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740A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Google Patents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4740A KR20240014740A KR1020220092282A KR20220092282A KR20240014740A KR 20240014740 A KR20240014740 A KR 20240014740A KR 1020220092282 A KR1020220092282 A KR 1020220092282A KR 20220092282 A KR20220092282 A KR 20220092282A KR 20240014740 A KR20240014740 A KR 20240014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
- connector
- housing
- shield
- type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신호 전송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폐 기능을 강화한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with an enhanced shielding function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signal transmission.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가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된 통신 회로는 안테나 모듈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여 처리한다.In general,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communication circuit is disposed. The communication circuit includ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transmits or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antenna module and processes them.
전자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에는 보드 투 보드(Board to board connector; B to B) 타입의 커넥터가 구비되며,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는 회로 신호 외에 저주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Printed circuit boards of electronic devices are equipped with board-to-board connectors (B to B) type connectors, and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s can transmit low-frequency signals in addition to circuit signals.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통해 강성 인쇄 회로 기판을 서로 연결하거나 강성 인쇄 회로 기판과 전자 부품을 서로 연결한다.Board-to-board type connectors connect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to each other throug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connect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to electronic components.
그런데 종래의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에는 신호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커넥터의 접속 부분에서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5세대 이동 통신(5G)과 같은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신호 간섭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oard-to-board type connector is not equipped with a shielding structur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signal interference may occur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when transmitting RF signals in the high frequency band. In particular, when transmitting RF signals in high frequency bands such as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signal interference may further increase.
따라서 RF 신호 전송이 가능한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는 커넥터의 접속 부분을 차폐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for board-to-board type connectors capable of transmitting RF signals, it is very important to shiel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등록특허공보 제10-2240783호(2021.04.14.)에는 신호 전송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차폐 기능이 구비된 전기 커넥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240783 (April 14, 2021) discloses a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equipped with a shielding function that can prevent interference during signal transmission.
전기 커넥터 장치는 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신호 접속용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콘택트 부재와 제2콘택트 부재, 제1콘택트 부재와 제2콘택트 부재의 외곽을 감싸는 도전성의 제1쉴드 쉘과 제2쉴드 쉘로 이루어진다.Th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includes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clude an insulating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a first contact member and a second contact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ember for signal connection, and an outer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It consists of a conductive first shield shell and a second shield shell that surround it.
그런데, 전기 커넥터 장치는 콘택트 부재의 외곽을 감싸는 쉴드 쉘을 이용하여 차폐하는 구조로서, 커넥터를 따라 서로 대향하게 2열 배치된 콘택트 부재 사이를 차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is structured to be shielded using a shield shell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ontact member,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shield between the contact members arranged in two rows facing each other along the connector.
또한, 전기 커넥터 장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 제1쉴드 쉘과 제2쉴드 쉘이 각각 마련되므로, 전기 커넥터 장치의 부피가 커져 전자기기 내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s a first shield shell and a second shield shell provided at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respectively,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becomes bulky and takes up a lot of space in the electronic device.
공개특허공보 제2021-0100391호(2021.08.17)에는 전술한 전기 커넥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2021-0100391 (2021.08.17) discloses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boar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described above.
기판 연결용 커넥터는, 제1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하우징과 제1단자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와,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과 제2단자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로 구성된다. 제2커넥터에는, 서로 대향하게 2열 배치된 제2단자 사이를 차폐하는 도전성 물질의 돌출부와, 제2단자의 외곽을 감싸 차폐하는 도전성 물질의 차폐 부재가 구비된다.The connector for connecting a board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first terminal disposed on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on a second substrate. do. 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at shields between second terminals arranged in two rows facing each other, and a shielding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at surrounds and shields the outside of the second terminal.
