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338A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8338A KR20240018338A KR1020220129963A KR20220129963A KR20240018338A KR 20240018338 A KR20240018338 A KR 20240018338A KR 1020220129963 A KR1020220129963 A KR 1020220129963A KR 20220129963 A KR20220129963 A KR 20220129963A KR 20240018338 A KR20240018338 A KR 20240018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ler
- hinge
- housing
- cooking appliance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15/5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the swinging axis laying in the sliding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06—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electrically heated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oking appliances.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오븐,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 그릴 히터 등의 다양한 조리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Various types of cooking devices are used to heat food at home or in restaurants. For example, various cooking devices such as microwave ovens, induction heating electric ranges, and grill heaters are used.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의 형태에 따라 조리기기를 분류하면, 개방형 조리기기와 밀폐형 조리기기로 나눌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도어가 구비된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고,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Cooking applianc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chamber where food is cooked, into open cooking appliances and closed cooking appliances. Closed cooking appliances include ovens with doors and microwave ovens, while open cooking appliances include cooktops and hobs.
최근에는, 밀폐형 조리기 중 스팀 오븐이 사용되고 있다. 스팀 오븐이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고, 스팀을 이용하여 조리물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 오븐을 말한다. 스팀 오븐은 조리물이 건조되는 현상을 막아주고, 맛과 향이 증발되지 않게 하여 요리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Recently, steam ovens are being used among closed cookers. A steam oven is an oven that sprays steam into the cooking chamber using high-temperature steam and ha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food using the steam. A steam oven can prevent food from drying out and maintain the taste and aroma of the dish by preventing the taste and aroma from evaporating.
스팀 오븐에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스팀공급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와,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한다. 물탱크를 통해 주입된 물이 급수관을 거쳐 스팀발생기로 유입되고, 스팀발생기로 유입된 물이 스팀발생기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된다.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A steam supply device is installed in the steam oven to supply steam. The steam supply device includes a steam generator that generates steam, and a water tank that supplies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steam generator is heated by the heater of the steam generator to generate steam. The steam generated in this way flows into the cooking chamber and circulat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in this process, cooking using steam occurs.
물 공급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물탱크에 물을 채워 넣어야 한다. 사용자는 물탱크를 조리기기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물탱크에 물을 채운 후에 다시 물탱크를 조리기기에 장착할 수 있다. 이처럼 물탱크는 조리기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야 하므로, 물탱크의 출입구가 조리기기에 형성된다. To supply water, the user must fill the water tank.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tank from the cooking appliance, fill the separated water tank with water, and then reinstall the water tank on the cooking appliance. Since the water tank must be separable from the cooking device, an entrance for the water tank is formed in the cooking device.
물탱크의 출입구는 조리기기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의 출입구가 조리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면, 사용자의 접근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다만, 조리기기의 도어도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도어와의 간섭을 피해 조리기기의 상부에 물탱크의 출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is is because if the water tank entranc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user accessibility is improved. However, since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also plac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water tank entrance can be placed at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oor.
한편, 조리기기에는 스팀 조리를 비롯하여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고, 조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포함된다.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아 조리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조리실의 온도, 습도, 조리시간 및 조리모드 등을 표시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controller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including steam cooking, and displaying the cooking status. The controller can control cooking appliances by receiving input signals from the user, and can also display the temperature, humidity, cooking time, and cooking mode of the cooking room.
이러한 컨트롤러도 물탱크와 마찬가지로 도어와의 간섭을 피해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물탱크의 출입구와 상기 컨트롤러가 모두 도어를 피해 배치되어야 하므로, 조리기기의 크기가 커지거나 컨트롤러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로 제한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물탱크의 출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관을 해치는 문제도 있다. Like the water tank, these controllers are also placed on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oor. However, since both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and the controller must be placed to avoid the doo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size of the cooking appliance must be increased or the size of the controller must be limited to a certain size or les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spoils the aesthetics.
유럽 공개특허 EP 3551942 A1(선행기술1)에는 물탱크와 컨트롤러가 도어의 위쪽에 나란히 배치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1에는 물탱크로 인해 컨트롤러가 도어의 상부에 작은 크기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선행기술1에는 물탱크의 출입구를 가리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는데, 커버는 별개물로 구성되고 이동과정에서 컨트롤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European patent publication EP 3551942 A1 (Prior Art 1) discloses a technology in which a water tank and a controller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top of the door. In
한편, 컨트롤러의 후방에 물탱크의 출입구가 배치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미국 공개특허 US20100206414A1(선행기술2)과 유럽 공개특허 EP03080517A1(선행기술3)에는 물탱크의 전방에 제어패널(컨트롤러)이 배치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2와 선행기술3은 제어패널이 물탱크를 가리고 있다가, 물탱크를 꺼내거나 장착할 때에만 제어패널이 이동하여 물탱크의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Meanwhile,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e water tank entrance is placed behind the controller. The US patent US20100206414A1 (prior art 2) and the European patent EP03080517A1 (prior art 3) disclose a technology in which a control panel (controller) is placed in front of a water tank.
선행기술2와 선행기술3은 제어패널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물탱크의 출입구를 개방시킨다. 제어패널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물탱크의 출입구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물탱크를 꺼내거나 다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어패널을 다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제어패널은 원위치로 이동하여 물탱크의 출입구를 가리게 된다. In
이처럼 제어패널이 조리기기의 위쪽으로 이동하면, 조리기기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설치높이도 함께 높아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조리기기가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된다면, 제어패널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가 설치된 주방가구와 간섭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panel is moved to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like this, the overall h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must also be increased. In particular, if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the control panel may interfere with the kitchen furniture o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as it moves upward.
또한, 선행기술2와 선행기술3과 같이 제어패널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어패널의 무게를 극복해야 하므로 큰 외력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s in
만약 모터 등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제어패널을 자동으로 개방시킨다고 하더라도, 제어패널의 자동개방를 위한 모터 등도 큰 힘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큰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개방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Even if the control panel is automatically opened using a separate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the motor for automatic opening of the control panel must also generate a large force, which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and makes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device complicated to generate a large force. there is a problem.
특히, 제어패널이 마지막 위치까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이 제어패널이 개방되는 동안 계속 동력을 제공해야 하고, 제어패널의 이동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동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개방장치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control panel to automatically open to the final position, a driving source such as a motor must continue to provide power while the control panel is opening,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power must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movement state of the control panel, so the opening device The structure is bound to become more complex.
그리고, 선행기술2와 선행기술3의 제어패널은 물탱크의 출입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이동할 때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제어패널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이동하면 큰 모멘트가 발생하여 개폐장치의 연결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처럼 제어패널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개방장치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of
또한, 선행기술3에는 제어패널의 양쪽 힌지부에 제어패널을 개방시키기 위한 모터구동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모터구동부는 제어패널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매커니즘과 연결되어 개방장치의 구조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힌지부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In addi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발생을 위한 물탱크를 컨트롤러의 후방에 배치하되, 컨트롤러가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물탱크의 출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water tank for steam generation at the rear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rotates downward to open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It is d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러가 초기의 일정 구간은 개방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고, 나머지 구간은 중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ntroller to automatically open an initial certain section by an opening device and open the remaining sections by grav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방장치의 설치높이와 형상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installation height and shape of the open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방장치에 구비된 캠부의 돌출거리와 컨트롤러의 회전거리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cam provided in the opening device and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트롤러가 회전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열리면서 물탱크의 출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ntroller to rotate and open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op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트롤러의 개방장치를 컨트롤러의 힌지모듈과는 별개로 구성하고, 컨트롤러의 후방 중심부에 배치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the opening device of the controller separately from the hinge module of the controller and place it at the rear center of the controll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캐비티와 탱크챔버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물탱크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와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는 컨트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가리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힌지모듈 사이에는 개방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방장치의 캠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having a cavity and a tank chamber formed therein,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vity. Additionally, the water tank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ase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ank chamber. A controller may be placed in the front of the case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doo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be moved from a first position that covers the entrance to the tank chamber to a second position that opens the entrance to the tank chamber. An opening device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hinge modules that move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cam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may be disposed above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의 전체 높이(H1)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캠부의 설치위치까지의 높이(H2)의 상대비(H2/H1)는 0.4 내지 0.7일 수 있다. And, the relative ratio (H2/H1) of the height (H2) from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 portion to the overall height (H1) of the controller may be 0.4 to 0.7.
또한, 상기 컨트롤러 상단의 회전거리(Z1)와 상기 개방장치의 캠부의 최대 돌출거리(L1)의 비(Z1/L1)는 0.9 내지 1.2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tio (Z1/L1) between the rotational distance (Z1) of the top of the controller and the maximum protruding distance (L1) of the cam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may be 0.9 to 1.2.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러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ler may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le rotating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roller moves downward.
또한,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좌우 양단 사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pening device may be placed at the center betwee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캠부는 상기 개방장치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am portion may be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ing device.
또한, 상기 캠부는 회전과정에서 상기 컨트롤러를 향해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cam portion may protrude toward the controller during rotation.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방하우징과, 상기 개방하우징에 배치되는 개방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하우징에는 캠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상기 개방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회전과정에서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pening device may include an opening housing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an opening motor disposed in the opening housing. At this time, a cam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open housing. The cam portion may be rotated by the opening motor, and a portion may protrude out of the case during the rotation process.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컨트롤러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am portion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is in the first position.
그리고, 상기 캠부가 상기 개방하우징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캠부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개방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캠부의 전단부까지의 거리 보다 6배 내지 10배 만큼 더 길 수 있다. And, in a state where the cam part is completely stored in the open housing,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ing motor to the rear end of the cam part is 6 to 10 time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ing motor to the front end of the cam part. It could be longer.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개방장치에 의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이동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oves a first open section starting from the first position by the open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moves the second open s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open section to the second location by gravity or the user. It can be moved by external force.
그리고, 상기 제2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의 회전각도 보다 클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ler in the second open s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ler in the first open section.
또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roll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may be rotated arou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moved downward of the cas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n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roll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may be rotated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moved forward and downward of the case. there is.
또한,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연결축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연결축들은 상기 제1위치에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shaft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hafts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t different heights at the first position.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 상기 한 쌍의 힌지모듈 및 상기 물탱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캐비티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pening device, the pair of hinge modules, and the water tank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the cavity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또한,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의 상면은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의 하단 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second pos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ler may be lower than or have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entrance to the tank chamber.
그리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의 하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의 하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Also, in the first positio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may be placed higher than the top of the door, and in the second positio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top of the door.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 스팀발생을 위한 물탱크는 컨트롤러의 후방에 배치되어 평소에는 컨트롤러에 의해 물탱크의 출입구가 가려질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물탱크의 출입구가 개방되어 사용자는 물탱크를 꺼내거나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가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물탱크의 출입구를 개방시키므로, 컨트롤러가 회전하더라도 조리기기의 전체 높이에는 변화가 없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설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for steam generation is disposed behind the controller, so that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can be normally hidden by the controller. And when the controller rotates downward,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opens and the user can take out or reinstall the water tank.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rotates downward to open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so there is no change in the overall h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even when the controller rotate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lower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컨트롤러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물탱크의 출입구를 개방시키므로, 조리기기가 주방가구에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더라도 주방가구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설치 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controller rotates downward to open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the cooking appliance may not interfere with the kitchen furniture even if it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freedom of installation of cooking appliances.
특히, 본 발명에서 개방장치의 캠부는 최적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캠부가 최적의 높이로 설정되면, 개방장치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컨트롤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개방장치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can be set to an optimal height. When the cam is set to the optimal height, the opening device can stably rotate the controller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pening device can be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캠부가 개방장치로부터 돌출되는 거리와, 컨트롤러의 회전거리의 비가 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개방장치는 상대적으로 적은 충분히 큰 개방력을 가지면서, 컨트롤러를 설정된 범위만큼 정확하게 회전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between the distance that the cam unit protrudes from the opening device and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controller can be optimally set. In this way, the opening device can accurately rotate the controller within a set range while having a relatively small and sufficiently large opening force. Therefore,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ncreased.
이에 더하여, 컨트롤러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그 위쪽에 물탱크의 출입구를 노출시키면, 컨트롤러는 물탱크의 출입구를 향한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물탱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탱크를 향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좋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troller rotates downward and exposes the entrance of the water tank above it, the controller may not block the user's view toward the entrance of the water tank. Therefore, not only can the user more intuitiv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water tank, but the user's accessibility to the water tank can also be improved.
특히, 컨트롤러가 회전하여 열리면 컨트롤러의 상면은 물탱크의 출입구를 향해 연장되므로, 사용자는 물탱크의 인출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controller rotates and open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ler extends toward the entrance of the water tank, allowing the user to more intuitively know the direction of the water tank.
그리고,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는 중력방향과 같은 아래쪽으로 회전하므로 작은 힘으로도 컨트롤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rotate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e controller can be opened with a small force.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is improved.
이때, 컨트롤러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자동개방장치를 적용하더라도, 자동개방장치의 구동원이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동개방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even if an automatic opening device is applied to automatically open the controll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utomatic opening device can be reduced because the driving source of the automatic opening device does not require a large amount of force.
또한,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는 전체 개방구간 중에서 초기 구간만 개방되고 나면, 나머지 구간은 중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를 개방하기 위한 자동개방장치의 전체 동작 구간을 짧게 할 수 있어서, 자동개방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only the initial section is opened among all open sections, the controller can automatically open the remaining section while rotating by gravity. Therefore, the entire operation section of the automatic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controller can be shortened, and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opening device can be simplified.
그리고,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열릴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컨트롤러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이루어지므로 중력을 극복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열림 과정에서 컨트롤러의 연결부위에 큰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힌지모듈을 포함한 컨트롤러 개방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ned while rotating from a vertically standing state to a horizontally lying state. Since this movement is achieved by rotating the controller downward, there is no need to overcome gravity, thereby preventing a large moment from occurring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troller during the opening process.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the controller opening device including the hinge module can be simplified an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힌지모듈과, 초기구간에서 컨트롤러를 개방시키는 개방장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모듈과 개방장치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비하여 이들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개방장치는 컨트롤러의 회전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큰 개방력(토크)을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modul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controller and the opening device that opens the controller in the initial section can be configu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refore, compared to configuring the hinge module and the opening device as one piece, their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opening device can provide greater opening force (torque) by being placed relatively far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controller.
그리고,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가 회전하여 개방되면 컨트롤러는 물탱크의 출입구 전방에 눕혀진 상태가 된다. 개방된 컨트롤러는 일종의 받침대가 될 수 있고, 사용자는 물탱크의 저면을 컨트롤러의 상면에 얹은 상태로 물탱크를 조리기기에서 꺼내거가 다시 조리기기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물탱크의 탈착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ler is rotated and opened, the controller is laid down in front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water tank. The open controller can be a kind of stand, and the user can take the water tank out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put it back into the cooking appliance while placing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on the top of the controller. Therefore, the desorption workability of the water tank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는 회전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컨트롤러가 회전과 동시에 전방과 하방으로 이동되면, 컨트롤러의 총 이동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컨트롤러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 물탱크의 출입구가 사용자를 향해 더욱 넓게 노출될 수 있고, 물탱크의 인입/인출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an rotate and simultaneously move forward an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f the controller rotates and moves forward and downward at the same time, the total moving distance of the controller may increase.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entrance to the water tank can be exposed more widely toward the user, and the water tank can be drawn in and out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조리기기에서 꺼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하부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도 2의 XI-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도 2의 XII-X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커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어퍼커버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장실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6는 도 15에서 전장실의 내부에 물탱크와 탱크하우징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케이스의 전면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커버를 제거하고, 전장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9은 도 18의 상태에서 컨트롤러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도 5의 XX-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2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케이스, 프론트패널 및 탱크하우징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케이스, 프론트패널 및 탱크하우징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과 탱크하우징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2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과 탱크하우징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2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탱크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탱크하우징의 구조를 도 28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프론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1는 도 30의 XXXI-XX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3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개방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개방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구조를 도 3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 36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8은 도 34의 XXXVIII-XX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3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1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2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5은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6는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가 개방되는 상태를 연속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이 컨트롤러가 개방됨에 따라 동작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4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 49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1는 도 2의 LI-L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2(a) 및 도 52(b)는 각각 도 49의 LII-LII'선에 대한 단면도 및 힌지모듈의 구조를 보인 블럭도.
도 5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하고, 힌지결합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힌지결합부에 힌지모듈의 연결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힌지결합부에 힌지모듈의 연결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힌지결합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서로 결합된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58은 도 57에서 컨트롤러의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9은 도 58에서 체결구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 및 와이어커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 및 와이어커버가 전면프레임 및 프론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과 와이어커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과 와이어커버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6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케이스의 전장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케이스의 전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케이스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동작 전후의 모습을 함께 보인 동작상태도.
도 7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7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해제상태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해제상태인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인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7는 도 75의 LXXVII-LX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헤드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헤드가 분리되어 비상해제가 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모듈이 전장실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8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가이드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8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가이드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8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85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 85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86는 도 83의 LXXXVI-LXXX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7는 도 83의 LXXXVII-LXX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8은 본 발명의 개방장치에 구비된 캠부의 높이에 따른 유량과 제1개방구간 이탈률의 관계를 표현한 그래프.
도 89는 본 발명의 개방장치에 구비된 캠부의 돌출거리와 컨트롤러의 회전거리 비에 따른 개방장치의 개방력과 컨트롤러의 회전각도의 관계를 표현한 그래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than that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oller constituting an exampl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tank constituting an exampl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n out of the cooking applianc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ure 1.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in Figure 1.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constituting an exampl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ure 7.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Figure 1.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I' of Figure 2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in Figure 2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upper cover constituting an exampl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cover constituting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constituting an exampl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water tank and tank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in Figure 15.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cas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attlefield room with the upper cov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d.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oller open in the state of Figure 18.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XX' in Figure 5.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oor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case, front panel, and tank housing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each other.
Figure 23 is a side view showing the upper case, front panel, and tank housing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each other.
Figure 2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tank housing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anel and tank housing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Figure 2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ont pane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ont pane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nk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nk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28.
Figure 30 is a front view showing a water tan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front panel.
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XI-XXXI' of FIG. 30.
Figure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pen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open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roll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roll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than that of Figure 34.
Figure 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of th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ts of th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assembled and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than Figure 36.
Figure 3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XVIII-XXXVIII' in Figure 34.
Figure 39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roll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0 is a rear view showing the cover frame removed from th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ler constitu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2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ler constitu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ure 42 with the cover frame removed.
Figure 44 is a rear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ure 42 with the cover frame removed.
Figure 4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ure 42 with the cover frame removed.
Figure 4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ure 42 with the cover frame removed.
Figure 4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controll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inuous open state.
Figure 48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hinge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s the controller is opened.
Figure 4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ler and a hinge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ler and a hinge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49.
Figure 5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LI-LI' in Figure 2.
Figures 52(a) and 52(b) are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LII-LII' of Figure 49 and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module, respectively.
Figure 5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with the cover frame removed from th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block of the hinge module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lock of the hinge module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coupling part of th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controller and a hinge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ure 5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frame of the controller in Figure 57 removed.
Figure 5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er in Figure 58 has been removed.
Figure 6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ler and a hinge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ure 6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roller and a hinge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ure 6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module and wire cov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inge module and wire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front frame and front panel.
Figure 6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module and wire cov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portion of the hinge module and wire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a door lock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locking devic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compartment of the case.
Figure 6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case.
Figure 6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case.
Figure 7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oor lock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of a door lock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locking devic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locked state.
Figure 74 is a plan view showing the door locking devic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locked state.
Figure 7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locking devic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cked state.
Figure 76 is a plan view showing the door locking devic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cked state.
Figure 7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LXXVII-LXXVII' in Figure 75;
Figure 7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head of the door lock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Figure 7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head of a door lock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emergency released.
Figure 80 is a plan view showing the lighting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d in the battlefield.
Figure 8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ing guid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ing guid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of a light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ts constitu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ing device constituting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assembled and view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85.
Figure 8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LXXXVI-LXXXVI' in Figure 83.
Figure 8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LXXXVII-LXXXVII' in Figure 83;
Figure 88 is a graph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rate and the first opening section departure rat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am provided in the op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9 is a graph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force of the opening devic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cam provided in the op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controlle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열원들을 이용하여 조리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하 '조리물'이라 함)을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제1열원모듈(150, 도 7참조), 제2열원모듈(160, 도 7참조) 및 제3열원모듈(170, 도 7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150), 상기 제2열원모듈(160) 및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열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 상기 제2열원모듈(160) 또는 상기 제3열원모듈(170)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oking fo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ing food') using one or a plurality of heat sources.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see FIG. 7), a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see FIG. 7), and a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see FIG. 7).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may each be disposed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heat sources. As another example, some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or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스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장치는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인 캐비티(S1)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팀장치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히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4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am device. The steam device may supply steam to the cavity S1, which is a cooking chamber provid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o this end, the steam device may include a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water and a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조리기기의 조리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물탱크(450)가 각각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이동하면서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를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동작을 위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주방가구(1) 등에 설치되어 조리기기의 전면만 전방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때 조리기기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300)와 컨트롤러(5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물탱크(450)도 조리기기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지만, 도 1에서는 컨트롤러(500)에 의해 가려진 상태다. 도면부호 501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As can be see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참고로, 도 1의 화살표X는 전후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Y는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Z는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이때 전후방향은 조리기기의 깊이방향으로 볼 수 있고, 좌우방향은 조리기기의 폭방향으로 볼 수 있으며, 상하방향은 조리기기의 높이방향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향을 나타낼 때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arrow At this time,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an be viewed as the dep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viewed a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can be viewed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Hereinafter, these terms will be used when indicating direction.
상기 주방가구(1)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주방가구(1)는 상기 조리기기의 전면을 제외하고, 조리기기의 하면, 배면, 상면 및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주방가구(1)는 하면부(2, 도 6참조), 배면부(3), 상면부(4) 및 측면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 배면부(3), 상면부(4) 및 측면부(5)는 각각 조리기기의 하면, 배면, 상면 및 측면을 감싸고, 조리기기의 전면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상기 하면부(2), 배면부(3), 상면부(4) 및 측면부(5)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To briefly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이때, 상기 주방가구(1)와 상기 조리기기의 사이에는 틈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주방가구(1)와 조리기기 사이의 틈(하부흡기구(G1))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상기 주방가구(1)와 조리기기의 하부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① 방향).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조리기기를 냉각시킨 공기는 다시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리기기의 도어(300)와 컨트롤러(5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화살표② 방향). 이러한 공기의 순환 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a gap may exist between the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조리기기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전후, 좌우 및 상하 높이는 대략 비슷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리기기의 전후, 좌우, 상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2,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can be seen, the cooking appliance may have a roughly hexahedral shape. The front-to-back, left-right, and top-bottom heights of the cooking appliances may be formed to be approximately similar in size. Alternatively, the front-to-back, left-right, and top-bottom heights of the cooking appliances may be different.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에는 캐비티(S1, 도 6참조)가 마련된다. 상기 캐비티(S1)는 상기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100,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1)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빈 공간으로, 조리실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S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장실(S2, 도 6 및 도 7참조)과는 분리될 수 있다.A cavity (S1, see FIG. 6) is provid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e cavity S1 may be formed inside the
상기 케이스(100,200)는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이너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와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고, 상기 단열재는 외부로 전달되는 열원모듈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도어(300)의 위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컨트롤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조리기기의 조리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2 and 3, a
도 4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50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일종의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이어서 도 5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에서 물탱크(450)가 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스팀기능을 위한 상기 물탱크(450)는 조리기기의 동작상태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컨트롤러(5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를 인출하거나 다시 인입할 때에는 상기 컨트롤러(500)를 열어서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개방시켜야 한다. 여기서 동작상태라는 것은 상기 조리기기가 동작되는 상태, 즉 조리물을 조리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Next, looking at FIG. 5, the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물탱크(450)의 인출 및 인입과정을 제외하면 항상 상기 물탱크(4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450) 및 출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조리기기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참고로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다는 것은 도 4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힌다는 것은 도 2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되어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도어(300)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For reference, opening the
도 6을 보면, 조리기기가 주방가구(1)의 안쪽에 수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캐비티(S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1)의 빈 공간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에 의해 정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고,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Looking at Figure 6, you can see that the cooking appliance is stored inside the kitchen furniture (1). A cavity S1 may be provided inside the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후면에는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후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구부(120)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An opening 120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이때, 스팀도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도 7을 보면,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 구비된 컨벡션팬에 의해 상기 스팀이 캐비티(S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steam may also flow into the cavity (S1) through the opening 120. The steam is generated by the steam device. Referring to FIG. 7, the steam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vity (S1) by the convection fan provided in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바닥면에서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텀케이스(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과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사이에는 제1단열공간(IS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열공간(IS1)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져, 상기 제1열원모듈(150)의 열이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and 7, a lower frame 13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본 실시례에는 복수개의 열원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원들은 제1열원모듈(150), 제2열원모듈(160) 및 제3열원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상기 캐비티(S1)의 하면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열원모듈(160)은 상기 캐비티(S1)의 후면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상기 캐비티(S1)의 상면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열원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조리물의 표면을 보다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열원을 이용하면 보다 고온을 요구하는 조리방법도 구현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heat sources may be in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heat sources may include a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a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and a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S1),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S1),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S1). It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S1). In this way,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t different positions, the surface of the food can be heated more evenly and the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Additionally, by using multiple heat sources, cooking methods that require higher temperatures can be implemented.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하부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상기 캐비티(S1)의 내부에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열원모듈(150)에는 히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위쪽 즉 상기 캐비티(S1)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고, 조리물의 하부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그라파이트 히터(Graphite Heater)일 수 있다. 이러한 히터부는 일종의 브로일(broil) 히터역할을 할 수 있는데, 상기 히터부는 직화열이나 복사열을 이용한 그릴(grill)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may be placed on the lower frame 130 of the
다른 예로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워킹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이용하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조리물을 가열시킬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may heat food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us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a working coil.
