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25251A - Cat litter recycling device - Google Patents

Cat litter recyc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251A
KR20240025251A KR1020220103257A KR20220103257A KR20240025251A KR 20240025251 A KR20240025251 A KR 20240025251A KR 1020220103257 A KR1020220103257 A KR 1020220103257A KR 20220103257 A KR20220103257 A KR 20220103257A KR 20240025251 A KR20240025251 A KR 2024002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t litter
dust
blowing
c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충광
Original Assignee
워크브레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크브레인(주) filed Critical 워크브레인(주)
Priority to KR102022010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251A/en
Publication of KR2024002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25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 Removal of manure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진제거 및 살균이 필요한 고양이 모래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공간에 저장된 고양이 모래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고양이 모래의 분진을 분리하는 송풍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본체에서 분리된 분진을 수집하여 필터링하는 집진부;로 이루어진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고양이 모래 폐기에 소요되는 비용 및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는 구매 비용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main body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where cat litter requiring dust removal and steriliz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A blow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parate dust from the cat litter by providing blowing pressure to the cat litter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By providing a cat litter recycling device consisting of a dust collection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and filtering dus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t prevents the cost of disposing of cat litter and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aves the user on purchase cos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Description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Cat litter recycling device}Cat litter recycling device}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를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먼지 발생 문제가 큰 고양이 모래와 발생한 분진을 고양이 모래에서 분리하여 친환경적으로 배출하고 분진이 제거된 모래는 살균과 소취, 제습 과정을 거쳐 재공급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recycle cat litter. The cat litter, which has a large dust generation problem, and the generated dust are separated from the cat litter and discharg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and the sand from which the dust has been removed is recycled through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dehumidification processes. Supply of available cat litter recycling devices.

개와 더불어 대표적인 반려동물 중 하나인 고양이는 깨끗하며 냄새가 적고 작은 공간에서도 기르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전염병 등의 발병률이 낮아 위생적으로 사육 관리에 대한 부담이 적어 고양이를 키우는 현대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선진국에서는 고양이 숫자가 개의 숫자를 앞지르기 시작하였고 고양이만 전문으로 치료하는 동물병원들이 많다.Cats, one of the representative pets along with dogs, are not only clean, low in odor, and easy to raise in small spaces, but also have a low incidence of infectious diseases, so there is less burden on hygienic breeding and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modern people raising cats is increasing. In fact, in developed countries, the number of cats has begun to surpass the number of dogs, and there are many animal hospitals that specialize in treating only cats.

실내에서 고양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사료, 발톱 할퀴는 판, 장난감, 사료급여 장치 등 여러 가지 물품이 필요하고 그 중 고양이 화장실은 가장 필수적이다. 야생의 고양이는 모래에 배변 활동을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고양이의 배설물은 악취가 특히 심하고 실내에서 키우는 고양이는 배설을 하기 위한 화장실의 환경이 매우 예민하여 편안하게 배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실내에서 키우는 고양이의 배설이 원활하지 않으면 비뇨 계통의 치명적인 질병에 걸리기 쉽고 고양이 화장실 환경이 우수하면 방광염, 신장병 등의 많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In order to raise a cat indoors, you need various items such as food, scratching pads, toys, and feeding devices, and among them, a cat litter box is the most essential. Cats in the wild have a habit of defecating in the sand. Cat excrement has a particularly strong odor, and cats raised indoors are very sensitive to the bathroom environment for excretion, so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excrete comfortably must be created. If cats raised indoors do not excrete smoothly, they are prone to fatal diseases of the urinary system, and if a cat litter box environment is excellent, many diseases such as cystitis and kidney disease can be prevented.

통상적으로 사각의 상자형 화장실을 대다수 선택하고 상자 안에는 신문지나 모래 등을 넣어주는데, 고양이는 용변을 모래에 보고 발로 모래를 덮어 자신의 배설물을 은폐하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천연 자체의 모래나 종이보다는 상품화되어 가공된 고양이 모래가 상용화되고 있다.Typically, most people choose a square box-shaped litter box and put newspaper or sand inside the box, because cats have a habit of defecating in the sand and covering their excrement with their paws to hide it. Accordingly, commercialized and processed cat litter is being commercialized rather than natural sand or paper.

