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258A - The nonpower combination apparatus for sewage adulteration remova - Google Patents
The nonpower combination apparatus for sewage adulteration remov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7258A KR20230067258A KR1020210153159A KR20210153159A KR20230067258A KR 20230067258 A KR20230067258 A KR 20230067258A KR 1020210153159 A KR1020210153159 A KR 1020210153159A KR 20210153159 A KR20210153159 A KR 20210153159A KR 20230067258 A KR20230067258 A KR 202300672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lifting
- collection
- impurities
- sew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IXCSERBJSXMMFS-UHFFFAOYSA-N hydrogen chloride Substances Cl.Cl IXCSERBJSXMM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류식 하수에 혼입되는 협잡물의 수집 및 외부 인양하는 구조가 일체로 된 무동력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거의 점검용 맨홀에 설치되어 시공과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협잡물 제거가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우선적으로 작업원의 안전 보장이 되고 후속 단계 펌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less coupling device in which a structure for collecting and lifting impurities mixed in classified sewage is integrated. It is possible, and it can be monitored using smart devices, so that the safety of workers is guaranteed first and the failure of the pump in the subsequent stag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일반적으로 사람의 생활이나 경제활동으로 인하여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물질이 섞여 오염된 하수는 하수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시설(C)로 이송되는데, 일반적인 하수관거는 본 발명의 도 1의 분류식 하수관거 개념도와 같이 관로(PL)를 포함하여 맨홀(MH)과 중계펌프장(PS) 등 세가지 종류의 부속시설로 구성되어 펌프(P) 동력으로 하수를 처리시설에 옮기게 된다. 하수관거의 세가지 구성요소 각각의 역할중에 먼저 관로(PL)는, 발생 하수를 모아 자연유하 또는 펌프압송으로 이동하는 파이프라인이고, 맨홀(MH)은 관로의 청소나 점검관리를 위해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설치한 구조물이며, 중계펌프장(PS)은 하수를 자연유하로 이송하는게 어려운 여건이거나 관로의 매설깊이가 현저히 깊어져 시공과 관리가 어려운 경우에 설치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중계맨홀펌프장(PS)은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는 구조물이고 민가와 인접한 처리구역에 위치해 있어 상시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In general, sewage contaminated with liquid or solid substances due to human life or economic activities is transported to a sewage treatment facility (C) through a sewage pipe. It is composed of three types of auxiliary facilities including pipeline (PL), manhole (MH) and relay pumping station (PS), and the sewage is transferred to the treatment facility with the power of pump (P). Among the roles of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sewage pipe, first, the pipeline (PL) is a pipeline that collects generated sewage and moves it by natural flow or pump pressure, and the manhole (MH) allows people to come in and out for cleaning or inspection of the pipeline. The relay pumping station (PS) is installed when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sewage with natural flow or when the depth of pipeline is significantly deep an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re difficult. For this reason, the relay manhole pumping station (PS) is a structure that is mostly buried underground and is located in a treatment area adjacent to a private house, requiring special attention and management at all times.
대부분이 액체성인 하수에 섞여 관로(PL)에 유입되는 일부의 고체성 물질중에는 물휴지, 여성용품, 행주, 수세미 등 중계펌프장(PS)의 펌프고장을 유발하거나 정상가동을 저해하는 협잡물이 혼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협잡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펌프(P)의 고장이나 가동저해 상태는 정상적으로 하수 압송을 하지 못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중계펌프장(PS)과 상류의 맨홀(MH)에서 미처리 하수가 월류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가정에서 하수의 배수불가 상황을 초래하여 심각한 민원을 유발하기도 한다.Among some of the solid substances that flow into the pipeline (PL) mixed with sewage, which is mostly liquid, there are mixed substances that cause pump failure or hinder normal operation of the relay pumping station (PS), such as toilet paper, women's items, dishcloths, scrubbers, etc. There are many. The failure of the pump (P) or the impediment to operation that can occur due to such impurity does not stop at the normal pumping of the sewage, and untreated sewage may overflow from the relay pumping station (PS) and the upper manhole (MH), and furthermore In some cases, it causes a situation in which sewage cannot be drained at home, causing serious civil complaints.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펌프(P)가 설치되어있는 중계펌프장(PS)이나 중계펌프장 이전 상류의 맨홀(MH) 내부에 협잡물 제거를 위한 고정식 또는 탈착식 스크린이 설치되는데, 중계펌프장(PS)과 상류의 맨홀(MH)은 입지특성상 깊이가 깊은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맨홀의 가장 밑바닥에 스크린이 설치돼 있기 때문에, 관리가 스크린에 접근하거나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손으로 제거하는데 안전사고의 위험과 비위생적 작업조건에 노출되게 된다. 특히, 정화조가 없이 분뇨가 바로 유입되는 분류식 하수관거의 내부에는 황화수소와 메탄 등 유해가스가 가득 차 있거나 호흡을 위한 산소농도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어 질식재해가 발생할 수 있어 여름철에는 유해가스 재해에 대비한 안전장구를 착용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As a mean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fixed or detachable screen for removing impurities is installed inside the relay pump station (PS) where the pump (P) is installed or the manhole (MH) upstream before the relay pump station, the relay pump station ( PS) and upstream manholes (MH) are often deep due to the nature of the location, and since the screen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nhole, there is no risk of safety accidents when management approaches the screen or removes impurities caught on the screen by hand. Exposure to hazards and unsanitary working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split sewer pipe, into which manure flows directly without a septic tank, is full of harmful gases such as hydrogen sulfide and methan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for breathing is absolutely insufficient, which can cause a suffocation disaster. Prepare for a harmful gas disaster in summer There is such a hassle as having to wear a safety gear.
