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20624A -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 - Google Patents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624A
KR20240020624A KR1020220114331A KR20220114331A KR20240020624A KR 20240020624 A KR20240020624 A KR 20240020624A KR 1020220114331 A KR1020220114331 A KR 1020220114331A KR 20220114331 A KR20220114331 A KR 20220114331A KR 20240020624 A KR20240020624 A KR 20240020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ound source
conten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ublication of KR2024002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62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recommending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 chatbot unit for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and hig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sound source recommendation;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detailed information from convers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hatbot unit; a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sound source content; a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ed in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to match the detailed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a trend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rends suitable for purpose or mood;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sound source content to be found by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recommending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and the system to find sound source content for a desired purpose while asking and answering various questions through a chatbo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quickly and accurately find sound source content suitable for the desired purpose or atmosphere.

Description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는 음악이나 사운드 콘텐츠를 찾을 때 뿐만 아니라 본인이 원하는 취향이 아니더라도 특정의 목적에 맞는 음악이나 사운드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a user wants, and more specifically, not only when the user finds music or sound content that suits the user's taste, but also for a specific purpose even if it is not the user's desired taste. It is about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users and can help users easily find the right music or sound content.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 등의 전자 및/또는 정보통신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음악이나 사운드 콘텐츠(이하 '음원콘텐츠'라 함)에 쉽게 접근하여 들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사용자는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폰 등과 같이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본인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음원콘텐츠에도 쉽게 접근하여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we have entered an era where one can easily access and listen to music or sound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und content') anytime, anywhere through electronic and/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ortable terminals or computers. Today, users can easily access and enjoy music content that is not stored on their terminal anytime, anywhere using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소비자가 인터넷이나 온라인을 통하여 다양한 음원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많은 음원콘텐츠들이 하나의 장소에 모여서 제공되어 음원콘텐츠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음원콘텐츠는 한번 사용되고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 축적되는 것이고, 창작의 시대에 걸맞게 날이 갈수록 새롭게 창작되어 공개되는 음원콘텐츠의 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As technology has developed that allows consumers to access a variety of sound source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or online, more sound source content has been gathered and provided in one place, broadening the range of choices for sound source content. Sound source content is not used once and then discarded, but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in line with the era of creation, the amount of newly created sound source content is rapidly increasing day by day.

이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많은 양의 음원콘텐츠가 새롭게 창작되어 축적되다 보니 사용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원하는 음원콘텐츠를 고르거나 선택하는 일이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원을 추천하여 사용자가 많은 수고를 들이지 않더라도 본인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As time goes by and an increasing amount of new sound source content is created and accumulated, it has become difficult for users to select or choose the desired sound source content. To solve this problem, companies that provide music services recommend music sources that suit the user's tastes and provide services that allow users to easily select music that suits their tastes without putting in a lot of effort.

이러한 서비스에 관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0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2823호 등의 기술이 있다. 이들 종래기술에 따른 음원콘텐츠 추천시스템은 음원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평소에 자주 듣던 음악이나 이와 유사한 음악 등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연령이나 성별, 자주 듣던 음악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듣던 음악, 이러한 음악과 유사한 음악, 사용자의 연령이나 성별의 비슷한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악 등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these services include technologies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95009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02823. The sound source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se prior technologies is provided by analyzing and classifying sound sources, analyzing the user's tastes, and recommending music that is frequently listened to or similar music. For this purpose, the user's age, gender, frequently listened to music, etc. are created in a database and analyzed to recommend music that the user frequently listens to, music similar to this music, and music liked by people with similar tastes to the user's age or gender. It is common for services to be provided.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본인이 좋아하는 음원을 추천하는데는 유리하지만 본인의 취향과는 무방한 특정의 목적을 위한 음원콘텐츠를 찾는데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음악은 신나는 댄스곡이지만 부모님을 위한 생일잔치에서 듣기 좋은 음악을 틀어야 하는 경우이거나, 여러 연령대가 있는 장소에서 특정의 분위에 맞는 음악을 틀어야 하는 경우에는 추천음원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However, although this method is advantageous in recommending music you like, it is not very helpful in finding music content for a specific purpose that is unrelated to your taste. For example, if the music you want is an exciting dance song, but you need to play music that is good to listen to at a birthday party for your parents, or if you need to play music that suits a specific mood in a place with multiple age groups,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is In many cases, this is not helpful at all.

그리고 영상콘텐츠 등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음원콘텐츠는 단순히 분위기를 돋구거나 즐기는 것을 넘어 다양한 영상매체의 배경음악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시대가 되었는데, 이러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본인의 취향이 아니라 영상콘텐츠의 분위기에 맞는 음원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도 종래기술에 따른 음원추천시스템은 도움이 되지 않거나 오히려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는데 방해가 될 뿐이다.And with the widespread use of video content, we have come to an era where audio content is not just used to enhance the atmosphere or enjoy, but is also widely used as background music for various video media. People working in this field are not interested in video content, but rather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select a sound source that fits the mood,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helpful or rather only hinders the use of various contents.

예를 들어, 광고영상이나 유튜브(youtube) 영상의 배경음악을 사용하기 위한 음원을 찾을 때는 본인의 취향이 아니라 해당 영상의 주요 타겟층이 좋아하거나 해당 영상의 분위기에 맞는 음원을 찾아서 배경음악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음원콘텐츠 추천시스템은 본인이 종래에 좋아하던 음원이나 이와 유사한 음원을 추천하기 때문에 특정 목적에 맞는 음원을 찾는데 오히려 방해가 될 뿐이다.For example, when looking for a sound source to use as background music for an advertising video or YouTube video, find a sound source that the main target audience of the video likes or fits the mood of the video and use it as background music, not based on your own taste. It is important. However, since the sound source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commends sound sources that the person previously liked or similar sound sources, it only hinders the user from finding a sound source suitable for a specific purpose.

그리고 하나의 아이디(ID)를 이용하여 본인이 좋아하는 음원을 듣기 위한 용도와 특정 목적의 음원을 찾기 위한 용도를 혼용해서 사용하다 보면 알고리즘도 혼동을 일으켜서 추천 정확도는 더욱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들 들어,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신나는 댄스곡을 좋아하는 사람이 어르신들을 위하여 트로트곡을 검색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트로트를 좋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개인적으로 음악을 듣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때도 신나는 트로트곡을 추천하는 식으로 혼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혼동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불편을 주게 된다.Also, if one ID is used for both listening to one's favorite music source and finding a specific sound source, the algorithm becomes confused and the recommendation accuracy further decreases.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a person who likes exciting dance songs searches for trot songs for the elderly,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termines that the user likes trot and provides exciting music even when used for personal listening to music. Confusion occurs when trot songs are recommended, and this confusion not only does not suit the user's taste, but also causes inconvenience.

따라서 단순히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ervice that does not simply analyze the user's tastes and automatically recommend music content, but provides music content that suits the user's desired purpose.

KRKR 10-1102823 10-1102823 B1B1 KRKR 10-0895009 10-0895009 B1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가입정보와 사용자가 평소에 자주 듣던 음악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그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찾는 경우에는 챗봇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나 목적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서 추천할 수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not only recommends music content that suits the user's taste by analyzing the user's sub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music that the user frequently listens to, but also allows the user to listen to music that is suitable for a specific purpose. When looking for sound cont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the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chatbot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find and recommend sound source content that suits the user's desired mood or purpos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는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와 대화형식으로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으면서 음원추천에 필요한 세부정보와 상위정보를 획득하는 챗봇부와, 상기 챗봇부를 통하여 수신된 대화정보에서 세부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음원콘텐츠를 저장하는 음원콘텐츠저장부와, 상기 음원콘텐츠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콘텐츠를 세부정보에 부합되도록 분류하는 음원분류부와, 사용자의 개인정보 미치 사용자가 일정기간 동안 들었던 음원콘텐츠에 관한 히스토리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정보저장부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목적이나 분위깅에 맞는 트랜드를 분석하는 트랜드분석부와, 사용자에게 찾고자 하는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 음원추천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챗봇부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음원콘텐츠와 관련된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하면 상기 정보추출부에서 상기 답변 중에서 세부정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원추천부가 상기 정보추출부에 의하여 추출된 세부정보에 부합되는 음원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versation format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hatbot unit that acquires detailed information and high-level information necessary for sound source recommendation while exchanging questions and answers,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detailed information from convers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hatbot unit, and a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that stores sound source content. A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ed in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to match detailed information, and a storage unit contain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content that the user has listened to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composed of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a tren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rends that match the purpose or mood the user is looking for,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the sound source content the user is looking fo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ach of the above units, When the user answers a question about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find in the chatbot unit,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answers, and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sound source content that matches the detailed information extracted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정보추출부는 사용자의 답변 중에 세부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를 확정정보로 판단하고, 상기 세부정보와 관련된 답변을 추정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추정정보에 관한 질문을 우선적으로 진행하여 확정정보를 획득한 후에 다른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을 챗봇부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챗봇부는 사용자와 대화를 하면서 각 단계별로 획득한 세부정보에 부합하는 음원콘텐츠 중에 1) 사용자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후보곡과 2)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많이 듣고 선호하는 후보곡과 3) 알고리즘이 분석한 후보곡에 관한 샘플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평가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음원콘텐츠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determine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detailed information among the user's answers as confirmed information, judges the answer relat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as estimated information, and preferentially asks questions about the estimated information. After obtaining confirmed information, questions regarding other detailed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asked through the chatbot unit, and the chatbot unit 1) utilizes user information among the sound source contents that match the detailed information acquired at each stage while talking with the user. 2) candidate songs that suit the user's taste, 2) candidate songs that other people listen to and prefer most through trend analysis, and 3) a sample list of candidate songs analyzed by the algorithm, and receive user evaluations to find the candidate song that the user is looking for.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sound source cont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정보추출부는 세부정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단어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단어와 관련된 세부정보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최소한 하나 이상 복수의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세부정보와 상기 새로운 단어와 관련된 검색결과를 상기 단어와 함께 저장하여 상기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판단하며, 상기 새로운 단어를 이용한 검색이 특정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새로운 단어를 세부정보 카테고리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ew word that is not stored in detailed information is detected,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presents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new wor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or more words. The selected detailed information and 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new word are stored together with the wor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new word. When searches using the new word exceed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new word is add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category. It is characterized by adding.