고양이 모래에는 배설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한 실리카형 모래나 배설물을 응고하는 벤토나이트를 파쇄한 고양이 모래가 있다. 실리카형 모래는 응고력이 없어 배설물이 고형물화되지 못하고 배설물의 악취를 처리할 수 없으며, 향균기능이 없어 배설물에 포함된 균에 의해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 특히 실리카형 모래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성분이 있어 눈병이나 피부질환 등을 야기시킨다. Cat litter includes silica-type sand, which has an excellent ability to absorb feces, and cat litter made of crushed bentonite, which coagulates feces. Silica-type sand has no coagulating power, so the excrement cannot be solidified and the odor of the excrement cannot be treated, and it has no antibacterial function, so it causes various diseases due to bacteria contained in the excrement. In particular, silica-type sand contains component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causing eye diseases and skin diseases.

대다수의 집사 주인들은 응고력이 우수하고 고양이가 가장 선호하는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를 선택한다. 벤토나이트계 모래는 전세계에 일부국가에서는 채취가 가능하고 매장량이 제한적이며 우리나라에는 칼슘계 벤토나이트만이 채취 가능한 광물이다. 벤토나이트는 액체를 약500~700%까지 흡수한다.Most pet owners choose bentonite cat litter, which has excellent coagulation properties and is most preferred by cats. Bentonite-based sand can be collected in some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reserves are limited, and in Korea, calcium-based bentonite is the only mineral that can be collected. Bentonite absorbs approximately 500-700% of liquid.

그러나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는 입자 표면이 날카롭고 역시 살균이나 향균 기능이 없어 배설물에 포함된 균에 의한 질병 위험도가 높다. 최대의 단점은 먼지가 많이 발생시켜 고양이 모래 사막화 현상을 야기시킨다.However, bentonite cat litter has a sharp particle surface and does not have sterilizing or antibacterial functions, so there is a high risk of disease caused by bacteria contained in feces. The biggest drawback is that it generates a lot of dust, causing cat sand desertification.

고양이 모래 사막화 현상은 운반과정, 사용 중의 마찰 등 다양한 경우에 발생한다. 특히, 고양이 모래에서 배설물을 분리하게 되는 경우 배설물만을 걸러낼 수 있는 망이나 망이 형성된 삽을 사용한다. 이때 주인이 삽으로 배설물과 모래를 제거하는 과정과 고양이가 배설 후 배설물을 덮는 경우에 고양이 모래에서 많은 먼지가 발생한다. Cat sand desertification occurs in various cases, such as during transportation and friction during use. In particular, when separating excrement from cat litter, use a net or a shovel with a mesh that can filter out only the excrement. At this time, a lot of dust is generated from cat litter when the owner removes feces and sand with a shovel and when the cat covers the feces after defecating.

따라서, 고양이 모래를 사용한지 2주가 지나면 먼지가 발생하고 배변냄새가 심해 전체 갈이를 통해서 새로운 모래를 바꿔줘야 한다. 이때 고양이 1마리당 사용하는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 기준으로 10킬로가 소모되고 국내에서는 약 15만톤의 고양이 모래가 폐기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는 천연광물이어서 소각이 불가하고 건축 폐기물 또는 산업 폐기물에 해당되어 많은 처리 비용과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Therefore, after two weeks of using cat litter, dust will form and the smell of feces will be so strong that you will need to change the litter and replace it with new litter. At this time, it can be expected that 10 kilos of bentonite cat litter used per cat will be consumed, and approximately 150,000 tons of cat litter will be discarded in Korea. However, bentonite cat litter is a natural mineral, so it cannot be incinerated, and it is classified as construction waste or industrial waste, resulting in high disposal cost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이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4400호에는 고양이가 배설을 하고 나올 때 모래가 발에 함께 묻어나와 모래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수집통에 모아 모래를 재활용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양이 화장실에 깔리는 고양이 모래는 세균 및 곰팡이 등 병원균의 증식이 활발하여 상기 고안은 고양이의 방광염, 요도염, 피부병, 눈질환 등의 질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22-0096269호에는 고양의 모래의 살균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고양이 모래에서 발생하는 먼지 제거는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Accordingly,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7-0004400 discloses a design that can recycle sand by collecting the sand that falls on the floor and the sand on the feet when a cat defecates. Typically, cat litter spread in cat litter boxes actively promotes the growth of pathogens such as bacteria and mold, so this design can cause diseases such as cystitis, urethritis, skin disease, and eye disease in cats. Accordingly,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96269 provides a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cat litter,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emove dust generated from cat litter.

