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124A - Offshore plant tha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 Google Patents
Offshore plant tha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2124A KR20230092124A KR1020210181197A KR20210181197A KR20230092124A KR 20230092124 A KR20230092124 A KR 20230092124A KR 1020210181197 A KR1020210181197 A KR 1020210181197A KR 20210181197 A KR20210181197 A KR 20210181197A KR 20230092124 A KR20230092124 A KR 202300921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bit
- floating body
- hull
- sea level
- ch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빗 장치를 활용하여 해양 생산 플랜트의 안정적인 운항을 이룰 수 있는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는,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부유체가 승하강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 상기 부유체와 상기 윈치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대빗과 제2 대빗을 포함하는 대빗부,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 각각에서 파랑에 의해 변화되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에서 상기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상기 선체의 이동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선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production plant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waves capable of achieving stable operation of the marine production plant by utilizing a davit device.
The marin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wav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ing body floating on the sea surface, a wire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 winch unit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so that the floating body rises and falls, the floating body and the winch At least one main pulley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wire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units, and includes a first dabit and a second dabi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dabit and the second dabit, respectively. A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height of the sea level changed by waves,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to cancel the movement of the hull according to the change in height of the sea level in the first dabit and the second dab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waves.
해양 생산 플랜트에 마련되는 대빗 장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갑판 외측 가장자리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압축공기로 채워진 펜더를 지지하고 있다가, 암벽 또는 다른 선박과의 접선시 암벽이나 다른 선박의 충돌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는 펜더를 내리도록 구동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avit devices provided in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are installed on the outer edge of the deck of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to support fenders filled with compressed air, and prevent collisions with rocks or other ships when contacting rocks or other ships. It can be driven to lower the fender that serves as a shock absorber.
이때, 대빗 장치에는 유압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유압 공급 장치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는데, 통상 유압 공급 장치는 전기모터를 통해 유압펌프를 동작시켜 대빗 장치에 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hydraulic supply device for providing hydraulic energy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avit device. In general, the hydraulic supply device may operate a hydraulic pump through an electric motor to provide power to the davit device.
예시적으로 대빗 장치는 유압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너지를 동력으로 하여 와이어가 감겨 있는 윈치부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와이어에 연결된 펜더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davit device may operate the winch unit around which the wire is wound by using hydraulic energy supplied from the hydraulic supply device as power, and through this, the fender connected to the wire may be raised and lowered.
한편, 대빗 장치는 일반적으로 펜더를 인양하는 것에 국한되어 장비의 활용도가 낮다. 더불어 해양 생산 플랜트는 파랑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대하여 위험이 감소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운항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빗 장치의 활용도를 증가시키면서도 해양 생산 플랜트의 안정적인 운항을 위해서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개선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davit device is generally limited to lifting the fender, and the utilization of the equipment is low. In addition, stable operation is required for offshore production plants so that risks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waves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avit device and to stably operate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빗 장치를 활용하여 해양 생산 플랜트의 안정적인 운항을 이룰 수 있는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production plant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waves capable of achieving stable operation of the marine production plant by utilizing a davit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일 면(aspect)은,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부유체가 승하강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 상기 부유체와 상기 윈치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대빗과 제2 대빗을 포함하는 대빗부,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 각각에서 파랑에 의해 변화되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에서 상기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상기 선체의 이동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선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the wa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loating body floating on the sea surface, a wire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nd the wire so that the floating body rises and falls. A dabit comprising a winch unit for winding or unwinding, at least one main pulley rotatably coupled to guide and support the wire between the floating body and the winch unit, and including a first dabit and a second dabi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nit,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height of the sea level that is changed by waves in each of the first dabit and the second dabit,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to offset the movement of the hull according to the change in height.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로딩 라인, 언로딩 라인, 무어링 장비 및 계류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은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빗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상기 제2 대빗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측정값에 대비하여 크면 상기 선체를 상기 제2 대빗 방향으로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상기 해수면의 높이가 기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작업부를 경유하는 유체의 이동을 중단시키거나 상기 작업부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It is provided on the hull and further includes a work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oading line, an unloading line, mooring equipment, and mooring equipment, wherein the first dabit and the second dabit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hull in the second dabit direction whe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ing unit detect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dabit is greater than the measured value detect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dabit, When the height of the sea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movement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work unit may be stopped or the operation of the work unit may be stopped.
