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04105A -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105A
KR20240004105A KR1020230081954A KR20230081954A KR20240004105A KR 20240004105 A KR20240004105 A KR 20240004105A KR 1020230081954 A KR1020230081954 A KR 1020230081954A KR 20230081954 A KR20230081954 A KR 20230081954A KR 20240004105 A KR20240004105 A KR 2024000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mi
mask
transmittance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04105A9 (en
Inventor
마사루 다나베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105A/en
Publication of KR20240004105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105A9/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6Phase shift masks [PSM]; PSM blanks; Preparation thereof
    • G03F1/32Attenuating PSM [att-PSM], e.g. halftone PSM or PSM having semi-transparent phase shift portion;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0Mask blanks not covered by G03F1/20 - G03F1/34;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4Absorbers, e.g. of opaqu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0E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ask blank with a semipermeable membrane, which can inhibit in-plane distributions of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exposure light even if the transmittance for exposure light is increased and transmittance fluctuations by changes in membrane thicknesses. The mask blank comprises a light-transmissive substrate and a semipermeable membrane provided on a main surface of the light-transmissive substrate. For the semipermeable membrane, a refractive index n and an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wavelengths of 334 nm, and a refractive index n and an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wavelengths of 405 nm satisfy a relation of formula 1 and formula 2. (Formula 1) k >= 0.282 × n -0.514 (Formula 2) k <= 0.500 × n + 0.800

Description

마스크 블랭크, 전사용 마스크,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마스크 블랭크, 전사용 마스크,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blank, a transfer mask,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mas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FPD용 마스크의 분야에 있어서, 반투광성막(소위 그레이톤 마스크용 하프 투광성막)을 갖는 그레이톤 마스크(다계조 마스크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마스크 매수를 삭감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In the field of masks for FPDs, attemp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number of masks by using a gray tone mask (also called a multi-gradation mask)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the so-called half-transmissive film for a gray tone mask) (non-patent literature) One).

여기서, 그레이톤 마스크는, 도 11의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기판(투광성 기판) 상에, 차광부(1)와, 투과부(2)와, 그레이톤부(3)를 갖는다. 그레이톤부(3)는, 투과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예를 들어 도 11의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이톤 마스크용 반투광성막(하프 투광성막)(3a')을 형성한 영역을 형성한 영역이며, 이들 영역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량을 저감하고 이 영역에 의한 조사량을 저감하여, 이러한 영역에 대응하는 포토레지스트의 현상 후의 막 감소한 막 두께를 원하는 값으로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된다.Here, the gray tone mask has a light blocking portion 1, a transmissive portion 2, and a gray tone portion 3 on a transparent substrate (transmissive substrate), as shown in (1) of FIG. 11. The gray tone portion 3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For example, as shown in (1) of FIG. 11, the gray tone portion 3 is an area where a semi-transmissive film (half-transmissive film) 3a' for a gray tone mask is formed. It is a formed area, and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se areas, reducing the amount of irradiation by these areas, and controlling the reduced film thickness after development of the photoresist corresponding to these areas to a desired value. .

그레이톤 마스크를, 미러 프로젝션 방식이나 렌즈를 사용한 렌즈 방식의 대형 노광 장치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레이톤부(3)를 통과한 노광광은 전체로서 노광량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이 그레이톤부(3)를 통해 노광한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는 막 두께가 얇아질 뿐이며 기판 상에 남는다. 즉, 레지스트는 노광량의 차이에 의해 통상의 차광부(1)에 대응하는 부분과 그레이톤부(3)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현상 후의 레지스트 형상은, 도 11의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차광부(1)에 대응하는 부분(1')이 예를 들어 약 1㎛, 그레이톤부(3)에 대응하는 부분(3')이 예를 들어 약 0.4 내지 0.5㎛, 투과부(2)에 대응하는 부분은 레지스트가 없는 부분(2')이 된다. 그리고, 레지스트가 없는 부분(2')에서 피가공 기판의 제1 에칭을 행하고, 그레이톤부(3)에 대응하는 얇은 부분(3')의 레지스트를 애싱 등에 의해 제거하고 이 부분에서 제2 에칭을 행함으로써, 1매의 마스크로 종래의 마스크 2매분의 공정을 행하여, 마스크 매수를 삭감한다.When a gray tone mask is mounted and used in a large exposure device using a mirror projection method or a lens method using a lens, the overall exposure amount of the exposure light passing through the gray tone portion 3 becomes insufficient, so the gray tone portion 3 The positive photoresist exposed through only becomes thinner and remains on the substrate. That is, because the resist has a difference in solubility in the developer solution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rmal light-shielding portion 1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ray tone portion 3 due to the difference in exposure amount, the shape of the resist after development is shown in Figure 11 ( As shown in 2), the portion 1' corresponding to the normal light blocking portion 1 is, for example, about 1 μm, and the portion 3' corresponding to the gray tone portion 3 is, for example, about 0.4 μm. to 0.5 μ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 2 becomes the portion 2′ without resist. Then, the first etching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s performed in the portion 2' without resist, the resist in the thin portion 3' corresponding to the gray tone portion 3 is removed by ashing, etc., and the second etching is performed in this portion. By performing this, the process equivalent to two conventional masks is performed with one mask,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masks.

또한, 최근에는, 상기 그레이톤 마스크를, 근접 노광(프로젝션 노광) 방식의 대형 노광 장치에 탑재하여, 컬러 필터용의 포토스페이서 형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gray tone mask has been mounted on a large exposure apparatus of a proximity exposure (projection exposure) method and is used to form a photo spacer for a color filter.

상기 도 11의 (1)에 도시한 그레이톤 마스크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마스크 블랭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마스크 블랭크는, 투광성 기판 상에, 투과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반투광성막을 적어도 갖고, 상기 반투광성막은, 초고압 수은등으로부터 방사되어, 적어도 i선 내지 g선에 걸치는 파장 대역에 있어서, 반투광성막의 투과율의 변동폭이 5% 미만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반투광성막으로서는, 구체적으로, CrN(막 두께 20 내지 250옹스트롬(2 내지 25㎚), MoSi4(막 두께 15 내지 200옹스트롬(1.5 내지 20㎚) 등의 재료와 막 두께가 예시되어 있다.The gray tone mask shown in (1) of FIG. 11 is manufactured using, for example, the mask blank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mask blank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as at least a semi-transmissive film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on a translucent substrate, and the semi-transparent film is radiated from an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and has a wavelength band spanning at least the i-line to the g-line. In this case, the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parent film is controlled to be within a range of less than 5%. As this semi-transmissive film, materials and film thicknesses such as CrN (film thickness of 20 to 250 angstroms (2 to 25 nm)) and MoSi 4 (film thickness of 15 to 200 angstroms (1.5 to 20 nm)) are exemplified.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99700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199700

월간 FPD Intelligence, p.31-35, 1999년 5월FPD Intelligence Monthly, p.31-35, May 1999

상기 특허문헌 1에 예시된 재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투과율을 갖는 반투광성막(반투과막)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반투과막의 막 두께를 제어하여 행하게 된다. 그러나, 사이즈가 큰 그레이톤 마스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기판의 면내에서 막 두께 분포에 의한 투과율 분포가 발생하여, 면내 투과율의 균일성이 양호한 그레이톤 마스크의 제조가 어려워지고 있다.When forming a semi-transmissive film (semi-transmissive film) having a desired transmittance using the material exemplified in Patent Document 1,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controlled. However, when manufacturing a large-sized gray tone mask, a transmittance distribution due to the film thickness distribution occurs within the plane of the substrate,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 gray tone mask with good in-plane transmittance uniformity.

또한, 마스크 블랭크에 있어서의 반투광성막의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 반투과막의 막 두께가 최대 80㎚ 정도로 얇기 때문에, 설계 막 두께대로 성막하는 것은 어렵고, 설계 막 두께에 대하여 10% 정도의 막 두께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반투과막에 관하여 막 두께에 의한 투과율의 변동폭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고 막 설계를 행한 경우, 상기와 같이, 반투과막의 막 두께가 설계값으로부터 어긋났을 때, 투과율이 변화되어 버려, 투과율의 면내 분포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Additionally, in the film formation proc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mask blank, since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as thin as 80 nm at most, it is difficult to form the film according to the design film thickness, and a film thickness difference of approximately 10% occurs with respect to the design film thickness. There are cases where it happens. When designing a semi-permeable membrane without considering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membrane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deviates from the design value, the transmittance changes, and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growing.

특히, 그레이톤 마스크를 근접 노광 방식의 대형 노광 장치에 탑재하여, 피전사체에 패턴 전사를 행하는 경우, 그레이톤 마스크와 피전사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그레이톤 마스크 표면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펠리클을 사용할 수 없다.In particular, when a gray tone mask is mounted on a large-scale exposure device of the proximity exposure method and a pattern is transferred to a transfer object, the gap between the gray tone mask and the transfer object is narrow, so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gray tone mask. Pellicle cannot be used.

따라서, 통상, 복수회 그레이톤 마스크를 사용한 후, 그레이톤 마스크 표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알칼리나 산을 사용한 약액 세정이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 약액 세정에 의해 반투과막의 막 감소가 발생하여, 반투과막의 투과율이 변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usually, after using the gray tone mask multiple times, chemical cleaning using an alkali or acid is perform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gray tone mask. However, a problem arises in that cleaning with the chemical solution causes a decrease in the semi-permeable membrane and changes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또한, FPD용 마스크의 분야에 있어서는, 노광광으로서 소정 범위의 파장역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광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파장 334㎚의 광이나 h선(405㎚)을 포함하는 복합광을 노광광으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대표 파장에 대하여 원하는 투과율로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의 억제, 그리고,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의 억제를 충분히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Additionally, in the field of FPD masks, complex light selected from a predetermined range of wavelengths may be used as exposure light. For example,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or complex light containing h-line (405 nm) may be used as exposure light. In such a case, simply adjusting the transmittance to the desired level for one representative wavelength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multiple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nd suppress the transmittance fluctuation due to film thickness fluct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done sufficiently.

또한, 근년에 있어서의, 전사용 마스크의 패턴의 미세화, 복잡화에 수반하여, 보다 고해상의 패턴 전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보다 높게 한(예를 들어, 투과율을 20% 이상으로 한) 반투과막이 요구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피전사체 상의 감광성막에 노광 전사를 행한 후에 형성되는 감광성막의 패턴의 면내 균일성의 요구가 보다 엄격해지고 있어, 노광광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균일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보다 높게 함으로써,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의 억제, 그리고,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의 억제가 보다 곤란해지고 있다.Additionally, in recent years, with the miniaturization and complexity of transfer mask patterns, the transmittance to the exposure light has been increased (for example, the transmittance of 20% or more) to enable higher resolution pattern transfer. ), the number of cases where a semi-permeable membrane is required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requirement for in-plane uniformity of the pattern of the photosensitive film formed after exposure transfer to the photosensitive film on the transfer object is becoming more stringent, and the requirement for in-plane uniformity of transmittance for multiple wavelengths of exposure light is increasing. However, by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for the exposure light,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nd to suppress the transmittance variation due to the film thickness vari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투광성 기판 상에, 노광광의 투과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반투과막을 적어도 갖는 FPD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블랭크에 관해,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을 갖는 마스크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을 갖는 전사용 마스크 및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전사용 마스크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blank for manufacturing an FPD device having at least a semi-transmissive film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amount of exposure light on a translucent substrate. Even when the transmittance to exposure light is increased, the exposure light The object is to provide a mask blank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that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and can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even when the transmittance for the exposure light is increased, and also suppress the transmittance fluctuation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ansfer mask having a semi-permeable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such a transfer mask.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has the following structure.

(구성 1) 투광성 기판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주표면 상에 마련된 반투과막을 구비하는 마스크 블랭크이며,(Configuration 1) A mask blank comprising a translucent substrate and a semi-transmissive film provid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상기 반투과막에 있어서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파장 40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는, 모두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A mask b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both satisfy the relationships of (Equation 1) and (Equation 2).

(식 1) k≥0.282×n-0.514(Equation 1) k≥0.282×n-0.514

(식 2) k≤0.500×n+0.800(Equation 2) k≤0.500×n+0.800

(구성 2)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소쇠 계수 k는, 0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2)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greater than 0.

(구성 3)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은,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3)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2.0 or more.

(구성 4) 상기 반투과막의 두께는, 30㎚ 이상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4)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the semi-transmissive film has a thickness of 30 nm or more and 70 nm or less.

(구성 5)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투과율은, 20%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5)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the semi-transmissive film has a transmittance of 20% or more and 60% or less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구성 6)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위상차는, 0도 이상 12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6)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the phase differe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with respect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구성 7) 상기 반투과막에 있어서의 파장 36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도,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7) The mas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65 nm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also satisfy the relationships of (Equation 1) and (2) above. Blank.

(구성 8) 상기 반투과막은, 금속, 규소, 및 질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8)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the semi-transmissive film contains metal, silicon, and nitrogen.

(구성 9) 상기 반투과막 상에, 상기 반투과막에 대하여 에칭 선택성이 다른 에칭 마스크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9)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wherein an etching mask film having different etching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provid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구성 10) 상기 에칭 마스크막은, 크롬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9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Configuration 10)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9, wherein the etching mask film contains chromium.

(구성 11)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Configuration 11) A transfer mask,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fer pattern is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of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onfiguration 1.

(구성 12) 구성 9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에칭 마스크막에 상기 전사 패턴과는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Configuration 12) A transfer mask, wherein a transfer pattern is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of the mask blank described in Configuration 9, and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transfer pattern is formed on the etching mask film.

(구성 13) 구성 1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Configuration 13) A process of preparing the mask blank described in Configuration 1;

상기 반투과막 상에 전사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forming a resist film having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상기 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 하는 웨트 에칭을 행하여,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A process of performing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film as a mask to form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mask characterized by having a.

