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536A -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9536A KR20240039536A KR1020220118219A KR20220118219A KR20240039536A KR 20240039536 A KR20240039536 A KR 20240039536A KR 1020220118219 A KR1020220118219 A KR 1020220118219A KR 20220118219 A KR20220118219 A KR 20220118219A KR 20240039536 A KR20240039536 A KR 202400395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material
- electrode
- electrode active
- material layer
- coating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3—Polyamide res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제1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1 전극, 제2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의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극과 분리막, 음극과 분리막 사이의 마찰력 차이를 개선한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및 전기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원통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원통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캔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는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한편, 전극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극은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이차전지는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양극과 음극을 교대로 배치한 다음, 젤리-롤 형태로 권취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한다.
여기서, 원통형 이차전지는, 충방전시 양극과 음극에 수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양극과 분리막, 음극과 분리막 사이에 마찰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원통형 이차전지는, 양극과 분리막, 음극과 분리막 사이의 마찰력 차이로 인해 마찰력이 큰 전극 쪽으로 마모와 비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결과 성능 문제와 내부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극과 분리막, 음극과 분리막 사이의 마찰력 차이를 개선함으로써 양극과 분리막, 음극과 분리막 사이의 마모와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능 문제 및 내부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제1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1 전극, 제2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의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의 사이는 동일한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의 표면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다공성 기재와 상기 코팅층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보다 표면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지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다공성 기재는, 상기 코팅층 보다 표면 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세라믹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제1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1 전극, 제2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 기재;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제2 코팅층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제2 코팅층 사이는 동일한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제2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의 표면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보다 표면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지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2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제2 코팅층 보다 표면 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세라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서로 다른 표면 조도를 가진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음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절연성을 가진 고분자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ropylene oxid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은, 탄화규소(SiC), 질화규소(Si3n4), 지르코리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보헤마이트AlO(OH)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다공성 기재와 코팅층을 구비한 분리막을 포함하되, 제1 전극의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제2 전극의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의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제1 전극과 분리막, 제2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마모와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내부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표면 조도를 나타낸 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표면 조도를 나타낸 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 제2 전극(12), 상기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13)을 포함한다.
제1 전극
제1 전극(11)은, 긴 시트 형태를 가진 제1 집전체(111), 상기 제1 집전체(11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는 제1 전극활물질층(112)을 포함한다.
한편, 제1 전극(11)은 양극이고, 제1 집전체(111)는 양극 집전체이며, 제1 전극활물질층(112)은 양극활물질층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은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2 전극
제2 전극(12)은, 긴 시트 형태를 가진 제2 집전체(121), 상기 제2 집전체(12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는 제2 전극활물질층(122)을 포함한다.
한편, 제2 전극(12)은 음극이고, 제2 집전체(121)는 음극 집전체이며, 제2 전극활물질층(122)은 음극 활물질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1 집전체(111)와 제2 집전체(121)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 제1 집전체(111)와 제2 집전체(121)는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분리막
분리막(13)은 상기 제1 전극(11)과 상기 제2 전극(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에 접촉되는 다공성 기재(131), 및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131)의 표면에 구비되는 코팅층(132)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기재(131)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재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미세다공막 또는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기재(131)는 절연성을 가진 고분자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로,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ropylene oxid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32)은 무기물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세라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세라믹은 탄화규소(SiC), 질화규소(Si3n4), 지르코리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보헤마이트AlO(OH)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제1 전극(11), 제2 전극(12) 및 분리막(13)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를 획득하게 된다. 즉, 분리막(13)을 개재한 상태로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을 교대로 배치한 다음, 젤리-롤 형태로 권취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를 케이스(20)에 수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게 되고, 상기 이차전지는 전지성능을 높이기 위해 충방전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종래의 전극조립체는 제1 전극 및 분리막 사이와, 제2 전극 및 분리막 사이의 마찰계수 차이로 인해 마찰력이 큰 전극 쪽으로 마모와 비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결과 성능 문제 및 내부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11) 및 분리막(13) 사이와, 제2 전극(12) 및 분리막(13) 사이가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전극(11)의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와, 상기 제2 전극(12)의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132)의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1) 및 분리막(13) 사이, 제2 전극(12)및 분리막(13) 사이의 마찰력 차이가 없기 때문에 마모 및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능 문제 해결 및 내부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132)의 사이는 동일한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는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132) 사이의 마찰계수 편차가 없기 때문에 마모 및 비틀림 발생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의 마찰계수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132) 사이의 마찰계수를 대응되게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132) 사이의 마찰계수에는 오차 허용 범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한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의 마찰계수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132) 사이의 마찰계수라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오차 허용범위는 0.05~0.5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0.2일 수 있다. 여기서 오차 허용범위가 0.05 이하이면 정밀 공정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0.50이상이면, 종래와 동일하게 마모 및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활물질층(112)의 표면조도, 제2 전극활물질층(122)의 표면조도를 기초로하여 분리막(13)의 다공성 기재(131)와 코팅층(132)이 정해진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1) 및 분리막(13) 사이와, 제2 전극(12) 및 분리막(13)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지게 된다.