본 발명은, 상기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러더, 해수의 유동 발생으로 상기 선체의 방향을 이동시키는 스러스터, 및 선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터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대빗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선수 대빗과 제1 선미 대빗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대빗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선수 대빗과 제2 선미 대빗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선수 대빗, 제1 선미 대빗, 제2 선수 대빗 및 제2 선미 대빗에서의 파랑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상기 러더, 상기 스러스터 및 상기 터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udd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a thruster for mov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due to the flow of seawater, and a turret provided in the bow portion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wherein the first davit , A first bow dabit and a first stern dabit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nd the second dabit includes a second bow dabit and a second stern dabit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control unit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rudder, the thruster, and the turre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hull according to a change in wave height in the first bow davit, the first stern davit, the second bow davit, and the second stern davit. You can control one.
상기 대빗부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를 받아 상하 이동되며,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유체에 대비하여 하중이 작은 블록을 더 포함하고, 해수면의 초기 값을 이루는 기준값에 대비하여 해수면이 낮아지면, 상기 부유체가 자중에 의해 해수면의 수위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부유체에 의해 당겨져 상부로 이동되며, 기준값에 대비하여 해수면이 상승되면, 상기 부유체가 해수면 상에 부유되도록 해수면의 수위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부유체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It is moved up and down by receiving the gu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the sensing unit is installed, and a block having a small load compared to the floating body is further included, and when the sea level is lowered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constituting the initial value of the sea level, the The floating body is moved downward along the sea level by its own weight, the block is pulled by the floating body and moved upward, and when the sea level rises in comparison to the reference value, the water level of the sea level is increased so that the floating body floats on the sea level. It is moved upward along the block, and the block may be moved downward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generated between the block and the floating body is maintained.
상기 감지부는, 상기 블록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또는 비젼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에 마련되어 상기 부유체의 내압이나 공기압을 측정하는 보조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기준값보다 낮은 압력이나 공기압이면 상기 부유체를 인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n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tance sensor or a vision sensor for sensing a change in height of the block,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floating body to measure internal pressure or air pressure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control unit , If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xiliary sensing unit and the pressure or air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signal for lifting the floating body may be generat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는, 파랑의 높이 변화 및 흐름에 따라 해양 생산 플랜트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로딩 라인 등의 작업부의 작업을 중단할 수 있어, 해양 생산 플랜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파랑의 높이 변화를 대빗 장치를 활용하여 감지할 수 있어 장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eight and flow of the wave, or stop the operation of work units such as loading lines, so the stability of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can be secured, and the change in wave height can be detected using a davit device, which can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대빗부와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에서 부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방향전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에서 보조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가 안벽에 정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block and a cross section of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a floating body in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change of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sensor in a marin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chored on a quay wal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대빗부와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에서 부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upper part of And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posite part and the block of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n to explain the movement of a floating body in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더불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의 방향전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에서 보조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가 안벽에 정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of direction of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offshore operated operation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sensor in the production plant,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wa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chored at a quay.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10)는, 선체(11), 부유체(110), 와이어(120), 윈치부(130), 대빗부(140), 블록(150), 감지부(160), 제어부(170) 및 보조 감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와이어(120), 윈치부(130), 대빗부(140) 및 블록(150)은, 대빗(davit) 장치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는, 비용 절감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추가로 제조할 필요없이 일반적인 펜더와 대빗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유체(110)가 펜더로 이루어지고, 와이어(120), 윈치부(130) 및 대빗부(140)가 대빗 장치에 포함되고, 대빗 장치는 선체(11)에서 갑판(11A)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여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펜더와 대빗 장치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대빗 장치와 별도로 와이어, 윈치 및 풀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활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general fender and davit device may be provided separately. Alternativel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various devices including a wire, a winch, and a pulley may be utilized separately from the davit device.
