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397A - 신규 개변형 항체를 포함하는, 바늘 실드를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Google Patents
신규 개변형 항체를 포함하는, 바늘 실드를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7397A KR20230047397A KR1020237005170A KR20237005170A KR20230047397A KR 20230047397 A KR20230047397 A KR 20230047397A KR 1020237005170 A KR1020237005170 A KR 1020237005170A KR 20237005170 A KR20237005170 A KR 20237005170A KR 20230047397 A KR20230047397 A KR 20230047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ibody
- needle
- needle shield
- zinc
- syri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목적은,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 제제는 히스티딘에의 변이에 의해 개변된 항체를 포함하고, 약제의 압출 곤란성이나 바늘의 막힘을 일으킬 위험을 줄여, 심플한 방법에 의해 공업 스케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저아연 용출성의 엘라스토머제 바늘 실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바늘 캡을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prefilled) 시린지 제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아연 용출의 영향을 받기 쉬운, 개변된(engineered) 항체를 함유하는 약액과 바늘 실드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을 경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근년, 여러 가지 항체 제제가 개발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많은 항체 제제는 정맥 주사용 제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의료 현장의 요구에 의해, 항체 함유 제제를 자기 주사 가능한 피하 주사용 제제로서 개발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프리필드 시린지에 봉입된 용액 제제가, 그 편리성에서 개발의 요망이 높다.
피하 주사용의 항체 함유 제제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1회당의 항체 투여량이 대량이 되는 한편으로, 피하 주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주사액량의 제한이 있으므로, 투여액 중의 항체의 고농도화가 필수가 되고 있다.
근년, 자기 주사용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로서, 바늘이 주사기 본체의 선단부에 장착된 바늘 부가(staked in needle) 프리필드 시린지가,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게 되었다. 그와 같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서는, 즉시 투여할 수 있도록 용해된 형태로 시린지 내부에 의약 물질이 제공되고, 시린지는 본체에 바늘이 장착된 상태로, 제조·출하된다. 통상 이런 종류의 프리필드 시린지에서는, 바늘 캡(needle cap)에 의해 주사 바늘이 보호된 상태로 수송·보관되고, 사용 시에 그것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바늘 캡은, 바늘에 인접하여 바늘을 둘러싸는 내측의 탄성 부분인 바늘 실드(needle shield) 부분과,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측의 강성 부분인 경질 바늘 실드(rigid needle shield) 부분을 갖는다.
바늘 캡은, 바늘 끝을 밀봉(seal)하는 것에 의해, 약제의 누출 및 오염 물질의 혼입을 방지한다. 그러나, 약제에 따라서는, 바늘 내나 바늘의 근방에서 막힘(clogging)이 발생하여, 그 결과, 시린지로부터 약제를 적절히 압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적절한 투여량을 투여할 수 없을 위험이 있으므로, 바늘의 막힘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재택 의료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와 같은 상태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사용할 수 없는 결과, 치료의 지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개발에 있어서는, 바늘의 막힘은 중요한 기술 과제였다.
바늘의 막힘의 주된 원인은, 장기 보관 중 또는 사용 시에 바늘 캡을 제거한 후에 생기는 바늘 중의 약액의 건조라고 생각되지만, 특히, 고농도화된 단백 제제에서는, 약액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건조에 의한 바늘의 막힘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단백질의 응집이나 겔화가 일어나면, 약액을 압출하기가 어렵거나, 혹은 압출할 수 없게 되고, 더욱이 거기에 약액의 건조가 더해지면, 바늘의 막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고농도의 항체 제제를 포함하는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용액 제제에서는, 필름 등에 의한 외장을 하지 않고서, 혹은 외장으로부터 꺼낸 후에, 건조 상태에서 장기적으로 방치했을 경우, 통기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바늘 캡이 사용되고 있으면, 바늘 중의 용액 제제가 건조하여 바늘의 막힘이 생긴다. 특허문헌 1에는, 그와 같은 건조에 의한 막힘을 해결할 목적으로, 수증기 투과성이 낮은 소재로 형성된 바늘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등의 바늘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늘 실드를 개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바늘 실드의 수증기 투과성을 낮게 하는 것, 및 바늘 실드의 재료(엘라스토머)로부터 용출될 수 있는 아연 이온에 의한 바늘 내의 의약 물질 용액의 점도 증대를 막기 위해서, 바늘 실드의 재질을 저아연(Zn) 용출성으로 하는 것 및 수증기 투과성이 낮은 바늘 실드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는, 수증기 투과성이 낮은 바늘 실드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막힘률이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과제는, 주로 건조에 의해 일어나는 바늘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고농도 항체 제제의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의 장기 보관 중에, 건조 상태가 아니어도 바늘로부터의 약액 압출이 곤란해져, 바늘의 막힘이 일어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 약액의 압출의 문제는, 시린지의 바늘 끝을 보호하는 바늘 실드로부터 약액 중으로 아연 이온이 용출되어, 바늘 끝의 약액이 겔화되어 점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유효 성분인 항체의 종류에 따라, 아연 이온의 존재하에서 점도 상승의 정도가 상이함을 발견했다. 또한, 바늘 실드의 재질에 따라, 약액 중으로의 아연 이온의 용출량이 상이함을 확인했다. 더욱이, 약액의 완충액 조성에 따라서도, 아연 이온의 용출량이 상이함을 확인했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아연 이온에 영향을 받기 쉬운 항체의 특징을 동정했다. 예를 들어, 리사이클링 항체나 저pI 항체와 같은, 어떤 특징에 의해 히스티딘 잔기를 포함하는 항체는, 아연 이온과의 상호작용이 강해지고, 결과로서 아연 이온에 의해 겔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음을 발견했다.
「리사이클링 항체」란, 항체의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을 히스티딘으로 치환하거나 또는 적어도 1개의 히스티딘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원과 결합한 상태에서 세포 내에 흡수되고, 항원과 결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세포 외로 방출되는 항체이다. (WO2009125825, US20110111406).
「저pI 항체」는,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의 개변에 의해, 당해 항체의 혈장중 반감기가 제어된 항체이다(WO2009041643, US20100239577).
일반적으로, 의약품의 용기 부재의 품질은 소정의 수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 더욱이, 용기 재료와 개개의 의약품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도, 의약품의 품질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바늘 실드는, 시린지에 충전되는 약액과의 적합성도 고려하여, 소정의 수준을 만족시키는 재료로부터 최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개시는,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항체 제제에 대해, 바늘 실드와 항체 용액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보관 후의 약액 압출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바늘 내나 바늘 근방에서의 점도 상승 및/또는 막힘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아연 용출의 영향을 받기 쉬운 항체 용액을 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항체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저아연 용출성의 바늘 실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항체군을 새롭게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각종의 바늘 실드 재료의 아연 용출량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아연의 용출성이 낮은 바늘 실드를 동정했다. 항체 함유 용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의 바늘 실드 재료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비록 아연의 영향을 받기 쉬운 항체 용액이어도, 약액의 점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바늘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이하를 제공한다.
〔1〕 바늘 부가 시린지에 약액이 충전되고,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를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로서,
약액이,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고,
해당 1 이상의 항체가,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이며,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가, 항체 함유 용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을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1〕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는, 임의 선택적으로(optionally), 이하의 특징(property)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1-1〕 항체가, 서로 3잔기 이내에서 이웃하는 히스티딘 잔기 페어를 CDR 영역에 1 이상 갖는다.
〔1-2〕 항체가, 1의 상기 히스티딘 잔기 페어를 갖는다.
〔1-3〕 항체가, 산성 pH에 있어서보다도 중성 pH에 있어서 높은 결합 활성으로 항원에 결합한다.
〔1-4〕 항체가, 상기 〔1-3〕에 있어서, 항원에 대한 pH5.8에서의 KD와 pH7.4에서의 KD의 비인 KD(pH5.8)/(pH7.4)의 값이 2 이상이다; 또는
〔1-5〕 상기 KD(pH5.8)/(pH7.4)의 값이 10 이상이다; 또는
〔1-6〕 상기 KD(pH5.8)/(pH7.4)의 값이 40 이상이다.
〔1-7〕 항체가,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이 히스티딘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적어도 1개의 히스티딘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8〕 항체가, 안타고니스트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항체가, 막 항원 또는 가용형 항원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0〕 항체가, CDR 영역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전하가 개변된 항체이다.
〔1-11〕 항체가, 항IL-6 수용체 항체, 항IL-8 항체 및 항미오스타틴 항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12〕 항체가, 항IL-6 수용체 항체이다.
〔1-13〕 항체가, 항IL-8 항체이다.
〔1-14〕 항체가, 항미오스타틴 항체이다.
〔1-15〕 항체가, satralizumab(RG6168), mAb2 및 RG623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16〕 항체가, satralizumab(RG6168)이다.
〔1-17〕 항체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mAb2이다.
〔1-18〕 항체가, RG6237이다.
〔2〕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완충액 중에서,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 평가되는, 〔1〕 및 〔1-1〕∼〔1-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2〕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저아연 용출성은, 임의 선택적으로,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2-1〕 상기 아연 용출 속도가 7ng/mm2/일 이하이다.
〔2-2〕 상기 아연 용출 속도가 0.88ng/mm2/일 이하이다.
〔2-3〕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부터 얻어진, 바늘 선단부(Needle bevel)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예상 아연 농도로 평가된다.
〔2-4〕 상기 예상 아연 농도가 5mg/mL 이하이다.
〔2-5〕 상기 예상 아연 농도가 0.63mg/mL 이하이다.
〔3〕 상기 바늘 실드의 재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1-1〕∼〔1-18〕, 〔2〕 및 〔2-1〕∼〔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3〕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의 재료는, 임의 선택적으로,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3-1〕 상기 바늘 실드의 재료가,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염소화 뷰틸계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2〕 상기 바늘 실드의 재료가, BD260, Stelmi8550, Sumitomo P-101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4〕 상기 항체의 용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10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1〕, 〔1-1〕∼〔1-18〕, 〔2〕, 〔2-1〕∼〔2-5〕, 〔3〕 및 〔3-1〕∼〔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4〕에 기재된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용액의 농도 및/또는 점도는, 임의 선택적으로,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4-1〕 상기 항체의 용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3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다.
〔4-2〕 상기 항체의, 용액 중의 농도가 50 내지 300mg/mL이며, 항체의 용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3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다.
〔5〕 바늘 부가 시린지에 약액이 충전되고,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를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의 점도 상승 및/또는 바늘의 막힘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약액이,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인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고, 해당 약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이 되도록, 바늘 실드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늘 실드의 재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5〕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는,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1-1〕∼〔1-18〕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6〕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완충액 중에서,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 평가되는, 〔5〕에 기재된 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6〕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저아연 용출성은,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2-1〕∼〔2-5〕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7〕 상기 항체의 용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10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5〕 또는 〔6〕에 기재된 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7〕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용액의 농도 및/또는 점도는,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4-1〕∼〔4-2〕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8〕 항체 함유 용액이 배치되는 내부를 구비한 세로로 긴 본체, 상기 본체의 긴 방향의 일단부에 접속된 바늘, 및 상기 바늘을 감싸는 바늘 캡을 갖는 시린지로서,
상기 바늘 캡은,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를 갖고, 해당 바늘 실드가,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인 1 이상의 항체의 용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인, 시린지.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8〕에 기재된 시린지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는,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1-1〕∼〔1-18〕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9〕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부터 얻어진,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예상 아연 농도로 평가되는, 〔8〕에 기재된 시린지.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9〕에 기재된 시린지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저아연 용출성은,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2-1〕∼〔2-5〕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10〕 상기 바늘 실드의 재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8〕 또는 〔9〕에 기재된 시린지.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10〕에 기재된 시린지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의 재료는,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3-1〕 또는 〔3-2〕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11〕 바늘 부가 시린지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인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는 약액을 준비하고,
해당 약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의 바늘 실드를 준비하고,
해당 바늘 실드를 구비한 바늘 부가 시린지에, 해당 약액을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해당 바늘 실드는, 해당 약액에 대해서, 0.88ng/mm2/일 이하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를 갖는, 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11〕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는,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1-1〕∼〔1-18〕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11〕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저아연 용출성은,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2〕 및 〔2-1〕∼〔2-5〕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12〕 상기 항체를 함유하는 약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10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11〕에 기재된 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12〕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항체를 함유하는 약액의 농도 및/또는 점도는,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4-1〕∼〔4-2〕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13〕 바늘 실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2 이상의 엘라스토머제 바늘 실드를 제공하고, 해당 바늘 실드에 대해, 항체 용액 제제를 위한 소정의 완충액 중에서 아연 용출성을 평가하여, 아연 용출성이 보다 낮은 바늘 실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아연 용출성의 평가가, 상기 소정의 완충액에 대한 바늘 실드의 단위 표면적당의 아연 이온의 용출 속도를 산출하는, 및/또는, 바늘 내부의 예상 아연 농도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
〔14〕 상기 아연 용출성이, 아스파르트산을 pH 조정제로 하여 조제된, 약 6.0의 pH를 갖는, 약 20mM의 히스티딘 완충액 중에서의,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 평가되는, 〔13〕에 기재된 방법.