본 발명은 대다수가 사용하는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양이 질병을 야기하는 유해세균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고양이 모래의 재활용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device that allows recycling of cat litter by removing dust generated from bentonite-based cat litter, which is widely used, and at the same time removing harmful bacteria and foreign substances that cause cat diseases.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4400호에는 고양이가 배변통에서 나올 때 배변통에서 고양이의 발에 모래가 같이 묻어 나와서 방이나 화장실에 그 모래가 떨어져 방바닥이나 화장실 바닥이 더러워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수집통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7-0004400 states that when a cat comes out of the litter box, sand sticks to the cat's paws and prevents the sand from falling into the room or bathroom and dirtying the floor of the room or bathroom. Disclosed is a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that can be used.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22-0096269호에는 상기 모래 살균 장치에 의하는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악취에 대한 탈취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어 우수한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96269 relates to a cat sand sterilizing device tha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s as it can simultaneousl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 coli and a deodorizing effect on bad odors when using the sand sterilizing device. It is starting.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19-0092909호에는 고양이 발톱이나 털에 끼는 모래가 외부로 나오지 않아 집안에 고양이 모래로 고양이 모래 사막화 현상을 방지하는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고양이 발톱이나 털에 끼는 모래가 외부로 나와 집안에 고양이 모래로 고양이 모래 사막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사막화 방지 고양이 화장실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2909 prevents cat sand desertification by using cat sand inside the house so that sand stuck in cat claws or fur does not come out, so the sand stuck in existing cat claws or fur is released to the outside. We are disclosing a cat litter box that can prevent cat sand desertification,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cat sand desertification occurring in your home and in your home.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923215호에는 모래의 먼지(분진) 날림이 없고 애완용으로 사육되는 고양이에서 발생되는 대, 소변에 의한 악취를 탈취함과 동시에 광물의 특성에 의한 항균, 음이온, 원적외선 등의 기능성이 향상될 수 있는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Domestic registered patent number 10-1923215 states that it eliminates sand dust, deodorizes odors caused by urine and urine from cats raised as pets, and provides antibacterial, anion, and far-infrared rays due to the properties of minerals.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st-free cat litter whose functionality can be improved and a dust-free cat litter manufactured thereby are disclosed.