더불어 후술되는 대빗부(140)의 제1 선수 대빗(140PF), 제1 선미 대빗(140PS), 제2 선수 대빗(140SF) 및 제2 선미 대빗(140SS)는 각각 하나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세밀한 제어를 위해 각각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bow davit (140PF), the first stern davit (140PS), the second bow davit (140SF), and the second stern davit (140SS) of the
이러한 해양 생산 플랜트(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먼저 선체(11)는, 예시적으로 갑판(11A) 상에 거주구(11B)가 마련되는 대형 구조물의 선체로서, 본 실시예가 해양 생산 플랜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상에 부유되는 각종 구조물 예시적으로 선박의 선체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선체(11)의 선미에는 프로펠러(PP)가 설치될 수 있고, 프로펠러(PP)가 발생시키는 메인 추력에 의해 운항될 수 있다.First, the
더불어 선체(11)에는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방향 전환을 위한 러더(RD)와 해수의 유동 발생으로 선체(11)의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는 스러스터(TS)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러더(RD)는, 선미에 마련될 수 있어 프로펠러(PP)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스러스터(TS)는 예시적으로 선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적으로 아지무스형 또는 터널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러더(RD)와 스러스터(TS)는 공지되는 메카니즘에 갈음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외에도 선체(11)의 내부 및/또는 갑판(11A)에는 로딩 라인, 언로딩 라인, 무어링 장비 및 계류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부(W)(도 8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작업부(W)의 형상, 구체적인 위치, 로딩, 언로딩, 무어링 작업 및 메카니즘은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작업부(W)는 해상 상황 악화에 따라 작업이 중단될 수 있도록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working part W (see FIG. 8)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oading line, an unloading line, mooring equipment, and mooring equipment may be provided inside the
부유체(110)는, 펜더일 수 있다. 펜더는, 두 물체(해양 생산 플랜트와 선박일 수 있음) 사이에 위치되어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여 물체를 보호하는 방현재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부유체(110)는, 대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해양 생산 플랜트(10)에 대응하여 크기와 무게가 형성될 수 있어 부유체(110)의 하중이 톤 단위(예를 들어 1톤 이상)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부유체(110)는, 해수면에 부유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져 대빗 장치에 의해 해수면에 내려지면 부유체(110)의 하중이 해수면에서 지지되어 부유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으나 간략하게 언급하면 부유체(110)는, 블록(150)에 대비하여 큰 중량을 가져,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블록(150)을 당길 수 있다.The
그리고 부유체(110)는, 대빗 장치의 동작에 의해, 해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마련되거나, 선체(11)에 올려진 상태(크래들(cradle)에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음)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부유체(110)는, 파도에 대응되도록 해양 생산 플랜트(10)가 방향 전환을 이루거나, 장비의 작업을 일시 중단시켜 위험 상황을 회피하기 위함이므로, 방현재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유체(110)는, 방현재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해수면에 내려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더불어 부유체(110)를 인양하거나 해수면에 내리는 대빗 장치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와이어(120), 윈치부(130), 대빗부(140) 및 블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대빗 장치의 인양 및 펜더를 내리는 메카니즘은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종래와 차이가 있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메인 풀리(142)의 수와 블록(150)의 구조 등이 변형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공지 기술이 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을 언급하여 둔다.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davit device for lifting the floating
대빗 장치에서 와이어(120)는, 부유체(11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부유체(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윈치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20)는, 부유체(110)와 블록(150) 사이에서 후술되는 메인 풀리(142)를 경유하여 마련될 수 있어, 메인 풀리(142)에 의해 와이어(1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받으면서 윈치부(13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In the davit device, the
예를 들어 와이어(120)는,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메인 풀리(142)와 2개의 보조 풀리(151)에 감겨 후술되는 블록(150)을 지지할 수 있는데, 이때 보조 풀리(151) 2개에 의해 블록(150)을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와이어(120)는, 부유체(110)와 블록(150)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120)가 부유체(110)와 블록(150) 사이에서 늘어지지 않고 팽팽해지는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는 부유체(110)가 블록(150)보다 하중이 크게 이루어져, 해수면을 따라 부유체(110)가 내려지면 블록(150)이 당겨져 와이어(120)가 팽팽한 상태를 이루기 때문이다. 또는 해수면이 높아져 부유체(110)가 상승되면 블록(150)과 부유체(110) 사이의 와이어(120)는 일시적으로 느슨해질 수는 있으나 블록(150)의 하중에 의해 블록(150)이 내려지므로 부유체(110)와 블록(150) 사이의 와이어(120)는 팽팽한 상태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120)는, 부유체(110)와 블록(150)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팽팽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floating
