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94684A -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 Google Patents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684A
KR20230094684A KR1020210184032A KR20210184032A KR20230094684A KR 20230094684 A KR20230094684 A KR 20230094684A KR 1020210184032 A KR1020210184032 A KR 1020210184032A KR 20210184032 A KR20210184032 A KR 20210184032A KR 20230094684 A KR20230094684 A KR 2023009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argo carrier
hull
stern
polar reg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용우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684A/en
Publication of KR2023009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68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2Double bottoms; Tank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쇄빙 기능을 가지며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이 구비되는 엔진부; 상기 엔진부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엔진부의 선미측에 마련되어 하나 이상의 추진기가 설치되는 추진기부; 및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추진기부로부터 상기 엔진부를 구획 분리하는 제1 격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부는, 상기 제1 격벽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추진기부와 구획되어, 수밀(Watertight) 공간을 형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that has an icebreaking function and operates in polar waters, comprising: an engine unit equipped with an engine; A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engine portion and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 propulsion unit provided at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unit and having one or more propellers installed thereon; and a first bulkhead section separating the engine section from the space section and the thruster section.
The engine part is partitioned from the space part and the propeller part by the first partition wall part to form a watertight space.

Description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ice breaking function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본 발명은 극지 해역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쇄빙 또는 운항과정에서, 선미부 내 기계류 및 장비의 동결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극지 해역의 저온 환경에서 선내 선원을 보호할 수 있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that transports cargo in polar wa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freezing or damage of machinery and equipment in the stern part during icebreaking or operation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capable of protecting crew members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in polar waters.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해 해빙이 유실됨에 따라 러시아 부근의 북동항로와 캐나다 부근의 북서항로 등 극지운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As sea ice in the Arctic Ocean is lost due to global warming, interest in polar navigation is increasing, such as the Northeast Passage near Russia and the Northwest Passage near Canada.

북극해 지역은 많은 자원이 있으며, 새로 부각되는 관광지로서도 알려지고 있어 극지 유전의 개발에 따른 수송, 보급 및 관광 목적으로 극지 항로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The Arctic Ocean region has many resources and is known as a newly emerging tourist destination, s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olar routes for the purpose of transportation, supply and touris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olar oil fields is becoming active.

세계 지하자원의 약 25%가 매장되어 있고, 기존항로에 비해 시간과 거리가 30% 이상 단축되는 북극해 항로 개발을 위해 북극해 인접국들인 미국, 캐나다, 러시아, 덴마크, 및 노르웨이 등은 관련 연구들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About 25% of the world's underground resources are buried, and to develop the Arctic Sea Route, which reduces time and distance by more than 30% compared to existing routes, the countries adjacent to the Arctic Ocean, such as the United States, Canada, Russia, Denmark, and Norway, are leading related research. are performing

미국과 캐나다 연구진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북극해 항로의 통행량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선박 통행량의 2%에 달하며, 2050년까지 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해 항로의 개방 시기가 점차 앞당겨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researchers in the US and Canada, the current traffic volume of the Arctic Sea Route reaches 2% of the world's ship traffic by 2030 and is expected to reach 5% by 2050. It is very likely that the opening time will gradually come forward.

한편, 극지 해역의 환경조건은 대기 온도가 약 -52℃에 이르고, 운항 중 일부구간에는 빙산(Iceberg) 또는 유빙(Pack ice)들이 존재하게므로,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은 일반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과는 달리 혹한의 환경을 고려한 특수설계가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polar waters are that the air temperature reaches about -52℃ and icebergs or pack ice exist in some sections during operation. Unlike ships, special designs are required considering harsh environments.

극지용 선박은, 극지 해역의 운항 시 저온 외기에 노출된 구조물들이 얼지 않도록 하고, 기관실 등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fresh air)를 공급할 때에 저온의 외기가 엔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입된 공기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순환시켜야 한다.Polar ships prevent structures exposed to low-temperature outside air from freezing when operating in polar waters, and when supplying fresh air from the outside to the engine room, etc., intake air is used to prevent damage to the engine. It must be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circulated.

일반적인 극지용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는, 전기히터 또는 열유 시스템(Thermal oil system)에 의해 수요처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한다.Air used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general polar vessel is heat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a demand place by an electric heater or a thermal oil system.