또한 이와 관련하여 하수관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 또한 하수관거의 정확한 내부를 확인 할 수 없어 조사방법인 육안조사, 폐쇄회로 TV(CCTV)조사, 염료추적조사, 음향조사 방법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방법에 의존하지만 많은 시간과 경비가 투자되는 단점이 발생했다.In addition, a sewage pipe monitoring system has been proposed in this regard, but it is also impossible to check the exact inside of the sewer pipe. It depends on how to do i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time and money are invested.
따라서, 비위생적인 작업환경과 안전사고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고 중계펌프(P)의 잦은 고장과 이로 인한 미처리하수의 누출을 방지하며 종국에는 하수처리시설(C)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펌프가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협잡물이 중계펌프장(PS)으로 유입되기 전에 제거가 필요하고 협잡물 제거방법 또한 관리자가 보다 더 안전한 상황에서 위생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managers from unsanitary working environments and safety accidents, prevent frequent breakdowns of relay pumps (P) and consequent leakage of untreated sewage, and eventually operat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C) stably,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impurity before it enters the relay pumping station (PS), and a method for removing the impurity is also required so that the manager can work hygienically in a safer situation.
하기에 제시된 선행 특허문헌 및 실용문헌은 소규모의 무동력 수동식으로 처리구역의 맨홀내부에 간결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결합장치와는 달리, 중대형의 중계펌프장이나 하수처리시설에 설치되는 동력을 갖춘 규모가 큰 자동식 설비류이다.Unlike th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simply installed inside the manhole of the treatment area with a small-scale non-powered manual type, the prior patent literature and practical literature presented below are of a scale equipped with power installed in a medium-to-large relay pumping station or sewage treatment facility. It is a large automatic equipment.
본 발명은 종래의 스크린 구조가 내포하고 있던 문제점 즉, 깊은 곳에 위치한 스크린에 유해가스 위험을 무릎쓰고 진입하여 협잡물 제거해야 하는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장치로써, 중계펌프장(PS) 이전의 상류 맨홀(MH)내에 설치하여 스마트 기기를 통해 모니터링을 하며 협잡물을 수집·인양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제공하여 관리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devis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creen structure, that is, the risk of entering the screen at the risk of harmful gases and removing impurities, which is an upstream manhole before the relay pumping station (P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ygienic working environment with the safety of the manager as the top priority by providing a coupl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MH) to monitor through smart devices and collect and lift impurities.