윈치부(130)는, 부유체(110)가 해수면에 내려지거나, 선체(11)에 보관될 수 있도록 와이어(1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부유체(110)가 승하강되도록 와이어(120)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윈치부(13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윈치드럼과 구동부(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일 수 있음)를 구비하여,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윈치드럼이 회전되면서 와이어(120)를 감거나 풀 수 있다. 더불어 윈치부(13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대빗부(140)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어, 대빗부(14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아울러 본 실시예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와이어(120) 및/또는 윈치부(130)에는 오토 텐셔너(Mechanical Auto-Tensioner, MAT)가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토 텐셔너는 와이어(120)의 열화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장력 변화를 흡수할 수 있도록, 텐션암, 텐션 풀리, 아이들 풀리 등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a mechanical auto-tensioner (MAT) may be provided in the
대빗부(140)는, 간략하게 부유체(110)와 윈치부(130) 사이에서 와이어(120)를 가이드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풀리(1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대빗부(140)는, 일측에 와이어(120)가 연결되고 타측에 윈치부(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선체(11)의 갑판(11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빗부(140)는, 연장부재(141), 메인 풀리(142) 및 가이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연장부재(141)는, 대빗부(140)의 상단부를 이룰 수 있고, 예를 들어 대빗부(140)의 상단부가 해수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꺾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연장부재(141)는, 선체(1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꺾인 구조를 이루고, 이러한 구조에 와이어(120)를 지지하는 메인 풀리(14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120)는 선체(11)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선체(11)와 와이어(120)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120)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메인 풀리(142)는, 와이어(1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연장부재(141)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메인 풀리(142)는, 와이어(120)의 경로 상에서 부유체(110)와 블록(1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어, 부유체(110)와 블록(150)의 이동시 와이어(12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고, 와이어(120)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풀리(142)는, 윈치부(130)에 의해 와이어(120)가 감기거나 풀릴 때 와이어(120)를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120)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이러한 메인 풀리(142)는, 블록(150)과 연장부재(141)에 따라 그 수와 크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풀리(142)는, 연장부재(141)에서 3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메인 풀리(142)에 와이어(120)가 감긴 상태를 이룰 수 있다.The number and size of the
가이드부(143)는, 블록(1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43)는, 블록(150)의 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특히 본 실시예의 대빗부(140)는, 선체(11)의 선수, 선미, 좌현 및 우현 등의 위치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는 파랑의 높이 변화를 감지부(16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선수, 선미, 좌현 및 우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빗부(140)는,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을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구체적으로 제1 대빗(140PF, 140PS)은, 제2 대빗(140SF, 140SS)과 폭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좌현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대빗(140PF, 140PS)은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어, 선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선수에 마련되는 제1 선수 대빗(140PF)과 선미에 마련되는 제1 선미 대빗(140PS)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abits 140PF and 140P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avits 140SF and 140SS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be exemplarily provided on the port side. And the first davit (140PF, 140PS)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제2 대빗(140SF, 140SS)은, 제1 대빗(140PF, 140PS)과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예시적으로 우현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대빗(140SF, 140SS)은, 선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어, 선수에 마련되는 제2 선수 대빗(140SF)과 선미에 마련되는 제2 선미 대빗(140SS)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abits 140SF and 140SS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avits 140PF and 140PS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be illustratively provided on the starboard side. In addition, the second davits 140SF and 140SS may be provided in plural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러한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은, 위치 차이 외에 기능 및 작용 등이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은, 선체(11)의 어느 위치에서 파랑의 크기 및 또는 방향이 변경되어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지 감지부(160) 및/또는 제어부(170)에서 감지/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abits 140PF and 140PS and the second dabits 140SF and 140SS may have the same functions and actions other than a positional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 first dabits 140PF and 140PS and the second dabits 140SF and 140SS detect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블록(150)은,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부유체(110)의 이동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구성으로서, 부유체(110)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이드부(14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150)은, 부유체(110)에 연동하도록 와이어(120)가 연결될 수 있고, 부유체(110)에 대비하여 하중이 작을 수 있으며, 보조 풀리(151)가 마련될 수 있다.The