이와 같이, 극지용 선박에 사용할 공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가열함으로써, 극지 해역의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발전기(Generator) 등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극저온에 의한 각종 장비 및 장치의 동결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ppropriately hea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to be used in the polar vessel,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rate the generator, etc. even in the cryogenic environment of the polar sea area, and to prevent freezing or damage of various equipment and devices due to cryogenic temperatures. It can be prevented.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technology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406760호 “유빙으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6760 “Device for protecting hull from drift ice”

전술한 바와 같이, 극지 해역에는 빙산이나 유빙이 존재하므로,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은 이러한 결빙구간을 지나가기 위한 쇄빙(碎氷) 기능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icebergs or drift ice exist in polar waters, ships operating in polar waters may have an icebreaking function to pass through such frozen sections.

구체적으로,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은, 빙산 또는 유빙이 존재하는 결빙구간을 지날 시 얼음을 수직 전단력에 의해 쇄빙하여 빙산을 가르며 나아갈 수 있도록 흘수선 주위의 선수측 단부가 경사져 있다.Specifically, when a ship operating in polar waters passes through a freezing section in which icebergs or drift ice exists, the end of the bow side around the waterline is inclined so that the ice can be broken by vertical shear force to move through the iceberg.

경사진 선수측 단부에 의해 얼음이 선체를 따라 선수부의 하부방향으로 내려가게 되고, 이에 따라 선박의 하중이 얼음에 전해져 하중을 이기지 못한 얼음이 깨지게 되며, 깨진 얼음조각은 선박의 선저 또는 선측으로 유입되면서 쇄빙이 완료된다.Ice goes down along the hull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bow due to the inclined bow end, and as a result, the load of the ship is transmitted to the ice and the ice that does not overcome the load is broken, and the broken ice pieces flow into the ship bottom or side of the ship. icebreaking is completed.

이러한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선박은, 결빙구간에서 0.7m 이상의 단일 또는 다년생 얼음을 깨고 운항할 수 있다.Ships for polar regions having such an icebreaking function can operate by breaking single or perennial ice of 0.7m or more in the freezing section.

이러한 극지용 선박은, 선미방향(Astern)으로도 운항이 가능하도록 추진장치가 360도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선미방향(Astern direction)으로 후진할 경우에도 두꺼운 얼음을 깨는 쇄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uch a ship for polar regions may have a propulsion device rotated 360 degrees so as to be able to operate in the stern direction (Astern direction), and even when moving backward in the stern direction (Astern direction), it will be configured to enable icebreaking to break thick ice. can

극지용 선박에 적용되는 추진장치에는,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 또는 포드(Pod)형 추진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추진기는 360도 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극지용 선박은 자유롭게 후진이나 선회가 가능할 수 있다.Propulsion devices applied to ships for polar regions include azimuth thrusters or pod-type propellers, and these thrusters can rotate 360 degrees in all directions so that ships for polar regions can move backward or turn freely. It could be possible.

한편, 빙산이나 유빙이 존재하는 결빙구간에서 쇄빙운항 시, 선체외판은 얼음 덩어리와 충돌하거나 얼음 조각이 끼이는 등 충격이나 하중(빙산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일반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과 비교하여 외판이 손상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icebreaking operation in an ice section where icebergs or drift ice exist, impact or load (iceberg load) may be applied to the outer plate of the hull, such as colliding with ice chunks or getting ice fragments stuck, and compared to ships operating in general sea areas,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outer plate is relatively high.

특히, 결빙구간을 전진운항하거나 선미방향으로 후진하면서 쇄빙을 하는 과정에서, 엔진이 마련된 선미부측 선체외판이 손상되는 경우, 저온의 외기와 해수의 침입으로 인해 해당구역 내 기계류 및 장비의 동결이나 파손, 또는 선박에 탑승한 선원들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icebreaking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in the stern direction in the frozen section, if the hull side plate on the stern side where the engine is installed is damaged, freezing or damage to machinery and equipment in the area due to low-temperature outside air and seawater intrusion , or may affect the safety of the crew on board the vessel.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은, 엔진이 구비되는 선미부에서 동결 내지 파손 방지구조를 적용하여 선미부 내 기계류, 장비 및 선원을 보호하며 안전한 운항을 도모할 수 있는 설계방안이 요구된다.Ships operating in polar waters require a design plan that can protect machinery, equipment, and crew members in the stern part by applying a freeze or damage prevention structure to the stern part where the engine is equipped and promote safe operation.

