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46350A -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350A
KR20230146350A KR1020220045259A KR20220045259A KR20230146350A KR 20230146350 A KR20230146350 A KR 20230146350A KR 1020220045259 A KR1020220045259 A KR 1020220045259A KR 20220045259 A KR20220045259 A KR 20220045259A KR 20230146350 A KR20230146350 A KR 2023014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cushion module
main body
cover
dens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이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102022004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350A/ko
Publication of KR2023014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35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의 하부를 지지하고 신체 각부의 하중에 따른 개별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매트리스용 쿠션 모듈에 관한 것으로,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되고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으로 구분된 2단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상층부를 지지하는 상판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부분을 수용하고 커버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Double-layer cushion module for mattress and Customized foam mattr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트리스용 쿠션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와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과거 '흔들리지 않는 편안함' 이라는 광고 카피를 내세운 외국계 침대회사의 침대 매트리스가 큰 인기를 끌면서 최근에는 포켓 스프링을 내장한 침대 매트리스가 침대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포켓 스프링이 내장된 침대 매트리스(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690호, 제20-0278881호, 제20-0489616호 참조)의 경우 옆사람의 움직임에도 흔들림이 적고 스프링으로 인한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그 외에도 착석감과 쿠션감이 좋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외형적인 변화가 거의 없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포켓 스프링은 부직포 등의 직물로 구성된 포켓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포켓 스프링을 포함한 침대 매트리스의 경우 위에 설명한 많은 이점들 외에도 다수의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포켓 스프링 내장 침대 매트리스의 경우, 평면상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포켓 스프링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포켓 스프링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결속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0889호 참조). 따라서, 매트리스 내부의 구성이 대단히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포켓 스프링은 내부에 딱딱한 강철 스프링이 내장되므로 상부의 시트 두께가 얇거나 층수가 적을 경우에는 딱딱한 느낌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두껍거나 보다 많은 수의 시트층을 적층하여야 하므로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포켓 스프링 내장 매트리스의 경우, 한 제품에 내장되는 포켓 스프링의 스프링 경도를 대부분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고 있는 바,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하중이나 형상적 특징에 따른 적절한 하중 분산이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하중이나 형상적 특징에 맞는 적절한 하중 분산을 위한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매트리스의 하부를 지지하고 신체 각부의 하중에 따른 개별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매트리스용 쿠션 모듈로서,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되고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으로 구분된 2단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상층부를 지지하는 상판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부분을 수용하고 커버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판부와 하부 커버 및 상부 커버는 고무소재나 실리콘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은 서로 다른 면적과 두께 또는 서로 다른 경도와 밀도를 갖되, 상기 하부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또는 단면적)과 두께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와 밀도를 갖고, 상기 상부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또는 단면적)과 두께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와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하여 상기 상부 부분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의 표면은 주름부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상기 상판부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판부는 저면에 상부 커버의 상단부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지압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엠보싱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특징들로부터 본 발명은 폼 매트리스의 부위별 밀도와 경도를 각기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매트리스 제조원가를 줄임과 동시에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하중이나 형상적 특징에 따라 맞춤형으로 하중 분산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시공상태와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종류별 배치에 따른 본 발명의 폼 매트리스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종류별 배치에 따른 본 발명의 폼 매트리스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걸쳐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하중이나 형상적 특징에 따라 맞춤형으로 하중 분산이 가능한 폼 매트리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조립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1)은 매트리스의 상부층(M2...) 아래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사용자의 신체 각부의 중량별 2단 쿠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1)은, 폴리우레탄 폼 재질로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또는 단면적)의 하부 부분(11)과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또는 단면적)의 상부 부분(12)을 갖는 본체부(10)와, 이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매트리스(M2...)의 상층부를 지지하는 상판부(2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부분(11)을 수용하고 커버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30), 및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상부 커버(40)로 구성된다.
상판부(20)와 하부 커버(30) 및 상부 커버(40)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의 각 부의 기능과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재질은 고무소재나 실리콘재 또는 합성수지재와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2단 쿠션 모듈(1)의 구성 중 본체부(10)는 하부 부분(11)과 상부 부분(12)이 서로 다른 면적과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하부 부분(11)과 상부 부분(12)이 서로 다른 쿠션력을 갖도록 경도와 밀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부분(12)의 경도와 밀도를 낮게 구성하는 한편, 하부 부분(11)의 경도와 밀도를 높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폼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신체 각부의 중량에 따라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만 압축되거나, 아니면 상부 부분(12)이 먼저 압축된 후 하부 부분(11)이 순차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하부 부분(11)은 하부 커버(30)의 내부에 충만된 상태로 수용된다. 이를 위해 하부 커버(30)는 내부에 본체부(10)의 하부 부분(1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31)를 가지며, 상부면의 중앙에는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32)가 구비된다.