본 발명은 기존의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에서 발생하는 고양이 분진화 현상과 사막화 현상이 진행된 고양이 모래는 전체 갈이를 통해 새로운 고양이 모래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유지비용에 대한 부담과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생한 분진을 고양이 모래에서 분리하여 친환경적으로 배출하고 분진이 제거된 모래는 살균과 소취 제습 과정을 거쳐 재공급할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new cat litter by completely replacing the cat litter that has undergone the cat dust and desertification phenomenon occurring in the existing bentonite-based cat litter, thereby causing the burden on the user's maintenance costs and the above problems tha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would like to provide a cat litter recycling device that separates the generated dust from cat litter and discharges it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and resupplies the sand from which the dust is removed after going through a sterilization, deodorizing and dehumidifying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는 분진제거 및 살균이 필요한 고양이 모래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공간에 저장된 고양이 모래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고양이 모래의 분진을 분리하는 송풍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본체에서 분리된 분진을 수집하여 필터링하는 집진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t litter recyc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where cat litter requiring dust removal and sterilization is stored; A blow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parate dust from the cat litter by providing blowing pressure to the cat litter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t may be composed of a dust collection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and filtering dus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함입부가 하향하는 반구형상의 바닥부와 바닥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의 외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 측면에는 송풍부와 본체 내부로 연결되는 송풍주입부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main body may be formed with a hemispherical bottom where the recessed part descends and an outer wall of a certain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and a blowing inj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lowing part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상기 송풍주입부는 양단이 개구된 파이프 구조로 본체 내부로 연결되는 일단은 ㄱ자 형태로 본체 바닥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송풍부와 연결된 타단으로부터 이동된 송풍압력이 본체 바닥부로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내부에 저장된 고양이 모래에 향료 주입 분사가 가능한 향료 분사장치와 자외선 살균을 실시할 수 있는 살균장치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blowing injection unit is a pipe structure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n L shape to face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blowing pressure moved from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lowing unit may be spray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equipped with a fragrance spray device capable of spraying fragrance into cat litter stored inside and a steriliz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상기 송풍부는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 및 대응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의 회동으로 송풍압력을 발생하는 송풍발생기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blower may include a chamber formed by a frame that can be coupled to and correspon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drive motor that generates power and a blower generator that generates blowing pressure by rotating the drive mot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상기 집진부는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에서 고양이 모래와 분리된 분진을 수집하는 케이스와, 본체와 결합되는 케이스 측면에는 본체에서 발생한 분진이 케이스 내부로 이동하는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분진과 함께 이동한 공기를 필터링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필터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unit has a cas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collect dust separated from the cat litter in the main body, and a moving port through which dust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moves into the cas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s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Inside the case, dust is collected. A dust filter may be installed to filter the air moving with the device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사용한 고양이 모래의 재활용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 폐기에 소요되는 비용 및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하고 보호자에게는 구매 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capable of recycling used cat litter, thereby preventing the cos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curred in disposing of existing bentonite-based cat litter, and providing economic benefits to guardians through reduced purchase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투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투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재활용장치 본체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부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집진부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perspective side view of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side view of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main body of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와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투시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는 분진제거 및 살균이 필요한 고양이 모래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공간에 저장된 고양이 모래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고양이 모래의 분진을 분리하는 송풍부(200);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본체에서 분리된 분진을 수집하여 필터링하는 집진부(300);로 이루어진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side view of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where cat litter requiring dust removal and sterilization is stored; A blowing unit 20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parate dust from the cat litter by providing blowing pressure to the cat lit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a dust collection unit 3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and filtering dus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고양이 모래는 고양이 화장실에 충진되어 일정기간사용된 재활용을 요하는 실리카, 모래, 종이, 곡물 등의 재질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분진발생 비율이 가장 큰 벤토나이트계 모래를 지칭하는 것이다. The cat litter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terials such as silica, sand, paper, and grain that are filled in the cat litter box and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require recycling, and preferably refers to bentonite-based sand, which has the highest dust generation rate. .

상기 본체, 송풍부, 집진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접인 공간부로 구성됨은 물론, 각 구성부가 결합되는 측면부에 결합장치(S)를 형성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각 구성부에서 고양이 모래의 주입 및 고양이 모래에서 분리된 분진의 폐기가 용이하다.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blower unit, and dust collection unit are composed of independent space parts, and can be configured to facilitate coupling and separation by forming a coupling device (S) on the side portion where each component part is coupled. Accordingly, it is easy to inject cat litter and dispose of dust separated from cat litter in each component.

도 3은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재활용장치 본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본체(100)는 반구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는 일정 높이의 외벽부가 형성되어 내부에는 고양이 모래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Figure 3 shows the main body of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mispherical bottom and an outer wall of a certain height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to form an internal space where cat litter can be stored.

본체 바닥부는 함입부가 하향하는 오목한 반구형상으로 반구형상의 바닥부에 저장된 고양이 모래가 공급되고 후술할 송풍부에서 분사되는 송풍압력에 의해 고양이 모래의 분진이 풍압에 의해 분리됨과 동시에 고양이 모래가 곡면처리된 표면을 따라 중심부로 흘러내려 저장된 고양이 모래가 한 부분에만 머무르지 않도록 송풍압력이 가해진 후 적절하게 섞임으로써 저장된 고양이 모래 전체에 골고루 송풍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이다.The bottom of the main body has a concave hemispherical shape with a downward depression, and the cat litter stored in the hemispherical bottom is supplied, and the cat litter dust is separated by wind pressure by the blowing pressure sprayed from the blow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at litter is curved. After blowing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stored cat litter does not flow down to the center along the surface and stays in only one part, it is properly mixed so that the blowing pressure can be applied evenly to the entire stored cat litter.