보조 풀리(151)는, 하나 이상의 메인 풀리(142) 사이에서 블록(150)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20)는, 보조 풀리(151)와 메인 풀리(142)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마련될 수 있고, 메인 풀리(142)와 보조 풀리(151)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One or more
예를 들어 보조 풀리(151)는,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2개 마련될 수 있어, 3개의 메인 풀리(142)를 경유하는 와이어(120)에 의해 블록(150)이 상부 방향으로 들려지거나 내려지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초기 값(BL)을 이루는 기준값에 대비하여 파도 등에 의해 부유체(110)가 위치되는 해수면이 낮아지면, 부유체(110)가 자중에 의해 해수면의 수위를 따라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블록(150)은 부유체(110)에 의해 당겨져 상부로 이동되어, 기준값보다 높은 높이 'H1'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값에 대비하여 변화된 높이 'H1'은, 부유체(110)가 해수면을 따라 하중에 의해 내려진 높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파도의 높이 변화는,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되어 블록(150)의 높이 변화로 감지/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sea level at which the floating
물론 상기 동작과 반대로 기준값에 대비하여 해수면이 상승되면, 부유체(110)가 해수면 상에 부유되도록 해수면의 수위를 따라 상부로 이동될 수 있고, 블록(150)은 부유체(11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이어(12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Of course, contrary to the above operation, when the sea level rises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the floating
다만 본 실시예의 블록(150)과 보조 풀리(151)는 생략되고, 와이어(120)가 메인 풀리(142)에 의해 가이드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However, as the
감지부(160)는,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 각각에서 파랑에 의해 변화되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감지부(160)는, 블록(15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블록(15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대빗부(140)의 위치를 기준으로 파도에 의해 변화되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e
예시적으로 감지부(160)는, 블록(15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또는 비젼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60)가 파랑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파도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블록(150)의 이동 거리가 변화되는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감지부(160)는, 거리 센서나 비젼 센서 이외에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 Illustratively, the
이러한 감지부(160)는, 대빗부(140) 중에서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 각각에서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여,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의 상대적인 파랑의 높이/크기 변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70)로 송신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해상 상황에 따라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방향 전환을 이루도록 각 구성의 동작/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감지부(160)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70)는,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운항 제어를 위한 운항 제어 시스템일 수 있어, 거주구(11B)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70)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여 운항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실시예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70)는,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운항을 위한 발전기(도시하지 않음), 러더(RD) 및 스러스터(TS)의 제어는 물론, 대빗 장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마련되거나, 여러 개의 시스템으로 구분되어 개별 제어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다.The
제어부(170)는, 감지부(16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에서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선체(11)의 이동을 상쇄시키도록 선체(11)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The
예시적으로 제어부(170)는, 해상 상황의 변화에 따른 제어를 위해 감지부(16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 중에서 해수면의 높이 변화가 더 큰 위치에서 파랑에 의한 선체(11)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여, 시추 라인 등의 파손 등이 감소될 수 있는 방향으로 선체(11)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Exemplarily, the
더불어 제어부(170)는,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 중에서 해수면의 높이 변화가 더 큰 위치에서 선체(11)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겠으나 간략하게는 작업부(W)의 작업을 중단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좌현과 우현으로 구분되는 제1 대빗(140PF, 140PS)과 제2 대빗(140SF, 140SS)의 위치에서 감지부(160)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다만, 더욱 세밀한 제어를 위해 제어부(170)는, 제1 선수 대빗(140PF), 제1 선미 대빗(140PS), 제2 선수 대빗(140SF) 및 제2 선미 대빗(140SS)에서의 파랑의 높이 변화에 따라, 즉 좌현과 우현만으로 구분되지 않고, 좌현, 우현, 선미 및 선수에서의 위치에 따른 파랑 높이 변화에 따라, 선체(11)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1 대빗(140PF, 140PS)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감지부(160)의 측정값이 제2 대빗(140SF, 140SS)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측정값에 대비하여 크면, 파랑의 높이 변화가 큰 방향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선체(11)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제1 선수 대빗(140PF)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파랑의 세기 및/또는 파력의 크기가 제2 선수 대빗(140SF)의 위치에 발생되는 파랑의 세기 및/또는 파력의 크기에 대비하여 더 클 수 있다. 그러면, 제1 선수 대빗(140PF)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파랑의 높이가 제2 선수 대빗(140SF)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파랑이 높이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파랑의 높이 및/또는 높이 차이에 따른 블록(150)의 이동 거리 변화를 감지부(16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5, the intensity and/or wave power of the wave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bow davit 140PF is the intensity and/or wave power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ow davit 140SF. It may be larger compared to the size of . Then, the height of the wave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bow davit (140PF)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wave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ow davit (140SF), and the block according to the height and / or height difference of these waves A change in the moving distance of the