상기의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본 발명은 하수 협잡물을 수집 또는 인양할 수 있는 수집·인양 결합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lection / lifting coupl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or lifting sewage impurities,
본 발명의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은 맨홀바닥의 인버트(VT)에 안착되어 하수협잡물 수집·인양 결합장치는 하수협잡물을 한 곳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은 전면스크린(101), 후면스크린(102), 측면스크린(103), 바닥면스크린(104)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형이 네트망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후면스크린(102)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프레임(110a, 110b);Frames (110a, 110b) for fixing the rear screen (102) so that it is not easily separated;
상기 후면스크린(102)의 양쪽 측면 후방측에 구비된 인양고리(120a, 120b)는 가이드레일(200)의 두 개의 인양축(210a, 210b)을 감싸듯이하여 가이드레일(200)을 타고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탈되지 않도록 한쪽이 뚫린 원형이며, 후면스크린(102)이 프레임(110a, 110b)에 각각 부착된다.The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후면 각 끝지점과 전면 정중앙에 연결되는 인양줄(130)은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후면스크린(102), 프레임(110a, 110b)의 상단과 전면스크린(101) 상단중앙의 세 점에 부착하여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무게중심이 모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맨홀구멍(DH)을 통해 밖으로 들어내거나 다시 맨홀바닥 인버트(VT)에 안착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200)은 관리자가 맨홀 밖에서 맨홀구멍을 통해 끌어올릴 수 있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인양축(210a, 210b)은 상기 가이드레일(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안전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상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상부고정수단(220a, 220b)은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상승 및 하강 시 높은 무게에도 해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이다.Upper fixing means (220a, 220b)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인양줄(130)이 쉽게 해체 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볼트(221)는 콘크리트 벽면에 회전 결합하여 인양줄(130)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쉽게 추락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철판(222)은 상기 앵커볼트(221)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0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고정수단(220a, 220b)과 결합된다.The
상기 후면스크린(102)을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용접부(224)는 용접을 통해 전면스크린(101), 측면스크린(103), 바닥면스크린(104)이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안전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하부고정수단(230a, 230b)은 상승 및 하강 시 무거운 무게에도 해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이다.The lower fixing means (230a, 230b) that can be fixed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게 하는 버팀대(240)는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인양축(210a, 210b)에 붙어 상하로 움직이는 협잡물수집스크린(100) 이동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인양축(210a, 210b) 바깥측에도 고정해야 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함께 버팀대(240) 또한 황화수소와 메탄 등의 부식성 가스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의 환봉으로 용접하여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인양줄(130)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인양줄걸이(250)는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추락 또는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be solved by using a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ing sewage impur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mart device 20 capable of monitoring the
본 발명은 관리자가 맨홀구멍을 통해 내부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 협잡물 작업을 할 수 있어 관리자의 안전보장과 함께 위생적으로 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manager can work on impurities without directly entering the inside through the manhole hole, so that the manager can work hygienically with the safety guarantee.
본 발명은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sewage trap garbage collection screen.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통해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의 상황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knowing the situation of the sewage waste collection screen through a smart device.
도 1은 분류식 하수관거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 구멍 내부의 표준 구조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맨홀 구멍 내부의 우측면 표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맨홀 바닥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맨홀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이 설치된 맨홀구멍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후면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후면스크린의 부착된 인양고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이 설치된 맨홀구멍 내부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맨홀구멍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앵커볼트가 설치된 맨홀뚜껑 하측의 콘크리트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발디딤부 사이에 설치되는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에 설치되는 가이드라인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발디딤부 사이에 설치되는 하수협잡물수집스크린에 설치되는 가이드라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맨홀뚜껑의 개방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 구조와 시스템 순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lassified sewage pipe.
Figure 2 is a standard structural diagram inside the manhole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standard structural diagram of the right side inside the manhole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nhol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lan structural diagram of the man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manhole hole in which the sewage trap garbage coll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wage trap garbage coll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wage trap garbage coll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ring attached to the re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ight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manhole hole in which the sewage collec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9 is a plan view of the manhole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manhole cover in which the anchor bo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line installed in the sewage trap garbage collection screen installed between the foot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line installed in the sewage contaminant collection screen installed between the foot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when the manhol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12 is a monitoring structure and system flow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reto.