〔15〕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완충액 중에서,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 평가되는, 〔13〕에 기재된 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13〕∼〔15〕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아연 용출성이 낮은 것은,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2-1〕∼〔2-5〕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16〕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인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하는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를 위한 바늘 실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2 이상의 엘라스토머제 바늘 실드를 제공하고,
해당 바늘 실드에 대해,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완충액 중에서 아연 용출성을 평가하여,
아연 용출성이 보다 낮은 바늘 실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16〕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혹은, 본 개시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는,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1-1〕∼〔1-18〕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17〕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 평가되는, 〔16〕에 기재된 방법.
〔17-1〕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7ng/mm2/일 이하인, 〔17〕에 기재된 방법.
〔17-2〕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0.88ng/mm2/일 이하인, 〔17〕에 기재된 방법.
〔18〕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부터 얻어진,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예상 아연 농도로 평가되는, 〔16〕 또는 〔17〕에 기재된 방법.
〔18-1〕 상기 예상 아연 농도가 5mg/mL 이하인, 〔18〕에 기재된 방법.
〔18-2〕 상기 예상 아연 농도가 0.63mg/mL 이하인, 〔18〕에 기재된 방법.
〔19〕 상기 항체의 용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10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16〕, 〔17〕, 〔17-1〕∼〔17-2〕, 〔18〕, 〔18-1〕∼〔18-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9-1〕 상기 항체의 용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3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18〕에 기재된 방법.
〔19-2〕 상기 항체의, 용액 중의 농도가 50 내지 300mg/mL이며, 항체의 용액이 25℃에 있어서 2 내지 3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18〕에 기재된 방법.
〔20〕 항체 용액이 충전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로서,
해당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는, 바늘 실드를 포함하는 바늘 캡을 구비하고,
(a) 항체가 사트랄리주마브 「RG6168」이며, 바늘 실드가 엘라스토머 D(Sumitomo P-101A)제이거나; 또는
(b) 항체가 본 명세서 기재의 mAb2이며, 바늘 실드가 엘라스토머 D(Sumitomo P-101A)제이거나; 또는
(c) 항체가 항미오스타틴 항체 「RG6237」이며, 바늘 실드가 엘라스토머 D(Sumitomo P-101A) 또는 BD260제인,
항체 용액이 충전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20-1〕 바늘 실드는 주사 바늘에 직접 접하고 있고, 바늘 실드의 재료는 항체 용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인, 〔20〕에 기재된 항체 용액이 충전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20-2〕 상기 항체 용액이, 25℃에 있어서 2∼3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20〕 또는 〔20-1〕에 기재된 항체 용액이 충전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20-3〕 상기 항체 용액 중의 항체의 농도가 50∼300mg/mL이며, 항체 용액이 25℃에 있어서 2∼3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 〔20〕, 〔20-1〕 또는 〔20-2〕에 기재된 항체 용액이 충전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본 개시의 제제는, 바늘 내에 포함되는 항체 약액에의 바늘 실드로부터 용출된 아연 이온과 항체의 상호작용을 저감시킴으로써,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약액의 점도 상승과 바늘의 막힘을 경감한다.
[도 1] 절단한 엘라스토머(10g)로부터 20mL의 추출액 중에 추출된 아연 이온의 농도. 추출액은 물(중성), 10mM 인산 용액(산성), 혹은 10mM 수산화 나트륨 용액(알칼리성)을 이용했다. 추출 조건은 90℃에서 3일간의 인큐베이션으로 했다.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 않고 추출액의 인큐베이션을 행한 것을 컨트롤로 했다.
[도 2]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와,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 측정용의 샘플과 컨트롤의 준비를 나타내는 스킴도.
[도 3] 처방 No. 9(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 중에서, 3, 7, 14일간, 5℃에서 보관했을 때의 엘라스토머(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 표 1에 기재된 엘라스토머 C)의 표면적당의 아연 용출량(Mzinc(μg/mm2)). 기울기로부터 엘라스토머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kext(μg/mm2/일))를 0.0139(μg/mm2/일)로 산출했다.
[도 4] 0, 2.5, 5, 10mg/mL의 아연 농도에 있어서의, 25℃에서의 각각의 mAb 용액(180mg/mL mAb,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점도.
[도 5] 0, 0.63, 1.25mg/mL의 아연 농도에 있어서의, 25℃에서의 mAb2 용액(180mg/mL mAb2,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점도.
[도 6] 10mg/mL의 아연 첨가에 의해 야기된 mAb2 용액(180mg/mL mAb2,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겔화의 사진.
[도 2]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와,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 측정용의 샘플과 컨트롤의 준비를 나타내는 스킴도.
[도 3] 처방 No. 9(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 중에서, 3, 7, 14일간, 5℃에서 보관했을 때의 엘라스토머(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 표 1에 기재된 엘라스토머 C)의 표면적당의 아연 용출량(Mzinc(μg/mm2)). 기울기로부터 엘라스토머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kext(μg/mm2/일))를 0.0139(μg/mm2/일)로 산출했다.
[도 4] 0, 2.5, 5, 10mg/mL의 아연 농도에 있어서의, 25℃에서의 각각의 mAb 용액(180mg/mL mAb,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점도.
[도 5] 0, 0.63, 1.25mg/mL의 아연 농도에 있어서의, 25℃에서의 mAb2 용액(180mg/mL mAb2,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점도.
[도 6] 10mg/mL의 아연 첨가에 의해 야기된 mAb2 용액(180mg/mL mAb2,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겔화의 사진.
바늘 캡과 바늘 부가 시린지
본 개시에 있어서, 「바늘 캡」이란,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주사 바늘을 보호하여, 약제의 누출 및 오염 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바늘 캡은, 사용 시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주사기 본체에 장착된다. 더욱이, 바늘 캡은 주사 바늘을 밀봉하도록, 주사기 본체 혹은 주사 바늘과 주사기 본체의 커넥터 부분에 밀착하여 장착된다.
바늘 캡은, 주사 바늘에 직접 접하는 「바늘 실드」와 바늘 실드를 둘러싸서, 바늘의 손상 등을 막거나 혹은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경질 바늘 실드」로 이루어진다.
바늘 캡을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늘 실드를 포함하는 바늘 캡을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에 따른 바늘 부가 시린지는, 내부에 약제가 충전 가능한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장착된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바늘 캡을 갖는다. 바늘 캡은 바늘 실드와 경질 바늘 실드로 이루어지고, 주사 바늘에 직접 접하는 「바늘 실드」는, 주사 바늘 내의 항체 용액에도 접하고 있고, 본 개시는, 바늘 실드로부터 바늘 내의 항체 함유 용액 중에 아연 이온이 용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기 보존 후에 바늘 내의 항체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약액의 압출이 곤란해지는 것을 억제한다. 더욱이, 점도가 상승한 항체 용액에서는, 사용 시에 바늘 캡을 제거한 후, 곧바로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 외기에 접촉하여 용액의 바늘 끝 표면이 건조하여, 배출 곤란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바늘 실드를 구성하는 재료로부터, 항체 용액 중에 아연 이온이 용출되는 경우가 있고, 용출된 아연 이온은 항체 용액과 상호작용하여, 약액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있어서, 바늘 실드의 재료는, 「아연 용출성이 낮은 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프리필드 시린지의 「바늘의 막힘(clogging)」이란, 약액이 바늘 내부에서 건조 및/또는 겔화되어, 사용 시에 배출 곤란해지는 현상이다. 따라서, 보관 시의 바늘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늘 캡의 재료는, 기체 투과성이 작은 것, 특히 수증기 투과성이 작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바늘 실드의 재료로서는, 주사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고 또한 주사기 본체에 밀착 가능한,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더욱이, 바늘 캡을 구성하는 경질 바늘 실드 및/또는 바늘 실드의 재료는, 수증기 투과성이 적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실드의 아연 용출의 유무 및/또는 정도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바늘 실드로부터 수용액 중에 용출되는 아연 이온의 양을, 적절히, 공지된 미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온도 조건하, 소정의 시간, 항체 제제를 위해서 사용 가능한 소정의 완충액 중에서, 바늘 실드 재료의 시험편을 인큐베이트하고,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ometry: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된 아연 이온의 양으로부터, 바늘 실드의 단위 표면적당의 아연 이온의 용출 속도를 산출하여, 이것을 지표로 할 수 있다. 분석의 상세한 조건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항을 참조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아연 용출성에 대해 기술할 때는, 특별히 기재했을 경우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 2에 기재한 방법에 근거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있어서, 아연 용출성이 낮다는 것은,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완충액 중에서의,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7ng/mm2/일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8ng/mm2/일 이하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아연 용출량(Mzinc(μg/mm2))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수학식 1]
여기에서, Csample(ppm), Ccontrol(ppm), 10(mL/바늘 실드), 700(mm2/바늘 실드)는, 각각, 아연 추출액 중의 아연 농도, 컨트롤 완충액 중의 아연 농도, 바늘 실드 1개분당의 추출액의 체적, 4개로 절단된 후의 바늘 실드 1개분당의 대략적인 표면적이다(실시예 2를 참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kext(μg/mm2/일))는, 예를 들어, 5℃에서 3일, 7일, 14일 추출했을 때의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아연 용출량을 구하고, 그 기울기로부터 산출된다(실시예 2를 참조).
본 개시에서는, 의약품의 용기 부재로서 소정의 수준을 만족시키는 재료에 대해, 아연 용출성을 시험하고, 저아연 용출성이라고 평가되는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태양에 있어서, 저아연 용출성의 평가는, 항체 용액 제제를 위한 소정의 완충액에 대한 바늘 내부의 예상 아연 농도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Czinc(mg/mL))가,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조건하에서, 5mg/mL 이하라고 예상되는 바늘 실드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태양에 있어서,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Czinc(mg/mL))가,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조건하에서, 0.63mg/mL 이하라고 예상되는 바늘 실드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Czinc(mg/mL))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수학식 2]
여기에서, kext(μg/mm2/일), 0.06(mm2), 0.06(μL)은, 각각, 엘라스토머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 바늘 선단부의 단면적, 바늘 선단부의 약액의 체적이다(실시예 2를 참조).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바늘 실드 재료는 엘라스토머제이다. 해당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 재료가, 항체 제제를 위해서 사용 가능한 완충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
엘라스토머(elastomer)란, 「elastic(탄력이 있는)」과 「polymer(중합체)」에서 유래하는, 고무 탄성(작은 힘으로 큰 변형이 일어나고, 힘을 제거하면 즉시 원래대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갖는 공업용 재료의 총칭이다. 엘라스토머는, 어떤 일정한 범위에 있어서, 열을 가해도 연화되지 않고, 비교적 내열성이 높은 열경화성 엘라스토머와, 열을 가하면 연화되어 유동성을 나타내고, 냉각하면 고무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2개로 나눌 수 있다.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는, 가열에 의해 폴리머 주쇄 사이에 가교 반응이 일어나, 분자 구조가 3차원의 그물코 구조로 바뀐다. 가교 반응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가교 즉 분자끼리가 결합할 때에, 부생하는 어떠한 분자를 방출하는 축합 반응이나, 분자끼리가 결부되는 것만으로 아무것도 방출하지 않는 부가 반응, UV(자외선)나 EB(전자선)를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반응 등이 있다.