본 발명은 쇄빙 기능을 가지며 극지 해역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극지용 화물운반선의 쇄빙 또는 운항과정에서, 엔진이 구비된 선미부 내 기계류 및 장비의 동결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극지 해역의 저온 환경에서 선내 선원을 보호할 수 있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ce-breaking function and prevents freezing or damage of machinery and equipment in the aft part equipped with an engine in the process of icebreaking or operating a polar cargo carrier transporting cargo in polar waters, and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in polar wat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capable of protecting crew membe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쇄빙 기능을 가지며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로서, 엔진이 구비되는 엔진부; 상기 엔진부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엔진부의 선미측에 마련되어 하나 이상의 추진기가 설치되는 추진기부; 및 상기 간부 및 상기 추진기부로부터 상기 엔진부를 구획 분리하는 제1 격벽부를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and operating in polar waters, comprising: an engine unit equipped with an engine; A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engine portion and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 propulsion unit provided at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unit and having one or more propellers installed thereon; And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may be provided, including a first bulkhead portion for partitioning and separating the engine portion from the executive portion and the propulsion unit.

상기 엔진부는, 상기 제1 격벽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추진기부와 구획되어, 수밀(Watertight)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engine unit may be partitioned from the space unit and the propeller unit by the first partition wall unit to form a watertight space.

또한, 상기 엔진부를 상기 선체의 좌우로 구획하는 중앙 수밀격벽을 더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In addition, the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watertight bulkhead partitioning the engine part in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또한, 상기 엔진부는, 상기 중앙 수밀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선체의 우현에 배치되는 제1 엔진룸; 및 상기 선체의 좌현에 배치되는 제2 엔진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unit, a first engine room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based on the central watertight bulkhead; And it may include a second engine room disposed on the port side of the hull.

또한, 상기 제1 엔진룸 및 상기 제2 엔진룸은, 각각 상기 엔진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독자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is equipped with one or more engines, and may be independently operated.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선체의 우현에 마련되는 제1 보이드; 및 상기 선체의 좌현에 마련되는 제2 보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portion, a first void provided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And it may include a second void provided on the port side of the hull.

또한,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제1 보이드와 상기 엔진부 사이 및 상기 엔진부와 상기 제2 보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이중벽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oid and the engine unit and between the engine unit and the second void to have a double wall structure.

또한, 상기 선체의 저부를 이중저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엔진부는 상기 이중저 구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hull may be formed in a double bottom structure, and the engine unit may be disposed above the double bottom structure.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엔진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좌현에 배치되는 제3 보이드; 및 상기 엔진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우현에 배치되는 제4 보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unit, a third void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ngine unit and disposed on the port side; and a fourth void provided under the engine unit and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또한, 상기 제1 보이드 내지 상기 제4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선박의 흘수 조절을 위한 워터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ballast tank for adjusting the draft of a ship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void to the fourth void.

또한, 상기 추진기부는, 상기 선체의 외판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추진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설비가 마련되는 복수개의 포드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peller un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d rooms provided with various facilities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또한, 상기 복수의 포드룸 각각을 구획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포드룸 각각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2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artmentalize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a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installed to sur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드룸 중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두개의 포드룸 사이에는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수밀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tight door may be formed between two pod room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pod rooms so that a worker can move.

본 발명은, 엔진부와 좌우측 선체의 외판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와 엔진부 사이에 수밀격벽(Watertight bulkhead)을 설치하여 엔진부 내부가 수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빙산이나 유빙이 존재하는 결빙구간의 쇄빙 또는 운항과정에서 외판이 손상되더라도 선체 내 기계류, 장비의 동결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engine portion and the outer plates of the left and right hulls, and a watertight bulkhead is installed between the space portion and the engine portion to form a watertight space inside the engine portion, and icebergs or drift ice can be formed. Even if the outer plate is damaged during ice breaking or navigation in the existing ice section, freezing or damage to machinery and equipment inside the hull can be prevented.

또한, 엔진부 좌우측 공간부를 통해 극지 해역의 저온환경에서 엔진부의 보온을 위한 보온재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극지 해역의 저온 환경에서 선내 선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left and right space parts of the engine par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for keeping the engine part warm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polar sea area, and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of protecting crew members in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polar sea area.

또한, 엔진부를 좌우로 구획하여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을 형성하고,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 사이에 수밀격벽을 추가 설치하여,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 중 어느 한 곳에서 저온의 외기 또는 해수 침입으로 인해 엔진이 손상되어 기능을 나머지 한 곳의 엔진을 가동하여 지속적인 항해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part is partitioned left and right to form a first engine room and a second engine room, and a watertight bulkhead is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In one place, the engine may be damaged due to low-temperature outside air or seawater intrusion, and the function may have the effect of enabling continuous navigation by operating the engine in the other place.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쇄빙 또는 운항과정에서 선미부 내 수밀 공간을 형성하는 엔진부 중 일부분, 즉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 중 어느 하나가 선체의 외판 손상 등의 충격에 의해 저온의 외기에 노출되거나 해수가 침입되어 엔진의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작동이 중단되지 않은 다른 구역에 구비된 엔진이 독자적으로 작동가능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engine part forming the watertight space in the stern part during icebreaking or navigation, that is, any one of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is exposed to low-temperature outdoor air due to impact such as damage to the shell of the hull. Even if the function of the engine is lost due to exposure to water or intrusion of seawater, the engine provided in the other area where the operation is not stopped may operate independently.