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속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 또는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variations, modifications, or change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2 내지 도 3a는 본 발명의 하수 협잡물 수집·인양 결합장치가 설치되는 맨홀(MH)의 표준구조도로써, 도 2는 종단면도와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바닥 상세도와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a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수집 및 인양구조가 결합되어 실제로 설치되는 맨홀(MH)의 구조 및 역할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이전에 본 발명의 결합장치가 중계펌프장(PS) 이전의 맨홀(MH)에 설치되는 이유는 일반적인 경우 중계펌프장(PS)은 맨홀(MH)에 비해 깊이가 더 깊고 예비포함 2대의 펌프(P)가 설치되어 내부가 복잡하고 유입관은 맨바닥에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펌프 가동수위가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거나 유지관리가 곤란하기 때문이다.2 to 3a are standard structural views of the manhole (MH) in which the sewage impurity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 3 is a floor detail and plan view.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manhole (MH), which is actually installed by combining the sewage impurities collection and lif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S. 2 and 3A. Prior to that, the reason why th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nhole (MH) before the relay pumping station (PS) is that in general, the relay pumping station (PS) has a deeper depth than the manhole (MH) and two pumps (P ) is installed, the inside is complicated, the inlet pipe is at the bottom, and a constant pump operating level is formed, so it is difficult to install or mainta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MH)은 관로(PL)의 유지관리를 위해 환경부의 하수도설계기준에 따라 설치되어 협잡물 등의 이물질을 청소하거나 상기 관로(PL)내부 이상유무를 관찰하여 하수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의 시설물로써, 도 2 내지 도 3a와 같이 어느 한 면에 하수유입관(PL)이 형성되고 다른 한 면에는 하류와 중계펌프장(PS)으로 흘러 내려가는 유출관(RP)이 형성된다. 지면과 마주하는 상부면에는 관리자가 드나들 수 있는 맨홀뚜껑(D)과 맨홀구멍(DH)이 형성되고, 맨홀구멍(DH) 외측면 맨홀본체(10)에는 매립사다리(SD)가 설치된다. 또한 바닥면에는 하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입관(PL)과 유출관(RP)의 수로 형상을 유지시키는 인버트(VT)와 함께 관리자의 작업을 돕기 위한 발디딤부(BT)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분류식 하수관로에 가장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본 발명의 장치에서도 모델로 하는 1호 맨홀의 환경부의 하수도설계기준 규격은, 맨홀뚜껑(D)의 직격은 648mm, 맨홀구멍(DH)의 직경은 600mm, 맨홀내부의 직경은 900mm인 원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nhole (MH)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sewage design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maintenance of the pipe (PL) to clean foreign substances such as impurities or observ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side the pipe (PL) to improve the sewage flow. As a facility that plays a smooth role, a sewage inlet pipe (PL) is form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S. 2 to 3a, and an outflow pipe (RP) flowing down to the downstream and relay pumping station (P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 A manhole cover D and a manhole hole DH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ground, and a buried ladder SD is installed on the
상기와 같은 맨홀(MH)의 상세한 구조와 규격 등은 본 발명의 하수 협잡물 수집·인양 결합장치를 실시함에 있어 협잡물수집스크린(100)과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인양하는 가이드레일(200)의 외형과 규격, 설치위치와 고정방법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The detailed structure and specifications of the manhole (MH) as described above are the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수집·인양 결합장치는 협잡물을 한 곳으로 모으는 협잡물수집스크린(100)과 협잡물이 모아진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맨홀 밖에서 맨홀구멍(DH)을 통해 끌어올리는 가이드레일(200)의 결합으로 완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wage contaminant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that pulls the
도 4는 본 발명에서 하수협잡물 수집과 인양이라는 서로 다른 구조와 기능이 일체로 결합된 실사 구조도로 이렇게 설치하고 관리를 하게되면 관리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깊은 맨홀(MH) 내부에 드나드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후속 중계펌프(P)의 잦은 고장도 미연에 방지하여 종국에는 하수처리시설(C)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여러개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수집·인양 결합장치를 실시할 수 있는 구성요소와 설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Figure 4 is a live-action structure diagram in which different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ewage collection and lift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combined. When installed and managed in this way, the manager takes the risk to reduce the burden of going in and out of the deep manhole (MH)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quent failures of the subsequent intermediate pump (P) in advance, and finally stabilize the sewage treatment facility (C). Hereinafter, components and installation structures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ewage contaminant collection/lifting comb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several drawings shown.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의 세가지 구성요소중 하나인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상세구조도이다.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은 도 5와 같이 대체적으로 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하수유입관(PL)을 기준으로 하류를 향해 전면스크린(101), 후면스크린(102), 측면스크린(103)으로 구성되며, 바닥면스크린(104)은 협잡물 수집을 온전히 하기위해 반원형으로써 맨홀바닥의 인버트(VT)에 밀접하여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전면스크린(101)과 결합으로 협잡물이 스크린 안으로 유입될 수 있게 원형의 개방형 통공이 있다. 한편, 상기 협잡물이 담긴 중량의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관리자가 맨홀내부에 진입하지 않고 맨홀 밖에서 인양하거나 맨홀 내부에 다시 안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인양고리(120a, 120b)와 인양줄(130)이 형성된다. 상기 인양고리(120a, 120b)는 가이드레일(200)의 두 개 인양축(210a, 210b)을 감싸듯이하여 가이드레일(200)을 타고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탈되지 않도록 한쪽이 뚫린 원형이며, 후면스크린(102)이 프레임(110a, 110b)에 각각 부착된다. 상기 인양줄(130)은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후면스크린(102), 프레임(110a, 110b)의 상단과 전면스크린(101) 상단중앙의 세 점에 부착하여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무게중심이 모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the