그런데 전술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는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와 차폐 부재가 제2커넥터에 구비되므로, 제2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폐 부재가 제2단자의 외곽을 완전히 감싸지 못하며 제2단자의 일부가 차폐 부재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므로 차폐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for connecting a board has a problem in that 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a shielding member to prevent signal interference, s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or is complicated and its volume increases. In addition, the shielding member cannot completely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econd terminal, and a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shielding member, resulting in poor shield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 전송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및 외부 차폐 기능을 강화한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with enhanced internal and external shielding functions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signal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은 차폐 기능이 우수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that has excellent shielding function and can be miniaturiz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 또는 기판과 부품을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구성된다.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is a connector that connects a board to a board or a board to a component, and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that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상기 제1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을 따라 2열로 배치된 신호 전송용 제1터미널과, 2열로 배치된 상기 제1터미널 사이를 차폐하는 제1쉴드로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housing extending in one direction, first terminals for signal transmission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first housing, and a first shield that shields between the first terminals arranged in two rows. It is composed.
상기 제1쉴드는 상기 제1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는 에지 바디(edge body)와, 상기 에지 바디에서 연장되는 베플(baffle)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hield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housing, and consists of an edge body surrounding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a baffle extending from the edge body.
또한, 상기 제2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따라 2열로 배치된 신호 전송용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이 배치된 상기 제2하우징의 둘레를 감싸는 상기 제2쉴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second housing extending in one direction, second terminals for signal transmission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second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where the second terminals are arranged. It consists of the second shield.
상기 제2쉴드는 상기 제2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는 가드 펜스(guard fence)와, 상기 가드 펜스에 형성된 콘택트(contact)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hield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housing and consists of a guard fence surrounding the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a contact formed on the guard fenc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내부 및 외부가 제1쉴드 및 제2쉴드에 의해 차폐되므로, 커넥터에서 전송되는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nector are shielded by the first shield and the second shield, interference between RF signals in the high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connector can be prevented, and RF signals in the high frequency band can be transmitted at high speed. It can be sent to .
또한, 본 발명은 제1쉴드와 제2쉴드를 서로 다른 커넥터에 배치함으로써 각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커넥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each connector, minimize the volume of the connector, and improve productivity by arranging the first shield and the second shield in different connecto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쉴드와 제2쉴드가 동일한 형상의 한 쌍으로 구성되므로 핀-맵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그라운드(GND)/그라운드(GND) 또는 그라운드(GND)/전원(Vbus)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shield and the second shield are composed of a pair of the same shape, the pin-map structur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ground (GND)/ground (GND) or ground (GND)/power (Vbus).
또한, 본 발명은 제1쉴드와 제2쉴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인접하게 배치된 회로 또는/및 부품에 가해지는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block nois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hield and the second shield, thereby reducing the influence of noise on adjacent circuits and/o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 및 제1쉴드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제2터미널 및 제2쉴드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A-A, B-B,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connector of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terminal and a first shield shell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connector of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terminal and a second shield shell of a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BB, and CC of FIG. 5.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or the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Additionally,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there is one, it means that it is C or higher and D or l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의 제1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 및 제1쉴드쉘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connector of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shield shell of the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는 상대물인 제2 커넥터(도 3 및 도 4의 200)에 삽입 및 결합되는 플러그(plug) 커넥터이다(도 5 및 도 6 참조).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connector 100 is a plug connector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nterpart second connector (200 in FIGS. 3 and 4) (see FIGS. 5 and 6).
제1커넥터(100)는 제1하우징(110), 제1터미널(120) 및 제1쉴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or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10, a first terminal 120, and a first shield 130.
제1하우징(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블록 형상이다. 이러한 제1하우징(110)은 절연성 또는 내열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1터미널(120) 및 제1쉴드(130)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first housing 1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is first housing 110 is made of insulating or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first shield 130 through insert injection.
