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12175A - Lens module - Google Patents

Len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175A
KR20240012175A KR1020220089748A KR20220089748A KR20240012175A KR 20240012175 A KR20240012175 A KR 20240012175A KR 1020220089748 A KR1020220089748 A KR 1020220089748A KR 20220089748 A KR20220089748 A KR 20220089748A KR 20240012175 A KR20240012175 A KR 20240012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rrier
lens barrel
optical axis
lens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175A/en
Publication of KR2024001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175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A lens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barrel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nses stacked along an optical axis; a lens carrier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and an adhesive part to which a portion of the lens barrel is bonded, wherei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ens carrier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ens barrel. Accordingly, the lens module can improve the bonding adhesion of the lens barrel and lens carrier.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Lens module {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odule.

일반적으로 휴대 통신단말기는 화상 데이터 전송 등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가 적층되어 구비되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집광되어 기기 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In general, a camera module is basically installed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mage data transmission, etc. The camera modul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lenses stacked, and light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lenses is focused on an image sensor and can be stored as data in a memory in the device.

한편, 카메라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렌즈 모듈을 이동시키어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변화시키어, 초점 조정(Auto-Focus) 기능을 수행한다. 초점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렌즈 캐리어와, 고정 부재인 렌즈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캐리어는 고정된 렌즈 홀더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렌즈 캐리어와 렌즈 홀더 사이에 볼 부재와 볼 구름부가 배치되어, 볼 부재의 구름 운동으로 렌즈 캐리어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amera module performs an auto-focus function by moving the lens modul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o change the distance to the image sensor. A camera module that performs a focus adjustment function may include a lens barrel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nses, a lens carrier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and a lens holder as a fixing member. The lens carrier can move relative to the fixed lens holder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t this time, the ball member and the ball rolling portion are disposed between the lens carrier and the lens holde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lens carrier can be guided by the rolling movement of the ball member.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은 렌즈 캐리어에 직접 본딩(Bonding)되어 접착될 수 있다. 본딩 시 접찹력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는 PC(Polycarbonate)가 있어, 렌즈 배럴 및 렌즈 캐리어에 사용된다. 다만, 렌즈 캐리어에 볼 구름부를 함께 형성하는 경우, 볼 구름부의 제작 용이성, 열 변형 정도 등을 고려하여 LCP(Liquid Crystal Polymer)소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LCP 소재는 표면 조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본딩 접착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A lens barrel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nses may be directly bonded to the lens carrier. Polycarbonate (PC) is a plastic material that has excellent adhesion during bonding and is used for lens barrels and lens carriers. However, when forming a ball cloud on a lens carrier, LCP (Liquid Crystal Polymer) material is sometimes used considering the ease of manufacturing the ball cloud and the degree of thermal deformation. LCP material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urface roughness, but has the disadvantage of low bonding adhe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 배럴과 렌즈 캐리어의 본딩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module that can improve the bonding adhesion between a lens barrel and a lens carr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광축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렌즈 캐리어; 상기 렌즈 캐리어는 상기 렌즈 배럴의 일부분이 접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캐리어의 표면 조도는 상기 렌즈 배럴의 표면 조도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barrel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nses stacked along an optical axis; a lens carrier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The lens carrier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to which a portion of the lens barrel is attached,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ens carrier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ns barr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과 렌즈 캐리어의 접착력을 강화한다.The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s the adhesion between the lens barrel and the lens carr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렌즈 모듈을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Figure 1 show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module of Figure 1 taken in the AA' direc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a lens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ggest other embodiment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ddition, change, or deletion of components,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ough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가 포함하는 구성은 특별히 배치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one embodiment in this specification may also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unless specifically arran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은 복수의 렌즈(L)가 적층된 렌즈 배럴(10), 렌즈 배럴(10)을 수용하는 렌즈 캐리어(11), 렌즈 홀더(12) 및 덮개(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은 하우징(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lens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barrel 10 o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L) are stacked, and a lens carrier 11 that accommodates the lens barrel 10. ), a lens holder 12, and a cover 13. The lens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commodated in a housing (not shown).

렌즈 배럴(10)은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배럴(10)의 형상이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기둥, 육각 기둥 등 다각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은 복수의 렌즈(L)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렌즈 배럴(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L)가 광축(O)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The lens barrel 10 may be formed in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lens barrel 10 is not limited to a cylinder,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pillar such as a square pillar or a hexagonal pillar. The lens barrel 1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lenses (L). Inside the lens barrel 10, a plurality of lenses (L) may be sequentially stacked along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렌즈 캐리어(11)는 렌즈 배럴(10)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11)의 중앙에는 렌즈 배럴(10)의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된 관통홀(11a)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a)은 광축(O) 방향을 따라 개방될 수 있다. 관통홀(11a)의 중심은 렌즈 배럴(10)의 광축(O)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은 렌즈 캐리어(11)의 관통홀(11a)에 수용되어, 렌즈 캐리어(11)에 형성된 복수의 접착부(20)에 본딩(Bonding) 접착될 수 있다. The lens carrier 11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ens barrel 10. The center of the lens carrier 11 may include a through hole 11a that is open so that a portion of the lens barrel 10 can be inserted. The through hole 11a may be open along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a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optical axis O of the lens barrel 10. The lens barrel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11a of the lens carrier 11 and bonded to a plurality of adhesive portions 20 formed on the lens carrier 11.

