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2851A -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 Google Patents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851A
KR20230052851A KR1020230017082A KR20230017082A KR20230052851A KR 20230052851 A KR20230052851 A KR 20230052851A KR 1020230017082 A KR1020230017082 A KR 1020230017082A KR 20230017082 A KR20230017082 A KR 20230017082A KR 20230052851 A KR20230052851 A KR 2023005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imary tag
tag
primary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997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71785B1/en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1020230017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851A/en
Publication of KR2023005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85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181Instruction operation extension or mo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17Runtime instruction translation, e.g. macro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6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6Techniques for post-processing, e.g. correcting the recognition resu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온라인, 오프라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관리·공유·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사용자 sonsory의 설정에 따라(이하에서는 사용자 sonsory의 설정을 사용하는 제3자를 user라고 칭하겠다), 제3자 사용자 user가 상기처럼 사용자 sonsory의 1차 태그 조합을 사용할 때, namecard 라는 1차 태그는 사용자 sonsory의 namecard 폴더(1차 태그 자체가 폴더의 개념처럼 쓰일 수도 있다. 또는 1차 태그 namecard 내 지정된 특정 폴더가 될 수도 있다)에 특정 명함을 상기 1차 태그와 함께 촬영/스캔함으로써 업로딩할 수도 있다. 또한 동시에 또다른 1차태그 "TNG"에 의해 또다른 명령이 실행되어 질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user의 단말기에 내장된 기존에 촬영/스캔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1차 태그들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촬영/스캔시 인식된 1차태그들은 램 또는 데이터베이스, 저장소에 저장되고 이미지에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sonsory가 namecard를 특정 명함앱이 실행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1차 태그 조합을 사용하는 제3의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명함앱이 깔려있으면 명함앱이 실행되고, 상기 명함앱이 상기 제3자가 촬영한 명함을 사용자 sonsory의 명함 앱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명함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명함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특정 명함앱은 웹앱으로 제공되어 별다른 설치없이 제3의 사용자 누구나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앱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 과정은 위와 같다. 이와 동시에 또다른 1차 태그 #TNG의 명령도 실행된다.
namecard 가 사용자 user의 태그라면 #namecard @sonsory 처럼 사용함으로써, 1차 태그의 조합이 같은 태그들로 구성되어 있다할지라도순서에 따라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namecard @sonsory 처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였으나 사용자의 실수로 @sonsory #namecard 로 썼을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올바른 사용예를 안내해주는 알람창이 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들어 #namecard @sonsory 와 같은 1차 태그 조합은 사용자 user가 자신의 namecard 1차 태그를 사용하여 특정 명령을 수행한 뒤 특정 데이터를 @sonsory 에게 보내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 user의 namecard는 특정 명함앱을 실행하여 자신의 명함을 vcf(주소록 파일), cvs, img 파일형태로 전달하는 명령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 sonsory 에게 사용자 user의 명함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명함을 촬영하여 보내는 형태의 명령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user가 상기 1차 태그 namecard 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1차태그를 작성한 순서에 따라 명령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들어 #namecard @sonsory 와 @sonsory #namecard 는 다른 명령처럼 해석되어질 수 있다. 사용자 본인(편의상 user로 표현한다)의 1차태그를 사용할 때 1차 태그 @user는 생략될 수 있다. 즉 #namecard @sonsory는 원래 @user #namecard @sonsory 에서 1차 태그 중 @user가 생략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sonsory #namecard 도 @user가 생략된 형태로 볼 수 있고, 상기 두 명령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user #namecard @sonsory 는 "user" 의 1차 태그 "namecard"를 사용해 다른 사용자 "sonsory"에게 명령을 행하라는 의미이고 @user @sonsory #namecard는 "user"가 다른 사용자인 "sonsory"의 1차 태그 "namecard" 명령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 and offline data of a user using primary tags (online and offline) created by the use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user sonsory (hereinafter, the third party using the settings of the user sonsory will be referred to as user), when the third party user user uses the primary tag combination of the user sonsory as above, a namecard named 1 The primary tag is created by photographing/scanning a specific business card along with the primary tag in the namecard folder of the user sonsory (the primary tag itself can be used as a concept of a folder or it can be a specific folder designated in the primary tag namecard). You can also upload. Also, another command may be executed by another primary tag "TNG"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primary tags in the user terminal for an image previously photographed/scanned built into the user's terminal. In addition, the primary tags recognized during photographing/scanning are stored in RAM, database, or storage, and may be omitted from the image.
In addition, when the user sonsory sets the name card to run a specific business card app, if the third user using the primary tag combination has the specific business card app installed, the business card app is executed, and the business card app is photographed by the third party. You can also have a business card saved to the user sonsory's business card app. In addition, if the specific business card app is not installed, it may be induced to install the business card app, or the specific business card app may be provided as a web app and can be used by any third-party user without any special installation. In this case, the usage process is the same as above. At the same time, the command of another primary tag #TNG is also executed.
If namecard is a user's tag, by using it like #namecard @sonsory, different functions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order even if the combination of primary tags is composed of the same tags. If the intention is to use #namecard @sonsory, but the user mistakenly writes @sonsory #namecard, it is desirable to display an alarm window on the user's terminal that guides the correct use case.
For example, a primary tag combination such as #namecard @sonsory may send specific data to @sonsory after the user executes a specific command using his or her namecard primary tag. In other words, the user's namecard can be a command that executes a specific business card app and delivers his or her business card in the form of a vcf (address book file), cvs, or img file. It may be a command in the form of taking a picture and sending it. This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user sets the primary tag namecard.
Also, command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a plurality of primary tags are created. For example, #namecard @sonsory and @sonsory #namecard can be interpreted like other commands. When using the primary tag of the user himself (expressed as user for convenience), the primary tag @user can be omitted. That is, #namecard @sonsory can be seen in the original @user #namecard @sonsory with @user among the primary tags omitted. Likewise, @sonsory #namecard can also be seen in the form where @user is omitted, and the above two command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user #namecard @sonsory means to issue a command to another user "sonsory" using the primary tag "namecard" of "user", and @user @sonsory #namecard means that "user" is the 1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o use the car tag "namecard" command.

Description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만든 문자들의 조합, 특히 특수문자와 일반단어 등과 같은 키워드의 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관리·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and sharing online and offline data of a user by using a combination of characters created by a user, particularly a combination of keywords such as special characters and general words.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의한 특수한 태그(직접 쓴 필기 문자, 필기 도형, 상기 필기문자에 상응하는 디지털 문자, 상기 필기 도형에 상응하는 디지털 도형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관리·공유·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nd/or integrates online and offline data of the user using special tags defined by the user (handwritten characters, handwritten figures, digital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characters, digital figures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figures, etc.) It is about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최근 초고속 통신 및 이동통신의 발달,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한 개인이 접하게 되는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동영상 촬영 등으로 개인이 생산하는 데이터도 급증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rapid spread of smart terminals, data (text, image, video, etc.) that an individual encounters is rapidly increasing. In addition, the amount of data produced by individuals, such as taking pictures and videos using smart terminals, is rapidly increasing.

이와 같은 상황속에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과 스마트 단말기 및 PC 제조업체, 로컬 응용프로그램 기반 전통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예를들어 파일을 저장하는 드랍박스, i클라우드, 구글드라이브, 메모 및 일정 등을 저장하는 에버노트, OneNote, 프로젝트 일정을 관리하는 트렐로, 문서도구 구글독스 등)를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다이어리, 시관관리의 대명사인 프랭클린플래너와 같은 출판/제조 업체들도 플랜플러스 플래너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이며 새로이 형성되고 있는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 관리 시장에 적극적으로 끼어들고 있다.In this situation, software companies such as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smart terminal and PC manufacturers, and traditional software companies based on local applications have developed various services (eg, Dropbox to store files, i) to solve this problem. Cloud, Google Drive, Evernote and OneNote for storing memos and schedules, Trello for managing project schedules, Google Docs for document tools, etc.) Publishers/manufacturers are also actively intervening in the newly forming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market with applications such as PlanPlus Planner.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상기 언급한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과 같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온라인 데이터 통합, 관리, 공유 등의 기술을 발명의 배경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echnologies such as on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and sharing that manage data, such as the above technologies (the above-mentioned online application service).

위와 유사한 기존 IT 서비스(애플리케이션)들의 시행 초기에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각종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하고 다운로드/뷰잉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체험할 수 한다.At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of existing IT services (applications) similar to the above, users can experience the convenience of uploading/posting and downloading/viewing various data anytime, anywhere.

하지만 서비스의 이용 시간이 누적되어 데이터가 쌓이면서(온라인 저장소에는 오프라인 저장소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급격히 쌓인다), 그리고 유사 서비스들이 꾸준히 생기면서 기존의 서비스들이 단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차이점만 있을 뿐, 오프라인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피로도를 체감하기 시작하였다.However, as the usage time of the service accumulates and data accumulates (more data is rapidly accumulated in the online storage than in the offline storage), and as similar services are steadily created, existing services only have differenc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and data in offline I started to feel a degree of fatigue almost similar to managing .

게다가 이 서비스들의 대부분은 사용자들의 데이터들 중 일부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서비스들이기에 사용자가 각각의 서비스에 맞게 데이터를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해야 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사용자가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들이 여러 사업자가 각각 별도로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등)이다보니, 이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자신들의 데이터들을 영역별로 분할하고 관리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In addition, most of these services are services that specialize in handling only a part of users' data, so users have to store and manage data by subdividing it according to each service. A problem arises here. Since the services that users subdivide and use by area are programs (applications, etc.) that are separately serviced by multiple operators, users who use these services ironically divide and manage their data by area, making more efforts. It is a situation that consumes a lot of energy.

앞서 언급한 IT 서비스 제공 사업자중 가장 혁신적이라 불리우고 세계적으로 2억명에 가까운 유저를 확보한 에버노트의 이용률은 점점 낮아지고 있고, 심지어 에버노트가 곧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라 예측하는 전문가들도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The usage rate of Evernote, which is called the most innovative among the aforementioned IT service providers and has secured close to 200 million users worldwide, is gradually decreasing, and even experts predict that Evernote will soon disappear from the market. .

또한 지금까지의 거의 모든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은 온라인으로 업로드된 데이터를 오프라인상에서 손쉽게 공유하기 어려운 한계를 드러냈다. 물론 온라인에 업로드 된 텍스트나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와 그에 연결된 모바일 프린터기를 통해 출력하여 공유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이 그 효용성에 비해 클 뿐만 아니라 모바일 프린터기와 같은 모바일 주변기기를 상시적으로 가지고 다닌다는 것 자체가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In addition, almost all online application services so far have revealed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share data uploaded online offlin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int and share data such as text or pictures uploaded onlin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 mobile printer connected to it, but the cost to build this is not only high compared to its effectiveness, but also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rinters. Carrying peripherals with you at all times would inevitably be a very cumbersome task.

앞서 언급한 에버노트는 이 부분에서 꽤 취약했다(에버노트의 서비스를 살피어 보면 그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결을 단순히 오프라인의 데이터를 온라인에 업로드하여, 데이터를 손쉽게 찾고 편집하고 공유하는 것에 초점을 둔 서비스). 에버노트의 혁신적인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여전히 오프라인상에서 메모, 일정관리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끊임없이 생산하고있으며, 그 메모를 오프라인상에서 가족, 친구, 동료 또는 제3 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에버노트와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온라인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를 다시 종이에 쓰고 그것을 타인에게 줌으로써 공유하고 있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착안할 수 있는 한가지는 오프라인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업로드하여 공유하는 것만큼 온라인 데이터를 오프라인으로 다운로드하여 손 쉽게 공유할 수만 있다면 그 효용성과 가치는 오프라인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업로딩하여 공유하는 그 이상의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Evernote mentioned earlier was quite weak in this area (If you look at Evernote's service, they are a service that focuses on easily finding, editing, and sharing data by simply uploading offline data online by connecting online and offline. ). Despite Evernote's innovative service, users are still constantly producing text data such as memos and calendars offline, and sharing the data by forwarding the memos offline to family, friends, colleagues, or third parties. In addition, despite innovative services such as Evernote being provided, there are often situations in which people share some of the data stored online by writing it back on paper and giving it to others. One thing to think about here is that if you can download and share online data offline as easily as uploading and sharing offline data online, the utility and value can be obtained beyond uploading and sharing offline data online. that there will be

기존에 이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던 수많은 업체들은 위와 같은 사실, 즉 온라인상의 수 많은 데이터를 손쉽게 오프라인상에서 공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치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으로 인해 문제가 올바르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Many companies that have provided services in this field in the past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above fact, that is, the value that can be obtained by easily sharing a lot of online data offline, so the problem is not being solved properly.

실제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데이터 업로드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오프라인 상에서도 타인에게 즉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오프라인에도 온라인에서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온라인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여기서 개인 단말기에서 서버로의 데이터 업로드 및 서버에서 개인 단말기로의 데이터 다운로드, 이와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 단말기에서 단말기로의 데이터 업로드, 다운로드는 모두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달 및 공유 방법으로 취급한다).In order to actually integrate, manage, and share online and offline data,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immediately share data that exists online with others offline as well as simply upload data from offline to onlin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share data that exists online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ffline, just like online. Uploading and downloading of data are treated as data delivery and sharing methods that are all done online).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온라인 데이터(온라인 데이터를 포함한 사용자가 업로딩/포스팅한 오프라인 데이터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 정보 등)를 오프라인으로 공유하고자 할 때는 더욱 특별한 보안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In addition, a more special security device must be prepared when sharing the user's online data (offline data uploaded/posted by the user including online data - text, image, video, personal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offlin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종이 등에 기술한 문자 및 이미지(이하 필기 문자, 필기 이미지) 및 상기 문자와 동일한 디지털 문자 및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특정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executing a specific command for characters and imag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dwritten characters and handwritten images) written on paper by a user and digital characters and digital images identical to the characters.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 모듈 또는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 수단으로 연결된 서버의 구성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문자 및 이미지들에 대해 특별한 설정을 저장해 놓음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필기문자(및, 또는 상기 필기 이미지)가 촬영/스캔된 이미지 또는 상기 디지털 문자( 및,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그리고 상기 문자(및, 또는 이미지)들과 함께 입력, 첨부되는 각종 데이터들에 대해 상기 특별한 설정에 따라 이행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special settings for the text and images using a configuration module of a user terminal or a configuration module of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network means, so that the handwritten character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Or, according to the special settings for the image where the handwritten image) is taken/scanned, the digital text (and/or the digital image), and various data input and appended together with the text (and/or imag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o enable implement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종이 등에 기술한 문자 및 이미지(이하 필기 문자, 필기 이미지) 및 상기 문자와 동일한 디지털 문자 및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디지털 데이터 상에서 등가로 취급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be equivalently treated on digital data for characters and imag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dwritten characters and handwritten images) written by a user on paper, etc., and digital characters and digital images identical to the characters It has its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종이 등에 기술한 문자 및 이미지(이하 필기 문자, 필기 이미지)를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 관리, 공유,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 and offline data using text and imag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dwritten characters and handwritten images) written by a user on paper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문자 및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 관리, 공유,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 and offline data using digital characters and digital image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종이 등에 기술한 문자 및 이미지(이하 필기 문자, 필기 이미지) 및, 또는 상기 문자와 동일한 디지털 문자 및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 관리, 공유,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manages, shares, and authenticates online and offline data using characters and imag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dwritten characters and handwritten images) written by a user on paper or the like, or digital characters and digital images identical to the character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일상에서 접하게 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를 통합·관리·공유·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and integrates, manages, shares, and authenticates online and offline data (text, image, video, personal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encountered by users in daily lif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용 누적 시간이 많아질 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각종 데이터를 통합· 관리·공유함에 대해 사용자의 이용 누적 시간에 따라 점점 더 손쉽게 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time of use of the user for integrating, managing, and sharing various data that rapidly increase as the accumulated time of use of the user increases. .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온라인 데이터(온라인 데이터를 포함한 사용자가 업로딩/포스팅한 오프라인 데이터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 정보 등)를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필기문자(및, 또는 상기 필기 이미지)가 촬영/스캔된 이미지 또는 상기 디지털 문자( 및, 또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그리고 상기 문자(및, 또는 이미지) 등으로 추상화하여 오프라인상에서 손쉽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s online data (offline data uploaded/posted by the user including online data - text, image, video, personal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or the handwritten image) defined by the user.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be easily shared with others offline by abstracting the captured/scanned image or the digital character (and, or the digital image), and the character (and, or image), etc.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프라인 데이터(특정한 상태의 이미지, 아날로그 문자, 아날로그 그림 등)를 촬영/스캔하여 업로드(또는 포스팅) 한 온라인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정보 포함)에 대해 사용자가 정의한 특정시간, 특정기간, 특정지역, 또는 특정인 등과 같은 각 조건을 설정하고 해당 조건(하나 이상 복수개 설정 가능)에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접근가능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nline data (including text, image, video, personal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uploaded (or posted) after a user shoots/scans offline data (image in a specific state, analog text, analog picture, etc.) The purpose is to set each condition such as a specific time, a specific period,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person defined by the user and provide an accessible authentication system only when the corresponding condition (one or more can be set) is satisfi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의 인증 수단으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인증 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authentication means to be used as an authentication means for financial services used by users.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오프라인 노트들이 해결하지 못했던, 온라인과 연동하여 사용하기 까다로운 부분들, 예를들어 어제 수행한 일을 오늘도 수행해야할 경우 동일한 내용을 다시 적어야 하고, 매번 온라인에 업로딩할때마다 촬영/스캔 후 저장될 곳을 지정해야 하는 불편한 반복작업들을 합리적으로 해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use in conjunction with online, which existing offline notes could not solve, for example, if you have to do what you did yesterday, you have to write the same content again, and take a picture each time you upload it online. /The purpose is to reasonably resolve the inconvenient repetitive work of having to specify where to save after scanning.

- 단어의 정의 - Definition of words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필기(아날로그) 문자 조합, 필기(아날로그) 이미지 조합, 필기 문자와 필기 이미지의 조합, 디지털 문자 조합, 디지털 이미지 조합, 디지털 문자와 디지털 이미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한 조합들이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거나, 정의되기 위해 쓰이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기 문자 조합, 필기 이미지 조합, 필기 문자와 필기 이미지의 조합, 디지털 문자 조합, 디지털 이미지 조합, 디지털 문자와 이미지의 조합을 “1차 태그”라고 정의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필기 문자 및 상기 필기 이미지는 상기 디지털 문자 및 상기 디지털 이미지와 대비하여 아날로그 문자 및 아날로그 이미지로 언급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combinations consisting of one or more combinations of handwritten (analog) characters, combinations of handwritten (analog) images, combinations of handwritten characters and handwritten images, combinations of digital characters, combinations of digital images, and combinations of digital characters and digital image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fined by a user or used to be defined by a user terminal using a service by using a serve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handwritten characters, a combination of handwritten images, a combination of handwritten characters and handwritten images, a combination of digital characters, and a digital image Combination, combination of digital text and image is defined as “primary tag”.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handwritten character and the handwritten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n analog character and an analog image in contrast to the digital character and the digital imag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차 태그”의 속성 중 하나로 다수의 1차 태그에 중복적으로 정의되기도 하는 문자/이미지 등의 데이터들에 대해 “2차 태그”라고 정의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of the properties of the "primary tag", data such as text/image that is redundantly defined in a plurality of primary tags is defined as a "secondary tag".

-시스템 및 그 구성에 대하여-About the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촬영, 스캔, 수집을 통해 상기 1차 태그가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스캔부, 상기 촬영/스캔부가 획득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1차 태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in the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scans, and collects images, videos, texts, personal information, A photographing/scanning unit acquiring data such as payment information, a detecting unit detecting the primary tag included in the data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and a series of processes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detect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상기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GPS devic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기의 촬영/스캔부는,The shooting/scanning unit of the terminal,

상기 1차 태그가 포함된 상기 데이터들을 바로 획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해 상기 1차 태그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를 촬영/스캔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1차 태그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스캔부는 데이터에 1차 태그를 적용하기 위해 Although the data including the primary tag may be obtained immediate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may be applied through the terminal by photographing/scanning data without the primary tag. . At this time, the shooting/scanning unit applies a primary tag to the data.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상기 1차 태그를 먼저 제작/취득 한 후 데이터에 적용하거나 또는After producing/acquiring the primary tag online/offline first, apply it to data, or

선 취득한 데이터에 상기 1차 태그를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제작/취득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mary tag is produced/acquired online/offline and applied to the pre-acquired data.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온라인, 오프라인 상으로 적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1차 태그, 상기 1차 태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설정이 가능한 1차 태그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imary tag to be applied online or offline, and a primary tag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t least one user to the primary tag;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부는The memory unit of the terminal

상기 1차 태그 설정부에서 정의된 1차 태그를 저장하는 1차 태그 메모리부, a primary tag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rimary tags defined in the primary tag setting unit;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촬영/스캔부를 통해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상기 1차 태그 설정부에 설정된 1차 태그를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정의된 1차 태그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Data captured/scanned by the user through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primary tag set in the primary tag setting unit, processing the data in conjunction with the defined primary tag, and storing the data A memory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상기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1차 태그의 정보와 상기 1차 태그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부에 등록된 1차 태그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1차 태그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 부에기 등록된 1차 태그와 일치할 경우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즉, 1차 태그 메모리부에 등록된) 1차 태그에 정의된 바대로 사용자의 사전 설정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of the primary tag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imary tag registered in the primary tag memory unit or data memory unit, and the comparison result is registered in the primary tag memory unit or data memory unit. If it matches the detected primary tag, the user's preset is performed as defined in the primary tag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at is, registered in the primary tag memory unit).