상기 제2열원모듈(160)은 일종의 컨벡션(convection)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2열원모듈(160)은 컨벡션팬과 함께 캐비티(S1) 내부에 대류열을 발생시켜 요리의 균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는 컨벡션팬이 생략되고, 제1열원모듈(150)과 마찬가지로 열선을 이용하여 조리물에 복사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may be a type of convection heater.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together with the convection fan, can generate convection heat inside the cavity (S1) to increase cooking uniformity. In contrast,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omits the convection fan, and, like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radiant heat can be provided to the food using a heating wire.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는 컨벡션히터(1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히터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가지는 바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벡션히터는 열선의 보호관을 금속으로 하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컨벡션히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튜브의 내부에 필라멘트가 봉입되는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일 수도 있다. A convection heater 165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The convection heater may be formed as a bar ty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For example, the convection heater may be a sheath heater in which the protection tube of the heating wire is made of metal. Alternatively, the convection heater may be a carbon heater, ceramic heater, or halogen heater in which a filament is encapsulated inside a tub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상기 제1열원모듈(150)과 마주보는 상기 캐비티(S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상기 제1열원모듈(150)과 마찬가지로, 히터부를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S1)의 내부에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아래쪽 즉 상기 캐비티(S1)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고, 조리물의 상부를 가열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면부호 175는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프로브(Temperature Probe)를 나타낸 것이다.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S1) facing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Like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can generate radiant heat inside the cavity S1 using a heater unit. The heater unit may generate radiant heat downward, that is, toward the cavity S1, and heat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In FIG. 7, reference numeral 175 denotes a temperature prob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vity S1.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100,200)에는 제4열원모듈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제4열원모듈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magnetron)과,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캐비티(S1)로 안내하기 위한 웨이브가이드가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fourth heat source module may be added to the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에는 아웃케이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조리기기의 외관은 아웃케이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상기 조리기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케이스(210),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케이스(220),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케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전방에는 후술할 도어(300)가 배치되어 조리기기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An outer case 200 may be placed outside the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기 하부프레임(130)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대략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사이의 제1단열공간(IS1)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The bottom case 21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frame 130 of the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바텀케이스(210)에는 바텀스페이서(21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는 주방가구(1)의 하면부(2)에 닿아 조리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텀케이스(210)에는 복수개의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들이 구비된다. 6 and 7, a bottom spacer 215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case 210. The bottom spacer 215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case 210. The bottom spacer 215 may support the cooking appliance by contacting the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된 하부 틈(G1)은 하부흡기구가 되고, 이러한 하부흡기구(G1)에는 제1공기유로(AC1)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7의 화살표①은 외부의 공기가 제1공기유로(AC1)로 유입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②는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The bottom spacer 215 can be used to space the bottom case 210 from the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하부흡기구(G1)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형성된 하부 하부흡기구(G1)로 외부의 공기가 화살표①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조리기기의 아웃케이스(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조리리기의 표면온도와 상기 전장실(S2)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The bottom spacer 215 can be seen to form a lower intake port G1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flow by separating the bottom case 210 from the
도 9에는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의 상면(2a)은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이격된 하부 하부흡기구(G1)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의 상면(2a)은 조리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면으로 볼 수도 있다. Figure 9 show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7. As can be seen, the upper surface 2a of the
상기 바텀케이스(2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가 안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바텀스페이서(215) 중 일부는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바텀케이스(210)가 서로 중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The bottom seating portion 285 of the front frame 28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seated on the bottom case 210. Some of the plurality of bottom spacers 215 may b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front frame 280 and the bottom case 210 overlap each oth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ottom case 210.
상기 바텀케이스(21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 10을 보면, 복수개의 바텀스페이서(215)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아래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의 상면(2a)과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사이에는 하부흡기구(G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5)와 조리기기의 사이에도 측면 틈(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틈(G2)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Looking at FIG. 10 when the bottom case 210 is viewed from the front,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bottom spacers 215 are arranged below the bottom case 210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 lower intake port G1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a of the
도 11과 도 12에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1은 바텀케이스(210)의 앞쪽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바텀케이스(210)의 뒤쪽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이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상부플레이트(213)와 하부플레이트(21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11 and 12 show the structure of the bottom case 210. For reference, Figure 11 shows the front structure of the bottom case 210, and Figure 12 shows the rear structure of the bottom case 210. As can be seen,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case 210 may have a double configuration. The bottom case 210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213 and a lower plate 212,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213 and the lower plate 212.
이러한 공간이 상기 제1공기유로(AC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하부플레이트(212)와 상부플레이트(213)의 사이에는 다른 공간과 구획된 상기 제1공기유로(AC1)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제1열원모듈(15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을 냉각시킬 수 있다. This space may form part of the first air passage AC1. In this way, the first air passage AC1 separated from other spaces can be created between the lower plate 212 and the upper plate 213 of the bottom case 210. The first air flow path AC1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Accordingly, the air flowing backward along the first air passage AC1 can cool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조리기기 주변 구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주방가구의 형태, 크기 또는 재질과 관계없이, 외부의 공기는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될 제2공기유로(AC2)와 연결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내부에 연속된 공기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air passage AC1 is formed inside the bottom case 210, it may not be affected by structures surrounding the cooking device.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shape, size, or material of the kitchen furniture o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external air can stably flow along the first air passage AC1, which has a constant size and shape. In addition, the first air passage AC1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AC2, which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thereby providing a continuous air passag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상기 도어(300)를 향한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앞부분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앞부분에 지지된다고 볼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상부에 중첩될 수 있다. The lower seating portion 285 of the front frame 280 may be sea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ttom case 210 facing the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일단에는 차단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힌지(H, 도 8참조) 쪽으로 제1열원모듈(150)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일단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앞부분, 즉 상기 도어(300)를 향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높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도어힌지(H)의 높이에 맞게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A blocking portion 214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213. The blocking portion 214 may block heat from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15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door hinge (H, see FIG. 8)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plate 213. To this end, the blocking portion 214 may be bent 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213. The blocking portion 214 may be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the upper plate 213, that is, a portion facing the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는 일부 지점에서 서로 밀착될 수도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밀착부(218)를 형성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밀착부(218)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를 밀착시켜,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무게를 견딜 수 있게 한다. 상기 밀착부(218)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넓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213 and the lower plate 2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213 and the lower plate 2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some points. Referring to FIG. 11, the upper plate 213 and the lower plate 212 are shown protruding toward each other to form a close contact portion 218. The close contact portion 218 brings the upper plate 213 and the lower plate 212 into close contact, allowing them to withstand the weight of component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case 210. A plurality of the close contact portions 218 may b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case 210.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에는 유입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흡기구(G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흡기구(G1)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유입구(216)를 통해서 상기 제1공기유로(AC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이 상기 제1공기유로(AC1)에까지 미치므로, 상기 제1공기유로(AC1)의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An inlet 216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212. The inlet 216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lower plate 21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let 216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intake port G1.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lower intake port G1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AC1 through the inlet 216. Since the suction power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extends to the first air passage AC1, the air in the first air passage AC1 may flow rearward.
따라서,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형성된 하부흡기구(G1)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에 형성된 유입구(216)를 통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하부플레이트(212)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케이스(220)와 리어커버(230)의 사이에 형성된 제2공기유로(AC2)로 유입될 수 있다. Therefore,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lower intake port (G1) formed by the bottom spacer 215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late 213 and the lower plate 212 through the inlet 216 formed in the lower plate 212. It can flow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troduced air can move rearward along the first air passage (AC1), and flows into the second air passage (AC2) formed between the rear case 220 and the
이때,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에서 상기 도어(300)와 가까운 앞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여러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도어(300)와 가까운 앞부분에 집중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이 분산되지 않고, 상기 유입구(216) 및 상기 하부흡기구(G1)에 집중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유입구(216)들이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앞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inlet 216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lower plate 212 close to the
참고로, 도 11에서 화살표①은 외기가 상기 하부흡기구(G1)로 유입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②는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입구(216)를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AC1)로 유입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③은 공기가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For reference,
한편,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13) 사이의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화살표①방향)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리어커버(230) 사이의 제2공기유로(AC2)를 향해 유입(화살표②방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유로(AC2)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서 상부(화살표③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Meanwhile, air moving backward along the first air passage AC1 between the lower plate 212 and the upper plate 213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air passage AC2.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ure 12. As can be seen, the air moving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arrow ①) along the first air passage (AC1) flows toward the second air passage (AC2) between the rear case 220 and the
이를 위해서, 상기 리어케이스(220)에는 제1공기유로(AC1)와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229)는 상기 리어케이스(22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229)는 상기 리어케이스(2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통로(229)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에 가까운 상기 리어케이스(22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To this end, a connection passage 229 may be formed in the rear case 220 to connect the first air passage AC1 and the second air passage AC2. The connection passage 229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rear case 220 in the front-to-rear direction. The connection passage 229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r case 220. More precisely, the connection passage 229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case 220 close to the bottom case 210.
이처럼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서 상부(화살표③방향)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열원모듈(160)의 후방을 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지나는 공기는 상기 제2열원모듈(160)의 후방을 냉각시켜줄 수 있다. In this way, the air moving upward (in the direction of arrow ③) along the second air flow path AC2 passes behind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AC2 can cool the rear of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160.
그리고, 아래에서 다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전장실(S2)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의 공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흡입된 후에, 제3공기유로(AC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에 전달된 공기는 상기 전장실(S2)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3공기유로(AC3)는 제3열원모듈(170)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3공기유로(AC3)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3열원모듈(170)의 상부를 냉각시켜줄 수도 있다. And, as will be explained again below, the air moving upward along the second air passage AC2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ical equipment compartment S2. The air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may be sucked into the cooling fan module 4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AC3). The air delivered to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can cool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In addition, since the third air passage (AC3)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AC3) cools the upper part of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170). It may be possible.
이러한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하부흡기구(G1)를 통해서 유입된 외부의 공기(화살표① 방향)는 앞서 설명한 유입구(216)를 통해서 상기 제1공기유로(AC1)의 내부(화살표② 방향)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ure 7. As can be seen, the external air (direction of arrow ①)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intake port (G1) can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AC1) (direction of arrow ②) through the previously described inlet 216. there is. And the air can move rearward along the first air flow path (AC1).
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통과할 수 있다(화살표③ 방향). 상기 제2공기유로(AC2)는 중력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공기가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유동하기 위해서는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이 필요할 수 있다.Air moving rearward can pass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AC2) (direction of arrow ③). Since the second air passage AC2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suction power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may be required for air to flow along the second air passage AC2.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어퍼케이스(240)의 연결홀(242)을 통해서 공기가 상기 전장실(S2)로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④ 방향). 전장실(S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내부(화살표⑤ 방향)로 흡입된 후에, 상기 제3공기유로(AC3)를 따라 전방(화살표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공기가 배기구(28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ir may flow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S2 through the connection hole 242 of the
정리하면, 외부의 공기는 조리기기의 전방 하부로부터 유입되고,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를 순환한 후에 전방 상부로 배출된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는 제1열원모듈(AC1), 제2열원모듈(AC2) 및 제3열원모듈(AC3)의 주변을 모두 냉각시켜줄 수 있다. In summary, it can be said that external air flows in from the front lower part of the cooking appliance, circulates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n is discharged from the front upper part. In this process, the outside air can cool the surroundings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AC1),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C2),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C3).
한편, 도 7에서 화살표④'는 아래에서 설명될 어퍼커버(260)의 공기입출부(265)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외부의 공기는 반드시 조리기기의 전방 하부를 통해서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조리기기의 상부 후방에 형성된 여유공간을 통해서도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어퍼커버(260)에 공기입출부(265)가 없는 경우라면, 화살표④'를 통한 공기의 유입은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에 공기입출부(265)가 없으면 공기유입경로가 줄어들지만,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은 조리기기의 전방 하부에 집중될 수 있다. Meanwhile, arrow ④' in FIG. 7 indicates the in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 through the air inlet/outlet portion 265 of the
다시 도 8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00)를 감싸는 상기 아웃케이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를 구성하는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제2단열공간(I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공간(IS2)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져, 상기 캐비티(S1)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Looking again at FIG. 8, the outer case 200 surrounding the
상기 아웃케이스(200)를 구성하는 리어케이스(220)의 후방에는 리어커버(2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리어커버(230)의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리어커버(230) 사이의 빈 공간은 제2공기유로(AC2)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에는 제2열원모듈(160)을 구성하는 컨벡션팬의 회전을 위한 컨벡션모터(163)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165는 제2열원모듈(160)의 히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A
그리고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방에는 어퍼커버(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는 상기 전장실(S2)의 상부를 덮어 상기 전장실(S2)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와 상기 어퍼커버(260)의 사이에는 전장실(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에는 냉각팬모듈(4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리기기의 내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은 상기 캐비티(S1)와 구별되는 상부공간이라고 볼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전장실(S2)은 상기 캐비티(S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S1)와 구별되는 하부공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nd an
한편,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 도 7참조)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는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도 1의 화살표②참조).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프레임(280)에 형성된 배기구(28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고, 공기는 배기구(282)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의 틈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moving along the second air passage AC2 may move forward along the third air passage AC3 (see FIG. 7) formed inside the cooling fan module 410. The air that moves forward can ultimatel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between the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커버(230)는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230)에는 관통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32)에는 차폐커버(232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232a)는 상기 관통부(232)를 가릴 수 있고, 탈거되면 관통부(23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차폐커버(232a)를 개방하고 상기 제2공기유로(AC2)로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커버(232a)는 조리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조리기기의 후방 내부로 접근할 때 탈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3 and 8, the
상기 리어커버(230)에는 후방통공(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통공(235)은 외부와 연결되는 공기통로로 볼 수 있다. 상기 후방통공(235)은 상기 리어커버(23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리어커버(230)에서 상기 후방통공(235)이 생략될 수도 있다. A rear through hole 235 may be formed in the
상기 리어커버(230)의 가장자리에는 리어체결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체결부(233)는 상기 리어커버(23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리어체결부(233)는 상기 리어커버(230)와 사이드커버(27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리어체결부(233)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측단부는 서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230)는 상기 리어케이스(220)에도 동시에 조립될 수도 있다. A rear fastening portion 233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다음으로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에는 냉각팬모듈(410)을 포함하여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도 8을 보면,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에는 연결홀(242)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제2공기유로(AC2)와 상기 전장실(S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connection hole 242 may be open at the rear of the
이처럼 상기 연결홀(242)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지만,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어퍼커버(2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어퍼커버(260)의 차단판(266)이 상기 연결홀(2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연결홀(242)의 위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결홀(242)을 덮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연결홀(242)은 아웃케이스(200)의 바깥쪽과 직접 연결되지 못하고,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제2공기유로(AC2)와 상기 전장실(S2)만 서로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nection hole 242 is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connection hole 242 may be shielded by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어퍼커버(260)를 먼저 설명하면,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어퍼커버(260)는 대략 사각판상일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와 결합되어 상기 어퍼케이스(240)와의 사이에 전장실(S2)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어퍼케이스(240), 상기 어퍼커버(260), 상기 사이드커버(270)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패널(420)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에 상기 전장실(S2)이 마련될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상기 어퍼커버(26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어퍼커버(260)의 판상의 몸체 앞부분에는 커버단부(2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단부(262)는 상기 어퍼커버(260)의 높이를 높이는 방향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단부(262)는 단차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상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어퍼커버(260)의 양쪽에는 체결단부(2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부(263)는 상기 어퍼커버(260)의 양쪽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체결단부(263)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단부에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체결단부(263)에 의해 상기 어퍼커버(260)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Fastening ends 26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뒷부분에는 연결절곡부(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절곡부(264)는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뒷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절곡부(264)의 상단은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뒷부분과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차단판(266)에 연결된다. A connection bent portion 264 may be provid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of the
상기 연결절곡부(264)에는 공기입출부(2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입출부(265)는 상기 연결절곡부(264)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입출부(265)는 상기 전장실(S2)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입출부(265)를 통해서 전장실(S2)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전장실(S2)의 공기가 상기 공기입출부(26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An air inlet/outlet portion 265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bent portion 264. The air inlet/outlet portion 265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connection bent portion 264. The air inlet/outlet portion 265 may connect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to the outsid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through the air inlet/outlet unit 265, or the air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outlet unit 265.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장실(S2)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는 (i)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통하는 경로(화살표④방향)와, (ii) 상기 공기입출부(265)를 통하는 경로(화살표④'방향)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iii) 아래에서 설명될 사이드커버(270)의 사이드관통홀(272, 도 8참조)을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S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flow path of air flowing into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is (i) a path (direction of arrow ④) through the second air flow path (AC2), and (ii) the air inlet/outlet portion 265. It can include a path (arrow ④'direction) through . In addition, (iii)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equipment compartment (S2) through the side penetration hole (272, see FIG. 8) of the side cover (270), which will be explained below.
상기 연결절곡부(264)에는 차단판(266)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뒤쪽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기 연결홀(24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연결홀(242)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결홀(242)의 위쪽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상기 차단판(266)과 상기 연결홀(242)과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차단판(266)과 상기 연결홀(242)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연결홀(24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차단판(266)의 저면을 따라 전장실(S2)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A blocking plate 266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ent portion 264. The blocking plate 266 may cover a portion of the rear of the
상기 어퍼커버(26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된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공기입출부(265)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어퍼커버(26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S2)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외부의 공기는 바텀케이스(210)의 아래쪽 틈인 하부흡기구(G1)를 통해서만 유입되어 조리기기의 제1공기유로(AC1), 제2공기유로(AC2) 및 제3공기유로(AC3)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공기는 사이드커버(270)에 형성된 사이드통공(272)을 통해서도 유입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공기는 바텀케이스(210)의 아래쪽 틈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어퍼케이스(24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과 상기 어퍼커버(2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은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The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에는 앞서 설명한 연결홀(242)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홀(242) 중 일부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가이드개구부(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개구부(242a)를 통해서 외부로 연결되는 와이어하네스(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하네스는 상기 연결홀(242)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hole 242 described above may pass through the rear of the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은 장착면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장착면에는 냉각팬모듈(410)과 조명모듈(900)을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면은 기본적으로 평면구조이지만, 일부는 절곡된 리브형태로 만들어져 강도보강기능을 할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한쪽에는 탱크장착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탱크(450) 및 물탱크(450)가 안착되는 탱크하우징(460)이 배치되는 곳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장착면 중에서 전방(도 15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조리기기의 전방 쪽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 A tank mounting portion 24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탱크장착부(243)의 반대편인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잠금장치(8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ank mounting portion 243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based o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장착면의 일부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장착면 중 일부 뿐 아니라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6를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와 중첩되게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The tank mounting portion 243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장착면에는 가이드덕트(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상기 장착면의 일부를 덮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상기 장착면과의 사이에 가이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와 연결되는 제3공기유로(AC3)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토출한 공기는 상기 가이드유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냉각팬모듈(41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A
도 15을 보면,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몸체부(250a)와, 상기 몸체부(250a)에서 연결되는 가이드부(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50a)에는 냉각팬모듈(4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50b)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토출한 공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3공기유로(AC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공기유로(AC3)는 공기배출유로로 볼 수도 있다. 15, the
상기 몸체부(250a)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좌우폭 방향(도 15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조리기기의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고르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50a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based o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5) of the
그리고, 상기 몸체부(250a)는 전후깊이 방향(도 15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몸체부(250a)는 조리기기의 배기구(282) 보다 상기 연결홀(24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몸체부(250a)가 연결홀(242)에 가깝게 배치되면,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보다 강하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50a)가 연결홀(242)에 가까운 후방에 배치되면, 상기 몸체부(250a)에서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부(250b)를 충분히 넓게 만들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50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rearward from the center based on the front-to-back depth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5). Expressed differently, the body portion 250a can be viewed as being disposed closer to the connection hole 242 than the exhaust port 282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body portion 250a is disposed close to the connection hole 242, the air in the second air passage AC2 can be sucked in more strongly. Additionally, if the body portion 250a is disposed at the rear close to the connection hole 242, the guide portion 250b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50a can be made sufficiently wide.
상기 가이드부(250b)는 조리기기의 전방(도 15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해 점차 폭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50b)는 제1사이드부(250b1)와 제2사이드부(250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부(250b1)와 상기 제2사이드부(250b2)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가이드부(250b)의 폭을 넓게 만들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250b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width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downward with respect to FIG. 15). The guide part 250b may include a first side part 250b1 and a second side part 250b2.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50b2 extend in an inclined direction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250b.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는 상기 가이드부(250b)의 일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는 상기 몸체부(250a)에 형성된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15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는 하방 및 좌측으로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may form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250b.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let 256a of the discharge space 256 formed in the body portion 250a. Expressed differently, based on FIG. 15,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can be viewed as extending downward and to the left.
그리고 제2사이드부(250b2)는 상기 가이드부(250b)의 타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이드부(250b2) 상기 제1사이드부(250b1)와의 사이 폭이 점점 넓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50b2 may constitute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250b. The width between the second side portion 250b2 and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may be extended in a direction where the width gradually becomes wider.
이때,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의 사이각을 K1이라 하고,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2사이드부(250b2)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의 사이각을 K2이라 하면, K1>K2일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냉각팬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토출하므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1사이드부(250b1) 쪽으로 치우쳐 유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상기 제1사이드부(250b1)가 제2사이드부(250b2) 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각의 제3공기유로(AC3)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and the extension line extending along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is K1, and the virtual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is K1. If the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and the extension line extending along the second side portion 250b2 is K2, then K1>K2. Since the cooling fan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discharges air while rotating clockwise, the discharged air tends to flow biased toward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Reflecting this trend, the first side portion 250b1 may have a third air passage AC3 with a relatively gentl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second side portion 250b2.
상기 몸체부(250a)와 상기 제2사이드부(250b2) 사이에는 함몰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53)는 상기 몸체부(250a)와 상기 제2사이드부(250b2)의 연결부의 폭을 좁히게 된다. 상기 함몰부(253)는 일종의 경사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고, 이러한 경사구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1사이드부(250b1)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A depression 253 may be formed between the body portion 250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50b2. The recessed portion 253 narrow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250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50b2. The depression 253 can create a kind of inclined structure, and this inclined structure can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fan module 410 toward the first side part 250b1.
상기 몸체부(250a)에는 팬체결부(2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체결부(254)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여기에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체결부(2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팬모듈(410)의 팬몸체(412)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을 통해 전장실(S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체결부(254)에 배치된 팬몸체(412)의 구멍을 통해서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안쪽으로 흡입될 수 있다. A fan fastening portion 254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50a.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is a kind of empty space, in which the cooling fan module 410 can be placed. The fan body 412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fixed to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The air flowing into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through the connection hole 242 can be sucked into the cooling fan module 410 through the hole of the fan body 412 disposed in the fan fastening part 254. there is.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한 쪽으로 편심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5을 기준으로,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및 하부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5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및 도어를 향한 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이 아니라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0a.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may be provided eccentrically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0a. More precisely, based on FIG. 15,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may be disposed biased to the left and lower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0a. This is based on FIG. 15. Expressed differently,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can be viewed as being disposed biase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0a to the left and forward toward the door. I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blade 417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is counterclockwise,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rather than the lef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0a.
이처럼 상기 팬체결부(254)가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에서 이격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우측과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 사이에는 소정의 토출공간(25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팬체결부(254)의 오른쪽에 소정의 토출공간(256)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토출한 공기가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에 곧바로 부딪히지 않고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만들어줄 수 있다. When the fan fastening part 254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250a, a predetermined discharge space 256 is formed between the right side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and the inner wall of the body 250a. It can be. 15, it can be seen that a predetermined discharge space 256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an fastening part 254. This space can create a free space whe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fan module 410 can flow to some extent without directly hitti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250a.
상기 토출공간(256)은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를 향해 점점 넓어질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팬체결부(254)가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에서 이격되므로, 상기 토출공간(256)은 출구를 향해 그 폭이 점점 넓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공간(256)의 좁은 초입에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을 타고 점점 확산되면서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팬체결부(254)가 경사진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space 256 may gradually widen toward the outlet 256a of the discharge space 256. As shown in FIG. 15, since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0a, the width of the discharge space 256 gradually widens toward the outlet. In this case, the air sucked into the cooling fan module 410 is compressed at the narrow entrance of the discharge space 256, and gradually spread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250a to the exit of the discharge space 256. It can be discharged as (256a). Additionally,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56a of the discharge space 256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is inclined.
한편, 상기 어퍼케이스(240)에는 조명체결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체결부(255)에는 상기 조명모듈(9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어퍼케이스(240)를 관통하여 캐비티(S1)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와 상기 어퍼케이스(240)를 연속적으로 관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a lighting fastening portion 255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가이드부(250b)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상기 조명체결부(25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과 상기 조명모듈(900)은 모두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고, 이는 결국 조리기기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The lighting fastening part 255 may be placed in the guide part 250b of the
이때,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K3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조명체결부(255)가 비스듬하게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명모듈(900)의 좌우를 지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ghting fastener 255 may be arranged obliquely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virtual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as shown in FIG. 16.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virtual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and the virtual extension lin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ing fastening part 255 can be said to be K3. If the lighting fastening part 255 is disposed at an angle in this way, the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air discharged along th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되는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도 16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More precisely, the lighting guide 910 disposed on the lighting fastening portion 255 is configured to follow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an blade 417 (see Figure 16)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can be arranged obliquely along a clockwise direction. This structure will be explained again below.
도 8을 보면, 상기 아웃케이스(200)에는 사이드커버(2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커버(27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사이드커버(27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좌우측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사이드커버(270)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outer case 200 may include a
상기 사이드커버(270)에는 사이드관통홀(2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사이드커버(27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 side through hole 272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전장실(S2)을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전장실(S2)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ide through hole 272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부에서 전방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배기구(28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이 사이드커버(270)의 전방에 가깝게 형성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흡입하는 경로에서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이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후방에 가깝게 형성되면,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도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떨어질 수 있다. The side through hole 27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near the front of the upper part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탱크장착부(243)를 향해 개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물탱크(450)를 식힐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물탱크(45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ide through hole 272 is open toward the tank mounting portion 243 of the
또한, 두 개의 사이드커버(270) 중 어느 하나의 사이드커버(270)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메인제어부(70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실장된 소자들에 의해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가 있는데,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메인제어부(700)를 효과적으로 냉각해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ide through hole 272 formed in one of the two side covers 270 may be opened toward the main control unit 700. The side through hole 272 may be formed in whole or in part to face the main control unit 700. The main control unit 700 can generate a lot of heat due to the mounted elements, and external air flowing in through the side through hole 272 can effectively cool the main control unit 700.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가장자리에는 사이드결합부(2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결합부(273)는 상기 사이드커버(270)를 상기 바텀케이스(210), 상기 어퍼케이스(240)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 등 상대부품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드결합부(273)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상대부품과 결합되거나, 용접방식으로 상대부품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상기 사이드결합부(273)들 중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결합부(273)는 상기 도어힌지(H)와 서로 체결구로 고정될 수 있다. A side coupling portion 273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상기 사이드커버(270)에는 사이드스페이서(2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스페이서(275)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스페이서(275)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와 주방가구(1)의 측면부(5)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사이드스페이서(275)에 의한 측면 틈(G2, 도 6 및 도 10참조)으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서 상기 전장실(S2)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틈(G2)은 측면흡기구(G2)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흡기구(G2)는 상기 하부흡기구(G1)와 함께 조리기기의 흡기구가 될 수 있다. A side spacer 275 may be formed on the
다음으로 전면프레임(280)을 살펴보면,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상기 캐비티(S1)를 가리지 않도록 중심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일종의 전면케이스로 볼 수도 있다. Next, looking at the front frame 280, as shown in FIG. 8, the front frame 28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The front frame 280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 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전장실(S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는 상기 리어커버(230), 어퍼케이스(240), 어퍼커버(260), 사이드커버(270)와 함께 상기 전장실(S2)을 구성할 수 있다. The front frame 280 may protrude further upward than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지만, 그 사이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중심은 일부가 생략된 구조로 컷아웃부(280a, 도 8 및 도 17참조)가 형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서 함몰된 형태의 컷아웃부(280a)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패널(4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18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전방에 프론트패널(420)이 배치되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가 가려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280 protrude upward, but the portion between them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ow height. In other words, the upper center of the front frame 280 may be viewed as having a cutout portion 280a (see FIGS. 8 and 17)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part of the upper center is omitted. The cutout portion 280a, which is recessed at the top of the front frame 280, can be covered by the front panel 4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Figure 18, the front panel 4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280, and the cutout portion 280a of the front frame 280 is covered.