따라서, 손상이 발생된 해당 구역만 일정 기간 동안 격리시킨 다음, 수리가 가능한 지역까지 항해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of being able to sail to a repairable area after isolating only the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damage has occur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나아가, 추진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각정설비가 마련된 복수의 포드룸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침수되거나 파손되어 추진력을 잃게 되더라도, 추진기부와 구획 분리된 엔진부를 통해 선내 선원이 일정 기간 동안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even if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equipped with each pod room for operating the propulsion system are flooded or damaged and lose propulsive power, the crew on board can guarantee surviv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engine part separated from the propulsion base part. may have beneficial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를 개략적인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측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측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verse section at the stern sid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n the stern sid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를 개략적인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측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측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a transverse section on the stern side of the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ongitudinal section on the stern sid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1)는, 엔진(미도시)이 구비되는 엔진부(10)와, 엔진부(10)와 선체의 외판(Side shell)(미부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Void space)(20)와, 엔진부(10)의 선미측에 마련되어 하나 이상의 추진기가 설치되는 추진기부(미부호)(도 1의 도면부호 PR1, PR2, PR3 참조)와, 공간부(20) 및 추진기부로부터 엔진부(10)를 구획 분리하는 제1 격벽부(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tern structure 1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unit 10 equipped with an engine (not shown), the engine unit 10 and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 void space 20 formed between the side shell (unsigned) and a propulsion base (unmarked) provided on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part 10 and having one or more propulsors installed (shown in FIG. 1) Reference numerals PR1, PR2, and PR3), and a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31 for partitioning and separating the engine portion 10 from the space portion 20 and the propeller portion.

본 실시예에서, 엔진부(10)는, 제1 격벽부(31)에 의해 공간부(20) 및 추진기부와 구획되어, 수밀(Watertight)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ngine unit 10 may be partitioned from the space unit 20 and the propeller unit by the first partition wall unit 31 to form a watertight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1)는, 엔진부(10)를 좌우방향으로 구획하는 중앙 수밀격벽(Center watertight bulkhead)(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rn structure 1 of the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watertight bulkhead 30 partitioning the engine unit 10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즉, 본 실시예의 엔진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수밀격벽(3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구획되어, 중앙 수밀격벽(30)을 기준으로 선체의 우현(STBD)에 배치되는 제1 엔진룸(11)과, 선체의 좌현(Port)에 배치되는 제2 엔진룸(12)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engine uni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is partitio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central watertight bulkhead 30, and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based on the central watertight bulkhead 30 ( It may include a first engine room 11 disposed in the STBD and a second engine room 12 disposed in the port of the hull.

본 실시예에서,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엔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은 각각의 엔진을 통해 독자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or more engine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engine room 11 and the second engine room 12, and the first engine room 11 and the second engine room 12 may have respective engines. It can be provided independently operable through.

본 실시예의 선미구조(1)는, 제1 격벽부(31)에 의해 엔진부(10)를 공간부(20) 및 추진기부로부터 구획 분리하여 수밀 공간을 형성하고, 중앙 수밀격벽(30)을 통해 엔진부(10)를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으로 구획하여,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 중 어느 한 곳에서 저온의 외기 또는 해수 침입으로 인한 엔진이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나머지 한 곳의 엔진을 가동하여 항구(또는, 항만시설)(Port)까지 지속적인 항해가 가능할 수 있다.In the stern structure 1 of this embodiment, the engine part 10 is partitioned and separated from the space part 20 and the propeller part by the first bulkhead part 31 to form a watertight space, and the central watertight bulkhead 30 By partitioning the engine unit 10 into a first engine room 11 and a second engine room 12, in either the first engine room 11 or the second engine room 12, low-temperature outdoor air or Even if the engine is damaged and loses its function due to seawater intrusion, it is possible to continue sailing to the port (or port facility) by operating the remaining engine.

여기에서, 선체의 저부(즉, 선저부)를 이중저 구조(Double bottom structure)로 형성하고, 엔진부(10)는 이중저 구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은 당연할 수있다.Here, it is natural that the bottom of the hull (ie, the bottom of the ship) is formed in a double bottom structure, and the engine unit 10 is disposed on top of the double bottom structure.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엔진부(10)는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엔진부(10)에 두개 이상의 수밀격벽을 설치하여 선체의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엔진룸(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gine unit 10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 first engine room 11 and a second engine room 1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gine unit 10 It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engine rooms (three or mo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ull by installing two or more watertight bulkheads.