상기 단말기의 상기 1차 태그 메모리부와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 모듈 내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의 저장부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촬영/스캔부, 상기 검출부, 상기 제어부와 상호간 유기적인 연결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imary tag memory unit and the data memory unit of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control module or may be configured in a storage unit separate from the control unit, and may be configured in an organic manner with the photographing/scan unit, th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phosphorus connection.

상기 단말기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촬영/스캔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외에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 이미지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to receive text input/image input from a user in addition to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scanning.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The application server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상호간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시 기입한 ID, 사용자 이메일, 사용자가 임시적으로 만든 일회용 또는 기간이 설정된 ID, 사용자의 단말기번호,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에 가입할 시 피동적으로 주어지는 가입번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을 특정화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DB등이 구성된 저장부,In order to distinguish users who access the server and use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each other, the ID entered by the user when signing up, the user's e-mail, the ID temporarily created by the user or set for a period, the user's terminal number, A storage unit composed of a user DB for storing data including a means for specifying an individual user by using a subscription number that is passively given when subscribing to a ser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1차 태그가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acquiring data such as images, videos, texts, personal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including primary tags online and offline while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through the terminal;

상기 서버의 촬영/스캔부가 획득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1차 태그를 검출하는 검출부,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imary tag included in the data acquired by the shooting/scanning unit of the server;

상기 서버의 검출부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의 검출부는 제어부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and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set by a user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detection unit of the server. The detection unit of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in the control unit.

상기 서버의 통신부는,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상기 1차 태그가 포함된 상기 데이터들을 바로 획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해 상기 1차 태그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를, 상기 서버와 연결된 상태의 단말기로 촬영/스캔 한 뒤 상기 서버를 통해 1차 태그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데이터에 1차 태그를 적용하기 위해 상기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에서Although the data including the primary tag may be obtained immediate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without the primary tag is photographed/scanned by a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and then the server The primary tag can be applied through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in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o apply the primary tag to the data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상기 1차 태그를 먼저 제작/취득 한 후 데이터에 적용하는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Receive a request to first produce/acquire the primary tag through online/offline and apply it to data, or

선 취득한 데이터에 상기 1차 태그를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제작/취득하여 적용하는 요청을 수신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quest for manufacturing/acquiring and applying the primary tag online/offline to the pre-acquired data is received and applied.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사용자가 통합·관리·공유·인증하고자 하는 데이터(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에 온라인, 오프라인 상으로 적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1차 태그, 상기 1차 태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설정이 가능한 1차 태그 설정부,At least one primary tag to be applied online or offline to the data (image, video, text, personal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that the user wants to integrate/manage/share/authenticate, and at least one user to the primary tag A primary tag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상기 1차 태그 설정부에서 정의된 1차 태그를 저장하는 1차 태그 메모리부, a primary tag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rimary tags defined in the primary tag setting unit;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의 촬영/스캔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스캔부를 작동시켜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상기 1차 태그 설정부에 설정된 1차 태그를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정의된 1차 태그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connects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terminal and operates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of the server to capture/scan data, and sets the primary tag set in the primary tag setting unit. A data memor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ata memory unit that processes and stores the data and the defined primary tag in association with application.

또한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상기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1차 태그의 정보와 상기 1차 태그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부에 등록된 1차 태그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1차 태그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 부에 기 등록된 1차 태그와 일치할 경우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즉, 1차 태그 메모리부에 등록된) 1차 태그에 정의된 바대로 사용자의 사전 설정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of the primary tag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imary tag registered in the primary tag memory unit or data memory unit, and the comparison result i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primary tag memory unit or data memory unit. If it matches the detected primary tag, the user's preset is performed as defined in the primary tag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at is, registered in the primary tag memory unit).

상기 검출부는,The detecting unit,

상기 1차 태그의 정보를 비교할 때 사용자의 ID를 비교하여, 상기 1차 태그를 제작하고 제어하는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인지 아닌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일한 사용자가 아닐 경우 상기 1차 태그의 사용허가를 받은 사용자인지 아닌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1차 태그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일 경우 다음 과정을 이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mparing the ID of the user when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primary tag,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who manufactures and controls the primary tag is the same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permission to use or not,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user has permission to use the primary tag, the following process is performed, and otherwise, the step of terminating the applic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

상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은 상호 보완적이다. 과거에는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들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와 서버의 역할을 일괄적으로 나누고 처리할 수 밖에 없었지만, 현재는 서버에서 단말기의 하드웨어 컨트롤이 직접 가능해졌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와 서버의 역할은 서버의 상황에 따라 혹은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데이터 촬영/스캔, 1차 태그의 검출, 제어 등의 처리 역할을 상호보완하여 유동적, 유기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role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server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past, technicians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generally had no choice but to divide and process the roles of terminals and servers collectively, but now, since the server can directly control the hardware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and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 of can be processed flexibly and organically by complementing processing roles such as data capture/scanning, primary tag detection,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server's situation or the terminal's performance.

-1차 태그에 대하여-About the primary tag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한 1차 태그는, The primary tag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offlin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그린 아날로그 1차 태그로써, 단말기에 의해 촬영/스캔된 후,As an analog primary tag drawn by hand by the user, after being photographed/scanned by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만들어지고 상기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1차 태그’와 동일한 태그로 해석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rocess of interpreting the same tag as the 'digital primary tag created in the terminal or server and stored in the terminal or server'.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단순히 아날로그 문자의 조합일 수도 있지만, 아날로그 이미지만의 조합일 수도 있고, 아날로그 문자 조합과 아날로그 이미지 조합의 조합일 수도 있다. It may simply be a combination of analog characters, but it may also be a combination of only analog images, or a combination of analog characters and analog images.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단순히 디지털 문자의 조합일 수도 있지만, 디지털 이미지만의 조합일 수도 있고, 디지털 문자 조합과 디지털 이미지 조합의 조합일 수도 있다. It may simply be a combination of digital characters, but may also be a combination of only digital images, or a combination of digital characters and digital images.

- 오프라인에서 1차 태그를 제작, 이용하는 과정- The process of making and using the primary tag offline

(오프라인에서 습득할 수 있는 1차 태그를 만드는 방법1)(How to create a primary tag that can be learned offline 1)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오프라인에서 연필과 볼펜같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종이나 일반 사물, 특정 장소 등에 사용자가 직접 필기하여 만든 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되어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될 수도 있다.(1차 태그 제작 단계)After the user directly writes and writes on paper, general objects, or specific places using writing instruments such as pencils and ballpoint pens offline,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hotographed/scanned through a built-in terminal and input to the user's terminal. .(1st tag production step)

(오프라인에서 습득할 수 있는 1차 태그를 만드는 방법2)(How to create a primary tag that can be learned offline 2)

본 발명에 따른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 상기 1차 태그가 인쇄된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에 인쇄된 상기 1차 태그가 촬영/스캔되어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될 수도 있다. (1차 태그 제작 단계)In order to integrate, manage, share, and authenticate online/offline data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has an object printed with the primary tag, and is printed on the object through a terminal having a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bedded therein. The primary tag may be photographed/scanned and input to the user's terminal. (1st tag production step)

(오프라인에서 습득할 수 있는 1차 태그를 만드는 방법3)(How to create a primary tag that can be learned offline 3)

본 발명에 따른 1차 태그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using the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상기 1차 태그를 만들 수 있는 실물 도구(예를들어 만년달력과 같이 구성요소를 쉽게 움직여 1차 태그를 제작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되어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될 수 있다(1차 태그 사용 단계).After making the first tag using a real tool (for example, a tool that can easily move components such as a 10,000 year calendar to make a first tag), the first tag can be made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canned and input to the user's terminal (first tag use step).

(오프라인에서 습득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서 습득한 1차 태그)(Data acquired offline and the primary tag acquired from the above data)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 되어져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는 단계를 거쳐 상기 데이터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저장되는 단계에서의 처리기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step of stor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program through the step of photographing / scanning through the terminal with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bedded with the actual image, video or text that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 scan and input to the user terminal It can also be used as a processing criterion.

(이미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촬영/스캔된 데이터와의 호환성)(Compatibility with data already taken/scanned through other programs)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다른 단말기에 내장된 다른 촬영/스캔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실제 데이터를 촬영/스캔한 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촬영/스캔된 데이터와 1차 태그를 입력한 후 이를 본 발명에 의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offlin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and system in which a user takes a picture by using a terminal with a program built-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hooting/scanning program built into the terminal or other terminals. /After photographing/scanning the actual data to be scanned, inputting the photographed/scanned data and a primary tag through a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processing th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차 태그를 확실하게 얻기 위한 수단1)(Means 1 for reliably obtaining the primary tag)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와 함께 촬영/스캔되는 단계에서,In the step of photographing / scanning together with the data that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 scan,

먼저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상기 데이터와 함께 촬영/스캔되는 1차 태그에 각각 별도의 초점을 맞추진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 되어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어 질 수 있다.First, one or more images are photographed/scanned through a terminal having a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ata that the user wants to photograph/scan and the primary tag photographed/scanned together with the data are separately focused. and can be input to the terminal.

(복수개의 1차 태그가 적용되어 있을 경우, 그중 특정 1차 태그는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 일 수도 있고, 또다른 1차 태그는 해당 데이터로 이동하는 수단이었을 뿐일 수도 있다. 물론 1차 태그가 1개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그것은 유저가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물론1차 태그의 조합을 특정 1차 태그로 들어가면 모아서 볼 수 있게 할 수 는 있음- 유저의 선택에 따라 1차 태그를 촬영/스캔된 이미지 등의 데이터에서 배제하는 방법도 고려되어야 한다)(If a plurality of primary tags are applied, a specific primary tag among them may be data that requires security, and another primary tag may be just a means to move the data. Of course, if there is only one primary tag, Since it is not what the user wants to see -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view combinations of primary tags by entering a specific primary tag -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the primary tag is photographed/scanned image, etc. should also be considered)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is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데이터와 함께 촬영/스캔되어져,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분류되어진 뒤, 단말기 또는 서버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질 때 상기 1차 태그는 삭제되거나 흐릿하게 처리되는 등의 방법으로 감추어질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1차 태그가 찍히면, 즉 촬영 맨 앞, 중반, 맨 끝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동영상 내에서 상기 1차 태그를 해석하여 상기 1차 태그의 사전 정의에 따라 혹은 임시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즉각적으로 공유되어 질 수 있다.It is photographed/scanned together with data such as the actual image, video or text that the user wants to photograph/scan, and after the data is classified by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data is stored in the terminal or server. When done, the primary tag can be deleted, obscured, or otherwise obscured. In addition, if the primary tag is captured during video recording, that i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prets the primary tag in the video regardless of the beginning, middle, or end of the recording, and either It can be stored in temporary storage. Also, it can be shared instantly.

- 오프라인에서 1차 태그를 제작, 이용하는 과정- The process of making and using the primary tag offline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직접 만들어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되어 질 수도 있다.A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created by a user through a terminal having a built-in program and inputted to the user'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은,The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작성한 메모와 같은 데이터’ 또는 ‘단말기를 이용하면서 온라인상에서 얻게되는 이미지/동영상 등의 데이터’에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상기 1차 태그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pplying the primary tag to 'data such as a memo written by a user on a terminal' or 'data such as images/videos obtained online while using a terminal' through a terminal having a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bedded therein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한 상기 1차 태그는The primary tag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offlin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만든 1차 태그로써,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데이터에 적용되는 단계를 거쳐 상기 데이터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정리되는 단계에서의 처리 기준으로 상기 1차 태그가 사용될 수 있다.As a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through a terminal in which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the data is applied to data such as actual images, videos, or text captured/scann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data is stored in the program. The primary tag may be used as a processing criterion in the step of organizing according to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is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만든 1차 태그로써,As a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through a terminal in which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상기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데이터에 적용된 후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때 상기 1차 태그가 삭제되거나 감춰지는 단계를 거쳐 처리 될 수도 있다.After being applied to the data such as the actual image, video or text that the user wants to shoot/scan, and then going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ogram sett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is saved, the primary tag is not deleted or hidden. may be processed through stages.

-1차 태그의 사용-use of primary tag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 조합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만든 상기 1차 태그는,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for integrating, managing, and sharing online-offline data using the primary tag combination crea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상기 1차 태그를 온라인에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구체화될 수 있다(1차 태그 사용 전 정의 단계).It may be embodied by including a step of the user defining the primary tag online (defining the primary tag before use).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1차 태그에 사용자가 정의한 주제를 삽입하거나 연동함으로써 상기 1차 태그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When the primary tag is used by the user by inserting or linking a subject defined by the user to the primary tag 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이미지와 동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에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1차 태그가 적용’되어 상기 데이터가 상기 주제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주제가 상기 데이터에 태그(2차 태그)되어 질 수 있도록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rimary tag is applied' through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ata such as images, videos, and text captured/scanned by the user', the data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the subject is tagged to the data ( 2nd tag) can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1차 태그를 정의 뒤 이를 가족, 친구, 동료 등 제3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1차 태그 사용 단계).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fines the primary tag through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sets it so that third-party users such as family, friends, and colleagues can use it It may include steps (primary tag usage step).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1차 태그를 가족, 친구, 동료 등 제3 자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1차 태그를 만든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수단으로써,As a means for defining a user who created the primary tag so that a third party user such as family, friend, colleague, etc. can use the primary tag defined by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가입시 기입한 ID, 사용자 이메일, 사용자가 임시적으로 만든 일회용 또는 기간이 설정된 ID, 사용자의 단말기번호,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에 가입할 시 피동적으로 주어지는 가입번호 등을 이용하여 상기 1차 태그를 정의한 사용자 개인을 특정화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단 또한 1차 태그로써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분은 일반문자(a, b, c, d, .. 1, 2, 3, 4,...)가 아닌 특수문자(예를들어 @, #, $, * 등)가 이용되어 질 수 있다. The ID entered by the user at the time of signup, the user's e-mail, the ID temporarily created by the user or set for a period, the user's terminal number, and the subscription number that is passively given when the user signs up for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tc. A means for specifying the individual user who defined the tea tag may be included. The above means can also be used as a primary tag. For distinction, special characters (e.g. @, #, $, *, etc.) can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는,For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가족, 친구, 동료 등 제3 자의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또 다른 1차 태그로 대체되어 질 수 있다.It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primary tag defined by a third party user such as family, friend, or colleague.

-사용자의 행위로 사용자를 이해하기-Understand users by their actions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한 1차 태그는,The primary tag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offlin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상기 1차 태그를 포함한 이미지를 촬영/스캔할 때, 상기 1차 태그가 촬영/스캔된 이미지 상에서 서비스 제공자 혹은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상기 촬영/스캔된 이미지의 전체 비율 대비 촬영/스캔된 이미지내에서 상기 1차 태그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혹은 1차 태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1차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스캔된 이미지를 업로드/포스팅 등을 할 것인지 아니면 이미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1차 태그에 정의된 경로로 이동하여 다운로드/뷰잉, 특정한 액션을 수행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지를 파악하는 판단 요소로 활용되어 질 수 있다.When a user captures/scans an image including the primary tag, the captured/scanned image is compared to the overall ratio of the captured/scanned image set by the service provider or the user on the captured/scanned image of the primary tag. Whether the user uploads/posts the captured/scanned image using the primary tag or the user has already defined it according to the ratio occupied by the primary tag in the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download/view or perform a specific action by moving to a path defined in the placed primary ta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ecision element to determine the user's will.

-1차 태그의 범용성과 확장성, 추상화-Generality, extensibility and abstraction of the primary ta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1차 태그는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적용되어져 상기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서비스로 전달하는 명령어 집합의 추상화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Through the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data photographed/scanned by the user and used as an abstraction tool of a command set that transfers the data from the application to one or a plurality of other application servic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1차 태그는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적용되어져 상기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서비스로 전달하여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고 다시 사용자의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로 받는 명령어 집합의 추상화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Through the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lied to data photographed/scanned by the user, and the data is transferred from the application to one or a plurality of other application services to process a series of processes, and again to the user's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n abstraction tool for the instruction set received as a service.

-1차 태그의 보안, 사용제한, 금융/결재 수단-Security of the primary tag, usage restriction, financial/payment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가 사용 될 수 있는 지역, 시간, 대상 등의 조건을 한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 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보안 기능/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is set by the user by limiting conditions such as region, time, target, etc. in which 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can be used through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urity function/measure can be provided so that it can only be used within one cond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는 특정한 선택적 이미지로 정의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가 사용자가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의 보안 수단으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 기능/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can be defined as a specific selective image, and by using this, 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through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urity means of financial services used by the user. It can provide security functions/means so that it can be used a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는 금융/결제와 관련된 매우 높은 수준의 보안장치(예를 들어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CCV,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등록된 휴대전화 장치 인증, 사용자의 등록된 이메일을 통한 인증 등 주지관용 기술 중 높은 수준의 보안수단을 하나 또는 복수 사용)등을 통해 사전에 설정해 놓은 상품/서비스를 직접 구매하거나 1차 태그의 공유를 통해 가족, 친구, 연인 등의 제3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금융/결제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is a very high-level security device related to finance/payment (e.g., card number, expiration date, CVC/CCV, user password, or user's registered password). Through direct purchase of products/services set in advance through one or more high-level security measures among state-of-the-art technologies such as mobile phone device authentication and authentication through user's registered e-mail) or by sharing the primary tag A financial/payment method can be provided so that a third party such as a family member, friend, or lover can make a purchase.