제1터미널(120)은 신호 전송을 위한 단자로서, 제1하우징(110)의 양 측면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복수로 구성된다. 즉, 제1터미널(120)은 제1하우징(110)을 따라 2열로 배열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terminal 120 is a terminal for signal transmission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using 110. That is, the first terminals 120 are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first housing 110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전술한 제1터미널(120)은,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제1리드부(122)와, 제2커넥터(도 3의 200)의 제2터미널(도 3의 220)과 접촉되는 접촉부(124)로 이루어진다.The above-described first terminal 1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ead portion 122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nd the second terminal (220 in FIG. 3)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n FIG. 3). It consists of a contact part 124.
여기서, 제1리드부(122)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벤딩된다. 또한, 제1접촉부(124)는 제2터미널(220)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P자 형상으로 벤딩된다.Here, the first lead portion 122 is bent into an L shape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dditionally, the first contact portion 124 is bent into a P shape to improve contact force with the second terminal 220.
이와 같이, 제1접촉부(124)를 P자 형상으로 벤딩할 경우 진동 및 충격 인가 시에도 제2터미널(220)과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1커넥터(100)에 결합된 제2커넥터(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bend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24 into a P-shape, the contact force with the second terminal 2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even when vibration and impact are applied, and the second contact forc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0 The connector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제1쉴드(130)은 신호 전송 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 수단으로, 제1하우징(11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first shield 130 is a shielding means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signal transmission, and consists of a pair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housing 110, respectively.
제1쉴드(130)는, 제1하우징(130)의 단부를 감싸는 에지 바디(edge body, 132)와, 에지 바디(132)에서 연장되는 베플(baffle, 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베플(134)은 2열로 배열된 제1터미널(120) 사이에 위치되어 신호 전송 시 제1터미널(120) 사이의 노이즈를 차단한다.The first shield 130 consists of an edge body 132 surrounding the end of the first housing 130 and a baffle 134 extending from the edge body 132. At this time, the baffle 134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s 120 arranged in two rows to block noise between the first terminals 120 when transmitting signals.
본 실시예의 제1쉴드(130)는 차폐 기능 외에 그라운드 단자 또는/및 전원 단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제1쉴드(130)를 그라운드(GND)/그라운드(GND) 단자로 사용하거나 그라운드(GND)/전원(Vbus) 단자로 활용할 수 있다.The first shield 130 of this embodiment may serve as a ground terminal or/and a power terminal in addition to the shielding function. That is, a pair of first shields 130 with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can be used as a ground (GND)/ground (GND) terminal or as a ground (GND)/power (Vbus) terminal.
한편, 제1쉴드(130)의 에지 바디(132)에는 후술할 제2쉴드(230)의 가드 펜스(232~236)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홈(136)이 형성된다. 접촉홈(136)은 제2쉴드(230)와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제1커넥터(100)에 결합된 제2커넥터(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a contact groove 136 is formed in the edge body 132 of the first shield 130 for contact with the guard fences 232 to 236 of the second shield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act groove 136 maintains a constant contact force with the second shield 230 and simultaneously prevents the second connector 200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0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의 제2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제2터미널 및 제2쉴드쉘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connector of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shield shell of the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는 상대물인 제1 커넥터(도 1 및 도 2의 100)이 삽입 및 결합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이다(도 5 및 도 6 참조).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connector 200 is a receptacle connector into which the counterpart first connector (100 in FIGS. 1 and 2) is inserted and coupled (see FIGS. 5 and 6).
제2커넥터(200)는 제2하우징(210), 제2터미널(220) 및 제2쉴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second housing 210, a second terminal 220, and a second shield 230.
제2하우징(2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블록 형상이며, 그 내부에는 제1커넥터(100)가 삽입되는 공간(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하우징(210)은 절연성 또는 내열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2터미널(220) 및 제2쉴드(230)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second housing 2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pace 212 into which the first connector 100 is inserted is formed therein. This second housing 210 is made of insulating or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he second shield 230 through insert injection.