열경화성 엘라스토머에는, 실리콘 고무를 비롯하여, 불소 고무나 유레테인 고무(일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는, 베이스 폴리머에 가교제나 충전제 등을 배합하고 있고, 이것에 가교 반응을 촉진시키는 첨가제(촉매, 가황제)를 가하고, 가열하는 것에 의해 가교하여 엘라스토머가 된다.
열경화성 엘라스토머의 예로서, Sumitomo P-101A(스미토모 고무 공업 주식회사제, 염소화 뷰틸계)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가교 구조를 갖지 않고, 성분 구조는 하드 세그먼트(가교성)와 소프트 세그먼트(탄성)의 2종류가 화학 결합(블록 폴리머형), 혹은 혼합된 상태(블렌드형)가 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s: TPE, 혹은 TPR)에는, 스타이렌계(약칭 TPS), 올레핀/알켄계(TPO), 염화 바이닐계(TPVC), 유레테인계(TPU), 에스터계(약칭 TPEE 혹은 TPC), 아마이드계(TPAE) 등이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예로서, Stelmi8550(Stelmi사제) 등을 들 수 있다.
Sumitomo P-101A(스미토모 고무 공업 주식회사제, 염소화 뷰틸계), BD260(벡톤 디킨슨사제), Stelmi8550(Stelmi사제)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호적하게 사용되는 바늘 실드 재료의 일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란, 열을 가하면 연화되어 유동성을 나타내고, 냉각하면 고무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엘라스토머이며,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메틸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서 호적하게 사용되는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 재료의 다른 예는, 할로젠화된 뷰틸 고무(아이소뷰틸렌·아이소프렌 고무(IIR))이다. 할로젠화된 뷰틸 고무에는, 브로민화 뷰틸 고무(BIIR)와 염소화 뷰틸 고무(CIIR)가 포함된다. 특히 염소화 뷰틸(염소화 뷰틸계 엘라스토머: Chlorobutyl type elastomer)이 바람직하다.
바늘 캡의 구조로서는, 전술한 재료가 튜브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주입 바늘 혹은 주사기 본체의 외주를 밀착하여 둘러싸서 장착 가능한 개구부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단층, 복층, 그 외의 구조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의 내측에는, 바늘 캡 및/또는 바늘 실드를 탈착하기 위한 홈이나 돌기가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바늘 캡 및/또는 바늘 실드는, 바늘 끝으로부터 주사기 본체인 외통의 일단까지를 덮도록 장착되어도, 혹은, 바늘 끝으로부터 주사 바늘과 주사기 본체의 커넥터 부분까지를 덮도록 장착되어도 된다.
시린지 본체와 바늘
본 개시의 시린지의 주사기 본체의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통상 시린지에서 사용 가능한 소재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리나 수지제의 것이면 된다.
본 개시의 프리필드 시린지를 γ선 등의 방사선으로 멸균 처리를 행하는 경우, 주사기 본체의 소재는 방사선에 의한 영향(착색, 열화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소재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COP(Cyclic Olefin Polymer: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COC(Cyclic Olefin Copolymer: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등의 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이다. 이와 같은 시린지는, 특히, 공업 생산으로 대량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트레이 필러 충전용의 시린지로서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시린지의 용량의 사이즈(규격)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용량이 0.5mL∼5.0mL, 바람직하게는 1mL와 같은 용량의 작은 사이즈의 시린지의 경우에 본 개시의 유리한 효과가 현저하다.
주사 바늘의 사이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외경 0.2∼0.5mm, 내경 0.1∼0.3mm가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주사 바늘의 게이지는 25(외경 0.50∼0.53mm), 26(외경 0.44∼0.47mm), 27(외경 0.40∼0.42mm), 28(외경 0.34∼0.37mm), 29(외경 0.32∼0.35mm), 30(외경 0.29∼0.32mm), 31(외경 0.25∼0.27mm), 32(외경 0.22∼0.24mm) 또는 33G(외경 0.20∼0.22mm)이지만, 본 개시는 이 사이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전형적으로는 자기 주사용 제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사용자가, 의료 종사자는 아닌, 환자 자신이며, 본 개시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를 부적절하게 장기 방치했다고 해도, 바늘의 막힘이 일어날 위험을 경감화할 수 있다.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제조
다음에,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바늘 캡을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바늘 캡을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트레이 필러를 이용하여 약액의 충전을 행하기 위해, 바늘 부가 시린지의 멸균 처리는 약액 충전 전에, 예를 들어 사전에 시린지 메이커에 있어서, 행해진다. 바늘 부가 시린지의 조립은, 주사기 본체의 선단에 주사 바늘을 장착하고 나서, 당해 주사 바늘을 덮도록 바늘 캡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그 다음에, 바늘 캡을 끼운 상태의 바늘 부가 시린지를, 멸균하는 데 충분한 시간, 방사선 또는 전자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멸균한다. 방사선 멸균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감마선 조사이며, 선원으로서는 코발트 60 등이 이용되지만,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감마선은 투과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곤포(梱包) 형태의 제한이 없고, 선량의 불균일도 적고, 아연 용출이 적은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바늘 실드를 포함하는 바늘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주사 바늘의 멸균이 가능하다. 방사선의 선량은, 멸균 대상인 물체의 양에 의존하고, 전형적으로는 감마 방사선의 흡수 선량으로서 약 10kGy∼60kGy, 바람직하게는 약 25kGy∼50kGy가 조사된다. 멸균 후, 무균 환경하에서 주사기 본체에 약액이 충전되고, 그 다음에, 플런저 스토퍼가 장착된다. 더욱이, 당해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소포장 단위로(예를 들어 1개마다) 필로(pillow) 포장되는 경우도 있다.
항체 제제
본 개시의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는, 특히, 피하주(皮下注)용 등의 고농도의 항체 함유 용액 제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항체 함유 용액 제제란, 활성 성분으로서 항체를 포함하고, 인간 등의 동물에 투여할 수 있도록 조제된 용액 제제이고, 바람직하게는 제조 과정에 동결 건조 공정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된 용액 제제를 말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은, 고농도 항체 함유 용액 제제가,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에 충전되고, 전술한 주사기 본체에 전술한 바늘 캡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자기 주사용의 피하주 제제이다.
본 개시의 고농도 항체 함유 용액 제제는, 항체 농도가 50mg/mL 이상인 것을 말하고, 80mg/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0mg/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mg/mL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0mg/mL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항체 함유 용액 제제의 항체 농도의 상한은, 제조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300mg/mL이며, 바람직하게는 250mg/mL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00mg/mL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고농도 항체 용액 제제의 항체 농도는 50∼300mg/mL가 바람직하고, 더욱이 100∼300mg/mL가 바람직하고, 더욱이 120∼250mg/mL가 바람직하고, 특히 150∼200mg/mL가 바람직하다.
항체
본 개시에 있어서, 「항체」라고 하는 용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소망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인간,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양, 낙타, 원숭이 등의 동물 유래의 모노클로날 항체뿐만 아니라,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저분자화 항체(항체 단편도 포함한다), 다중 특이성 항체 등이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들 항체의 취득(작성) 시에, 호적하게 본 개시의 항체 개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SMART 기술이 적용된 항체에 대해서, 효과가 현저하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항체는, SMART 기술에 의한 개변이 들어가 있지 않은 항체와 비교하여, 아연에 의해 겔화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SMART 기술이란, 항원 결합 분자 등의 항원 결합능을 갖는 폴리펩티드에, 혈장중(혈중)에서의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 활성과 비교하여 조기 엔도솜 내에서의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 활성이 약한 성질을 도입하는 기술이며, 리사이클링 항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원 결합 분자의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을 히스티딘으로 치환하는 또는 적어도 1개의 히스티딘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MART 기술에 의해, 1분자의 항원 결합 분자가 복수의 항원에 반복하여 결합할 수 있고, 또한, 1분자의 항원 결합 분자가 복수의 항원에 결합함으로써 항원 결합 분자의 약물 동태를 향상시킨다(WO2009125825, US20110111406).
본 개시에 있어서, 항체에의 히스티딘 변이(치환 또는 삽입)가 도입되는(행해지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변이 또는 삽입 전과 비교하여 pH5.8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 활성이 pH7.4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 활성보다 약해지는(KD(pH5.8)/KD(pH7.4)의 값이 커지는) 한, 어떤 부위여도 된다. 항원 결합 분자가 항체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항체의 가변 영역, 바람직하게는 CDR 영역을 들 수 있다. 히스티딘 변이 또는 삽입이 도입되는(행해지는) 수는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1개소만을 히스티딘으로 치환해도 되고, 또는 1개소에만 히스티딘을 삽입해도 되고, 2개소 이상의 복수 개소를 히스티딘으로 치환해도 되고, 또는 2개소 이상의 복수 개소에 히스티딘을 삽입해도 된다. 또한, 히스티딘 변이 이외의 변이(히스티딘 이외의 아미노산에의 변이)를 동시에 도입해도 된다. 더욱이, 히스티딘 변이와 히스티딘 삽입을 동시에 행해도 된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SMART 기술이 적용된 항체는, 산성 pH에 있어서보다도 중성 pH에 있어서 높은 결합 활성으로, 소망의 항원에 결합한다. 「산성 pH에 있어서보다도 중성 pH에 있어서 높은 결합 활성으로, 소망의 항원에 결합하는」이란, 항원 결합 분자의 pH4.0∼pH6.5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을 pH6.7∼pH10.0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보다 약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항원 결합 분자의 pH5.5∼pH6.5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을 pH7.0∼pH8.0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보다 약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항원 결합 분자의 pH5.8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을 pH7.4에서의 항원 결합 활성보다 약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 있어서 산성 pH란 통상, pH4.0∼pH6.5이고, 바람직하게는 pH5.5∼pH6.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pH5.8이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중성 pH란, 통상, pH6.7∼pH10.0이고, 바람직하게는, pH7.0∼pH8.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pH7.4이다.
「항원 결합 분자의 산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을 중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보다 약하게 하는」이라고 하는 표현은, 항원 결합 분자의 중성에서의 항원 결합능을 산성에서의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보다도 높게 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즉, 본 개시에 있어서는, 항원 결합 분자의 산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과 중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의 차이를 크게 하면 된다(예를 들어, 후술과 같이 KD(pH5.8)/KD(pH7.4)의 값을 크게 하면 된다). 항원 결합 분자의 산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과 중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의 차이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산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을 낮게 해도 되고, 중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능을 높게 해도 되고, 또는, 그 양쪽이어도 된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항원에 대한 pH5.8에서의 KD와 pH7.4에서의 KD의 비인 KD(pH5.8)/KD(pH7.4)의 값이 2 이상이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KD(pH5.8)/KD(pH7.4)의 값이 10 이상이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KD(pH5.8)/KD(pH7.4)의 값이 40 이상이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안타고니스트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이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막 항원 또는 가용형 항원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이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이 히스티딘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적어도 1개의 히스티딘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는,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이 히스티딘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적어도 1개의 히스티딘이 삽입되어 있다.
본 개시의 항체는, 폴리클로날 항체여도 모노클로날 항체여도 되지만, 균질인 항체를 안정되게 생산할 수 있는 점에서 모노클로날 항체가 바람직하다.
항원 결합 활성의 값으로서 항원이 가용형 항원인 경우는 KD(해리 상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항원이 막형 항원인 경우는 겉보기 KD(Apparent dissociation constant: 겉보기 해리 상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KD(해리 상수), 및, 겉보기 KD(겉보기 해리 상수)는, 당업자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Biacore(GE healthcare), 스캐처드 플롯, FACS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는, 산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 활성과 중성 pH에 있어서의 항원 결합 활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른 지표로서, 예를 들어, 해리 속도 상수인 k d(Dissociation rate constant: 해리 속도 상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 활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KD(해리 상수) 대신에 k d(해리 속도 상수)를 이용하는 경우, 항원에 대한 pH5.8에서의 k d(해리 속도 상수)와 pH7.4에서의 k d(해리 속도 상수)의 비인 k d(pH5.8)/k d(pH7.4)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k d(pH5.8)/k d(pH7.4)의 값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기술 상식에 있어서 제작 가능한 한, 50, 100, 200 등, 어떤 값이어도 된다.