-1차 태그를 활용한 특별한 노트-Special notes using primary tag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1차 태그와 톰슨 가공된 특별한 노트를 통해 기존의 오프라인 노트들은 온라인과 연동하여 사용하기 까다로운 부분들, 예를들어 어제 수행한 일을 오늘도 수행해야할 경우 동일한 내용을 다시 적어야 하고, 매번 온라인에 업로딩할때마다 촬영/스캔 후 저장될 곳을 지정해야 하는 불편한 반복작업들을 합리적으로 해소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rimary tag and Thomson processed special notes, the existing offline notes are linked with online and difficult to use, for example, if you need to do what you did yesterday, you can repeat the same content aga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ans of rationally solving the inconvenient repetitive work of having to write down and specifying a place to be saved after shooting/scanning every time it is uploaded onlin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시스템화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각각의 1차 태그의 조합에 각각의 주제를 정의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촬영/스캔 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재정보 등의 데이터 각각에 알맞게 정의된 1차 태그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통합·관리·공유·인증을 할 수 있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fines each subject in each primary tag combin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service systemiz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mages, videos, texts, and personal data captured online and offlin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manage, share, and authenticate data by applying the primary tag defined appropriately to each data such as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 태그는 사용자가 필기구나 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쓰거나 그리는 방법으로 만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을 통해 만들 수 도 있으며, 상기 만들어진 1차 태그는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직접 그리고 만든 것이든,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내장된 단말기로 만든 것이든지 그 수단을 가리지 않고, 특정된 사용자에게 있어서 동일한 1차 태그로 구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기능을 가진 1차 태그로 사용되기 때문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은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를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을 통해 통합·관리·공유·인증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g can be created by a user directly writing or drawing using a writing instrument or a tool, or through an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eated first tag can be created directly by the user offline An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made or made by a terminal with an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composed of the same primary tag for a specific user, it is used as a primary tag with the same function, so it is online. Users can make and use it conveniently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offline and offlin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integrate, manage, share, and authenticate their own online/offline data through one consistent sys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상기 1차 태그를 사용자 자신을 특정할 수 있는 개인 코드(이 또한 1차 태그일 수도 있다) 와 함께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가족, 친구, 동료 또는 제3자들에게 자신이 정의한 1차 태그를 공개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차 태그의 공유를 통해 제3의 사용자들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를 다운로드/뷰잉 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타 제3의 사용자들은 상기 1차 태그에 의해 특정된 가상의 공간에 제3의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define and use the primary tag together with a personal code (which may also be a primary tag) that can identify the user himself, thereby providing family members, friends, co-workers, or third parties with a personal code that he or she has defined. The primary tag is made public and can be shared. Through the sharing of the primary tag, third-party users can download/view the user's data,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other third-party users are placed in the virtual space specified by the primary tag. You can also upload/post the data of 3 us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3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1차 태그는 제3의 사용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자신의 단말기에서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서비스로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전달한 뒤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고 다시 사용자의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상기 데이터를 되돌려 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of the user disclosed to third user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is applied to data photographed/scanned by the third users on their terminals in which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The data can be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to one or a plurality of other application services, and after transmission, a series of processes can be processed and the data can be returned to the user's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는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만든 1차 태그가 사용 될 수 있는 지역, 시간, 대상 등의 조건을 한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 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보안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limits the conditions such as the area, time, target, etc. in which the primary tag created by the user can be used through the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within the conditions set by the user. The security function can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used only 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 관리, 공유,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주지 관용의 기술 중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 문자 인식) 을 위한 범용 최적화 프레임 워크(Global Optimization FrameWork)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1차 태그를 설정하는 주된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
도 7은 도 6의 동작순서도 중, 1차 태그를 설정하는 하는 단계(S102)의 세부 과정 중 디지털 1차 태그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일치시키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작업 과정을 도시한 제1 도면.
도 8은 도 6의 동작순서도 중, 1차 태그를 설정하는 하는 단계(S102)의 세부 과정 중 디지털 1차 태그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일치시키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작업 과정을 도시한 제2 도면.
도 9은 도 6의 동작순서도 중, 1차 태그를 설정하는 하는 단계(S102)의 세부 과정 중 디지털 1차 태그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일치시키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작업 과정을 도시한 제3 도면.
도 10은 도 6의 동작순서도 중, 1차 태그를 설정하는 하는 단계(S102)의 세부 과정 중 디지털 1차 태그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일치시키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작업 과정을 도시한 제4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1차 태그를 설정할 때, 아날로그 1차 태그들을 종이에 적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1차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타인의 1차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타인의 1차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PC)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스마픈폰)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스마픈폰)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또 다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1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2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3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제1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제2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제3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제4 도면.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제5 도면.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제6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설정된 1차 태그에 접속하였을때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혹은 또 다른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설정된 1차 태그에 접속하였을때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1차 태그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1차 태그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1차 태그, 2차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면서, 서버에 특정 사용자의 데이터, 1차 태그, 2차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 또는 제3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3부터 도 39는 업로딩/포스팅 실시예-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 조합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와 함께 메모되어진 1차 태그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하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기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제1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제1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제2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제3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제4 도면.
-도 40부터 도 50는 다운로딩/뷰잉 실시예-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 조합 도시한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도 40에 도시된 1차 태그 -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기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3 실시예의 제1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기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3 실시예의 제2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4 실시예의 제1 도면.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4 실시예의 제2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4 실시예의 제3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이 자동으로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5 실시예의 제1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이 자동으로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5 실시예의 제2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또는 촬영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이 자동으로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6 실시예의 제1 도면
도 49는 도 45, 도 47, 도 48 의 각 실시예의 최종단계에서 시스템이 1차 태그를 인식하고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1 도면.
도 50은 도 45, 도 47, 도 48 의 각 실시예의 최종단계에서 시스템이 1차 태그를 인식하고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2 도면. 도42와 같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제1 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제2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제3 도면.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타인의 1차 태그를 이용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제1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타인의 1차 태그를 이용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제2 도면.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타인의 1차 태그를 이용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제3 도면.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제3의 사용자의 아이디, 그리고 그와 관련된 1차 태그들이 저장되어져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1차 태그와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심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거나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위치 결정 심볼을 도시한 제1 도면.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심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거나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위치 결정 심볼을 도시한 제2 도면.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심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거나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위치 결정 심볼을 도시한 제3 도면.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심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거나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위치 결정 심볼을 도시한 제4 도면.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심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거나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위치 결정 심볼을 도시한 제5 도면.
도 6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 위치 결정 심볼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제1 도면.
도 6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 위치 결정 심볼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제2 도면.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 위치 결정 심볼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제3 도면.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 위치 결정 심볼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제4 도면.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 위치 결정 심볼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제5 도면.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차량을 주차시 남겨놓는 메모에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설명서, 그 중에 PC에 대한 메뉴얼을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메모에 작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 사용자가 1차 태그를 이용해 다른 사용자에게 돈을 송금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메모에 작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명 인식 알고리즘의 임계값에 따른 인증률을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73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한 상품,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구매하고자 할때,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구매하게 되는 상품, 서비스를 1차 태그로 설정하여,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하면 즉각적으로 해당 상품,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설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1 도면.
도 74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한 상품,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구매하고자 할때,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구매하게 되는 상품, 서비스를 1차 태그로 설정하여,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하면 즉각적으로 해당 상품,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설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2 도면.
도 7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한 상품들을 온라인으로 구매하고자 할때,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구매하게 되는 상품들을 1차 태그로 설정한 뒤, 해당 상품을 비치해두는 곳에 1차 태그를 부착해 놓은 상태예를 도시한 도면.
도76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의한 1차 태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수문자들을 인쇄해 놓은 노트를 도시한 제1 도면.
도 7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의한 1차 태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수문자들을 인쇄해 놓은 노트를 도시한 제2 도면.
도 7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
신만의 1차 태그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ystem that is a Global Optimization Framework (Global Optimization FrameWork) for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mong well-known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flow 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in which a user sets his or her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irst diagram showing a customizing process for matching a digital primary tag with an analog primary tag in the detailed process of setting the primary tag (S102) in the operation sequence diagram of FIG. 6;
FIG. 8 is a second diagram showing a customizing work process for matching a digital primary tag and an analog primary tag in the detailed process of setting the primary tag (S102) in the operation sequence diagram of FIG. 6; FIG.
FIG. 9 is a third view showing a customizing work process for matching a digital primary tag and an analog primary tag in the detailed process of setting the primary tag (S102) in the operation sequence diagram of FIG. 6; FIG.
FIG. 10 is a fourth diagram showing a customizing work process for matching a digital primary tag with an analog primary tag in the detailed process of setting the primary tag (S102) in the operation sequence diagram of FIG. 6;
11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nalog primary tags are written on paper when a user sets his/her own primary ta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flowchart when a user uses his or her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operation flowchart when a user uses another person's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operation flowchart when a user uses another person's primary t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in a browser of a user terminal (PC) when access is made through a user terminal registered to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in a browser of a user terminal (smart phone) when access is made through a user terminal registered to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screen displayed in a browser of a user terminal (smart phone) when access is made through a user terminal registered to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econd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registered user terminal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third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registered user terminal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settings in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econd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settings in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third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settings in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fourth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settings in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ifth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settings in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sixth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settings in a process of setting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when a user accesses a preset primary tag through a registered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when a user or another user accesses a preset primary tag through an unregistered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user's primary tag and data, a user's tag and data, and a user's tag and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in which data stored in a user terminal, a primary tag, a secondary tag, settings, etc. are stored in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pecific user's data, a primary tag, a secondary tag, A diagram showing relationships in which settings, etc. are stored.
31 illustrate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by a primary tag owned by a user by reflecting a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chart.
32 shows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 data by a primary tag owned by a user or a primary tag owned by a third party by reflecting a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view.
-Figures 33 to 39 are uploading/posting examples-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mary tag combination shown in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diagram in which a user photographs/scans a primary tag memoized with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terminal;
35 is a firs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preset command by a user directly inputting a primary tag shown in a memo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6 is a user taking (or taking) a memo including a primary tag shown in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terminal and setting a primary tag area so that the terminal captures the primary tag. A first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enabling easy recognition.
FIG. 37 illustrates a user taking (or taking) a memo including a primary tag shown in a memo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a primary tag area so that the terminal captures the primary tag. A second diagram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enabling easy recognition.
FIG. 38 is a user photographing (or filming) a memo including a primary tag shown in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terminal, and the user sets a primary tag area so that the terminal captures the primary tag. A third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enabling easy recognition.
FIG. 39 is a user taking (or taking) a memo including a primary tag shown in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terminal, and the user sets a primary tag area so that the terminal captures the primary tag. A fourth diagram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enabling easy recognition.
-Figures 40 to 50 are download/viewing examples-
4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mary tag combination shown in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1 is a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directly inputs a primary tag shown in a memo - a primary tag illustrated in FIG. 40 - through a terminal and executes a preset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st drawing.
42 is a second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of executing a preset command by a user directly inputting a primary tag shown in a memo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3 shows a memo including the primary tag shown in the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captures (or is filming) a memo through a terminal and the user sets the primary tag area so that the terminal captures the primary tag. A first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enabling easy recognition.
FIG. 44 shows a memo including the primary tag shown in the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captures (or is filming) a memo through a terminal, and the user sets a primary tag area so that the terminal captures the primary tag. A second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enabling easy recognition.
45 is a user photographing (or taking) a memo including the primary tag shown in the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user sets the primary tag area so that the terminal captures the primary tag. A third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for enabling easy recognition.
4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system of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primary tag area when a user photographs (or is filming) a memo including a primary tag shown in the memo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view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47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user captures (or is filming) a memo including a primary tag shown in the memo through a terminal, and the system of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primary ta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view of the illustrated fifth embodiment.
48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user captures (or is filming) a memo including a primary tag shown in the memo through a terminal, and the system of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primary ta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view of the illustrated sixth embodiment
49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digitally converting a primary tag by the system in the final stage of each embodiment of FIGS. 45, 47, and 48;
FIG. 50 is a second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digitally converting a primary tag by the system in the final stage of each embodiment of FIGS. 45, 47, and 48; Same as Figure 42.
51 is a c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by the user's primary tag by reflecting the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the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drawing showing a screen.
52 is a c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by the user's primary tag by reflecting the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the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drawing showing a screen.
53 is a c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by the user's primary tag by reflecting the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the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drawing showing a screen.
54 shows a screen serving as a c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using another person's primary tag by reflecting a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st drawing shown.
55 shows a screen serving as a c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using another person's primary tag by reflecting a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nd drawing shown.
56 shows a screen serving as a cl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using another person's primary tag by reflecting a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rd drawing shown.
57 is a screen showing an ID of a third user previously used by a user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a terminal in which a service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mary tags related thereto are stored and can be easily found and used. floor plan.
5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are mutually connected to primary tags of other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is drawn on paper on which a positioning symbol is pri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d an analog primary tag are drawn on plain paper. 1st drawing showing the positioning symbol shown in the image.
6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is drawn on paper on which a positioning symbol is pri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d an analog primary tag are drawn on plain paper. A second diagram showing positioning symbols shown in the image.
6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is drawn on paper on which a positioning symbol is pri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d an analog primary tag are drawn on plain paper. A third diagram showing positioning symbols shown in the image.
6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is drawn on paper on which a positioning symbol is pri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d an analog primary tag are drawn on plain paper. 4th drawing showing the positioning symbol shown in the image.
6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is drawn on paper on which a positioning symbol is pri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d an analog primary tag are drawn on plain paper. A fifth drawing showing the positioning symbol shown in the image.
64 is a first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 analog primary tag, and a positioning symbol are drawn on plai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5 is a second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 analog primary tag, and a positioning symbol are drawn on plai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6 is a thir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 analog primary tag, and a positioning symbol are drawn on plai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7 is a fourth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 analog primary tag, and a positioning symbol are drawn on plai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8 is a fifth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 analog primary tag, and a positioning symbol are drawn on plai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mo left when parking a vehic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upload/download user manuals owned by a specific user, among which manuals for a PC, is written on a memo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llows a specific user to transfer money to another user using the primary tag, is written on a memo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2 is a graph illustrating the authentication rate according to the threshold value of the signature recognition algorith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urchasing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online, setting a product or service to be repeatedly purchased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as a primary tag and photographing/scanning the primary tag A first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is immediately purchased.
7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urchasing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online, setting a product or service that is repeatedly purchased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as a primary tag and photographing/scanning the primary tag A second diagram showing a state of immediately purchasing a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7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urchasing specific products online, after setting the products to be repeatedly purchased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as primary tags, the primary tags are placed in a place where the corresponding products are kept.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n attached state.
76 is a first diagram showing a note printed with special characters capable of performing a primary ta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7 is a second view showing a note printed with special characters capable of performing a primary ta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8 is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a new primary tag.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돕기 위해 개요가 제공 된다. 이 개요는 넓은 범위의 개관이 아니다. 본 발명의 핵심/중요 요소들을 식별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이것은 단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의 서두로서 간략한 형태로 본 발명의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verview is provided below to facilitat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overview is not a broad overview. It is intended merely to present some concepts of the invention in a simplified form as a prelude to the mor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컴포넌트”, “모듈” 및 "시스템"은 컴퓨터-관련 개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의 소프트웨어를 참조하려고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모듈은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서, 프로세스, 객체, 실행파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서, 서버에서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서버 모두는 컴포넌트 혹은 모듈일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컴포넌트, 모듈들은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고, 컴포넌트, 모듈은 한 컴퓨터에 위치 될 수 있고 및/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에 분산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onent”, “module” and “system” are intended to refer to a computer-related entity,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software in execution. For example, a component or module may be a processor, process, object, executable file, execution thread, program, and/or computer running on a proces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oth the application program running on the server and the server may be components or modules. One or more components or modules may reside within a processor and/or thread of execution, and a component or module may be localized on one computer and/or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computers.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추론한다(infer)" 또는 추론(inference)"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캡처된 바와 같이 일련의 관찰들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에 대해 추론하거나 또는 상태들을 추론하는 프로세스를 일컫는다. 추론은, 예를 들어, 특정 컨텍스트나 동작을 식별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태들에 대해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적일 수 있다 -즉, 데이터와 이벤트들을 고려하여 관심의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계산-. 추론은 또한 일련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더 높은 수준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 채용된 기술들을 일컬을 수 있다. 이벤트들이 근접시간에 상관하는지 및 이벤트들과 데이터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발생되는지에 무관하게, 이러한 추론은 일련의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새 이벤트들이나 동작들을 구성하는 결과를 가져온다.As used herein, the term “infer” or inference” generally refers to a system, environment and/or user from a series of observations as captured through events and/or data. Refers to the process of reasoning about, or inferring states of, inference can be employed, for example, to identify a specific context or action, or can generate a probability distribution over states. Inference can also be probabilistic—that is, taking into account data and events, computing a probability distribution over states of interest. Inference is also a set of events and/or techniques employed to construct higher-level events from data. Regardless of whether the events are correlated in near time and whether the events and data originate from one or several event and data sources, such inference can be made from a series of observed events and/or stored event data. This results in constructing new events or actions.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작업들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모듈,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더욱이,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방법들이, 각각이 한 개 이상의 연관된 단말기들과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싱글프로세서나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이나 프로그램 가능한 소비자 전자 제품 등을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 시스템 구조들과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Generally, a program module includes routines, programs, components, module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Moreo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ingle-processor or multi-processor computer systems, minicomputers, mainframe computers, personal computers, handheld computing devices, each capable of being operatively coupled with one or more associated terminal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terminal system architectures including smart phones, smart pads, microprocessor-based or 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and the like.

본 발명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통신망을 통해 링크된 원격 프로세싱 단말기들에 의해 특정 작업들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저장 단말기들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where specific tasks are performed by remote processing terminals that are linked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program modules may be located on both local and remote memory storage terminals.

단말기/서버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과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과 비분리형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이나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과 비휘발성, 분리형과 비분리형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나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video disk)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나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 terminal/server may typically include a variety of computer readable media.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or example,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puter storage media may include RAM, ROM, EEPROM, flash memory or other memory technology, CD-ROM, digital video disk (DVD)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agnetic cassettes, magnetic tape, magnetic disk storage or other magnetic storage devices, or any other medium accessible by a computer and that can be used to store desired inform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 관리, 공유,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1에 되시되어 있다.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hown in FIG. 1 .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혹은 유선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패블릿(Phablet), 개인용휴대단말기(PDA), 전자책단말기(E-book reader), 노트북(notebook)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 각각은 서로 다른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가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영 체제는 iOS, Symbian, Android, Windows, MAC, Linux, Unix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서로 다른 파일 시스템(File Systems)을 통해 파일을 관리한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wirelessly or wired. The user device 100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a laptop, a phable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E-book reader, and a notebook )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devices 100 may have different operating systems (OS) installed and operated, and such operating systems may exemplify iOS, Symbian, Android, Windows, MAC, Linux, Unix, and the like. . Accordingly, the user device 100 manages files through different file systems.

여기서, 사용자 장치 또는 단말기(100)라 함은 예컨대 고해상도(HD급 이상)의 사진촬영이 가능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상용화되고 있다.Here, the user device or terminal 100 may be, for example, a smartphone equipped with hardware and software capable of taking high resolution (HD level or higher) pictures. Recently, a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is widely spread and its usage rate is rapidly increasing,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Various data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Multiple Access),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Fidelity (WiFi), and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통신 단말기(100)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100)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uch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ing a mobile phone, has greatly enhanced its function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kind of microcomputer instead of simply supporting voice calls between users. With the advent of new concep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ce), Tablet Computers, and Netbooks, users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anytime, anywhere to send and receive e-mails or move You can enjoy multimedia contents while playing.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 100)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 Among them, a smart phone (Smart Phone, 1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mobile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y integrating into a small device, its convenience and utilization are further increasing.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특징으로 꼽힌다.The biggest feature of smart phones is that they can install, add, or delete hundre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 programs) as desired, unlike conventional mobile phones that were released as finished products and used only given functions. In addition, smartphone users can directly access the Internet using wireless Internet, access Internet contents in various ways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and even create applications they want. In addition, the fact that applications can be shared between smartphones with the same operating system (OS) is considered an important feature that distinguishes smartphones from general mobile phones.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하여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In fact, recent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a wider touchscreen display interface than conventional mobile phones in the past, which improves user convenience, and uses a so-called docking station interface to charge and personal use at the same time. It can send and receive data stored on a computer, and even has a 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that can manage thousands of addresses. Furthermore, smart phones are now conveniently applied to real life regardless of fields of use such as mobile Internet banking, mobile credit card, mobile social networking, and mobile shopping. To this end, banks, securities companies, credit card companies, social commerce companies, and Shopping mall companies develop their own smartphone applications suitable for the smartphone operating system and distribute them to users for a fee or free of charge.

이처럼 컴퓨터에 버금가는 강력한 성능과 네트워크 기능에 의한 이동성까지 겸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장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통신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중심으로 한다. With the adv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combine powerful performance comparable to computers and mobility by network function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smart phone.

참고로, 애플리케이션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상에서 동작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 또는 타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특정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도록 제작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웹에 접속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단말기 운영체제에 의존하여 단말기에 따라 제작되는 네이티브(native)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시스템 데이터 등이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예컨대, C언어 또는 자바(JAVA))로 기록, 저장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각종 프로그램 기능(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화면 전환)을 가진 데이터로서, 풀 모드(full mode) 데이터라고도 한다. 시스템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관리 정보, 스타트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말하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속성 및 동작 정보이다. 그 밖의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For reference, an application is a kind of software that operates on an operating system (OS), and refers to a program designed to directly perform a specific function for a user or another application program. In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may be a mobile application designed to be applied to a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application is a browser-based application that accesses the web,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native application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or a hybrid application combining them.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 data, system data, etc. are recorded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programming language (eg, C language or JAVA). Application data is data having various program functions implemented to enable interaction with a user (eg, screen switching by recognizing a user's touch through a display screen), and is also referred to as full mode data. System data refers to data including appl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tartup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is attribute and operation information for reproducing application data.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other additional functions may be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서의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촬영, 스캔, 수집을 통해 1차 태그가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스캔부(108), 상기 촬영/스캔부가 획득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1차 태그를 검출하는 검출부(106), 사용자가 상기 1차 태그에 대해 사전 정의를 하거나, 상기 스캔된 1차 태그가 상기 검출부(106)에서 검출된 내용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104)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촬영/스캔된 데이터는 출력부(112)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부(112)는 스마트폰 화면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출력부(112)를 터치하여 일련의 작업,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와 서버(200)은 통신부(116, 214)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질 수 있다.The terminal 100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offlin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 A photographing/scanning unit 108 that acquires data such as images and video texts including primary tags through photographing, scanning, and collection online and offline; and the primary data included in the data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The detection unit 106 that detects the tag, the user defines the primary tag in advance, or the scanned primary tag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ten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0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04 to. The photographed/scanned data may be confirmed by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112 and additional operations may be performed. The output unit 112 of the user terminal may be a smartphone screen, and in this case, a series of operations and commands may be performed by touching the output unit 112. Th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s 116 and 214 .