(구성 14) 구성 9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Configuration 14) A process of preparing the mask blank described in Configuration 9;

상기 에칭 마스크막 상에 전사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A process of forming a resist film having a transfer pattern on the etching mask film;

상기 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 하는 웨트 에칭을 행하여, 상기 에칭 마스크막에 전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performing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film as a mask to form a transfer pattern on the etching mask film;

상기 전사 패턴이 형성된 에칭 마스크막을 마스크로 하는 웨트 에칭을 행하여,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A process of forming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by performing wet etching using the etching mask film on which the transfer pattern is formed as a mask.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mask characterized by having a.

(구성 15) 구성 11 또는 12에 기재된 전사용 마스크를 노광 장치의 마스크 스테이지에 적재하는 공정과,(Configuration 15) A process of loading the transfer mask described in Configuration 11 or 12 on a mask stage of an exposure apparatus;

상기 전사용 마스크에 노광광을 조사하여,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에 마련된 감광성막에 전사 패턴을 전사하는 공정A process of irradiating exposure light to the transfer mask and transferring the transfer pattern to a photosensitive film provided on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구성 16) 상기 노광광은, 파장 334㎚의 광과 파장 405㎚의 광을 포함하는 복합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5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Configuration 16)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onfiguration 15, wherein the exposure light is a composite light contain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본 발명에 따르면, 투광성 기판 상에, 투과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반투과막을 적어도 갖는 FPD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블랭크에 관해,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을 갖는 마스크 블랭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ing a mask blank for manufacturing an FPD device having at least a semi-transmissive film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on a translucent substrate, even when the transmittance to the exposure light is increased, the plurality of exposure li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sk blank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that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the wavelength and suppress the transmittance fluctuation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 패턴을 갖는 전사용 마스크 및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전사용 마스크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ransmittance to the exposure light is increased,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can be suppressed, and the transmittance variation due to film thickness variation can be suppressed. A transfer mask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can be provi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such a transfer mas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의 막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의 다른 막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의 다른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파장 405㎚의 광(h선)에 대한, 소정의 굴절률 n으로 소쇠 계수 k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와 투과율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비교예 2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투과율의 면내 분포 및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의 관계와, 실시예 1, 2, 비교예 1, 2에 있어서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반투광성막(반투과막)을 갖는 그레이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1)은 부분 평면도, (2)는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a mask bl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film configuration of a mask bl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ransfer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ransfer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and transmittance of a semi-transmissive film when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n for light (h line) with a wavelength of 405 nm,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am.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Example 1,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Example 2,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Comparative Example 1,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Comparative Example 2,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Figure 10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which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the fluctuation of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 a diagram showing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ay tone mask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semi-transmissive film), where (1) is a partial plan view and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먼저,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른 경위를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포함하는 노광광(이하, 간단히 「노광광」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을 갖는 마스크 블랭크의 구성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First, the circumstances lea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The present inventor has found that even when the transmittance for exposure light containing a wavelength in the ultraviolet region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exposure light”) is increased,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n intens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nfiguration of a mask blank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that can suppress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due to film thickness fluctuations as well as suppressing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due to film thickness fluctuations.

투광성 기판 상에, 반투과막을 구비하는 마스크 블랭크에 있어서, 반투과막의 굴절률 n이나 소쇠 계수 k, 막 두께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포함하는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 조정막으로서의 기능상의 제약을 받는다. 이 때문에, 반투과막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소정의 범위로 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In a mask blank including a semi-transmissive film on a translucent substrate, the refractive index n, extinction coefficient k, and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are subject to limitations in its function as a transmittance adjustment film for exposure light containing a wavelength in the ultraviolet region.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so that they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여기서, 본 발명자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포함하는 노광광 중, 파장 334㎚의 광과, 파장 405㎚의 광(h선)에 대해, 투과율이 20% 이상인 것을 충족하고,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반투과막의 굴절률 n이나 소쇠 계수 k의 관계에 대하여 광학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이 파장 334㎚의 광은, 중자외광의 파장역의 강도 분포를 고려한 가중 평균에 가깝고, 또한, 고압 수은 램프의 스펙트럼에 있어서, 소정의 강도(피크 높이)를 갖고, DOF(초점 심도) 향상 효과를 얻는 데 있어서도 유리한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파장 334㎚의 광에 있어서 이들의 원하는 관계를 충족함으로써, 미세한 패턴에 대한 해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장 334㎚의 광 및 h선에 있어서 이들의 원하는 관계를 충족함으로써, 반투과막의 투과율을 설계할 때의 기준 파장을 파장 334㎚의 광 내지 h선의 파장의 범위로부터 선택하면, 그 반투과막은, 기준 파장에서 설계대로의 투과율이 얻어지고, 또한 파장 334㎚의 광 내지 h선의 범위의 어느 파장에 있어서도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어,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영역의 그 밖의 파장에 대해서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present inventor satisfies that the transmittance is 20% or mor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light (h line) with a wavelength of 405 nm among exposure lights containing wavelengths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the An opt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order to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multiple wavelengths and to suppress the transmittance fluctuation due to film thickness fluctuation. This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close to a weighted averag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wavelength range of mid-ultraviolet light, and also has a predetermined intensity (peak height) in the spectrum of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DOF (depth of focus). It is also preferably used because it is advantageous in obtaining . By satisfying these desired relationships in the light of this wavelength of 334 nm, the resolution of fine pattern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satisfying the desired relationship between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the h-line, if the reference wavelength for designing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to the wavelength of the h-line, the transflection The film can obtain the transmittance as designed at the reference wavelength, and can suppress in-plane distribution at any wavelength ranging from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to h-line, and can suppress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due to film thickness fluctuations. Additionally, similar effects can be expected for other wavelengths in the ultraviolet region.

광학 시뮬레이션에서는, 굴절률 n을 1.80 내지 3.00의 범위 및 소쇠 계수 k를 0.00 내지 0.80의 범위에 있어서, 반투과막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의 각각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반투과막의 막 두께와 투과율(및 반사율)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In optical simulation, the refractive index n is in the range of 1.80 to 3.00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is in the range of 0.00 to 0.80, and the film thickness and transmittance ( and reflectance) were examined.

도 5는 파장 405㎚의 광(h선)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소정의 굴절률로 소쇠 계수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와 투과율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있어서, 굴절률 n을 2.40으로 하고, 소쇠 계수 k를 0.10, 0.16, 0.30, 0.40, 0.50으로 한 것을, 각각 곡선 A1 내지 A5로서 나타내고 있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and transmittance of a semi-transmissive film when the extinction coefficient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for light (h-line) with a wavelength of 405 nm. Specifically, in Figure 5, the refractive index n is set to 2.40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is set to 0.10, 0.16, 0.30, 0.40, and 0.50, respectively, are shown as curves A1 to A5.

각 곡선 A1 내지 A5에 대하여,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인지(예를 들어, 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 이내인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곡선 A2 내지 A4에 있어서는,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이며, 곡선 A1, A5에 있어서는 허용 범위외였다.For each curve A1 to A5, it was examined whether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was within an acceptable range (for example, whether the transmittance change was within 2% at a film thickness change of 5 nm). As a result, for curves A2 to A4, the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on film thickness was within the acceptable range, and for curves A1 and A5, it was outside the acceptable range.

곡선 A1, A3, A5에 있어서의 막 두께와 투과율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thickness and transmittance in curves A1, A3, and A5.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곡선 A3에 있어서는,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매우 양호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두께 50㎚ 근방의 범위에서 투과율의 변화가 매우 작아, 실질적으로 플랫한 영역을 갖고 있었다. 한편, 곡선 A1, A5에 있어서는, 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를 상회하는 개소가 있어, 허용 범위외였다. 또한, 곡선 A2는,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가 되는 소쇠 계수 k의 하한값을 나타내고 있고, 곡선 A4는,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가 되는 소쇠 계수 k의 상한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in curve A3, the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on the film thickness is very good, and as shown in Figure 5, the change in the transmittance is very small in the range around the film thickness of 50 nm, and is substantially flat. had a territory. On the other hand, in curves A1 and A5, there were places where the transmittance variation exceeded 2% at a film thickness change of 5 nm, which was outside the allowable rang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urve A2 represents the lower limit of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at which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is within the acceptable range, and curve A4 represents the upper limit of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at which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is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ere was.

그리고,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의 값을 변화시켜, 상술한 투과율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행하여,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가 되는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파장 334㎚의 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을 행하여,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가 되는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파장 334㎚의 광과, 파장 405㎚의 광(h선)에 대해, 투과율이 20% 이상인 것을 충족하고,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인 반투과막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의 각각의 관계식은, 이하와 같이 되었다(도 10 참조).Then, the values of the refractive index n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ere changed, a simulation regarding the above-mentioned transmittance was perform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in which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was within the allowable range, was summarized. In addition, a similar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here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was summarized. As a result,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satisfy the transmittance of 20% or mor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light (h line) with a wavelength of 405 nm, and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relational expression is as follows (see Fig. 10).

(식 1) k≥0.282×n-0.514(Equation 1) k≥0.282×n-0.514

(식 2) k≤0.500×n+0.800(Equation 2) k≤0.500×n+0.800

즉, 반투과막에 있어서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파장 40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는, 모두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충족할 때,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본 발명자는 알아냈다.That is,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and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are all in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1) and (Equation 2) When the The present inventor found out.

도 10에 있어서의 식 (1) 및 식 (2)는, 상술한 (식 1) 및 (식 2)의 등호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의,Equations (1) and (2) in FIG. 10 correspond to the equal sign parts of (Equation 1) and (Equation 2)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in Figure 10,

식 (3) k=0.370×n-0.590Equation (3) k=0.370×n-0.590

은, 막 두께 변동에 대하여 투과율의 변화가 매우 작아, 실질적으로 플랫한 영역을 갖는 n과 k의 값을 플롯하여 얻어진 것이다.is obtained by plotting the values of n and k, where the change in transmittance is very small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variation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area.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이하와 같이 추찰하고 있다.Regarding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ransmittance, the present inventor speculates as follows.

반투과막의 막 두께와 투과율은 역비례(반비례)의 관계에 있고, 통상은, 반투과막의 막 두께가 증가하면 투과율이 낮아지는(오른쪽이 내려가는 그래프로 되는) 관계에 있다.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and the transmittance are inversely proportional (inversely proportional), and usually, as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film increases, the transmittance decreases (a graph with a downward slope on the right).

본 발명에 있어서, 반투과막의 막 두께가 변동되어도 투과율 변동이 억제되는 현상은, 목표로 하는 투과율(설정 막 두께)의 전후에서, 막 두께가 변동되면, 투과율로서는 막 두께의 변동에 반비례하여 변동되어야 하지만, 이면 반사율이 변동됨으로써, 투과율의 변동되는 만큼을 보충하도록 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투과율과 이면 반사율의 밸런스가 잡혀, 막 두께의 변동에 대하여 투과율의 변동이 완만해지는 현상이 일어나, 막 두께의 변동에 대한 투과율 변동이 작아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hange in transmittance is suppressed even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changes is that, when the film thickness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arget transmittance (set film thickness), the transmittance chang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hange in film thickness. However, as the back reflectance changes, something happens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transmittance. For this reason, the balance between the transmittance and the back surface reflectance is achieved, and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fluctuation of the transmittance becomes gentle with respect to the variation in the film thickness, and the variation in the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the variation in the film thickness becomes small.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예의 검토의 결과,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as a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examin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할 때의 형태이며, 본 발명을 그 범위 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 is a form for actu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its scope.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의 막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는, 투광성 기판(20)과, 투광성 기판(20) 상에 형성된 반투과막(30)과, 반투과막(30) 상에 형성된 에칭 마스크막(40)을 구비한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1 includes a translucent substrate 20, a translucent film 30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and an etching mask film 40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Equipped with

도 2는 다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의 막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는, 투광성 기판(20)과, 투광성 기판(20) 상에 형성된 반투과막(30)을 구비한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mask blank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2 includes a translucent substrate 20 and a semi-transmissive film 30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블랭크(10)를 구성하는 투광성 기판(20), 반투과막(30) 및 에칭 마스크막(4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etching mask film 40 that constitute the mask blank 10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투광성 기판(20)><Light-transmitting substrate (20)>

투광성 기판(20)은, 노광광에 대하여 투명이다. 투광성 기판(20)은, 표면 반사 손실이 없는 것으로 하였을 때, 노광광에 대하여 85% 이상의 투과율,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것이다. 투광성 기판(20)은, 규소와 산소를 함유하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합성 석영 유리, 석영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및 저열팽창 유리(SiO2-TiO2 유리 등) 등의 유리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투광성 기판(20)이 저열팽창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 투광성 기판(20)의 열변형에 기인하는 반투과막 패턴(30a)의 위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 용도로 사용되는 투광성 기판(20)은,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상의 기판이다. 구체적으로는,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반투과막(30)이 형성되는 면)의 짧은 변의 길이가 30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에서는, 주표면의 짧은 변의 길이가 300㎜ 이상인 큰 사이즈의 투광성 기판(2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예를 들어 폭 치수 및/또는 직경 치수가 2.0㎛ 미만인 미세한 반투과막 패턴(30a)을 포함하는 전사용 패턴을 갖는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사용함으로써, 피전사체에 소정의 미세 패턴을 포함하는 전사용 패턴을 안정적으로 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transparent to exposure light.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has a transmittance of 85% or more, preferably 90% or more, for exposure light, assuming no surface reflection loss.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silicon and oxygen, and is made of glass such as synthetic quartz glass, quartz glass, aluminosilicate glass, soda lime glass, and low thermal expansion glass (SiO 2 -TiO 2 glass, etc.) It can be composed of materials. Whe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made of low thermal expansion glas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due to thermal deformation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can be suppressed. Additionally,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used for display devices is generally a rectangular substrate. Specifically, a translucent substrate 20 whose short side length of the main surface (the surface o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formed) is 300 mm or more can be used. In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a large-sized translucent substrate 20 whose main surface has a short side length of 300 mm or more can be used. Using the mask blank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ransfer pattern including a fin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having, for example, a width dimension and/or a diameter dimension of less than 2.0 μm is provid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A transfer mask 100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transfer mask 100 of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fer a transfer pattern containing a predetermined fine pattern to a transfer object.