본 발명에 따른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은, 챗봇을 통한 기초정보 획득단계; 챗봇을 통한 추가정보 획득단계; 챗봇을 통한 상위정보 획득단계; 획득된 세부정보와 상위정보에 부합하는 샘플음원콘텐츠를 제공하는 샘플음악 제공단계; 및 가중치조절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of recommending desired music and soun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basic information through a chatbot; Step of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chatbot; Step of obtaining high-level information through chatbot; A sample music provision step of providing sample sound source content that matches the obtained detailed information and higher level information; and a weight adjustment ste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챗봇을 통한 기초정보 획득단계'는 사용자가 복수의 세부정보 중에 어느 하나의 구체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챗봇을 통한 추가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기초정보 획득단계'에서 수신하여 획득한 세부정보가 확정정보인 경우에 이미 획득한 세부정보에 관련된 질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부정보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관련순으로 질문을 진행하며, 상기 세부정보에 나머지 세부정보에 관련된 질문을 할 때는 이전 단계에서 획득한 세부정보에 의하여 특정된 음원콘텐츠후부군의 리스트 중 일부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화면에 제시하고 상기 리스트 중에 전부나 일부를 배경음악으로 스트리밍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콘텐츠후부군의 리스트에 관하여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a chatbo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receives one specific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detailed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a chatbot' If the detailed information received and acquired in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age' is confirmed information, questions will be asked about the remaining detailed information sequentially or in a related order, excluding questions relat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already obtained. When asking a question related to the remaining detailed information, a partial list of the sound source content group specified by the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is presented on the user's screen, and all or part of the list can be streamed as background music and listened 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user to evaluate the list of the sound source content grou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상기 음원콘텐츠후부군은 이전단계에서 획득한 세부정보에 의하여 추출된 음원콘텐츠후보군을 1)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후보곡 2)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선호하는 후보군 3) 알고리즘 부석을 통하여 선택된 후보곡 중 최소한 2가지 이상으로 분류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평가된 답변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를 분석하여 이후 단계에서 획득한 세부정보에 대하여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제공할 때는 추천하는 음원콘텐츠후보군의 전부나 일부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후보군의 음원콘텐츠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content back group presented to the user is a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extracted bas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1) candidate songs that suit the user's taste, 2) other people through trend analysis. 3) This preferred candidate group is provided by classifying it into at least two of the candidate songs selected through algorithm analysis, and when an evaluated answer is received from the user, it is analyzed and a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is created bas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at a later stage. When providing, all or part of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re provided as sound source content of the user's preferred candidate grou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중치조절단계'는, 상기 '샘플음악 제공단계'에서 제공된 결과를 사용자가 세부정보나 상위정보를 변경하여 음원콘텐츠후보군의 재검색 할 수 있으며, 상기 세부정보 중 감정정보에서는 강도를 조절하여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재검색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djustment step' allows the user to re-search the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by chang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r higher information of the results provided in the 'sample music provision step', and among the detailed information Emotion information can be configured to re-search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by adjusting the intensity.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자와 시스템이 챗봇을 통하여 다양한 질문과 대답을 하면서 원하는 목적의 음원콘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 또는 분위기 등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the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and the system to find sound source content for the desired purpose by asking and answering various questions through a chatbot, thereby providing a sound source suitable for the user's desired purpose or mood.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find content quickly and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천음원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에서 추천음원을 찾는 과정을 트리(tree)로 개략화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ound sources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rocess of finding recommended sound sources in a tree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통신부(110), 챗봇부(120), 정보추출부(130), 음원분류부(140), 음원콘텐츠저장부(150), 사용자정보저장부(160), 트랜드분석부(170), 음원추천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a chatbot unit 120, and information extraction. It is composed of a unit 130, a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140, a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150,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a trend analysis unit 170,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180, etc.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이하 '음원콘텐츠'라 함)는 음악이나 멜로디는 물론 자연의 소리 등 디지털음원으로 만들어졌거나 만들어 질 수 있는 모든 음원콘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이다.Music and sound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und conten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sound source content that has been created or can be created with digital sound sources, such as music and melodies as well as sounds of nature.

통신부(110)는 사용자단말기(10)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챗봇통신 및/또는 음원콘텐츠를 파일이나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음원콘텐츠가 다른 서버에 저장되어 있거나 음원분류부(140) 및/또는 트랜드분석부(170) 등이 별도의 서버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음원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나 음원분류부(140) 등이 구비되어 있는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recommending sound content, or transmits chatbot communication and/or sound source content to collect the information as a file or streaming. Do it. In addition, if necessary, if the sound source content is stored on another server or the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140 and/or trend analysis unit 170 are provided on a separate server, the server where the sound source content is stored or It may also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equipped with a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140, etc.

챗봇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와 채팅(chatting) 형식으로 대화하면서 음원추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챗봇부(120)에 의한 채팅은 사람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algorithm)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중요도 순위에 따라 사용자에게 질문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순서에 상관 없이 먼저 필요한 정보를 채팅을 통하여 보내는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에서 얻지 못한 정보를 채팅을 통하여 추가로 질문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역할을 한다. 챗봇부(120)를 통하여 음원추천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chatbot unit 120 functions to coll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music source recommendation while conversing with the user terminal 10 in a chatting forma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Chatting by the chatbot unit 120 is not conducted by humans but by a preset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erefore, questions can be ask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and if the user sends the necessary information first through chat regardless of the preset order, additional questions can be asked through chat about the information not obtained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It plays a role in acquiring information. The method of obtain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music source recommendation through the chatbot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정보추출부(130)는 챗봇부(120)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대화내용에서 음원추천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추출부(130)가 추출하는 정보는 '확정정보'와 '추정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챗봇부(120)는 가급적 확정정보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질문을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확정정보'란 세부정보 또는 후술하여 설명할 상위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를 말하며, '추정정보'란 세부정보나 상위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는 아니지만 상기 정보들과 관련이 있는 정보를 말한다. 그 외의 정보나 단어들은 음원콘텐츠를 추출하는데 필요 없는 정보로 판단한다.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serves to extract information necessary for music source recommendation from the conversation conducted through the chatbot unit 120. Th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may consist of 'confirmed information' and 'estimated information', and the chatbot unit 120 is configured to ask various questions in order to obtain as much confirmed information as possible. Here, 'confirmed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conforms to detailed information or higher-level information to be explained later, and 'estimated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form to detailed information or higher-level information but is related to the above information. Other information or words are judged as unnecessary information to extract sound source content.

챗봇을 통한 정보수집은 사용자가 편하게 느낄 수 있는 대화형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원추천에 불필요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챗봇을 통한 대화에서 '어떤 분위기의 음악을 찾으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는 '오늘 날씨처럼 화사한(신나는) 분위기의 음악(멜로디)을 찾습니다'라고 대답을 하면 정보추출부(130)는 '화사한(신나는) 분위기'와 같은 감정정보와, '음악' 등을 추출하여 '확정정보'로 판단하여 필요한 음원콘텐츠를 추출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활용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단순히 '오늘 날씨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습니다'라고 대답을 하면 음원콘텐츠 추천에 필요한 '확정정보'가 없기 때문에 필요한 확정정보를 얻기 위하여 '오늘 날씨가 어떤가요?'라는 추가적인 질문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답변 중에 세부정보에 부합하는 확정정보는 없지만 상기 세부정보와 관련된 '날씨'에 관한 언급이 있으므로, 상기 '날씨'를 추정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추정정보와 관련된 질문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추정정보에 관한 질문을 통하여 확정정보(날씨정보)가 획득되면 다른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Because information collection through chatbots is done in a conversation format that users can feel comfortable with, information that is unnecessary for music recommendation may often be received. In a conversation through a chatbot, when the user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kind of music are you looking for?' by saying 'I am looking for music (melody) with a bright (exciting) atmosphere like today's weather,'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says ' Emotional information such as 'bright (exciting) atmosphere' and 'music' are extracted, judged as 'confirmed information', and used as information needed to extract the necessary sound source content. However, the user simply 'looks for music that suits today's weather' If you answer ', there is no 'confirmed information' required for music content recommendation, so in order to obtain the necessary confirmed information, you can ask an additional question, 'What is the weather like today?'. At this time, a confirmation that matches the detailed information among the user's answers is selected. Although there is no information, there is a mention of 'weather' relat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so the 'weather' is judged to be estimated information and questions related to the estimated information are given priority, and through questions about the estimated information, confirmed information ( Once weather information is obtained, questions about other detailed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asked.

챗봇부(120)는 대화를 좀 더 실감나게 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고객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회한 후에 '오늘 OO 지역의 날씨는 맑다는 기상예보가 있는데, 현재 날씨가 맑습니까?'라는 형식의 질문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회원가입을 할 때 또는 사용자가 사용 중에 위치정보를 조회하는 것에 동의함으로써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날씨정보는 기상청을 통하여 조회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위치정보와 기상정보 등(추정정보)은 실제 상황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확인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여 사용자의 대답(확정정보)에 따라 추천음원을 추출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 추가적인 대답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추정정보를 활용하여 추천음원을 제시할 수 있다. 정보추출부(130)는 상기와 같은 정보 외에 사용자정보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그 동안 들어온 기록(히스토리정보)를 활용하여 취향에 맞는 음원을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트랜드분석부(170)를 통하여 비슷한 성향이나 성별 및 나이의 사람들이 최근에 좋아하는 음원콘텐츠를 추전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make the conversation more realistic, the chatbot unit (120) determines the customer's location information as necessary, checks the weather information for the area, and then says, 'There is a weather forecast that says the weather in the OO region is clear today, and the current weather is You can also ask questions of the form ‘Is it sunny?’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asily determined when signing up to us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the music and sound content the user w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by agreeing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during use. Information will be available through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loc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estimated information) may differ from the actual situation, the user is asked questions to confirm, and recommended sound sources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user's answers (confirmed information).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have an additional answer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recommended sound sources can be presented using the above estimated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may also recommend a sound source that suits the user's taste by utiliz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and the records (history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listened to so far. In addition, through the trend analysis unit 170, music content that people of similar tendencies, gender, and age recently like can be recommended.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찾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본인의 취향이 아닌 특정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음원콘텐츠를 찾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the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s above when the user is looking for sound source content that suits the user's taste, but it is a sound source to be used for a specific purpose rather than the user's taste. Its characteristic is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when searching for content.