사용자는 상기 촬영/스캔부(108)를 통해 상기 1차 태그가 포함된 상기 데이터들을 바로 획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해 상기 1차 태그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를 촬영/스캔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1차 태그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에 1차 태그를 적용시키는 과정은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상기 1차 태그를 먼저 제작/취득 한 후 데이터에 적용하거나 또는 선 취득한 데이터에 상기 1차 태그를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제작/취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The user may directly acquire the data including the primary tag through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108, bu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hotographing/scanning the data without the primary tag A primary tag may be applied through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imary tag to the data by the user is to first produce/acquire the primary tag through online/offline and then apply it to the data, or to create/obtain the primary tag to the pre-acquired data online/offline. can be obtained and applied.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에 구성된 1차 태그 메모리부와 데이터 메모리부는 제어부(104,204) 내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제어부와는 별도로 존재하지만 제어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촬영/스캔부, 상기 검출부, 상기 제어부와 상호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imary tag memory unit and the data memory unit configured in the storage unit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control unit 104 or 204 or may exist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but are composed of module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t may als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th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서버(200)와 단말기(100)를 구분 짓는 하드웨어적 경계가 약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서버(200)라 함은, 뛰어난 퍼포먼스를 갖는 하드웨어가 기본인데, 요즘의 단말기(100), 심지어 휴대용 단말기인 스마트폰(100)도 매우 뛰어난 퍼포먼스를 갖는 하드웨어를 기본으로 장착하고 있기에 서버(200)와 단말기(100)를 구분 짓는 것은 더 이상 하드웨어적 경계가 아닌,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느냐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적인 면에서 도 2와 도 3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이와 같은 이유다. 도 1에서는 다수의 단말기(100)와 하나의 서버(200)가 연결된 것처럼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하였지만 사실상 어떤 단말기(100)는 다른 단말기(100)들에 대해서 서버(200)와 같은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ntly, the hardware boundary separating the server 200 and the terminal 100 is weakening. In the past, in general, the server 200 was basically hardware with excellent performance, but these days, the terminal 100, even the portable terminal, the smartphone 100, is basically equipped with hardware with very excellent performance. It is prefer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server 200 and the terminal 100 based on what role they play, rather than a hardware boundary.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GS. 2 and 3 in terms of configuration. Although FIG. 1 shows a simplified schematic diagram as if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and one server 200 are connected, in fact, some terminals 100 may play the same role as the server 200 for other terminals 100.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는 영상의 이진화, 가이드라인 생성 및 노이즈 제거, 색상변환, 크기, 선분의 두께 변화, 차동분석 또는 스칼라 모델의 장점을 이용 1차 태그의 영역을 검출, 직선 검출, 하프 변환, 특징점 검출, 회전, 확대, 축소 등의 다양한 역할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area of the primary tag using the advantages of binarization of the image, creation of guidelines and removal of noise, color conversion, size, line thickness change, differential analysis or scalar model, straight line detection, half conversion, feature point detection, rotation , It plays a major role in implementing the system shown in FIG. 5 in more detail with various roles such as expansion and contra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주지 관용의 기술 중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 문자 인식) 을 위한 범용 최적화 프레임 워크(Global Optimization FrameWork)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입력된 문서들의 저해상 OCR을 위한 범용 최적화 프레임워크(global optimization framework)인 시스템(242)이 도시된다. 시스템(242)은 적어도 컨볼루션 신경망(234), 동적 프로그래밍 컴포넌트(246) 및 언어 모델(248)을 동시에 결합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5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that is a Global Optimization Framework for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mong well-known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system 242 is shown which is a global optimization framework for low-resolution OCR of camera-input doc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242 solves a problem in the prior art by simultaneously combining at leas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234, dynamic programming component 246, and language model 248. however

므로, 시스템(100)에 의해 캡처되고 프로세스되는 문서(108)에 대해, 인식율은 매우 높아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출력물로써 디지탈 데이터(250)의 결과를 가져온다.Therefore, for a document 108 captured and processed by system 100, the recognition rate is very high resulting in digital data 250 as an output suitable for the user.

컨볼루션 신경망(234)은 인접 위치의 계산에서 한 위치의 부분 결과들을 재사용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분류화 함수를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것은 신경망이 그레이 레벨 입력을 프로세스할 수 있으므로 추가로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대량 데이타로 훈련된 기계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견고한(robust) 시스템이 제공된다. 컨볼루션 신경망(234)은 복수의 위치에서 분류화 함수를 효과적으로 계산하고, 대량의 훈련 데이타로 잘 확장될 수 있고, HMM(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과 결합하기에 쉬운 확률들을 출력하므로 채용되고, 그것은 이진화를 불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234 may effectively calculate a classification function at a plurality of locations by reusing partial results of one location in the calculation of adjacent locations. This can be further facilitated as the neural network can process gray level inputs. A robust system is provided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trained with large amounts of data.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234 is employed because it effectively calculates the classification function at multiple locations, can be extended well to a large amount of training data, and outputs probabilities that are easy to combine with the HMM (Hidden Markov Model) algorithm, and it fire binary

필요하게 하는 그레이 레벨 입력을 받는다. 다른 조명 조건, 폰트, 크기, 카메라, 각도, 촛점 등에서 데이타를수집하여,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이들 요소들에 불변하는 분류기를 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It accepts the required gray level input. By collecting data from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fonts, sizes, cameras, angles, focus, etc.,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ork to construct classifiers that are invariant to these factors.

동적 프로그래밍 컴포넌트(246)는 단어 인식의 최적화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어 인식기는 동적 프로그래밍 컴포넌트(246)를 사용하여 레이아웃 분석(layout analysis)에 의해 반환된 주어진 단어 바운딩 박스에 어떤 단어가 위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동적 프로그래밍은 원래 문제의 서브문제들에 대한 일련의 최적 해법들을 구성하여 문제에 대한 최적 해법을 찾는다. 이것은 범용 최적 해법을 결정할 때 최적의 서브문제들을 찾는 계산의 많은 부분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한다.A dynamic programming component 246 is used to address optimization of word recognition. The word recognizer uses dynamic programming component 246 to determine which word is located in a given word bounding box returned by layout analysis. Dynamic programming finds an optimal solution to a problem by constructing a series of optimal solutions to subproblems of the original problem. This facilitates reuse of much of the computation of finding optimal subproblems when determining a universal optimal solution.

언어 모델 컴포넌트(248)는 문자 및 단어 인식을 용이하게 한다. A language model component 248 facilitates character and word recognition.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1차 태그를 설정하는 주된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S100)하거나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특정 URL(ex, http://picript.com)로 서버에 접속(S100)하여 1차 태그를 설정(S102)하는 과정을 거치고, 상기 설정 과정에서 설정하려는 상기 1차 태그가 기 등록된 사항이면(S104-Y) 상기 1차 태그를 수정(S106-Y)하거나, 상기 1차 태그에 연결되어 설정된 세부항목을 수정(S108)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태그가 기 등록된 사항이 아니라면(S104-N) 상기 1차 태그 설정에 따른 세부 항목을 사전 설정함(S108)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1차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이 종료(S110)된다.6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setting a user's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xecute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00) or connects to the server with a specific URL (ex, http://picript.com) to receiv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00) and sets the primary tag (S102). ), and if the primary tag to be set in the setting process is already registered (S104-Y), the primary tag is modified (S106-Y) or detailed items connected to the primary tag are set. can be modified (S108), and if the primary tag is not already registered (S104-N), detailed items according to the primary tag setting are set in advance (S108) to obtain the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process ends (S110).

도 7과 도 8, 도 9, 도 10은 도 6의 동작순서도 중, 1차 태그를 설정하는 하는 단계(S102)의 세부 과정 중 디지털 1차 태그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일치시키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작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는 1차 태그를 디지털 데이터로 작성(134, 140)하고 이후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같은 문자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도시(142)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임시적 촬영/스캔부(138)를 통해 촬영/스캔한다. 이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지관용의 기술인 OCR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140)과 비교하여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으면 승인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 맞는 커스터마이징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작성해야 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종이에 그릴 수도 있지만, 사용자 단말기가 손글씨 등을 지원하는 기기(갤럭시 노트 시리즈 및 펜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세세하게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단말기)라면 단말기 상에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릴 수 있도록 하여 위 과정을 유사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7, 8, 9, and 10 are a customizing process for matching the digital primary tag with the analog primary tag in the detailed process of setting the primary tag (S102) in the operation sequence diagram of FIG. 6 is a drawing showing According to the servic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writes the first tag as digital data (134, 140) and then shows the analog first tag composed of the same characters as the digital data (142) to be photographed/scanned through the temporary photographing/scanning unit 138 of the user terminal 100. Thereafter, the analog primary tag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using OCR, a well-known technology as shown in FIG. Go through the customizing process. In this process, the user may have to create various analog primary tags as shown in FIG. 11 . In the above process, the analog primary tag can be drawn on paper, but if the user terminal is a device that supports handwriting, etc. The above process can be similarly performed by allowing the car tag to be draw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1차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S200)하거나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특정 URL(ex, http://picript.com)로 서버에 접속(S200)한 뒤, 1차 태그를 촬영/스캔(S202)한다. 상기 촬영/스캔한 데이터에서 1차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면(S204-Y)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1차 태그 DB와 매칭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S204-N)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하는 단계(S202)로 돌아간다. 상기 S206단계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1차 태그가 1차 태그 DB와 매칭 결과 등록된 설정 사항이었다면(S208-Y), 상기 1차 태그에 대해 설정된 바 대로 실행(S210)함으로써 프로세스가 종료(S224)되고, 만약 등록된 설정 사항이 없다면(S208-N) 등록할 것인지 그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고(S212), 사용자가 등록 설정을 하려 한다면(S212-Y)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1차 태그에 대한 설정(S214)을 한뒤 이를 실행하거나(S126-Y, S218), 실행하지 않고(S126-N) 프로세스를 종료(S224)하게 된다. 또한 상기 S212 단계에서 등록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S212-N), 상기 촬영/스캔한 데이터 및 1차 태그를 임시 저장하거나(S220-Y, S222) 혹은 저장하지 않음으로써(S220-N) 프로세스가 종료(S224)된다. 도 6뿐만 아니라 도 12 및 도 13, 도 14에 도시된 동작순서도는 정형화된 하나의 샘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동작 구분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각 단계의 전후가 바뀔 수도 있고, 어떤 단계는 한꺼번에 일률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으며, 어떤 단계는 사용자에게 고지하지 않고 내부적인 프로세스로 작동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12 is an operation flowchart when a user uses his or her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xecute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200) or connects to the server with a specific URL (ex, http://picript.com) to receiv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200), and then photographs the primary tag. / Scan (S202). If the primary tag can be recognized from the captured/scanned data (S204-Y), a process of converting to digital data/matching with the primary tag DB is performed, otherwise (S204-N) the primary tag is captured/scanned. It returns to step S202. If the primary tag converted to digital in the step S206 is a set item registered as a result of matching with the primary tag DB (S208-Y), the process ends by executing as set for the primary tag (S210) (S224) and, if there are no registered settings (S208-N), the user is asked whether or not to register (S212), and if the user wants to set the registration (S212-Y), the settings for the primary tag in the manager mode (S212-Y) After S214), the process is either executed (S126-Y, S218) or not executed (S126-N), and the process ends (S224). In addition, if the registration setting is not made in step S212 (S212-N), the captured/scanned data and the primary tag are temporarily stored (S220-Y, S222) or not stored (S220-N),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 It ends (S224). Although the operation flowcharts shown in FIGS. 12, 13, and 14 as well as FIG. 6 have been described by dividing each step and assigning an operation delimiter to explain a standardized one-sample operation, the actu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t is obvious that the front and back of the steps may be changed, some steps may be processed uniformly at once, and some steps may operate as an internal process without notifying the u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원활한 설명을 위해, 상기 사용자 본인을 사용자A로 칭하고 상기 사용자A의 입장에서 상기 사용자 본인이 아닌 타인은 사용자B, C, D… 등으로 칭하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사용자 한명이 혼자 사용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들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인의 1차 태그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3자의 1차 태그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특정한 약속없이 사용자, 다른 사용자, 또 다른 사용자, 타인, 제3자 등으로 언급할 경우 혼란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사용자, 다른 사용자, 또 다른 사용자, 타인, 제3자 등으로 언급하는 것이 더욱 설명하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울 경우 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 사용자A, 다른 사용자B, 또 다른 사용자C 등으로 명시할 수도 있다.Hereinafter, for smooth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imself is referred to as user A, and from the user A's point of view, other people other than the user himself are users B, C, D... to be called, etc. This is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ervice used by one user alone, but a servic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or network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user's primary tag can also be used, and if it is referred to as a user, another user, another user, another person, a third party, etc. without a specific promise, confusion may arise. Of course, in some cases, if it is more explanatory and easier to understand to refer to a user, another user, another user, another person, a third party, etc., it may be used as it is, and sometimes user A, another user B, another user C, etc. can also be specified.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타인의 1차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A가 타인(예를들어 사용자B)의 1차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2와 도 14의 동작 과정은 매우 비슷하다. 도 13은 도 12와 도 14의 동작과정에서 일부가 제한(관리자 기능 없음)된 상태의 프로세스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이 실제적으로 매우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와 도 14의 동작과정 중 다른 부분은 S212, S214 단계와 S412, S424단계이다. S212, S214 단계에서 사용자A는 본인의 1차 태그에 대해 관리자 모드에서 설정하게 되지만, S412, S414 단계에서는 사용자A의 1차 태그가 아닌, 사용자B의 1차 태그를 설정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B가 상기 1차 태그에 대한 기 설정중 본인외 다른 사용자의 등록설정을 허가한 상태여야만 S412, S41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B가 제3자가 사용자B의 1차 태그에 대한 등록/수정 허가는 하지 않고 다만 1차 태그 복사에 대해 허여한 상태라면, 상기 사용자A는 상기 사용자B의 설정을 수정하지 않고 상기 1차 태그를 사용자A 자신의 1차 태그로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인의 관리자 설정 모드에서 수정/삭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312, S314 단계, S420, S422 단계는 사용자A의 단말기 또는 사용자A가 로그인 된 상태의 서버에서 사용자A의 저장소에 저장된다.13 is an operation flowchart when a user uses another person's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FIG. 14 is an operation flowchart when user A uses a primary tag of another person (eg, user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rocess of FIG. 12 and FIG. 14 is very similar. 13 can be seen as a process in which a part of the operation process of FIGS. 12 and 14 is restricted (no manager function), which mean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ally used for a very general purpose. Other parts of the operation process of FIGS. 12 and 14 are steps S212 and S214 and steps S412 and S424. In steps S212 and S214, user A sets his/her primary tag in the manager mode, but in steps S412 and S414, user B's primary tag is set, not user A's primary tag. Steps S412 and S414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registration setting of a user other than the user is permitted during the preset setting of the primary tag. Also,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user B is in a state where a third party does not permit registration/modification of the user B's primary tag, but only permits the primary tag copy, the user A sets the user B's settings. Without modification, the primary tag can be copied and used as user A's own primary tag, which can be modified/deleted in the user A's manager setting mode. Steps S312, S314, S420, and S422 are stored in the storage of user A in the terminal of user A or the server in which user A is logged i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기(PC)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스마픈폰)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in a browser of a user terminal (PC) when access is made through a user terminal registered to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 and 17 are a view showing a user terminal (sma It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in a browser of a mobile phone).

도 15는 사용자 단말기 중 PC의 브라우저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면인데, 일반적으로 브라우저에는 서비스의 URL주소(26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특수문자 외 본인만의 특수한 설정(260)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소정의 금액을 지불(266)함으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1차 태그는 사용자수 / 사용량 / 최근사용빈도수 / 링크수 등의 키워드(288)로 정렬되어질 수 있으며, 1차 태그를 구성하는 기본 특수 문자들은 서비스 제공자가 그 용도를 통일하여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간 혼란을 줄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특수문자 #(268)은 범용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1차 태그, 특수문자 @(272)는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기 위한 1차 태그, 특수문자 *(280)은 특별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1차 태그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도 있고, 특수문자 $(284)는 결제 수단이 구비된 1차 태그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1차 태그들은 온라인에서 뿐만아니라 오프라인, 즉 종이와 같은 시트에 연필, 볼펜과 같은 필기구로 작성한 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실행가능한 단말기로 촬영/스캔하면 즉각적으로 기 설정된 바대로 실행할 수 있다는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15 is a screen for using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browser of a PC among user terminals. In general, the URL address 260 of the service may be displayed on the browser. The user can set his/her own special setting 260 other than the basically given special characters, which can be used by paying a predetermined amount 266 . The primary tags of users can be sorted by keywords (288) such as the number of users / usage / frequency of recent use / number of links. It can also reduce liver confusion. For example, the special character # (268) is the primary tag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the special character @ (272) is the primary tag for designating a specific user, and the special character * (280) is the primary tag that can use special functions. The primary tag may be linked with other applications, and the special character $ (284) may be the primary tag equipped with a payment method. In addition, the primary ta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corded online as well as offline, that is, written on a sheet of paper with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pencil or ballpoint pen, and then photographed/scanned with a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very convenient advantage of being able to run as is.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태그는 기본적으로 [특수 문자 + 모든 문자] 등 조합 형태로 정의되어질 수 있다. 또한 NORMAL MODE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1차 태그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PAID MODE 를 통해사용자는 NORMAL MODE에서 주어진 몇개의 특수문자 및 사용자가 정의한 특수 문자를 사용하여 다양한 1차 태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각 특수문자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1차 태그의 수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As shown in FIG. 15, the primary tag can be basically defined in a combination form such as [special character + all characters]. In addition, in NORMAL MODE, basic primary tag commands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nd through PAID MODE, the user can create various primary tags using some special characters given in NORMAL MODE and special characters defined by the use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number of primary tags that can be created using each special character may be limited.

특수문자와 숫자, 영문자 등의 복수개 조합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과정을 한번에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onsory #namecard #TNG 의 경우 "sonsory"라는 사용자를 가리키는 1차 태그와 앞서 지정된 사용자 "sonsory"의 "namecard" 1차 태그, 그리고 마찬가지로 앞서 지정된 사용자 "sonsory"의 TNG 라는 1차 태그를 사용하라는 명령(command)처럼 사용할 수 있다.Through the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pecial characters, numbers, English letters, etc., the user can process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processes at once. For example, @sonsory #namecard #TNG has a primary tag pointing to the user "sonsory" and a primary tag "namecard" for the previously specified user "sonsory", and a primary tag named TNG for the previously specified user "sonsory". It can be used like a command to use.

사용자 sonsory의 설정에 따라(이하에서는 사용자 sonsory의 설정을 사용하는 제3자를 user라고 칭하겠다), 제3자 사용자 user가 상기처럼 사용자 sonsory의 1차 태그 조합을 사용할 때, namecard 라는 1차 태그는 사용자 sonsory의 namecard 폴더(1차 태그 자체가 폴더의 개념처럼 쓰일 수도 있다. 또는 1차 태그 namecard 내 지정된 특정 폴더가 될 수도 있다)에 특정 명함을 상기 1차 태그와 함께 촬영/스캔함으로써 업로딩할 수도 있다. 또한 동시에 또다른 1차태그 "TNG"에 의해 또다른 명령이 실행되어 질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user의 단말기에 내장된 기존에 촬영/스캔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1차 태그들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촬영/스캔시 인식된 1차태그들은 램 또는 데이터베이스, 저장소에 저장되고 이미지에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user sonsory (hereinafter, the third party using the settings of the user sonsory will be referred to as user), when the third party user user uses the primary tag combination of the user sonsory as above, the primary tag named namecard Uploading a specific business card to the namecard folder of user sonsory (the primary tag itself can be used as a concept of a folder, or it can be a specific folder specified in the primary tag namecard) by photographing/scanning a specific business card along with the primary tag there is. Also, another command may be executed by another primary tag "TNG"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primary tags in the user terminal for an image previously photographed/scanned built into the user's terminal. In addition, the primary tags recognized during photographing/scanning are stored in RAM, database, or storage, and may be omitted from the image.

또한 사용자 sonsory가 namecard를 특정 명함앱이 실행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1차 태그 조합을 사용하는 제3의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명함앱이 깔려있으면 명함앱이 실행되고, 상기 명함앱이 상기 제3자가 촬영한 명함을 사용자 sonsory의 명함 앱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명함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명함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특정 명함앱은 웹앱으로 제공되어 별다른 설치없이 제3의 사용자 누구나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앱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 과정은 위와 같다. 이와 동시에 또다른 1차 태그 #TNG의 명령도 실행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onsory sets the name card to run a specific business card app, if the third user using the primary tag combination has the specific business card app installed, the business card app is executed, and the business card app is photographed by the third party. You can also have a business card saved to the user sonsory's business card app. In addition, if the specific business card app is not installed, it may be induced to install the business card app, or the specific business card app may be provided as a web app and can be used by any third-party user without any special installation. In this case, the usage process is the same as above. At the same time, the command of another primary tag #TNG is also executed.

namecard 가 사용자 user의 태그라면 #namecard @sonsory 처럼 사용함으로써, 1차 태그의 조합이 같은 태그들로 구성되어 있다할지라도순서에 따라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namecard @sonsory 처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였으나 사용자의 실수로 @sonsory #namecard 로 썼을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올바른 사용예를 안내해주는 알람창이 뜨는 것이 바람직하다.If namecard is a user's tag, by using it like #namecard @sonsory, different functions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order even if the combination of primary tags is composed of the same tags. If the intention is to use #namecard @sonsory, but the user mistakenly writes @sonsory #namecard, it is desirable to display an alarm window on the user's terminal that guides the correct use case.

