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7898A -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 Google Patents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898A
KR20230057898A KR1020210142219A KR20210142219A KR20230057898A KR 20230057898 A KR20230057898 A KR 20230057898A KR 1020210142219 A KR1020210142219 A KR 1020210142219A KR 20210142219 A KR20210142219 A KR 20210142219A KR 20230057898 A KR20230057898 A KR 2023005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electronic document
electronic
cloud
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진성
Original Assignee
망고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망고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망고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898A/en
Publication of KR2023005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898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06F40/157Transformation using dictionaries or 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writing and converting an electronic document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writing and converting an electronic document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capable of writing an electronic document, and converting the electronic document into an electronic document form according to HTML standard protocols in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providing a cooperative environment such that multiple users can write the electronic document onlin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writing and converting an electronic document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nd opening a file to be edited on a terminal connected to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separating text information and format information from the selected file to be edited; and performing table processing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Electronic document creation and conversion method of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저들이 온라인으로 전자 문서의 작성이 가능하도록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고, HTML 표준 규약에 따른 전자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method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nd more particularly, to create an electronic document in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that provides a collaborative environment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create electronic documents online , It relates to a method of converting into an electronic document format according to HTML standards.

최근에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이 구축되고, 언제 어디에서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원격지의 서버를 통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인 전자 단말 장치에 전자 문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단말 장치에 소정의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에서든지 전자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a high-speed Internet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and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llowing access to the Internet anytime, anywhere has been established, electronic document-related services are provided to electronic terminal devices, which are client terminals, through remote servers, so that users can access electronic documents. An online-based document creation service has emerged that allows users to read, create, and edit electronic documents anytime, anywhere, even without install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document-related program in a terminal device.

이러한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문서 작성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통해 전자 문서를 열람, 작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상기 전자 문서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동시 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This online-based document creation service supports various client terminals to view, write, and edit electronic documents through browsers installed in the client terminals after accessing th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t is mainly used by companies or organizations in that it supports simultaneous collaboration on electronic documents in real time.

그리고,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소정의 전자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인터넷에 접속만 할 수 있으면, 클라이언트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전자 문서를 열람하고, 작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어, 개인 사용자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online-based document creation service allows users to view, create, and edit electronic documents through a browser installed in a client terminal, as long as they can access the Internet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predetermined electronic document preparation program in the client terminal. Since the user's mobility can be guaranteed, the number of individual users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관공서 및 학교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글과 컴퓨터사의 이른바 "아래아 한글" 또는 "HWP 문서"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서 사용되기에 다소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so-called "Araeah Hangul" or "HWP document" of Hangeul and computer companies, which are widely used mainly in government offices and schools in Korea, has some problems because it is used in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한글과 컴퓨터사에서는 문서 형식의 개방성과 표준화라는 가치 설정을 기반으로 한글 97의 문서형식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한글 2002~2010 문서의 XML 형식은 HWPML(Hangul Word Processor Markup Language)에 대해서도 문서를 공개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HWPML 형식파일은 태그 포맷으로되어있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며, 텍스트파일로 저장되어 있다. HWPML 스펙은 OWP-ML이란 이름으로 한국산업표준(KS X 6101:2 011)으로 제정되었다. 또한 한컴오피스에서 기록물 장기보존표준포맷인 PDF/A-1의지원과 ISO 국제문서형식인 ODF와 OOXML 파일 형식의 불러오기와 저장하기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gul and computer companies support the document format of Hangul 97 free of charge based on the value set of openness and standardization of document format, and the XML format of Hangul 2002-2010 document is also open to HWPML (Hangul Word Processor Markup Language). It is known to be doing The HWPML format file is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in a tag format and is stored as a text file. The HWPML specification was established as a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X 6101:2 011) under the name OWP-ML. It is also known that Hancom Office supports PDF/A-1, the standard format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records, and import and save of ODF and OOXML file formats, which are ISO international document formats.

한편, HWP 파일 문서 파일에 저장되는 내용은, 실제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의 내용과 문자장식정보뿐 아니라 문서를 편집할 당시 글꼴에 대한 정보, 조판에 영향을 주는 설정 사항(용지 종류, 여백정보) 등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HWP file document file include not only the contents and character decoration information of the document actually input by the user,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font at the time of editing the document, and settings affecting typesetting (paper type, margin information) Also includes

그런데, HWP 파일 문서는 파일의 크기의 최소화를 위해 zlib.org의 zlib을 사용한다. zlib은 웹상에 소스가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한글문서 파일 5.0의 구조는 윈도우즈의 복합파일에 기초를 두며, 문자 코드 ISO-10646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대부분의 문자정보는 유니코드(UTF-16LE) 형식으로 전달되고 저장된다. 그러나, 이처럼 공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zlib 소스를 이용하더라도, HWP 파일의 문서 구조가 "깨지지 않도록" 완벽히 편집 및 저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HWP file document uses zlib of zlib.org to minimize the size of the file. zlib is a software whose source is open on the web. The structure of Hangul Document File 5.0 is based on the Windows compound file, and the character code is based on the ISO-10646 standard, and most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Unicode (UTF-16LE). ) format and stored. However, even if the zlib source known to be open is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ocument structure of the HWP file cannot be completely edited and saved so as not to be “broken”.