항원 결합 활성의 값으로서 항원이 가용형 항원인 경우는 k d(해리 속도 상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항원이 막형 항원인 경우는 겉보기 k d(Apparent dissociation rate constant: 겉보기 해리 속도 상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k d(해리 속도 상수), 및, 겉보기 k d(겉보기 해리 속도 상수)는, 당업자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Biacore(GE healthcare), FACS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다른 pH에서 항원 결합 분자의 항원 결합 활성을 측정할 때는, pH 이외의 조건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항원」은, 면역 반응을 야기하는 분자를 가리킨다. 이 면역 반응은, 항체 산생 또는 특이적인 면역 담당 세포의 활성화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양쪽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모든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모든 고분자가 항원으로서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항원의 일 태양으로서, 수용체 단백질(막 결합형 수용체, 가용형 수용체)이나 세포 표면 마커 등의 막 항원, 사이토카인 등의 가용형 항원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막 항원의 바람직한 예로서 막단백질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가용형 항원의 예로서 가용형 단백질을 들 수 있다. 항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IL-1,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5, IL-31, IL-23, IL-2 수용체, IL-6 수용체, OSM 수용체, gp130, IL-5 수용체, CD40, CD4, Fas, 오스테오폰틴, 미오스타틴, CRTH2, CD26, PDGF-D, CD20, 단구 주화 활성 인자, CD23, TNF-α, HMGB-1, α4 인테그린, ICAM-1, CCR2, CD11a, CD3, IFNγ, BLyS, HLA-DR, TGF-β, CD52, IL-31 수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항원으로서, IL-6 수용체, IL-8 및/또는 미오스타틴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SMART 기술에 더하여, pI 개변 기술이 적용된 항체에 대해서, 효과가 현저하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항체는, SMART 기술 및 pI 개변 기술에 의한 개변이 들어가 있지 않은 항체와 비교하여, 아연에 의해 겔화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pI 개변 기술은, CDR 영역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전하가 개변되어 있고, 저pI화 기술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DR 영역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중쇄 가변 영역에 있어서의 Kabat 넘버링에 의한 31위, 62위, 64위 및 65위의 아미노산 잔기 혹은 경쇄 가변 영역에 있어서의 Kabat 넘버링에 의한 24위, 27위, 53위, 54위 및 55위의 아미노산 잔기가, (a) 글루탐산(E), 아스파르트산(D) 또는 (b) 리신(K), 아르기닌(R), 히스티딘(H)의 어느 하나의 군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로의 치환에 의해 행해진다. 항체의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의 등전점을 컨트롤하는 것에 의해, 그의 혈장중 반감기를 제어할 수 있다(WO2009041643, US20100239577A1). pI 개변 기술의 적용 유무는, 개변 전후의 항체를 영동 겔에 첨가하고 전기장을 걸면, 각각의 항체는 고유의 pI와 동일한 pH를 향해 pH 구배를 형성한 겔 중을 이동하기 때문에, 그 비교에 의해 등전점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항체가, 서로 3잔기 이내에서 이웃하는 히스티딘 잔기 페어를 CDR 영역에 1 이상 갖는」이란, CDR1, 2, 및/또는 3 영역 내에 2개의 히스티딘 잔기가 연속하여 배치되거나(히스티딘-히스티딘), 혹은 1아미노산을 끼고 배치되는(히스티딘-아미노산-히스티딘) 것을 의미한다.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히스티딘 잔기 페어는 적어도 1개 있으면 된다. SMART 기술 및/또는 pI 개변 기술을 적용한 항체의 서열이 결과로서, 서로 3잔기 이내에서 이웃하는 히스티딘 잔기 페어를 CDR 영역에 1 이상 존재하는 상태가 되어 있으면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항체가,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 갖는」이란, CDR1, 2, 및/또는 3 영역 내에 상기 3종의 아미노산이, 위치나 배치를 불문하고, 합계 6 이상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3종의 아미노산 합계수는, 6 이상, 7 이상, 또는 12 이상이다. SMART 기술 및/또는 pI 개변 기술을 적용한 항체의 서열이 결과로서,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 7이상, 또는 12 이상인 상태가 되어 있으면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항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 잔기의 전하를 개변한 항체에 대해서, 추가로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및/혹은 삽입 등에 의해, 아미노산 서열이 개변된 항체가 포함된다. 또한,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및/혹은 삽입, 또는 키메라화나 인간화 등에 의해, 아미노산 서열이 개변된 항체에 대해서, 추가로 아미노산 잔기의 전하가 개변된 항체가 포함된다. 즉, 마우스 항체를 인간화하는 공정과 동시에 개변해도 되고, 혹은, 인간화 항체를 추가로 개변하는 것이어도 된다. 일 태양은, 키메라 항체를 인간화할 때에, 키메라 항체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에 개변을 가하여 항체의 pI가 개변되는 경우이며, 다른 일 태양은,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이나 인간 항체 산생 마우스 등으로부터 제작된 인간 항체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에 개변을 가하여, 인간 항체의 pI가 개변되는 경우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의 면역글로불린 클래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IgG1, IgG2, IgG3, IgG4등의 IgG, IgA, IgD, IgE, IgM 등 어느 클래스여도 되지만, IgG 및 IgM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에는, 정상 영역과 가변 영역을 갖는 항체(whole의 항체)뿐만 아니라, Fv, Fab, F(ab)2 등의 항체 단편이나, 항체의 가변 영역을 펩티드 링커 등의 링커로 결합시킨 1가 또는 2가 이상의 1본쇄 Fv(scFv, sc(Fv)2)나 scFv 다이머 등의 Diabody 등의 저분자화 항체 등도 포함되지만, whole의 항체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를 산생하는 하이브리도마는, 기본적으로는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소망의 항원이나 소망의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를 감작 항원으로서 사용하여, 이것을 통상의 면역 방법에 따라 면역하고, 얻어지는 면역 세포를 통상의 세포 융합법에 의해 공지된 친세포와 융합시키고, 통상의 스크리닝법에 의해, 모노클로날인 항체 산생 세포(하이브리도마)를 스크리닝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의 제작은, 예를 들어, 밀스테인 등의 방법(Kohler. G. and Milstein, C., Methods Enzymol. (1981) 73: 3-46) 등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항원의 면역원성이 낮은 경우에는, 알부민 등의 면역원성을 갖는 거대 분자와 결합시켜, 면역을 행하면 된다.
또한, 항체 유전자를 하이브리도마로부터 클로닝하고, 적당한 벡터에 짜넣고, 이것을 숙주에 도입하고,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산생시킨 유전자 재조합형 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Carl, A. K. Borrebaeck, James, W. Larrick,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IES, Published in the United Kingdom by MACMILLAN PUBLISHERS LTD, 1990 참조).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도마의 mRNA로부터 역전사 효소를 이용하여 항체의 가변 영역(V 영역)의 cDNA를 합성한다. 목적으로 하는 항체의 V 영역을 코딩하는 DNA를 얻으면, 이것을 소망의 항체 정상 영역(C 영역)을 코딩하는 DNA와 연결하고, 이것을 발현 벡터에 짜넣는다. 또는, 항체의 V 영역을 코딩하는 DNA를, 항체 C 영역의 DNA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에 짜넣어도 된다. 발현 제어 영역, 예를 들어, 인핸서, 프로모터의 제어하에서 발현하도록 발현 벡터에 짜넣는다. 다음에, 이 발현 벡터에 의해 숙주 세포를 형질 전환하여, 항체를 발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인간에 대한 이종 항원성을 저하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인위적으로 개변한 유전자 재조합형 항체, 예를 들어, 키메라(Chimeric) 항체, 인간화(Humanized) 항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개변 항체는, 기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키메라 항체는,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항체의 중쇄, 경쇄의 가변 영역과 인간 항체의 중쇄, 경쇄의 정상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항체이며, 마우스 항체의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DNA를 인간 항체의 정상 영역을 코딩하는 DNA와 연결하고, 이것을 발현 벡터에 짜넣고 숙주에 도입하여 산생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인간화 항체는, 재구성(reshaped) 인간 항체라고도 칭해지고,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항체의 CDR 영역을 인간 항체의 CDR 영역에 이식한 것이고, 그 일반적인 유전자 재조합 수법도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우스 항체의 CDR 영역과 인간 항체의 프레임워크 영역(FR; framework region)을 연결하도록 설계한 DNA 서열을, 말단부에 오버랩하는 부분을 갖도록 제작한 수 개의 올리고 뉴클레오티드로부터 PCR법에 의해 합성한다. 얻어진 DNA를, 인간 항체 정상 영역을 코딩하는 DNA와 연결하고, 그 다음에 발현 벡터에 짜넣고, 이것을 숙주에 도입하여 산생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유럽 특허출원공개번호 EP 239400, WO 96/02576 참조). CDR 영역을 개재시켜 연결되는 인간 항체의 FR 영역은, CDR 영역이 양호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이 선택된다. 필요에 따라서 재구성 인간 항체의 CDR 영역이 적절한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도록 항체의 가변 영역의 FR 영역의 아미노산을 치환해도 된다(Sato, K. et al., Cancer Res. (1993) 53, 851-856).
항체의 활성, 물성, 약물 동태, 안전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항체의 아미노산을 치환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기술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고,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에는, 이와 같은 아미노산의 치환(결손이나 부가도 포함한다)을 실시된 항체도 포함된다.
IgG 항체의 가변 영역에 아미노산 치환을 실시하는 기술은, 인간화(Tsurushita N, Hinton PR, Kumar S., Design of humanized antibodies: from anti-Tac to Zenapax., Methods. 2005 May; 36(1): 69-83.)를 위시하여, 결합 활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CDR 영역의 아미노산 치환에 의한 affinity maturation(Rajpal A, Beyaz N, Haber L, Cappuccilli G, Yee H, Bhatt RR, Takeuchi T, Lerner RA, CreaR., A general method for greatly improving the affinity of antibodies by using combinatorial librarie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5 Jun 14; 102(24): 8466-71.), 프레임워크(FR)의 아미노산 치환에 의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의 향상(Ewert S, Honegger A, Pluckthun A., Stability improvement of antibodies for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applications: CDR grafting to stable framework sand structure-based framework engineering., Methods. 2004 Oct; 34(2): 184-99. Review)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IgG 항체의 Fc 영역의 아미노산 치환을 실시하는 기술로서 항체 의존성 세포 장해 활성(ADCC) 활성이나 보체 의존성 세포 장해 활성(CDC) 활성을 증강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Kim SJ, Park Y, Hong HJ., Antibody engineer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rapeutic antibodies., Mol Cells. 2005 Aug 31; 20(1): 17-29. Review.). 더욱이, 이와 같은 이펙터 기능을 증강시킬뿐만 아니라, 항체의 혈중 반감기를 향상시키는 Fc의 아미노산 치환의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Hinton PR, Xiong JM, Johlfs MG, Tang MT, Keller S, Tsurushita N., An engineered human IgG1 antibody with longer serum half-life., J Immunol. 2006 Jan 1; 176(1): 346-56., Ghetie V, Popov S, Borvak J, Radu C, Matesoi D, Medesan C, Ober RJ, Ward ES., Increasing the serum persistence of an IgG fragment by random mutagenesis., Nat Biotechnol. 1997 Jul; 15(7): 637-40.). 더욱이 항체의 물성 개선을 목적으로 한 정상 영역의 여러 가지 아미노산 치환 기술도 알려져 있다(WO 09/41613).
또한, 인간 항체의 취득 방법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인간 림프구를 in vitro로 소망의 항원 또는 소망의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로 감작하고, 감작 림프구를 인간 미엘로마 세포, 예를 들어 U266과 융합시켜, 항원에의 결합 활성을 갖는 소망의 인간 항체를 얻을 수도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1-59878 참조). 또한, 인간 항체 유전자의 모든 레퍼터리를 갖는 트랜스제닉 동물을 항원으로 면역함으로써 소망의 인간 항체를 취득할 수 있다(WO 93/12227, WO 92/03918, WO 94/02602, WO 94/25585, WO 96/34096, WO 96/33735 참조). 더욱이,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패닝에 의해 인간 항체를 취득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인간 항체의 가변 영역을 1본쇄 항체(scFv)로서 파지 디스플레이법에 의해 파지의 표면에 발현시켜, 항원에 결합하는 파지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파지의 유전자를 해석하면, 항원에 결합하는 인간 항체의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DNA 서열을 결정할 수 있다. 항원에 결합하는 scFv의 DNA 서열이 밝혀지면, 당해 서열을 포함하는 적당한 발현 벡터를 제작하여, 인간 항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이미 주지이며, WO 92/01047, WO 92/20791, WO 93/06213, WO 93/11236, WO 93/19172, WO 95/01438, WO 95/15388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에는, 이와 같은 인간 항체도 포함된다.