제1 예로,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보다 표면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막(13)은, 제1 전극활물질층(112)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의 표면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코팅층(132) 보다 표면 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진 상기 다공성 기재(131)가 정해진다.
제2 예로,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코팅층(132)의 표면조도를 기초로하여 다공성 기재(131)가 정해진다. 다시 말해, 제2 전극활물질층(122)과 코팅층(132)의 표면조도 합과, 제1 전극활물질층(112)과 다공성 기재(131)의 표면조도 합이 대응되도록 다공성 기재(131)가 정해진다. 정리하면,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코팅층(132)의 표면조도를 구한 다음, 대응관계가 되게 다공성 기재(131)가 정해진다.
제3 예로,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다공성 기재(131)의 표면조도를 기초로 하여 코팅층(132)이 정해진다. 즉,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다공성 기재(131)의 표면조도를 구한 다음, 대응관계가 되게 코팅층(132)이 정해진다.
실험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활물질층(112)의 표면조도는 0.1이고, 제2 전극활물질층(122)의 표면 조도는 0.25이며, 제1 전극활물질층(112)에 접촉되는 다공성 기재(131)의 표면 조도는 0.3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코팅층(132)은 0.15의 표면 조도를 가진 소재로 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132)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132)의 사이가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제1 전극(11)과 분리막(13), 제2 전극(12)과 분리막(13) 사이의 마모와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능 문제 해결 및 내부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활물질층(112)이 코팅된 제1 전극(11), 제2 전극활물질층(122)이 코팅된 제2 전극(12), 및 상기 제1 전극(11)과 상기 제2 전극(12)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분리막
상기 분리막(13)은 상기 제1 전극(11)과 상기 제2 전극(12)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 기재(131),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131)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1 코팅층(133), 및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131)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2 코팅층(134)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공성 기재(131)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기재(131)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코팅층(133)과 제2 코팅층(134)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세라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세라믹은 탄화규소(SiC), 질화규소(Si3n4), 지르코리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보헤마이트AlO(OH)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2 코팅층(134) 사이가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2 코팅층(134) 사이가 동일한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의 마찰계수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제2 코팅층(134) 사이의 마찰계수를 대응되게 맞추기 어렵다. 물론 마찰계수를 맞추더라도 정밀 가공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제2 코팅층(134) 사이의 마찰계수에는 오차 허용 범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한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 사이의 마찰계수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는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오차 허용범위는 0.05~0.5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0.2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제1 코팅층(133) 및 제2 코팅층(134)의 표면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2 코팅층(134) 사이의 마찰계수를 대응되게 정해진다.
즉, 제1 전극활물질층(112)과 제2 전극활물질층(122)의 표면조도에 기초로 하여 제1 코팅층(133)과 제2 코팅층(134)을 서로 같은 표면조도를 가지게 정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표면 조도를 가지게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2 코팅층(134) 사이의 마찰계수를 대응되게 정할 수 있다.
제1 예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이,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보다 표면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지면, 상기 분리막(13)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의 표면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코팅층(133)과 상기 제2 코팅층(134)이 정해진다. 즉,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상기 제2 코팅층(134)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코팅층(133)은, 상기 제2 코팅층(134) 보다 표면 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진다.
제2 예로,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1 코팅층(133)의 표면조도를 기초로하여 제2 코팅층(134)이 정해진다. 다시 말해, 제1 전극활물질층(112)과 제1 코팅층(133)의 표면조도 합과, 제2 전극활물질층(122)과 제2 코팅층(134)의 표면조도 합이 대응되도록 제2 코팅층(134)이 정해질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1 코팅층(133)의 표면조도를 구한 다음, 대응관계가 되게 제2 코팅층(134)이 정해진다.