이와 관련하여, HWP의 변환을 위한 선행 연구로서 스냅샷 기반 연산 오프로딩이 있다. 스냅샷 기반 연산 오프로딩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HTML, CSS, JavaScript로 이루어진 또 다른 웹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저장하는 스냅샷 기술을 이용한다. 이때 웹 어플리케이션은 HTML 문서를 파싱해서 DOM tree 를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현재화면의 상태정보를 가지게 하는 변환기술이다.In this regard, as a preceding study for HWP conversion, there is snapshot-based computation offloading. Snapshot-based computation offloading uses snapshot technology to save the state of a web application in the form of another web application consisting of HTML, CSS, and JavaScript. At this time, the web application is a conversion technology that parses the HTML document to create a DOM tree, displays it on the screen, and ha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screen.

HTML 문서 내에서도 정확한 본문영역만을 추출하여 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본문 추출에 대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도 있었다. There was also a study on an algorithm for extracting the text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document by extracting only the correct text area within the HTML document.

이처럼 HWP 문서를 HTML 문서로 적절히 변환하는 기술에 관한 요청이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As such, a request for a technology for appropriately converting an HWP document into an HTML document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유저들이 온라인으로 전자 문서의 작성이 가능하도록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고, HTML 표준 규약에 따른 전자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response to the above requests, and creates electronic documents in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that provides a collaborative environment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create electronic documents online, and electronic documents comply with HTML standard rul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verting to a document form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은,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 연결된 단말에서 편집 대상 파일을 선택하여 여는 단계; 선택된 상기 편집 대상 파일로부터 텍스트 정보와 포맷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eparing and converting an electronic document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selecting and opening an editing target file in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separating text information and format information from the selected file to be edited; and performing table processing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이 때, 상기 테이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진 문단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performing the table processing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a paragraph consisting only of text.

또한, 상기 테이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대상 파일에 포함된 표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forming of the table processing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text from a table included in the editing target file.

또한, 상기 테이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대상 파일에 포함된 표를 이미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forming of the table processing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a table included in the editing target file as an image.

다른 측면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은, 복수의 전자 문서들;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해 연관 전자 문서로 연결(link)되어 있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1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문서 제공부;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문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연결 문서 목록 제공부; 및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문서 목록으로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 중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2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연결 문서 제공부;를 포함한다.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 document storage in which information on at least one link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in advance as being link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When a request for access to a first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received from a client terminal of a first user connected to a network,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extracted from the document storage and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a markup language. Document providing unit for converting a first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 based format, storing the first markup document in a memory, and transmitting the first markup document to a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 After check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document storage, a document list for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s generated, Connection document list provider to transmit to the client terminal; and when an access request for a second linked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to the document lis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extracting the second linked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document storage. and a connection document providing unit which converts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nto a second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and transmits the second markup document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또다른 측면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방법은, 복수의 전자 문서들과,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해 연관 전자 문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를 유지하는 단계;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1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문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문서 목록으로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 중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2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method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nd at least one link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in advance as being connected as a related electronic docum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maintaining a document storage in which information about information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When a request for access to a first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received from a client terminal of a first user connected to a network,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extracted from the document storage and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a markup language. converting the first markup document into a first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base format, storing the first markup document in a memory, and transmitting the first markup document to a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fter check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document storage, a document list for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s generated, transmitting to a client terminal; and when a request for access to a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to the document lis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document storage. 2 extracting the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converting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nto a second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and transmitting the second markup document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clude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복수의 유저들이 온라인으로 전자 문서의 작성이 가능하도록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고, HTML 표준 규약에 따른 전자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ethod of creating an electronic document in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that provides a collaborative environment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create an electronic document online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onic document format according to HTML standard rules. There are possible effects.

도 1은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도,
도 2는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도이다.
1 is a flow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n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and conversion method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 exampl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 exampl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reating an electronic document in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of creating and converting an electronic document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은, 파일 선택 단계(S100), 텍스트 정보와 포맷 정보 분리 단계(S110) 및 테이블 프로세싱 단계(S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and conversion method of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a file selection step (S100), a text information and format information separation step (S110), and a table processing step (S120). It is done by

파일 선택 단계(S100)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 연결된 단말에서 편집 대상 파일이 선택되어 열린다. In the file selection step (S100), a file to be edited is selected and opened in a terminal connected to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텍스트 정보와 포맷 정보 분리 단계(S110)에서는, 선택된 편집 대상 파일로부터 텍스트 정보와 포맷 정보가 분리된다. In the step of separating text information and format information (S110), text information and format information are separated from the selected file to be edited.