항체 유전자를 일단 단리하고, 적당한 숙주에 도입하여 항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숙주와 발현 벡터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진핵세포를 숙주로서 사용하는 경우, 동물 세포, 식물 세포, 진균 세포를 이용할 수 있다. 동물 세포로서는, (1) 포유류 세포, 예를 들어, CHO, COS, 미엘로마, BHK(baby hamster kidney), HeLa, Vero, (2) 양서류 세포, 예를 들어, 아프리카발톱개구리 난모 세포, 혹은 (3) 곤충 세포, 예를 들어, sf9, sf21, Tn5 등이 알려져 있다. 식물 세포로서는, 니코티아나(Nicotiana) 속, 예를 들어 니코티아나 타바쿰(Nicotiana tabacum) 유래의 세포가 알려져 있고, 이것을 캘러스 배양하면 된다. 진균 세포로서는, 효모, 예를 들어,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 속, 예를 들어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serevisiae), 사상균, 예를 들어,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 예를 들어 아스페르길루스 니거(Aspergillus niger) 등이 알려져 있다. 원핵세포를 사용하는 경우, 세균 세포를 이용하는 산생계가 있다. 세균 세포로서는, 대장균(E. coli), 고초균이 알려져 있다. 이들 세포에, 목적으로 하는 항체 유전자를 형질 전환에 의해 도입하고, 형질 전환된 세포를 in vitro로 배양하는 것에 의해 항체가 얻어진다.
더욱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에는, 항체 수식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이나 세포 장애성 약제 등의 각종 분자와 결합한 항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Farmaco. 1999 Aug 30; 54(8): 497-516., Cancer J. 2008 May-Jun; 14(3): 154-69.).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에는 이들의 항체 수식물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항체 수식물은, 항체에 화학적인 수식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이 분야에 있어서 이미 확립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로서는, 항IL-6 리셉터 항체, 항IL-6 항체, 항IL-8 항체, 항글리피칸-3 항체, 항CD3 항체, 항CD20 항체, 항GPIIb/IIIa 항체, 항TNF 항체, 항CD25 항체, 항EGFR 항체, 항Her2/neu 항체, 항RSV 항체, 항CD33 항체, 항CD52 항체, 항IgE 항체, 항CD137(4-1BB) 항체, 항C5 항체, 항VEGF 항체, 항Ang-2 항체, 항미오스타틴 항체, 항IL-31 리셉터 항체, 항AXL 항체, 항CXCR4 항체, 항CTLA-4 항체, 팩터 IX와 팩터 X의 Bi-specific 항체, 항PD-L1 항체, 항CEA 항체, 항아밀로이드 β 항체, 항α-시누클레인 항체, 항VAP-1 항체, 항RANKL 항체, 항BLyS 항체, 항CCR4 항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바람직한 재구성 인간화 항체로서는, 항IL-6 리셉터 항체, 항IL-6 항체, 항IL-8 항체, 항글리피칸-3 항체, 항CD3 항체, 항CD20 항체, 항Her2/neu 항체, 항4-1BB(CD137) 항체, 항C5 항체, 항VEGF 항체, 항Ang-2 항체, 항미오스타틴 항체, 항IL-31 리셉터 항체, 팩터 IX와 팩터 X의 Bi-specific 항체, 항PD-L1 항체, 항CEA 항체, 항아밀로이드 β 항체, 항α-시누클레인 항체를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한 항체로서는, 항IL-6 리셉터 항체, 항IL-8 항체, 항미오스타틴 항체, 항IL-31 리셉터 항체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바람직한 재구성 인간화 항체로서는,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인간화 항IL-6 리셉터 항체(사트랄리주마브, satralizumab(RG6168)), 항IL-8 항체(본 명세서 기재의 mAb2) 및 항미오스타틴 항체(RG6237)이다.
mAb2는, 일본 특허 제6266164에 기재된 항IL-8 항체이며, 이하의 A, B 또는 C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특정된다.
A (a) 서열 번호: 6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b) 서열 번호: 7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c) 서열 번호: 7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 (d) 서열 번호: 7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e) 서열 번호: 7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f) 서열 번호: 7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항IL-8 항체.
B 서열 번호: 78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 번호: 79의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IL-8 항체.
C 서열 번호: 80 또는 서열 번호: 8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와, 서열 번호: 8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IL-8 항체.
본 개시에 있어서, 「항체」는, 그 항체의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바이오시밀러」는, 시판되는 항체(「대상 제품」이라고도 말한다)와 동일한 1차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일 수 있지만, 상이한 세포로, 혹은 상이한 제조, 정제 또는 제제화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고, (i) 그 항체 제제가 대상 제품과 매우 유사함을 실증하는 분석 연구, (ii) 동물 시험(독성의 평가를 포함한다), 및/또는 (iii) 대상 제품이 인가되고, 사용이 의도되며, 그 제제에 대해, 1개 이상의 적절한 사용 조건에 있어서, 안전성, 순도 및 효력을 실증하는 데 충분한 단수 또는 복수의 임상 연구(면역원성 및 약물 동태학 또는 약력학의 평가를 포함한다)로부터 유도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제품과 유사한 생물학적 제제를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 등전점이 낮은 항체(저pI 항체)란, 특히 천연에서는 존재하기 어려운, 낮은 등전점을 갖는 항체를 말한다. 이와 같은 항체의 등전점으로서는 예를 들어 3.0∼8.0, 바람직하게는 5.0∼7.5, 더 바람직하게는 5.0∼7.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6.5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천연의(또는 통상의) 항체는, 통상 7.5∼9.5의 범위의 등전점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더욱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항체로서는, 항체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개변하는 것에 의해 항체의 pI를 저하시킨, pI 개변 항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pI 개변 항체란, 개변 전의 항체의 pI보다도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pI를 저하시킨 항체를 말한다. 이와 같은 pI 개변 항체로서는, 예를 들어, WO2009/041621에 기재된 항IL-6 리셉터 항체인 satralizumab(SA237, 본 명세서의 MAb3), 항NR10 인간화 항체이며, WO2009/072604의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완전 인간화 NS22 항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항체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로서는, H쇄 가변 영역의 경우, Kabat 넘버링에 기초하는 아미노산 잔기인 H1, H3, H5, H8, H10, H12, H13, H15, H16, H19, H23, H25, H26, H31, H39, H42, H43, H44, H46, H61, H62, H64, H65, H68, H71, H72, H73, H75, H76, H81, H82b, H83, H85, H86, H105, H108, H110, H112 중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L쇄 가변 영역의 경우, Kabat 넘버링에 기초하는 아미노산 잔기인 L1, L3, L7, L8, L9, L11, L12, L16, L17, L18, L20, L22, L24, L27, L38, L39, L41, L42, L43, L45, L46, L49, L53, L54, L55, L57, L60, L63, L65, L66, L68, L69, L70, L74, L76, L77, L79, L80, L81, L85, L100, L103, L105, L106, L107 중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개변(engineered)」이란, 원래의 아미노산 잔기를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하는 것, 원래의 아미노산 잔기를 결실시키는 것, 새로운 아미노산 잔기를 부가하는 것 등을 말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아미노산 잔기를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하는 것을 가리킨다.
아미노산 중에는, 전하를 띤 아미노산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양의 전하를 띤 아미노산(양전하 아미노산)으로서는, 리신(K), 아르기닌(R), 히스티딘(H)이 알려져 있다. 음의 전하를 띤 아미노산(음전하 아미노산)으로서는, 아스파르트산(D), 글루탐산(E)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이외의 아미노산은 전하를 갖지 않는 아미노산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개변 후의 아미노산 잔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a) 또는 (b)의 어느 하나의 군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적절히 선택되지만, 특별히 이들 아미노산에 제한되지 않는다.
(a) 글루탐산(E), 아스파르트산(D)
(b) 리신(K), 아르기닌(R), 히스티딘(H)
또한, 개변 전의 아미노산 잔기가 이미 전하를 갖는 경우, 전하를 갖지 않는 아미노산 잔기가 되도록 개변하는 것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이다.
즉, 본 개시에 있어서의 개변으로서는, (1) 전하를 갖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전하를 갖지 않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 (2) 전하를 갖는 아미노산으로부터 당해 아미노산과는 반대의 전하를 갖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 (3) 전하를 갖지 않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전하를 갖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들 수 있다.
등전점의 값은, 당업자 공지의 등전점 전기영동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론 등전점의 값은, 유전자 및 아미노산 서열 해석 소프트웨어(Genetyx 등)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아미노산 잔기의 전하가 개변된 항체는, 항체를 코딩하는 핵산을 개변하고, 당해 핵산을 숙주 세포로 배양하고, 숙주 세포 배양물로부터 항체를 정제하는 것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핵산을 개변하는」이란, 개변에 의해 도입되는 아미노산 잔기에 대응하는 코돈이 되도록 핵산 서열을 개변하는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변 전의 아미노산 잔기의 코돈이 개변에 의해 도입되는 아미노산 잔기의 코돈이 되도록, 핵산의 염기 서열을 개변하는 것을 말한다. 즉, 개변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코딩하는 코돈은, 개변에 의해 도입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코딩하는 코돈에 의해 치환된다. 이와 같은 핵산의 개변은, 당업자에 있어서는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부위 특이적 변이 유발법, PCR 변이 도입법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고농도 항체 함유 용액 제제에 있어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히스티딘으로 치환된 항체이다.
항체 제제를 위한 완충 용액
본 개시의 단백질 함유 용액 제제에 있어서 사용하는 완충액은, 용액의 pH를 유지하기 위한 물질인 완충제를 사용하여 조제한다. 본 개시의 고농도 항체 함유 용액 제제에 있어서는, 용액의 pH가 4∼8인 것이 바람직하고, 5.0∼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7.2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5∼7.0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5.8∼6.2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서 사용 가능한 완충제는, 이 범위의 pH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완충제는 용액 제제의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공지이며, 예를 들어, 인산염(나트륨 또는 칼륨), 탄산수소 나트륨 등의 무기염; 시트르산염(나트륨 또는 칼륨), 아세트산 나트륨, 석신산 나트륨 등의 유기산염; 또는, 인산, 탄산, 시트르산, 석신산, 말산, 글루콘산 등의 산류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Tris류 및 MES, MOPS, HEPES와 같은 굿(Good) 완충제, 히스티딘(예를 들어 히스티딘 염산염), 글리신, 및 완충제의 혼합물(예를 들어 히스티딘-아스파르트산, 히스티딘-아세트산 등) 등을 사용해도 된다.
본 개시의 고농도 항체 함유 용액 제제에 있어서는, 완충액이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글리신 완충액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히스티딘 완충액이 바람직하다. 완충액의 농도는, 일반적으로는 1∼500mM이고, 바람직하게는 5∼100m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20mM이다. 히스티딘 완충액을 사용하는 경우, 완충액은 바람직하게는 5∼25mM의 히스티딘, 더 바람직하게는 10∼20mM의 히스티딘을 함유한다.