상기 컷아웃부(280a)의 양단에는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포스트(28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포스트(280b)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한 쌍의 결합포스트(280b)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A pair of coupling posts 280b protruding relatively upward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utout portion 280a.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42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st 280b, respectively. More precisely, a pair of panel fixing parts 421 at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420 may be coupled to the pair of coupling posts 280b, respectively.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에는 유리질의 세라믹스가 코팅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표면은 법랑(琺瑯, Vitreous enamel)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8의 도면부호 180은 케이스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케이스홀더(18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 및 상기 전면프레임(280)을 법랑 제조할 때 법랑장치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홀더(18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와 상기 리어케이스(220) 사이를 조립할 때 연결구로 활용될 수도 있다. The front frame 280 may be made of metal material. And the front frame 280 may be coated with glassy ceramics. That is, th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8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vitreous enamel method.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180 in FIG. 8 indicates a case holder, and the case holder 180 can be used to secure the
다만,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표면을 법랑제조하게 되면, 고온의 제조방식으로 인해 전면프레임(280)이 뒤틀릴 수도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이 뒤틀리면 다른 부품들과 결합되는 부분에 조립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는 동작되는 부품인 힌지모듈(600)과, 개방장치(480)가 배치되므로, 전면프레임(280)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중심에 컷아웃부(280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략된 컷아웃부(280a)는 전면프레임(280)의 변형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80 is manufactured with enamel, the front frame 280 may be distort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If the front frame 280 is distorted, assembly errors may occur in parts where it is connected to other parts.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의 양쪽에는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포스트(280b)가 있다. 상기 결합포스트(280b)는 힌지모듈(6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은 컨트롤러(500)와 연결되어 컨트롤러(500)의 회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받게 되는데,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금속재질이므로 상기 힌지모듈(60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힌지모듈(600)을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osts 280b are relatively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cutout portion 280a of the front frame 280. The coupling post 280b may be coupled to the
다른 예로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별개물이 아니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중심에 일부가 생략된 컷아웃부(280a)가 없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단 전체가 같은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s another example, the front panel 420 may not be a separate piece, but may be made integrally with the front frame 280. Alternatively, there may be no cutout portion 280a with a portion omit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front frame 280, and the entire top of the front frame 280 may have the same height. The structure of the front panel 42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17를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품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부품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직접 고정되지는 않지만, 그 일부가 상기 전면프레임(280)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7, the front frame 280 and part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280 are shown in an exploded state. Here, the fact that the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means that the part is not directly fixed to the front frame 280, but a part of it passes through the front frame 280.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골격은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몸체(281)가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몸체(281)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텀케이스(2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몸체(281)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프레임몸체(281)를 통해 복수의 부품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keleton of the front frame 280 may be comprised of a frame body 281 that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The edge portion of the frame body 281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상기 프레임몸체(281)의 중심에는 프레임관통부(28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부(281a)는 상기 캐비티(S1)를 노출시키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부(281a)의 크기와 모양은 상기 캐비티(S1)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A frame penetrating portion 281a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body 281. The frame penetration portion 281a may be a portion exposing the cavity S1. The size and shape of the frame penetration portion 281a can be variously modified to fit the cavity S1.
상기 전면프레임(280)에는 배기구(2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An exhaust port 282 may be formed in the front frame 280. The exhaust port 28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rame 280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The exhaust port 282 may serve as an outlet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구(282)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평소에 상기 컨트롤러(500)에 의해 가려지므로, 상기 배기구(282)는 조리기기의 미감을 해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후술할 에어가이드(590)가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282)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더욱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exhaust port 282 may be open between the
참고로 도 20에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를 따라 전방으로 토출되는 방향이 화살표①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28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구(282)의 하부에는 도어(300)의 상단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기구(282)의 상부에는 상기 물탱크(450)가 배치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FIG. 20,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orward along the third air passage AC3 formed inside the
도 17를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는 상부힌지홀(2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힌지홀(283)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기 결합포스트(280b)에서 관통된 부분이고, 상기 상부힌지홀(283)을 통해서 힌지모듈(600)의 일부인 구동암(820)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힌지홀(283)은 한 쌍의 상기 결합포스트(280b)에 각각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힌지홀(283)은 상기 배기구(28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front frame 280 and part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280 are shown in an exploded state. An upper hinge hole 283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front frame 280. The upper hinge hole 283 is a portion penetrated by the coupling post 280b of the front frame 280, and the driving arm 820, which is part of the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부에는 하부힌지홀(2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힌지홀(284)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일부과 관통된 부분이고, 상기 하부힌지홀(284)을 통해서 도어힌지(H)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힌지홀(284)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힌지홀(284)을 통해 상기 도어(300)의 하단에 연결되는 도어힌지(H)는 상기 도어(300)가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A lower hinge hole 284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rame 280. The lower hinge hole 284 is a portion that penetrates a portion of the front frame 280, and a portion of the door hinge H may protrude forward through the lower hinge hole 284.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hinge holes 28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280. The door hinge (H)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부에는 하단안착부(2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A lower seating portion 285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280. The lower seating portion 285 may be bent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280. Referring to FIG. 9 , the lower seat portion 285 may b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case 210 .
다시 도 17를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이 상부에 구비된 결합포스트(280b)에는 프레임체결홀(286)과 프레임걸이홀(28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체결홀(286)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결합될 때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패널고정홀(421a)과, 상기 프레임체결홀(286)을 각각 통과하여 이들 사이를 조립할 수 있다. Looking again at FIG. 17, a frame fastening hole 286 and a frame hanging hole 287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st 280b on which the front frame 280 is provided. The frame fastening hole 286 can be viewed as a through hole so that the front panel 420 can be fixed by a fastener (not shown) when coupled to the front frame 280. The fastener can pass through the panel fixing hole 421a of the front panel 420 and the frame fastening hole 286, respectively, and be assembled between them.
상기 프레임걸이홀(287)은 체결구가 상기 프레임체결홀(286)에 조여지기 전에, 상기 프론트패널(420)을 가고정하기 위한 구멍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걸이홀(287)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걸이후크(421b, 도 22 참조)가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가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걸이홀(287)들이 상기 체결홀(286)을 중심으로 그 양쪽에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The frame hanging hole 287 may be a hole for temporarily fixing the front panel 420 before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frame fastening hole 286. A hanging hook (421b, see FIG. 22) of the front panel 420 is inserted into the frame hanging hole 287, so that the front panel 420 can be temporarily fixed to the front frame 280.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frame hanging holes 287 are arrang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286.
상기 전면프레임(280)에는 제1힌지조립홀(28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상기 힌지모듈(600)을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상기 상부힌지홀(283)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상기 상부힌지홀(28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데, 이와 다르게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A first hinge assembly hole 288 may be formed in the front frame 280. The first hinge assembly hole 288 is for fixing the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의 전방에는 후술할 프론트패널(420)의 제2힌지조립홀(427, 도 25 참조)이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에 삽입되는 힌지체결구(B3, 도 51참조)는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을 각각 통과한 후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후방에 배치된 힌지모듈(600)의 하우징조립홀(613)에 조여질 수 있다. In front of the first hinge assembly hole 288, a second hinge assembly hole 427 (see FIG. 25) of the front panel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tinuously formed. Accordingly, the hinge fastener (B3, see FIG. 51)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assembly hole 427 passes through the second hinge assembly hole 427 and the first hinge assembly hole 288, respectively. It can be fastened to the housing assembly hole 613 of the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로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힌지모듈(600)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1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을 각각 통과한 힌지체결구(B3)가 상기 힌지모듈(600)에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erefore, the front panel 420, the front frame 280, and the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앞에는 도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캐비티(S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300)는 하부에 상기 도어힌지(H)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힌지(H)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도어(300)의 하단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상기 캐비티(S1)를 개폐할 수 있다.A
상기 도어(30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의 적어도 일부에는 캐비티(S1)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적용될 수 있다. 투시창은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고, 투시창에는 방수, 방열 등의 기능도 필요할 수도 있다.The
도면부호 310은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 손잡이(310)는 상기 도어(300)를 여닫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310)는 상기 도어(300)의 상부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300)는 복수의 판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재(3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판재(320)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하나의 도어(30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300)는 가장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판재, 가장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판재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너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20의 단면도를 보면, 상기 도어(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재(3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판재(320)들은 전후방으로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이중 가장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런트판재(320)는 코팅되거나 또는 필름이 부착되어 다른 판재(320)와 다른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부호 325는 상기 도어(300)의 후면에 부착되는 도어가스켓으로, 상기 도어가스켓(325)은 상기 도어(300)와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0, a plurality of plates 320 constituting the
이때, 상기 프런트판재(320)는 그 후방에 배치된 다른 판재(320)들 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방의 사용자는 도어(300)의 프런트판재(320)만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판재(320)의 후방에 배치된 나머니 판재(320)들과 도어프레임(370) 등은 사용자의 시선에서 가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어(300)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plate 320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other plates 320 disposed behind it. Therefore, the user in front can only observe the front plate 320 of the
한편, 이처럼 상기 프런트판재(320)가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게 되면, 상기 프런트판재와 나머지 판재(320)들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에는 도어프레임(37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 부분을 도어프레임(370)이 메우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ront plate 320 has a relatively large area,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remaining plates 320. A door frame 370 may be coupled to the step. In other words, the door frame 370 fills the step portion.
상기 도어(300)의 골격은 도어프레임(37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은 상기 도어(300)의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70)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370)은 일종의 사각틀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힌지(H)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keleton of the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구비된 스페이서(375)는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75)는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 the spacer 375 provided on the door frame 37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320. The spacer 375 may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320.
도 21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프레임(370)을 자세히 살펴보면, 도 21에는 상기 도어(300)의 상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bar)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70)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도어(300)의 상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의 양단에는 도어(300)의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이 결합될 수 있고, 여기에는 도어(300)의 저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이 결합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door frame 370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1, the door frame 37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양단에는 도어프레임(370)을 구성하는 다른 도어프레임(370)과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결합부(3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결합부(371)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결합부(371)의 하단에는 결합후크부(3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부(372)는 다른 도어프레임(370)에 탄성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부(372)의 안쪽에는 탄성슬릿(373)이 개방되어, 상기 결합후크부(372)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At both ends of the door frame 370, frame coupling portions 371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with other door frames 370 constituting the door frame 370. The frame coupling portion 371 may have a substantially plate-shaped structure. And a coupling hook portion 372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coupling portion 371. The coupling hook portion 372 may be elastically fastened to another door frame 370. An elastic slit 373 is open inside the coupling hook portion 372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oupling hook portion 372 can be elastically deformed.
상기 도어프레임(370)에는 복수의 스페이서(375)가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375)들은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판재(320)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75)들은 상기 도어(300)와 상기 도어프레임(37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도울 수도 있다. The door frame 37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rs 375.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pacers 375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320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plates 320. Additionally, the spacers 375 may assist in stable coupling between the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375)들은 다시 전방에 배치된 제1스페이서(375a)와 후방에 배치된 제2스페이서(37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375a)는 복수의 판재들(320) 중에서, 상기 프런트판재와 그 후방에 배치된 이너판재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고, 제2스페이서(375b)는 리어판재와 리어판재의 전방에 배치된 이너판재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pacers 375 may include a first spacer 375a disposed at the front and a second spacer 375b disposed at the rear. Among the plurality of plates 320, the first spacer 375a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inner plates disposed behind the front plate, and the second spacer 375b may be inserted between the rear plate and the inner plate disposed behind the rear plate. It can be sandwiched between inner plates placed in.
상기 제1스페이서(375a)의 말단부와 상기 제2스페이서(375b)의 말단부는 각각 돌출된 길이를 달리하여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이 서로 다른 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높이차를 메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pacer 375a and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pacer 375b may each have different protruding lengths to form a step. This step may serve to fill the height difference formed as the plurality of plates 320 are formed in different areas.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ure 20.
도 18과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프레임(370)에는 도어배기구(377)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377)는 도어(300)의 내부를 도어(300)의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도어(300)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구(377)는 도어프레임(370)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 내부에서 도어(300)를 냉각시키며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배기구(377)를 통해 위쪽으로 배출된 후에 다시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도어(300)를 냉각시키는 공기는 상기 도어(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8 and 21, the door frame 37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exhaust port 377. The door exhaust port 377 may form a passage at the top of the
다시 도 21를 보면, 상기 도어프레임(370)에는 잠금몸체(3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30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어잠금장치(800)를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잠금몸체(378)은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형성되지만,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이 아니라, 상기 도어(300)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Looking again at FIG. 21, a locking body 378 may be formed on the door frame 370. The locking body 378 may operate the door locking device 80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37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상부는 상기 케이스(100,200)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렇게 경사진 부분은 경사면(37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74)에 상기 잠금몸체(378)가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374)에는 도어배기구(377)의 상부 출구도 개구될 수 있다. The locking body 378 may be placed on an inclined surface 374 formed at the top of the door frame 370. The upper part of the door frame 37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상기 경사면(374)은 상기 도어(300)와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에 일종의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이러한 함몰된 공간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함몰된 공간의 일부를 메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와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에 일종의 함몰된 공간이 만들어지면, 상기 래치(85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이에 따라 래치(850)까 회전할 때 도어(300)의 후면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374 may form a kind of recessed space between the
상기 잠금몸체(378)에는 상부가 개방된 잠금홀(37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홀(37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잠금장치(800)의 래치(8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가 상기 잠금홀(379)에 삽입되면, 상기 래치(850)가 상기 도어(300)를 걸어 도어(300)가 임의로 열리지 못하게 할 수 있다. A locking hole 379 with an open top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body 378. The latch 850 of the door lock device 8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 hole 379. When the latch 850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379, the latch 850 can lock the
상기 잠금홀(379)의 입구는 누름면(378a)의 상단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850)가 상기 잠금홀(379)에 걸리기 위한 회전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돌출된 잠금홀(379)의 입구에 래치(850)가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e entrance of the locking hole 379 may be located above the top of the pressing surface 378a. Accordingly, the rotation angle for the latch 850 to be caught in the lock hole 379 may be reduced. In addition, the latch 850 can be stably maintained at the entrance of the relatively protruding locking hole 379.
도 21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잠금홀(379)은 좌우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잠금홀(379)의 좌우길이는 래치(850)의 좌우폭 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850)의 말단에 결합된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잠금홀(379)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잠금홀(379)은 상기 래치(850)가 걸리는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잠금헤드(855)가 분리된 후에 이동되는 경로가 될 수도 있다. 도 79에는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잠금홀(379)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Looking at the enlarged view of FIG. 21, the locking hole 379 may extend long to the left and right. The left-right length of the lock hole 379 may be larger than the left-right width of the latch 850. Accordingly, the lock head 855 coupled to the end of the latch 850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lock hole 379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latch 850. In other words, the locking hole 379 is a part where the latch 850 is held, and may also serve as a path along which the lock head 855 moves after being separated. In Figure 79, the lock head 855 is shown moving to the left along the lock hole 379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latch 850.
도 68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몸체(378)의 중심에는 상기 잠금홀(379)이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잠금몸체(378)에서 상기 잠금홀(379)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평면형상의 누름면(378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면(378a)은 상기 닫힘버튼(870)와 간섭되어, 상기 닫힘버튼(870)을 누르는 면이 된다. 이때, 상기 잠금홀(379)의 입구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상면과 같은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300)는 사용자에게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8, the locking hole 379 may be opened upward at the center of the locking body 378, and a planar press is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locking hole 379 in the locking body 378. A face 378a may be formed. The pressing surface 378a interferes with the closing button 870 and becomes a pressing surface of the closing button 870. At this time, the entrance of the locking hole 379 can be raised to the same leve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ame 370. Through this,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누름면(378a)은 상기 잠금홀(379)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68기준을 기준으로 보면, 실제 닫힘버튼(870)을 누르는 것은 왼쪽의 누름면(378a)이지만, 이처럼 상기 누름면(378a)이 대칭구조를 가지면 미감을 높일 수 있고, 잠금홀(379)에 의해 잠금몸체(378)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surface 378a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bout the locking hole 379. Based on Figure 68, it is the left pressing surface (378a) that actually presses the closing button (870). However, if the pressing surface (378a) has a symmetrical structure,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and the locking hole (379) is provided. This can prevent the strength of the locking body 378 from weakening.
그리고, 상기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누름면(378a)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전면, 보다 정확하게는 전면프레임(280)의 전면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전면과 상기 누름면(378a)이 밀착되어, 통일성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And, when the
다음으로 냉각팬모듈(410)을 살펴보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어퍼커버(260)의 공기입출부(26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로 토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복수의 경로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에 이를 가이드덕트(250)를 따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는 것이다. Next, looking at the cooling fan module 410, the cooling fan module 410 sucks air from the second air passage (AC2) and flows it into the third air passage (AC3) formed inside the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팬체결부(254)에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팬몸체(412)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팬몸체(412)는 대략 원형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팬몸체(412)에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AC2)에서 상기 전장실(S2)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The cooling fan module 410 may be placed in the
상기 냉각팬모듈(410)에는 팬모터(4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415)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팬모터(415)에는 팬블레이드(41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회전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블로워 팬blower fan) 또는 다익송풍기(Multiblade Fan)인 시로코팬(Sirocco Fan)와 같은 원심형 팬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팬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ooling fan module 410 may be equipped with a fan motor 415. The fan motor 415 can generate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control unit 700. A fan blade 417 may be connected to the fan motor 415. The fan blade 417 can intake and discharge air through rotation. The fan blade 417 may be in the form of a centrifugal fan, such as a blower fan or a sirocco fan, which is a multiblade fan.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the fan blade 417 may have various types of fan structures that can intake and exhaust air.
다음으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패널(42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히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배면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를 가려 미감을 높일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장치(480)의 캠부(485)가 돌출되는 출입구인 캠돌출구(422)와, 상기 물탱크(450)가 출입되는 탱크챔버의 출입구(424)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Next, the front panel 420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280 will be described. The front panel 42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front of the front frame 280. Additionally, the front panel 4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ck of the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에 비해 보다 복잡한 형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형상을 프론트패널(420)에 구현하고,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조립되어 조리기기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와 달리,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The front panel 42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front panel 420 can easily implement a more complex shape compared to one made of metal. Such a complex shape can be implemented on the front panel 420, and the front panel 420 can be assembled to the front frame 280 to form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Unlike this embodiment, the front panel 420 may be made integrally wit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rame 280.
도 17를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얇은 판상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를 가릴 수 있다. 도 18을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의해 가려진 모습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front panel 420 may have a thin plate-shaped structure. The front panel 42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front of the front frame 280. More precisely, the front panel 420 may cover the cutout portion 280a of the front frame 280. Looking at FIG. 18, you can see that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rame 280 is covered by the front panel 420.
도 22 내지 도 27를 참조하여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에는 패널고정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421)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양쪽 끝부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Let's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front panel 420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7. Panel fixing parts 421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420. The panel fixing portion 421 forms part of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420 and may be coupled to both upper ends of the front frame 280, respectively.
이때, 상기 패널고정부(421)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부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421)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에서 단차 구조를 가져,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돌출된 한 쌍의 상기 패널고정부(421)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nel fixing part 421 may protrude forward compar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420. The panel fixing part 421 has a stepped structure at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420 and can protrude forward.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panel fixing parts 421 may be relatively depressed backwards.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메인하우징(510)은 상기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을 구성하는 컨트롤패널(53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조리기기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러(500)의 컨트롤패널(530)만 노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500)의 메인하우징(510)은 후방에서 상기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의 사이와, 상기 주방가구의 상면부(4)에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프론트패널(420) 사이의 밀착구조는 조리기기에 통일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이를 위해서 상기 패널고정부(421)에는 상기 패널고정부(421)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홀(4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홀(421a)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체결홀(286)에 대응할 수 있다. 체결구가 상기 패널고정홀(421a)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체결홀(286)을 차례로 통과하여 조여지면, 상기 패널고정부(421)가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될 수 있다. To this end, a panel fixing hole 421a may be formed in the panel fixing part 421 to fix the panel fixing part 421 to the front frame 280. The panel fixing hole 421a may correspond to the fastening hole 286 of the front frame 280. When the fastener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anel fixing hole 421a and the fastening hole 286 of the front frame 280 and is tightened, the panel fixing part 421 can be fixed to the front frame 280.
도 22를 보면, 상기 패널고정홀(421a)과 인접하여 상기 패널고정부(421)에는 걸이후크(42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421b)는 상기 패널고정부(421)의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421b)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프레임걸이홀(287)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421b)가 상기 프레임걸이홀(287)에 걸리면, 체결구를 조이기 전에도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전면프레임(280)에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가 상기 패널고정홀(421a)과 상기 체결홀(286)에 체결되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이후크(421b)는 상기 패널고정홀(421a)의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걸이후크(421b)는 하나만 구비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2, a hanging hook 421b may be provided on the panel fixing part 421 adjacent to the panel fixing hole 421a. The hanging hook 421b may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panel fixing part 421. The hanging hook 421b can be hung on the frame hanging hole 287 of the front frame 280. When the hanging hook 421b is caught in the frame hanging hole 287, the front panel 420 can remain provisionally assembled to the front frame 280 even before fastening the fasteners. In this state, when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panel fixing hole 421a and the fastening hole 286, the front panel 420 can be completely assembled to the front frame 280. In this embodiment, the hanging hook (421b) is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panel fixing hole (421a). Alternatively, only one hanging hook (421b) may be provided or may be omitted.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캠돌출구(422)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캠돌출구(422)를 통해서 상기 개방장치(480)의 캠부(485)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다시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캠부(485)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 폭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 cam protrusion 422 may penetrate the front panel 420. The cam protrusion 422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420 penetrat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물탱크(450)의 출입구(424)가 형성되므로,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와 간섭되지 않도록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쏠린 위치에 형성된다. Since the entrance 424 of the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힌지통공(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통공(423)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패널고정부(421) 보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통공(423)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힌지홀(283)과 연결되어 연속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통공(423)을 통해서 상기 힌지모듈(600)의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힌지홀(283)과, 상기 힌지통공(423)을 차례로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컨트롤러(500)에 연결될 수 있다. A hinge through hole 423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nel 420. The hinge hole 423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420 than the panel fixing portion 421 of the front panel 420. The hinge hole 423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hinge hole 283 of the front frame 280 to form a continuous passage. A portion of the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물탱크(450)의 출입구(4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는 상기 물탱크(450)가 조리기기의 바깥쪽으로 인출되거나, 다시 조리기기의 내부로 인입되는 출입구를 의미한다.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챔버의 출입구라고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를 탱크출입구(424)라 하기로 한다. An entrance 424 of the
상기 탱크출입구(424)는 상하방향 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탱크출입구(424)는 상기 물탱크(45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출입구(424)는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The tank entrance 424 may extend long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tank entrance 424 may be 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도 24와 도 25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출입구(424)에는 출입가이드(424a,424b,424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가이드(424a,424b,424c)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가이드(424a,424b,424c)는 상기 물탱크(450)가 출입되는 과정에서 어느 한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4 and 25, the tank entrance 424 may be provided with entrance guides 424a, 424b, and 424c. The entry and exit guides 424a, 424b, and 424c may guide the entry and exit directions of the
이러한 출입가이드(424a,424b,424c)는 상부가이드(424a)와 하부가이드(424b), 그리고 측부가이드(42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하부가이드(424b)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se entry and exit guides 424a, 424b, and 424c may include an upper guide 424a, a lower guide 424b, and a side guide 424c. At this time, the upper guide 424a and the lower guide 424b may extend in directions parallel to each other.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물탱크(450)의 인출 및 인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0에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상기 물탱크(450)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는 어느 한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전방(화살표②방향)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More precisely, the upper guide 424a and the lower guide 424b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thdrawal and retraction directions of the
도 20을 보면,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가장자리를 둘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상기 하부가이드(424b)를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the upper guide 424a and the lower guide 424b may be arranged around the edge of the tank entrance 424. Accordingly, the upper guide 424a and the lower guide 424b may be viewed as part of the tank entrance 424. The upper guide 424a may exten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tank entrance 424, and the lower guide 424b may exten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tank entrance 424.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물탱크(450)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물탱크(45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각각 상기 물탱크(450)의 표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전방이나 후방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The upper guide 424a and the lower guide 424b may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upper guide 424a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단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upper guide 424a may have a thin plate-shaped structure. And the upper guide 424a may extend along the top of the tank entrance 424. The upper guide 424a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top of the tank entrance 424.
도 24를 보면, 상기 상부가이드(424a)의 끝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상부가이드(424a)의 끝부분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이격되면, 이격된 공간은 상기 탱크하우징(460) 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변형되더라도 이를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된다. Referring to FIG. 24, the end of the upper guide 424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462 of the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얇은 판상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도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마찬가지로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lower guide 424b is provided to face the upper guide 424a and may extend parallel to the upper guide 424a. The lower guide 424b may be in the shape of a thin plate extending along the bottom of the tank inlet 424.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guide 424b, like the upper guide 424a,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bottom of the tank entrance 424.
이때,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보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일단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접하고, 상기 상부가이드(424a)의 일단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는 그 무게로 인해 주로 저면부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지지되므로,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길이를 증가시켜 보다 안정된 입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guide 424b may protrude further toward the front 462 of the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 사이에는 측부가이드(424c)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side guide 424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guide 424a and the lower guide 424b. The side guide 424c may be a thin plate-shaped structure that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front panel 420. The side guide 424c may form the side wall of the tank entrance 424.