테이블 프로세싱 단계(S120)에서는, 분리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문서 전체에 대한 테이블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In the table processing step (S120), tabl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entire corresponding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separated text information.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전자문서 변환이 이루어지면, 이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서는 2개의 HTML 파일이 생성된다. When the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through this process, two HTML files are generated in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하나는 서식관리를 위한 CSS 파일이고 나머지 하나는 문서 내용 표현을 위한 텍스트 HTML파일이다.One is a CSS file for format management and the other is a text HTML file for expressing document contents.

서식 정보를 CSS에 따로 보관하는 이유는 변환과정에서 반복되는 서식이 HTML코드에서 중복되어 나타내어지는 부분을 간략화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formatting information is stored separately in CSS is to simplify the part where repeated formatting in the conversion process is duplicated in the HTML code.

변환범위를 문자와 표로 제한시켰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용되는 서식도 일정한 패턴의 반복이 주를 이룬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반복되는 서식을 HTML 변환파일에 반복적으로 삽입하는 방법 대신 서식의 패턴을 CSS 파일에 일정한 형식으로 지정하여 저장하고 패턴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Since the range of conversion is limited to letters and tables, the format used for this is mainly a repetition of a certain pattern.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process this, a method of specifying and saving the pattern of the format in a certain format in the CSS file and inserting the pattern is used instead of repeatedly inserting the repetitive format into the HTML conversion file.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반복되는 속성을 줄여 파일의 크기 및 변환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By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improve file size and conversion speed by reducing repeated attributes.

한편, 테이블 프로세싱 단계(S30)에서 수행되는 테이블 프로세싱은 적어도 세 가지의 하위 처리단계를 더 수행한다. Meanwhile, the table processing performed in the table processing step (S30) further performs at least three sub-processing steps.

첫번째로,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진 문단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First, a step of processing a paragraph consisting only of text may be further performed.

두번째로, 편집 대상 파일에 포함된 표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Second, a step of extracting text from a table included in a file to be edited may be further performed.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는 개체이기 때문에 이러한 표에 대해 따로 처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는 정확한 위치 좌표가 지정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장했을 때의 위치가 글자처럼 특정위치에 지정되지 않기 때문에 작성한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 환경이 다른 모니터에서 열람되었을 때 작성자가 의도한 위치에 보존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ince tables that are not text-processed are entities,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se tables separately.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act location coordinates are not specified for tables that are not text-processed. Therefore, since the location at the time of saving is not specified in a specific location like letters, when the computer created and the other computer or environment are viewed on a different monitor, it is not preserved in the location intended by the author and placed in a different loc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페이지의 크기와 문단, 글자 처리된 표의 위치와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의 위치의 충돌 여부를 체크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heck whether the size of the page, the paragraph, and the location of the text-processed table collide with the location of the non-text-processed table.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의 위치와 크기를 이용하여 다른 요소들과 충돌이 생기지 않는 위치로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를 배치시키고 위치를 지정하여 HTML로 변환할 때 지정한 위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By us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text-free table, the text-free table is plac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collide with other elements, and the location is specified to use the specified location when converting to HTML.

HWP 문서의 실제 문자 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클래스를 PageRecordChar로, 문단, 표(글자 처리된 표), 사각형(글자처리 안된 표)을 구별하는 열거형 클래스를 PageRecordType로 각각 정의하여 PageRecord를 구성할 수 있다. Define PageRecordChar as a class that stores and processes information on actual character values of HWP documents, and PageRecordType as an enumeration class that distinguishes paragraphs, tables (lettered tables), and rectangles (non-lettered tables), respectively. can be configured.

글자 처리된 표는 문단과 동일하게 처리하기 때문에 이 루틴을 통해 처리되고,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는 페이지 크기를 처리하는 PageSize의 페이지를 나누는 기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PageSplit에서 페이지 경계 및 다른 문자들 사이의 충돌 여부를 확인한 후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를 찾아낸다. Since texted tables are processed in the same way as paragraphs, they are processed through this routine, and non-lettered tables are processed through page boundaries and other characters in PageSplit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page dividing standard of PageSize, which handles the page size. Afte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ollision between the characters, it finds a table that has not been processed.

이 정보로 구성된 표를 매개 변수로 전달받은 TablePosition에서 글자처리 되지 않은 표에 대한 부분을 처리한다. 이 때 글자 처리 되지 않았기 때문에 글자들과 표가 충돌 가능성이 있어 문단들과 충돌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이용하여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로 표의 위치를 설정한다. In TablePosition, which received the table composed of this information as a parameter, process the part about the table that is not text-processed. At this time, since the characters are not processe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table, so whether or not there is a collision with paragraphs is used to set the position of the table to a position where collision does not occur.