예를 들어 제1 선수 대빗(140PF)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파력의 크기가 제2 선수 대빗(140SF)에 대비하여 크면, 해양 생산 플랜트(10)가 파력에 의해 우현(제2 선수 대빗(140SF)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선체(11)에 마련되는 시추 라인(도시하지 않음)이 선체(11)와 어긋나서 파손되거나, 해양 생산 플랜트(10)에 연결되는 다른 선박(예시적으로 LNG 선박 등)과의 연결이 어긋나 로딩/언로딩 작업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방향이 파랑에 의해 이동되는 만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즉 파랑에 의한 선체(11)의 움직임을 상쇄시킬 필요가 있다.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wave force generat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bow dabit (140PF) is large compared to the second bow davit (140SF), the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가, 파랑의 높이 변화가 더 큰 위치에서 해수의 흐름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별하고, 터렛(Turret, 회전식계류장치로서 선수부에 마련되어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음) 등을 제어하여 선체(11)의 선수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전환시킴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터렛의 제어로 선체(11)의 방향 전환을 이루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러더 또는 스러스터 등의 제어를 통해 선체(11)를 제어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To this end, the
그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제어부(170)는, 감지부(160)에서 감지되는 파도의 높이 변화가 위험 범위에 포함되면, 로딩/언로딩 등의 작업을 중단시키도록 작업부(W)의 작업을 중단시키거나, 해수면에 내려진 부유체(110)를 선체(11)에 올려 놓도록 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파도의 높이 변화가 위험 범위인 것은, 앞서 언급되는 작업 별로 작업에 위험이 발생될 수 있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값은, 선종이나 작업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위험 상황에 대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risk range of the change in wave height may be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sea level that may cause danger to the work for each task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is change value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ship or type of work, and may be set to cope with a known dangerous situation.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작업부(W)의 작업 중단은, 예를 들어 로딩/언로딩 작업의 중단을 위해 라인의 연결을 해제시키거나, 라인을 경유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무어링 장비의 연결을 해제시키거나, 또는 장비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바와 같이, 해상 상황의 악화에 따른 작업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작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interruption of the work unit W mentioned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o stop the loading / unloading work, disconnect the line, block the flow of fluid passing through the line, or It may include any operation that reduces the risk of operation due to deterioration of the sea situation, including disconnecting the ring equipment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더불어 로딩/언로딩 작업 등 앞서 언급되는 작업 중단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딩/언로딩을 위한 연결 작업시 해수면의 높이가 변화되면,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다른 선박 또는 안벽(QW)에 대한 선체(11)의 상대 높이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딩/언로딩 연결 지점의 높이 변화를 이루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로딩/언로딩 라인은, 텔레스콥 구조를 이루어는 바와 같이 길이 변화가 가능한 다단 구조를 이루거나, 호스 등과 같이 적어도 일부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work interruption such as loading/unloading work, and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sea level is changed during connection work for loading / unloading, to prevent the relative height of the
이외에도 제어부(170)는, 후술되는 보조 감지부(180)로부터 신호를 받아 기준값(기설정된 입력값으로, 선종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보다 낮은 압력이면 부유체(110)를 인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부유체(110)를 인양하는 신호는, 제어부(170)의 표시 장치를 통해 작업자/승무원이 인식할 수 있도록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작업자/승무원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제어부(170)는, 부유체(110)를 인양하는 신호 외에 대빗 장치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부유체(110)를 인양할 수도 있고, 앞서 언급되는 로딩/언로딩 연결, 연료 흐름 제어 및/또는 무어링 장비의 중단(구동 중단/정지일 수 있음) 등을 작업자의 입력 없이 기설정된 파도의 높이 변화가 작업별 위험 범위에 포함되면, 작업 중단을 이룰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더불어 로딩 연결 등의 다양한 작업 및 각각의 작업에 대한 작업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고, 파도의 높이 변화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작업의 자동화/무인화를 위한 구성의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nfiguration for automation/unmanned operation are possible, such as collecting various operations such as loading connections and operation data for each operation, and also collecting wave height change data.