도 6은 상술한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전개도로써, 상기 전면스크린(101)은 반원형의 바닥면스크린(104)과 함께 맨홀 유입관(PL)의 직경만큼 통공이 형성되어 맨홀바닥의 인버트(VT)에 밀접 안착되어 협잡물을 수집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술한 측면스크린(103a, 103b)과 후면스크린(102)은 스크린 구조로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혀있으며,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상부는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털어내기 위해 개방된 구조이다.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에 있어 망의 형상은 격자형이 바람직하며, 하수에 혼입되는 협잡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간격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재질은 부식성가스(황화수소, 황화산화물, 질소산화물, 염화수소 등)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외형은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털어내기 용이하도록 원형봉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육면체의 스크린이 접속하는 면과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는 상부의 테두리는 수집되는 협잡물의 중량을 고려하여 망체의 굵기보다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 is a development view of the above-described
도 7 또는 도 7a는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 상술한 협잡물수집스크린(100)과 가이드레일(200)이 결합하여 일체로 동작하게하는 인양고리(120a, 120b)와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맨홀 밖으로 끌어올리는 인양줄(130)의 모양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양고리(120a, 120b)는 원형인 가이드레일(200)을 감싸듯이 접속되어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이탈을 방지해야 하므로 일방향이 뚫린 고리모양의 원형으로써, 도 7과 같이 프레임(110a, 110b)의 중간 위쪽부에 용접으로 결속하거나 프레임 상하 끝단에 고리모양으로 4개소에 결속할 수도 있다.7 or 7a is a lifting ring for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 자체의 무게와 협잡물을 포함한 중량을 맨홀 밖으로 끌어올리는 인양줄(130)은 내부식성 재질의 체인이나 와이어로프 등이 바람직하며 맨홀 구멍(DH)의 벽면에 인양줄걸이(250)가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인버트(VT)에 안착되어 협잡물을 수집하는 동안 상기 인양줄(130)을 걸어놓아야 한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가이드레일(200)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200)은 한 쌍의 인양축(210a, 210b)으로써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상항 이동을 도울 뿐만 아니라,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맨홀 바닥의 인버트(VT)에 정확히 밀착되게 유도하고, 수집된 협잡물의 저항으로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하수의 수류에 밀려 맨홀의 유출관(RP) 쪽으로 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규격 및 재질 선정과 함께 맨홀내부 설치시 상부와 하부 밀착고정 방법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Figure 8 is a detailed view of the
도 8과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좌우 한 쌍의 인양축(210a, 210b)으로 구성되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은 인양축(210a, 210b) 사이에서 부착된 인양고리(120a, 120b)와 인양줄(130)의 도움으로 상하로 이동을 하여 맨홀 바닥의 인버트(VT)에 안착되거나 맨홀 밖으로 반출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좌우의 인양축(210a, 210b)이 변형되거나 내·외측으로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져서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맨홀의 깊이를 감안한 일정간격의 버팀대(2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버팀대(240)는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인양축(210a, 210b)에 붙어 상하로 움직이는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이동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인양축(210a, 210b) 바깥측에 도 11과 같이 고정해야 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함께 버팀대(240) 또한 황화수소와 메탄 등의 부식성 가스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의 환봉으로 용접하여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the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인양줄(130)이 쉽게 해체 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볼트(221)는 콘크리트 벽면에 회전 결합하여 인양줄(130)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쉽게 추락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철판(222)는 상기 앵커볼트(221)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0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고정수단(220a, 220b)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8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200)은 맨홀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도 9 내지 도 10a와 같이 고정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맨홀본체(10)의 상부고정은 도 9 또는 도 9a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맨홀본체(10) 상부의 관리자출입용 맨홀구멍(DH) 내측으로, 매립사다리(SD)가 설치돼 있는 맞은편 중앙부 벽면에, 상부고정수단(220a, 220b)이 고정되며 가이드레일(200)은 인양축(210a, 210b)와 용접으로 완성되는 용접부(224)를 구비하여 전면스크린(101), 측면스크린(103), 바닥면스크린(104)이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부 고정이 맨홀구멍(DH)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이유는 맨홀구멍(DH)의 외측면에는 매립사다리(SD)가 있어 설치 할 수 없고 설치해서도 안되기 때문이다. 한편, 가이드레일(200)과 인양축(210a, 210b)의 하부고정은 도 10 및 도 10a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하여 상기 맨홀본체(10)의 바닥면 인버트(VT)와 발디딤부(BT)의 경계면에서 발디딤부(BT)에 하부고정수단(230a, 230b)으로 완성된다. 이렇게 하여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인버트(VT)에 밀착으로 안착됨으로써 하수에 혼입되는 협잡물 수집이 원할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인양축(210a, 210b) 상부에 구비된 하부고정수단(230a, 230b) 사이에는 인양줄걸이(250)가 설치되어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인버트(VT)에 안착시킨 후 인양할 때까지 인양줄(130)을 인양줄걸이(250)에 걸어놓아 인양줄(130)이 맨홀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reason why the upper fix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nhole hole (DH) is that there is a landfill ladder (S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nhole hole (DH), so it cannot and should not be installed. On the other hand, the
도 11은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가 설치된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ing sewage contamin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ing sewage impur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nitored in the following order.