처리된 정보들은 종류에 따라 문단과 글자 처리된 표의 정보를 PageRecord에 바로 저장한다. According to the type of processed information, paragraphs and text-processed table information are immediately stored in PageRecord.

세번째로, 편집 대상 파일에 포함된 표를 이미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Thirdly, a step of processing a table included in an editing target file as an image may be further performed.

글자처리되지 않은 표는 TableRecord에서 정보를 받아 PageRecord에 저장한다. PageRecord는 Page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가 된다. Tables that are not text processed receive information from TableRecord and save it to PageRecord. PageRecord is the basic unit that composes Page.

이와 같이 함으로써, HWP문서에 대하여 페이지 단위로 페이지에 저장된 모든 글자, 문단, 표, 서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on all characters, paragraphs, tables, and forms stored in a page for each page of the HWP document.

본 발명에서 HWP 문서 내의 텍스트는 Page에 저장된 PageRecord를 이용하여 HTML 문서로 생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텍스트 HTML 문서가 완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in the HWP document is created as an HTML document using the PageRecord stored in the Page, so that the text HTML document is finally completed.

도 2는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ccording to an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110)은 문서 저장소(111), 문서 제공부(112), 연결 문서 목록 제공부(113) 및 연결 문서 제공부(1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110 includes a document storage 111, a document providing unit 112, a linked document list providing unit 113, and a linked document providing unit 114.

문서 저장소(111)에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과,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해 연관 전자 문서로 연결(link)되어 있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자 문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자 문서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에 포함되는 전자 문서임)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In the document storage 111,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nd at least one link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in advance as being linked as a related electronic docum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the at least one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Information about electronic documen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이때, 문서 저장소(111)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은 "hwp"나 "docx" 등의 확장자를 갖는 설치형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구동 가능한 일반적인 전자 문서 파일의 포맷을 갖는 문서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refer to documents having a format of a general electronic document file that can be driven by an installable document creation program having an extension such as "hwp" or "docx".

문서 제공부(112)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문서 저장소(111)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1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When a request for access to a first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received from a client terminal (not shown) of a first user connected to a network, the document providing unit 112 stores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document storage 111. After extracting 1 electronic document,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a first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and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여기서,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문서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열람이 가능한 마크업 언어로 구성된 문서를 의미한다.Here, a document composed of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means a document composed of a markup language such as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or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that can be viewed through a browser installed in a client terminal.

연결 문서 목록 제공부(113)는 문서 저장소(111)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문서 목록을 생성하여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The linked document list providing unit 113 check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as being linked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document storage 111 and then returns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to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A document lis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연결 문서 제공부(114)는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문서 목록으로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 중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문서 저장소(111)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2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를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When a request for access to a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to the document lis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connected document providing unit 114 stores the document storage 111 in the connection document. After extracting the second linked electronic document, the second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a second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and the second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연결 문서 추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document addition unit 115 .

연결 문서 추가부(115)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에서 선택된 제2 전자 문서로의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Aft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connection document adder 115 may select a first markup documen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2 When a linking command 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n the document storage 111 corresponds to information o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add

또한,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110)은 제1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6) 및 제2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1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nked document deletion processor 116 and a second linked document deletion processor 117 .

제1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6)는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이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즉시 삭제한다.The first linked document deletion processing unit 116 may change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to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After being added, when a command to delete a connection to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document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is immediately deleted.

제2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7)는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이후, 제1 유저가 아닌 다른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시점으로부터 선정된(predetermined) 시간 이내에 선정된 명수 이상의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다.The second linked document deletion processing unit 117 determines that information o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corresponds to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After being added, if a command to delete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linked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from client terminals of us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From the client terminal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s or mo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is added to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correspondence thereto, 2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command to delete the connection to the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Delete information about a document.

또한,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110)은 편집 명령 수신부(118), 문서 편집 수행부(119) 및 편집 문서 저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110 may further include an editing command receiver 118 , a document editing performer 119 , and an edited document storage unit 120 .

편집 명령 수신부(118)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수신한다.When the editing command receiving unit 118 receives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ft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is received from a client terminal of one user.

문서 편집 수행부(11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반영하여 편집을 수행한다.The document editing execution unit 119 performs editing by reflecting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on the first markup document stored in the memory.

편집 문서 저장부(120)는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 완료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전자 문서와 동일한 문서 포맷으로 변환하여 문서 저장소(111)에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대체해서 저장한다.When an editing completion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edited document storage unit 120 transfers the edited first markup document stored in the memory to the first markup document.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the same document format as the electronic document and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place of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이때,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수신되면,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렌더링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제1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received,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renders the first markup document through the first browser installed in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displays the first markup document on the screen. 1 Edit the first markup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input from the user, and transmit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to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110 can

이때, 문서 저장소(111)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한 편집 이력 정보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document storage 111, edit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여기서, 상기 편집 이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 유저의 이름, 편집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edit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a name of a user who edited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nd information about a completion time of editing.