여기에서,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의 사이에 설치된 중앙 수밀격벽(30) 상에 수밀도어(Watertight)(미도시)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 사이를 편리하게 통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UD)(도 3 참조) 부근에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갑판(UD) 부근에서 하부로만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a watertight doo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central watertight bulkhead 3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engine room 11 and the second engine room 12 so that the operator can access the first engine room 11 ) and the second engine room 12 may be considered to enable convenient passage, but stairs or elevators (not shown) are installed near the upper deck (UD) (see FIG. 3) of the hull. It may be desirable to allow entry only to the lower part near the upper deck (UD).

공간부(20)는, 엔진부(10)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형성되어, 선체 내부를 저온의 외기 및 외부 충격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pace part 20 is formed between the engine part 10 and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nd may serve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hull from low-temperature outside air and external impact.

본 실시예의 공간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우현에 마련되는 제1 보이드(21)와, 선체의 좌현에 마련되는 제2 보이드(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pace portion 2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void 21 provided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and a second void 22 provided on the port side of the hull.

여기에서, 제1 격벽부(31)는, 제1 엔진룸(11)과 제1 보이드(21) 사이 및 제2 엔진룸(12)과 제2 보이드(22)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중벽체 구조(Double hull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first bulkhead portion 31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engine room 11 and the first void 21 and between the second engine room 12 and the second void 22, respectively, to have a double wall structure. (Double hull structure).

본 실시예에서, 엔진부(10)는 선박의 선미측 선체 내부에 마련되며, 엔진부(10)의 내부에는 엔진뿐만 아니라 엔진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기계류, 장비들이 탑재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선미구조(1)는, 엔진부(10)의 외측에 공간부(20)와 제1 격벽부(31)를 통해 이중벽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빙산이나 유빙이 존재하는 결빙구간의 쇄빙 또는 운항과정에서 외판이 손상되더라도 엔진부(10) 내 기계류, 장비의 동결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ngine unit 10 is provided inside the stern side of the hull of the ship, and various machinery and equipmen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ngine as well as the engine can be mounted inside the engine unit 10. The stern structure 1 forms a double wall structure through the space part 20 and the first bulkhead part 31 outside the engine part 10, so that the ice breaking or navigation process of the ice section where icebergs or drift ice exists Even if the outer plate is damaged in the engine unit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zing or damage of machinery and equipment.

제1 격벽부(31)는,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 각각의 전후측(선수방향 및 선미방향)에도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엔진룸(11)과 제2 엔진룸(12) 각각에 수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 수밀격벽(30)과 일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first bulkhead portion 31 may be equal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e bow direction and the stern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engine room 11 and the second engine room 12, and the first engine room 11 And it may be preferable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entral watertight bulkhead 30 to form a watertight space in each of the second engine room 12 .

또한, 본 실시예의 공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부(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좌현에 배치되는 제3 보이드(23)와, 엔진부(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우현에 배치되는 제4 보이드(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space part 2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engine part 10 and the third void 23 disposed on the port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engine part 10 It is provided and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void 24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본 실시예에서, 제1 보이드(21) 내지 제4 보이드(24)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해수나 물을 채워 선박의 흘수 조절을 하기 위한 워터 밸러스트 탱크(Water ballast tank)가 마련될 수 있고, 워터 밸러스트 탱크는 제1 보이드(21) 내지 제4 보이드(24)를 대체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void 21 to the fourth void 24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ballast tank for adjusting the draft of the ship by filling seawater or water, and the water ballast The tank may be provided by replacing the first void 21 to the fourth void 24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부(10)의 선미측에 마련되어 하나 이상의 추진장치가 설치되는 추진기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ft structure 1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pulsion base (unsigned) provided on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unit 10 and having one or more propulsion devices installed therein. can do.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에 적용되는 추진장치에는, 종래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아지무스 스러스터 또는 포드형 추진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추진기는 360도 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극지용 선박은 자유롭게 후진이나 선회가 가능할 수 있다.Propulsion devices applied to ships operating in polar waters includ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azimus thrusters or pod-type propellers. Reversing or turning may be possible.