제2터미널(220)은 신호 전송을 위한 단자로서, 제2하우징(210)의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복수로 구성된다. 즉, 제2터미널(220)은 제2하우징(2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2열로 배열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The second terminal 220 is a terminal for signal transmission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inner walls of the second housing 210. That is, the second terminals 220 are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using 210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전술한 제2터미널(220)은,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제2리드부(222)와, 제1커넥터(도 1의 100)의 제1터미널(도 1의 120)과 접촉되는 접촉부(224)로 이루어진다.The above-described second terminal 22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ead portion 222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nd the first terminal (120 in FIG. 1) of the first connector (100 in FIG. 1). It consists of a contact part 224.
여기서, 제2리드부(222)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벤딩된다. 또한, 제2접촉부(224)는 제1터미널(120)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웨이브 형상으로 벤딩된다.Here, the second lead portion 222 is bent into an L shape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dditionally,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4 is bent into a wave shape to improve contact force with the first terminal 120.
이와 같이, 제2접촉부(224)를 웨이브 형상으로 벤딩할 경우 진동 및 충격 인가 시에도 제1터미널(120)과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2커넥터(200)에 결합된 제1커넥터(1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4 is bent into a wave shape, the contact force with the first terminal 1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even when vibration and shock are applied, and the first connector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00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제2쉴드(230)은 신호 전송 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 수단으로, 제2하우징(210)의 전단과 후단을 각각 감싸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제2쉴드(230)은 제2하우징(210)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된다. The second shield 230 is a shielding means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signal transmission, and is composed of a pair that surrounds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cond housing 210, respectively. That is, the second shield 230 is provided to entirely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210.
제2쉴드(230)는, 제2하우징(210)의 단부를 감싸는 가드 펜스(guard fence, 232~236)와, 가드 펜스(232~236)에 형성된 콘택트(contact, 238,239)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hield 230 consists of a guard fence 232 to 236 surrounding the end of the second housing 210 and contacts 238 and 239 formed on the guard fences 232 to 236.
가드 펜스(232~236)는 제2하우징(210)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대략 C자 형상을 갖는다. 즉, 가드 펜스(232~236)는, 제2하우징(210)의 단부면을 감싸는 제1펜스부(232)와, 제2하우징(210)의 양 측면을 감싸는 제2펜스부(234)로 이루어진다.The guard fences 232 to 236 have an approximately C-shape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the second housing 210. That is, the guard fences 232 to 236 include a first fence portion 232 surrounding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0 and a second fence portion 234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210. It comes true.
여기서, 제2펜스부(234)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커트(236)가 형성된다. 스커트(236)는 제2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리드부(222)을 덮을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Here, a skirt 236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ence portion 234. The skirt 236 protrudes obliquely outward to cover the second lead portion 22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210.
이처럼 제2쉴드(230)에 스커트(236)를 형성할 경우 제2터미널(220)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2터미널(220)에서 제2하우징(210)의 외부로 방출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kirt 236 is formed on the second shield 230,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terminal 2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and the energy e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22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210 Noise can be effectively blocked.
따라서 커넥터와 인접하게 배치된 회로 또는/및 부품에 가해지는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noise impact on circuits and/or components placed adjacent to the connector can be reduced.
콘택트(238,239)는, 제1펜스부(232)에 형성된 제1콘택트(238)와, 제2펜스부(234)에 형성된 제2콘택트(239)로 구성된다.The contacts 238 and 239 are composed of a first contact 238 formed on the first fence portion 232 and a second contact 239 formed on the second fence portion 234.
제1콘택트(238)에는 제1쉴드(130)의 에지 바디(132)의 접촉홈(136)에 삽입되는 접촉돌기(237)가 형성된다. 접촉홈(136)과 접촉돌기(237)는 제1쉴드(130)와 제2쉴드(230)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제2커넥터(200)에 결합된 제1커넥터(1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A contact protrusion 237 is formed on the first contact 238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ct groove 136 of the edge body 132 of the first shield 130. The contact groove 136 and the contact protrusion 237 maintain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first shield 130 and the second shield 230 constant,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nector 100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00 is arbitrarily prevent separation.