렌즈 캐리어(11)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구동부(30)의 마그넷(30a) 및 볼 구름부(41)의 일부(41a)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11)의 일 측면은 광축(O) 방향으로 다른 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A magnet 30a of the driving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portion 41a of the ball rolling unit 4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ns carrier 11. One side of the lens carrier 11 may protrude more than the other side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렌즈 홀더(12)는 하우징(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렌즈 홀더(12)는 렌즈 캐리어(1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렌즈 캐리어(11)의 아래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11)의 마그넷(30a)이 배치되는 일측면과 대향하는 렌즈 홀더(12)의 일측면에는, 볼 구름부(41)의 일부(41b), 연결기판(50) 및 코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The lens holder 12 may be fixed to a housing (not shown). The lens holder 12 may be disposed below the lens carrier 11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carrier 11. On one side of the lens holder 12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magnet 30a of the lens carrier 11 is disposed, a portion 41b of the ball rolling portion 41, a connecting substrate 50, and a coil (not shown) ) can be placed.

볼 구름부(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캐리어(11)에 배치된 제1구름부(41a)와 렌즈 홀더(12)에 배치된 제2구름부(4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 구름부(41)는 절곡된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볼 부재(40)의 외부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제1구름부(41a) 또는 제2구름부(41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구름부(41a) 및 제2구름부(41b)는 마찰력 저감 및 선형 이동성 증진을 위하여 단면이 V자 형태 또는 U자 형태의 선택된 조합에 의한 홈부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캐리어(11)의 광축(O) 방향 선형 이동을 가이딩할 수 있다면, 볼 구름부(41)는 오목 또는 볼록 등과 같이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ball rolling portion 41 may be composed of a first cloud portion 41a disposed on the lens carrier 11 and a second cloud portion 41b disposed on the lens holder 12. . The ball rolling portion 41 may be implemented in a bent plate shape. Additionally,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external separation of the ball member 40, the first rolling portion 41a or the second rolling portion 41b may b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cloud 41a and the second cloud 41b may be formed as groove lines in a selected combination of V-shaped or U-shaped cross-sections to reduce friction and improve linear mobility. However, if it is possible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lens carrier 11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the ball rolling portion 4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corresponding shapes such as concave or convex.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의 AF(Auto-Focus) 수행에 대하여 설명한다. 렌즈 배럴(10)을 수용하는 렌즈 캐리어(11)는 렌즈 홀더(12)에 대하여 광축(O)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며, 이미지 센서(미도시)와의 거리를 변화시키며 AF기능을 수행한다. 구동부(30)는 렌즈 캐리어(11)가 광축(O)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30)는 렌즈 캐리어(11)의 일측면에 배치된 마그넷(30a) 및 마그넷(30a)과 대향하도록 연결기판(50)에 배치된 코일(미도시)을 포함한다. 연결기판(50)에 의해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고, 코일과 마그넷(30a) 사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 캐리어(11)가 렌즈 홀더(12)에 대하여 광축(O)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렌즈 캐리어(11)와 렌즈 홀더(12) 사이 배치된 복수의 볼 부재(40)가 렌즈 캐리어(11)의 광축(O)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복수의 볼 부재(40)는 렌즈 캐리어(11)의 일면, 및 렌즈 캐리어(11)의 일면과 대향하는 렌즈 홀더(12)의 일면에 각각 배치된 볼구름부(4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Hereinafter, AF (Auto-Focus) performance of the lens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lens carrier 11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10 moves relative to the lens holder 12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and performs the AF function while changing the distance to the image sensor (not shown). The driving unit 30 generat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lens carrier 11 can move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magnet 30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ns carrier 11 and a coil (not shown) disposed on the connection substrate 50 to face the magnet 30a.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by the connection board 50, and the lens carrier 11 can move relative to the lens holder 12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due to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coil and the magnet 30a. At this time, a plurality of ball members 40 disposed between the lens carrier 11 and the lens holder 12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lens carrier 11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The plurality of ball members 40 may be guided by ball rolling portions 41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lens carrier 11 and one surface of the lens holder 12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lens carrier 11.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캐리어(11)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렌즈 모듈(1)을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캐리어(11)의 평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carrier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module 1 of FIG. 1 taken along the A-A' direc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lens carrier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캐리어(11)는 렌즈 배럴(10)의 일부분이 접착되는 복수의 접착부(2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접착부(20)는 렌즈 캐리어(11)의 관통홀(1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4개의 접착부(20)가 등간격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접착부(2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3 to 5, the lens carrier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dhesive portions 20 to which a portion of the lens barrel 10 is bonded. The plurality of adhesive portions 20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a of the lens carrier 11. Figure 3 shows four adhesive portions 20 arranged at equal interval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adhesive portions 20 may be changed.

