거리만큼 키(20-x)가 이동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의 원하는 위치에 키(31)를 이동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특정 하드웨어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미도시)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커서(40)만 이동시킨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은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7은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키를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2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 화면(10) 상의 키를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따르면, 리모컨(200)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지자기 센서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감지된 리모컨(200)의 자세 변화에 대한 감지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커서(40)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컨(200)은 커서(40)가 표시된 키를 선택하는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선택 버튼(하드웨어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커서(40)가 하나의 키(20-x)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컨의 선택 버튼을 선택한 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 거리만큼 키(20-x)가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패드 이미지(30) 상의 원하는 위치에 키(31)를 이동 표시할 수 있으며, 리모컨(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이동된 키의 키 정보 및 이동 위치를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 패드(210)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된 키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리모컨(200)의 키들 모두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실제 사용 환경에서 리모컨(200)에 필수적이거나 자주 사용되는 키들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키, 외부 입력 키, 음소거 키, 메뉴 키, 방향 키 등이 그러하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리모컨 키 설정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일부 키들은 고정적으로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UI 화면(10) 내의 터치 패드 이미지(30)에는 전원 키(32-1), 외부 입력 키(32-2), 음소거 키(32-3), 확인 키(32-4), 방향 키(32-5)가 표시된다. 이들 키들은 표시 위치를 변동하거나 삭제할 수 없도록 설정해 둘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이들 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들을 터치 패드 이미지(30) 외부에 표시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키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폴트로 정해진 일부 키들에 대해서는 고정 키 값이 부여될 수 있다. 도 7에서 터치 패드 이미지(30)에 고정적으로 표시된 키들이 이러한 디폴트 키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폴트 키 들 중에서도 터치 패드 이미지(30) 밖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할 것이 당연한 키들까지 다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부 키들 중에는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에 해당하는 키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모드 메뉴의 경우, 그 하위로 영화 모드, 뉴스 모드, 풍경 모드, 스포츠 모드 등의 하위 메뉴들이 있고, 영화 모드는 다시 액션 영화, 로맨스 영화, 스포츠 영화 등의 하위 메뉴들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이들 하위 메뉴들까지 전부 하나의 화면 상에 모두 보여주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체 키들을 모두 표시하고 그 일 측에 터치 패드 이미지(30)를 나란하게 표시하도록 UI 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러 단계를 거쳐서 하위 메뉴들을 찾지 않더라도 하나의 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메뉴의 키를 바로 선택하여, 리모컨(200)으로 옮길 수 있다. 전체 키가 표시되거나, 전체 키가 아니더라도 임계 치 이상으로 많은 키가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기 설정된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알파벳 순으로 전체 키들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50)는 각 알파벳들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81-a, 81-b ~ 81-z)의 일 측에 그 알파벳으로 시작되는 이름을 가진 키들을 각각 그룹핑하여 표시한다(80-a, 80-b, ~ 80-z).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되는 국가의 언어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정렬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주 사용하는 순서를 기준으로 키들을 정렬할 수도 있고, 업데이트 순서를 기준으로 키들을 정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자신이 원하는 키를 찾을 수 있다.
전체 키들의 개수가 너무 많아서 하나의 화면으로 보기 힘든 경우에는, 상하위 메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상위 메뉴의 키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UI 화면(10) 내에서 설정 메뉴에 해당하는 키(20-y)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50)는 그 설정 메뉴에 포함된 하위 메뉴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90)를 표시하도록 UI 화면을 생성한다. 설정 메뉴의 경우, 휘도 설정, 채도 설정, 콘트라스트 설정, 오디오 설정, 사용자 설정 등의 하위 메뉴가 있을 수 있다. 이들 하위 메뉴 중에서도 차하위 메뉴가 포함된 메뉴에 해당하는 키가 선택된다면, 프로세서(150)는 다시 그 차하위 메뉴의 키들을 표시하도록 UI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많은 키들을 한꺼번에 보는 것보다 계층적으로 찾아들어 가는 것을 선호할 수 있는 바, 도 10과 같은 형태로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밖에, 전체 키들의 개수가 많아서 하나의 화면으로 보기 힘든 경우, 여러 개의 페이지로 구분하여, 따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각 메뉴들의 속성에 따라 해당 키들의 컬러나, 형태, 모양, 배경 컬러 등을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모드 설정, 오디오 설정 등과 같은 각종 설정 메뉴에 대해서는 초록색 사각형 키로 표시하고, 숫자 키는 하얀색 원형 키, 방향 키는 노란색 삼각형 키 등과 같은 형태로 차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다양한 키 설정 방법의 예들을 설명하였다. 이들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는 조합되어 하나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키를 고정시켜서 표시하면서 나머지 키들은 기 설정된 정렬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최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들에 대응되는 키들을 하나의 화면 내에서 정렬하여 표시하면서, 차하위 메뉴가 포함된 하위 메뉴의 키가 선택된 경우에는 그 차하위 메뉴들을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여러 단계로 메뉴를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면서, 한 화면내에 너무 많은 키가 표시되어 찾기가 어려워지는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UI 화면의 구성 및 키 설정 방법은 전체 화면의 크기나 키의 갯수, 사용자 편의성 등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 및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컨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S1010), 터치 패드 이미지와 함께 키를 표시한다(S1020). 도 10에서 UI 표시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등의 외부 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마이크, 조이스틱 등)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키가 이동되면(S1030),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된 위치에 키를 표시한다(S1040).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키들을 전부 터치 패드 이미지로 옮길 수 있다. 이 후, 설정이 종료되면(S1050),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된 키에 대한 키 정보와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으로 전송한다(S1060).