예를 들어, 신나는 댄스곡을 주로 즐기는 사용자가 할머니의 환갑잔치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거나, 발표문서나 동영상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배경음악을 찾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목적을 위한 음악의 경우에 사용자의 취향도 중요지만 오히려 해당 작업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찾는 것이 중요하거나 상기 음원콘텐츠를 듣는 사람의 선호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사용자의 취향이나 평소에 듣던 기록에만 의존하여 목적에 부합하는 음원콘텐츠를 찾기는 어렵다. 오히려 사용자의 취향과 같은 기록이나 데이터는 객관적이고 목적에 부합하는 정확한 음원콘텐츠를 찾는데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특정 목적을 위하여 음원콘텐츠를 찾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덜 받고 해당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설정과 조건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who mainly enjoys exciting dance songs can use it to find music suitable for grandmother's 60th birthday party, or to find background music needed to work on presentation documents or videos. In the case of music for this specific purpose, the user's taste is important, but it is more important to find sound source content suitable for the task in question, or the preference of the person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content is important. Therefore, as in the prior art, the user's taste or what he or she usually listens to is important. It is difficult to find sound source content that meets the purpose by relying solely on records. Rather, records and data such as user tastes are often an obstacle to finding accurate sound content that is objective and meets the purpose. Therefore, when searching for sound content for a specific purpose, new settings and conditions are needed that are less or less influenced by the user's tastes and suit the purpos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such cases.

챗봇부(120)를 통하여 획득하는 세부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정보, 장소정보, 장면(분위기)정보, 시즌(날짜)정보, 시간정보, 시대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세부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세부정보가 추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세부정보 카테고리에는 상기 세부정보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정보'에는 '무서운, 비장한, 그로테스크한....'등과 같은 구체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장소정보'에는 '집, 학교, 바닷가....'등과 같은 구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세부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카테고리에는 하위개념에 해당하는 구체정보가 포함된다. 챗봇부(120)와 정보추출부(130)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hatbot unit 120 may include emotional information, place information, scene (mood) information, season (dat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era information, etc., as shown in FIG. 3. . However, the above detailed information represent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may be added as needed. And each detailed information category may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emo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scary, solemn, grotesque...', and 'place information' may include 'home, school, beach.'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 may be included. In the same way as above, each category corresponding to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speci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ub-concept. The functions of the chatbot unit 120 and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음원분류부(140)는 사용자에게 음원콘텐츠를 제공하기 전에 음원콘텐츠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장르별 또는 분위기별로 분류하여 상기 음원콘텐츠저장부(150)에 분류 및 저장한다. 음원분류부(140)에서 음원콘텐츠를 분류하는 기준은 도 3에 도시된 세부정보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든 음원콘텐츠에 감정정보와 장소정보, 장면정보 등에 관한 색인이나 가중치를 부가하여 해당 색인에 측정값이나 점수를 평가한 값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세부정보에 부합하는 평가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음원콘텐츠를 장르별 또는 분위기별로 분류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종전에 분류되어 있는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Before providing sound source content to a user, the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140 classifies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150 by genre or mood, and classifies and stores them in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150.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sound source content in the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140 may be in a direction that matches the detailed information shown in FIG. 3. In other words, by adding indexes or weights related to emotional information, place information, scene information, etc. to all sound source content and displaying the measured value or score in the index, it is possible to have an evaluation value that matches the detailed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to classify sound content by genre or mood, and in some cases, previously classified information may be used.

사용자정보저장부(16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회원가입을 할 때 저장한 개인정보 및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근 일정기간 동안 들었던 음원콘텐츠에 관한 히스토리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정보를 정보추출부(130)가 활용하여 본인의 취향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추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를 활용한 음원콘텐츠 추천은 주로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듣기 위한 음악을 찾는데 활용되고, 사용자의 취향과는 무관하게 특정 목적을 위한 음원콘텐츠를 찾는데는 활용하지 않거나 활용도를 낮게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아무리 특정 목적을 위하여 음원콘텐츠를 찾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나 작업자 개인의 취향도 어느 정도 반영될 수밖에 없으며, 사용자도 같은 값이면 본인의 취향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좋아할 것이기 때문에 특정 목적을 위한 검색에서도 사용자의 취향이 어느 정도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를 활용하여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과 활용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store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when a user signs up to use the system for recommending desired music and soun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stored by the user for a recent period of time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story information about sound source content listened to may be include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can use the information to extract sound source content that suits the user's taste. Recommendation of sound source content using user information is mainly used to help users find music for personal listening, and it is desirable not to use it to find sound source content for a specific purpose, regardless of the user's taste, or to add low utilization. However, no matter how much sound source content is searched for a specific purpose, the individual tastes of the user or worker are bound to be reflected to some extent, and since users will also like sound source content that matches their tastes, even in searches for a specific purpose, the user's You can ensure that your tastes are reflected to some extent. The method of recommending sound content using user information and how to utilize it will be explained later.

트랜드분석부(170)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목적이나 분위기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추출할 때 최근의 트랜드를 분석하여 활용하는 역할을 한다. 예을 들어, 사용자가 '분위기 있는 발라드'를 찾는 경우에 챗봇을 활용하여 상기 음악을 찾는 목적을 분석한 후에 그 목적이 개인적으로 듣기 위한 목적이라면 사용자가 평상시에 즐거듣던 음악이나 이와 비슷한 음악을 추천한다. 그리고 음원콘텐츠를 추천할 때 전부나 일부를 트랜드부석부를 통하여 동일한 취향이나 연령대 또는 성별대의 사람들이 최근에 즐겨듣는 음악을 전부나 일부로 하여 추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The trend analysis unit 170 serves to analyze and utilize recent trends when extracting sound source content that suits the purpose or atmosphere the user is looking for. For example, if a user is looking for an 'atmospheric ballad', the chatbot is used to analyze the purpose of finding the music. If the purpose is to listen personally, music that the user usually enjoys or similar music is recommended. . Also, when recommending music content, you can recommend all or part of the music that people of the same taste, age group, or gender group recently enjoyed listening to through the trend review section.

그러나 개인적으로 듣기 위한 것이 아니라 특정의 목적을 위한 음원콘텐츠를 찾는 경우에는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해당 목적에 부합하는 음원콘텐츠를 찾아서 추천하는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하여 예시한 사례에서 20대의 젊은 사람이 80대의 할머니를 위한 음악을 찾는 경우에 챗봇을 통하여 검색의 목적이 '할머니에게 들려드릴 음악'이라고 하면, 챗봇은 할머니의 연령과 성별을 묻고 해당 연령대와 성별의 어르신들이 최근에 많이 듣는 음악을 분석하여 추천할 수 있다.However, if you are looking for sound source content for a specific purpose rather than for personal listening, it may be useful to find and recommend sound source content that meets that purpose through trend analysis. For example, in the case mentioned above, when a young person in his 20s is looking for music for a grandmother in her 80s, and the purpose of the search is 'music to play to my grandmother' through a chatbot, the chatbot searches for the grandmother's age and gender. By asking questions, you can analyze and recommend the music that seniors of the relevant age and gender listen to a lot recently.

이를 위하여 트랜드분석부(170)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이용자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공지의 음원순위 및/또는 다른 서비스제공자의 플랫폼 등에 제공되는 방송횟수나 다운로드횟수 등을 활용하여 최근 트랜드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To this end, the trend analysis unit 170 serves to analyze recent trends by utilizing not only the data of other users using the service, but also the announced music source rankings and/or the number of broadcasts or downloads provided on other service providers' platforms, etc. .

음원추천부(180)는 전술하여 설명한 챗봇을 통하여 취득한 정보(세부정보 및 상위정보)와 사용자정보 및 트랜드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음원콘텐츠를 추천한다. 사용자는 추천콘텐츠의 수를 제한하는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추천된 음원 중에 선호도를 평가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180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and top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trend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hatbot described above, and ultimately recommends the sound source content that the user is looking for. Users can choose to limit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and can also improve accuracy by evaluating their preferences among recommended sound source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천음원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에서 추천음원을 찾는 과정을 트리(tree)로 개략화한 것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ound sources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recommending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commending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finding recommended sound sources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is outlined as a tree.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음원콘텐츠를 추천할 때 두 가지 모드로 구분된다. 하나는 순수하게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듣기 위하여 평소에 좋아하던 음악이나 이와 유사한 음악을 찾는 모드(취향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의 평소 취향과는 다른 새로운 음악을 경험하거나 본인의 취향과는 무관하게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음원콘텐츠를 찾는 모드(특정목적모드)이다. 본 발명은 특히 '특정목적모드'에 적용하는데 유용하며,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듣기 위하여 좋아하는 음원콘텐츠를 찾는 '취향모드'의 경우에는 종래기술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평소에 즐겨듣던 음악 등의 유형을 분석하여 추천음원을 제공하면서 본 발명 중에 챗봇부(120)를 이용하여 새로운 음악을 찾거나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좋아할 만한 음악을 추천하는 방식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목적모드'로 활용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며, '취향모드'에서 본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wo modes when recommending sound content. One is purely a mode (taste mode) where the user searches for music he or she likes or similar music to listen to personally, and the other is a mode where the user experiences new music that is different from the user's usual tastes or is unrelated to the user's tastes. This is a mode to find sound source content needed for a specific purpose (specific purpose mode).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application to the 'specific purpose mode', and in the case of the 'taste mode' where the user searches for music content he or she likes to personally listen to, similar to the prior art, the type of music the user usually listens to is used. While analyzing and providing recommended sound source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uxiliary method of finding new music using the chatbot unit 120 or recommending music that may be liked through trend analysis.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how to utilize the present invention in 'specific purpose mode', and will explain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aste mode' as an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목적이 취향모드인지 특정목적모드인지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도록 하거나 챗봇을 통하여 질문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의 목적위하여 음원콘텐츠를 검색한 결과는 추후에 사용자가 취향모드로 검색을 할 때는 반영되지 않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에 보다 부합하는 정확한 음원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Whether the purpose of using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ence mode or specific purpose mode, the user's purpose can be confirmed by having the user select in advance or by asking a question through a chatbot.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user's search for sound source content for a specific purpose will not be reflected or affected when the user searches in preference mode later, so that accurate sound source content that better matches the user's purpose can be recommended.