이때, 연결 문서 제공부(114)는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문서 목록으로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 중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를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편집 이력 정보를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document providing unit 114 receives a request for access to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ion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to the document list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connection document providing unit 114 . The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and the second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Editing histor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또한, 편집 문서 저장부(120)는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 완료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전자 문서와 동일한 문서 포맷으로 변환하여 문서 저장소(111)에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대체해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과 상기 편집 완료 명령이 수신된 시간에 기초하여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편집 이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diting completion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edited document storage unit 120 retrieves the edited first markup document stored in the memory.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the same document format as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and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place of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document storage 111 ), edit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may be updated.

또한,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110)은 전자 문서 다운로드 처리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11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document download processor 121 .

전자 문서 다운로드 처리부(121)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문서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파일을 파일 개체(object)로 삽입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가 파일 개체로 삽입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파일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document download processing unit 121 receives a download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ft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fter the file for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inserted as a file object on the electronic document, the file for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n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inserted as a file object is insert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이하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110)의 동작에 대해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

우선, 문서 저장소(111)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복수의 전자 문서들과,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해 연관 전자 문서로 연결(link)되어 있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한 편집 이력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First, in the document storage 111, as shown in Table 1 below,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nd at least one link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in advance as being linked to a related electronic docum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formation on and editing history information o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may b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이때,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전자 문서 1"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문서 제공부(112)는 문서 저장소(111)로부터 "전자 문서 1"을 추출하여 상기 "전자 문서 1"을 HTML 등과 같은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마크업 문서 1"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마크업 문서 1"을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 자체의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상기 변환된 "마크업 문서 1"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n access request for “electronic document 1”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document providing unit 112 extracts “electronic document 1” from the document storage 111 and After converting the "electronic document 1" into a "markup document 1"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such as HTML, the converted "markup document 1"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online document creation service device 110 itself. and may transmit the converted “Markup Document 1”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이때, 연결 문서 목록 제공부(113)는 문서 저장소(111)로부터 상기 "전자 문서 1"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지정된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문서 목록을 생성하여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문서 목록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ked document list providing unit 113 checks information on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design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1” from the document storage 111, and then “electronic document 1”. Document lists for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may be generated and the document lists for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may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이렇게,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전자 문서 1"과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문서 목록이 전송되면,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마크업 문서 1"을 렌더링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ocument lists for “electronic document 1”,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ar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receives the first user's client terminal. The “markup document 1” may be render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first browser installed in the .

이와 동시에,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문서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가 상기 "전자 문서 1"에 연관되는 것으로 연결 문서임을 표시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displays document lists for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on the screen, so that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are displayed as the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It is related to "electronic document 1" and can indicate that it is a linked document.

이렇게,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마크업 문서 1"과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문서 목록이 화면 상에 표시되면, 제1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브라우저 상에서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제1 유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ocument list for “Markup Document 1”,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first user through the client terminal Editing of the "Markup Document 1" may be performed on the first browser, and at this time, when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is input from the first user,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responds to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Accordingly, the "markup document 1"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edited, and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110 .

이때, 편집 명령 수신부(118)는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이 전송되면,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문서 편집 수행부(11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반영하여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for the "markup document 1" is transmitt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editing command receiving unit 118 receives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the document editing execution unit 119 may perform editing on the “Markup Document 1” by reflecting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to the “Markup Document 1” stored in the memory. there is.

그리고 제1 유저가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편집을 완료함에 따라, 제1 유저가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서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저장 버튼을 누르는 등의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편집 완료 명령을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면, 편집 문서 저장부(120)는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마크업 문서 1"을 상기 "전자 문서 1"과 동일한 문서 포맷으로 변환하여 문서 저장소(111)에 상기 "전자 문서 1"을 대체해서 저장함과 동시에 제1 유저의 이름과 상기 편집 완료 명령이 수신된 시간에 기초하여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편집 이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And, as the first user completes editing of the “Markup Document 1”, the first user performs an action such as pressing a save button for the “Markup Document 1” through the client terminal, thereby causing the “Markup Document 1” to be edited. When an editing completion command for “Markup Document 1” is transmitted to the online document writing service device 110, the edited document storage unit 120 stores the edited “Markup Document 1” stored in the memory. The “Electronic Document 1” is converted into the same document format as the “Electronic Document 1” and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place of the “Electronic Document 1”. Edit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correspondence to the "electronic document 1" may be updated on (111).

이를 통해, 제1 유저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해서 문서 저장소(11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전자 문서 1"을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제1 브라우저를 통해 원격지에서 편집 및 작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user accesses the online document writing service device 110 and downloads the "electronic document 1"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from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first browser installed in his or her client terminal. Can edit and write.