<반투과막(30)><Semi-permeable membrane (30)>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블랭크(10)(이하, 간단히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라 하는 경우가 있음)의 반투과막(30)은, 금속과, 규소(Si)와, 질소(N)를 함유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으로서는, 전이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이 금속으로서는, 몰리브덴(Mo), 탄탈(Ta), 텅스텐(W), 티타늄(Ti), 지르코늄(Zr) 등이 적합하고, 티타늄, 몰리브덴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the mask blank 10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the “mask blank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metal, silicon (Si), and ,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N). The metal is preferably a transition metal. As transition metals, molybdenum (Mo), tantalum (Ta), tungsten (W), titanium (Ti), zirconium (Zr), etc. are suitable, and titanium and molybdenum are particularly preferable.

반투과막(30)은, 질소를 함유한다. 경원소 성분인 질소는, 동일하게 경원소 성분인 산소와 비교하여,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를 낮추지 않는 효과가 있다. 반투과막(30)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반투과막(30)의 소쇠 계수 k를 후술하는 상한값 이하로 하면서, 굴절률 n을 후술하는 하한값 이상으로 할 것이 요망된다. 반투과막(30)이 질소를 함유함으로써, 원하는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반투과막(30)에 포함되는 질소의 함유량은, 30원자%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원자%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질소의 함유량은, 60원자%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원자%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투과막(30) 중의 질소 함유량이 많음으로써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이 과잉으로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contains nitrogen. Nitrogen, a light element component, has the effect of not lowering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compared to oxygen, which is also a light element component. In order for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exhibit the above-mentioned effects, it is desired that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set to below the upper limit described later, and the refractive index n is set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later. Since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contains nitrogen, it becomes easy to adjust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to a desired level. Additionally, the nitrogen content contained in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is preferably 30 atomic% or more, and more preferably 40 atomic%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nitrogen content is preferably 60 atomi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5 atomic% or less. By increasing the nitrogen content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excessive increase in transmittance to exposure light can be suppressed.

반투과막(30)의 성능이 열화되지 않는 범위에서, 반투과막(30)은 산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경원소 성분인 산소는, 동일하게 경원소 성분인 질소와 비교하여,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낮추는 효과가 크다. 단, 반투과막(30)의 산소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직에 가까운 미세 패턴의 단면, 높은 마스크 세정 내성을 얻는 것에 대하여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반투과막(30)의 산소 함유량은, 7원자%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원자%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투과막(30)은, 산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o the extent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is not deteriorated,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may contain oxygen. Oxygen, a light element component, has a great effect in lowering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compared to nitrogen, which is also a light element component. However, if the oxygen content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is hig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obtaining a nearly vertical fine pattern cross section and high mask cleaning resistance. Therefore, the oxygen content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is preferably 7 atomi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atomic% or less.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may not contain oxygen.

또한, 반투과막(30)에는, 상술한 산소, 질소 외에, 막 응력의 저감 및/또는 웨트 에칭 레이트를 제어할 목적으로, 탄소 및 헬륨 등의 다른 경원소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In addition to the oxygen and nitrogen described above, the semi-permeable film 30 may contain other light element components such as carbon and helium for the purpose of reducing film stress and/or controlling the wet etching rate.

반투과막(30)에 포함되는 전이 금속과 규소의 원자 비율은, 전이 금속:규소=1:3 내지 1: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반투과막(30)의 패턴 형성 시에 있어서의 웨트 에칭 레이트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반투과막(30)의 세정 내성을 높일 수 있어, 투과율을 높이는 것도 용이해진다. 반투과막(30)의 세정 내성을 높이는 시점에서는, 반투과막(30)에 포함되는 전이 금속과 규소의 원자 비율(전이 금속:규소)은 1:5 내지 1: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tomic ratio of the transition metal and silicon included in the semi-permeable film 3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transition metal:silicon = 1:3 to 1:15. Within this range, the effect of suppressing a decrease in the wet etching rate during pattern formatio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can be increased. Additionally, the cleaning resistance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can be increased, making it easier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At the point of increasing the cleaning resistance of the semi-permeable film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atomic ratio (transition metal:silicon) of the transition metal contained in the semi-permeable film 30 is in the range of 1:5 to 1:15. .

이 반투과막(30)은 단일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의 층으로 구성된 반투과막(30)은, 반투과막(30) 중에 계면이 형성되기 어려워, 단면 형상을 제어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반투과막(30)은, 광학적으로 단일의 층으로 실질적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두께 방향으로 조성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조성 경사막이어도 된다. 또한, 조성 경사막의 경우의 반투과막(30)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는, 전체를 광학적으로 균일한 단층막으로 간주하여 도출한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사용한다.This semi-permeable membrane 3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ingle layer. The semi-permeable film 30 composed of a single layer is prefe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an interface to be formed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can be easily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can be substantially regarded as a single optical layer, and may be a composition gradient film whose composition changes continuous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n the case of a composition gradient film use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derived by considering the entire film to be an optically uniform single-layer film.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는, 패터닝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이나 패터닝에 요하는 에칭 시간의 관점에서,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는, 설계 막 두께대로 성막하는 관점에서,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preferably 100 nm or less, more preferably 80 n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70 n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cross-sectional shape when patterned and the etching time required for patterning. .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preferably 20 nm or more, more preferably 25 n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30 n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the film according to the designed film thickness.

<<반투과막(30)의 투과율 및 위상차>><<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of semi-permeable membrane 30>>

노광광에 대한 반투과막(30)의 투과율 및 위상차는, 반투과막(30)으로서 필요한 값을 충족한다. 반투과막(30)의 투과율은, 파장 334㎚의 광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6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50%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특기하지 않는 한, 투광성 기판의 투과율을 기준(100%)으로 하여 환산한 것을 가리킨다.The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ith respect to the exposure light satisfy the values required for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preferably 20% or more and 60% or less, more preferably 25% or more and 55%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30% or more and 50% or less, with respect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 or le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ransmittance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conversion based on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100%).

또한,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위상차는, 0도 이상 12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도 이상 9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도 이상 60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phase differe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with respect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preferably 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0 degrees or more and 90 degree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즉, 노광광이 313㎚ 이상 436㎚ 이하의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복합광인 경우, 반투과막(30)은, 그 파장 범위에 포함되는 파장 334㎚의 광에 대하여, 상술한 투과율 및 위상차를 갖는다. 334㎚의 광에 대하여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짐으로써, i선, h선 및 g선을 포함하는 복합광을 노광광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i선, g선 혹은 h선에서의 투과율에 대해서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xposure light is a composite light containing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313 nm to 436 nm,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has the above-described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ncluded in the wavelength range. has By having these characteristics for light of 334 nm, when composite light including i-, h-, and g-lines is used as exposure light, a similar effect is achieved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ance of i-, g-, or h-lines. You can expect it.

투과율 및 위상차는, 위상 시프트량 측정 장치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can be measured using a phase shift measurement device or the like.

반투과막(30)에 있어서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파장 40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는, 모두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are all of (Equation 1) and (Equation 2) It is desirable that it satisfies the relationship.

(식 1) k≥0.282×n-0.514(Equation 1) k≥0.282×n-0.514

(식 2) k≤0.500×n+0.800(Equation 2) k≤0.500×n+0.800

또한, 반투과막(30)에 있어서의 파장 365㎚의 광(i선)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도,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for light (i-line) with a wavelength of 365 nm also satisfy the relationships of (Equation 1) and (Equation 2).

반투과막(30)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소쇠 계수 k는, 0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반투과막(30)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소쇠 계수 k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and more preferably 0.05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preferably 1.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8 or less.

반투과막(30)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반투과막(30)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preferably 2.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1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refractive index 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preferably 3.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8 or less.

반투과막(30)의 반사율(표면 반사율)은, 334㎚ 내지 405㎚의 파장역에 있어서 40% 이하이며, 35%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반투과막(30)의 이면 반사율은, 334㎚ 내지 405㎚의 파장역에 있어서 25% 이하이며, 15% 이하이면 바람직하다.The reflectance (surface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40% or less in the wavelength range of 334 nm to 405 nm, and is preferably 35% or less. The back surface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25% or less in the wavelength range of 334 nm to 405 nm, and is preferably 15% or less.

표면 반사율 및 이면 반사율은, 분광 광도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Surface reflectance and back surface reflectance can b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or the like.

반투과막(30)은, 스퍼터링법 등의 공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semi-transmissive film 30 can be formed by a known film forming method such as sputtering.

<에칭 마스크막(40)><Etching mask film (40)>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 상에, 반투과막(30)에 대하여 에칭 선택성이 다른 에칭 마스크막(4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sk blank 10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preferably includes an etching mask film 40 having different etching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

에칭 마스크막(40)은, 반투과막(30)의 상측에 배치되며, 반투과막(30)을 에칭하는 에칭액에 대하여 에칭 내성을 갖는(반투과막(30)과는 에칭 선택성이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에칭 마스크막(40)은, 노광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칭 마스크막(40)은, 반투과막(30)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한 반투과막(30)의 막면 반사율이 334㎚ 내지 405㎚의 파장역에 있어서 15% 이하가 되도록, 막면 반사율을 저감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The etching mask film 4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has etching resistance to the etchant that etches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etching selectiv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t is made of materials. Additionally, the etching mask film 40 may have a function of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exposure light. In addition, the etching mask film 40 has a film surface reflectance such that the film surface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ith respect to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side is 15% or less in the wavelength range of 334 nm to 405 nm. It may have a function to reduce .

에칭 마스크막(40)은, 크롬(Cr)을 함유하는 크롬계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칭 마스크막(40)은, 크롬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규소를 포함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규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란, 규소의 함유량이 2%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단, 반투과막(30)과 에칭 마스크막(40)의 계면의 조성 경사 영역을 제외한다). 크롬계 재료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롬(Cr), 또는, 크롬(Cr)과, 산소(O), 질소(N), 탄소(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크롬계 재료로서, 크롬(Cr)과, 산소(O), 질소(N), 탄소(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불소(F)를 포함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칭 마스크막(40)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Cr, CrO, CrN, CrF, CrCO, CrCN, CrON, CrCON 및 CrCONF를 들 수 있다.The etching mask film 40 is preferably made of a chromium-based material containing chromium (Cr). The etching mask film 40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ontains chromium and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silicon. Substantially containing no silicon means that the silicon content is less than 2% (however, excluding the composition gradient reg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etching mask film 40). More specifically, chromium-based materials include chromium (Cr) or materials containing chromium (Cr) and at least one of oxygen (O), nitrogen (N), and carbon (C). Additionally, examples of the chromium-based material include materials containing chromium (Cr), at least one of oxygen (O), nitrogen (N), and carbon (C), and also containing fluorine (F). For example, materials constituting the etching mask film 40 include Cr, CrO, CrN, CrF, CrCO, CrCN, CrON, CrCON, and CrCONF.

에칭 마스크막(40)은, 스퍼터링법 등의 공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etching mask film 40 can be formed by a known film forming method such as sputtering.

에칭 마스크막(40)이 노광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 반투과막(30)과 에칭 마스크막(40)이 적층되는 부분에 있어서, 노광광에 대한 광학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광학 농도는, 분광 광도계 또는 OD 미터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etching mask film 40 has a function of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exposure light, the optical density for the exposure light in the portion where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etching mask film 40 are stacked is preferably 3. or more, more preferably 3.5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4 or more. Optical density can b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or OD meter.

에칭 마스크막(40)은, 기능에 따라서 조성이 균일한 단일의 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에칭 마스크막(40)은, 조성이 다른 복수의 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에칭 마스크막(40)은, 두께 방향으로 조성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단일의 막으로 할 수 있다.The etching mask film 40 can be a single film with a uniform composition depending on its function. Additionally, the etching mask film 40 can be made of a plurality of film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Additionally, the etching mask film 40 can be a single film whose composition continuously chang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또한,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 상에 에칭 마스크막(4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 상에 에칭 마스크막(40)을 구비하고,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레지스트막을 구비하는 구조의 마스크 블랭크(10)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1 includes an etching mask film 40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mask blank 10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n etching mask film 40 on a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a resist film on the etching mask film 40. do.

<마스크 블랭크(10)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blank 10>

다음에,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는, 이하의 반투과막 형성 공정과, 에칭 마스크막 형성 공정을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2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 형성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ask blank 1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1 is manufactured by performing the following semi-transmissive film formation process and etching mask film formation process.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2 is manufactured by a semi-transmissive film forming process.

이하, 각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반투과막 형성 공정>><<Semi-permeable membrane formation process>>

먼저, 투광성 기판(20)을 준비한다. 투광성 기판(20)은, 노광광에 대하여 투명이면, 합성 석영 유리, 석영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및 저열팽창 유리(SiO2-TiO2 유리 등)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리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prepare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20.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made of a glass material selected from synthetic quartz glass, quartz glass, aluminosilicate glass, soda lime glass, and low thermal expansion glass (SiO 2 -TiO 2 glass, etc.) as long as it is transparent to exposure light. It can be configured.

다음에, 투광성 기판(20) 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반투과막(30)을 형성한다.Next, a semi-transmissive film 30 is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by sputtering.