도 2 및 도 3과 전술하여 설명한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모드선택단계(S200), 챗봇을 통한 기초정보 획득단계(S210), 챗봇을 통한 추가정보 획득단계(S220), 챗봇을 통한 상위정보 획득단계(S230), 추천음원콘텐츠의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S240), 추천음원콘텐츠의 가중치를 조절하는 단계(S250) 및 목적에 부함하는 음원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e method of using the system for recommending sound sourc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the configuration of FIG. 1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step (S200), basic information through a chatbot, Acquisition step (S210), add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S220), upper leve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S230), providing samples of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S240), step of adjusting the weight of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S250) and a step of selecting and providing a sound source that meets the purpose (S260).

'모드선택단계(S200)'에서는 사용자가 어떤 목적으로 음원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사용자가 서비서를 이용하는 목적이 '취향모드'인지 '특정목적모드'인지를 결정하며, 이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거나 설정할 수도 있고, 챗봇이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mode selection step (S200)', the user determines the purpose for which he or she is searching for sound source content. In other words,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purpose of using the service is 'preference mode' or 'specific purpose mode', which can be selected or set in advance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or the chatbot asks the user a question and makes the choice or decides. You can do it.

'챗봇을 통한 기초정보 획득 단계(S210)'는 사용자가 챗봇을 통하여 본인이 찾고자 하는 음원콘텐츠에 관한 기초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음원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전술하여 설명한 복수의 세부정보에 속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구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챗봇부(120)는 채팅창이 열리는 순간 '어떤 음악을 찾으시나요?' 등과 같이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질문을 한다. 챗봇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기초정보가 수신되면 정보추출부(130)가 사용자가 보내온 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추가적인 질문을 할 것이지, 아니면 음원콘텐츠를 추천하기에 충분한 정보인지를 판단한 후에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 추가질문을 한다. In the 'step of acquiring basic information through a chatbot (S210)', the user deliver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content he or she is looking for through a chatbot.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content refers to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specific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detailed information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chatbot unit 120 asks 'What kind of music are you looking for?' the moment the chat window opens. Ask questions to start a conversation, such as: When bas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a chatbot,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extract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sent by the user and asks additional questions, or additional information is required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is sufficient to recommend sound source content. If so, ask additional questions.

사용자가 본 발명에 관한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자주 활용하다 보면 어떤 정보를 제공하였을 때 가장 유용한 결과가 도출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빈도가 높아질 수록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음원추천에 필요한 충분하고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면 추가적인 질문이 적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불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초정보로는 정확한 추천음원콘텐츠를 제공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챗봇부(120)는 다양한 추가정보를 얻기 위한 대화를 시도하게 된다.If users frequently utilize the system for recommending sound source cont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y will be able to identify which information provides the most useful results. Therefore, as the frequency of use increases, more accurate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In this way, if sufficient and accurate information required for music source recommendation is provided, additional questions may be reduced or, in some cases, unnecessary. However, since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provide accurate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with basic information, the chatbot unit 120 attempts conversations to obtain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챗봇을 통한 추가정보 획득단계(S220)'는 기초정보로 얻지 못한 정보 중에 정확한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데 유용하거나 필요한 정보에 관한 질문을 수행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chatbot (S220)' is a step of asking questions about information that is useful or necessary for recommending accurate sound source content among the information that was not obtained as basic information.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콘텐츠 추천시스템의 정보가 트리(tree) 형식으로 예시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음원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다양한 세부정보와, 상기 세부정보의 상위정보인 장르, 악기 등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위정보는 장르와 악기 외에도 국가별, 언어별 정보가 추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세부정보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챗봇을 통하여 제공하는 기초정보와 추가정보는 일반적으로 세부정보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챗봇부(120)도 기초정보 획득단계와 추가정보 획득단계에서는 주로 세부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미리 상위정보를 기초정보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후의 단계에서 추천음원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위정보를 미리 제한하여 진행하게 된다. 이때, 챗봇부는 사용자가 상위정보를 미리 제한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상기 상위정보를 특정하여 제한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이후의 단계에서 추천음원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위정보를 한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단계에서 상위정보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In Figure 3,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a tree format. 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sound source content and genre, instrument, etc., which are higher level information of the detailed information, are included. In addition to genres and instruments, high-leve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by country and language, and of course,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s needed. And of course, various details can be added as needed. The basic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through the chatbot generally correspond to detailed information, and the chatbot unit 120 also mainly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acquiring detailed information in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ag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age. do. However, if the user provides the top information as basic information in advance, the top information is limited in advance dur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in the next step. At this time, the chatbot unit checks whether the user wants to limit the top information in advance, and if the user wants to specify and limit the top information, it limits the top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in a later step. If not, In the final stage, the upper level information can be restrict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초정보로 '놀이공원에서 듣기 좋은 즐거운 팝송'을 기초정보로 제공하면 챗봇부(120)는 상위정보를 '팝송'으로 한정할 것인지를 물어보고, 사용자가 팝송으로 한정한다는 응답이 있으면 이후의 추천음원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위정보를 팝송으로 고정하여 추천음원을 추출하게 된다. 하지만 상위정보가 미리 확정되지 않으면 다양한 장르의 추천음원이 추출되어 제공되며, 사용자는 추천된 음원의 샘플을 보거나 듣고 원하는 상위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넓은 범위의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트리(tree)의 상부인 상위정보를 미리 특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위정보가 미리 정해진 경우에는 초기에 상기 상위정보를 한정하여 보다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도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음원콘텐츠가 어떤 것인지 정확히 모르고 단순히 어떤 상황이나 시간에서 듣기 좋은 음원콘텐츠를 찾는 것을 도와주는 것이기 때문에 음원콘텐츠를 검색하거나 추천하는 과정에서도 도 3의 트리구조의 하부(세부정보)에서 상부(상위정보)로 가면서 범위를 좁혀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f the user provides 'fun pop songs that are good to listen to at an amusement park' as basic information, the chatbot unit 120 asks whether to limit the top information to 'pop songs' and replies that the user limits it to pop songs. If there is a response, in the subsequent step of extracting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the top information is fixed as a pop song and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is extracted. However, if the top information is not determined in advance, recommended sound sources of various genres are extracted and provided, and the user can specify the desired top information by viewing or listening to samples of the recommended sound sources.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a wider range of diverse information, it is desirable not to specify in advance the upper information, which is the top of the tree. If the higher information is predetermined, faster results can be obtained by limiting the upper information at the beginning. There will be.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lp users simply find sound source content that is good to listen to in any situation or time without knowing exactly what sound source content they want, so even in the process of searching or recommending sound source content, the tree structure of FIG. 3 is used. It is desirable to narrow the scope by going from the bottom (detailed information) to the top (higher information).

'챗봇을 통한 추가정보 획득단계(S220)'에서는 챗봇부(120)가 전술하여 설명한 기초정보 획득단계를 거친 후에 도 3의 트리(tree)에서 추가적으로 세부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질문을 하는 단계이다. 이때, 추가정보 획득단계에서는 전술하여 설명한 '챗봇을 통한 기초정보 획득단계'에서 이미 획득한 기초정보에 관한 질문이 확정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확정된 세부정보에 관련된 질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부정보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관련순으로 질문한다.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S220)', after the chatbot unit 120 goes through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described above, it asks additional questions to obtain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tree in FIG. 3. This is the step. At this time,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if the questions regarding the basic information already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are confirmed information, the remaining detailed information is asked except for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confirmed detailed information. Ask questions sequentially or in order of relevance.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닷가에서 산책하면서 듣기 좋은 음악을 추천해줘'라고 기초정보를 제공하면 정보추출부(130)에서 '바닷가'라는 장소정보와 '산책'이라는 장면정보를 확정된 세부정보로 인식하여 후보가 될만한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추출한다. 그런 후에 사용자에게 '어떤 감정(분위기)의 노래를 찾으시나요?'라고 추가적인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평화로운 분위기'라고 답하면 상기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 중에서 평화로운 분위기에 부합하는 음원콘텐츠를 추출한다(2차 음원콘텐츠후보군).For example, when a user provides basic information such as ‘Recommend music that is good to listen to while taking a walk at the beach,’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converts the place information ‘beach’ and the scene information ‘walk’ into confirmed details. Recognize and extract 'prim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that can be candidates. The user is then asked for additional details, such as 'What kind of emotion (mood) are you looking for in a song?' And if the user answers 'peaceful atmosphere', sound source content matching the peaceful atmosphere is extracted from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second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2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이 추출된 후에는 또 다른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을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2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이 추출된 후에 '어떤 계절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으시나요?'라는 질문을 하거나 '어떤 날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으시나요?'라는 질문을 하여 세부정보 중 '시즌정보'에 관한 질문을 하고, 상기 시즌정보에 관한 대답에서 시즌정보를 획득한 후에 상기 2차 음원콘텐츠후부군에서 상기 시즌정보에 어울리는 3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추출한다. After the second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re extracted, questions regarding other detailed information can be asked sequentially and repeatedly. In other words, after the second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re extracted, the question 'What season are you looking for music that suits?' or 'What kind of day are you looking for music that suits?' After asking a question and obtaining season information from the answer regarding the season information, a terti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matching the seas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secondary sound content content group.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음악을 즐기기 위해서 음원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정보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 및 날씨정보 등을 활용하여 추천음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특정 목적을 위하여 음원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현재 날씨나 위치 등과는 무관하고 오히려 해당 목적을 위한 특정 날씨정보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챗봇을 통하여 날씨정보 등을 질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searches for sound source content to personally enjoy music, recommended sound sources are provided using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etc. However, when searching for sound content for a specific purpose, it is not related to the current weather or location, but rather requires specific weather information for that purpose, so you can ask about weather information through a chatbot.