도 24를 보면, 상기 측부가이드(424c)의 일단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즉, 상기 측부가이드(424c)도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까지 연장될 수 있다. Looking at FIG. 24, one end of the side guide 424c can be seen in contact with the front 462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을 향해 같은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각각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물탱크(450)의 입출과정에서 주로 하중을 받게 되는 하부와 측부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측부가이드(424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출입구(424)가 외부로 노출되면 육안으로 주로 관찰되는 출입구의 하부와 측부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면접촉되면 부품의 연결부분에서 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guide 424b and the side guide 424c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462 of the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와 밀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 저면이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면과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 사이의 면접촉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1, the end of the lower guide 424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rib 466 of the
이러한 면접촉 구간은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의 결합부위를 통해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탱크(450)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바닥에 고일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고인 물은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의 결합부위로 이동할 수 있지만,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의 면접촉 구간에 의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This surface contact section can prevent water leakage from occurring through the joint area between the front panel 420 and the
상기 탱크출입구(424)에는 제1포켓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켓부(425)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켓부(425)는 사용자가 상기 탱크출입구(424)를 통해 상기 물탱크(450)를 파지할 때, 보다 쉽게 상기 물탱크(45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A first pocket portion 425 may be formed in the tank inlet 424.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to widen the width of the tank inlet 424.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hold the
상기 제1포켓부(425)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포켓부(425)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하 높이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단면도인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제1포켓부(425)는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넓어진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물탱크(450)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포켓부(425)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물탱크(450)의 파지 위치를 보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may be made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42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is formed in a direction that increases the vertical height of the tank entrance 424 as it moves forward. Referring to FIG. 31 ,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may have an inclined or curved surface whos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front (to the left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user can more easily access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물탱크(450)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1포켓부(425)와 같은 위치에 제2포켓부(4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포켓(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0과 도 31를 보면,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포켓(P)의 내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의 형상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a second pocket portion 455 is formed in the
도 25를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제2힌지조립홀(427)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은 상기 힌지통공(42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에 삽입되는 힌지체결구(B3)는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후방에 배치된 힌지모듈(600)의 하우징조립홀(613)에 조여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로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힌지모듈(600)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1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을 각각 통과한 힌지체결구(B3)가 상기 힌지모듈(600)에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5, a second hinge assembly hole 427 may penetrate the front panel 420. The second hinge assembly hole 427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hinge through hole 423. The hinge fastener (B3)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assembly hole 427 passes through the first hinge assembly hole 288 of the front frame 280 located behind the second hinge assembly hole 427. After doing so, it can be tightened into the housing assembly hole 613 of the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체결보스(42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428a)는 탱크하우징(460)의 가이드장착편(468a)과 맞물려 체결구(B1)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24에는 상기 체결보스(428a)와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이 체결구(B1)로 체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e front panel 42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boss 428a. The fastening boss 428a may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front panel 420 toward the
도 25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다른 예로는,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5, the fastening boss 428a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tank entrance 424.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bosses 428a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tank entrance 424. As another example, the fastening boss 428a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tank entrance 424, or may be placed at both the top and bottom.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하우징체결홈(42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 함몰되거나 프론트패널(42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하우징(460)의 체결돌부(468b)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과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체결보스(428a) 및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과 함께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A housing fastening groove 428b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nel 420. The housing fastening groove 428b may be recessed in the rear of the front panel 420 or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front panel 420. The fastening protrusion 468b of the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출입구(42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출입구(424) 상부에는 한 쌍의 체결보스(428a)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한 쌍의 하우징체결홈(428b)이 배치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부(468b)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housing fastening groove 428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ank entrance 424.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fastening grooves 428b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tank entrance 424. More precisely, a pair of fastening bosses 428a are disposed at the top of the tank entrance 424, and a pair of housing fastening grooves 428b are disposed at the bottom. As another example, the housing fastening groove 428b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tank entrance 424, or may be disposed at both the top and bottom. Additionally, the housing fastening groove 428b may be provided on the
도 27를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패널리브(4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방을 가리고,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the front panel 420 may be provided with a panel rib 429. The panel rib 429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dge of the front panel 420. The panel rib 429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back of the front panel 420. The panel rib 429 may cover the rear of the front panel 420 and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ront panel 420.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서 상기 탱크출입구(424)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anel rib 429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420. The panel rib 429 may b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ank entrance 424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420.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에는 회피부(OM)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 중 일부가 생략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가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에서 위쪽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좌우 양단의 아래에서 각각 돌출되는 하부체결몸체(426)의 사이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An avoidance portion (OM)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nel 420. The avoidance portion OM may have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nel 420 is omitted. The avoidance portion (OM)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nel 420 does not impede the discharge of air. The avoidance portion OM may be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420. More precisely, the avoidance portion OM can be viewed as being formed between the lower fastening bodies 426 that protrude from below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anel 420,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스팀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45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전장실(S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전장실(S2)에 수납된 상태로 스팀기능을 위한 물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전장실(S2)에서 인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450)에 물을 채우거나 비울 수 있다. 여기서 스팀기능은 반드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장치는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Next,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물탱크(450)는 컨트롤러(5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혀있으면 상기 물탱크(45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19에서 보듯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비로소 상기 물탱크(4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물탱크(450)의 구조를 보면, 상기 물탱크(450)는 대략 육면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공간(451, 도 31참조)이 있다. 상기 물탱크(45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스팀장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 형태로 상기 캐비티(S1) 내부에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의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석회질 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450)의 내부로 클리닝 기능을 마친 물이 유입될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물탱크(450)의 상부에는 탱크커버(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452)는 상기 저수공간(45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커버(452)는 상기 물탱크(450)와 별개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커버(452)에는 별도의 탱크리드(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리드(452')를 제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저수공간(451)에 물을 채우거나, 저수공간(451)의 물을 비울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상기 탱크커버(452)는 생략되거나, 상기 물탱크(4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A
상기 물탱크(450)에는 탱크연결관(4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상기 저수공간(451)의 내부와 외부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관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상기 물탱크(450)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하우징(460)의 하우징연결관(463)과 맞물릴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하우징연결관(463)이 상기 물탱크(45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탱크(450)에는 하우징연결관(463)이 삽입되도록 함몰된 형태의 탱크연결관(453)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탱크연결관(453) 중 어느 하나로는 외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로는 외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만약 조리기기에 클리닝 기능이 없다면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ank connector 453 consists of a pair. One of the pair of tank connection pipes 453 can supply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can allow external water to flow in. If the cooking appliance does not have a cleaning function, the tank connector 453 may be configured as one.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탱크커버(452)에는 커버실링부(45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실링부(452a)는 상기 물탱크(450)의 본체와 상기 탱크커버(452)의 결합부위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실링부(452a)는 상기 탱크커버(452)의 가장자리를 둘러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452b는 실링가이드로, 상기 커버실링부(452a)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31, the
이때,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면과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면과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이 같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조리기기는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4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물탱크(450)에는 제2포켓부(4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면과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에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는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450)를 꺼내거나 다시 집어 넣을 때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A second pocket portion 455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중심을 향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점점 상하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제2포켓부(455)는 물탱크(450)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포켓부(455)의 내부 공간이 넓어지게 만든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2포켓부(455)에 손가락을 넣어 보다 쉽게 물탱크(450)를 파지할 수 있다.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may be form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제2포켓부(455)의 표면(455a)에는 슬립방지리브(45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리브(455a')는 상기 제2포켓부(455)의 표면(455a)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리브(455a')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제2포켓부(455)의 표면(455a)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슬립방지리브(455a')들이 상기 제2포켓부(455)의 전방에서 후방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A slip prevention rib 455a'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455a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The slip prevention rib 455a'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455a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The slip prevention ribs 455a' may serve to increase friction between the user's fingers and the surface 455a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A plurality of the slip prevention ribs 455a'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한편,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1포켓부(425)와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포켓(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0과 도 31를 보면,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가 만드는 포켓(P) 입구를 통해 손가락을 보다 쉽게 포켓(P) 내부로 넣을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may be form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of the front panel 420. Accordingly,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may form one pocket P connected to each other. 30 and 31,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may be made to be reces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he user can more easily insert his/her finger into the pocket (P) through the entrance of the pocket (P) formed by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특히,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제1포켓부(425)는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포켓부(455) 역시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위쪽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고, 동시에 포켓(P)의 가장 안쪽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1, the first pocket portion 425 may extend slant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455 may also extend slanted upward toward the rear. Accordingly, the user's fingers can be naturally guided up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grasp the innermost part of the pocket (P).
또한, 상기 포켓(P)은 상기 배기구(28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를 보면, 상기 배기구(282)는 전방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켓(P)이 상기 배기구(282)의 상부에 배치되면, 상기 포켓(P)의 입구 부분의 상하방향 높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ocket P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exhaust port 282. Referring to FIG. 31, the exhaust port 282 may gradually become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front. Accordingly, when the pocket (P)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exhaust port 282,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rance portion of the pocket (P) can be secured to be large.
다음으로 상기 물탱크(450)가 수납되는 탱크하우징(46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과 도 29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대략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몸체(461)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461)는 상기 물탱크(450)가 조리기기의 내부에 수납되는 탱크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몸체(461)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물탱크(450)의 형상에 맞는 탱크챔버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상기 탱크챔버는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탱크챔버는 전방과 상방으로 각각 개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전면과 상면이 각각 생략되고, 전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탱크챔버의 개방된 전면은 개구부가 되어, 이를 통해서 상기 물탱크(450)가 입출될 수 있다. The tank chamber may have an approximately hexahedral shape. The tank chamber may be opened forward and upward,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상기 탱크챔버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바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바닥부는 상기 탱크챔버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바닥부는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물탱크(450)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물탱크(450)와 탱크하우징(460)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함몰바닥부는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함몰바닥부에 저장된 물은 전장실 내부의 열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A downwardly depressed bottom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ank chamber. The recessed bottom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tank chamber. The recessed bottom can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챔버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와 연속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탱크챔버의 개구부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탱츠출입구(424)가 형성하는 연속된 경로를 통해서 상기 탱크챔버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formed in the front of the tank chamber may form a continuous path with the tank entrance 424.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면은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어퍼커버(260)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부를 차폐하므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면이 생략되면, 상기 물탱크(450)의 입출과정에서 상기 물탱크(450)의 표면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마찰이 감소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면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만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생략되고,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전장실(S2)에 마련된 탱크챔버에 직접 수납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op of the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형성된 탱크출입구(424) 좌우 양단을 마주볼 수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측부가이드(424c)와 밀착될 수 있다. The front 462 of the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후면에는 하우징연결관(4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상기 물탱크(450)의 탱크연결관(453)와 서로 맞물려 연속된 내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상기 물탱크(450)의 저수공간(451)에 있는 물을 히터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클리닝 기능을 수행하고 조리기기의 내부 배관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수공간(451) 내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조리기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하우징연결관(463a)과, 조리기기의 내부 배관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수공간(451)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하우징연결관(463b)을 포함할 수 있다. A housing connector 46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하우징연결관(463)은 펌프(470, 도 18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470)는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와 상기 탱크연결관(453)을 통해 저수공간(451)의 물을 히터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펌프(470)는 두 개로 구성되어, 하나는 상기 저수공간(451)의 물을 히터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는 조리기기의 내부 배관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수공간(451) 내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connector 463 may protrude rearward. The protruding housing connector 463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470 (see FIG. 18). The pump 470 can supply water from the storage space 451 toward the heater through the housing connection pipe 463 and the tank connection pipe 453. The pump 470 is composed of two, one supplies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space 451 to the heater, and the other pumps water remaining in the internal piping of the cooking appliance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451. It may be possible.
이때,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기 하우징몸체(461)의 저면이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은 상기 캐비티(S1)의 천장과 접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온도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 그대로 전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이격되므로, 이러한 캐비티(S1) 내부의 온도가 직접 탱크하우징(460) 및 물탱크(4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탱크챔버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과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챔버의 하부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이격되고, 탱크챔버의 상부는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 즉 상기 어퍼커버(260)의 저면이 상기 탱크챔버의 상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height of the tank chamber may be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더불어, 도 22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냉각을 위한 공기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덕트(25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수납된 물탱크(450)는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지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저수공간(451)의 물의 온도도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2, the
결과적으로,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전장실(S2)의 바닥면의 열이 탱크하우징(46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일부가 가이드덕트(250) 상에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덕트(250)를 지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여기에 수납된 물탱크(450)가 고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탱크챔버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 및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 즉 상기 어퍼커버(260)의 저면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탱크챔버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과는 이격되지만,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은 상기 탱크챔버의 상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ank chamber of the
도 24를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에는 단차리브(4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the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부에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단차리브(466)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서로 겹쳐지는 구조가 되어,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로 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로 물이 세어나가면, 조리기기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조리기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조리기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The stepped rib 466 may be stacked with the lower guide 424b of the front panel 420. More precisely, the lower guide 424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pped rib 466. In this case, the step rib 466 and the lower guide 424b overlap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leaking between the front panel 420 and the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하부에서 단차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상면과 상기 탱크챔버의 입구 바닥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4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몸체(461)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상면이 서로 같은 높이를 가져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물탱크(450)의 출입구 주변이 통일된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tepped rib 466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at the lower part of the
이때,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와 밀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 저면이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면과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 사이의 면접촉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lower guide 424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rib 466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다른 두 면에서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도 24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은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에 면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저면은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면에 면접촉된다. 이처럼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다른 두 면에서 각각 면접촉되면, 둘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guide 424b and the step rib 466 may be in surface contact on two different surfaces. As shown in FIG. 24, the end of the lower guide (424b)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다른 예로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한 면에서만 접촉되거나, 세 면에서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포켓 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단차리브(466)가 상기 포켓에 삽입되면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세 면에서 면접촉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lower guide 424b and the stepped rib 466 may contact each other on only one side or on three sides. When the lower guide 424b is made into a pocket shape and the step rib 466 is inserted into the pocket, the lower guide 424b and the step rib 466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ree sides.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장착브라켓(467a,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을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을 상기 전장실(S2)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로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ounting brackets 467a and 467b of the
이때,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 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과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에는 복수의 장착브라켓(467a,467b)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브라켓(467a,467b) 중 일부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지지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제1브라켓(467a)과 제2브라켓(46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467a)과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서로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467a)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2, the mounting brackets 467a and 467b may include a first bracket 467a and a second bracket 467b. The first bracket 467a and the second bracket 467b may have different heights. The first bracket 467a may be fixed to the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제1브라켓(467a) 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467b)이 상기 제1브라켓(467a) 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후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후단이 아니라 측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econd bracket 467b may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first bracket 467a. The length of the second bracket 467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bracket 467a may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측면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사이드관통홀(27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물탱크(4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탱크(450)에 저장된 물도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8, the side of the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는 가이드장착편(468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체결보스(428a)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체결보스(428a)와 맞물려 체결구(B1)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탱크출입구(424)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A guide mounting piece 468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462 of the
그리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는 체결돌부(468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우징체결홈(428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과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체결보스(428a) 및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과 함께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Additionally, a fastening protrusion 468b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462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이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체결구(B1)가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성이 좋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체결돌부(468b)가 가이드장착편(468a) 보다 높게 배치될 수도 있고, 체결돌부(468b)가 생략되고,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만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protrusion 468b is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guide mounting piece 468a. In this way, the fastener B1 can be fastened to the guide mounting piece 468a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so assembly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s another example, the fastening protrusion 468b may be placed higher than the guide mounting piece 468a, the fastening protrusion 468b may be omitted, and only the guide mounting piece 468a may be provided in the
이때, 상기 체결돌부(468b)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우징체결홈(428b)에 삽입되면,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가 서로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부(468b)와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프론트패널(420) 사이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468b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fastening groove 428b of the front panel 420, the front panel 420 and the
이처럼,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과 체결돌부(468b) 구조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을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챔버의 전방에 개구된 개구부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밀착되면, 둘 사이의 틈을 막아 미감을 높일 수 있고, 둘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guide mounting piece 468a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468b can bring the
한편,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과 상기 체결돌부(468b)의 결합,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428a)과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의 결합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조립체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먼저 조립된 후에,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조립체가 함께 전면프레임(280)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front panel 420 is connected to the
앞서 설명한 상기 체결돌부(468b)와 하우징체결홈(428b)의 조립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가 서로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상기 체결돌부(468b)를 하우징체결홈(428b)에 삽입하여 두 부품을 가조립한 후에, 이를 전면프레임(28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가조립된 프론트패널(420)/탱크하우징(460) 조립체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장착한 후에, 상기 체결보스(428a)과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에 체결구(B1)를 체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rough the assembly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68b and the housing fastening groove 428b described above, the front panel 420 and the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420)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의 전방에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배치되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컷아웃부(280a)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rame 2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420 and the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패널(280)의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리브(466)의 일단부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단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차리브(466)의 일단부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단의 상부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프론트패널(420), 상기 탱크하우징(460) 및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의 접촉구간이 넓어짐에 따라 누수 및 이물질유입 방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the lower guide 424b of the front panel 280 and the step rib 466 of the
도 28을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에는 탱크센서(4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센서(469)는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탱크챔버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물탱크(450)의 측면이 상기 탱크센서(469)를 눌러 수납되었음을 감지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8, the
상기 탱크센서(469)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탱크출입구(424) 보다 탱크하우징(460)의 후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센서(469)는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탱크챔버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469a는 상기 탱크센서(469)를 상기 탱크챔버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서장착부를 나타낸 것이다. The tank sensor 469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of the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생략되거나, 상기 케이스(100,20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생략되면, 상기 탱크챔버는 상기 케이스(100,200)에 의해 상기 전장실(S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챔버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부나 상기 어퍼커버(26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탱크챔버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바닥면과는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물탱크(450)의 측면은 레일형태의 가이드구조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다음으로,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러(500)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48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컨트롤러(500)를 전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는 전체 이동구간 중 초기 이동구간에서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Next, the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500)의 열림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상기 개방장치(480)는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전장실(S2)을 구성하는 어퍼케이스(240)의 표면 또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고정된다. The
상기 개방장치(480)는 아래에서 설명될 한 쌍의 힌지모듈(6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이동경로 중에서 상기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개방장치(480)가 상기 한 쌍의 힌지모듈(600)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면, 힌지모듈(600)과 개방장치(48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비하여 이들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장치(480)는 컨트롤러(500)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힌지모듈(6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큰 개방력(토크)을 상기 컨트롤러(5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If the
상기 개방장치(480)는 한 쌍의 힌지모듈(600) 중 어느 한쪽에 더 가깝게 치우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3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장치(480)는 좌측에 구비된 힌지모듈(60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이는 우측에 배치된 상기 물탱크(450)를 회피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가 상기 힌지모듈(600)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개방장치(480)가 상기 힌지모듈(60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장치(480)는 한 개로 구성되지만,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500)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개방장치(48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5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개방장치(480)의 구조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조립된 하나의 모듈형태로 구성되고,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개방장치(480)의 골격은 개방하우징(48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내부에는 작동공간(4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공간(483)의 개구를 통해서 캠부(485)가 입출될 수 있다. 상기 캠부(485)는 상기 작동공간(483)의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캠돌출구(422)를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면부호 482는 상기 개방하우징(481)을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고정단을 나타낸 것이다. The skeleton of the
상기 개방하우징(481)에는 개방모터(48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방모터(484)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전달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개방모터(484)의 회전력은 상기 개방모터(484)에 연결된 캠부(485)에 전달되어 상기 캠부(485)가 회전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도 32를 보면, 상기 개방모터(484)가 일방향(화살표①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방모터(484)에 연결된 캠부(485)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캠부(485)는 전방(화살표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looking at Figure 32, when the
상기 개방모터(484)는 부하가 걸리면 역회전하도록 형성한 프리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모터(484)가 동작되어 상기 캠부(485)가 회전될 때 외력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개방모터(484)에 과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모터(484)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부하를 줄일 수 있다. The
상기 캠부(485)는 개방모터(484)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을 눌러, 상기 컨트롤러(500)가 소정각도만큼 열리게 할 수 있다. 상기 캠부(485)는 상기 개방모터(484)와 연결되는 부분이 중심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캠부(485)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상기 캠부(485)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다각형상일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상기 캠부(485)가 1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부(485)의 일부가 상기 작동공간(483)의 개구 및 상기 개구(483)와 연결되는 상기 캠돌출구(422)를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작동공간(48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one rotation of th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캠부(485)는 1회전과정에서 상기 개방하우징(48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완전수납위치(도 33(c) 참조)와 상기 개방하우징(481)에서 최대로 돌출되는 최대돌출위치(도 33(b) 참조)를 거쳐, 다시 완전수납위치(도 33(c) 참조)로 복귀할 수 있다. More precisely, the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캠부(485)가 상기 개방하우징(481)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모터(484)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캠부(485)의 후단부까지의 거리(H1)는 상기 개방모터(484)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캠부(485)의 전단부까지의 거리(H2)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모터(484)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캠부(485)의 후단부까지의 거리(H1)는 상기 개방모터(484)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캠부(485)의 전단부까지의 거리(H2) 보다 6배 내지 10배 더 길다. 이렇게 되면, 캠부(485)의 편심구조에 의해 상기 캠부(485)의 돌출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 when the
이때, 도 38에서 보듯이,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부(48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8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중심은 하단에 배치되므로, 상기 캠부(48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부(485)는 상기 컨트롤러(500) 하단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8, when the
상기 캠부(48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방에서 적절한 높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캠부(485)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 및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범위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캠부(485)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과도하게 줄어들 수 있고, 또한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The
도 88에는 상기 캠부(485)의 높이에 따른 (i) 가이드덕트(250)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감소량 및 (ii)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으로부터 이탈할 확률이 그래프로 표현되어 있다. 이때, 가로축은 제1위치에 있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체 높이(H1, 도 38참조)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캠부(485)의 설치위치까지의 높이(H2, 도 38참조)의 상대비(H2/H1)를 나타낸다. 그리고 세로축은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단위: CMM, Cubic Meter per Minute)의 감소량과, 상기 캠부(485)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할 때, 제1개방구간에서 멈추지 않고 더 회전하면서 제1개방구간을 이탈할 확률을 나타낸다. In Figure 88, (i) the flow rate reduction of air flowing through the
도 88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상기 높이 상대비(H2/H1)가 커질 수록, 즉 상기 캠부(485)의 높이가 높아질 수록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감소량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캠부(485)를 비롯한 상기 개방장치(450)가 아래쪽에 배치될수록 상기 가이드덕트(250)와의 간섭량이 많아지거나, 또는 상기 개방장치(45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덕트(250)의 전체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유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하지만 높이 상대비(H2/H1)가 증가할수록 상기 유량 감소량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88, it can be seen that as the height relative ratio (H2/H1) increases, that is, as the height of the
반대로, 상기 높이 상대비(H2/H1)가 커질 수록, 즉 상기 캠부(485)의 높이가 높아질 수록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으로부터 이탈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캠부(485)가 위쪽에 배치될수록 상기 캠부(48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캠부(485)에 의한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부(485)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할 때, 제1개방구간에서 멈추지 않고 더 회전하면서 제1개방구간을 이탈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Conversely, it can be seen that as the height relative ratio (H2/H1) increases, that is, as the height of the
이러한 유량감소량과 제1개방구간 이탈률을 모두 고려할 때, 상기 높이 상대비(H2/H1)는 40% 내지 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간에서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한 유량감소는 줄어듬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500)의 제1개방구간 이탈률도 낮게 유지될 수 있다. Considering both the flow rate reduction and the first open section departure rate, the height relative ratio (H2/H1) is preferably 40% to 70%. In this section, the flow rate reduction by the
한편, 상기 캠부(485)가 돌출되는 거리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거리의 상대비도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상기 캠부(485)가 돌출되는 거리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거리의 상대비는 상기 컨트롤러(500)를 개방시키는데 필요한 개방력 및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와 관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lative ratio between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여기서 상기 캠부(485)가 돌출되는 거리는 상기 캠부(485)가 상기 개방하우징(481)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나타낸다. 도 38을 참고하면, 상기 캠부(485)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캠부(485)의 일단부까지의 거리(L1)를 돌출되는 거리로 볼 수 있다. Here, the distance at which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거리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이 원호형상을 그리며 회전될 때, 상단의 회전거리를 나타낸다. 도 47을 참고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A1각도만큼 회전할 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의 회전거리(Z1)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And,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Z1=2π*H1*A1Z1=2π*H1*A1
이때, H1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체 높이(도 38, 참고)를 나타내고, A1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를 나타낸다. At this time, H1 represents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troller 500 (see Figure 38), and A1 represents the rotation angle of the
도 89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 상단의 회전거리(Z1)와 상기 개방장치(480)의 캠부(485)의 최대 돌출거리(L1)의 상대비(Z1/L1)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480)의 개방력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그래프로 표현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 89, according to the relative ratio (Z1/L1) between the rotation distance (Z1) of the top of the
이에 보듯이, 상기 상대비(Z1/L1)가 증가할수록, 상기 개방장치(480)가 상기 컨트롤러(500)를 밀어 회전시켜주는 개방력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캠부(485)의 최대 돌출거리(L1)가 작아지면, 상대적으로 캠부(485)에 의한 토크가 줄어들어 상기 컨트롤러(500)를 회전시켜주는 회전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As can be seen, as the relative ratio (Z1/L1) increases, the opening force by which the
반대로, 상기 상대비(Z1/L1)가 증가할수록,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하는 각도는 커지게 된다. 이는 상기 컨트롤러(500) 상단의 회전거리(Z1)가 커지되 상기 캠부(485)의 최대 돌출거리(L1)가 작아지기 위해서는 상기 캠부(485)가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어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캠부(485)가 상기 컨트롤러(500)를 회전시키는 각도는 더 커질 수 있다. Conversely, as the relative ratio (Z1/L1) increa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상기 컨트롤러(500)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개방력은 일정수치 이상 커야 하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는 일정 각도 이하가 되어야 한다. 개방력이 너무 작으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되지 않고, 회전각도가 너무 크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을 넘어가 버리기 때문이다. The opening force to rotate the
도 89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 상단의 회전거리(Z1)와 상기 개방장치의 캠부의 최대 돌출거리(L1)의 비(Z1/L1)는 0.9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대비(Z1/L1)는 1.0일 수 있다. Looking at Figure 89,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Z1/L1) between the rotational distance (Z1) of the top of the controller and the maximum protruding distance (L1) of the cam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is preferably 0.9 to 1.2. Most preferably, the relative ratio (Z1/L1) may be 1.0.