반투과막(30)의 성막은, 소정의 스퍼터 타깃을 사용하여, 소정의 스퍼터 가스 분위기에서 행할 수 있다. 소정의 스퍼터 타깃이란, 예를 들어 반투과막(30)을 구성하는 재료의 주성분이 되는 금속과 규소를 포함하는 금속 실리사이드 타깃, 또는 금속과 규소와 질소를 포함하는 금속 실리사이드 타깃을 스퍼터 타깃으로 한 것이다. 소정의 스퍼터 가스 분위기란, 예를 들어 헬륨 가스, 네온 가스, 아르곤 가스, 크립톤 가스 및 크세논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로 이루어지는 스퍼터 가스 분위기, 또는, 상기 불활성 가스와, 질소 가스와, 경우에 따라, 산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일산화질소 가스 및 이산화질소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가스를 포함하는 혼합 가스로 이루어지는 스퍼터 가스 분위기이다. 반투과막(30)의 형성은, 스퍼터링을 행할 때에 있어서의 성막실 내의 가스 압력이, 0.3Pa 이상 2.0Pa 이하, 바람직하게는 0.43Pa 이상 0.9Pa 이하로 되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패턴 형성 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칭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고에칭 레이트를 달성할 수 있다.The semi-permeable film 30 can be formed using a predetermined sputter target and in a predetermined sputter gas atmosphere. A predetermined sputter target is, for example, a metal silicide target containing metal and silicon,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mi-permeable film 30, or a metal silicide target containing metal, silicon, and nitrogen as the sputter target. will be. The predetermined sputter gas atmosphere is, for example, a sputter gas atmosphere consisting of an inert gas containing at least one ty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lium gas, neon gas, argon gas, krypton gas, and xenon gas, or the inert gas and , a sputter gas atmosphere consisting of nitrogen gas and, in some cases, a mixed gas containing a ga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ygen gas, carbon dioxide gas, nitrogen monoxide gas, and nitrogen dioxide gas. The formation of the semi-permeable film 30 can b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gas pressure in the film formation chamber during sputtering is 0.3 Pa or more and 2.0 Pa or less, and preferably 0.43 Pa or more and 0.9 Pa or less. Side etching during pattern formation can be suppressed and a high etching rate can be achieved.

반투과막(30)의 조성 및 두께는, 반투과막(30)이 상술한 투과율 및 위상차가 되도록 조정된다. 반투과막(30)의 조성은, 스퍼터 타깃을 구성하는 원소의 함유 비율(예를 들어 금속의 함유량과 규소의 함유량의 비), 스퍼터 가스의 조성 및 유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반투과막(30)의 두께는, 스퍼터 파워, 및 스퍼터링 시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반투과막(30)은, 인라인형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퍼터링 장치가 인라인형 스퍼터링 장치인 경우, 기판의 반송 속도에 의해서도, 반투과막(30)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투과막(30)이, 금속, 규소 및 질소를 함유하고, 반투과막(30)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가 원하는 관계를 충족(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파장 40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가, 모두 상기 (식 1) 및 상기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제어를 행한다.The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re adjusted so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has the above-described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The composition of the semi-permeable film 3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ent ratio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putter target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metal content to the silicon content), the composition and flow rate of the sputter gas, etc. The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can be controlled by sputtering power, sputtering time, etc. Additionally,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preferably formed using an in-line sputtering device. When the sputtering device is an in-line sputtering device, the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can be controlled also by the transfer speed of the substrate. In this way,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contains metal, silicon, and nitrogen, and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satisfy the desired relationship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coefficient k, the refractive index n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all satisfy the relationships of the above (Equation 1) and the above (Equation 2).

<<표면 처리 공정>><<Surface treatment process>>

반투과막(30)이 산소를 포함하는 경우, 반투과막(30)의 표면에 대하여, 금속의 산화물의 존재에 의한 에칭액에 의한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반투과막(30)의 표면 산화의 상태를 조정하는 표면 처리 공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반투과막(30)이, 금속과, 규소와, 질소를 함유하는 금속 실리사이드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한 산소를 함유하는 금속 실리사이드 재료와 비교하여, 전이 금속의 산화물의 함유량이 작다. 그 때문에, 반투과막(30)의 재료가, 금속 실리사이드 질화물인 경우에는,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행하지 않아도 된다.When the semi-permeable film 30 contains oxygen, oxidation of the surface of the semi-permeable film 30 is performed to suppress penetration by the etching solution due to the presence of metal oxides on the surface of the semi-permeable film 30. You may perform a surface treatment process to adjust the condition. Additionally, when the semi-permeable film 30 is made of metal silicide nitride containing metal, silicon, and nitrogen, the content of transition metal oxide is small compared to the metal silicide material containing oxygen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material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metal silicide nitride, the above surface treatment step may or may not be performed.

반투과막(30)의 표면 산화의 상태를 조정하는 표면 처리 공정으로서는, 산성의 수용액으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 알칼리성의 수용액으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 애싱 등의 드라이 처리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for adjusting the surface oxidation state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include surface treatment with an acidic aqueous solution, surface treatment with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and surface treatment with dry treatment such as ashing. You can.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can be obtained.

<<에칭 마스크막 형성 공정>><<Etching mask film formation process>>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또한, 에칭 마스크막(40)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에칭 마스크막 형성 공정을 더 행한다. 또한, 에칭 마스크막(40)은, 크롬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규소를 포함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may also have an etching mask film 40. The following etching mask film formation process is further performed. Additionally, the etching mask film 4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ontains chromium and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silicon.

반투과막 형성 공정 후, 반투과막(30)의 표면의 표면 산화의 상태를 조정하는 표면 처리를 필요에 따라서 행하고, 그 후, 스퍼터링법에 의해, 반투과막(30) 상에 에칭 마스크막(40)을 형성한다. 에칭 마스크막(40)은, 인라인형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퍼터링 장치가 인라인형 스퍼터링 장치인 경우, 투광성 기판(20)의 반송 속도에 의해서도, 에칭 마스크막(40)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ming process, surface treatment to adjust the surface oxidation state of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performed as necessary, and then an etching mask film is appli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by the sputtering method. It forms (40). The etching mask film 40 is preferably formed using an in-line sputtering device. When the sputtering device is an in-line sputtering device, the thickness of the etching mask film 40 can be controlled also by the transfer speed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에칭 마스크막(40)의 성막은, 크롬 또는 크롬 화합물(산화크롬, 질화크롬, 탄화크롬, 산화질화크롬, 질화탄화크롬, 및 산화질화탄화크롬 등)을 포함하는 스퍼터 타깃을 사용하여, 불활성 가스로 이루어지는 스퍼터 가스 분위기 또는 불활성 가스와, 활성 가스의 혼합 가스로 이루어지는 스퍼터 가스 분위기에서 행할 수 있다. 불활성 가스는, 예를 들어 헬륨 가스, 네온 가스, 아르곤 가스, 크립톤 가스 및 크세논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가스는, 산소 가스, 질소 가스, 일산화질소 가스, 이산화질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탄화수소계 가스 및 불소계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가스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 가스, 부탄 가스, 프로판 가스 및 스티렌 가스 등을 들 수 있다.The etching mask film 40 is formed using a sputter target containing chromium or a chromium compound (chromium oxide, chromium nitride, chromium carbide, chromium oxynitride, chromium nitride carbide, and chromium oxynitride carbide, etc.), using an inert gas. It can be performed in a sputter gas atmosphere consisting of or a sputter gas atmosphere consisting of a mixed gas of an inert gas and an active gas. The inert gas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lium gas, neon gas, argon gas, krypton gas, and xenon gas. The active ga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ygen gas, nitrogen gas, nitrogen monoxide gas, nitrogen dioxide gas, carbon dioxide gas, hydrocarbon-based gas, and fluorine-based gas. Examples of hydrocarbon-based gas include methane gas, butane gas, propane gas, and styrene gas.

에칭 마스크막(40)이, 조성이 균일한 단일의 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한 성막 프로세스를, 스퍼터 가스의 조성 및 유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1회만 행한다. 에칭 마스크막(40)이, 조성이 다른 복수의 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한 성막 프로세스를, 성막 프로세스마다 스퍼터 가스의 조성 및 유량을 변화시켜 복수회 행한다. 에칭 마스크막(40)이, 두께 방향으로 조성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단일의 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한 성막 프로세스를, 스퍼터 가스의 조성 및 유량을 성막 프로세스의 경과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면서 1회만 행한다.When the etching mask film 40 is made of a single film with a uniform composition, the above-described film forming process is performed only once without changing the composition and flow rate of the sputter gas. When the etching mask film 40 is made of a plurality of film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the above-described film formation process is performed multiple times by changing the composition and flow rate of the sputter gas for each film formation process. When the etching mask film 40 is made of a single film whose composition changes continuous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above-described film formation process is performed only once while changing the composition and flow rate of the sputter gas with the elapsed time of the film formation process.

이와 같이 하여, 에칭 마스크막(40)을 갖는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etching mask film 40 can be obtained.

또한,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 상에 에칭 마스크막(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크 블랭크(10)를 제조할 때, 에칭 마스크막 형성 공정을 행한다. 또한, 반투과막(30) 상에 에칭 마스크막(40)을 구비하고,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레지스트막을 구비하는 마스크 블랭크(10)를 제조할 때는, 에칭 마스크막 형성 공정 후에,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에 있어서, 반투과막(30) 상에 레지스트막을 구비하는 마스크 블랭크(10)를 제조할 때는, 반투과막 형성 공정 후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In addition, since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n etching mask film 40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hen manufacturing the mask blank 10, an etching mask film forming process is performed. do it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mask blank 10 including the etching mask film 40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resist film on the etching mask film 40, etching is performed after the etching mask film forming process. A resist film is formed on the mask film 40. In addition, in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2, when manufacturing the mask blank 10 including a resist film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he resist film is formed after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ming process.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 상에 에칭 마스크막(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이 형성되어 있다.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반투과막(30)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가 원하는 관계를 충족(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파장 40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가, 모두 상기 (식 1) 및 상기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제어를 행한다.In the mask blank 1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 etching mask film 40 is formed on a semi-transmissive film 30. In addition, the mask blank 1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has a semi-transmissive film 30 formed thereon. In either case,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satisfy the desired relationship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k both satisfies the relationships of (Equation 1) and (2) abov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는,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가 원하는 관계를 충족하는(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파장 40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가, 모두 상기 (식 1) 및 상기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는) 반투과막(30)을 갖고 있다.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함으로써,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 패턴(30a)을 고정밀도로 전사할 수 있는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할 수 있다.The mask blank 1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has a refractive index n and an extinction coefficient k that satisfy the desired relationship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It has a semi-transmissive film 30 whos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both satisfy the relationships of the above (Equation 1) and the above (Equation 2). By using the mask blank 10 of the embodiment, even when the transmittance to the exposure light is increased,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can be suppressed, and the A transfer mask 100 capable of transferring a semi-transmissive pattern 30a that can suppress variations in transmittance with high precision can be manufactured.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ransfer mask 100>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전사용 마스크(100)는, 마스크 블랭크(10)와 마찬가지의 기술적 특징을 갖고 있다. 전사용 마스크(100)에 있어서의 투광성 기판(20), 반투과막(30), 에칭 마스크막(40)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마스크 블랭크(10)와 마찬가지이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ansfer mask 100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is transfer mask 100 has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as the mask blank 10. Matters regarding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etching mask film 40 in the transfer mask 100 are the same as those for the mask blank 10.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of this embodiment.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ansfer mask 100 of this embodiment.

<<도 3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3>

도 3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도 3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를 준비하는 공정과,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한 레지스트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에칭 마스크막(40)을 웨트 에칭하여, 반투과막(30) 상에 전사 패턴(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사 패턴이 형성된 에칭 마스크막(40)(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마스크로 하여, 반투과막(30)을 웨트 에칭하여, 반투과막(30)에 전사용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전사용 패턴이란, 투광성 기판(2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광학막은, 반투과막(30) 및/또는 에칭 마스크막(40)으로 할 수 있고, 그 밖의 막(차광성의 막, 반사 억제를 위한 막, 도전성의 막 등)이 더 포함되어도 된다. 즉, 전사용 패턴은, 패터닝된 반투과막 및/또는 에칭 마스크막을 포함할 수 있고, 패터닝된 그 밖의 막이 더 포함되어도 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3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using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3 includes steps of preparing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1, forming a resist film on the etching mask film 40, and forming the resist film. A process of wet etching the etching mask film 40 using the resist film pattern as a mask to form a transfer pattern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etching the transfer pattern formed. There is a process of wet etching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using the mask film 40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as a mask to form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n addition, the transfer pattern in this specification is obtained by patterning at least one optical film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The optical film can be a semi-transmissive film 30 and/or an etching mask film 40,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films (a light-shielding film, a film for suppressing reflection, a conductive film, etc.). That is, the transfer pattern may include a patterned semi-transmissive film and/or an etching mask film,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patterned films.

도 3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의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다음에, 레지스트막에 원하는 패턴을 묘화·현상을 행함으로써, 레지스트막 패턴(50)을 형성한다(도 3의 (a) 참조, 제1 레지스트막 패턴(50)의 형성 공정). 다음에, 해당 레지스트막 패턴(50)을 마스크로 하여 에칭 마스크막(40)을 웨트 에칭하여, 반투과막(30) 상에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형성한다(도 3의 (b) 참조,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의 형성 공정). 다음에,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마스크로 하여, 반투과막(30)을 웨트 에칭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반투과막 패턴(30a)을 형성한다(도 3의 (c) 참조,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 그 후,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의 형성 공정과, 제2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형성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의 (d) 및 (e) 참조).Specificall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3 forms a resist film on the etching mask film 40 of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1. Next, the resist film pattern 50 is formed by drawing and developing a desired pattern on the resist film (see Fig. 3(a), step of forming the first resist film pattern 50). Next, the etching mask film 40 is wet-etched using the resist film pattern 50 as a mask to form a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on the transflective film 30 (see Figure 3). b) Reference, formation process of the first etching mask layer pattern 40a). Next, using the first etching mask pattern 40a as a mask,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wet-etched to form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on the transmissive substrate 20 (Figure 3 (c) ) Reference, formation proc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fter that, a process of forming a second resist layer pattern 60 and a process of forming a second etching mask layer pattern 40b may be further included (see Figures 3 (d) and (e)).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레지스트막 패턴(50)의 형성 공정에서는, 먼저,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의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사용하는 레지스트막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레지스트막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350㎚ 내지 436㎚의 파장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에 대하여 감광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레지스트막은, 포지티브형, 네가티브형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More specifically,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first resist film pattern 50, a resist film is first formed on the etching mask film 40 of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resist film material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resist film may be one that is sensitive to laser light having a wavelength selected from, for example, a wavelength range of 350 nm to 436 n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ly, the resist film may be either positive type or negative type.