예들들어 #namecard @sonsory 와 같은 1차 태그 조합은 사용자 user가 자신의 namecard 1차 태그를 사용하여 특정 명령을 수행한 뒤 특정 데이터를 @sonsory 에게 보내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 user의 namecard는 특정 명함앱을 실행하여 자신의 명함을 vcf(주소록 파일), cvs, img 파일형태로 전달하는 명령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 sonsory 에게 사용자 user의 명함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명함을 촬영하여 보내는 형태의 명령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user가 상기 1차 태그 namecard 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a primary tag combination such as #namecard @sonsory may send specific data to @sonsory after the user executes a specific command using his or her namecard primary tag. In other words, the user's namecard can be a command that executes a specific business card app and delivers his or her business card in the form of a vcf (address book file), cvs, or img file. It may be a command in the form of taking a picture and sending it. This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user sets the primary tag namecard.

또한 복수의 1차태그를 작성한 순서에 따라 명령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들어 #namecard @sonsory 와 @sonsory #namecard 는 다른 명령처럼 해석되어질 수 있다. 사용자 본인(편의상 user로 표현한다)의 1차태그를 사용할 때 1차 태그 @user는 생략될 수 있다. 즉 #namecard @sonsory는 원래 @user #namecard @sonsory 에서 1차 태그 중 @user가 생략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sonsory #namecard 도 @user가 생략된 형태로 볼 수 있고, 상기 두 명령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user #namecard @sonsory 는 "user" 의 1차 태그 "namecard"를 사용해 다른 사용자 "sonsory"에게 명령을 행하라는 의미이고 @user @sonsory #namecard는 "user"가 다른 사용자인 "sonsory"의 1차 태그 "namecard" 명령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Also, command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a plurality of primary tags are created. For example, #namecard @sonsory and @sonsory #namecard can be interpreted like other commands. When using the primary tag of the user himself (expressed as user for convenience), the primary tag @user can be omitted. That is, #namecard @sonsory can be seen in the original @user #namecard @sonsory with @user among the primary tags omitted. Likewise, @sonsory #namecard can also be seen in the form where @user is omitted, and the above two command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user #namecard @sonsory means to issue a command to another user "sonsory" using the primary tag "namecard" of "user", and @user @sonsory #namecard means that "user" is the 1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o use the car tag "namecard" command.

또한 다른 측면에서 상기의 명령 @sonsory #namecard #TNG 이 업로드/포스팅 일 경우 “촬영/스캔한 데이터(1차 태그의 조합을 보면 명함일 가능성이 높다)를 사용자 sonsory의 namecard라는 1차 태그와 TNG 라는 1차 태그가 지정한 가상의 웹공간에 업로드/포스팅”하는 행위라고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이 다운로드/뷰잉일 경우 “사용자 sonsory의 namecard라는 1차 태그와 TNG 라는 1차 태그에서 지정한 가상의 웹공간에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뷰잉” 하는 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 & ’, ‘ ( ‘, ‘ ) ’, ‘ * ’, ‘ + ‘, ‘ / ‘, ‘ - ‘ 등 의 특수문자를 연산자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첫번째 #태그를 1차 태그, 두번째 #태그를 2차 태그로 인식하도록 설정하여 1차 태그에 속한 파일/데이터가 다수일 경우, 2차 태그를 통해 그 중 하나 혹은 일부만을 출력(다운로드/뷰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특수문자 ‘&’를 AND 연산자로 활용한 경우 @sonsory #namecard & #TNG 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상기 1차 태그 조합이 업로드/포스팅일 경우 “촬영/스캔한 데이터(1차 태그의 조합을 보면 명함일 가능성이 높다)를 사용자 sonsory의 namecard라는 1차 태그와 TNG 라는 1차 태그가 중복 지정하는 가상의 웹공간에 업로드/포스팅”하는 행위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유동적인 환경을 지향하는 단말기/서버에서 더욱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namecard와 TNG라는 1차 태그가 중복되어 지정된 가상의 공간이, 상기의 명령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하더라도 상기 1차 태그의 조합이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되어 단말기/서버에서 상기 1차 태그의 조합이 실행되면 상기의 조합으로 가상의 공간을 새로이 만들어, 상기 1차 태그 조합에 해당하는 파일/데이터의 주소 또는 링크를 상기 가상의 공간에 저장하고 추후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에 이를 제공하여 주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주소 또는 링크가 아닌 상기의 파일/데이터를 받게 된다. 또는 namecard와 TNG라는 태그 각각에 상기의 파일/데이터를 저장하면서 두 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파일/데이터로 저장할 수도 있으며, 상기 파일/데이터를 먼저 지정된 1차 태그 namecard에만 저장하고 이에 대한 파일/데이터의 주소 또는 링크를 TNG 1차 태그의 가상공간에 저장할 수도 있다. 위 처럼 유동성 있는 파일/데이터 I/O는 최근 개발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언어인 javascript, node.js, mongoDB 등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lso, on the other hand, if the above command @sonsory #namecard #TNG is uploading/posting, “taken/scanned data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a business card if you look at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 is sent to the primary tag called the namecard of the user sonsory and the TNG It can be understood as an act of uploading/posting to a virtual web space designated by the primary tag of “,” and if the above command is download/viewing, “virtual web space designated by the primary tag of user sonsory’s namecard and the primary tag of TNG. It can be understood as the act of “downloading/viewing data in”. Also, although not shown, special characters such as ' & ', ' ( ', ' ) ', ' * ', ' + ', ' / ', ' - ' may be used as operators, and the first # tag is the primary tag, the second #tag is set to be recognized as a secondary tag, and if there are multiple files/data belonging to the primary tag, one or a part of them can be output (downloaded/viewed) through the secondary tag. . Also, if the special character '&' is used as an AND operator, @sonsory #namecard &#TNG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f the primary tag combination is upload/posting, the primary tag called namecard of the user sonsory and the primary tag TNG designate the photographed/scanned data (which is highly likely to be a business card when looking at the combination of primary tags) It can be understood as an act of “uploading/posting to a virtual web space.” This can be done more freely in a terminal/server that aims for a very flexible environment. Even if a virtual space designated by overlapping a namecard and a primary tag called TNG does not exist before the above command,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s is a terminal When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 is executed in the terminal/server through the photographing/scanning process, a new virtual space is created with the above combination, and the address or link of the file/data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tag combination is transferred to the virtual space. It is stored in and provided to the user when requested later. At this time, the user receives the above file/data, not an address or link. Alternatively, the file/data may be stored as a file/data existing between the two tags while storing the file/data in each of the namecard and TNG tags, and the file/data may be stored only in the first designated primary tag namecard and Addresses or links can be stored in the virtual space of the TNG primary tag. As above, flexible file/data I/O can be more useful in systems composed of javascript, node.js, mongoDB, etc., which are languages that have recently become very popular among developers.

또한 상기 1차 태그 @sonsory #namecard & #TNG 의 조합이 다운로드/뷰잉일 경우 ”사용자 sonsory의 파일/데이터 중 1차 태그 namecard와 1차 태그 TNG가 중복 적용된 파일/데이터를 다운로딩/뷰잉”하는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유동적인 환경을 지향하는 단말기/서버에서 더욱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namecard와 TNG라는 1차 태그가 중복되어 지정된 가상의 공간이, 상기의 명령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하더라도 상기 1차 태그의 조합이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되어 단말기/서버에서 상기 1차 태그의 조합이 실행되면 상기 1차 태그 조합에 해당하는 파일/데이터 혹은 그에 준하는 주소/링크를 상기 가상의 공간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주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 @sonsory #namecard &#TNG is downloading/viewing, “downloading/viewing files/data to which the primary tag namecard and primary tag TNG are overlapped among files/data of user sonsory” action can be understood. This can be done more freely in a terminal/server that aims for a very flexible environment. Even if a virtual space designated by overlapping a namecard and a primary tag called TNG does not exist before the above command,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s is a terminal When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 is executed in the terminal/server by being photographed/scanned through, the file/data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tag combination or an address/link corresponding thereto is stored in the virtual space and provided to the user. do.

상기에서 사용자가 업로드/포스팅, 다운로드/뷰잉하는 행위는 시스템을 특정 명령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실제적으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이용할때는 사용자의 업로드/포스팅 행위와 다운로드/뷰잉 행위가 이를 구분할 수 있는 차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행위로 인해 유발되는 촬영/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도31 ~ 도 56을 통해 이를 설명함).In the above, the actions of uploading/posting and downloading/viewing by the user may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system through a specific command menu. It provides a difference to tell them a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determining this based on photographing/scan data caused by a user's ac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to 5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문자의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후술하겠지만, 사용자의 설정에따라 특수 문자가 아닌, 문자를 둘러싸거나 특정 문자의 근처에 그려진 이미지등의 조합으로 상기의 조합 형태를 추가할 수도 있다(도 7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distinguish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in the case of English letters, but this may not be the case. Of course, it will be described later, but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s, the above combination form may be added as a combination of an image surrounding a character or drawn near a specific character, rather than a special character (FIG. 76).

도 15, 도 16, 도 17의 설정 버튼(270, 274, 278, 282, 286)을 통해 상기 1차 태그들에 대해 설정을 할 수 있는데 그 과정이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도 25, 도 26을 통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서는 1차 태그 및 2차 태그가 tag1, tag2, …, user1, user2, …, func1, func2 …, tagA, tagB, … 등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사용하고 있는 태그들이 기입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The primary tags can be set through the setting buttons 270, 274, 278, 282, and 286 in FIGS. 15, 16, and 17. The process is shown in FIGS. 18, 19, 20, and 21 22, 23, 24, 25, and 26 are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the first tag and the second tag are tag1, tag2, . . . , user1, user2, ... , func1, func2... , tagA, tagB, … etc.,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tags actually used are writte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새로운 1차 태그를 설정할 때, 디지털 1차 태그를 정의(502)하고,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정의(504)할 수 있다. 이 순서는 사용자가 어떤 단말기를 사용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순서일뿐, 본 발명의 시스템, 및 구성의 주요 성분은 아니다. 상기 아날로그 1차 태그는 마우스나 스타일러스 펜으로 1차 태그를 작성하고 등록버튼(506)을 눌러 등록 시킬 수 있고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이 있을 경우 등록버튼(506)을 누르면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As shown in FIG. 18, when setting a new primary tag, a user may define a digital primary tag (502) and an analog primary tag (504). This order is only an order that can vary depending on which terminal the user has used and the user's tendency to use, and is not a major component of the system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og primary tag can be registered by writing the primary tag with a mouse or stylus pen and pressing the registration button 506, or if there is a smartphone connected to the user account, pressing the registration button 506 automatically registers the smartphone the camera of

작동되어 사용자가 종이에 손으로 쓴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하면 자동으로 서버에 업로드되어 상기 촬영/스캔 데이터를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1차 태그의 설정에는 기능, 태그, 공유, 링크, 1차 태그 공유 등의 단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 중, 예를들어 상기 1차 태그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때 기본 설정대로 업로드 할 수 있지만 일부 수정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1차 태그를 공유를 하지 않도록 해 놓았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업로드할 때 마다 설정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데이터에 대해 업로드 할 때 1차 태그 공유설정을 해 놓았다면 제3자가 해당 1차 태그로 접속시 상기 사용자가 1차 태그(516, 도 18에서는 “피크립트 공유”라고 표현되어 있어 있다) 공유로 설정해 놓은 데이터에 한해서 목록이 보여지고 다운로드/뷰잉할 수 있다. 1차 태그를 설정할 때 보안 수단으로써 단말기에서 1차 태그를 촬영/스캔시 위치정보를 반드시 첨부하도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공간에서만 사용가능한 혹은 사용가능하지 못한 1차 태그를 만들 수 있다. 보안수단으로써 상기 위치정보에는 GPS정보 외 비콘 정보, 와이파이정보, 블루투스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추상기 보안 수단은 1차 태그중 특수문자 $를 사용하는 금융/결제 관련 1차 태그에서 추가적인 보조 보안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수문자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물의 유효기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2016.12.31” 이라고 쓴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적어둔 어떤 메모, 이미지, 혹은 사진을 촬영/스캔한 뒤 데이터를 업로드 할 경우 상기 데이터는 2016. 12. 31에 유효기간이 종료되어 사용자만 볼 수 있는 데이터로 바뀐다거나, 아니면 완전히 삭제(잊혀질 권리를 위한 설정이 될 수도 있다)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가 온라인으로 공유된 상태라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공유는 상기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에서 데이터가 링크되어(기본적으로 복사가 아닌 링크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만약 복사로 진행될 경우 상기 유효기간도 전달될 수 있는 환경이 구성된 시스템에만 제한적으로 복사 공유를 허용할 수도 있다) 제공되기 때문에 어떤 시스템(예를들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인스타그램 같은 SNS 등)에 공유가 되더라도 상기 유효기간은 언제나 유효하도록 할 수 있다,It is activated to allow the user to photograph/scan the primary tag handwritten on paper. When a user captures/scans the primary tag, it is automatically uploaded to a server to register the capture/scan data. In setting the primary tag, clues such as function, tag, sharing, link, and primary tag sharing may be set. In addition, when a user uploads data to the primary tag during use, for example, it can be uploaded as basic settings, but it can also be partially modified and uploaded. Even if the primary tag is not shared by default, the setting can be changed each time the user uploads, so if the primary tag sharing setting is set when uploading some data, a third party can use the corresponding primary tag Upon access, a list is displayed and download/viewing is possible only for the data set by the user to share the primary tag (516, in FIG. When setting the primary tag, as a security measure, location information must be attached to the primary tag when photographing/scanning the primary tag in the terminal, so that the primary tag can be used only in a region/space desired by the user or not available. As a security measu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beacon information, Wi-Fi information, and Bluetooth in addition to GPS information. The abstraction security means may be used as an additional auxiliary security means in the primary tag related to finance/payment using the special character $ among the primary tags. You can also use special characters such as % to set the expiration date of the uploaded post by the user. For example, if a user uploads data after taking/scanning a memo, image, or photo with the analog primary tag written “%2016.12.31” written on it, the data will expire on December 31, 2016. It can be set to be terminated and changed to data that only the user can see, or to be completely deleted (it can be set for the right to be forgotten). Even if the data is shared online, sharing is basically linked to the data on the page where the data is uploaded (basically, the data is shared by a link rather than a copy. Copy sharing may be allowed limitedly only to systems where the environment is configured), so even if it is shared on any system (eg Facebook, Twitter, SNS such as Instagram), the above validity period can always be valid. can,

도 19는 도 18에서 아날로그 1차 태그가 업로딩 된 도면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온라인으로 1차 태그를 사용하든, 아날로그로 1차 태그를 사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태그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를 편리하게 통합, 관리, 공유, 인증할 수단의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도 20은 사용자가 세부적인 설정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 상기 1차 태그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편집하는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특정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하여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고자 한다면 특정 키워드로 1차 태그를 만들고 이를 단말기/서버를 통해 사전 설정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사전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특정 1차 태그를 먼저 촬영/스캔한 뒤 단말기/서버를 통해 사후 설정을 하여 전화걸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첫 과정은 다소 번거러울 수 있지만 만약 자주 통화하게 되는 전화번호라면 매우 편리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FIG. 19 is a diagram in which analog primary tags are uploaded in FIG. 18 . This provides a basis for a means for conveniently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offline data with the same tag,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uses the primary tag online or analo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a user to select detailed settings, and FIG. 2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diting the functions of the primary tag in detail. If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phone number by photographing/scanning a specific primary tag, it is possible by creating a primary tag with a specific keyword and setting it in advance through a terminal/server. In addition, if it is not set in advance, a specific primary tag is photographed/scanned first, and then set later through the terminal/server to use the dialing function. This first process can be a little cumbersome, but it can be very convenient if you have a phone number that you call frequently.

도 22는 2차 태그를 세부적으로 편집하는 예시도, 도 23은 공유 기능을 세부적으로 편집하는 예시도, 도 24는 상기 공유 기능에서 이메일을 설정하는 세부 예시도1, 도 25는 상기 공유 기능에서 이메일을 설정하는 세부 예시도2, 도 26은 1차 태그의 공유 기능 세부적으로 설정하는 예시도이다. 상기에서 도23에 해당하는 공유(512) 기능은 추후 사용자가 1차 태그를 통해 데이터를 업로드 할 때, 자동적으로 업로드하게 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설정하는 기능이고, 도 26을 통한 1차 태그 공유(516, 피크립트 공유)기능은 상기 1차 태그의 관리자인 사용자 A뿐만 아니라 제3자인 사용자B, C, D… 등도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1차 태그가 금융/결제와 관련된 항목이라면 매우 높은 수준의 보안장치(예를 들어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CCV,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등록된 휴대전화 장치 인증, 사용자의 등록된 이메일을 통한 인증 등 주지관용 기술 중 높은 수준의 보안수단을 하나 또는 복수 사용)등을 추가로 인증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과정을 거쳐 공유된 금융/결제관련 1차 태그는 허용된 사용자에 한해서 관리자와 동등하거나 일부 허용(지정된 상품/서비스만 구매하도록 제한)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을 수 있다.22 is an example of editing the secondary tag in detail, FIG. 23 is an example of editing the sharing function in detail, FIG. 24 is a detailed example of setting an e-mail in the sharing function 1, and FIG. 2 and FIG. 26 are exemplary diagrams of detailed settings of the sharing function of the primary tag. The sharing (512) function corresponding to FIG. 23 above is a function of setting an Internet service that is automatically uploaded when a user later uploads data through the primary tag, and the primary tag sharing (516) through FIG. 26 , Piccrypt sharing) function is not only User A, the manager of the primary tag, but also Users B, C, D... It also means setting it to be usable. If the primary tag is an item related to finance/payment, a very high-level security device (e.g., card number, expiration date, CVC/CCV, user password input, user's registered mobile phone device authentication, user registration A step of additionally authenticating one or more high-level security measures among the state-of-the-art technologies such as authentication through a registered e-mail may be added, and the primary tag related to finance/payment shared through the above authentication process is allowed. Limited users may be able to use only functions that are equivalent to administrators or partially permitted (limited to purchasing specified products/services).

상기 과정에서 역으로 아직 설정되지 않은 1차 태그를 촬영/스캔시, 상기 1차 태그와 함께 촬영/스캔된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추천하는 기능이 추가 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촬영/스캔한 데이터가 텍스트라면 상기 텍스트중 반복되는 키워드, 혹은 텍스트에 등장하는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주요 키워드가 이루는 특정 키워드가 주지관용의 기술 들에 의해 추천될 수 있고, 상기 촬영/스캔 데이터가 인물 사진이라면 그에 맞는 1차 태그, 혹은 숫자로 이루어진 수식이라던가, 숫자로 이루어진 전화번호, 혹은 주소라면 해당 데이터의 성격에 맞춰 사전 설정된 1차 태그 중 하나 혹은 복수개를 추천해 줄 수도 있으며, 아직 1차 태그로 설정되지 않은 키워드들중,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특정 키워드를 추천해 줄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capturing/scanning a primary tag that has not yet been set in the above process, a function of recommending an analog primary tag may be add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data photographed/scanned together with the primary tag. For example, if the photographed/scanned data is text, a repetitive keyword in the text, a main keyword appearing in the text, or a specific keyword formed by the main keyword may be recommended by well-known technologies, and the photographing/scanned data may be recommended. / If the scan data is a portrait, it may recommend one or more of the pre-set primary tag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data, if it is a primary tag, a formula consisting of numbers, a phone number consisting of numbers, or an address. , Among the keywords that have not yet been set as the primary tag, specific keywords used by other users can be recommended.

도 27은 1차 태그의 관리자 사용자, 즉 사용자A의 단말기에서 보여지는 상기 1차 태그 관리화면이고, 도 28은 1차 태그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 즉 사용자B, C, D… 등의 단말기에서 보여지는 상기 1차 태그 공유 화면이다. 도 27에서 타입(560)의 FLD는 FOLDER를 의미한다. 업로드하는 데이터는 폴더도 가능하다. PICRIPT를 업로드 할 수도 있다. PICRIPT는 본 발명에 의한 1차 태그를 활용한 시스템의 특정기능들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1차 태그에 데이터 하나만 존재한다면 사용자 혹은 제3자가 위 1차 태그로 다운로드/뷰잉 했을때 도 27, 도 28이 보여지지 않고 바로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뷰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1차 태그에 업로딩할 수 있는 파일 의 수를 1개의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틀이 지정되지 않은 게시물의 타이틀은 2차 태그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 도 28에서 보여지는 화면은 PC에서 부라우저를 통해 웹으로 접속하였을 때의 화면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보는 화면의 구도는 위와 다를지라도 내용은 거의 동일하게 표시된다.27 is the primary tag management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rimary tag manager user, that is, user A, and FIG. 28 is a user who is not the primary tag manager, that is, users B, C, D... This is the primary tag sharing screen displayed on a terminal such as a terminal. In FIG. 27, FLD of type 560 means FOLDER. Uploading data can also be a folder. You can also upload your PICRIPT. PICRIPT means specific functions of the system using the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only one data in the primary tag, when a user or a third party downloads/views with the primary tag, it is preferable to directly download or view the file without showing FIGS. 27 and 28. To this end, the user may set the number of files that can be uploaded to the primary tag in units of on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replace the title of a post where the title is not specified with a secondary tag. The screens shown in FIGS. 27 and 28 are screens when accessing the web through a browser on a PC, and although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viewed a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s different from the above, the content is displayed almost the same.