한편,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는 회전운동이 아니라 직선운동할 수도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의 일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컨트롤러(5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가 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500)를 밀어낼 수도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상기 개방장치(480)에는 개방센서(4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캠부(485)의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캠부(485)가 1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490)가 상기 캠부(485)의 완전히 1회전한 것을 감지하면,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개방모터(484)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캠부(485)에 의해 눌릴 수 있다. The
도 33에는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3(a)를 보면, 상기 캠부(48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캠부(48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을 눌러, 상기 컨트롤러(500)가 소정각도만큼 열리게 할 수 있다. Figure 33 shows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캠부(485)가 더욱 회전하면, 도 33(b)와 같이 상기 캠부(485)가 최대한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3(b)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완전히 닫힌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이동한 상태로 볼 수 있다. If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3(c)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으로 완전히 열리고, 상기 캠부(485)는 1회전을 마치고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다. Additionally, the
이처럼 상기 캠부(485)가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내부로 수납되는 완전수납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캠부(485)에 눌려 복귀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개방모터(484)의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캠부(485)가 완전수납위치에 머물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이러한 컨트롤러(500)의 일련의 열림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series of opening operations of the
도 34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러(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디스플레이부(501, 도 1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1)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수단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모두 포함되거나, 디스플레이부(501)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입력수단도 디스플레이부(501)에 일체로 포함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조작부(M1)의 일부일 수도 있다. The
이때, 디스플레이부(50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0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display unit 501 and the touch sensor that detects the touch operation form a layered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501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tak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명모듈(900)을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조명버튼(535, 도 1참조)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기기가 오븐인 경우, 디스플레이부(501)에는 캐비티(S1)의 셀프 클리닝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셀프 클리닝 버튼(미도시)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501 may display a lighting button 535 (see FIG. 1) for setting a function to manually turn on/off the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이동하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을 가리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프론트패널(420)이 이동하여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출입구(424)를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The
즉, 도 2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힌 상태이고, 도 4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되거나 다시 인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를 보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at is, Figure 2 shows the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일종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을 따라 상기 물탱크(450)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이란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When the
상기 컨트롤러(50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제1위치로 하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제2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If the fully closed state of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구간은 다시 제1개방구간과 제2개방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개방구간은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제2개방구간은 그 이후부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구간을 의미한다.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이동할 수 있다.(도 47의 500B 참조)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도 47의 500D 참조) As described above,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개방구간을 이동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소정의 각도만큼 열린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중심으로 중력에 의한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중력에 의한 토크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개방구간을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다른 예로는, 상기 중력에 의한 토크 보다 상기 힌지모듈(600)에 의한 장력 또는 마찰력이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에서 멈출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500)를 아래쪽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tension or friction caused by the
도 34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양한 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4, the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은 사용자 방향, 즉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을 향할 수 있다. When the
도 35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상기 힌지모듈(60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면부호 555는 힌지모듈(600)이 삽입되는 힌지조립구를 나타내는데, 상기 힌지모듈(600)과의 결합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35 shows the rear 551 of the
도 36와 도 37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복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중심을 구성하는 메인하우징(510)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컨트롤패널(530)이 배치될 수 있고, 후방에는 커버프레임(55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커버프레임(550) 보다 좌우로 더 길게 연장된다. 36 and 37, the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전면을 덮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1조작부(M1), 제2조작부(M2) 또는 제3조작부(M3) 중 적어도 일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에는 부품들이 실장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먼저 상기 메인하우징(510)을 보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은 대략 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은 상기 컨트롤패널(53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하우징(510)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에 의해 대부분의 표면이 가려질 수 있다. First, looking at the
이러한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를 포함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이 결합되는 힌지결합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Components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M1-M3) may be placed in the
도 37를 보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펜스(5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중심부를 둘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ure 37, a housing fence 511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이때,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 보다 상기 메인하우징(510) 및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결합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using fence 51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상기 하우징펜스(511)에는 제1체결턱(5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턱(511a)은 상기 하우징펜스(511)에서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턱(511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제2체결턱(552a)이 걸릴 수 있다. The housing fence 51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jaw 511a. The first fastening jaw 511a may protrude from the housing fence 511 toward the center of the
상기 하우징펜스(511)에는 실링부재(5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의 방수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housing fence 511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511b. The sealing member 511b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using fence 511. The sealing member 511b can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에는 부품장착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512)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후술할 한 쌍의 힌지결합부(520)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통신모듈(M4)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이때, 상기 부품장착부(512)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실링펜스(518)에 의해 정의된다고 볼 수도 있다. 즉, 상기 부품장착부(512)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와 한 쌍의 실링펜스(51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connects a pair of housing fences 511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상기 부품장착부(512)에는 커버조립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부(513)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가장자리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부(513)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조립부(513)는 상기 커버프레임(550)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부(513)에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대조립부(미도시)가 걸릴 수 있다.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assembly portion 513. The cover assembly part 513 may be placed near the edge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512. The cover assembly part 513 is for assembly between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제1조작부(M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M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조작부(M1)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manipulation unit (M1) may be placed in the
이때, 상기 제1조작부(M1)의 회로기판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530)을 터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전용량 방식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501)로 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M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1조작부(M1)를 고정하기 위한 제1장착가이드(5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는 상기 제1조작부(M1)를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에 상기 제1조작부(M1)가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4a는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후크를 나타낸다.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of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제2조작부(M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작부(M2)는 제1조작부(M1)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조작부(M2)는 특징 기능을 입력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2조작부(M2)를 통해 스팀조리나 스팀청소 등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A second manipulation unit (M2) may be disposed in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2조작부(M2)를 고정하기 위한 제2장착가이드(5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는 상기 제2조작부(M2)를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에 상기 제2조작부(M2)가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5a는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후크를 나타낸다.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of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제3조작부(M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조작부(M3)는 제1조작부(M1) 및 제2조작부(M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조작부(M3)는 특징 입력신호만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3조작부(M3)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A third manipulation unit (M3) may be placed in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3조작부(M3)를 고정하기 위한 제3장착가이드(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는 상기 제3조작부(M3)를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에 상기 제3조작부(M3)가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6a는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3고정후크를 나타낸다.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of the
다른 예로는, 상기 제1조작부(M1), 상기 제2조작부(M2) 및 상기 제3조작부(M3)는 하나의 제어부로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조작부(M2) 및 제3조작부(M3)의 기능들이 상기 제1조작부(M1)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manipulation unit (M1),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M2), and the third manipulation unit (M3)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M2) and the third manipulation unit (M3) may all be included in the first manipulation unit (M1).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통신모듈(M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M4)은 조리기기를 외부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모듈(M4)은 WLAN, WiFi, Bluetooth, ZigBee, Zwave, 5G 등 IoT를 위한 다양한 통신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M4)을 통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M4)을 통해서 상기 조리기기는 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조리기능을 업데이트 하거나, 상기 조리기기의 문제를 외부로 전달할 수도 있다. A communication module (M4) may be placed i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of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통신모듈(M4)을 고정하기 위한 제4장착가이드(5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는 상기 통신모듈(M4)을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에 상기 통신모듈(M4)이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7a는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4고정후크를 나타낸다.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of the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상기 통신모듈(M4)은 와이어하네스(W)를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모듈(600)을 따라 상기 전장실(S2)의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한 쌍의 힌지모듈(60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된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와이어커버(67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데,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M1-M3)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4)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700 through a wire harness (W). The wire harness (W)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along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힌지결합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는 아래에서 힌지모듈(600)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The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컨트롤패널(5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의 전면이란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30)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면을 구성할 수 있다. A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사용자가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를 통해서 신호를 입력할 때 사용자가 터치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가 조리기기의 정보를 출력할 때 출력정보를 전방으로 투시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The
이를 위해서,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터치스크린용 강화유리 또는 PMMA(polymethylethacrylate)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얇은 필름일 수도 있고,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상기 컨트롤패널(53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방에는 커버프레임(5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조립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조립되어 상기 부품장착부(512)를 차폐할 수 있다. A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 및 상기 컨트롤패널(530) 보다 좌우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 방향으로 노출되는 컨트롤패널(530)의 후방에 배치된 커버프레임(550)은 상대적으로 덜 노출될 수 있고, 컨트롤러(500)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The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가장자리에는 커버펜스(5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전면 가장자리에서 전방, 즉 상기 컨트롤패널(53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와 중첩되어, 외부의 먼지나 습기 등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커버펜스(552) 보다 상기 메인하우징(510) 및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결합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가 서로 중첩되는 면적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에서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가 서로 중첩되는 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탱크(450)와의 접촉이 더 많은 컨트롤러(500)의 후방(도 5 기준) 쪽에서 컨트롤러(500)의 밀폐면적을 더 크게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rea where the housing fence 511 and the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와 중첩되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하우징펜스(511)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도 38을 보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하우징펜스(511)와 상하바향으로 적층되고, 면접촉된 것을 볼 수 있다. When the
이때,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는 두 면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8에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펜스(552)에 구비된 스토퍼리브(552')와 마주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8에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펜스(552)에 구비된 스토퍼리브(552')와 이격된 상태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는 스토퍼리브(552')와 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와 스토퍼리브(552')의 사이에는 실링부재(511b)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와 스토퍼리브(552')의 사이에서 압축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housing fence 511 and the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가장자리를 연속적으로 둘러 구비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얇고 일방향으로 긴 판상구조일 수 있다. 도 36를 보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면부호 552a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제1체결턱(511a)에 걸려 고정되는 제2체결턱(552a)을 나타낸 것이다. The
도 38을 보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펜스(511)가 상대적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는 서로 면접촉되는 구간을 가져,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 the
상기 커버펜스(552)에는 스토퍼리브(5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과 상기 메인하우징(510) 사이가 조립될 때 조립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커버펜스(552)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조립부를 가리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The
이때, 상기 스토퍼리브(552')가 상기 커버펜스(552)의 표면에서 돌출된 높이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두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표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ight at which the stopper rib 552'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도 37를 보면, 상기 커버프레임(550)에는 커버힌지홀(5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힌지홀(553)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힌지홀(553)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힌지체결홀(523a, 도 53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지면서 상기 커버힌지홀(553),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연결블럭(625) 및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블럭체결구(B4)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커버힌지홀(553), 상기 연결블럭(625)의 블럭조립홀(625a', 도 54참조) 및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를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두 개의 커버힌지홀(553)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 the
상기 커버힌지홀(553)에 인접한 위치에는 힌지조립구(555)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구(555)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이 상기 컨트롤러(500)에 조립될 때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구(555)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조립구(555)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하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inge assembly 555 may be open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ver hinge hole 553. When the
상기 커버프레임(550)에는 커버체결홀(5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체결홀(556)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커버체결구(B2, 도 35참조)로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체결홀(556)은 상기 힌지조립구(555)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커버체결홀(556)이 생략되고,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제1체결턱(511a), 제2체결턱(552a) 등의 구조로만 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The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이 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은 상기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프론트패널(420)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480)가 동작되면 상기 개방장치(480)의 캠부(485)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을 가압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ar of the
도 38을 보면, 상기 커버프레임(550)에는 커버경사부(55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커버펜스(55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으로 물이 쏟아지면 이를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 a cover inclined portion 559 may be formed on the
또한,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과,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정면 사이에 틈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경사부(559)와 상기 프론트패널(420) 사이의 틈으로 사용자는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부를 파지하고, 상기 컨트롤러(500)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inclined portion 559 can create a gap between the rear 551 of the
물론, 상기 컨트롤러(500)는 개방장치(480)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컨트롤러(5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커버경사부(559)를 통해 컨트롤러(500)를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부 두께를 얇게 만들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Of course, the
도 39 및 도 40을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는 에어가이드(5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서 아래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저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저면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39 and 40, an air guide 59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282)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배기구(282)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282)가 사용자의 시선에서 가려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air guide 590 is disposed below the
또한, 상기 배기구(282)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도어배기구(377)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고온의 토출공기에 노출되므로, 내구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282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oor exhaust port 377 of the door frame 370 can be guided to be smoothly discharged forward without generating vortices. Since the air guide 590 is exposed to high-temperature discharge air, it is preferably made of a highly durable metal material.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 배치된 연결레그(51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그(519)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그(519)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ir guide 59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g 519 disposed below the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복수개의 상기 연결레그(519)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평판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연결레그(519)에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접착제로 상기 연결레그(519)에 조립되거나, 압입구조를 통해서 상기 연결레그(519)에 결합될 수도 있다. The air guide 59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legs 519. The air guide 590 may have a flat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air guide 590 can be assembled to the connection leg 519 through a fastener. As another example, the air guide 590 may be assembled to the connecting leg 519 with adhesive or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leg 519 through a press-fit structure.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하방향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 the air guide 590 may have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lon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air guide 590 can guide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orward.
한편, 도 41 내지 도 46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컨트롤러(50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컨트롤러(500)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Figures 41 to 46 show another example of the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에는 포켓가이드(55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에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포켓(P)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사용자에게 상기 포켓(P)의 위치를 보다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A pocket guide 551a may be provided on the rear 551 of the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커버프레임(5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 중간 지점부터 말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말단부까지 점점 함몰된 깊이가 커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포켓(P)을 통해 상기 물탱크(450)를 파지할 때, 사용자는 먼저 상기 포켓가이드(551a)를 따라 손을 상기 포켓(P)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pocket guide 551a may be provided on the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9에는 상기 포켓가이드(551a)가 구비된 컨트롤러(500)를 도시하였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포켓(P)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직감적으로 상기 포켓가이드(551a)를 따라서 손을 상기 포켓(P) 안쪽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50)를 인출할 때, 상기 포켓가이드(551a)로 인해 상기 물탱크(450)의 저면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표면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 수도 있다. To aid understanding, FIG. 19 shows a
한편 도 43과 도 44는 상기 컨트롤러(500)에서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제거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512)에는 실링펜스(5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배치된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통신모듈(M4) 보다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중심부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Figures 43 and 44 show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실링펜스(518)는 각각 부품장착부(512)의 바깥쪽에서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중심방향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aling fence 518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respectively. The pair of sealing fences 518 can preven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toward the center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결합부(520)를 통해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실링펜스(518)는 수분이나 이물질이 부품장착부(512)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The sealing fence 51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Accordingly, even if moisture or foreign matter flows in through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the sealing fence 518 can prevent moisture or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특히,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힌지결합부(52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유입된 수분이나 이물질을 가두어 둘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eiling fence 518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Accordingly, a predetermined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eiling fence 518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These empty spaces can trap incoming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이때, 상기 하우징펜스(511) 중 메인하우징(510)의 하단에 구비된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힌지결합부(520)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이격된 부분에는 드레인홀(D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부품장착부(512)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의 빈 공간 머무는 수분이나 이물질은 상기 드레인홀(DH)을 통해서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using fence 51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에 상기 드레인홀(D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홀(DH)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컨트롤러(500)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과 이물질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드레인홀(DH)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More precisely, the drain hole DH may be formed between the housing fence 51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이때,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힌지결합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홀(DH)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using fence 511 provided at the top of the
상기 실링펜스(518)의 양단이 각각 상부의 하우징펜스(511)와 하부의 하우징펜스(5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실링펜스(518)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와 함께 대략 사각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실링펜스(518)와 하우징펜스(511)가 형성하는 사각틀 구조 내부에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통신모듈(M4)이 모두 배치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ceiling fence 518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fence 511 and the lower housing fence 51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air of ceiling fences 518 and the pair of housing fences 511 can form a substantially square frame structure.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M1-M3)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4) can all be disposed inside the square frame structure formed by the pair of sealing fences 518 and the housing fence 511.
다른 예로는, 상기 실링펜스(518)가 상기 메인하우징(510)이 아니라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가 상기 커버프레임(550)에서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ceiling fence 518 may be provided on the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하우징펜스(511) 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가 상기 하우징펜스(511) 보다 낮으면,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표면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이격된 부분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의 위쪽으로 공기가 유동하면,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배치된 회로부품들을 냉각시켜 줄 수 있다. The ceiling fence 518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protruding height than the housing fence 511. If the ceiling fence 518 is lower than the housing fence 511, there may be space between the ceiling fence 518 and the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실링펜스(518) 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높게 형성된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그 자체가 1차적으로 수분과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벽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펜스(518)는 그 자체가 일종의 강도 보강용 리브와 같은 역할도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may protrude higher than the ceiling fence 518.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formed so high can itself function as a barrier that primarily prevents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In addition, the ceiling fence 518 itself may function as a type of rib for reinforcing strength.
상기 실링펜스(518)에는 와이어게이트(51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는 상기 실링펜스(518)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를 통해서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컨트롤러(500)의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의 양쪽에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바깥쪽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벽이 세워지고, 그 사이를 통해 와이어하네스(W)가 지나갈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는 상기 한 쌍의 실링펜스(518)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될 수 있다. The ceiling fence 518 may be provided with a wire gate 518a. The wire gate 518a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ceiling fence 518 is open. The wire harness (W) may extend outward from the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수분과 이물질이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를 통해서 부품장착부(51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e wire gate 518a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도 45과 도 46를 보면,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는 실링부재(5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수분과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조립방향(도 46를 기준으로 왼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45 and 46, a sealing member 511b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using fence 511. The sealing member 511b may be fixed to the top of the housing fence 511. The sealing member 511b can prevent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이 결합될 때,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커버펜스(552)에 구비된 스토퍼리브(552')와 마주보게 되는데(도 38참조),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스토퍼리브(552') 사이에 배치된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스토퍼리브(552') 사이의 간격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어 이들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것이다. The sealing member 511b may be compressed between the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스토퍼리브(552')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aling member can reduce the gap between 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실링펜스(518)의 상단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하우징펜스(511)에 의해 정의된 부품장착부(512)의 가장자리는 모두 실링부재(511b)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펜스(511)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aling member 511b may also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sealing fence 518. Accordingly, all edges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512 defined by the sealing fence 518 and the housing fence 511 can be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511b. As another example, the sealing member 511b is provided only at the top of the housing fence 511 and may be omitted from the housing fence 511.
다른 예로는, 상기 실링부재(511b)가 상기 메인하우징(510)이 아니라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실링부재(511b)가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커버펜스(552)에 구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ealing member 511b may be disposed on the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힌지모듈(6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케이스(100,20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A
도 47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닫힌 상태인 제1위치에서 열린 상태인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500A는 제1위치에 있는 컨트롤러(500)를 나타낸 것이고, 500D는 제2위치에 있는 컨트롤러(500)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500B와 500C는 각각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컨트롤러(500)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47, the
이때, 상기 제1위치(500A)에서 소정 거리 이동된 위치까지를 제1개방구간(500A-500B), 제1개방구간의 말단(500B)으로부터 제2위치(500D) 사이를 제2개방구간(500B-500D)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개방장치(480)는 상기 컨트롤러(500)를 제1개방구간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open section (500A-500B) extends from the first position (500A) to a position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open section (500A-500B) extends from the end (500B) of the first open section to the second location (500D). 500B-500D). The previously describ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회전과 동시에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7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반시계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전방(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중력방향인 하방(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다른 예로는, 상기 컨트롤러(500)는 반시계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중력방향인 하방(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컨트롤러(500)는 반시계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전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이렇게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과 동시에 전방과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총 이동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 상기 탱크출입구(424)가 사용자를 향해 더욱 넓게 노출될 수 있다. If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 또는 인입을 안내할 수 있는 전후방향 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의 높이가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단 보다 낮거나 적어도 같은 높이가 될 수 있다. 높이가 낮아진 컨트롤러(500)는 물탱크(450)의 인출 또는 인입시 물탱크(450)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And, when the
상기 제1위치(500A)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도어(300)의 상단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메인하우징(510) 또는 커버프레임(550)의 저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500D)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도어(300)의 상단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의 저면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
또한, 상기 제2위치(500D)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도어(300)의 전면 보다 상기 케이스(100,200)로부터 전방으로 더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 전체가 상기 도어(300)의 전면 보다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물탱크(45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할 수 있는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한편, 상기 제2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는 20°도 내지 40°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는 50° 내지 7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구간만큼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하면, 상기 힌지모듈(600)을 중심으로 중력에 의한 토크가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장치(480)가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를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만큼만 회전시켜도, 상기 컨트롤러(500)는 나머지 제2개방구간에서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다. Meanwhile, the rotation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는 전체 회전각은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 범위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이 설정되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일종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And, the total rotation angle at which the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는 전체 회전각이 90°라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은 상기 물탱크(450)가 수납되는 상기 탱크챔버의 깊이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을 받침대로 하여 탱크챔버에 인입되거나, 탱크챔버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If the total rotation angle at which the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이 80°~ 89°인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방으로 소정각도만큼 들린 상태가 되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도 47의 500D를 기준으로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은 상기 케이스(100,200)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를 상기 탱크챔버의 내부로 인입할 때 상기 물탱크(450)가 보다 쉽게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이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이 91°~100°인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하방으로 소정각도만큼 처진 상태가 되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도 47의 500D를 기준으로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바깥쪽(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를 상기 탱크챔버의 외부로 인출할 때 상기 물탱크(450)가 보다 쉽게 미끌어지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이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도 48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이 동작되는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8에는 상기 컨트롤러(500)는 생략되고, 상기 힌지모듈(60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의 힌지하우징(610)으로부터 구동암(620)과 연결블럭(625)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Figure 48, the
도 48(a)는 도 47에서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의 말단(500B)에 위치했을 때의 힌지모듈(600)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8(b)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의 말단(500B)에서 제2위치로 이동 중인 상태(500C)의 힌지모듈(6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48(c)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500D)에 있을 때의 힌지모듈(600)을 도시한 것이다. FIG. 48(a) shows the
도 48을 보면, 상기 연결블럭(62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블럭(625)이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의 이러한 동작은 상기 힌지모듈(600)에 포함된 복수의 링크와, 상기 구동암(620)의 연결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Looking at FIG. 48,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block 625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moves forward and downward at the same time. This operation of the connection block 625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links included in the
도 49과 도 50에는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가 서로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힌지모듈(600)은 동일한 작동매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모듈(600)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서로 대칭된 구조일 수도 있다. 49 and 50 show the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커버프레임(550)에 형성된 상기 힌지조립구(555)를 통해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의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전장실(S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구동암(620)만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9과 도 50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프론트패널(42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도 51에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는 모습이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Figure 51 shows the
이때,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힌지체결구(B3)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힌지체결구(B3)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제1힌지조립홀(288)을 각각 통과한 후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후방에 배치된 힌지모듈(600)에 조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프론트패널(420)도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힌지체결구(B3)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 즉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에 체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52에서 보듯이,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은 블럭체결구(B4)로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럭체결구(B4)는 상기 연결블럭(625)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구비된 힌지결합부(520)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2개의 상기 블럭체결구(B4)들이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블럭체결구(B4) 뿐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걸이구조(블럭걸림부(528) 및 걸림편(628) 구조, 도 55참조)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52, the connection block 625 of the
도 53 내지 도 56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상기 컨트롤러(500)에 고정하기 위한 힌지결합부(5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메인하우징(5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의해 덮히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500)가 조립된 후에는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Figures 53 to 56 show the structure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for fixing the
도 53을 보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힌지결합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하방향, 즉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3, the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제1힌지결합부(521)와 제2힌지결합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모두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가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 즉 제2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는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 보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may include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nd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Both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may serve as coupling portions where the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과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은 조리기기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전축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과정에서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를 보면,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는 안착보스(523)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안착보스(523)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이 블럭체결구(B4)로 고정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may have a structure tha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상기 안착보스(523)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안쪽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간(522)의 내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안착보스(523)에는 힌지체결홀(523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힌지체결홀(523a)에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질 수 있다. 상기 블럭체결구(B4)는 스크류로 구성되고, 그 끝부분 일부가 상기 힌지체결홀(523a)에 조여질 수 있다. 참고로 도 54에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상기 연결블럭(625)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체결구(B4) 하나가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The seating boss 523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astening space 522 formed inside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 hinge fastening hole 523a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boss 523, and the block fastening tool B4 may be fastened to the hinge fastening hole 523a. The block fastener (B4) is composed of a screw, and a portion of its end can be fastened to the hinge fastening hole (523a). For reference, Figure 54 shows a state in which one block fastener (B4) is assembled with the connection block 625 seated on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상기 안착보스(523)와 상기 힌지체결홀(523a)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안착보스(523)와 상기 힌지체결홀(523a)은 상기 힌지결합부(5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과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내부에서 적어도 두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ating boss 523 and the hinge fastening hole 523a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In this embodiment, the seating boss 523 and the hinge fastening hole 523a, like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의 연결블럭(625)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는 상기 연결블럭(625)의 일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달리 별도의 체결구 없이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블럭체결구(B4)가 조립되기 전에,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힌지결합부(520)가 가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connection block 625 may be fixed to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Unlike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521,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525 may have a fixed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fastener. Therefore, before the block fastener (B4) is assembled to the first hinge coupler 521, the second hinge coupler 525 is temporarily fixed to the connection block 625 by the hinge coupler 520.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하우징(510), 컨트롤패널(530) 및 커버프레임(550)이 서로 조립된 후에, 상기 컨트롤러(500)에 상기 힌지모듈(600)이 조립된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이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을 덮더라도,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형성된 상기 힌지조립구(555)를 통해서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는 제2체결공간(5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하단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연결블럭(625)이 위쪽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상단은 상기 제1체결공간(522)에 연결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a second fastening space 526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may be open. The connection block 625 can be insert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open second fastening space 526.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space 522.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양쪽에는 조립가이드(5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양쪽에 세워지는 일종의 벽 구조로 볼 수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527) 사이로 상기 연결블럭(62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하단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럭걸림부(528)와 연결될 수 있다. Assembly guides 527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The assembly guide 527 can be viewed as a type of wall structure built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The connection block 625 can be inserted between the assembly guides 527. The lower end of the assembly guide 527 may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상단 보다 하단에서 더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아래쪽에서 삽입되는데, 높게 형성된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하단이 연결블럭(625)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삽입되는 하단 입구를 향해 점점 폭이 넓어질 수 있다. The assembly guide 527 may be formed to be taller at the bottom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than at the top. The connection block 625 is inserted from below the assembly guide 527, and the high lower end of the assembly guide 527 may form an entrance into which the connection block 625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guide 527 may gradually become wider toward the lower entrance where the connection block 625 is inserted.
또한, 상기 연결블럭(625)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링크(624)와의 연결을 위한 부분이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블럭(625)의 하단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란, 도 55을 기준으로 하면 연결블럭(625)의 좌우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하단에서 더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lock 625 has a portion for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link 62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disposed at the bottom, so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block 625 is high. Here, the height may me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connection block 625 based on Figure 55.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ssembly guide 527 is formed to be taller at the bottom.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상부에는 블럭걸림부(5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럭걸림부(528)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걸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블럭걸림부(528)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상부를 덮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럭걸림부(528)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걸림포켓(528a)을 형성할 수 있다. A block locking portion 528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The block locking part 528 is a part where the connecting block 625 is fixed.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Accordingly,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may form a locking pocket 528a between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space 526.
도 55에서 보듯이, 상기 블럭걸림부(528)에는 상기 연결블럭(625)의 걸림편(628)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628)이 상기 블럭걸림부(528)의 걸림포켓(528a)에 삽입되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연결블럭(625)에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5를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러(50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상기 연결블럭(625)에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5, the locking piece 628 of the connecting block 625 can be fixed to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When the locking piece 62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cket 528a of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the
도 53을 보면, 상기 블럭걸림부(528)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릿부(52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528b)는 상기 블럭걸림부(528)의 중심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걸림포켓(528a)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528b)는 상기 연결블럭(625)에 구비된 상기 걸림편(628) 일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편(628)은 대략 T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단면형상에 맞게 상기 슬릿부(528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편(628)이 상기 연결블럭(625) 본체에 연결브릿지(628')로 연결될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628')과 걸림편(628)은 대략 T자 형상을 만들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3, a slit portion 528b may be formed in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it portion 528b is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opens a portion of the locking pocket 528a. The slit portion 528b is intend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628 provided on the connection block 625. The locking piece 628 may have an approximately T-shaped cross-section, and the slit portion 528b may be formed to match this cross-sectional shape. Referring to Figure 64,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piece 628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ng block 625 by a connecting bridge 628'. The connecting bridge 628' and the locking piece 628 may form an approximately T-shape.