그 후, 350㎚ 내지 436㎚의 파장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레지스트막에 원하는 패턴을 묘화한다. 레지스트막에 묘화하는 패턴은, 반투과막(30)에 형성하는 패턴이다. 레지스트막에 묘화하는 패턴으로서, 라인 앤 스페이스 패턴 및 홀 패턴을 들 수 있다.Thereafter, a desired pattern is drawn on the resist film using laser light having a wavelength selected from the wavelength range of 350 nm to 436 nm. The pattern drawn on the resist film is the pattern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Patterns drawn on the resist film include line and space patterns and hole patterns.

그 후, 레지스트막을 소정의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제1 레지스트막 패턴(50)을 형성한다.Thereafter, the resist film is developed with a predetermined developer to form a first resist film pattern 50 on the etching mask film 40, as shown in FIG. 3(a).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의 형성 공정>>><<<Formation process of the first etching mask layer pattern 40a>>>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의 형성 공정에서는, 먼저, 제1 레지스트막 패턴(50)을 마스크로 하여 에칭 마스크막(40)을 에칭하여,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형성한다. 에칭 마스크막(40)은, 크롬(Cr)을 포함하는 크롬계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에칭 마스크막(40)을 에칭하는 에칭액은, 에칭 마스크막(40)을 선택적으로 에칭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질산제2세륨암모늄과 과염소산을 포함하는 에칭액을 들 수 있다.In the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first, the etching mask film 40 is etched using the first resist film pattern 50 as a mask to form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 The etching mask film 40 can be formed of a chromium-based material containing chromium (Cr). The etchant for etching the etching mask film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electively etch the etching mask film 40. Specifically,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cerium ammonium nitrate and perchloric acid can be mentioned.

그 후, 레지스트 박리액을 사용하여, 또는, 애싱에 의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지스트막 패턴(50)을 박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레지스트막 패턴(50)을 박리하지 않고, 다음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을 행해도 된다.Thereafter, the first resist film pattern 50 is peeled off using a resist stripper or by ashing, as shown in FIG. 3(b). In some cases, the next step of forming the transflective layer pattern 30a may be performed without peeling the first resist layer pattern 50.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Formation process of semi-transmissive layer pattern 30a>>>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에서는,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마스크로 하여 반투과막(30)을 웨트 에칭하여,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과막 패턴(30a)을 형성한다. 반투과막 패턴(30a)으로서, 라인 앤 스페이스 패턴 및 홀 패턴을 들 수 있다. 반투과막(30)을 에칭하는 에칭액은, 반투과막(30)을 선택적으로 에칭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불화수소암모늄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에칭액이나, 불화암모늄과 인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에칭액 등을 들 수 있다.In the forming proc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wet-etched using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as a mask, and as shown in FIG. 3(c),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etched. A film pattern 30a is formed. Example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include a line and space pattern and a hole pattern. The etching solution for etching the semi-permeable film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electively etch the semi-permeable film 30. For example, an etching liquid containing ammonium bifluoride and hydrogen peroxide, an etching liquid containing ammonium fluoride, phospho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etc.

반투과막 패턴(30a)의 단면 형상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웨트 에칭은, 반투과막 패턴(30a)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20)이 노출될 때까지의 시간(저스트 에칭 시간)보다도 긴 시간(오버 에칭 시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 에칭 시간으로서는, 투광성 기판(20)에 대한 영향 등을 고려하면, 저스트 에칭 시간에, 그 저스트 에칭 시간의 20%의 시간을 더한 시간 내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스트 에칭 시간의 10%의 시간을 더한 시간 내에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wet etching is performed for a time (just etching time) longer than the time until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exposed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over-etching time). Considering the influence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etc., the over-etching time is preferably within the just-etching time plus 20% of the just-etching time, and is 10% of the just-etching time. It is more desirable to do it within the time added.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의 형성 공정>>><<<Formation process of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의 형성 공정에서는, 먼저,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덮는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사용하는 레지스트막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350㎚ 내지 436㎚의 파장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에 대하여 감광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레지스트막은, 포지티브형, 네가티브형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first, a resist film covering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is formed. The resist film material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sensitive to laser light having any wavelength selected from the wavelength range of 350 nm to 436 n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ly, the resist film may be either positive type or negative type.

그 후, 350㎚ 내지 436㎚의 파장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레지스트막에 원하는 패턴을 묘화한다. 레지스트막에 묘화하는 패턴은, 반투과막 패턴(30a)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외주 영역을 차광하는 차광대 패턴, 및 반투과막 패턴(30a)의 중앙부를 차광하는 차광대 패턴 등이다. 또한, 레지스트막에 묘화하는 패턴은, 노광광에 대한 반투과막(30)의 투과율에 따라서는, 반투과막 패턴(30a)의 중앙부를 차광하는 차광대 패턴이 없는 패턴인 경우도 있다.Thereafter, a desired pattern is drawn on the resist film using laser light having a wavelength selected from the wavelength range of 350 nm to 436 nm. The pattern drawn on the resist film includes a light-shielding pattern that blocks light from the outer peripheral area of the area where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is formed, and a light-shielding pattern that blocks light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dditionally, the pattern drawn on the resist film may be a pattern without a light-shielding band pattern that blocks ligh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depending on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ith respect to the exposure light.

그 후, 레지스트막을 소정의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 상에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을 형성한다.Thereafter, the resist film is developed with a predetermined developer to form a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on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as shown in FIG. 3(d).

<<<제2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형성 공정>>><<<Formation process of second etching mask pattern 40b>>>

제2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형성 공정에서는,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을 마스크로 하여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에칭하여,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을 형성한다.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은, 크롬(Cr)을 포함하는 크롬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에칭하는 에칭액은,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선택적으로 에칭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질산제2세륨암모늄과 과염소산을 포함하는 에칭액을 들 수 있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etching mask film pattern 40b,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is etched using the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as a mask, as shown in FIG. 3(e). , to form a second etching mask pattern 40b. The first etching mask layer pattern 40a may be formed of a chromium-based material containing chromium (Cr). The etchant for etching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electively etch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For example,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ammonium cerium nitrate and perchloric acid can be mentioned.

그 후, 레지스트 박리액을 사용하여, 또는, 애싱에 의해,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을 박리한다.Thereafter, the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is peeled off using a resist stripper or by ashing.

이와 같이 하여, 전사용 마스크(100)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사용 마스크(100)는, 반투과막(30)에 전사 패턴(반투과막 패턴(30a))이 형성되고, 에칭 마스크막(40)에 전사 패턴과는 다른 패턴(제2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transfer mask 100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e transfer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ransfer pattern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is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transfer pattern is formed on the etching mask film 40. (Second etching mask film pattern 40b) is formed.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에칭 마스크막(40)이, 노광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에칭 마스크막(40)이 단순히, 반투과막(30)을 에칭할 때의 하드마스크 기능만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에 있어서,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의 형성 공정과, 제2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형성 공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 후,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박리하여,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작한다. 즉, 전사용 마스크(100)가 갖는 전사용 패턴은, 반투과막 패턴(30a)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etching mask film 40 has a function of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exposure light has been explained. In the case where the etching mask film 40 simply has a hard mask function when etching the transflective film 30,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orming process of the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and the second etch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mask film pattern 40b is not performed. In this case, after the forming process of the semi-transmissive layer pattern 30a, the first etching mask layer pattern 40a is peeled off to produce the transfer mask 100. That is, the transfer pattern included in the transfer mask 100 may be composed of only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본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기 때문에,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 패턴(30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밀의 반투과막 패턴(30a)을 포함하는 전사용 패턴을 고정밀도로 전사할 수 있는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사용 마스크(100)는, 라인 앤 스페이스 패턴 및/또는 콘택트 홀의 미세화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ansfer mask 100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1 is used, even when the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the exposure light is increased,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re used. It is possible to form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that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Accordingly, a transfer mask 100 capable of transferring a transfer pattern including the high-precision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with high precision can be manufactured. The transfer mask 100 manufactured in this way can respond to miniaturization of line and space patterns and/or contact holes.

<<도 4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4>>

도 4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도 4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를 준비하는 공정과, 반투과막(30)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한 레지스트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반투과막(30)을 웨트 에칭하여, 반투과막(30)에 전사용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4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using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2.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4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2, forming a resist film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forming the resist film. There is a process of wet etching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using the resist film pattern as a mask to form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에서는, 마스크 블랭크(10)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다음에, 레지스트막에 원하는 패턴을 묘화·현상을 행함으로써, 레지스트막 패턴(50)을 형성한다(도 4의 (a), 제1 레지스트막 패턴(50)의 형성 공정). 다음에, 해당 레지스트막 패턴(50)을 마스크로 하여 반투과막(30)을 웨트 에칭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반투과막 패턴(30a)을 형성한다(도 4의 (b) 및 (c),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Specifically,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ansfer mask 100 shown in FIG. 4, a resist film is formed on the mask blank 10. Next, the resist film pattern 50 is formed by drawing and developing a desired pattern on the resist film (FIG. 4(a),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resist film pattern 50). Next,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wet-etched using the resist film pattern 50 as a mask to form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FIG. 4(b) and (c), formation process of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더욱 구체적으로는, 레지스트막 패턴의 형성 공정에서는, 먼저,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 블랭크(10)의 반투과막(30)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사용하는 레지스트막 재료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기 전에, 반투과막(30)과 레지스트막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반투과막(30)에 표면 개질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술과 마찬가지로, 레지스트막을 형성한 후, 350㎚ 내지 436㎚의 파장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레지스트막에 원하는 패턴을 묘화한다. 그 후, 레지스트막을 소정의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과막(30) 상에 레지스트막 패턴(50)을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resist film pattern formation process, a resist film is first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the mask blank 10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resist film material used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if necessary, before forming the resist film,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may be subjected to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resist film. As described above, after forming a resist film, a desired pattern is drawn on the resist film using laser light having a wavelength selected from the wavelength range of 350 nm to 436 nm. Thereafter, the resist film is developed with a predetermined developing solution to form a resist film pattern 50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s shown in FIG. 4(a).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Formation process of semi-transmissive layer pattern 30a>>>

반투과막 패턴(30a)의 형성 공정에서는, 레지스트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반투과막(30)을 에칭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과막 패턴(30a)을 형성한다. 반투과막 패턴(30a) 및 반투과막(30)을 에칭하는 에칭액 및 오버 에칭 시간은, 상술한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In the forming proc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etched using the resist film pattern as a mask to form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s shown in (b) of FIG. 4. do. The etchant and over-etching time for etching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nd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described above.

그 후, 레지스트 박리액을 사용하여, 또는, 애싱에 의해, 레지스트막 패턴(50)을 박리한다(도 4의 (c)).Thereafter, the resist film pattern 50 is peeled off using a resist stripper or by ashing (FIG. 4(c)).

이와 같이 하여, 전사용 마스크(100)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사용 마스크(100)는, 반투과막(30)에 전사 패턴(반투과막 패턴(3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사용 마스크(100)가 갖는 전사용 패턴은, 반투과막 패턴(30a)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막 패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막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사를 억제하는 막, 도전성의 막 등을 들 수 있다.In this way, the transfer mask 100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e transfer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ransfer pattern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is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n addition, the transfer pattern of the transfer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sists only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film patterns. Other films include, for example, a film that suppresses reflection, a conductive film, etc.

이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 2에 도시한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기 때문에,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 패턴(30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밀의 반투과막 패턴(30a)을 포함하는 전사용 패턴을 고정밀도로 전사할 수 있는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사용 마스크(100)는, 라인 앤 스페이스 패턴 및/또는 콘택트 홀의 미세화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ansfer mask 100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mask blank 10 shown in FIG. 2 is used, even when the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the exposure light is increased,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re used. It is possible to form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that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Accordingly, a transfer mask 100 capable of transferring a transfer pattern including the high-precision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with high precision can be manufactured. The transfer mask 100 manufactured in this way can respond to miniaturization of line and space patterns and/or contact holes.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노광 장치의 마스크 스테이지에 적재하고, 표시 장치 제조용 전사용 마스크(100) 상에 형성된 전사용 패턴을,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에 노광 전사하는 노광 공정을 갖는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loading the transfer mask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 a mask stage of an exposure apparatus, and applying a transfer pattern formed on the transfer mask 100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t has an exposure process of exposure and transfer to a resist formed on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사용 마스크(100)를 노광 장치의 마스크 스테이지에 적재하는 공정(마스크 적재 공정)과, 전사용 마스크(100)에 노광광을 조사하여,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에 마련된 감광성막(레지스트막)에 전사용 패턴을 노광 전사하는 공정(노광 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각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ep of loading the transfer mask 100 manufactured using the above-described mask blank 10 on the mask stage of an exposure apparatus (mask loading step), It includes a process (exposure process) of irradiating exposure light onto the transfer mask 100 and exposing and transferring the transfer pattern onto a photosensitive film (resist film) provided on a display device substrate. Hereinafter, each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적재 공정>><<Loading process>>

적재 공정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노광 장치의 마스크 스테이지에 적재한다. 여기서, 전사용 마스크(100)는, 노광 장치의 투영 광학계를 통해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막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In the loading process, the transfer mask 100 of this embodiment is loaded on the mask stage of the exposure apparatus. Here, the transfer mask 100 is arranged to face the resist film formed on the display device substrate through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of the exposure device.

<<패턴 전사 공정>><<Pattern transfer process>>

패턴 전사 공정에서는, 전사용 마스크(100)에 노광광을 조사하여,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막에 반투과막 패턴(30a)을 포함하는 전사용 패턴을 전사한다. 노광광은, 313㎚ 내지 436㎚의 파장역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파장의 광을 포함하는 복합광이다. 예를 들어, 노광광은, 파장 334㎚의 광, i선, h선 및 g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합광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장 334㎚의 광 및 h선을 포함하는 복합광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노광광으로서 복합광을 사용함으로써, 노광광 강도를 높게 하여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In the pattern transfer process, exposure light is irradiated to the transfer mask 100 to transfer the transfer pattern including the semi-transmissive layer pattern 30a to the resist film formed on the substrate for the display device. Exposure light is composite light containing light of a plurality of wavelengths selected from the wavelength range of 313 nm to 436 nm. For example, the exposure light is preferably a composite light containing at least one of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h-line, and g-line, and more preferably, it is a composite light includ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h-line. do. By using composite light as the exposure light, the intensity of the exposure light can be increased and throughput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lowered.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해상도, 미세한 라인 앤 스페이스 패턴 및/또는 콘택트 홀을 갖는 고정밀의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a high-precision display device with high resolution and fine line and space patterns and/or contact holes can be manufactur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투광성 기판(20)으로서, 1214 사이즈(1220㎜×1400㎜)의 합성 석영 유리 기판을 준비하였다.To manufacture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1, first, a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of size 1214 (1220 mm x 1400 mm) was prepared as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20.