또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본체 바닥부는 모터동력을 기반으로 바닥부 중심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 또는 진동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고양이 모래가 내부 공간에서 교반됨으로 저장된 고양이 모래가 후술할 송풍부의 송풍 압력을 보다 골고루 받아 분진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 외주면에는 손잡이(120)을 설치하여 본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rotate or vibrate about the center of the bottom based on motor power, so that the cat litter stored inside is agitated in the internal space, so that the stored cat litter is blown by the blow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ust separ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receiving pressure more evenly. In addition, a handle 12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main body.

본체 내부에는 향료 분사장치와 자외선 조사기 등의 살균장치가 설치되어 분진 제거후 고양이 모래에 살균, 소취, 제습, 조향(향기를 추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향료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향료는 바람직하게는 향료, 탈취제, 보존제, 습윤제 등이 혼합된 오일 제형으로 이루어진다. A sterilizing device such as a fragrance spray device and an ultraviolet ray irradiator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the cat litter can be sterilized, deodorized, dehumidified, and scented (added scent) after removing dust. The fragrance sprayed from the fragrance spray device preferably consists of an oil formulation mixed with fragrance, deodorant, preservative, humectant, etc.

고양이는 냄새에 예민하고 고양이 배설물은 악취가 심해 사용한 고양이 모래에서 분진 제거 뿐만 아니라 악취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에 상기 향료 분사장치는 악취제거 뿐만 아니라 세균과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Cats are sensitive to smells, and cat excrement has a strong odor, so it is necessary to not only remove dust from used cat litter, but also remove the odor. Accordingly, the fragrance spray device can not only remove bad odors but also inhibit the growth of bacteria and mold.

본 발명의 살균장치는 실시예로서 습기제거와 살균이 동시에 가능한 원적외선 온열 램프장치 또는 가열기로 구현화될 수 있으나, 저온플라즈마, 건조장치, LED살균장치, UV장치, 살균액 도포장치 및 이들의 조합으로 고양이 모래의 살균과 건조가 가능하다면 다양한 구성을 추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eriliz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far-infrared heat lamp device or heater capable of simultaneously removing moisture and sterilizing, but can be implemented as a low-temperature plasma, drying device, LED sterilizing device, UV device, sterilizing solution application device, and combinations thereof. If sterilization and drying of cat litter is possible, it can be formed by adding various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취 기능은 냄새나는 모래에 탈취제를 직접 모래에 분사해서 화학적으로 냄새를 없애 주는 장치로서, 자동 분무기 형태의 노즐에서 탈취제를 모래로 분사할 수 있다. 향료 분사장치 및 살균장치는 후술할 송풍부 챔버 측면의 스위치부 조절에 의해 사용자가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나, 제어장치를 기반으로 작동 제어가 가능하다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a device that chemically removes odors by spraying a deodorizing agent directly on the smelly sand. The deodorizing agent can be sprayed into the sand from an automatic sprayer-type nozzle. The operation of the fragrance spray device and the sterilizing device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by adjusting the switch on the side of the blower cha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the ope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if operation control is possible based on the control device.

본체의 외벽부 측면에는 ㄱ자의 송풍 주입부가 본체 내부로 설치된다. 송풍 주입부는 양단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본체 내부로 삽입 설치된 송풍 주입부(110) 일단은 본체 바닥부과 대향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송풍 주입부 타단은 송풍부(200)와 연결됨으로써 본체 내부로 송풍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an L-shaped blowing injection par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e blowing injection part is in the shape of a pipe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One end of the blowing injecting part 110 faces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t a certain distance. The other end of the blowing inj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blowing unit 200, thereby supplying blowing pressure into the main body.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부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송풍부(200)는 상기 본체 하부와 결합할 수 있는 크기 및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챔버(210)와 상기 챔버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되어 송풍압력을 발생하는 송풍발생기(220)가 설치된다. Figure 4 show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210 formed of a frame and a siz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drive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power inside the chamber and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to blow air. A blower generator 220 that generates pressure is installed.