도 56에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보스(523) 및 힌지체결홀(523a)이 형성되어, 블럭체결구(B4)가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하부에는 상기 블럭걸림부(528) 및 걸림포켓(528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블럭(625)의 조립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립구조는 상기 연결블럭(625)과 상기 힌지결합부(520) 사이를 서로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Figure 56 shows the structure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in a cross-sectional view with the connection block 625 removed. As can be seen, the seating boss 523 and the hinge fastening hole 523a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so that the block fastener B4 can be assembled. In addition,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and the locking pocket 528a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assembly structur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lock 625 can firmly assemble the connection block 625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with each other.
도 57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컨트롤러(5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먼저 조립된 후에,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이 상기 컨트롤러(50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암(6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개구된 힌지조립구(555)를 통해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힌지결합부(520)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연결블럭(625)은 블럭체결구(B4)로 상기 컨트롤러(5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7에는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Figure 57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58을 보면, 도 57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커버프레임(550)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한 쌍의 블럭체결구(B4)가 상기 연결블럭(625)을 통과하여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625)의 하부는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걸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8, the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hinge coupling portion 520 includes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and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May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특히,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 방향인 좌우방향(도 1의 Y축방향)과 직교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힌지모듈(600)과의 연결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넓은 범위로 분산될 수 있고, 컨트롤러(500) 및 힌지모듈(6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이란,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 1의 Z축방향이다. 만약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다면 상하방향은 도 1의 X축방향이다. In particular,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are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FIG. 1),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도 59에는 도 58에서 블럭체결구(B4)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제거되더라도,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힌지모듈(6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블럭걸림부(528)에 상기 연결블럭(625)의 걸림편(628)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먼저 상기 컨트롤러(500)를 상기 걸림편(628)에 건 상태에서 블럭체결구(B4)를 조일 수 있다. Figure 59 shows a state in which the block fastener (B4) in Figure 58 has been removed. Even if the block fastener B4 is removed in this way, the
다음으로, 상기 힌지모듈(6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케이스(100,200)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케이스(100,200)에 대해 상대이동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Next, describing the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힌지모듈(600)들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쪽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The
도 48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모듈(600)의 골격은 힌지하우징(61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대략 육면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전장실(S2)에서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8, the skeleton of the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전장실(S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케이스(100,2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케이스(100,200)를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커버(270)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전방에 배치된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동시에 고정된다. The hinge housing 610 can remain fix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compartment (S2). To this end, the hinge housing 610 may be fixed to the
도 62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하우징(610)에는 하우징조립홀(6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을 케이스(100,2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체결구(B3)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제1힌지조립홀(288)을 각각 통과한 후에,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2, a housing assembly hole 613 may be formed in the hinge housing 610. The housing assembly hole 613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hinge housing 610. The housing assembly hole 613 is for fixing the hinge housing 610 to the
다시 도 48을 보면, 상기 힌지하우징(610)에는 구동암(6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은 그 일부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의 일단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암(620)의 타단은 상기 연결블럭(62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될 수 있지만, 다른 예로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생략되고 상기 구동암(620)이 직접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될 수도 있다.Looking again at FIG. 48, the hinge housing 610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하방으로도 이동될 수도 있다. 도 48(b)와 도 48(c)를 보면, 상기 구동암(620)이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과, 하방(도면을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구동암(620)이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총 이동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 상기 탱크출입구(424)가 사용자를 향해 더욱 넓게 노출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 구동암(620)에는 제1구동암(621)과 제2구동암(62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각각 상기 연결블럭(62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상기 연결블럭(625)의 서로 다른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면부호 626은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제1구동암(621)과 연결되는 제1축(626)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627은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제2구동암(623)과 연결되는 제2축(627)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축(626)과 상기 제2축(627)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을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은 상기 제2구동암(623) 보다 폭이 커서, 상기 제2구동암(623)이 상기 제1구동암(621)에 의해 감싸질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면,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더라도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65에 도시되어 있다.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the second driving arm 623 may b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driving arm 621 is wider than the second driving arm 623, so the second driving arm 623 may be surrounded by the first driving arm 621. In this way, when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the second driving arm 623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even if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the second driving arm 623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y interfere with each other. It may not work.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ure 65.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연결링크(62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624)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제1구동암(621) 및 상기 제2구동암(623)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624)는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the second driving arm 62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link 624.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624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housing 610 and simultaneous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the second driving arm 623. The connection link 624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the second driving arm 623.
도 52(b)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조가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는 직선이동부(6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614)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구동암(6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In Figure 52(b), the structure of the
이를 위해서, 상기 직선이동부(614)는 구동링크(62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624')의 일단부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구동암(6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구동암(623)은 상기 연결링크(624)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624)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링크(624')는 상기 제2구동암(623)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linear moving part 614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link 624'. One end of the drive link 624'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ear moving part 614,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arm 623. At this time, the second driving arm 62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624, and the connecting link 624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As a result, the driving link 624' is It can be seen that it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arm 623.
상기 직선이동부(614)에는 장력조절부(61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이동할 때 상기 힌지모듈(600)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급격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특정각도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A tension adjusting unit 616 may be connected to the linear moving unit 614. The tension adjusting unit 616 can adjust the tension applied by the
상기 장력조절부(616)에는 탄성부재(616a)와 댐퍼(616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16a)는 일단부가 상기 힌지하우징(6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연결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614)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해야 하므로,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500)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The tension adjusting unit 616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616a and a damper 616b. The elastic member 616a may be configured as a spring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hinge housing 6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near moving part 614. Accordingly, the spring can provide a certain amount of elastic force to the linear moving part 614. Since the linear moving part 614 must move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소정 크기의 부하를 가해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유압댐퍼(61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초기에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일정각도만큼 회전된 후에, 상기 컨트롤러(500)에 가해지는 중력으로 자동으로 회전될 때, 상기 댐퍼(616b)는 완충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damper 616b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ving part 614. The damper 616b can control the moving speed of the linear moving part 614 by applying a load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linear moving part 614 during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ving part 614. The damper 616b may be composed of a hydraulic damper 616b that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linear moving part 614 into thermal energy. When the
다른 예로, 상기 장력조절부(616)의 상기 스프링과 상기 댐퍼(616b)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616b)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컨트롤러(500)에 가해지는 중력을 보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댐퍼(616b)가 모두 생략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either the spring or the damper 616b of the tension adjusting unit 616 may be omitted. For example, when the damper 616b is omitted, the spring can compensate for the gravity applied to the
이때,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조정링크(615)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링크(615)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정링크(615)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조정링크(615)의 타단부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조정링크(6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장력조절부(616)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는 상기 조정링크(615)를 통해서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tension adjustment unit 616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linear moving unit 614, but may be connected through an adjustment link 615. The adjustment link 615 may be disposed inside the hinge housing 610. One end of the adjustment link 615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hinge housing 610, and the other end of the adjustment link 615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ear moving part 614. And, the tension adjustment unit 616 may be connected to the adjustment link 615. In this case, the load applied by the tension adjusting unit 616 can be transmitted to the linear moving unit 614 through the adjusting link 615. As another example, the tension adjusting unit 616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linear moving unit 614.
상기 구동암(620)에는 연결블럭(62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구동암(620)과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에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연결되는 제1축(626)과, 상기 제2구동암(623)에 연결되는 제2축(627)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축(626)과 상기 제2축(627)은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블럭(625)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A connection block 625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이처럼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를 연결하므로,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힌지모듈(600)과 컨트롤러(500) 사이의 연결부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중심도 상기 연결블럭(625)에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connection block 625 connects the
상기 연결블럭(625)에는 연결단부(62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연결블럭(625)에서 연장되는 대략 판상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4를 보면, 상기 연결단부(625a)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위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The connection block 625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end 625a. The connection end 625a may be made to have a substantially plate-shaped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lock 625. The connection end 625a may be seated on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Looking at Figure 54,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ng end portion 625a is disposed on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안착보스(523) 위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부(625a)에 형성된 블럭조립홀(625a')은 상기 안착보스(523)의 힌지체결홀(523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들은 블럭체결구(B4)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데,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지면서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상기 커버힌지홀(553), 블럭조립홀(625a')과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체결구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커버힌지홀(553)과, 상기 블럭조립홀(625a') 및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프레임(550), 연결블럭(625) 및 메인하우징(510) 사이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힌지체결홀(523a) 및 상기 커버힌지홀(553)과 마찬가지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블럭조립홀(625a')이 상기 연결단부(625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end 625a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boss 523 of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521. Additionally, the block assembly hole 625a' formed at the connection end 625a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fastening hole 523a of the seating boss 523. These can be fastened by a block fastener (B4), and when the block fastener (B4) is tightened, the cover hinge hole 553, the block assembly hole 625a' and the block assembly hole 625a' constituting the
상기 연결블럭(625)에는 걸림편(6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628)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걸림포켓(528a)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도 6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편(628)은 상기 연결블럭(625) 본체에 연결브릿지(628')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628')과 걸림편(628)은 대략 T자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628')는 상기 걸림편(628)과 상기 연결블럭(625) 본체 사이의 연결부위를 넓게 만들어, 연결블럭(625)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628')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상기 블럭걸림부(528)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릿부(528b)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lock 625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628. The locking piece 628 can be inserted into and caught in the locking pocket 528a of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Referring to Figure 64, the locking piece 628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ng block 625 through a connecting bridge 628'. The connecting bridge 628' and the locking piece 628 may form an approximately T-shape. The connection bridge 628'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block 625 by widening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locking piece 628 and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on block 625.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ng bridge 628', a slit portion 528b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in the block locking portion 528 of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525.
도 55을 보면, 상기 연결블럭(625)의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향이란 상기 연결블럭(625)의 두께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면,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고정되는 두 부분의 높이도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5, the connection end 625a of the connection block 625 and the locking piece 628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Here, the front-back direction refers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lock 625, and represents the left-right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If the connection end 625a and the locking piece 628 are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the heights of the two parts where the connection block 625 is fixed to th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편(628)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고정되는 부분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L1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고정되는 부분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More precisely, the connecting end 625a is fix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521 and the locking piece 628 is fixed to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525, where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 The part fixed to 521) and the part fixed to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525 are positioned different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ference numeral L1 indic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 fix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521 and the part fixed to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525.
동시에, 상기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은 상하방향으로도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걸림편(628) 보다 상기 연결블럭(62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결합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end 625a and the locking piece 628 can be positioned differ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on end 625a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locking piece 628 of the connection block 625. Accordingly, the connecting end 625a and the locking piece 628 can be coupled to the
이처럼, 상기 연결블럭(625)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메인하우징(5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는 여러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결합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다 넓게 분산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nection block 625 can be fixed to the
상기 힌지모듈(600)에는 힌지센서(6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센서(640)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동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센서(6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센서(640)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품 중 하나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센서(640)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614)가 상기 힌지센서(640)를 누르면, 상기 힌지센서(640)는 상기 직선이동부(614)가 초기위치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센서(640)에 연결된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힌지센서(640)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도 60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에 연결되는 와이어하네스(W)의 일부와, 상기 와이어하네스(W)를 고정하는 와이어커버(67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를 덮어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조리기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고 상기 힌지모듈(600)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한하여, 와이어하네스(W)가 주변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Figure 60 shows a portion of the wire harness (W) connected to the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한 쌍의 힌지모듈(600) 중 하나의 힌지모듈(600) 쪽으로만 연장되므로, 상기 와이어커버(670)도 하나의 힌지모듈(600)에만 조립될 수 있다.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힌지모듈(6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이동 중에 힌지모듈(6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힌지모듈(600)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 컨트롤러(300)와 케이스(100,200)의 사이로 노출되는 부품의 표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힌지모듈(600)의 일부인 것처럼 보여지므로, 높은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의 상하 높이 보다 높은 상하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상하높이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이 완전히 돌출된 상태, 즉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힌지통공(423)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어하네스(W)도 모두 와이어커버(670)로 가려질 수 있다. 도 18을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구동암(620)의 측면이 상기 와이어커버(670)로 덮힌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Additionally,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상기 구동암(620)에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를 계속 감싼 상태로, 상기 구동암(620)의 일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제2구동암(621)과 함께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개구된 상부힌지홀(283)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300)가 완전히 열리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타단부는 상부힌지홀(28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여전히 상기 상부공간(S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와이어하네스(W)의 노출부위 전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다. The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골격은 커버몸체(6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671)는 대략 내부가 빈 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671)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통과하는 가이드채널(672, 도 65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672)은 양단이 각각 개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몸체(671)는 대략 사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이와 달리 상기 커버몸체(671)는 원통형상이거나 기타 다각형상일 수도 있다. The skeleton of the
상기 커버몸체(671)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제1구동암(621)에 연결되는 일단부인 결합헤드(673)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곡선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몸체(671)는 제1구동암(621)의 이동경로에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동과정에서 와이어하네스(W)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The cover body 67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upling head 673, which i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of the
만약, 상기 커버몸체(671)가 원호형상이라면, 상기 커버몸체(671)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몸체(671)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1구동암(621)의 회전반경 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몸체(671)는 제1구동암(621)의 회전반경과 같거나 이보다 완만한 곡선경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몸체(671)는 와이어하네스(W)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되, 이동과정에서 와이어하네스(W)와의 마찰은 최소화될 수 있다.If the cover body 671 has an arc shape, the cover body 671 may extend along a certain radius of curvatur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ver body 67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That is, the cover body 671 may have a curved path that is equal to or more gentle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In this way, the cover body 671 can be extend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harness (W), and friction with the wire harness (W) during the movement process can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이동하면서 와이어하네스(W)를 감싸기 때문에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몸체(67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가이드채널(672)은 한쪽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을 통해서 와이어하네스(W)가 쉽게 가이드채널(67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은 상기 힌지하우징(610) 또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One 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may be open. The wire harness (W)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672 through one open 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At this time, one open 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may be covered by the hinge housing 610 or the first driving arm 621.
도 64를 보면, 아직 제1구동암(621)이 전방으로 돌출되기 전에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을 가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암(621)이 전방으로 돌출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는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제1구동암(621)의 측면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4, before the first driving arm 621 protrudes forward, the side of the hinge housing 610 may cover one open 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And, when the first driving arm 621 protrudes forward, the
그리고,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높이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몸체(671)의 상단과 하단은 항상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상단과 하단 사이 구간에 머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의 전체를 가릴 수 있다. Also, the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 중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2을 보면,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결합헤드(673)가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헤드(673)는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결합헤드(673)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표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종의 집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헤드(673)에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나머지부분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coupling head 673 may have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may have a type of clamp structure, for example. Additionally,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결합헤드(673)를 포함한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상하방향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상기 제1구동암(621)을 보다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ertical height of the
한편, 상기 컨트롤러(3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결합헤드(673)의 일면은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힌지하우징(610)의 전면과 마주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결합헤드(673)가 힌지하우징(610)의 전면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원래위치 보다 더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방지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도 63 내지 도 65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헤드(673)의 구조를 보면, 상기 결합헤드(673)에는 결합핑거(674, 도 64참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674)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67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구조를 가져, 상기 제1구동암(621)에 조립될 때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674)는 상기 커버몸체(671)로부터 상기 제1구동암(621)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head 673 with reference to FIGS. 63 to 65, the coupling head 673 may include a coupling finger 674 (see FIG. 64). The coupling finger 674 may surround the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The coupling finger 674 has a cantilever structure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 some extent and then restored when assembl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The coupling finger 674 may protrude from the cover body 67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상기 결합핑거(674)는 제1결합핑거(674a)와, 제2결합핑거(67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커버몸체(67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결합헤드(673)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을 감쌀 수 있다. The coupling fingers 674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finger 674a and a second coupling finger 674b.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and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over body 671, respectively, to form the coupling head 673.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and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may surround the first driving arm 621.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상기 커버몸체(6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구동암(621)의 복수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도 65을 보면,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상면, 측면 및 저면을 각각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제1구동암(621)의 복수의 표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protrudes from the cover body 671 and may surround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Referring to FIG. 65,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may surround the top,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while rotating. In this process,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is elastically deformed to some extent and then restored,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while covering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
상기 제1결합핑거(674a)의 말단에는 제1결합단부(67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의 말단에서 다른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을 감쌀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이 아니라 측면을 감쌀 수도 있다. A first coupling end 674a'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The first coupling end 674a' may further extend in another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end 674a' may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The first coupling end 674a' may surround the bottom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upling end 674a' may protrude upward and surround the side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rather than the bottom.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커버몸체(6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구동암(621)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함께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상기 제1구동암(621)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protrudes from the cover body 671 and may surround the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like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together with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can ensure that the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란 도 65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와 상기 제1결합핑거(674a)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므로, 상기 결합헤드(673)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집게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may be provid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Here, height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Figure 65. Since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and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have different heights, the coupling head 673 may be roughly in the shape of a pinc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또한,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구동암(621)을 감쌀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제1결합핑거(674a) 보다 상기 연결블럭(62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서 상기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결합핑거(674b)가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와 상기 제1구동암(621) 사이의 결합지점이 증가하고 결합면적이 넓어져,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may surround the first driving arm 621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at a position relatively farther from the connection block 625 than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In this way, when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is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에 함몰된 결함홈부에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가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지면,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may be inserted into a defective groove recess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When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ut remains fixed at a certain position. It can be maintained.
상기 제2결합핑거(674b)에는 제2결합단부(674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단부(674b')는 상기 제2결합핑거(674b)의 말단에서 상기 제2결합핑거(674b)가 상기 커버몸체(671)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결합단부(674b')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단부(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안쪽 측면을 감쌀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end 674b'. The second coupling end 674b' may further extend from the end of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extends from the cover body 671.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end 674b' may protrude upward. The second coupling end 674b' may surroun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결과적으로,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상면, 내측면 및 저면을 감싸고,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 및 내측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다른 상하위치와 전후위치를 가지므로, 다양한 부위에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rst coupling finger 674a surrounds the top,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and the second coupling finger 674b surrounds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first driving arm 621. It wraps around the inner side. And since they have different up-down positions and front-to-back positions, they can be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arm 621 at various locations, thereby increasing assembly stability.
한편, 도 64에서 보듯이, 상기 커버몸체(671)에는 와이어클립(67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클립(677)은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을 가리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클립(677)은 상기 가이드채널(672)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바깥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ure 64, the cover body 671 may be provided with a wire clip 677. The wire clip 677 may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guide channel 672 in a direction that covers one open 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The wire clip 677 can prevent the wire harness (W)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672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이때, 복수개의 와이어클립(677)들이 상기 커버몸체(671)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복수개의 와이어클립(677)들은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클립(677)들은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wire clips 677 may be arranged along the cover body 671. More precisely, the plurality of wire clips 677 may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harness (W) extends. The plurality of wire clips 677 may each be provided at an edge of one open side of the guide channel 672.
다음으로 도 66 내지 도 79을 참조하여, 도어잠금장치(8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케이스(100,2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도어(300)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상기 도어(3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상기 케이스(100,200)가 아니라 도어(300)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66 to 79, we will look at the door lock device 800. The door lock device 800 may be placed in the
도 66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배치된 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에 보듯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일부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를 구성하는 래치(850)의 잠금헤드(855)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Figure 66 shows the location where the door lock device 800 is placed. As can be seen, a part of the door lock device 8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이처럼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면,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300)가 잠긴 상태에서 긴급하게 도어(300)를 열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래치(850)에 조립된 헤드체결구(857)를 분해하고, 잠금헤드(855)를 일방향(도 66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도어를 잠금해제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way, when a part of the door lock device 800 is placed between the bottom of the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으로만 도어잠금장치(800)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만 헤드체결구(857) 등이 노출되므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조리기기의 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oor lock 800 may be exposed only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ottom of the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분리할 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은 일종의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구를 상기 헤드체결구(857) 쪽으로 보다 쉽게 접근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as will be explained below, when removing the head fastener 857, the user can insert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into the gap between the bottom of the
도 67를 보면, 상기 어퍼커버(260)가 제거되고 전장실(S2)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어느 한쪽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측단에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힌지모듈(600)과 인접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어퍼케이스(240)의 우측단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중앙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ure 67, the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래치(850)의 잠금헤드(855)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형성된 래치홀(E1)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잠금헤드(855)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형성된 잠금홀(379)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의 일단부는 하부로 돌출되므로, 상기 잠금홀(379)에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7에는 상기 래치(850)가 아래쪽으로 회전되지 않아 상기 잠금헤드(855)도 잠금홀(379)에 걸리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A part of the door lock device 800, more precisely, the lock head 855 of the latch 850 may pass through the latch hole E1 formed in the front frame 280 and protrude forward. The protruding lock head 855 can be caught in the locking hole 379 formed in the door frame 370. Since one end of the lock head 855 protrudes downward, it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 hole 379. For reference, Figure 67 shows a state in which the latch 850 is not rotated downward and the lock head 855 is not caught in the lock hole 379.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잠금헤드(855)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걸리므로, 상기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300)를 걸 수 있다. 도 68을 보면, 상기 도어(300)가 완전히 닫히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잠금홀(379)이 상기 잠금헤드(855)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잠금헤드(855)가 상기 잠금홀(379)에 걸릴 수 없는 상태이다. Since the lock head 855 of the door lock device 800 is caught on the door frame 370, the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0)가 도 68의 화살표 방향으로 닫히면, 도 69과 같이 도어(300)가 닫힌 상태가 된다. 이렇게 도어(3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잠금헤드(855)의 회전경로 상에 상기 잠금홀(379)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가 도 69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잠금홀(379)에 삽입되어 도어(300)를 잠금상태로 만들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모터 등 동력원을 통해서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800)는 자동으로 동작되면서 잠금상태와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The door lock device 800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through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The door lock device 800 operates automatically and can be in a locked or unlocked state. The door lock device 80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700 and its opera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700.
도 70과 도 71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잠금하우징(810)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하우징(810)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하우징(8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모터(820), 잠금기어(831,835), 구동슬라이더(840), 래치(850), 닫힘버튼(870), 버튼스프링(879), 잠금센서(860), 닫힘센서(880) 등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0 and 71, the lock housing 810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door lock device 800. The lock housing 810 may be placed in the
이때, 상기 닫힘버튼(870)이 도어(300)에 의해 후방(화살표①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닫힘센서(880)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잠금모터(8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모터(8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래치(850)는 아래쪽(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300)를 잠금상태로 만들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lose button 870 is pressed backwards (in the direction of arrow ①) by the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부품들이 설치되면, 상기 래치(850)와 상기 닫힘버튼(870)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기어(831,835) 및 구동슬라이더(840)는 잠금커버(819)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부품들이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배치될 수 있다. When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he lock housing 810, the latch 850 and the close button 870 may protrude forward. Additionally, the locking gears 831 and 835 and the driving slider 840 may be shielded by a locking cover 819. In this way, the door lock device 800 can be placed on the
도 72을 보면, 상기 잠금하우징(810)에는 함몰된 형태의 설치공간(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811)의 가장자리에는 장착돌기(8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812)에는 상기 잠금커버(819)의 커버홀(819')과, 상기 잠금모터(820)의 브라켓홀(824)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812)는 상기 설치공간(811)을 감싸는 벽구조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72, a recessed installation space 811 may be formed in the lock housing 810. A mounting protrusion 812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installation space 811. The cover hole 819' of the locking cover 819 and the bracket hole 824 of the locking motor 820 can be fit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812, respectively. The mounting protrusion 812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structure surrounding the installation space 811.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하우징(810)이 생략되거나, 상기 잠금하우징(810)은 상기 상부공간(S2)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잠금하우징(810)은 상기 케이스(100,200)를 구성하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잠금기어(831,835), 구동슬라이더(840), 래치(850) 등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lock housing 810 may be omitted, or the lock housing 810 may be provided integrally in the upper space (S2). That is, the lock housing 810 may be a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잠금모터(820)는 상기 설치공간(811)을 감싸는 벽구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기어(831,835), 구동슬라이더(840), 래치(850) 등은 상기 잠금모터(8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motor 820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structure surrounding the installation space 811. Accordingly, the locking gears 831 and 835, the driving slider 840, and the latch 850 may be disposed below the locking motor 820.
상기 설치공간(811)의 전방에는 제1작동경로(813)와 제2작동경로(8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경로(813)와 상기 제2작동경로(815)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경로(813)에는 상기 래치(850)와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경로(815)에는 상기 닫힘버튼(870)이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operation path 813 and a second operation path 815 may be arranged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space 811. The first operation path 813 and the second operation path 815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e latch 850 and the driving slider 84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operation path 813. The close button 870 may be placed on the second operation path 815.
상기 설치공간(811)을 상기 잠금커버(819)가 덮을 수 있다. 상기 잠금커버(819)는 상기 설치공간(811)의 상부를 덮어 상기 잠금기어(831,835)와 구동슬라이더(84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잠금커버(819)는 상기 잠금모터(820)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잠금모터(820)와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locking cover 819 may cover the installation space 811. The locking cover 819 ma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space 811 and partially cover the locking gears 831 and 835 and the driving slider 840. The lock cover 819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lock motor 820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lock motor 820.
상기 설치공간(811)의 상부에는 잠금모터(8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모터(820)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동작되도록 하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잠금모터(820)의 단자(827)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700)로부터 전원과 동작신호를 받을 수 있다. 도면부호 824는 상기 장착돌기(812)에 끼워지는 브라켓홀(824)을 나타낸 것이다. A locking motor 820 may be placed at the top of the installation space 811. The lock motor 820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operate the door lock device 800. The terminal 827 of the lock motor 82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700 and can receive power and operation signals from the main control unit 700. Reference numeral 824 denotes a bracket hole 824 fit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812.
상기 잠금모터(820)의 하부에는 모터축(822)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모터축(822)은 상기 잠금모터(820)의 회전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축(8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기어(831,835) 중 제1잠금기어(831)에 맞물려, 상기 제1잠금기어(8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A motor shaft 822 may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locking motor 820. The motor shaft 822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cking motor 820. The motor shaft 822 may engage the first lock gear 831 among the lock gears 831 and 83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rotate the first lock gear 831.
상기 설치공간(811)에는 잠금기어(831,8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831,835)는 상기 잠금모터(8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831,835)는 복수의 기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831,835)에는 상기 모터축(82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잠금기어(831)와, 상기 제1잠금기어(831)에 맞물려 상기 제1잠금기어(8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잠금기어(83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기어(831)와 상기 제2잠금기어(835)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Locking gears 831 and 835 may be placed in the installation space 811. The locking gears 831 and 835 may operate the driving slider 840 while rotating by the locking motor 820. The lock gears 831 and 835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s. The lock gears 831 and 835 include a first lock gear 831 that engages with the motor shaft 822 and rotates, and a first lock gear 831 that engages with the first lock gear 831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lock gear 831. A second locking gear 835 may be included. The first lock gear 831 and the second lock gear 835 may be composed of spur gears arranged side by side.