그 후, 합성 석영 유리 기판을, 주표면을 하측으로 향하게 하여 트레이(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하여, 인라인형 스퍼터링 장치의 챔버 내에 반입하였다.Thereafter, the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was placed on a tray (not shown) with its main surface facing downward and loaded into the chamber of the in-line sputtering device.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반투과막(30)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제1 챔버 내에 아르곤(Ar) 가스와, 질소(N2) 가스로 구성되는 혼합 가스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티타늄과 규소를 포함하는 제1 스퍼터 타깃(티타늄:규소=14:86)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티타늄과 규소와 질소를 함유하는 티타늄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퇴적시켰다.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는,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58%가 되도록, 막 두께 50㎚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티타늄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재료로 하는 막 두께 50㎚의 반투과막(30)을 성막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0, first, a mixed gas consisting of argon (Ar) gas and nitrogen (N 2 ) gas was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Then, using a first sputter target containing titanium and silicon (titanium:silicon=14:86), titanium silicide containing titanium, silicon, and nitrogen is deposi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by reactive sputtering. nitrides were deposite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set to 50 nm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was 58%. In this way, a semi-transmissive film 30 with a film thickness of 50 nm made of titanium silicide nitride was formed.

다음에, 반투과막(30)이 구비된 투광성 기판(20)을 제2 챔버 내에 반입하고, 제2 챔버 내에 아르곤(Ar) 가스와 질소(N2) 가스의 혼합 가스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제2 스퍼터 타깃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반투과막(30) 상에 크롬과 질소를 함유하는 크롬 질화물(CrN)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제3 챔버 내를 소정의 진공도로 한 상태에서, 아르곤(Ar) 가스와 메탄(CH4) 가스의 혼합 가스를 도입하고,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제3 스퍼터 타깃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CrN 상에 크롬과 탄소를 함유하는 크롬 탄화물(CrC)을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 챔버 내를 소정의 진공도로 한 상태에서, 아르곤(Ar) 가스와 메탄(CH4) 가스의 혼합 가스와 질소(N2) 가스와 산소(O2) 가스의 혼합 가스를 도입하고,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제4 스퍼터 타깃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CrC 상에 크롬과 탄소와 산소와 질소를 함유하는 크롬 탄화산화질화물(CrCON)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반투과막(30) 상에, CrN층과 CrC층과 CrCON층의 적층 구조의 에칭 마스크막(40)을 형성하였다.Next,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provided with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brought into the second chamber, and a mixed gas of argon (Ar) gas and nitrogen (N 2 ) gas was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Then, chromium nitride (CrN) containing chromium and nitrogen was formed on the semi-permeable film 30 by reactive sputtering using a second sputter target made of chromium. Next, with the inside of the third chamber at a predetermined vacuum level, a mixed gas of argon (Ar) gas and methane (CH 4 ) gas is introduced, and a third sputter target made of chromium is used to perform reactive sputtering. Chromium carbide (CrC) containing chromium and carbon was formed on CrN. Finally, with the fourth chamber at a predetermined vacuum level, a mixed gas of argon (Ar) gas and methane (CH 4 ) gas and a mixed gas of nitrogen (N 2 ) gas and oxygen (O 2 ) gas are introduced. And, using the fourth sputter target made of chromium, chromium carboxynitride (CrCON) containing chromium, carbon, oxygen, and nitrogen was formed on CrC by reactive sputtering. As described above, an etching mask film 40 having a stacked structure of a CrN layer, a CrC layer, and a CrCON layer was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이와 같이 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반투과막(30)과 에칭 마스크막(40)이 형성된 마스크 블랭크(10)를 얻었다.In this way, the mask blank 10 in which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nd the etching mask film 40 were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was obtained.

다른 합성 석영 기판(약 152㎜×약 152㎜)의 주표면 상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막 조건에서 다른 반투과막을 형성하였다. 이 반투과막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를 측정하였다.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은 2.18이며, 소쇠 계수 k는 0.21이었다. i선(365㎚)에서의 굴절률 n은 2.19이며, 소쇠 계수 k는 0.17이었다. 또한, h선(405㎚)에서의 굴절률 n은 2.20이며, 소쇠 계수 k는 0.12였다.Another semi-transmissive film was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another synthetic quartz substrate (about 152 mm x about 152 mm)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as in Example 1 above. For this semi-transmissive film,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were measured. The refractive index n of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was 2.18,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0.21.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i line (365 nm) was 2.19,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0.17. Additionally,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h line (405 nm) was 2.20,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0.12.

도 10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투과율의 면내 분포 및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의 관계와, 실시예 1, 2, 비교예 1, 2에 있어서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반투과막(30)은,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i선(36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 모두, 상술한 (식 1) 및 (식 2)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로 되어 있었다.Figure 10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which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the fluctuation of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 a diagram showing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As shown in FIG. 10,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1 has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the i-line (365 nm), and , both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at the h line (405 nm) were within the range specified in (Equation 1) and (Equation 2) mentioned above.

다음에, 상기 실시예 1의 반투과막(30)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기초로,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58%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 위상차, 반사율의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Next, based o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1,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is set to 58%. In contrast, a simulation of the transmittance, phase differe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changed was performed.

도 6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반투과막(30)은,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58%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39㎚ 내지 60㎚의 범위(도 6의 Δd의 범위)에 걸쳐, 파장 334㎚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모두 허용 범위(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 이내)인 것을 알 수 있었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Example 1,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As shown in FIG. 6,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1 has a thickness of 39 nm to 39 nm, with respect to the set film thickness at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is 58%. Over the range of 60 nm (the range of Δd in Figure 6),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the i line (365 nm), and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for the h line (405 nm). It was found that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was a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 (within 2% change in transmittance at a change in film thickness of 5 nm).

<투과율 및 위상차의 측정><Measurement of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실시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의 반투과막(30)의 표면에 대하여, 레이저텍사제의 MPM-100에 의해, i선(365㎚)에서의 투과율 및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반투과막(30)의 투과율, 위상차의 측정에는, 상술한 다른 합성 석영 유리 기판의 주표면 상에 다른 반투과막이 성막된 박막 구비 기판을 사용하였다(이후의 실시예 2, 비교예 1, 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임). 그 결과, 실시예 1에 있어서의 i선(365㎚)에서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은 58%이며, 위상차는 55도였다.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1, the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at the i line (365 nm) were measured using MPM-100 manufactured by Lasertec. To measure the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 thin film-equipped substrate in which another semi-transmissive film was deposi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was used (hereafter,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same applies to ). As a result,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t the i line (365 nm) in Example 1 was 58%, and the phase difference was 55 degrees.

또한, 기준면 내의 11점×11점의 측정점에 있어서,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한바, 투과율 변동은 어느 것에 대해서도 1% 이내이며, 모두 허용 범위였다.In addition, at 11 x 11 measurement points in the reference plane, the transmittance was measured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and the transmittance fluctuation was within 1% for all. , were a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

또한, 얻어진 반투과막(30)에 대하여, 알칼리 세정(암모니아과수(APM), 30℃, 5분)을 6회 반복하여 세정을 행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세정 처리 전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은, 모두 1% 이내이며 허용 범위였다. 또한, 이 평가는, 동일한 성막 조건에 의해 합성 석영 유리 기판 상에 형성한 반투과막(30)(더미 기판)에 대하여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반투과막(30)은,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매우 작은 반투과막(30)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tained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cleaned by repeating alkaline cleaning (acoustic ammonia (APM), 30°C, 5 minutes) six times to determine the change in transmittance due to variation i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evaluated. As a result, before the alkaline cleaning treatment, the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were all within 1% and within the acceptable range. Additionally, this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dummy substrate) formed on a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From the above results,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1 is capable of suppressing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multiple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nd has a very small change in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It can be called a permeable membrane 30.

<전사용 마스크(100) 및 그 제조 방법><Transfer mask 100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하였다. 먼저, 이 마스크 블랭크(10)의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레지스트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였다.A transfer mask 100 was manufactured using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1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a photoresist film was applied onto the etching mask film 40 of the mask blank 10 using a resist coating device.

그 후, 가열·냉각 공정을 거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였다.Afterwards, a heating/cooling process was performed to form a photoresist film.

그 후, 레이저 묘화 장치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묘화하고, 현상·린스 공정을 거쳐, 에칭 마스크막(40) 상에, 홀 직경이 1.5㎛인 홀 패턴의 레지스트막 패턴을 형성하였다.After that, the photoresist film was drawn using a laser drawing device, and through a development/rinsing process, a resist film pattern with a hole pattern having a hole diameter of 1.5 μm was formed on the etching mask film 40.

그 후, 레지스트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질산제2세륨암모늄과 과염소산을 포함하는 크롬 에칭액에 의해 에칭 마스크막(40)을 웨트 에칭하여,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형성하였다.Thereafter, using the resist film pattern as a mask, the etching mask film 40 was wet etched with a chromium etching solution containing cerium ammonium nitrate and perchloric acid to form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그 후,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마스크로 하여, 불화수소암모늄과 과산화수소의 혼합액을 순수로 희석한 티타늄 실리사이드 에칭액에 의해 반투과막(30)을 웨트 에칭하여, 반투과막 패턴(30a)을 형성하였다.Thereafter, using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as a mask,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is wet-etched with a titanium silicide etching solution obtained by diluting a mixture of ammonium bifluoride and hydrogen peroxide with pure water, thereby forming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 30a) was formed.

그 후, 레지스트막 패턴을 박리하였다.After that, the resist film pattern was peeled off.

그 후, 레지스트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덮도록,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였다.After that, a photoresist film was applied using a resist coating device to cover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그 후, 가열·냉각 공정을 거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였다.Afterwards, a heating/cooling process was performed to form a photoresist film.

그 후, 레이저 묘화 장치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묘화하고, 현상·린스 공정을 거쳐,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 상에, 차광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을 형성하였다.Thereafter, the photoresist film is drawn using a laser drawing device, and through a development/rinsing process, a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for forming a light-shielding zone is formed on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did.

그 후,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을 마스크로 하여, 질산제2세륨암모늄과 과염소산을 포함하는 크롬 에칭액에 의해, 전사용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된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40a)을 웨트 에칭하였다.Thereafter, using the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as a mask, the first etching mask film pattern 40a formed in the transfer pattern formation area is wet-etched using a chromium etching solution containing cerium ammonium nitrate and perchloric acid. did.

그 후, 제2 레지스트막 패턴(60)을 박리하였다.Afterwards, the second resist film pattern 60 was peeled off.

이와 같이 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전사용 패턴 형성 영역에 홀 직경이 1.5㎛인 반투과막 패턴(30a)과, 반투과막 패턴(30a)과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광대가 형성된 실시예 1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얻었다.In this way,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with a hole diameter of 1.5 μm,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nd the etching mask film pattern 40b are stacked in the transfer pattern formation area. The transfer mask 100 of Example 1, in which a light-shielding band consisting of a structure was formed, was obtained.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의 전사용 마스크(100)는,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한 경우라도,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30)을 갖는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하여 투과율 조정 효과를 높일 수 있어,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 패턴(30a)을 갖는 전사용 마스크(100)로 되어 있었다.The transfer mask 100 of Example 1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even when the transmittance for the exposure light is increased. Since it is manufactured using the mask blank 10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30 that can suppress the change in transmittance due to the change in film thickness, the transmittance adjustment effect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for the exposure light. The transfer mask 100 has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that can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and can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

이상의 것으로부터, 실시예 1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노광 장치의 마스크 스테이지에 세트하고,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의 레지스트막에 노광 전사한 경우, 2.0㎛ 미만의 미세 패턴을 포함하는 전사용 패턴을 고정밀도로 전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From the above, when the transfer mask 100 of Example 1 is set on the mask stage of an exposure apparatus and exposed and transferred to a resist film on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 transfer pattern containing a fine pattern of less than 2.0 μm is obtained.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transcribe with high precision.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제조되었다.The mask blank 10 of Example 2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formed as follows.

실시예 2의 반투과막(30)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method of forming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of Example 2 is as follows.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반투과막(30)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제1 챔버 내에 아르곤(Ar) 가스와, 질소(N2) 가스로 구성되는 혼합 가스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티타늄과 규소를 포함하는 제1 스퍼터 타깃(티타늄:규소=19:81)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티타늄과 규소와 질소를 함유하는 티타늄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퇴적시켰다.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는,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4%가 되도록, 막 두께 50㎚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티타늄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재료로 하는 막 두께 50㎚의 반투과막(30)을 성막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0, first, a mixed gas consisting of argon (Ar) gas and nitrogen (N 2 ) gas was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Then, using a first sputter target containing titanium and silicon (titanium:silicon=19:81), titanium silicide containing titanium, silicon, and nitrogen is deposi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by reactive sputtering. nitrides were deposite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set to 50 nm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was 44%. In this way, a semi-transmissive film 30 with a film thickness of 50 nm made of titanium silicide nitride was formed.

그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칭 마스크막(40)을 성막하였다.After that, as in Example 1, an etching mask film 40 was formed.