본 발명의 모니터링은 스마트기기(20), 판독부(21), 서버부(22), 송수신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monit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mart device 20, a reading unit 21, a server unit 22, and a transceiver 23.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20)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의미하며 상술한 협잡물수집스크린(100)에서 발생되는 상황 및 진행상황, 결과를 볼 수 있는 장치이다.The smart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martphone, tablet, etc., and is a device that can view the situation, progress, and results generated in the above-described
상기 스마트기기(20)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부(21)는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부분이다.The reading unit 21 capable of reading the data of the smart device 20 is a part that reads the data generated from the
상기 판독부(21)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부(22)는 판독부(21)에서 나온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server unit 22 capable of storing the data generated by the reading unit 2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store the results generated by the reading unit 21 .
상기 서버부(22)에서 저장된 결과물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23)는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송수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result stored in the server unit 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the manag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상황을 전송할 수 있는 단계(S10)는 협잡물수집스크린(100)에서 발생된 상황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출력장치인 스마트기기(2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ituation 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S10)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ituation generated in the
상기 단계(S10)를 통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단계(S20)는 스마트기기(20)를 통해 관리자가 맨홀 내부에 투입된 협잡물수집스크린(100)에서 수집하고 있는 협잡물과 수집 진행수준을 알 수 있으며 수집하는 상황에 있어서 특이사항을 확인 할 수 있는 단계이다.The step (S20) in which the manager can check through the above step (S10) is that the manager can know the impurity collected from the impurity
상기 단계(S20)를 통해 결과물을 저장하는 단계(S30)는 관리자가 확인을 한 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단계이다.The step (S30) of storing the result through the step (S20) is a step in which the manager can store data about the confirmed item.
상기 단계들을 통해 본 발명은 관리자가 맨홀에 직접들어가지 않고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 step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manager can work hygienically by monitoring without directly entering the manhole.
이상 상술한 대로 본 발명의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는, 협잡물수집스크린(100)과 가이드레일(200)의 조합으로 하수에 혼입되는 다양한 협잡물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관리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맨홀내부에 진입하지 않고도 맨홀 밖에서 안정적으로 협잡물을 관리할 수 있게된다. 특히, 하수관로 내에 황화수소와 메탄 등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발생이 극심한 여름철에 관리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잇다는 점을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모니터링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류형 하수오염물질 수집·인양 결합장치의 가장 큰 특징으로 본다.As described above, the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ing sewage impur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remove various impurities mixed in sewage with the combination of the
10: 맨홀본체 20: 스마트 기기
21: 판독부 22: 서버부
23: 송수신부 100: 협잡물수집스크린
101: 전면스크린 102: 후면스크린
103: 측면스크린 104: 바닥면스크린
110a, 110b: 프레임 120a, 120b: 인양고리
130: 인양줄 140: 스크린 전개구조
200: 가이드레일 210a, 210b: 인양축
220a, 220b: 상부고정수단 221: 앵커볼트
222: 스테인레스 철판 223: 체결수단
224: 용접부 230a, 230b: 하부고정수단
240: 버팀대 250: 인양줄걸이
SD: 매립사다리 DH: 맨홀구멍
VT: 인버트 BT: 발디딤부
SP: 유입관 RP: 유출관10: manhole body 20: smart device
21: reading unit 22: server unit
23: transceiver 100: impurity collection screen
101: front screen 102: rear screen
103: side screen 104: bottom screen
110a, 110b:
130: lifting line 140: screen deployment structure
200:
220a, 220b: upper fixing means 221: anchor bolt
222: stainless steel plate 223: fastening means
224: welding
240: brace 250: lifting line
SD: landfill ladder DH: manhole hole
VT: Invert BT: Footstep
SP: inlet pipe RP: outlet pipe
Claims (5)
협잡물을 수집을 실시하는 협잡물수집스크린(100);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외측의 네트망의 형태로 구비된 전면스크린(101), 후면스크린(102), 측면스크린(103), 바닥면스크린(104);
상기 후면스크린(102)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프레임(110a, 110b);
상기 후면스크린(102)의 양쪽 측면 후방측에 구비된 인양고리(120a, 120b);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후면 각 끝지점과 전면 정중앙에 연결되는 인양줄(130);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맨홀구멍(DH)위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200);