보조 감지부(180)는, 부유체(1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부유체(110)의 내압이나 공기압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보조 감지부(180)는, 부유체(110)의 공기압을 측정 및/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는 tpms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이 적용될 수 있고, 직접 방식의 감지 방식을 이룰 수 있다.The
직접 방식은, 부유체(110)의 공기 주입 밸브에 센서가 부착되는 방식으로서, 센서가 부유체(110) 내 공기압을 감지하여 송신기를 통해 제어부(170)로 실시간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the direct method, a sensor is attached to the air injection valve of the floating
다만 보조 감지부(180)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 압력계로 이루어져 부유체(110) 내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owever, the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선박해양 생산 플랜트(10)는, 파랑의 높이 변화 및 흐름에 따라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로딩 라인 등의 작업부의 작업을 중단할 수 있어, 해양 생산 플랜트(1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파랑의 높이 변화를 대빗 장치를 활용하여 감지할 수 있어 장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해양 생산 플랜트
11: 선체
110: 부유체
120: 와이어
130: 윈치부
140: 대빗부
150: 블록
160: 감지부
170: 제어부10: marine production plant 11: hull
110: floating body 120: wire
130: winch part 140: antibit part
150: block 160: sensing unit
170: control unit
Claims (5)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부유체가 승하강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
상기 부유체와 상기 윈치부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대빗과 제2 대빗을 포함하는 대빗부;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 각각에서 파랑에 의해 변화되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에서 상기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상기 선체의 이동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선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선박해양 생산 플랜트.a floating body that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sea;
a wire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 winch unit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so that the floating body moves up and down;
At least one main pulley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wire between the floating body and the winch unit is rotatably coupled, and includes a first dabit and a second dabit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change in height of the sea level that is changed by waves in each of the first dabit and the second dab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to offset the movement of the hull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sea level in the first dabit and the second dabit; vessels that become offshore production plants.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로딩 라인, 언로딩 라인, 무어링 장비 및 계류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대빗과 상기 제2 대빗은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빗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상기 제2 대빗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측정값에 대비하여 크면 상기 선체를 상기 제2 대빗 방향으로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상기 해수면의 높이가 기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작업부를 경유하는 유체의 이동을 중단시키거나 상기 작업부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hull and further includes a work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oading line, an unloading line, mooring equipment, and mooring equipment,
The first dabit and the second dabit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hull in the second dabit direction whe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ing unit detect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dabit is greater than the measured value detect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dabit, or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a wave, which stops the movement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work unit or stops the operation of the work unit when the height of the sea level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러더;
해수의 유동 발생으로 상기 선체의 방향을 이동시키는 스러스터; 및
선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터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대빗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선수 대빗과 제1 선미 대빗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대빗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선수 대빗과 제2 선미 대빗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선수 대빗, 제1 선미 대빗, 제2 선수 대빗 및 제2 선미 대빗에서의 파랑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상기 러더, 상기 스러스터 및 상기 터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According to claim 2,
Rudd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A thruster for mov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due to the flow of seawater; and
Further comprising a turret provided in the bow portion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hull,
The first dabit includes a first bow dabit and a first stern dabit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second dabit includes a second bow dabit and a second stern dabit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control unit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rudder, the thruster, and the turre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hull according to a change in wave height in the first bow davit, the first stern davit, the second bow davit, and the second stern davit. An offshore production plant operating in response to waves, controlling either one.