또한 제3자의 단말기를 통해 비공개 1차 태그로 접속하여도 비밀번호 해제를 통해 해당 1차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즉 인증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공개된 데이터외 다른 데이터에도 접근할 수 있게 설정할 수도 있다. 1차 태그는 각각 서로 다른 비밀번호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 1차 태그 별로 보안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업 내에서 또는 친구, 가족들과 큰 부담없이 데이터 공유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안 수단은 비밀번호 외에 PIN번호 또는 패턴 입력 등의 추가 보안 수단을 하나, 또는 복수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ccess is made to the non-private primary tag through a terminal of a third party, the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primary tag can be checked through password release. That is, it can be set so that an unauthorized terminal can access data other than public data. Each primary tag can be set with a different password, and since security can be set for each primary tag, it is possible to share data within the company or with friends and family without much burden. The security means may use one or a plurality of additional security means such as a PIN number or pattern input in addition to the password.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1차 태그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1차 태그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1차 태그와 파일/데이터는 1:n 관계 일수도 있고 n:1 관계 일 수도 있으며 n:n 관계일 수도 있다. 태그와 1차 태그는 1:n 관계 일수도 있고 n:1 관계 일 수도 있으며 n:n 관계일 수도 있다. 파일/데이터와 태그는 1:n 관계 일수도 있고 n:1 관계 일 수도 있으며 n:n 관계일 수도 있다.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user's primary tag and data, a user's tag and data, and a user's tag and a primary tag through a user terminal in which a user is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primary tag and file/data may have a 1:n relationship, an n:1 relationship, or an n:n relationship. A tag and a primary tag may have a 1:n relationship, an n:1 relationship, or an n:n relationship. The file/data and tag may have a 1:n relationship, n:1 relationship, or n:n relationship.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1차 태그,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면서 서버에 특정 사용자의 데이터, 1차 태그,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30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in which data, primary tags, tags, settings, etc. stor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ored, and a relationship in which data, primary tags, tags, settings, etc. of a specific user are stored in a server It is a drawing showing

도 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 또는 제3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1차 태그의 관리자인 사용자A는 상기 1차 태그를 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제3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오프라인 1차 태그를 활용해 사용자간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 그리고 데이터의 통합 관리가 매우 편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매번 번거롭게 선택을 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업로드/포스팅, 다운로드/뷰잉 시스템은 이 과정을 적절하게 인지하고 생략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업로드/포스팅을 목적으로 오프라인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할 경우 일반적으로 함께 업로드할 메모, 이미지, 사진 등을 포함한 촬영/스캔 데이터에서 1차 태그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촬영/스캔 데이터 상에서 극히 작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체 촬영/스캔데이터 중에서 1차 태그의 위치는 상단, 측면, 하단부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에 반해 사용자가 다운로드/뷰잉을 목적으로 오프라인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할 경우 일반적으로 함께 업로드할 메모, 이미지, 사진 등이 없기 때문에 촬영/스캔 데이터에서 1차 태그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촬영/스캔 데이터 상에서 극히 작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촬영/스캔 데이터중에서 1차 태그의 위치는 중앙이거나, 중앙에 가까울 가능성이 매우 크다. 도 31, 도 32의 동작 순서도에서 촬영/스캔 단계(S502, S602) 및 1차 태그 인식여부 단계(S504, S604)는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이용할 때만 필요한 단계이며(디지털 1차 태그를 종이에 출력한 경우, 아날로그 1차 태그로 인식함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기기 상에서 입력하는 하는 디지털 1차 태그의 경우 단계 506, 단계 606에서 “디지털 1차 태그 입력/ 1차 태그 DB매칭”으로 대체됨이 바람직하다. 31 illustrate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 data by a primary tag owned by a user by reflecting a user's behavior in recognizing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flow chart showing that data can be uploaded/posted by the primary tag owned by the user or by the primary tag owned by a third party by reflecting the user's action of recognizing the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download/view.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A, who is the administrator of the primary tag, may use the primary tag alone, but may allow a third party to use the primary tag. In this case, the process of exchanging data between users by using the offline primary tag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data become very convenient. At this time, the user has to cumbersomely select whether to upload/post or download/viewing data each time. The upload/posting and download/view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ly recognizes and omits this process, maximizing user convenience. can make it When a user shoots/scans an offline primary tag for the purpose of uploading/posting, the ratio of the primary tag in the shooting/scanning data including notes, images, photos, etc. to be uploaded together is extremely high in the total shooting/scanning data. occupy a small part. In addition, it is very likely that the location of the first tag among the entire photographing/scan data is the top, side, or bottom. 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shoots/scans an offline 1st tag for download/viewing, there is generally no memo, image, or photo to be uploaded together, so the ratio of the 1st tag in the shot/scan data is the total shot/scan It occupies a very small fraction of the data. Also, the location of the first tag among the photographing/scanning data is highly likely to be at the center or close to the center. 31 and 32, the photographing/scanning step (S502, S602) and the primary tag recognition step (S504, S604) are necessary steps only when using the analog primary tag (printing the digital primary tag on pap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recognize it as an analog primary tag), in the case of a digital primary tag input on a digital device, it is replaced with “digital primary tag input / primary tag DB matching” in steps 506 and 606 desirable.

이하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을 통해 상기의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and FIG. 49, 50, 51, 52, 53, 54, 55, and 56, the abov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3은 보통의 종이(400)에 메모를 하고 상기 메모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태그 조합(600, 602, 604, 606)이 함께 쓰여진 종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들은 도 33과 같이 아무 종이에나 본 발명에 따른 1차 태그 및 1차 태그의 조합을 손으로 써서 만들 수 있으며, 심지어 벽이나 바닥 등에도 만들 수 있고, 바닷가의 모래사장 등에서 손이나 발로 만들 수도 있다. 이와 같은 1차 태그를 통해 사용자는 도 34와 같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메모와 상기 1차 태그 조합을 포함한 종이(400)의 일부, 혹은 전체를 촬영한 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태그 조합, 아이디(sonsory- 600)와 나머지 1차 태그(INSTA, FB, TWT)를 입력(700, 702) 후 상기 1차 태그 조합으로 사용가 원하는 행위 Upload를 선택하여 서버로 전송(708)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매우 기초적인 단계에 불과하다. FIG. 33 is a view showing a paper on which a memo is written on a common paper 400 and the first tag combinations 600, 602, 604, and 6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ritten together with the memo. As shown in FIG. 33, users can make the first tag and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a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nd on any paper, and even make it on a wall or floor, or make it with their hands or feet on a beach sand. there is. Through such a primary tag, the user captures a part or all of the paper 400 including the combination of the memo and the primary tag through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34, and then, as shown in FIG. 35, the primary tag After inputting the tag combination, ID (sonsory-600) and the remaining primary tags (INSTA, FB, TWT) (700, 702), the desired action Upload can be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708) with the primary tag combination. there is. This is only a very basic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과정은 약간의 기술을 더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상에 특정 가이드라인(710)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1차 태그의 조합 영역을 상기의 가이드라인을 이용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서버가 도 38, 도 39에 도시된 것 처럼 데이터를 직접 읽고 OCR 모듈을 통해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에 기본적으로 1차 태그 조합의 내용이 채워질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서버가 Upload를 선택해 줄 수도 있는데 이는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process adds a little technology so that a specific guideline 710 is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as shown in FIG. By setting as shown in 37, the terminal/server directly reads the data as shown in FIGS. 38 and 39, and the contents of the primary tag combination are basically included in each item as shown in FIG. 39 through the OCR module. may be filled. In this process, the terminal/server may select Upload, which will be expla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1, 52, 53, 54, 55, and 56.

도 40은 보통의 종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태그 조합(600, 602)이 메모되어진 종이(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40에 도시된 메모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1차 태그를 입력하고(도 41), 서버로 전송(도 42)하여 원하는 파일/데이터를 다운로드/뷰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메모를 촬영/스캔하지 않고 바로 단말기에 1차 태그를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설치된 단말기는(혹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설치된 서버에 접속중인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파일/데이터를 다운로드/뷰잉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약간의 기술을 더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1차 태그가 포함된 메모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한 뒤(또는 촬영/스캔중), 1차 태그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줌으로써 단말기가 1차 태그를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 43, 도 44, 도 45), 또한 더 기술적으로 도 46, 도 47에 도시된 것 처럼 사용자가 1차 태그 조합이 메모된 부분을 확대촬영하는 경우 시스템이 자동으로 1차 태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가이드를 제공하는 하는 방법으로는, 가이드선이 화면의 상하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선분으로 주어질 수도 있고, 좌우로 하나 이상이 주어질 수도 있으며, 좌우상하로 하나이상이 주어질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사각형으로 주어질 수도 있다. 이 외에 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촬영된 1차 태그는 OCR모듈을 통해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에 기본적으로 1차 태그의 조합의 내용이 채워질 수도 있다.40 is a view showing a paper 400 on which primary tag combinations 600 and 6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ritten on ordinary paper. Referring to the memo shown in FIG. 40, the user inputs the primary tag into the user terminal (FIG. 41)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FIG. 42) to download/view desired files/data. Here, when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primary tag into the terminal without taking/scanning a memo, the terminal in whic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r the server through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in whic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le/data is downloaded/viewed. By adding some technology in the above process, after the user captures/scans (or is shooting/scanning) the memo including the primary tag shown in the memo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tag area The user can set , so that the terminal can easily recognize the primary tag (FIGS. 43, 44, and 45). More technically, as shown in FIGS. 46 and 47, the user can set In the case of zooming in on the memoized part, the system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primary tag, and as a method of providing a guide, a guide line may be given as one or more line segments cross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screen, One or more may be given to the left and right, one or more may be given to the left, right, top and bottom, or one or more squares may be given. In addition to this, there may be more various methods, and the first tag captured through these methods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rough an OCR module, and as shown in FIG. 50, each item basically contains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ag. may be filled.

도 51, 도 52,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1차 태그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를, 사용자의 행위를 근거로 하여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51, 52, and 53 reflect the behavior of the user recognizing the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ermine whether data is to be uploaded/posted or downloaded/viewed by the primary tag owned by the user.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based on the user's action.

도 51에는 보통의 종이에 텍스트(혹은 이미지)와 함께 1차 태그의 조합이 메모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스캔한다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상기 촬영/스캔 데이터 내에서 1차 태그 조합의 영역이 차지하는 크기, 1차 태그 조합이 상기 촬영/스캔 데이터의 중앙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 등을 근거로 하여 시스템이 자동으로 설정해 놓은 범위(예를들어 1차 태그 조합이 이루는 최외각점들을 선으로 이어 만든 도형의 크기가 상기 촬영/스캔 이미지 대비 1/20의 크기, 또는 1차 태그 조합이 이루는 최외각점들을 선으로 이어 만든 도형의 크기가 상기 촬영/스캔 이미지 대비 1/10의 크기를 넘지 못하면서 상기 촬영/스캔 이미지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등의 조건) 를 넘지 못하면 이것은 상기 촬영/스캔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하는 것으로 시스템이 판단할 수도 있다. In Fig. 51, combinations of primary tags are written on plain paper along with text (or images). If the user captures/scans as shown in FIG. 5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ize occupied by the region of the first tag combination within the capture/scan data, and the first tag combination from the center of the capture/scan data. The range automatically set by the system based on the distanced location (for example, the size of a figure made by connecting the outermost points of the primary tag combination with a line is 1/20 the size of the above photographed/scanned image, or Conditions such as when the size of a figure formed by connecting the outermost points of the primary tag combination with lines does not exceed 1/10 the size of the captured/scanned image and is no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aptured/scanned image) If not, the system may determine that the photographing/scanning data is uploaded/posted.

따라서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39는 상기 도 51, 도 52에 의하면 종이에 메모된 데이터를 업로딩/포스팅하기 위한 과정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FIGS. 33, 34, 35, 36, 37, 38, and 39 are processes for uploading/posting data written on paper according to FIGS. 51 and 52,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m. You can do it.

또한 상기와 유사한 기준(예를들어 1차 태그 조합이 이루는 최외각점들을 선으로 이어 만든 도형의 크기가 상기 촬영/스캔 이미지 대비 1/5의 크기, 또는 1차 태그 조합이 이루는 최외각점들을 선으로 이어 만든 도형의 크기가 상기 촬영/스캔 이미지 대비 1/10의 이상이면서 상기 촬영/스캔 이미지의 중앙에 위치할 경우 등의 조건)을 넘을 경우 이는 상기 1차 태그 조합이 이루는(혹은 상기 1차 태그 각각에 해당하는) 가상의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뷰잉 하는 것으로 시스템이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criteria similar to the above (for example, the size of a figure made by connecting the outermost points of the 1st tag combination with a line is 1/5 the size of the photographed/scanned image, or the outermost points of the 1st tag combination If the size of the figure made by connecting the lines exceeds the conditions of 1/10 or more of the photographed/scanned image and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hotographed/scanned image, etc., this is the first tag combination (or the 1 The system may determine that data stored in a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each car tag) is downloaded/viewed.

따라서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는 상기 도 51, 도 53에 의하면 종이에 메모된 1차 태그를 이용하여 파일/데이터를 다운로딩/뷰잉 하기 위한 과정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FIGS.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and 50 show the first tag written on paper according to FIGS. 51 and 53 As a process for downloading/viewing files/data using the file/data,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it.

도 54, 55, 56은 상기 도 51, 도 52, 도 53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즉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타인의 1차 태그를 이용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사용자의 행위를 근거로 하여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1, 도 52, 도 53에서 사용자를 구분하는 1차 태그 @sonsory만 추가된 도면이다.54, 55, and 56 go through the same process as in FIGS. 51, 52, and 53, that is, by reflecting the user's action of recognizing the analog primary tag, whether to upload/post data using another person's primary tag. Thes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download/view based on a user's action. In FIGS. 51, 52, and 53, only the primary tag @sonsory for classifying users is added.

도 33과 도40, 도 51을 보면, 도 33에는 다수 개의 특수문자와 다수의 1차 태그가 모두 한 줄에 작성되어 있고, 도 49에는 뜻하는 바가 서로 다른 특수문자를 사용한 1차 태그 @sonsory와 #INSTA가 두줄로 작성되어 있으며, 도 51에는 동일한 특수문자를 사용한 1차 태그 #notice와 #memo가 두줄로 작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았지만, 동일한 특수문자를 사용한 1차태그를 한 줄에 연이어 작성할 경우와 여러 줄로 작성할 경우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한 줄에 연이어 작성한 1차 태그의 조합은 1차 태그의 상호 조합으로 새로운 설정을 할 수 있는 새로운 1차 태그를 의미하게 할 수 있고, 여러 줄로 작성한 경우는 각각의 1차 태그의 설정대로 순차적으로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의미를 구분지을 수도 있다. 상기 1차 태그의 조합은 동일한 줄에 작성하는 방법 외에 또 다른 특수문자(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가 정의하거나, 상기 1차 태그를 만들어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전 설정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33, 40, and 51, in FIG. 33, a plurality of special characters and a plurality of primary tags are all written in one line, and in FIG. 49, a primary tag using special characters with different meanings @sonsory and #INSTA are written in two lines, and in FIG. 51, primary tags #notice and #memo using the same special characters are written in two lines. Although this is not distinguished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meaning of primary tags using the same special character can be different when written consecutively on one line and when written on multiple line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1st tags written consecutively in one line can mean a new 1st tag that can set new settings by mutual combination of 1st tags, and if written in multiple lines, each 1st tag can be set. It is also possible to classify the meaning so that the system operates sequentially as it is.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writing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s on the same line, there may be a method of using another special character (defined by the system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pre-set by the user who creates and uses the primary tag). .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에서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제3의 사용자의 아이디, 그리고 그와 관련된 1차 태그들이 저장되어져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통해 한번 사용했던 제3 사용자 아이디를 비롯한 1차 태그들은 이후 사용하기 더욱 편리해 진다. 이는 단순히 단말기에만 정리 되는것이 아니라 기존에 이용된 아이디와 1차 태그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되어 차후 이용하고자 할때, 기존 기록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재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57 is a screen showing an ID of a third user previously used by a user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a terminal in which a service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mary tags related thereto are stored and can be easily found and used. it is a drawing Through this, the primary tags including the third user ID once used become more convenient to use later. This is not simply arranged in the terminal, but the previously used ID and primary tag are stored in the terminal or serve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so that they can be reused quickly and easily using the existing record when desiring to use them later.

도 5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유저가 1차 태그를 활용하여 파일/데이터를 통합, 관리,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은 무수한 유저들이 이용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향하지만 여기서는 USER1(330)과 USER2(332), USER3(334) 의 세 명의 사용자를 통해 간략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8 can be seen a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integrating, managing, and sharing files/data by a plurality of users using a primary tag. The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and sharing online/offlin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a network service used by countless users, but here, through three users, USER1 (330), USER2 (332), and USER3 (334), briefly I want to explain.

먼저 USER1(330)을 보면#memo(610), #call(612), #news(614), #business(616), #picture(618), #movie(620) 등의 1차 태그를 사용하고 있고 USER1(330)과 연계된 또 다른 사용자 및 USER1이 만든 또 다른 1차 태그들은 생략(360)되었다. USER1(330)을 통해 개략적인 일반 설명을 한다면, USER1(330)으로 부터 뻗어나와 하나의 선으로 이어진 1차 태그는 타인(예를들어 USER2, USER3)의 태그이고 두개의 선으로 연결된 태그가 USER1(330)이 관리하는 1차 태그이다. 이 중에서 USER1이 자주 사용하는 1차 태그는 더 두껍게 표시 되어있고(n = 3) USER1이 덜 사용하는 1차 태그는 얇게 표시되어 있다(n = 1).First, if you look at USER1 (330), it uses primary tags such as #memo (610), #call (612), #news (614), #business (616), #picture (618), and #movie (620). and other primary tags created by USER1 and another user associated with USER1 (330) are omitted (360). If a brief general description is given through USER1 (330), the primary tag extending from USER1 (330) and connected by a single line is the tag of others (eg, USER2, USER3), and the tag connected by two lines is USER1 (330) is the primary tag managed. Among them, the primary tags frequently used by USER1 are marked thicker (n = 3), and the primary tags used less by USER1 are marked thinner (n = 1).

USER1(330)의 1차 태그 #memo에는 다이어리, 메모, 일정.. 과 같은 2차 태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2차 태그는 1차 태그 내에 있는 파일/데이터마다 다르게 설정되어질 수 있다. 기본적인 2차 태그는 1차 태그 생성시 시스템에 초기 설정이 되어있지만, 2차 태그는 유동적으로 설정되어질 수 있다. 또한 1차 태그는 대문자, 2차 태그는 소문자로 구분하여 오프라인 태그로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대문자 A - Z는 65 - 90의 아스키코드값을 가지고 있고, 소문자 a - z 는 97 - 122의 아스키코드값을 가지고 있다). 대문자와 소문자는 아스키 코드 값이 다르므로 시스템, 혹은 사용자의 사정에 따라, 환경설정에 따라 변경되어질 수 있는 확장 수단중의 하나일 수도 있다.Secondary tags such as diary, memo, schedule, etc.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tag #memo of USER1 (330), and the secondary tags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file/data in the primary tag. The basic secondary tag is initially set in the system when the primary tag is created, but the secondary tag can be set flexibly. Also, it can be used as an offline tag by distinguishing primary tags with uppercase letters and secondary tags with lowercase letters (capital letters A - Z have ASCII codes of 65 - 90, and lowercase letters a - z have ASCII codes of 97 - 122). has a value). Sinc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have different ASCII code values, they may be one of extension means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ystem or user's circumstances or environment settings.

USER1(330)의 1차 태그 중 #call 태그는 2차 태그(670)에 드러난 바와 같이 야식에 전화걸기일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call 태그를 사용하여 야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사전 설정이 되어있을 가능성이 크다. 조금 더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1차 태그 #call 과 1차 태그 $card 가 결합되어 사용된다면 상기 야식주문과 동시에 카드 결재가 이루어지도록 사전 설정을 할 수도 있다. 결제 설정과 관련된 사전 설정은 주문설정과 함께 설정(1차 태그 #call 주문설정 - 주문 상품/서비스, 수량 주문자, 주문자 주소 | 1차 태그 $card -결제 수단, 결제 정보 등은 도 71, 도 7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주문설정과 결제설정은 별개의 1차 태그로 설정할 수도 있고, 하나의 1차 태그로 설정할 수도 있다)할 수도 있다. Among the primary tags of USER1 330, the #call tag may be a late-night phone call, as shown in the secondary tag 670. This is most likely pre-set so that users can order late-night snacks using the #call tag. For more convenience, if the first tag #call and the first tag $card are combined and used, a preset may be set so that card payment is made simultaneously with the midnight snack order. Presets related to payment settings are set together with order settings (1st tag #call order settings - order product/service, quantity orderer, orderer's address | 1st tag $card -payment method, payment information, etc. are shown in FIGS. 71 and 72 It will be explained in detail through .. Order setting and payment setting can be set as separate primary tags or as one primary tag).