이때, 상기 제1잠금기어(831)에는 센싱돌부(8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눌러, 상기 잠금센서(860)가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862는 상기 센싱돌부(833)에 의해 눌리게 되는 상기 잠금센서(860)의 버튼부(877)를 나타낸 것이다. At this time, the first lock gear 831 may be provided with a sensing protrusion 833. The sensing protrusion 833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lock gear 831. The sensing protrusion 833 can operate the lock sensor 860.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rst lock gear 831, the sensing protrusion 833 presses the lock sensor 860 so that the lock sensor 860 detects the rotation state of the first lock gear 831. do. Reference numeral 862 denotes a button portion 877 of the lock sensor 860 that is pressed by the sensing protrusion 833.
상기 제2잠금기어(835)에는 구동돌부(8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돌부(837)는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돌부(837)는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에 맞물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회전운동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돌부(837)는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링크단(842)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The second lock gear 835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protrusion 837. The driving protrusion 837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lock gear 835. The driving protrusion 837 is engaged with the driving slider 840, allowing the driving slider 840 to move in a straight line. That i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lock gear 835 can be converted in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slider 840. More precisely, the driving protrusion 837 is connected to the link end 842 of the driving slider 840 to operate the driving slider 840.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기어(831,835)는 하나의 기어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센싱돌부(833)와 상기 구동돌부(837)는 모두 하나의 기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기어(831,835)가 3개 이상의 기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기어들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모터(82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lock gears 831 and 835 may consist of only one gear. At this time, both the sensing protrusion 833 and the driving protrusion 837 may be included in one gear. As another example, the lock gears 831 and 835 may be composed of three or more gear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gears may engage and rotate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 deceleration function that reduc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locking motor 820.
상기 제2잠금기어(835)에는 구동슬라이더(8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는 상기 제1작동경로(81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는 상기 제1작동경로(81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일단부는 상기 제2잠금기어(83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래치(85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래치(8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A driving slider 8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ck gear 835. The driving slider 84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operation path 813. The driving slider 840 can move linear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first operation path 813. One end of the driving slider 8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 gear 835, and the other end can selectively interfere with the latch 850 to rotate the latch 850.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일단부에는 링크단(8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단(842)은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링크단(842)의 저면에는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구동돌부(837)가 끼워지는 링크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돌부(837)는 원호형상의 링크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A link end 842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ing slider 840. The link end 842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ock gear 835 and cover a portion of the second lock gear 835. Although not shown, a link slot into which the driving protrusion 837 of the second lock gear 835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ink end 842. The driving protrusion 837 can move the driving slider 840 in a straight line while moving along the arc-shaped link slot.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타단부에는 구동헤드(8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850)와 간섭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 하부로 파고들어 상기 래치(850)의 한쪽을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한쪽이 들어올려지면 반대쪽은 내려가게 되는데, 이처럼 내려가는 쪽에 상기 잠금헤드(855)가 구비될 수 있다. A driving head 845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slider 840. The driving head 845 may interfere with the latch 850 while the driving slider 840 moves in a straight line. More precisely, the driving head 845 can dig into the lower part of the interference end 851 of the latch 850 and lift one side of the latch 850. When one side of the latch 850 is lifted, the other side goes down, and the lock head 85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that goes down like this.
이를 위해서, 상기 구동헤드(845)의 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일 수 있다. 즉, 상기 구동헤드(845)는 말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 하부를 보다 쉽게 파고들 수 있다. To this end, the surface of the driving head 845 may be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That is, the height of the driving head 845 may decrease toward the end. Accordingly, the driving head 845 can more easily dig into the lower part of the interference end 851 of the latch 850.
도 72을 보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와 상기 링크단(842)은 서로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링크단(842)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단(842)은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헤드(845) 보다 높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72, the driving head 845 of the driving slider 840 and the link end 842 may have different heights. The driving head 845 may be provided relatively lower than the link end 842. Since the link end 842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lock gear 835, it can be provided higher than the driving head 845.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전방에는 래치(8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일부는 상기 제1작동경로(81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가 회전되면, 그 과정에서 래치(850)의 앞부분에 구비된 잠금헤드(855)가 아래쪽을 향하거나, 상기 잠금헤드(855)가 위쪽으로 들릴 수 있다. A latch 85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ing slider 840. A portion of the latch 85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irst operation path 813. When the latch 850 is rotated, the lock head 855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latch 850 may face downward or the lock head 855 may be lifted upward.
상기 래치(850)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홀(379)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850)는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홀(379)에서 벗어날 수 있다. The latch 850 may rotate in a first direction and be caught in the locking hole 379. Additionally, the latch 850 may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escape from the locking hole 379.
본 실시례에서, 상기 래치(850)는 상기 잠금버튼(87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잠금버튼(870)은 상기 래치(850) 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도어(300)에 구비된 잠금몸체(378)의 누름면(378a)에 눌릴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atch 850 is disposed above the lock button 870. The lock button 870 may be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surface 378a of the lock body 378 provided on the
상기 래치(850)의 일단에는 간섭단(8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섭단(851)은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와 간섭되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들어올리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가 상기 간섭단(851)의 하부를 들어 올릴 수 있다. An interference end 851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latch 850. The interference end 851 can be viewed as a part that interferes with the driving slider 840 and lifts the driving slider 840. The driving head 845 of the driving slider 840 can lift the lower part of the interference end 851.
상기 래치(850)의 회전홈부(852)에는 래치회전축(85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치회전축(853)은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형성된 래치회전홀(814)에 끼워져, 상기 래치(850)의 회전중심축이 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회전홈부(852)가 상기 제1작동경로(813) 안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회전축(853)은 상기 제1작동경로(813)의 바깥쪽에서 상기 래치회전홀(814)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회전홈부(852)에 끼워질 수 있다. A latch rotation shaft 853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groove portion 852 of the latch 850. The latch rotation axis 853 may be inserted into the latch rotation hole 814 formed in the lock housing 810 and become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latch 850.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groove portion 852 of the latch 85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operation path 813, the latch rotation axis 853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operation path 813 at the latch rotation hole 814. ) can be inserted through and fitted into the rotation groove 852.
상기 래치(850)에는 복귀스프링(8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854)은 상기 래치회전축(853)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854)은 상기 래치(850)의 잠금헤드(855)가 들리는 방향, 즉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치(85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상기 래치(850)와 간섭되어 래치(850)를 내리지 않을 때에는 상기 래치(850)의 상기 잠금헤드(855)는 들어올려진 상태인 잠금해제상태가 된다. The latch 850 may be provided with a return spring 854. The return spring 854 may be a torsion spring inserted into the latch rotation shaft 853. The return spring 854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latch 850 so that the lock head 855 of the latch 850 can rotate upward, that is, in a lifting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slider 840 interferes with the latch 850 and does not lower the latch 850, the lock head 855 of the latch 850 is lifted and unlocked.
도 73과 도 74에는 상기 잠금헤드(855) 부분이 들어올려진 상태, 즉 잠금해제상태일 때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후방으로 후퇴하면, 상기 래치(850)의 앞부분인 잠금헤드(855)는 들어올려진다. 상기 래치(850)에는 상기 복귀스프링(854)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을 들어올리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73 and 74 show the door lock device 800 when the lock head 855 is lifted, that is, in an unlocked state. As can be seen, when the driving slider 840 retreats rearward, the lock head 855, which is the front part of the latch 850, is lifted. Since the return spring 854 is connected to the latch 850, if the driving slider 840 does not lift the interference end 851 of the latch 850, the lock can be basically unlocked.
도 74에서 보듯이, 이처럼 잠금해제상태일 때,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누르지 않는다. 동시에,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구동돌부(837, 도 74에는 미도시)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링크단(842)도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도 후퇴하여,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과 이격된다. As shown in Figure 74, when in the unlocked state, the sensing protrusion 833 of the first lock gear 831 does not press the lock sensor 860.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protrusion 837 (not shown in FIG. 74) of the second lock gear 835 moves rearward, and the link end 842 of the driving slider 840 also moves rearward. In addition, the driving head 845 of the driving slider 840 also retreat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terference end 851 of the latch 850.
도 75과 도 76에는 상기 잠금헤드(855) 부분이 내려간 상태, 즉 잠금상태일 때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전방으로 전진하면, 상기 래치(850)의 앞부분인 잠금헤드(855)는 내려가게 된다. 상기 복귀스프링(8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전진하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을 들어올려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Figures 75 and 76 show the door lock device 800 when the lock head 855 is lowered, that is, in a locked state. As can be seen, when the driving slider 840 moves forward, the lock head 855, which is the front part of the latch 850, goes down. When the driving slider 840 moves forwar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854, the driving slider 840 lifts the interference end 851 of the latch 850 and enters a locked state.
도 76를 보면, 닫힘버튼(870)이 도어(300)에 눌려 후퇴(화살표①방향)하면, 상기 닫힘센서(88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닫힘센서(880)의 신호가 메인제어부(700)에 전달되어,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잠금모터(820)를 동작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6, when the close button 870 is pressed against the
상기 잠금모터(820)가 동작되면, 상기 잠금모터(820)는 상기 제1잠금기어(831)를 일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기어(831)에 맞물린 상기 제2잠금기어(835)는 타방향(화살표③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기어(835)가 회전하면,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구동돌부(837, 도 76에는 미도시)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링크단(842)도 전방(화살표④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locking motor 820 is operated, the locking motor 820 can rotate the first locking gear 831 in one direction (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도 전진하여,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의 밑으로 파고든다. 이에 따라 상기 간섭단(851)의 반대편인 잠금헤드(855)는 아래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헤드(855)는 상기 잠금홀(379)에 걸리게 된다.(도 70 참조)At the same time, the driving head 845 of the driving slider 840 also advances and goes under the interference end 851 of the latch 850. Accordingly, the lock head 855 opposite the interference end 851 can rotate downward. And the lock head 855 is caught in the lock hole 379 (see Figure 70).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눌러 잠금상태를 감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눌러, 상기 잠금센서(860)가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이러한 잠금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잠금모터(82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1회전하면 상기 센싱돌부(833)가 상기 잠금센서(860)를 누를게 된다. 즉,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1회전하면 상기 센싱돌부(833)는 원위치하여 상기 잠금센서(86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In this state, the sensing protrusion 833 of the first lock gear 831 can detect the locking state by pressing the lock sensor 860.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rst lock gear 831, the sensing protrusion 833 presses the lock sensor 860 so that the lock sensor 860 detects the rotation state of the first lock gear 831. It is done. The main control unit 700 can detect this locking state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otor 820. In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lock gear 831 rotates once, the sensing protrusion 833 presses the lock sensor 860. That is, when the first lock gear 831 rotates once, the sensing protrusion 833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operates the lock sensor 860.
한편, 도 77와 도 78을 보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회전홈부(852)를 중심으로 상기 간섭단(851)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간섭단(85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간섭단(851)이 상기 구동헤드(845)에 의해 들어올려지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반대로 상기 복귀스프링(854)에 의해 상기 간섭단(851)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Meanwhile, looking at FIGS. 77 and 78, the lock head 855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terference end 851 with the rotation groove 852 as the center. The lock head 855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terference end 851. That is, when the interference end 851 is lifted by the driving head 845, the lock head 855 moves downward, and conversely, the interference end 851 moves downward by the return spring 854. When lowered, the lock head 855 is lifted upward.
이때,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의 일단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는 헤드체결구(857)에 의해 상기 래치(850)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상기 래치(850)에서 풀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래치(8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 head 855 may be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latch 850. The lock head 855 can be assembled to the latch 850 in a detachable state using a head fastener 857. Then, when the head fastener 857 is released from the latch 850, the lock head 855 can be separated from the latch 850.
도 78을 보면, 상기 래치(850)의 앞부분에는 래치홈(8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홈(854)에는 상기 잠금헤드(855)의 헤드결합부(856)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래치홈(854)과 상기 헤드결합부(856)는 모두 상기 래치(850)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 즉 상기 회전홈부(852)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78, a latch groove 854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latch 850. The head coupling portion 856 of the lock head 855 may be fitted into the latch groove 854. Both the latch groove 854 and the head coupling portion 856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atch 850, that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groove portion 852.
상기 래치홈(854)에 상기 헤드결합부(856)가 끼워지면, 상기 래치(8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해제홀(854a)과, 상기 잠금헤드(855)에 형성된 제2해제홀(855a)이 서로 연속될 수 있다. 이렇게 연속된 제1해제홀(854a)과 제2해제홀(855a)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볼트인 경우에,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회전하여 상기 제1해제홀(854a)과 제2해제홀(855a)에 조여질 수 있다. When the head engaging portion 856 is inserted into the latch groove 854, a first release hole 854a formed on one end of the latch 850 and a second release hole formed on the lock head 855 ( 855a) may be consecutive to each other. The head fastener 857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release hole 854a and the second release hole 855a that are continuous in this way. When the head fastener 857 is a bolt, the head fastener 857 can be rotated and fastened to the first release hole 854a and the second release hole 855a.
반대로,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분리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해될 수 있다.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분리되고, 상기 헤드결합부(856)가 상기 래치홈(854)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헤드(855)가 이동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래치(850)에서 분리된다. Conversely, when the head fastener 857 is separated, the lock head 855 can be disassembled from the latch 850. When the head fastener 857 is separated and the lock head 855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coupling portion 856 is removed from the latch groove 854, the lock head 855 latches (850). is separated from
상기 잠금헤드(855)는 긴급한 상황에서 도어잠금장치(8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의 작동중에 상기 조리기기가 이상동작을 하거나, 절전이 되어 상기 도어(300)를 열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상기 도어(300)를 임의로 개방할 필요가 있다. 이럴 때, 사용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풀고, 상기 잠금헤드(855)를 분리하여 도어(300)를 잠금해제상태로 만들 수 있다. The lock head 855 can be separated from the door lock device 800 in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if the cooking appliance operates abnormally or the
도 79을 보면,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전방(화살표①방향)으로 분리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왼쪽(화살표②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헤드(855)가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잠금홀(379)에 걸리면 상기 도어(300)가 잠금상태가 되는데, 상기 잠금헤드(855)가 도어잠금장치(800)에서 분리되면 자연스럽게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79, when the head fastener 857 is separat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arrow ①), the locking head 855 can be separated to the left (in the direction of arrow ②). At this time, when the lock head 855 is caught in the lock hole 379 of the door frame 370, the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잠금홀(379)은 상기 잠금헤드(855)가 걸리는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잠금헤드(855)가 분리된 후에 이동되는 경로가 될 수도 있다. 도 79에는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잠금홀(379)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풀고 나서 상기 잠금헤드(855)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잠금헤드(855)가 분실될 위험이 낮아지게 된다. The locking hole 379 of the door frame 370 is a part where the lock head 855 is caught, and may also serve as a path along which the lock head 855 moves after being separated. In Figure 79, the lock head 855 is shown moving to the left along the lock hole 379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latch 85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lock head 855 after loosening the head fastener 857, and the risk of losing the separated lock head 855 is reduced.
이때, 상기 헤드체결구(857)는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71를 보면,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상기 도어(300)의 상단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 사이에서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의 상단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 사이의 높이는 상기 헤드체결구(857)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더 넓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면에서 이를 바라보지 않는다면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3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노출되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헤드(855)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도어(300)를 걸어 고정시킨 상태가 해제되어, 잠금해제상태로 변경된다. At this time, the head fastener 857 may be exposed forward. Referring to FIG. 71, the head fastener 857 may be exposed forward between the top of the
다시 도 71와 도 72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에는 닫힘버튼(8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도어(300)가 닫힌 상태인지 또는 열린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잠금하우징(810)의 제2작동경로(815)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71 and 72, the door lock device 800 may be provided with a close button 870. The close button 870 is used to detect whether the
상기 닫힘버튼(870)의 일부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버튼홀(E2, 도 67 참조)을 통해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은 도어(300)의 후면에 눌릴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의 전단부가 상기 도어(300)에 눌려 후퇴하면, 상기 닫힘버튼(870)의 타단부는 닫힘센서(880)를 눌러 도어(300)의 닫힘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8에는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인 눌림단(875)이 상기 잠금몸체(378)의 누름면(378a)에 눌리기 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9에는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인 눌림단(875)이 상기 잠금몸체(378)의 누름면(378a)에 눌려 후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A portion of the close button 870 may protrude forward. The front part of the close button 870 may protrude forward through the button hole (E2, see FIG. 67) of the front frame 280. The front part of the protruding close button 870 can be pressed against the rear of the
이때,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래치(850) 보다 상기 케이스(100,200)의 좌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100,20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래치(850) 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상기 닫힘버튼(870)을 배치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lose button 87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상기 닫힘버튼(87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에는 도어(300)에 의해 눌리는 눌림단(8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눌림단(875)은 상기 도어(300)에 의해 눌리는 전면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닫힘버튼(870)의 뒷부분에는 상기 닫힘센서(880)를 누르는 버튼부(87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lose button 870 may be shaped like a bar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A pressing end 875 that is pressed by the
그리고, 상기 버튼부(877)에는 버튼스프링(879)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버튼스프링(879)은 상기 닫힘버튼(87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닫힘버튼(87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튼스프링(879)의 일단은 상기 버튼부(877)에 걸려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지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button spring 879 may be inserted into the button portion 877. The button spring 879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lose button 870 to move the close button 870 forward. One end of the button spring 879 may be fixed to the button portion 877, and the other end may be supported by the lock housing 810.
도면부호 882는 상기 버튼부(877)에 의해 눌리는 상기 닫힘센서(880)의 닫힘감지버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닫힘감지버튼(882)은 상기 버튼부(877)의 말단에 의해 눌릴 수도 있으나, 상기 버튼부(877)의 앞단에 구비된 단차에 의해 눌릴 수도 있다. 도 76를 보면, 상기 닫힘버튼(870)이 도어(300)에 의해 눌려 후퇴하는 방향이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Reference numeral 882 denotes a closing detection button of the closing sensor 880 that is pressed by the button portion 877. The closing detection button 882 may be pressed by the distal end of the button portion 877 or by a step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utton portion 877. Referring to Figure 76,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ose button 870 is pushed and retreated by the
다음으로 도 80 내지 도 87를 참조하여 상기 조명모듈(9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캐비티(S1)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S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케이스(100,2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Next, the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전장실(S2)의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되는 조명가이드(910)와, 상기 조명가이드(910)에 의해 둘러싸이는 조명장치(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조명장치(920)를 둘러싸고, 외부의 열이 상기 조명장치(920)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조명모듈(9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조명모듈(900)의 케이스로 볼 수도 있다. The lighting guide 910 may form part of the
도 80을 보면,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직접 배치되거나,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결합되는 가이드덕트(25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케이스(240)에까지 연장되는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ure 80, the
이처럼 상기 조명모듈(900)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배치되면,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 즉 제3공기유로(AC3, 공기배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캐비티(S1)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고온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공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when the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가이드부(250b)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상기 조명모듈(9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과 상기 조명모듈(900)은 모두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고, 이는 결국 조리기기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The
이처럼 상기 조명모듈(900)이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되면,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캐비티(S1)의 중심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1)의 중심으로 빛이 조사되면, 캐비티(S1)의 어느 한쪽이 더 밝거나 어둡지 않고 고르게 빛이 퍼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캐비티(S1) 내부의 조리물을 보다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이때,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조명모듈(900)의 길이방향(도 80을 기준으로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K3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조명모듈(900)이 비스듬하게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명모듈(900)의 좌우를 지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모듈(900)이 장착되는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에 대해 20도 내지 40도 사이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존재로 인해 가이드덕트(250)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체결부(255)가 이처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배기구(282)의 위치별 공기 토출량의 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Preferably, the lighting fastening portion 255 on which the
도 81와 도 82에는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고정되는 조명모듈(900)의 조명가이드(910)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골격은 가이드몸체(91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입체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 즉 상기 제3공기유로(AC3)에 배치될 수 있다. 81 and 82 show the structure of the lighting guide 910 of th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로부터 상기 도어(300)를 향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공간(S2)의 전방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다. More precisely, the lighting guide 910 may be place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cooling fan module 410 toward the
또한,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상부공간(S2)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상부공간(S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fan module 410 may be placed rearward bas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pace (S2), and the lighting guide 910 may be placed forward bas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pace (S2). You can.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좌우폭 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곡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대략 타원형상의 평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명가이드(910)의 구조는 상기 제3공기유로(AC3)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양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e guide body 911 may extend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In addition, the guide body 911 may have a curved structure at its upper and lower ends, which are relatively short in length. Accordingly, the lighting guide 910 may have a substantially oval-shaped planar structure. This structure of the lighting guide 910 can induce the air flowing inside the third air passage AC3 to naturally flow to both sides of the lighting guide 910.
이때,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도 80의 상하방향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도 80를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조명가이드(910)에 의한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공기의 배출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어드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lighting guide 910 is positio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an blade 417 (arrow in FIG. 80) based on the center line (up and down extension line in FIG. 80)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irection) and can be arranged inclinedly. In this way, the air flow resistance caused by the lighting guide 910 can be reduced. In other words, as the lighting guide 91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the air flow resistance is reduced.
달리 표현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the lighting guide 910 can be viewed as being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fan module 4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을 따라 20° 내지 40° 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조명가이드(91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팬블레이드(417)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ghting guide 9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y 20° to 40°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blade 417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 In this embodiment, the fan blade 417 rotates clockwise, so the lighting guide 910 can also be arranged in a clockwise rotation. If the fan blade 417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lighting guide 910 may also be arranged in a counterclockwise rotation.
아래 표1은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단위: °)에 따른 유량(단위: CMM, Cubic Meter per Minute)과, 압력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유량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의해 배출되어 배기구(282)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압력표준편차는 상기 배기구(282)의 좌측단, 중심부, 우측단에서 각각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의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1 below shows the flow rate (unit: CMM, Cubic Meter per Minute) and pressure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unit: °) of the lighting guide 910. Here, the flow rate represents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by the cooling fan module 410 and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282. And the pressure standard deviation represent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ssure caus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left, center, and right ends of the exhaust port 282, respectively.
위 표1에서 보듯이,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이 5° 내지 15°인 경우에, 유량은 적고 압력표준편차는 큰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이 45° 내지 70°인 구간에서 유량은 다시 적어지고, 압력표준편차는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을 따라 20° 내지 40° 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때, 상대적으로 유량이 많고, 압력표준편차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은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abov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ighting guide 910 is 5° to 15°, the flow rate is small and the pressure standard deviation is larg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n the section whe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ighting guide 910 is 45° to 70°, the flow rate decreases again and the pressure standard deviation increases. When the lighting guide 910 is formed to be inclined by 20° to 40°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an blade 417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cooling fan module 410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flow rate is relatively low. There are many, and the pressure standard deviation is small.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desi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ighting guide 910 is 20° to 40°.
이처럼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은 20° 내지 40°이면,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은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과 같아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공간(256)은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를 향해 점점 넓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을 타고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팬체결부(254)가 경사진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ighting guide 910 is 20° to 4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ighting guide 910 may be the same as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56a of the discharge space 256.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space 256 may gradually widen toward the outlet 256a of the discharge space 256, and accordingly, the discharge space 256 flow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250a.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56a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n fastening portion 254 is inclined.