상기 가이드레일(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인양축(210a, 210b);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안전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상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상부고정수단(220a, 220b);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인양줄(130)이 쉽게 해체 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볼트(221);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쉽게 추락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철판(222);
상기 후면스크린(102)를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용접부(224);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아전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하부고정수단(230a, 230b);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무너지지 않고 버틸수 있게 하는 버팀대(240);
상기 인양줄(130)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인양줄걸이(250);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
In the collection and lift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and lifting sewage impurities at the same time,
an impurity material collection screen 100 for collecting impurities;
a front screen 101, a rear screen 102, a side screen 103, and a bottom screen 104 provided in the form of a net outside the impurity collection screen 100;
Frames (110a, 110b) for fixing the rear screen (102) so that it is not easily separated;
Lifting hooks 120a and 120b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both sides of the rear screen 102;
a lifting line 130 connected to each end point of the rear surface of the impurities collection screen 100 and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a guide rail 200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impurities collection screen 100 above the manhole hole DH;
lifting shafts 210a and 210b serving to protect the guide rail 200;
Upper fixing means (220a, 220b)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guide rail 200 can be safely raised;
An anchor bolt 221 that can fix the guide rail 200 and the lifting line 130 so that they are not easily dismantled;
a stainless steel plate 222 to which the guide rail 200 can be easily coupled so as not to fall;
a welding portion 224 for increasing bonding strength so that the rear screen 102 is not easily dismantled;
Lower fixing means (230a, 230b) that can be fixed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guide rail 200 can be lowered safely;
A brace 240 that allows the guide rail 200 to endure without collapsing;
A lifting line hanger 250 that can fix the lifting line 130 so that it does not fall;
A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ing sewage impur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device 20 capable of monitoring the impurities collection screen 100.
상기 인양줄(130)은 관리자가 맨홀(MH)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외부에서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line 130 is a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ing sewage debr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manager to take out the debris collection screen 100 from the outside without directly entering the manhole (MH).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에서 발생된 상황을 스마트기기(20)로 전송받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를 통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단계(S20);
상기 단계(S10)를 통해 확인된 상황을 저장할 수 있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situation generated in the impurity collection screen 100 to the smart device 20 (S10);
Step (S20) that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rough the step (S10);
A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ing sewage contamin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S30) capable of storing the situation confirmed through the step (S10).
상기 인양고리(120a, 120b)는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상측면에 결합시켜 상기 인양줄(130)로 상승시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의 무게 균형을 잡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rings (120a, 120b) a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mpurities collection screen 100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impurities collection screen 100 when ascending to the lifting line 130. U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removal.
상기 협잡물수집스크린(100)이 상승 또는 하강시 상부고정수단(220a, 220b)과 하부고정수단(230a, 230b), 가이드레일(200)을 통해 상하왕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협잡물 제거용 무동력 수집·인양 결합장치.