다른 합성 석영 기판(약 152㎜×약 152㎜)의 주표면 상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성막 조건에서 다른 반투과막을 형성하였다. 이 반투과막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를 측정하였다.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은 2.39이며, 소쇠 계수 k는 0.36이었다. i선(365㎚)에서의 굴절률 n은 2.42이며, 소쇠 계수 k는 0.31이었다. 또한, h선(405㎚)에서의 굴절률 n은 2.44이며, 소쇠 계수 k는 0.22였다.Another semi-transmissive film was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another synthetic quartz substrate (about 152 mm x about 152 mm)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as in Example 2 above. For this semi-transmissive film,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were measured. The refractive index n of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was 2.39,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0.36.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i line (365 nm) was 2.42,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0.31. Additionally,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h line (405 nm) was 2.44,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0.2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반투과막(30)은,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i선(36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 모두, 상술한 (식 1) 및 (식 2)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로 되어 있었다.As shown in FIG. 10,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2 has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the i-line (365 nm), and , both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at the h line (405 nm) were within the range specified in (Equation 1) and (Equation 2) mentioned above.

다음에, 상기 실시예 2의 반투과막(30)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기초로,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4%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 위상차, 반사율의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Next, based o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2,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is set to 44%. In contrast, a simulation of the transmittance, phase differe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changed was performed.

도 7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반투과막(30)은,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4%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38㎚ 내지 62㎚의 범위(도 7의 Δd의 범위)에 걸쳐, 파장 334㎚의 광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모두 허용 범위(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 이내)인 것을 알 수 있었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Example 2,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As shown in FIG. 7,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2 has a thickness of 38 nm to 38 nm, with respect to the set film thickness at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is 44%. Over the range of 62 nm (range of Δd in Fig. 7),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the i line (365 nm), and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for the h line (405 nm). It was found that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was a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 (within 2% change in transmittance at a change in film thickness of 5 nm).

<투과율 및 위상차의 측정><Measurement of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실시예 2의 마스크 블랭크(10)의 반투과막(30)의 표면에 대하여, 레이저텍사제의 MPM-100에 의해, i선(365㎚)에서의 투과율 및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에 있어서의 i선(365㎚)에서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은 44%이며, 위상차는 64도였다.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2, the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at the i line (365 nm) were measured using MPM-100 manufactured by Lasertec. As a result,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t the i line (365 nm) in Example 2 was 44%, and the phase difference was 64 degrees.

또한, 기준면 내의 11점×11점의 측정점에 있어서,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한바, 투과율 변동은 어느 것에 대해서도 1% 이내이며, 모두 허용 범위였다.In addition, at 11 x 11 measurement points in the reference plane, the transmittance was measured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and the transmittance fluctuation was within 1% for all. , were a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

또한, 얻어진 반투과막(30)에 대하여, 알칼리 세정(암모니아과수(APM), 30℃, 5분)을 6회 반복하여 세정을 행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세정 처리 전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은, 모두 1% 이내이며 허용 범위였다. 또한, 이 평가는, 동일한 성막 조건에 의해 합성 석영 유리 기판 상에 형성한 반투과막(30)(더미 기판)에 대하여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2의 반투과막(30)은,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매우 작은 반투과막(30)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tained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cleaned by repeating alkaline cleaning (acoustic ammonia (APM), 30°C, 5 minutes) six times to determine the change in transmittance due to variation i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evaluated. As a result, before the alkaline cleaning treatment, the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were all within 1% and within the acceptable range. Additionally, this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dummy substrate) formed on a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From the above results,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Example 2 is capable of suppressing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multiple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nd has a very small change in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film thickness fluctuation. It can be called a permeable membrane 30.

<전사용 마스크(100) 및 그 제조 방법><Transfer mask 100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실시예 2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전사용 패턴 형성 영역에 홀 직경이 1.5㎛인 반투과막 패턴(30a)과, 반투과막 패턴(30a)과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광대가 형성된 실시예 2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얻었다.Using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2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 transfer mask 100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dure as Example 1, and a transfer pattern was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The transfer mask 100 of Example 2 is formed in an area with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having a hole diameter of 1.5 ㎛, and a light-shielding zone made of a stacked structur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nd the etching mask pattern 40b. got it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2의 전사용 마스크(100)는,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하여 투과율 조정 효과를 높일 수 있어,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30)을 갖는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노광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게 하여 투과율 조정 효과를 높일 수 있어,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반투과막 패턴(30a)을 갖는 전사용 마스크(100)로 되어 있었다.The transfer mask 100 of Example 2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an increase the transmittance adjustment effect by increasing the transmittance to the exposure light, and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a plurality of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In addition, since it was manufactured using a mask blank 10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30 that can suppress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due to film thickness fluctuations, the transmittance to the exposure light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adjustment effect. A transfer mask ( 100).

이상의 것으로부터, 실시예 2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노광 장치의 마스크 스테이지에 세트하고,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의 레지스트막에 노광 전사한 경우, 2.0㎛ 미만의 미세 패턴을 포함하는 전사용 패턴을 고정밀도로 전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From the above, when the transfer mask 100 of Example 2 is set on the mask stage of an exposure apparatus and exposed and transferred to a resist film on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 transfer pattern containing a fine pattern of less than 2.0 μm is obtained.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transcribe with high prec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제조되었다.The mask blank 10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formed as follows.

비교예 1의 반투과막(30)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method of forming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of Comparative Example 1 is as follows.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반투과막(30)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제1 챔버 내에 아르곤(Ar) 가스와, 질소(N2) 가스로 구성되는 혼합 가스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몰리브덴과 규소를 포함하는 제1 스퍼터 타깃(몰리브덴:규소=20:80)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몰리브덴과 규소와 질소를 함유하는 몰리브덴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퇴적시켰다.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는,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6%가 되도록, 막 두께 5㎚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몰리브덴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재료로 하는 막 두께 5㎚의 반투과막(30)을 성막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0, first, a mixed gas consisting of argon (Ar) gas and nitrogen (N 2 ) gas was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Then, using a first sputter target containing molybdenum and silicon (molybdenum:silicon = 20:80), molybdenum silicide containing molybdenum, silicon, and nitrogen is deposi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by reactive sputtering. nitrides were deposite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set to 5 nm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line (365 nm) was 46%. In this way, a semi-transmissive film 30 with a film thickness of 5 nm made of molybdenum silicide nitride was formed.

그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칭 마스크막(40)을 성막하였다.After that, as in Example 1, an etching mask film 40 was formed.

다른 합성 석영 기판(약 152㎜×약 152㎜)의 주표면 상에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성막 조건에서 다른 반투과막을 형성하였다. 이 반투과막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를 측정하였다.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은 3.40이며, 소쇠 계수 k는 1.90이었다. i선(365㎚)에서의 굴절률 n은 3.50이며, 소쇠 계수 k는 1.81이었다. 또한, h선(405㎚)에서의 굴절률 n은 3.60이며, 소쇠 계수 k는 1.61이었다.Another semi-transmissive film was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another synthetic quartz substrate (about 152 mm x about 152 mm)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as in Comparative Example 1 above. For this semi-transmissive film,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were measured. The refractive index n of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was 3.40,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1.90.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i line (365 nm) was 3.50,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1.81. Additionally,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h line (405 nm) was 3.60,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1.61.

비교예 1의 반투과막(30)은,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i선(36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 모두, 도 10에 도시된 상술한 (식 1) 및 (식 2)에서 규정하는 범위외로 되어 있었다(도 10에 있어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의 범위외이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the i line (365 nm), and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the h line (405 nm). Both the refractive index n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ere outside the range specified in the above-mentioned (Equation 1) and (Equation 2) shown in FIG. 10 (shown because they are outside the range of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FIG. 10 do not).

다음에, 상기 비교예 1의 반투과막(30)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기초로,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6%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 위상차, 반사율의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Next, based o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is set to 46%. In contrast, a simulation of the transmittance, phase differe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changed was performed.

도 8은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반투과막(30)은,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6%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5㎚ 내지 6㎚의 범위(도 8의 Δd의 범위)에서만 투과율 변동을 허용할 수 있어,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 이내)로는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장 334㎚의 광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도 허용 범위(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 이내)로는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Comparative Example 1,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As shown in FIG. 8,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a transmittance of 5 nm to 5 nm with respect to the set film thickness at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is 46%. Transmittance variation can be allowed only in the range of 6 nm (the range of Δd in Figure 8), so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the i line (365 nm)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transmittance variation within 2% at a film thickness change of 5 nm). It was found that this did not work.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h-line (405 nm) was not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ransmittance change within 2% at a film thickness change of 5 nm).

<투과율 및 위상차의 측정><Measurement of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비교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의 반투과막(30)의 표면에 대하여, 레이저텍사제의 MPM-100에 의해, i선(365㎚)에서의 투과율 및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에 있어서의 i선(365㎚)에서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은 46%이며, 위상차는 12도였다.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the mask blank 10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at the i line (365 nm) were measured using MPM-100 manufactured by Lasertec. As a result,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t the i line (365 nm) was 46%, and the phase difference was 12 degrees.

또한, 기준면 내의 11점×11점의 측정점에 있어서,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한바, 투과율 변동은 어느 것에 대해서도 1%를 크게 초과하고 있어, 모두 허용 범위외였다.In addition, at 11 x 11 measurement points in the reference plane, the transmittance was measured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and the transmittance variation was 1% for any of them. It was greatly exceeded and was all outside the allowable range.

또한, 얻어진 반투과막(30)에 대하여, 알칼리 세정(암모니아과수(APM), 30℃, 5분)을 6회 반복하여 세정을 행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세정 처리 전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은, 모두 1%를 크게 초과하고 있어 허용 범위외였다. 또한, 이 평가는, 동일한 성막 조건에 의해 합성 석영 유리 기판 상에 형성한 반투과막(30)(더미 기판)에 대하여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1의 반투과막(30)은,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없어, 막 두께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큰 반투과막(30)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tained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cleaned by repeating alkaline cleaning (acoustic ammonia (APM), 30°C, 5 minutes) six times to determine the change in transmittance due to variation i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evaluated. As a result, before the alkaline cleaning treatment, the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all greatly exceeded 1% and were outside the allowable range. Additionally, this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dummy substrate) formed on a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From the above results,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1 cannot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multiple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nd is a semi-transmissive film ( 30).

<전사용 마스크(100) 및 그 제조 방법><Transfer mask 100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비교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전사용 패턴 형성 영역에 홀 직경이 1.5㎛인 반투과막 패턴(30a)과, 반투과막 패턴(30a)과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광대가 형성된 비교예 1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얻었다.Using the mask blank 10 of Comparative Example 1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 transfer mask 100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dure as Example 1, and a transfer pattern was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Transfer mask 100 of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with a hole diameter of 1.5 ㎛ in the area, and a light-shielding zone made of a stacked structur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nd the etching mask pattern 40b. got it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비교예 1의 전사용 마스크(100)는, 기판면 내의 투과율 균일성이 나쁘고, 반투과막(30)의 막 두께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큰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으므로, 전사용 마스크(100)를 반복하여 세정한 경우에, 반투과막 패턴(30a)의 막 두께가 감소한 경우, 반투과막 패턴(30a)의 투과율의 변동이 커서, 표시 장치를 제작한 경우에 있어서, 전사용 마스크(100) 기인에 의한 패턴 전사의 CD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The transfer mask 100 of Comparative Example 1 obtained as described above uses a mask blank 10 that has poor transmittance uniformity within the substrate surface and has a large change in transmittance due to changes i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herefore, when the transfer mask 100 is repeatedly cleaned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decreases, the change in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is large, causing the display device to be damage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D error in pattern transfer due to the transfer mask 100 occur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의 마스크 블랭크(10)는, 반투과막(30)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마스크 블랭크(10)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제조되었다.The mask blank 10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sk blank 10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formed as follows.

비교예 2의 반투과막(30)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method of forming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of Comparative Example 2 is as follows.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반투과막(30)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제1 챔버 내에 아르곤(Ar) 가스와, 질소(N2) 가스로 구성되는 혼합 가스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크롬과 규소를 포함하는 제1 스퍼터 타깃(크롬:규소=80:20)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투광성 기판(20)의 주표면 상에 크롬과 규소와 질소를 함유하는 크롬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퇴적시켰다.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는,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6%가 되도록, 막 두께 5㎚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몰리브덴 실리사이드의 질화물을 재료로 하는 막 두께 5㎚의 반투과막(30)을 성막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0, first, a mixed gas consisting of argon (Ar) gas and nitrogen (N 2 ) gas was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Then, using a first sputter target containing chromium and silicon (chromium:silicon=80:20), chromium silicide containing chromium, silicon, and nitrogen is deposi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20 by reactive sputtering. nitrides were deposite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set to 5 nm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line (365 nm) was 46%. In this way, a semi-transmissive film 30 with a film thickness of 5 nm made of molybdenum silicide nitride was formed.

그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칭 마스크막(40)을 성막하였다.After that, as in Example 1, an etching mask film 40 was formed.

다른 합성 석영 기판(약 152㎜×약 152㎜)의 주표면 상에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성막 조건에서 다른 반투과막을 형성하였다. 이 반투과막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를 측정하였다.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은 2.41이며, 소쇠 계수 k는 2.65였다. i선(365㎚)에서의 굴절률 n은 2.45이며, 소쇠 계수 k는 2.81이었다. 또한, h선(405㎚)에서의 굴절률 n은 2.55이며, 소쇠 계수 k는 3.00이었다.Another semi-transmissive film was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another synthetic quartz substrate (about 152 mm x about 152 mm)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as in Comparative Example 2 above. For this semi-transmissive film,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were measured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The refractive index n of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was 2.41,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2.65.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i line (365 nm) was 2.45,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2.81. Additionally, the refractive index n at the h line (405 nm) was 2.55,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as 3.00.

비교예 2의 반투과막(30)은, 파장 334㎚의 광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i선(36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h선(405㎚)에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 모두, 도 10에 도시된 상술한 (식 1) 및 (식 2)에서 규정하는 범위외로 되어 있었다(도 10에 있어서의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의 범위외이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2 had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the i line (365 nm), and a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the h line (405 nm). Both the refractive index n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were outside the range specified in the above-mentioned (Equation 1) and (Equation 2) shown in FIG. 10 (shown because they are outside the range of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in FIG. 10 do not).