상기와 같은 세부정보에 관한 정보획득과 음원콘텐츠후보군의 추출은 상기 추출된 음원콘텐츠가 일정 숫자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하거나 미리 설정된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이 모두 끝날때까지 또는 사용자가 더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거나 더 이상의 정보 없이 추천해 줄 것을 선택할 때까지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n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추출한 후에 사용자에게 제시한다.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s described above is carried out repeatedly until the extracted sound source content reaches a certain number or less, or until all questions about the preset detailed information are completed, or until the user asks no more questions. The process continues until no information is provided or a recommendation is made without further information, and the nth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re finally extracted and presented to the user.

이상과 같이 각 단계가 진행될 때마다 후보군을 줄여가는 방식을 활용하면 챗봇을 통한 대화를 진행하는 단계에서 각 단계별로 추출된 추천음원의 리스트를 보거나 샘플을 들려줌으로써 목적에 맞는 방향으로 검색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는 기능 등을 활용하기도 용이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모든 세부정보와 상위정보가 조합된 후에 최종적으로 추천음원을 추출하는 방법이 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f you use the method of reducing the candidate group as each step progresses, the search will proceed in a direction that suits your purpose by viewing the list of recommended sound sources extracted at each step or listening to samples during the conversation through the chatbot. It is easy to check whether something exists and to use functions such as going back to the previous step. However, of course, if necessary, a method of extracting the final recommended sound source after combining all detailed information and high-level information may be used.

한편, 세부정보는 시스템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도 있지만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추가할 수도 있다. 언어는 시대별로 유행어나 줄임말 등이 다양하게 출현하게 되는데, 관리자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유행어나 줄임말 등을 모두 확인하여 일일이 추가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평소에 이러한 언어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는 챗봇과 대화를 할 때도 이러한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존의 세부정보에 들어 있지 않은 새로운 표현이 수신되면 정보추출부(130)에서 이를 감지하여 별도로 색인(index)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단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하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하여 얻어진 추가적인 세부정보와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결과를 반영하여 새롭게 유입된 단어와 함께 저장한다. 그런 후에 상기 새롭게 유입된 세부정보를 이용하는 검색이 일정 횟수 이상이 되고 사용자가 챗봇을 통하여 보내오는 세부정보와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음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만족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해당 단어를 세부정보에 추가하여 다른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detailed information can be added by the system administrator as needed, but the algorithm can also add it automatically. In language, various buzzwords and abbreviations appear depending on the era, but it is difficult for managers to check and add all newly created buzzwords or abbreviations one by one. However, users who frequently use these languages may also use these languages when conversing with a chatbot. Therefore, when a new expression that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detailed information is received,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detects it, indexes it, and stores it separately. Additionally,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conversation with a user who searches using the word and the user's final selection result are reflected and stored along with the newly introduced word. After that, when the number of searches using the newly introduced detailed information exceeds a certain number,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sent by the user through the chatbot and the user's selection (satisfaction rate) of the sound source recommended by the algorithm exceed a certain level, the word is selected. Add it to the details and make it available to other user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챗봇을 통하여 '해변에서 산책하면서 듣기 좋은 깔삼한 노래를 추천해줘'라는 질문을 하고, 상기 '깔삼한'이라는 단어가 도 3과 같이 기존의 세부정보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정보라면 챗봇은 추가적인 질문을 통하여 '깔삼한'이 어떤 것인지를 물어볼 수 있다. 오늘날에는 알고리즘이 고도화되어 언어나 문자의 의미를 인식하는 능력이 높아져 있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계속해서 새롭게 사용되는 용어도 학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또는 상당부분의 경우에는 챗봇부(120)와 정보추출부(130)에서는 상기 '깔삼한'이라는 단어가 감정정보를 나타내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고, 그 의미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한 정보확인을 위하여 또는 완전히 새로운 단어인 경우에는 챗봇부(120)는 채팅을 통하여 상기 '깔삼한'이라는 단어의 의미에 관해서 추가적인 질문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질문으로 정확한 의미가 판단되지 않는다고 하여 반복적으로 질문만 하는 것은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챗봇부(120)는 반복적인 질문을 하기 보다는 문자적으로 인식된 의미에 가까운 단어를 제시하여 근사한 감정정보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불확실성을 해소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 간다. 즉, '깔삼한'이라는 단어가 챗봇부(120)에 수신되면 상기 단어가 감정정보에 관한 것인지 장면정보에 관한 것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질문을 한 후에 '감정정보'에 관한 것이라면 감정정보에 해당하는 세부정보(잔잔한, 즐거운, 서정적인 등)의 전부나 일부를 제시하여 비슷한 감정정보를 최소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새로운 단어는 기존에 동일한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가 있을 수도 있고, 기존의 감정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단어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세부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asks a question through a chatbot, ‘Recommend a good song to listen to while walking on the beach,’ the word ‘Kalsahan’ is a new song that is not stored in the existing detailed information, as shown in Figure 3. If it is information, the chatbot can ask additional questions about what 'kalsamhan' is. Today, algorithms have become more advanced and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meaning of language or text has increase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continue to learn newly used terms, so in most or significant cases, the chatbot unit 120 and information extraction The unit 130 can recognize that the word 'kalsahan' represents emotional information, and in many cases, can understand its meaning. However, in order to confirm more accurate information or in the case of a completely new word, the chatbot unit 120 may ask additional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 word 'kalsamhan' through chat. However, since the exact meaning cannot be determined through these questions, repeatedly asking questions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so rather than asking repetitive questions, the chatbot unit 120 presents words that are close to the literally recognized meaning. Move to the next step by resolving uncertainty by presenting good emotional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word 'kalsahan' is received by the chatbot unit 120, a simple question is asked to determine whether the word is related to emotional information or scene information, and if it is related to 'emotional information', the emotional information is asked. Present all or part of the relevant details (calm, happy, lyrical, etc.) so that at least one piece of similar emotional information can be selected. Since the new word may be an existing word that expresses the same emotion, or there may be a word that applies a combination of existing emotions, the user may select multiple details.

이처럼 새로운 세부정보가 유입되는 경우에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상기 세부정보의 카테고리와 의미를 결정하고 사용자가 해당 단어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선택한 음원콘텐츠의 분위기를 조합하여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단어로 검색을 하는 경우에도 같은 과정을 일정 횟수 반복하여 사용자가 시행착오 없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검색을 수행하면 상기 '깔삼한'이라는 단어를 감정정보의 카테고리에 추가하여 제시하거나 활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들의 검색행동을 분석하여 사용자들이 '깔삼한'이라는 단어로 검색을 할 때 '잔잔(70%)하면서 즐거운(30%)'이라는 의미에 해당하는 검색결과를 주로 선택한다면 상기 '깔삼한'이라는 세부정보를 잔잔함과 즐거움이 7:3의 비율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추천음원도 동일한 비율로 제시하거나 잔잔한 음악 중에 상대적으로 즐거운 분위기의 음악을 추천하는 등의 방향으로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불확실한 신규단어가 세부정보로 들어올 경우에도 일정한 조건하에서 다음 단계로 원활하게 진행이 가능하고, 상기 불확실한 단어가 일정 횟수 반복이 되면 어떤 의미인지 알고리즘이 판단하여 카테고리에 새롭게 추가하여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음원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롭게 유입된 단어의 의미가 기존의 특정 세부정보와 일정수치(예를 들어 80% 또는 90% 등)를 넘는 일치율을 보이는 경우에는 해당 단어는 기존 세부정보에 결합되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new detailed information is introduced, the category and meaning of the detailed information are determined through a simple question, and the atmosphere of the sound source content finally selected by the user by searching for the word is combined and stored. And even when other users search with the same word, the same process is repeated a certain number of times, and if the user performs the search above a certain level without trial and error, the word 'Kalsahan' is added to the category of emotional information and presented or utilized. You can.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search behavior of multiple users, if users mainly select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calm (70%) and pleasant (30%)' when searching for the word 'calamhan', the above ' The detailed information 'Kkalsamhan' is judged to mean that calmness and pleasure have a ratio of 7:3, and recommended sound sources are presented in the same ratio or by recommending music with a relatively pleasant atmosphere among calm music. . By doing this, even when an uncertain new word enters the detail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ceed smoothly to the next step under certain conditions. When the uncertain word is repeated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algorithm determines what it means and adds it to the category for more accurate us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music content that fits the user’s needs. If the meaning of a newly introduced word through the above process shows a match rate exceeding a certain value (e.g. 80% or 90%) with existing specific detailed information, the word is combined with the existing detailed information and has the same meaning. It can be used as