상부 커버(40)는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부 부분(12)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하여 상부 부분(12)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커버(40)의 표면은 주름부(4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 부분은 상판부(20)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부(20)는 저면에 상부 커버(40)의 상단부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22)가 연장되어 있고, 상판부(20)의 상면 전체에는 지압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엠보싱돌기(지압돌기;2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중(P)이 매트리스(M2...) 상에 가해질 경우 2단 쿠션 모듈의 구성인 본체부가 하방향으로 압축되는데, 이때 본체부는 상부 부분에서 먼저 압축 작용이 일어나고, 이후 하부 부분에서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신체 각부의 무게에 따라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만 압축되거나, 아니면 상부 부분(12)이 먼저 압축된 후 하부 부분(11)이 순차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 각부에서 무게가 덜 나가는 팔다리나 머리부분의 경우 본체부(10)의 상부 부분에서만 압축 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상체나 엉덩이 부분은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이 압축됨과 더불어 하부 부분(11)이 추가로 하강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상부 부분(12)이 압축된 다음 하부 부분(11)이 압축되는 순서로 본체부(10)의 압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의 하부 부분(11)이 압축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2)를 통해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의 일부가 하부 커버(3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이 압축될 경우 상부 부분(12)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상부 커버(40)에서도 동시에 수축작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 커버(40)의 주름부(41)는 상부 부분(12)이 압축된 높이만큼 함께 수축하게 되고, 상부 부분(12)이 원상태를 회복할 때는 동시에 원래의 길이로 신장된다. 이러한 주름부(41)의 원활한 신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 커버(40)는 적어도 주름부(41)의 재질을 연성의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시공상태와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로서, 본 발명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1)은 매트리스의 상부층(M2...) 아래에 위치되는 하부층(M1)의 전체 면적에 걸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균일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경우, 2단 쿠션 모듈(1)은 폴리우레탄 발포 과정에서 본체부(10)가 하부층(M1)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되거나, 아니면 하부층(M1)의 표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균일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이 홈들에 각각의 쿠션 모듈(1)들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한 본 발명의 2단 쿠션 모듈(1)들 위로 매트리스의 상부층(M2...)들을 올려놓고 외부를 마감하면 본 발명의 2단 쿠션 모듈을 내장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가 완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트리스의 상부층(M2...)은 폴리우레탄 폼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술한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종류별 배치에 따른 본 발명의 폼 매트리스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이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종류별 배치에 따른 본 발명의 폼 매트리스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1)을 폴리우레탄 재질의 폼 매트리스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매트리스 하부층(M1)의 다수의 홈에 장착하여 본 발명의 폼 매트리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폼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하부층(M1)에 설치되는 2단 쿠션 모듈(1)을 매트리스 상의 각 위치별로 본체부(10; 도 1 참조)의 상부 및 하부 부분(12)(11)의 경도와 밀도를 각각 달리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하중이나 형상적 특징에 따라 맞춤형으로 하중 분산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폼 매트리스는 사람이 누웠을 때 신체 각부의 무게가 가해지는 가운데 부분(S1)은 도 1의 2단 쿠션 모듈(1)을 구성하는 본체부(10)의 밀도(Density)와 경도(Hardness)를 높게 구성하고, 그 주변 부분(S2)에는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의 밀도와 경도를 낮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테두리 부분(S3)은 경우에 따라 사람이 걸터앉을 수도 있으므로 가운데 부분(S1)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높게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의 밀도와 경도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는 폼 매트리스의 가운데 부분(S1)에서 상부 부분(12)이 밀도 42㎏/㎥(±1~2), 경도 5(±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경우, 하부 부분(11)은 밀도 60㎏/㎥(±1~2), 경도 14(±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는 폼 매트리스의 주변 부분(S2)에서는 상부 부분(12)이 밀도 42㎏/㎥(±1~2), 경도 5(±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경우, 하부 부분(11)은 밀도 50㎏/㎥(±1~2), 경도 13(±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부분(12)과 하부 부분(11)의 경도값은 로크웰 경도(rockwell hardness)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부 부분(12)과 하부 부분(11)의 경도값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험기의 대상(臺上)에 평평한 시험편을 두고, 이 시험편의 윗면에 원형 가압판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미리 0.5㎏의 하중을 가하여 이 때의 시험편의 두께를 처음 두께로 정의한다. 다음, 예비 가압으로서 원형 가압판을 50㎜/min의 속도로 처음 두께의 75%까지 압축한 후 바로 하중을 제거하고, 다시 처음 두께의 25%까지 압축하여 그 상태로 20초 정지한 후 하중을 측정하여 정한다.