이때,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몸체부(250a)를 지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은 상기 팬블레이드(417)를 벗어난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은 상기 토출공간(256)을 지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직접 상기 팬블레이드(417)를 향하지 않게 되고, 공기의 토출방향과 마주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ension lin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ing guide 910 may pass through the body portion 250a of the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 보다 상기 상부공간(S2)의 전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 보다 상기 도어(300)와 마주보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가이드(910)와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사이에 충분한 공기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ing guide 91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space (S2) than the cooling fan module 410. In other words, the lighting guide 910 is disposed closer to the front frame 280 facing the
이때, 상기 조명가이드(910)과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장실(S2)의 중심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가이드(910)과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모두 상기 전장실(S2)의 좌우폭방향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냉각팬모듈(410)이 배출하는 공기는 조리실(S2)의 전방으로 고르게 유동할 수 있고, 조명모듈(900)이 조사하는 빛은 캐비티(S1)의 내부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ghting guide 910 and the cooling fan module 410 may be dispo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That is, both the lighting guide 910 and the cooling fan module 410 can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ompartment (S2). In this way, the air discharged by the cooling fan module 410 can flow evenly to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S2),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중심에는 가이드공간(9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상기 조명가이드(9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상부는 전장실(S2) 내부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하부는 상기 캐비티(S1)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명하우징(921), 조명기판(930) 등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A guide space 91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ghting guide 910. The guide space 912 may be created by penetrating the lighting guide 9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space 912 may be open into the electrical equipment compartment (S2), and the lower part of the guide space 912 may be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cavity (S1). Components such as a lighting housing 921 and a lighting board 9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placed in the guide space 912.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장공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장공형상이란, 좌우 폭 방향 보다 전후 깊이 방향이 더 긴 것을 의미한다. 좌우 폭 방향은 조리기기의 좌우 방향을 나태나는 것으로 도 1의 Y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후 깊이 방향은 조리기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 1의 X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어느 정도 여유공간을 두고 상기 조명장치(92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The guide space 912 may have a long hole shape. Here, the long hole shape means that the front-to-back dep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ndicat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means the Y direction in FIG. 1. And the front-to-back depth direction is based on the cooking appliance viewed from the front, and refers to the X direction in FIG. 1. The guide space 912 may surround the side of the lighting device 920 with a certain amount of free space.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하단은 상기 제3공기유로(AC3)인 공기배출유로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제3공기유로(AC3)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부나 하부로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측면을 지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lighting guide 91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단에는 가이드고정편(9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고정편(913)은 상기 조명가이드(910)를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고정편(913)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조립될 수 있다. A guide fixing piece 913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lighting guide 910. The guide fixing piece 913 is for fastening the lighting guide 910 to the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입구에는 가이드단차(도면부호 미부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단차(914)는 걸림리브(917)로부터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안쪽을 향해서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단차(914)는 상기 조명장치(920)가 상기 가이드공간(912)에 삽입될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걸림리브(917)의 주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 guide step (not provided) may be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guide space 912. The guide step 914 may be gradually narrowed in width from the engaging rib 917 toward the inside of the guide space 912. The guide step 914 can serve as a guide when the lighting device 9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912 and can increase the surrounding strength of the engaging rib 917.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측면에는 평면부(9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914)는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81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평면부(914)는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측면에 직선구간을 만들 수 있다. 상기 평면부(914)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전체적으로 장공형상이 될 수 있다. A flat portion 914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uide body 911. The flat portion 91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911, respectively. When viewed from the top as shown in FIG. 81, the flat portion 914 can create a straight section on the side of the guide body 911. Due to the flat portion 914, the guide space 912 may have an overall long hole shape.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표면 중에서 상기 냉각팬모듈(410)을 향한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곡면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위쪽,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전면에는 곡면부(915)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915)는 한 쌍의 상기 평면부(91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표면이 곡면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Among the surfaces of the lighting guide 910, part or all of the surface facing the cooling fan module 410 may be curved. In this embodiment, a curved portion 915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guide body 911 above the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표면을 유선형으로 만들어, 상기 제3공기유로(S3)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만들 수 있다. 도 81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곡면부(915)는 대략 반원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다르게는,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전방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The curved portion 915 can make the surface of the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걸림리브(9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917)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917)는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리브(917)는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A locking rib 917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dge of the lighting guide 910. The engaging rib 917 may protrude in a direction to expand the width of the lighting guide 910. The engaging rib 917 ensures that the lighting guide 910 is caught and fixed to the lighting fastening portion 255. The locking rib 917 may be seated on the top of the lighting fastening portion 255.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되면, 상기 걸림리브(917)가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리고,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3공기유로(AC3)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lighting guide 910 is placed on the lighting fastening part 255, the engaging rib 917 is caught on the upper edge of the lighting fastening part 255, and the guide body 911 is attached to the
도 83에는 조명장치(9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장치(920)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가이드공간(9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92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S1) 내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920)에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원(935)이 구비된 조명기판(93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명기판(930)은 상기 전장실(S2)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Figure 83 shows a lighting device 920. The lighting device 9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guide space 912 of the lighting guide 910. The lighting device 92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700 and can irradiate light into the cavity (S1). The lighting device 920 may include a lighting board 9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700 and equipped with a light source 935, and the lighting board 930 is directed toward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S2. may be exposed.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조명장치(920)의 골격은 조명하우징(921)이 형성할 수 있다. 도 84와 도 85에서 보듯이, 상기 조명하우징(921)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가이드공간(912)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부 중 일부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ghting housing 921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lighting device 920. As shown in FIGS. 84 and 85, the lighting housing 921 may have an approximately hexahedral shape. The upper part of the lighting housing 921 is surrounded by the guide space 912 of the lighting guide 910, and a portion of the lower part may be fixed to the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고정을 위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조명고정브라켓(922)과, 삽입몸체(923)가 상기 조명하우징(921)을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과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과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양단에 서로 이격되게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ing housing 921 may include a part for fixing the lighting housing 921. In this embodiment, the lighting housing 921 may include a lighting fixing bracket 922 and an insertion body 923 to secure the lighting housing 921 to the lighting fastening portion 255. The lighting fixing bracket 922 and the insertion body 92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ighting housing 921. In addition, the lighting fixing bracket 922 and the insertion body 923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ighting housing 92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에는 체결구가 조립되는 조명고정홀(922a)이 형성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은 상기 조명하우징(921)으로부터 대략 L자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The lighting fixing bracket 922 is formed with a lighting fixing hole 922a into which a fastener is assembled, and can be fixed to the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과 함께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되어, 상기 조명하우징(921)이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이 체결구로 고정되기에 앞서,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을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가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 보다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다.The insertion body 923 may be inserted into the
도 85에는 도 84와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삽입몸체(923)가 생략되고, 한 쌍의 조명고정브라켓(922,923')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조명고정브라켓(922,923')은 각각 조명고정홀(922a, 923a)을 가지고, 서로 다른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될 수 있다. Figure 85 shows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ure 84. As can be seen, the insertion body 923 may be omitted in the lighting housing 921, and a pair of lighting fixing brackets 922 and 923' may be provided. The pair of lighting fixing brackets 922 and 923' each have lighting fixing holes 922a and 923a, and can be fixed to the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는 광원장착부(9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장착부(924)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명기판(93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제1기판고정부(926)와 제2기판고정부(927)가 구비되어, 상기 조명기판(930)을 고정할 수 있다. A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924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lighting housing 921.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924 may be made recessed in the upper part of the lighting housing 921. A lighting board 9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placed in the lighting housing 921. In addition, the lighting housing 921 is provided with a first substrate fixing part 926 and a second substrate fixing part 927, so that the lighting substrate 930 can be fixed.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조명홀(925)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조명홀(925)은 상기 조명하우징(92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조명홀(925)은 상기 조명기판(930)의 광원(935)이 통과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조명홀(925)은 원형구조일 수 있다. 도 84에서 보듯이, 상기 조명홀(925)의 일단은 상기 광원장착부(924)에 개방될 수 있다. A lighting hole 925 may pass through the lighting housing 921. The lighting hole 925 may penetrate the lighting housing 92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ghting hole 925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source 935 of the lighting board 930 passes. The lighting hole 925 may have a circular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84, one end of the lighting hole 925 may be open to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924.
도 85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홀(925)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홀더(92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조명홀(925)을 둘러, 아래쪽 즉 캐비티(S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광원(935)에 연결되는 광가이드(940)의 일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말단에는 후크단부(925a')가 돌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85, a guide holder 925a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lighting hole 925. The guide holder 925a may surround the lighting hole 925 and protrude downward, that is, toward the cavity S1. The guide holder 925a can hang and fix a part of the light guide 940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935. For this purpose, a hook end 925a' ma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guide holder 925a.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조명홀(925)을 감싸는 복수의 가이드홀더(925a)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홀더(925a)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외팔보구조이므로, 상기 광가이드(940)와의 결합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되었다가 광가이드(940)와 결합된 후에 복원될 수 있다. The guide holder 925a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e holders 925a surrounding the lighting hole 925. The plurality of guide holders 925a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an each be elastically deformed. Since the guide holder 925a has a cantilever structure, it is naturally elastically deformed during the coupling process with the light guide 940 and can be restored after being coupled with the light guide 94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일단은 상기 광원장착부(924)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가 될 수 있다. More precisely, one end of the guide holder 925a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924,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lder 925a may be a free end extending downward.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복수의 가이드홀더(925a)들로 구성되되, 그 중 일부의 가이드홀더(925a)에만 후크단부(925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5을 보면, 총 4개의 가이드홀더(925a) 들 중에서 두 개의 가이드홀더(925a)들은 상기 후크단부(925a')를 갖지만, 나머지 두 개의 가이드홀더(925a)는 후크단부(925a')가 생략되는 것이다. 도 86를 보면, 상기 후크단부(925a')가 상기 광가이드(940)의 걸림홈(943)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 87를 보면, 상기 후크단부(925a')가 없는 두 개의 가이드홀더(925a)들은 상기 걸림홈(943)을 덮을 수 있다. The guide holder 925a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e holders 925a, and only some of the guide holders 925a may be provided with hook ends 925a'. Referring to Figure 85, among a total of four guide holders (925a), two guide holders (925a) have the hook end (925a'), but the hook end (925a') of the remaining two guide holders (925a) is omitted. It will happen. Referring to Figure 86, the hook end 925a' can be inserted into the catching groove 943 of the light guide 940. Meanwhile, looking at FIG. 87, the two guide holders 925a without the hook end portion 925a' can cover the catching groove 943.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말단인 후크단부(925a')는 상기 조명홀(925)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후크단부(925a')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가이드(940)의 걸림홈(94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말단부인 후크단부(925a')가 상기 걸림홈(943)에 끼워지면, 상기 광가이드(940)는 아래쪽, 즉 캐비티(S1)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The hook end 925a', which is the distal end of the guide holder 925a, may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lighting hole 925. This protruding hook end 925a' can be inserted into the catching groove 943 of the light guide 9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the hook end 925a', which is the distal end of the guide holder 925a,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943, the light guide 940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down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toward cavity S1.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는 제1기판고정부(926)와 제2기판고정부(92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와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는 상기 조명기판(930)의 가장자리를 각각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와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는 상기 조명홀(925)을 중심에 두고 상기 조명홀(925)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lighting housing 921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fixing part 926 and a second substrate fixing part 927. The first substrate fixing part 926 and the second substrate fixing part 927 can be fixed by hooking on the edge of the lighting board 930, respectively. The first substrate fixing part 926 and the second substrate fixing part 927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ing hole 925 with the lighting hole 925 at the center.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내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명기판(930)의 상면 일부를 덮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는 외팔보구조로, 상기 조명기판(930)의 상면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은 먼저 한쪽이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에 걸린 상태로 반대쪽이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에 걸릴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fixing portion 926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ing housing 921 toward the center and cov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substrate 930. In addition, the second substrate fixing part 927 has a cantilever structure and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substrate 930. One side of the lighting board 930 may first be hung on the first substrate fixing part 926, and the other side may be caught on the second substrate fixing part 927.
도 84와 도 87를 보면, 상기 조명홀(925)에는 상단지지부(92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조명홀(925)의 내면에서 상기 조명홀(925)의 직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에 닿아,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이 상기 상단지지부(925b)에 지지되면, 상기 광가이드(940)는 위쪽, 즉 상기 조명기판(930) 방향으로 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은 상기 조명기판(930)의 광원(935)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84 and 87, the lighting hole 925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portion 925b. The upper support portion 925b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ing hole 925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diameter of the lighting hole 925. The upper support portion 925b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and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portion 925b, the light guide 940 is prevented from moving further upward, that is, toward the lighting board 930. In this way,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935 of the lighting board 930.
도 87를 보면, 상기 상단지지부(925b)가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을 지지하고 있다. 복수개의 상기 상단지지부(925b)들이 상기 조명홀(925)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상단지지부(925b)들은 상기 조명홀(925)의 내주면을 둘러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단지지부(925b)들은 각각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광가이드(94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87, the upper support portion 925b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A plurality of the upper support portions 925b may be disposed in the lighting hole 925. 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arts 925b may be arranged arou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ghting hole 925. The plurality of upper support portions 925b each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guide 940 from being tilted in one direction.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 위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광원(935)이 구비된 조명기판(930)과,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More precisely, the upper support portion 925b may be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guide holder 925a. Additionally, the upper support portion 925b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In this case, the upper support part 925b can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ing board 930 equipped with the light source 93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도 85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바깥쪽에는 실링공간(9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은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표면과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내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은 아래쪽, 즉 상기 캐비티(S1)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링블럭(9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더(925a)를 상기 조명홀(925)의 중심방향, 즉 상기 광가이드(94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5, a sealing space 928 may be formed outside the guide holder 925a. The sealing space 928 may be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guide holder 925a and the inner wall of the lighting housing 921. The sealing space 928 may be open downward, that is, toward the cavity S1. A sealing block 9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inserted into the sealing space 928. The sealing block 950 can be inserted into the sealing space 928 to press the guide holder 925a toward the center of the lighting hole 925, that is, toward the light guide 940.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는 조명기판(9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은 빛을 조사하는 광원(9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에는 상기 광원(935)이 구비되어, 상기 조명홀(925)을 통해 아래쪽, 즉 캐비티(S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935)은 복수개일 수도 있다. 본 실시레에서 상기 광원(935)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는, 상기 광원(935)은 할로겐 램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A lighting board 930 may be placed on the lighting housing 921. The lighting substrate 930 may include a light source 935 that irradiates light. The lighting board 930 is provided with the light source 935,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downward through the lighting hole 925, that is, toward the cavity S1. There may b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935.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935 is composed of an LED (Light Emitting Diode). As another example, the light source 935 may be composed of a halogen lamp.
상기 조명기판(930)에는 광원부품(9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품(931)은 콘덴서와 같은 전자부품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품(931)은 상기 조명기판(93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품(931)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광원부품(931)은 상기 광원(935)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조명기판(930)의 고정을 위한 부품일 수도 있다. The lighting board 930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component 931. The light source component 931 may be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condenser. The light source component 931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lighting board 930. The light source component 931 may be one or plural. As another example, the light source component 931 may be a component for fixing the lighting board 930,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935.
상기 조명기판(930)에는 기판홀(932)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기판홀(932)은 상기 조명기판(930)을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면에 체결구로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홀(932)에는 별도의 체결구(미도시)가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기판홀(932)이 생략되고, 상기 조명기판(930)은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와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로만 고정될 수도 있다. A substrate hole 932 may pass through the lighting substrate 930. The substrate hole 932 is used to fasten the lighting substrate 9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housing 921 using a fastener. A separate fastener (not shown) may be assembled in the substrate hole 932. As another example, the substrate hole 932 may be omitted, and the lighting substrate 930 may be fixed only by the first substrate fixing part 926 and the second substrate fixing part 927.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하부에는 광가이드(94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상기 광원(935)의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일단부가 상기 광가이드(94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타단부는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A light guide 940 may be assembled at the lower part of the lighting housing 921. The light guide 940 may serve to evenly disperse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935. One end of the light guide 9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ight guide 940, and the other end may face the inside of the cavity (S1).
상기 광가이드(940)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상기 광가이드(940)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로 빛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가이드(940)는 석영재질일 수 있다. The light guide 940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light guide 940 may receive light from the light guide 940 and disperse the l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cavity (S1). The light guide 9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transmit light. For example, the light guide 940 may be made of quartz.
상기 광가이드(9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티(S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광가이드(940)는 다각기둥 형태이거나, 단순한 평판 형태의 광가이드(940)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광가이드(940)는 생략되고, 상기 광원(935)의 빛이 상기 캐비티(S1)에 직접 조사될 수도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9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vity S1. As another example, the light guide 940 may be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or may be a simple plate shape. Alternatively, the light guide 940 may be omitted, and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935 may be directly irradiated to the cavity (S1).
상기 광가이드(940)에는 걸림홈(9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측면을 둘러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943)에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가 끼워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림홈(943)에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후크단부(925a')가 끼워져, 상기 광가이드(940)가 아래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A locking groove 943 may be formed in the light guide 940. The locking groove 943 may be formed in a depressed shape surrounding the side of the light guide 940. The guide holder 925a can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943. More precisely, the hook end 925a' of the guide holder 925a is inserted into the catching groove 943,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guide 940 from being separated downward.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원(935)과 마주보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부(941)와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둘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ocking groove 943 may be formed close to the upper part 941 of the light guide 940 facing the light source 935. Additionally, the locking groove 943 may be formed to continuously surround the side of the light guide 940. As another example, the locking groove 943 may be formed intermittently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940.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실링공간(928)에는 실링블럭(9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주변을 감싸, 상기 광가이드(9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캐비티(S1) 내부의 고열이 상기 광가이드(940)를 통해 상기 조명기판(930)에 전달되는 양을 줄이는 일종의 단열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상기 조명기판(930)에 전달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A sealing block 950 may be inserted into the sealing space 928 of the lighting housing 921. The sealing block 950 can surround the light guide 940 and firmly fix the light guide 940. The sealing block 950 may serve as a type of insulating material that reduces the amount of high heat inside the cavity S1 transmitted to the lighting board 930 through the light guide 940. Additionally, the sealing block 950 can prevent moisture or foreign matter inside the cavity S1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ighting board 930.
상기 실링블럭(950)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블럭(950)은 실리콘재질 또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전체가 하나의 탄성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일부만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The sealing block 95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sealing block 950 may be made of silicone or rubber. The sealing block 950 may be made entirely of an elastic material, or only a por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도 86를 보면, 상기 실링블럭(950)이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된 실링블럭(950)은 상기 가이드홀더(925a)를 상기 조명홀(925)의 중심방향, 즉 광가이드(940)의 표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대략 외팔보 구조이므로, 상기 실링블럭(950)에 의해 광가이드(940)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표면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후크단부(925a')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걸림홈(943)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Looking at Figure 86, it can be seen that the sealing block 950 is inserted into the sealing space 928. The sealing block 950 inserted into the sealing space 928 can press the guide holder 925a toward the center of the lighting hole 925, that is, toward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holder 925a has a substantially cantilever structure, it can be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940 by the sealing block 950. Accordingly, the guide holder 925a can strongly press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and the hook end 925a' of the guide holder 925a is connected to the catching groove 943 of the light guide 940. ) can be stably maintained.
상기 실링블럭(950)의 두께는 상기 실링공간(928)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공간(928)의 폭과 오버랩되는 만큼 상기 가이드홀더(925a)를 광가이드(940) 방향으로 가압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광가이드(940)가 상기 조명하우징(921)에 먼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블럭(950)이 상기 조명하우징(921)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block 95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aling space 928. 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ealing block 950 into the sealing space 928, the guide holder 925a will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940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the width of the sealing space 928. You can.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block 950 is assembled to the lighting housing 921 while the light guide 940 is first assembled to the lighting housing 921.
상기 실링블럭(95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의 중심에는 상기 광가이드(940)가 통과하는 가이드관통홀(9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을 통해서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부(941)가 상기 조명홀(92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block 95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 guide through hole 954 through which the light guide 940 passes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ling block 950. The upper part 941 of the light guide 940 can be placed inside the lighting hole 925 through the guide through-hole 954.
도 85을 보면,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의 중심을 향해서 가압돌부(959)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부(959)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의 직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부(959)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에 삽입된 상기 광가이드(940)의 표면을 가압해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5, a pressing protrusion 959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through hole 954 toward the center of the guide through hole 954. The pressing protrusion 959 may protrude in a direction to narrow the diameter of the guide through hole 954. The pressing protrusion 959 may pressurize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940 inserted into the guide through hole 954.
도 84를 보면, 상기 실링블럭(950)에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을 측방으로 개구시키는 탄성변형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실링블럭(950)의 측면 일부가 생략되어 형성된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실링블럭(950)이 상기 실링공간(928)에 압입될 때 탄성변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4,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not indicated) may be formed in the sealing block 950 to open the guide through hole 954 laterally.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may be viewed as a portion formed by omitting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aling block 950.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may provide a free space in which the sealing block 95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sealing block 950 is pressed into the sealing space 928.
상기 실링블럭(950)의 하부에는 블럭서포트(9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럭서포트(952)는 상기 실링블럭(950)의 상부 보다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블럭서포트(952)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하단에 걸려 상기 실링블럭(950)의 조립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블럭서포트(952)는 상기 실링공간(928)의 입구 주변에 지지된다고 볼 수도 있다. A block support 952 may be provided below the ceiling block 950. The block support 952 may protrude in a direction where its width increases compared to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block 950. The block support 952 may be hung at the bottom of the lighting housing 921 to limit the assembly depth of the ceiling block 950. The block support 952 may be viewed as being supported around the entrance of the sealing space 92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너케이스
120: 개구부
130: 하부프레임
150: 제1열원모듈
160: 제2열원모듈
170: 제3열원모듈
200: 아웃케이스
210: 바텀케이스
215: 바닥돌기
220: 리어케이스
230: 리어커버
240: 어퍼케이스
242: 연결홀
243: 탱크장착부
250: 가이드덕트
250a: 몸체부
250b: 가이드부
254: 팬체결부
255: 조명체결부
260: 어퍼커버
265: 공기입출부
266: 차단판
270: 사이드커버
272: 사이드관통홀
280: 전면프레임
280a: 컷아웃부
282: 배기구
300: 도어
310: 손잡이
370: 도어프레임
378: 잠금몸체
379: 잠금홀
410: 냉각팬모듈
420: 프론트패널
421: 패널고정부
422: 캠돌출구
424: 출입구
424a: 상부가이드
424b: 하부가이드
424c: 측부가이드
425: 제1포켓부
450: 물탱크
455: 제2포켓부
460: 탱크하우징
467a,467: 장착브라켓
469: 탱크센서
480: 개방장치
481: 개방하우징
484: 개방모터
485: 캠부
490: 개방센서
500: 컨트롤러
510: 메인하우징
511: 하우징펜스
512: 부품장착부
520: 힌지결합부
521: 제1힌지결합부
525: 제2힌지결합부
530: 컨트롤패널
550: 커버프레임
552: 커버펜스
555: 힌지조립구
590: 에어가이드
600: 힌지모듈
610: 힌지하우징
620: 구동암
621: 제1구동암
623: 제2구동암
625: 연결블럭
640: 힌지센서
670: 와이어커버
700: 메인제어부
800: 도어잠금장치
810: 잠금하우징
820: 잠금모터
831,835: 잠금기어
840: 구동슬라이더
850: 래치
855: 잠금헤드
857: 헤드체결구
870: 닫힘버튼
880: 닫힘센서
900: 조명모듈
910: 조명가이드
920: 조명장치
921: 조명하우징
930: 조명기판
935: 광원
950: 실링블럭 100: inner case 120: opening
130: Lower frame 150: First heat source module
160: second heat source module 170: third heat source module
200: Out case 210: Bottom case
215: bottom protrusion 220: rear case
230: Rear cover 240: Upper case
242: Connection hole 243: Tank mounting portion
250: Guide duct 250a: Body portion
250b: Guide part 254: Fan fastening part
255: Lighting fastening part 260: Upper cover
265: air inlet/outlet 266: blocking plate
270: Side cover 272: Side through hole
280: Front frame 280a: Cutout part
282: exhaust port 300: door
310: handle 370: door frame
378: locking body 379: locking hole
410: Cooling fan module 420: Front panel
421: Panel fixing part 422: Cam protrusion outlet
424: Entrance 424a: Upper guide
424b: Lower guide 424c: Side guide
425: first pocket part 450: water tank
455: Second pocket portion 460: Tank housing
467a, 467: Mounting bracket 469: Tank sensor
480: opening device 481: opening housing
484: Open motor 485: Cam part
490: Open sensor 500: Controller
510: main housing 511: housing fence
512: Part mounting portion 520: Hinge coupling portion
521: first hinge joint 525: second hinge joint
530: Control panel 550: Cover frame
552: Cover fence 555: Hinge assembly
590: Air guide 600: Hinge module
610: Hinge housing 620: Driving arm
621: 1st driving arm 623: 2nd driving arm
625: Connection block 640: Hinge sensor
670: Wire cover 700: Main control unit
800: Door lock 810: Lock housing
820: Locking motor 831,835: Locking gear
840: Drive slider 850: Latch
855: Lock head 857: Head fastener
870: Close button 880: Close sensor
900: Lighting module 910: Lighting guide
920: Lighting device 921: Lighting housing
930: lighting board 935: light source
950: Ceiling block
Claims (21)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물탱크;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가리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양쪽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연결축이 구비되는 한 쌍의 힌지모듈;과
상기 한 쌍의 힌지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따라 이동시키는 캠부가 구비된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A case with a cavity and a tank chamber formed inside;
a door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to open and close the cavity;
a water tank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ase through an entrance of the tank chamber and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 controller that moves from a first position that covers the entrance to the tank chamber to a second position that opens the entrance to the tank chamber;
A pair of hinge modules each connected to both lower parts of the controller and provided with a connecting shaft that become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ntroller; and
An opening devic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inge modules and provided with a cam unit for moving the controller along a first opening section starting from the first position,
A cooking appliance wherein when the controlle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cam portion is disposed above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ntroller.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tive ratio (H2/H1) of the height (H2) from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 portion to the overall height (H1) of the controller is 0.4 to 0.7.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Z1/L1) between the rotational distance (Z1) of the top of the controller and the maximum protruding distance (L1) of the cam portion of the opening device is 0.9 to 1.2.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le rotating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roller moves downward.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device is disposed at the center betwee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troller.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 portion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ing device.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rtion of the cam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controller during rota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controller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80° to 100°.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방하우징;
상기 개방하우징에 배치되는 개방모터;
상기 개방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과정에서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캠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device
an open housing disposed inside the case;
an open motor disposed in the open housing;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the cam portion disposed in the open housing, rotated by the opening motor, and a portion of the cam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case during rota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is disposed further forward from the case than the front of the door.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cam portion is completely housed in the open housing,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ing motor to the rear end of the cam portion is 6 to 6 time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ing motor to the front end of the cam portion. Cooking appliances that are up to 10 times longer.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moves a first open section starting from the first position by the open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moves in a second open sec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open section to the second position. A cooking appliance that is moved by gravity or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user.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ler in the second open section is great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ler in the first open sec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roll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is rotated arou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portion is moved downward of the case. .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roll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is rotated arou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portion is moved forward and downward of the case. Cooking equipment.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shaft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hafts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t different heights at the first positio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device, the pair of hinge modules, and the water tank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a cavity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econd pos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ler has a height lower than or equal to the lower end of the entrance of the tank chamber.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first positio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top of the door, and in the second positio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top of the door.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물탱크;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가리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따라 이동시키는 캠부가 구비된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부는 상기 컨트롤러 하단과 상기 컨트롤러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A case with a cavity and a tank chamber formed inside;
a door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to open and close the cavity;
a water tank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ase through an entrance of the tank chamber and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 controller that moves from a first position that covers the entrance to the tank chamber to a second position that opens the entrance to the tank chamber;
An opening device disposed behind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having a cam portion for moving the controller along a first opening section starting from the first position,
A cooking appliance wherein when the controlle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cam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and the top of the controller.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18/228,957 US20240384877A1 (en) | 2022-08-02 | 2023-08-01 | Cooking appliance |
| EP23189167.2A EP4317803A1 (en) | 2022-08-02 | 2023-08-02 |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n openable panel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6315 | 2022-08-02 | ||
| KR20220096315 | 2022-08-02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8338A true KR20240018338A (en) | 2024-02-13 |
Family
ID=898996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29963A Pending KR20240018338A (en) | 2022-08-02 | 2022-10-11 | Cooking applian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018338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16384B1 (en) * | 2025-03-25 | 2025-06-09 | 풍원공업 주식회사 | Multi link hing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00206414A1 (en) | 2007-10-08 | 2010-08-19 | Juergen Adamczak |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ontrol panel and having a tank for accommodating a fluid |
| EP3080517A1 (en) | 2013-12-10 | 2016-10-19 | BSH Hausgeräte GmbH |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moveable control panel |
| EP3551942A1 (en) | 2016-12-09 | 2019-10-16 | Arçelik Anonim Sirketi | An oven comprising a water tank |
-
2022
- 2022-10-11 KR KR1020220129963A patent/KR20240018338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00206414A1 (en) | 2007-10-08 | 2010-08-19 | Juergen Adamczak |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ontrol panel and having a tank for accommodating a fluid |
| EP3080517A1 (en) | 2013-12-10 | 2016-10-19 | BSH Hausgeräte GmbH |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moveable control panel |
| EP3551942A1 (en) | 2016-12-09 | 2019-10-16 | Arçelik Anonim Sirketi | An oven comprising a water tank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16384B1 (en) * | 2025-03-25 | 2025-06-09 | 풍원공업 주식회사 | Multi link hing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228857B2 (en) | Electric oven with door cooling structure | |
| KR20240018338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68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71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70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69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67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65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66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64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74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73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72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75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18276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41482A (en) | Cooking appliance | |
| EP4317803A1 (en) |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n openable panel unit | |
| KR20220168101A (en) | Cooking appliance | |
| US12241631B2 (en) | Oven handle locators for controlling door appearance | |
| KR20060075155A (en) | Top burner structure of electric ove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