본 개시의 고농도 항체 함유 용액 제제는, 유효 성분인 항체에 있어 적절한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안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안정된」 고농도 항체 함유 용액 제제는, 냉장 온도(2∼8℃)에서 적어도 12개월, 바람직하게는 2년간, 더 바람직하게는 3년간; 또는 실온(22∼28℃)에서 적어도 3개월, 바람직하게는 6개월, 더 바람직하게는 1년간,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5℃에서 2년간 보존 후의 2량체량 및 분해물량의 합계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혹은 25℃에서 6개월 보존 후의 2량체량 및 분해물량의 합계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제는, 추가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소르비탄 모노카프릴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글리세린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 모노밀리테이트,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다이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라이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라이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테트라올레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터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라이콜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프로필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터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터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폴리옥시에틸렌 수소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밀랍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밀랍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산 아마이드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마이드 등의 HLB6∼18을 갖는 것; 음이온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세틸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나트륨 등의 탄소 원자수 10∼18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2∼4이고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10∼18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황산염; 라우릴 설포석신산 에스터 나트륨 등의,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8∼18인 알킬 설포석신산 에스터염; 천연계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레시틴, 글리세로인지질;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인지질; 탄소 원자수 12∼18의 지방산의 자당 지방산 에스터 등을 전형적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제에는, 이들 계면활성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알킬 에터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소르베이트 20, 21, 40, 60, 65, 80, 81, 85 및 플루로닉(등록상표)형 계면활성제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폴리소르베이트 20, 80 및 플루로닉 F-68(폴록사머 188; PX188)이다.
본 개시의 항체 제제에 첨가하는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는 0.0001∼10%(w/v)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5%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05∼3%이다.
본 개시의 제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현탁제, 용해 보조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 방지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함황 환원제, 산화 방지제 등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현탁제의 예로서는, 메틸 셀룰로스, 폴리소르베이트 8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아라비아 고무, 트라간트 분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용액 보조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80, 니코틴산 아마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매크로골, 피마자유 지방산 에틸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에틸, 소르브산, 페놀, 크레졸, 클로로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흡착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 레시틴, 덱스트란,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함황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어, N-아세틸시스테인, N-아세틸호모시스테인, 싸이옥트산, 싸이오다이글라이콜, 싸이오에탄올아민, 싸이오글리세롤, 싸이오소르비톨, 싸이오글라이콜산 및 그의 염, 싸이오황산 나트륨, 글루타티온, 메티오닌, 탄소 원자수 1∼7의 싸이오알칸산 등의 설프하이드릴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소르브산, 다이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뷰틸하이드록시아니솔, α-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L-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염, L-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브산 스테아레이트, 아황산수소 나트륨, 아황산 나트륨, 갈산 트라이아밀, 갈산 프로필 혹은 에틸렌다이아민 사아세트산 이나트륨(EDTA), 피로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등의 킬레이트제를 들 수 있다.
용도
본 개시의 항체 함유 프리필드 시린지 용액 제제는, 피하주, 정주, 근주 등으로 투여된다. 피하 주사용으로서는, 1회당의 항체 투여량이 대량이 되는 한편으로, 주사액량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제제는 피하 주사용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항체 함유 용액 제제의 침투압비는, 약 0.5∼4,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7∼2, 더 바람직하게는, 약 1이다. 여기에서, 침투압비의 베이스는 309mOsm/kg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항체 함유 용액 제제의 점도는, 약 2∼100mPa·s(파스칼 초),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0mPa·s,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mPa·s, 더 바람직하게는 약 4∼50mPa·s, 더 바람직하게는 약 6∼50mPa·s이다. 단, 여기에서 측정한 본 개시의 점도는, 실시예 3에 기재한 EMS 점도계를 이용한 전자 스피닝법, 혹은 콘플레이트형 점도계를 이용한 회전 점도계법(제15 개정 일본약국방 일반 시험법 2.53 점도 측정법)으로 25℃에 있어서 측정한 것이고, 시린지 본체 내부에 충전하기 전의 항체 함유 용액의 점도이다. EMS 점도계를 이용한 전자 스피닝법이란,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경 6.3mm의 유리 튜브에 항체 용액(180mg/mL)과 직경 2mm의 알루미늄 볼을 넣고, 1000rpm의 회전 속도로 25℃에서 점도 측정한다. 항체 용액의 처방은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으로 한다. 알루미늄 볼에의 시료의 흡착을 막기 위해서, 알루미늄 볼은 미리 다이메틸다이클로로실레인의 증기를 이용하여 데시케이터 중에서 실리콘 코팅 처리한 것을 사용한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개시의 항체 용액 제제는, 항체의 농도가 100∼300mg/ml이고, 또한 6∼100mPa·s(파스칼 초),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농도가 100∼300mg/ml이고, 또한 2∼30mPa·s(파스칼 초)의 점도를 갖는다.
단백질을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가 200mPa·s(파스칼 초)보다 클 때, 바람직하게는 100mPa·s보다 클 때,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mPa·s보다 클 때, 더 바람직하게는 40mPa·s보다 클 때, 약제의 시린지로부터의 압출이 곤란해지고, 더욱이 시린지의 바늘로부터 바늘 캡을 제거한 후, 바늘의 막힘이 짧은 시간(10분 이내)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즉, 본 개시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용액의 점도는, 아연의 첨가가 없는 경우, 6∼100mPa·s, 바람직하게는 약 6∼30mPa·s, 바람직하게는 8∼50mPa·s,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50mPa·s일 때, 본 개시의 바늘 캡은 필수가 된다.
단백질 농도가 동일해도, 제제 중의 항체 이외의 성분의 처방에 의해, 점도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어, 점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바늘의 막힘의 위험이 상승한다.
본 개시의 프리필드 시린지에 봉입되는 고농도 항체 용액 제제의 일 태양으로서, 항체 농도가 100∼300mg/mL이고, 점도가 6∼100mPa·s; 항체 농도가 100∼300mg/mL이고, 점도가 8∼50mPa·s; 항체 농도가 100∼300mg/mL이고, 점도가 20∼50mPa·s; 항체 농도가 100∼300mg/mL이고, 점도가 6∼30mPa·s; 항체 농도가 120∼250mg/mL이고, 점도가 6∼100mPa·s; 항체 농도가 120∼250mg/mL이고, 점도가 8∼50mPa·s; 항체 농도가 120∼250mg/mL이고, 점도가 20∼50mPa·s; 항체 농도가 120∼250mg/mL이고, 점도가 6∼30mPa·s; 항체 농도가 150∼200mg/mL이고, 점도가 6∼100mPa·s; 항체 농도가 150∼200mg/mL이고, 점도가 8∼100mPa·s; 항체 농도가 150∼200mg/mL이고, 점도가 20∼50mPa·s; 항체 농도가 150∼200mg/mL이고, 점도가 6∼30mPa·s인 용액 제제를 들 수 있고, 일 태양에 의하면, 측정 온도 25℃에서,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처방액 중의 항체 용액의 항체 농도와 점도이다.
실시예
본 개시를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 과혹 조건에 있어서의 엘라스토머로부터의 아연 용출성
바늘 실드의 엘라스토머로부터의 아연 용출성을 평가했다. 바늘 실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개의 엘라스토머를 이용했다(표 1). 각각의 엘라스토머는 세로 방향으로 2개로 절단하여 이용했다. 미리 세정한 유리제의 공전병(共栓甁)에, 절단된 엘라스토머(10g)와, 20mL의 물(중성), 10mM 인산 용액(산성), 또는 10mM 수산화 나트륨 용액(알칼리성)을 넣고 마개를 하고, 와이어 클램프로 마개를 고정하고, 90℃에서 3일간 인큐베이션을 행했다. 중성, 산성, 알칼리성의 추출액을 5% 질산으로 25배, 50배, 100배로 희석하고, 잘 혼화했다. 추출된 아연 농도를 ICP-MS(iCAP Q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로 측정했다. ICP-MS 장치의 구성과 시스템 및 분석 파라미터를, 표 2와 표 3에 기재한다. 1ppb, 5ppb, 20ppb, 100ppb의 아연의 선형 표준 곡선의 내삽으로부터, 추출액 중의 아연 농도를 결정했다. 각 농도의 아연의 표준액은, 1000ppm의 아연의 표준액(VHG Labs PZNN-100)을 5% 질산으로 100배로 희석하여 10ppm의 아연의 스톡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5% 질산으로 희석함으로써 조제했다.
측정 결과를 도 1과 표 4에 기재한다.
엘라스토머로부터의 아연의 용출성은 추출액의 종류에 따라 상이했다. 엘라스토머 A, 엘라스토머 B, 엘라스토머 D는 중성, 산성, 알칼리성의 어느 추출액을 이용했을 경우에도 거의 아연의 용출을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엘라스토머 C는 산성 및 염기성의 추출액을 이용했을 경우에, 보다 높은 아연의 용출을 나타내고, 엘라스토머 E는 산성의 추출액을 이용했을 경우에, 보다 높은 아연의 용출을 나타냈다.
<표 4> 절단한 엘라스토머(10g)로부터 20mL의 추출액 중에 추출된 아연의 농도. 추출액은 물(중성), 10mM 인산 용액(산성), 또는 10mM 수산화 나트륨 용액(알칼리성)을 이용했다. 추출 조건은 90℃에서 3일간의 인큐베이션으로 했다.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 않고 추출액의 인큐베이션을 행한 것을 컨트롤로 했다.
실시예 2
실시예 2: 제제 보관 조건에 가까운 조건에 있어서의 엘라스토머로부터의 아연의 용출 속도
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실시예 1에서 엘라스토머 C로 기재)를 이용했다. 표 5에 기재한 9종류의 처방 용액을 이용했다. 처방 용액의 조건으로서는, 바이오 의약품의 처방 용액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완충액(시트르산, 인산, 히스티딘), pH 조건(5.0, 6.0, 7.0), 안정화제(아르기닌), pH 조정제(염산(HCl), 수산화 나트륨(NaOH), 아스파르트산), 계면활성제(폴록사머 188)의 영향을 검증했다.
20mL 바이알(흰색, 설파 처리, 무라세 초자)에, 각각의 처방 용액 10mL와 4개로 절단한 엘라스토머를 넣고 스토퍼(F10-F6W, 다이쿄 세이코)로 마개를 하고, 캐핑하고, 5℃에 있어서 3, 7, 14일간 인큐베이션한 것을 샘플로 했다. 엘라스토머를 넣지 않고 처방 용액만을 넣고 샘플과 마찬가지로 인큐베이션한 것을 컨트롤로 했다. 샘플과 컨트롤의 조제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인큐베이션 후의 용액 중의 금속 이온 농도를 ICP-MS(Agilent 7700x, Agilent Technologies)로 측정했다. 정량은, 튜닝액(Agilent 5185-5959, 1μg/L Ce, Co, Li, Mg, Tl, Y)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와 측정 원소의 이론 리스폰스비로부터 농도를 산출하는 반정량 모드로 행했다. ICP-MS 장치의 구성과, 시스템 및 분석 파라미터를, 표 6과 표 7에 기재한다. 엘라스토머의 표면적당의 각각의 금속 이온의 용출량(Mmetal(μg/mm2))을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했다.
[수학식 3]
여기에서, Csample(ppm), Ccontrol(ppm), 10(mL/엘라스토머), 700(mm2/엘라스토머)는, 각각, 샘플 중의 금속 이온 농도, 컨트롤 중의 금속 이온 농도, 엘라스토머 1개분당의 추출액의 체적, 4개로 절단된 후의 엘라스토머 1개분당의 대체적인 표면적이다.
5℃에서 14일간 인큐베이션을 행했을 때의 각각의 금속 이온의 용출량(Mmetal(μg/mm2))을 표 8에 나타낸다. 모든 처방 용액의 조건에 있어서, 아연 이외의 금속 이온의 용출은 검출되지 않았다. 시트르산 완충액(처방 No. 1)과 인산 완충액(처방 No. 2)은 동일한 정도의 아연의 용출량을 나타냈지만, 히스티딘 완충액(처방 No. 4)은 시트르산 완충액(처방 No. 1) 및 인산 완충액(처방 No. 2)과 비교하여 약 10배의 아연의 용출량을 나타냈다. 아연의 용출량에 대한 pH의 영향은, pH5.0으로부터 pH7.0의 범위에 있어서, 현저하지 않았다(처방 No. 3, 처방 No. 4, 처방 No. 5). 75mM의 아르기닌의 첨가에 의해 아연의 용출은 억제되었지만(처방 No. 4, 처방 No. 6), 추가로 150mM까지 아르기닌을 가했을 때에는 아연의 용출량에는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처방 No. 6, 처방 No. 7). HCl 대신에 아스파르트산을 pH 조정제로서 이용하면, 아연의 용출이 촉진되었다(처방 No. 7, 처방 No. 8). 폴록사머 188의 첨가는 아연의 용출을 촉진했지만, 그 영향은 적었다(처방 No. 8, 처방 No. 9). 조사한 처방 용액 중에서, 처방 No. 9(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가 가장 아연을 용출시키기 쉬움이 밝혀졌다.