이렇게, 제1 유저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서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때,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를 추가적으로 참고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유저는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서 표시되고 있는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문서 목록을 보고, 자신이 원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user edits the "markup document 1" through his/her client terminal, the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linked to the "markup document 1" ", the first user sees the list of documents for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displayed through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 access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110 .

만약,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 중 "전자 문서 3"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에 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연결 문서 제공부(114)는 문서 저장소(111)로부터 "전자 문서 3"을 추출한 후 상기 "전자 문서 3"을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마크업 문서 3"으로 변환하여 상기 "마크업 문서 3"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 문서 3"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편집 이력 정보인 "편집 유저: 유저 1, 편집 완료 시간: 2015년 2월 3일 1시"를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110 receives a request for access to “electronic document 3” among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connection document The study 114 extracts "electronic document 3" from the document storage 111 and converts the "electronic document 3" into a "markup document 3"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to obtain the "markup document 3"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at the same time, "Editing user: user 1, editing completion time: February 3, 2015, 1:00," which is the edit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3" is provid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1 user.

이를 통해, 제1 유저는 상기 "마크업 문서 1"을 편집하면서, 자신이 보기를 원하는 연결 문서인 상기 "전자 문서 3"을 클라이언트 단말의 상기 제1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마크업 문서 3"의 형태로 볼 수 있어서, 제1 유저는 상기 "전자 문서 1"과 연관된 것으로 연결된 연결 문서인 상기 "전자 문서 3"을 함께 열어볼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user edits the "Markup Document 1", and the "Electronic Document 3", which is a linked document that the first user wants to view, through the first browser of the client terminal of the "Markup Document 3". In this way, the first user can open the "electronic document 3", which is a linked document rela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1".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마크업 문서 1"이 전송되어, 제1 유저가 상기 "마크업 문서 1"을 편집하는 중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해서 문서 저장소(111)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특정 전자 문서를 연결 문서로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해서 자신이 연결 문서로 지정하고자 하는 특정 전자 문서로의 연결 명령을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arkup document 1"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while the first user is editing the "Markup document 1", the "Markup document 1" is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When designating a specific electronic document among a plurality of existing electronic documents as a linked document, the first user connects to the specific electronic document he/she intends to designate as a linked document for the "markup document 1" through the client terminal. A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110 .

예컨대, 제1 유저가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해 문서 저장소(111)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전자 문서 2"로 연결되도록 하는 문서 연결 명령을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하였다고 하는 경우, 연결 문서 추가부(115)는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인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해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For example, a document connection command for a first user to connect to "electronic document 2"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for the "markup document 1" is created online through a client terminal. In the case of transmission to the service device 110, the connection document adding unit 115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ocument 1" in the document storage 111, such as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ocument 2” may be added to “document 4, electronic document 5”.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유저는 전자 문서를 편집하는 도중 해당 전자 문서에 대해 자신이 연결하기를 원하는 다른 전자 문서를 손쉽게 연결함으로써, 추후 다시 해당 전자 문서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때, 자신이 연결한 연결 문서들을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user easily connects another electronic document he/she wants to link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ocument while editing the electronic document, so that when editing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ocument again later, the first user connects the electronic document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ocument. Linked documents may be provided together from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110 .

이때, 제1 유저에 의해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인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해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이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6)는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전자 문서 2,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라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를 즉시 삭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bout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which is information abou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s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ocument 1” by the first user, is stor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111”. If a command to delete the connection to the “electronic document 2”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fter the information on “document 2” is added, the first linked document deletion processing unit 116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document storage 111. Information on “Electronic Document 2” can be immediately deleted from among the information on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s “Electronic Document 2,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Electronic Document 5”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lectronic Document 1”. .

하지만, 제1 유저에 의해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인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해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이후, 제1 유저가 아닌 다른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문서 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7)는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라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시점으로부터 선정된(predetermined) 시간 이내에 선정된 명수 이상의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전자 문서 2,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라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However,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s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11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ocument 1" by the first user, such as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the "electronic document 1" After information on “Document 2” is added, if a command to delete the connection to “Electronic Document 2” connected to “Electronic Document 1” is received from client terminals of us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the second connection The document deletion processing unit 117 stores information abou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s, such as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1” in the document storage 111, in the “electronic document 1”. Document storage 111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mmand to delete the connection to the “electronic document 2” has been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s or mo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on “document 2” is added. ) to delete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ocument 2”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s “Electronic Document 2,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1” can

예컨대, 상기 선정된 시간을 "24시간", 상기 선정된 명수를 "10명"이라고 하는 경우, 제2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7)는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라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내에 "10명" 이상의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문서 저장소(111) 상에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전자 문서 2,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라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전자 문서 2"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time is "24 hours" and the selected number is "10", the second connection document deletion processing unit 117 corresponds to the "electronic document 1" in the document storage 111 "10" or more users within "24 hours" from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on "Electronic Document 2" is added to the information on the stored linked electronic documents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Electronic document 2, electronic document 3,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s, e.g.,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ocument 2" may be deleted.