키 이동 및 표시 등도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등의 외부 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마이크, 조이스틱 등)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술한 부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에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내용들에 따른 세부 단계들이 도 11의 흐름도에 추가될 수도 있다. 에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전체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 중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고정 키 값을 적용하고, 그 이외의 키들이 선택되었을 때는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표시하는 UI 화면의 구성은 도 8 내지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세부 단계들이 도 11의 흐름도에 추가될 수 있다. 이들 세부 단계들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다른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의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구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경우가 아니라면 제2 통신부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도 11의 방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리모컨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연결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키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1110). 리모컨은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S1120). 이 후, 리모컨 키가 재 설정될 때까지는 리모컨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 상에 적어도 하나의 키를 표시한다(S1140). 사용자는 터치 패드에 표시된 키를 선택할 수 있다.
리모컨의 프로세서는 표시된 키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S1150), 그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키 값을 리모컨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식별한다. 프로세서는 식별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한다(S1160). 제어 신호의 포맷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모컨 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 리모컨은 블루투스 패킷 내에 키 값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한편, 리모컨 키의 설정은 리모컨을 최초 사용할 때 1회만 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이후에 수시로 재설정을 할 수도 있다. 리모컨 키의 재설정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수행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 리모컨 키의 재설정 방법도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기존에 설정되었던 키는 UI 화면(10) 내의 터치 패드 이미지에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기존에 설정된 키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 키의 최초 설정 과정에서 수행된 결과를 저장하고 있다가, 저장 결과에 기초하여 UI 화면(10)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리모컨 키에서 저장된 키들의 정보를 재설정 작업 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사용자는 UI 화면(10)의 터치 패드 이미지에 표시된 기존 키들 중에서 일부 키의 위치를 터치 패드 이미지 밖으로 이동시키고,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키를 터치 패드 이미지로 옮겨서 재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키를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서 기존 키 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을 해제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기존 키를 새로운 키로 대체하기 위한 명령으로 인식하고, 기존 키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명령 및 새로운 키에 대한 키 정보와, 그 위치 정보를 리모컨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다양한 도면과 함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에서 설명한 내용은 엄격하게 구분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구성요소들이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UI 화면을 보면서,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기타 장치 등을 이용하여 리모컨에 사용할 키들을 직접 선택하고, 리모컨 내에서 해당 키가 표시될 위치까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리모컨이 만약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면, 리모컨 키 설정은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인 가족인 경우, 각 가족 별로 자신이 원하는 키들만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리모컨은 지문 인식이나 음성 인식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방식으로 사용자를 식별한 후, 그 식별된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했던 키 배치 패턴에 맞게 터치 패드 상에 키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설명 및 도시에서 UI 화면에는 키들의 이미지와 터치 패드 이미지만을 도시하였으나, 키 설정에 필요한 기타 메뉴들도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 설정 작업을 종료하기 위한 키 설정 종료 메뉴, 기존에 설정한 키들을 전부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서 제거하기 위한 일괄 제거 메뉴, 키 설정 작업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메뉴 등 다양한 메뉴들이 추가로 표시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 및 도시에서는 리모컨에 표시될 키의 종류를 선택하고, 키의 표시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리모컨의 터치 패드 자체를 커스터마이징 하는 작업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컨의 터치 패드의 배경 컬러를 수정하거나, 리모컨에 표시될 키 이름을 한국어에서 영어로 변환하거나, 키 이름 자체를 새로운 이름으로 편집하는 작업, 키의 크기나 형태, 컬러를 변경하는 작업 등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들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조작 영역을 통해 터치 조작을 입력받는 것 이외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각종 텍스트를 입력하는 등의 사용자 조작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리모컨의 터치 패드에 표시될 키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원하는 기능을 찾아가기 까지 여러 번의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각종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켜 상술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각각 이동되면, 터치 패드 이미지 내에서 이동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전자 장치에서 설치되면, 전자 장치는 리모컨 키 설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이 기록 매체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온라인 상에서 또는 기록 매체에 실린 상태로 배포될 수도 있고, 펌웨어 형태로 전자 장치에 탑재된 상태로 보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는, 상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 실시 예 별로 조합되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실시 예 별로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ROM, RAM, 메모리 칩, 메모리 카드, 외장형 하드, 하드,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배포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온라인 상에서 다운로드 받은 장치 역시 상술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 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개량,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음을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110 : 제1 통신부 120 : 제2 통신부
130 : 디스플레이 140 : 메모리
150 : 프로세서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리모컨과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2 통신부;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 각각 이동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전체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 중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의 고정 키 값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 이외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키의 키 값을 상기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체 키들을 기 설정된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모두 표시하고, 상기 전체 키들의 일 측에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터치 패드 이미지를 나란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에 대응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커서가 하나의 키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드래그 앤 드랍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 앤 드랍 조작에 따라 상기 하나의 키를 이동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컨 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 및 리모컨과 각각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키 및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내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각각 이동되면,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내에서 이동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 키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전체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 중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 이외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키의 키 값을 상기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에 대해 설정된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모컨 키 설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체 키들을 기 설정된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모두 표시하고, 상기 전체 키들의 일 측에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를 나란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된, 리모컨 키 설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에 대응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모컨 키 설정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서 이동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하나의 키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드래그 앤 드랍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 앤 드랍 조작에 따라 상기 하나의 키를 이동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 키 설정 방법.