본 실시예에서, 추진장치는, 조타 및 쇄빙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전기식 포드형 추진기(Electric Podded Azimuth Thruster)(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추진기부는 추진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설비가 마련되는 복수개의 포드룸(POD room)(PR1, PR2, PR3)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pulsion device may be applied with an electric podded azimuth thruster (not shown) to improve steering and icebreaking functions, etc., and the propulsion base of this embodiment has various facilities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d rooms (POD rooms) (PR1, PR2, PR3)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선미측 선체 저면의 좌우측에 한 쌍의 포드형 추진기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한 쌍의 포드형 추진기 사이에 하나를 더 설치하여 3개의 포드형 추진기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선미측 선체 내부에는 포드형 추진기의 개수에 대응되게 포드룸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air of pod-type thrusters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of the hull at the aft side, and three pod-type thrusters may be installed by installing one more between the pair of pod-type thrusters, Inside the hull, a pod room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od-type propell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1)는, 엔진부(10)의 선미측에 마련된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각각을 구획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 격벽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rn structure 1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artition and separate each of a plurality of pod rooms (PR1, PR2, PR3) provided on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unit 10. 2 partition walls 50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의 제2 격벽부(50)는,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각각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각각을 구획하는 역할과 함께 저온의 외기 및 해수의 침입으로부터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각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50 of this embodiment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PR2, and PR3, and serves to part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PR2, and PR3. It can serve to protect each of the plurality of podrooms (PR1, PR2, PR3) from the intrusion of low-temperature outside air and seawater.

통상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은, 추진장치가 360도 회전되게 구비되어 선미방향으로 후진할 경우에도 얼음을 깨면서 운항이 가능하게 되는데, 선미방향으로 쇄빙 운항 시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측 외판이 손상되어 저온의 외기 및 해수가 침입될 우려가 있으며, 이는 추진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설비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다.Cargo carriers for polar regions with an ice-breaking function are normally provided with a propulsion device rotated 360 degrees so that they can operate while breaking ice even when moving backward in the stern direc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ow-temperature outside air and seawater may enter due to damage to the outer shells on the PR2 and PR3) side, which may cause failure of various facilities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1)는,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각각을, 엔진부(10)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선체의 외판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하여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과 선체의 외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각각을 둘러싸도록 제2 격벽부(50)를 설치하여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stern structure 1 of the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PR2, and PR3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ngine unit 10,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PR2, and PR3) and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nd the second bulkhead portion 50 is installed to sur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PR2, and PR3) It may be desirable to protect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선미구조(1)는, 엔진부(10)의 선미측에서 3개의 포드룸(PR)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며, 선체의 좌현으로부터 우현방향으로 제1 포드룸(PR1), 제2 포드룸(PR2) 및 제3 포드룸(PR3)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ern structure 1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ree pod rooms (PR) are formed at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unit 10, from the port side of the hull to the starboard direction. The first pod room PR1, the second pod room PR2, and the third pod room PR3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제2 격벽부(50)는, 엔진룸(10)의 선미측에 형성된 제1 포드룸(PR1)과 제2 포드룸(PR2)의 사이 및 제2 포드룸(PR2)과 제3 포드룸(PR3)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ulkhead part 50 of this embodiment is between the first pod room PR1 and the second pod room PR2 formed on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room 10 and between the second pod room PR2 and the third pod room PR2. Each may be formed between the pod rooms PR3.

즉, 본 실시예의 선미구조(1)는, 극지 해역의 빙산이나 유빙과 충돌하여 제1 내지 제3 포드룸(PR3)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 제1 내지 제3 포드룸(PR3) 중 다른 하나 또는 나머지만으로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ern structur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ollides with an iceberg or drift ice in polar waters and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podrooms PR3 is out of order or damaged, and normal operation is impossible, the first to third podrooms PR3 are unable to operate normally. The propulsion of the ship can be generated only with the other one or the rest of the third podrooms PR3.

본 실시예에서, 제2 격벽부(50)는, 제1 격벽부(310)와 연결되어 일체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각각에 수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중앙 수밀격벽(30)과도 일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artition 5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 310 to form a watertight spac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 PR2 , and PR3 . It may be natural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tertight bulkhead 30.

여기에서, 복수개의 포드룸(PR1, PR2, PR3) 중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두개의 포드룸 사이에는 작업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수밀도어(60)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water-tight door 60 may be formed between two pod room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 PR2 , and PR3 to allow passage of workers.

다시 말해, 제1 포드룸(PR1)과 제2 포드룸(PR2)의 사이 및 제2 포드룸(PR2)과 제3 포드룸(PR3)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수밀도어(60)를 형성하여, 작업자는 수밀도어(60)를 통해 복수의 포드룸(PR1, PR2, PR3) 사이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forming a watertight door 60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d room PR1 and the second pod room PR2 and between the second pod room PR2 and the third pod room PR3 ,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move between the plurality of pod rooms PR1 , PR2 , and PR3 through the water tight door 60 .