1차 태그와 1차 태그의 기능적 결합은 도 20에 도시된 기능(508) 중 피크립트 연동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 부분은 필요에 의해 기능(508)의 하부 메뉴가 아닌 기능(508)과 동격 메뉴로서 상위 수준에서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연동하는 방법은 1차 태그를 생성한 뒤 URL or 모듈 번호 설정을 통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번호는 1차 태그를 생성한 후 URL과 동시에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내부적 URL로 해석되어져도 좋다. The functional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 and the primary tag can be set through interworking with PicScript among the functions 508 shown in FIG. 20 . This part can be easily set at a higher level as a menu equivalent to the function 508 rather than a lower menu of the function 508 if necessary. Linking can be done by creating the primary tag and then setting the URL or module number. The module number may be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URL after generating the primary tag, which may be interpreted as an internal URL.

또한 USER1(330)은 1차 태그 #news(614)를 통해 온라인, 오프라인상의 뉴스, 소식을 하나의 태그로 통일하여 관리, 수집할 수 있으며, 이는 1차 태그 #business 와도 연동되어 있어 사진, 텍스트 등을 촬영/스캔하여 #news(614)로 업로딩/포스팅할 경우 1차 태그 #business 의 가상 공간에 업로딩 알림이 통지되거나 #news의 특정 업로딩 파일/ 특정 게시물을 볼 수 있는 링크, 주소가 생성될 수도 있다. 물론 1차 태그 #news의 가상공간에 업로딩/포스팅할 때 #business 1차 태그의 가상 공간에 업로딩/포스팅이 될 수도 있다. 이는 두 1차 태그 설정에서 일방향으로 설정하거나, 양방향 모두에서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개의 1차 태그는 동일하게 사용되어지고 하나의 1차 태그처럼 사용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USER1 (330) can unify and manage and collect online and offline news and news as one tag through the primary tag #news (614), which is also linked to the primary tag #business, so that photos, text When uploading/posting to #news (614) by photographing/scanning etc., an uploading notification is notified in the virtual space of the primary tag #business, or a link or address to view a specific uploading file/specific post in #news will be created. may be Of course, when uploading/posting to the virtual space of the primary tag #news, uploading/posting to the virtual space of the primary tag #business may also occur. This can be set in one direction in both primary tag settings, or the same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both directions. In this case, the two primary tags are used identically and can be used as one primary tag.

사용자는 자신의 1차 태그 뿐만 아니라, USER1(330) 의 #PICTURE(618) 1차 태그는 USER2(332) 의 #PICTURE(618-1) 1차 태그와 상호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 처럼, 제3자의 1차 태그와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SER2(332) 의 #PICTURE(618-1) 1차 태그는 USER1(330)과 공유함과 동시에 USER3(334)의 1차태그 PICTURE(618-2) 와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중복 공유 상태는 각각 업로드/포스팅한 파일/데이터에 각각의 유저ID가 1차 태그(ex @user1, @user2, @user3 )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관리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제3자와의 1차 태그 공유 방법은 일방적(한측의 사용자다운로드/뷰잉 만 가능하거나 업로드/포스팅만 가능) 이거나 양측 모두 파일/데이터를 공유할 수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user's own primary tag, the #PICTURE (618) primary tag of USER1 (330) shares data with the #PICTURE (618-1) primary tag of USER2 (332). It can also be used by sharing with the primary tag of the child. Also, the #PICTURE(618-1) primary tag of SER2(332) can be shared with USER1(330) and the primary tag PICTURE(618-2) of USER3(334). In the above overlapping sharing state, it is desirable that the primary tag (ex @user1, @user2, @user3) of each user ID is automatically set and managed for each uploaded/posted file/data. The primary tag sharing method with a third party can be unilateral (one user can only download/view or upload/post only) or both can share files/data.

예를들어 USER1(330) 의 #PICTURE(618) 1차 태그는 USER2(332) 의 #PICTURE(618-1) 1차 태그로 부터 파일/데이터를 받아보겠다는 설정일 수 있고(USER1에서 USER2로 화살표가 향하고 있다),USER2(332) 의 1차 태그 #PICTURE(618-1)와 USER3(334)의 1차태그 PICTURE(618-2)는 서로의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설정일 수 있다(화살표가 양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중복 ?유는 매우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다(#BBS(622)참고). For example, the #PICTURE(618) primary tag of USER1(330) can be set to receive files/data from the #PICTURE(618-1) primary tag of USER2(332) (arrow from USER1 to USER2 is heading), the primary tag #PICTURE (618-1) of USER2 (332) and the primary tag PICTURE (618-2) of USER3 (334) may be settings for exchanging files with each other (the arrow indicates heading in both directions). This overlapping effect can appear very frequently (see #BBS(622)).

또한, USER1(330)이USER2(332)가 만든 1차 태그 #BBS를 공유 설정없이 직접 접근하여 #BBS에 업로드된, USER1도 접근이 허용된 파일/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거나 볼 수도 있다. 이때는 USER2(332)가 1차 태그 #BBS(622)에 대해 모든 이가 접근 가능하도록 공개 설정을 하거나, USER1(330)의 접근을 허용해야 한다. #BBS(622) 1차 태그에 다른 접근이 많은 것으로 보아(특히 많은 연결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다중 연결 표시(363)를 통해 추론이 가능하다) #BBS(622)가 공개된 게시판임을 유추할 수 있다. USER1(330)은 상기 #BBS(622)에 직접 접근할 수도 있지만 자신의 1차 태그 #movie(620)을 통해 접근할 수도 있다. 1차 태그명이 같아야지만 1차 태그끼리 태그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시스템 제공자가 설정을 통해 태그명이 같은 1차 태그끼리만 태그 공유를 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USER1 (330) directly accesses the primary tag #BBS created by USER2 (332) without setting sharing, and can download or view files/data uploaded to #BBS to which USER1 is also allowed access. At this time, USER2 (332) should open the primary tag #BBS (622) so that everyone can access it, or allow USER1 (330) access. Considering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accesses to the #BBS (622) primary tag (in particular, it can be inferred through the multiple connection indication (363), which means that many connections exist), it can be inferred that #BBS (622) is a public bulletin board. can USER1 (330) can directly access the #BBS (622) or access it through its primary tag #movie (620). Primary tags must have the same name, but tags cannot be shared between primary tags. Of course, the system provider may restrict tag sharing to only primary tags with the same tag name through settings.

도 59, 도 60, 도 61, 도 62,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심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위치 결정 심볼을 도시한 도면으로도 보여질 수 있다. 59, 60, 61, 62, and 63 can be seen as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is drawn on paper on which a positioning symbol is pri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it may also be shown as a drawing showing a location determination symbol shown in an image of a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 user memo and an analog primary tag are drawn on plain paper.

도 64, 도 65, 도 66, 도 67,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1차 태그, 위치 결정 심볼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64, 65, 66, 67, and 68 are diagrams illustrating states in which a user memo, an analog primary tag, and a positioning symbol are drawn on plai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상기 위치결정 심볼을 통해 촬영 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위치 결정 심볼 영역외, 영역내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둠으로 촬영/스캔 데이터에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넣을것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심볼은 사용자가 직접 그릴 수도 있고, 인쇄된 용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또는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1차 태그로 우하단의 영역설정표시를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set the area to be photographed and scanned through the positioning symbol, and can distinguish whether or not to include the analog primary tag in the photographing/scan data by placing the analog primary tag in the area other than the positioning symbol area. The positioning symbol can be drawn by the user or provided with printed paper. Alternatively, the user can set the area to be photographed/scanned on the screen, and the area setting display at the bottom right can be replaced with the primary tag. will be.

마찬가지로 좌상단에 1차 태그가 있다면 우하단에만 영역설정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wise, if there is a primary tag in the upper left corner,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rea settings only in the lower right corner.

하나 이상의 영역설정 표시마크와 함께 아날로그 1차 태그의 대각선상의 존재하면 된다.It is only necessary to exist on the diagonal of the analog primary tag along with one or more area setting mark.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차량을 주차시 남겨놓는 메모에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6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mo left when parking a vehic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동차 주차시 휴대폰 연락처는 민감한 개인정보임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노출할 수 밖에 없다. 이를 대체 하기 위해 임시번호(한국에서는 050 으로 시작하는)나, QR코드나 사용하는 사람들이 드물다. 그 이유는 즉각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이용할 경우 손으로 사용자의 ID와 사용자가 정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종이에 그려서전화번호 대신 놓기만 하면 된다.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해당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촬영/스캔시 자동으로 사용자의 전화로 연결된다. 이때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일방, 혹은 상호간 전화번호를 다른 문자로 대체한다거나 없애거나, 다른 일회용 번호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When parking a car, cell phone contact information is inevitably exposed even though it is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Few people use temporary numbers (starting with 050 in Korea) or QR codes to replace them. The reason is that it is inconvenient to make and use immediately. However, in case of using the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necessary to draw the user's ID and the analog primary tag defined by the user on a piece of paper and place it instead of the 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user's preset, when another user shoots/scans the corresponding analog primary tag, it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user's phone. At this time, one-way or mutual phone numbers may be replaced with other characters, deleted, or replaced with other one-time numbers according to the user's preset settings.

또는 무방비로 노출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아날로그 1차 태그를 촬영/스캔시 촬영/스캔한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서버에 기록하는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a means for defenselessly avoiding exposure, a function as a means for recording the unique number of the photographed/scanned terminal in the server when photographing/scanning the analog primary tag may be provided.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설명서, 그 중에 PC에 대한 메뉴얼을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메모에 작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0에 도시된 1차 태그의 조합을 보면사용자 sonsory의 1차 태그 #manual #PC로 접속(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로 아날로그 1차 태그 @sonsory, #manual #PC를 촬영/스캔부로 촬영)하면, 아마도 PC에 대한 메뉴얼을 다운받아 보거나, 복수의 PC 매뉴얼에 대한 리스트, 그리고 그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외부 사이트 링크, 관련 데이터가 저장된 폴더 등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1차 태그의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1차 태그의 조합으로 예측가능한 파일/데이터가 아닐 수도 있다. 개인적인 사용이라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만약 개인이 아닌 법인이나 단체가 계획적으로, 혹은 불법적인 파일/데이터를 유통하려 한다면, 제3의 사용자들의 신고로 상기 1차 태그와 관련된 설정, 링크 등과의 연결을 임시 폐쇄 혹은 강제 폐쇄시킬 수도 있다.FIG. 7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uploading/downloading a user manual owned by a specific user, among them, a manual for a PC, is written on a memo. Looking at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s shown in FIG. 70, access to the primary tag #manual #PC of the user sonsory (take/scan the analog primary tags @sonsory and #manual #PC with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shoot), you can probably predict that you will be able to download a manual for your PC, or see a list of multiple PC manuals, as well as images, texts, links to external sites, and folders where related data are stored. there is. Of course, it may not be a predictable file/data with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manager of the primary tags. If it is for personal use, there will be no problem, but if a corporation or group other than an individual tries to distribute illegal files/data intentionally or illegally, third-party users report it to the setting, link, etc. related to the primary tag. Connections can be temporarily closed or forced closed.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 사용자가 1차 태그를 이용해 다른 사용자에게 돈을 송금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를 메모에 작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llows a specific user to transfer money to another user using the primary tag, is written on a memo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종이에 #bank $sonsory @yuela $2000 라고 1차 태그 조합을 작성한 경우 상기 1차 태그는 촬영/스캔부(108)을 통해 촬영/스캔되고 상기 촬영/스캔된 데이터는 제어부(104)로 넘어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1차 태그 조합을 추출하고 명령을 해석하게 된다. 상기 1차 태그 조합은 #bank에 설정해 놓은 은행 계좌에서 $sonsory로 인증하고 @yuelua로 $2000 를 송금하라는 명령으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상기 1차 태그 조합에서 $sonsory와 $2000 이 빠진 상태로 사용자가 1차 태그 조합을 작성해 촬영/스캔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sonsory 에 해당하는 서명과 얼마의 금액을 송금할 것인지 단말기의 출력부(112)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오프라인 1차 태그의 조합은 그 자체로 인증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태그의 조합에서 $sonsory 는 그 자체가 서명일 수도 있지만, 현 1차 태그 전체를 서명으로서 인식하라는 명령(설정)일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1차 태그 조합이 그 자체로 하나의 보안 수단/ 인증 수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1차 태그 조합을 추출하고 명령을 해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bank 혹은 $sonsory, 혹은 $2000 과 같은 금융, 돈, 서명과 같은 1차 태그가 존재할 경우 상기와 같은 1차 태그의 조합 전체를 서명으로써 활용하여 검증토록하는 단계를 거쳐 높은 보안 수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상기 촬영/스캔부(108)로 촬영/스캔한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서명 인증 데이터 부분만을 취득하고 이를 제어부(104)로 넘겨, 상기 사용자의 서명 인증데이터가 기존에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1차 태그 서명 들과 비교해서 임계값 이내의 유사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임계값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관리하는 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오프라인 1차 태그를 사용할 때마다 이를 저장하여 인증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커스터마이징 시킴이 바람직 하다.When the user writes the first tag combination #bank $sonsory @yuela $2000 on paper, the first tag is photographed/scanned through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108, and the photographed/scanned data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 unit 104. The controller extracts the primary tag combination and interprets a command. The first tag combin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command to authenticate with $sonsory in the bank account set in #bank and transfer $2000 to @yuelua. When the user writes the first tag combination and shoots/scans with $sonsory and $2000 missing from the first tag combina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signature corresponding to $sonsory and how much money to remit on the terminal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unit 112 . The combination of the offline primary tags may itself be used as an authentication means. Also, in the combination of the primary tags, $sonsory itself may be a signature, but may also be a command (setting) to recognize the entire current primary tag as a signature. That is, the primary tag combin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security means/authentication means by itself.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primary tag combinations and interpreting commands, if primary tags such as finance, money, and signature such as #bank, $sonsory, or $2000 exist, all combinations of the primary tags are sign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have a high security level through the step of verifying by using it. Therefor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only the user's signature authentication data part from the photographed/scanned data by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108 and passes it to the control unit 104, so that the user's signature authentication data is It compares with the set primary tag signature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has a similarity within a threshold value. The threshold may be set by a person who manages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set by a user.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customize the authentication system to the user by storing the offline primary tag whenever the user uses it.

임계값과 인증률의 상관 관계는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필체는 항상 같을 수 없으므로 필체의 유사 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적용 임계값을 사전 설정하여 그 임계값 이내의 유사 정도만 있으면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보안 수준 설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본인의 단말기에서만 상기 서명이 허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 상기 시스템을 관리하는 업체, 관리자가 ‘결제/인증 수단으로써의 서명은 타인과 공유가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인증한 소수의 단말기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결제/인증 수단으로써의 서명에 다양한 인증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은 일반 오프라인에서 카드 사용 후 서명하는 시스템보다 훨씬 높은 보안수준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shold value and the authentication rate is as shown in FIG. 72 . In general, since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user cannot always be the same, a security level setting method can be used in which an application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of handwriting is preset, and permission is granted only when the similarity level is within the threshold value. In addition,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t the signature to be allowed only in the user's terminal, and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ny or manager who manages the system can 'share the signature as a means of payment/authentication with others. It is impossible and can be limited to use only in a small number of terminals authenticated by the user. That is, by giving various authentication conditions to the signature as a payment/authent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much higher security level than a system that signs after using a card in general offline.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임계값 이하 혹은 임계값 근처이거나 임계값보단 높지만 여전히 낮은 일치도로 인해 사용자의 필체로 인지하기 어렵다면 추가적으로 인증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handwriting as the user's handwriting due to the lower or near threshold value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 but still low matching, an additional authentication means may be provided.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인증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1차 태그가 서명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특정 종이(지류, 예를들어 흰색 종이)의 특성을 추가적인 인증수단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필체 인증시의 배경, 혹은 필체, 혹은 배경과 필체를 포함한 전체의 몇 %가 기존 인증된 1차 태그의 조합과 동일할 경우 인증을 하지 않을수도 있다(한번 인증한 필기 이미지 재활용 금지, 100% 일치하는 경우 오히려 인증 불가), 또한 필체에 사용자가 정의한 점의 개수가 임의의 위치에 제대로 존재하는가 식으로 추가적인 인증이 가능하다. 상기 점의 위치가 변하지 않은 필기 이미지는 반복해서 사용불가할 수 도 있다. 또한 점이 될 수도 있지만 숫자가 될 수도 있고, 특정 도형이 될 수도 있고, 영문, 한글 등의 다양한 문자가 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서 특수 문자(ex> $)와 함께 종이에 서명하고 상기 서명과 함께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혹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하는 바 대로(예를들어 임의의 위치 or 고정된 위치에 점 3개 +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영문 1개 or 임의의 위치에 특정 영문 1개, or 특정 위치에 특정 영문 1개 +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특수문자 1개 or 임의의 위치에 특정 특수문자 1개, or 특정 위치에 특정 특수문자 1개 등) 작성한 뒤 촬영/스캔부(108)로 촬영/스캔한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서명 인증 데이터 부분만을 취득하고 이를 제어부(104)로 넘겨, 상기 사용자의 서명 인증데이터가 임계값 이내의 유사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점, 도형, 문자 등은 아날로그 1차 태그에서 적용하지 않고,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서명인증 데이터에 추가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부가 인증 수단은 사전 설정해 놓은 특정 질문에 대한 답변(단어)가 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ollowing additional authentication means may be used. When the analog primary tag is used as a signature,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paper (paper, for example, white paper) can be recognized as an additional authentication means, and the background or handwriting at the time of handwriting authentication, or the whole including the background and handwriting Authentication may not be performed if a percentage of the number is the same as the combination of the existing certified primary tags (reuse of the handwriting image once authenticated is prohibited, authentication is not possible if it matches 100%), and also the number of dots defined by the user in the handwriting Additional authentication is possible by verifying that is properly present in an arbitrary location. A handwritten imag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ot is not changed may not be repeatedly used. In addition, it may be a dot, it may be a number, it may be a specific figure, or it may be various characters such as English and Korean. For example, a paper is signed with a special character (ex> $) and set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signature, or as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eg, in an arbitrary location or fixed location). 3 dots at a location + 1 random English character at a random location or 1 specific English at a random location, or 1 specific English at a specific location + 1 random special character at a random location or a specific character at a random location One special character, or one specific special character at a specific location, etc.) is written, and only the user's signature authentication data part is obtained from the data photographed/scanned by the photographing/scanning unit 108 and passed to the control unit 10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signature authentication data has a similarity within a threshold value. The above dots, figures, characters, etc. are not applied in the analog primary tag, but can be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signature authentication data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of the terminal, and the additional authentication means is an answer to a specific question set in advance. (words) can be

상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1차 태그의 서명/인증수단으로써의 활용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1차 태그의 서명/인증 수단으로써의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해 한다.Although an embodiment that can be utilized as a signature/authentication means of a primary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do not change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a signature/authentication means of the primary tag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ative.

도 73과 도 7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한 상품,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구매하고자 할때,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구매하게 되는 상품, 서비스를 1차 태그로 설정하여, 1차 태그를 촬영/스캔하면 즉각적으로 해당 상품,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설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과 연계된 복수의 쇼핑/서비스몰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할 수 있고 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서비스(802)를 선택하여, 도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량(804), 주소(806), 받는사람(808), 결제정보(810), 보안설정(812), 1차 태그(814) 등의 필수 정보와 기타 필요한 정보(예를들어 배송 메세지 등)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상기 1차 태그(814) 설정 과정은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등의 설정 과정이 진행되어진다. 특히 도 21의 기능(508)에서 상품/서비스 구매와 상기의 과정이 연동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설정 중에서 수량은 매 구매시 마다 신규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정보에는 예를 들어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CCV,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등록된 휴대전화 장치 인증, 사용자의 등록된 이메일을 통한 인증 등 주지관용 기술 중 높은 수준의 보안수단을 하나 또는 복수 사용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정된 1차 태그는 사용자 본인외에는 사용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 본인이 직접 등록한 사용자들에 한해서 공유(사용허가)할 수도 있으며, GPS정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 본인외 사용허가된 사용자들도 제한된 지역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결제정보는 다른 1차 태그에서 인용하여 설정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는 특정 금융/결제 행위에 대해 각 행위 별로 1차 태그를 설정할 수가 있어 보안상 기존의 카드 결제 시스템(온라인에서 어떤 상품을 구매하더라도 모두 동일한 정보를 통해서 구매하는 시스템)보다 더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73 and 74 a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urchasing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online, by setting a product or service that is repeatedly purchased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as a primary tag, and photographing the primary tag /This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duct or service is set to be purchased immediately upon scanning. As shown in FIG. 73, the user can search for a desired product through a plurality of shopping/service malls associated wit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mong them,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product/service 802,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quantity (804), address (806), recipient (808), payment information (810), security setting (812), primary tag (814)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e.g. delivery message, etc.) The process of setting the primary tag 814 proceeds as shown in FIGS. 19, 20, 21, 22, and 23. In particular, in the function 508 of FIG. 21, product/service purchase and the above process may be interlocked. Among the settings, the quantity may be newly set for every purchase. For the payment information, for example, enter a card number, expiration date, CVC/CCV, user password, or use a high level of security means among popular technologies such as authentication of a user's registered mobile phone device or authentication through a user's registered email. One or multiple uses may be used. The primary tag set above can be disabled for use by anyone other than the user himself/herself, and can be shared (approved) only with users registered by the user himself/herself. You can also make it available only within a limited area. In addition, the stored payment information may be set and used by quoting from other primary tags. As such,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tag can be set for each specific financial/payment activity, which is more secure than the existing card payment system (a system in which all products are purchased through the same information no matter what product is purchased online). can be said to be dominant.