즉, 결정된 경도 값은 지름 20cm의 원형 가압판으로 50㎜ 두께의 폴리우레탄 폼을 50㎜/min의 속도로 처음 두께의 25%까지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314㎠이다. 따라서, 경도 1은 1㎏/314㎠에 해당하고, 경도 5는 5㎏/314㎠에 해당하며,경도 14는 14㎏/314㎠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의 상부 부분(12)과 하부 부분(11)은 밀도 값과 경도 값에 있어서 차이가 매우 큰 폴리우레탄 폼들을 각각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부 부분(12)은 하부 부분(11)에 비해 재질이 훨씬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반면, 하부 부분(11)은 상부 부분(12)에 비해 재질이 훨씬 단단한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매트리스 위에 누움으로 인해 매트리스의 상부층(M2...)에 체중이 가해질 경우, 소프트(soft)한 부분인 상부 부분(12)의 압축이 먼저 이루어지고 단단한 부분인 하부 부분(11)의 압축이 나중에 이루어지는 물리 법칙에 따른 2단 쿠션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폼 매트리스의 상부층(M2...) 자체의 쿠션력과 함께 하부에 위치된 쿠션 모듈(1)들의 2단 쿠션 작용으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무게 또는 형상적 특징에 맞는 적절한 하중 분산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는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의 종류별 배치에 따른 본 발명의 폼 매트리스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폼 매트리스의 중앙 부분(S1-1)은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의 밀도(Density)와 경도(Hardness)를 가장 높게 구성하고, 그 주변의 십(+)자 부분(S1-2)에는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의 밀도와 경도를 중간 정도로 구성하며, 외측의 가장자리 부분(S1-3)은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의 밀도와 경도를 가장 낮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도 5와 마찬가지로 테두리 부분(S3)은 경우에 따라 사람이 걸터앉을 수도 있으므로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의 밀도와 경도를 폼 매트리스의 중앙 부분(S1-1) 또는 십(+)자 부분(S1-2)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폼 매트리스의 중앙 부분(S1-1)에서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는 밀도 50㎏/㎥(±1~2), 경도 13(±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구성하고, 그 주변의 십(+)자 부분(S1-2)에서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는 밀도 30㎏/㎥(±1~2), 경도 15(±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구성하며, 외측 가장자리 부분(S1-3)에서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는 밀도 20㎏/㎥(±1~2), 경도 15(±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폼 매트리스의 테두리 부분(S3)은 때때로 사람이 걸터앉을 수도 있으므로 2단 쿠션 모듈(1)의 본체부(10)를 밀도 40㎏/㎥(±1~2), 경도 20(±1~2)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
10 : 본체부
11 : 하부 부분
12 : 상부 부분
20 : 상판부
21 : 엠보싱돌기
22 : 체결부
30 : 하부 커버
31 : 공간부
32 : 개구부
40 : 상부 커버
41 : 주름부
42 : 나사부

Claims (5)

  1. 매트리스의 하부를 지지하고 신체 각부의 하중에 따른 개별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매트리스용 쿠션 모듈로서,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되고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으로 구분된 2단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상층부를 지지하는 상판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부분을 수용하고 커버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와 하부 커버 및 상부 커버는 고무소재나 실리콘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은 서로 다른 면적과 두께 또는 서로 다른 경도와 밀도를 갖되, 상기 하부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또는 단면적)과 두께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와 밀도를 갖고, 상기 상부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또는 단면적)과 두께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와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하여 상기 상부 부분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의 표면은 주름부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상기 상판부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저면에 상기 상부 커버의 상단부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지압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엠보싱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
KR1020220045259A 2022-04-12 2022-04-12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 Withdrawn KR2023014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59A KR20230146350A (ko) 2022-04-12 2022-04-12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59A KR20230146350A (ko) 2022-04-12 2022-04-12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350A true KR20230146350A (ko) 2023-10-19

Family

ID=8850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259A Withdrawn KR20230146350A (ko) 2022-04-12 2022-04-12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9030B1 (en) Modular support element
RU2394464C2 (ru) Набивка для мебели
US6217121B1 (en) Therapeutic cushioning device
US5704691A (en) Padded chair construction
KR102800572B1 (ko) 에어 챔버들이 있는 복합 매트리스들
US20110047707A1 (en) Surface impression removal technology system
KR101053553B1 (ko) 의자용 좌판
KR101893924B1 (ko) 의자
KR200489297Y1 (ko) 마이크로포켓스프링이 구비된 매트리스
KR20230146350A (ko) 매트리스용 2단 쿠션 모듈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폼 매트리스
JP3434133B2 (ja) 椅子の弾性シェル構造
KR101512801B1 (ko) 하이브리드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
KR200382326Y1 (ko) 침대용 매트리스
JP2002330843A (ja) 椅子の弾性シェル構造
JP3003113B2 (ja) クッションマット
JP2025523651A (ja) 椅子用座板クッションおよびこれを含む椅子用座板
KR200333193Y1 (ko) 매트리스
KR200355038Y1 (ko) 매트리스
KR200333192Y1 (ko) 매트리스
KR200355039Y1 (ko) 매트리스
KR200390024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탄력지지장치
MXPA06004090A (en) Seating structure having flexible support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1-nap-PC1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