계속해서, 처방 No. 9(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를 이용했을 때의, 5℃, 3, 7, 14일에 있어서의 아연의 용출량(Mzinc(μg/mm2), 표 9)으로부터, 엘라스토머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kext(μg/mm2/일))를 0.0139(μg/mm2/일)로 산출했다(도 3). 이 용출 속도의 값을 이용하여 바늘 선단부의 단면적을 0.06(mm2), 바늘 선단부의 약액의 체적을 60(nL)으로 상정하여, 바늘 선단부의 약액이 5℃에서 2년간 엘라스토머와 접촉했을 때에 상정되는 아연 농도(Czinc max(mg/mL))를 다음의 식으로부터 약 10(mg/mL)이라고 구했다.
[수학식 4]
계산된 이 예상 아연 농도를 고려하여, 실시예 3에서의 아연의 스파이크 실험은 0 내지 10mg/mL의 아연 농도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했다.
<표 8> 5℃에서 14일간 보관했을 때의 엘라스토머(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 표 1에서 기재된 엘라스토머 C)의 표면적당의 금속 이온의 용출량(Mmetal(μg/mm2))
<표 9> 처방 No. 9(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 중에서, 3, 7, 14일간, 5℃에서 보관했을 때의 엘라스토머(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 표 1에서 기재된 엘라스토머 C)의 표면적당의 아연 용출량(Mzinc(μg/mm2))
실시예 3
실시예 3: 항체 용액의 점도에 대한 아연의 영향
바늘 실드의 엘라스토머로부터 용출되는 아연이,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mAb) 용액에 줄 수 있는 물리화학적인 영향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 3개의 mAb 용액의 점도에 대한 아연의 영향을 조사했다. 추가이 제약에서 제조 및 정제된 인간화 IgGmAb1(IgG1, tocilizumab, CAS: 375823-41-9), mAb2(IgG1), mAb3(IgG2, satralizumab, RG6168)을 이용했다. 한편, mAb2 및 mAb3은 SMART 기술 항체이지만, mAb1은, SMART 기술은 적용되지 않았다. 더욱이, mAb3은 저pI화 기술도 적용되어 있다.
각각의 mAb 용액(180mg/mL)의 점도를 25℃에서 EMS 점도계(교토 전자)를 이용하여 전자 스피닝법(EMS법; electromagnetic spinning method)에 의해 측정했다. 처방 용액은 표 5의 처방 No. 9(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를 선택하고, 아연 농도는 0, 2.5, 5, 또는 10mg/mL(염화 아연 농도로서 0, 5.2, 10.4, 또는 20.8mg/mL)로 했다. EMS 점도계는, 한 쌍의 영구 자석이 장착된 회전자,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플래시 램프, CCD 비디오 카메라, 및 온도 조절기로 구성된다. EMS법에서는, 유리 튜브에 액체 시료와 알루미늄 볼을 넣고, 로렌츠힘에 의한 모멘트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볼을 회전시킨다. 액체 시료의 점도는, 플래시 램프와 CCD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알루미늄 볼의 회전 속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내경 6.3mm의 유리 튜브에 mAb 용액과 직경 2mm의 알루미늄 볼을 넣고, 1000rpm의 회전 속도로 점도를 측정했다. 알루미늄 볼에의 시료의 흡착을 막기 위해서, 알루미늄 볼은 미리 다이메틸다이클로로실레인의 증기를 이용하여 데시케이터 중에서 실리콘 코팅 처리한 것을 사용했다.
아연과의 반응성은 mAb의 종류에 따라 명확하게 상이했다(표 10, 도 4). mAb1에 있어서는, 0 내지 10mg/mL의 범위에서 아연 첨가에 의해 근소한 점도 상승밖에 관찰되지 않았는 데 반해, mAb2와 mAb3에 있어서는, 아연에 의한 극적인 점도 상승이 관찰되었다. mAb2에 있어서는, 0.63mg/mL의 아연 농도에서조차 명확한 점도 상승이 관찰되고(표 11, 도 5), 2.5mg/mL 이상의 아연 농도에서는 겔화가 생겼기 때문에, 점도는 장치의 측정 가능한 상한치(8000mPa·s)를 초과했다. 도 6에 10mg/mL의 아연 첨가에 의해 야기된 mAb2 용액의 겔화의 사진을 나타낸다. mAb3에서는, 10mg/mL의 아연의 첨가에 의해, 점도가 약 27배로 상승했다(표 10).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0.0139μg/mm2/일인 엘라스토머를 이용했을 경우,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는 약 10mg/mL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아연과의 반응성이 높은 mAb2와 같은 항체의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개발에 있어서는, 아연에 의한 급격한 점도 상승에 의한 바늘의 막힘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를 0.63mg/mL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서는,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0.88ng/mm2/일(=0.0139(μg/mm2/일)/10(mg/mL)×0.63(mg/mL)) 이하인 엘라스토머를 바늘 실드로서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mAb3과 같은 항체의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의 개발에 있어서는, 아연에 의한 급격한 점도 상승에 의한 바늘의 막힘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를 5mg/mL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서는,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7ng/mm2/일(=0.0139(μg/mm2/일)/10(mg/mL)×5(mg/mL)) 이하인 엘라스토머를 바늘 실드로서 선택할 필요가 있다.
<표 10> 0, 2.5, 5, 10mg/mL의 아연 농도에 있어서의, 25℃에서의 각각의 mAb 용액(180mg/mL mAb,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점도
<표 11> 0, 0.63, 1.25mg/mL의 아연 농도에 있어서의, 25℃에서의 mAb2 용액(180mg/mL mAb2,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점도
실시예 4
실시예 4: 보관 후의 Clogging 평가
저아연 용출성, 즉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0.88ng/mm2/일 이하, 혹은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가 0.63mg/mL 이하인 바늘 실드를 장착한 27G 바늘 부가 시린지(1mL 규격)에, 특별한 개변 기술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통상 항체와 개변 항체(서로 3잔기 이내에서 이웃하는 히스티딘 잔기 페어를 CDR 영역에 1 이상 갖는 항체)의 용액(소망의 항체: 180mg/mL, 히스티딘: 20mmol/L, 아르기닌: 150mmol/L, 아스파르트산: 적량, 폴록사머 188: 0.5mg/mL, pH6.0) 0.9mL를 무균적으로 충전하고, 스토퍼로 타전하고, 특정 조건 보존하(40℃ 6개월, 25℃ 12개월 및 5℃ 24개월까지) 보관 후의 Clogging 평가를 실시한다.
또한, 대조로서, 아연 용출성, 즉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0.0139μg/mm2/일 이상, 혹은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아연 농도가 10mg/mL 이상인 바늘 실드를 장착한 27G 바늘 부가 시린지(1mL 규격)에, 마찬가지로 2개의 항체 함유 용액을 0.9mL 충전한 것을 이용한다.
바늘의 막힘(Clogging) 평가 방법
각 시료를 오토그래프의 소정 위치에 세팅하고, 미리 오토그래프에 고정한 주사 바늘 첨부 시린지에 대한 배출 조작을 행하고, 플런저 스토퍼에 걸리는 부하를 배출 속도 100mm/min의 조건에서 측정한다. 바늘의 막힘(Clogging)의 정의는, 시료 배출 시에 배출되지 않는 것, 혹은 통상의 배출과 비교하여, 부하 응력이 이상한 높은 값을 나타낸 것을 바늘의 막힘(Clogging)이라고 판단한다.
평가 결과
특정 조건 보존하(40℃ 6개월, 25℃ 12개월, 5℃ 24개월까지)에 있어서의 바늘의 막힘(Clogging)의 발생을, 아연 용출성의 바늘 실드를 이용한 통상 항체와 개변 항체에서 비교했을 경우에, 개변 항체에 있어서의 Clogging 빈도가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한다. 또한, 이와 같은 개변 항체에 있어서의 Clogging 빈도가, 저아연 용출성의 바늘 실드를 이용함으로써, 아연 용출성의 바늘 실드를 이용했을 경우에 비해, 저감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실시예 5
실시예 5: mAb3(IgG2, 사트랄리주마브, RG6168)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실시예 3에서 나타난 결과에 기초하여, mAb3 항체의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를 위해서,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가 7ng/mm2/일 이하인 엘라스토머를 바늘 실드로서 선택했다.
사트랄리주마브(유전자 재조합)를 포함하는 수용액(사트랄리주마브(유전자 재조합): 120mg/mL, 히스티딘: 20mmol/L, 아르기닌: 150mmol/L, 아스파르트산: 적량, 폴록사머 188: 0.5mg/mL, pH6.0) 1mL를 27G 바늘 부가 시린지(1mL 규격)에 충전했다. 바늘 실드의 재료는, 실시예 1의 엘라스토머 D이다.