제2콘택트(239)는 물음표 형상으로 벤딩되는데, 이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 및 분리 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second contact 239 is bent into a question mark shape to prevent deformation and damage wh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coupled and separa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A-A, B-B,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Figures 9 through 9 are diagrams showing cross sections A-A, B-B, and C-C of Figure 5.
본 실시예에 따른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 또는 기판과 부품을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신호 전송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폐 기능을 강화한 커넥터이다.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onnector that connects a board to a board or a board to a component. More specifically, it is a connector with a strengthened shielding function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signal transmiss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10)는, 플러그(plug) 구조의 제1커넥터(100)와, 리셉터클(receptacle) 구조의 제2커넥터(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10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or 100 of a plug structure and a second connector 200 of a receptacle structure.
제1커넥터(100)는 제1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제1하우징(110)에는 2열로 배치된 신호 전송용 제1터미널(120) 및 제1터미널(120) 사이를 차폐하는 제1쉴드(130)로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or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10, and the first housing 110 includes first terminals 120 for signal transmission arranged in two rows and a first terminal for shielding between the first terminals 120. It consists of a shield (130).
또한,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의 삽입을 위한 공간(212)이 형성된 제2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제2하우징(210)에는 2열로 배치된 신호 전송용 제2터미널(220) 및 제2터미널(220)의 둘레를 감싸는 제2쉴드(23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second housing 210 in which a space 212 for inse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0 is formed, and the second housing 210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device arranged in two rows. It consists of a second terminal 220 and a second shield 230 surrounding the second terminal 220.
전술한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10)에 따르면, 2열로 배열된 제1 및 제2터미널(120,220) 사이에 제1쉴드(130)의 베플(134)이 위치되므로, 커넥터에서 전송되는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10 described above, the baffle 134 of the first shield 13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20 and 220 arranged in two rows, so that the high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connector is Interference between RF signals can be prevented, and RF signals in the high frequency band can be transmitted at high speed.
특히, 제1 및 제2터미널(120,220)의 둘레를 감싸는 제2쉴드(230)에 스커트(236)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터미널(120,22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게 배치된 회로 또는/및 부품에 가해지는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a skirt 236 is formed on the second shield 230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20 and 220, so that noise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20 and 220 can be effectively block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impact on properly placed circuits and/or components.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제1쉴드(130)와 제2쉴드(230)를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각 커넥터(100,2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커넥터(100,2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10 of this embodiment has the structure of each connector 100 and 200 by arranging the first shield 130 and the second shield 230 o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respectively. It can be simplified, the volume of the connectors 100 and 200 can be minimiz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10)는 제1쉴드(130)와 제2쉴드(230)가 동일한 형상의 한 쌍으로 각각 구성되므로, 그라운드(GND)/그라운드(GND) 또는 그라운드(GND)/전원(Vbus) 등과 같이 핀-맵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10 of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pair of the first shield 130 and the second shield 230 of the same shape, so ground (GND)/ground (GND) or ground (GND/power) The pin-map structur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Vbu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whil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100: 제1커넥터
110: 제1하우징
120: 제1터미널
130: 제1쉴드
200: 제2커넥터
210: 제2하우징
220: 제2터미널
230: 제2쉴드10: Board-to-board type connector
100: first connector 110: first housing
120: Terminal 1 130: 1st Shield
200: second connector 210: second housing
220: Terminal 2 230: 2nd Shield
Claims (12)
상기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을 따라 2열로 배치된 신호 전송용 제1터미널과, 2열로 배치된 상기 제1터미널 사이를 차폐하는 제1쉴드로 구성된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며 둘레를 감싸는 제2쉴드가 마련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that connects a board to a board or a board to a component,
The connector is.
A first connector consisting of a first housing extending in one direction, first terminals for signal transmission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first housing, and a first shield for shielding between the first terminals arranged in two rows; and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connector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shield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상기 제1쉴드는 상기 제1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1,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hield consists of a pair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쉴드는, 상기 제1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는 에지 바디(edge body)와, 상기 에지 바디에서 연장되는 베플(baffl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2,
The first shield is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dge body surrounding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a baffle extending from the edge body.