상기 송풍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송풍압력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사 압력일 수 있으나 기체에 의해 고양이 모래에 송풍을 가하여 고양이 모래 표면에 붙은 분진을 분리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송풍발생기는 상기 송풍 주입부 타단과 연결되어 발생한 송풍압력은 송풍주입부를 거쳐 본체 내부로 공급이 가능하다.The blowing pressure generated from the blower generator may preferably be an air injection pressur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dust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cat litter can be separated by blowing the cat litter with gas. The blower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lower inlet, and the generated blower pressure can be suppli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blower inlet.

또한, 송풍부 챔버 측면에는 장치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는 전원부와, 송풍의 작동과 세기조절 및 상기 향료 분사장치와 살균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230)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장치들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가 추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on the side of the blower chamber, a switch unit (230) including a power unit that can turn on/of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 control switch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and intensity of the blower and the operation of the fragrance spray device and the sterilization device. ) is installed. Accordingly, a control unit for driving control of the above devices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상기 송풍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송풍압력은 고양이 모래에서 분진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압력이 적절하고 그 세기는 스위치부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바닥부에는 무게센서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하고 공급된 모래 무게 구간과 그에 따른 송풍압력 세기를 설정함으로써 무게별로 설정된 송풍압력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blowing pressure generated from the blower generator is appropriate to easily separate dust from cat litter, and its intensity can be adjusted by a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ight sensor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blowing pressure set for each weight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by setting the supplied sand weight section and the blowing pressure intensity accordingly.

도 5는 본 발명의 집진부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집진부(300)는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에서 고양이 모래와 분리된 분진이 수집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310)와, 본체와 결합되는 케이스 일면에는 본체에서 발생한 분진이 케이스 내부로 이동되는 이동구(32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분진필터(330)가 설치되어 분진과 함께 이동한 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Figure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has a case 310 forming a storage space where dust separated from the cat litter in the main body is collected, and on one side of the case coupled with the main body, dust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moves into the case. A moving port 320 is installed, and a dust filter 33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filter the air moving with the dust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구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거나,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본체에서 이동한 공기와 분진의 이동속도를 높일 수 있고 케이스 내부에 수집된 분진이 다시 본체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moving tool or a frame protrudes into the case to increase the speed of movement of air and dust moving from the main body, and the dust collected inside the case is returned to the main body. Prevent it from re-entering the system.

본 발명의 분진필터(330)는 케이스 측면과 연결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어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구에는 외부로 필터링 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는 흡입노즐 또는 팬 형상의 임펠러가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로 이동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기체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체 흐름과 함께 이동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분진은 필터가 충진된 필터관을 통과하며 여과가 됨으로써 깨끗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The dust filter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ase, and a filter tube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to filter the air inside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filtered air to the outside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ort, and a suction nozzle or a fan-shaped impeller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to provide a gas flow that can discharge the air moved inside the case to the outside. You can. At this time, dust contained in the air moving with the gas flow passes through a filter tube filled with a filter and is filtered, so that only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사용한 고양이 모래의 재활용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벤토나이트계 고양이 모래 폐기에 소요되는 비용 및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는 구매 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제고에 보탬이 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capable of recycling used cat litter, thereby preventing the cos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curred in disposing of existing bentonite-based cat litter, and can help users increase economic benefits by reducing purchase costs. There is potential for industrial use.

100: 본체 110: 송풍 주입부
120: 손잡이 200: 송풍부
210: 챔버 220: 송풍 발생기
230: 스위치부 300: 집진부
310: 케이스 320: 이동구
330: 분진필터 S:결합장치
100: Main body 110: Blowing injection unit
120: handle 200: blowing unit
210: Chamber 220: Blowing Generator
230: switch unit 300: dust collection unit
310: case 320: mobile device
330: Dust filter S: Combination device

Claims (5)