도 1 및 도 4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BL”은 선박의 기저선(Base line)을 의미한다.In FIGS. 1 and 4,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BL” means a base line of a sh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극지용 선박의 선미구조는, 엔진부와 좌우측 선체의 외판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와 엔진부 사이에 수밀격벽을 설치하여 엔진부 내부가 수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빙산이나 유빙이 존재하는 결빙구간의 쇄빙 또는 운항과정에서 외판이 손상되더라도 선체 내 기계류, 장비의 동결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tern structure of a ship for polar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outer plates of the left and right hulls, and a watertight bulkhead is installed between the space and the engine to form a watertight space inside the engine. Even if the outer plate is damaged during icebreaking or navigation in the ice section where icebergs or drift ice exist,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zing or damage of machinery and equipment inside the hull.

또한, 엔진부 좌우측 공간부를 통해 극지 해역의 저온환경에서 엔진부의 보온을 위한 보온재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극지 해역의 저온 환경에서 선내 선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left and right space parts of the engine par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for keeping the engine part warm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polar sea area, and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of protecting crew members in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polar sea area.

또한, 엔진부를 좌우로 구획하여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을 형성하고,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 사이에 수밀격벽을 추가 설치하여,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 중 어느 한 곳에서 저온의 외기 또는 해수 침입으로 인해 엔진이 손상되어 기능을 나머지 한 곳의 엔진을 가동하여 지속적인 항해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part is partitioned left and right to form a first engine room and a second engine room, and a watertight bulkhead is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In one place, the engine may be damaged due to low-temperature outside air or seawater intrusion, and the function may have the effect of enabling continuous navigation by operating the engine in the other place.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쇄빙 또는 운항과정에서 선미부 내 수밀 공간을 형성하는 엔진부 중 일부분, 즉 제1 엔진룸과 제2 엔진룸 중 어느 하나가 선체의 외판 손상 등의 충격에 의해 저온의 외기에 노출되거나 해수가 침입되어 엔진의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작동이 중단되지 않은 다른 구역에 구비된 엔진이 독자적으로 작동가능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engine part forming the watertight space in the stern part during icebreaking or navigation, that is, any one of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is exposed to low-temperature outdoor air due to impact such as damage to the shell of the hull. Even if the function of the engine is lost due to exposure to water or intrusion of seawater, the engine provided in the other area where the operation is not stopped may operate independently.

따라서, 손상이 발생된 해당 구역만 일정 기간 동안 격리시킨 다음, 수리가 가능한 지역까지 항해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of being able to sail to a repairable area after isolating only the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damage has occur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나아가, 추진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각정설비가 마련된 복수의 포드룸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침수되거나 파손되어 추진력을 잃게 되더라도, 추진기부와 구획 분리된 엔진부를 통해 선내 선원이 일정 기간 동안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even if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equipped with each pod room for operating the propulsion system are flooded or damaged and lose propulsive power, the crew on board can guarantee surviv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engine part separated from the propulsion base part. may have beneficial effec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극지용 화물 운반선
10: 엔진부
11: 제1 엔진룸
12: 제2 엔진룸
20: 공간부(Void space)
21: 제1 보이드
22: 제2 보이드
23: 제3 보이드
24: 제4 보이드
30: 중앙 수밀격벽(Watertight bulkhead)
31: 제1 격벽부
50: 제2 격벽부
60: 수밀도어(Watertight door)
PR1, PR2, PR3: 포드룸(POD room)
UD: 상갑판(Upper deck)
BL: 기저선(Base line)
1: Polar cargo carrier
10: engine part
11: 1st engine room
12: 2nd engine room
20: Void space
21: first void
22: second void
23: third void
24: 4th void
30: Central watertight bulkhead
31: first partition wall
50: second partition wall
60: Watertight door
PR1, PR2, PR3: POD room
UD: Upper deck
BL: Base line

Claims (12)