챗봇부(120)에서 세부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질문을 할 때는 사용자의 선택을 쉽게 하기 위하여 후보가 될 만한 답변을 미리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챗봇부(120)를 통하여 '어떤 감정(분위기)의 노래를 찾으시나요?'라고 추가적인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을 하면서, 도 3의 세부정보 중에 감정정보에 해당하는 '무서운, 비장한, 그로테스크한, 몽환적인.....'등의 선택옵션을 챗봇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선택옵션들 중에서 원하는 분위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시하는 선택옵션이 많을 경우에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통하여 미리 분석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옵션의 전부나 일부를 제공하는 형식이 될 수도 있다.When the chatbot unit 120 asks a question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candidate answers may be presented in advance to make it easier for the user to make a selection. For example, while asking a question about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through the chatbot unit 120, ‘What kind of emotional (mood) song are you looking for?’, among the detailed information in FIG. By providing selection options such as ', grotesque, dreamy...' through a chatbot,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atmosphere from among the above selection options. At this time, if there are many selection options presented, all or part of the selection option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priorities analyzed in advance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일반적으로 바닷가에서 산책을 할 때는 주로 '잔잔한, 로맨틱한, 즐거운, 평화로운..'등의 감정정보가 선택될 가능성이 높으며, '비장한, 무서운..'등의 감정정보가 선택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선택옵션을 제시할 때도 최소한 '비장한, 무서운' 등의 감정정보는 후순위로 제시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선택옵션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감정정보(예를 들어 '무서운' 등)를 챗봇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선택옵션의 우선순위를 사용자들이 선택하는 횟수나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학습하면서 사용자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선택옵션에서 가장 많이 선택하는 추가적인 세부정보 옵션을 우선순위로 하여 제시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taking a walk on the beach, emotional information such as 'calm, romantic, happy, peaceful...' is likely to be selected, and emotional information such as 'spicy, scary...' is likely to be selected. low. Therefore, when presenting a selection option, at least emotional information such as 'splenic' or 'scary' could be presented as a lower priority or omitted. However, of course, users can still convey emotional information (e.g. 'scary', etc.) that is not presented in the selection options through the chatbot.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learns the priority of selection options through the number of times users select them or through trend analysis, and can present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options that users select most often from the same or similar selection option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전술하여 설명한 기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추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챗봇을 통하여 대화를 할 때 이전 단계에서 특정된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 중 일부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화면에 제시하고, 상기 리스트 중에 전부나 일부를 배경음악으로 스트리밍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제공된 리스트 중에 일부 곡을 선택하거나 배경음악으로 재생되는 음원콘텐츠에 대하여 평가를 하는 과정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리스트 중에 듣고싶은 곡이 있으면 리스트 중에서 해당 곡을 선택하여 들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ound source specified in the previous step when conversing through a chatbot in the step of acquiring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step of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described above. A partial list of content candidates can be presented on the user's screen, and all or part of the list can be streamed and listened to as background music. Accordingly, a process may be further provided in which the user selects some songs from the provided list or evaluates sound source content played as background music. If there is a song that the user wants to hear among the provided list, he or she can select the song from the list and listen to it.

예를 들어, '바닷가에서 산책할 때 듣기 좋은 노래'가 기초정보로 획득되어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이 추출되고, 그 다음 단계로 챗봇부(120)가 추가정보를 얻기 위하여 '어떤 분위기(감정)의 음악을 찾으시나요?'라는 질문을 하면서 상기 기초정보 획득단계에서 얻게된 바닷가에서 산책할 때 듣기 좋은 노래라는 기초정보로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채팅창에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 중에 특정 곡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음원콘텐츠의 재생은 해당곡의 도입부 또는 클라이막스 등의 일부만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추가정보에 대한 대답을 전송하거나 재생을 중단할 때까지 진행된다. 사용자는 챗봇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기 전후에 제공된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에서 괜찮은 곡을 한 두 곡 선택하거나 평가를 할 수 있다.For example, 'a song that is good to listen to while walking on the beach' is obtained as basic information and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is extracted, and in the next step, the chatbot unit 120 selects 'a certain atmosphere (emotion)'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By asking the question, 'Are you looking for music?', a list of prim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is provided to the user's chat window using the basic information that is a good song to listen to while walking on the beach obtained in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and a specific song from the list is provided. Songs can be played sequentially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Playback of sound source content consists of only part of the song's introduction or climax and continues until the user sends a response to additional information or stops playback. Users can select or evaluate one or two good songs from the list of primary sound content candidates provided before or after answering the chatbot's questions.

음원추천부(180)에서 제공하는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는 기초정보 획득단계에서 추출된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모든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샘플리스트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샘플리스트는 추출된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 중에 복수개의 타입을 무작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1차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추출할 때 1) 사용자정보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후보곡과 2) 사용자의 취향과는 무관하게 트랜드분석부(170)를 통하여 최근의 트랜드를 분석하여 비슷한 조건에서 다른 사람들이 가장 많이 듣고 선호하는 후보곡과 3) 순수하게 알고리즘이 분석한 후보곡 중에 최소한 2가지 이상으로 분류하여 무작위로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공된 리스트(제목)만으로 평가를 하거나 리스트의 음원콘텐츠를 모두 듣고 평가를 할 수 있다. 평가는 상중하 등과 같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거나 몇몇 곡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되는 후보군의 리스트는 3~6곡 등 비교적 적은 숫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후보군리스트는 진정한 의미의 추천곡이 아니라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일종의 테스트이고 많은 곡을 제시하는 경우에 오히려 검색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사용자에게 혼동을 줄 염려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샘플을 사용하는 것이다. The list of prim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180 does not provide all lists of prim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extracted in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but only provides a partial sample list. In addition, the sample list is characterized by randomly providing a plurality of types among the extracted prim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For example, when extracting the primary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1)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is used to select candidate songs that suit the user's taste and 2) trend analysis regardless of the user's taste. Through unit 170, recent trends are analyzed, and 3) candidate songs are most listened to and preferred by other people under similar conditions, and 3) candidate songs analyzed purely by the algorithm are classified into at least two categories and provided at random. Then, the user can evaluate only the provided list (title) or listen to all the sound content in the list and evaluate. The evaluation can be done in a simple and quick way, such as high, middle, or low, or by selecting a few songs.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list of candidates provided be comprised of a relatively small number, such as 3 to 6 songs. This is because the candidate list is not a recommendation song in the true sense, but a kind of test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direction the user is looking for, and if a large number of songs are presented, there is a risk that the search will take a long time or cause confusion for the user, so there are relatively few songs. This is using samples.

상기 1) 내지 3)의 후보곡은 챗팅과정에서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고, 일부가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각 단계별로 채팅이 진행되는 동안 3가지 샘플을 모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향을 확인할 수도 있고, 첫 번째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후보곡을 제공하고, 두 번째는 트랜드분석을 통한 후보곡을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The candidate songs 1) to 3) above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during the chatting process, or some of them may be provided sequentially. In other words, all three samples can be provided during each stage of the chat to confirm the direction the user prefers. The first provides candidate songs that suit the user's taste, and the second provides candidate songs through trend analysis. It may be done in a way such as providing .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가 현재 찾고자 하는 곡의 방향을 더욱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곡들이 본인의 평상시 취향과 유사한 곡이라면 이후의 단계에서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추출할 때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추출된 음원으로 구성하거나 최소한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곡의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곡들이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음원콘텐츠후부군이 많다면 이후의 단계에서는 트랜드분석에 좀 더 부합하는 곡으로 구성하거나 이러한 곡에 대한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순수하게 알고리즘이 분석한 후보곡은 음원데이터를 분석하여 템포나 대표선율 등을 기준으로 분석된 음원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진행하면서 사용자의 선택결과를 이용하여 알고리즘분석을 보완하여 시간이 지날 수록 음원의 분류나 추천곡의 선택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도 본인이 좋아하는 곡과 타인이 좋아하는 곡이 아닌 다양한 음원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음원추천부에서 각 단계별로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를 제공할 때는 어떤 기준에 의하여 추출된 음원콘텐츠인지에 관하여 정확하게 표시하지 않는 것이 보다 객관적인 검색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선택이 완료된 후에는 어떤 기준으로 분류된 음원콘텐츠인지를 알려주어 다른 기준에 따른 음원콘텐츠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Through the above method, the direction of the song the user is currently looking for can be more accurately inferred. For example, if the songs selected by the user are similar to the user's usual tastes, when extracting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t a later stage, the user's tast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extracted sound sources are used, or at least the proportion of songs that the user is likely to like is increased. Proceed in the direction. And, if the songs selected by the user have a large number of sound source content groups extracted through trend analysis, the subsequent steps are made to consist of songs that are more consistent with the trend analysis o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se songs. Candidate songs analyzed purely by the algorithm can be composed of sound source content analyzed based on tempo or representative melody by analyzing sound source data, and while proceeding with the above method, the algorithm analysis is supplemented using the user's selection results. As time goes by, it can be improved in a way that helps in classifying sound sources or selecting recommended songs, and also provides users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 variety of sound content other than their own favorite songs and songs that others like. can do. When providing a list of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t each stage in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section, it would be helpful for a more objective search if it did not indicate exactly what criteria the sound source content was extracted by. However, after the selection is completed, you may be notified by what criteria the sound source content is classifie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check the sound source content according to other standards.

예를 들어, 첫 번째 질문에 관하여 세부정보(기초정보)가 획득된 후에 2~6개 정도의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 중에 특정의 곡을 선택하면 'OO님의 취향과 유사한 곡입니다' 또는 '최근 트랜드에 맞는 곡입니다'라는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리스트가 본인의 취향과 유사한 곡인 경우에 트랜드에 맞는 곡을 재선택하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아무리 정보를 객관화하여 추천음원콘텐츠후보군을 제시하더라도 사람은 누구나 그 중에서 본인의 취향에 가장 맞는 곡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검색이 진행되는 과정이 본인의 취향에 맞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선택하거나 트랜드에 맞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사용자가 어느 정도 영향을 주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after detailed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is obtained regarding the first question, a list of 2 to 6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is presented, an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ong from the list of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 You can display a message such as ‘This is a song similar to OO’s taste’ or ‘This is a song that fits the recent trend.’ If the selected list contains songs similar to the user's tastes, the user can adjust the direction by reselecting songs that fit the trend.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 matter how objective the information is and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re present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nyone will select a song that best suits their taste. Therefore, eve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nd selecting a list of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some influence in choosing to proceed in a direction that suits the user's taste or proceed in a direction that matches the trend. It is to make it possible.