즉, 제1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6)는 연결 전자 문서를 지정한 유저가 직접 해당 연결 전자 문서의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본인이 연결 전자 문서를 지정한 유저이기 때문에 즉시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제2 연결 문서 삭제 처리부(117)는 연결 전자 문서를 지정하지 않은 다른 유저들이 해당 연결 전자 문서의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본인이 연결 전자 문서를 지정한 유저가 아니기 때문에 연결 전자 문서가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특정 명수 이상의 유저들이 해당 연결 전자 문서의 삭제를 요청할 때에만 삭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who designates a linked electronic document directly requests deletion of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the first linked document deletion processing unit 116 immediately deletes the linked document because he/she is a user who has designated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2 When other users who do not designate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request deletion of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the linked document deletion processor 117 deletes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at a specific time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designated because the user is not the user who specified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The dele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when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users request deletion of the corresponding linked electronic document within a specified number of day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크업 문서 1"이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마크업 문서 1"에 대한 클라이언트 단말로의 다운로드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문서 다운로드 처리부(121)는 상기 "전자 문서 1" 상에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라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파일을 파일 개체(object)로 삽입한 후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가 파일 개체로 삽입된 상기 "전자 문서 1"에 대한 파일을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Markup Document 1"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 download comman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o the client terminal for the "Markup Document 1" is received, the electronic document download processing unit 121 inserts the files for the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s of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1" as a file object, and then The file for the "Electronic Document 1" in which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are inserted as file entities may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이때, 전자 문서 다운로드 처리부(121)는 현재 편집 중인 응용소프트웨어로 다른 응용소프트웨어에서 작성한 그림이나 표, 차트,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를 곧바로 끌어오는 기능인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개체의 형태로 상기 "전자 문서 1" 상에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라는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파일을 삽입하되, "전자 문서 1" 상에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파일을 연결(Linking) 방식이 아닌 임베딩(Embedding)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제1 유저가 "전자 문서 1"에 대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실행시켰을 때, "전자 문서 1" 상에 파일로 임베딩되어 있는 "전자 문서 3, 전자 문서 4, 전자 문서 5"에 대한 파일을 로드해 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nic document download processing unit 121 is the application software currently being edited in the form of an OL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bject, which is a function that directly pulls data such as pictures, tables, charts, and videos created in other application software. Insert the files for the linked electronic document called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on "Document 1", By inserting a file for "electronic document 1" in an embedding method instead of a linking method, when the first user downloads the file for "electronic document 1" and executes it through a client terminal, the file on "electronic document 1" It is possible to support loading of files for "electronic document 3, electronic document 4, and electronic document 5" embedded in .

도 3은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단계(S210)에서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과,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해 연관 전자 문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자 문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자 문서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에 포함되는 전자 문서임)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를 유지한다.In step S210,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nd at least one link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in advance as being connected as a related electronic docum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the at least one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 document repository is maintained in which information about electronic documents included among documents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단계(S220)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1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In step S220, when a request for access to a first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received from a client terminal of a first user connected to a network,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extracted from the document storage and then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stored. The document is converted into a first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stored in a memory, and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a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단계(S230)에서는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문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In step S230, after check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design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document storage, a document list for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s generated. I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단계(S240)에서는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문서 목록으로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 중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2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In step S240, when an access request for a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to the document lis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document storage. After extracting the document,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a second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and the second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에서 선택된 제2 전자 문서로의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may include, aft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When a linking command to a second electronic document selected from among is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n the document storage is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A step of adding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동작 방법은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즉시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이후, 상기 제1 유저가 아닌 다른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시점으로부터 선정된 시간 이내에 선정된 명수 이상의 유저들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연결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제2 전자 문서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may include adding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to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n the document repository. ,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when a command to delete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immediately deleting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and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After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added, if a command to delete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from client terminals of us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from client terminal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s or mo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is added to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ocument. Only when it is confirmed that a command to delete a connection to an electronic document has been received, information regarding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associated with the second electronic document. A step of deleting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반영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 완료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전자 문서와 동일한 문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문서 저장소에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대체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includes, aft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If received, receiving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performing editing by reflecting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on the first markup document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an editing completion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edited first markup document stored in the memory is converted into the same document format as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to and storing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n the document storage in place of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이때,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렌더링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상기 제1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상기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received,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renders the first markup document through a first browser installed in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displays the first markup document on the screen. Then, the first markup document displayed on the screen is edited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input from the first user, and the at least one editing command is sent to the online document preparation service device. can transmit

문서 저장소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한 편집 이력 정보(상기 편집 이력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 유저의 이름, 편집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document storage, edit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the edit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user who edited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the editing completion tim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may be additionally corresponded and stored.