제3 예로,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2 코팅층(134)의 표면조도를 기초로 하여 제1 코팅층(133)이 정해질 수도 있다. 즉, 제1 전극활물질층(112),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2 코팅층(134)의 표면조도를 구한 다음, 대응관계가 되게 제1 코팅층(133)이 전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상기 제1 코팅층(133)과 상기 제2 코팅층(134)이 서로 다른 표면 조도를 가진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질 수 있다. 즉,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활물질층(112)과 제2 전극활물질층(122)의 표면조도에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코팅층(133)과 상기 제2 코팅층(134)은 서로 다른 소재를 선택하여 마찰 계수가 대응되게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112) 및 상기 제1 코팅층(133)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122) 및 제2 코팅층(134) 사이가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전극과 분리막(13), 제2 전극과 분리막(13) 사이의 마모와 비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능 문제 및 내부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10)를 수용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조립체(1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는 양극과 분리막(13), 음극과 분리막(13) 사이의 마찰력 차이를 개선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그의 제조방법, 전극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 이차전지
10: 전극조립체
11: 제1 전극
111: 제1 집전체
112: 제2 전극활물질층
12: 제2 전극
121: 제2 집전체
122: 제2 전극활물질층
13: 분리막
131: 다공성 기재
132: 코팅층
133: 제1 코팅층
134: 제2 코팅층
20: 케이스
10: 전극조립체
11: 제1 전극
111: 제1 집전체
112: 제2 전극활물질층
12: 제2 전극
121: 제2 집전체
122: 제2 전극활물질층
13: 분리막
131: 다공성 기재
132: 코팅층
133: 제1 코팅층
134: 제2 코팅층
20: 케이스
Claims (16)
- 제1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1 전극, 제2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의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의 사이는 동일한 마찰계수를 가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의 표면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다공성 기재와 상기 코팅층이 정해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보다 표면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지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다공성 기재는, 상기 코팅층 보다 표면 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세라믹으로 마련되는 전극조립체. - 제1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1 전극, 제2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 기재;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에 접촉되며, 상기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제2 코팅층 사이는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제2 코팅층 사이는 동일한 마찰계수를 가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제2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의 표면조도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의 표면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이 정해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보다 표면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지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와, 상기 제2 전극활물질층 및 상기 제2 코팅층 사이의 마찰계수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제2 코팅층 보다 표면 조도가 거친 표면을 가지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세라믹으로 마련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서로 다른 표면 조도를 가진 소재로 마련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음극으로 마련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절연성을 가진 고분자 필름으로 마련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ropylene oxid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은, 탄화규소(SiC), 질화규소(Si3n4), 지르코리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보헤마이트AlO(OH)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18219A KR20240039536A (ko) | 2022-09-19 | 2022-09-19 |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
| JP2025514061A JP2025529329A (ja) | 2022-09-19 | 2023-09-19 | 電極組立体およ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 |
| EP23868567.1A EP4593150A1 (en) | 2022-09-19 | 2023-09-19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CN202380059364.4A CN119698716A (zh) | 2022-09-19 | 2023-09-19 | 电极组件和包括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
| PCT/KR2023/014194 WO2024063515A1 (ko) | 2022-09-19 | 2023-09-19 |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18219A KR20240039536A (ko) | 2022-09-19 | 2022-09-19 |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39536A true KR20240039536A (ko) | 2024-03-26 |
Family
ID=904549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18219A Pending KR20240039536A (ko) | 2022-09-19 | 2022-09-19 |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EP (1) | EP4593150A1 (ko) |
| JP (1) | JP2025529329A (ko) |
| KR (1) | KR20240039536A (ko) |
| CN (1) | CN119698716A (ko) |
| WO (1) | WO2024063515A1 (ko)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15918A (ko) | 2013-08-02 | 2015-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42209B1 (ko) * | 2003-08-21 | 2006-01-1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20025619A (ko) * | 2007-05-10 | 2012-03-15 | 히다치 막셀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화학 소자 |
| US20110171509A1 (en) * | 2009-07-31 | 2011-07-14 | Yasushi Nakagiri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5910164B2 (ja) * | 2012-02-28 | 2016-04-2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JP6079870B2 (ja) * | 2013-03-26 | 2017-02-1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KR102476791B1 (ko) | 2021-02-18 | 2022-12-13 |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 멀티웨이밸브 장치 |
-
2022
- 2022-09-19 KR KR1020220118219A patent/KR20240039536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09-19 CN CN202380059364.4A patent/CN119698716A/zh active Pending
- 2023-09-19 JP JP2025514061A patent/JP2025529329A/ja active Pending
- 2023-09-19 EP EP23868567.1A patent/EP4593150A1/en active Pending
- 2023-09-19 WO PCT/KR2023/014194 patent/WO2024063515A1/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15918A (ko) | 2013-08-02 | 2015-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2025529329A (ja) | 2025-09-04 |
| CN119698716A (zh) | 2025-03-25 |
| EP4593150A1 (en) | 2025-07-30 |
| WO2024063515A1 (ko) | 2024-03-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TWI794331B (zh) | 電極總成及蓄電池組 | |
| KR102025033B1 (ko) | 나노다공성 세퍼레이터 상의 애노드 직접 코팅을 이용한 배터리 | |
| JP6962287B2 (ja) | 全固体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 EP1998401B1 (en) | Electrode assemble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 JP2019153535A (ja) | 全固体電池 | |
| JP6542529B2 (ja) | 角形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 |
| KR101705307B1 (ko) | 상 전환법을 이용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 KR20190121543A (ko) | 비대칭 구조의 이차전지용 난연 분리막 | |
| CN209312927U (zh) | 具有改善的热稳定性的电极组件 | |
| CN115395175A (zh) | 电池隔板、可充电锂电池以及电动车辆 | |
| JP2009070726A (ja) | 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 |
| KR101704759B1 (ko) |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 KR20230001690A (ko) | 절연 코팅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 KR102307904B1 (ko) |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
| KR101773103B1 (ko) | 전극, 이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 KR101602908B1 (ko) |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 KR20220076320A (ko) | 전고체 이차 전지 | |
| WO2022266893A1 (zh) |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
| WO2022266894A1 (zh) |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
| KR20240039536A (ko) |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 |
| KR101929475B1 (ko) |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 EP3905414A1 (en) | Battery | |
| KR20170109945A (ko) |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20170003418A (ko) | 배터리 셀용 애노드, 애노드 제조 방법 및 배터리 셀 | |
| KR20220034409A (ko) | 도전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6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