다음에, 상기 비교예 2의 반투과막(30)의 굴절률 n과 소쇠 계수 k를 기초로,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6%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 위상차, 반사율의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Next, based o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 line (365 nm) is set to 46%. In contrast, a simulation of the transmittance, phase differe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was changed was performed.

도 9는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도출된, 비교예 2에 있어서의 반투과막의 막 두께, 투과율, 반사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반투과막(30)은, 반투과막(30)의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이 46%가 되는 설정 막 두께에 대하여, 4㎚ 내지 5㎚의 범위(도 9의 Δd의 범위)에서만 투과율 변동을 허용할 수 있어, i선(36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이 허용 범위(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 이내)로는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장 334㎚의 광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막 두께 의존성도 허용 범위(막 두께 변화 5㎚에서 투과율 변동 2% 이내)로는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thicknes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n Comparative Example 2,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As shown in FIG. 9,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2 has a transmittance of 4 nm to 4 nm with respect to the set film thickness at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o the i-line (365 nm) is 46%. Transmittance variation can be allowed only in the range of 5 nm (the range of Δd in Figure 9), so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the i line (365 nm)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transmittance variation within 2% at a film thickness change of 5 nm). It was found that this did not work.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ilm thickness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h-line (405 nm) was not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ransmittance change within 2% at a film thickness change of 5 nm).

<투과율 및 위상차의 측정><Measurement of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비교예 2의 마스크 블랭크(10)의 반투과막(30)의 표면에 대하여, 레이저텍사제의 MPM-100에 의해, i선(365㎚)에서의 투과율 및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2에 있어서의 i선(365㎚)에서의 반투과막(30)의 투과율은 46%이며, 위상차는 3도였다.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the mask blank 10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transmittance and phase difference at the i line (365 nm) were measured using MPM-100 manufactured by Lasertec. As a result,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at the i-line (365 nm) was 46%, and the phase difference was 3 degrees.

또한, 기준면 내의 11점×11점의 측정점에 있어서,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한바, 투과율 변동은 어느 것에 대해서도 1%를 크게 초과하고 있어, 모두 허용 범위외였다.In addition, at 11 x 11 measurement points in the reference plane, the transmittance was measured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and the transmittance variation was 1% for any of them. It was greatly exceeded and was all outside the allowable range.

또한, 얻어진 반투과막(30)에 대하여, 알칼리 세정(암모니아과수(APM), 30℃, 5분)을 6회 반복하여 세정을 행하여, 반투과막(30)의 막 두께 변동에 의한 투과율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세정 처리 전에 대하여, 파장 334㎚의 광, i선(365㎚), 및 h선(405㎚)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은, 모두 1%를 크게 초과하고 있어 허용 범위외였다. 또한, 이 평가는, 동일한 성막 조건에 의해 합성 석영 유리 기판 상에 형성한 반투과막(30)(더미 기판)에 대하여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2의 반투과막(30)은, 노광광에 있어서의 복수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의 면내 분포를 억제할 수 없어, 막 두께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큰 반투과막(30)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tained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cleaned by repeating alkaline cleaning (acoustic ammonia (APM), 30°C, 5 minutes) six times to determine the change in transmittance due to variation i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30. was evaluated. As a result, before the alkaline cleaning treatment, the fluctuations in transmittance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line (365 nm), and h-line (405 nm) all greatly exceeded 1% and were outside the allowable range. Additionally, this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dummy substrate) formed on a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under the same film formation conditions. From the above results,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of Comparative Example 2 cannot suppress the in-plane distribution of the transmittance for multiple wavelengths in the exposure light, and is a semi-transmissive film ( 30).

<전사용 마스크(100) 및 그 제조 방법><Transfer mask 100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비교예 2의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하여, 투광성 기판(20) 상에, 전사용 패턴 형성 영역에 홀 직경이 1.5㎛인 반투과막 패턴(30a)과, 반투과막 패턴(30a)과 에칭 마스크막 패턴(40b)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광대가 형성된 비교예 2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얻었다.Using the mask blank 10 of Comparative Example 2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 transfer mask 100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dure as Example 1, and a transfer pattern was formed on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Transfer mask 100 of Comparative Example 2 having a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with a hole diameter of 1.5 ㎛ in the area, and a light-shielding zone composed of a stacked structur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and the etching mask pattern 40b. got it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비교예 2의 전사용 마스크(100)는, 기판면 내의 투과율 균일성이 나쁘고, 반투과막(30)의 막 두께 변동에 대한 투과율의 변동이 큰 마스크 블랭크(10)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으므로, 전사용 마스크(100)를 반복하여 세정한 경우에, 반투과막 패턴(30a)의 막 두께가 감소한 경우, 반투과막 패턴(30a)의 투과율의 변동이 커서, 표시 장치를 제작한 경우에 있어서, 전사용 마스크(100) 기인에 의한 패턴 전사의 CD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The transfer mask 100 of Comparative Example 2 obtained as described above uses a mask blank 10 that has poor transmittance uniformity within the substrate surface and has a large change in transmittance due to changes i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30. Therefore, when the transfer mask 100 is repeatedly cleaned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decreases, the change in transmitta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pattern 30a is large, causing the display device to be damage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D error in pattern transfer due to the transfer mask 100 occurs.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 제조용의 전사용 마스크(100), 및 표시 장치 제조용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블랭크(10)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마스크 블랭크(10) 및/또는 전사용 마스크(100)는, 반도체 장치 제조용, MEMS 제조용, 및 프린트 기판 제조용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amples of the transfer mask 100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the mask blank 10 for manufacturing the transfer mask 100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mask blank 10 and/or the transfer mas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MS manufacturing, an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투광성 기판(20)의 사이즈가, 1214 사이즈(1220㎜×1400㎜×13㎜)인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 장치 제조용의 마스크 블랭크(10)의 경우, 대형(Large Size)의 투광성 기판(20)이 사용되고, 해당 투광성 기판(20)의 사이즈는, 주표면의 한 변의 길이가, 300㎜ 이상이다. 표시 장치 제조용의 마스크 블랭크(10)에 사용하는 투광성 기판(20)의 사이즈는, 예를 들어 330㎜×450㎜ 이상 2280㎜×3130㎜ 이하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siz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1214 size (1220 mm x 1400 mm x 13 mm)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case of the mask blank 10 for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 large siz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used, and the siz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such that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main surface is 300 mm or more. The siz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used for the mask blank 10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s, for example, 330 mm x 450 mm or more and 2280 mm x 3130 mm or less.

또한, 반도체 장치 제조용, MEMS 제조용, 프린트 기판 제조용의 마스크 블랭크(10)의 경우, 소형(Small Size)의 투광성 기판(20)이 사용되고, 해당 투광성 기판(20)의 사이즈는, 한 변의 길이가 9인치 이하이다. 상기 용도의 마스크 블랭크(10)에 사용하는 투광성 기판(20)의 사이즈는, 예를 들어 63.1㎜×63.1㎜ 이상 228.6㎜×228.6㎜ 이하이다. 통상, 반도체 장치 제조용 및 MEMS 제조용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위한 투광성 기판(20)으로서는, 6025 사이즈(152㎜×152㎜) 또는 5009 사이즈(126.6㎜×126.6㎜)가 사용된다. 또한, 통상, 프린트 기판 제조용의 전사용 마스크(100)를 위한 투광성 기판(20)으로서는, 7012 사이즈(177.4㎜×177.4㎜) 또는 9012 사이즈(228.6㎜×228.6㎜)가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sk blank 10 fo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MS manufacturing, an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a small siz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used, and the siz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is such that the length of one side is 9. less than an inch The siz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used for the mask blank 10 for the above purpose is, for example, 63.1 mm x 63.1 mm or more and 228.6 mm x 228.6 mm or less. Usually, as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for the transfer mask 100 fo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and MEMS manufacturing, size 6025 (152 mm × 152 mm) or size 5009 (126.6 mm × 126.6 mm) is used. Additionally, usually, as the translucent substrate 20 for the transfer mask 100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size 7012 (177.4 mm x 177.4 mm) or size 9012 (228.6 mm x 228.6 mm) is used.

10: 마스크 블랭크
20: 투광성 기판
30: 반투과막
30a: 반투과막 패턴(전사 패턴)
40: 에칭 마스크막
40a: 제1 에칭 마스크막 패턴(전사 패턴)
40b: 제2 에칭 마스크막 패턴
50: 제1 레지스트막 패턴
60: 제2 레지스트막 패턴
100: 전사용 마스크
10: Mask blank
20: Translucent substrate
30: semi-permeable membrane
30a: Semipermeable membrane pattern (transfer pattern)
40: Etching mask film
40a: First etching mask pattern (transfer pattern)
40b: second etching mask pattern
50: first resist film pattern
60: Second resist film pattern
100: Transfer mask

Claims (16)

투광성 기판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주표면 상에 마련된 반투과막을 구비하는 마스크 블랭크이며,
상기 반투과막에 있어서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와,
파장 40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는, 모두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식 1) k≥0.282×n-0.514
(식 2) k≤0.500×n+0.800
A mask blank comprising a translucent substrate and a semi-transmissive film provid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lucent substrate,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n the semi-transmissive film,
A mask b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both satisfy the relationships of (Equation 1) and (Equation 2).
(Equation 1) k≥0.282×n-0.514
(Equation 2) k≤0.500×n+0.8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소쇠 계수 k는, 0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wherein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greater than 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굴절률 n은,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ive index n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2.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의 두께는, 30㎚ 이상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is 30 nm or more and 70 n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투과율은, 20%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wherein the semi-transmissive film has a transmittance of 20% or more and 60% or less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의 파장 334㎚의 광에 대한 위상차는, 0도 이상 12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difference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with respect to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is 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에 있어서의 파장 365㎚의 광에 대한 굴절률 n 및 소쇠 계수 k도,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n and extinction coefficient k of the semi-transmissive film for light with a wavelength of 365 nm also satisfy the relationships of (Equation 1) and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은, 금속, 규소, 및 질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mi-permeable film contains metal, silicon, and nitrog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막 상에, 상기 반투과막에 대하여 에칭 선택성이 다른 에칭 마스크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sk blank comprising an etching mask film having different etching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semi-transmissive film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마스크막은, 크롬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블랭크.
According to clause 9,
A mask b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etching mask film contains chromium.
제1항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A transfer mask, wherein a transfer pattern is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of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laim 1. 제9항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의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에칭 마스크막에 상기 전사 패턴과는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A transfer mask, wherein a transfer pattern is formed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of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laim 9, and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transfer pattern is formed on the etching mask film. 제1항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반투과막 상에 전사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 하는 웨트 에칭을 행하여,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A process of preparing the mask blank according to claim 1,
forming a resist film having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A process of performing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film as a mask to form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mask characterized by having a.
제9항에 기재된 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에칭 마스크막 상에 전사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 하는 웨트 에칭을 행하여, 상기 에칭 마스크막에 전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사 패턴이 형성된 에칭 마스크막을 마스크로 하는 웨트 에칭을 행하여, 상기 반투과막에 전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
A process of preparing the mask blank described in paragraph 9,
A process of forming a resist film having a transfer pattern on the etching mask film;
A step of performing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film as a mask to form a transfer pattern on the etching mask film;
A process of forming a transfer pattern on the semi-transmissive film by performing wet etching using the etching mask film on which the transfer pattern is formed as a mask.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er mask characterized by having a.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전사용 마스크를 노광 장치의 마스크 스테이지에 적재하는 공정과,
상기 전사용 마스크에 노광광을 조사하여, 표시 장치용의 기판 상에 마련된 감광성막에 전사 패턴을 전사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 step of loading the transfer mask according to claim 11 or 12 on a mask stage of an exposure apparatus;
A process of irradiating exposure light to the transfer mask and transferring the transfer pattern to a photosensitive film provided on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광은, 파장 334㎚의 광과 파장 405㎚의 광을 포함하는 복합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use 1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exposure light is a composite light contain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334 nm and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5 nm.
KR1020230081954A 2022-07-04 2023-06-26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Pending KR20240004105A9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07664A JP2024006605A (en) 2022-07-04 2022-07-04 Mask blank, transfer mask, transfer 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JP-P-2022-107664 2022-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105A true KR20240004105A (en) 2024-01-11
KR20240004105A9 KR20240004105A9 (en) 2024-11-13

Family

ID=8936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954A Pending KR20240004105A9 (en) 2022-07-04 2023-06-26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006605A (en)
KR (1) KR20240004105A9 (en)
CN (1) CN117348331A (en)
TW (1) TW20241796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700A (en) 2005-12-26 2007-08-09 Hoya Corp Mask blank and photoma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700A (en) 2005-12-26 2007-08-09 Hoya Corp Mask blank and photomas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월간 FPD Intelligence, p.31-35, 1999년 5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105A9 (en) 2024-11-13
CN117348331A (en) 2024-01-05
TW202417969A (en) 2024-05-01
JP2024006605A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5147B2 (en) Photomask blank manufacturing method,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1780068B1 (en) Mask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JP4711317B2 (en) Phase shift mask blank manufacturing method, phase shift 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pattern transfer method
WO2007074806A1 (en) Photomask blank,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2756698B1 (en) Phase shift mask blank, method of manufacturing phase shift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150034766A (en) Mask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shift mask
JP7434492B2 (en) Photomask blank,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7159096B2 (en) Photomask blank,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11442357B2 (en) Mask blank, phase-shift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12326656B2 (en) Mask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mask
KR20200123119A (en) Mask blank, phase shift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TWI446102B (en) Mask blank and mask
KR102738728B1 (en) Phase shift mask blank, method of manufacturing phase shift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20135170A (en) Photomask blank,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2005156700A (en) Phase shift mask blank, phase shift mask, phase shift mask blank manufacturing method, and pattern transfer method
JP2019061106A (en) Phase shift mask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mask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30114714A (en)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40004105A (en)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4335729B2 (en) Photomask blank and method for adjusting reflectance of photomask blank
KR20240002191A (en)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40100256A (en)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a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40085859A (en)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30114713A (en) Mask blank, transfer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TW202235996A (en) Phase shift mask blank,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TW202336522A (en) Photomask blank, photo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