이때, 단계(S240)에서는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문서 목록으로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 중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결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편집 이력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대체해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 완료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전자 문서와 동일한 문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문서 저장소에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대체해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유저의 이름과 상기 편집 완료 명령이 수신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편집 이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40, when an access request for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to the document lis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markup document configured in a markup language-based format, the second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editing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connected electronic document The histor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the step of replacing and storing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when an editing completion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edited first markup document stored in the memory is converted into the same document format as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and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s replaced and stored in the document storage, and at the same time, the name of the first user and based on the time when the editing completion command is received, edit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may be updated in the document storage.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문서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에 대한 파일을 파일 개체로 삽입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전자 문서가 파일 개체로 삽입된 상기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파일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is, afte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when a download command for the first markup document is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After the file for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inserted as a file object on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the file for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in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linked electronic document is inserted as a file object is inser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a client terminal of the first user.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2을 이용하여 설명한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has been describe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be omitted.

Claims (7)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에 연결된 단말에서 편집 대상 파일을 선택하여 여는 단계;
선택된 상기 편집 대상 파일로부터 텍스트 정보와 포맷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
Selecting and opening a file to be edited in a terminal connected to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separating text information and format information from the selected file to be edited; and
A method of crea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s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including; performing table processing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진 문단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편집 대상 파일에 포함된 표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 대상 파일에 포함된 표를 이미지로 처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table processing,
processing a paragraph consisting only of text;
extracting text from a table included in the editing target file; and
processing a table included in the editing target file into an imag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tep of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and conversion method of the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서식관리를 위한 CSS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문서 내용 표현을 위한 텍스트 HTML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table processing,
Creating a CSS file for format management; and
Generating a text HTML file for document content expression; further comprising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and conversion method of the platform.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식의 패턴을 상기 CSS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식의 패턴을 삽입하여 최종 HTML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
According to claim 3,
Storing at least one template pattern in the CSS file and inserting the at least one template pattern to generate a final HTML conversion file; further comprising a method for crea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s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HTML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페이지의 크기, 문단의 위치, 글자 처리된 표의 위치 및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의 위치의 상호 충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
According to claim 4,
Before the step of generating the final HTML conversion file,
Checking whether the size of the page, the position of the paragraph, the position of the text-processed table, and the position of the non-text-processed table collide with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 method of crea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s of a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HTML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에 대하여, 페이지 크기를 처리하는 PageSize의 페이지를 나누는 기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PageSplit에서 페이지 경계 및 다른 문자들 사이의 충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
According to claim 4,
Before the step of generating the final HTML conversion file,
With respect to the table where the characters are not processe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ollision between page boundaries and other characters in PageSplit using information about page division criteria of PageSize that processes the page size; further comprising a cloud-based electronic How to create and convert electronic documents in the document platfor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HTML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글자 처리되지 않은 표는 TableRecord에서 정보를 받아 PageRecord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플랫폼의 전자문서 작성 및 변환 방법.
According to claim 4,
Before the step of generating the final HTML conversion file,
The non-characterized table receives information from TableRecord and stores it in PageRecord.
KR1020210142219A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Ceased KR202300578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219A KR20230057898A (en)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219A KR20230057898A (en)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898A true KR20230057898A (en) 2023-05-02

Family

ID=8638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219A Ceased KR20230057898A (en)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89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8069B1 (en) * 2024-08-22 2025-04-22 주식회사 위메이크북 How to create a custom manuscrip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8069B1 (en) * 2024-08-22 2025-04-22 주식회사 위메이크북 How to create a custom manuscrip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622B1 (en) Allowing operating system access to non-standard fonts in a network document
US10067931B2 (en) Analysis of documents using rules
US79048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pying formatting information between Web pages
CN106471487B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files in non-native applications using an application engine
US70859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xy server, web page display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transmission apparatus
US71112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line editing of web-based documents
US9514235B2 (en) Web page authoring tool for structured documents
CA2802746C (en) System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synchronization of data
US8381093B2 (en) Editing web pages via a web browser
US7155491B1 (en) Indirect address rewriting
US200501385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pecific document change highlighting
US1141862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web-based software application translation
US20120072821A1 (en) Document editing method
US20090055755A1 (en) Representing editable attributes of embedded content
EP1672524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 formatted document to a web page
JP2005537540A (en) System and method for browser document editing
US20150309993A1 (en) Agile Enterprise Globalization
WO1999040507A1 (en) Method of updating display frames while preserving information associated therewith
CN108710490B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Web page
US7219298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verifying network addresses included in a file
WO2002082355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llecting and displaying data
KR20230057898A (en) Method for editing and converting electronic document on cloud-based electronic document platform
KR102013620B1 (en) Web based document editing server for changing template of web based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405695B2 (en) Update information automatic display method, apparatus, medium, and program
US10810355B1 (en) Allowing operating system access to non-standard fonts in a network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