분진제거 및 소취, 살균, 제습이 필요한 고양이 모래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공간에 저장된 고양이 모래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고양이 모래의 분진을 분리하는 송풍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본체에서 분리된 분진을 수집하여 필터링하는 집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A main body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where cat litter that requires dust removal, deodorization, sterilization, and dehumidification is stored;
A blow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parate dust from the cat litter by providing blowing pressure to the cat lit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 cat litter recyc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ust collection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and filtering dus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함입부가 하향하는 반구형상의 바닥부와 바닥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의 외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 측면에는 송풍부와 본체 내부로 연결되는 송풍주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bottom where the recessed part descends and an outer wall of a certain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and a blowing inj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lowing part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uter wall. cat litter recycl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주입부는 양단이 개구된 파이프 구조로 본체 내부로 연결되는 일단은 ㄱ자 형태로 본체 바닥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송풍부와 연결된 타단으로부터 이동된 송풍압력이 본체 바닥부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lowing injection unit is a pipe structure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n L shape to face the bottom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blowing pressure moved from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lowing unit is dir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t litter recyc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rayed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저장된 고양이 모래의 살균, 소취, 제습, 조향 기능을 갖는 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구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The cat litter recyc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more mechanical devices selected from devices having functions of sterilizing, deodorizing, dehumidifying, and steering stored cat litter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에서 고양이 모래와 분리된 분진을 수집하는 케이스와, 본체와 결합되는 케이스 일면에는 본체에서 발생한 분진이 케이스 내부로 이동하는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분진과 함께 이동한 공기를 필터링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coll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collect dust separated from the cat litter in the main body, and a moving tool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coupled with the main body to move dust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into the case, , A cat litter recyc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ust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filter air moving with dust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KR1020220103257A 2022-08-18 2022-08-18 Cat litter recycling device Withdrawn KR202400252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57A KR20240025251A (en) 2022-08-18 2022-08-18 Cat litter recyc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57A KR20240025251A (en) 2022-08-18 2022-08-18 Cat litter recycl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251A true KR20240025251A (en) 2024-02-27

Family

ID=9005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257A Withdrawn KR20240025251A (en) 2022-08-18 2022-08-18 Cat litter recyc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2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47706B1 (en) * 2024-08-06 2025-08-18 김태희 Sand dust remover for cat litter bo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400U (en) 2016-06-17 2017-12-28 이동현 cat's sand collecter
KR101923215B1 (en) 2018-05-25 2018-11-29 남영미 Method for manufacturing dust free cats sand and dust free cats sand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190092909A (en) 2018-01-31 2019-08-08 김믿음 Cat sand desert prevention cat toilet
KR20220096269A (en) 2020-12-30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Cat sand steriliz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400U (en) 2016-06-17 2017-12-28 이동현 cat's sand collecter
KR20190092909A (en) 2018-01-31 2019-08-08 김믿음 Cat sand desert prevention cat toilet
KR101923215B1 (en) 2018-05-25 2018-11-29 남영미 Method for manufacturing dust free cats sand and dust free cats sand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220096269A (en) 2020-12-30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Cat sand steriliz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47706B1 (en) * 2024-08-06 2025-08-18 김태희 Sand dust remover for cat litter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193B1 (en)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804772B2 (en) Excrement disposal tool for pet
KR101423739B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CN111771732B (en) Intelligent cat litter box with high efficiency of purification, deodorization and feces shoveling and feces shoveling method
KR200493055Y1 (en) Air purifier to remove odor from pets
US6418880B1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US20030192485A1 (en) Method and systems for disinfecting animal bedding and stalls
KR101605820B1 (en) The removal method of bad smell and fine dust and thereof device
KR101643879B1 (en) Toilet apparatus for cat
US20030192816A1 (en) Cleaning system for animal litter and bedding
US20100180830A1 (en) Animal litter air treatment device containing activated carbon
KR20240025251A (en) Cat litter recycling device
CN11473891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CN110558237A (en) Environment-friendly intelligent cat toilet
CN210869226U (en) Environment-friendly intelligent cat toilet
KR20130140414A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US11185606B1 (en) Odor treatment dispenser
KR101738630B1 (en) Flush type excrement prop for pet
KR200417604Y1 (en) Pet Dryer
JP2003116396A (en) Pet box
KR102381075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and covering toilet for cats
KR20180067036A (en) Air purifier for odor removal of pet feces
KR102440803B1 (en) Deodorizing and air clean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WO2003032714A2 (en) Bio-degradable pet litter made from coconut coir
US20030222000A1 (en) Cleaning system for animal litter and bed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1-nap-PC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