상기 제1터미널은 제1접촉부와 제1리드부로 이루어진 앵글 형상이며, 상기 제1접촉부는 P자 형상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3,
The first terminal has an angle shape consisting of a first contact portion and a first lead portion,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bent into a P-shape.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상기 제2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따라 2열로 배치된 신호 전송용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이 배치된 상기 제2하우징의 둘레를 감싸는 상기 제2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second housing extending in one direction, second terminals for signal transmission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second housing, and a second terminal surrounding the second housing where the second terminals are arranged.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cond shield.
상기 제2쉴드는 상기 제2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5,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hield consists of a pair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2쉴드는, 상기 제2하우징의 단부를 감싸는 가드 펜스(guard fence)와, 상기 가드 펜스에 형성된 콘택트(contac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6,
The second shield is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uard fence surrounding an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a contact formed on the guard fence.
상기 가드 펜스는, 상기 제2하우징의 단부면을 감싸는 제1펜스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측면을 감싸는 제2펜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7,
The guard fence is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rst fence portion surrounding an end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a second fence portion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2펜스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스커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8,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skirt protruding obliquely outward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ence portion.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펜스부에 형성된 제1콘택트와, 상기 제2펜스부에 형성된 제2콘택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7,
A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is composed of a first contact formed on the first fence part and a second contact formed on the second fence part.
상기 제2콘택트는 물음표 형상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In claim 10,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wherein the second contact is bent into a question mark shape.
상기 제2터미널은 제2접촉부와 제2리드부로 이루어진 앵글 형상이며, 상기 제2접촉부는 웨이브 형상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In claim 5,
The second terminal has an angle shape consisting of a second contact part and a second lead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is bent in a wave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2282A KR20240014740A (en) | 2022-07-26 | 2022-07-26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2282A KR20240014740A (en) | 2022-07-26 | 2022-07-26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4740A true KR20240014740A (en) | 2024-02-02 |
Family
ID=899005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2282A Pending KR20240014740A (en) | 2022-07-26 | 2022-07-26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014740A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40783B1 (en) | 2017-11-06 | 2021-04-14 |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device |
| KR20210100391A (en) | 2020-02-06 | 2021-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
-
2022
- 2022-07-26 KR KR1020220092282A patent/KR2024001474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40783B1 (en) | 2017-11-06 | 2021-04-14 |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device |
| KR20210100391A (en) | 2020-02-06 | 2021-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239612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 US11211725B2 (en) | Multipolar connector | |
| US9306345B2 (en) | High-density cable end connector | |
| KR102804341B1 (en) | Substrate Connector | |
| CN113348596B (en) | Multipolar connector set | |
| KR102208671B1 (en) | Socket Connector with Shielding Function | |
| US20210391669A1 (en) | Multipolar connector set | |
| KR102213339B1 (en) | Connector Apparatus having Socket Connector with Socket Shield Member and Plug Connector with Plug Shield Member | |
| US7578680B1 (en) | Cable assembly having interior shielding structure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
| JP7358852B2 (en) | electrical connectors | |
| KR20240014740A (en)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
| KR102862656B1 (en) | Connector | |
| KR20240014741A (en)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
| CN113314897A (en) | Multi-level connector assembly and female connector | |
| KR102538659B1 (en) | Connector for Milimeter Wave | |
| JP7636534B2 (en) | connector | |
| CN210489982U (en) | Improved board connector | |
| JP706718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7435863B2 (en) | electrical connector pair | |
| KR102556308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 JP7733738B2 (en) | connector | |
| KR20130088563A (en) | 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shell structure | |
| KR102643288B1 (en) | electrical connector pair | |
| KR102219486B1 (en) | Socket Connector with Noise Blocking Function | |
| JP7704827B2 (en) | High Frequency Connector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