SEQUENCE LISTING
<110>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110> F. HOFFMANN-LA ROCHE AG
<120> PREFILLED SYRINGE FORMULATION CONTAINING NEXT GENERATION ENGINEERED ANTIBODY, WHICH IS EQUIPPED WITH NEEDLE SHIELD
<130> FA0001-21141
<150> JP 2020-127605
<151> 2020-07-28
<160> 11
<210> 6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VR-H1of WS4
<400> 67
Asp Tyr Tyr Leu Ser
1 5
<210> 73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VR-H2 of H1009
<400> 73
Leu Ile Arg Asn Lys Asp Asn Tyr His Thr Pro Glu Tyr Ser Ala Ser
1 5 10 15
Val Lys Gly
<210> 7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VR-H3 of H1009
<400> 74
Glu Asn His Arg Tyr Asp Val Glu Leu Ala Tyr
1 5 10
<210> 70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VR-L1 of WS4
<400> 70
Arg Ala Ser Glu Ile Ile Tyr Ser Tyr Leu Ala
1 5 10
<210> 7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VR-L2 of L395
<400> 75
Lys Ala Lys Thr His Ala Asp
1 5
<210> 7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VR-L3 of L395
<400> 76
Lys His His Phe Gly Phe Pro Arg Thr
1 5
<210> 78
<211> 1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variable region of H1009
<400> 78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p Tyr
20 25 30
Tyr Leu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Leu Ile Arg Asn Lys Asp Asn Tyr His Thr Pro Glu Tyr Ser Ala
50 55 60
Ser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p Ser Lys Asn Ser
65 70 75 80
Leu Tyr Leu Thr Met Ser Asp Leu Lys Thr Glu Asp Thr Ala Val Tyr
85 90 95
Tyr Cys Ala Arg Glu Asn His Arg Tyr Asp Val Glu Leu Ala Tyr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79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L395
<400> 79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u Ile Ile Tyr Ser Tyr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Lys Ala Lys Thr His Ala Asp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Phe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Tyr Cys Lys His His Phe Gly Phe Pro Arg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80
<211> 45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1009-F1974m
<400> 80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p Tyr
20 25 30
Tyr Leu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Leu Ile Arg Asn Lys Asp Asn Tyr His Thr Pro Glu Tyr Ser Ala
50 55 60
Ser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p Ser Lys Asn Ser
65 70 75 80
Leu Tyr Leu Thr Met Ser Asp Leu Lys Thr Glu Asp Thr Ala Val Tyr
85 90 95
Tyr Cys Ala Arg Glu Asn His Arg Tyr Asp Val Glu Leu Ala Tyr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115 120 125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130 135 140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145 150 155 160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165 170 175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180 185 190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195 200 205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210 215 220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Arg
225 230 235 240
Arg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245 250 255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260 265 270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275 280 285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290 295 300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305 310 315 320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Gly Leu Pro Ser Ser
325 330 335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340 345 350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355 360 365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370 375 380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385 390 395 400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405 410 415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420 425 430
Leu His Glu Ala Leu His Ala His Thr Thr Arg Lys Glu Leu Ser Leu
435 440 445
Ser Pro
450
<210> 81
<211> 45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1009-F1886s
<400> 81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p Tyr
20 25 30
Tyr Leu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Leu Ile Arg Asn Lys Asp Asn Tyr His Thr Pro Glu Tyr Ser Ala
50 55 60
Ser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p Ser Lys Asn Ser
65 70 75 80
Leu Tyr Leu Thr Met Ser Asp Leu Lys Thr Glu Asp Thr Ala Val Tyr
85 90 95
Tyr Cys Ala Arg Glu Asn His Arg Tyr Asp Val Glu Leu Ala Tyr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115 120 125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130 135 140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145 150 155 160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165 170 175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180 185 190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195 200 205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210 215 220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Arg
225 230 235 240
Arg Gly Pro Lys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245 250 255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260 265 270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275 280 285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290 295 300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305 310 315 320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325 330 335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340 345 350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355 360 365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370 375 380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385 390 395 400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405 410 415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420 425 430
Leu His Glu Ala Leu His Ala His Thr Thr Arg Lys Glu Leu Ser Leu
435 440 445
Ser Pro
450
<210> 82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395-k0MT
<400> 82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u Ile Ile Tyr Ser Tyr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Lys Ala Lys Thr His Ala Asp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Phe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Tyr Cys Lys His His Phe Gly Phe Pro Arg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Claims (15)
- 바늘 부가 시린지에 약액이 충전되고,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를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로서,
약액이,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고,
해당 1 이상의 항체가,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이며,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가, 항체 함유 용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을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1 항에 있어서,
바늘 부가 시린지에 약액이 충전되고,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를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로서,
약액이,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고,
해당 1 이상의 항체가, 서로 3잔기 이내에서 이웃하는 히스티딘 잔기 페어를 CDR 영역에 1 이상 갖고,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가, 항체 함유 용액에 저아연 용출성을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가, 산성 pH에 있어서보다도 중성 pH에 있어서 높은 결합 활성으로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인,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가, 항원에 대한 pH5.8에서의 KD와 pH7.4에서의 KD의 비인 KD(pH5.8)/(pH7.4)의 값이 2 이상인 항체인,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가,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이 히스티딘으로 치환되어 있거나, 또는 적어도 1개의 히스티딘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항체가, CDR 영역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전하가 개변된 항체인,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20mM 히스티딘, 150mM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적량), 0.5mg/mL 폴록사머 188, pH6.0의 완충액 중에서,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 평가되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부터 얻어진, 바늘 선단부에 있어서의 5℃ 2년 경과 후의 예상 아연 농도로 평가되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실드의 재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바늘 부가 시린지에 약액이 충전되고,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를 갖는, 프리필드 시린지의 점도 상승 및/또는 바늘의 막힘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약액이,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인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고, 해당 약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이 되도록, 바늘 실드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늘 실드의 재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열경화성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약액이, 서로 3잔기 이내에서 이웃하는 히스티딘 잔기 페어를 CDR 영역에 1 이상 갖는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고, 해당 약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이 되도록, 바늘 실드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산성 pH에 있어서보다도 중성 pH에 있어서 높은 결합 활성으로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인, 방법. - 항체 함유 용액이 배치되는 내부를 구비한 세로로 긴 본체, 상기 본체의 긴 방향의 일단부에 접속된 바늘, 및 상기 바늘을 감싸는 바늘 캡을 갖는 시린지로서,
상기 바늘 캡은, 엘라스토머제의 바늘 실드를 갖고, 해당 바늘 실드가,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인 1 이상의 항체의 용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인, 시린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아연 용출성이, 상기 바늘 실드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로 평가되는, 시린지. - 바늘 부가 시린지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CDR 영역에 존재하는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합계수가 6 이상인 1 이상의 항체를 함유하는 약액을 준비하고,
해당 약액에 대해서 저아연 용출성의 바늘 실드를 준비하고,
해당 바늘 실드를 구비한 바늘 부가 시린지에, 해당 약액을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해당 바늘 실드는, 0.88ng/mm2/일 이하의 표면적당의 5℃에 있어서의 아연 용출 속도를 갖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20-127605 | 2020-07-28 | ||
| JP2020127605 | 2020-07-28 | ||
| PCT/JP2021/027663 WO2022025030A1 (ja) | 2020-07-28 | 2021-07-27 | 新規改変型抗体を含む、針シールドを備えた針付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剤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47397A true KR20230047397A (ko) | 2023-04-07 |
Family
ID=800365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7005170A Pending KR20230047397A (ko) | 2020-07-28 | 2021-07-27 | 신규 개변형 항체를 포함하는, 바늘 실드를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Country Status (12)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40382692A1 (ko) |
| EP (1) | EP4190354A4 (ko) |
| JP (1) | JPWO2022025030A1 (ko) |
| KR (1) | KR20230047397A (ko) |
| CN (1) | CN116194473A (ko) |
| AU (1) | AU2021315210A1 (ko) |
| BR (1) | BR112023000216A2 (ko) |
| CA (1) | CA3186914A1 (ko) |
| IL (1) | IL300182A (ko) |
| MX (1) | MX2023000854A (ko) |
| TW (1) | TW202220694A (ko) |
| WO (1) | WO2022025030A1 (ko)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68333A (ko) | 2014-12-05 | 2016-06-15 | 이승한 |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17538463A (ja) | 2014-10-30 | 2017-12-28 | エフ・ホフマン−ラ・ロシュ・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の準備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8201994A (ja) | 1982-05-21 | 1983-11-25 | Hideaki Hagiwara | 抗原特異的ヒト免疫グロブリンの生産方法 |
| GB8607679D0 (en) | 1986-03-27 | 1986-04-30 | Winter G P | Recombinant dna product |
| GB9015198D0 (en) | 1990-07-10 | 1990-08-29 | Brien Caroline J O | Binding substance |
| EP0585287B1 (en) | 1990-07-10 | 1999-10-13 | Cambridge Antibody Technology Limited | Methods for producing members of specific binding pairs |
| JP2938569B2 (ja) | 1990-08-29 | 1999-08-23 | ジェンファー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異種免疫グロブリンを作る方法及びトランスジェニックマウス |
| ATE181571T1 (de) | 1991-09-23 | 1999-07-15 | Medical Res Council | Methoden zur herstellung humanisierter antikörper |
| PT1696031E (pt) | 1991-12-02 | 2010-06-25 | Medical Res Council | Produção de auto-anticorpos a partir de reportórios de segmentos de anticorpo e exibidos em fagos |
| AU3328493A (en) | 1991-12-17 | 1993-07-19 | Genpharm International, Inc. |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
| WO1993019172A1 (en) | 1992-03-24 | 1993-09-30 | Cambridge Antibody Technology Limited | Methods for producing members of specific binding pairs |
| WO1994002602A1 (en) | 1992-07-24 | 1994-02-03 | Cell Genesys, Inc. | Generation of xenogeneic antibodies |
| AU6819494A (en) | 1993-04-26 | 1994-11-21 | Genpharm International, Inc. |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
| GB9313509D0 (en) | 1993-06-30 | 1993-08-11 | Medical Res Council | Chemisynthetic libraries |
| AU690171B2 (en) | 1993-12-03 | 1998-04-23 | Medical Research Council | Recombinant binding proteins and peptides |
| CA2194907A1 (en) | 1994-07-13 | 1996-02-01 | Kouji Matsushima | Reshaped human antibody against human interleukin-8 |
| EP1978033A3 (en) | 1995-04-27 | 2008-12-24 | Amgen Fremont Inc. |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mice |
| AU2466895A (en) | 1995-04-28 | 1996-11-18 | Abgenix, Inc. |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mice |
| RU2505603C2 (ru) | 2007-09-26 | 2014-01-27 | Чугаи Сейяку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Антитело против рецептора il-6 |
| JP5334319B2 (ja) | 2007-09-26 | 2013-11-06 | 中外製薬株式会社 | Cdrのアミノ酸置換により抗体の等電点を改変する方法 |
| TWI563002B (en) | 2007-09-26 | 2016-12-21 |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 Antibody constant region mutant |
| JP4535406B2 (ja) | 2007-09-28 | 2010-09-01 | 中外製薬株式会社 | 血漿中動態が改善されたグリピカン3抗体 |
| ES2585480T3 (es) | 2007-12-05 | 2016-10-06 |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 Anticuerpo anti-NR10 y uso del mismo |
| TR201808046T4 (tr) | 2008-04-11 | 2018-06-21 |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 İki veya daha fazla sayıda antijen molekülüne tekrar tekrar bağlanabilen antijen bağlanma molekülü. |
| CA3021799C (en) * | 2011-11-09 | 2022-03-15 | Arrow International, Inc. | Enhanced formulations for coating medical devices |
| TWI741969B (zh) | 2014-10-30 | 2021-10-11 | 日商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 具備注射器蓋之附針預填充注射器製劑 |
| TWI844732B (zh) * | 2015-02-05 | 2024-06-11 | 日商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 包含離子濃度依賴之抗原結合域的抗體、Fc區變體、IL-8結合抗體與其用途 |
| WO2017038463A1 (ja) | 2015-08-31 | 2017-03-09 | ソニー株式会社 |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MY203894A (en) * | 2015-09-18 | 2024-07-23 |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 Il-8-binding antibodies and uses thereof |
| CN105111602B (zh) * | 2015-09-28 | 2017-07-07 | 郑州翱翔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药用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
-
2021
- 2021-07-27 US US18/017,951 patent/US20240382692A1/en active Pending
- 2021-07-27 EP EP21850476.9A patent/EP4190354A4/en active Pending
- 2021-07-27 IL IL300182A patent/IL300182A/en unknown
- 2021-07-27 WO PCT/JP2021/027663 patent/WO2022025030A1/ja not_active Ceased
- 2021-07-27 MX MX2023000854A patent/MX2023000854A/es unknown
- 2021-07-27 BR BR112023000216A patent/BR112023000216A2/pt unknown
- 2021-07-27 AU AU2021315210A patent/AU2021315210A1/en active Pending
- 2021-07-27 TW TW110127492A patent/TW202220694A/zh unknown
- 2021-07-27 CA CA3186914A patent/CA3186914A1/en active Pending
- 2021-07-27 JP JP2022539472A patent/JPWO2022025030A1/ja active Pending
- 2021-07-27 CN CN202180059752.3A patent/CN116194473A/zh active Pending
- 2021-07-27 KR KR1020237005170A patent/KR20230047397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538463A (ja) | 2014-10-30 | 2017-12-28 | エフ・ホフマン−ラ・ロシュ・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の準備方法 |
| KR20160068333A (ko) | 2014-12-05 | 2016-06-15 | 이승한 | 프로젝트 발주 및 프로젝트의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P4190354A4 (en) | 2024-12-04 |
| MX2023000854A (es) | 2023-02-15 |
| EP4190354A1 (en) | 2023-06-07 |
| BR112023000216A2 (pt) | 2023-02-07 |
| CA3186914A1 (en) | 2022-02-03 |
| WO2022025030A1 (ja) | 2022-02-03 |
| CN116194473A (zh) | 2023-05-30 |
| AU2021315210A1 (en) | 2023-03-09 |
| JPWO2022025030A1 (ko) | 2022-02-03 |
| TW202220694A (zh) | 2022-06-01 |
| IL300182A (en) | 2023-03-01 |
| US20240382692A1 (en) | 2024-11-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062037B2 (ja) | シリンジキャップを具備した、針付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製剤 | |
| US10654933B2 (en) | Method for purifying antibody having low isoelectric point | |
| TWI840360B (zh) | 密封於玻璃容器之凍結乾燥的製劑、套組、製造凍結乾燥製劑的方法、防止或減低凍結乾燥製劑的玻璃容器成霧的方法、及容器內面經過硫酸銨處理或vist處理之玻璃容器 | |
| KR20230047397A (ko) | 신규 개변형 항체를 포함하는, 바늘 실드를 구비한 바늘 부가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 | |
| WO2024214811A1 (ja) | タンパク質含有医薬製剤の安定化方法 | |
| HK40043295A (en) | Lyophilized formulation sealed in glass vial | |
| KR20250106231A (ko) | 안정한 약제학적 제제 | |
| HK1225045A1 (en) | Method for purifying antibody having low isoelectric poi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