접착부(20)는 광축(O) 방향으로 형성된 단차(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착부(20)는 광축(O)과 교차하는 방향의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차(21)는 광축(O)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렌즈 배럴(10)의 일부가 접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단차(21)는 서로 수직하는 제1부분(21a)과 제2부분(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21a)은 광축(O)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부분(21b)은 광축(O)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부분(21a)과 제2부분(21b)은 서로 예각을 이루거나 둔각을 이루어도 무방하다. The adhesive portion 20 may include a step 21 formed in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That is, the adhesive portion 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O). The step 21 provides a space where a portion of the lens barrel 10 can be adhered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ptical axis O.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step 21 may include a first part 21a and a second part 21b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part 21a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ptical axis O, and the second part 21b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part 21a and the second part 21b may form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with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렌즈 배럴(10)은 접착부(20)의 단차(21)에 맞닿도록 광축(O)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0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a)와 단차(21)가 맞닿는 부분은 단차의 제1부분(21a)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lens barrel 10 may include a protrusion 10a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ptical axis O so as to contact the step 21 of the adhesive portion 20.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10a and the step 21 come into contact may be the first portion 21a of the step.

단차(21)의 제1부분(21a)은 렌즈 캐리어(11)의 관통홀(1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부분(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부분(21c)은 제1부분(21a)의 양 옆에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부분(21c)의 폭은 제1부분(21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art 21a of the step 21 may include a third part 21c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a of the lens carrier 11. The third part 21c may be arrang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first part 21a. The width of the third part 21c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rt 21a.

제3부분(21c)은 접착부(20)에 접착제가 적정량 이상으로 도포되었을 때, 접착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접착제가 과도하게 도포될 경우, 접착부(20)와 맞닿는 렌즈 배럴(10)의 일부분을 수축 변형시키어, 이미지 해상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부분(21c)는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는 접착부(20)의 공간을 확장시키어 이미지 해상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third part 21c provides a space where the adhesive can be accommodated when an appropriate amount or more of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20. If the adhesive is excessively applied, the portion of the lens barrel 10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portion 20 may be contracted and deformed, thereby reducing image resolution. Accordingly, the third part 21c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image resolution by expanding the space of the adhesive part 20 that can accommodate the adhesi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캐리어(11)의 표면 조도는 렌즈 배럴(12)의 표면 조도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캐리어(11)는 렌즈 배럴(12)보다 표면 조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캐리어(11)와 렌즈 배럴(12)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렌즈 캐리어(11)의 플라스틱은 렌즈 배럴(12)의 플라스틱보다 표면 조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렌즈 캐리어(11)의 표면이 렌즈 배럴(12)의 표면보다 매끄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배럴(12)은 PC(Polycarbonate) 등으로 이루어지고, 렌즈 캐리어(11)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ens carrier 11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ns barrel 12. For example, the lens carrier 11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a lower surface roughness than the lens barrel 12. The lens carrier 11 and the lens barrel 12 are made of different types of plastic, and the plastic of the lens carrier 11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a lower surface roughness than the plastic of the lens barrel 12. That is, the surface of the lens carrier 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smoother than the surface of the lens barrel 12. For example, the lens barrel 12 may be made of PC (Polycarbonate), etc., and the lens carrier 11 may be made of LCP (Liquid Crystal Polymer), etc.

렌즈 캐리어(11)는 렌즈 배럴(12)과의 본딩 접합을 강화하기 위하여, 렌즈 캐리어(11) 배치된 복수의 접착부(20)는 렌즈 캐리어(11) 및 렌즈 배럴(12)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접착부(20)는 SUS(Stainless Use Steel)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bonding of the lens carrier 11 and the lens barrel 12, the plurality of adhesive portions 20 disposed on the lens carrier 11 ar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ns carrier 11 and the lens barrel 12. It can be. The adhesive portion 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the adhesive portion 20 may be insert-molded using SUS (Stainless Use Ste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캐리어(11)의 접착부(20)에 본드가 도포되어 렌즈 배럴(12)과 접합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되는 금속 부분에 본드가 도포됨으로써, 렌즈 캐리어(11)와 렌즈 배럴(12)의 접착력이 강화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nd is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20 of the lens carrier 11 to be bonded to the lens barrel 12. By applying the bond to the metal part that is insert-injecte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lens carrier 11 and the lens barrel 12 is strengthened.