상기 대빗부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를 받아 상하 이동되며,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유체에 대비하여 하중이 작은 블록을 더 포함하고,
해수면의 초기 값을 이루는 기준값에 대비하여 해수면이 낮아지면, 상기 부유체가 자중에 의해 해수면의 수위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부유체에 의해 당겨져 상부로 이동되며,
기준값에 대비하여 해수면이 상승되면, 상기 부유체가 해수면 상에 부유되도록 해수면의 수위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부유체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부로 이동되는,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According to claim 1,
It is moved up and down by receiving the gu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the sensing unit is installed, and a block having a small load in preparation for the floating body is further included,
When the sea level is lowered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constituting the initial value of sea level, the floating body is moved downward along the sea level by its own weight, and the block is pulled by the floating body and moved upward,
When the sea level rises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the floating body is moved upward along the sea level so that it floats on the sea level, and the block is moved downwar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generated between the floating body , offshore production plants operating in response to waves.
상기 감지부는, 상기 블록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또는 비젼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에 마련되어 상기 부유체의 내압이나 공기압을 측정하는 보조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기준값보다 낮은 압력이나 공기압이면 상기 부유체를 인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랑에 대응하여 운항되는 해양 생산 플랜트.
According to claim 4,
The sen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tance sensor and a vision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height of the block,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ensor provided on the floating body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r air pressure of the floating body,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auxiliary sensor and generates a signal to lift the floating body when the pressure or air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81197A KR20230092124A (en) | 2021-12-17 | 2021-12-17 | Offshore plant tha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81197A KR20230092124A (en) | 2021-12-17 | 2021-12-17 | Offshore plant tha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92124A true KR20230092124A (en) | 2023-06-26 |
Family
ID=8694787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81197A Pending KR20230092124A (en) | 2021-12-17 | 2021-12-17 | Offshore plant tha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30092124A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84917B1 (en) | 2017-11-13 | 2019-05-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ender Davit Device |
-
2021
- 2021-12-17 KR KR1020210181197A patent/KR2023009212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84917B1 (en) | 2017-11-13 | 2019-05-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ender Davit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325610B2 (en) | Feeder vessel | |
| EP2558358B1 (en) | Marine lifting apparatus | |
| WO2015120862A1 (en) | A boat heel compensation method and system, and a boat with said system | |
| KR20150113007A (en) | Crane with heave compensation | |
| KR20120091816A (en) | A mooring stabilizing system for floater and control method of it | |
| EP2639359B1 (en) | Dredging equipment and method for dredging or mining with such equipment | |
| KR20120119335A (en) |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 |
| EP3601141A1 (en) | A lifting device | |
| KR20230092124A (en) | Offshore plant that operated in response to waves | |
| CN110949611A (en) | Mooring device, ship and arrangement method of mooring device | |
| CN111422306B (en) | Intelligent berthing device, pontoon, intelligent berth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 KR102640051B1 (en) | Fender moving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 |
| KR20220054202A (en) | Guided lifting system | |
| KR101282772B1 (en) | Active type rolling fender with considering hull form of vessel | |
| CN115743488B (en) | Wave self-adaptive ship propulsion device and use method | |
| KR20200046254A (en) | Davit apparatus | |
| KR102659975B1 (en) | Vessels and methods equipped with semi-automatic or automatic mooring systems | |
| KR101524214B1 (en) | Floating structure controlling position of offloading | |
| JPH06272278A (en) | Pulling up apparatus of water pumping-up device for sand collecting ship | |
| KR102662433B1 (en) | Spread mooring method for weather vaning | |
| KR20180012462A (en) | Maintenance Floating Dock Provided With Floater Guide System For Re-docking Therein AND Re-docking Method | |
| GR20210100165A (en) | Vessel's oscillation damping arrangement | |
| CN111731436A (en) | Automatic ship berthing system of telescopic cable dragging mechanism | |
| JP4939856B2 (en) | Mooring system and mooring method | |
| KR20230045350A (en) | Wave height change measuring app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