According to claim 1,
Removal of sewage impuritie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mpurities collection screen 100 ascends or descends, it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upper fixing means 220a, 220b, the lower fixing means 230a, 230b, and the guide rail 200 Non-powered collection/lifting coupling device f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53159A KR20230067258A (en) | 2021-11-09 | 2021-11-09 | The nonpower combination apparatus for sewage adulteration remov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53159A KR20230067258A (en) | 2021-11-09 | 2021-11-09 | The nonpower combination apparatus for sewage adulteration remova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67258A true KR20230067258A (en) | 2023-05-16 |
Family
ID=865464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53159A Ceased KR20230067258A (en) | 2021-11-09 | 2021-11-09 | The nonpower combination apparatus for sewage adulteration remova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30067258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85923B1 (en) * | 2024-01-25 | 2024-07-17 | 박병현 | Foreign substance screen system for manhole |
| KR102685924B1 (en) * | 2024-01-25 | 2024-07-17 | 박병현 | Filter traction device for manhole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55920B1 (en) | 2004-12-23 | 2006-12-12 | 신재식 | Sewage and Sewage Treatment Machine |
| KR20070095521A (en) | 2005-11-01 | 2007-10-01 | (주)화신엔지니어링 | Sewage Manhole Sediment Collector |
| KR200440841Y1 (en) | 2008-01-29 | 2008-07-07 | 주식회사성우 | Pulling up apparatus for deposite |
| KR101187998B1 (en) | 2012-01-19 | 2012-10-08 |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 Monitoring system for sewage passage |
| KR20160119592A (en) | 2015-04-06 | 2016-10-14 |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 Screening machine |
| KR101752106B1 (en) | 2016-12-24 | 2017-07-11 | 동근한 | Pulling up screen type ratary dust removing machine with double rake |
| KR101899721B1 (en) | 2017-05-02 | 2018-09-19 | 경기도 부천시 | High efficiency grit scraping and lifting device of sewage water |
| KR20190119750A (en) | 2018-04-13 | 2019-10-23 | 경기도 부천시 | A rotary trash remover type of divided waterway |
-
2021
- 2021-11-09 KR KR1020210153159A patent/KR20230067258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55920B1 (en) | 2004-12-23 | 2006-12-12 | 신재식 | Sewage and Sewage Treatment Machine |
| KR20070095521A (en) | 2005-11-01 | 2007-10-01 | (주)화신엔지니어링 | Sewage Manhole Sediment Collector |
| KR200440841Y1 (en) | 2008-01-29 | 2008-07-07 | 주식회사성우 | Pulling up apparatus for deposite |
| KR101187998B1 (en) | 2012-01-19 | 2012-10-08 |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 Monitoring system for sewage passage |
| KR20160119592A (en) | 2015-04-06 | 2016-10-14 |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 Screening machine |
| KR101752106B1 (en) | 2016-12-24 | 2017-07-11 | 동근한 | Pulling up screen type ratary dust removing machine with double rake |
| KR101899721B1 (en) | 2017-05-02 | 2018-09-19 | 경기도 부천시 | High efficiency grit scraping and lifting device of sewage water |
| KR20190119750A (en) | 2018-04-13 | 2019-10-23 | 경기도 부천시 | A rotary trash remover type of divided waterway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85923B1 (en) * | 2024-01-25 | 2024-07-17 | 박병현 | Foreign substance screen system for manhole |
| KR102685924B1 (en) * | 2024-01-25 | 2024-07-17 | 박병현 | Filter traction device for manho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30067258A (en) | The nonpower combination apparatus for sewage adulteration remova | |
| AU2011302712B2 (en) | A storm water filter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 |
| US6733665B1 (en) |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 |
| JP2007291657A (en) | Piping device for temporary toilet | |
| US7051748B2 (en) | Roll-up pool for a decontamination system | |
| EP2685016A1 (en) | Shut-off device and drain with such a device | |
| CN107268687A (en) | Urban intelligent drainage inspection well cover | |
| KR101902615B1 (en) | A screen apparatus of processing waste use for sewage pipe | |
| KR200285775Y1 (en) | manhole with safety apparatus | |
| JP6372976B2 (en) | Drainage pipe structure and drainage pipe construction method | |
| KR101380735B1 (en) | Screen apparatus for foreign substance of manhole | |
| CN217325682U (en) | Automatic change dirty separator of rain | |
| CN207436237U (en) | A kind of hoisting type device for dragging dregs | |
| CN207277500U (en) | Device for dragging dregs with floating barrier and the Vatch basin for being provided with the device for dragging dregs | |
| CN216892770U (en) | Novel grid for sewage well | |
| JP6599175B2 (en) | Temporary toilet system and pipe joint used therefor | |
| CN217759224U (en) | Stepped drop well | |
| CN104032825B (en) | Fixedly instead hang film sewage reservoir sealing unit | |
| CN219430958U (en) | Environment-friendly inspection shaft | |
| JP4420758B2 (en) | Oil / water separation tank | |
| CN221193647U (en) | An anti-blocking structure for an integrated pump station | |
| JPS59669B2 (en) | temporary toilet | |
| CN211369003U (en) | Mosquito-proof system of sewer inlet | |
| RU2394965C1 (en) | Sewage pit (versions) | |
| CN222206681U (en) | An inspection we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