다른 실시예로, 세부정보를 획득하는 각 단계에서는 선택된 음원콘텐츠가 어떤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알려주지 않고, 모든 세부정보가 획득되어 추천음원콘텐츠가 확정되어 제시되면서 상기 추천음원콘텐츠가 어떤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알려주고 다른 분류에 해당하는 추천음원콘텐츠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가중치를 조절하는 것의 일종으로, 후술하여 설명할 가중치를 조절하는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In another embodiment, at each stage of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it does not tell what category the selected sound source content corresponds to, but when all detailed information is obtained and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is confirmed and presented, it informs what category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falls into. You can also view recommended music content that falls into other categories. This method is a type of weight adjustment, and will be further explained in the weight adjustment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챗봇을 통한 상위정보 획득단계(S230)'는 추출된 음원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위정보를 적용하는 단계이다. 상위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르에 관한 정보, 악기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국가별 또는 언어별 상위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음악 이외에 자연의 소리나 새소리 등과 같은 상위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higher leve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S230)' is the step of applying the higher level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extracted sound content. As shown in FIG. 3, the to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genres, information about musical instruments, etc. In addition, top information by country or language may be included. And in some cases, higher level information such as sounds of nature or bird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music.

상위정보 획득단계(S230)는 챗봇부(120)에서 세부정보에 대하여 완전히 특정이 된 후에 사용자의 화면에 상위정보에 관한 선택옵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챗봇과의 대화과정에서 상위정보를 미리 또는 세부정보에 대한 특정이 완료된 후에 챗봇의 제안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다.The upper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230) may be performed by providing selection options for higher information on the user's screen after the chatbot unit 120 completely specifies the detailed information.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lect high-level information in advance or after specifying detailed information during a conversation with the chatbot according to the chatbot's suggestions.

상위정보 획득단계에서 상위정보가 특정되면 해당 상위정보에 부합하는 추천음원콘텐츠만 남겨서 후술하는 샘플음원콘텐츠 제공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When high-level information is specified in the high-level information acquisition stage, only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matching the high-level information is left and provided to the user in the sample sound source content provision stag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추천음원콘텐츠의 샘플을 제공단계(S240)'는 전술하여 설명한 상위정보 획득단계에서 상위정보가 특정되어 세부정보를 통하여 추출된 후보곡 중에 상기 상위정보에 부합하는 곡을 특정한 후에 사용자에게 추출된 추천곡의 리스트와 해당 음원콘텐츠를 들을 수 있는 샘플음원콘텐츠를 제공한다. In the 'step of providing samples of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S240)', the top information is specified in the above-described top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and after specifying a song matching the top information among the candidate songs extracted through detailed information, the extracted song is provided to the user. It provides a list of recommended songs and sample sound source content where you can listen to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content.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추천곡은 사용자가 미리 특정한 갯수로 제공되거나 갯수의 특정이 없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갯수의 후보곡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제공한다. 사용자는 추천곡의 갯수를 언제든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되는 샘플음원콘텐츠는 비교적 품질이 낮은 음원을 전체가 아닌 일부 제공하거나 녹음방지기능이나 다른 기기로의 복제나 전송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Recommended songs provided to the user are provided by sequentially listing a preset number of candidate songs or, if the user does not specify the number, a specified number in advance. Users can change the number of recommended songs at any time. Additionally, the sample sound content provided may provide some, but not all, of relatively low-quality sound sources, or may be equipped with a recording prevention function or a function to prevent copying or transmission to other devices.

사용자는 '추천음원콘텐츠의 샘플을 제공단계(S240)'에서 제공된 샘플음원콘텐츠를 듣고 마음에 드는 곡을 구매하여 고품질의 음원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런데 샘플음원콘텐츠에서 제공된 음원에서 마음에 드는 곡이 없는 경우에는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세부정보나 상위정보에 대한 옵션을 변경하거나 가중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추천음원콘텐츠의 가중치를 조절하는 단계, S250). '추천음원콘텐츠의 가중치를 조절하는 단계(S250)'를 통하여 세부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면서 보다 정밀한 검색이 가능하다.Users can purchase high-quality sound sources by listening to the sample sound source contents provided in the 'sample providing step of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S240)' and purchasing songs they like. However, if there is no song you like among the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sample sound source content, you can change the options for the detailed information or higher level information made in the previous step or adjust the weight (step of adjusting the weight of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S250). Through the 'step of adjusting the weight of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S250)', a more precise search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weight of detailed information.

즉, 챗봇을 통하여 기초정보와 추가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아침에 바닷가에서 산책하면서 듣기 좋은 즐거운 팝송'으로 세부정보와 상위정보가 결정되고, 선택된 곡들이 사용자가 좋아하는 취향으로 이루어져서 추출된 샘플음원콘텐츠에서 원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곡을 찾기 못했거나 마음에 드는 곡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세부정보나 상위정보 및/또는 트랜드부석결과에 따른 음원콘텐츠로 가중치를 조절하여 새로운 추천결과를 얻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through the process of acquiring basic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a chatbot, the detailed information and high-level information are determined as 'a pleasant pop song that is good to listen to while walking on the beach in the morning', and the selected songs are extracted based on the user's favorite tastes. If you cannot find a song that meets your desired purpose in the sample sound content or there is no song you like, you can obtain new recommendation results by adjusting the weight with the sound source content according to the detailed information, top information, and/or trend analysis results. there is.

예를 들어, 세부정보 중에 감정정보는 '강, 중, 약' 또는 '상, 중, 하'의 방법으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세부정보가 '즐거운'인 경우에 '웃기는' 또는 '감동적인' 등과 같은 다른 감정정보로 변경할 수도 있지만 '즐거운' 중에서도 '강' 또는 '약'이나 '상중하' 등과 같은 방법으로 추천곡의 범위를 조절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세부정보의 가중치조절이 있는 경우에는 알고리즘이 음원의 템포나 비트,주파수 등을 분석한 값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음원의 템포 등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009호 등과 같은 공지의 기술이나 이와 유사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nsity of emotional information among detailed information can be adjusted using the 'strong, medium, weak' or 'high, medium, low' method. If the detailed information is 'fun', you can change it to other emotional information such as 'funny' or 'touching', but among 'fun', you can adjust the range of recommended songs by using methods such as 'strong' or 'weak' or 'high, medium, low', etc. Or you can change it. At this time, if there is a weight adjustment of detailed information, the algorithm can be done using values that analyze the tempo, beat, frequency, etc. of the sound source. As an algorithm for analyzing the tempo of a sound source, for example, known technologies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95009 or similar technologies may be used.

그리고 '아침'을 '낮(오후)'로 조절하여 다른 추천후보곡을 받을 수도 있다. 음원콘텐츠의 가중치조절은 세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도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챗봇을 통하여 대화를 하면서 가중치정보까지 조절하다 보면 검색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해지고, 본인이 원하는 분위기의 곡과 알고리즘을 모두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은 한은 오히려 사용자에게 방해가 될 것이다. 그러나 모든 단계를 거치고 나서 샘플음악을 제공받아서 듣고 나면 오히려 가중치를 조절하는 것이 한결 쉬워지고 방향도 정확하게 잡을 수 있을 것이다.You can also receive other recommended songs by adjusting 'morning' to 'day (afternoon)'. Adjusting the weight of sound content can also be done at the stage of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However, if you adjust the weight information while talking through a chatbot, the search process will become overly complicated, and unless you completely understand both the song and the algorithm for the mood you want, it will actually be a hindrance to the user. However, after going through all the steps, receiving sample music and listening to it, it will be easier to adjust the weight and be able to set the direction accurately.

상기 '아침에 바닷가에서 산책하면서 듣기 좋은 즐거운 팝송'과 같은 세부정보와 상위정보가 조합되어 추천된 곡이 생각보다 덜 신나다고 판단되면 시간대별 정보를 '낮(오후)'로 변경하거나 '즐거운'의 강도를 높이면 좀 더 신나는 곡이 나올 것이라는 것이 쉽게 예측될 수 있다. 그리고 추천된 곡보다 조금만 조용한 곡을 원한다면 '즐거운'의 강도를 낮추거나 장면정보에서 산책이 아니라 '명상'으로 변경하거나 시간대별 정보에서 아침이나 낮이 아니라 새벽 또는 밤으로 선택하면 보다 분위기 있는 음악이 추천될 것이라는 것은 쉽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recommended song is determined to be less exciting than expected by combining detailed information and top information, such as 'a fun pop song that is good to listen to while walking on the beach in the morning', change the time zone information to 'day (afternoon)' or 'fun'. It can be easily predicted that if you increase the intensity, a more exciting song will come out. And if you want a song that is a little quieter than the recommended song, you can lower the intensity of 'Happy', change the scene information to 'Meditation' instead of walking, or select dawn or night instead of morning or day in the time zone information to enjoy more atmospheric music. It will be easy to predict what will be recommended.

그리고 추천음원콘텐츠의 샘블을 제공하는 단계(S240)에서 추천된 리스트가 본인의 취향에 가까운 결과인지 트랜드에 맞는 것인지를 알려주고 사용자가 다른 분류의 추천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음원콘텐츠후보군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마음에 드는 곡을 선택하게 하거나 평가를 하게 하면 대부분의 경우에는 본인의 취향에 가까운 음원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시되는 추천음원콘탠츠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본인의 취향에 가까운 음원콘테츠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가중치를 조절하는 단계(S250)에서 트랜드에 가까운 음원콘텐츠의 리스트나 샘플을 제공받거나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인의 취향과의 차이도 확인하고 트랜드에 맞는 새로운 곡들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providing a sample of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S240),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whether the recommended list is a result close to the user's taste or according to a trend,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a recommended list of a different category. For example, in the step of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if a list of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s is provided and the user selects or evaluates a song they like, in most cases, sound source content that is close to one's taste will be selected. Therefore, in most cas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commended music content that is finally presented will be music content that is close to one's taste. In this case, the user can receive or check a list or sample of sound source content close to the trend in the weight adjustment step (S250). In this way, you can check the differences between your own tastes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select new songs that fit the trend.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가중치를 조절한 후에 다시 샘플음악을 제공받아서 전술하여 설명한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처럼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S240)와 가중치 조절단계(S250)를 몇 차례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본인이 원하는 곡을 보다 정확하게 또는 다양하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After adjusting the weights through this method, sample music can be provided again and the steps described above can be repeated. In this way, by repeating the sample providing step (S240) and the weight adjustment step (S250) several times, you will be able to find the song you want more accurately or in a variety of ways.