접착부(20)를 포함한 렌즈 캐리어(11)가 LCP(Liquid Crystal Polymer)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딩 접합되는 다른 재질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지 못하다.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LCP가 더 높은 열팽창계수(예를 들어, PC)와 접합되어야 하는 경우, 접착제는 추가 장력을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LCP는 열 변형에 강하고 표면 조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볼 구름부 제작을 위하여 렌즈 캐리어를 LCP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착부(20)를 금속 재질로 인서트 사출되도록 한다. 접착제가 금속 부분과 렌즈 배럴(10)사이에 도포됨으로써, 같은 재질 사이에 본드가 도포되는 것과 비슷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lens carrier 11 including the adhesive portion 20 is made of LCP (Liquid Crystal Polymer), the adhesive strength with other materials to be bonded is not excellent. This is because when an LCP with a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ust be bonded to a highe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e.g. PC), the adhesive must dissipate the additional tension. Nevertheless, because LCP is resistant to thermal deformation and has excellent surface roughness, lens carriers are often manufactured with LCP to manufacture ball rolling parts.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ortion 20 is insert-injected and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metal part and the lens barrel 10 to have adhesive strength similar to that of a bond applied between the same materials.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it is stat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O : 광축 L : 렌즈
1 : 렌즈 모듈 10 : 렌즈 배럴
10a : 돌출부 11 : 렌즈 캐리어
11a : 관통홀 12 : 하우징
13 : 덮개 20 : 접착부
21 : 단차 30 : 구동부
40 : 볼 부재 41 : 볼 구름부
50 : 연결기판
O: Optical axis L: Lens
1: Lens module 10: Lens barrel
10a: Protrusion 11: Lens carrier
11a: Through hole 12: Housing
13: cover 20: adhesive part
21: step 30: driving unit
40: ball member 41: ball rolling part
50: connection board

Claims (13)

광축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렌즈 캐리어;
상기 렌즈 캐리어는 상기 렌즈 배럴의 일부분이 접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캐리어의 표면 조도는 상기 렌즈 배럴의 표면 조도와 다른 렌즈 모듈.
a lens barrel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nses stacked along an optical axis;
a lens carrier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The lens carrier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to which a portion of the lens barrel is bonded,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ens carrier is different from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ens barr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캐리어는 상기 렌즈 배럴보다 표면 조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ns carrier is a lens module made of a material with a lower surface roughness than the lens barr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캐리어 및 상기 렌즈 배럴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렌즈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module in which the lens carrier and the lens barrel are made of plast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module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ncludes a step form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단차에 맞닿도록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lens barrel include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ptical axis so as to contact the ste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서로 수직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includes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part is a lens modul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ptical axi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부분과 접촉하는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use 6,
The protrusion is a lens module in contact with the firs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module where the adhesive por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인서트 사출되는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use 8,
A lens module in which the adhesive part is insert-inj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치되는 렌즈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adhesive parts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ens barr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캐리어의 일측에 상기 렌즈 캐리어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배치되는 렌즈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module in which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lens carri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ns carri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서로 대향하는 마그넷과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use 11,
The driving unit is a lens module including magnets and coils facing each o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캐리어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볼 부재; 및
상기 렌즈 캐리어의 일부분에 상기 복수의 볼 부재가 이동 가능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use 11,
Include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lens module,
a plurality of ball members that guide movement of the lens carri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 lens module having a guide portion capable of moving the plurality of ball members in a portion of the lens carrier.
KR1020220089748A 2022-07-20 2022-07-20 Lens module Ceased KR202400121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48A KR20240012175A (en) 2022-07-20 2022-07-20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48A KR20240012175A (en) 2022-07-20 2022-07-20 Lens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175A true KR20240012175A (en) 2024-01-29

Family

ID=8971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748A Ceased KR20240012175A (en) 2022-07-20 2022-07-20 Lens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17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778210A (en) * 2024-09-09 2024-10-15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Periscope 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periscope camera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778210A (en) * 2024-09-09 2024-10-15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Periscope 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periscope camera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274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071953B1 (en) Lens drive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60245085A1 (en) Lens transfer device improved in assemblability
US20200301098A1 (en) Lens module with auto-focus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JP5430107B2 (en) Lens drive device
US20090268311A1 (en) Lens actuator
KR102402613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921458B2 (en) Camera module
US20090251807A1 (en) Lens module
KR20240012175A (en) Lens module
KR20220130660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50047948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0569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US10763735B2 (en) Voice coil mo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682065B2 (en) Backlight module having holding device for holding light source
KR20240098807A (en) Lens module
KR10219620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210134575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29330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64431B1 (en) Lens-driving substrate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52748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170070553A (en) Camera module
KR10248914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17941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00046892A (en) Camera modul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