  11. 리모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통신부;
    터치 패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키 설정 기능이 실행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키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패드를 제어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패드에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키 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식별하여, 식별된 키 값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리모컨.
  12.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은,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 각각 이동되면,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내에서 이동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전체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 중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 이외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된 키의 키 값을 상기 디폴트로 정해진 키들에 대해 설정된 고정 키 값을 제외한 임의의 키 값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키 설정 방법은,
    상기 UI 화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 중에서 복수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에 대응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UI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 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입력되는 드래그 앤 드랍 조작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으로 이동 표시되는, 기록 매체.
  16.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리모컨과 연결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리모컨의 키 설정을 위한 UI 표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의 터치 패드 이미지 및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 화면 상의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가 상기 터치 패드 이미지 상에 각각 이동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키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각각의 이동 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17681A 2021-09-03 2021-09-03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Pending KR20230034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81A KR20230034656A (ko) 2021-09-03 2021-09-03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PCT/KR2022/013123 WO2023033570A1 (ko) 2021-09-03 2022-09-01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EP22865072.7A EP4300280A4 (en) 2021-09-03 2022-09-01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FOR SETTING KEYS OF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CN202280059346.1A CN117916703A (zh) 2021-09-03 2022-09-01 遥控器、用于设置遥控器的键的显示装置及其方法
US18/152,479 US20230161472A1 (en) 2021-09-03 2023-01-10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for setting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81A KR20230034656A (ko) 2021-09-03 2021-09-03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56A true KR20230034656A (ko) 2023-03-10

Family

ID=8541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81A Pending KR20230034656A (ko) 2021-09-03 2021-09-03 리모컨 및 그 리모컨의 키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방법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61472A1 (ko)
EP (1) EP4300280A4 (ko)
KR (1) KR20230034656A (ko)
CN (1) CN117916703A (ko)
WO (1) WO20230335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352B1 (ko) 2023-05-30 2024-01-05 박우석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IoT 통합 리모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2343A (ko) * 2023-05-08 2024-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564B1 (ko) * 2008-08-07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유닛 및 원격제어시스템
US10281893B2 (en) * 2009-06-25 2019-05-07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macro commands in a controlling device
US8966375B2 (en) * 2009-09-07 2015-02-24 Apple Inc. Management of application programs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70352B1 (ko) * 2009-12-03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365990B1 (ko) * 2012-05-21 2014-03-12 (주)인프라칩 스마트 리모컨
KR102065405B1 (ko) * 2013-05-10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785441B2 (en) * 2016-03-07 2020-09-22 Sony Corporation Runn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on display device not having touch capability using remote controller having at least a touch sensitive surface
KR101729895B1 (ko) * 2016-06-17 201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기기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송 송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352B1 (ko) 2023-05-30 2024-01-05 박우석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IoT 통합 리모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0280A4 (en) 2024-03-27
EP4300280A1 (en) 2024-01-03
WO2023033570A1 (ko) 2023-03-09
CN117916703A (zh) 2024-04-19
US20230161472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4510B2 (en)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CN111443842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6034994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7184B1 (ko)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9361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161472A1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for setting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s thereof
EP29988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869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762634A (zh) 一种控制方法及终端
CN105227985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N108815844B (zh) 移动终端及其游戏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59350B (zh) 图标排序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3051513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540668B (zh) 一种程序启动方法及移动终端
US20160349843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method of providing vibration feedback thereof, and display system
CN111596822B (zh) 图标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7722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7606623B2 (ja) 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モジュールアレンジメント、回路アレンジメント、ユーザ装置、および、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同時に制御する改良され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方法
KR102230569B1 (ko) 터치 좌표를 이용한 단말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202502316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force touch operation thereof
KR2024005022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스 터치 동작 개선 방법
KR20160059407A (ko)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음성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