쇄빙 기능을 가지며 극지 해역을 운항하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로서,
엔진이 구비되는 엔진부;
상기 엔진부와 선체의 외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엔진부의 선미측에 마련되어 하나 이상의 추진기가 설치되는 추진기부; 및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추진기부로부터 상기 엔진부를 구획 분리하는 제1 격벽부를 포함하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s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that has an icebreaking function and operates in polar waters,
An engine unit equipped with an engine;
A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engine portion and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 propulsion unit provided at the stern side of the engine unit and having one or more propellers installed thereon; and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including a first bulkhead part for partitioning and separating the engine part from the space part and the propeller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부는,
상기 제1 격벽부에 의해,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추진기부와 구획되어, 수밀(Watertight) 공간을 형성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engine part,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that is partitioned from the space portion and the propulsion unit by the first bulkhead portion to form a watertight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부를 상기 선체의 좌우로 구획하는 중앙 수밀격벽을 더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watertight bulkhead dividing the engine part in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부는,
상기 중앙 수밀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선체의 우현에 배치되는 제1 엔진룸; 및
상기 선체의 좌현에 배치되는 제2 엔진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엔진룸 및 상기 제2 엔진룸은, 각각 상기 엔진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독자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engine part,
A first engine room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based on the central watertight bulkhead; and
Including a second engine room disposed on the port side of the hull,
The first engine room and the second engine room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engines, respectively, and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provided to be operated independent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선체의 우현에 마련되는 제1 보이드; 및
상기 선체의 좌현에 마련되는 제2 보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제1 보이드와 상기 엔진부 사이 및 상기 엔진부와 상기 제2 보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이중벽체 구조를 갖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 part,
A first void provided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and
Including a second void provided on the port side of the hull,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A stern structure of a polar cargo carrier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having a double wall structure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oid and the engine part and between the engine part and the second vo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저부를 이중저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엔진부는 상기 이중저 구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in which the bottom of the hull is formed in a double bottom structure, and the engine part is disposed on top of the double bottom structur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엔진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좌현에 배치되는 제3 보이드; 및
상기 엔진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우현에 배치되는 제4 보이드를 더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5,
The space part,
a third void provided under the engine part and disposed on the port side; and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fourth void provided under the engine unit and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이드 내지 상기 제4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선박의 흘수 조절을 위한 워터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7,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in which a water ballast tank for adjusting the draft of the ship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void to the fourth vo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부는,
상기 선체의 외판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추진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설비가 마련되는 복수개의 포드룸을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pulsion base,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od room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late of the hull and provided with various facilities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드룸 각각을 구획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포드룸 각각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제2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9,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ulkhead portion installed to sur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in order to partition and separate each of the plurality of pod room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드룸 중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두개의 포드룸 사이에는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수밀도어가 형성되는 쇄빙 기능을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의 선미구조.
According to claim 10,
A stern structure of 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an icebreaking function in which a water-dense door is formed between two pod room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pod rooms so that workers can move.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미구조를 갖는 극지용 화물 운반선.A cargo carrier for polar regions having the stern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210184032A 2021-12-21 2021-12-21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Pending KR202300946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032A KR20230094684A (en) 2021-12-21 2021-12-21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032A KR20230094684A (en) 2021-12-21 2021-12-21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684A true KR20230094684A (en) 2023-06-28

Family

ID=8699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032A Pending KR20230094684A (en) 2021-12-21 2021-12-21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68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760Y1 (en) 2005-09-21 2006-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rrangements for protecting the hull from drift 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760Y1 (en) 2005-09-21 2006-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rrangements for protecting the hull from drift 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8635A (en) Marine transport
US3934531A (en) Ocean going cargo transport system
KR101704043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ice-breaking properties of a water craft and a water craf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US6162105A (en) Two-part ship for use in oil transport in arctic waters
KR100972154B1 (en) Additional Propulsion System and Icebreaker
CN109562818B (en) Ship with multiple fuel pipelines
US20050070179A1 (en) Arrangement for steering a water-craft
KR20230094684A (en) Stern structure of cargo carrier with ice breaking function
JP6492121B2 (en) Merchant vessels capable of navigating in icy waters and their operation
US20030033967A1 (en) STOVL joint strike fighter carrier
KR20150018312A (en) Freezing easy 360 degree icing is rotatable air bubble icebreaker
WO2024089381A1 (en) Modular swath vessel
KR200406760Y1 (en) Arrangements for protecting the hull from drift ice
RU2041120C1 (en) Vessel for processing and transporting ice of icebergs
US2408871A (en) Floating naval base and harbor
RU2808496C1 (en) Collective rescue device for use in ice conditions
KR20170000880U (en) Conical ice breaking apparatus and arctic vessel having the apparatus
RU225025U1 (en) Multi-purpose amphibious vehicle
RU2834069C1 (en) Guard ship
EP3620365A1 (en) Merchant ship capable of sailing in frozen sea are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U2175619C1 (en) Airboat
KR20230087192A (en) Ice resistance reduction apparatus and arctic vessel comrising the same
HUANG et al. State-of-the-Art of Experimental Prediction of Sailing Performance for Polar Ships in Ice Regions
Aarnio Machinery Systems
KR20230087193A (en) Ice resistance reduction apparatus and arctic vessel com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