도 7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특정한 상품들을 온라인으로 구매하고자 할때,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구매하게 되는 상품들을 1차 태그로 설정한 뒤, 해당 상품을 비치해두는 곳에 1차 태그를 부착해 놓은 상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에 언급한 1차 태그들의 설정 방법, 사용방법에 따라자주 애용하는 음식배달, 식음료, 찬거리 등은 1차 태그를 만들어 놓고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100)으로 촬영/스캔을 하면, 사전 설정에 따라 주문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가족, 친구, 연인이 (집에서, 동네에서, 지역에서) 함께 사용하는 1차 태그는 다른 사용자를 가족으로 등록하여 사용자의 1차 태그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 부여함으로써 공유할 수 있다. 더 범용적으로는 음식 광고 책자엔 1차 태그가 필수로 인쇄되어질 수 있다. 물론 음식 광고 책자에 해당 1차 태그(조합)를 넣은 업체는 상기 1차 태그를 사용자가 촬영/스캔할 경우 어느정도 기본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예를들어 기본 메뉴 선택된 상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받아 대략적인 주소지 및 사용자의 폰번호 등이 기본적으로 입력된 상태 등)로 설정해 두어 사용자가 주문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1차 태그에 대해 반복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본인의 1차 태그로 대체(등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7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urchasing specific products online, after setting products to be purchased repeatedly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as primary tags, the primary tags are placed in a place where the corresponding products are kept. It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attached state. Depending on the method of setting and using the above-mentioned primary tags, frequently used food delivery, food and beverage, cold food, etc. are photographed/scanned with the terminal 100 that can us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primary tags. If so, the order and payment are made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preset settings. The primary tag used by family, friends, and lovers (at home, in the neighborhood, or in the region) can be shared by registering other users as family members and granting permission to use the user's primary tag. More generally, the primary tag may be printed as mandatory in food advertising brochures. Of course, the company that puts the corresponding primary tag (combination) in the food advertisement booklet is in a state where basic data is entered to some extent when the user shoots/scans the primary tag (e.g., the basic menu is selected, and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place an order more easily by setting it to a state in which the approximate address and the user's phone number are basically input.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repeatedly using the primary tag, the user may replace (register) with the primary tag and use it.

도76과 도 7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의한 1차 태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수문자(452)들을 인쇄해 놓은 노트(450)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노트(450)를 이용해 사용자가 기록한 메모들을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동시에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트(450)는 특정일자에 한일과 할일 등의 주제에 대해 기록하고 만약 사용자가 그 다음 날도 동일한 일을 수행해야 하거나(한일) 지난 날의 ‘할일’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마무리 짓지 못했을 경우) 다음날 한 장을 넘겨서 앞서 기록된 한일과 할일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454)을 뜯음으로써 동일한 내용을 다시 기록할 필요를 없게 하여 준다. 상기 노트는 일부분을 뜯을 수 있도록 톰슨 가공과 같은 특별한 공정을 거쳐 생산될 수 있다. 또한 1차 태그를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노트의 데이터를 어디서든 편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날짜에 기 저장된 촬영/스캔 파일/데이터와 중복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새로운 기록이 추가된 데이터가 촬영/스캔되어 동일한 1차 태그로 업로딩 될 경우 기존 파일/데이터는 삭제하여 무의미한 중복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에 불필요한 데이터를 쌓아놓는 일을 줄일 수 있게 하여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상기 중복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은 단순히 텍스트만 비교하는 방법과 함께, 상기 텍스트를 기준으로 어떤 위치에 어떤 특정한 형상을 가진 도형들이 있는지 비교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노트(450)에는 위치 결정 심볼(450)이 인쇄되어져 있음이 바람직 하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위치 결정 심볼(450) 외 사용자가 직접 그린 위치 결정 심볼을 통해 촬영/스캔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수기에 의한 위치 결정 심볼이 인쇄된 위치 결절 심볼보다 우선적으로 다뤄지는 것이 더 바람직해 보인다. 물론 중복적으로 사용되어질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사용되어질 수도 있으며, 더 외측에 있는 위치 결정 심볼을 우선으로 하거나 더 내측에 있는 위치 결정 심볼을 우선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둘 다 촬영/스캔하도록 할 수도 있다.76 and 77 are diagrams showing a note 450 printed with special characters 452 capable of performing the primary ta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imultaneously manage memos recorded by the user both offline and online using the note 4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e 450 records topics such as to-dos and to-dos on a specific date, and if the user has to do the same thing the next day (Han-il) or did not perform the 'to-do' of the previous day (unfinished) ) The next day, by turning over one sheet and tearing off the part 454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previously recorded work and work, it is not necessary to record the same content again. The note may be produced through a special process such as Thomson processing so that a part thereof can be torn off. In addition, as the primary tag can be used more easily, the data in the note can be conveniently managed anywhere. In addition, when data with a new record added, including overlapping parts with pre-stored shooting/scanning files/data on the same date, is taken/scanned and uploaded to the same primary tag, the existing files/data are deleted to avoid meaningless duplication. can make it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s it can reduce the accumulation of unnecessary data in the storage for storing data. As a method of comparing the redundant data, various methods may be used, such as a method of simply comparing only text and a method of comparing figures having a specific shape at a certain position based on the tex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symbol 450 is printed on the note 450. Of course, the user can determine the position to be photographed/scanned through the positioning symbol drawn by the user other than the positioning symbol 450 . It seems more desirable that handwritten positioning symbols take precedence over printed position nodule symbols. Of course, it may be used redundantly or vice versa, and the outer positioning symbol may be given priority or the inner positioning symbol may be recognized with priority, and both may be photographed/scanned. there is.

도 7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1차 태그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만의 1차 태그를 작성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기본 제공하는 특수문자, 예를들어 #, @, $, * 등과 별도로 사용자가 지정한 이미지나 그 표현 방법(예를들어 어떤 단어를 쓰고 그 단어를 동그라미 또는 네모 등과 같은 도형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밑줄을 긋는 등)에 있어서 사용자만의 1차 태그 설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들들어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mo라는 문자를 동그라미로 감싸 이를 1차 태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고 call이라는 문자를 네모로 감싸 이를 1차 태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으며, notice라는 문자 밑에 두줄을 그어 이를 1차 태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이밖에 수한 방법으로 1차 태그를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상기에 서술한 방법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7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own primary tag in an analog primary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designated image or its expression method (for example, writing a word and surrounding the word with a figure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It is also possible to enable the user's own primary tag setting in (e.g., underlined, underlined, et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8, you can wrap the text memo in a circle so that it is recognized as the primary tag, or you can wrap the text “call” in a square so that it is recognized as the primary tag. Then, it can be recognized as the primary ta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primary tag in a number of ways, and it is obvious that it is not limited by the methods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은 사람들의 일상생활 모두에 응용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비스는 최종적으로 아이폰, 안드로드폰과 같은 스마트폰에 기본 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 화면(출력부, 112)이 꺼진 상태에서도 카메라(촬영/스캔부, 108)는 지속적으로 작동하면서 1차 태그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카메라에 포착될 경우 관련 프로세스를 이행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이 켜지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관련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여부를 묻고, 진행여부를 결정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카메라가 작동하다가 1차 태그를 포착한 후 사용자에 대한 별도의 알림없이 상기 1차 태그의 설정대로 일련의 프로세스가 작동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anaging, sharing, and authenticating online/offlin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used in people's daily lives. Therefore, the syste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nally installed as a basic program in smartphones such as iPhones and Android phones, so that the camera (shooting/scanning unit 108) continues to operate even when the user's smartphone screen (output unit 112) is turned off. When the primary tag is captured by the user's smartphone camera,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n to perform the related process, asking the user whether or not to proceed with the related process, and deciding whether or not to proceed. this is preferable Of course, a series of processes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primary tag without separate notification to the user after the camera is operated while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is turned off and the primary tag is captur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일부분은 알고리즘 프로세스 또는 동작의 관점에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알고리즘적 기술 및 표현은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그들의 작업의 주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기능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동작은 프로세서, 등가 전자회로 또는 마이크로 코드 등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으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도록 이해될 수 있다. 더욱이, 모듈로서 또는 기능적인 이름에 의해 동작의 이러한 배열을 언급하는 것은 일반론의 손실 없이Portion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scribed embodiments in terms of algorithmic processes or operations. These algorithmic descriptions and representations are the means that most effectively convey the subject matter of their work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data processing. Although described functionally or logically, these operations may be understood to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composed of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processor, equivalent electronic circuit or microcode. Furthermore, it is without loss of generality to refer to such arrangements of operations as modules or by functional names.

종종 편리하다고 증명되어 왔다. 상기 설명된 동작 및 그것의 관련된 모듈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가운데서 실시될 수 있다.It has often proven convenient. The operations described above and their related modules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firmware, hardware,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된 구성요소,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의 여러 부분에서의 구문일 실시예에서의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를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any reference to an embodiment or an embodiment means that a component, feature, structure, or characteristic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is included 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phrases in one embodiment of the syntax in various par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not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예서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서로 함께 동작하거나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이 문맥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components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but may operate together or interact with each other. Embodiments are not limited in this contex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가진다", "갖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파생어는 비독점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건, 또는 장치는 이들 구성요소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 내재하거나 명백하게 리스트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또는" 에 대해 명백히 반대되도록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는 포함적인 또는을 의미하며 배타적인 또는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조건 A 또는 B는, A 는 진실 (또는 현실)이며 B는 거짓 (또는 비현실), A는 거짓 (또는 비현실)이며 B는 진실 (또는 현실), 및 A와 B 모두 진실 (또는 현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만족된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has", "having" or any derivative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a non-exclusive inclusion. For example, a process, method, product, or apparatus that includes a list of component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components, but includes other components not expressly listed or inherent in such process, method, product, or apparatus. You may. Further, unless expressly stated to the contrary with "or", "or" means an inclusive or and not an exclusive or. Further, the condition A or B is that A is true (or real) and B is false (or unreal), A is false (or unreal) and B is true (or real), and both A and B are true (or real). is satisfied by any one of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모듈, 컴포넌트는 특정하게 불리어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사용된다. 이는 단지 편리함을 위한 것이며 설명의 일반성을 제공한다. 이 설명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야 하며, 단일한 구성요소로써 명백히 그렇지 않음을 의미하지 않는 이상 복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modules, and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are specifically called and used to describe the system. This is for convenience only and provides generality of explanation. This description should be read as including one or at least one, and as a single element includes a plurality unless expressly implicitly implying otherwise.

이 명세서를 읽는 경우, 당업자는 아날로그 1차 태그와 디지털 1차 태그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데이터 저장, 관리, 공유, 인증 방법과 그 시스템의 기본적인 설계를 이해할 것이다. 그 결과 특정 실시예 및 애플리케이션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상세한 구조 및 모듈,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할 다양한 수정물, 변경물, 및 변형물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규정된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When reading this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basic design of the on/offline integrated data storage,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analog primary tag and the digital primary tag and the system. As a result, whil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ed structures and modules, components described herein, with various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variations tha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ppended claims. It may be made in the method and apparatus arrangements, operations, and details disclosed 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stipulated in scope.

상술된 것은 본 발명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을 설명하는 목적으로, 모듈이나, 컴포넌트들이나 방법들의 조합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재하기는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수의 추가 조합들 및 순열들이 가능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취지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 수정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포함한다(includes)"라는 용어가 상세한 설명이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용어는 “구비하는(comprising)"이 청구범위의 전이어(transitional word)로서 채용될 때 해석되는 것처럼 "구비하는(compris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ncludes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for purposes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every possible combination of module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method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many additional combinations and permu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nsofar as the term "includes" is used in the description or claims, such term should be interpreted as if "comprising" is employed as a transitional word in the claim. It is inclusive in a way similar to “comprising”.

100 : 단말기, 사용자 장치, 스마트폰, 통신단말기
100~: 단말기 설명, 단말기에서 피크립트 설정
200 : 서버
200~: 서버 설명, 서버에서 피크립트 설정
300 : 인터넷/네트워크
340 : 사용자가 해당 1차 태그를 이용한 정도를 시각화함 n=1, 사용량에 따라 연결된 라인의 선두께가 달라짐
342 : 사용자가 해당 1차 태그를 이용한 정도를 수치화함 n=2
344 : 사용자가 해당 1차 태그를 이용한 정도를 수치화함 n=3
350 : n=1인 1차 태그와 연결된 라인
352 : n=2인 1차 태그와 연결된 라인
354 : n=3인 1차 태그와 연결된 라인
360 :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1차 태그와 연결된 상태를 의미.
362 : 사용자 1차 태그와 다른 사용자들(혹은 다른 사용자의 1차 태그들)과 연결된 상태를 의미.
400 : 종이
410 : 촬영/스캔 영역 디지털 표기
420 : 촬영/스캔 영역 아닐로그 표기
450 : 피크립트 전용 노트
500 : 피크립트 설정(1차태그 설정)
600~: 아날로그 1차 태그 조합 그룹을 통칭하여 나타냄
600 : 1차 태그 : @sonsory
602 : 1차 태그 : #INSTA
604 : 1차 태그 : #FB
606 : 1차 태그 : #TWT
608 : 1차 태그 : #notice
610 : 1차 태그 : #memo
612 : 1차 태그 : #call
614 : 1차 태그 : #news
616 : 1차 태그 : #business
618 : 1차 태그 : #picture
620 : 1차 태그 : #movie
622 : 1차 태그 : #BBS
624 : 1차 태그 : #trip
626 : 1차 태그 : #command
630 : 1차 태그 : #Bounty
631 : 1차 태그 : #GLAD
632 : 1차 태그 : #ramen
633 : 1차 태그 : #coke
634 : 1차 태그 : #Tide
635 : 1차 태그 : #HUGGIES
636 : 1차 태그 : #Gillette
640 : 사용자 정의형 1차 태그 예시 : call, memo, send, notice, notice, movie
650 : 1차 태그 조합 : @sonsory, #INSTA #FB
654 : 1차 태그 조합 : @sonsory, #call
656 : 1차 태그 조합 : @sonsory, #manual, #PC
658 : 1차 태그 조합 : #bank, $sonsory @yuelua $2000
670 : 2차 태그 - 전화걸기, 야식, ...
672 : 2차 태그 - 다이어리, 메모, 일정, ...
674 : 2차 태그 - 자유게시판 ...
676 : 2차 태그 - 영화, 공유 ...
678 : 2차 태그 - 주차연락처 ...
680 : 2차 태그 - 명령어, 제어, ...
700 : 디지털 1차 태그
100: terminal, user device, smartphon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erminal description, Pikcrypt settings in the terminal
200: server
200~: server description, set peakscript on server
300: Internet/Network
340: Visualizes the extent to which the user has used the primary tag n=1, the leading thickness of the connected line varies according to usage
342: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uses the primary tag is digitized n = 2
344: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uses the primary tag is digitized n = 3
350: line connected to the primary tag of n = 1
352: line connected to the primary tag of n = 2
354: line connected to the primary tag of n = 3
360: This means that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primary tag of other users.
362: This means that the user's primary tag is connected to other users (or primary tags of other users).
400: Paper
410: digital display of shooting/scanning area
420: shooting/scanning area analog display
450: Pikrypt exclusive note
500: Peak script setting (1st tag setting)
600~: Indicates the analog 1st tag combination group collectively
600: 1st tag: @sonsory
602: Primary tag: #INSTA
604: Primary tag: #FB
606: Primary tag: #TWT
608: Primary tag: #notice
610: 1st tag: #memo
612: Primary tag: #call
614: Primary tag: #news
616: primary tag: #business
618: primary tag: #picture
620: 1st tag: #movie
622: 1st tag: #BBS
624: Primary tag: #trip
626: Primary tag: #command
630: 1st tag: #Bounty
631: Primary tag: #GLAD
632: 1st tag: #ramen
633: 1st tag: #coke
634: Primary Tag: #Tide
635: Primary Tag: #HUGGIES
636: Primary tag: #Gillette
640: Examples of user-defined primary tags: call, memo, send, notice, notice, movie
650: 1st tag combination: @sonsory, #INSTA #FB
654: 1st tag combination: @sonsory, #call
656: 1st tag combination: @sonsory, #manual, #PC
658: 1st tag combination: #bank, $sonsory @yuelua $2000
670: 2nd tag - phone call, late night snack, ...
672: 2nd tag - diary, memo, schedule, ...
674: 2nd tag - free bulletin board ...
676: Secondary Tags - Movies, Shares...
678 : 2nd tag - parking contact ...
680 : 2nd tag - command, control, ...
700: digital primary tag

Claims (1)

문자 태그에 대한 사전 정의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상기 문자 태그를 습득할 수 있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및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문자 태그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상에서 선택, 입력, 화면 스캔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통해 제1 문자 태그가 포함된 제1 데이터를 습득하는 선택/입력부;
상기 단말기로 이미지 스캔 또는 동영상 촬영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통해 제2 문자 태그가 포함된 제2 데이터를 습득하는 촬영/스캔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또는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 또는 제2 문자 태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문자 태그 및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문자 태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문자 태그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데이터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입력 또는 촬영/스캔한 목적을 단말기에 있는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 하거나,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시스템.
Including software capable of predefining text tags, a terminal capable of acquiring the text tags online or offline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a server to integrate, manage, and share data enabling users to pre-set the text tags・In the authentication system

a selection/input unit that acquires first data including a first text tag through at least one of selection, input, and screen scanning on the terminal;
a photographing/scanning unit acquiring second data including a second character tag through at least one process of scanning an image or capturing a video using the terminal;
a detection unit receiving at least one of first and second data from the terminal and detecting a first or second character tag;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or second character tag and the first or second data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character tag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uploads data in the terminal to the server for the purpose selected/input or photographed/scann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or the second character tag in the first or the second data, or the server An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managem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in is downloaded to the terminal.
KR1020230017082A 2018-08-24 2023-02-08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eased KR202300528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082A KR20230052851A (en) 2018-08-24 2023-02-08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773A KR102471785B1 (en) 2017-12-04 2018-08-24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0220158614A KR20230052843A (en) 2018-08-24 2022-11-23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0230017082A KR20230052851A (en) 2018-08-24 2023-02-08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614A Division KR20230052843A (en) 2018-08-24 2022-11-23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851A true KR20230052851A (en) 2023-04-20

Family

ID=8444014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620A Withdrawn KR20220163322A (en) 2018-08-24 2022-11-23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0220158614A Ceased KR20230052843A (en) 2018-08-24 2022-11-23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0230017082A Ceased KR20230052851A (en) 2018-08-24 2023-02-08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620A Withdrawn KR20220163322A (en) 2018-08-24 2022-11-23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0220158614A Ceased KR20230052843A (en) 2018-08-24 2022-11-23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20163322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843A (en) 2023-04-20
KR20220163322A (en)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9724B (en) Capture information automatically, e.g. using document-aware devices
US9336435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processing based on object recognition
US20140108456A1 (en) Image triggered transactions
US9349046B2 (en)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tension for context-dependent workflows
CN101765840A (en) Capture and display of annotations in paper and electronic documents
CN10383856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1292258A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and use of mixed media environments
US933030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processing based on object recognition
KR101477642B1 (en) Flat board printer
KR102471785B1 (en)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230052851A (en)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180025297A (en) Online/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certification method and system
Schoemaker et al. Digital Identity and inclusion: tracing technological transitions
KR1015570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image contents registration service
CN106170798A (en)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pansion for context-sensitive workflows
KR102427357B1 (en) Online and 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binary code
US10217015B2 (en) Physical and digital bookmark syncing
Samangouei et al. Active authentication using facial attributes
KR20210053838A (en) Online and 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binary code
KR102706677B1 (en) Signature recommend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John et al. Document digitiza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tanzania
Leung Working with Images
KR20210069603A (en) Online and 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binary code
Nakanishi et al. Finger-Touch Direction Feature Using a Frequency Distribution in the Writer Verification Base on Finger-Writing of a Simple Symbol
KR1016469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network service with differential exposure function,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2112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20158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