가중치를 조절하는 단계(S250)에서는 세부정보에 구비되어 있는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정보나 항목만 선택할 수 있으며, 강도조절도 미리 설정된 항목에서만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감정정보의 경우에는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장소정보나 시간정보 등에서는 강약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강도조절은 주로 '감정정보'에 해당하는 세부정보에서 이루어 질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가중치를 조절하는 단계(S250)에서 강약 등을 조절하는 것은 주로 감정정보에 대한 것이고, 다른 정보들은 변경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가중치를 강약 등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세부정보라면 당연히 다른 세부정보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In the step of adjusting the weight (S250), only information or items set in the detailed information can be selected, and intensity adjustment is also possible only in preset item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tensity of emotional information, but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intensity of location information or time information. Therefore, based on Figure 3, intensity adjustment will be mainly done in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motional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weight adjustment step (S250), the strength and weakness will be adjusted mainly for emotional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will be changed. However, this only represent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it to other detailed information as long as it is detailed information that can adjust the weight to strength or weakness.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세부정보가 적용된 추천음원리스트를 확인하고 본인의 목적에 맞는 음원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as above, users can check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list with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and select sound source content that suits their purpo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0: 제어부
110: 통신부
120: 챗봇부
130: 정보추출부
140: 음원분류부
150: 음원콘텐츠저장부
160: 사용자정보저장부
170: 트랜드분석부
180: 음원추천부
100: control unit
1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20: Chatbot Department
130: Information extraction department
140: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150: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160: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70: Trend analysis department
180: Music recommendation section

Claims (7)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는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와 대화형식으로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으면서 음원추천에 필요한 세부정보와 상위정보를 획득하는 챗봇부와, 상기 챗봇부를 통하여 수신된 대화정보에서 세부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음원콘텐츠를 저장하는 음원콘텐츠저장부와, 상기 음원콘텐츠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콘텐츠를 세부정보에 부합되도록 분류하는 음원분류부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사용자가 일정기간 동안 들었던 음원콘텐츠에 관한 히스토리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정보저장부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목적이나 분위깅에 맞는 트랜드를 분석하는 트랜드분석부와, 사용자에게 찾고자 하는 음원콘텐츠를 추천하는 음원추천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챗봇부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음원콘텐츠와 관련된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하면 상기 정보추출부에서 상기 답변 중에서 세부정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원추천부가 상기 정보추출부에 의하여 추출된 세부정보에 부합되는 음원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 chatbot unit that exchanges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user terminal in a conversational forma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obtains detailed information and hig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sound source recommendation, and a conversation received through the chatbot unit.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a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that stores sound source content, a sound source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ed in the sound source content storage unit to match the detailed information,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history information about sound source content that the user has listened to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a trend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rends that match the purpose or mood the user is looking for, and a sound source that the user wants to find. It is composed of a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cont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ach unit,
When the user answers a question about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find in the chatbot unit,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answers, and the sound source recommendation unit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extracts sound source content that matches the details extracted and provides it to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추출부는 사용자의 답변 중에 세부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를 확정정보로 판단하고, 상기 세부정보와 관련된 답변을 추정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추정정보에 관한 질문을 우선적으로 진행하여 확정정보를 획득한 후에 다른 세부정보에 관한 질문을 챗봇부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챗봇부는 사용자와 대화를 하면서 각 단계별로 획득한 세부정보에 부합하는 음원콘텐츠 중에 1) 사용자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후보곡과 2)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많이 듣고 선호하는 후보곡과 3) 알고리즘이 분석한 후보곡에 관한 샘플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평가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찾고자하는 음원콘텐츠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In claim 1,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determines the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detailed information among the user's answers as confirmed information, judges the answers relat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as estimated information, and preferentially asks questions about the estimated information to obtain confirmed information. Questions regarding other details are sequentially asked through the chatbot.
The chatbot unit selects 1) candidate songs that match the user's tastes by utilizing user information and 2) candidates that other people listen to and prefer a lot through trend analysis among the sound source contents that match the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at each stage while talking with the user. 3)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sound source content the user is looking for by providing a sample list of candidate songs analyzed by the algorithm and receiving the user's evaluation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추출부는 세부정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단어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단어와 관련된 세부정보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최소한 하나 이상 복수의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세부정보와 상기 새로운 단어와 관련된 검색결과를 상기 단어와 함께 저장하여 상기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판단하며, 상기 새로운 단어를 이용한 검색이 특정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새로운 단어를 세부정보 카테고리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In claim 2,
When a new word that is not stored in detailed information is detected,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presents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new word to the use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t least one or more words, and combines the selected detailed information with the A user stores search results related to a new word together with the wor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new word, and adds the new wor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category when searches using the new word exceed a certain number of tim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desired music and sound content.

챗봇을 통한 기초정보 획득단계;
챗봇을 통한 추가정보 획득단계;
챗봇을 통한 상위정보 획득단계;
획득된 세부정보와 상위정보에 부합하는 샘플음원콘텐츠를 제공하는 샘플음악 제공단계; 및
가중치조절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Step of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chatbot;
Step of obtaining high-level information through chatbot;
A sample music provision step of providing sample sound source content that matches the obtained detailed information and higher level information; and
A method of recommending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including a weight adjustment step.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챗봇을 통한 기초정보 획득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세부정보 중에 어느 하나의 구체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챗봇을 통한 추가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기초정보 획득단계'에서 수신하여 획득한 세부정보가 확정정보인 경우에 이미 획득한 세부정보에 관련된 질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부정보에 관하여 추가적으로 질문을 진행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인 세부정보를 입력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추가적인 세부정보에 관련된 질문을 할 때는 이전 단계에서 획득한 세부정보에 의하여 특정된 음원콘텐츠후부군의 리스트 중 일부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화면에 제시하고 상기 리스트 중에 전부나 일부를 배경음악으로 스트리밍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원콘텐츠후부군의 리스트에 관하여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In claim 4,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one specific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rough chatbot', if the detailed information received and acquired in the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is confirmed information, additional questions are asked regarding the remaining detailed information, excluding questions relat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already obtained. Proceeds and allows the user to enter additional details to receive,
When asking a question related to the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a partial list of the sound source content group specified by the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is presented on the user's screen, and all or part of the list is streamed as background music. A method of recommending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user to listen and evaluate the list of the latter group of sound source contents.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상기 음원콘텐츠후부군은 이전단계에서 획득한 세부정보에 의하여 추출된 음원콘텐츠후보군을 1)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후보곡 2) 트랜드분석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선호하는 후보군 3) 알고리즘 부석을 통하여 선택된 후보곡 중 최소한 2가지 이상으로 분류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평가된 답변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를 분석하여 이후 단계에서 획득한 세부정보에 대하여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제공할 때는 추천하는 음원콘텐츠후보군의 전부나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평가한 결과에 따라 음원콘테츠후보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In claim 4,
The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presented to the user is a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extracted bas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1) candidate songs that suit the user's taste, 2) candidate songs preferred by other people through trend analysis, and 3) algorithm analysis. Among the candidate songs selected through , we categorize them into at least two categories and provide them.
When an evaluated answer is received from the user, it is analyzed and a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is provided bas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at a later stage. The sound source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user's selection or evaluation of all or part of the recommended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A method of recommending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a user,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Tsusubo group.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조절단계'는,
상기 '샘플음악 제공단계'에서 제공된 결과에서 사용자로부터 세부정보나 상위정보를 변경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정보에 따라 음원콘텐츠후보군을 새로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및 사운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In claim 6,
The ‘weight adjustment step’ is,
In the results provided in the 'sample music provision step', when information that changes detailed information or high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a new sound source content candidate group is extrac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nged information. Music and sound content desired by the user is provided. Recommended method.
KR1020220114331A 2022-08-08 2022-09-08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 Pending KR2024002062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98729 2022-08-08
KR1020220098729 2022-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624A true KR20240020624A (en) 2024-02-15

Family

ID=8989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331A Pending KR20240020624A (en) 2022-08-08 2022-09-08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62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538235A (en) * 2024-05-15 2024-08-23 盐城工学院 Clustering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data
KR102802786B1 (en) * 2024-08-29 2025-05-08 주식회사 핸드릭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ample tracks for sound source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009B1 (en) 2006-06-30 2009-04-24 (주)엔토시스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KR101102823B1 (en) 2007-04-23 2012-01-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ituation Reasoning Based on the Mood Case-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009B1 (en) 2006-06-30 2009-04-24 (주)엔토시스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KR101102823B1 (en) 2007-04-23 2012-01-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ituation Reasoning Based on the Mood Case-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Its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538235A (en) * 2024-05-15 2024-08-23 盐城工学院 Clustering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data
KR102802786B1 (en) * 2024-08-29 2025-05-08 주식회사 핸드릭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ample tracks for sound source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28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8688699B2 (en) Method for content recommendation
US834097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ed advertisements and content based on user speech data
US201601478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music selection and distribution
Crossley Music worlds and body techniques: On the embodiment of musicking
US200802946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a user profile
KR101983635B1 (en) A method of recommending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US201003185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t least one media for recommendation to a user
KR101422772B1 (en) Online music service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 playlist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ratings and method thereof
KR20240020624A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users want
JP71589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5975496A (en) Music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context sensing
JP201321072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Zoghaib Typology of advertising music components and consumers’ responses to the brand
KR1018636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multimedia contents information
JP2007528063A (en) Tutorial generation unit
KR20240020625A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analyzes big data-based videos to provide background music and sound that suits the user's taste
JP2007233515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102768395B1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recommends music and sound content that matches the mood of the video
WO20211066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05346347A (en)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information search method, information search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805169B1 (en) How to transfer interactive live music or music files
Jan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ransitions for mixed speech and music playlist generation
Cook Listening for listeners: The work of arranging how listening will occur in cultures of recorded sound
KR20090011685A (en) Karaoke service system using video reasoning and its method and karaoke service server for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